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52059B1 - 각방제어 시스템에서의 보일러 난방수 공급온도를 이용한열량조절방법 - Google Patents

각방제어 시스템에서의 보일러 난방수 공급온도를 이용한열량조절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52059B1
KR100952059B1 KR1020080029612A KR20080029612A KR100952059B1 KR 100952059 B1 KR100952059 B1 KR 100952059B1 KR 1020080029612 A KR1020080029612 A KR 1020080029612A KR 20080029612 A KR20080029612 A KR 20080029612A KR 100952059 B1 KR100952059 B1 KR 1009520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mperature
room
boiler
heating
heating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296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04266A (ko
Inventor
이상희
장재영
김충렬
권기출
이황의
Original Assignee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296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52059B1/ko
Publication of KR200901042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042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520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520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19/00Details
    • F24D19/1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D19/1006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ing systems
    • F24D19/1009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ing systems for central heating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23/00Control of temperature
    • G05D23/19Control of temperature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 G05D23/1927Control of temperature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using a plurality of sensors
    • G05D23/193Control of temperature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using a plurality of sensors sensing the temperaure in different places in thermal relationship with one or more spaces
    • G05D23/1932Control of temperature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using a plurality of sensors sensing the temperaure in different places in thermal relationship with one or more spaces to control the temperature of a plurality of space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23/00Control of temperature
    • G05D23/19Control of temperature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 G05D23/1927Control of temperature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using a plurality of sensors
    • G05D23/193Control of temperature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using a plurality of sensors sensing the temperaure in different places in thermal relationship with one or more spaces
    • G05D23/1935Control of temperature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using a plurality of sensors sensing the temperaure in different places in thermal relationship with one or more spaces using sequential contro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2220/00Components of central heating installations excluding heat sources
    • F24D2220/04Sensors
    • F24D2220/042Temperature sens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Remote Sens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eam Or 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각방제어 시스템에서의 보일러 난방수 공급온도를 이용한 열량조절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공지된 각방제어 시스템의 열량조절방법에 있어서, 보일러가 최초 설치되면 시운전을 실시하는 단계와; 난방을 위해 열려져 있는 현재 난방배관 유량조절밸브의 개수(i)를 산출하는 단계와; i가 "0"인지를 확인하여 "0"이면 난방 오프 모드로 돌입하는 단계와; 상기에서 검출한 결과 i가 "0"이 아니면 보일러를 난방 온 모드로 돌입시키는 단계와; i에 대응하여 연결된 각방의 배관길이 비율에 따라 각 난방배관 유량조절밸브의 목표유량을 계산하고 각각의 난방배관 유량조절밸브들을 상기에서 계산된 목표유량에 맞게 개도시켜 주는 단계와; 난방 온된 방의 난방배관 유량조절밸브 중 난방배관 유량조절밸브의 개도량이 가장 큰 방의 리모컨을 임의의 변수(Rc)로 설정하는 단계와; Rc가 설치된 방의 현재온도가 실내 설정온도 + 허용편차(α) 미만이면서 실내 설정온도 - 허용편차(α)보다는 높은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에서 판단한 결과 현재 실내온도가 실내 설정온도 + 허용편차(α) > 현재 실내온도 > 실내 설정온도 - 허용편차(α) 사이가 아니면 Rc가 설치된 방의 현재온도가 실내 설정온도 - 허용편차(α) 이하인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에서 판단한 결과 Rc가 설치된 방의 현재온도가 실내 설정온도 - 허용편차(α) 이하이면 보일러의 난방수 설정온도가 최대 설정온도(Max)인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에서 판단한 결과 보일러의 난방수 설정온도가 최대 설정온도(Max)가 아니면 보일러의 난방수 설정온도를 정해진 온도 값으로 한 단계 올려주는 단계와; 상기에서 판단한 결과 Rc가 설치된 방의 현재온도가 실내 설정온도 - 허용편차(α) 이하가 아니면 보일러의 난방수 설정온도가 최소 설정온도(Min)인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에서 판단한 결과 보일러의 난방수 설정온도가 최소 설정온도(Min)가 아니면 보일러의 난방수 설정온도를 정해진 온도 값으로 한 단계 내려주는 단계와; 상기에서 판단한 결과 Rc가 설치된 방이 실내 설정온도 + 허용편차(α) > 현재 실내온도 > 실내 설정온도 - 허용편차(α) 조건에 있거나, 보일러의 난방수 설정온도가 최대 설정온도(Max) 또는 최소 설정온도(Min)인 경우 및 보일러의 난방수 설정온도를 한 단계 올리거나 또는 내린 후에는 보일러의 난방수 온도가 과열방지온도 이상인지를 검출하여 그 이상이면 다시 보일러의 난방수 설정온도가 최소 설정온도(Min)인지를 판단하는 단계로 되돌아가고, 그 이상이 아니면 난방을 위해 열려져 있는 현재 난방배관 유량조절밸브의 개수(i)를 산출하는 단계로 되돌아가는 단계;를 더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설정한 온도로 보다 정확하게 각방의 난방제어를 할 수 있어 보일러를 이용한 난방효율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음은 물론 소비자의 만족도를 대폭 증진시킬 수 있고, 또 보일러가 과열로 인해 손상되는 것을 사전에 예방할 수 있어 보일러 자체의 상품성과 신뢰도를 대폭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Figure R1020080029612
각방제어, 배관길이, 목표유량, 밸브개도량, 난방수 설정온도, 과열방지온도

Description

각방제어 시스템에서의 보일러 난방수 공급온도를 이용한 열량조절방법{Control method for amount of heat using supplying temperature of boiler heating water in controlling system in each room}
본 발명은 각방제어 시스템에서의 보일러 난방수 공급온도를 이용한 열량조절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하나의 보일러를 이용하여 여러 개의 방에 대한 난방수 공급의 제어를 실시하는 각방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배관 길이가 가장 긴 방의 난방배관 유량조절밸브를 100% 전개한 상태에서 실내의 현재온도가 소비자의 실내 설정온도보다 낮으면 보일러의 난방수 설정온도를 한 단계 높여 공급열량을 높여 주고, 실내의 현재온도가 소비자가 원하는 실내 설정온도보다 높으면 보일러의 난방수 설정온도를 한 단계 내려 공급 열량을 낮춰주며, 또한 보일러의 난방수 온도가 과열(비등)방지 온도까지 도달하면 난방수 설정온도를 한 단계 내려 보일러의 과열을 사전에 예방할 수 있도록 발명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보일러(Boiler)는, 석유나 석탄 및 가스 등을 연료로 사용하여 이를 연소시키거나 히터에 전기를 공급시켜 발생되는 연소열 및 전열을 이용하여 물을 가열하여 각종 난방시설 등에 더운물을 공급하기 위하여 물을 끓이는 시설을 말하며, 주택용 보일러의 경우에는 실내의 바닥 등에 설치된 배관에 더운물을 공급하여 난방을 하거나, 급수관을 통해 온수의 공급 등에 사용되어 지고 있다.
최근 들어 하나의 보일러를 이용하여 여러 개의 방에 대한 난방수을 실시할 수 있는 시스템이 개발되어 널리 사용되고 있는데, 이와 같은 보일러는 통상 하나의 메인 리모컨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유선 또는 무선의 서브 리모컨으로 구성된 멀티 리모컨으로 제어하고 있다.
이때, 상기 메인 리모컨은 난방 여부와 난방온도 등의 다양한 기능의 설정과 그에 따른 결과의 표시가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그 밖의 부엌이나 타 방 등에 설치되는 서브 리모컨들은 해당 실내공간의 난방에 대한 조작 및 설정과 그에 따른 결과의 표시가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메인 리모컨을 통해 실내 전체에 대한 난방 여부와 난방온도 등을 제어하고, 또 각방의 서브 리모컨을 통해서는 해당 실내의 난방 여부와 난방온도 등을 제어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나의 보일러를 이용하여 여러 개의 방에 대한 난방수 공급의 제어를 실시하는 각방제어 시스템은 도 1과 같이, 보일러의 본체(1)와 멀티 리모컨(2)(즉, 메인 리모컨 및 서브 리모컨) 사이에는 별도의 제어기(3)를 부가 설치하고, 또 상기 보일러 본체(1)의 난방수 공급관에 각각 일단부가 연결된 각방의 난방배관(7) 타측부와 보일러의 난방 환수관 사이에는 각각의 난방배관(7)에 공급되는 난방수의 개폐는 물론 그 량을 제어기(3)의 출력신호에 부응하여 자동적으로 조절 할 수 있는 모터를 구비한 전자밸브로써 난방배관 유량조절밸브(8)들이 설치되어 있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은 각방제어 시스템은 각방의 난방부하에 연결된 난방배관 유량조절밸브가 배관 길이가 가장 긴 방의 난방배관 유량조절밸브를 100%로 전개하고 나머지 난방배관 유량조절밸브들은 각각에 연결된 배관의 길이 비율에 부응하여 그 이하에서 배관 길이비율에 맞춰 난방배관 유량조절밸브의 전개 량이 낮아지는 형태로 결정되어 있어 보일러의 공급온도 즉, 총 열량을 조절하여 난방을 할 수 없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각방의 난방부하에 연결된 난방배관 유량조절밸브의 개도를 100% 열어도 공급열량이 부족하여 소비자가 요구하는 온도에 도달하지 않을 경우가 발생될 수 있고, 이와 반대로 난방 부하가 아주 작은 경우 보일러가 과열(비등)될 위험이 있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하나의 보일러과 제어기를 이용하여 여러 개의 방에 대한 난방수 공급의 제어를 실시하는 각방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시운전시 확인 및 기억된 각방별 배관 길이 비율을 사전에 인식하고 난방요구신호가 있으면 난방을 요구하는 방들 중 배관의 길이가 가장 긴 방의 난방배관 유량조절밸브를 100% 전개한 상태에서 실내의 현재온도가 소비자의 실내 설정온도보다 낮으면 보일러의 난방수 설정온도를 한 단계 높여 공급열량을 높여 주고, 실내의 현재온도가 소비자가 원하는 실내 설정온도보다 높으면 보일러의 난방수 설정온도를 한 단계 내려 공급 열량을 낮춰주는 과정을 반복하며 사용자가 설정한 온도로 보다 정확하게 각방의 난방제어를 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보일러를 이용한 난방효율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음은 물론 소비자의 만족도를 대폭 증진시킬 수 있는 각방제어 시스템에서의 보일러 난방수 공급온도를 이용한 열량조절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와 같이 각방의 배관 길이에 부응하여 각 방의 배관에 연결된 난방배관 유량조절밸브들의 전개 량을 달리하고 실내 설정온도 대비 실내 현재온도를 비교하여 그 차에 따라 보일러의 난방수 설정온도를 자동으로 한 단계 높이거나 낮추어 각방의 난방제어를 실시하던 중 보일러의 난방수 온도가 과열(비등)방지 온도까지 도달하면 난방수 설정온도를 한 단계 내려 주어 보일러가 과열로 인해 손상되는 것을 사전에 예방할 수 있는 각방제어 시스템에서의 보일러 난방수 공급온도를 이용한 열량조절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방법은, 보일러 본체 및 수개의 리모컨에서 전송되어오는 데이터를 통해 출탕온도 및 과열(비등)방지 에러를 판별하고 수개의 난방배관 유량조절밸브 개폐에 따른 제어신호와 보일러의 난방 및 온수모드에 따른 연소제어신호 발생을 포함하여 각방제어에 따른 전반적인 기능을 수행하는 마이컴, 상기 마이컴의 출력신호에 부응하여 수개의 난방배관 유량조절밸브에 따른 개폐 제어를 직접적으로 수행하는 밸브 구동부, 상기 마이컴의 출력신호에 부응하여 순환펌프의 구동을 제어하는 순환펌프 구동 명령부, 보일러 본체 및 수개의 리모컨과 양방향 통신을 통해 각종 상태정보를 주고 받는 통신 데이터 송수신부를 구비한 제어기와; 양방향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제어기와 각종 상태 정보를 주고받는 보일러 본체 및 리모컨들로 구성되어, 각 구성품간의 상시 통신을 통해 각방에 대한 난방수에 대한 제어를 실시하는 각방제어 시스템의 열량조절방법에 있어서, 보일러가 최초 설치되면 상기 마이컴에서 시운전을 실시하는 단계와; 난방을 위해 열려져 있는 현재 난방배관 유량조절밸브의 개수(i)를 산출하는 단계와; 열려진 난방배관 유량조절밸브 개수(i)가 "0"인지를 확인하여 "0"이면 난방 오프 모드로 돌입하는 단계와; 상기에서 검출한 결과 열려진 난방배관 유량조절밸브 개수(i)가 "0"이 아니면 보일러를 난방 온 모드로 돌입시키는 단계와; 열려진 난방배관 유량조절밸브의 개수(i)에 대응하여 연결된 각방의 배관길이 비율에 따라 각 난방배관 유량조절밸브의 목표유량을 계산하고 각각의 난방배관 유량조절밸브들을 상기에서 계산된 목표유량에 맞게 개도시켜 주는 단계와; 난방 온된 방의 난방배관 유량조절밸브 중 난방배관 유량조절밸브의 개도량이 가장 큰 방의 리모컨을 임의의 변수(Rc)로 설정하는 단계와; 임의의 리모컨이 설치된 방의 현재온도가 실내 설정온도 + 허용편차(α) 미만이면서 실내 설정온도 - 허용편차(α)보다는 높은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에서 판단한 결과 현재 실내온도가 실내 설정온도 + 허용편차(α) > 현재 실내온도 > 실내 설정온도 - 허용편차(α) 사이가 아니면 임의의 리모컨이 설치된 방의 현재온도가 실내 설정온도 - 허용편차(α) 이하인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에서 판단한 결과 임의의 리모컨이 설치된 방의 현재온도가 실내 설정온도 - 허용편차(α) 이하이면 보일러의 난방수 설정온도가 최대 설정온도(Max)인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에서 판단한 결과 보일러의 난방수 설정온도가 최대 설정온도(Max)가 아니면 보일러의 난방수 설정온도를 정해진 온도 값으로 한 단계 올려주는 단계와; 상기에서 판단한 결과 임의의 리모컨이 설치된 방의 현재온도가 실내 설정온도 - 허용편차(α) 이하가 아니면 보일러의 난방수 설정온도가 최소 설정온도(Min)인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에서 판단한 결과 보일러의 난방수 설정온도가 최소 설정온도(Min)가 아니면 보일러의 난방수 설정온도를 정해진 온도 값으로 한 단계 내려주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기본적인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에서 판단한 결과 임의의 리모컨이 설치된 방의 현재온도가 실내 설정온도 + 허용편차(α) > 현재 실내온도 > 실내 설정온도 - 허용편차(α) 조건에 있거나, 보일러의 난방수 설정온도가 최대 설정온도(Max) 또는 최소 설정온도(Min) 인 경우를 포함하여 보일러의 난방수 설정온도를 한 단계 올리거나 또는 내린 후에는 보일러의 난방수 온도가 과열방지온도 이상인지를 검출하여 그 이상이면 다시 보일러의 난방수 설정온도가 최소 설정온도(Min)인지를 판단하는 단계로 되돌아가고, 그 이상이 아니면 난방을 위해 열려져 있는 현재 난방배관 유량조절밸브의 개수(i)를 산출하는 단계로 되돌아가는 단계;를 더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시운전 단계에서는 보일러의 순환펌프를 구동시키면서 각방의 배관에 연결된 난방배관 유량조절밸브들을 각각 하나씩 100%로 열어주면서 해당 방의 배관으로 유입되는 유량들을 검출하여 기억시킨 후 모든 방의 배관들의 난방수 유입량을 읽어들여 그 값들을 상호 비교하는 방식을 통해 각 방의 배관길이를 상대적 비율로 계산한 후 그 정보를 기억시켜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허용편차(α)는 0.5-1.0℃로 설정하고, 보일러의 난방수 최대 설정온도(Max)는 85-90℃로 설정하며, 보일러의 난방수 최소 설정온도(Min)는 40-45℃로 설정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에서 보일러의 난방수 설정온도가 최대 설정온도(Max)이거나 또는 최소 설정온도(Min)이어서 보일러의 난방수 설정온도를 한 단계 올리거나 내릴 때 최대 설정온도와 최소 설정온도 사이에서 각 단계별 상승 및 하강되는 온도는 ±5℃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과열방지온도는 90-95℃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하나의 보일러를 이용하여 여러 개의 방에 대한 난방수 공급의 제어를 실시하는 각방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시운전시 확인 및 기억된 각방별 배관 길이 비율을 사전에 인식하고 난방요구신호가 있으면 난방을 요구하는 방들 중 가장 배관의 길이가 가장 긴 방의 난방배관 유량조절밸브를 100% 전개한 상태에서 실내의 현재온도가 소비자의 실내 설정온도보다 낮으면 보일러의 난방수 설정온도를 한 단계 높여 공급열량을 높여 주고, 실내의 현재온도가 소비자가 원하는 실내 설정온도보다 높으면 보일러의 난방수 설정온도를 한 단계 내려 공급 열량을 낮춰주는 과정을 반복하며 사용자가 설정한 온도로 보다 정확하게 각방의 난방제어를 함으로써 보일러를 이용한 난방효율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음은 물론 소비자의 만족도를 대폭 증진시킬 수 있는 것이다.
뿐만 아니라, 상기와 같이 각방의 배관 길이에 부응하여 각 방의 배관에 연결된 난방배관 유량조절밸브들의 전개 량을 달리하고 실내 설정온도 대비 실내 현재온도를 비교하여 그 차에 따라 보일러의 난방수 설정온도를 자동으로 한 단계 높이거나 낮추어 각방의 난방제어를 실시하던 중 보일러의 난방수 온도가 과열(비등)방지 온도까지 도달하면 난방수 설정온도를 한 단계 내려 줌으로써 보일러가 과열로 인해 손상되는 것을 사전에 예방할 수 있어 보일러 자체의 상품성과 신뢰도를 대폭 향상시킬 수 있는 등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 방 법이 적용된 각방제어 시스템의 블록 구성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3은 본 발명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트를 나타낸 것이다.
이에 따르면 본 발명 방법은, 보일러 본체(1) 및 수개의 리모컨(2)에서 전송되어오는 데이터를 통해 열교환기의 난방수 출탕온도 및 과열(비등)방지 에러를 판별하고 수개의 난방배관 유량조절밸브(8) 개폐에 따른 제어신호와 보일러의 난방 및 온수모드에 따른 연소제어신호 발생을 포함하여 각방제어에 따른 전반적인 기능을 수행하는 마이컴(33), 상기 마이컴(33)의 출력신호에 부응하여 수개의 난방배관 유량조절밸브(8)에 따른 개폐 제어를 직접적으로 수행하는 밸브 구동부(34), 상기 마이컴(33)의 출력신호에 부응하여 순환펌프(11)의 구동을 제어하는 순환펌프 구동 명령부(35), 보일러 본체(1) 및 수개의 리모컨(2)과 양방향 통신을 통해 각종 상태정보를 주고 받는 통신 데이터 송수신부(36)(37)를 구비한 제어기(3)와; 양방향 통신 인터페이스(4)(5)를 통해 상기 제어기(3)와 각종 상태 정보를 주고받는 보일러 본체(1) 및 리모컨(2)들로 구성되어, 각 구성품간의 상시 통신을 통해 각방에 대한 난방수에 대한 제어를 실시하는 각방제어 시스템의 열량조절방법에 있어서,
보일러가 최초 설치되면 상기 마이컴(33)에서 정해진 프로그램을 통해 시운전을 실시하는 단계(S1)와;
난방을 위해 열려져 있는 현재 난방배관 유량조절밸브(8)의 개수(i)를 산출하는 단계(S2)와;
열려진 난방배관 유량조절밸브(8) 개수(i)가 "0"인지를 확인(S3)하여 "0"이 면 난방 오프 모드로 돌입하는 단계(S4)와;
상기에서 검출한 결과 열려진 난방배관 유량조절밸브(8) 개수(i)가 "0"이 아니면 보일러를 난방 온 모드로 돌입시키는 단계(S5)와;
열려진 난방배관 유량조절밸브(8)의 개수(i)에 대응하여 연결된 각방의 배관(7)길이에 따라 각 난방배관 유량조절밸브(8)의 목표유량을 계산하고 각각의 난방배관 유량조절밸브(8)들을 상기에서 계산된 목표유량에 맞게 개도시켜 주는 단계(S6)와;
난방 온된 방의 난방배관 유량조절밸브(8) 중 난방배관 유량조절밸브(8)의 개도량이 가장 큰 방의 리모컨을 임의의 변수(Rc)로 설정하는 단계(S7)와;
임의의 리모컨(Rc)이 설치된 방의 현재온도가 실내 설정온도 + 허용편차(α) 미만이면서 실내 설정온도 - 허용편차(α)보다는 높은지를 판단하는 단계(S8)와;
상기에서 판단한 결과 실내 설정온도 + 허용편차(α) > 현재 실내온도 > 실내 설정온도 - 허용편차(α) 사이가 아니면 임의의 리모컨(Rc)이 설치된 방의 현재온도가 실내 설정온도 - 허용편차(α) 이하인지를 판단하는 단계(S9)와;
상기에서 판단한 결과 임의의 리모컨(Rc)이 설치된 방의 현재온도가 실내 설정온도 - 허용편차(α) 이하이면 보일러의 난방수 설정온도가 최대 설정온도(Max)인지를 판단하는 단계(S10)와;
상기에서 판단한 결과 보일러의 난방수 설정온도가 최대 설정온도(Max)가 아니면 보일러의 난방수 설정온도를 정해진 온도 값으로 한 단계 올려주는 단계(S11)와;
상기에서 판단한 결과 임의의 리모컨(Rc)이 설치된 방의 현재온도가 실내 설정온도 - 허용편차(α) 이하가 아니면 보일러의 난방수 설정온도가 최소 설정온도(Min)인지를 판단하는 단계(S12)와;
상기에서 판단한 결과 보일러의 난방수 설정온도가 최소 설정온도(Min)가 아니면 보일러의 난방수 설정온도를 정해진 온도 값으로 한 단계 내려주는 단계(S13);로 이루어진 것을 기본적인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에서 판단한 결과 임의의 리모컨(Rc)이 설치된 방의 현재온도가 실내 설정온도 + 허용편차(α) > 현재 실내온도 > 실내 설정온도 - 허용편차(α) 조건에 있거나(S8에서 Yes), 보일러의 난방수 설정온도가 최대 설정온도(Max) 또는 최소 설정온도(Min)인 경우(S10 및 S12에서 Yes)를 포함하여 보일러의 난방수 설정온도를 한 단계 올리거나(S11) 또는 내린(S13) 후에는 보일러의 난방수 온도가 과열방지온도 이상인지를 검출하여 그 이상이면 다시 보일러의 난방수 설정온도가 최소 설정온도(Min)인지를 판단하는 단계(S12)로 되돌아가고, 그 이상이 아니면 난방을 위해 열려져 있는 현재 난방배관 유량조절밸브의 개수(i)를 산출하는 단계(S2)로 되돌아가는 단계(S14);를 더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시운전 단계(S1)에서는 보일러의 순환펌프(11)를 구동시키면서 각방의 배관(7)에 연결된 난방배관 유량조절밸브(8)들을 각각 하나씩 100%로 열고 해당 방의 배관(7)으로 유입되는 유량들을 검출하여 기억시키는 작동을 반복한 후 모든 방의 배관(7)들의 난방수 유입량을 읽어들여 그 값들을 상호 비교하는 방식을 통해 각 방의 배관길이를 상대적 비율로 계산한 다음 그 정보를 기억시켜 주는 것을 특 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허용편차(α)는 0.5-1.0℃로 설정하고, 보일러의 난방수 최대 설정온도(Max)는 85-90℃로 설정하며, 보일러의 난방수 최소 설정온도(Min)는 40-45℃로 설정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에서 보일러의 난방수 설정온도가 최대 설정온도(Max)이거나 또는 최소 설정온도(Min)이어서 보일러의 난방수 설정온도를 한 단계 올리거나 내릴 때(S11 또는 S13) 최대 설정온도와 최소 설정온도 사이에서 각 단계별 상승 및 하강되는 온도는 ±5℃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과열방지온도는 90-95℃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단계로 이루어진 된 본 발명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 방법이 적용된 각방제어 시스템은 기본적으로 보일러 본체(1)와 제어기(3), 수개의 리모컨(2) 및 2개의 양방향 통신 인터페이스(4)(5)을 구비하고 상시 통신을 통해 각방에 대한 난방수에 대한 제어를 실시하면서, 배관 길이가 가장 긴 방의 난방배관 유량조절밸브를 100% 전개한 상태에서 실내의 현재온도가 소비자의 실내 설정온도보다 낮으면 보일러의 난방수 설정온도를 한 단계 높여 공급열량을 높여 주고, 실내의 현재온도가 소비자가 원하는 실내 설정온도보다 높으면 보일러의 난방수 설정온도를 한 단계 내려 공급 열량을 낮춰주며, 또한 보일러의 난방수 온도가 과열(비등)방지 온도까지 도달하면 난방수 설정온도를 한 단계 내려 보일러의 과열을 사전에 예방할 수 있도록 한 것을 주요기술 구성요소로 한 다.
이때, 상기 제어기(3)는 마이컴(33), 밸브 구동부(34), 순환펌프 구동 명령부(35) 및 2개의 통신 데이터 송수신부(36)(37)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마이컴(33)은 보일러 설치 초기에는 자체 내에 기억된 시운전 프로그램을 작동시켜 각방의 난방부하에 대한 배관(7) 길이 등을 검출하고, 보일러의 설치 후에는 보일러 본체(1) 및 수개의 리모컨(2)에서 전송되어오는 데이터를 통해 열교환기의 난방수 출탕온도 및 과열(비등)방지 에러를 판별하고 수개의 난방배관 유량조절밸브(8) 개폐에 따른 제어신호와 보일러의 난방 및 온수모드에 따른 연소제어신호 발생을 포함하여 각방제어에 따른 전반적인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또, 상기 밸브 구동부(34)는 마이컴(33)의 출력신호에 부응하여 수개의 난방배관 유량조절밸브(8)에 따른 개폐 제어를 직접적으로 수행하고, 상기 순환펌프 구동 명령부(35)는 마이컴(33)의 출력신호에 부응하여 순환펌프(11)의 구동을 제어하게 되며, 상기 통신 데이터 송수신부(36)(37)는 보일러 본체(1) 및 수개의 리모컨(2)과 각각 양방향 통신을 통해 각종 상태정보 및 제어신호 등을 주고 받을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한편, 상기 제어기(3) 내 마이컴(33)은 보일러가 최초 설치되면 자체 내에 기 입력된 프로그램을 통해 시운전을 실시(S1)하게 되는데, 이와 같은 시운전 단계(S1)에서는 보일러의 순환펌프(11)를 구동시키면서 각방의 배관(7)에 연결된 난방배관 유량조절밸브(8)들을 각각 하나씩 100%로 열고 해당 방의 배관(7)으로 난방수를 유입시켜 유량들을 검출하여 기억시키는 동작을 반복하는 방식을 통해 모든 방의 배관(7)들에 대한 난방수 유입량을 검출하여 기억한 후 상기에서 기억한 모든 방의 배관(7)들의 난방수 유입량을 읽어들여 그 값들을 상호 비교하는 방식을 통해 각 방의 배관길이를 상대적 비율로 계산한 다음 그 정보를 기억하게 된다.
이후, 상기 마이컴(33)은 전술한 바와 같이 보일러의 설치 후 시운전이 완료되면 수개의 방들 중 사용자가 난방을 원하여 열려져 있는 현재 난방배관 유량조절밸브(8)의 개수(i)를 산출(S2)하고 그 개수(i)가 "0"인지를 확인(S3)하여 만약 "0"이면 사용자가 난방을 원하는 방이 없는 것으로 인식하고 열려지는 난방배관 유량조절밸브(8)가 발생될 때까지 난방 오프 모드로 돌입(S4)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난방 오프 모드에서 계속해서 열려지는 난방배관 유량조절밸브(8)의 개수(i)를 확인한 결과 사용자가 특정방에서 리모컨(2)을 통해 난방을 원함으로 인해 열려진 난방배관 유량조절밸브(8) 개수(i)가 "0"이 아니면 상기 마이컴(33)을 보일러를 난방 온 모드로 돌입(S5)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난방 온 모드 상태에서 상기 마이컴(33)은 시운전시 기 검출된 각방의 배관 길이 비율 정보를 이용하여 열려진 난방배관 유량조절밸브(8)의 개수(i)에 대응하여 연결된 각방의 배관(7)길이에 따라 각 난방배관 유량조절밸브(8)의 목표유량을 계산하고 각각의 난방배관 유량조절밸브(8)들을 상기에서 계산된 목표유량에 맞게 개도(S6)주게 된다.
이후, 상기 마이컴(33)은 현재 난방 온된 수개의 방들에 대한 난방배관 유량조절밸브(8)들 중 난방배관 유량조절밸브(8)의 개도량이 가장 큰 방의 리모컨을 임의의 변수(Rc)로 설정하고(S7), 이렇게 설정된 임의의 리모컨(Rc)이 설치된 방의 현재온도를 검출하여 그 온도가 실내 설정온도 + 허용편차(α) 미만이면서 실내 설정온도 - 허용편차(α)보다는 높은지를 판단하게 된다(S8).
이때, 상기 허용편차(α)는 보일러의 난방용량이나 각방의 난방부하 용량 및 난방중 실내온도 검출시 발생될 수 있는 채터링 등에 의한 편차 등을 감안하여 임의로 설정할 수 있는데, 본 발명에서는 ±0.5-1.0℃ 내로 설정하였다.
한편, 상기와 같이 난방배관 유량조절밸브(8)의 개도량이 가장 큰 방의 리모컨(Rc)이 설치된 방의 현재온도를 검출하여 허용편차(α)를 포함한 설정온도와 상호 비교한 결과, 실내 설정온도 + 허용편차(α) > 현재 실내온도 > 실내 설정온도 - 허용편차(α) 사이에 있지 않으면(S8에서 No), 다시 임의의 리모컨(Rc)이 설치된 방의 현재온도가 실내 설정온도 - 허용편차(α) 이하인지를 판단하게 된다(S9).
상기에서 판단한 결과 임의의 리모컨(Rc)이 설치된 방의 현재온도가 실내 설정온도 - 허용편차(α) 이하이면 그때의 보일러 난방수 설정온도가 최대 설정온도(Max)인지를 판단하여(S10), 만약 보일러의 난방수 설정온도가 최대 설정온도(Max)가 아니면(S10에서 No) 보일러의 난방수 설정온도를 정해진 온도 값으로 한 단계 올려주어 공급열량을 높여 주게 된다(S11).
그러나, 상기에서 S9단계에서 판단한 결과, 난방배관 유량조절밸브(8)의 개도량이 가장 큰 방의 현재온도가 실내 설정온도 - 허용편차(α) 이하가 아니면(S9에서 No) 보일러의 난방수 설정온도가 최소 설정온도(Min)인지를 판단하여(S12), 만약 그 결과 보일러의 난방수 설정온도가 최소 설정온도(Min)가 아니면(S12에서 No) 보일러의 난방수 설정온도를 정해진 온도 값으로 한 단계 내려주어 공급열량을 한 단계 낮추어 주게 된다(S13).
이때, 상기 보일러의 난방수 최대 설정온도(Max)와 최소 설정온도(Min)는 각각의 보일러 특성 등에 따라 서로 다를 수 있는데, 본 발명에서는 보일러의 난방수 최대 설정온도(Max)를 85-90℃로 설정하였고, 또 보일러의 난방수 최소 설정온도(Min)는 40-45℃로 설정하였다.
또한, 상기에서 보일러의 난방수 설정온도가 최대 설정온도(Max)이거나 또는 최소 설정온도(Min)이어서 보일러의 난방수 설정온도를 한 단계씩 올리거나 내릴 때(S11 또는 S13) 그 온도 범위를 다양하게 변화시킬 수 있는데, 본 발명에서는 최대 설정온도(85-90℃)와 최소 설정온도(40-45℃) 사이에서 그때 그때마다 현재 난방수 설정온도에서 한 단계를 올리거나 내릴 때 ±5℃가 되도록 설정하였다.
즉, 난방배관 유량조절밸브(8)의 개도량이 가장 큰 방의 현재온도가 실내 설정온도 - 허용편차(α) 이하인데 난방수의 현재 설정온도는 예를 들어 50℃로 최대 설정치(Max)가 아니면 보일러의 난방수 설정온도를 55℃로 한 단계 높여 보일러의 연소를 제어하고, 난방배관 유량조절밸브(8)의 개도량이 가장 큰 방의 현재온도가 실내 설정온도 - 허용편차(α) 이하가 아닌데 난방수의 현재 설정온도는 예를 들어 50℃로 최소 설정치(Min)가 아니면 보일러의 난방수 설정온도를 45℃로 한 단계 낮추어 보일러의 연소를 제어하게 됨으로써 사용자가 설정한 온도로 보다 정확하게 각방의 난방제어를 할 수 있어 보일러를 이용한 난방효율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음은 물론 소비자의 만족도를 대폭 증진시킬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각 단계(S8, S10, S12)에서 각각 판단한 결과 임의의 리모컨(Rc) 이 설치된 방의 현재온도가 실내 설정온도 + 허용편차(α) > 현재 실내온도 > 실내 설정온도 - 허용편차(α) 조건에 있거나(S8에서 Yes), 보일러의 난방수 설정온도가 최대 설정온도(Max) 또는 최소 설정온도(Min)인 경우(S10 및 S12에서 Yes)를 포함하여 난방수의 설정온도를 판단한 결과 최대 설정온도(Max) 또는 최소 설정온도(Min)가 아니므로 인해 보일러의 난방수 설정온도를 한 단계 올리거나(S11) 또는 내린(S13) 후 만약 곧바로 난방을 위해 열려져 있는 현재 난방배관 유량조절밸브의 개수(i)를 산출하는 단계(S2)로 되돌아가 상기한 단계를 반복 수행한다면 실제로 한 단계 높이거나 낮춘 난방수 설정온도가 과열방지온도 이상으로 높을 수 있어 보일러가 과열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각 단계(S8, S10, S12)에서 각각 판단한 결과 임의의 리모컨(Rc)이 설치된 방의 현재온도가 실내 설정온도 + 허용편차(α) > 현재 실내온도 > 실내 설정온도 - 허용편차(α) 조건에 있거나(S8에서 Yes), 보일러의 난방수 설정온도가 최대 설정온도(Max) 또는 최소 설정온도(Min)인 경우(S10 및 S12에서 Yes)를 포함하여 난방수의 설정온도를 판단한 결과 최대 설정온도(Max) 또는 최소 설정온도(Min)가 아니므로 인해 보일러의 난방수 설정온도를 한 단계 올리거나(S11) 또는 내린(S13) 후에는 보일러의 난방수 현재온도가 과열방지온도(예를 들어 90-95℃) 이상인지를 검출하여 그 이상이면 다시 보일러의 난방수 설정온도가 최소 설정온도(Min)인지를 판단하는 단계(S12)로 되돌아가 그때의 난방수 설정온도가 최소 설정온도(Min)인지를 확인하고 만약 최소 설정온도가 아니면 다시 난방수 설정온도를 한 단계 더 낮추어주도록 하고, 난방수 온도가 과열방지온도 이상이 아 닐 경우에 한하여 난방을 위해 열려져 있는 현재 난방배관 유량조절밸브의 개수(i)를 산출하는 초기 단계(S2)로 되돌아가 그 후의 단계를 반복 수행하도록 하였다.
이와 같이 각방의 배관 길이에 부응하여 각 방의 배관에 연결된 난방배관 유량조절밸브들의 전개 량을 달리하고 실내 설정온도 대비 실내 현재온도를 비교하여 그 차에 따라 보일러의 난방수 설정온도를 자동으로 한 단계 높이거나 낮추어 각방의 난방제어를 실시하던 중 보일러의 난방수 온도가 과열(비등)방지 온도에 도달하게 되면 난방수 설정온도를 다시 한 단계 내려 줌으로써 보일러가 과열로 인해 손상되는 것을 사전에 예방할 수 있어 보일러 자체의 상품성과 신뢰도를 대폭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상술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예에 대하여 설명한 것이지만, 상기 실시 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각방제어 시스템의 블록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 방법이 적용된 각방제어 시스템의 블록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트.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보일러 본체 2 : 리모컨
3 : 제어기 4,5 : 양방향 통신 인터페이스
7 : 난방배관 8 : 난방배관 유량조절밸브
11 : 순환펌프 33 : 마이컴
34 : 밸브 구동부 35 : 순환펌프 구동 명령부
36,37 : 통신 데이터 송수신부

Claims (7)

  1. 제어기를 사이에 두고 보일러 본체와 리모컨들 사이에서 상시 통신을 통해 각방에 대한 난방수에 대한 제어를 실시하는 각방제어 시스템의 열량조절방법에 있어서,
    보일러가 최초 설치되면 상기 마이컴에서 시운전을 실시하는 단계와;
    난방을 위해 열려져 있는 현재 난방배관 유량조절밸브의 개수(i)를 산출하는 단계와;
    열려진 난방배관 유량조절밸브 개수(i)가 "0"인지를 확인하여 "0"이면 난방 오프 모드로 돌입하는 단계와;
    상기에서 검출한 결과 열려진 난방배관 유량조절밸브 개수(i)가 "0"이 아니면 보일러를 난방 온 모드로 돌입시키는 단계와;
    열려진 난방배관 유량조절밸브의 개수(i)에 대응하여 연결된 각방의 배관길이 비율에 따라 각 난방배관 유량조절밸브의 목표유량을 계산하고 각각의 난방배관 유량조절밸브들을 상기에서 계산된 목표유량에 맞게 개도시켜 주는 단계와;
    난방 온된 방의 난방배관 유량조절밸브 중 난방배관 유량조절밸브의 개도량이 가장 큰 방의 리모컨을 임의의 변수(Rc)로 설정하는 단계와;
    임의의 리모컨이 설치된 방의 현재온도가 실내 설정온도 + 허용편차(α) 미만이면서 실내 설정온도 - 허용편차(α)보다는 높은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에서 판단한 결과 현재 실내온도가 실내 설정온도 + 허용편차(α) > 현재 실내온도 > 실내 설정온도 - 허용편차(α) 사이가 아니면 임의의 리모컨이 설치된 방의 현재온도가 실내 설정온도 - 허용편차(α) 이하인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에서 판단한 결과 임의의 리모컨이 설치된 방의 현재온도가 실내 설정온도 - 허용편차(α) 이하이면 보일러의 난방수 설정온도가 최대 설정온도(Max)인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에서 판단한 결과 보일러의 난방수 설정온도가 최대 설정온도(Max)가 아니면 보일러의 난방수 설정온도를 정해진 온도 값으로 한 단계 올려주는 단계와;
    상기에서 판단한 결과 임의의 리모컨이 설치된 방의 현재온도가 실내 설정온도 - 허용편차(α) 이하가 아니면 보일러의 난방수 설정온도가 최소 설정온도(Min)인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에서 판단한 결과 보일러의 난방수 설정온도가 최소 설정온도(Min)가 아니면 보일러의 난방수 설정온도를 정해진 온도 값으로 한 단계 내려주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방제어 시스템에서의 보일러 난방수 공급온도를 이용한 열량조절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에서 판단한 결과 임의의 리모컨이 설치된 방의 현재온도가 실내 설정온도 + 허용편차(α) > 현재 실내온도 > 실내 설정온도 - 허용편차(α) 조건에 있거나, 보일러의 난방수 설정온도가 최대 설정온도(Max) 또는 최소 설정온도(Min)인 경우를 포함하여 보일러의 난방수 설정온도를 한 단계 올리거나 또는 내린 후에는 보일러의 난방수 온도가 과열방지온도 이상인지를 검출하여 그 이상이면 다시 보일러의 난방수 설정온도가 최소 설정온도(Min)인지를 판단하는 단계로 되돌아가고, 그 이상이 아니면 난방을 위해 열려져 있는 현재 난방배관 유량조절밸브의 개수(i)를 산출하는 단계로 되돌아가는 단계;를 더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방제어 시스템에서의 보일러 난방수 공급온도를 이용한 열량조절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시운전 단계에서는, 보일러의 순환펌프를 구동시키면서 각방의 배관에 연결된 난방배관 유량조절밸브들을 각각 하나씩 100%로 열어주면서 해당 방의 배관으로 유입되는 유량들을 검출하여 기억시킨 후 모든 방의 배관들의 난방수 유입량을 읽어들여 그 값들을 상호 비교하는 방식을 통해 각 방의 배관길이를 상대적 비율로 계산한 후 그 정보를 기억시켜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방제어 시스템에서의 보일러 난방수 공급온도를 이용한 열량조절방법.
  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허용편차(α)는 0.5-1.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방제어 시스템에서의 보일러 난방수 공급온도를 이용한 열량조절방법.
  5.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보일러의 난방수 최대 설정온도(Max)는 85-90℃로 설정하고, 보일러의 난방수 최소 설정온도(Min)는 40-45℃로 설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방제어 시스템에서의 보일러 난방수 공급온도를 이용한 열량조절방법.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보일러의 난방수 설정온도가 최대 설정온도(Max)이거나 또는 최소 설정온도(Min)이어서 보일러의 난방수 설정온도를 한 단계 올리거나 내릴 때 최대 설정온도와 최소 설정온도 사이에서 각 단계별 상승 및 하강되는 온도는 ±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방제어 시스템에서의 보일러 난방수 공급온도를 이용한 열량조절방법.
  7.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과열방지온도는 90-9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방제어 시스템에서의 보일러 난방수 공급온도를 이용한 열량조절방법.
KR1020080029612A 2008-03-31 2008-03-31 각방제어 시스템에서의 보일러 난방수 공급온도를 이용한열량조절방법 KR1009520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9612A KR100952059B1 (ko) 2008-03-31 2008-03-31 각방제어 시스템에서의 보일러 난방수 공급온도를 이용한열량조절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9612A KR100952059B1 (ko) 2008-03-31 2008-03-31 각방제어 시스템에서의 보일러 난방수 공급온도를 이용한열량조절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04266A KR20090104266A (ko) 2009-10-06
KR100952059B1 true KR100952059B1 (ko) 2010-04-07

Family

ID=415340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29612A KR100952059B1 (ko) 2008-03-31 2008-03-31 각방제어 시스템에서의 보일러 난방수 공급온도를 이용한열량조절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5205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55134A2 (ko) * 2011-10-13 2013-04-18 주식회사 경동원 난방시스템 제어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6645B1 (ko) * 2013-09-30 2014-12-26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각방 난방 시스템에서 각방 난방온도 제어방법
CN110657581B (zh) * 2018-06-29 2021-02-26 宁波方太厨具有限公司 一种燃气热水器的热水性能测试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109716A (ko) * 2000-06-02 2001-12-12 안병대 난방시스템의 난방제어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109716A (ko) * 2000-06-02 2001-12-12 안병대 난방시스템의 난방제어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55134A2 (ko) * 2011-10-13 2013-04-18 주식회사 경동원 난방시스템 제어방법
WO2013055134A3 (ko) * 2011-10-13 2013-07-04 주식회사 경동원 난방시스템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04266A (ko) 2009-10-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97043B1 (ko) 보일러 환수온도를 이용한 각방제어 시스템의 난방온도 제어장치 및 그 방법
US8485138B2 (en) Water heater with temporary capacity increase
US20080251590A1 (en) Hvac staging control
CN101676651A (zh) 具有混合冷凝锅炉和非冷凝锅炉的优化多锅炉设备系统
CN105683661B (zh) 用于匹配加热曲线的方法
CN104075373A (zh) 基于分室控温地板采暖的壁挂炉恒温控制方法及系统
KR101393406B1 (ko) 외기온도센서를 이용한 보일러의 자동 제어방법
CN103791623A (zh) 热水器及其控制装置
EP2646755B1 (en) Method for operating a heating system
KR100952059B1 (ko) 각방제어 시스템에서의 보일러 난방수 공급온도를 이용한열량조절방법
US20190101297A1 (en) Heat transfer apparatus and heat transfer system for masonry heater
KR20170112709A (ko) 사물 인터넷을 이용한 자동제어 밸브 시스템
WO2020168345A1 (en) Integrated recirculation pump for non-condensing water heater
KR101476645B1 (ko) 각방 난방 시스템에서 각방 난방온도 제어방법
KR101078085B1 (ko) 각방제어 시스템과 보일러 또는 열원의 연동제어장치 및 그 방법
KR101583022B1 (ko) 각방 난방 시스템에서 효율적인 각방 난방온도 제어방법
KR100945143B1 (ko) 보일러 시운전시 각방의 배관정보 측정방법
CN107144019B (zh) 一种带混水阀的太阳能联动燃气快速热水器
KR101797646B1 (ko) 순간식 보일러의 계절에 따른 온수 비례제어장치 및 그 방법
JP3773752B2 (ja) 温水暖房装置の試運転制御方法
CN113883589A (zh) 供暖控制方法、装置及壁挂炉系统
KR101938565B1 (ko) 캐스케이드 보일러 시스템에서의 배관 오조립 검지방법
KR101190499B1 (ko) 각방 난방 시스템에서의 각방 난방온도 자동 제어방법
KR101598940B1 (ko) 각방 난방 시스템에서 효율적인 각방 난방온도 제어방법
KR101582798B1 (ko) 각방 난방 시스템에서 효율적인 각방 난방온도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8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