KR100955197B1 - 이륜형 모터바이크 - Google Patents

이륜형 모터바이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55197B1
KR100955197B1 KR1020090037890A KR20090037890A KR100955197B1 KR 100955197 B1 KR100955197 B1 KR 100955197B1 KR 1020090037890 A KR1020090037890 A KR 1020090037890A KR 20090037890 A KR20090037890 A KR 20090037890A KR 100955197 B1 KR100955197 B1 KR 1009551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ed
rim
rear wheel
pulley
be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378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대수
Original Assignee
서대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대수 filed Critical 서대수
Priority to KR10200900378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5519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551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551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MRIDER PROPULSION OF WHEELED VEHICLES OR SLEDGES; POWERED PROPULSION OF SLEDGES OR SINGLE-TRACK CYCLES; TRANSMISSIONS SPECIALLY ADAPTED FOR SUCH VEHICLES
    • B62M7/00Motorcycles characterised by position of motor or engine
    • B62M7/02Motorcycles characterised by position of motor or engine with engine between front and rear wheel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17/00Roller skates; Skate-boards
    • A63C17/12Roller skates; Skate-boards with driving mechanis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LBRAKE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 B62L5/00Brakes, or actuating mechanisms therefor, controlled by back-pedalling
    • B62L5/10Brakes, or actuating mechanisms therefor, controlled by back-pedalling the brakes being actuated through coacting cams and balls or rollers located in the rear wheel hub
    • B62L5/14Brakes, or actuating mechanisms therefor, controlled by back-pedalling the brakes being actuated through coacting cams and balls or rollers located in the rear wheel hub the brakes being of disc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2202/00Motorised scoo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륜형 모터바이크에 관한 것으로, 전, 후륜에 각각 양발을 삽입하여 주행하는 이륜형 모터바이크의 엔진에서 발생된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 동력을 차단하는 브레이크수단 및 림과 회동가이드간 마찰력 향상을 위한 구조로 이루어진 이륜형 모터바이크에 관한 것으로 전, 후륜에 각각 양발을 안착하여 주행하는 이륜형 모터바이크의 엔진에서 발생된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에 후륜에 밸트를 통한 동력전달의 안전성을 향상시킨 벨트의 구조를 개선함과 물론, 동력을 차단하는 브레이크수단이 직접 림에 전달되도록 하는 구조 및 림과 회동가이드간 마찰력을 극대화하여 회동가이드의 파손 또는 이탈 등을 방지할 수 있는 회동가이드의 구조개선과, 상기 운전자의 충격완화 및 안정성을 더욱 향상시키도록 제공되는 이륜형 모터바이크를 제공함에 있다.
이륜, 모터바이크, 전륜, 후륜, 회동가이드, 연결바, 브레이크, 유커넥터, 브이벨트

Description

이륜형 모터바이크{A two-wheeled motor bike}
본 발명은 이륜형 모터바이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 후륜에 각각 양발을 삽입하여 주행하는 이륜형 모터바이크의 엔진에서 발생된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 동력을 차단하는 브레이크수단 및 림과 회동가이드간 마찰력 향상을 위한 구조로 이루어진 이륜형 모터바이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륜형 모터바이크에는 오토바이, 스쿠터 등이 있으며, 주로 근거리 교통수단으로 활용되다가 근래에는 레저 및 스포츠용으로도 동호회를 중심으로 널리 애용되고 있다.
또한, 레저 및 스포츠용으로 사용되는 스노우보드, 서핑보드 등을 타는 것과 같은 느낌을 같도록 육상에서는 모터보드가 사용되고 있으며, 상기 모터보드는 보드에 엔진과 구동바퀴를 장착하고, 경사를 거슬러 올라갔다 미끄러지듯 활강하거나 평지를 마치 모터사이클처럼 달릴 수 있는 것이다.
종래에 따른 이륜형 모터바이크의 실시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륜형 모터바이크(이륜 비클)는 등록실용 제0324640호와 제0324420호에 나타낸 바와 같이 림(1a)(2a)과 타이어(1b)(2b)로 이루어지고, 림(1a)(2a)의 중앙에 발 안착부(1c)(2c)가 형성된 각각의 전,후륜(1)(2)과, 상기 전,후륜(1)(2)의 림(1a)(2a)에 접면되어 전,후륜(1)(2)을 지지해 주는 복수의 가이드로울러(3)와, 상기 전,후륜(1)(2)의 사이에 설치되어진 엔진(4)과, 상기 엔진(4)에서 발생된 동력을 후륜(2)에 감속하여 전달하는 동력전달수단(5)과, 상기 동력전달수단(5)에서 전달받은 동력으로 상기 후륜(2)의 트레드(tread)홈(2d)을 회전시키는 스핀들(6)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엔진(4)의 출력을 제어하는 가속레버(7)를 손으로 파지하여 속도 조절을 하게 되고, 정지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인라인스케이트처럼 모터바이크의 발 안착부의 하면과 바닥을 마찰시키거나 방향전환하여 제동하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이륜형 모터바이크는 전,후륜(1)(2)의 림(1a)(2a)중앙에 형성된 발안착부(1c)(2c)에 양발을 삽입한 상태에서 엔진(4)에서 발생된 동력을 동력전달수단(5)에서 감속하여 스핀들(6)을 회전시키고, 상기 스핀들(6)에 의해 후륜(2)의 트레드홈(2d)을 회전시켜 비포장험로 주행은 물론 모래밭과 잔디밭 등을 주행하는데 매우 탁월한 기능을 발휘한다.
또한, 몸의 균형유지와 방향전환이 오로지 전, 후륜(1)(2)에 삽입된 두발을 통해 이루어지게 되는데 숙달되면, 퀵턴(quick turn)은 물론 윌리(wheelie), 점프(jump), 스텝핑(stepping), 급제동, 슬라이딩(sliding) 등 단계적으로 고급기술에 도전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이륜형 모터바이크의 제동장치가 구비되어 있지 않아 안전사고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즉, 이륜형 모터바이크의 발 안착부의 하면을 지면에 밀착시키거나 방향전환에 의해 제동을 함으로서, 시속 30km로 주행하는 이륜형 모터바이크의 속도조절 및 제동을 미숙련자는 제대로 하지 못하는 것이다.
또한, 종래의 이륜형 모터바이크의 제어장치에 있어 림과 타이어로 이루어지고, 림의 중앙에 발 안착부가 형성된 전,후륜과, 상기 전,후륜의 림에 접면되어 전,후륜을 지지해 주는 복수의 가이드로울러와, 상기 전,후륜의 사이에 설치되어진 엔진과, 상기 엔진에서 발생된 동력에 의해서 회전되는 원동풀리와, 상기 원동풀리에 타이밍 밸트로 연결되고, 속도를 감속시키는 종동풀리와, 상기 종동풀리에 동축 설치된 구동스프라켓과, 상기 구동스프라켓에 연결되어 후륜을 회전시키는 동력전달용 스프라켓을 포함하는 이륜형 모터바이크에 있어서, 상기 구동스프라켓이 일측에 동력전달을 차단하는 브레이크수단이 설치된 이륜형 모터바이크는 종동풀리에 브레이크 수단이 설치되어 있어 원동풀리를 연동하게 하는 밸트의 이탈 또는 파단시 브레이크 작동이 안되어 동력이 전달되던 후륜부에 동력이 존재하여 정지가 불가능하게 되며, 정지가 불가능한 상태로 주행하는 이륜형 모터바이크의 주행자에게 추돌 등 위험성을 가지게 된다.
또한, 밸트를 사용한 동력전달장치에 있어 기존 체인방식 및 물레방식을 사용하던 동력전달장치에 있어 소음이 심하게 발생하고, 밸트가 이탈 또는 파단되어 바퀴에 감기거나 급정지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여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며, 비탈길과 같은 언덕을 주행시 쉽게 주행을 할 수 있도록 변속장치를 구비하여 소모되는 연료를 절감하고 주행자의 안정성을 고려한 이륜형 모터바이크를 제공하는 데 있 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서 전, 후륜에 각각 양발을 안착하여 주행하는 이륜형 모터바이크의 엔진에서 발생된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에 후륜에 밸트를 통한 동력전달의 안전성을 향상시킨 벨트의 구조를 개선함과 물론, 동력을 차단하는 브레이크수단이 직접 림에 전달되도록 하는 구조 및 림과 회동가이드간 마찰력을 극대화하여 회동가이드의 파손 또는 이탈 등을 방지할 수 있는 회동가이드의 구조개선과, 상기 운전자의 충격완화 및 안정성을 더욱 향상시키도록 제공되는 이륜형 모터바이크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중앙측에 엔진의 출력기어로부터 동축 연결된 출력기어풀리와, 상기 출력기어풀리와 타이밍벨트에 의해 동력전달되는 구동기어의 동축연결된 구동기어풀리와, 상기 구동기어의 샤프트상에 동축 연결된 브이벨트풀리와, 상기 브이벨트풀리와 브이벨트에 의해 연결되어 구동되는 후륜 림 일측에 고정되어 형성된 후륜브이풀리와, 상기 후륜 림 외주면에 후륜의 회전을 지지하도록 하는 회동가이드와, 상기 회동가이드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동체고정 림과, 상기 동체고정 림과 엔진을 수용하는 메인프레임과 연결되는 프레임 암과, 상기 메인프레임 전방 끝단과 동체고정 림과 연결되는 유커넥터와, 상기 동체고정 림 내주면에 전륜의 회전을 지지하도록 하는 회동가이드와, 상기 회동가이드의 회전을 지지하며 외주면에 전륜을 고정하는 전륜 림과, 상기 전/후륜에 설치된 각각의 동체고정 림에 고정되어 전/후륜의 상부를 커버하는 전/후륜커버와, 상기 전/후륜커버를 길이방향으로 연결하는 연결바와, 상기 브이벨트풀리를 제어하도록 형성되는 브레이크기구로 구성되는 이륜형 모터바이크에 있어서,
상기 전/후륜 림 내주면에 설치되는 회동가이드는
상기 전/후륜 림 내주면에 링형상을 가진 롤러 가이드가 양측으로 형성되며, 양측 롤러 가이드와 수평 연결하도록 고정축이 통과되어 너트에 의해 고정되고, 상기 양측 롤러 가이드 내측에 형성된 고정축에 한쌍의 베어링 롤러가 삽입되어 설치되는 베어링 회동부가 양측 롤러 가이드상에 다수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륜형 모터바이크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전/후륜 림 내주면과 동체고정 림 외주면에 각각 같은 극성을 가지는 자석을 설치함에 있어, 상기 동체고정 림의 자석배치는 양측 끝단이 서로 수평상을 위치하도록 반원형상을 가지도록 제1자석이 배치하고, 상기 제1자석 양측 끝단에서 일정 폭으로 이격되며 상기 동체고정 림 상부에 배치되는 제2자석을 배치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륜형 모터바이크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연결바는
일측단부는 후륜커버와 연결되며 타측단부는 단차지게 고정부가 형성되어 내측으로 소정의 길이방향으로 관통된 제1통공이 형성된 제1연결부와;, 상기 전륜커버와 연 결되는 연결고리와;, 상기 연결고리를 일측방향으로 내속되도록 관통된 제2통공이 형성된 제2연결부와;, 상기 제2연결부의 제2통공에 일측이 내속되며 타측은 제1연결부의 제1통공에 내속되며 외주면 일측에 단턱이 형성되어 상기 단턱을 기준으로 양측에 탄성스프링이 형성되는 얼라인먼트 쇼바와;, 상기 탄성스프링을 수용하도록 내부에 공간부를 형성하며 일측은 제1연결부의 고정부와 고정되는 소켓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륜형 모터바이크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브레이크기구는
상기 브레이크기구는 상기 브이벨트풀리 내측과 후륜 림 외측 사이에 양방향으로 분할되어 설치되며 다수의 타원형 냉각공이 형성된 브레이크 디스크;와,
상기 브레이크 디스크 양측에 대각으로 설치되어지고, 견고한 고정을 위해 브이벨트풀리 내측면과 후륜 림 외주면 사이에 견고하게 고정되어지며, 본체 일측면에 브레이크 패드가 설치되며, 본체 일측에 형성된 고정편은 동체고정 림에 설치되고, 본체 타측에 형성된 내향 절곡된 형상을 가진 작동편에 브레이크 케이블이 연결되어 있는 켈리퍼브레이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륜형 모터바이크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켈리퍼브레이크의 고정편을 동체고정 림에 고정함에 있어, 상기 동체고정 림에 고정되어 고정편의 결속공을 통과하여 내속시키는 볼트부에 상기 고정편의 귀속을 위해 고정편 결속공 양측으로 너트를 체결하기 전(前)에 상기 고정편 결속 공의 양측으로 소정의 길이로 연장된 원통형의 슬리브를 볼트에 삽입시켜 상기 슬리브 외주면에 상기 고정편 결속공이 내속되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륜형 모터바이크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유커넥터의 끝단이 중앙에 연결되며, 상기 동체고정 림 양측으로 연결된 각각 한쌍의 제1, 2연결판재 사이로 일면이 연결되는 섬유혼합복합재로 이루어진 후크루버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륜형 모터바이크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프레임 암이 동체고정 림 양측으로 각각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륜형 모터바이크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출력기어풀리와 구동기어풀리와 연계되어 연동되도록 동력을 전달하는 타이밍벨트에 있어,
상기 출력기어풀리 외주면 일측부에 고정되며 양측 끝단부에 타원형의 조절공이 형성된 유선형의 조절핀과, 상기 조절핀 일면에 설치되며 상기 타이밍벨트 외주면에 면접되어 회동되는 회전풀리로 구성되는 타이밍벨트 텐셔너가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륜형 모터바이크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구동기어의 샤프트상에 동축 연결된 브이벨트풀리는
상기 샤프트상에 나사선이 형성되며, 상기 나사선상에 이등분된 제1, 2브이벨트풀 리로 고정되고, 상기 제1브이벨트풀리는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제2브이벨트풀리는 나사선상에 회전하여 이동되도록 일단이 고정되며, 상기 샤프트에 내속되어 타단이 샤프트상에 고정된 코일스프링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륜형 모터바이크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브이벨트풀리와 후륜브이풀리를 연계하여 연동시키는 브이벨트의 장력을 조절함에 있어,
상기 브이벨트풀리와 후륜브이풀리 사이에 설치되며 브이벨트 외주면과 면접되어 회동되는 회동베어링부;와,
상기 회동베어링부를 일측면에 고정시키며 상면에 관통된 한쌍의 볼트공이 형성된 수평바;와,
상기 수평바 볼트공과 대통(對通)되게 통공이 형성되며 스프링이 내속된 장공볼트가 삽입되어 중간부에 위치하여 후방 메인프레임에 고정되는 고정바; 및,
상기 수평바 양측에 각각의 볼트공까지 연통되어 상기 장공볼트 높이를 조절하도록 형성된 조절볼트;로 구성되는 브이벨트 장력조절장치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륜형 모터바이크를 제공한다.
상기에서 서술한 목적과 하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엔진의 구동력을 후륜에 직접적으로 전달하는 후륜 직접구동방식을 채택함으로써 그 구동력을 향상시키고, 동력낭비를 최소화할 수 있으며, 또한 브레이크 작동성을 대폭 향상시킴 으로써 그 사용상의 안전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유연성 및 완충성을 향상시켜 그 주행시의 탑승감을 향상시키며, 그 외에 사용자의 다양한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하기와 같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을 통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도 2와 도 3에 나타낸 전체적인 구성요소를 토대로 세부적인 구성요소를 설명한 도 4 내지 도 2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중앙측에 엔진(110)의 출력기어(210)로부터 동축 연결된 출력기어풀리(211)와, 상기 출력기어풀리(211)와 타이밍벨트(222)에 의해 동력전달되는 구동기어(220)의 동축연결된 구동기어풀리(221)와, 상기 구동기어(220)의 샤프트(230)상에 동축 연결된 브이벨트풀리(231)와, 상기 브이벨트풀리(231)와 브이벨트(242)에 의해 연결되어 구동되는 후륜 림(240) 일측에 고정된 후륜브이풀리(241)와, 상기 후륜 림(240) 외주면에 후륜(200)의 회전을 지지하도록 하는 회동가이드(250)와, 상기 회동가이드(250)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동체고정 림(260)과, 상기 동체고정 림(260)과 엔진(110)을 수용하는 메인프레임(320)과 연결되는 프레임 암(270a, 270b)과, 상기 메인프레임(320) 전방 끝단과 동체고정 림(360)과 연결되는 유커넥터(310)와, 상기 동체고정 림(360) 내주면에 전륜(300)의 회전을 지지하도록 하는 회동가이드(350)와, 상기 회동가이드(350)의 회전을 지지하며 외주면에 전륜(300)을 고정하는 전륜 림(340)과, 상기 전/후륜(300, 200)에 설치된 각각의 동체고정 림(260, 360)에 고정되어 전/후륜(300, 200)의 상부를 커버하는 전/후륜커버(330, 280)와, 상기 전/후륜커버(330, 280)를 길이방향으로 연결하는 연결바(400)와, 상기 브이벨트풀리(231)를 제어하도록 형성되는 브레이크기구(600)로 구성되는 이륜형 모터바이크(100)에 있어서,
상기 회동가이드(350, 250)는 상기 전/후륜 림(340, 240) 내주면에 설치하되, 도 4에서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전/후륜 림(340, 240) 내주면에 링형상을 가진 롤러 가이드(251)가 양측으로 형성되며, 양측 롤러 가이드(251)와 수평 연결하도록 고정축(252)이 통과되어 너트(254)에 의해 고정되고, 상기 양측 롤러 가이드(251) 내측에 형성된 고정축(252)에 한쌍의 베어링 롤러(253)가 삽입되어 설치되는 베어링 회동부(255)가 양측 롤러 가이드(251)상에 다수개 형성되는 이륜형 모터바이크(100)를 제공한다.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동가이드(250, 350)는 기존의 고정형 롤러의 단점이었던 특정부 롤러의 집중 마모 및 편마모로 인해 고정형 롤러의 조기수명단축, 진동, 유격발생, 유격발생으로 인한 파손이 발생하여 이와 연동된 주변부품인 전/후륜 림(340, 240)의 파손을 유발하고 안전사고를 일으키는 원인이 되어 조기에 교환하여야 하는 불편함을 개선해 구동형 베어링 롤러(253)가 고정축(252)에 한쌍으로 설치된 베어링 회동부(255)가 상기 롤러 가이드(251)상에 다수개 형성되어 있고, 이는 각각 전/후륜(300, 200)의 동체고정 림(360, 260)과 전/후륜 림(340, 240) 사이에서 고정축(252)에 내삽된 회동되는 한쌍의 베어링 롤러(253)가 전/후륜(300, 200)의 구름에 비례하게 전/후륜 림(340, 240)의 궤도에서 무한회전 하며 회동가이드(350, 250)의 편심하중이나 노면으로 부터 전달되는 진동과 충격 등을 고정식 롤러와 는 달리 베어링 롤러(253) 모두 각각 균일하게 분산시켜 마모 및 편마모를 방지하여 베어링 롤러(253)의 내구성을 최대한 연장시킴과 더불어 주행상의 안전성을 극대화 시킬 수 있다.
또한, 도 7과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전/후륜 림(340, 240) 내주면과 동체고정 림(360, 260) 외주면에 각각 같은 극성을 가지는 자석(500a, 500b)을 설치함에 있어,
상기 동체고정 림(360, 260) 외주면과 전/후륜 림(340, 240) 내주면에 각각 설치된 자석(500a, 500b)은 서로 N:N(극) 또는 S:S(극)으로 서로 같은 양극으로 마주하여 원형으로 배치하게 되며, 이때 마주하여 배치된 자석(500a, 500b)은 상기 전/후륜 림(340, 240)과 동체고정 림(360, 260)의 양측 림 사이에서 '척력'(자석의 같은 극이 마주할 경우 서로 밀어내는 성질)이 발생하게 하여 사용자의 체중이 직접적으로 전달되는 동체고정 림(360. 260)과, 이와 연동되는 전/후륜 림(340, 240) 사이에서 척력의 힘이 발생하여 자기부상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다.
상기 자기부상 효과는 전/후륜 림(340, 240)과 동체고정 림(360, 260)의 양측 림간의 사이에 배치된 회동가이드(350, 250)의 사용에 있어 동체고정 림(360, 260)으로부터 전달되는 하중으로 인한 마찰과 마찰에 따른 마모, 편마모 등을 최소화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전/후륜 림(340, 240)과 회동가이드(350, 250)의 마찰을 최소화로 인해 베어링 롤러(253)의 수명을 연장시키게 될 뿐만 아니라 궁극적으로는 마찰 의 감소에 따른 주행저항감소에 따른 동력손실의 최소화와 엔진(110)에서 출력되는 최대 동력원의 한정된 에너지 사용을 증대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전/후륜 림(340, 240)과 동체고정 림(360, 260)에 각각 자석(500a, 500b)을 배치함에 있어 자기력의 세기(Gauss:가우스)에 따라 자석(500a, 500b)의 모양과 크기, 전/후륜 림(340, 240)과 동체고정 림(360, 260)의 인접거리 및 인접방법 등을 상황에 맞게 인용할 수 있으며, 또한 무한회전하는 전/후륜 림(340, 240)의 내주면의 전체 원형에 배치된 자석(500a)의 형상과 달리 고정 배치된 동체고정 림(360, 260)의 자석(500b)배치는 양측 끝단이 서로 수평상을 위치하도록 반원형상을 가지도록 제1자석(510)이 배치하고, 상기 제1자석(510) 양측 끝단에서 일정 폭으로 이격되며 상기 동체고정 림(360, 260) 상부에 배치되는 제2자석(520)을 배치함으로서, 상기 동체고정 림(360, 260) 외주면에 배치되는 자석(500b)의 무게를 줄이는 동시에 같은 극에 따른 서로 밀어 내려는 척력을 이용한 자기부상을 극대화 시킬 수 있도록 제공된다.
또한, 도 9와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연결바(400)는, 일측단부는 후륜커버(280)와 연결되며 타측단부는 단차지게 고정부(411)가 형성되어 내측으로 소정의 길이방향으로 관통된 제1통공(412)이 형성된 제1연결부(410)와;, 상기 전륜커버(330)와 연결되는 연결고리(420)와;, 상기 연결고리(420)를 일측방향으로 내속되도록 관통된 제2통공(431)이 형성된 제2연결부(430)와;, 상기 제2연결부(430)의 제2통공(431)에 일측이 내속되며 타측은 제1연결부(410)의 제1통공(412)에 내속되며 외주면 일측에 고정핀(443)이 설치되도록 단턱(441)이 형성되어 상기 단턱(441)을 기준으로 양측에 탄성스프링(442a, 442b)이 형성되는 얼라인먼트 쇼바(440)와;, 상기 탄성스프링(442a, 442b)을 수용하도록 내부에 공간부(451)를 형성하며 일측은 제1연결부(410)의 고정부(411)와 고정되는 소켓부(450);로 구성되는 것에 있어,
상기 전륜(300)에서 발생되는 충격이 전륜커버(330)에 전달되어 상기 전륜커버(330)를 연결하는 연결고리(420)를 통해 제2연결부(430)로 전달되고, 상기 전달된 충격은 얼라이먼트 쇼버(440)로 전달되어 다시 탄성스프링(442a)으로 이동되어 완화하게 된다.
이때 상기 탄성스프링(442a, 442b)에 충격이 이동됨에 있어, 상기 전/후륜 (300, 200)동시에 충격이 올 수 있어 상기 얼라인먼트 쇼버(440)상에 하나의 탄성스피링이 설치될 경우 양측에서 전달되어 오는 충격을 제어할 수 없어 상기 탄성스프링의 더욱 큰 진동이 전달되거나 완화자체가 전혀 없이 충격을 그대로 전달되기 때문에 상기 얼라인먼트 쇼버(440) 상에 단턱(441)이 형성되어 상기 단턱(441)에 고정핀(443)이 설치되고, 상기 설치된 고정핀(443) 양측으로 이격된 탄성스프링(442a, 442b)이 각각 설치됨으로서, 전/후륜(300, 200)에서 발생되는 충격을 상기 각각의 탄성스프링(442a, 442b)이 완화하는 역할로 제공되고, 이로 인해 사용자의 발이 이탈되거나 전복되는 위험으로부터 보호하고 안정감 있는 방향전환 및 출발과 월등한 주행성능을 제공한다.
또한, 도 11과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브레이크기구(600)는 상기 후륜브이 풀리(241) 내측과 후륜 림(240) 외측에 사이에 분할되어 설치된 브레이크 디스크(610)와, 상기 브레이크 디스크(610) 양측에 대각으로 대면되도록 각각 설치되며 본체(621) 일측면에 브레이크 패드(미도시)가 설치되며, 본체(621) 일측에 형성된 고정편(622)은 동체고정 림(260)에 설치되고, 본체(621) 타측에 형성된 내향 절곡된 형상을 가진 작동편(626)에 브레이크 케이블(627)이 연결되어 있는 켈리퍼브레이크(620)로 구성함에 있어, 상기 후륜브이풀리(241) 내측과 후륜 림(240) 외측에 사이에 분할되어 설치된 브레이크 디스크(610)는 원형의 링형태가 이등분된 브레이크 디스크(610)로서, 교체시 용이하게 제거하고 부착할 수 있도록 제공함에 있으며, 상기 브레이크 디스크(610) 상에 타원형의 냉각공(611)이 다수개 형성되어 상기 켈리퍼브레이크(620) 본체(621)의 브레이크 패드(미도시)와 브레이크 디스크(610)의 마찰에 따른 마모와 마찰열을 최소화하기 위해 상기 다수의 타원형 냉각공(611)이 형성되어 제공된다.
또한, 도 13 내지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켈리퍼브레이크(620)의 본체(621) 고정편(622)을 동체고정 림(260)에 고정함에 있어, 상기 동체고정 림(260)에 고정되어 고정편(622)의 결속공(623)을 통과하여 내속시키는 볼트부(624)에 상기 고정편(622)의 귀속을 위해 고정편(622) 결속공(623) 양측으로 너트(628)를 체결하기 전(前)에 상기 고정편(622) 결속공(623)의 양측으로 소정의 길이로 연장된 원통형의 슬리브(625)를 볼트부(624)에 삽입시켜 상기 슬리브(625) 외주면에 상기 고정편(622) 결속공(623)이 내속되어 형성됨으로서, 상기 슬리브(625) 외주면을 회 동하는 상기 본체(621)의 고정편(622)이 도 13의 “A”에 나타낸 유동적 회동함으로서 전/후륜(300, 200)의 진동이나 노면으로부터의 충격, 브레이크 디스크(610)상에 이물질 유입 등으로 인한 변형을 해소하여 완전한 제동을 하는 과정까지 발생하는 위험요소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 본체(621)의 고정편(622)이 유동할 수 있는 공간(도 13의 “A” 표시)을 확보함으로서 브레이크 제동시 상기 진동, 충격, 이물질 유입의 간섭요소를 제거하여 안전한 제동으로 인한 운전자의 안전을 극대화하도록 제공되는 것이다.
또한, 도 16과 도 1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동체고정 림(360)과 연결되는 유커넥터(310)에 있어, 상기 유커넥터(310)의 끝단과 상기 동체고정 림(360) 양측으로 연결된 각각 한쌍의 제1, 2연결판재(312, 313) 사이로 연결하는 후크루버(311)가 섬유혼합복합재로 형성됨으로서, 즉 섬유조직을 포함하고 있는 고무판재로써의 섬유혼합복합재로 이루어짐으로 상기 동체고정 림(360)의 제1, 2연결판재(312, 313)에 견고하게 고정으로 인해 바퀴조향의 편리성과 내구성이 증대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
상기 후크루버(311)는 상기 동체고정 림(360) 양측으로 각각 한쌍의 제1, 2연결부재(312, 313) 사이로 연결되어 고정되는 것으로, 보다 상세히 설명하자면 상기 동체고정 림(360) 일측에 설치된 제1, 2연결판재(312, 313)와 상기 동체고정 림(360) 타측에 설치된 제1, 2연결판재(312, 313) 사이에 상기 후크루버(311) 일면이 연결 고정되는 것이며, 상기 후크루버(311) 중앙에 유커넥터(310)가 연결/고정됨으로서, 상기 전/후륜(300, 200)의 바퀴조향에 따른 유커넥터(310)의 동시적인 동작으로 인해 후크루버(310)의 신축 및 유연성으로 인해 방향전환이 자유롭고 견고한 고정으로 인한 내구성을 증대하게 된다.
또한,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프레임 암(270a, 270b)이 동체고정 림(260) 양측으로 각각 설치됨에 있어 기존의 오토바이나 자전거 등 바퀴를 구비하여 구동하는 기계는 통상적으로 바퀴의 회전중심축에 하중을 전달하여 바퀴의 회전을 이용하였으나, 본 발명은 기존과 달리 중심축에 사용자의 발을 삽입하는 특이성을 두고 작동되는 원리이다. 따라서 정상적인 바퀴의 구동을 위해서 전/후륜 림(340, 240)과 같은 구동체계를 마련하여 정상적으로 작동시키기 위한 수단으로 바퀴의 중심축 고정을 대신하는 동체고정 림(260)과 동력을 발생시키는 엔진부(110)를 수용하는 메인프레임(320)과의 결합에서 사용자의 체중으로부터 발생하는 변형 등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동체고정 림(260) 양측으로 프레임 암(270a, 270b)이 설치됨으로서 견고한 고정 및 안정감 있는 주행성을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또한, 도 19와 도 2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출력기어풀리(211)와 구동기어풀리(221)와 연계되어 연동되도록 동력을 전달하는 타이밍벨트(222)에 있어,
상기 출력기어풀리(211) 외주면 일측부에 고정되며 양측 끝단부에 타원형의 조절공(711)이 형성된 유선형의 조절핀(710)과, 상기 조절핀(710) 일면에 설치되며 상기 타이밍벨트(222) 외주면에 면접되어 회동되는 회전풀리(720)로 구성되는 타이밍 벨트 텐셔너(700)가 설치됨으로서 상기 타이밍벨트(222)의 장력이 발생시 상기 회전풀리(720)가 고정된 타이밍벨트 텐셔너(700)의 조절핀(710) 조절공(711)을 일정 길이로 이동시켜 타이밍벨트(222)의 텐션을 조절하게 된다.
또한, 도 21 내지 도 2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구동기어(220)의 샤프트(230)상에 동축 연결된 브이벨트풀리(231)는
상기 샤프트(230)상에 나사선(232)이 형성되며, 상기 나사선(232)상에 이등분된 제1, 2브이벨트풀리(231a, 231b)로 고정되고, 상기 제1브이벨트풀리(231a)는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제2브이벨트풀리(231b)는 샤프트(230)의 나사선(232)상에 회전하여 이동되도록 일단이 고정되며, 상기 샤프트(230)에 내속되어 타단이 샤프트(230)상에 고정된 코일스프링(233)이 구비되는 것에 있어서,
도 21과 도 22에 나타낸 상기 초기 엔진(110) 출력으로 인해 동력이 샤프트(230)상에 전달되어 상기 샤프트(230)가 회전을 일으키면서 동시에 상기 샤프트(230)상에 고정된 코일스프링(233)이 감김현상이 발생하는 동시에 상기 코일스프링(233) 일단이 상기 제2브이벨트풀리(231b)에 연결되어 상기 제2브이벨트풀리(231b)가 상기 샤프트(230)상 나사선(232)을 회전하면서 상기 제1브이벨트풀리(231a)와 공극이 발생하게 된다. 이때 브이벨트(242)는 상기 제1, 2브이벨트풀리(231a, 231b)의 공극(도 22의 “B” 표시) 즉, 내주면으로 밀착하려는 성질을 가져 더욱 강한 회전력이 발생하게 되며, 이로 인해 엔진(110)의 초기 출력에 따른 추진력이 향상하게 된다.
이에 상기 초기 출력발생 후 도 23과 도 24에 나타낸 주행중일 경우 상기 코일스프 링(233)의 복원력에 따른 풀림현상이 발생하여 상기 제2브이벨트풀리(231b)가 샤프트(230)상 나사선(232)을 통해 제1브이벨트풀리(231a) 측으로 밀착하게 되어 상기 제1, 2브이벨트풀리(231a, 231b)의 공극이 없는 협소한 공간을 가짐으로서 상기 브이벨트(242)가 상기 제1, 2브이벨트풀리(231a, 231b)의 외주면으로 향해 회전함으로서 더욱 큰 회전반경에 따른 후륜(200)의 회전수를 증가시키게 되어 같은 회전으로 더욱 많은 후륜(200)의 회전량을 얻을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25와 도 2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브이벨트풀리(231)와 후륜브이풀리(241)를 연계하여 연동시키는 브이벨트(242)에 있어, 상기 브이벨트풀리(231)와 후륜브이풀리(241) 사이에 설치되며 브이벨트(242) 외주면과 면접되어 회동되는 회동베어링부(840)와,
상기 회동베어링부(840)를 일측면에 고정시키며 상면에 관통된 한쌍의 볼트공(811)이 형성된 수평바(810)와,
상기 수평바(810) 볼트공(811)과 대통(對通)되게 통공(831)이 형성되며 스프링(821)이 내속된 장공볼트(820)가 삽입되어 중간부에 위치하여 후방 메인프레임(320)에 고정되는 고정바(830)와,
상기 수평바(810) 양측에 각각의 볼트공(811)까지 연통된 장공볼트(820) 높이를 조절하도록 형성된 조절볼트(812)로 구성되는 브이벨트 장력조절장치(800)가 형성됨에 있어, 상기 브이벨트(242)의 외주면을 면접하여 회동하는 회동베어링부(840)는 브이벨트(242)에만 간섭을 받게 되며 이로 인해 상하 이동이 자유로운 형태로 설치 되며, 상기 브이벨트(242)의 장력이 풀림에 따라 유격이 발생하여 상기 회동베어링부(840)가 상부로 이동되는 동시에 상기 장공볼트(820)상에 스프링(821)이 팽창되게 되고, 다시 복원력이 발생하여 원상태의 장력을 가지려는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이때 브이벨트(242)의 자동 장력을 조절하기 위해 먼저, 상기 수평바(810) 양측에 조절볼트(812)를 이용하여 상기 수평바(810) 볼트공(811)을 통과한 장공볼트(820)에 일정한 복원력을 주도록 스프링(821)을 압축하여 상기 조절볼트(812)로 고정하게 한 상태로 자동 장력을 조절하게 된다.
즉, 이렇게 자동 장력이 조절될 수 있도록 스프링(821)을 일정압력으로 압축한 상태에서 브이벨트(242)의 장력이 풀림에 대해서 상기 스프링(821)이 저항하고 다시 브이벨트(242)에 장력을 복원되어 상기 브이벨트(242)는 원상태를 그대로 유지하게 된다.
상기 실시예를 통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이륜형 모터바이크는 다양하게 설계변경하여 제작할 수 있는 것으로 상시 실시예를 통하여 그 원리를 본 발명의 구성으로 한정하여 제작하되 그 원리를 통한 기구에 있어서는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설계변경으로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다는 것을 밝힌다.
도 1은 종래에 따른 이륜형 모터바이크의 구조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륜형 모터바이크의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륜형 모터바이크의 내부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이륜형 모터바이크의 전륜 림에 내속된 회동가이드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이륜형 모터바이크의 동체고정림에 설치된 회동가이드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이륜형 모터바이크의 회동가이드가 설치된 전륜의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이륜형 모터바이크의 자석이 설치된 단면도 및 정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이륜형 모터바이크의 자석이 설치된 전륜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이륜형 모터바이크의 연결바 조립분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이륜형 모터바이크의 연결바가 조립된 내부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륜형 모터바이크의 브레이크 기구에 브레이크 디스크를 설치하기 위한 구성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륜형 모터바이크의 브레이크 기구에 브레이크 디스크를 설치된 후륜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이륜형 모터바이크에서 켈리퍼브레이크의 고정편에 슬리브가 체결되는 상태도.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이륜형 모터바이크에서 켈리퍼브레이크가 설치된 후륜 단면도.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이륜형 모터바이크에서 켈리퍼브레이크의 작동 상태도.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이륜형 모터바이크의 유커넥터가 전륜에 설치된 평면도.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이륜형 모터바이크의 유커넥터-연결판재-후크루버의 체결 평면도.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이륜형 모터바이크의 유커넥터-연결판재-후크루버의 체결의 부분 확대도.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이륜형 모터바이크의 출력기어풀리-구동기어풀리 사이에서 텐션을 조절하는 타이밍벨트 텐셔너의 설치도.
도 20은 본 발명에 따른 이륜형 모터바이크의 타이밍벨트 텐셔너의 구조도.
도 2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륜형 모터바이크의 초기 출력상태에서의 제1, 2브이벨트풀이의 작동도.
도 22는 도 21의 본 발명에 따른 이륜형 모터바이크의 초기 출력상태에서의 제1, 2브이벨트풀이의 확대도.
도 23은 본 발명에 따른 이륜형 모터바이크의 주행중일 때 제1, 2브이벨트풀이의 작동도.
도 24는 도 23의 본 발명에 따른 이륜형 모터바이크의 주행중일 때의 제1, 2브이벨트풀이의 확대도.
도 25는 본 발명에 따른 이륜형 모터바이크의 브이벨트장력조절장치의 조립도.
도 26은 본 발명에 따른 이륜형 모터바이크의 초기출력(a)와 주행중일 때(b)의 브이벨트장력조절장치 작동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이륜형 모터바이크 100 엔진 110 후륜 200 출력기어 210 출력기어풀리 211 구동기어 220 구동기어풀리 221 타이밍벨트 222 샤프트 230 브이벨트풀리 231 제1, 2브이벨트풀리 231a, 231b 나사선 232 코일스프링 233 후륜림 240 후륜브이풀리 241 브이벨트 242 회동가이드 250 롤러가이드 251 고정축 252 베어링 롤러 253 너트 254 베어링 회동부 255 동체고정 림 260 프레임 암 270a, 270b 후륜커버 280 전륜 300 유커넥터 310 후크루버 311 제1연결판재 312 제2연결판재 313 메인프레임 320 전륜커버 330 전륜 림 340 회동가이드 350 동체고정 림 360 연결바 400 제1연결부 410 고정부 411 제1통공 412 연결고리 420 제2연결부 430 제2통공 431 얼라인먼트 쇼버 440 단턱 441 탄성스프링 442 고정핀 443 소켓부 450 공간부 451 자석 500a, 500b 제1자석 510 제2자석 520 브레이크기구 600 브레이크 디스크 610 냉각공 611 켈리퍼브레이크 620 본체 621 고정편 622 결속공 623 볼트부 624 슬리브 625 작동편 626 브레이크 케이블 627 너트 628 타이밍벨트 텐셔너 700 조절핀 710 조절공 711 회전풀리 720 브이벨트장력 조절장치 800 수평바 810 볼트공 811 조절볼트 812 장공볼트 820 스프링 821 고정바 830 회동베어링부 840

Claims (10)

  1. 중앙측에 엔진의 출력기어로부터 동축 연결된 출력기어풀리와,
    상기 출력기어풀리와 타이밍벨트에 의해 동력전달되는 구동기어의 동축연결된 구동기어풀리와,
    상기 구동기어의 샤프트상에 동축 연결된 브이벨트풀리와,
    상기 브이벨트풀리와 브이벨트에 의해 연결되어 구동되는 후륜 림 일측에 고정되어 형성된 후륜브이풀리와,
    상기 후륜 림 외주면에 후륜의 회전을 지지하는 상기 후륜 림 내주면과 전륜의 회전을 지지하는 전륜 림 내주면 각각에 설치하되, 상기 전/후륜 림 내주면에 링형상을 가진 롤러 가이드가 양측으로 형성되며, 양측 롤러 가이드와 수평 연결하도록 고정축이 통과되어 너트에 의해 고정되고, 상기 양측 롤러 가이드 내측에 형성된 고정축에 한쌍의 베어링 롤러가 삽입되어 설치되는 베어링 회동부가 양측 롤러 가이드상에 다수개 형성되어 구성되는 회동가이드와,
    상기 각각의 회동가이드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동체고정 림과,
    상기 동체고정 림과 엔진을 수용하는 메인프레임과 연결되는 프레임 암과,
    상기 메인프레임 전방 끝단과 동체고정 림과 연결되는 유커넥터와,
    상기 전/후륜에 설치된 각각의 동체고정 림에 고정되어 전/후륜의 상부를 커버하는 전/후륜커버와,
    상기 전/후륜커버를 길이방향으로 연결하되, 일측단부는 후륜커버와 연결되며 타측단부는 단차지게 고정부가 형성되어 내측으로 소정의 길이방향으로 관통된 제1통공이 형성된 제1연결부가 설치되고, 상기 전륜커버와 연결되는 연결고리가 형성되어 상기 연결고리를 일측방향으로 내속되도록 관통된 제2통공이 형성된 제2연결부가 설치되고, 상기 제2연결부의 제2통공에 일측이 내속되며 타측은 제1연결부의 제1통공에 내속되며 외주면 일측에 단턱이 형성되어 상기 단턱을 기준으로 양측에 탄성스프링이 형성되는 얼라인먼트 쇼바가 설치되고, 상기 탄성스프링을 수용하도록 내부에 공간부를 형성하며 일측은 제1연결부의 고정부와 고정되는 소켓부로 구성되는 연결바 및,
    상기 브이벨트풀리를 제어하도록 형성하되, 상기 브이벨트풀리 내측과 후륜 림 외측 사이에 양방향으로 분할되어 설치되며 다수의 타원형 냉각공이 형성된 브레이크 디스크가 설치되고, 상기 브레이크 디스크 양측에 대각으로 설치되어지고, 견고한 고정을 위해 브이벨트풀리 내측면과 후륜 림 외주면 사이에 견고하게 고정되어지며, 본체 일측면에 브레이크 패드가 설치되며, 본체 일측에 형성된 고정편은 동체고정 림에 설치되고, 본체 타측에 형성된 내향 절곡된 형상을 가진 작동편에 브레이크 케이블이 연결되어 있는 켈리퍼브레이크가 설치되어 구성되는 브레이크기구로 구성되는 이륜형 모터바이크.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켈리퍼브레이크의 고정편을 동체고정 림에 고정함에 있어, 상기 동체고정 림에 고정되어 고정편의 결속공을 통과하여 내속시키는 볼트부에 상기 고정편의 귀속을 위해 고정편 결속공 양측으로 너트를 체결하기 전(前)에 상기 고정편 결속공의 양측으로 소정의 길이로 연장된 원통형의 슬리브를 볼트에 삽입시켜 상기 슬리브 외주면에 상기 고정편 결속공이 내속되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륜형 모터바이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커넥터의 끝단이 중앙에 연결되며, 상기 동체고정 림 양측으로 연결된 각각 한쌍의 제1, 2연결판재 사이로 일면이 연결되는 섬유혼합복합재로 이루어진 후크루버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륜형 모터바이크.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암이 동체고정 림 양측으로 각각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륜형 모터바이크.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기어풀리와 구동기어풀리와 연계되어 연동되도록 동력을 전달하는 타이밍벨트에 있어,
    상기 출력기어풀리 외주면 일측부에 고정되며 양측 끝단부에 타원형의 조절공이 형성된 유선형의 조절핀과, 상기 조절핀 일면에 설치되며 상기 타이밍벨트 외주면에 면접되어 회동되는 회전풀리로 구성되는 타이밍벨트 텐셔너가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륜형 모터바이크.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기어의 샤프트상에 동축 연결된 브이벨트풀리는
    상기 샤프트상에 나사선이 형성되며, 상기 나사선상에 이등분된 제1, 2브이벨트풀리로 고정되고,
    상기 제1브이벨트풀리는 고정되어 있고,
    상기 제2브이벨트풀리는 나사선상에 회전하여 이동되도록 일단이 고정되며, 상기 샤프트에 내속되어 타단이 샤프트상에 고정된 코일스프링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륜형 모터바이크.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브이벨트풀리와 후륜브이풀리를 연계하여 연동시키는 브이벨트의 장력을 조절함에 있어,
    상기 브이벨트풀리와 후륜브이풀리 사이에 설치되며 브이벨트 외주면과 면접되어 회동되는 회동베어링부와,
    상기 회동베어링부를 일측면에 고정시키며 상면에 관통된 한쌍의 볼트공이 형성된 수평바와,
    상기 수평바 볼트공과 대통(對通)되게 통공이 형성되며 스프링이 내속된 장공볼트가 삽입되어 중간부에 위치하여 후방 메인프레임에 고정되는 고정바와,
    상기 수평바 양측에 각각의 볼트공까지 연통되어 상기 장공볼트 높이를 조절하도록 형성된 조절볼트로 구성되는 브이벨트 장력조절장치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륜형 모터바이크.
KR1020090037890A 2009-04-30 2009-04-30 이륜형 모터바이크 KR1009551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7890A KR100955197B1 (ko) 2009-04-30 2009-04-30 이륜형 모터바이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7890A KR100955197B1 (ko) 2009-04-30 2009-04-30 이륜형 모터바이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55197B1 true KR100955197B1 (ko) 2010-04-29

Family

ID=422204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37890A KR100955197B1 (ko) 2009-04-30 2009-04-30 이륜형 모터바이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5519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9437B1 (ko) 2016-11-09 2018-05-21 차진우 접이식 전동 보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10896A (ko) * 2005-07-20 2007-01-24 김정석 이륜 비클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10896A (ko) * 2005-07-20 2007-01-24 김정석 이륜 비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9437B1 (ko) 2016-11-09 2018-05-21 차진우 접이식 전동 보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699229A (en) Endless articulated steel band vehicle for off-road services
TWI353948B (en) Tension device of bicycle derailleur
US20100194182A1 (en) Drive for a two-wheeled vehicle
CN202751772U (zh) 电动滑板
EP4212217A1 (en) Freewheel adjustable wheel and exercise bicycle including same
US20150369316A1 (en) Electric Bike Retrofit for Disc Brakes Bicycle
KR101238049B1 (ko) 휠 아이솔레이터 커플링
KR101127513B1 (ko) 자전거용 보조 구동장치
CA2391581A1 (en) Bicycle moved by front and rear drive method of pedal
KR100955197B1 (ko) 이륜형 모터바이크
JP2007537792A (ja) スキー型モーターバイク
KR20080003926U (ko) 센터축이 없는 바퀴
US10926835B2 (en) Power assisted front wheel drive bicycle
CN210078833U (zh) 自助驱动型游乐运动设备
CA2401460A1 (en) Oversize wheel assembly for a motorcycle
KR20130129049A (ko) 헬스 자전거
WO2010134793A2 (ko) 자전거용 보조 구동장치
AU2016345061A1 (en) A transmission system
US20080096708A1 (en) Drive apparatus
JP4516326B2 (ja) チェーンテンション構造
KR20100023170A (ko) 삼륜 점핑 자전거
KR20150041915A (ko) 전동식 자전거
CN212267746U (zh) 一种用于自行车的自平衡脚踏板
WO2000041925A1 (en) Motorized scooter
CN104071270B (zh) 漂移自行车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0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