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53653B1 - 표시 장치 및 그의 구동 방법 - Google Patents

표시 장치 및 그의 구동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53653B1
KR100953653B1 KR1020080100723A KR20080100723A KR100953653B1 KR 100953653 B1 KR100953653 B1 KR 100953653B1 KR 1020080100723 A KR1020080100723 A KR 1020080100723A KR 20080100723 A KR20080100723 A KR 20080100723A KR 100953653 B1 KR100953653 B1 KR 1009536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our
luminance
input image
edge point
luminance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007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나오아키 코미야
Original Assignee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1007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53653B1/ko
Priority to US12/588,359 priority patent/US20100090999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536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536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14Picture signal circuitry for video frequency region
    • H04N5/142Edging; Contouring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3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 G09G3/3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G09G3/320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 G09G3/3225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using an active matrix
    • G09G3/3233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using an active matrix with pixel circuitry controlling the current through the light-emitting el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6Transforming electric information into light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77Circuits for processing the brightness signal and the chrominance signal relative to each other, e.g. adjusting the phase of the brightness signal relative to the colour signal, correcting differential gain or differential phas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00/00Aspects of the constitu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8Active matrix structure, i.e. with use of active elements, inclusive of non-linear two terminal elements, in the pixels together with light emitting or modulating elements
    • G09G2300/0809Several active elements per pixel in active matrix panels
    • G09G2300/0842Several active elements per pixel in active matrix panels forming a memory circuit, e.g. a dynamic memory with one capacito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2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271Adjustment of the gradation levels within the range of the gradation scale, e.g. by redistribution or clipping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 G09G2320/0613The adjustment depending on the type of the information to be displayed
    • G09G2320/062Adjustment of illumination source paramete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 G09G2320/06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for control of contrast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60/00Aspects of the architecture of display systems
    • G09G2360/16Calculation or use of calculated indices related to luminance levels in display dat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표시 장치는, 입력 영상 신호로부터 휘도 데이터를 검출하고, 휘도 데이터의 변화량을 검출하고, 입력 영상 신호가 표시하는 영상의 윤곽을 검출하며, 검출된 윤곽을 강조하는 변환 입력 영상 신호를 생성한다. 표시 장치는 변환 입력 영상 신호의 데이터 크기와 입력 영상 신호의 데이터 크기를 비교하여, 변환 입력 영상 신호의 데이터 크기가 입력 영상 신호의 데이터 크기보다 작도록 변환 입력 신호를 보정한다.
휘도 데이터, 윤곽, 강조, RGB, 색상, 게인

Description

표시 장치 및 그의 구동 방법{DISPLAY DEVICE AND THE DRIV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표시 장치 및 그의 구동 방법에 관한 것이다.
영상 신호를 토대로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는, 퍼스널 컴퓨터나 텔레비전 등의 경량, 박형화에 따라 경량화, 박형화되어 가고 있다. 이러한 요구에 따라 음극선관(cathode ray tube, CRT)대신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LCD), 플라즈마 표시 장치(plasma display panel, PDP) 및 유기 발광 소자(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와 같은 플랫 패널형 표시 장치가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표시 장치에서, 인물 등 과 같이 윤곽을 가지는 대상을 표시하는 대상 데이터가 대상이 위치한 배경을 표시하는 배경 데이터와의 차이가 크지 않을 수 있다. 그러면, 대상의 경계면이 배경에 포함되어, 화면이 선명해 보이지 않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특정 대상과 배경 사이의 경계가 선명하게 나타나도록 대상의 윤곽을 강조하는 방법이 사용된다.
이런 윤곽 강조 방법은 윤곽의 휘도가 증가하여 영상의 전체 휘도가 증가할수 있다. 영상의 전체 휘도가 증가하면, 명암 대비(contrast)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윤곽 강조에 따른 명암 대비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는표시 장치 및 그의 구동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한 특징에 다른 표시 장치는, 입력 영상 신호로부터 휘도 데이터를 검출하고, 상기 휘도 데이터의 변화량을 검출하여, 상기 입력 영상 신호가 표시하는 영상의 윤곽을 검출하며, 상기 검출된 윤곽을 강조하는 변환 입력 영상 신호를 생성하는 윤곽 강조부 및 상기 변환 입력 영상 신호의 데이터 크기와 상기 입력 영상 신호의 데이터 크기를 비교하여, 상기 변환 입력 영상 신호의 데이터 크기가 상기 입력 영상 신호의 데이터 크기보다 작도록 상기 변환 입력 신호를 보정하는 휘도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휘도 제어부는, 상기 변환 입력 영상 신호의 데이터 크기와 상기 입력 영상 신호의 데이터 크기를 비교하여, 상기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변환 입력 영상 신호를 보정하기 위한 게인을 산출하는 휘도 비교부, 및 상기 게인에 따라 상기 변환 입력 신호를 보정하는 휘도 조정부를 포함한다. 상기 윤곽 강조부는, 입력 영상 신호로부터 휘도 데이터를 검출하는 휘도 데이터 검출부, 상기 휘도 데이터의 변화량을 검출하여, 상기 입력 영상 신호가 표시하는 영상의 윤곽을 검출하는 윤곽 검출부, 상기 검출된 윤곽에 대응하는 휘도에 따라 상기 휘도 데이터를 증가 또는 감소시켜 상기 휘도 데이터를 변환시키는 윤곽 변환부, 및 소정 시간 지연된 상기 입력 영상 데이터와 상기 변환된 휘도 데이터를 합하여 상기 변환 입력 영상 신호를 생성하는 합산부를 포함한다. 상기 휘도 데이터의 변화량은 상기 표시 장치의 복수의 화소 위치에 대한 휘도 데이터의 변화 정도이다. 상기 윤곽 검출부는, 상기 변화 기울기가 0에서 소정의 양의 값으로 증가하는 제1 엣지 지점, 상기 변화 기울기가 소정의 양의 값에서 0이 되는 제2 엣지 지점, 상기 변화 기울기가 0에서 소정의 음의 값으로 감소하는 제3 엣지 지점, 및 상기 변화 기울기가 소정의 음의 값에서 0이 되는 제4 엣지 지점을 상기 윤곽으로 검출한다. 상기 윤곽 변환부는, 상기 제1 엣지 지점 및 상기제4 엣지 지점에 대응하는 상기 윤곽에 대응하는 휘도 데이터를 감소시키고, 상기 제2 엣지 지점 및 상기 제3 엣지 지점에 대응하는 상기 윤곽에 대응하는 휘도 데이터는 증가시킨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다른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은, 입력 영상 신호로부터 휘도 데이터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휘도 데이터의 변화량을 검출하여, 상기 입력 영상 신호가 표시하는 영상의 윤곽을 검출하는 단계 상기 검출된 윤곽을 강조하는 변환 입력 영상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변환 입력 영상 신호의 데이터 크기와 상기 입력 영상 신호의 데이터 크기를 비교하여, 상기 변환 입력 영상 신호의 데이터 크기가 상기 입력 영상 신호의 데이터 크기보다 작도록 상기 변환 입력 신호를 보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변환 입력 신호를 보정하는 단계는, 상기 변환 입력 영상 신호의 데이터 크기와 상기 입력 영상 신호의 데이터 크기를 비교하여, 상기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변환 입력 영상 신호를 보정하기 위한 게인을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게인에 따라 상기 변환 입력 신호를 보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휘도 데이터의 변화량은 상기 표시 장치의 복수의 화소 위치에 대한 휘도 데이터의 변화 정도이다. 상기 윤곽 검출 단계는, 상기 변화 기울기가 0에서 소정의 양의 값으로 증가하는 제1 엣지 지점, 상기 변화 기울기가 소정의 양의 값에서 0이 되는 제2 엣지 지점, 상기 변화 기울기가 0에서 소정의 음의 값으로 감소하는 제3 엣지 지점, 및 상기 변화 기울기가 소정의 음의 값에서 0이 되는 제4 엣지 지점을 상기 윤곽으로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변환 입력 신호를 보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엣지 지점 및 상기 제4 엣지 지점에 대응하는 상기 윤곽에 대응하는 휘도 데이터를 감소시키는 단계, 및 상기 제2 엣지 지점 및 상기 제3 엣지 지점에 대응하는 상기 윤곽에 대응하는 휘도 데이터는 증가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윤곽 강조 후 명암대비의 저하를 방지하고, 윤곽을 종래에 비해 더욱 강조할 수 있으며, 소비 전력을 감소시킬 수 있는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을 제공한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 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표시 장치 및 그의 구동 방법에 대하여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 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블록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한 표시 장치의 한 화소의 등가 회로도이다.
도 1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한 실시 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표시부(100), 주사 구동부(200), 데이터 구동부(300) 및 제어부(400)를 포함한다.
표시부(100)는 등가 회로로 볼 때 복수의 신호선(S1~Sn, D1~Dm), 복수의 전압선(도시하지 않음), 그리고 이에 연결되어 있으며 대략 형렬의 형태로 배열된 복수의 화소(110)를 포함한다.
신호선(S1~Sn, D1~Dm)은 주사 신호를 전달하는 복수의 주사선(S1~Sn)과 데이터 신호를 전달하는 복수의 데이터선(D1~Dm)을 포함한다. 복수의 주사선(S1~Sn)은 대략 행방향으로 뻗어 있으며 서로가 거의 평행하며, 복수의 데이터선(D1~Dm)은 대략 열 방향으로 뻗어 있으며 서로 거의 평행하다. 이때, 데이터 신호는 화소(110)의 유형에 따라 전압 신호(이하, "데이터 전압"이라 함) 또는 전류 신호(이하, "데이터 전류"라 함)가 될 수 있으며, 아래에서는 데이터 신호를 데이터 전압으로 설명한다.
도 2를 참고하면, 각 화소(100), 예를 들면 i번째(i=1, 2,…, n) 주사선(Si)과 j번째(j=1, 2,…, m) 데이터선(Dj)에 연결된 화소(110)는 유기 발광 소자(organic light emitting element)(OLED), 구동 트랜지스터(M1), 커패시터(Cst) 및 스위칭 트랜지스터(M2)를 포함한다.
스위칭 트랜지스터(M2)는 제어 단자, 입력 단자 및 출력 단자를 가진다. 제어 단자는 주사선(Si)과 연결되어 있고, 입력 단자는 데이터선(Dj)과 연결되어 있으며, 출력 단자는 구동 트랜지스터(M1)와 연결되어 있다. 스위칭 트랜지스터(M2)는 주사선(Si)에 인가되는 주사 신호에 응답하여 데이터선(Dj)에 인가되는 데이터 신호, 즉 데이터 전압을 전달한다.
구동 트랜지스터(M1) 또한 제어 단자, 입력 단자 및 출력 단자를 가진다. 제어 단자는 스위칭 트랜지스터(M2)와 연결되어 있고, 입력 단자는 구동 전압(VDD)과 연결되어 있으며, 출력 단자는 유기 발광 소자(OLED)에 연결되어 있다. 구동 트랜지스터(M1)는 제어단자와 출력 단자 사이에 걸리는 전압에 따라 그크기가 달라지는 전류(IOLED)를 흘린다.
커패시터(Cst)는 구동 트랜지스터(M1)의 제어 단자와 입력 단자 사이에 연결되어 있다. 커패시터(Cst)는 구동 트랜지스터(M1)의 제어 단자에 인가되는 데이터 전압을 충전하고, 스위칭 트랜지스터(M2)가 턴오프된 뒤에도 이를 유지한다.
유기 발광 소자(OLED)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일 수 있으며, 구동 트랜지스터(M1)의 출력단자와 연결되어 있는 애노드(anode) 및 공통 전압(VSS)과 연결되어 있는 캐소드(cathode)를 가진다. 유기 발 광 소자(OLED)는 구동 트랜지스터(M1)의 출력 전류(IOLED)에 따라세기를 달리하여 발광함으로써 영상을 표시한다.
유기 발광 소자(OLED)는 기본색(primary color) 중 하나의 빛을 낼 수 있다. 기본색의 예로는 적색(R), 녹색(G), 청색(B)의 삼원색을 들 수 있으며 이들 삼원색의 공간적 합 또는 시간적 합으로 원하는 색상을 표시한다. 이 경우 일부 유기 발광 소자(OLED)는 백색의 빛을 낼 수 있으며 이렇게 하면 휘도가 높아진다. 이와는 달리, 모든 화소(110)의 유기 발광 소자(OLED)가 백색의 빛을 낼 수 있으며, 일부 화소(110)는 유기 발광 소자(OLED)에서 나오는 백색광을 기본색광 중 어느 하나로 바꿔주는 색필터(도시하지 않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스위칭 트랜지스터(M2) 및 구동 트랜지스터(M1)는 p-채널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field effect transistor, FET)이다. 이 경우, 제어 단자, 입력 단자 및 출력 단자는 각각 게이트, 소스 및 드레인에 해당한다. 그러나 스위칭 트랜지스터(M2)와 구동 트랜지스터(M1) 중 적어도 하나는 n-채널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일 수 있다. 또한, 트랜지스터(M1, M2), 커패시터(Cst) 및 유기 발광 소자(OLED)의 연결 관계가 바뀔 수 있다.
도 2에 도시한 화소(110)는 표시 장치의 한 화소의 한 예이며, 적어도 두 개의트랜지스터 또는 적어도 하나의 커패시터를 포함하는 다른 형태의 화소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앞서 설명한 것처럼 데이터 전류를 데이터 신호로 입력받는 화소가 사용될 수도 있다.
다시, 도 1을 참고하면, 주사 구동부(200)는 표시부(100)의 주사선(S1~Sn)에 연결되어 있으며, 주사선(S1~Sn)에 순차적으로 주사 신호를 인가한다. 주사 신호는 스위칭 트랜지스터(M2)를 턴온시킬 수 있는 게이트 온 전압(Von)과 스위칭 트랜지스터(M2)를 턴오프시킬 수 있는 게이트 오프 전압(Voff)의 조합으로 이루어진다. 스위칭 트랜지스터(M2)가 p-채널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일 경우 게이트 온 전압(Von)과 게이트 오프 전압(Voff)은 각각 저전압과 고전압이다.
데이터 구동부(300)는 표시부(100)의 데이터선(D1~Dm)에 연결되어 있으며, 제어부(400)로부터 입력되는 입력 영상 신호(DR, DG, DB)를 데이터 전압으로 변환하여 데이터선(D1~Dm)에 인가한다.
제어부(400)는 주사 구동부(200) 및 데이터 구동부(300)를 제어하며, 외부로부터 입력 영상 신호(R, G, B) 및 이의 표시를 제어하는 입력 제어 신호를 수신한다. 입력 영상 신호는 각 화소(110)의 휘도정보를 담고 있으며 휘도는 정해진 수효, 예를 들면 1024(=210), 256(=28) 또는 64(=26) 개의 계조(gray)를 가지고 있다. 입력 제어 신호의 예로는 수평 동기 신호(Hsync), 수직 동기 신호(Vsync) 및 메인 클럭 신호(Mclk) 등이 있다.
제어부(400)는 입력 영상 신호(R, G, B)와 입력 제어 신호(Hsync, Vsync, Mclk)를 입력 받고, 입력 영상 신호(R, G, B)를 입력 영상 데이터(DR, DG, DB)로 변환하고, 입력 제어 신호를 처리하여 주사 제어 신호(CONT1) 및 데이터 제어 신호(CONT2)를 생성한다.
입력 제어 신호는 수직 동기 신호(Vsync)와 수평 동기 신호(Hsync), 메인 클 럭 신호(Mclk) 및 데이터 인에리블 신호(DE, 표시하지 않음)를 포함한다. 수직 동기 신호(Vsync)는 입력 영상 신호의 한 프레임 주기를 알려주는 신호이고, 수평 동기 신호(Hsync)는 입력 영상 신호의 한 라인주기를 알려주는 신호이다. 메인 클럭 신호(Mclk)는 제어부(400)가 입력 영상 신호를 입력 영상 데이터로 변환하고, 입력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등 동작에 필요한 클럭 신호이다. 데이터 인에이블 신호(DE)는 입력 영상 신호에서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데이터가 위치하는 구역을 표시하는 신호이다.
게이트 제어 신호(CONT1)는 주사 시작을 지시하는 주사 시작 신호와 픽셀 회로의 스위칭 소자(M2)를 턴온시키는 게이트 온 전압(Von)의 출력 주기를 제어하는 적어도 하나의 클록 신호를 포함한다. 게이트 제어 신호(CONT1)는 또한 게이트 온 전압(Von)의 지속 시간을 한정하는 출력 인에이블 신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 제어 신호(CONT2)는 한 행[묶음]의 화소(110)에 대한 영상 데이터 신호(DR, DG, DB)의 전송시작을 알리는 수평 동기 시작 신호와 데이터선(D1~Dm)에 아날로그 데이터 전압을 인가하라는 로드 신호 및 데이터 클럭 신호를 포함한다.
제어부(400)는 주사 제어 신호(CONT1)를 주사 구동부(200)로 전달하며, 데이터 제어 신호(CONT2)와 처리한 영상 데이터(DR, DG, DB)를 데이터 구동부(300)로 전달한다.
한편, 제어부(400)는 입력 영상 신호(R, G, B)에서 휘도 데이터(Y)를 검출하고, 휘도 데이터에 기초하여 윤곽부를 검출하고, 윤곽부의 휘도 데이터를 보상하여 윤곽 강조 처리한다. 제어부(400)는 윤곽강조를 위해 휘도 데이터(Y)를 소정의 게인에 따라 변환시킨다. 제어부(400)는 변환된 휘도 데이터(Y')에 따라 입력 영상 신호(R, G, B)를 변환하여 영상 데이터(DR, DG, DB)를 생성한다. 이 때, 제어부(400)는 윤곽 강조된 입력 영상 신호(R', G', B')의 평균 휘도(이하, "강조 휘도"라 함.)와 윤곽 강조 전 입력영상 신호(R, G, B)의 평균 휘도(이하, "입력 휘도"라 함.)를 비교하여, 강조 휘도가 입력 휘도를 넘지 않도록 제어한다. 강조 휘도와 입력 휘도간의 비율의 최대값은 1이다. 화면의 전체 휘도가 낮아지면, 강조된 윤곽이 더 밝게 보이는 현상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이런 현상을 이용하여 윤곽 강조를 통해 영상의 전체 휘도가 증가하는 것을 억제하여, 윤곽을 더욱더 강조할 수 있다.
제어부(400)로부터의 데이터 제어 신호(CONT2)에 따라, 데이터 구동부(300)는 한 행의 화소에 대한 영상 데이터(DR, DG, DB)를 수신하고, 입력 영상 데이터(DR, DG, DB)를 데이터 전압으로 변환한 다음, 이를 해당 데이터선(D1~Dm)에 인가한다.
주사 구동부(200)는 제어부(400)로부터의 주사 제어 신호(CONT1)에 따라 게이트 온 전압(Von)을 주사선(S1~Sn)에 인가하여 이 주사선(S1~Sn)에 연결된 스위칭 트랜지스터(M2)를 턴온시킨다. 그러면, 데이터선(D1~Dm)에 인가된 데이터 전압은 턴온된 스위칭 트랜지스터(M2)를 통하여 해당 화소(110)에 전달된다.
구동 트랜지스터(M1)는 턴온된 스위칭 트랜지스터(M2)를 통하여 데이터 전압을 받고 유기 발광 소자(OLED)는 구동 트랜지스터(M1)의 출력 전류(IOLED)에 해당하는 세기의 빛을 발광한다.
1 수평 주기[수평 동기 신호(Hsync)의 한 주기와 동일할 수 있음]를 단위로 하여 이러한 과정을 되풀이함으로써, 모든 주사선(S1~Sn)에 대하여 차례로 게이트 온 전압(Von)을 인가하고 모든 화소(110)에 데이터 전압을 인가하여 한 필드 또는 한프레임의 영상을 표시한다.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제어부(400)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3은 제어부(400)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제어부(400)는 윤곽 강조부(410) 및 휘도 제어부(405)를 포함한다.
휘도 제어부(405)는 강조 휘도와 입력 휘도를 비교하여 비교 결과에 따라 강조 휘도를 보정하도록 소정의 게인을 산출하는 휘도 비교부(420) 및 소정의 게인에 따라 강조 휘도를 보정하는 휘도 조정부(430)를 포함한다.
윤곽 강조부(410)는 입력 영상 신호(R, G, B)에서 휘도 데이터(Y)를 검출하고, 휘도 데이터에 기초하여 윤곽부를 검출하고, 윤곽부의 휘도 데이터를 보상하여 윤곽 강조 처리한다. 제어부(400)는 윤곽강조를 위해 휘도 데이터(Y)를 소정의 게인에 따라 변환시킨다. 제어부(400)는 게인에 따라 변환된 휘도 데이터(Y')를 이용하여 윤곽 강조된 변환 입력 영상 신호(R1, G1, B1)를 생성한다.
휘도 비교부(420)는 변환 입력 영상 신호(R1, G1, B1)의 데이터 크기와 입력 영상 신호(R, G, B)의 데이터 크기를 비교하여, 변환 입력 영상 신호(R1, G1, B1)의 데이터 크기가 입력 영상 신호(R, G, B)의 데이트 크기보다 크지 않도록 제어한다. 휘도 비교부(420)는 변환 입력 영상 신호(R1, G1, B1)의 데이터 크기가 입력 영상 신호(R, G, B)의 데이터 크기보다 크면, 변환 입력 영상 신호(R1, G1, B1)의 데이터 크기를 조절하기 위한 게인(LCG)을 산출하여 휘도 조절부(430)로 전달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휘도 비교부(420)는 변환 입력 영상 신호(R1, G1, B1)의 데이터 크기가 입력영상 신호(R, G, B)의 데이터 크기에 비해 소정의 비율을 가지도록 게인(LCG)을 조절한다.
휘도 조절부(430)는 게인(LCG)에 따라 변환 입력 영상 신호(R1, G1, B1)를 보정하여 최종 영상 신호(R2, G2, B2)를 생성한다.
이하, 도 4 및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윤곽 강조부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윤곽 강조부(410)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윤곽 강조부의 동작을 나타내기 위한 파형도이다.
윤곽 강조부(410)는 휘도 데이터 검출부(411), 윤곽 검출부(412), 윤곽 변환부(413), 지연부(414) 및 합산부(415)를 포함한다.
휘도 데이터 검출부(411)는 입력 영상 신호(R, G, B)로부터 휘도 데이터(Y)를 검출한다.
윤곽 검출부(412)는 휘도 데이터(Y)의 화소 위치에 대한 기울기를 통해 윤곽부를 검출한다. 즉, 화소 위치의 변화 정도에 대한 휘도 데이터의 변화량을 나타내는 기울기를 검출하고, 기울기가 급격히 변하는 위치를 입력 영상 신호(R, G, B)에 의해 표시되는 영상의 윤곽으로 판단한다. 그리고 판단된 윤곽에 대응하는 화소의 위치를 검출한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윤곽 검출부(412)는 휘도데이터(Y)의 기울기가 급격히 변하는 엣지 지점(A, B, C, D)을 윤곽으로 검출한다. 엣지 지점(A)은 휘도 데이터의 기울기가 0에서 소정의 양의 값으로 증가하는 윤곽이고, 엣지 지점(B)은 휘도 데이터의 기울기가 소정의 양의 값에서 0이 되는 윤곽이고, 엣지 지점(C)은 휘도 데이터의 기울기가 0에서 소정의 음의 값으로 감소하는 윤곽이고, 엣지 지점(D)은 휘도 데이터의 기울기가 소정의 음의 값에서 0이 되는 윤곽이다.
윤곽 변환부(413)는 검출된 윤곽에 대응하는 휘도 데이터(Y)를 소정의 게인에 따라 증가 또는 감소시켜 휘도 데이터(Y)를 변환시킨다. 구체적으로 윤곽 변환부(413)는 검출된 윤곽의 휘도가 기준 휘도 미만일 경우에는 윤곽의 저휘도가 강조되도록 윤곽에 대응하는 휘도 데이터(Y)를 더욱낮춘다. 그리고 검출된 윤곽의 휘도가 기준 휘도 이상일 경우에는 윤곽의 고휘도가 강조되도록 휘도 데이터(Y)를 더욱 높인다. 즉, 엣지 지점(A, D)에 대응하는 휘도 데이터(Y)는 감소하고, 엣지 지점(B, C)에 대응하는 휘도 데이터(Y)는 증가한다. 윤곽 변환부(413)는 이와 같은 방식으로 변환된 휘도 데이터(Y')를 합산부(415)로 전달한다.
지연부(414)는 입력 영상 신호(R, G, B)를 소정 시간 지연하여 합산부(415)로 출력한다. 이때, 소정 시간은 휘도 데이터(Y)가 입력 영상 신호(R, G, B)로부터 분리된 시점부터 윤곽 강조 변환되어 합산부(415)에 입력되는 시점에 따라 결정된다.
합산부(415)는 입력 영상 신호(R, G, B)에 윤곽 강조된 휘도 데이터를 합산하여 변환 입력 영상 신호(R1, G1, B1)를 출력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입력 영상 신호로부터 검출된 휘도 데이터를 이용하여 윤곽을 강조하고, 윤곽 강조에 따른 강조 휘도가 입력 휘도보다 낮게 제어하여 윤곽을 더욱 강조할 수 있다. 더구나 전체 휘도 증가에 따른 명암 대비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윤곽 강조 후 휘도가 입력 휘도에 비해 낮으므로, 소비 전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 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표시 장치의 한 화소의 등가 회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어부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윤곽 강조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윤곽 강조부의 동작을 나타내기 위한 파형도이다.

Claims (11)

  1. 입력 영상 신호로부터 휘도 데이터를 검출하고, 상기 휘도 데이터의 변화량을 검출하여, 상기 입력 영상 신호가 표시하는 영상의 윤곽을 검출하며, 상기 검출된 윤곽을 강조하는 변환 입력 영상 신호를 생성하는 윤곽 강조부 및
    상기 변환 입력 영상 신호의 평균 휘도와 상기 입력 영상 신호의 평균 휘도를 비교하여, 상기 변환 입력 영상 신호의 평균 휘도가 상기 입력 영상 신호의 평균 휘도보다 작도록 상기 변환 입력 신호를 보정하는 휘도 제어부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휘도 제어부는,
    상기 변환 입력 영상 신호의 평균 휘도와 상기 입력 영상 신호의 평균 휘도를 비교하여, 상기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변환 입력 영상 신호를 보정하기 위한 게인을 산출하는 휘도 비교부, 및
    상기 게인에 따라 상기 변환 입력 신호를 보정하는 휘도 조정부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윤곽 강조부는,
    입력 영상 신호로부터 휘도 데이터를 검출하는 휘도 데이터 검출부,
    상기 휘도 데이터의 변화량을 검출하여, 상기 입력 영상 신호가 표시하는 영상의 윤곽을 검출하는 윤곽 검출부,
    상기 검출된 윤곽에 대응하는 휘도에 따라 상기 휘도 데이터를 증가 또는 감소시켜 상기 휘도 데이터를 변환시키는 윤곽 변환부, 및
    소정 시간 지연된 상기 입력 영상 데이터와 상기 변환된 휘도 데이터를 합하여 상기 변환 입력 영상 신호를 생성하는 합산부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휘도 데이터의 변화량은 상기 표시 장치의 복수의 화소 위치에 대한 휘도 데이터의 변화 정도인 표시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윤곽 검출부는,
    상기 변화 기울기가 0에서 소정의 양의 값으로 증가하는 제1 엣지 지점,
    상기 변화 기울기가 소정의 양의 값에서 0이 되는 제2 엣지 지점,
    상기 변화 기울기가 0에서 소정의 음의 값으로 감소하는 제3 엣지 지점, 및
    상기 변화 기울기가 소정의 음의 값에서 0이 되는 제4 엣지 지점을 상기 윤곽으로 검출하는 표시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윤곽 변환부는,
    상기 제1 엣지 지점 및 상기 제4 엣지 지점에 대응하는 상기 윤곽에 대응하는 휘도 데이터를 감소시키고, 상기 제2 엣지 지점 및 상기 제3 엣지 지점에 대응하는 상기 윤곽에 대응하는 휘도 데이터는 증가시키는 표시 장치.
  7. 입력 영상 신호로부터 휘도 데이터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휘도 데이터의 변화량을 검출하여, 상기 입력 영상 신호가 표시하는 영상의 윤곽을 검출하는 단계
    상기 검출된 윤곽을 강조하는 변환 입력 영상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변환 입력 영상 신호의 평균 휘도와 상기 입력 영상 신호의 평균 휘도를 비교하여, 상기 변환 입력 영상 신호의 평균 휘도가 상기 입력 영상 신호의 평균 휘도보다 작도록 상기 변환 입력 신호를 보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변환 입력 신호를 보정하는 단계는,
    상기 변환 입력 영상 신호의 평균 휘도와 상기 입력 영상 신호의 평균 휘도를 비교하여, 상기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변환 입력 영상 신호를 보정하기 위한 게인을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게인에 따라 상기 변환 입력 신호를 보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휘도 데이터의 변화량은 상기 표시 장치의 복수의 화소 위치에 대한 휘도 데이터의 변화 정도인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윤곽 검출 단계는,
    상기 변화 기울기가 0에서 소정의 양의 값으로 증가하는 제1 엣지 지점,
    상기 변화 기울기가 소정의 양의 값에서 0이 되는 제2 엣지 지점,
    상기 변화 기울기가 0에서 소정의 음의 값으로 감소하는 제3 엣지 지점, 및
    상기 변화 기울기가 소정의 음의 값에서 0이 되는 제4 엣지 지점을 상기 윤곽으로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변환 입력 신호를 보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엣지 지점 및 상기 제4 엣지 지점에 대응하는 상기 윤곽에 대응하는 휘도 데이터를 감소시키는 단계, 및 상기 제2 엣지 지점 및 상기 제3 엣지 지점에 대응하는 상기 윤곽에 대응하는 휘도 데이터는 증가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표 시 장치의 구동 방법.
KR1020080100723A 2008-10-14 2008-10-14 표시 장치 및 그의 구동 방법 KR1009536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0723A KR100953653B1 (ko) 2008-10-14 2008-10-14 표시 장치 및 그의 구동 방법
US12/588,359 US20100090999A1 (en) 2008-10-14 2009-10-13 Display device and the driving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0723A KR100953653B1 (ko) 2008-10-14 2008-10-14 표시 장치 및 그의 구동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53653B1 true KR100953653B1 (ko) 2010-04-20

Family

ID=420984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00723A KR100953653B1 (ko) 2008-10-14 2008-10-14 표시 장치 및 그의 구동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100090999A1 (ko)
KR (1) KR10095365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46853B1 (ko) * 2010-11-30 2017-06-1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영상처리부와 이를 이용한 표시장치, 및 영상처리방법
TWI501218B (zh) * 2013-07-05 2015-09-21 Novatek Microelectronics Corp 影像顯示裝置及其影像優化方法
CN104299600B (zh) * 2013-07-18 2016-12-07 联咏科技股份有限公司 图像显示装置及其图像优化方法
KR102105102B1 (ko) * 2013-10-10 2020-04-27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디스플레이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45603A (ko) * 2002-11-25 2004-06-02 주식회사 유피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화상 처리 장치 및 방법
KR20050092751A (ko) * 2003-01-16 2005-09-22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화상 표시 장치 및 화상 표시 방법
KR20070119508A (ko) * 2006-06-15 2007-12-20 닛뽕빅터 가부시키가이샤 영상 표시 장치 및 영상 표시 방법
KR20080078770A (ko) * 2007-02-24 2008-08-2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모션블러를 제거한 액정표시장치 및 이의 구동방법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52390B2 (ja) * 1991-02-16 1999-02-03 株式会社半導体エネルギー研究所 表示装置
KR100415510B1 (ko) * 2001-03-15 2004-01-16 삼성전자주식회사 적응형 휘도 증대 기능을 갖는 액정 표시 장치 및 이의구동 방법
TW563369B (en) * 2001-01-25 2003-11-21 Sarif Inc Image compensation methods and apparatus using corrections zones
FR2880460A1 (fr) * 2005-01-06 2006-07-07 Thomson Licensing Sa Procede et dispositif d'affichage pour reduire les effets de flou
KR20070019904A (ko) * 2005-08-13 2007-02-16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 표시 장치의 영상 왜곡 보상 방법 및 장치
JP4450016B2 (ja) * 2007-06-12 2010-04-14 ソニー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および液晶駆動回路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45603A (ko) * 2002-11-25 2004-06-02 주식회사 유피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화상 처리 장치 및 방법
KR20050092751A (ko) * 2003-01-16 2005-09-22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화상 표시 장치 및 화상 표시 방법
KR20070119508A (ko) * 2006-06-15 2007-12-20 닛뽕빅터 가부시키가이샤 영상 표시 장치 및 영상 표시 방법
KR20080078770A (ko) * 2007-02-24 2008-08-2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모션블러를 제거한 액정표시장치 및 이의 구동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00090999A1 (en) 2010-04-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GB2559861B (en) Electroluminescent display and driving device thereof
KR101084229B1 (ko) 표시 장치 및 그에 따른 구동 방법
US8330754B2 (e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and driving method thereof
KR101073568B1 (ko)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KR20150077750A (ko)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KR20150071549A (ko) 표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표시장치의 구동 방법
KR102035854B1 (ko) 소비전력 저감 방법 및 소비전력 저감 표시장치
KR100953653B1 (ko) 표시 장치 및 그의 구동 방법
KR20190074548A (ko) 표시장치 및 이의 구동방법
KR20170021678A (ko) 표시장치 및 그의 데이터 보상방법
KR20100131231A (ko)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KR102565754B1 (ko) 표시장치
KR101560238B1 (ko)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KR102020283B1 (ko) 디스플레이 장치의 휘도 제어 장치 및 방법,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
KR20130029993A (ko) 발광표시장치
KR101922072B1 (ko) 데이터 변환 장치 및 방법, 평판 표시 장치의 구동 장치 및 구동 방법
KR100943955B1 (ko) 표시 장치 및 그의 구동 방법
KR20190012537A (ko) 표시장치, 표시패널, 컨트롤러 및 휘도 제어 방법
KR20100131232A (ko)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KR20170053204A (ko) 전압 조절장치, 표시장치 및 이의 구동방법
KR102502800B1 (ko) 유기발광표시장치 및 그의 구동방법
KR20160147125A (ko) 영상 보정부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장치
KR20230081043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KR102582376B1 (ko) 유기발광 표시장치 및 그의 영상처리방법
KR20210103374A (ko)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1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