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54336B1 - 백라이트 유닛 - Google Patents

백라이트 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54336B1
KR100954336B1 KR1020060060527A KR20060060527A KR100954336B1 KR 100954336 B1 KR100954336 B1 KR 100954336B1 KR 1020060060527 A KR1020060060527 A KR 1020060060527A KR 20060060527 A KR20060060527 A KR 20060060527A KR 100954336 B1 KR100954336 B1 KR 1009543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emitting
common electrode
backlight unit
emitting lamps
lam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605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02001A (ko
Inventor
장은석
허동임
김경섭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605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54336B1/ko
Priority to US11/639,304 priority patent/US7744240B2/en
Publication of KR200800020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20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543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543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5/00Details relating to vessels or to leading-in conductors common to two or more basic types of discharge tubes or lamps
    • H01J5/50Means forming part of the tube or lamps for the purpose of providing electrical connection to it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G02F1/133602Direct backlight
    • G02F1/133604Direct backlight with lamp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G02F1/133602Direct backlight
    • G02F1/133608Direct backlight including particular frames or supporting mea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2201/00Constructional 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2F1/00 - G02F7/00
    • G02F2201/50Protective arrangements
    • G02F2201/505Arrangements improving the resistance to acoustic resonance like noise

Abstract

본 발명은 외부전극 발광램프를 구비한 백라이트 유닛의 디밍 조절시 발생하는 허밍 노이즈(humming noise)를 감소시키기에 알맞은 백라이트 유닛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백라이트 유닛은 커버 바텀 상부에 일정 간격으로 배열된 복수개의 발광 램프들과; 상기 발광 램프들 사이에 대응되는 영역에 홈을 갖고, 상기 발광 램프 양단에 일방향으로 형성된 제 1, 제 2 하부 기구물과; 상기 홈을 포함한 상기 제 1, 제 2 하부 기구물 상부에 형성된 흡음패드와; 상기 흡음 패드를 포함한 상기 제 1, 제 2 하부 기구물 상부에 일방향으로 형성된 공통전극과; 상기 제 1, 제 2 하부 기구물의 홈에 대응되는 상부에 복수개의 립(rib)을 구비하여 일방향으로 구성된 제 1, 제 2 상부 기구물을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그 특징이 있다.
발광램프, 공통전극, 허밍 노이즈, 디밍(dimming)

Description

백라이트 유닛{backlight unit}
도 1은 종래의 직하방식 백라이트 유닛의 구조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을 적용하기 위한 백라이트 유닛의 부분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상부 기구물의 내부를 보인 부분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을 적용하기 위한 백라이트 유닛의 구조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의 부분 사시도
도 6은 도 5의 상부 기구물의 내부를 보인 부분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의 구조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의 구조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60 : 커버 바텀 51, 81 : 발광 램프
50a : 제 1 외부전극 53, 83 : 공통전극
54a, 84a : 제 1 하부 기구물 55a, 85a : 제 1 상부 기구물
56, 86 : 립(rib) 57, 87 : 체결부
58a, 58b : 제 1, 제 2 공통전극라인 59 : 스토퍼
61 : 홈 62 : 흡음 패드
본 발명은 백라이트 유닛에 대한 것으로, 특히 외부전극 발광램프를 구비한 백라이트 유닛의 디밍 조절시 발생하는 허밍 노이즈(humming noise)를 감소시키기에 알맞은 백라이트 유닛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표시장치들 중의 하나인 CRT(Cathode Ray Tube)는 TV를 비롯해서 계측기기, 정보 단말기기 등의 모니터에 주로 이용되고 있으나, CRT의 자체 무게와 크기로 인해 전자 제품의 소형화, 경량화의 요구에 적극적으로 대응할 수 없었다.
따라서 각종 전자제품의 소형, 경량화 되는 추세에서 CRT는 무게나 크기등에 있어서 일정한 한계를 가지고 있으며 이를 대체할 것으로 예상되는 것으로 전계 광학적인 효과를 이용한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LCD), 가스방전을 이용한 플라즈마 표시소자(PDP : Plasma Display Panel) 및 전계 발광 효과를 이용한 EL 표시소자(ELD : Electro Luminescence Display) 등이 있으며, 그 중에서 액정표시소자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CRT를 대체하기 위해서 소형, 경량화 및 저소비전력 등의 장점을 갖는 액정표시장치가 활발하게 개발되어 왔고, 최근에는 평판 표시장치로서의 역할을 충분히 수행할 수 있을 정도로 개발되어 랩탑형 컴퓨터의 모니터뿐만 아니라 데스크탑형 컴퓨터의 모니터 및 대형 정보 표시장치등에 사용되고 있어 액정표시장치의 수요는 계속적으로 증가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와 같은 액정표시장치의 대부분은 외부에서 들어오는 광의 양을 조절하여 화상을 표시하는 수광성 장치이기 때문에 LCD 패널에 광을 조사하기 위한 별도의 광원 즉, 백라이트 유닛(Back Light Unit)이 반드시 필요하다.
일반적으로, 액정표시장치의 광원으로 사용되는 백라이트 유닛은 원통형의 발광 램프를 배치하는 방식으로서, 에지방식과 직하 방식으로 구분된다.
이중 에지방식은 빛을 안내하는 도광판의 측면에 램프 유닛이 설치되는 것으로써, 램프 유닛은 빛을 발산하는 램프, 램프의 양단에 삽입되어 램프를 보호하는 램프 홀더 및 램프의 외주면을 감싸고 일측면이 도광판의 측면에 끼워져 램프에서 발산된 빛을 도광판 쪽으로 반사시켜 주는 램프 반사판을 구비한다.
이와 같이 도광판의 측면에 램프 유닛이 설치되는 에지방식은 주로 랩탑형 컴퓨터 및 데스크탑형 컴퓨터의 모니터와 같이 비교적 크기가 작은 액정표시장치에 적용되는 것으로, 빛의 균일성이 좋고, 내구 수명이 길며, 액정표시장치의 박형화에 유리하다.
한편, 직하방식은 액정표시장치의 크기가 20인치 이상으로 대형화되기 시작하면서 중점적으로 개발되기 시작한 것으로, 확산판의 하부면에 복수개의 램프를 일렬로 배열시켜 LCD 패널의 전면으로 빛을 직접 조광하는 것이다.
이러한, 직하방식은 에지방식에 비해 광의 이용 효율이 높기 때문에 고휘도를 요구하는 대화면 액정표시장치에 주로 사용된다.
하지만, 직하방식이 채택된 액정표시장치의 경우는 대형 모니터나 텔레비전등으로 사용되어 랩탑형 컴퓨터에 비해 사용하는 시간이 길어지고, 램프의 개수도 많기 때문에 에지방식의 액정표시장치보다 직하방식의 액정표시장치에서 램프의 고장 및 수명이 다하여 점등이 되지 않는 램프가 나타날 가능성이 더 많아졌다.
또한, 도광판의 폭방향 양측면에 램프 유닛이 설치되는 에지방식의 경우 램프의 수명 및 고장으로 인해 예를 들어, 한 개의 램프가 점등되지 않을 경우 화면상의 휘도만 저하될 뿐 별무리는 없다. 그러나 직하방식에서는 화면 밑면에 램프들이 복수개 설치되기 때문에 램프의 수명 및 고장으로 인해 예를 들어, 한 개의 램프가 점등되지 않을 경우 램프가 점등되지 않은 부분이 다른 부분보다 현저하게 어두워지므로 램프가 점등되지 않는 부분이 화면상에 곧바로 나타나게 된다.
이로 인해, 직하방식의 액정표시장치에서는 램프의 교체가 빈번하게 이루어지므로, 직하방식의 액정표시장치는 램프 유닛을 분해하고 조립하는데 용이한 구조를 가져야 한다.
이하, 종래 기술에 따른 직하방식 백라이트 유닛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종래의 직하방식 백라이트 유닛의 구조 사시도이다.
종래의 백라이트 유닛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커버 바텀(15) 상부에 관 외부의 양단에 외부전극(10a, 10b)을 갖고 일정 간격을 갖고 배열된 복수개의 발광 램프(11)들과; 상기 발광 램프(11) 양단의 전극(10a, 10b)에 전압을 인가하며 상기 발광 램프(11)를 고정시키기 위해 그리퍼형(gripper type)으로 형성된 공통전극(13)과; 상기 공통전극(13)을 안착하기 위해 상기 발광 램프(11)들의 양단 하부에 일방향으로 형성된 제 1, 제 2 서포터 사이드 바텀(14a, 14b)으로 구성된다.
상기에서 공통전극(13)은 복수개의 발광 램프(11)들의 양단에 동일 전압을 인가할 수 있도록 일체형으로 일방향으로 배열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관 외부 양단에 외부전극(10a,10b)을 갖는 발광램프(11)들은, 공통전극(13)을 통해서 동시에 전압을 인가 받는 것으로 램프를 개별적으로 컨트롤할 수 없고, 동시에 컨트롤해야 한다.
이와 같은 외부전극 발광램프를 구비한 백라이트 유닛은, CR 개선 및 휘도 가변을 목적으로 버스트 모드 인버터를 적용하여 디밍(dimming)을 조절한다.
상기 디밍 조절은 대략 150∼240Hz를 주기로 발광램프를 끄고, 키는 동작을 반복하는 것으로, 이와 같은 주파수를 주기로 공통전극(13)에 교류 전원을 인가하는 동작을 반복하여 진행하면, 발광램프 자체 뿐만 아니라, 전원을 인가받는 공통전극에도 진동이 발생한다.
사람이 인지할 수 있는 주파수가 대략 20Hz∼20000Hz이므로, 상기와 같은 주파수를 주기로 공통전극에 전압을 인가하여 진동이 발생하면, 사람이 인지할 수 있는 허밍 노이즈가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외부전극 발광램프를 구비한 백라이트 유닛의 디밍 조절시 발생하는 허밍 노이즈(humming noise)를 감소시키기에 알맞은 백라이트 유닛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은 커버 바 텀 상부에 일정 간격으로 배열된 복수개의 발광 램프들과; 상기 발광 램프들 사이에 대응되는 영역에 홈을 갖고, 상기 발광 램프 양단에 일방향으로 형성된 제 1, 제 2 하부 기구물과; 상기 홈을 포함한 상기 제 1, 제 2 하부 기구물 상부에 형성된 흡음패드와; 상기 흡음 패드를 포함한 상기 제 1, 제 2 하부 기구물 상부에 일방향으로 형성된 공통전극과; 상기 제 1, 제 2 하부 기구물의 홈에 대응되는 상부에 복수개의 립(rib)을 구비하여 일방향으로 구성된 제 1, 제 2 상부 기구물을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그 특징이 있다.
상기 발광램프는 관의 양단에 제 1, 제 2 외부전극을 갖는 외부전극 발광램프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립의 높이는 각 제 1, 제 2 상, 하부 기구물 사이의 간격 이상이 되게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흡음 패드는 난연등급(UL94 V2)을 취득한 패드를 사용하는데, 예를 들어 실리콘 패드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공통전극은 상기 각 발광램프 양단을 구속하기 위해 서로 이격되어 형성된 그리퍼형의 복수개의 체결부들과, 상기 체결부들을 연결하기 위해 상기 체결부 양측에 형성된 제 1, 제 2 공통전극라인과, 상기 발광램프 조립시 상기 발광램프의 좌우 치우침을 방지하기 위해서 상기 각 발광램프의 끝단이 안착되는 상기 제 2 공통전극라인의 끝단에 형성된 스토퍼(stopper)와, 스크루가 체결될 부분에 형성된 복수개의 홀들로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은 커버 바텀 상부에 일정 간격 으로 배열된 복수개의 발광 램프들과; 상기 발광 램프 양단 하부를 따라 일방향으로 형성된 제 1, 제 2 하부 기구물과; 상기 발광램프들 사이에 대응되는 부분에 돌출부를 갖도록 상기 제 1, 제 2 하부 기구물 상부에 일방향으로 형성된 공통전극과; 상기 공통전극의 돌출부에 대응되는 영역에 벤딩된 복수개의 립(rib)을 구비하여 일방향으로 구성된 제 1, 제 2 상부 기구물을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그 특징이 있다.
상기 립(rib)의 벤딩부는 상기 공통전극의 돌출된 부분과 접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립의 높이는 상기 제 1, 제 2 상부 기구물 상단과 상기 공통전극의 돌출부 사이의 길이보다 길게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성을 설명하기에 앞서서, 본 발명에 적용하기 위한, 허밍 노이즈 방지를 위한 백라이트 유닛에 대하여 간략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을 적용하기 위한 백라이트 유닛의 부분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상부 기구물의 내부를 보인 부분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을 적용하기 위한 백라이트 유닛의 구조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적용하기 위한 백라이트 유닛은, 도 2, 도 3,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커버 바텀(30) 상부에 관의 양단에 제 1 외부전극(20a)과 제 2 외부전극(미도시)을 갖고 일정 간격으로 배열된 복수개의 발광 램프(21)들과, 상기 발광 램프(21) 양단의 제 1, 제 2 외부전극에 전압을 인가하고 상기 발광 램프(21)를 고정시키기 위해 그리퍼형(gripper type)으로 형성된 체결부(27)를 구비한 공통전 극(23)과, 상기 공통전극(23)을 안착하기 위해 상기 발광 램프(21)들의 양단 하부에 일방향으로 형성된 제 1 하부 기구물(24a) 및 제 2 하부 기구물(미도시)과, 상기 제 1, 제 2 하부 기구물에 대응되는 상부에서 상기 공통전극(23)을 고정시켜 주기 위한 복수개의 립(rib)(26)이 구비된 제 1 상부 기구물(25a) 및 제 2 상부 기구물(미도시)로 구성된다.
이때, 제 1 하부 기구물(24a) 및 제 2 하부 기구물에는 발광램프(21)가 배열된 사이에 각각 홈(31)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공통전극(23)은 홈(31)을 포함한 상기 제 1 하부 기구물(24a) 및 제 2 하부 기구물의 상부에 일방향으로 안착되어 있다.
그리고, 제 1 상부 기구물(25a) 및 제 2 상부 기구물의 내부에 구성된 립(rib)(26)의 길이는 상,하부 기구물 사이의 간격보다 크게 구성되어 있고, 립(26)은 상기 홈(31)에 대응되는 부분에 구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제 1 상부 기구물(25a) 및 제 2 상부 기구물을 제 1 하부 기구물(24a) 및 제 2 하부 기구물의 상부에 체결시키면,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1 상부 기구물(25a) 및 제 2 상부 기구물의 립(rib)(26)이 제 1 하부 기구물(24a) 및 제 2 하부 기구물의 홈(31) 상부에 배치된 공통전극(23)을 상부에서 강제로 누르면서 공통전극(23)을 고정시킨다. 이에 의해서 공통전극(23)이 홈(31) 내부로 휘어 들어가게 된다.
상기에서와 같이, 상기의 백라이트 유닛은 제 1 상부 기구물(25a) 및 제 2 상부 기구물의 내부에 구성된 립(rib)(26)을 이용하여 공통전극(23)을 상부에서 강 제로 눌러줌에 의해서, 디밍 조절을 위한 전원 인가시에 제 1, 제 2 하부 기구물 및 공통전극에서 발생하는 진동을 감소시켰다.
그러나, 립(rib)을 이용하여 공통전극을 눌러주는 상기의 구성으로도 제 1, 제 2 하부 기구물 및 공통전극에서 발생하는 진동에 의한 허밍 노이즈를 감소시키는데는 한계가 있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허밍 노이즈를 좀 더 효과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는 구성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의 부분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상부 기구물의 내부를 보인 부분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의 구조 단면도이다.
먼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은, 도 5, 도 6 및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커버 바텀(60) 상부에 관의 양단에 제 1 외부전극(50a)과 제 2 외부전극(미도시)을 갖고 일정 간격으로 배열된 복수개의 발광 램프(51)들과, 상기 발광 램프(51) 양단의 제 1 외부전극(50a)과 제 2 외부전극에 전압을 인가하고 상기 발광 램프(51)를 고정시키기 위해 그리퍼형(gripper type)으로 형성된 체결부(57)를 구비한 공통전극(53)과, 상기 공통전극(53)을 안착하기 위해 상기 발광 램프(51)들의 양단 하부에 일방향으로 형성된 제 1 하부 기구물(54a) 및 제 2 하부 기구물(미도시)과, 상기 제 1 하부 기구물(54a) 및 제 2 하부 기구물에 대응되는 상부에 구성된 제 1 상부 기구물(55a) 및 제 2 상부 기구물(미도시)로 구성된다.
이때, 제 1 하부 기구물(54a) 및 제 2 하부 기구물에는 발광램프(51)가 배열된 사이에 각각 홈(61)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홈(61)을 매우도록 상기 제 1 하부 기구물(54a) 및 제 2 하부 기구물의 상부에 일방향으로 흡음 패드(62)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공통전극(53)은 상기 제 1 하부 기구물(54a) 및 제 2 하부 기구물의 상부에 형성된 흡음 패드(62)의 상부에 일방향으로 안착되어 있다.
이때, 상기 제 1 상부 기구물(55a) 및 제 2 상부 기구물의 내부에는 상기 공통전극(53) 및 발광 램프(51)를 고정시켜 주기 위해서 복수개의 립(rib)(56)이 구비되어 있는데, 상기 립(rib)(56)은 제 1 하부 기구물(54a) 및 제 2 하부 기구물에 형성된 홈(61)에 대응되는 부분에 구성되어 있고, 그 높이는 각 제 1, 제 2 상, 하부 기구물 사이 간격보다 길게 구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제 1, 제 2 상부 기구물을 제 1, 제 2 하부 기구물의 상부에 체결시키면,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1 상부 기구물(55a) 및 제 2 상부 기구물(미도시)의 립(rib)(56)이 흡음 패드(62) 상부에 배치된 공통전극(53)을 상부에서 강제로 누름에 의해서 공통전극(53)이 고정된다.
이와 같이 제 1, 제 2 하부 기구물 상에 흡음 패드(62)가 구비되면 상부에서 제 1, 제 2 상부 기구물이 공통전극(53)을 눌러서 공통전극(53)이 홈(61) 내부로 휘어 들어가더라도 흡음 패드(62)가 큐션 역할을 하기 때문에, 디밍 조절을 위한 전원 인가시에 제 1, 제 2 하부 기구물 및 공통전극(53)에서 발생하는 진동을 흡수 하여 허밍 노이즈를 감소시키게 된다.
상기에서 흡음 패드(62)는 공통전극(53) 하측이 고압부이므로, 필히 난연등급(UL94 V2)을 취득한 패드를 사용하여야 한다.
예를 들면, 상기 흡음 패드(62)는 실리콘 패드로 구성할 수 있다.
참고로, 상기 공통전극(53)을 부연 설명하면, 각 발광램프(51) 양단의 제 1, 제 2 외부전극들을 구속하기 위해 슬릿(slit)을 갖고 서로 이격되어 형성된 복수개의 체결부(57)들과, 상기 체결부(57)들을 연결하기 위해 체결부(57) 양측에 형성된 제 1, 제 2 공통전극라인(58a,58b)과, 램프 조립시 상기 발광램프(51)의 좌우 치우침을 방지하기 위해서 각 발광램프(51)의 끝단이 안착되는 바깥쪽의 공통전극라인의 끝단에 세로 방향으로 세워져서 형성된 스토퍼(stopper)(59)와, 공통전극을 제 1, 제 2 하부 기구물에 고정시키기 위한 스크루가 체결될 부분에 형성된 복수개의 홀(hole)들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에서 체결부(57)는 그리퍼형(gripper type)으로 발광 램프(51)를 감싸도록 형성되며, 중간에 2개 이상의 슬릿(slit)이 형성되어 있어서 단일판으로 구성된 것보다 가공 공차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발광 램프(51)와의 접촉 불량을 감소시킬 수고, 또한 발광 램프(51)와의 접촉 면적을 극대화하여 전기적인 연속성/전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발광 램프(51)의 상측에는 액정 패널의 표시면에 균일한 광원 분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상기 발광 램프(51)에서 발광된 광을 산란시키는 확산 시트(Diffusion sheet) 및 확산 플레이트(Diffusion plate)와 같은 광 산란수단이 더 배치된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의 구조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은,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커버 바텀(미도시) 상부에 관의 양단에 제 1, 제 2 외부전극을 갖고 일정 간격으로 배열된 복수개의 발광 램프(81)들과, 상기 발광 램프(81) 양단의 제 1, 제 2 외부전극에 전압을 인가하고 상기 발광 램프(81)를 고정시키기 위해 그리퍼형(gripper type)으로 형성된 체결부(87)를 구비한 공통전극(83)과, 상기 공통전극(83)을 안착하기 위해 상기 발광 램프(81)들의 양단 하부에 일방향으로 형성된 제 1 하부 기구물(84a) 및 제 2 하부 기구물(미도시)과, 상기 제 1 하부 기구물(84a) 및 제 2 하부 기구물에 대응되는 상부에 구성된 제 1 상부 기구물(85a) 및 제 2 상부 기구물(미도시)로 구성된다.
상기에서 공통전극(83)은 상기 제 1 하부 기구물(84a) 및 제 2 하부 기구물의 상부에 일방향으로 구성되는데, 이때 발광램프(81)들 사이에 대응되는 영역이 상부로 돌출되도록 굴곡을 갖고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상부 기구물(85a) 및 제 2 상부 기구물의 내부에는 상기 공통전극(83)을 고정시켜 주기 위해서 복수개의 립(rib)(86)이 구비되어 있는데, 상기 립(rib)(86)은 공통전극(83)의 돌출된 부분에 대응되는 부분과 맞닫도록 벤딩되어 구성되어 있다. 이때 립(86)을 벤딩하여 구성하는 이유는 공통전극(83)과의 접촉 면적을 더 넓게 하여 차후에 진동 흡수를 더 잘시키기 위해서 이며, 상기 립(86)의 높이는 제 1, 제 2 상부 기구물 상단과 공통전극(83)의 돌출부 사이의 간격보다 길게 구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제 1, 제 2 상부 기구물을 제 1, 제 2 하부 기구물의 상부에 체결시키면,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1 상부 기구물(85a) 및 제 2 상부 기구물의 벤딩된 립(rib)(86)이 공통전극(83)의 돌출된 부분과 접촉하여 공통전극(83)을 상부에서 강제로 누르게 된다.
이와 같이 발광램프(81) 사이에 대응되는 공통전극(83)을 돌출시키고, 공통전극(83)의 돌출된 부분에 대응되는 제 1 상부 기구물(85a) 및 제 2 상부 기구물의 립을 벤딩시키면, 디밍 조절을 위한 전원 인가시에 제 1, 제 2 하부 기구물 및 공통전극에서 발생하는 진동을 돌출된 공통전극(83)과 접촉하고 있는 립(86)이 흡수하여 허밍 노이즈를 감소시키게 된다.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이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 범위는 상기 실시예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 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외부전극 발광램프를 구비한 백라이트 유닛의 디밍 조절을 위한 전원 인가시에 발생하는 진동 및 이로 인한 허밍 노이즈(humming noise)를 감소시킬 수 있다.

Claims (9)

  1. 커버 바텀 상부에 일정 간격으로 배열된 복수개의 발광 램프들과;
    상기 발광 램프들 사이에 대응되는 영역에 홈을 갖고, 상기 발광 램프 양단에 일방향으로 형성된 제 1, 제 2 하부 기구물과;
    상기 홈을 포함한 상기 제 1, 제 2 하부 기구물 상부에 형성된 흡음패드와;
    상기 흡음 패드를 포함한 상기 제 1, 제 2 하부 기구물 상부에 일방향으로 형성된 공통전극과;
    상기 제 1, 제 2 하부 기구물의 홈에 대응되는 상부에 복수개의 립(rib)을 구비하여 일방향으로 구성된 제 1, 제 2 상부 기구물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 유닛.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램프는 관의 양단에 제 1, 제 2 외부전극을 갖는 외부전극 발광램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 유닛.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립의 높이는 각 제 1, 제 2 상, 하부 기구물 사이의 간격 이상이 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 유닛.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흡음 패드는 난연등급(UL94 V2)을 취득한 패드를 사용함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 유닛.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흡음 패드는 실리콘 패드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 유닛.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통전극은 상기 각 발광램프 양단을 구속하기 위해 서로 이격되어 형성된 그리퍼형의 복수개의 체결부들과,
    상기 체결부들을 연결하기 위해 상기 체결부 양측에 형성된 제 1, 제 2 공통전극라인과,
    상기 발광램프 조립시 상기 발광램프의 좌우 치우침을 방지하기 위해서 상기 각 발광램프의 끝단이 안착되는 상기 제 2 공통전극라인의 끝단에 형성된 스토퍼(stopper)와,
    스크루가 체결될 부분에 형성된 복수개의 홀들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 유닛.
  7. 삭제
  8. 삭제
  9. 삭제
KR1020060060527A 2006-06-30 2006-06-30 백라이트 유닛 KR1009543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60527A KR100954336B1 (ko) 2006-06-30 2006-06-30 백라이트 유닛
US11/639,304 US7744240B2 (en) 2006-06-30 2006-12-15 Backlight unit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60527A KR100954336B1 (ko) 2006-06-30 2006-06-30 백라이트 유닛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2001A KR20080002001A (ko) 2008-01-04
KR100954336B1 true KR100954336B1 (ko) 2010-04-21

Family

ID=389486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60527A KR100954336B1 (ko) 2006-06-30 2006-06-30 백라이트 유닛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7744240B2 (ko)
KR (1) KR10095433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343478A4 (en) * 2008-11-05 2012-11-07 Sharp Kk BEARING UNIT, LIGHTING DEVICE AND DISPLAY DEVICE
US8233111B2 (en) * 2008-12-19 2012-07-31 Lg Display Co., Lt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WO2010109716A1 (ja) * 2009-03-23 2010-09-30 シャープ株式会社 シャーシ、照明装置、および表示装置
KR101688562B1 (ko) * 2010-02-23 2016-12-2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71494A (ko) * 2004-12-22 2006-06-27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직하형 백라이트의 램프 지지 구조체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4331B1 (ko) * 2002-05-22 2004-06-04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백 라이트
KR20060047025A (ko) * 2004-11-12 2006-05-18 삼성전자주식회사 개선된 지지대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구비한 평판표시장치
KR20060074354A (ko) * 2004-12-27 2006-07-03 삼성전자주식회사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액정표시장치
KR101129427B1 (ko) * 2005-03-09 2012-06-12 삼성전자주식회사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표시장치
KR101165744B1 (ko) * 2005-08-08 2012-07-18 삼성전자주식회사 램프 홀더와, 이를 갖는 램프 어셈블리, 백라이트 어셈블리및 표시 장치
KR20070018158A (ko) * 2005-08-09 2007-02-14 삼성전자주식회사 평판형광램프, 이의 제조방법, 이를 갖는 백라이트어셈블리 및 표시장치
US7592750B2 (en) * 2006-01-27 2009-09-22 Au Optronics Corporation Fluorescent lamp with external electrode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71494A (ko) * 2004-12-22 2006-06-27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직하형 백라이트의 램프 지지 구조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80012487A1 (en) 2008-01-17
US7744240B2 (en) 2010-06-29
KR20080002001A (ko) 2008-0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34331B1 (ko) 백 라이트
KR100442297B1 (ko) 백라이트
KR100623845B1 (ko)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한 액정표시장치
JP4050743B2 (ja) 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及びバックライトの組立方法
KR101201309B1 (ko) 백라이트 유닛
JP4219910B2 (ja) 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
KR100954336B1 (ko) 백라이트 유닛
KR101068385B1 (ko) 액정표시장치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전극판 구조
KR100587372B1 (ko) 백라이트 유닛
KR100587371B1 (ko) 백라이트 유닛 및 그의 구동방법
KR101157951B1 (ko) 백라이트 유닛
KR20060024051A (ko) 액정표시장치
KR20080001930A (ko) 백라이트 유닛
KR101264677B1 (ko) 발광 램프 및 이를 구비한 백라이트 유닛
KR100880219B1 (ko) 백 라이트
KR101221126B1 (ko)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한 액정표시장치
KR100794568B1 (ko) 평판형 형광램프
KR100909050B1 (ko) 외부전극 형광램프
KR20070002453A (ko)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액정표시장치
KR101166833B1 (ko) 백라이트 유닛
KR20070044663A (ko) 백라이트 유닛
KR100447237B1 (ko) 액정표시장치의 백 라이트 전극 절연 방법
KR101212147B1 (ko) 백라이트 유닛
KR100675644B1 (ko) 백라이트 어셈블리 구조
KR20100048042A (ko) 일체형의 커버버텀 프레임 및 이를 이용한 백라이트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8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