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52197B1 - 수식 편집기 및 수식 편집 방법 - Google Patents

수식 편집기 및 수식 편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52197B1
KR100952197B1 KR1020080059533A KR20080059533A KR100952197B1 KR 100952197 B1 KR100952197 B1 KR 100952197B1 KR 1020080059533 A KR1020080059533 A KR 1020080059533A KR 20080059533 A KR20080059533 A KR 20080059533A KR 100952197 B1 KR100952197 B1 KR 1009521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ipt
equation
displayed
window
visual in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595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00150A (ko
Inventor
김세정
황호철
나민욱
윤현모
Original Assignee
엔에이치엔(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엔에이치엔(주) filed Critical 엔에이치엔(주)
Priority to KR10200800595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52197B1/ko
Publication of KR201000001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01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521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521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2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cursor appearance or behaviour, e.g. being affected by the presence of displayed objec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using ic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10Text processing
    • G06F40/103Formatting, i.e. changing of presentation of documents
    • G06F40/111Mathematical or scientific formatting; Subscripts; Superscrip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10Text processing
    • G06F40/166Editing, e.g. inserting or deleting
    • G06F40/186Templa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lgebra (AREA)
  • Mathematical Analysis (AREA)
  • Mathematical Optimization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Pure & Applied Mathemat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편집 중인 문서에 수학식을 삽입할 수 있는 수식 편집기 및 그 방법이 제공된다.
수식 편집기는, 편집 중인 수학식을 비쥬얼 입력창에 표시하여 위지위그(WISIWYG) 방식으로 편집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는 비쥬얼 편집부, 상기 편집 중인 수학식에 대응하는 스크립트(script)를 스크립트 창에 표시하고, 상기 표시된 스크립트를 편집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는 스크립트 편집부 및 상기 비쥬얼 입력창에 표시된 상기 수학식 내의 커서 위치와 상기 스크립트 창에 표시된 상기 스크립트 내의 커서 위치를 동기화하여 상기 동기화된 커서 위치를 상기 비쥬얼 입력창 및 상기 스크립트 창에 각각 표시하는 커서 동기화부를 포함한다.
수식, 편집, 커서, 동기화, 오류

Description

수식 편집기 및 수식 편집 방법{EQUATION EDITOR AND EQUATION EDITING METHOD}
본 발명은 수식 편집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편집 중인 문서에 수학식을 삽입할 수 있는 수식 편집기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웹 기반의 인터넷에서 양방향 통신은 일반적으로 CGI(Common Gateway Interface) 프로그램에 의한 게시판 및 방명록 등에 이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게시판 및 방명록은 텍스트(Text) 기반의 정보의 게시에 한정되어 있어 텍스트 이외의 도형, 특수 문자, 수학 기호 등을 표현하여 질문 및 답변을 할 수 없었다.
그러나 인터넷 인구가 늘어나면서 온라인을 기반으로 하는 양방향 통신 에 대한 요구가 늘어나고, 교환하려는 정보의 종류도 문자 이외의 정보로 확장되어, 이미지 정보의 교환 방식도 파일 교환이 아니라 웹 브라우저를 통해 실시간으로 이미지로서 확인할 필요성이 매우 높아지고 있다. 특히, 수학 과목 등의 온라인 강의의 경우 웹 사이트에서 강의를 하려면 질의 응답 내용에는 다양한 특수 기호가 필요하고, 나아가 변수를 입력한 적분 기호 등도 게시판에서 실시간으로 작성하여 교 환할 필요성이 절실해지고 있다.
수식 입력 방식에는 초창기에 개발된 스크립트(Script) 입력 방식과 위지위그(WYSIWYG)를 고려한 비쥬얼(Visual) 입력 방식 2가지가 존재하는데, 최근에는 사용이 쉬운 비쥬얼 입력 방식이 강화되고 있는 추세이다.
아래 한글은 2007 버전에서 비쥬얼 입력 방식의 사용성을 높여 작성의 신속함과 편리함을 확보한 반면, 엠에스 워드(MS Word) 2007의 경우는 스크립트 입력 방식을 아예 제거하거나, 수식 편집기와 텍스트 에디터를 일체화하거나, 수식 선택 기능을 강화하는 등의 새로운 시도를 보여주고 있다.
최근에는, 액티브엑스(ActiveX) 기반으로 웹 브라우저 내에서 도형, 특수 문자, 그림, 수식 등을 작성할 수 있는 기술이 제안되었다.
이러한 선행 기술로서, 한국 등록 특허 제10-0433820호는 사용자가 웹 브라우저 상에서 실시간 이미지 생성 기술을 이용하여 웹 기반의 수식 기호를 게시판에 표시할 수 있는 ‘수식 기호를 게시판에 표시하는 시스템, 그 방법 및 기록 매체’를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선행 기술은, 웹 브라우저 상에서 실시간으로 수식을 작성하여 게시판에 게시할 수 있는 기술을 개시하고는 있으나, 액티브엑스(ActiveX) 기반의 수식 편집기를 제공하고 있기 때문에 수식을 작성하기 위해서는 사용자의 단말에 액티브엑스 컨트롤(ActiveX Control)을 설치해야만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이 수식 편집기들은 외관상으로는 데스크탑용과 비슷한 형태를 띄고 있으나, 기능성이나 사용성 측면에서는 매우 열악하여 매끄러운 수식 입력이 불가 능하였다.
그러나, 상기 선행 기술은, 웹 브라우저 상에서 실시간으로 수식을 작성하여 게시판에 게시하는 기술을 개시하고 있을 뿐, 수학식이 표시되는 비쥬얼 입력창 및 수학식에 해당하는 스크립트가 표시되는 스크립트 창에서의 각 커서의 위치를 동기화하여 동시에 표시하는 방법을 제공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사용자가 비쥬얼 입력창을 통해 편집 중인 수학식 내에서의 커서의 위치가 스크립트 내의 어느 부분에 해당하는지, 또는 스크립트 창을 통해 편집 중인 스크립트 내에서의 커서의 위치가 수학식 내의 어느 부분에 해당하는지를 확인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에는, 편집 중인 수학식 스크립트에 오류가 발생한 경우에 오류가 발생한 영역을 자동으로 표시하거나 발생한 오류에 대한 도움말을 제공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오류가 발생한 위치 및 오류가 발생한 원인을 확인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편집 중인 수학식 내의 커서의 위치 및 이 수학식에 해당하는 스크립트 내의 커서의 위치를 동기화하여 사용자가 현재 편집 중인 수학식 및 스크립트 내에서의 커서의 위치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동기화된 커서의 위치를 비쥬얼 입력창 및 스크립트 창에 각각 표시하는 수식 편집기 및 수식 편집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편집 중인 수학식 스크립트에 오류가 발생한 경우에 오류가 발생한 영역 및 발생한 오류에 대한 원인을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오류가 발생한 영역을 수학식 내의 블록으로서 자동으로 표시하고, 발생한 오류에 대한 도움말을 제공하는 수식 편집기 및 수식 편집 방법을 제공한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제 1 측면은 편집 중인 문서에 수학식을 삽입할 수 있는 수식 편집기에 있어서, 편집 중인 수학식을 비쥬얼 입력창에 표시하여 위지위그(WISIWYG) 방식으로 편집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는 비쥬얼 편집부, 상기 편집 중인 수학식에 대응하는 스크립트(script)를 스크립트 창에 표시하고, 상기 표시된 스크립트를 편집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는 스크립트 편집부 및 상기 비쥬얼 입력창에 표시된 상기 수학식 내의 커서 위치와 상기 스크립트 창에 표시된 상기 스크립트 내의 커서 위치를 동기화하 여 상기 동기화된 커서 위치를 상기 비쥬얼 입력창 및 상기 스크립트 창에 각각 표시하는 커서 동기화부를 포함하는 수식 편집기를 제공한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제 2 측면은 편집 중인 문서에 수학식을 삽입할 수 있는 수식 편집 방법에 있어서, 편집 중인 수학식을 비쥬얼 입력창에 표시하는 단계, 상기 편집 중인 수학식에 대응하는 스크립트(script)를 스크립트 창에 표시하는 단계, 상기 비쥬얼 입력창에 표시된 상기 수학식 내의 커서 위치와 상기 스크립트 창에 표시된 상기 스크립트 내의 커서 위치를 동기화하는 단계 및 상기 동기화된 커서 위치를 상기 비쥬얼 입력창 및 상기 스크립트 창에 각각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수식 편집 방법을 제공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하나에 의하면, 편집 중인 수학식 내의 커서의 위치 및 이 수학식에 해당하는 스크립트 내의 커서의 위치를 동기화하여 비쥬얼 입력창 및 스크립트 창에 각각 표시하여 사용자가 현재 편집 중인 수학식 및 스크립트 내에서의 커서의 위치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다른 하나에 의하면, 편집 중인 수학식에 오류가 발생한 경우에 오류가 발생한 영역을 자동으로 수학식 내의 블록으로서 표시하고, 발생한 오류에 대한 도움말을 제공하여 오류가 발생한 영역 및 발생한 오류에 대한 내용을 쉽게 확인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에는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편집 중인 문서에 수학식을 삽입할 수 있는 수식 편집기 및 그 방법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식 편집기 제공 시스템의 연결 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식 편집기를 제공하는 시스템은 클라이언트(100), 네트워크(200) 및 웹 서버(300)를 포함하며, 웹 서버(300)는 수식 편집기(310)를 포함한다.
클라이언트(100)는 휴대용 단말기나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휴대 용 단말기는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하고, 컴퓨터는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데스크톱(desktop), 노트북, 랩톱(laptop) 등을 포함한다.
네트워크(200)는 근거리 통신망(Local Area Network; LAN), 광역 통신망(Wide Area Network; WAN) 또는 부가가치 통신망(Value Added Network; VAN) 등과 같은 유선 네트워크나 이동 통신망(mobile radio communication network), 위성 통신망, 블루투스(Bluetooth),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HSDPA(High Speed Dwonlink Packet Access)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무선 네트워크로 구현될 수 있다.
웹 서버(300)는 네트워크(200)를 통해 클라이언트(100)가 참여할 수 있는 블로그, 커뮤니티, 게시판, 카페, 미니 홈피 등의 웹 사이트를 운영하며, 웹 브라우저 상에서 실시간으로 수식을 작성하여 블로그, 커뮤니티, 게시판 등에 게시할 수 있도록 플래쉬(Flash) 기반의 수식 편집기(310)를 클라이언트(100)에게 제공한다.
수식 편집기(310)는 수학식 및 수학식에 해당하는 스크립트를 표시하여 사용자가 수학식을 편집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며, 편집 중인 수학식 내의 커서의 위 치 및 이 수학식에 해당하는 스크립트 내의 커서의 위치를 동기화하여 사용자가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동기화된 커서의 위치를 비쥬얼 입력창 및 스크립트 창에 각각 표시한다. 또한, 수식 편집기(310)는 편집 중인 수학식에 오류가 발생한 경우, 오류가 발생한 영역을 비쥬얼 입력창 및 스크립트 창 내의 블록으로서 자동 표시하며, 발생한 오류에 대한 도움말을 제공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식 편집 화면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식 편집 화면(400)은 수식 버튼 영역410), 기호 버튼 영역(420), 비쥬얼 입력창(430) 및 스크립트 창(440)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식 편집기(310)는 액티브엑스 컨트롤(ActiveX Control) 등의 설치가 필요 없는 플래쉬(Flash) 기반의 수식 편집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수식 버튼 영역(410)은 분수, 첨자, 근호, 미분, 적분, 대형 연산자, 대괄호, 악센트, 극한, 로그, 연산자(상호 관계), 행렬 등의 각 수식 버튼을 카테고리 별로 표시한다. 각 수식 버튼은 해당 카테고리에서 가장 자주 쓰이는 수식을 표시하며, 각 수식 버튼을 클릭하면 해당 카테고리의 수식 목록이 표시된다. 각 수식은 변수 입력이 가능한 템플릿으로서 제작되어 템플릿 DB(311) (도 3 참조)에 저장된다. 예를 들어, 정적분 수식 '
Figure 112008045167678-pat00001
'의 경우 상한 값과 하한 값의 변수를 사용자가 원하는 값을 입력할 수 있는 박스 형태의 입력란을 구비한 템플릿으로 제작한다.
기호 버튼 영역(420)은 수학식 표현에 관련된 그리스 문자, 글자꼴 기호, 연산자, 관계 연산자, 관계 부정 연산자, 화살표, 논리 기호, 기하 도형, 단위 등 각 기호 버튼을 카테고리 별로 표시한다. 기호 버튼 영역(420)은 카테고리 별로 2개씩의 대표 기호 버튼으로 이루어지며, 각 대표 기호 버튼을 클릭하면 해당 카테고리의 기호 목록이 표시된다.
비쥬얼 입력창(430)은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수학식을 표시한다. 사용자는 비쥬얼 입력 창(430)에 표시된 수학식을 위지위그(WISIWYG) 방식으로 편집할 수 있다.
스크립트 창(440)은 비쥬얼 입력창(430)에 표시된 수학식에 해당하는 스크립트(script)를 표시하며, 사용자는 스크립트 창(440)을 통해 비쥬얼 입력창(430)에 표시된 수학식에 해당하는 스크립트를 편집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편집 중인 문서에 수학식을 삽입할 수 있는 수식 편집기의 세부 구성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식 편집기(310)는 템플릿 DB(311), 수식 선택부(312), 비쥬얼 편집부(313), 스크립트 편집부(314), 커서 동기화부(315), 블록 표시부(316) 및 오류 표시부(317)를 포함한다.
템플릿 DB(311)는 분수, 첨자, 근호, 미분, 적분, 대형 연산자, 대괄호, 악센트, 극한, 로그, 연산자(상호 관계), 행렬 등의 다수의 수식 템플릿 및 수학식 표현에 관련된 그리스 문자, 글자꼴 기호, 연산자, 관계 연산자, 관계 부정 연산자, 화살표, 논리 기호, 기하도형, 단위 등의 다수의 기호 템플릿을 각 카테고리 별로 분류하여 저장한다.
수식 선택부(312)는 템플릿 DB(311)에 저장된 다수의 수식 템플릿 및 기호 템플릿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하나 이상의 수식 템플릿 및 기호 템플릿을 비쥬얼 입력창(430) 및 스크립트 창(440)에 각각 표시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비쥬얼 편집부(313)는 수학식을 비쥬얼 입력창(430)에 표시하고, 이 표시된 수학식을 위지위그(WISIWYG) 방식으로 편집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한다.
스크립트 편집부(314)는 편집 중인 수학식에 대응하는 스크립트(script)를 스크립트 창(440)에 표시하고, 이 표시된 스크립트를 편집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한다.
커서 동기화부(315)는 비쥬얼 입력창(430)에 표시된 수학식 내의 커서 위치와 스크립트 창(440)에 표시된 스크립트 내의 커서 위치를 동기화하여 이 동기화된 커서 위치를 비쥬얼 입력창(430) 및 스크립트 창(440)에 각각 표시한다. 또한, 커서 동기화부(315)는 스크립트 내의 커서 위치에 대응하는 부분을 비쥬얼 입력창(430)에 표시된 수학식 내의 블록으로서 표시할 수 있다.
도 4a 내지 도 4b는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비쥬얼 에디터 상의 커서의 위치와 스크립트 에디터 상의 커서의 위치를 동기화시킨 수식 편집 화면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a를 참조하면, 스크립트 창(440)에 표시된 스크립트 내의 커서 위치에 대응하는 부분이 비쥬얼 입력창(430)에 표시된 수학식 내의 블록으로서 표시되어 있다. 예를 들어, 스크립트 창(440)에서 수학식 "
Figure 112008045167678-pat00002
" 에 대응하는 스크립트 "{{{{-b}{plusminus}{sqrt{{b}^{2}-4ac}}}}} over {2a}"의 작성 중에 스크립트 "sqrt{{b}^{2}-4ac}" 내의 "b"의 뒤쪽에 커서가 위치한 경우, 비쥬얼 입력창(430)에 표시된 수학식 내에서, 상기 커서에 해당하는 부분인 "b"를 블록으로서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도 4b에서와 같이, 스크립트 창(440)에서 스크립트 내의 "4ac"의 앞쪽에 커서가 위치한 경우, 비쥬얼 입력창(430) 상에 표시된 수학식 내에서, 상기 커서에 해당하는 부분인 "b2 - 4ac"서 표시할 수 있다.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동기화된 커서 위치 및 블록은 예시일 뿐이며,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블록 표시부(316)는 비쥬얼 입력창(430)에 표시된 수학식 내의 일부 영역을 마우스 드래그로 선택한 경우, 스크립트 창(440)에 표시된 스크립트 내의 선택된 수학식 영역에 해당하는 부분을 블록으로서 표시한다. 또한, 블록 표시부(316)는 스크립트 창(440)에 표시된 스크립트 내의 일부 영역을 마우스 드래그로 선택한 경우, 비쥬얼 입력창(430)에 표시된 수학식 내의 선택된 스트립트 영역에 해당하는 부분을 블록으로서 표시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마우스 드래그로 선택된 영역의 해당 부분을 블록으로서 표시한 수식 편집 화면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비쥬얼 입력창(430)에 표시된 수학식 내의 일부 영역을 마우스 드래그로 선택한 경우, 스크립트 창(440)에 표시된 스크립트 내에서 비쥬얼 입력창(430)에서 선택된 영역에 해당하는 스크립트를 블록으로서 표시한다. 예를 들어, 비쥬얼 입력창(430)에 표시된 수학식 "
Figure 112008045167678-pat00003
" 내의 "4ac"를 마우스 드래그로 선택한 경우, 상기 수학식 "
Figure 112008045167678-pat00004
"에 대응하는 스크립트 "{{{{-b}{plusminus}{sqrt{{b}^{2}-4ac}}}}} over {2a}"내에서 상기 선택된 수학식 "4ac"에 대응하는 스크립트 "4ac"을 블록으로서 표시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스크립트 창(440)에 표시된 스크립트 내의 일부 영역을 마우스 드래그로 선택한 경우, 비쥬얼 입력창(430)에 표시된 수학식 내에서 스크립트 창(440)에서 선택된 영역에 해당하는 수학식을 블록으로서 표시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스크립트 창(440)에 표시된 스크립트 "{{{{-b}{plusminus}{sqrt{{b}^{2}-4ac}}}}} over {2a}"내의 "4ac"를 마우스 드래그로 선택한 경우, 상기 스크립트에 대응하는 수학식 "
Figure 112008045167678-pat00005
" 내에서 상기 선택된 스크립트 "4ac"에 대응하는 수학식 "4ac"을 블록으로서 표시할 수 있다.
이때 마우스 드래그에 의해 블록으로서 표시되는 부분은 커서가 동기화된 경우 사용되는 색상과 다른 색상을 사용하여 표시될 수 있다.
오류 표시부(317)는 오류가 발생하면 오류가 발생한 스크립트 영역 또는 수학식 영역을 블록으로서 표시하고, 발생한 오류에 대한 도움말을 표시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오류 발생 영역을 블록으로서 표시한 수식 편집 화면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편집 중인 수학식에 오류가 발생한 경우, 오류가 발생한 스크립트 영역 및 수학식 영역을 블록으로서 자동 표시하고 오류 발생 내용에 대한 도움말을 표시한다. 예를 들어, 스크립트 창(440)에서 수학식인 "
Figure 112008045167678-pat00006
"에 대한 스크립트 "{{{{-b}{plusminus}{sqrt{{b}^{2}-4ac}}}}} over {2a}"의 작성 중에 루트(
Figure 112008045167678-pat00007
)에 대하여 닫는 괄호(})를 실수로 삭제한 경우 비쥬얼 입력창(430) 상의 수학식에서 오류가 발생한 영역 "
Figure 112008045167678-pat00008
"을 블록으로서 자동 표시하고, 스크립트 창(440) 상의 스크립트 내에서 오류가 발생한 "sqrt{"를 블록으로서 자동 표시하며, 삭제된 대괄호 "}"의 위치에 커서를 표시한다. 또한, 오류 발생 내용을 "! 작성된 스크립트에 오류가 있습니다" 또는 "! 닫힘 괄호를 입력해야 합니다" 등의 도움말을 표시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편집 중인 문서에 수학식을 삽입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단계(S11)에서는 편집 중인 수학식을 비쥬얼 입력창(430)에 표시하고, 단 계(S12)에서는, 편집 중인 수학식에 대응하는 스크립트(script)를 스크립트 창(440)에 표시한다. 단계(S11)과 단계(S12)는 거의 동시에 실행된다.
단계(S13)에서는 비쥬얼 입력창(430)에 표시된 수학식 내의 커서 위치와 스크립트 창(440)에 표시된 스크립트 내의 커서 위치를 동기화한 다음, 단계(S14)로 진행하여, 동기화된 커서 위치를 비쥬얼 입력창(430) 및 스크립트 창(440)에 각각 표시한다.
단계(S15)에서는 비쥬얼 입력창(430)에 표시된 수학식 내의 일부 영역이 마우스 드래그로 선택되었는지를 판단하여, 마우스 드래그로 선택되지 않은 경우에는 단계(S17)로 진행하는 반면에, 마우스 드래그로 선택된 경우에는 단계(S16)으로 진행하여, 스크립트 창(440)에 표시된 스크립트 내에서 선택된 수학식 영역에 해당하는 부분을 자동으로 블록으로서 표시한다. 또한, 이와 역으로, 스크립트 창(440)에 표시된 스크립트 내에서 일부 영역이 마우스 드래그로 선택된 경우에는 비쥬얼 입력창(430)에 표시된 수학식 내에서 선택된 스트립트 영역에 해당하는 부분을 자동으로 블록으로서 표시할 수도 있다.
단계(S17)에서는 편집 중인 수학식 내의 오류 발생 여부를 판단하여, 오류가 발생한 경우에는 단계(18)로 진행하여, 오류가 발생한 스크립트 영역 및 수학식 영역을 블록으로서 자동 표시한 다음, 단계(S19)로 진행하여, 발생한 오류에 대한 도움말을 표시한다.
발명의 일 실시예는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 및 통신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통신 매체는 전형적으로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반송파와 같은 변조된 데이터 신호의 기타 데이터, 또는 기타 전송 메커니즘을 포함하며, 임의의 정보 전달 매체를 포함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식 편집기 제공 시스템의 연결 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식 편집 화면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편집 중인 문서에 수학식을 삽입할 수 있는 수식 편집기의 세부 구성도이다.
도 4a 내지 도 4c는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동기화된 커서의 위치를 표시한 수식 편집 화면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마우스로 드래그된 영역에 해당하는 부분을 블록으로서 표시한 수식 편집 화면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오류 발생 영역을 블록으로서 표시한 수식 편집 화면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편집 중인 문서에 수학식을 삽입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Claims (12)

  1. 편집 중인 문서에 수학식을 삽입할 수 있는 수식 편집기에 있어서,
    편집 중인 수학식을 비쥬얼 입력창에 표시하여 위지위그(WISIWYG) 방식으로 편집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는 비쥬얼 편집부,
    상기 편집 중인 수학식에 대응하는 스크립트(script)를 스크립트 창에 표시하고, 상기 표시된 스크립트를 편집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는 스크립트 편집부 및
    상기 비쥬얼 입력창에 표시된 상기 수학식 내의 커서 위치와 상기 스크립트 창에 표시된 상기 스크립트 내의 커서 위치를 동기화하여, 상기 동기화된 커서 위치를 상기 비쥬얼 입력창 및 상기 스크립트 창에 각각 표시하는 커서 동기화부
    를 포함하는 수식 편집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서 동기화부는 상기 스크립트 내의 커서 위치에 대응하는 부분을 상기 비쥬얼 입력창에 표시된 수학식 내의 블록으로서 표시하는 것인 수식 편집기.
  3. 제 1 항에 있어서,
    다수의 수식 템플릿을 저장하는 템플릿 DB 및
    상기 다수의 수식 템플릿 중 하나 이상을 선택하여, 상기 비쥬얼 입력창 및 상기 스크립트 창에 표시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수식 선택부
    를 더 포함하는 수식 편집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비쥬얼 입력창에 표시된 수학식 내의 일부 영역을 마우스 드래그로 선택한 경우, 상기 스크립트 창에 표시된 스크립트 내의 상기 선택된 수학식 영역에 해당하는 부분을 블록으로서 표시하는 블록 표시부
    를 더 포함하는 수식 편집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립트 창에 표시된 스크립트 내의 일부 영역을 마우스 드래그로 선택한 경우, 상기 비쥬얼 입력창에 표시된 수학식 내의 상기 선택된 스트립트 영역에 해당하는 부분을 블록으로서 표시하는 블록 표시부
    를 더 포함하는 수식 편집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립트 창에 표시된 스크립트 내에 오류가 발생한 경우, 상기 비쥬얼 입력창에 표시된 수학식 내에서 상기 오류가 발생한 영역을 블록으로서 표시하는 오류 표시부
    를 더 포함하는 수식 편집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오류 표시부는, 상기 오류에 대한 도움말을 제공하는 것인 수식 편집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식 편집기는 웹 환경에서, 플래쉬(Flash) 기반으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식 편집기.
  9. 편집 중인 문서에 수학식을 삽입할 수 있는 수식 편집 방법에 있어서,
    편집 중인 수학식을 비쥬얼 입력창에 표시하는 단계,
    상기 편집 중인 수학식에 대응하는 스크립트(script)를 스크립트 창에 표시 하는 단계,
    상기 비쥬얼 입력창에 표시된 상기 수학식 내의 커서 위치와 상기 스크립트 창에 표시된 상기 스크립트 내의 커서 위치를 동기화하는 단계 및
    상기 동기화된 커서 위치를 상기 비쥬얼 입력창 및 상기 스크립트 창에 각각 표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수식 편집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비쥬얼 입력창에 표시된 수학식 내의 일부 영역이 마우스 드래그로 선택된 경우, 상기 스크립트 창에 표시된 스크립트 내의 상기 선택된 수학식 영역에 해당하는 부분을 블록으로서 표시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수식 편집 방법.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립트 창에 표시된 스크립트 내의 일부 영역이 마우스 드래그로 선택된 경우, 상기 비쥬얼 입력창에 표시된 수학식 내의 상기 선택된 스트립트 영역에 해당하는 부분을 블록으로서 표시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수식 편집 방법.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립트 창에 표시된 스크립트 내에 오류가 발생한 경우, 상기 비쥬얼 입력창에 표시된 수학식 내에서 상기 오류가 발생한 영역을 블록으로서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발생한 오류에 대한 도움말을 제공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수식 편집 방법.
KR1020080059533A 2008-06-24 2008-06-24 수식 편집기 및 수식 편집 방법 KR1009521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9533A KR100952197B1 (ko) 2008-06-24 2008-06-24 수식 편집기 및 수식 편집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9533A KR100952197B1 (ko) 2008-06-24 2008-06-24 수식 편집기 및 수식 편집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0150A KR20100000150A (ko) 2010-01-06
KR100952197B1 true KR100952197B1 (ko) 2010-04-09

Family

ID=418105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59533A KR100952197B1 (ko) 2008-06-24 2008-06-24 수식 편집기 및 수식 편집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5219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60645A2 (ko) * 2010-11-03 2012-05-10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수식 입력 방법 및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060459A (ja) * 2013-09-19 2015-03-30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数式表示制御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87705A (ja) * 1994-04-19 1995-10-31 Fuji Xerox Co Ltd 数式の編集装置
JPH0981554A (ja) * 1995-09-14 1997-03-28 Canon Inc 数式編集装置
KR20050061620A (ko) * 2003-12-18 2005-06-23 주식회사 이지팝소프트 문서편집 소프트웨어의 수식 편집기 및 그 편집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87705A (ja) * 1994-04-19 1995-10-31 Fuji Xerox Co Ltd 数式の編集装置
JPH0981554A (ja) * 1995-09-14 1997-03-28 Canon Inc 数式編集装置
KR20050061620A (ko) * 2003-12-18 2005-06-23 주식회사 이지팝소프트 문서편집 소프트웨어의 수식 편집기 및 그 편집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60645A2 (ko) * 2010-11-03 2012-05-10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수식 입력 방법 및 장치
WO2012060645A3 (ko) * 2010-11-03 2012-06-28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수식 입력 방법 및 장치
US9372828B2 (en) 2010-11-03 2016-06-21 Sk Telecom Co., Ltd. Method and device for inputting equ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0150A (ko) 2010-0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76888B2 (en) Automatically generating column layouts in electronic documents
US10534842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creating, editing and publishing cross-platform interactive electronic works
CN109416704B (zh) 基于网络的可嵌入协作工作空间
US10210142B1 (en) Inserting linked text fragments in a document
Helmers Microsoft Visio 2013 Step by Step
US20110289404A1 (en) System and methods for document critique
KR20150087405A (ko) E-리더에 콘텐츠의 노트 기반 주석을 제공하는 방법
CN106648635B (zh) 跨平台的公式编辑与渲染方法及系统
Lambert et al. Microsoft Office 2019 Step by Step
KR100921690B1 (ko) 수식 편집기 및 수식 편집 방법
KR100952197B1 (ko) 수식 편집기 및 수식 편집 방법
Lambert et al. Microsoft Word 2013 Step by Step
Wempen HTML5 step by step
Leeds Microsoft Expression Web 4 Step by Step
Cisco Troubleshooting Design Studio
Shenoy Introducing Zurb Foundation 6
US20150199322A1 (en) Operating Method of Terminal for Proofreading Electronic Document
KR100447633B1 (ko) 무선 콘텐츠/사이트 저작 방법 및 시스템
Lambert Microsoft Word Step by Step (Office 2021 and Microsoft 365)
Bunzel Sams Teach Yourself Microsoft Office PowerPoint 2003 in 24 hours
Habraken Microsoft Office 2019 Inside Out
Krieger Documents, Presentations, and Worksheets: Using Microsoft Office to Create Content That Gets Noticed
Ruvalcaba Macromedia Dreamweaver 8 Unleashed
Ruvalcaba Adobe Dreamweaver CS4 Unleashed
Habraken Microsoft Office Inside Out (Office 2021 and Microsoft 365)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1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