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53379B1 - 조명등 절전 장치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조명등 절전 장치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53379B1
KR100953379B1 KR1020090031372A KR20090031372A KR100953379B1 KR 100953379 B1 KR100953379 B1 KR 100953379B1 KR 1020090031372 A KR1020090031372 A KR 1020090031372A KR 20090031372 A KR20090031372 A KR 20090031372A KR 100953379 B1 KR100953379 B1 KR 1009533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mp
unit
power
controller
ti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313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임수
Original Assignee
(주)에스앤에스라이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스앤에스라이팅 filed Critical (주)에스앤에스라이팅
Priority to KR10200900313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5337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533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533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 F21V23/0442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means of a sensor, e.g. motion or photodetectors
    • F21V23/0471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means of a sensor, e.g. motion or photodetectors the sensor detecting the proximity, the presence or the movement of an object or a pers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20/00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 Y02B20/40Control techniques providing energy savings, e.g. smart controller or presence det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rcuit Arrangement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명등 절전 장치 및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AC전원을 DC 전압으로 변환하여 각부에 동작전원을 공급하는 주전원 공급부; 사용자에 의한 조명등 설정예약시간 및 온/오프 지연시간을 제어부에 입력하는 리모트 콘트롤부; 다수의 외부감지신호를 각각 채널로 할당하여 제어부에 입력시키는 입력 채널부; 물체의 근접을 감지하는 적외선근접센서; 근접된 인체 등의 이동 등을 감지하는 모션감지센서; 인체 등의 영상을 동영상 이미지로 캡처하는 동영상이미지 캡처카메라; 설정예약시간을 확인하여 설정된 예약시간동안 조명등 출력부의 출력을 온시키며, 설정된 예약시간이 아닐 경우에는 적외선 근접 센서 및 모션 감지 센서로 감지된 근접된 물체의 이동 등을 확인하고, 동영상이미지 캡처카메라로 캡쳐된 동영상 이미지를 미리 저장된 특정 형상의 인체 등의 영상과 비교 판단하여 일치할 경우 리모트 콘트롤부로 입력된 조명등 온/오프 지연시간에 따라 조명등 출력부를 온/오프시키는 제어부; 제어부의 제어에 의한 조명등 온/오프 지연시간에 따라 조명등을 점등시키거나 소등시키는 조명등 출력부; 및 제어부에 의한 기능작동상태 및 조명등 온/오프시간을 화면에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조명등, 센서, 조명, 전력 소비, 절전, 인체, 물체, 감지, 예약

Description

조명등 절전 장치 및 그 제어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power saving of lighting lamp}
본 발명은 조명등 절전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조명등을 설정예약시간에 따라 동작시킴과 아울러 센서감지에 따른 사용자의 유무에 따라 효율적으로 동작시킴으로써 조명등의 불필요한 점등으로 인한 전력 소비를 현저하게 줄이도록 한 조명등 절전 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대형 건물이나 아파트 등의 주차장, 복도, 화장실, 창고 등과 같은 장소에는 실내 조명을 위한 전등이 설치되며, 통상적으로 이러한 실내 조명용 전등은 해당 장소에 출입하는 차량이나 사람의 존재 여부와 상관없이 24시간 동안 점등 상태로 유지되거나, 사용자 또는 관리자의 선택에 따라서 점등 혹은 소등 제어된다.
하지만, 이와 같이 사용자나 관리자가 직접 상기한 장소에 설치된 전등을 수동으로 점등 혹은 소등 제어하는 방식에 의하면, 실제로 사용자나 관리자의 부주의로 차량이나 사람이 출입하고 있지 않은 장소에 있는 전등이 24시간 동안 점등 상태로 유지되어 불필요하게 전기에너지가 소모되는 문제점이 자주 발생한다.
따라서, 이와 같이 전기에너지가 불필요하게 소모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상기한 바와 같은 대형 건물이나 아파트 등의 주차장, 복도, 화장실, 창고 등과 같은 장소에 인공지능 전등 제어 장치가 설치되어 해당 장소에 출입하는 차량이나 사람이 감지되면 자동으로 일정 시간 동안 전등을 점등하고, 일정 시간이 지나면 자동으로 전등을 소등함으로써 불필요한 전기에너지 소모를 방지한다.
하지만, 이러한 종래의 인공지능 전등 제어 장치는 해당 장소에 출입하는 차량이나 사람이 감지될 때마다 해당 장소에 설치된 전등을 점등 혹은 소등 제어하므로 전등의 내구성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으므로, 이를 개선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특허출원 10-2006-0054823호(2006.6.19)에 인공지능 전등 제어 장치가 개발된 바 있다.
이에 의하면, 차량이나 사람의 출입이 빈번한 특정 점등 시간에 해당 장소의 전등을 차량이나 사람의 감지 여부와 상관없이 점등 제어할 수 있으므로, 종래에 차량이나 사람의 출입이 빈번한 특정 시간에 해당 장소에 출입하는 차량이나 사람이 감지될 때마다 해당 장소에 설치된 전등을 점등 혹은 소등 제어함에 따라서 발생하는 전등의 내구성 저하 단점뿐만 아니라, 이로 인해 전등의 유지 보수 혹은 교체 등에 소요되는 비용이 증가하는 단점을 모두 해소할 수 있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전등 제어 장치는 특정 점등 시간 이외에 인체 또는 자동차 이외의 원하지 않는 어떠한 물체(예로서, 짐승 또는 바람 등의 자연현상에 의하여 움직이는 물체)가 감지되더라도 조명등이 점등되므로 불필요한 전력 소비가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물체가 감지되지 않을 경우 조명등이 즉시 소등되므로 빈번한 통행이 있는 곳에서는 조명등이 자주 온/오프되므로 고장이 발생되며 내구성이 떨어지는 문제점도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것으로서, 적외선 근접 센서, 모션 감지 센서 및 동영상 이미지 캡처 카메라를 복합적으로 적용하여 더욱 정확한 물체의 영상에 따라 조명등의 동작을 제어하고, 센서감지 지연시간 및 각 출력별 점등/소등 지연시간을 설정하여 효율적으로 동작시킴으로써 조명등의 불필요한 점등으로 인한 전력 소비를 현저하게 줄이도록 한 조명등 절전 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시스템 에러로 전원 공급이 안될 경우 자동으로 수동전환되어 비상시에도 조명등을 안전하게 점등하도록 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조명등 절전 장치는, 조명등 절전 장치에 있어서, AC전원을 입력받아 적정한 전압으로 변환하여 각부에 동작 전원을 공급하는 주전원 공급부; 사용자에 의한 조명등 설정예약시간 및 온/오프 지연시간을 제어부에 입력하는 리모트 콘트롤부; 다수의 외부 감지 신호를 각각 채널로 할당하여 제어부에 입력시키는 입력 채널부; 물체의 근접을 감지하는 적외선 근 접 센서; 근접된 물체의 이동 및 움직임을 감지하는 모션 감지 센서; 인체 혹은 물체의 영상을 동영상 이미지로 캡처하는 동영상 이미지 캡처 카메라; 설정예약시간을 확인하여 설정된 예약시간 동안 조명등 출력부의 출력을 온시키며, 설정된 예약시간이 아닐 경우에는 상기 적외선 근접 센서 및 상기 모션 감지 센서로 감지된 근접된 물체의 이동 및 움직임을 확인하고, 동영상 이미지 캡처 카메라로 캡쳐된 동영상 이미지를 미리 저장된 특정 형상의 인체 혹은 물체의 영상과 비교 판단하여 일치할 경우 상기 리모트 콘트롤부로 입력된 조명등 온/오프 지연시간에 따라 조명등 출력부를 온/오프시키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한 조명등 온/오프 지연시간에 따라 조명등을 점등시키거나 소등시키는 조명등 출력부; 및 상기 제어부에 의한 기능 작동 상태 및 조명등 온/오프시간을 화면에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특정 형상의 인체 혹은 물체의 영상을 미리 저장하며,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동영상 이미지 캡처 카메라로 캡쳐된 동영상 이미지를 녹화하거나 재생시키는 영상녹화 및 재생부를 더 포함한다.
또한, 예비전원 입력부와, 상기 주전원 공급부와 상기 예비전원 입력부를 전환 선택하는 전환스위치와, 상기 주전원 공급부의 전압을 검출하여 그 입력상태의 정상 여부를 감지하는 전압감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압감지부의 입력 전압을 기준 전압과 비교 판단하여 전압의 상태가 정상이 아닐 경우 상기 전환스위치를 동작시켜 입력 전원을 상기 예비전원 공급부로 전환하여 예비전원이 기기에 공급되도록 하여 상기 조명등 출력부의 출력을 온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조명등 절전장치의 제어방법은, 조명등 절전 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절전장치에 주전원을 온시키고, 정상적으로 전원이 온되는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단계에서 정상적으로 전원이 온되면, 설정값을 입력할 것인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판단에 따라 설정값을 입력할 경우 설정예약시간 및 각 출력별 점등/소등 지연시간을 입력하여 모드를 세팅하는 단계; 설정예약시간을 확인하여 현재시간이 설정예약시간이면 즉시 출력을 온시키고, 각 출력별 점등/소등 지연시간에 따라 조명등 출력부를 구동시키는 단계; 설정된 예약시간이 아닐 경우에는 상기 적외선 근접 센서 및 상기 모션 감지 센서로 감지된 근접된 물체의 이동 및 움직임을 확인하고, 동영상 이미지 캡처 카메라로 캡쳐된 동영상 이미지를 미리 저장된 특정 형상의 인체 혹은 물체의 영상과 비교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결과 미리 저장된 특정 형상의 인체 혹은 물체의 영상과 일치할 경우 상기 리모트 콘트롤부로 입력된 조명등 온/오프 지연시간에 따라 조명등 출력부를 온/오프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특정 형상의 인체 혹은 물체의 영상을 미리 저장하며,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동영상 이미지 캡처 카메라로 캡쳐된 동영상 이미지를 녹화하거나 재생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또한, 주전원의 전압을 감지하여 정상적으로 전원이 온되지 않을 경우에는 전환스위치를 온시키고, 이에 따라 예비 전원을 공급하여 조명등 출력부를 구동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조명등 절전 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의하면, 적외선 근접 센서, 모션 감지 센서 및 동영상 이미지 캡처 카메라를 복합적으로 적용하여 짐승 또는 바람 등의 자연현상에 의하여 움직이는 불필요한 물체에는 동작하지 않고 더욱 정확히 원하는 물체의 영상에 따라 조명등의 동작을 제어하고, 센서감지 지연시간 및 각 출력별 소등 지연시간을 설정하여 효율적으로 동작시킴으로써 조명등의 불필요한 점등으로 인한 전력 소비를 현저하게 줄이는 효과가 있다.
또한, 시스템 에러로 전원 공급이 안될 경우 자동으로 예비전원으로 전환되어 비상시에도 조명등을 안전하게 점등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지 아니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조명등 절전 장치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전원 공급부(10), 예비전원 공급부(11), 전환스위치(12), 전압 감지부(13), 디스플레이부(20), 영상녹화 및 재생부(21), 리모트 콘트롤부(30), 송/수신 모듈(40), 제어부(50), 입력 채널부(61, 62, 63), 적외선 센서(70), 모션 감지 센서(71), 동영상 이미지 캡처 카메라(72), 조명등 출력부(80), 외부입력채널(90, 91)를 포함한다.
주전원 공급부(10)는 AC 220V 전원을 입력받아 예로서, DC 12V의 적정한 전압으로 변환하여 절전 장치의 각부에 동작 전원을 공급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전원 공급부(10)는 통상의 SMPS(Switched-mode power supply)인 것이 바람직하다.
디스플레이부(20)는 제어부(50)에 의한 기능 작동 상태 및 조명등 온/오프시간을 화면에 디스플레이한다. 또한, 디스플레이부(60)는 본 발명의 작동중에 발생되는 상태 정보, 사용자에 의하여 입력된 설정예약시간, 입력된 숫자, 문자들 및 각종 영상 등을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으며, 이를 위하여 통상의 칼라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LCD : Liquid Crystal Display) 또는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를 사용할 수 있다.
리모트 콘트롤부(30)는 사용자에 의한 조명등 설정예약시간 및 온/오프 지연시간을 제어부(50)에 입력한다. 상기 리모트 콘트롤부(30)는 유선 또는 무선 방식으로 구성할 수 있다.
송/수신 모듈(40)은 다른 절전장치들과의 연결을 위해 사용한다. 즉, 다수의 절전장치를 사용할 경우에는 각 기기마다 설치된 각각의 송/수신 모듈(40)을 이용하여 기기 상호간을 연결하고, 각각의 유무선 통신을 통하여 설정을 공유할 수 있 다.
제1 내지 제3입력 채널부(61, 62, 63)는 다수의 외부 감지 신호를 각각 채널로 할당하여 제어부(50)에 입력시킨다.
적외선 근접 센서(70)는 물체의 근접을 감지하고, 모션 감지 센서(71)는 근접된 물체의 이동 및 움직임을 감지한다.
동영상 이미지 캡처 카메라(72)는 인체 혹은 물체의 영상을 동영상 이미지로 캡처한다.
상기 동영상 이미지 캡처 카메라(72)는 미리 저장된 인체 또는 물체(예로서, 자동차)의 형상을 판단하여 그 동작유무만을 감지하므로 미리 저장되지 않은 동물이나 기타 다른 물체의 움직임에는 영향을 받지않는다.
본 발명에서는 특정 인체 또는 물체를 감지하는 것으로 한정하였으나, 그 설정을 조정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여러가지 형상의 물체를 감지하도록 그 조건을 변경할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제어부(50)는 설정예약시간을 확인하여 설정된 예약시간 동안 조명등 출력부(80)의 출력을 온시킨다. 이때, 예약시간은 주로 출퇴근시간대로서, 상시점등토록 시간설정이 가능하다.
설정된 예약시간이 아닐 경우에는 상기 적외선 근접 센서(70) 및 상기 모션 감지 센서(71)로 감지된 근접된 물체의 이동 및 움직임을 확인하고, 동영상 이미지 캡처 카메라(72)로 캡쳐된 동영상 이미지를 미리 저장된 특정 형상의 인체 혹은 물체의 영상과 비교 판단하여 일치할 경우 상기 리모트 콘트롤부(30)로 입력된 조명 등 온/오프 지연시간에 따라 조명등 출력부(80)를 온/오프시킨다.
이를 위하여 상기 제어부(300)는 통상의 연산, 비교 및 판단 기능을 갖는 마이크로컴퓨터(MICOM) 또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 MPU(microprocessor unit) 등의 중앙처리장치 또는 마이크로프로세서가 적용될 수 있다.
조명등 출력부(80)는 상기 제어부(50)의 제어에 의한 조명등 온/오프 지연시간에 따라 조명등을 점등시키거나 소등시킨다.
영상녹화 및 재생부(21)는 특정 형상의 인체 혹은 물체의 영상을 미리 저장하며, 상기 제어부(50)의 제어에 따라 상기 동영상 이미지 캡처 카메라(72)로 캡쳐된 동영상 이미지를 녹화하거나 재생시킨다.
또한, 본 발명은 예비전원 입력부(11)와, 상기 주전원 공급부(10)와 상기 예비전원 입력부(11)를 전환 선택하는 전환스위치(12)와, 상기 주전원 공급부(10)의 전압을 검출하여 그 입력상태의 정상 여부를 감지하는 전압감지부(13)를 더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어부(50)는 상기 전압감지부(13)의 입력 전압을 기준 전압과 비교 판단하여 전압의 상태가 정상이 아닐 경우 상기 전환스위치(12)를 동작시켜 입력 전원을 상기 예비전원 공급부(11)로 전환하여 예비전원이 기기에 공급되도록 하여 상기 조명등 출력부(80)의 출력을 온시킬 수 있다.
또한, 차량 진입시 경광등(미도시) 동작 접점을 본 발명의 절전 장치와 동시에 사용가능토록 설계할 수 있다.
미설명 부호 90 및 91은 외부입력채널로서, 이를 통하여 기기에 다른 외부 입력을 연결할 수도 있다.
또한, 미설명 부호 40은 송/수신 모듈로서, 이를 통하여 다른 절전 장치들을 상호 연결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조명등 절전 제어방법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먼저, 절전장치에 주전원을 온시키고, 정상적으로 전원이 온되는가를 판단하는 단계를 수행한다(S101~S102).
이때, 절전 장치에 전원(AC 220V)을 공급하면 전원 램프(미도시)가 점등하고, 전원공급부(10) SMPS(DC 12V)가 온되어 디스플레이부(20)에 현재시간이 표시되며, 대기상태로 된다(S103).
이후, 정상적으로 전원이 온되면, 설정값을 입력할 것인가를 판단한다(S104).
상기 판단에 따라 설정값을 입력할 경우 설정예약시간, 센서감지 지연시간 및 각 출력별 소등 지연시간을 입력하여 모드를 세팅하는 단계를 수행한다. 상기 모드 세팅시 데이터의 입력은 리모트 콘트롤부(30)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S105~S106).
이후, 제어부(50)는 예약시간을 확인하여 현재시간이 설정예약시간이면 즉시 출력을 온시키고, 예약/설정 상태에 따라 조명등 출력부(80)를 구동시킨다(S108~S112).
한편, 설정된 예약시간이 아닐 경우에는 상기 적외선 근접 센서(70) 및 상기 모션 감지 센서(71)로 감지된 근접된 물체의 이동 및 움직임을 확인하고, 동영상 이미지 캡처 카메라(72)로 캡쳐된 동영상 이미지를 미리 저장된 특정 형상의 인체 혹은 물체의 영상과 비교 판단한다(S110~S111).
판단결과, 캡쳐된 동영상 이미지가 미리 저장된 특정 형상의 인체 혹은 물체의 영상과 일치할 경우 상기 리모트 콘트롤부(30)로 입력된 조명등 온/오프 지연시간에 따라 조명등 출력부(80)를 온/오프시킨다(S108~S112).
한편, 정상적으로 전원이 온되지 않을 경우, 즉 오프되었을 경우에는 전환스위치(12)를 온시키고, 이에 따라 예비 전원이 공급되어 조명등 출력부(80)를 구동시킬 수 있다(S113~S112).
이때, 전압감지부(13)는 주전원이 공급되지 않는 것을 감지하고, 제어부(50)의 제어에 따라 전환 스위치(12)가 동작하여 예비전원 공급부(11)를 통하여 주전원이 없는 상태에서도 조명등 출력부(80)를 온시켜 조명등을 점등시킬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적외선 근접 센서, 모션 감지 센서 및 동영상 이미지 캡처 카메라를 적용하여 더욱 정확한 물체의 영상에 따라 조명등의 동작을 제어하고, 센서감지 지연시간 및 각 출력별 소등 지연시간을 설정하여 효율적으로 동작시킴으로써 조명등의 불필요한 점등으로 인한 전력 소비를 현저하게 줄일 수 있다.
또한, 시스템 에러로 전원 공급이 안될 경우 자동으로 예비전원으로 전환되어 비상시에도 조명등을 안전하게 점등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 사상은 아래에 기재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파악되어야 하고, 이의 균등 또는 등가적 변형 모두는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조명등 절전 장치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조명등 절전 제어방법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흐름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전원 공급부 11 : 예비전원 공급부
12 : 전환 스위치 13 : 전압 감지부
20 : 디스플레이부 21 : 영상녹화 및 재생부
30 : 리모트 콘트롤부 40 : 송/수신 모듈
50 : 제어부 61, 62, 63 : 입력 채널부
70 : 적외선 센서 71 : 모션 감지 센서
72 : 동영상 이미지 캡처 카메라 80 : 조명등 출력부
90, 91 : 외부입력채널

Claims (6)

  1. 조명등 절전 장치에 있어서,
    AC전원을 입력받아 DC 전압으로 변환하여 각부에 동작 전원을 공급하는 주전원 공급부;
    사용자에 의한 조명등 설정예약시간 및 온/오프 지연시간을 제어부에 입력하는 리모트 콘트롤부;
    다수의 외부 감지 신호를 각각 채널로 할당하여 제어부에 입력시키는 입력 채널부;
    물체의 근접을 감지하는 적외선 근접 센서;
    근접된 물체의 이동 및 움직임을 감지하는 모션 감지 센서;
    인체 혹은 물체의 영상을 동영상 이미지로 캡처하는 동영상 이미지 캡처 카메라;
    설정예약시간을 확인하여 설정된 예약시간 동안 조명등 출력부의 출력을 온시키며, 설정된 예약시간이 아닐 경우에는 상기 적외선 근접 센서 및 상기 모션 감지 센서로 감지된 근접된 물체의 이동 및 움직임을 확인하고, 동영상 이미지 캡처 카메라로 캡쳐된 동영상 이미지를 미리 저장된 특정 형상의 인체 혹은 물체의 영상과 비교 판단하여 일치할 경우 상기 리모트 콘트롤부로 입력된 조명등 온/오프 지연시간에 따라 조명등 출력부를 온/오프시키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한 조명등 온/오프 지연시간에 따라 조명등을 점등시키거나 소등시키는 조명등 출력부; 및
    상기 제어부에 의한 기능 작동 상태 및 조명등 온/오프시간을 화면에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등 절전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특정 형상의 인체 혹은 물체의 영상을 미리 저장하며,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동영상 이미지 캡처 카메라로 캡쳐된 동영상 이미지를 녹화하거나 재생시키는 영상녹화 및 재생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등 절전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예비전원 입력부와,
    상기 주전원 공급부와 상기 예비전원 입력부를 전환 선택하는 전환스위치와,
    상기 주전원 공급부의 전압을 검출하여 그 입력상태의 정상 여부를 감지하는 전압감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압감지부의 입력 전압을 기준 전압과 비교 판단하여 전압의 상태가 정상이 아닐 경우 상기 전환스위치를 동작시켜 입력 전원을 상기 예비전원 공급부로 전환하여 예비전원이 기기에 공급되도록 하여 상기 조명등 출력부의 출력을 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등 절전 장치.
  4. 제 1 항에 기재된 조명등 절전 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a) 절전장치에 주전원을 온시키고, 정상적으로 전원이 온되는가를 판단하는 단계;
    (b) 상기 (a)단계에서 정상적으로 전원이 온되면, 설정값을 입력할 것인가를 판단하는 단계;
    (c) 상기 (b)단계의 판단에 따라 설정값을 입력할 경우 설정예약시간 및 각 출력별 점등/소등 지연시간을 입력하여 모드를 세팅하는 단계;
    (d) 설정예약시간을 확인하여 현재시간이 설정예약시간이면 즉시 출력을 온시키고, 각 출력별 점등/소등 지연시간에 따라 조명등 출력부를 구동시키는 단계;
    (e) 현재시간이 설정예약시간이 아닐 경우에는 적외선 근접 센서 및 모션 감지 센서로 감지된 근접된 물체의 이동 및 움직임을 확인하고, 동영상 이미지 캡처 카메라로 캡쳐된 동영상 이미지를 미리 저장된 특정 형상의 인체 혹은 물체의 영상과 비교 판단하는 단계; 및
    (f) 상기 (e)단계의 판단결과 미리 저장된 특정 형상의 인체 혹은 물체의 영상과 일치할 경우 리모트 콘트롤부로 입력된 조명등 온/오프 지연시간에 따라 조명등 출력부를 온/오프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등 절전 장치의 제어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특정 형상의 인체 혹은 물체의 영상을 미리 저장하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동영상 이미지 캡처 카메라로 캡쳐된 동영상 이미지를 녹화하거나 재생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등 절전 장치의 제어방법.
  6. 제 4 항에 있어서,
    주전원의 전압을 감지하여 정상적으로 전원이 온되지 않을 경우에는 전환스위치를 온시키고, 이에 따라 예비 전원을 공급하여 조명등 출력부를 구동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등 절전 장치의 제어방법.
KR1020090031372A 2009-04-10 2009-04-10 조명등 절전 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09533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1372A KR100953379B1 (ko) 2009-04-10 2009-04-10 조명등 절전 장치 및 그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1372A KR100953379B1 (ko) 2009-04-10 2009-04-10 조명등 절전 장치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53379B1 true KR100953379B1 (ko) 2010-04-19

Family

ID=422200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31372A KR100953379B1 (ko) 2009-04-10 2009-04-10 조명등 절전 장치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5337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937201A (zh) * 2010-08-06 2011-01-05 黄程云 控制器的延时自适应方法及基于该方法的控制器
KR101327410B1 (ko) * 2013-04-30 2013-11-08 (주)다진시아이엠 다기능 재실 감지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3226Y1 (ko) 2006-05-25 2006-08-03 허유리 조명 장치
KR100732514B1 (ko) 2006-06-19 2007-06-27 류귀식 인공지능 전등 제어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3226Y1 (ko) 2006-05-25 2006-08-03 허유리 조명 장치
KR100732514B1 (ko) 2006-06-19 2007-06-27 류귀식 인공지능 전등 제어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937201A (zh) * 2010-08-06 2011-01-05 黄程云 控制器的延时自适应方法及基于该方法的控制器
CN101937201B (zh) * 2010-08-06 2012-07-04 黄程云 控制器的延时自适应方法及基于该方法的控制器
KR101327410B1 (ko) * 2013-04-30 2013-11-08 (주)다진시아이엠 다기능 재실 감지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4413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light levels to save energy
KR20120041246A (ko) 도광 시스템 및 이를 제어하는 방법
JP2014060162A (ja) 照明装置
US10485081B2 (en) Monitoring system, electronic equipment, and monitoring system control method
KR100953379B1 (ko) 조명등 절전 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080088016A (ko) 엘이디를 이용한 센서등
KR200478477Y1 (ko) 보안등 겸용 센서등
KR101286809B1 (ko) 지능형 사무실 조명 제어 시스템
US20200314986A1 (en) Lighting control
KR101733469B1 (ko) 스마트 스위치 시스템
KR101833992B1 (ko) 모니터의 소비전력 절감방법
JP2014020790A (ja) 情報端末
KR20160141120A (ko) 레이더센서를 이용한 동작감지형 무선조명제어방법
KR101352539B1 (ko) 홈 오토메이션 시스템의 조명제어장치
KR101765033B1 (ko) Rf감지신호의 수신감도에 의해 점등되는 주차장등
KR20100086709A (ko) 지하주차장의 조명관리 장치
KR101597664B1 (ko) 절전형 스마트 실내 조명장치
KR20140102487A (ko) Led 드라이버와 인체 감지부를 내장하는 led 조명등
KR20130052472A (ko) 조명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CN103687224B (zh) 多功能型led灯
KR101243649B1 (ko) 에너지절감기능을 구비한 조명컨트롤장치 및 방법
KR100653832B1 (ko) 비상 유도등 시스템
KR100819058B1 (ko) 취침등이 구비된 에너지절약형 침대
KR100627736B1 (ko) 비상등을 겸한 센서등 제어장치
US20110069871A1 (en) Indoor energy-saving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0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2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