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53328B1 - 에지 가중치 영상 보간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에지 가중치 영상 보간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53328B1
KR100953328B1 KR1020080084506A KR20080084506A KR100953328B1 KR 100953328 B1 KR100953328 B1 KR 100953328B1 KR 1020080084506 A KR1020080084506 A KR 1020080084506A KR 20080084506 A KR20080084506 A KR 20080084506A KR 100953328 B1 KR100953328 B1 KR 1009533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xel
interpolated
edge
weight
valu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845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25805A (ko
Inventor
정제창
김희창
진순종
양시영
Original Assignee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800845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53328B1/ko
Publication of KR201000258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258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533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533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01Conversion of standards, e.g. involving analogue television standards or digital television standards processed at pixel level
    • H04N7/0135Conversion of standards, e.g. involving analogue television standards or digital television standards processed at pixel level involving interpolation processes
    • H04N7/0142Conversion of standards, e.g. involving analogue television standards or digital television standards processed at pixel level involving interpolation processes the interpolation being edge adaptiv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10Segmentation; Edge detection
    • G06T7/13Edge det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Image Processing (AREA)
  • Editing Of Facsimile Originals (AREA)

Abstract

에지 가중치 영상 보간 장치 및 방법이 개시된다.
보간할 화소에 인접한 화소의 화소값을 기초로 에지를 검출하고, 상기 보간할 화소가 상기 에지에 해당할 경우, 상기 에지 방향으로 상기 보간할 화소에 인접한 화소의 화소값 차의 절대값을 소정 임계값과 비교하여 가중치를 산출하고, 상기 가중치와 상기 화소값을 이용하여 상기 보간할 화소의 화소값을 구함으로써, 보간할 화소가 에지에 해당하는 경우 상기 보간할 화소의 화소값에 소정의 가중치를 부가할 수 있음에 따라 저해상도의 영상을 고해상도의 영상으로 변환 시 보간 성능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Figure R1020080084506
에지, 가중치, 보간, interpolation, bi-linear

Description

에지 가중치 영상 보간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interpolating image by weighting on edge}
본 발명은 영상 보간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저해상도의 영상을 고해상도의 영상으로 변환할 시 낮은 복잡도로도 보다 선명한 화질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 에지 가중치 영상 보간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영상 기술의 발달과 더불어 CRT(Cathode Ray Tube), LCD(Liquid Crystal Display), PDP(plasma Display Panel) 등과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이 점차 커짐에 따라 보다 고해상도의 영상에 대한 사용자의 요구 또한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따라서, 이와 같은 요구에 발맞추어 기존의 저해상도로 제작된 영상을 고해상도로 변환하는 기술 또한 개발되고 있다.
해상도(resolution)란 영상의 정밀도를 나타내는 지표로서, 하나의 영상을 표현하는데 몇 개의 화소(pixel)가 사용되었는지를 의미한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해상도가 ‘640x480’이라 함은 하나의 영상이 가로에 640개 및 세로에 480개씩의 화소를 포함하여 총 30만 7200개의 화소로 구성되었음을 나타낸다.
화소란 영어의 'picture'와 'element'의 합성어로서, 하나의 영상을 구성하 는 가장 작은 단위이다. 따라서, 상기 화소의 수가 많을수록 영상이 보다 정밀하게 표현되기 때문에 화질이 좋음을 의미한다. 즉 해상도가 높은 것이다.
보간(interpolation)은 저해상도의 영상을 고해상도의 영상으로 변환하기 위하여 각각의 화소 사이에 새로운 화소를 채워 넣는 것으로서, 이와 같은 보간을 위한 다양한 보간 방법 중 선형 보간 방법, 에지 방향성 보간 방법(EDI: Edge Directional Interpolation), NEDI(New Edge Directional Interpolation) 등과 같은 보간 방법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이 중 바이리니어(bi-linear) 보간, 큐빅(cubic) 보간 등과 같은 선형 보간 방법은 보간할 화소의 주변 화소들이 각각 가지는 밝기값 및/또는 색상값(이하 화소값이라 함)의 평균값을 이용하여 보간하는 방법으로서, 일반적으로 복잡도는 다른 보간 방법에 비하여 낮지만 단순히 주변 화소들의 화소값을 이용하여 화소를 보간하기 때문에 영상의 경계 즉, 에지(edge)의 검출이 어려움에 따라 보간 후의 영상이 뭉개지는 현상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EDI, NEDI 등과 같은 보간 방법은 상기 에지를 검출하여 화소를 보간하기 때문에 선형 보간 방법 보다는 향상된 성능을 나타내지만, 영상 보간 시 저해상도와 고해상도간의 통계적 관계를 기본으로 하여 여러 화소를 참조하기 때문에 다른 보간 방법들에 비하여 높은 복잡도를 가짐에 따라 실시간으로 영상을 제공하는 데에는 어려움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저해상도의 영상을 고해상도의 영상으로 변환 시 보다 향상된 보간 성능을 제공할 수 있는 에지 가중치 영상 보간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향상된 보간 성능을 제공할 경우에도 실시간으로 영상을 보간할 수 있는 에지 가중치 영상 보간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영상 보간 방법은 보간할 화소에 인접한 화소의 화소값을 기초로 에지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보간할 화소가 상기 에지에 해당할 경우, 상기 에지 방향으로 상기 보간할 화소에 인접한 화소의 화소값 차의 절대값을 소정 임계값과 비교하여 가중치를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가중치와 상기 화소값을 이용하여 상기 보간할 화소의 화소값을 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가중치는 다음의 식(E-1)을 이용하여 산출될 수 있다.
Figure 112008061449152-pat00001
(E-1)
상기 제1 임계값(th1)은 16 내지 42이고, 상기 제2 임계값(th2)은 64 내지 96일 수 있다.
상기 화소값은 상기 에지가 상승-하강 에지에 해당하는 경우 다음의 식(E-2)를 이용하고, 상기 에지가 하강-상승 에지에 해당하는 경우 다음의 식(E-3)를 이용하여 구해질 수 있다.
Figure 112008061449152-pat00002
(E-2)
Figure 112008061449152-pat00003
(E-3)
여기서, Pcur은 보간된 화소값, Pavr은 평균 화소값, PC는 가중치.
상기 에지는 상기 보간할 화소가 포함되는 수직선, 수평선, 대각선 중 적어도 하나의 선 상에 위치하고 또한 상기 보간할 화소에 인접한 적어도 3개의 화소의 화소값을 비교하여 검출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영상 보간 장치는 보간할 화소에 인접한 적어도 3개의 화소의 화소값을 기초로 에지를 검출하는 에지 검출부; 상기 보간할 화소가 상기 에지에 해당할 경우 상기 에지 방향으로 상기 보간할 화소에 인접한 화소의 화소값 차의 절대값을 소정 임계값과 비교하여 가중치를 산출하는 가중치 산출부; 및 상기 가중치와 상기 화소값을 기초로 상기 보간할 화소의 화소값을 산출하는 화소값 산출부를 포함한다.
상기 가중치 산출부는 다음의 식(E-1)을 이용하여 상기 가중치를 산출할 수 있다.
Figure 112008061449152-pat00004
(E-1)
여기서, th1는 제1 임계값, th2는 제2 임계값, PC는 가중치 계수.
상기 제1 임계값(th1)은 16 내지 42이고, 상기 제2 임계값(th2)은 64 내지 96일 수 있다.
상기 화소값 산출부는 상기 에지가 상승-하강 에지에 해당하는 경우 다음의 식(E-2)를 이용하여 상기 보간할 화소의 화소값을 산출하고, 상기 에지가 하강-상승 에지에 해당하는 경우 다음의 식(E-3)를 이용하여 상기 보간할 화소의 화소값을 산출할 수 있다.
Figure 112008061449152-pat00005
(E-2)
Figure 112008061449152-pat00006
(E-3)
여기서, Pcur은 보간된 화소값, Pavr은 평균 화소값, PC는 가중치.
상기 에지 검출부는 상기 보간할 화소가 포함되는 수직선, 수평선, 대각선 중 적어도 하나의 선 상에 위치하고 또한 상기 보간할 화소에 인접한 적어도 3개의 화소의 화소값을 비교하여 상기 에지를 검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에지 가중치 영상 보간 장치 및 방법은 보간할 화소가 에지에 해당하는 경우 상기 보간할 화소의 화소값에 소정의 가중치를 부가함으로써 저해상도의 영상을 고해상도의 영상으로 변환 시 보간 성능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에지 가중치 영상 보간 장치 및 방법은 바이리니 어(bi-linear) 보간 방법을 이용하고 에지에 해당하는 화소에 가중치를 부가하여 보간함에 따라 낮은 복잡도를 가지기 때문에 실시간으로 영상을 보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 도면 및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참고로, 하기 설명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였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영상 보간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영상 보간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영상 보간 장치는 에지 검출부(110), 가중치 산출부(130) 및 화소값 산출부(150)를 포함한다.
영상 보간 장치는 입력된 영상의 해상도를 저해상도에서 고해상도로 변환하기 위하여 입력된 영상의 각각의 원본 화소(original pixel) 사이에 보간 화소(interpolated pixel)를 채워 넣음으로써 영상을 보간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320x240'의 해상도를 가지는 입력 영상을 '640x480'의 해상도를 가지는 영상으로 보간하는 경우를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입력된 영상의 해상도는 '320x240'에서 '640x480'으로 변환됨에 따라 각각의 화소(210, 220, 230, 240 등)들 사이에는 공간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이 발생한 공간에 보간 화소(250)를 채워 넣음으로써 영상을 보간하게 되는데, 상기 보간 화소(250)의 화소값은 인접한 원본 화소의 화소값을 기초로 산출된다. 이때 참조되 는 원본 화소는 각각의 보간 방법에 따라 차이가 있는데, 바이리니어(bi-linear) 보간 방법에서는 (s, t) 좌표 상의 보간 화소 F(s, t)의 화소값을 산출하기 위하여 상기 보간 화소와 가장 인접한 4개의 원본 화소(210, 220, 230, 240)의 화소값을 이용한다.
에지 검출부(110)는 입력된 영상의 경계 즉, 에지를 검출하여 보간할 화소가 에지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가중치 산출부(130)로 전송한다.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영상 보간 방법에서 상승-하강 에지를 검출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영상 보간 방법에서 하강-상승 에지를 검출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먼저 도 3a를 참조하면, 상승-하강 에지(RFE: Rising and Falling Edge)는 화소의 값이 높아졌다가 낮아지는 것으로서, 도면에서는 일예로 j열을 기준으로 하여 i번째 행의 위치에서 RFE가 존재함을 나타낸다.
즉, 에지 검출부(110)는 적어도 3개의 화소값을 비교함으로써 에지를 검출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에지 검출부(110)는 직선상에 위치한 화소들 f(i-2, j)의 화소값에서 f(i-1, j)의 화소값을 차감하여 양의 화소값을 얻고, f(i, j)의 화소값에서 f(i-1, j)의 화소값을 차감하여 양의 화소값을 얻음으로써 화소값이 상승 중임을 알 수 있다. 그러나 f(i+1, j)의 화소값에서 f(i, j)의 화소값을 차감하면 음의 화소값이 산출되게 된다. 따라서, 에지 검출부(110)는 f(i, j)의 위치에서 RFE가 존재함을 검출할 수 있고, 이와 같은 에지 검출 정보를 가중치 산출부(130)로 전송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도 2b에서와 같은 하강-상승 에지(FRE: Falling and Rising Edge)의 경우에서도 에지 검출부(110)는 각각의 화소값을 비교함으로써 음의 화소값이 양이 화소값으로 전환되는 위치 즉, f(i, j)의 위치에서 FRE가 존재함을 검출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에지 검출부(110)는 f(i, j)의 위치에서 FRE가 검출되었음을 가중치 산출부(130)로 전송할 수 있다.
도면에서는 원본 화소 f(i, j)을 기준으로 j열 방향 즉, 수평선 상에 위치한 화소들을 이용하여 에지를 검출함을 나타내었지만, 본 발명에서는 수평선뿐만 아니라 수직선 및 대각선 방향에 위치한 원본 화소를 비교함으로써 에지를 검출할 수도 있다.
가중치 산출부(130)는 보간할 화소에 부가할 가중치를 산출한다. 즉, 상기 가중치 산출부(130)는 보간할 화소가 에지에 해당할 경우 인접한 2개의 원본 화소의 화소값 차의 절대값을 소정 임계값과 비교하여 가중치(PC)를 산출한다.
이를 조건식으로 나타내면 다음의 수학식 1과 같다.
Figure 112008061449152-pat00007
여기서, fi ,j는 i행, j열에 위치하는 원본 화소의 화소값, th1은 제1 임계값, th2는 제2 임계값
수학식 1에서 나타나는 바와 같이, 상기 절대값이 제1 임계값 이하일 경우 상기 가중치(PC)는 65 내지 128이 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절대값이 제1 임계값보다 크고 제2 임계값 이하일 경우 상기 가중치(PC)는 33 내지 64가 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절대값이 제2 임계값 이상일 경우 상기 가중치(PC)는 1 내지 32가 될 수 있다.
상기 가중치(PC)는 실험을 통하여 얻은 값으로서, 이와 같은 범위 내에서 본 발명에 따른 영상 보간 방법은 종래의 영상 보간 방법보다 좋은 성능을 나타낼 수 있다. 그러나, 보다 좋은 보간 성능을 나타내기 위하여 상기 가중치(PC)는 각각 128, 64 및 32가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제1 임계값 및 상기 제2 임계값 또한 실험을 통하여 얻은 값으로서 상기 제1 임계값(th1)은 16 내지 42로, 상기 제2 임계값(th2)은 64 내지 96으로 설정될 수 있지만, 보다 좋은 보간 성능을 위하여 각각 30 및 80으로 설정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과정을 통하여 가중치(PC)가 산출되면, 상기 화소값 산출부(150)는 보간할 화소가 RFE에 해당할 경우, 다음의 수학식 2를 이용하여 보간할 화소의 화소값(Pcur)를 산출한다.
Figure 112008061449152-pat00008
여기서, Pavr은 평균 화소값이다.
상기 평균 화소값(Pavr)은 보간할 화소를 포함하는 직선상에서 상기 보간할 화소와 인접한 2개의 화소에 대한 평균값(linear interpolation)으로서, 종래의 리니어 보간법 또는 바이리니어 보간법 등을 이용하여 얻을 수 있다.
그리고, 화소값 산출부(150)는 보간할 화소가 RFE에 해당할 경우, 다음의 수학식 3을 이용하여 보간할 화소의 화소값을 산출한다.
Figure 112008061449152-pat00009
한편, 상기 화소값 산출부(150)는 보간할 화소가 RFE 및 FRE에 해당하지 않을 경우, 보간할 화소값에 가중치를 부가하지 않도록 할 수도 있다.
도 4a는 본 발명에 따른 영상 보간 방법에서 상승-하강 에지에서 보간할 화소의 화소값에 가중치를 적용함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영상 보간 방법에서 하강-상승 에지에서 보간할 화소의 화소값에 가중치를 적용함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일예로서 도 4a를 참조하여 RFE에서의 가중치(PC)를 결정하는 방법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면에서와 같이 f(i, j)의 위치가 에지에 해당하는 경우, 이와 인접한 위치에 있는 보간할 화소 f'(i-1, j) 및 f'(i+1, j)에는 상술한 수학식 1에 의하여 산출된 가중치(PC)가 더해지게 된다. 즉, 에지 검출부(110)가 3개의 화소값 f(i-1, j), f(i, j), f(i+1, j)을 비교하여 f(i, j)의 위치가 RFE에 해당함을 검출하면, 가중치 산출부(130)는 원본 화소 f(i, j)와 f(i-1, j)의 색상값 차의 절대값 또는 원본 화소 f(i+1, j)와 f(i, j)의 색상값 차의 절대값을 이용하여 가중치(PC)를 산출한다. 이와 같이 산출된 가중치(PC)는 보간할 화소 f'(i-1, j) 및 f'(i+1, j)의 화소값에 수학식 2에 의하여 부가된다.
따라서, 영상을 보간할 경우 영상의 경계 즉, 에지 부분이 보다 강조됨에 따라 보간된 영상에서의 경계 영역이 선명하게 표현된다.
마찬가지로, 도 4b에서와 같이 FRE의 경우에도 상술한 과정을 통하여 산출된 가중치(PC)는 보간할 화소 f'(i-1, j) 및 f'(i+1, j)의 화소값에 부가됨으로써 결과적으로 보간할 화소 f'(i-1, j) 및 f'(i+1, j)의 화소값을 감소시키게 된다.
이와 같은 경우에도 도 4b에서와 같이 가중치만큼 화소값이 강조됨으로써 보간된 영상의 경계 영역이 선명하게 표현된다.
이하 '512x512'의 해상도를 가지는 다양한 영상에 대해서 실험한 결과를 PSNR(Peek Signal to Noise Ratio)로 표 1에 나타내었다.
Test images Bilinear interpolation Cubic polynomial interpolation 본 발명에 따른 보간 방법
Baboon 22.69 22.48 22.85
Barbara 25.15 24.65 25.16
Pepper 31.47 30.90 31.49
Man 26.60 26.52 26.61
Zelda 35.75 35.98 36.59
Tiffany 30.51 30.47 31.54
Airplane 30.08 30.47 30.51
표 1에서 나타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에지 가중치 영상 보관 방법은 객관적으로 성능이 향상됨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도 5에서는 'barbara' 영상에 대하여 다양한 보간 방법에 따라 보간된 영상을 나타내었다. 도 5a는 확대한 원본 영상이고, 도 5b는 바이리니어 보간 방법에 따라 보간된 영상이고, 도 5c는 큐빅 보간 방법에 따라 보간된 영상이며, 도 5d는 본 발명에 따른 에지 가중치 영상 보간 방법에 따라 보간된 영상을 나타낸다.
도면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보간 방법은 주관적 화질에 있어서도 바이리니어 보간 방법 및 큐빅 보간 방법보다 보간 성능이 향상됨을 알 수 있다.
이하, 도 6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영상 보간 방법을 통하여 영상을 보간하는 과정을 간략히 설명한다.
먼저, 에지 검출부(110)는 보간할 화소에 인접한 화소의 화소값을 비교하여 에지를 검출한다(S610). 그리고, 가중치 산출부(130)는 상기 에지 검출부(110)에서 수신한 에지 검출 정보를 기초로 각각의 보간할 화소가 에지에 해당되는가를 판단하고(S620), 에지에 해당될 경우 수학식 1을 이용하여 화소값 차의 절대값을 소정 임계값과 비교함으로써 가중치(PC)를 산출한다(S630).
그리고 화소값 산출부(150)는 상기 보간할 화소가 RFE 및 FRE 중 어디에 해당하는가에 따라 상기 가중치와 보간할 화소에 인접한 화소의 화소값을 기초로 수학식 2 또는 수학식 3을 이용하여 보간할 화소의 화소값을 산출한다(S640).
한편 상기 화소값 산출부(150)는 보간할 화소가 RFE 및 RFE에 해당되지 않을 경우에는 상기 보간할 화소가 에지에 해당하지 않기 때문에 가중치를 부가하지 않고 화소값을 산출한다(S650).
상술한 모든 기능은 상기 기능을 수행하도록 코딩된 소프트웨어나 프로그램 코드 등에 따른 마이크로프로세서, 제어기, 마이크로제어기,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등과 같은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코드의 설계, 개발 및 구현은 본 발명의 설명에 기초하여 당업자에게 자명하다고 할 것이다.
이상 본 발명에 대하여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켜 실시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은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의 범위 내의 모든 실시예들을 포함한다고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영상 보간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영상 보간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영상 보간 방법에서 상승-하강 에지를 검출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영상 보간 방법에서 하강-상승 에지를 검출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a는 본 발명에 따른 영상 보간 방법에서 상승-하강 에지에서 보간할 화소의 화소값에 가중치를 적용함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영상 보간 방법에서 하강-상승 에지에서 보간할 화소의 화소값에 가중치를 적용함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영상 보간 방법의 성능을 비교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영상 보간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0: 에지 검출부 130: 가중치 산출부
150: 화소값 산출부

Claims (10)

  1. 보간할 화소에 인접한 화소의 화소값을 기초로 에지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보간할 화소가 상기 에지에 해당할 경우, 상기 에지 방향으로 상기 보간할 화소에 인접한 화소의 화소값 차의 절대값을 소정 임계값과 비교하여 가중치를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가중치와 상기 화소값을 이용하여 상기 보간할 화소의 화소값을 구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가중치를 산출하는 단계는 다음의 식(E-1)을 이용하여 산출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보간 방법.
    Figure 112010002864656-pat00022
    (E-1)
    여기서, th1는 제1 임계값, th2는 제2 임계값, PC는 가중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임계값(th1)은 16 내지 42이고, 상기 제2 임계값(th2)은 64 내지 96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보간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화소값을 구하는 단계는,
    상기 에지가 상승-하강 에지에 해당하는 경우 다음의 식(E-2)를 이용하고, 상기 에지가 하강-상승 에지에 해당하는 경우 다음의 식(E-3)를 이용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보간 방법.
    Figure 112010002864656-pat00023
    (E-2)
    Figure 112010002864656-pat00024
    (E-3)
    여기서, Pcur은 보간된 화소값, Pavr은 평균 화소값, PC는 가중치.
  4. 보간할 화소에 인접한 적어도 3개의 화소의 화소값을 기초로 에지를 검출하는 에지 검출부;
    상기 보간할 화소가 상기 에지에 해당할 경우 상기 에지 방향으로 상기 보간할 화소에 인접한 화소의 화소값 차의 절대값을 소정 임계값과 비교하여 가중치를 산출하는 가중치 산출부; 및
    상기 가중치와 상기 화소값을 기초로 상기 보간할 화소의 화소값을 산출하는 화소값 산출부를 포함하되,
    상기 가중치 산출부는 다음의 식(E-1)을 이용하여 상기 가중치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보간 장치.
    Figure 112010002864656-pat00025
    (E-1)
    여기서, th1는 제1 임계값, th2는 제2 임계값, PC는 가중치 계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임계값(th1)은 16 내지 42이고, 상기 제2 임계값(th2)은 64 내지 96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보간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화소값 산출부는,
    상기 에지가 상승-하강 에지에 해당하는 경우 다음의 식(E-2)를 이용하여 상기 보간할 화소의 화소값을 산출하고, 상기 에지가 하강-상승 에지에 해당하는 경우 다음의 식(E-3)를 이용하여 상기 보간할 화소의 화소값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보간 장치.
    Figure 112010002864656-pat00014
    (E-2)
    Figure 112010002864656-pat00015
    (E-3)
    여기서, Pcur은 보간된 화소값, Pavr은 평균 화소값, PC는 가중치.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080084506A 2008-08-28 2008-08-28 에지 가중치 영상 보간 장치 및 방법 KR1009533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4506A KR100953328B1 (ko) 2008-08-28 2008-08-28 에지 가중치 영상 보간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4506A KR100953328B1 (ko) 2008-08-28 2008-08-28 에지 가중치 영상 보간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5805A KR20100025805A (ko) 2010-03-10
KR100953328B1 true KR100953328B1 (ko) 2010-04-20

Family

ID=421772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84506A KR100953328B1 (ko) 2008-08-28 2008-08-28 에지 가중치 영상 보간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5332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10756B1 (ko) 2014-03-28 2016-04-08 주식회사 신도리코 스캐너 및 컬러 부정합 보정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37163B1 (ko) 2012-07-10 2019-04-09 삼성전자주식회사 방향 적응적 영상 보간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KR102303666B1 (ko) * 2015-06-24 2021-09-2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영상 처리 방법, 영상 처리 방법을 수행하는 영상 처리 장치, 및 영상 처리 장치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101845476B1 (ko) 2015-06-30 2018-04-05 한국과학기술원 영상 변환 장치 및 그 영상 변환 방법
WO2017003240A1 (ko) * 2015-06-30 2017-01-05 한국과학기술원 영상 변환 장치 및 그 영상 변환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01814A (ko) * 2004-04-20 2005-10-25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미지 변환 장치 및 그 방법
KR20050121148A (ko) * 2004-06-21 2005-12-26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보간방법 및 영상보간장치
KR20060098227A (ko) * 2005-03-11 2006-09-18 매그나칩 반도체 유한회사 이미지 보정 회로 및 이미지 보정 방법
KR20070080582A (ko) * 2006-02-07 2007-08-10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화상 처리 장치 및 방법, 기록 매체, 및, 프로그램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01814A (ko) * 2004-04-20 2005-10-25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미지 변환 장치 및 그 방법
KR20050121148A (ko) * 2004-06-21 2005-12-26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보간방법 및 영상보간장치
KR20060098227A (ko) * 2005-03-11 2006-09-18 매그나칩 반도체 유한회사 이미지 보정 회로 및 이미지 보정 방법
KR20070080582A (ko) * 2006-02-07 2007-08-10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화상 처리 장치 및 방법, 기록 매체, 및, 프로그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10756B1 (ko) 2014-03-28 2016-04-08 주식회사 신도리코 스캐너 및 컬러 부정합 보정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5805A (ko) 2010-03-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78272B1 (en) Non-linear and linear method of scale-up or scale-down image resolution conversion
KR101335900B1 (ko) 종횡비 변환을 위한 영상 데이터의 가변 스케일링
US8649635B2 (en) Image scaling method and apparatus
US8189941B2 (en) Image processing device, display device, image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KR100953328B1 (ko) 에지 가중치 영상 보간 장치 및 방법
US7259794B2 (en) De-interlacing device and method therefor
US20070091334A1 (en) Method of calculating correction data for correcting display characteristic, program for calculating correction data for correcting display characteristic and apparatus for calculating correction data for correcting display characteristic
KR101253213B1 (ko) 모바일 단말기의 영상 표시 제어 방법 및 장치
US20030030753A1 (en) Image processing device and method, and recording medium
EP1811454A2 (en) Edge area determining apparatus and edge area determining method
KR100952667B1 (ko) 저역 통과 필터링을 기반으로 한 영상 보간 장치 및 방법
US20120002902A1 (en) Image interpolating method based on direction detection and device thereof
US20180018522A1 (en) Method of extracting logo mask from video stream having logo
US9516260B2 (en) Video processing method and apparatus
JP4861114B2 (ja) 映像信号処理装置
TWI384417B (zh) 影像處理方法及其裝置
US6281875B1 (en) Gradient-based pixel interpolation
US7773264B2 (en) Apparatus for converting gray scale and method for the same
US8300150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US20100260435A1 (en) Edge Directed Image Processing
EP1876815A2 (en) Image processing method of pointer input system
JP2010157877A (ja)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2009147938A (ja) ビデオ映像形式の変換方法および対応する装置
JP7475190B2 (ja)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および制御プログラム
CN110299123B (zh) 音频处理器的自适应分辨率显示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1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