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54514B1 - Outdoor display system - Google Patents

Outdoor display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54514B1
KR100954514B1 KR1020090080424A KR20090080424A KR100954514B1 KR 100954514 B1 KR100954514 B1 KR 100954514B1 KR 1020090080424 A KR1020090080424 A KR 1020090080424A KR 20090080424 A KR20090080424 A KR 20090080424A KR 100954514 B1 KR100954514 B1 KR 1009545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gap
fan
display system
outdoor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8042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권병관
Original Assignee
권병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090013265A external-priority patent/KR20090026788A/en
Application filed by 권병관 filed Critical 권병관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545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5451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4Constructional details of receivers, e.g. cabinets or dust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18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fans
    • F24F1/0025Cross-flow or tangential fa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82Heating or cooling of liquid crystal cells other than for activation, e.g. circuits or arrangements for temperature control, stabilisation or uniform distribution over the cell
    • G02F1/133385Heating or cooling of liquid crystal cells other than for activation, e.g. circuits or arrangements for temperature control, stabilisation or uniform distribution over the cell with cooling means, e.g. fa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02F1/133314Back frame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02F1/13332Front fram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PURPOSE: An outdoor display system is provided to efficiently perform cooling and heating of air by enabling smooth flow of the air and to block blackouts by compulsorily cooling air through an upper fan and a lower fan. CONSTITUTION: A gap unit(135) is formed between a front transmitting unit(130) and a display panel(140). An air-conditioning and heating device(180) performs the cooling or heating of air. The air flows from the lower part of the gap unit to the gap unit through a lower fan(175). An upper fan(170) discharges the air from the upper part of the gap unit into the gap unit. The both end parts of an air inducing member are projected in the direction of the upper pan and lower pan. The air inducing member induces the flow of the air.

Description

옥외용 디스플레이 시스템{OUTDOOR DISPLAY SYSTEM}Outdoor display system {OUTDOOR DISPLAY SYSTEM}

본 발명은 옥외용 디스플레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실외의 온도 및 습도의 환경변화에 의해서 디스플레이가 이상 변화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옥외용 디스플레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utdoor display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o an outdoor display system that can prevent the display from abnormally changing due to environmental changes in outdoor temperature and humidity.

종래의 옥외용 디스플레이 시스템은 엘씨디(LCD)와 같은 디스플레이를 밀폐형 박스의 내부에 수납한 것으로, 디스플레이 및 외부에서 가해지는 열을 냉각하거나 또는 외부 기온의 저하로 인해서 시스템 내부에 이상 변화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발열을 하는 냉난방장치가 구비되어 있다. Conventional outdoor display systems contain a display, such as an LCD, inside a sealed box to prevent abnormal changes in the system due to cooling of the display and external heat or a decrease in external air temperature. In order to produce heat, a heating and cooling device is provided.

실외의 환경은 실내에서 사용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비해 사용 조건이 더욱 가혹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It is known that the outdoor environment has more severe usage conditions than the display device used indoors.

특히, 여름철 태양광으로 인한 직사광선 및 디스플레이 자체의 열에 의해 옥외용 디스플레이 시스템 내부의 온도가 90℃를 넘는 경우가 발생하게 되는데, 이때 디스플레이에는 블랙 아웃(blackout)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디스플레이에 블랙 아웃 현상이 발생하는 경우, 화면부가 검은색으로 표시되기 때문에 문자 또는 영상을 표시할 수 없어서 디스플레이로서 기능을 할 수 없게 되는 치명적인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이와 같은 블랙 아웃 현상은 주로 직사광선에 의한 디스플레이 전면 온도의 상승에 의해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In particular, when the temperature inside the outdoor display system exceeds 90 ° C. due to the direct sunlight caused by summer sunlight and the heat of the display itself, a blackout phenomenon occurs in the display. When a blackout phenomenon occurs on the display, a fatal problem occurs because the screen is displayed in black, so that a character or an image cannot be displayed and thus, the display unit cannot function as a display. Such a blackout phenomenon is known to occur mainly due to an increase in display front temperature caused by direct sunlight.

그리고 겨울철에는 옥외용 디스플레이 시스템 외부의 온도가 낮기 때문에, 시스템 내부의 온도도 함께 낮아져서 결로(結露) 현상이 발생할 수 있게 된다. 시스템 내부에서 결로 현상이 발생하는 경우에는 디스플레이 패널 부분에 이끼 및 먼지 등이 형성되어 내구성 및 시안성이 현격하게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In addition, since the temperature outside the outdoor display system is low in winter, condensation may occur because the temperature inside the system is also lowered together. If condensation occurs inside the system, moss and dust may be formed on the display panel, resulting in a significant drop in durability and cyan.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종래의 옥외용 디스플레이 시스템은 냉난방장치를 구비하여, 외부의 온도가 높은 경우 시스템 내부를 냉각하고 외부의 온도가 낮은 경우에는 시스템 내부를 가열하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그러나 이와 같은 냉난방장치의 냉각에 의해서도 디스플레이의 블랙 아웃 현상을 제거하는 데에는 상당한 어려움이 있었다. 특히, 여름철의 직사광선이 디스플레이 패널에 조사되는 경우, 디스플레이 전면 온도의 상승으로 인해서 냉난방장치만으로는 블랙 아웃 현상을 방지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e conventional outdoor display system is equipped with a heating and cooling device, a method of cooling the inside of the system when the outside temperature is high, and heating the inside of the system when the outside temperature is low. However, there was a considerable difficulty in eliminating the blackout phenomenon of the display even by cooling the air conditioner. In particular, when the direct sunlight in the summer is irradiated to the display panel, due to the rise in the front temperature of the display there is a problem that can not prevent the blackout phenomenon only by the heating and cooling device.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출된 것으로, 블랙 아웃 현상을 제거할 수 있는 옥외용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was deriv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o provide an outdoor display system that can eliminate the blackout phenomenon.

본 발명은 냉난방장치가 가열 및 냉각해야 할 공간의 부피를 줄일 수 있고 외부로부터의 열 전달을 차단할 수 있는 옥외용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outdoor display system that can reduce the volume of the space to be heated and cooled the air-conditioning device and can block the heat transfer from the outside.

본 발명은 시스템 내부의 공기 흐름을 원활하게 하여 가열 및 냉각을 효율적으로 할 수 있는 옥외용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outdoor display system that can facilitate the heating and cooling of the air flow inside the system efficiently.

본 발명은 또한 내구성 및 시안성이 우수한 옥외용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n outdoor display system excellent in durability and cyanability.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옥외용 디스플레이 시스템은, 전방투과부와, 전방투과부와 일정 간격 이격되어 위치하는 디스플레이 패널과, 전방투과부 및 디스플레이 패널 사이에 형성된 빈 공간인 간격부와, 공기를 냉각 또는 가열할 수 있는 냉난방장치와, 간격부의 하부에 위치하면서 냉난방장치에 의해 가열 또는 냉각된 공기를 간격부로 유입되게 하는 하부팬과, 간격부의 상부에 위치하면서 하부팬에 의해 간격부로 유입된 공기를 간격부로부터 배출하는 상부팬을 포함한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outdoor display system includes a front permeable part, a display panel spaced apart from the front permeable part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 interval part that is an empty space formed between the front permeable part and the display panel, and cools or heats air. A heating and cooling device, a lower fan positioned at the lower part of the gap and allowing air heated or cooled by the cooling unit to enter the gap, and an air introduced into the gap by the lower fan located at the upper part of the gap from the gap. And an upper fan for discharging.

본 발명에 따른 옥외용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실시 예들은 다음과 같은 특징들을 하나 또는 그 이상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냉난방장치가 삽입되고, 양 단부가 상부팬 및 하부팬 방향으로 돌출되어서 공기의 흐름을 유도하는 공기유도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공기유도부재는 냉난방장치가 장착되는 삽입공을 포함할 수 있다. Embodiments of the outdoor display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have one or more of the following features. For example, the air-conditioning device may be inserted, and both ends may further include air inducing members protruding in the direction of the upper fan and the lower fan to induce the flow of air. And the air guide member may include an insertion hole in which the heating and heating device is mounted.

공기유도부재는 삽입공이 형성된 수직부와, 수직부의 양단부에서 경사지게 형성된 제2경사부와, 제2경사부의 단부에서 경사지게 형성된 제1경사부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냉난방장치는 열전소자를 포함하고, 삽입공은 열전소자와 접할 수 있다. 또한, 공기유도부재는 삽입공이 형성된 수직부와, 수직부의 양단부에서 형성된 곡선부를 포함할 수 있다. The air induction member may include a vertical portion having an insertion hole, a second inclined portion formed obliquely at both ends of the vertical portion, and a first inclined portion formed obliquely at the end of the second inclined portion. And the heating and cooling device includes a thermoelectric element, the insertion hole may be in contact with the thermoelectric element. In addition, the air guide member may include a vertical portion formed with the insertion hole, and a curved portion formed at both ends of the vertical portion.

상부팬 및 하부팬은 간격부의 폭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으며, 상부팬 및 하부팬은 횡류팬(cross flow fan)일 수 있다. The upper fan and the lower fan may be arranged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gap portion, the upper fan and the lower fan may be a cross flow fan (cross flow fan).

전방투과부의 전면은 난반사 코팅이 될 수 있고, 그 배면은 단열코팅이 될 수 있다. The front surface of the front permeable part may be a diffuse reflection coating, and the rear surface thereof may be an insulating coating.

전방투과부와 결합하는 전방프레임과, 냉난방장치와 결합하는 후방프레임을 포함하여 방수 기능을 가질 수 있다. It may have a waterproof function, including a front frame coupled to the front transmission unit, and a rear frame coupled to the air conditioning unit.

디스플레이 패널 및 냉난방장치를 수용하고 외체를 형성하는 전방프레임 및 후방프레임을 포함하고, 공기유도부재는 전방프레임 및/또는 후방프레임과 접할 수 있다. And a front frame and a rear frame for accommodating the display panel and the air conditioner and forming an outer body, and the air guide member may contact the front frame and / or the rear frame.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면에 간격부를 형성하고 상부팬 및 하부팬에의해 공기를 강제로 순환하여 냉각함으로써 블랙 아웃 현상을 차단할 수 있는 옥외 용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n outdoor display system that can block the blackout phenomenon by forming a gap on the front surface of the display panel and forcibly circulating and cooling the air by the upper fan and the lower fan.

본 발명은 공기유도부재에 의해 냉난방장치가 가열 및 냉각해야 할 공간의 부피를 줄일 수 있고 외부로부터의 열 전달을 차단할 수 있는 옥외용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n outdoor display system that can reduce the volume of the space to be heated and cooled by the air induction member and block heat transfer from the outside.

본 발명은 공기유도부재에 의해 공기의 흐름을 원활하게 하여 냉각 및 가열을 효율적으로 할 수 있는 옥외용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n outdoor display system that can facilitate the flow of air by the air induction member to efficiently cool and heat.

본 발명은 내구성 및 시안성이 우수한 옥외용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n outdoor display system excellent in durability and cyan.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As the inventive concept allows for various changes and numerous embodiments, particular embodiments will b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written description.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specific embodiments, it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transformation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related known technology ma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particular example embodiment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f the present invention.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In this application, the terms "comprise" or "have" are intended to indicate that there is a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and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exclude the possibility of the presence or the addition of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components, or a combination thereof.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defined otherwise,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the commonly used dictionaries should be construed as having meanings consistent with the meanings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art and shall not be construed i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s unless expressly defined in this application. Do not.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상관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same or corresponding element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regardless of the reference numerals, and duplicates thereof. The description will be omitt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옥외용 디스플레이 시스템(100)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예시된 디스플레이 시스템(100)의 분해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옥외용 디스플레이 시스템(100)의 단면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outdoor display system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display system 100 illustrated in FIG. 1.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outdoor display system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옥외용 디스플레이 시스템(100)은, 전면에 노출되는 전방투과부(130), 전방투과부(130)의 후방에 위치하는 디스플레이 패널(140), 전방투과부(130) 및 디스플레이 패널(140) 사이에 형성된 빈 공간인 간격부(135), 간격부(135)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위치하는 상부 팬(170) 및 하부팬(175), 디스플레이 패널(140)의 후방에 위치하는 냉난방방치(180), 디스플레이 패널(140) 및 냉난방장치(180) 사이에 위치하면서 공기의 흐름을 유도하는 공기유도부재(150)를 포함한다. 1 to 3, the outdoor display system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ront panel 130 and a display panel 140 positioned behind the front panel 130. , An empty space formed between the front transmissive part 130 and the display panel 140, an upper fan 170 and a lower fan 175 positioned at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gap 135, and a display. And an air induction member 150 positioned between the air conditioning and heating unit 180, the display panel 140, and the air conditioning unit 180 located behind the panel 140 to induce the flow of air.

본 실시예에 따른 옥외용 디스플레이 시스템(100)은, 전방투과부(130) 및 디스플레이 패널(140) 사이에 빈 공간에 해당하는 간격부(135)를 형성하고, 간격부(135)의 상하부에 각각 상부팬(170) 및 하부팬(175)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부팬(170) 및 하부팬(175)은 간격부(135)에서 공기를 강제적으로 순환시키는데, 이로 인해 디스플레이 패널(140)에 발생하는 열은 공기의 순환에 의해 냉각된다. 그리고 간격부(135)에서 강제로 배출된 공기는 냉난방장치(180)에 의해 냉각 또는 가열된 후 다시 간격부(135)로 유입된다. In the outdoor display system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a gap portion 135 corresponding to an empty space is formed between the front transmissive portion 130 and the display panel 140, and the upper portion is disposed above and below the gap portion 135. The fan 170 and the lower fan 175 are formed. The upper fan 170 and the lower fan 175 forcibly circulates air in the gap 135, whereby the heat generated in the display panel 140 is cooled by the circulation of the air. The air forcedly discharged from the gap 135 is cooled or heated by the air conditioning unit 180, and then flows back into the gap 135.

본 실시예에 따른 옥외용 디스플레이 시스템(100)은, 디스플레이 패널(140)의 전면에 간격부(135)를 형성하고 공기의 강제 순환에 의해 디스플레이 패널(140)에서 발생하는 열을 냉각할 수 있기 때문에 태양광 등에 의해 발생하는 블랙 아웃 현상을 제거할 수 있는 점에 특징이 있다. Since the outdoor display system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forms the spacer 135 on the front surface of the display panel 140 and cools the heat generated in the display panel 140 by forced circulation of air. There is a feature in that the blackout phenomenon caused by sunlight or the like can be removed.

그리고 본 실시예에 따른 옥외용 디스플레이 시스템(100)은 전방프레임(120) 및 후방프레임(190)을 구비하는데, 전방프레임(120) 및 후방프레임(190)은 상호 결합되어 그 내부에 밀폐된 공간을 형성하게 된다. 이와 같이, 옥외용 디스플레이 시스템(100)을 밀폐하여 수분 및 먼지 등의 유입을 차단함으로써 결로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outdoor display system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front frame 120 and a rear frame 190. The front frame 120 and the rear frame 190 are coupled to each other to form a space enclosed therein. To form. As such, condensation may be prevented by sealing the outdoor display system 100 to block inflow of moisture and dust.

전방투과부(130)는 강화 유리 등에 의해 형성되어서, 디스플레이 패널(140) 에서 재생되는 문자 또는 동영상 등을 외부에서도 볼 수 있게 한다. 전방투과부(130)는 전방프레임(120)에 형성된 개구부(122)를 통해서 외부로 노출되며, 외부의 이물질이 시스템(100)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고 디스플레이 패널(140)을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The front penetrating unit 130 is formed of tempered glass or the like, so that a character or a video played on the display panel 140 can be viewed from the outside. The front transmissive part 130 is expos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opening 122 formed in the front frame 120, and prevents foreign matter from entering the system 100 and protects the display panel 140. do.

전방투과부(130)의 전면(前面)에는 태양광에 의한 얼비침 현상을 제거하기 위해서 AG 코팅과 같은 난반사 코팅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전방투과부(130)의 배면(背面)에는 태양광(특히, 직사광선)에 의한 온도 상승을 방지하기 위해서 IR 코팅과 같은 단열코팅을 수행할 수 있다. A front surface of the front transparent portion 130 may be a diffuse reflection coating such as AG coating in order to remove the phenomenon caused by sunlight. In addition, an insulation coating such as an IR coating may be perform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front transmission part 130 in order to prevent temperature rise due to sunlight (particularly, direct sunlight).

전방투과부(130)는 디스플레이 패널(140)과 일정 간격 이격되어 위치하는데, 전방투과부(130) 및 디스플레이 패널(140) 사이에는 빈 공간인 간격부(135)가 형성되어 있다. 간격부(135)에는 상부팬(170) 및 하부팬(175)에 의해서 공기가 강제로 순환하게 된다. The front transparent part 130 is position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display panel 140 by a predetermined interval, and a gap 135, which is an empty space, is formed between the front transparent part 130 and the display panel 140. In the gap 135, air is forced to circulate by the upper fan 170 and the lower fan 175.

디스플레이 패널(140)은 간격부(135)를 사이에 두고 전방투과부(130)와 일정 간격 이격되어 위치하는 것으로, LCD 패널, PDP 패널, LED 패널, OLED 패널 등과 같은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일 수 있다. 이와 같은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140)은 직사광선을 받는 경우 화면에 블랙 아웃 현상이 발생할 수 있는데, 본 실시예에 따른 옥외용 디스플레이 시스템(100)에서는 간격부(135)에 냉각된 공기를 강제로 순환함으로써 블랙 아웃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The display panel 140 is position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front transparent part 130 with a gap 135 therebetween, and may be a flat panel display panel such as an LCD panel, a PDP panel, an LED panel, an OLED panel, and the like. When the flat panel display panel 140 receives direct sunlight, blackout may occur on the screen. In the outdoor display system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the flat display panel 140 may circulate black air by forcibly circulating the cooled air in the gap 135. Out phenomenon can be prevented.

간격부(135)는 전방투과부(130)의 후면과 디스플레이 패널(140)의 전면에 의해 규정되는 빈 공간에 해당한다. 간격부(135)의 하부에는 하부팬(175)이 구비되 어 있고 상부에는 상부팬(170)이 구비되어 있다. 하부팬(175)에 의해 냉각 또는 가열된 공기는 간격부(135)로 강제 유입된 후 상승하면서 디스플레이 패널(140)을 냉각 또는 가열한 후 상부팬(170)에 의해 외부로 방출된다. 간격부(135)에서 방출된 공기는 냉난방장치(180)에 의해 가열 또는 냉각된 후 다시 하부팬(175)에 의해 간격부(135)로 유입된다. The gap 135 corresponds to an empty space defined by the rear of the front transparent unit 130 and the front of the display panel 140. The lower portion of the gap 135 is provided with a lower fan 175 and the upper portion is provided with an upper fan 170. The air cooled or heated by the lower fan 175 is forced to flow into the gap 135 and then rises to cool or heat the display panel 140 and then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by the upper fan 170. The air discharged from the gap 135 is heated or cooled by the air conditioner 180, and then flows back into the gap 135 by the lower fan 175.

간격부(135)의 폭은 디스플레이 패널(140) 및 전방투과부(130)의 크기에 따라서 변경될 수 있는데, 일반적으로 2cm 이내일 수 있다. The width of the spacer 135 may be changed according to the sizes of the display panel 140 and the front transparent part 130, and may be generally within 2 cm.

하부팬(175)은 간격부(135)의 하부에 위치하면서 냉난방장치(180)에 의해 냉각 또는 가열된 공기를 간격부(135)로 강제 유입되게 한다. 하부팬(175)은 전방투과부(130) 및 디스플레이 패널(140)의 폭 방향으로 배열되어 있으며, 횡류팬(cross flow fan)으로 구성되어 간격부(135)로 공기를 유입되게 할 수 있다. The lower fan 175 is positioned below the gap 135 to force the air cooled or heated by the air conditioning unit 180 to the gap 135. The lower fan 175 is arranged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front transmissive part 130 and the display panel 140, and may be configured as a cross flow fan to allow air to flow into the gap 135.

디스플레이 패널(140)의 크기가 큰 경우, 복수 개의 횡류팬을 연결하여 하부팬(175)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하부팬(175)은 DC 모터에 의해 구동될 수 있는데, DC 모터는 모터 자체의 발열량이 적기 때문에 냉각 효율이 우수한 장점이 있다. 또한, 하부팬(175)에서 모터의 회전수는 디스플레이 패널(140)의 크기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는데, 적정한 냉각 효율을 얻기 위해서 4000rpm 이상으로 모터를 구동되게 할 수 있다. When the size of the display panel 140 is large, the lower fan 175 may be formed by connecting a plurality of cross flow fans. In addition, the lower fan 175 may be driven by the DC motor, the DC motor has an advantage of excellent cooling efficiency because the amount of heat generated by the motor itself is small. In addition, the number of revolutions of the motor in the lower fan 175 may vary depending on the size of the display panel 140, so that the motor can be driven at 4000 rpm or more in order to obtain an appropriate cooling efficiency.

상부팬(170)은 간격부(135)의 상부에 위치하면서 디스플레이 패널(140)에 의해 가열된 공기를 간격부(135) 외부로 배출하는 역할을 한다. 상부팬(170)은 전방투과부(130) 및 디스플레이 패널(140)의 폭 방향으로 배열되어 있으며, 횡류 팬(cross flow fan)으로 구성되어 간격부(135)로부터 공기를 배출할 수 있다. The upper fan 170 is positioned above the gap 135 to discharge air heated by the display panel 140 to the outside of the gap 135. The upper fan 170 is arranged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front transmissive part 130 and the display panel 140, and is configured as a cross flow fan to discharge air from the gap 135.

상부팬(170)도 하부팬(175)과 마찬가지로 복수 개의 횡류팬을 연결하여 구성할 수 있으며, DC 모터를 사용하여 모터 자체의 발열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Like the lower fan 175, the upper fan 170 may be configured by connecting a plurality of crossflow fans, and may reduce the amount of heat generated by the motor itself by using a DC motor.

공기유도부재(150)는 디스플레이 패널(140)의 후방에 위치하면서 옥외용 디스플레이 시스템(100)의 내부에서 공기의 흐름을 원활하게 하고, 옥외용 디스플레이 시스템(100)의 외부에서 디스플레이 패널(140)에 전달되는 열을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공기유도부재(150)는 전체적으로 오목한 형상을 가지고, 중앙의 수직부(156)와, 수직부의 양단부에서 일정한 경사각을 가지고 형성된 제2경사부(154)와, 제2경사부(154)의 양단부에서 일정한 경사각을 가지고 형성된 제1경사부(152)를 구비한다. The air induction member 150 is located at the rear of the display panel 140 to facilitate the flow of air in the interior of the outdoor display system 100, and is transferred to the display panel 140 from the outside of the outdoor display system 100. It serves to block the heat. The air induction member 150 has a concave shape as a whole, and has a vertical inclined portion 156 at the center, a second inclined portion 154 formed at a constant inclination angle at both ends of the vertical portion, and at both ends of the second inclined portion 154. The first inclined portion 152 is formed to have a predetermined inclination angle.

수직부(156)는 전방투과부(130) 또는 디스플레이 패널(140)과 평행하게 위치하는 것으로, 그 중앙에는 냉난방장치(180)가 삽입되는 삽입공(158)이 형성되어 있다. 삽입공(158)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난방장치(180)의 열전소자(182)와 접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열전소자(182)는 서로 다른 두 종류의 금속을 상호 접합함으로써 형성된 것인데, 삽입공(158)은 그 접합부분에 위치할 수 있다. The vertical portion 156 is positioned in parallel with the front transmissive portion 130 or the display panel 140, and an insertion hole 158 into which the cooling and heating device 180 is inserted is formed at the center thereof. Insertion hole 158, as shown in Figure 3, is in contact with the thermoelectric element 182 of the air-conditioning device 180. In general, the thermoelectric element 182 is formed by bonding two different types of metals to each other, and the insertion hole 158 may be located at the junction portion thereof.

제2경사부(154)는 수직부(156)의 양단부에서 상호 대칭되게 일정한 경사각을 가지고 형성된 부분이고, 제1경사부(152)는 제2경사부(154)의 양단부에서 상호 대칭되게 일정한 경사각을 가지고 형성된 부분이다. 제1경사부(152)의 경사각은 제2경사부(154)에 비해 더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제1경사부(152) 및 제2경사부(154)로 인해 공기유도부재(150)는 수직부(156)를 중심으로 오목한 형상을 갖게 된다. The second inclined portion 154 is a portion formed at both ends of the vertical portion 156 to have a predetermined inclined angle symmetrically, the first inclined portion 152 is a mutually symmetrical inclined angle at both ends of the second inclined portion 154 It is a part formed with. An inclination angle of the first inclined portion 152 may be larger than that of the second inclined portion 154. Due to the first inclined portion 152 and the second inclined portion 154, the air induction member 150 has a concave shape around the vertical portion 156.

제1경사부(152)의 단부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방프레임(190)과 접한다. 또한, 수직부(156), 제1경사부(152) 및 제2경사부(154)의 양 측단부는 후방프레임(190)과 접하게 된다. 따라서 공기유도부재(150)는, 옥외용 디스플레이 시스템(100)의 내부를 냉난방장치(180)에 의해 가열 및 냉각되는 부분과 그렇지 않는 부분으로 구분하게 된다. 그리고 공기유도부재(150)는 냉난방장치(180)에 의해 가열 및 냉각되어야 할 옥외용 디스플레이 시스템(100)의 부피를 줄여주기 때문에, 냉난방장치(180)에 의한 불필요한 에너지 소모를 막아지고 냉난방을 더욱 효율적으로 이루어지게 한다. An end of the first inclined portion 152 is in contact with the rear frame 190, as shown in FIG. In addition, both side ends of the vertical portion 156, the first slope portion 152, and the second slope portion 154 may be in contact with the rear frame 190. Therefore, the air induction member 150 divides the inside of the outdoor display system 100 into a part that is heated and cooled by the air conditioner 180 and a part that is not. In addition, since the air induction member 150 reduces the volume of the outdoor display system 100 to be heated and cooled by the air conditioner 180, it prevents unnecessary energy consumption by the air conditioner 180 and more efficiently heats and cools the air. To be done.

또한, 공기유도부재(150)는 상부팬(170)에 의해 배출된 공기가 냉난방장치(180)로 원활하게 유입되게 하고, 냉난방장치(180)에서 냉각 또는 가열된 공기가 하부팬(175)으로 원활하게 유입되게 하는 역할을 한다. In addition, the air induction member 150 allows the air discharged by the upper fan 170 to smoothly flow into the air conditioner 180, and the air cooled or heated in the air conditioner 180 to the lower fan 175. It plays a role of smooth inflow.

공기유도부재(150)는 금속 또는 플라스틱 수지에 의해 형성될 수 있는데, 전방 프레임(120) 또는 후방 프레임(190)을 통해 전달되는 외부의 열이 디스플레이 패널(140)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The air induction member 150 may be formed of a metal or plastic resin, and prevents external heat transmitted through the front frame 120 or the rear frame 190 from being transferred to the display panel 140. do.

냉난방장치(180)는 중심부에 위치하는 열전소자(182)와, 열전소자(182)를 중심으로 대칭으로 구비되는 한 쌍의 방열핀(186)과, 방열핀(186)의 일정 부위에 형성되는 송풍팬(184)을 구비한다. 냉난방장치(180)는, 옥외용 디스플레이 시스템(100)의 내부 공기가 일정치 이상 또는 이하가 되는 경우 작동하여 공기를 가열 또는 냉각하는 역할을 한다. The air conditioning unit 180 includes a thermoelectric element 182 positioned at a central portion thereof, a pair of heat dissipation fins 186 provided symmetrically with respect to the thermoelectric element 182, and a blowing fan formed at a predetermined portion of the heat dissipation fins 186. 184. The air conditioning unit 180 operates when the internal air of the outdoor display system 100 becomes above or below a predetermined value to serve to heat or cool the air.

열전소자(182)는 서로 다른 두 개의 금속을 접합하여 구성되는 것으로, 금 속에 인가하는 전류의 방향에 따라서 흡열 또는 발열 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일 방향으로 전류를 인가하면 열전소자(182)의 두 개의 금속 중 하나는 흡열하고 하나는 발열을 하여 옥외용 디스플레이 시스템(100) 내부의 온도를 상승시킨다. 그리고 흡열시와 반대 방향으로 전류를 인가하면 열전소자(182)의 두 개의 금속 중 하나는 흡열하고 하나는 발열을 하게 되어 옥외용 디스플레이 시스템(100) 내부의 온도를 낮추게 된다. The thermoelectric element 182 is formed by joining two different metals, and is configured to endothermic or generate heat depending on the direction of the current applied to the gold. For example, when a current is applied in one direction, one of two metals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 182 absorbs heat and one generates heat to increase the temperature inside the outdoor display system 100. When the current is applied in the opposite direction as the endothermic, one of the two metals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 182 is endothermic and one generates heat, thereby lowering the temperature inside the outdoor display system 100.

열전소자(182)의 양면에 부착되어 있는 방열핀(186)은 다수개의 핀(fin)들로 구성되어 있으며, 열전소자(182)의 방열 또는 흡열을 더욱 용이하게 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송풍팬(184)은 방열핀(186)에 부착되어 방열핀(186)을 통한 흡열 및 발열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한다. The heat dissipation fins 186 attached to both sides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 182 are composed of a plurality of fins, and serve to facilitate heat dissipation or heat absorption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 182. In addition, the blowing fan 184 is attached to the heat dissipation fins 186 so that the heat absorption and heat generation through the heat dissipation fins 186 may be efficiently performed.

전방프레임(120) 및 후방프레임(190)은 상호 결합하여 옥외용 디스플레이 시스템(100)의 외체를 형성하고, 그 내부를 밀폐하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옥외용 디스플레이 시스템(100)은 실외에서 사용하기 때문에, 먼지 또는 습기 등이 시스템(100)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시스템(100)의 내부로 유입된 습기 또는 먼지는 온도의 변화에 따라서 디스플레이 패널(140) 등에 영향을 미치게 되어 시안성 및 내구성을 약하게 한다. 특히, 시스템(100)의 내부에 습기가 유입되는 경우, 일교차 및 온도차에 의해서 결로 현상이 발생하여 이끼 또는 성에가 발생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옥외용 디스플레이 시스템(100)은 완전히 밀폐되어 습기 또는 먼지 등이 내부로 유입되지 않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front frame 120 and the rear frame 190 are coupled to each other to form an exterior of the outdoor display system 100 and to seal the inside thereof. Since the outdoor display system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used outdoors, dust or moisture may be introduced into the system 100. Moisture or dust introduced into the system 100 affects the display panel 140 and the like according to the change in temperature, thereby weakening cyaniness and durability. In particular, when moisture is introduced into the system 100, condensation may occur due to a crossover and a temperature difference, and moss or frost may occur. Therefore, it is preferable that the outdoor display system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completely sealed so that moisture or dust does not flow into the interior.

또한, 조립과정에서 내부로 습기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조립 후 시스템(100) 내부의 공기를 일정 부분 빼거나 또는 조립되는 환경의 습도를 40% 이내로 조절할 수 있다. In addition, in order to prevent moisture from entering the interior during the assembly process, the air inside the system 100 may be partially removed or the humidity of the assembled environment may be adjusted within 40%.

전방프레임(120)은 전면에 개구부(122)가 형성되어 있는데, 개구부(122)를 통해서 전방투광부(130)가 외부로 노출된다. 그리고 후방프레임(190)의 중앙에는 냉난방장치(180)가 삽입될 수 있는 장착홈(192)이 형성되어 있다. 장착홈(192)에는 냉난방장치(180)의 열전소자(182)가 위치하게 된다. 또한, 도 3에 예시된 바와 같이 장착홈(192)의 외면에는 방열핀(194)이 형성되어 있다. The front frame 120 has an opening 122 formed on its front surface, and the front light transmitting portion 130 is expos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opening 122. In the center of the rear frame 190, a mounting groove 192 into which the cooling and heating device 180 can be inserted is formed. In the mounting groove 192, the thermoelectric element 182 of the cooling and heating device 180 is located. In addition, as illustrated in FIG. 3, a heat dissipation fin 194 is form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mounting groove 192.

전방프레임(120) 및 후방프레임(190)의 소재는 일반 철판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공기유도부재(150)를 알루미늄 방열판으로 구성함으로써 가열 및 냉각효율을 극대화 할 수 있다. The material of the front frame 120 and the rear frame 190 may use a general steel plate, but is not limited thereto. In addition, by constituting the air induction member 150 with an aluminum heat sink, it is possible to maximize the heating and cooling efficiency.

이하에서는 도 4를 참고하면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옥외용 디스플레이 시스템(100)의 작동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outdoor display system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4.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옥외용 디스플레이 시스템(100)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에서 화살표는 공기의 흐름을 나타낸다. 4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n operating state of the outdoor display system 100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Arrows in FIG. 4 indicate the flow of air.

옥외용 디스플레이 시스템(100) 내부의 온도가 높은 경우 센서(도시하지 않음)가 이를 인식하고 제어부(도시하지 않음)의 제어신호에 의해 냉난방장치(180)가 작동된다. 이때 냉난방장치(180)는 냉각장치로서 작동하기 때문에 공기를 냉각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그리고 상부팬(170) 및 하부팬(175)이 작동하게 되어, 간격부(135)의 하부에서 상부 방향으로 공기를 강제로 순환시킨다. When the temperature inside the outdoor display system 100 is high, a sensor (not shown) recognizes this and the air conditioner 180 is operated by a control signal of a controller (not shown). At this time, since the air conditioner 180 operates as a cooling device, it serves to cool the air. In addition, the upper fan 170 and the lower fan 175 are operated to force air to be circulated upward from the lower portion of the gap 135.

냉난방장치(180)에 의해 냉각된 공기는 하부팬(175)에 의해서 간격부(135) 로 유입된다. 간격부(135)로 유입된 냉각 공기는 가열된 디스플레이 패널(140)을 냉각한 후 상승하여 상부팬(170)에 의해 간격부(135)에서 빠져나가게 된다. 간격부(135)에서 배출된 공기는 공기유도부재(150)의 제1경사부(152)및 제2경사부(154)를 따라 이동하면서 냉난방장치(180)로 다시 유입된다. 그리고 냉난방장치(180)는 간격부(135)를 통과하면서 가열된 공기를 재냉각하고, 재냉각된 공기는 하부팬(175)에 의해 간격부(135)로 재유입되는 과정을 반복하게 된다. The air cooled by the air conditioning unit 180 is introduced into the gap 135 by the lower fan 175. Cooling air introduced into the gap 135 is raised after cooling the heated display panel 140, and then exits from the gap 135 by the upper fan 170. The air discharged from the spacer 135 flows along the first inclined portion 152 and the second inclined portion 154 of the air guide member 150 and flows back into the heating and cooling device 180. In addition, the air conditioning unit 180 recools the heated air while passing through the gap unit 135, and the recooled air is re-introduced into the gap unit 135 by the lower fan 175.

옥외용 디스플레이 시스템(100) 내부의 온도가 낮은 경우, 센서가 이를 인식하고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의해 냉난방장치(180)가 히터로서 작동한다. 냉난방장치(180)에 의해 가열된 공기는 하부팬(175)에 의해서 간격부(135)로 유입된다. 간격부(135)로 유입된 가열 공기는 디스플레이 패널(140)을 가열한 후 상승하여 상부팬(170)에 의해 간격부(135)에서 배출된다. 간격부(135)에서 배출된 공기는 공기유도부재(150)의 제1경사부(152) 및 제2경사부(154)를 따라 이동하면서 냉난방장치(180)로 다시 유입된다. 그리고 냉난방장치(180)는 간격부(135)를 통과하면서 냉각된 공기를 재가열하고, 재가열된 공기는 하부팬(175)에 의해 간격부(135)로 재유입되는 과정을 반복하게 된다. When the temperature inside the outdoor display system 100 is low, the sensor recognizes this and the air conditioner 180 operates as a heater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of the controller. Air heated by the air conditioner 180 is introduced into the gap 135 by the lower fan 175. The heated air introduced into the gap 135 is heated after heating the display panel 140 and discharged from the gap 135 by the upper fan 170. The air discharged from the spacer 135 flows along the first inclined portion 152 and the second inclined portion 154 of the air guide member 150 and flows back into the heating and cooling device 180. The air conditioning unit 180 reheats the cooled air while passing through the gap unit 135, and the reheated air is reintroduced into the gap unit 135 by the lower fan 175.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옥외용 디스플레이 시스템(100)은 직사광선 등에 의한 디스플레이 패널(140)의 블랙 아웃 현상을, 전방투광부(130) 및 디스플레이 패널(140) 사이에 형성된 빈 공간인 간격부(135)에 공기를 강제로 순환하여 디스플레이 패널(140)을 냉각함으로써 해결하였다. As described above, the outdoor display system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may detect a blackout phenomenon of the display panel 140 due to direct sunlight or the like, and the gap 135 which is an empty space formed between the front light transmitting unit 130 and the display panel 140. This is solved by forcibly circulating air in the air) to cool the display panel 140.

이하에서는 도 5를 참고하면서, 공기유도부재의 다른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 하기로 한다. 도 5는 공기유도부재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면도이다. Hereinafter, another embodiment of the air induction member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5. 5 is a cross-sectional view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air induction member.

도 5를 참고하면, 공기유도부재(160)는 위에서 설명한 공기유도부재(150)와는 달리 곡선 형상을 갖는 곡선부(162)를 갖고, 전체적으로 대칭되는 형상을 갖는다. 그리고 중앙에는 냉난방장치(180)가 삽입될 수 있는 장착홈(192)이 형성되어 있다. 곡선부(162)는 상부팬(170)에 의해 간격부(135)로부터 배출된 공기를 냉난방장치(180)로 유도하거나, 냉난방장치(180)에 의해 가열 또는 냉각된 공기를 유도하여 하부팬(175)으로 유입되게 한다. Referring to FIG. 5, the air induction member 160 has a curved portion 162 having a curved shape unlike the air induction member 150 described above, and has an overall symmetrical shape. And in the center is formed a mounting groove 192 into which the cooling and heating device 180 can be inserted. The curved portion 162 guides the air discharged from the gap 135 by the upper fan 170 to the air conditioner 180, or induces air heated or cooled by the air conditioner 180 to lower the fan ( 175).

본 발명에 따른 옥외용 디스플레이 시스템(100)에서 공기유도부재는 위에서 설명한 것 이외에 다양한 구성을 가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예를 들어, 공기 유도부재는 단면이 호 형상을 갖고 오목하게 형성될 수도 있다.In the outdoor display system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air induction member may have various configurations in addition to those described above. For example, the air guide member may have an arc shape in cross section and may be concave.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Although the above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et forth in the claims below It will be appreciated that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옥외용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outdoor display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옥외용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분해 사시도이다.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n outdoor display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도 2에 예시된 옥외용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단면도이다.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outdoor display system illustrated in FIG. 2.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옥외용 디스플레이 시스템 내부에서 공기의 흐름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flow of air in the outdoor display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공기유도부재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면도이다. 5 is a cross-sectional view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air induction member.

Claims (12)

삭제delete 삭제delete 전방투과부;Front transmissive unit; 상기 전방투과부와 일정 간격 이격되어 위치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A display panel spaced apart from the front transparent portion at a predetermined interval; 상기 전방투과부 및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 사이에 형성된 빈 공간인 간격부;A spacing portion that is an empty space formed between the front transmissive portion and the display panel; 공기를 냉각 또는 가열할 수 있는 냉난방장치;A heating and cooling device capable of cooling or heating the air; 상기 간격부의 하부에 위치하면서 상기 냉난방장치에 의해 가열 또는 냉각된 공기를 상기 간격부로 유입되게 하는 하부팬; 및A lower fan positioned below the gap and allowing air heated or cooled by the air conditioning unit to flow into the gap; And 상기 간격부의 상부에 위치하면서 상기 하부팬에 의해 상기 간격부로 유입된 공기를 상기 간격부로부터 배출하는 상부팬을 포함하되,Located in the upper portion of the gap portion and includes an upper fan for discharging the air introduced into the gap portion by the lower fan from the gap portion, 상기 냉난방장치가 삽입되고, 양단부가 상기 상부팬 및 상기 하부팬 방향으로 돌출되어서 공기의 흐름을 유도하는 공기유도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옥외용 디스플레이 시스템.The air-conditioning device is inserted, the outdoor display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n air induction member protruding in the air flows in the direction of the upper fan and the lower fan in both directions. 제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상기 공기유도부재는 상기 냉난방장치가 장착되는 삽입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옥외용 디스플레이 시스템.The air guide member is an outdoor display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n insertion hole in which the air-conditioning device is mounted. 제4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공기유도부재는 상기 삽입공이 형성된 수직부와, 상기 수직부의 양단부에서 경사지게 형성된 제2경사부와, 상기 제2경사부의 단부에서 경사지게 형성된 제1경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옥외용 디스플레이 시스템.The air guide member includes a vertical portion having the insertion hole formed therein, a second inclined portion formed obliquely at both ends of the vertical portion, and a first inclined portion formed obliquely at the end of the second inclined portion. 제4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냉난방장치는 열전소자를 포함하고, 상기 삽입공은 상기 열전소자와 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옥외용 디스플레이 시스템.The air-conditioning device includes a thermoelectric element, the insertion hole is an outdoor display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tact with the thermoelectric element. 제4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공기유도부재는 상기 삽입공이 형성된 수직부와, 상기 수직부의 양단부에서 형성된 곡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옥외용 디스플레이 시스템.The air guide member includes a vertical portion in which the insertion hole is formed, and a curved portion formed at both ends of the vertical portion. 제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상기 팬은 상기 간격부의 폭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옥외용 디스플레이 시스템.And the fan is disposed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gap. 제8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8, 상기 팬은 횡류팬(cross flow fan)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옥외용 디스플레이 시스템.And the fan is a cross flow fan. 제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상기 전방투과부의 전면은 난반사 코팅이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옥외용 디스플레이 시스템.Outdoor front display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front of the front transmission portion is a diffuse reflection coating. 제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상기 전방투과부의 배면은 단열코팅이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옥외용 디스플레이 시스템.The rear surface of the front transmission portion is an outdoor display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insulating coating. 제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 및 상기 냉난방장치를 수용하고 외체를 형성하는 전방 프레임 및 후방프레임을 포함하고,A front frame and a rear frame which accommodate the display panel and the air-conditioning device and form an outer body; 상기 공기유도부재는 상기 전방프레임 및 상기 후방프레임과 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옥외용 디스플레이 시스템.The air guide member is in contact with the front frame and the rear frame, characterized in that the outdoor display.
KR1020090080424A 2009-02-18 2009-08-28 Outdoor display system KR100954514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3265 2009-02-18
KR1020090013265A KR20090026788A (en) 2008-03-19 2009-02-18 Perfect outdoor lcd monitor system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54514B1 true KR100954514B1 (en) 2010-04-28

Family

ID=422722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80424A KR100954514B1 (en) 2009-02-18 2009-08-28 Outdoor display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54514B1 (e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3148B1 (en) 2013-04-09 2015-02-16 주식회사 엠티씨엔씨 Display device for providing information
KR20150139215A (en) * 2014-06-03 2015-12-11 김기복 Display Apparatus for Outdoor Advertisement with Heating Function
KR20190012665A (en) * 2017-07-28 2019-02-11 엘지전자 주식회사 A Cooler for Display Device
KR20190104977A (en) * 2019-09-04 2019-09-11 엘지전자 주식회사 A Cooler for Display Devic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32480A (en) * 2004-10-12 2006-04-17 삼성전자주식회사 Display device for outdoors
KR20060033669A (en) * 2004-10-15 2006-04-19 엘지전자 주식회사 Liquid crystal display having back light unit
JP2006163217A (en) * 2004-12-10 2006-06-22 Mitsubishi Electric Corp Outdoor display device
KR20080005024A (en) * 2006-07-07 2008-01-10 주식회사 지에스티 Display devic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32480A (en) * 2004-10-12 2006-04-17 삼성전자주식회사 Display device for outdoors
KR20060033669A (en) * 2004-10-15 2006-04-19 엘지전자 주식회사 Liquid crystal display having back light unit
JP2006163217A (en) * 2004-12-10 2006-06-22 Mitsubishi Electric Corp Outdoor display device
KR20080005024A (en) * 2006-07-07 2008-01-10 주식회사 지에스티 Display device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3148B1 (en) 2013-04-09 2015-02-16 주식회사 엠티씨엔씨 Display device for providing information
KR20150139215A (en) * 2014-06-03 2015-12-11 김기복 Display Apparatus for Outdoor Advertisement with Heating Function
KR101711401B1 (en) * 2014-06-03 2017-03-02 김기복 Display Apparatus for Outdoor Advertisement with Heating Function
KR20190012665A (en) * 2017-07-28 2019-02-11 엘지전자 주식회사 A Cooler for Display Device
KR20190104977A (en) * 2019-09-04 2019-09-11 엘지전자 주식회사 A Cooler for Display Device
KR102186603B1 (en) 2019-09-04 2020-12-03 엘지전자 주식회사 A Cooler for Display Devi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00367391A1 (en) Isolated gas cooling system for cooling electrical components of an electronic display
US9629287B2 (en) System for using constricted convection with closed loop cooling system as the convection plate
US8767165B2 (en) Isolated gas cooling system for an electronic display
EP2225603B1 (en) System and method for thermally controlling an electronic display
CN110431925B (en) Display device
EP3631571B1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101791914B1 (en) Display apparatus
KR102094887B1 (en) Digital signage and driving method therof
KR101670985B1 (en) Display Apparatus
CA2915261C (en) System and method for thermally controlling an electronic display
US20090128729A1 (en) Air curtain for display
KR101153923B1 (en) Outdoor display system
KR100954514B1 (en) Outdoor display system
KR101243112B1 (en) Heat dissipation construction for indoor-outdoor LCD sign board
KR101179041B1 (en) LCD and LED display board applying air conditoning system with cooling module
KR100953213B1 (en) Outdoor display enclosure
CN200993346Y (en) Backlight source radiating module for planar display device
JP2001228543A (en) Housing for video equipment
CN110780518A (en) Projector with a light source
CN215376062U (en) High-efficient radiating projecting apparatus
KR100937630B1 (en) Lcd monitor system having radiator
KR20100096635A (en) Outdoor advertising apparatus capable of control of temperature and humidity by thermoelectric element
US20230200031A1 (en) Electronic display assembly with thermal management
CN110716375A (en) Projector with high heat dissipation capability screen frame
JP2020122885A (en) Camera hous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