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51517B1 - Input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provided with the input device - Google Patents

Input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provided with the input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51517B1
KR100951517B1 KR1020097027129A KR20097027129A KR100951517B1 KR 100951517 B1 KR100951517 B1 KR 100951517B1 KR 1020097027129 A KR1020097027129 A KR 1020097027129A KR 20097027129 A KR20097027129 A KR 20097027129A KR 100951517 B1 KR100951517 B1 KR 1009515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tection
press
input device
magnet
b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2712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00010513A (en
Inventor
다께시 미야사까
도모유끼 와시즈
마사유끼 무로따
Original Assignee
오무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무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오무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000105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1051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515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5151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5/00Switches with compound movement of handle or other operating part
    • H01H25/008Operating part movable both angularly and rectilinearly, the rectilinear movement being perpendicular to the axis of angular movement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GCONTROL DEVICES OR SYSTEMS INSOFAR A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ONLY
    • G05G9/00Manually-actuated control mechanisms provided with one single controlling member co-operating with two or more controlled members, e.g. selectively, simultaneously
    • G05G9/02Manually-actuated control mechanisms provided with one single controlling member co-operating with two or more controlled members, e.g. selectively, simultaneously the controlling member being movable in different independent ways, movement in each individual way actuating one controlled member only
    • G05G9/04Manually-actuated control mechanisms provided with one single controlling member co-operating with two or more controlled members, e.g. selectively, simultaneously the controlling member being movable in different independent ways, movement in each individual way actuating one controlled member only in which movement in two or more ways can occur simultaneously
    • G05G9/047Manually-actuated control mechanisms provided with one single controlling member co-operating with two or more controlled members, e.g. selectively, simultaneously the controlling member being movable in different independent ways, movement in each individual way actuating one controlled member only in which movement in two or more ways can occur simultaneously the controlling member being movable by hand about orthogonal axes, e.g. joysticks
    • G05G9/04785Manually-actuated control mechanisms provided with one single controlling member co-operating with two or more controlled members, e.g. selectively, simultaneously the controlling member being movable in different independent ways, movement in each individual way actuating one controlled member only in which movement in two or more ways can occur simultaneously the controlling member being movable by hand about orthogonal axes, e.g. joysticks the controlling member being the operating part of a switch arrangement
    • G05G9/04788Manually-actuated control mechanisms provided with one single controlling member co-operating with two or more controlled members, e.g. selectively, simultaneously the controlling member being movable in different independent ways, movement in each individual way actuating one controlled member only in which movement in two or more ways can occur simultaneously the controlling member being movable by hand about orthogonal axes, e.g. joysticks the controlling member being the operating part of a switch arrangement comprising additional control elements
    • G05G9/04796Manually-actuated control mechanisms provided with one single controlling member co-operating with two or more controlled members, e.g. selectively, simultaneously the controlling member being movable in different independent ways, movement in each individual way actuating one controlled member only in which movement in two or more ways can occur simultaneously the controlling member being movable by hand about orthogonal axes, e.g. joysticks the controlling member being the operating part of a switch arrangement comprising additional control elements for rectilinear control along the axis of the controlling memb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5/00Switches with compound movement of handle or other operating part
    • H01H25/04Operating part movable angularly in more than one plane, e.g. joystic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 H04M1/23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including a pointing device, e.g. roller key, track ball, rocker switch or joystick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GCONTROL DEVICES OR SYSTEMS INSOFAR A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ONLY
    • G05G9/00Manually-actuated control mechanisms provided with one single controlling member co-operating with two or more controlled members, e.g. selectively, simultaneously
    • G05G9/02Manually-actuated control mechanisms provided with one single controlling member co-operating with two or more controlled members, e.g. selectively, simultaneously the controlling member being movable in different independent ways, movement in each individual way actuating one controlled member only
    • G05G9/04Manually-actuated control mechanisms provided with one single controlling member co-operating with two or more controlled members, e.g. selectively, simultaneously the controlling member being movable in different independent ways, movement in each individual way actuating one controlled member only in which movement in two or more ways can occur simultaneously
    • G05G9/047Manually-actuated control mechanisms provided with one single controlling member co-operating with two or more controlled members, e.g. selectively, simultaneously the controlling member being movable in different independent ways, movement in each individual way actuating one controlled member only in which movement in two or more ways can occur simultaneously the controlling member being movable by hand about orthogonal axes, e.g. joysticks
    • G05G2009/0474Manually-actuated control mechanisms provided with one single controlling member co-operating with two or more controlled members, e.g. selectively, simultaneously the controlling member being movable in different independent ways, movement in each individual way actuating one controlled member only in which movement in two or more ways can occur simultaneously the controlling member being movable by hand about orthogonal axes, e.g. joysticks characterised by means converting mechanical movement into electric signals
    • G05G2009/04744Switch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5/00Switches with compound movement of handle or other operating par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witches With Compound Oper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과제는 조작성이 우수하고, 원하는 조작 감촉을 얻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입력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로 인해, 상기 입력 장치는 베이스(2)와, 통 형상이고, 베이스(2)에 장착되어, 내면에, 탄성 변형 가능하고, 압입 조작 가능한 누름부(25)를 갖는 복수의 아암부(24)를 구비한 케이스(4)와, 베이스(2) 상에 요동 조작 가능하게 배치되는 조작 부재(5)와, 케이스(4)에 의해 둘러싸인 영역 내에 배치되어, 누름부(25)의 압입 조작을 검출하는 제1 검출부(17b) 및 조작 부재(5)에 의한 요동 조작을 검출하는 제2 검출부(20)를 갖는 검출 부재(3)를 구비한 구성으로 하였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input device excellent in operability and capable of obtaining a desired operation feeling. For this reason, the said input apparatus is a some arm part 24 which has the base 2 and the press part 25 which is cylindrical shape, is attached to the base 2, is elastically deformable, and can be press-fitted in operation on the inner surface. A case 4 having a recess, an operation member 5 disposed on the base 2 so as to be oscillable, and an area surrounded by the case 4 to detect the press-fit operation of the pressing part 25. It was set as the structure provided with the detection member 3 which has the 2nd detection part 20 which detects the rocking | fluctuation operation by the 1st detection part 17b and the operation member 5 which are mentioned.

입력 장치, 베이스 플레이트, 마그네트, 원통 케이스, 설치 플레이트 Input device, base plate, magnet, cylindrical case, mounting plate

Description

입력 장치 및 상기 입력 장치를 구비한 전자 기기 {INPUT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PROVIDED WITH THE INPUT DEVICE}An input device and an electronic device having the input device {INPUT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PROVIDED WITH THE INPUT DEVICE}

본 발명은 입력 장치, 특히 휴대 전화,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디지털 카메라, MP3 플레이어, 리모트 컨트롤러 등, 다양한 전자 기기에 채용 가능한 입력 장치 및 이 입력 장치를 구비한 전자 기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input device, in particular, a mobile phone, a personal handy-phone system (PHS), a 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a digital camera, an MP3 player, a remote controller, and the like that can be employed in various electronic devices. It relates to an electronic device.

종래, 입력 장치로서, 푸쉬 버튼 손잡이로 중심의 스위치를 조작하고, 요동 손잡이로 주위 4개소의 스위치를 조작하도록 한 구성의 것이 공지이다(예를 들어, 특허 문헌 1 참조).Background Art Conventionally, as an input device, a configuration in which a center switch is operated with a push button knob and four switches are operated with a swing knob is known (see Patent Document 1, for example).

특허 문헌 1 :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01-185004호 공보Patent Document 1: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2001-185004

그러나, 상기 종래의 입력 장치에서는 요동 손잡이로 주위 4개소의 스위치 중 어느 하나를 조작하는 경우라도, 요동 손잡이 전체를 경사지게 할 필요가 있다. 이로 인해, 이 요동 손잡이를 지지하는 연결 부재가, 1개소뿐만 아니라, 복수 개소에서 동시에 탄성 변형되어, 요동 손잡이의 조작 감촉에 복잡하게 영향을 미친다. 즉, 조작 감촉의 조정이 매우 어렵고, 또한 각 스위치 사이에서도 조작 감촉이 상이한데다가, 조작성이 나쁘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However, in the above conventional input device, even when any one of the four switches around is operated by the rocking knob, it is necessary to incline the whole rocking knob. For this reason, the connection member which supports this rocking handle is elastically deformed simultaneously not only in one place but in several places, and has a complicated influence on the operation feeling of a rocking handle. That is, there is a problem that the adjustment of the operation feeling is very difficult, the operation feeling is different between the switches, and the operability is bad.

따라서, 본 발명은 조작성이 우수하고, 또한 원하는 조작 감촉을 얻을 수 있는 입력 장치 및 상기 입력 장치를 구비한 전자 기기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Therefore, an object of this invention is to provide the input device which is excellent in operability, and can acquire desired operation feeling, and the electronic device provided with the said input device.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The present invention as a means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입력 장치를,Input device,

베이스와,Bass,

통 형상이고, 상기 베이스에 장착되어, 내면에, 탄성 변형 가능하고, 압입 조작 가능한 누름부를 갖는 복수의 아암부를 구비한 케이스와,A case having a cylindrical shape,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arm parts attached to the base, and having a pressing part which is elastically deformable and can be press-fitted on its inner surface;

상기 베이스 상에 요동 조작 가능하게 배치되는 조작 부재와,An operation member disposed on the base so as to be swingable;

상기 케이스에 의해 둘러싸인 영역 내에 배치되어, 상기 누름부의 압입 조작을 검출하는 제1 검출부 및 상기 조작 부재에 의한 요동 조작을 검출하는 제2 검출부를 갖는 검출 부재를 구비한 구성으로 한 것이다.It is set as the structure provided with the detection member arrange | positioned in the area | region enclosed by the said case, and having the 1st detection part which detects the press-in operation of the said press part, and the 2nd detection part which detects the rocking operation by the said operation member.

이 구성에 의해, 어떤 누름부를 압입 조작해도, 각각 대응하는 아암부가 탄성 변형된다. 즉, 어느 누름부를 조작해도, 다른 누름부를 지지하는 아암부의 영향을 받는 일이 없다. 따라서, 아암부의 탄성력만을 고려하여 설계하는 것만으로, 간단하게 원하는 조작 감촉을 얻을 수 있고, 각 아암부 사이에서의 편차도 억제하여, 조작성이 우수한 것으로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베이스에 장착하는 케이스에 아암부를 형성하는 것만으로도 좋으므로, 구성을 간략화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콤팩트한 구성임에도 불구하고, 다른 2종류의 조작을 검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By this structure, even if it presses in any press part, the corresponding arm part elastically deforms, respectively. That is, no matter which press part is operated, the arm part which supports another press part is not influenced. Therefore, only by considering only the elastic force of the arm portion, it is possible to easily obtain a desired operating feeling, to suppress variations between the arm portions, and to make it excellent in operability. In addition, since it is sufficient to form an arm part in the case attached to a base, it becomes possible to simplify a structure. In addition, despite the compact configuration, it is possible to detect two different kinds of operations.

또한, 상기 케이스는 합성 수지를 성형 가공함으로써 형성하고, 상기 누름부를 갖는 아암부는 케이스를 성형 가공할 때에 동시에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따르면, 가공이 간단하고, 가일층 조작성이 높고, 원하는 조작 감촉을 얻을 수 있는 구성을 용이하게 얻는 것이 가능해진다.The case is preferably formed by molding a synthetic resin, and the arm portion having the pressing portion is preferably formed at the same time as the case is molded. According to this, processing becomes easy, it becomes further highly operable, and it becomes possible to acquire the structure which can obtain a desired operation feeling easily.

상기 조작 부재는 일단부를 상기 베이스에 설치되는, 적어도 2개의 코일 스프링의 타단부에 접속되어, 탄성 지지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operation member is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at least two coil springs, one end of which is provided on the base, to be elastically supported.

이 구성에 의해, 조작 부재를 코일 스프링만으로 지지할 수 있으므로, 구조를 간소화하여 저렴하게 제작하는 것이 가능해진다.By this structure, since the operation member can be supported only by the coil spring, the structure can be simplified and manufactured at low cost.

상기 조작 부재는 마그네트에 상기 코일 스프링이 접속되는, 조작부를 구비한 홀더를 일체화하여 이루어지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o set it as the structure which integrates the holder provided with the operation part to which the said coil spring is connected to the magnet.

이 구성에 의해, 조작부와 검출부에 의해 검출되는 마그네트를 일체로 하여, 구성을 더욱 간략화하는 것이 가능해진다.This configuration makes it possible to further simplify the configuration by unifying the magnets detected by the operation unit and the detection unit.

상기 마그네트는 상기 코일 스프링과의 간섭을 회피하기 위한 릴리프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magnet preferably has a relief portion for avoiding interference with the coil spring.

이 구성에 의해, 베이스 상의 적재 방향에서의 치수를 억제하여, 박형화를 실현 가능하게 된다.By this structure, the dimension in the loading direction on a base can be suppressed and thickness reduction can be implement | achieved.

상기 검출 부재는 상기 검출부를 둘레 방향으로 복수 배치하고, 상기 제2 검출부를 상기 각 제1 검출부 사이에, 둘레 방향으로 복수 배치하고,The said detection member arrange | positions a plurality of the said detection parts in a circumferential direction, and arrange | positions a plurality of said 2nd detection parts in a circumferential direction between each said 1st detection part,

상기 코일 스프링은 상기 아암부와는 간섭하지 않는 위치에서, 상기 베이스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Preferably, the coil spring is provided on the base at a position that does not interfere with the arm portion.

이 구성에 의해, 불필요한 스페이스를 없애고, 가일층 콤팩트한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By this structure, unnecessary space can be eliminated and it can become a more compact structure.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전자 기기를, 상기 어느 한쪽의 구성의 입력 장치를 구비한 구성으로 한 것이다.Moreover, this invention makes an electronic device the structure provided with the input device of any one of said structures as a means for solving the said subject.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Moreover, this invention is a means for solving the said subject,

전자 기기를,Electronic devices,

탄성 변형 가능하고, 압입 조작 가능한 누름부를 갖는 복수의 아암부를 구비한 전자 기기 본체와,An electronic device body having a plurality of arm portions elastically deformable and having a pressing portion that can be press-fitted,

상기 전자 기기 본체 상에 요동 조작 가능하게 배치되는 조작 부재와,An operation member disposed on the main body of the electronic device so as to be swingable;

상기 전자 기기 본체 내에 배치되어, 상기 누름부의 압입 조작을 검출하는 제1 검출부 및 상기 조작 부재에 의한 요동 조작을 검출하는 제2 검출부를 갖는 검출 부재를 구비한 구성으로 한 것이다.It is set as the structure provided with the detection member arrange | positioned in the said electronic device main body, and having the 1st detection part which detects the press-in operation of the said press part, and the 2nd detection part which detects the rocking operation by the said operation member.

본 발명에 따르면, 케이스의 내측면에 형성한 탄성 변형 가능한 아암부에 의해, 그 자유단부측에 설치한 누름부의 압입 조작을 가능하게 하였으므로, 아암부를 복수 설치함으로써 별개의 독립된 조작이 가능해진다. 즉, 아암부의 탄성력만을 고려하여 설계하는 것만으로, 간단하게 원하는 조작 감촉을 얻을 수 있어, 조작성이 우수한 것으로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elastically deformable arm portion formed on the inner side of the case enables press-fitting operation of the pressing portion provided on the free end side thereof, separate operation can be performed by providing a plurality of arm portions. That is, only by considering only the elastic force of the arm part, the desired touch can be obtained easily, and it becomes possible to make it excellent in operability.

도 1은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입력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n inpu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도 2는 도 1의 입력 장치를 저면측에서 본 상태를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다.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input device of FIG. 1 is viewed from the bottom face side. FIG.

도 3의 (a)는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입력 장치의 평면도, (b)는 A-A선 단면도, (c)는 B-B선 단면도이다.3A is a plan view of the inpu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b)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and (c)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B-B.

도 4의 (a)는 도 1에 도시하는 원통 케이스의 사시도, (b)는 저면측에서 본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A)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ylindrical case shown in FIG. 1, (b) is a perspective view which shows the state seen from the bottom face side.

도 5는 도 1의 마그네트, 설치 플레이트, 코일 스프링 및 홀더를 도시하는 확대 사시도이다.FIG. 5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magnet, the mounting plate, the coil spring, and the holder of FIG. 1.

도 6은 도 5의 홀더를 저면측에서 본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It is a perspective view which shows the state which looked at the holder of FIG. 5 from the bottom face side.

도 7은 도 1에 도시하는 입력 장치의 조립 도중을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다.FIG. 7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e assembly process of the input device shown in FIG. 1. FIG.

도 8은 도 1에 도시하는 입력 장치를 채용한 전자 기기(휴대 전화)의 평면도이다.8 is a plan view of an electronic apparatus (mobile phone) employing the input device shown in FIG. 1.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code]

1 : 입력 장치1: input device

2 : 베이스 플레이트(베이스)2: base plate (base)

3 : 프린트 기판(검출 부재)3: printed board (detection member)

4 : 원통 케이스4: cylindrical case

5 : 마그네트(조작 부재)5: magnet (operation member)

6 : 홀더(조작 부재)6: holder (operation member)

7 : 톱 플레이트7: top plate

7a : 중심 구멍7a: center hole

7b : 직사각형 구멍7b: rectangular hole

8 : 제1 절결부8: first cutout

9 : 스프링 받침부9: spring bearing part

10 : 제1 연장 설치부10: first extension mounting portion

11 : 설치 구멍11: mounting hole

12a, 12b : 위치 결정 구멍12a, 12b: positioning hole

13 : 제1 관통 구멍13: first through hole

14 : 검출부14 detection unit

15 : 리드부15: lead part

16 : 제2 절결부16: second notch

17a : 스위치17a: switch

17b : 스위치(제1 검출부)17b: switch (first detector)

18 : 홀 소자(제2 검출부)18: Hall element (second detector)

19 : 제2 관통 구멍19: second through hole

20 : IC20: IC

21 : 상방측 결합 돌기부21: upward coupling protrusion

22 : 빠짐 방지편22: fall prevention piece

23 : 하방측 결합 돌기부23: downward coupling protrusion

24 : 아암부24: arm part

25 : 누름부25: pressing part

25a : 돌기25a: turning

26 : 제3 절결부26: third cutout

27 : 가이드 홈(릴리프부)27: guide groove (relief part)

28 : 환 형상 보유 지지부28: annular holding part

29 : 긴 구멍29: long hole

30 : 제4 절결부30: fourth cutout

31 : 돌출부31: protrusion

32 : 제5 절결부32: fifth cutout

33 : 교량부33: bridge

34 : 홈부34: groove

35 : 제1 돌출부35: first protrusion

36 : 제2 돌출부36: second protrusion

36a : 돌기36a: protrusion

37 : 회전 방지부37: anti-rotation unit

38 : 설치 플레이트38: mounting plate

38a : 중심 구멍38a: center hole

38b : 절결부38b: cutout

38c : 직사각형 구멍38c: rectangular hole

39 : 제2 연장 설치부39: 2nd extension installation part

40 : 코일 스프링40: coil spring

41a, 41b : 소경부41a, 41b: Small diameter part

42 : 제6 절결부42: sixth notch

43 : 조작 버튼43: operation button

43a : 돌출부43a: protrusion

44 : 휴대 전화44: cell phone

45 : 모니터45: monitor

이하, 본 발명에 관한 실시 형태를 첨부 도면에 따라서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는 필요에 따라서 특정한 방향이나 위치를 나타내는 용어(예를 들어, 「상」, 「하」, 「측」, 「단부」 및 이들 용어를 포함하는 다른 용어)를 사용하지만, 이들 용어의 사용은 도면을 참조한 발명의 이해를 쉽게 하기 위해서이며, 이들 용어의 의미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EMBODIMENT OF THE INVENTION Hereinafter, embodiment which concerns on this invention is described according to an accompanying drawing. In addition, although the following description uses the term (for example, "upper", "lower", "side", "end", and other terms including these terms) indicating a specific direction or position as needed, these The terminology is used to facilitate the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and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meaning of these terms.

도 1 내지 도 3은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입력 장치(1)를 도시한다. 이 입력 장치(1)는 대략 베이스 플레이트(2)와, 프린트 기판(3)과, 원통 케이스(4)와, 마그네트(5)와, 홀더(6)와, 톱 플레이트(7)를 구비한다.1 to 3 show the input device 1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is input device 1 is provided with the base plate 2, the printed board 3, the cylindrical case 4, the magnet 5, the holder 6, and the top plate 7 substantially.

베이스 플레이트(2)는 금속 재료(예를 들어, 스테인리스강)를 평면에서 볼 때 대략 원형의 판 형상으로 한 것이다. 베이스 플레이트(2)의 외주연 4개소에는 후술하는 원통 케이스(4)의 장착에 이용되는 제1 절결부(8)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각 제1 절결부(8)의 내측 테두리가 잘려 세워짐으로써 스프링 받침부(9)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각 스프링 받침부(9)의 상단부는 대략 U자형으로 되어 있다.The base plate 2 is made into a substantially circular plate shape in plan view of a metallic material (for example, stainless steel). At the four outer circumferential edges of the base plate 2, the first notches 8 used for mounting the cylindrical case 4 mentioned later are formed, respectively. And the inner side edge of each 1st notch 8 is cut off and the spring support part 9 is formed, respectively. The upper end part of each spring support part 9 is substantially U-shaped.

또한, 베이스 플레이트(2)의 외주연부에는 2개소 등분으로 상기 제1 절결부(8)의 2개소에 인접하여 제1 연장 설치부(10)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각 제1 연장 설치부(10)에는 설치 구멍(11, 11)과 위치 결정 구멍(12a, 12b)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설치 구멍(11)을 이용하여 베이스 플레이트(2)를, 예를 들어 휴대 전화의 하우징(도시하지 않음)에 나사 고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한쪽의 위치 결정 구멍(12a)은 원형이지만, 다른 쪽의 위치 결정 구멍(12b)은 긴 구멍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하우징에, 위치 결정 구멍(12a, 12b)에 각각 핀(도시하지 않음)을 삽입 관통하여, 위치 결정 구멍(12b)의 형상에 의해 위치 조정하여, 확실하게 원하는 위치에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Moreover, the 1st extended installation part 10 is formed in the outer periphery part of the base plate 2 adjacent to 2 places of the said 1st notch 8 in two equal parts, respectively. In each of the first extension mounting portions 10, mounting holes 11 and 11 and positioning holes 12a and 12b are formed, respectively. It is possible to screw the base plate 2 to the housing (not shown) of a mobile telephone, for example using the installation hole 11. One positioning hole 12a is circular, while the other positioning hole 12b is a long hole. Therefore, pins (not shown) are respectively inserted through the positioning holes 12a and 12b into the housing, the positions are adjusted by the shape of the positioning holes 12b, and they can be reliably installed at desired positions. It is supposed to be done.

또한, 베이스 플레이트(2)의 외주부에는 2개소 등분으로 제1 관통 구멍(13)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이들 제1 관통 구멍(13)은 위치 결정 핀(도시하지 않음)이 삽입 관통하여, 베이스 플레이트(2)에 대해 후술하는 프린트 기판(3)을 위치 결정할 때에 이용된다.Moreover, the 1st through hole 13 is formed in two equal parts in the outer peripheral part of the base plate 2, respectively. These first through holes 13 are used when positioning pins (not shown) are inserted to position the printed board 3 to be described later with respect to the base plate 2.

프린트 기판(3)은 평면에서 볼 때 대략 원형의 검출부(14)와, 이 검출부(14)로부터 연장되는 리드부(15)로 이루어지는 FPC(Flexible Printed Circuits)이다.The printed circuit board 3 is an FPC (Flexible Printed Circuits) which consists of the detection part 14 of a substantially circular shape in planar view, and the lead part 15 extended from this detection part 14.

검출부(14)의 외주연에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2)의 제1 절결부(8)에 대응하는 위치에 제2 절결부(16)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또한, 검출부(14)의 중앙부와 그 주위 4개소에는 돔 형상으로 돌출된 스위치(17a, 17b)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주위 4개소의 스위치(17b)는 스위치(17a)를 중심으로 하여 둘레 방향으로 등분으로 배치되어 있다. 각 스위치(17b) 사이에는 4개소 등분으로 홀 소자(18)가 각각 실장되어 있다. 각 홀 소자(18)는 후술하는 홀더(6)의 환 형상 보유 지지부(28)를 조작함으로써, 그것에 일체화한 마그네트(5)가 이동하여 자계가 변화된 것을 전기 신호로서 출력한다.At the outer periphery of the detector 14, second cutouts 16 are formed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first cutouts 8 of the base plate 2, respectively. In addition, switches 17a and 17b protruding in a dome shape are provided at the center of the detection unit 14 and four surroundings thereof. Four switches 17b around each other are arranged equally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round the switch 17a. The Hall element 18 is mounted in four equal parts between each switch 17b. Each hall element 18 operates the annular retaining portion 28 of the holder 6 to be described later, and outputs as an electric signal that the magnet 5 integrated therein moves and the magnetic field is changed.

또한, 프린트 기판(3)에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2)의 제1 관통 구멍(13)에 대응하는 위치에 제2 관통 구멍(19)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양 관통 구멍(13, 19)에는 위치 결정 핀(도시하지 않음)이 삽입 관통되어, 프린트 기판(3)이 베이스 플레이트(2)에 대해 위치 결정되도록 되어 있다.In the printed board 3, second through holes 19 are formed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first through holes 13 of the base plate 2, respectively. Positioning pins (not shown) are inserted through the through holes 13 and 19 so that the printed circuit board 3 is positioned relative to the base plate 2.

한편, 리드부(15)에는 IC(Integrated Circuit)(20)가 실장되어 있다. IC(20)는 상기 각 홀 소자(18)로부터 입력된 전기 신호에 기초하여 홀더(6)의 조작 방향 및 조작량을 연산하여 소정의 제어를 실행한다.On the other hand, an integrated circuit (IC) 20 is mounted in the lead portion 15. The IC 20 calculates an operation direction and an operation amount of the holder 6 based on the electric signals input from the respective hall elements 18 to perform predetermined control.

원통 케이스(4)는, 도 4의 (a),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합성 수지 재료를 대략 원통 형상으로 한 것이다. 원통 케이스(4)의 환 형상 상단부에는 4개소 등분으로 상방측 결합 돌기부(21)와 빠짐 방지편(22)이 각각 45도 위치를 어긋나게 하여 형성되어 있다. 또한, 원통 케이스(4)의 환 형상 하단부에는 상기 빠짐 방지편(22)에 대응하는 위치에, 4개소 등분으로 하방측 결합 돌기부(23)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또한, 원통 케이스(4)의 내주면에는 4개소 등분으로 아암부(24)가 형성되어 있다. 각 아암부(24)는 원통 케이스(4)의 내측으로 돌출되어, 그 내주면을 따라서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그리고, 각 아암부(24)의 선단에는 누름 부(25)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각 누름부(25)의 상단부는 상기 상방측 결합 돌기부(21)보다도 상방으로 돌출되고, 하단부면에는 돌기(25a)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As shown in FIGS. 4A and 4B, the cylindrical case 4 is formed in a substantially cylindrical shape with a synthetic resin material. The upper engaging projection 21 and the fall prevention piece 22 are formed by shifting the 45 degree position in four equal parts at the annular upper end part of the cylindrical case 4, respectively. Moreover, the lower side engaging protrusion part 23 is formed in four equal parts at the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said fall prevention piece 22 in the annular lower end part of the cylindrical case 4, respectively. Moreover, the arm part 24 is formed in four equal parts o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ylindrical case 4. Each arm part 24 protrudes inside the cylindrical case 4 and extends in the same direction along its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the pressing part 25 is provided in the front-end | tip of each arm part 24, respectively. The upper end part of each press part 25 protrudes upwards rather than the said upper side engaging projection part 21, and the projection 25a is formed in the lower end surface, respectively.

마그네트(5)는 환 형상이고,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주연이 4개소 등분으로 잘라내어짐으로써 제3 절결부(26)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각 제3 절결부(26) 사이에는 중심 구멍(5a)으로부터 외측 테두리로 연장되는 가이드 홈(27)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복잡한 형상의 마그네트(5)는 합성 수지 재료에 자성체의 분말을 혼합하여 성형 가공함으로써 얻는 것이 가능하다.The magnet 5 has an annular shape, and as shown in FIG. 5, the third notches 26 are formed by cutting the outer circumference into four equal parts. Guide grooves 27 extending from the center hole 5a to the outer edge are formed between the third cutouts 26, respectively. And such a complicated shape magnet 5 can be obtained by mixing and molding the powder of a magnetic substance with a synthetic resin material.

홀더(6)는 합성 수지 재료를 성형함으로써 형성되는 것이다. 홀더(6)의 상면 중앙부에는 환 형상 보유 지지부(28)가 형성되어 있다. 환 형상 보유 지지부(28)에는 도 1에 도시하는 조작 버튼(43)이 설치된다. 조작 버튼(43)은 그 하면 중앙부에 형성된 돌출부(43a)가 환 형상 보유 지지부(28)의 중앙의 오목부(28a)에 끼워 맞추어진다(도 3 참조). 또한, 환 형상 보유 지지부(28)의 주위 4개소에는 긴 구멍(29)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The holder 6 is formed by molding a synthetic resin material. An annular retaining portion 28 is formed at the center of the upper surface of the holder 6. The operation button 43 shown in FIG. 1 is provided in the annular holding part 28. As for the operation button 43, the projection part 43a formed in the center part of the lower surface is fitted to the recessed part 28a of the center of the annular holding part 28 (refer FIG. 3). In addition, long holes 29 are formed in four circumferences of the annular retaining portion 28, respectively.

또한, 홀더(6)의 외주연에는 상기 마그네트(5)의 제3 절결부(26)에 대응하는 4개소의 위치에 제4 절결부(30)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각 제4 절결부(30) 사이의 4개소의 돌출부(31)에는 그 외측 테두리 중앙에 제5 절결부(32)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긴 구멍(29)과 제5 절결부(32) 사이는 교량부(33)로 되어 있다. 각 교량부(33)의 하면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홀더(6)의 하면으로부터 돌출되고, 그곳에는 긴 구멍(29)과 제5 절결부(32)를 연결하는 홈부(34)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Moreover, the 4th cutout part 30 is formed in the four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3rd cutout part 26 of the said magnet 5 in the outer periphery of the holder 6, respectively. The fifth cutouts 32 are formed in the four protruding portions 31 between the fourth cutouts 30 at the center of the outer edge thereof, respectively. The bridge portion 33 is formed between the long hole 29 and the fifth cutout portion 32. As shown in FIG. 6, the lower surface of each bridge portion 33 protrudes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holder 6, and there is a groove portion 34 connecting the long hole 29 and the fifth cutout portion 32. Each is formed.

또한, 홀더(6)의 하면 중앙부에는 상기 교량부(33)와 동일 높이이고, 원기둥 형상의 제1 돌출부(35)가 형성되어 있다. 제1 돌출부(35)의 중앙부에는 제2 돌출부(36)가 형성되어 있다. 제2 돌출부(36)는 대략 원기둥 형상이고, 외주부에는 회전 방지부(37)가 형성되어 있다. 제2 돌출부(36)의 중앙부에는 돌기(36a)가 형성되어, 프린트 기판(3)의 중앙부에 형성한 스위치(17a)를 누름 가능하게 되어 있다.In addition, at the center of the lower surface of the holder 6, a first protrusion 35 having the same height as the bridge portion 33 and having a cylindrical shape is formed. The second protrusion 36 is formed at the center of the first protrusion 35. The 2nd protrusion part 36 is substantially cylindrical shape, and the rotation prevention part 37 is formed in the outer peripheral part. The projection 36a is formed in the center part of the 2nd protrusion part 36, and the switch 17a formed in the center part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3 can be pressed.

홀더(6)의 하면에는 설치 플레이트(38)가 설치된다. 이 설치 플레이트(38)에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2 돌출부(36)가 삽입 관통하는 중심 구멍(38a)이 형성되어 있다. 중심 구멍(38a)을 구성하는 내측 테두리에는 회전 방지부(37)가 걸리는 절결부(38b)가 형성되어, 홀더(6)에 대해 설치 플레이트(38)를 회전 방향으로 위치 결정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설치 플레이트(38)의 외주연에는 4개소 등분으로 외측으로 연장 설치되는 제2 연장 설치부(39)가 형성되어 있다. 각 제2 연장 설치부(39)에는 상기 긴 구멍(29)에 대응하는 위치에 직사각형 구멍(38c)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설치 플레이트(38)는 홀더(6)의 하면에 설치한 상태로, 각 제2 연장 설치부(39)의 외측 테두리부가 교량부(33)의 하면에 접촉하여, 홈부(34)를 통해 코일 스프링(40)을 보유 지지 가능하게 되어 있다.The mounting plate 38 is attach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holder 6. As shown in FIG. 5, the mounting plate 38 is provided with a central hole 38a through which the second protrusion 36 is inserted. The notch part 38b which the rotation prevention part 37 catches is formed in the inner edge which comprises the center hole 38a, and the installation plate 38 can be positioned with respect to the holder 6 in a rotation direction. Moreover,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installation plate 38, the 2nd extension installation part 39 extended in the outer side by four equal parts is formed. In each of the second extension mounting portions 39, rectangular holes 38c are formed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elongated holes 29, respectively. The mounting plate 38 is install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holder 6, and the outer edges of the respective second extension mounting portions 39 contact the lower surface of the bridge portion 33, and the coil springs are provided through the grooves 34. 40 can be hold | maintained.

코일 스프링(40)은 양단부로부터 소정 치수 내측으로 소경부(41a, 41b)를 구비한다. 코일 스프링(40)의 일단부측의 소경부(41a)는 상기 홀더(6)의 교량부(33)에 형성한 홈부(34)에 배치되어, 설치 플레이트(38)에 의해 빠짐 방지된다. 또한, 타단부측의 소경부(41b)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2)에 형성한 스프링 받침부(9)에 보유 지지된다.The coil spring 40 has small diameter parts 41a and 41b from both ends to the inside of the predetermined dimension. The small diameter portion 41a on one end side of the coil spring 40 is disposed in the groove portion 34 formed in the bridge portion 33 of the holder 6, and is prevented from being pulled out by the mounting plate 38. Moreover, the small diameter part 41b of the other end side is hold | maintained by the spring support part 9 formed in the said base plate 2. As shown in FIG.

톱 플레이트(7)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금속 재료(예를 들어, 스테인리스강)를 평면에서 볼 때 대략 원형의 판 형상으로 한 것이다. 톱 플레이트(7)의 외주연에는 4개소 등분으로 제6 절결부(42)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또한, 톱 플레이트(7)의 중심 구멍(7a)과 각 제6 절결부(42) 사이에는 직사각형 구멍(7b)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각 직사각형 구멍(7b)에는 상기 원통 케이스(4)의 아암부(24)에 형성한 누름부(25)의 상단부가, 상면측으로부터 압입 가능하게 돌출된다.As shown in FIG. 1, the top plate 7 is made into a substantially circular plate shape in plan view of a metal material (for example, stainless steel). At the outer periphery of the top plate 7, the sixth cut-out part 42 is formed in four equal parts, respectively. Further, rectangular holes 7b are formed between the center hole 7a of the top plate 7 and the sixth cutouts 42, respectively. In each rectangular hole 7b, the upper end part of the press part 25 formed in the arm part 24 of the said cylindrical case 4 protrudes so that a press-fit is possible from the upper surface side.

계속해서, 상기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입력 장치(1)의 조립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Next, the assembling method of the input device 1 which consists of the said structure is demonstrated.

우선, 베이스 플레이트(2) 상에 프린트 기판(3)을 적재한다. 이때, 베이스 플레이트(2)의 제1 관통 구멍(13)과 프린트 기판(3)의 제2 관통 구멍(19)에 도시하지 않은 위치 결정 핀을 삽입 관통하여, 베이스 플레이트(2)에 대해 프린트 기판(3)을 위치 결정한다. 또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2)는 설치 구멍(11)을 이용하여 도시하지 않은 지그 등에 고정해 두면, 조립 작업을 효율적으로 행할 수 있다.First, the printed board 3 is mounted on the base plate 2. At this time, a positioning pin (not shown) is inserted into the first through hole 13 of the base plate 2 and the second through hole 19 of the printed board 3 to penetrate the printed circuit board with respect to the base plate 2. Position (3). If the base plate 2 is fixed to a jig or the like not shown using the mounting hole 11, the assembling work can be efficiently performed.

한편, 홀더(6)에는 그 교량부(33)에 형성한 홈부(34)에 코일 스프링(40)의 소경부(41a)를 배치한다(즉, 코일 스프링을 걸리게 함). 그리고, 홀더(6)의 하면에 설치 플레이트(38)를 장착하고, 이때, 홀더(6)의 회전 방지부(37)를 설치 플레이트(38)의 절결부(6b)에 걸리게 하여 홀더(6)에 대해 설치 플레이트(38)를 회전 방향으로 위치 결정한다. 이에 의해, 제2 연장 설치부(39)의 외측 테두리부에 의해 코일 스프링(40)이 홈부(34)로부터 빠짐 방지된다. 또한, 이 상태에서는 코일 스프링(40)의 일단부가 홀더(6)의 긴 구멍(29)과 설치 플레이트(38)의 직사각형 구멍(38c)에 위치하여, 양 부재[홀더(6), 설치 플레이트(38)]와의 간섭이 회피된다.On the other hand, the small diameter part 41a of the coil spring 40 is arrange | positioned to the holder part 6 in the groove part 34 formed in the bridge part 33 (that is, it makes a coil spring hang). Then, the mounting plate 38 is mount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holder 6, and at this time, the rotation preventing portion 37 of the holder 6 is caught by the cutout portion 6b of the mounting plate 38 to hold the holder 6. Position the mounting plate 38 in the direction of rotation. As a result, the coil spring 40 is prevented from being pulled out of the groove portion 34 by the outer edge portion of the second extension mounting portion 39. In this state, one end of the coil spring 40 is located in the long hole 29 of the holder 6 and the rectangular hole 38c of the mounting plate 38, so that both members (the holder 6 and the mounting plate ( 38)] is avoided.

이와 같이 하여 설치 플레이트(38)에 의해 코일 스프링(40)을 보유 지지한 홀더(6)를 마그네트(5)에 장착한다. 이때, 홀더(6)의 제2 돌출부(36)를 마그네트(5)의 중심 구멍(5a)에 위치시켜, 마그네트(5)의 하면 위치보다도 하방으로 돌기(36a)를 돌출시킨다.In this way, the holder 6 holding the coil spring 40 by the mounting plate 38 is attached to the magnet 5. At this time, the 2nd protrusion part 36 of the holder 6 is located in the center hole 5a of the magnet 5, and the protrusion 36a protrudes below the lower surface position of the magnet 5.

그리고, 이들 부품[홀더(6), 코일 스프링(40), 설치 플레이트(38) 및 마그네트(5)]을 베이스 플레이트(2)에 설치한다. 즉, 코일 스프링(40)의 타단부측의 소경부(41b)를 베이스 플레이트(2)의 스프링 받침부(9)에 배치한다. 이에 의해, 마그네트(5) 및 홀더(6)는 원통 케이스(4) 내에 코일 스프링(40)을 통해 4방향으로부터 하방측으로 압박된 상태로 탄성 지지된다.And these components (holder 6, coil spring 40, mounting plate 38, and magnet 5) are attached to the base plate 2. As shown in FIG. That is, the small diameter part 41b of the other end side of the coil spring 40 is arrange | positioned at the spring support part 9 of the base plate 2. As shown in FIG. Thereby, the magnet 5 and the holder 6 are elastically supported in the cylindrical case 4 in the state pushed downward from 4 directions through the coil spring 40. As shown in FIG.

계속해서, 베이스 플레이트(2)에 원통 케이스(4)를 장착한다. 원통 케이스(4)의 장착에서는 그 하방측 결합 돌기부(23)를 베이스 플레이트(2)의 제1 절결부(8)에 끼워 맞춤으로써 행한다(열 코킹, 접착, 걸기 등이라도 좋음). 이때, 빠짐 방지편(22)에 의해 스프링 받침부(9)에 보유 지지한 코일 스프링(40)의 소경부(40b)가 빠짐 방지된다. 이에 의해, 홀더(6)에 형성한 돌기(36a)가 프린트 기판(3)의 중앙부의 스위치(17a)에 압입 가능한 상태로 접촉한다. 이로 인해, 이와 같은 세트 상태에서, 홀더(6)[설치 플레이트(38) 및 마그네트(5)를 포함함]는 덜걱거리는 경우가 없다. 또한, 원통 케이스(4)의 아암부(24)의 선단에 형성한 누름부(25)가, 그 돌기(25a)를 프린트 기판(3)의 주위 4개소에 설치한 스위치(17)에 압 입 가능한 상태로 접촉한다.Subsequently, the cylindrical case 4 is attached to the base plate 2. In attaching the cylindrical case 4, the lower engaging projection 23 is fitted to the first cutout 8 of the base plate 2 (could be thermal caulking, adhesion, hanging, or the like). At this time, the small diameter part 40b of the coil spring 40 held by the spring support part 9 is prevented from coming off by the fall prevention piece 22. Thereby, the projection 36a formed in the holder 6 contacts the switch 17a of the center part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3 in the state which can press-fit. For this reason, in this set state, the holder 6 (including the mounting plate 38 and the magnet 5) does not rattle. Moreover, the pressing part 25 formed in the front-end | tip of the arm part 24 of the cylindrical case 4 press-fits to the switch 17 which provided the protrusion 25a in four circumference | surroundings of the printed board 3. Contact as possible.

마지막으로, 원통 케이스(4)의 상단부에 톱 플레이트(7)를 장착한다. 톱 플레이트(7)의 장착은 그 제6 절결부(42)에 원통 케이스(4)의 상방측 결합 돌기부(21)를 끼워 맞춤으로써 행한다(열 코킹, 접착, 걸기 등이라도 좋음). 그리고, 이 장착 상태에서는 톱 플레이트(7)의 직사각형 구멍(7b)으로부터 원통 케이스(4)의 누름부(25)의 상단부가 압입 가능하게 돌출된다. 이에 의해, 입력 장치(1)의 조립 작업이 종료된다.Finally, the top plate 7 is attached to the upper end of the cylindrical case 4. The top plate 7 is mounted by fitting the upper engaging projection 21 of the cylindrical case 4 to the sixth cutout 42 (could be thermal caulking, bonding, hanging, or the like). In this mounting state, the upper end portion of the pressing portion 25 of the cylindrical case 4 protrudes from the rectangular hole 7b of the top plate 7 so as to be press fit. Thereby, the assembly work of the input device 1 is complete | finished.

다음에, 상기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입력 장치(1)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Next, operation | movement of the input device 1 which consists of the said structure is demonstrated.

홀더(6)의 환 형상 보유 지지부(28)를 조작하기 전의 상태에서는, 이 홀더(6)에 일체화된 마그네트(5)는 코일 스프링(40)에 의해 4방으로부터 인장되어, 톱 플레이트(7)의 중심 구멍(7a)의 중심부에 위치한다. 따라서, 환 형상 보유 지지부(28)를 코일 스프링(40)의 압박력에 저항하여 직경 방향의 어느 한쪽으로 조작하면, 그 조작에 수반하여 마그네트(5)가 이동하여 자계가 변화된다. 홀 소자(18)는 그 자계의 변화를 검출하여 IC(20)에 전기 신호를 출력한다. IC(20)는 이 전기 신호에 기초하여 마그네트(5)의 이동 방향 및 이동량을 연산한다.In the state before operating the annular holding part 28 of the holder 6, the magnet 5 integrated in this holder 6 is tensioned from four directions by the coil spring 40, and the top plate 7 is carried out. Is located in the center of the central hole 7a. Therefore, when the annular holding part 28 is operated in either radial direction in response to the biasing force of the coil spring 40, the magnet 5 will move and the magnetic field will change with the operation. The hall element 18 detects a change in the magnetic field and outputs an electric signal to the IC 20. The IC 20 calculates the moving direction and the moving amount of the magnet 5 based on this electric signal.

환 형상 보유 지지부(28)에 부여한 힘을 제거하면, 코일 스프링(40)의 탄성력에 의해 마그네트(5)는 중심 위치로 복귀한다. 그리고, 이 상태에서, 환 형상 보유 지지부(28)를 압입하면, 그 돌기(36a)가 스위치(17a)를 밀어내려, 스위치(17a)는 온 상태로 된다. 또한, 주위 4개소로부터 돌출되는 누름부(25)를 압입하면, 아암부(24)가 탄성 변형되어, 하단부면의 돌기(25a)가 프린트 기판(3)의 스 위치(17b)를 밀어 내린다. 이에 의해, 스위치(17b)는 온 상태로 된다. 이 경우, 중앙부의 환 형상 보유 지지부(28)의 조작과는 관계없이 독립하여 누름부(25)를 압입 조작할 수 있다. 즉, 누름부(25)를 압입 조작할 때의 조작감은 아암부(24)의 탄성력 및 스위치(17b)의 반력에 의해서만 결정되므로, 미리 원하는 반력이 얻어지도록 설정하는 것만으로 적절한 것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When the force applied to the annular retaining portion 28 is removed, the magnet 5 returns to the center position by the elastic force of the coil spring 40. In this state, when the annular retaining portion 28 is press-fitted, the projection 36a pushes down the switch 17a, and the switch 17a is turned on. Moreover, when the pressing part 25 which protrudes from four surroundings is press-fitted, the arm part 24 elastically deforms and the protrusion 25a of the lower end surface pushes down the switch 17b of the printed board 3. As a result, the switch 17b is turned on. In this case, the pressing part 25 can be press-fitted independently of the operation of the annular holding part 28 of a center part. That is, since the operation feeling at the time of pushing-in the press part 25 is determined only by the elastic force of the arm part 24, and the reaction force of the switch 17b, it is possible to make it suitable only by setting so that desired reaction force may be obtained beforehand. It is.

상기 입력 장치(1)는,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휴대 전화(44)에 내장하여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4개소에 노출되는 누름부(25)의 어느 하나를 압입 조작함으로써, 모니터(45)에 표시시킨 복수의 항목 중 어느 하나를, 다른 것과 식별 가능하게 표시(예를 들어, 하이라이트 표시)시킬 수 있다. 그리고, 원하는 항목이 다른 것과 식별 가능하게 표시되어, 환 형상 보유 지지부(28)가 압입되면, 선택된 항목을 실행한다. 구체적으로는, 누름부(25)의 조작에 의해 전화 번호부에 등록되어 있는 성명을 일람 표시시켜, 환 형상 보유 지지부(28)의 조작으로부터 해당하는 성명을 선택하여 전화를 거는 경우 등에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브라우저를 기동하여 모니터에 지도를 표시시켜, 조작 버튼(8)을 직경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즉, 상하 좌우의 4방향으로 한정되지 않고, 주위의 어느 방향으로도 자유롭게 이동시킴으로써), 지도 상에 표시시키는 포인터를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키는 경우 등에도 이용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8, the input device 1 can be incorporated in the cellular phone 44 and used. For example, by pressing-in any one of the pressing portions 25 exposed at four places, any one of the plurality of items displayed on the monitor 45 can be distinguished from others (for example, highlight display). You can. When the desired item is displayed to be distinguishable from the others and the annular retaining portion 28 is press-fitted, the selected item is executed. Specifically, a list of names registered in the telephone directory is displayed by the operation of the pressing section 25, and the corresponding names can be selected from the operation of the annular holding section 28 to be used for making a call. In addition, by activating a browser to display a map on the monitor, and by moving the operation button 8 in the radial direction (that is, not limited to four directions of up, down, left, and right, freely moving in any direction around), It can also be used to move the pointer displayed on the screen to a desired position.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실시 형태에 기재된 구성으로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In addition, this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tructure described in the said embodiment, A various change is possible.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2)는 타원형 등을 포함하는 평면에서 볼 때 대략 원형 으로 하였지만, 정사각형, 직사각형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원통 케이스(4)는 베이스 플레이트(2)의 형상에 맞추어 그 주연부에 배치 가능한 형상으로 하면 좋다. 베이스 플레이트(2)를 합성 수지 재료로 구성하고, 성형 가공에 의해 원통 케이스(4)와 일체적으로 형성하도록 해도 좋다. 아암부(24)는 누름부(25)를 압입 조작했을 때, 원하는 조작 감촉이 얻어지는 것이면, 그 형상은 상관없다. 또한, 아암부(25)는 외팔보 구조로 하였지만, 고정보(fixed-beam) 구조로 하여, 그 중간부를 탄성 변형시키는 등, 구조는 자유롭다. 그리고, 그 단면적은 균일한 것으로 해도 좋고, 서서히 변화되는 것으로 해도 좋다. 코일 스프링을 4개 설치하도록 하였지만, 2개 이상이면 된다. 또한, 코일 스프링으로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탄성 부재를 사용할 수 있다. 요는, 홀더 및 마그네트를 구비한 조작 부재를, 부여한 힘을 제거함으로써, 항상 소정 위치로 복귀시킬 수 있는 것이면 된다.The base plate 2 may have a substantially circular shape when viewed from a plane including an ellipse or the like, but may be formed in various shapes such as square and rectangular. Moreover, what is necessary is just to make the said cylindrical case 4 into the shape which can be arrange | positioned at the peripheral part in accordance with the shape of the base plate 2. The base plate 2 may be made of a synthetic resin material and formed integrally with the cylindrical case 4 by molding. When the arm part 24 press-fits the press part 25, if the desired operation feeling is obtained, the shape does not matter. In addition, although the arm part 25 has a cantilever structure, it has a fixed-beam structure, and the structure is free, such as elastic deformation of the intermediate part. The cross-sectional area may be uniform or may be gradually changed. Although four coil springs were provided, two or more coil springs may be sufficient. Moreover, it is not limited to a coil spring, Various elastic members can be used. It is only necessary that the operation member including the holder and the magnet can be returned to the predetermined position at all times by removing the applied force.

또한, 상기 입력 장치(1)를 휴대 전화에 내장하여 이용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다른 전자 기기, 예를 들어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디지털 카메라, MP3 플레이어, 리모트 컨트롤러 등에 내장하는 것도 가능하다.In addition, the case where the input device 1 is used in a mobile phone has been described. However, other electronic devices such as a personal handy-phone system (PHS), a 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a digital camera, an MP3 player, It can also be embedded in a remote controller.

또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2)는 휴대 전화 등의 하우징의 일부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하우징의 일부에 핀을 설치하여, 이 핀을 이용하여 소정 위치에 프린트 기판(3)을 세트하고, 그 후, 다른 부품을 순차적으로 세트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The base plate 2 can also be configured as a part of a housing such as a mobile telephone. That is, it is also possible to provide a pin in a part of the housing, to set the printed board 3 at a predetermined position using the pin, and then to set other components sequentially.

본 발명에 관한 입력 장치는 휴대 전화기로 한정되지 않고, 다른 모바일 기기나 그 밖의 전자 기기에 적용해도 되는 것은 물론이다.The inpu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a mobile phone, but can of course be applied to other mobile devices or other electronic devices.

Claims (7)

베이스와,Bass, 통 형상이고, 상기 베이스에 장착되어, 내면에, 탄성 변형 가능하고, 압입 조작 가능한 누름부를 갖는 복수의 아암부를 구비한 케이스와,A case having a cylindrical shape,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arm parts attached to the base, and having a pressing part which is elastically deformable and can be press-fitted on its inner surface; 상기 베이스 상에 요동 조작 가능하게 배치되는 조작 부재와,An operation member disposed on the base so as to be swingable; 상기 케이스에 의해 둘러싸인 영역 내에 배치되어, 상기 누름부의 압입 조작을 검출하는 제1 검출부 및 상기 조작 부재에 의한 요동 조작을 검출하는 제2 검출부를 갖는 검출 부재를 구비하고,It is provided in the area | region enclosed by the said case, Comprising: The detection member which has the 1st detection part which detects the press-in operation of the said press part, and the 2nd detection part which detects the rocking operation by the said operation member, 상기 조작 부재는 일단부가 상기 베이스에 설치되는, 적어도 2개의 코일 스프링의 타단부에 접속됨으로써 탄성 지지되고, 마그네트에 상기 코일 스프링이 접속되는, 조작부를 구비한 홀더를 일체화하여 이루어지고,The operation member is formed by integrating a holder having an operation unit, which is elastically supported by being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at least two coil springs, one end of which is provided on the base, and the coil spring connected to a magnet, 상기 마그네트는 중심 구멍을 갖는 환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코일 스크링과의 간섭을 회피하기 위해, 중심 구멍으로부터 외주로 신장되는 가이드 홈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 장치.The magnet is formed in an annular shape having a center hole, and provided with a guide groove extending outward from the center hole to avoid interference with the coil scree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 부재는 상기 제1 검출부를 둘레 방향으로 복수 배치하여, 상기 제2 검출부를, 상기 각 제1 검출부 사이에, 둘레 방향으로 복수 배치하고,The said detection member arranges a plurality of said 1st detection parts in a circumferential direction, and arrange | positions a plurality of said 2nd detection parts in a circumferential direction between each said 1st detection part, 상기 코일 스프링은 상기 아암부와는 간섭하지 않는 위치에서, 상기 베이스에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 장치.The coil spring is provided on the base at a position where the coil spring does not interfere with the arm portion. 제1항 또는 제2항에 기재된 입력 장치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The input device of Claim 1 or 2 was provided, The electronic device characterized by the above-mentioned. 탄성 변형 가능하고, 압입 조작 가능한 누름부를 갖는 복수의 아암부를 구비한 전자 기기 본체와,An electronic device body having a plurality of arm portions elastically deformable and having a pressing portion that can be press-fitted, 상기 전자 기기 본체 상에 요동 조작 가능하게 배치되는 조작 부재와,An operation member disposed on the main body of the electronic device so as to be swingable; 상기 전자 기기 본체 내에 배치되어, 상기 누름부의 압입 조작을 검출하는 제1 검출부 및 상기 조작 부재에 의한 요동 조작을 검출하는 제2 검출부를 갖는 검출 부재를 구비하고,A detection member disposed in the main body of the electronic device, the detection member having a first detection portion detecting a press-fit operation of the pressing part and a second detection portion detecting a rocking operation by the operation member, 상기 조작 부재는 일단부가 상기 전자 기기 본체에 설치되는, 적어도 2개의 코일 스프링의 타단부에 접속됨으로써 탄성 지지되고, 마그네트에 상기 코일 스프링이 접속되는, 조작부를 구비한 홀더를 일체화하여 이루어지고,The operation member is formed by integrating a holder with an operation unit, one end of which is elastically supported by being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at least two coil springs, which is installed in the electronic device body, and the coil spring is connected to a magnet, 상기 마그네트는 중심 구멍을 갖는 환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코일 스크링과의 간섭을 회피하기 위해, 중심 구멍으로부터 외주로 신장되는 가이드 홈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The magnet is formed in an annular shape having a center hole, and provided with a guide groove extending outward from the center hole in order to avoid interference with the coil screen.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097027129A 2008-03-31 2008-12-19 Input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provided with the input device KR100951517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8091272A JP4325727B1 (en) 2008-03-31 2008-03-31 INPUT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HAVING THE INPUT DEVICE
JPJP-P-2008-091272 2008-03-3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0513A KR20100010513A (en) 2010-02-01
KR100951517B1 true KR100951517B1 (en) 2010-04-07

Family

ID=411350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27129A KR100951517B1 (en) 2008-03-31 2008-12-19 Input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provided with the input device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4325727B1 (en)
KR (1) KR100951517B1 (en)
WO (1) WO2009122622A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57279A (en) * 2002-03-01 2003-09-12 Sharp Corp Key device
JP2005321963A (en) * 2004-05-07 2005-11-17 Fujitsu Component Ltd Pointing device and terminal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13818A (en) * 1998-01-22 1999-08-06 Mitsumi Electric Co Ltd Pointing switch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57279A (en) * 2002-03-01 2003-09-12 Sharp Corp Key device
JP2005321963A (en) * 2004-05-07 2005-11-17 Fujitsu Component Ltd Pointing device and terminal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9245763A (en) 2009-10-22
JP4325727B1 (en) 2009-09-02
WO2009122622A1 (en) 2009-10-08
KR20100010513A (en) 2010-0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43981B2 (en) Input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using same
US7633488B2 (en) Pointing device
KR100931434B1 (en) Operation input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JP2006286458A (en) Operation input device and electronic equipment using it
KR100935788B1 (en) Operation input unit and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JP2006285743A (en) Operation input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US20110120849A1 (en) Operation input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US20090111513A1 (en) Operation input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EP1944783A1 (en) Manipulation input device and electronic instrument using the same
KR101033739B1 (en) Rotating and pressing operation type electronic component and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JP2003084916A (en) Coordinate input device
JP5338592B2 (en) Operation input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using the same
KR100951517B1 (en) Input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provided with the input device
WO2009119729A1 (en) Input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provided with the input device
JP4349462B2 (en) INPUT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HAVING THE INPUT DEVICE
JP2007299037A (en) Coordinate input device
JP4619879B2 (en) Multi-directional switch and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KR20100070286A (en) Operation input unit and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JP2007250289A (en) Terminal device
KR20100130338A (en) Information input uni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