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51063B1 - 인테리어용 나무벽지 - Google Patents

인테리어용 나무벽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51063B1
KR100951063B1 KR1020080000884A KR20080000884A KR100951063B1 KR 100951063 B1 KR100951063 B1 KR 100951063B1 KR 1020080000884 A KR1020080000884 A KR 1020080000884A KR 20080000884 A KR20080000884 A KR 20080000884A KR 100951063 B1 KR100951063 B1 KR 1009510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terior
wood
wooden
longitudinal direction
p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008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75112A (ko
Inventor
박상범
박종영
이상민
이희영
김희복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 filed Critical 대한민국
Priority to KR10200800008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51063B1/ko
Publication of KR200900751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751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510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510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5/00Special paper or cardboar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5/0082Wall paper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27/00Special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made by multi-step processes
    • D21H27/18Paper- or board-based structures for surface covering
    • D21H27/20Flexible structures being applied by the user, e.g. wallpaper

Landscapes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포름알데히드 제거 기능이 우수한 침엽수류의 나무판재를 얇게 제작하여 간단한 방법으로 벽에 부착시킴으로써, 새집증후군의 원인 물질인 포름알데히드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나무의 향기 성분에 의한 삼림욕 효과를 낼 수 있는 인테리어용 나무벽지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인테리어용 나무벽지는, 상기 나무판재는 길이방향을 따라 양측단부(兩側端部)에 형성한 경사부; 상기 경사부 중 일측 경사부 저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한 「 형상의 단턱; 저면(底面)에 길이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형성한 다수의 홈; 저면에 접착시킨 양면테이프로 구성되고, 상기 나무판재의 재질은 편백, 잣나무, 소나무, 낙엽송, 삼나무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인테리어, 나무벽지, 새집증후군, 편백, 양면테이프

Description

인테리어용 나무벽지{Wooden wall sheet for interior}
본 발명은 인테리어용 나무벽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포름알데히드 제거 기능이 있는 침엽수류의 나무판재를 얇게 제작하여 벽에 부착함으로써, 새집증후군의 원인 물질인 포름알데히드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나무의 향기 성분에 의한 삼림욕 효과를 낼 수 있는 인테리어용 나무벽지에 관한 것이다.
기술의 발달과 산업의 고도화로 인간의 활동에 의한 환경오염이 더욱 심화되고 있으며, 그 오염수준은 이미 환경용량을 초과하여 삶의 질을 저해하는 수준에 이르게 되었다. 이러한 삶의 질에 대한 욕구가 증가하면서 웰빙(Well-being) 의식의 확대 및 경제 수준의 향상으로 실내공기오염에 대한 관심이 점점 증가하고 있다. 실내공기오염은 오염된 외부공기의 유입, 연소 및 흡연 등과 같은 거주자의 활동, 복합화합물로 이루어진 단열재와 내부 마감재 등과 같은 건축자재 및 생활용품 등 매우 다양하고 복잡한 원인에 의해 발생된다. 실내공기오염의 주원인으로는 다 중이용시설과 공동주택의 지속적인 공급에 따라 생산량이 증가되고 있는 건축자재 및 가구이며 이들의 기능성과 생산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복합화합물질을 사용함으로써 오염을 가중시키고 있다.
현대 생활의 실내화와 실내공간의 밀폐화는 실내공기오염을 촉진시켜 소위 '새집증후군 또는 빌딩증후군(Sick House Sindrome or Sick Building Syndrome)'이란 새로운 용어까지 탄생시켰는데, 새로 신축된 주택이나 건물은 포름알데히드, 석면, 기타 입자상 물질 등이 실내오염물질을 배출하면서 인체의 눈과 코, 목 등을 자극하고, 두통과 어지럼증 등을 유발하고 실내 거주자에게 쉽게 피로감을 느끼게 하며, 천식, 급성폐렴, 고열 등을 유발시키기도 하는데, 이와 같이 건물 내에 거주자들이 느끼는 건강상의 문제점 및 불쾌감 등의 현상을 총칭하여 새집증후군 또는 빌딩증후군이라고 일컬으며, 특히 마감재와 건축자재에서 배출되는 휘발성 유기화합물(VOC), 그중에서도 포름알데히드(HCHO)와 벤젠, 톨루엔, 클로로포름, 아세톤, 스틸렌 등이 주된 원인물질로 생각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실내의 유해한 화학물질을 제거할 수 있는 건축자재가 큰 인기를 끌면서 식물정유계 천연코팅제, 광촉매제, 숯성형판, 황토벽지 등 새집증후군을 해결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과 물건이 개발되어 출현되고 있으며, 이러한 목적을 위해 건축마감재에 사용되는 대표적인 물질로는 정유, 숯, 솔잎, 은, 옥, 황토, 맥반석, 산화티탄, 도로마이트 등의 식물성 원료 또는 광물성 원료가 다양하게 이용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새집증후군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과 물건에 관한 기술을 예로 들면, 특허등록 제651265호는 "건축마감재용 코팅제"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나무숯, 죽초액 및 침엽수추출액을 포함하여 인체에 유해한 휘발성 유기화합물을 탈취할 수 있는 건축마감재용 코팅제에 관한 것이고, 특허출원 제2006-16354호는 "새집증후군 개선용 액상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천연 고분자인 글루코사민으로부터 유도되고, 포름알데히드 분해력과 항균력이 있는 β-(1,4)-폴리-D-글루코사민 유도체((C6H11NO4)n)를 유효성분으로 하며, 또한 다종 다량의 폴리페놀 화합물이 함유된 식물성 정유를 이용한 새집증후군을 유발하는 실내오염물질, 특히 인체에 유해한 포름알데히드 등의 유해물질을 분해제거 하는 실내오염물질 분해제거용 액상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기존의 포름알데히드 제거를 위한 식물 정유성분의 이용은 식물 잎의 정유성분을 직접 이용하고 있는데, 식물로부터 정유를 추출하는 공정이 복잡할 뿐만 아니라 특수 추출설비를 갖추어야 하며, 또한 추출효율이 매우 낮아 경제성이 아주 낮다는 단점이 있는데, 1톤의 편백 잎을 원료로 하여 약 1.5L의 극소량의 정유가 얻어지므로 1리터당 수 십만원을 호가한다. 한편, 정유의 강한 휘발성으로 인해 장기간 효과를 발휘하지 못하기 때문에 포름알데히드의 제거효율 의 지속성이 가장 큰 문제가 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포름알데히드 제거 기능이 우수한 침엽수류의 나무판재를 얇게 제작하여 간단한 방법으로 벽에 부착시킴으로써, 새집증후군의 원인 물질인 포름알데히드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나무의 향기 성분에 의한 삼림욕 효과를 낼 수 있는 인테리어용 나무벽지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일반 가정에서도 원하는 위치에 누구나 쉽게 떼고 붙일 수 있도록 하여 실내 인테리어를 사용자의 취향에 맞게 자신이 직접 할 수 있으며, 이사를 하더라도 떼어다 새로운 집에 다시 붙여서 사용할 수 있는 인테리어용 나무판재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 달성을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내 인테리어용 나무벽지는, 나무를 얇게 켜서 만든 나무판재로, 상기 나무판재는 길이방향을 따라 양측단부(兩側端部)에 형성한 경사부; 상기 경사부 중 일측 경사부 저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한 「 형상의 단턱; 저면(底面)에 길이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형성한 다수의 홈; 저면에 접착시킨 양면테이프로 구성되고, 상기 나무판재의 재질은 편백, 잣나무, 소나무, 낙엽송, 삼나무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실내 인테리어용 나무벽지는, 포름알데히드 제거 기능이 우수한 침엽수류의 나무판재를 얇게 제작하여 간단한 방법으로 벽에 부착시킴으로써, 새집증후군의 원인 물질인 포름알데히드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나무의 향기 성분에 의한 삼림욕 효과를 낼 수 있다. 특히, 편백, 소나무, 잣나무, 낙엽송, 삼나무 등 침엽수를 사용할 경우에 심신안정효과, 스트레스 해소, 진드기의 행동 억제에 따른 방제효과, 악취와 포름알데히드의 제거 효과가 현저하며, 나무이기 때문에 실내의 단열과 조습(調濕)효과가 있다.
또한, 뒷면에 양면테이프를 사용하여 탈착시키도록 함으로써, 일반 가정에서도 원하는 위치에 특별한 기술이 없는 누구나 쉽게 떼고 붙일 수 있도록 하여 실내 인테리어를 사용자의 취향에 맞게 자신이 직접 할 수 있으며, 이사를 하더라도 떼어다 새로운 집에 다시 붙여서 사용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내 인테리어용 나무벽지를 설명한다. 실내 인테리어용 나무벽지는 나무를 얇게 켜서 만든 나무판재인데, 나무판재(10)는 길이방향을 따라 양측단부(兩側端部)에 형성한 경사부(11)와, 저면(底面)에 길이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형성한 다수의 홈(13)으로 구성되며, 상기 나무판재(10)의 재질은 침엽수류의 목재를 사용하고, 저면에 양면테이프(17)를 접착시켜 사용 개소에 부착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양면테이프를 사용해서 부착시키기 때문에 원하는 위치에 장소를 옮기면서 얼마든지 떼었다 붙였다 할 수 있다.
나무판재(10)의 양측단부는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할 수도 있으나, 나무판재(10)를 연속하여 부착시켰을 때 간격(틈)이 생기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나무판재(10)에 형성한 경사부(11) 중에서 일측의 경사부(11) 저면에는, 인접하여 배치되는 다른 나무판재(10)의 타측 경사부(11)의 단부(端部)가 삽입될 수 있도록 길이방향을 따라 「 형상의 단턱(15)을 형성해 놓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단턱(15)을 형성해 둠으로써, 나무판재를 연속해서 붙였을 때 나무판재 사이에 간격(틈)이 생기지 않게 된다.
나무판재(10)의 저면에 형성한 홈(13)은 등간격으로 2∼4개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홈(13)은 기온변화나 나무의 건조로 인하여 나무판재(10)에 변형이 생겼을 때 그 변형을 흡수하여 나무판재의 변형을 막아준다.
나무판재(10)는 길이방향으로 양측 단부에 경사부(11)를 형성했는데, 도 5에 도시한 것과 같이 폭방향의 양측 단부에도 경사부를 더 형성할 수도 있다. 또 경사부(11)의 단부(端部)가 뾰쪽하지 않도록 단부를 잘라서 만드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내 인테리어용 나무벽지는 천연목재의 나무결이 갖는 시각적인 안정감과 건강에 이로운 친환경적인 소재로, 특히 나무판재의 재료로 편백, 잣나무, 소나무, 낙엽송, 삼나무를 사용함으로써, 심신안정, 스트레스 해소, 진드기의 행동을 억제시켜 방제효과는 물론 악취·포름알데히드 제거효과를 가져와 더욱 유익한 실내 인테리어 소재가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실내 인테리어용 나무판재는 구성적인 특징도 있지만, 나무판재의 재질을 새집증후군을 일으키는 가장 큰 원인으로 알려지고 있는 포름알데히드의 제거 능력이 뛰어난 수종의 목재를 사용한다는 것이 큰 특징인데, 아래에서는 실험을 통하여 그 효과를 설명한다.
<목재의 포름알데히드 제거효과 실험>
목재에 대한 포름알데히드 저감효과를 평가하기 위해 현재 건축내장재의 포름알데히드 방산량 측정에 사용되는 데시케이터법(KS M 1998-4)으로 수행하였다. 즉 20±2℃에서 각각의 데시케이터 안에 포름알데히드 방출자재로서 포름알데히드 방출 E2 등급의 중밀도섬유판(MDF, 포름알데히드 방출량 3.50㎎/L)을 가로 50㎜ × 세로 150㎜ × 두께 10㎜로 잘라 시험편 8매를 설치하였다(컨트롤 시험).
한편, 각 8매의 MDF가 들어 있는 7개의 데시케이터에 침엽수 5종(편백, 소나무, 잣나무, 낙엽송, 삼나무)을 표면적 200㎠, 600㎠, 1,000㎠ 인 시편을 각각 설치하였다. 항온항습실에서 24시간 방치 후 데시케이터 내의 유리그릇에 포집된 포름알데히드를 흡수한 물을 아세틸아세톤 흡광광도법으로 측정하였다. 상기 5종의 목재는 함수율 12% 정도의 기건재를 사용하였고, 24시간 항온항습실(20℃, 65%RH)에서 컨디셔닝 시킨 후 실험에 사용하였다. 목재 투입 전후의 포름알데히드 방출량을 측정하면 MDF에서 방출되는 포름알데히드를 목재가 어느 정도 제거할 수 있는가를 알아보는 실험이다.
[표1]목재의 포름알데히드 제거율
목재의 표면적(㎠) 포름알데히드 제거율 (%)
침엽수재 활엽수재
편백 잣나무 소나무 낙엽송 삼나무 참나무 단풍나무
600 23.11 21.75 21.31 10.96 8.47 15.16 17.64
1,000 34.38 32.53 31.34 15.59 14.21 27.58 21.07
[그래프 1]목재의 표면적에 따른 포름알데히드 제거율
Figure 112008000529592-pat00001
목재의 수종에 따른 포름알데히드 제거효과를 조사한 결과, 침엽수재에서는 편백의 포름알데히드 제거율이 가장 높았으며 그 다음이 잣나무, 소나무, 낙엽송의 순이었으며 삼나무가 가장 낮은 제거율을 나타냈으며, 활엽수재도 포름알데히드 제거효과는 있으나 수종간에는 뚜렷한 차이가 없었다. 그리고 포름알데히드 제거효과는 목재의 표면적에 비례하여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다. 편백, 잣나무, 소나무와 같이 목재 고유의 향기를 가진 수종에서 포름알데히드 제거율이 높은데, 이들 수종에 함유된 테르펜류(α-Pinene, β-Pinene 등)가 포름알데히드 제거에 관여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이 테르펜에는 기분을 상쾌하게 하는 활동 이외에도 진드기의 번식을 억제하 거나 악취를 없애게 하는 작용도 있지만, 최근에는 새집증후군의 요인으로 주목받는 유해물질인 포름알데히드 등을 제거하고, 또한, 편백 등 침엽수의 정유는 암모니아, 아황산가스, 이산화질소, 초산 등 악취물질에 대해서도 높은 탈취효과를 나타낸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게시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런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나무판재의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나무판재의 저면(底面)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나무판재의 부착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나무판재가 부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나무판재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나무판재 11 : 경사부
13 : 홈 15 : 단턱
17 : 양면테이프

Claims (6)

  1. 나무를 얇게 켜서 만든 실내 인테리어용 나무판재에 있어서,
    상기 나무판재는
    길이방향을 따라 양측단부(兩側端部)에 형성한 경사부;
    상기 경사부 중 일측 경사부 저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한 「 형상의 단턱;
    저면(底面)에 길이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형성한 다수의 홈;
    저면에 접착시킨 양면테이프;
    로 구성되고, 상기 나무판재의 재질은 편백, 잣나무, 소나무, 낙엽송, 삼나무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테리어용 나무벽지.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나무판재의 폭방향을 따라 양측단부(兩側端部)에 경사부가 더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테리어용 나무벽지.
  5. 삭제
  6. 삭제
KR1020080000884A 2008-01-03 2008-01-03 인테리어용 나무벽지 KR1009510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0884A KR100951063B1 (ko) 2008-01-03 2008-01-03 인테리어용 나무벽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0884A KR100951063B1 (ko) 2008-01-03 2008-01-03 인테리어용 나무벽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75112A KR20090075112A (ko) 2009-07-08
KR100951063B1 true KR100951063B1 (ko) 2010-04-07

Family

ID=413323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00884A KR100951063B1 (ko) 2008-01-03 2008-01-03 인테리어용 나무벽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51063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05563A (ko) * 2005-03-31 2006-10-11 다이니폰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바닥재용 화장재
KR200435444Y1 (ko) 2006-09-26 2007-01-22 민병호 우드 블라인드 벽지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05563A (ko) * 2005-03-31 2006-10-11 다이니폰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바닥재용 화장재
KR200435444Y1 (ko) 2006-09-26 2007-01-22 민병호 우드 블라인드 벽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75112A (ko) 2009-07-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295054A (zh) 一种电气石复合天然提取物的保健型地板
KR102054457B1 (ko) 목재판재와 그 제조방법
Koul et al. Fungi-mediated biodeterioration of household materials, libraries, cultural heritage and its control
KR100951063B1 (ko) 인테리어용 나무벽지
CN103341250A (zh) 一种治理室内装修甲醛污染的方法
CN110903670A (zh) 一种防返潮的木质纤维隔音板及其制造方法
KR20090115503A (ko) 자연향 발산 항균탈취 흡착제 조성물
KR101890202B1 (ko) 기능성 이미지 타일 및 그 제조방법
KR100933221B1 (ko) 탄화보드를 부착한 인테리어용 나무벽지
KR102622557B1 (ko) 허브 추출물 및 오일 조성물이 코팅된 고양이용 항균 종이 방석의 제조방법
KR20150122495A (ko) 편백나무 추출 원액과 오일 혼합액이 첨가된 가구 보드 원목 인테리어 건축 마감재 제조방법과 그 마감재
KR101355525B1 (ko) 편백나무 추출 원액과 오일 혼합액이 첨가된 멜라민 화장판 복합 보드 제조방법
KR101545102B1 (ko) 피톤치드 힐링가구 제조방법
JP2006347160A (ja) 高機能内装材
KR101957681B1 (ko) 천연 항균제 및 이를 포함하는 물품
KR20070072667A (ko) 항균과 항곰팡이가 가능한 결로방지용 바이오 세라믹코팅재 제조방법
KR20110111742A (ko) 숯이 함유된 대마벽지의 제조방법
CN206856186U (zh) 一种杀菌、消毒、吸甲醛环保墙纸
CN2376368Y (zh) 缓释芳香型人造板
KR100732174B1 (ko) 바이오 소재로 코팅이 된 벽지의 제조 방법 및 그에 의하여제조된 벽지
CN206097876U (zh) 一种琴箱用自驱虫板
CN215660782U (zh) 植物纤维颗粒驱虫密度板
JPH08333959A (ja) 建 具
JP2520520Y2 (ja) 繊維板
JP2510017Y2 (ja) 木削片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