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52950B1 - 일회용컵 보관 기구 - Google Patents

일회용컵 보관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52950B1
KR100952950B1 KR1020090129083A KR20090129083A KR100952950B1 KR 100952950 B1 KR100952950 B1 KR 100952950B1 KR 1020090129083 A KR1020090129083 A KR 1020090129083A KR 20090129083 A KR20090129083 A KR 20090129083A KR 100952950 B1 KR100952950 B1 KR 1009529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p
support
present
storage mechanism
dispos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290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대규
Original Assignee
강대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대규 filed Critical 강대규
Priority to KR10200901290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5295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529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529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3/00Other table equipment
    • A47G23/02Glass or bottle holders
    • A47G23/0208Glass or bottle holders for drinking-glasses, plastic cups, or the like
    • A47G23/0216Glass or bottle holders for drinking-glasses, plastic cups, or the like for one glass or cup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77/00Kitchen cabinets
    • A47B77/04Provision for particular uses of compartments or other parts ; Compartments moving up and down, revolving parts
    • A47B77/14Provision for particular uses of compartments or other parts ; Compartments moving up and down, revolving parts by incorporation of racks or supports, other than shelves, for household utens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4208Means facilitating suspending, lifting, handling, or the like of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08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thin flat articles in succession
    • B65D83/0805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thin flat articles in succession through an aperture in a wall
    • B65D83/0811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thin flat articles in succession through an aperture in a wall with means for assisting dispensing
    • B65D83/0817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thin flat articles in succession through an aperture in a wall with means for assisting dispensing the articles being automatically urged towards the dispensing aperture, e.g. spring-loaded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4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7G19/00-A47G23/16
    • A47G2400/02Hygiene
    • A47G2400/025Avoiding contact with unclean surfa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able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양단에서 고정블록(22)을 개재하여 레일봉(25)을 지지하는 본체(20); 상기 레일봉(25) 상에 가동블록(32)을 개재하여 이동과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적어도 하나의 컵을 수용하기 위한 공간을 구비하는 지지대(30); 및 상기 지지대(30)의 수용공간 상에 상하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수용된 컵의 입구를 밀봉 상태로 지지하는 누름판(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설치공간의 제약이 크지 않으면서 다수의 일회용컵을 구분하여 보관할 수 있으므로 일단 사용된 일회용컵을 세척하여 재사용이 가능하여 물자절약과 환경오염 방지에 유용하다.
일회용, 컵, 보관, 위생, 장소, 절약, 환경

Description

일회용컵 보관 기구{Device for keeping disposable cub}
본 발명은 일회용컵 보관 기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설치공간의 제약이 크지 않으면서 다수의 일회용컵을 구분하여 보관할 수 있으므로 일단 사용된 일회용컵을 세척하여 재사용이 가능하여 물자절약과 환경오염 방지에 유용한 일회용컵 보관 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찍이 자판기 보급이 확산되고 일회용컵으로 인한 쓰레기 발생량이 증가되어 환경오염의 원인으로 지목되면서 사용을 규제하는 캠페인이 일기도 하고 일회용컵 회수대 설치를 통하여 자원화하려는 움직임도 있다. 그럼에도 일회용컵의 사용량을 줄이는 근본적인 대책이 되지 않는 폐단이 있다.
일예로,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0383991호는 『좌우 수납부와, 복수개의 수분통과공이 형성된 수분분리대와, 상기 수분분리대의 하부에 구비되는 좌·우 수분배출함과, 상기 수납부의 상측 소정부위에 구비되는 걸이대를 일체로 포함하여 본체를 구성하고; 상기 걸이대의 상부에는 중앙통공을 구비된 상판과, 원통관 형상을 이루는 컵유도부와; 상기 컵유도부의 내외측에 복수개 구비된 내외측 세로대와, 손잡이가 일체로 포함된 깔대기가 안착결합되되; 상기 걸이대는 직선막대형의 전후 면 장착부와, 반원형의 사용부로 구분구성되며, 상기 장착부와 사용부의 연결부위는 일정한 폭의 단턱을 형성하여 수거봉투의 이탈을 방지하는』 구성을 제안한다.
이는 1장씩 인출되는 수거봉투로 다량으로 일회용컵을 수거하여 재활용 과정에서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는 효과가 있지만, 외형이 커서 설치공간에 제약이 따를 뿐 아니라 일회용컵의 재사용을 위한 위생적 보관이 곤란하여 쓰레기 발생량을 줄이는 효과가 크지 않다.
다른 예로,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0152993호는 『지지대(10)의 양 측면으로 고정 설치되어 통상의 컵들이 수납 지지되는 다수의 원형 홀더(14A)(14B)와, 상기의 수납된 컵(40)을 받침하기 위해 상기 원형 홀더(14A)(14B)의 하부에 일정 간격을 두고 고정 설치되는 받침링(22)과, 상기 받침링(22)이 바닥면으로부터 이격되게 받침함과 동시에 지지대(10)가 넘어지지 않도록 안정적으로 받쳐주기 위한 받침다리(30,32) 및 상기의 지지대(10)의 일측으로 연장되게 절곡 형성되어져 휴대 운반시 파지하기 위한 손잡이(12)로 구성되는』 기술을 제안한다.
이는 다수의 컵을 한꺼번에 수납 보관이 용이하고 휴대 운반을 안정되고 위생적으로 할 수 있는 것으로 밝히고 있으나, 일회용컵의 재사용을 위해 이물질이 유입되지 않도록 위생적으로 보관하는 측면에서 여전히 개선의 여지가 크다.
종래기술의 문헌정보
[문헌1]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0383991호 “다량 수거백 장치를 이용한 일회용컵 수거통”
[문헌2]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0152993호 “컵보관대”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근본적으로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설치공간의 제약이 크지 않으면서 다수의 일회용컵을 구분하여 보관할 수 있으므로 일단 사용된 일회용컵을 세척하여 재사용이 가능하여 물자절약과 환경오염 방지에 유용한 일회용컵 보관 기구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양단에서 고정블록을 개재하여 레일봉을 지지하는 본체; 상기 레일봉 상에 가동블록을 개재하여 이동과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적어도 하나의 컵을 수용하기 위한 공간을 구비하는 지지대; 및 상기 지지대의 수용공간 상에 상하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수용된 컵의 입구를 밀봉 상태로 지지하는 누름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본체의 고정블록은 적어도 2방향의 슬랏을 지닌 커버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지지대는 배면에 레일봉과의 설치 각도를 변동하도록 멈춤돌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누름판은 복수의 지점에서 절개하여 하방향으로 절곡한 탄성편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 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상의 구성 및 작용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회용컵 보관 기구는 설치공간의 제약이 크지 않으면서 다수의 일회용컵을 구분하여 보관할 수 있으므로 일단 사용된 일회용컵을 세척하여 재사용이 가능하여 물자절약과 환경오염 방지에 유용한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보관기구를 정면과 배면에서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보관기구를 정면과 배면에서 나타내는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보관기구의 요부를 분리하여 나타내는 사시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보관기구의 지지대를 분리하여 각각 정면과 배면에서 나타내는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보관기구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양단에서 고정블록(22)을 개재하여 레일봉(25)을 지지하는 본 체(20)를 구비한다. 고정블록(22)은 벽면 등에 결합되는 부분으로서 볼트를 체결하기 위한 통공을 구비한다. 고정블록(22)의 일측면에는 레일봉(25)을 지지하기 위한 홈이 형성된다. 레일봉(25)은 수지제나 금속제의 봉재로서 소재의 강도에 따라 2~3개 범위로 사용하는 것이 좋다.
또, 본 발명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컵을 수용하기 위한 공간을 구비하는 지지대(30)가 상기 레일봉(25) 상에 가동블록(32)을 개재하여 이동과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지지대(30)는 측면에서 볼 때 ㄷ자형의 단면으로 형성되어 컵을 수용한다. 지지대(30)의 배면에는 가동블록(32)이 스프링(36), 볼트(37), 너트(38)를 이용하여 고정된다. 즉, 지지대(30)와 가동블록(32)은 볼트(37) 상에 상대운동 가능하게 지지하지만, 볼트(37) 상에 개재되는 스프링(36)에 의해 지지대(30)와 가동블록(32)을 밀착 상태로 유지한다. 가동블록(32)은 레일봉(25)에 설치하기 위한 통공을 구비하여 레일봉(25) 상에서 위치를 변동할 수 있으므로 다수개의 지지대(30)를 원하는 개수와 간격으로 장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지지대(30)는 배면에 레일봉(25)과의 설치 각도를 변동하도록 멈춤돌기(35)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일회용컵 보관 기구는 협소한 장소에 설치가 가능한 특징을 지니므로 레일봉(25)을 필요에 따라 수평 또는 수직으로 설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레일봉(25)에 장착되는 지지대(30)의 위치도 연동적으로 변경되어야 하므로 이를 위해 지지대(30)의 배면에 멈춤돌기(35)를 형성한다.
도 5에 도시하는 것처럼 멈춤돌기(35)는 4개의 작은 블록을 인접하게 배치하여 십자형의 홈이 형성되도록 한다. 십자형의 홈은 레일봉(25)과 지지대(30)의 결 합 위치가 90°단위로 변경되도록 한다. 물론 멈춤돌기(35)의 배치 형태를 변경하면 보다 다양한 각도 단위로 지지대(30)의 결합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따르면 수용된 컵의 입구를 밀봉 상태로 지지하는 누름판(40)이 상기 지지대(30)의 수용공간 상에 상하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누름판(40)은 컵의 저면이 지지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되고, 후크(42)를 이용하여 지지대(30)의 저면에 상하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누름판(40)은 컵의 저면 또는 상면에 접하면서 지지대(30)의 상측으로 컵을 밀어 내부공간을 밀폐한다.
이때, 상기 누름판(40)은 복수의 지점에서 절개하여 하방향으로 절곡한 탄성편(45)을 구비한다. 도 4처럼 탄성편(45)은 누름판(40)의 일측에 1개 타측에 2개의 지점에서 절개하여 절곡된 형태이다. 이에 따라 누름판(40)은 탄성편(45)을 개재하여 지지대(30)의 저면에 접촉되고 상측으로 탄성력을 작용한다. 물론 탄성편(45) 대신에 별도의 압축스프링을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변형예로서, 상기 본체(20)의 고정블록(22)은 적어도 2방향의 슬랏(28a)(28b)을 지닌 커버(28)를 더 구비한다. 커버(28)는 압입 방식 또는 볼트 체결 방식으로 고정블록(22)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된다. 커버(28) 상에 형성되는 제1슬랏(28a)은 레일봉(25)의 수평 설치를 위한 용도이고 슬랏(28b)은 레일봉(25)의 수직 설치를 위한 용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레일봉(25)을 수평으로 설치하는 경우를 나타내는 바, 다수의 지지대(30)가 레일봉(25) 상에 장착되어 재사용컵(10)을 지지한다. 각 사용자는 자신의 일회용컵을 세척한 재사용컵(10)을 자신의 지지대(30)에 위생적으로 보 관할 수 있다. 재사용컵(10)은 입구를 상측으로 둘 수도 있고 하측으로 둘 수도 있으며, 누름판(40)이 재사용컵(10)을 탄성력으로 가압하여 입구에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만일, 주변의 장소가 협소하여 레일봉(25)을 수직으로 설치해야 하는 경우에 고정블록(22)과 레일봉(25)을 고정하는 방식은 동일하며 단지 지지대(30)를 전방으로 당겨 회전시킨 후 다시 놓기만 하면 된다. 지지대(30)를 당기는 순간 스프링(36)이 압축되면서 볼트(37) 상으로 인출되기 때문이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변형예에 따른 보관기구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9는 도 7 및 도 8에 적용되는 다양한 형태의 적재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변형예에 따른 누름판을 지닌 보관기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전술한 커버(28)의 슬랏(28a)(28b)은 재사용컵(10)이 아닌 미사용컵(15)을 수용하도록 본 발명의 변형예에 의한 적재대(51)(55)를 장착할 수 있도록 한다. 일측의 적재대(51)는 스위치를 눌러 컵을 낙하하는 인출부(53)를 구비하는 형태로서 상단의 브라켓(52)에 형성된 절곡편(52a)을 커버(28)의 슬랏(28a)(28b) 중 하나에 끼워 장착한다. 타측의 적재대(55)는 컵모양의 안착부(57)를 구비하는 형태로서 브라켓(56)에 형성된 절곡편(56a)을 커버(28)의 슬랏(28a)(28b) 중 하나에 끼워 장착한다.
이에 따라, 레일봉(25)을 수평으로 설치하는가(도 7 참조) 수직으로 설치하는가(도 8 참조)에 따라서 적재대(51)(55)의 고정 위치도 변동이 가능하다.
도 9에서, 절곡편(52a)을 지닌 브라켓(52)을 사용한다면 시중에서 판매되는 다양한 형태의 적재대(51)를 사용할 수 있다.
도 10에서, 누름판(40)의 상면에는 다수의 굴곡을 지닌 요철홈(40a)을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요철홈(40a)은 누름판(40)을 경박단소화하면서 기계적 강도를 증대하기도 하지만, 일회용컵을 세척하여 거꾸로 보관시 물을 낙하시켜 빨리 건조되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은 비단 재사용컵(10) 또는 미사용컵(15) 이라는 일회용컵을 기준으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이 뿐만 아니라 개인용 도자기 컵, 플라스틱 컵, 유리컵 등을 보관하는 용도로도 적절하다. 이 경우 지지대(30)와 누름판(40)은 물론 적재대(55)를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보관기구를 정면과 배면에서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보관기구를 정면과 배면에서 나타내는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보관기구의 요부를 분리하여 나타내는 사시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보관기구의 지지대를 분리하여 각각 정면과 배면에서 나타내는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보관기구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변형예에 따른 보관기구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9는 도 7 및 도 8에 적용되는 다양한 형태의 적재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변형예에 따른 누름판을 지닌 보관기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10: 재사용컵 15: 미사용컵
20: 본체 22: 고정블록
25: 레일봉 28: 커버
30: 지지대 32: 가동블록
35: 멈춤돌기 36: 스프링
40: 누름판 42: 후크
45: 탄성편 51, 55: 적재대
52, 56: 브라켓 52a, 56a: 절곡편
53: 인출부 57: 안착부

Claims (4)

  1. 양단에서 고정블록(22)을 개재하여 레일봉(25)을 지지하는 본체(20);
    상기 레일봉(25) 상에 가동블록(32)을 개재하여 이동과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적어도 하나의 컵을 수용하기 위한 공간을 구비하는 지지대(30); 및
    상기 지지대(30)의 수용공간 상에 상하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수용된 컵의 입구를 밀봉 상태로 지지하는 누름판(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컵 보관 기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20)의 고정블록(22)은 적어도 2방향의 슬랏(28a)(28b)을 지닌 커버(28)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컵 보관 기구.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30)는 배면에 레일봉(25)과의 설치 각도를 변동하도록 멈춤돌기(35)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컵 보관 기구.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판(40)은 복수의 지점에서 절개하여 하방향으로 절곡한 탄성편(45)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컵 보관 기구.
KR1020090129083A 2009-12-22 2009-12-22 일회용컵 보관 기구 KR1009529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9083A KR100952950B1 (ko) 2009-12-22 2009-12-22 일회용컵 보관 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9083A KR100952950B1 (ko) 2009-12-22 2009-12-22 일회용컵 보관 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52950B1 true KR100952950B1 (ko) 2010-04-15

Family

ID=422199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29083A KR100952950B1 (ko) 2009-12-22 2009-12-22 일회용컵 보관 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5295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2984B1 (ko) * 2013-05-10 2015-04-20 주식회사 희원 도어용 행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5416A (ja) * 1991-06-26 1993-01-26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収納装置
JPH07164947A (ja) * 1993-12-13 1995-06-27 Seiichi Imoto 缶入り及び瓶入り飲料物用スタンド
JP2001253284A (ja) 2000-03-14 2001-09-18 Johnson Controls Automotive Systems Corp 車両用アームレストのカップホルダー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5416A (ja) * 1991-06-26 1993-01-26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収納装置
JPH07164947A (ja) * 1993-12-13 1995-06-27 Seiichi Imoto 缶入り及び瓶入り飲料物用スタンド
JP2001253284A (ja) 2000-03-14 2001-09-18 Johnson Controls Automotive Systems Corp 車両用アームレストのカップホルダ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2984B1 (ko) * 2013-05-10 2015-04-20 주식회사 희원 도어용 행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52950B1 (ko) 일회용컵 보관 기구
CN209899313U (zh) 一种新型的用于洗碗机的奶瓶固定架结构
CN201558089U (zh) 组合式厨用水槽
CN103303620B (zh) 一种装有拉帘的连续性垃圾收集装置
KR20120016391A (ko) 재활용 분리 수거용 이동 퍼즐식 쓰레기통
KR20110085560A (ko) 일회용컵 보관 기구
CN210493761U (zh) 一种新型饮水机
CN208802402U (zh) 护士站垃圾收集装置
CN202015367U (zh) 消毒柜餐具架
KR20120076259A (ko) 청소도구를 겸비한 쓰레기통
CN214609541U (zh) 一种可以增加垃圾桶稳定性的底座结构
CN105274786A (zh) 一种带储物盒的洗衣机
CN203860673U (zh) 多功能马桶刷座
CN202618788U (zh) 新型多功能桌
CN212268482U (zh) 一种家用的干湿垃圾分类垃圾桶
CN217771990U (zh) 一种客厅柜台放置的杯架结构
CN219578671U (zh) 一种便于清理的生活用品盒
CN203461380U (zh) 一种装有拉帘的连续性垃圾收集装置
CN218684207U (zh) 清洁设备及储存桶
CN201275000Y (zh) 锅盖集水器
KR200449024Y1 (ko) 접이식 쓰레기 분리수거대
CN213355689U (zh) 一种具有分类回收功能的园林整理用垃圾收容装置
CN211271807U (zh) 一种产妇产后护理设备
CN202604753U (zh) 便利簸箕
CN208631337U (zh) 一种垃圾桶及厕所清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1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1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1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2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