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51702B1 - 진공 핫프레스를 이용한 광변조물체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광변조물체 - Google Patents

진공 핫프레스를 이용한 광변조물체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광변조물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51702B1
KR100951702B1 KR1020090007776A KR20090007776A KR100951702B1 KR 100951702 B1 KR100951702 B1 KR 100951702B1 KR 1020090007776 A KR1020090007776 A KR 1020090007776A KR 20090007776 A KR20090007776 A KR 20090007776A KR 100951702 B1 KR100951702 B1 KR 1009517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sland
hot press
sea
refractive index
vacuum ho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077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연수
조덕재
김진수
김도현
양인영
Original Assignee
웅진케미칼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웅진케미칼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웅진케미칼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077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51702B1/ko
Priority to PCT/KR2010/000331 priority patent/WO2010087597A2/ko
Priority to TW99101410A priority patent/TW201100881A/zh
Priority to US12/694,369 priority patent/US20110014838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517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517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83Birefringent or phase retarding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11/00Producing optical elements, e.g. lenses or prisms
    • B29D11/00663Production of light guides
    • B29D11/00721Production of light guides involving preforms for the manufacture of light guid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04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made of organic materials, e.g. plastics
    • G02B1/045Light guid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08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made of polarising material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2Optical fibres with cladding with or without a coating
    • G02B6/02033Core or cladding made from organic material, e.g. polymeric material
    • G02B6/02038Core or cladding made from organic material, e.g. polymeric material with core or cladding having graded refractive index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2Optical fibres with cladding with or without a coating
    • G02B6/02295Microstructured optical fibre
    • G02B6/02314Plurality of longitudinal structures extending along optical fibre axis, e.g. holes
    • G02B6/02342Plurality of longitudinal structures extending along optical fibre axis, e.g. holes characterised by cladding features, i.e. light confining region
    • G02B6/02347Longitudinal structures arranged to form a regular periodic lattice, e.g. triangular, square, honeycomb unit cell repeated throughout cladding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2Optical fibres with cladding with or without a coating
    • G02B6/02295Microstructured optical fibre
    • G02B6/02314Plurality of longitudinal structures extending along optical fibre axis, e.g. holes
    • G02B6/02342Plurality of longitudinal structures extending along optical fibre axis, e.g. holes characterised by cladding features, i.e. light confining region
    • G02B6/02347Longitudinal structures arranged to form a regular periodic lattice, e.g. triangular, square, honeycomb unit cell repeated throughout cladding
    • G02B6/02352Complex periodic lattices or multiple interpenetrating periodic lattices, e.g. unit cell having more than two materials, partially internally coated holes, for multiple bandgap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2Optical fibres with cladding with or without a coating
    • G02B6/02295Microstructured optical fibre
    • G02B6/02314Plurality of longitudinal structures extending along optical fibre axis, e.g. holes
    • G02B6/02342Plurality of longitudinal structures extending along optical fibre axis, e.g. holes characterised by cladding features, i.e. light confining region
    • G02B6/02357Property of longitudinal structures or background material varies radially and/or azimuthally in the cladding, e.g. size, spacing, periodicity, shape, refractive index, graded index, quasiperiodic, quasicrystal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2Optical fibres with cladding with or without a coating
    • G02B6/02295Microstructured optical fibre
    • G02B6/02314Plurality of longitudinal structures extending along optical fibre axis, e.g. holes
    • G02B6/02342Plurality of longitudinal structures extending along optical fibre axis, e.g. holes characterised by cladding features, i.e. light confining region
    • G02B6/02361Longitudinal structures forming multiple layers around the core, e.g. arranged in multiple rings with each ring having longitudinal elements at substantially the same radial distance from the core, having rotational symmetry about the fibre axis

Abstract

진공 핫프레스를 이용한 광변조물체의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진공 핫프레스를 이용한 광변조물체의 제조방법은 (a) 복굴절성 해도사를 포함하는 중간층을 제조하는 단계; (b) 상기 중간층의 어느 일면 또는 양면에 기재를 적층하여 적층시트를 제조하는 단계; 및 (c) 상기 적층시트를 진공 핫프레스 장비를 이용하여 가압 및 가열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광변조물체의 컬 현상을 방지하고 적층 필름 내의 기포를 제거함으로써 광변조효율 및 접착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진공 핫프레스를 이용한 광변조물체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광변조물체{Method for manufacturing light modulated object using vacuum hot press and light modulated object prepared by the same}
본 발명은 광변조물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컬의 발생이 감소하고 접착력 및 신뢰성이 향상된 복굴절성 해도사를 포함하는 광변조물체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광변조물체에 관한 것이다.
광변조 물체 연속적인 매트릭스 내부에 분산된 혼재물(混在物,inclusion)로 구성되는 것으로 당해 기술 분야에 알려져 있으며, 광의 변조를 필요로하는 각종 광학기기, 액정디스플레이 등에 폭넓게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혼재물의 특성을 조작하여 광변조 물체에 일정한 범위의 반사성과 투과성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특징으로서는, 물체 내의 파장에 대한 혼재물의 크기, 혼재물의 형상과 배열, 혼재물의 용적 비율 및 물체의 3개의 직교축을 따라 연속적인 매트릭스와의 굴절율 부정합도를 들 수 있다.
통상의 흡수 편광기는 중합체 매트릭스 내에 정렬된 광흡수성 요오드로 된 무기 봉형(棒型) 사슬을 그 혼재물 상으로 포함한다. 이와 같은 필름은 봉형 요오 드 사슬에 대해 평행하게 정렬된 그것의 전기장 벡터에 따라 편광된 빛을 흡수하여, 봉에 수직하게 편광된 빛을 투과시키는 경향을 갖는다. 요오드 사슬은 가시광의 파장보다 작은 2종 이상의 디멘젼을 가지며, 광 파장의 세제곱당 사슬의 수가 크기 때문에, 상기 광변조 물체의 광학적 성질은 주로 경면과 같고 (specular), 광변조 물체를 통한 확산 투과 또는 광변조 물체 표면으로부터의 확산 반사는 매우 극소하다. 대부분의 다른 시판되는 광변조 물체와 마찬가지로, 이러한 광변조 물체는 편광의 선택적인 흡수 및 반사에 기초하는 것이다.
다양한 특성을 가진 무기 혼재물로 충진된 광변조 물체는 다른 광학 투과성과 반사성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가시 영역의 파장에 비해 큰 2 이상의 디멘젼을 가진 코팅된 운모 박편을 중합체 필름과 페인트 내로 혼입시켜서 금속성 광택을 부여한 예가 있다. 상기 박편을 필름 평면 내에 존재하도록 조작함으로써, 반사 양상에 대해 강한 방향 의존성을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효과를 사용하여 특정한 관찰 각도에 대해 반사성이 크고 다른 관찰 각도에서는 투과성인 안전 스크린을 제조할 수 있다. 입사광에 대한 정렬 상태에 따라 좌우되는 발색작용(선택적인 정반사)을 갖는 대형 박편을 필름 내로 혼입시켜 반사(tampering)의 증거를 제공할 수도 있다. 이러한 용도에 있어서는, 필름 내의 모든 박편이 서로에 대하여 유사하게 정렬될 필요가 있다.
하지만, 무기 혼재물로 충전된 중합체로 제조된 광학 필름은 여러 가지 단점을 갖는다. 통상적으로, 무기 입자와 중합체 매트릭스 사이의 접착은 불량하다. 따라서, 광변조 물체의 광학적 성질은 매트릭스를 교차하여 응력 또는 변형이 가해질 때 감소하게 되는데, 이는 매트릭스와 혼재물 간의 결합이 손상되고, 또한 강성 무기 혼재물이 파열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외에도, 무기 혼재물을 정렬시키기 위해서는 처리 단계에 있어서 고려 사항이 추가로 필요하므로 제조 방법이 복잡해진다.하지만 보다 근본적으로, 종래의 광변조 물체를 구성하는 매트릭스의 광학적 성질과 매트릭스내에 삽입되는 혼입물의 광학적 성질이 모두 광학적 등방성이므로 광변조의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광변조 물체를 구성하는 매트릭스의 내부에 복굴절성 섬유를 삽입시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극복하려는 시도가 있었다. 이처럼 일반적인 복굴절성 섬유를 사용하는 경우 적층형으로 제조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생산비가 저렴하고 생산이 용이한 장점이 있지만 광변조 효과가 미미하여 산업현장에 적용되기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자들은 복굴절성 해도사를 이용하여 직물을 제조하고 이들 직물을 지지할 수 있는 지지체로서 등방성 기재를 상기 직물의 양면에 구비시킴으로써 휘도를 향상시킨 광변조물체를 개발하였으나, 그 제조공정상 최종 필름의 컬(curl) 현상발생, 적층 필름 내의 기포 잔존 등으로 인한 광변조 효율 저하 등의 문제가 발생하였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첫 번째 과제는 최종 필름의 컬 현상을 방지하고 적층 필름 내의 기포를 제거함으로써 광변조 효율 및 접착성능을 향상시켜 신뢰도가 우수한 광변조물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두 번째 과제는 상기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되어 컬현상이 없고 광변조 효율 및 접착성능이 향상된 광변조물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첫 번째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a) 복굴절성 해도사를 포함하는 중간층을 제조하는 단계;
(b) 상기 중간층의 어느 일면 또는 양면에 기재를 적층하여 적층시트를 제조하는 단계; 및
(c) 상기 적층시트를 진공 핫프레스 장비를 이용하여 가압 및 가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진공 핫프레스를 이용한 광변조물체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복굴절성 해도사는 도부분과 해부분의 광학특성이 상이한 것이 바람직하며 구체적으로 상기 도부분은 이방성이고 해부분은 등방성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해도사의 단사섬도는 0.5∼30 데니어일 수 있고, 상기 해도사 중 도부분의 단사섬도는 0.0001∼1.0 데니어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해도사의 도부분 및 해부분은 각각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PEN), 코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co-PEN),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카보네이트(PC), 폴리카보네이트(PC) 얼로이, 폴리스타 이렌(PS), 내열폴리스타이렌(PS),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PMMA),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 폴리프로필렌(PP), 폴리에틸렌(PE),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ABS), 폴리우레탄(PU),폴리이미드(PI),폴리비닐클로라이드(PVC), 스타이렌아크릴로니트릴혼합(SAN), 에틸렌초산비닐(EVA), 폴리아미드(PA), 폴리아세탈(POM), 페놀, 에폭시(EP), 요소(UF), 멜라닌(MF), 불포화포리에스테르(UP), 실리콘(SI), 엘라스토머, 사이크로올레핀폴리머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인 것일 수 있다.
한편, 상기 기재는 등방성 기재이며, 기재의 재질은 상기 복굴절성 해도사의 도부분 또는 해부분의 재질과 동일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기재와 복굴절성 해도사의 굴절율은 2개의 축 방향에 대한 굴절율의 차이가 0.03 이하이고, 나머지 1개의 축방향에 대한 굴절율의 차이가 0.05 이상인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기재의 x축 방향의 굴절율이 nX1, y축 방향의 굴절율이 nY1 및 z축 방향의 굴절율이 nZ1이고, 복굴절성 해도사의 굴절율이 nX2, nY2 및 nZ2일 때, 기재와 복굴절성 해도사의 X, Y, Z축 굴절율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일치하는 것일 수 있으며, 상기 복굴절성 해도사의 굴절율은 nX2 > nY2 = nZ2인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복굴절성 해도사의 해부분과 도부분의 굴절율은 2개의 축 방향에 대한 굴절율의 차이가 0.03 이하이고, 나머지 1개의 축방향에 대한 굴절율의 차이가 0.05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복굴절성 해도사의 도부분의 길이방향인 x축 방향의 굴절율이 nX3, y축 방향의 굴절율이 nY3 및 z축 방향의 굴절율이 nZ3이고, 해부분의 x축 방향의 굴절율이 nX4, y축 방향의 굴절율이 nY4 및 z축 방향의 굴절율이 nZ4일 때, 기재와 복굴절성 해도사의 X, Y, Z축 굴절율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일치하며 상기 nX3와 nX4의 굴절율의 차이의 절대값이 0.05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해도사의 해부분의 굴절율과 상기 기재의 굴절율이 일치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복굴절성 해도사의 횡단면을 기준으로 상기 해부분과 도부분의 면적비는 2 : 8∼8 : 2이고 상기 복굴절성 해도사는 길이방향으로 신장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복굴절성 해도사를 포함하는 중간층은 상기 복굴절성 해도사를 위사 및 경사 중 적어도 하나로 사용하여 직조된 직물인 것일 수 있다.
한편, 상기 진공 핫프레스 장비를 이용한 가압 및 가열 단계의 진공도는 5∼100torr이고, 인가 압력은 1.0∼100kgf/cm2이며 온도는 120∼180℃이고 공정시간은 1∼30분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진공 핫프레스의 장비를 이용한 가압 및 가열 단계는 히팅 플레이트 사이에 상기 적층시트를 다수개 게재시켜 진행하되, 개개의 적층시트 간에는 금속패드가 적층되어 있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두 번째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상기 제조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변조물체를 제공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에 대해 간략히 설명한다.
별도로 설명되어 있지 않다면, '방사코어'라 함은 해도사를 길이방향으로 기준으로 절단시 그 단면에서 도부분이 해도사 내부의 일정한 지점을 중심으로 그룹화되어 배열된 경우(구획된 경우) 그 일정한 지점을 의미하는 것이다.
'도부분이 그룹화되어 배열된'이라 함은, 해도사 중 도부분이 하나의 방사코어를 중심으로 일정한 형상을 가지고 구획되어 정렬된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해도사 내부에 방사코어가 2개인 경우 각각의 방사코어를 중심으로 해도사가 일정한 형상으로 정렬되므로 결국 해도사 내부에서 도부분은 2개의 군으로 구획되는 것이다.
'섬유가 복굴절성을 가진다'는 의미는 방향에 따라 굴절률이 다른 섬유에 빛을 조사하는 경우 중합체에 입사한 빛이 방향이 다른 두 개의 빛으로 굴절된다는 것이다.
'등방성'이라 함은 빛이 물체를 통과할 때, 방향에 상관없이 굴절률이 일정한 것을 의미한다.
'이방성'이라 함은 빛의 방향에 따라 물체의 광학적 성질이 다른 것으로 이방성 물체는 복굴절성을 가지며 등방성에 대응된다.
'광변조'라 함은 조사된 빛이 반사, 굴절, 산란하거나 빛의 세기, 파동의 주기 또는 빛의 성질이 변화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컬 현상을 방지하고 적층 필름 내의 기포를 제거함으로써 광변조 효율 및 접착성능을 향상시켜 신뢰도가 우수한 광변조물체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진공 핫프레스를 이용한 광변조물체의 제조방법은 (a) 복굴절성 해도사를 포함하는 중간층을 제조하는 단계; (b) 상기 중간층의 어느 일면 또는 양면에 기재를 적층하여 적층시트를 제조하는 단계; 및 (c) 상기 적층시트를 진공 핫프레스 장비를 이용하여 가압 및 가열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광변조물체의 컬 현상을 방지하고 적층 필름 내의 기포를 제거함으로써 광변조 효율 및 접착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복굴절성 해도사를 사용함으로써 통상의 복굴절성 섬유를 사용하는 경우보다 광변조 효율 및 휘도향상의 효과를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는데,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사용되는 복굴절성 해도사에 관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복굴절성 해도사는 휘도강화 등의 광변조 효율을 극대화시키기 위하여 도부분과 해부분의 광학특성이 상이한 것을 사용하는데, 구체적으로 상기 도부분은 이방성이고 해부분은 등방성인 것을 사용할 수 있으며, 그 반대의 경우라도 무방하다. 이 경우 해도사와 기재와의 경계면 뿐만 아니라, 해도사의 내부를 구성하는 다수의 도부분과 해부분의 경계면 역시 복굴절성 계면을 가지게 되 므로 기재와 복굴절성 섬유사이의 경계면에서만 복굴절 계면이 발생되는 통상의 복굴절성 섬유에 비하여 광변조 효과가 현저하게 상승하게 된다. 따라서, 통상의 복굴절성 섬유를 사용하는 것에 비하여 복굴절성 해도사를 사용하는 것이 광변조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한편, 광변조 효율을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복굴절성 해도사 내부에 복굴절성 계면의 면적이 넓을수록 유리하며, 이를 위해 복굴절성 해도사 내부에 도부분의 개수가 많을수록 유리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통상적인 종래의 복굴절성 해도사를 사용할 수 있지만, 도부분의 개수가 적어도 38개 이상이고, 최대 1500개인 특수 해도사를 사용할 수도 있다. 이러한 특수 해도사는 도부분을 2개 이상의 방사코어를 중심으로 그룹화(grouping)함으로써 도부분이 지나치게 집적되어 상호 접합되는 도접합 현상을 방지하도록 하여 최종적으로 휘도 등의 광변조 효율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에 사용되는 복굴절성 해도사의 섬도는 통상의 해도사의 섬도를 만족하면 족하나 바람직하게는 0.5∼30 데니어일 수 있고, 상기 해도사 중 도부분의 단사섬도는 0.0001∼10 데니어인 것이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는데 유리하다. 상기 도부분의 단사섬도가 0.0001 데니어 미만인 때에는 굴절, 산란 및 반사의 효가가 감소할 우려가 있고, 10 데니어를 초과하는 때에는 광확산효과가 미약할 우려가 있다.
복굴절성 해도사 개개의 도부분의 단면의 길이(원형인 경우에는 직경)가 광 파장보다 작을 경우는 굴절, 산란, 반사의 효과가 감소하여 광의 변조는 거의 발생 하지 않는다. 반면 도부분의 단면직경이 너무 클 경우에는, 광이 해도사의 표면으로부터 정반사되고 다른 방향으로의 확산은 매우 미미하게 될 염려가 있다. 상기 도부분의 단면직경은 광학체의 목적하는 용도에 따라 달라질 수 있는데, 특정 용도에 있어서 중요한 전자기 복사선의 파장에 좌우되어 달라질 수 있으며, 가시선, 자외선, 적외선 및 마이크로파를 반사, 산란 또는 투과시키기 위해서 상이한 직경이 요구된다.
도 2는 통상적인 종래의 해도사의 단면에 대한 SEM사진으로서 해도사 내부에 하나의 방사코어(21)을 중심으로 도부분(22)이 동심원 형상으로 배열되어 있다. 한편,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휘도강화필름의 횡단면에 대한 개략도이다. 도 3a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휘도강화필름은 등방성을 가지는 기재(30)내에 복굴절성을 가지는 해도사(31)를 포함하는 중간층이 게재되어 있는데, 상기 중간층은 복굴절성 해도사(31)가 무작위로 배열된 것일 수도 있고 상기 복굴절성 해도사를 위사 및 경사 중 적어도 하나로 사용하여 직조된 직물일 수도 있다. 또한, 도 3b처럼 복굴절성 해도사(31)가 횡단면의 위 아래로 무작위로 배열된 상태에서 기재(30)를 압착하면 기재와 중간층이 용융접합되어 경계선이 사라지고 전체적으로 기재(30) 내에 복수의 해도사(31)들이 전체 횡단면에 걸쳐 분산되어 존재하는 형태가 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될 수 있는, 상기 해부분 및/또는 도부분은 기재와 동일한 재질인 폴리 카보네이트 (PC); 신디오탁틱 및 이소탁틱폴리(스티렌) (PS); 알킬 스티렌;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PMMA) 및 PMMA 공중합체를 비롯한 알킬, 방향족 및 지방족 고리 함유 (메트)아크릴레이트; 에톡시화 및 프로폭시화 (메트)아크릴레이 트; 다관능성 (메트)아크릴레이트; 아크릴화 에폭시; 에폭시; 및 다른 에틸렌계 불포화 물질; 환형 올레핀 및 환형 올레핀 공중합체; 아크릴로니트릴 부타디엔 스티렌 (ABS); 스티렌 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 (SAN); 에폭시; 폴리(비닐시클로헥산); PMMA/폴리(비닐플루오라이드) 블렌드; 폴리(페닐렌 옥사이드) 합금; 스티렌 블록 공중합체; 폴리이미드; 폴리술폰; 폴리(비닐 클로라이드); 폴리(디메틸실록산) (PDMS); 폴리우레탄;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PP); 폴리(알칸 테레프탈레이트), 예컨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PET); 폴리(알칸 나프탈레이트), 예컨대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 (PEN); 폴리아미드; 이오노머; 비닐 아세테이트/폴리에틸렌 공중합체;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부티레이트; 플루오로중합체; 폴리(스티렌)-폴리(에틸렌) 공중합체; 폴리올레핀 PET 및 PEN를 비롯한 PET 및 PEN 공중합체; 및 폴리(카르보네이트)/지방족 PET 블렌드를 사용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PEN),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공중합물 (co-PEN),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카보네이트(PC), 폴리카보네이트(PC) 얼로이, 폴리스타이렌(PS), 내열폴리스타이렌(PS),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PMMA),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 폴리프로필렌(PP), 폴리에틸렌(PE),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ABS), 폴리우레탄(PU), 폴리이미드(PI), 폴리비닐클로라이드(PVC), 스타이렌아크릴로니트릴혼합(SAN), 에틸렌초산비닐(EVA), 폴리아미드(PA), 폴리아세탈(POM), 페놀, 에폭시(EP), 요소.멜라닌(UF.MF), 불포화포리에스테르(UP), 실리콘(SI), 엘라스토머, 사이크로올레핀폴리머를 단독 또는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하지만, 본 발명 의 복굴절성 해도사(31)로서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PEN)를 도부분으로 사용하고, 코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와 폴리카보네이트 얼로이(alloy)를 단독 또는 혼합하여 해부분으로 사용하는 경우 통상의 물질로 제조된 복굴절성 해도사에 비하여 휘도가 비약적으로 향상됨을 확인하였다. 상기 얼로이라 함은 각 상의 계면에 화학반응 또는 여타 상분리를 안정화시킬 수 있는 방법이 적용된 경우로서 단순히 두가지 이상의 고분자의 물리적 혼합상태인 블렌드와 구별되는 개념이다. 특히 상기 해부분으로서 폴리카보네이트 얼로이(alloy)를 사용하는 경우 가장 우수한 광변조 물성을 가지는 복굴절성 해도사를 제조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폴리카보네이트 얼로이(alloy)는 바람직하게는 폴리카보네이트와 변성 글리콜 폴리시클로헥실렌 디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poly cyclohexylene dimethylene terephthalate, PCTG)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폴리카보네이트와 변성 글리콜 폴리시클로헥실렌 디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PCTG)가 15 : 85 : 85 : 15의 중량비로 이루어진 폴리카보네이트 얼로이를 사용하는 것이 휘도증진에 효과적이다. 만일 폴리카보네이트가 15% 미만으로 첨가되면 방사성 확보에 필요한 폴리머의 점도가 높아져 통상의 방사기를 사용할 수 없는 문제가 있고, 85%를 초과하면 유리전이 온도가 높아져 노즐 토출이후, 방사장력이 높아져 방사성 확보가 어려운 문제가 있다.
한편, 등방성 재료를 복굴절성으로 변화시키는 방법은 통상적으로 알려진 것이며 예를 들어 적절한 온도 조건 하에서 연신시키는 경우, 중합체 분자들은 배향되어 재료는 복굴절성으로 된다.
한편, 본 발명에 사용될 수 있는 기재(30)를 구성하는 물질에는 목적하는 범 위의 광파장을 투과하는 열가소성 및 열경화성 중합체가 포함되며 광의 투과가 용이한 투명 재질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적합한 기재(30)는 비결정질 또는 반결정질일 수 있으며, 단일중합체, 공중합체 또는 이의 블렌드 또는 얼로이(alloy)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폴리(카르보네이트) (PC); 신디오탁틱 및 이소탁틱폴리(스티렌) (PS); 알킬 스티렌;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PMMA) 및 PMMA 공중합체를 비롯한 알킬, 방향족 및 지방족 고리 함유 (메트)아크릴레이트; 에톡시화 및 프로폭시화 (메트)아크릴레이트; 다관능성 (메트)아크릴레이트; 아크릴화 에폭시; 에폭시; 및 다른 에틸렌계 불포화 물질; 환형 올레핀 및 환형 올레핀 공중합체; 아크릴로니트릴 부타디엔 스티렌 (ABS); 스티렌 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 (SAN); 에폭시; 폴리(비닐시클로헥산); PMMA/폴리(비닐플루오라이드) 블렌드; 폴리(페닐렌 옥사이드) 합금; 스티렌 블록 공중합체; 폴리이미드; 폴리술폰; 폴리(비닐 클로라이드); 폴리(디메틸실록산) (PDMS); 폴리우레탄;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PP); 폴리(알칸 테레프탈레이트), 예컨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PET); 폴리(알칸 나프탈레이트), 예컨대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 (PEN); 폴리아미드; 이오노머; 비닐 아세테이트/폴리에틸렌 공중합체;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부티레이트; 플루오로중합체; 폴리(스티렌)-폴리(에틸렌) 공중합체; 폴리올레핀, PET 및 PEN을 비롯한 PET 및 PEN 공중합체; 및 폴리(카르보네이트)/지방족 PET 블렌드를 사용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PEN),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공중합체 (co-PEN),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카보네이트(PC), 폴리카보네이트(PC) 얼로이, 폴리스타이렌(PS), 내열폴리스타이렌(PS),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PMMA),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 폴리프로필렌(PP), 폴리에틸렌(PE),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ABS), 폴리우레탄(PU), 폴리이미드(PI), 폴리비닐클로라이드(PVC), 스타이렌아크릴로니트릴혼합(SAN), 에틸렌초산비닐(EVA), 폴리아미드(PA), 폴리아세탈(POM), 페놀, 에폭시(EP), 요소, 멜라닌(UF.MF), 불포화포리에스테르(UP), 실리콘(Si), 엘라스토머, 사이크로올레핀폴리머(COP,일본 ZEON사,JSR사)를 단독 또는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기재는 상술한 물성을 손상하지 않는 한, 산화방지제, 광안정제, 열안정제, 활제, 분산제, 자외선흡수제, 백색안료, 형광증백제 등의 첨가제를 함유하고 있어도 좋다.
특히, 상기 기재의 재질로는 등방성 재질로서 해도사의 해부분 또는 도부분과 동일한 재질을 사용하는 것이 작업효율 면에서 바람직하다.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사용될 수 있는 복굴절성 해도사는 종래의 통상적인 해도사는 물론 도의 개수가 38∼1500개인 특수한 해도사를 사용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사용되는 특수 해도사로서 해도사(40)의 내부에 2개의 방사코어(41, 42)가 형성되고 방사코어(41, 42)를 중심으로 도부분(43, 44)이 그룹화되어 배열된다. 다시 말해, 각각의 방사코어(41, 42)어를 중심으로 도부분(43, 44)이 구획되어 배열됨으로서 그 단면을 관찰하면 방사코어의 개수만큼 구획된 도부분이 존재하게 되는 것이다. 이 경우 방사코어(41, 42)를 중심으로 배열된 도부분(43, 44)의 각 그룹의 단면형상은 원형, 타원형, 다각형 및 이형단면 등 종류의 제한이 없으며, 각 그룹의 단면형상은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는 해도사(50)의 내부에 4개의 방사코어(51, 52, 53, 54)가 존재하는 경우로서, 각각의 도부분의 배열형상(55, 56, 57, 58)은 모두 사각형이나, 상기 도부분의 배열형상 중 일부가 사각형이 아닌 삼각형이나 원형이 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명세서의 도면에서는 방사코어를 검은원으로 굵게 표시하였지만, 이는 방사코어를 명확히 도시하기 위한 표현방식에 불과하며, 실제 그룹의 중심이 되는 하나의 지점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상기 지점이 도부분일 수도 있고 해부분일 수도 있다. 나아가, 해도사 내부의 공백부분은 실제로는 도부분으로 채워져 있을 수도 있고 해부분만 존재할 수도 있다. 한편, 도 6에는 본 발명에 사용되는 1040도의 해도사에 대한 단면 SEM사진을 도시하였다.
구체적으로, 광학적 등방성인 해부분과 이방성을 가지는 도부분을 포함하는 해도사 있어서 공간상의 X,Y 및 Z축에 따른 굴절률의 실질적인 일치 또는 불일치의 크기는 그 축에 따라 편광된 광선의 산란 정도에 영향을 미친다. 일반적으로, 산란능은 굴절률 불일치의 제곱에 비례하여 변화한다. 따라서, 특정 축에 따른 굴절률의 불일치의 정도가 더 클수록, 그 축에 따라 편광된 광선이 더 강하게 산란된다. 반대로, 특정 축에 따른 불일치가 작은 경우, 그 축에 따라 편광된 광선은 더 적은 정도로 산란된다. 어떤 축에 따라 해부분의 굴절률이 도부분의 굴절률과 실질적으로 일치되는 경우, 이러한 축에 평행한 전기장으로 편광된 입사광은 해도사의 부분의 크기, 모양 및 밀도와 상관없이 산란되지 않고 해도사를 통해 통과할 것이다. 또한, 그 축에 따른 굴절률이 실질적으로 일치되는 경우, 광선은 실질적으로 산란되지 않고 물체를 통해 통과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7은 본 발명의 복굴절 성 해도사로 투과되는 광의 경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 경우 P파(실선)는 외부와 복굴절성 해도사의 경계면 및 복굴절성 해도사 내부의 도부분과 해부분의 경계면의 복굴절성 계면에 영향을 받지 않고 투과되나, S파(점선)는 기재와 복굴절성 해도사의 경계면 및/또는 복굴절성 해도사 내부의 도부분과 해부분의 경계면의 복굴절성 계면에 영향을 받아 광의 변조가 일어난다.
상술한 복굴절 계면에서의 광변조 현상은 기재와 복굴절성 해도사의 경계면 및 복굴절성 해도사의 내부에서 도부분과 해부분의 경계면에서 주로 발생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기재의 광학적 성질이 등방성인 경우에는 통상의 복굴절성 섬유와 마찬가지로 기재와 복굴절성 해도사의 경계면에서 광변조가 발생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기재와 복굴절성 해도사의 굴절율은 2개의 축 방향에 대한 굴절율의 차이가 0.03 이하이고, 나머지 1개의 축방향에 대한 굴절율의 차이가 0.05 이상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기재의 x축 방향의 굴절율이 nX1, y축 방향의 굴절율이 nY1 및 z축 방향의 굴절율이 nZ1이고, 복굴절성 해도사의 굴절율이 nX2, nY2 및 nZ2일 때, 기재와 복굴절성 해도사의 X, Y, Z축 굴절율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일치할 수 있으며, 상기 복굴절성 해도사의 굴절율은 nX2 > nY2 = nZ2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상기 복굴절성 해도사 중 도부분과 해부분의 광학적 상질이 상이한 것이 복굴절 계면을 생성하는데 유리하다. 구체적으로, 상기 도부분은 이방성이고 상기 해부분이 등방성일 때 도부분과 해부분의 경계면에 복굴절 계면이 형성될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굴절율은 2개의 축 방향에 대한 굴절율의 차이가 0.03 이하이고 나머지 1개의 축방향에 대한 굴절율의 차이가 0.05 이상인 것 이 바람직하다. 이럴 경우 P파는 해도사의 복굴절성 계면을 통과하나 S파는 광변조를 일으킬 수 있는 것이다.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복굴절성 해도사의 도부분의 길이방향인 x축 방향의 굴절율이 nX3, y축 방향의 굴절율이 nY3 및 z축 방향의 굴절율이 nZ3이고, 해부분의 x축 방향의 굴절율이 nX4, y축 방향의 굴절율이 nY4 및 z축 방향의 굴절율이 nZ4일 때, 기재와 복굴절성 해도사의 X, Y, Z축 굴절율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일치할 수 있고, 상기 nX3와 nX4의 굴절율의 차이의 절대값이 0.05 이상일 수 있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상기 해도사의 해부분과 도부분의 길이방향에 대한 굴절율의 차이는 0.1 이상이고, 나머지 2개의 축방향에 대한 해부분과 도부분의 굴절율이 실질적으로 일치되는 경우 광변조 효율이 극대화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복굴절성 해도사는 상기 기재 내에 원사의 형태로 배치되거나, 직물의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먼저, 상기 복굴절성 해도사가 상기 기재 내에 원사의 형태로 배치되는 경우에는 바람직하게는 복수개가 일 방향으로 신장되어 배치될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해도사는 광원에 대하여 수직으로 기재 내에 배치될 수 있으며 이 경우 광변조 효율이 가장 극대화된다. 한편, 일렬로 정렬된 해도사는 필요에 따라 서로 분산되어 배치될 수도 있고, 해도사간에 서로 맞닿거나 떨어질 수 있으며, 상기 해도사간에 서로 맞닿는 경우 밀집된 형태로 층을 이루어 배치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지름이 다른 3종류 또는 그 이상의 종류의 횡단면이 원형인 해도사를 배열시키면, 이들의 장축방향에 수직인 단면에 있어서 서로 접하는 세개의 원 의 중심을 연결해서 얻어지는 삼각형은 부등변 삼각형으로 된다. 또한, 해도사(원기둥체)의 장축방향에 수직인 단면에 있어서, 1층째의 원과 2층째의 원이 접하고, 2층째의 원과 3층째의 원도 접하고, 이하도 순차적으로 인접하는 층과 접하도록 원기둥체를 배열시키고 있지만, 각각의 해도사에 대해서, 「서로 원기둥의 측면에서 접하는 다른 적어도 두개의 해도사와 각각 원기둥의 측면에서 접하고 있다」라는 조건을 만족시키면 된다. 이 범위에서, 예를 들면 1층째의 원과 2층째의 원은 접촉시키고, 2층째의 원과 3층째의 원은 지지매체를 통해 이간시키고, 3층째의 원과 4층째의 원은 다시 접촉시킨다는 구성을 취하는 것도 가능하다.
해도사의 장축방향에 수직인 단면에 있어서 직접 접하는 세개의 원의 중심을 연결하는 삼각형은, 적어도 두 변의 길이가 대략 같게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이 삼각형은, 세 변의 길이가 대략 같게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광변조물체의 두께방향에 있어서의 해도사의 적층상태에 대해서는, 복수의 층이 순차적으로 접하도록 적층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지름이 대략 같은 원기둥체로 이루어지는 해도사가 빽빽히 충전되어 있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따라서, 이러한 보다 바람직한 형태에서는, 복수의 해도사는, 장축방향에 수직인 단면에 있어서의 원의 지름이 각각 대략 같은 원기둥체이며, 상기 단면에 있어서 최표면층보다 내측에 위치하는 해도사는, 다른 6개의 원기둥체인 해도사와 원기둥의 측면에서 접하고 있는 것이다.
상기 복굴절성 해도사는 그 부피가 바람직하게는 상기 광변조물체 1㎤에 대하여 1∼90%인 것이 유리하다. 만일 1% 이하인 경우에는 광변조효과가 미미하고, 90%를 초과하면 복굴절 계면에 의한 산란양이 증가하여 광손실이 발생할 염려가 있다.
나아가 상기 복굴절성 해도사는 상기 광변조물체 1c㎥ 내에 500∼4,000,000개가 배치될 수 있는데, 500개 미만인 때에는 광변조효과가 미약하고 4,000,000개를 초과하는 때에는 광변조효과의 상승이 거의 없음에도 제조가 곤란하여 제조효율이 떨어질 염려가 있다. 한편, 상기 복굴절성 해도사의 횡단면을 기준으로 상기 해부분과 도부분의 면적비는 2 : 8∼ 8 : 2인 것이 바람직한데, 상기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에는 복굴절계면의 면적이 감소하여 광변조효과가 떨어질 염려가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광변조물체는 그 표면에 구조화된 표면층을 가질 수 있으며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구조화된 표면층은 빛이 출사되는 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구조화된 표면층은 프리즘 형상, 렌티큘러 형상 또는 볼록렌즈 형상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광변조물체상의 광이 출사되는 면이 볼록렌즈 형상을 띄는 곡면형 표면을 가질 수 있다. 상기 곡면형 표면은 표면을 통해 투과된 광을 집속(focusing) 또는 발산(defocusing)될 수 있다. 또한 광출사면에 프리즘 패턴을 가질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복굴절성 해도사를 제조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복굴절성 해도사는 복합방사 공정 등 통상의 해도사를 제조할 수 있는 방법이면 종류의 제한이 없이 적용될 수 있다. 사용되는 방사구금 및 방사노즐은 복굴절성 해도사를 제조할 수 있는 것이면 그 형태에 제한없이 사용가능하나 일반적으로 복굴절성 해도사의 단면에서 도부분의 배열형상과 실질적으로 일치하도록 설계된 방 사구금 및 방사노즐을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방사구금 내부에 도부분이 구획될 수 있도록 적절하게 설계된 중공 핀이나 방사노즐 등으로부터 압출된 도성분과 그 사이를 메우도록 설계된 유로로부터 공급된 해성분 류(流)를 합류하고, 이 합류체 류를 점차로 가늘게 하면서 토출구로부터 압출하여 해도사를 형성할 수 있고 상기 해도사가 2개 이상의 방사중심을 포함하고 있는 한 어떠한 방사구금도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복굴절성 해도사는 상기 기재 내에 직물의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본 발명의 복굴절성 해도사를 위사 및/또는 경사로 포함하는 직물을 제공하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복굴절성 해도사를 위사 또는 경사로 사용하고 등방성 섬유를 나머지 위사 또는 경사로 사용하는 것이 유리하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위사 또는 경사는 상기 복굴절성 해도사가 1∼200가닥이 합사될 수 있다.
나아가, 해도사 여러가닥 또는 수십가닥을 꼬아 복합섬유를 제조하는 경우 예를 들어 10개의 해도사를 꼬아 하나의 복합섬유를 제조하는 경우 상기 복합섬유에는 100개의 복굴절 계면이 존재하게 되며 최소한 100번의 광변조가 발생할 수 있는 것이다. 나아가, 여러 가닥으로 합사된 해도사를 제조하는 경우, 예를 들어 10개 가닥의 해도사를 제조하면 복합섬유에는 100개의 복굴절 계면이 존재하게 되며 최소한 100번의 광변조가 발생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해도사는 공압출 방식 등에 의해 제조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처럼 복굴절성 해도사를 이용하여 중간층을 제조한 후에는 상기 중간층의 일면 또는 양면에 기재를 적층한 다음 진공 핫프레스 장비를 이용하여 가압 및 가 열하는 단계를 거치는데, 상기 가압 및 가열 단계의 진공도는 5∼100torr이고, 인가 압력은 1.0∼100kgf/cm2이며 온도는 80∼160℃이고 공정시간은 1∼30분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진공도가 5torr 미만인 때에는 공정효율이 떨어질 염려가 있고, 100torr를 초과하는 때에는 기포제거가 불충분할 염려가 있다. 또한 상기 인가 압력이 1.0kgf/cm2 미만인 때에는 필름의 접착력이 충분하지 않을 수 있고 100kgf/cm2을 초과하는 때에는 압력이 과도하여 직물의 조직이 흐트러져 섬유의 배열이 무너질 수 있다. 또한 가열 온도가 120℃ 미만인 때에는 필름의 접착력이 충분하지 않을 수 있고 180℃를 초과하는 때에는 기재 또는 복굴절성 해도사가 결정화 또는 용융될 염려가 있으며, 공정시간이 1분 미만이면 기포의 제거 및 접착력이 불충분할 수 있고, 30분을 초과하는 때에는 공정효율면에서 바람직하지 않다.
도 8에는 본 발명에 사용되는 진공 핫프레스 장비에 대한 개략도를 도시하였다.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진공 핫프레스의 장비를 이용한 가압 및 가열 단계는 히팅 플레이트(560a, 560b) 사이에 상기 적층시트(580a, 580b, 580c, 580d, 580e, 580f)를 다수개 게재시켜 진행하되, 개개의 적층시트 간에는 금속패드(590a, 590b, 590c, 590d)가 적층되어 있고 다수의 적층시트 최상부 및 최하부의 히팅플레이트와 직접 접촉하는 면에는 쿠션패트(570a, 570b)가 구비되어 적층시트에 균일한 압력을 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다수개의 적층시트를 가압 및 가열함으로써 공정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이하,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이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폴리카보네이트와 변성 글리콜 폴리시클로헥실렌 디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PCTG)가 5 : 5로 혼합된 등방성 PC 얼로이(nx=1.57, ny=1.57, nz=1.57)를 해성분으로 하고 이방성 PEN (nx=1.88, ny=1.57, nz=1.57)을 도부분으로 구성하였다. 도 3과 같은 단면의 해도사를 얻기 위하여 도 3의 해도사의 단면에 대응되는 방사구금에 배치하였다. 이와 같은 조성을 통해 미연신사 150/24로 하여 방사온도는 305℃, 방사속도는 1500 M/min의 조건으로 방사한 후, 3배의 연신을 통해 연신사 50/24를 얻었다. 이처럼 제조된 해도사 24가닥을 합사한 후 이를 위사로 하여 직물로 제직하였다. 그 뒤 상기 해도사 직물의 양면에 굴절율이 1.57인 등방성의 PC 얼로이 시트(상기 해성분으로 사용된 PC 얼로이와 동일한 조성)를 적층하고 진공 핫프레스기(MEIKI사 제조)를 이용하여 15torr의 진공상태에서, 160℃의 온도 및 35kgf/cm2의 압력으로 25분간 가열/가압하여 두께가 400㎛인 광변조물체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2
해도사의 단면의 형상이 도 6에 대응하고 하나의 방사코어에 도부분이 130개가 배열되어 전체 도부분의 개수가 1040개인 복굴절성 해도사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여 광변조물체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1
진공 핫프레스 공정을 수행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여 두께가 400㎛인 광변조물체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2
진공 핫프레스 공정을 수행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2와 동일하게 실시하여 두께가 400㎛인 광변조물체를 제조하였다.
실험예 1
상기 실시예 1∼2 및 비교예 1∼2를 통해 제조된 광변조물체에 대하여 다음과 같은 물성을 평가하여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1. 휘도
상기 제조된 광변조물체의 휘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하기와 같이 수행하였다. 확산판, 확산시트 2장, 광변조물체가 구비된 32" 직하형 백라이트 유니트 위에 패널을 조립 한 후, 탑콘사의 BM-7 측정기를 이용하여 9개 지점의 휘도를 측정하여 평균치를 나타내었다.
2. 투과도
일본 NIPPON DENSHOKU사의 COH300A 분석설비를 이용하여 ASTM D1003 방법으로 투과율을 측정하였다.
3. 편광도
OTSKA사의 RETS-100 분석설비를 이용하여 편광도를 측정하였다.
4. 휘도균일성
확산판, 확산시트 2장, 휘도강화필름이 구비된 32" 직하형 백라이트 유니트 위에 패널을 조립 한 후, 육안으로 휘도의 균일성(디펙트의 존재여부)을 관찰하여 ○, △, ×로 구분하였다.
○ : 양호, △ : 보통, × : 불량
5. 컬현상
32인치 백라이트 유니트에 광변조물체를 조립하여 60℃, 75% 조건의 항온항습기에 96시간 방치한 후 분해하여 광변조물체의 컬이 발생한 정도를 육안으로 관찰하여 ○, △, ×로 구분하였다.
○ : 양호, △ : 보통, × : 불량
6. 내UV성
세명백트론사의 SMDT51H를 이용하여 130mW의 자외선 램프(365nm)의 출력, 10cm높이에서 10분간 조사시킨후, 처리 전ㆍ후의 YI(Yellow Index)를 NIPPON DENSHOKU사의 SD-5000 분석설비를 이용하여 측정하여 황변도를 평가하였다.
휘도(cd/㎡) 투과율(%) 편광도(%) 휘도균일성 컬현상 내 UV성
실시예 1 400 52 78 1.9
실시예 2 420 48 80 1.8
비교예 1 400 52 78 1.8
비교예 2 420 48 80 1.8
상기 표 1에서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광변조물체가 비교예의 경우보다 휘도균일성이 우수하고 컬현상이 발생하지 않는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실험예 2
실시예 1, 비교예 1 및 2에 따라 제조된 휘도강화필름의 단면에 대하여 SEM 사진을 측정하고 그 결과를 도 10 내지 12에 도시하였다. 실시예 1에 대한 도 10의 경우에는 공극이 전혀 없으며 기재와 중간층 간에 공극이 전혀 없으며 우수한 밀착성을 보이지만 비교예에 대한 도 11 및 12를 참조하면 공극이 남아 있으며 이에 의해 접착력이 떨어지고 휘도의 균일성도 열악해 진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광변조물체의 광학원리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통상적인 종래의 해도사의 단면에 대한 SEM사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광변조물체의 횡단면에 대한 개략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사용되는 특수 해도사의 단면에 대한 개략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사용되는 특수 해도사의 단면에 대한 또 다른 개략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사용되는 1040도의 해도사에 대한 단면 SEM사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복굴절성 해도사로 투과되는 광의 경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사용되는 진공 핫프레스 장비에 대한 개략도이다.
도 9는 실시예 1에 따라 제조된 휘도강화필름의 단면에 대한 SEM 사진이다.
도 10은 비교예 1에 따라 제조된 광변조물체의 단면에 대한 SEM 사진이다.
도 11은 비교예 2에 따라 제조된 광변조물체의 단면에 대한 SEM 사진이다.

Claims (23)

  1. (a) 복굴절성 해도사를 포함하는 중간층을 제조하는 단계;
    (b) 상기 중간층의 어느 일면 또는 양면에 기재를 적층하여 적층시트를 제조하는 단계; 및
    (c) 상기 적층시트를 진공 핫프레스 장비를 이용하여 진공조건에서 가압 및 가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진공 핫프레스를 이용한 광변조물체의 제조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복굴절성 해도사는 내부에 복굴절 계면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핫프레스를 이용한 광변조물체의 제조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복굴절성 해도사의 도부분은 이방성이고 해부분은 등방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핫프레스를 이용한 광변조물체의 제조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해도사의 단사섬도는 0.5∼30 데니어이고, 상기 해도사 중 도부분의 단사섬도는 0.0001∼1.0 데니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핫프레스를 이용한 광변조물체의 제조방법.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해도사의 도부분 및 해부분은 각각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PEN), 코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co-PEN),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카보네이트(PC), 폴리카보네이트(PC) 얼로이, 폴리스타이렌(PS), 내열폴리스타이렌(PS),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PMMA),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 폴리프로필렌(PP), 폴리에틸렌(PE),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ABS), 폴리우레탄(PU),폴리이미드(PI),폴리비닐클로라이드(PVC), 스타이렌아크릴로니트릴혼합(SAN), 에틸렌초산비닐(EVA), 폴리아미드(PA), 폴리아세탈(POM), 페놀, 에폭시(EP), 요소(UF), 멜라닌(MF), 불포화포리에스테르(UP), 실리콘(SI), 엘라스토머, 사이크로올레핀폴리머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핫프레스를 이용한 광변조물체의 제조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는 등방성 기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핫프레스를 이용한 광변조물체의 제조방법.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의 재질은 상기 복굴절성 해도사의 도부분 또는 해부분의 재질과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핫프레스를 이용한 광변조물체의 제조방법.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와 복굴절성 해도사의 굴절율은 2개의 축 방향에 대한 굴절율의 차이가 0.03 이하이고, 나머지 1개의 축방향에 대한 굴절율의 차이가 0.05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핫프레스를 이용한 광변조물체의 제조방법.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의 x축 방향의 굴절율이 nX1, y축 방향의 굴절율이 nY1 및 z축 방향의 굴절율이 nZ1이고, 복굴절성 해도사의 굴절율이 nX2, nY2 및 nZ2일 때, 기재와 복굴절성 해도사의 X, Y, Z축 굴절율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일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핫프레스를 이용한 광변조물체의 제조방법.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복굴절성 해도사의 굴절율은 nX2 > nY2 = nZ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핫프레스를 이용한 광변조물체의 제조방법.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복굴절성 해도사의 해부분과 도부분의 굴절율은 2개의 축 방향에 대한 굴절율의 차이가 0.03 이하이고, 나머지 1개의 축방향에 대한 굴절율의 차이가 0.05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핫프레스를 이용한 광변조물체의 제조방법.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복굴절성 해도사의 도부분의 길이방향인 x축 방향의 굴절율이 nX3, y축 방향의 굴절율이 nY3 및 z축 방향의 굴절율이 nZ3이고, 해부분의 x축 방향의 굴절율이 nX4, y축 방향의 굴절율이 nY4 및 z축 방향의 굴절율이 nZ4일 때, 기재와 복굴절성 해도사의 X, Y, Z축 굴절율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일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핫프레스를 이용한 광변조물체의 제조방법.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nX3와 nX4의 굴절율의 차이의 절대값이 0.05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핫프레스를 이용한 광변조물체의 제조방법.
  1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해도사의 해부분의 굴절율과 상기 기재의 굴절율이 일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핫프레스를 이용한 광변조물체의 제조방법.
  1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복굴절성 해도사의 횡단면을 기준으로 해부분과 도부분의 면적비는 2 : 8∼ 8 : 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핫프레스를 이용한 광변조물체의 제조방법.
  1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복굴절성 해도사는 길이방향으로 신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핫프레스를 이용한 광변조물체의 제조방법.
  1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복굴절성 해도사를 포함하는 중간층은 상기 복굴절성 해도사를 위사 및 경사 중 적어도 하나로 사용하여 직조된 직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핫프레스를 이용한 광변조물체의 제조방법.
  1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진공 핫프레스의 장비를 이용한 가압 및 가열 단계의 진공도는 5∼100torr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핫프레스를 이용한 광변조물체의 제조방법.
  1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기 진공 핫프레스 장비를 이용한 가압 및 가열 단계의 인가 압력은 1∼100kgf/cm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핫프레스를 이용한 광변조물체의 제조방법.
  2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진공 핫프레스의 장비를 이용한 가압 및 가열 단계의 온도는 120∼18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핫프레스를 이용한 광변조물체의 제조방법.
  2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진공 핫프레스의 장비를 이용한 가압 및 가열 단계의 공정시간은 1∼30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핫프레스를 이용한 광변조물체의 제조방법.
  2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진공 핫프레스의 장비를 이용한 가압 및 가열 단계는 히팅 플레이트 사이에 상기 적층시트를 다수개 게재시켜 진행하되, 개개의 적층시트 간에는 금속패드가 적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핫프레스를 이용한 광변조물체의 제조방법.
  23. 삭제
KR1020090007776A 2009-01-31 2009-01-31 진공 핫프레스를 이용한 광변조물체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광변조물체 KR1009517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7776A KR100951702B1 (ko) 2009-01-31 2009-01-31 진공 핫프레스를 이용한 광변조물체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광변조물체
PCT/KR2010/000331 WO2010087597A2 (ko) 2009-01-31 2010-01-19 휘도강화필름 및 그 제조방법
TW99101410A TW201100881A (en) 2009-01-31 2010-01-19 Luminance-enhanced film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US12/694,369 US20110014838A1 (en) 2009-01-31 2010-01-27 Luminance-enhanced film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7776A KR100951702B1 (ko) 2009-01-31 2009-01-31 진공 핫프레스를 이용한 광변조물체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광변조물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51702B1 true KR100951702B1 (ko) 2010-04-07

Family

ID=422196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07776A KR100951702B1 (ko) 2009-01-31 2009-01-31 진공 핫프레스를 이용한 광변조물체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광변조물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51702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82813A (ja) * 1992-08-31 1994-03-25 Nippon Hoso Kyokai <Nhk> 光書込み型空間光変調素子
KR0135620B1 (ko) * 1985-09-17 1998-04-22 유겐 피. 웬닝거 액정 광변조 재료, 액정 광변조 장치 및 액정 광변조 재료의 제조방법
JP2007057574A (ja) 2005-08-22 2007-03-08 Fuji Xerox Co Ltd 光変調素子及び光変調素子の製造方法
KR20070106796A (ko) * 2005-02-28 2007-11-05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컴파니 복합 중합체 섬유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35620B1 (ko) * 1985-09-17 1998-04-22 유겐 피. 웬닝거 액정 광변조 재료, 액정 광변조 장치 및 액정 광변조 재료의 제조방법
JPH0682813A (ja) * 1992-08-31 1994-03-25 Nippon Hoso Kyokai <Nhk> 光書込み型空間光変調素子
KR20070106796A (ko) * 2005-02-28 2007-11-05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컴파니 복합 중합체 섬유
JP2007057574A (ja) 2005-08-22 2007-03-08 Fuji Xerox Co Ltd 光変調素子及び光変調素子の製造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75351B1 (ko) 휘도강화필름
KR100955474B1 (ko) 휘도강화필름의 제조방법
KR20090120074A (ko) 휘도강화필름
KR100951700B1 (ko) 광변조 물체의 제조방법
KR100965109B1 (ko) 액정표시장치
KR20090114708A (ko) 광변조 물체
KR100951702B1 (ko) 진공 핫프레스를 이용한 광변조물체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광변조물체
KR100955473B1 (ko) 진공 핫프레스를 이용한 휘도강화필름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휘도강화필름
KR100955472B1 (ko) 휘도강화필름 및 그 제조방법
KR100951699B1 (ko) 광변조 물체
KR100951701B1 (ko) 광변조 물체
TWI404981B (zh) 光學調變物件
US20100195234A1 (en) Luminance-enhanced film
KR101109134B1 (ko) 광변조필름의 제조방법
KR101094130B1 (ko) 액정표시장치
KR101198207B1 (ko) 광변조 물체
KR101094131B1 (ko) 휘도강화필름
WO2011078434A1 (ko) 액정표시장치
KR101095391B1 (ko) 휘도강화필름의 제조방법
KR101167777B1 (ko) 액정표시장치
KR100955471B1 (ko) 휘도강화필름
US20110014838A1 (en) Luminance-enhanced film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KR100951703B1 (ko) 휘도강화시트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휘도강화시트
KR20120025815A (ko) 광변조필름의 제조방법
WO2011078556A2 (ko) 휘도강화필름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1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7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