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51103B1 - 폐수처리설비용 침전조 - Google Patents

폐수처리설비용 침전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51103B1
KR100951103B1 KR1020090010608A KR20090010608A KR100951103B1 KR 100951103 B1 KR100951103 B1 KR 100951103B1 KR 1020090010608 A KR1020090010608 A KR 1020090010608A KR 20090010608 A KR20090010608 A KR 20090010608A KR 100951103 B1 KR100951103 B1 KR 1009511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ner cylinder
cylindrical portion
propeller
sedimentation tank
circumferential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106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규봉
Original Assignee
맑은환경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맑은환경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맑은환경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106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5110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511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511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28Mechanical auxiliary equipment for acceleration of sedimentation, e.g. by vibrators or the like
    • B01D21/286Means for gentle agitation for enhancing floccul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02Settling tanks with single outlets for the separated liqu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18Construction of the scrapers or the driving mechanisms for settling tanks
    • B01D21/20Driving mechanism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5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cculation or precipitation of suspended impurities
    • C02F1/5209Regulation methods for flocculation or precipitati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ctivated Sludge Proce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폐수처리설비를 구성하는 침전조에 관한 것으로서, 상측의 원통형 부분과 하측의 역원추형 부분을 포함하며, 원통형 부분의 외주면 상단에서 외부로 연장되는 상등수 배출관 및 역원추형 부분의 하단에서 외부로 연장되는 부유물 배출관을 구비하는 외통; 상기 외통의 상기 원통형 부분을 상부에서 폐쇄하며, 중심부에 유입관을 구비하는 커버; 및 상기 커버의 중심부에 하방으로 순차적으로 배치되도록 결합되는 것으로서, 소정 높이만큼 원통형으로 연장되어 상기 외통의 원통형 부분 내부에 동심으로 배치되는 내통, 및 상기 내통의 소정 높이의 외주면 둘레에서 상기 원통형 부분의 내주면을 향해 연장되되 수직에 대하여 경사를 갖도록 형성되는 다수의 차단블레이드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프로펠러형 내통 유니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수처리설비용 침전조를 제공함으로써, 수평적 규모확대를 동반하지 않는 가운데 내부 형상구조를 통해 현저히 증대된 수면적 부하를 보유하게 되어, 상승 유동이 존재하는 공간에서 부유물의 체류시간을 증가시켜 효율적으로 부유물의 침강을 촉진함에 따라, 정화효율이 현저히 향상될 뿐만 아니라, 단위체적당 처리용량의 극대화를 달성할 수 있도록 한다.
외통, 내통, 차단블레이드, 프로펠러형 내통 유니트, 수면적 부하,

Description

폐수처리설비용 침전조{SEDIMENTATION TANK FOR WASTE WATER TREATMENT INSTALLATION}
본 발명은 폐수처리설비를 구성하는 침전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수면적 부하를 극대화한 형상구조를 갖도록 설계되어 공간설계에 유리한 폐수처리설비용 침전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질환경분야의 폐수처리설비에서는 오폐수정화처리를 위한 다양한 처리방법들이 사용된다. 오폐수정화처리에 사용되는 처리방법으로는 물리적 처리, 화학적 처리 및 생물학적 처리 등의 처리방법이 있으며, 이중 물리적 처리는 오폐수, 즉 처리수에 포함되어 있는 높은 비중의 슬러지 등과 같은 부유물을 중력으로 물과 분리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물리적 처리를 위해 폐수처리설비에 포함되는 대표적인 장치로서 침전조가 있다. 이와 같은 침전조의 내부공간에서는 비중 차이에 의한 분리가 발생하며, 따라서 유입되는 처리수에 포함된 높은 비중의 고체 슬러지 등은 침강하여 하부에 침 전된 다음 부유물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고, 낮은 비중의 물은 상승하여 상등수 배출구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방식으로 처리가 이루어진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폐수처리설비용 침전조의 일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기술에 따른 폐수처리설비용 침전조는, 상측의 원통형 부분(5)과 하측의 역원추형 부분(15)으로 이루어지는 외통(10)과, 원통형 부분(5)의 상부를 폐쇄하는 커버(30), 및 커버(30)의 중심부에서 하방으로 소정 높이만큼 연장되어 원통형 부분의 내부에 동심으로 배치되는 내통(50)을 포함한다. 그리고, 커버(30)의 중심부에는 내통(50)과 통하는 유입관(35)이 구비되고, 외통(10)을 이루는 역원추형 부분(15)의 하단에는 부유물 배출관(25)이 구비되며, 외통(10)을 이루는 원통형 부분(5)의 외주면 상단에는 측방으로 연장되는 상등수 배출관(27)이 구비된다.
이와 같은 침전조에서는, 우선 높은 비중의 부유물을 포함하는 처리수가 유입관(35)을 통해 내통(50)으로 유입되어 내통의 내부공간을 따라 하강하게 되고, 내통의 하단 이하의 공간, 즉 외통(10)을 이루는 원통형 부분(5)과 역원추형 부분(15) 간의 연결부 주변공간에서 비중 차이에 의해 부유물과 물의 분리가 일어나, 부유물은 침강하고 물은 상승하게 되며, 침강되는 부유물은 하부의 역원추형 부분(15)의 하부공간에 침전된 다음 부유물 배출구(25)를 통해 배출되고, 부유물과 분리된 물은 원통형 부분(5)의 내주면과 내통(50)의 외주면 사이의 공간을 통해 상승한 다음 상등수 배출구(27)를 통해 배출되는 방식으로, 처리수의 물리적 처리가 이루어진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기술에 따른 침전조의 경우 단지 중력에만 의존함에 따라, 비중이 현저히 높은 부유물의 침강은 원활한 반면, 물과의 비중차이가 크지 않은 부유물은 원활하게 침강하지 못함에 따라, 부유물 중 상당부분이 물의 상승 유동에 휩쓸려 상등수 배출구(27)로 물과 함께 배출된다. 이와 같이, 부유물이 물과 함께 상등수 배출관(27)으로 배출된다는 것은 정화효율이 저하된다는 것을 의미하며, 따라서 큰 문제점이 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이와 같은 문제점은, 외통의 수평적 규모확대를 통해 물이 상승하는 공간에서의 유속을 낮춰 부유물의 체류시간을 증가시켜 줌으로써, 즉 규모확대를 통해 수면적 부하를 증가시켜 줌으로써 해소할 수 있다. 하지만, 이와 같은 규모확대를 통한 문제해소는 단위체적당 처리용량의 현저한 저하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폐수처리설비 구축시 넓은 점유공간이 필요하여 공간설계를 어렵게 하는 등의 또 다른 여러 문제점을 발생시킴에 따라, 근본적인 문제해결책이 될 수는 없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발명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수평적 규모확대를 동반하지 않는 가운데 내부 형상구조를 통해 현저히 증대된 수면적 부하를 갖도록 하여, 단위체적당 처리용량의 극대화와 더불어 폐수처리설비 구축시 공간설계에 유리한 폐수처리설비용 침전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은,
상측의 원통형 부분과 하측의 역원추형 부분을 포함하며, 원통형 부분의 외주면 상단에서 외부로 연장되는 상등수 배출관 및 역원추형 부분의 하단에서 외부로 연장되는 부유물 배출관을 구비하는 외통;
상기 외통의 상기 원통형 부분을 상부에서 폐쇄하며, 중심부에 유입관을 구비하는 커버; 및
상기 커버의 중심부에 하방으로 순차적으로 배치되도록 결합되는 것으로서, 소정 높이만큼 원통형으로 연장되어 상기 외통의 원통형 부분 내부에 동심으로 배치되는 내통, 및 상기 내통의 소정 높이의 외주면 둘레에서 상기 원통형 부분의 내주면을 향해 연장되되 수직에 대하여 경사를 갖도록 형성되는 다수의 차단블레이드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프로펠러형 내통 유니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 는 폐수처리설비용 침전조를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프로펠러형 내통 유니트는 각각, 상기 다수의 차단블레이드 각각의 상기 원통형 부분측 말단의 상부를 연결하며, 상기 다수의 차단블레이드보다 상기 원통형 부분의 내주면을 향해 소정 폭만큼 더 연장되는 환형 연결림을 더 포함하며,
상기 외통은 상기 환형 연결림의 높이에 대응하는 상기 원통형 부분의 내주면에서 둘레를 따라 소정 폭만큼 중심을 향해 연장되어, 상기 환형 연결림과 중첩된 상태에서 상기 프로펠러형 내통 유니트를 지지하는, 하나 이상의 환형 지지림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아래에 배치되는 프로펠러형 내통 유니트에 포함되는 차단블레이드는, 바로 위에 배치되는 프로펠러형 내통 유니트에 포함되는 차단블레이드보다 짧게 연장되며,
아래에 배치되는 환형 지지림은, 대응하는 프로펠러형 내통 유니트에 포함되는 환형 연결림과 중첩될 수 있도록, 바로 위에 배치되는 환형 지지림 보다 더 큰 폭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차단블레이드는, 상기 내통측 단부에서 상기 원통형 부분측으로 연장되면서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수직에 대한 경사를 갖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프로펠러형 내통 유니트는 각각, 상기 내통의 내주면 둘레에서 중심을 향해 연장되되 수직에 대하여 경사를 갖도록 형성되어 부유물을 포함하는 처리수의 하강 유동을 교란하는 다수의 교란블레이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상기 다수의 교란블레이드는, 상기 내통측에서 중심으로 연장되면서 점진적으로 감소하는 수직에 대한 경사를 갖도록 형성되어, 중심측 단부가 중심에서 모두 만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은 폐수처리시설용 침전조를 제공함으로써, 본 발명은 수평적 규모확대를 동반하지 않는 가운데 내부 형상구조를 통해 현저히 증대된 수면적 부하를 보유하게 되어, 상승 유동이 존재하는 공간에서 부유물의 체류시간을 증가시켜 효율적으로 부유물의 침강을 촉진함에 따라, 정화효율이 현저히 향상될 뿐만 아니라, 단위체적당 처리용량의 극대화를 달성할 수 있도록 한다. 나아가, 단위체적당 처리용량의 극대화에 따른 용량대비 소형화가 가능하여 폐수처리설비 구축시 공간설계에 유리한 등 다양한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되는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폐수처리설비용 침전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폐수처리설비용 침전조의 내부구조가 나타나도록 도시한 부분 절개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폐수처리설비용 침전조에 내장되는 프로펠러형 내통 유니트의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2의 A-A선 방향에서 도시한 부분 절개 평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폐수처리설비용 침전조는,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측의 원통형 부분(105)과 하측의 역원추형 부분(115)을 포함하는 외통(110)과, 이 외통(110)의 원통형 부분(105)을 상부에서 폐쇄하는 커버(130), 및 외통(110)의 원통형 부분(105) 내부에 배치되는 하나의 프로펠러형 내통 유니트(150)를 포함한다.
그리고, 외통(110)은 원통형 부분(105)의 외주면 상단에서 외부로 연장되는 상등수 배출관(127)과, 역원추형 부분(115)의 하단에서 외부로 연장되는 부유물 배출관(125)을 구비한다. 또한, 커버(130)는 그 중심부에서 외부로 연장되는 유입관(135)을 구비한다.
또한, 프로펠러형 내통 유니트(150)는, 도 2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커버(130)의 중심부에 하방으로 배치되도록 결합되는 것으로서, 소정 높이만큼 원통형으로 연장되어 외통(110)의 원통형 부분(105) 내부에 동심으로 배치되는 내통(145), 및 이 내통(145)의 소정 높이의 외주면 둘레에서 원통형 부분(105)의 내주면을 향해 연장되는 다수의 차단블레이드(155)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내통(145)의 높이는 외통(110)을 이루는 원통형 부분(105)의 높이를 포함하는 필요 사양에 따라 조절될 수 있으며, 내통(145)의 외주면에서 연장되는 다수의 차단블레이드(155)의 높이 역시 원통형 부분(105)과 대면하게 되는 범위 내에서 조절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다수의 차단블레이드(155)는 각각 수직에 대하여 경사를 갖도록 형성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폐수처리설비용 침전조에서, 커버(130)의 유입관(135)을 통해 유입되는 처리수는 외통(110)의 원통형 부분(105)을 거치지 않고 내통(145)의 내부공간을 따라 하강하여 외통(100)의 역원추형 부분(115) 주변공간으로 바로 공급되며, 처리수에 포함된 부유물의 침강 역시 주로 이 공간에서 일어나게 된다. 침강하는 높은 비중의 무거운 부유물은 역원추형 부분(115)의 하단에 침전된 다음, 부유물 배출관(125)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어 별도로 수집된다. 그리고, 부유물의 침강으로 인해 부유물과 분리된 상등수는 외통(110)과 내통(145) 사이의 공간을 통해 상승한 다음, 상등수 배출관(127)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어 별도로 수집되거나 처리된다.
한편, 외통(110)의 원통형 부분(105) 내부공간, 즉 외통(110)과 내통(145) 사이의 공간을 통해 상승하는 상등수의 유동은 다수의 차단블레이드(155)에 의한 저항과 직면하게 된다. 이때, 다수의 차단블레이드(155)는 상승 유동이 발생하는 공간에서 수면적 부하를 현저히 증가시키는 역할을 수행하게 되고, 이로 인해, 미처 침강하지 못하고 상승 유동에 휩쓸려 상등수와 함께 상승하던 부유물, 즉 물보다 비중이 크지만 비중 차가 크지 않은 부유물들이 다수의 차단블레이드(155)에 부딪히면서 더 이상 상승하지 못하고, 다시 말해 상승 유동에 의한 영향으로부터 상대적으로 자유로워 지면서 침강이 촉진된다. 정리하면, 외통(110)의 원통형 부분(105)과 내통(145) 사이의 공간에서 다수의 차단블레이드(155)의 형상적 구조를 통해 부유물이 상승하는 것을 차단하여 부유물의 체류시간을 증가시키게 되고, 결과적으로 침강하지 못하고 상등수와 함께 배출되는 부유물의 비율을 현저히 저하시켜 높은 정화효율을 실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한편, 프로펠러형 내통 유니트(150)는 각각, 다수의 차단블레이드(155) 각각의 원통형 부분측 말단의 상부를 연결하며, 다수의 차단블레이드(155)보다 상기 원통형 부분(155)의 내주면을 향해 소정 폭만큼 더 연장되는 환형 연결림(165)을 더 포함한다. 그리고, 이에 대응하여, 외통(110)은 환형 연결림(165)의 높이에 대응하는 원통형 부분(105)의 내주면에서 둘레를 따라 소정 폭만큼 중심을 향해 연장되는 환형 지지림(121)을 더 포함한다. 이와 같은 환형 지지림(121)은 환형 연결림(165)과 중첩된 상태에 놓이게 되며, 따라서 프로펠러형 내통 유니트(150)를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즉, 프로펠러형 내통 유니트(150)는 단지 커버(130)와 결합됨에 따른 결합력만 의존하는 것이 아니라, 외통(110)의 원통형 부분(105) 내주면에 설치되는 환형 지지림(121)에 의한 구조적 지지를 받게 되며, 따라서 하중이 분산되어 더욱 안정적인 상태에 놓이게 된다.
아울러,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커버(130)와 프로펠러형 내통 유니트(150)는 일체형으로 결합됨에 따라 커버(130)를 외통(110)으로부터 분해할 때 함께 분리될 수 있고, 이로 인해 유지보수작업이 필요한 경우 분해와 재조립이 매우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폐수처리설비용 침전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폐수처리설비용 침전조의 내부구조가 나타나도록 도시한 부분 절개 사시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폐수처리설비용 침전조에 내장되는 프로펠러형 내통 유니트의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6의 B-B선 방향에서 도시한 부분 절개 평면도이며, 도 10은 내통 내부의 교란블레이드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부분 절개 사시도이다.
도 6 및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폐수처리설비용 침전조는, 이상의 제 1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상측의 원통형 부분(105)과 하측의 역원추형 부분(115)을 포함하는 외통(110)과, 이 외통(110)의 원통형 부분(105)을 상부에서 폐쇄하는 커버(130)를 포함한다. 그러나, 이상의 제 1실시예와 달리, 외통(110)의 원통형 부분(105) 내부에 배치되는 두 개의 프로펠러형 내통 유니트(150')(150")를 포함한다.
외통(110) 및 커버(130)의 구조는 이상의 제1 실시예의 경우와 동일하며, 따라서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함을 밝혀둔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두 개의 프로펠러형 내통 유니트(150')(150")는, 도 6 내지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커버(130)의 중심부에서 하방으로 순차적으로 배치되도록 결합된다. 그리고, 각각의 프로펠러형 내통 유니트(150')(150")는, 이상의 제1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소정 높이만큼 원통형으로 연장되어 외통(110)의 원통형 부분(105) 내부에 동심으로 배치되는 내통(145), 및 이 내통(145)의 소정 높이의 외주면 둘레에서 원통형 부분(105)의 내주면을 향해 연장되는 다수의 차단블레이드(155')(155")를 포함한다. 그리고, 각 프로펠러형 내통 유 니트(150')(150")에 포함되는 다수의 차단블레이드(155')(155")는 각각 수직에 대하여 경사를 갖도록 형성된다.
한편,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서, 각각의 차단블레이드(155')(155")는, 내통(145)의 외주면에서 원통형 부분(105)을 향해 연장되면서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수직에 대한 경사를 갖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평면에서 봤을 때, 인접하는 차단블레이드(155')(155")들은 내통(145)측 말단에서부터 원통형 부분측 말단에 이르기까지 전체적으로 중첩된다. 이 경우, 수면적 부하를 더욱 증가시키게 되어 부유물의 침강에 더욱 바람직한 환경을 조성하게 된다.
한편, 두 개의 프로펠러형 내통 유니트(150')(150") 중에서, 아래에 배치되는 프로펠러형 내통 유니트(150")에 포함되는 차단블레이드(155")는, 커버(130)와 직접적으로 결합되는 위에 배치되는 프로펠러형 내통 유니트(150')에 포함되는 차단블레이드(155')보다 짧게 연장된다. 그리고, 두 개의 프로펠러형 내통 유니트(150')(150")에 대응하도록 두 개의 환형 지지림(121')(121")이 외통(110)에 포함되되, 아래에 배치되는 환형 지지림(121")은, 대응하는 프로펠러형 내통 유니트(150")에 포함되는 환형 연결림(165")과 중첩될 수 있도록, 위에 배치되는 환형 지지림(121') 보다 더 큰 폭으로 연장된다.
이는, 도 6 및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두 개의 프로펠러형 내통 유니트(150')(150")가 모두 커버(130)와 일체형으로 결합되는 것임에 따라, 유지보수를 위한 분해시 출입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즉, 각 프로펠러형 내통 유니 트(150')(150")가 대응하는 환형 지지림(121')(121")에 의한 구조적 지지를 받을 수 있도록 하되, 조립시 아래에 배치되는 프로펠러형 내통 유니트(150")가 상부에 배치되는 프로펠러형 내통 유니트(150')를 지지하기 위한 환형 지지림(121')에 걸리지 않고 더욱 아래의 위치까지 진입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두 개의 프로펠러형 내통 유니트((150')(150")를 구비하는 경우에도 유지보수작업을 위한 분해와 재조립의 용이성이 유지된다.
다른 한편, 도 6, 도 9 및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프로펠러형 내통 유니트(150')(150")는 각각, 내통(145)의 내주면 둘레에서 중심을 향해 연장되되 수직에 대하여 경사를 갖도록 형성되는 다수의 교란블레이드(175)를 더 포함한다. 이 교란블레이드(175)는 커버(130)의 유입관(135)을 통해 유입되는 부유물을 포함하는 처리수의 하강 유동을 교란하여 부유물과 물의 분리를 촉진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이때, 차단블레이드(155')(155")와 유사하게, 각 교란블레이드(175)는 내통(145)의 내주면에서 중심으로 연장되면서 점진적으로 감소하는 수직에 대한 경사를 갖도록 형성되어, 그 중심측 단부가 중심에서 모두 만나게 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폐수처리설비용 침전조는, 두 개의 프로펠러형 내통 유니트(150')(150")를 구비함에 따라, 외통(110)의 원통형 부분(105) 내부공간, 즉 외통(110)과 내통(145) 사이의 공간을 통해 상승하는 상등수의 유동에 대한 수면적 부하가 더욱 현저히 증가된다. 따라서, 상승하는 상등수의 유동은 이중으로 다수의 차단블레이드(155')(155")에 의한 저항을 받게 된다. 이로 인해, 미처 침강하지 못하고 상승 유동에 휩쓸려 상등수와 함께 상승하던 부유물, 즉 물보다 비중이 크지만 비중 차가 크지 않은 부유물들은 상승 유동에 의한 영향으로부터 더욱 자유로워 지면서 침강이 더욱 촉진된다. 정리하면, 부유물의 체류시간 또한 더욱 증가하게, 결과적으로 침강하지 못하고 상등수와 함께 배출되는 부유물의 비율을 더욱 저하시켜 더 높은 정화효율을 실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상의 제2 실시예에서는 두 개의 프로펠러형 내통 유니트(150')(150")를 포함한 경우를 예시하고 있으나, 필요에 따라 셋 이상의 프로펠러형 내통 유니트를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할 것이다. 물론, 하나가 아닌 두 개의 프로펠러형 내통 유니트(150')(150")가 구비되는 경우에 요구되는 필수적인 설계특성들이 마찬가지로 반영되어야 한다는 것은 당연하다 할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특정의 실시 예와 관련하여 도시 및 설명하였지만,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난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설계변경 및 변화가 가능하다는 것을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폐수처리설비용 침전조의 일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폐수처리설비용 침전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폐수처리설비용 침전조의 내부구조가 나타나도록 도시한 부분 절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폐수처리설비용 침전조에 내장되는 프로펠러형 내통 유니트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2의 A-A선 방향에서 도시한 부분 절개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폐수처리설비용 침전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폐수처리설비용 침전조의 내부구조가 나타나도록 도시한 부분 절개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폐수처리설비용 침전조에 내장되는 프로펠러형 내통 유니트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6의 B-B선 방향에서 도시한 부분 절개 평면도이다.
도 10은 내통 내부의 교란블레이드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부분 절개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5: 원통형 부분 110: 외통
115: 역원추형 부분 121, 121', 121": 환형 지지림
127: 상등수 배출관 125: 부유물 배출관
130: 커버 135: 유입관
145: 내통
150, 150', 150": 프로펠러형 내통 유니트
155, 155', 155": 차단블레이드 165, 165": 환형 연결림
175: 교란블레이드

Claims (7)

  1. 상측의 원통형 부분과 하측의 역원추형 부분을 포함하며, 원통형 부분의 외주면 상단에서 외부로 연장되는 상등수 배출관 및 역원추형 부분의 하단에서 외부로 연장되는 부유물 배출관을 구비하는 외통;
    상기 외통의 상기 원통형 부분을 상부에서 폐쇄하며, 중심부에 유입관을 구비하는 커버; 및
    상기 커버의 중심부에 하방으로 순차적으로 배치되도록 결합되는 것으로서, 소정 높이만큼 원통형으로 연장되어 상기 외통의 원통형 부분 내부에 동심으로 배치되는 내통, 및 상기 내통의 소정 높이의 외주면 둘레에서 상기 원통형 부분의 내주면을 향해 연장되되 수직에 대하여 경사를 갖도록 형성되는 다수의 차단블레이드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프로펠러형 내통 유니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수처리설비용 침전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펠러형 내통 유니트는 각각, 상기 다수의 차단블레이드 각각의 상기 원통형 부분측 말단의 상부를 연결하며, 상기 다수의 차단블레이드보다 상기 원통형 부분의 내주면을 향해 소정 폭만큼 더 연장되는 환형 연결림을 더 포함하며,
    상기 외통은 상기 환형 연결림의 높이에 대응하는 상기 원통형 부분의 내주 면에서 둘레를 따라 소정 폭만큼 중심을 향해 연장되어, 상기 환형 연결림과 중첩된 상태에서 상기 프로펠러형 내통 유니트를 지지하는, 하나 이상의 환형 지지림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수처리설비용 침전조.
  3. 제 2항에 있어서,
    아래에 배치되는 프로펠러형 내통 유니트에 포함되는 차단블레이드는, 바로 위에 배치되는 프로펠러형 내통 유니트에 포함되는 차단블레이드보다 짧게 연장되며,
    아래에 배치되는 환형 지지림은, 대응하는 프로펠러형 내통 유니트에 포함되는 환형 연결림과 중첩될 수 있도록, 바로 위에 배치되는 환형 지지림 보다 더 큰 폭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수처리설비용 침전조.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블레이드는, 상기 내통측 단부에서 상기 원통형 부분측으로 연장되면서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수직에 대한 경사를 갖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수처리설비용 침전조.
  5.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펠러형 내통 유니트는 각각, 상기 내통의 내주면 둘레에서 중심을 향해 연장되되 수직에 대하여 경사를 갖도록 형성되어 부유물을 포함하는 처리수의 하강 유동을 교란하는 다수의 교란블레이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수처리설비용 침전조.
  6. 제 5에 있어서,
    상기 차단블레이드는, 상기 내통측 단부에서 상기 원통형 부분측으로 연장되면서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수직에 대한 경사를 갖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수처리설비용 침전조.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교란블레이드는, 상기 내통측에서 중심으로 연장되면서 점진적으로 감소하는 수직에 대한 경사를 갖도록 형성되어, 중심측 단부가 중심에서 모두 만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수처리설비용 침전조.
KR1020090010608A 2009-02-10 2009-02-10 폐수처리설비용 침전조 KR1009511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0608A KR100951103B1 (ko) 2009-02-10 2009-02-10 폐수처리설비용 침전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0608A KR100951103B1 (ko) 2009-02-10 2009-02-10 폐수처리설비용 침전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51103B1 true KR100951103B1 (ko) 2010-04-28

Family

ID=422195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10608A KR100951103B1 (ko) 2009-02-10 2009-02-10 폐수처리설비용 침전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5110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67138A (ko) 2019-11-29 2021-06-08 주식회사 디엔씨 폐수 처리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CN114195236A (zh) * 2021-11-17 2022-03-18 鑫选(厦门)矿冶科技有限公司 一种浓缩装置
KR102406986B1 (ko) 2022-02-15 2022-06-13 주식회사 빌트이엔씨 2회 연속 침전 처리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5704A (ja) * 1991-07-08 1993-01-26 Tsuneishi Zosen Kk 船舶や列車など揺れる構造物に設置される汚水処理 装置の沈澱槽
KR20070022374A (ko) * 2007-02-06 2007-02-26 신한건설산업(주) 스크류형 경사판을 갖는 폐수설비의 침전조
KR100777132B1 (ko) 2007-03-19 2007-11-28 한양수 비중 분리 고속 침전조
KR20080031772A (ko) * 2007-05-23 2008-04-11 정세영 수처리용 침전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5704A (ja) * 1991-07-08 1993-01-26 Tsuneishi Zosen Kk 船舶や列車など揺れる構造物に設置される汚水処理 装置の沈澱槽
KR20070022374A (ko) * 2007-02-06 2007-02-26 신한건설산업(주) 스크류형 경사판을 갖는 폐수설비의 침전조
KR100777132B1 (ko) 2007-03-19 2007-11-28 한양수 비중 분리 고속 침전조
KR20080031772A (ko) * 2007-05-23 2008-04-11 정세영 수처리용 침전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67138A (ko) 2019-11-29 2021-06-08 주식회사 디엔씨 폐수 처리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CN114195236A (zh) * 2021-11-17 2022-03-18 鑫选(厦门)矿冶科技有限公司 一种浓缩装置
KR102406986B1 (ko) 2022-02-15 2022-06-13 주식회사 빌트이엔씨 2회 연속 침전 처리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09553B1 (en) Phase separator having multiple separation units, upflow reactor apparatus, and methods for phase separation
EP2550079B1 (en) A separator for separating solids from an influent
US8066878B2 (en) Anaerobic purification device
US20130043197A1 (en) Tangential Flow Particle Separator and Method Therefor
US6171498B1 (en) Upflow water clarifier with central pier
KR100951103B1 (ko) 폐수처리설비용 침전조
CN210114860U (zh) 一种竖流式沉淀池
JP4720709B2 (ja) 生物反応器
US8173017B2 (en) Single-cell mechanical flotation system
KR101397235B1 (ko) 가압 부상 장치
US7243802B2 (en) Inlet structure for clarifiers
JP4760398B2 (ja) 加圧浮上装置
KR100781400B1 (ko) 하수 처리장의 침전지에서 고액분리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침전지
CA3057668C (en) A separator for separating solids from a fluid
US6321916B1 (en) Liquid clarification tank
JP2011092943A5 (ko)
JP5696398B2 (ja) 浮上分離装置
GB2114013A (en) Liquid treatment apparatus
CN214106119U (zh) 污水沉降处理装置
CN213375267U (zh) 一种中进周出辐流式斜管沉淀池
JP2006272253A (ja) 沈殿槽
JP5176384B2 (ja) 生物反応器
FI92048B (fi) Laitos jätevesien anaerobiseksi puhdistamiseksi
CN111689564A (zh) 一种集旋风分离与蜂窝过滤沉淀于一体的水处理装置
JP2019088999A (ja) 沈殿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1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1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9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