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51002B1 - 신도시 공원지역의 빗물을 이용한 조명장치 - Google Patents

신도시 공원지역의 빗물을 이용한 조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51002B1
KR100951002B1 KR1020090090415A KR20090090415A KR100951002B1 KR 100951002 B1 KR100951002 B1 KR 100951002B1 KR 1020090090415 A KR1020090090415 A KR 1020090090415A KR 20090090415 A KR20090090415 A KR 20090090415A KR 100951002 B1 KR100951002 B1 KR 1009510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rage tank
rainwater
support
case
artific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904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해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다산컨설턴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다산컨설턴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다산컨설턴트
Priority to KR10200900904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5100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510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510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9/00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 F21S9/04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the power supply being a generator
    • F21S9/046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the power supply being a generator driven by hydropower, e.g. by water powered turbi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8/00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 F21S8/08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with a standard
    • F21S8/081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with a standard of low-built type, e.g. landscape ligh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8/00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 F21S8/08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with a standard
    • F21S8/085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with a standard of high-built type, e.g. street ligh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9/00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 F21S9/02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the power supply being a battery or accumulator
    • F21S9/03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the power supply being a battery or accumulator rechargeable by exposure to ligh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31/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F21W2121/00
    • F21W2131/10Outdoor lighting
    • F21W2131/103Outdoor lighting of streets or roa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Photovoltaic Devices (AREA)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신도시 공원지역의 빗물을 이용한 조명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공원지역으로 다수개의 조명등과 발광다이오드 패널이 구비되는 다수개의 방향표지가 설치되고, 상기 공원지역의 일측에는 소정의 높이를 가지고 지면에 설치되고 외면에는 태양광 모듈이 장착되는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의 상부에 장착되고 빗물이 저장되는 저장탱크와, 상기 저장탱크에서 배수되는 빗물이 이동시키고 경사지게 장착되는 인공수로와, 상기 지지대의 하부에 위치한 인공수로에 장착되고 상기 저장탱크에서 낙하하는 빗물을 이용해서 회전작동하는 수차와, 상기 인공수로를 거쳐 전달되는 빗물을 저장하고 지면에 매설되는 보관탱크와, 상기 보관탱크에 전달되는 빗물을 파이프를 이용해서 저장탱크에 전달하는 펌핑장치로 이루어진 작동수단이 구성되며, 상기 작동수단의 일측에는 상기 작동수단에 장착되는 수차와 태양광 모듈을 통해 얻어지는 회전력과 태양광 에너지를 이용해서 전기를 발생시키는 발전부와, 상기 발전부에서 전달되는 전기를 공급받아 저장하는 충진부와, 상기 충진부에서 전달되는 신호와 상기 지지대에 장착되는 빛 감지센서를 통해 전달되는 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조명등 및 방향표지에 전원의 공급 여부를 조절하는 제어부로 이루어진 제어수단이 장착된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신도시 공원지역의 빗물을 이용한 조명장치에 있어서, 상기 저장탱크의 외면에 상호나 상품을 홍보할 수 있도록 표시부가 형성되고, 상기 인공수로는 일측 끝단의 양측에 경사판이 장착되고 반대 측에는 수차가 장착되는 다수개의 수로를 단차지게 연결결합하여 형성되며, 도중에는 모래, 자갈, 숯이 순차적으로 구성되는 다수개의 정화장치가 장착되며, 상기 작동수단을 구성하는 지지대의 양측 끝단에는 상기 태양광 모듈을 보호할 수 있도록 보호케이스가 장착되되, 상기 보호케이스는 일측과 하부가 개방되고 내부에는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케이스와, 상기 지지대에 케이스의 일측 끝단을 고정시키는 힌지와, 상기 힌지와 결합된 케이스의 반대 방향에 위치하고 일측이 케이스와 지지대에 각각 결합되는 유·공압실린더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우천시에 빗물을 확보하고 적절히 정화 처리한 물을 인공수로에 공급하여 방향표지 및 조명장치에 공급되는 전력을 얻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방향표지 및 조명장치에 공급되는 전기의 대부분을 태양광과 빗물을 통해 이용하여 공급함으로써 전기사용료와 공원관리비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조명등, 방향표지, 작동수단, 수차, 제어수단, 태양광 모듈, 빛 감지센서, 보호케이스.

Description

신도시 공원지역의 빗물을 이용한 조명장치{Road lighting device for usnig rain of newtownpark area}
본 발명은 신도시 공원지역의 빗물을 이용한 조명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신도시 공원지역에서 빗물과 태양광을 이용해서 방향표지 및 조명장치를 작동시킬 수 있도록 한 신도시 공원지역의 빗물을 이용한 조명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대사회에는 급속한 도시화로 인해 도심 속 녹지가 점점 사라지고 그 자리에는 고층건물들이 건설되는데, 대부분의 건축주가 구조물에 대한 기능적인 면을 강조하여 사용면적을 최대화하는 것에만 초점을 맞추었으나, 생활수준이 향상과 도시의 외형적인 비대화로 인해 도심 속 녹지가 점점 줄어들고 현대인들의 바쁜 사회생활로 인해 인정이 점점 각박해져 메마른 인간관계와 지친 심신을 풀어주기 위한 휴식처로 자연녹지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따라서 최근에는 상기와 같은 기대에 부응하기 위하여 고층빌딩에서 별다른 용도 없이 방치하고 있는 옥상을 정원으로 조경하여 녹지로 사용하고, 도심지에 공 원 등과 같은 녹지를 조성하고 있다. 한편, 신도시 계획시에는 반드시 녹지 공원을 조성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이러한 신도시는 녹지공간 확보를 위하여 대단위 공원을 조성하는데 이때, 많은 조명등이나 방향표시 등이 설치된다.
그러나, 종래 신도시 공원의 조명등이나 방향표지는 별도의 발전시설이 없이 전기를 사용하기 때문에 전기 사용료가 막대히 발생하고 이로 인해 공원관리비가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우천시에 빗물을 확보하고 적절히 정화 처리한 물을 인공수로에 공급하여 방향표지 및 조명장치에 공급되는 전력을 얻을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상기 방향표지 및 조명장치에 공급되는 전기의 대부분을 태양광과 빗물을 통해 공급하여 전기사용료와 공원관리비를 줄일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공원지역으로 다수개의 조명등과 발광다이오드 패널이 구비되는 다수개의 방향표지가 설치되고, 상기 공원지역의 일측에는 소정의 높이를 가지고 지면에 설치되고 외면에는 태양광 모듈이 장착되는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의 상부에 장착되고 빗물이 저장되는 저장탱크와, 상기 저장탱크에서 배수되는 빗물이 이동시키고 경사지게 장착되는 인공수로와, 상기 지지대의 하부에 위치한 인공수로에 장착되고 상기 저장탱크에서 낙하하는 빗물을 이용해서 회전작동하는 수차와, 상기 인공수로를 거쳐 전달되는 빗물을 저장하고 지면에 매설되는 보관탱크와, 상기 보관탱크에 전달되는 빗물을 파이프를 이용해서 저장탱크에 전달하는 펌핑장치로 이루어진 작동수단이 구성되며, 상기 작동수단의 일측에는 상기 작동수단에 장착되는 수차와 태양광 모듈을 통해 얻어지는 회전력과 태양광 에너지를 이용해서 전기를 발생시키는 발전부와, 상기 발전부에서 전달되는 전기를 공급받아 저장하는 충진부와, 상기 충진부에서 전달되는 신호와 상기 지지대에 장착되는 빛 감지센서를 통해 전달되는 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조명등 및 방향표지에 전원의 공급 여부를 조절하는 제어부로 이루어진 제어수단이 장착된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신도시 공원지역의 빗물을 이용한 조명장치에 있어서, 상기 저장탱크의 외면에 상호나 상품을 홍보할 수 있도록 표시부가 형성되고, 상기 인공수로는 일측 끝단의 양측에 경사판이 장착되고 반대 측에는 수차가 장착되는 다수개의 수로를 단차지게 연결결합하여 형성되며, 도중에는 모래, 자갈, 숯이 순차적으로 구성되는 다수개의 정화장치가 장착되며, 상기 작동수단을 구성하는 지지대의 양측 끝단에는 상기 태양광 모듈을 보호할 수 있도록 보호케이스가 장착되되, 상기 보호케이스는 일측과 하부가 개방되고 내부에는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케이스와, 상기 지지대에 케이스의 일측 끝단을 고정시키는 힌지와, 상기 힌지와 결합된 케이스의 반대 방향에 위치하고 일측이 케이스와 지지대에 각각 결합되는 유·공압실린더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우천시에 빗물을 확보하고 적절히 정화 처리한 물을 인공수로에 공급하여 방향표지 및 조명장치에 공급되는 전력을 얻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방향표지 및 조명장치에 공급되는 전기의 대부분을 태양광과 빗물을 통해 이용하여 공급함으로써 전기사용료와 공원관리비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설명하면,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신도시 공원지역의 빗물을 이용한 조명장치를 나타낸 전체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신도시 공원지역의 빗물을 이용한 조명장치를 구성하는 작동수단을 나타낸 구성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신도시 공원지역의 빗물을 이용한 조명장치를 구성하는 제어수단을 나타낸 구성도이고, 도 4(a) 및 4(b)는 본 발명에 따른 신도시 공원지역의 빗물을 이용한 조명장치를 구성하는 작동수단의 인공수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신도시 공원지역의 빗물을 이용한 조명장치를 구성하는 지지대에 장착되는 태양광 모듈과 이를 보호하는 장치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본 발명인 신도시 공원지역의 빗물을 이용한 조명장치(10)는 공원지역에 설치되는 다수개의 조명등(3) 및 발광다이오드 패널(5a)이 구비되는 다수개의 방향표지(5)와, 상기 공원지역의 일측에 장착되는 작동수단(20)과, 상기 작동수단(20)의 일측에 장착되고 이를 제어하는 제어수단(30) 등으로 구성된다.
먼저, 공원지역에 설치되는 다수개의 조명등(3) 및 발광다이오드 패널(5a)이 구비되는 다수개의 방향표지(5)는 각각 별도로 장착된다.
즉, 상기 조명등(3)은 소정의 높이를 가지고 형성되는 지주와, 상기 지주에 장착되는 등과, 상기 등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스위치 등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방향표지(5)는 소정의 높이를 가지고 형성되는 방향표지지주와, 상기 방향표지지주의 도중에 장착되는 표시부와, 상기 표시부에 위치하고 공급되는 전원을 이용해서 방향을 표시하는 발광다이오드 패널(5a) 등으로 구성된다.
상기 공원지역의 일측에 장착되는 작동수단(20)은 소정의 높이를 가지고 지면에 설치되고 외면에는 태양광 모듈(40)이 장착되는 지지대(21)와, 상기 지지 대(21)의 상부에 장착되고 빗물이 저장되는 저장탱크(22)와, 상기 저장탱크(22)에서 배수되는 빗물이 이동하고 경사지게 장착되는 인공수로(23)와, 상기 지지대(21)의 하부에 위치한 인공수로(23)에 장착되고 상기 저장탱크(22)에서 낙하하는 빗물을 이용해서 회전작동하는 수차(24)와, 모래, 자갈, 숯이 순차적으로 구성되고 상기 인공수로(23)의 도중에 장착되는 다수개의 정화장치(25)와, 상기 인공수로(23)를 거쳐 전달되는 빗물을 저장하고 지면에 매설되는 보관탱크(26)와, 상기 보관탱크(26)에 전달되는 빗물을 파이프(28)를 이용해서 저장탱크(22)에 전달하는 펌핑장치(27)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지지대(21)는 사다리꼴 형상으로 형성되고 외면은 장착되는 태양광 모듈(40)의 효율을 고려하여 45°~ 75°각도로 형성되되, 상기 태양광 모듈(40)의 장착되지 않는 면에는 상호나 상품을 나타낸 홍보부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대(21)의 상부에 장착되고 빗물이 저장되는 저장탱크(22)는 소정의 크기를 가지면서 무게를 줄일 수 있도록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되고, 외면에는 미관을 고려하면서 상호나 상품을 홍보할 수 있도록 표시부(22a)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지지대(21)의 상부 일측 또는 여러 곳에는 빛의 밝기를 측정하여 이를 상기 제어수단(30)의 제어부(33)에 전달하는 빛 감지센서(50)가 장착된다.
상기 저장탱크(22)에서 배수되는 빗물이 이동하고 경사지게 장착되는 인공수로(23)는 도시된 도 4(a)와 같이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수로(23a)를 다수개수 연결결합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인공수로(23)는 지면이 경사지게 형성될 경우에 지그재그 형상 으로 형성되고, 평지일 경우에는 경사지게 형성되어 자연적으로 빗물이 흘러 내려가도록 설치된다.
다음으로 상기 인공수로(23)는 다수개의 수로(23a)를 단차지게 연결결합하여 구성되되, 상기 수로(23a)는 일측 끝단의 양측에 경사판(23b)이 장착되고 반대 측에는 수차(23c)가 장착된다.
이를 좀더 보충설명하면, 상기 수로(23a)는 단차지게 형성되면서 끝단에 형성되는 경사판(23b)으로 낙하 전에 빗물을 모아서 타측 수로(23a)에 장착되는 수차(23c)를 회전작동시켜서 상기 수차(24)와 별도로 회전력을 얻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미관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지지대(21)의 하부에 위치한 인공수로(23)에 장착되는 수차(24)는 상기 저장탱크(22)에서 낙하하는 빗물을 이용해서 원활하게 회전작동할 수 있도록 수차 날개가 곡면지게 형성된다.
상기 인공수로(23)의 도중에 장착되는 다수개의 정화장치(25)는 부유물과 이물질에 여과하면서도 미관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모래, 자갈, 숯이 순차적으로 장착된다.
이때, 상기 정화장치(25)는 자갈이나 여과기능과 미관이 우수한 숯만으로도 구성될 수 있음을 밝힌다.
상기 인공수로(23)를 거쳐 전달되는 빗물을 저장하는 보관탱크(26)는 소정의 크기를 가지고 형성되면서 미관의 향상을 위하여 지면에 매설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보관탱크(26)에 저장되는 빗물을 상기 저장탱크(22)에 전달하는 펌핑장치(27)는 일측이 상기 보관탱크(26)에 연결되고 반대 측이 저장탱크(22)에 연결되는 파이프(28)와 모터를 이용해서 전달하게 된다.
이때, 상기 펌핑장치(27)의 전원은 수차(24) 및 태양광 모듈(40)을 통해서 얻어지는 전기나 심야전력을 이용함으로써 관리비용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 작동수단(20)의 일측에 장착되고 이를 제어하는 제어수단(30)은 상기 작동수단(20)에 장착되는 수차(24)와 태양광 모듈(40)을 통해 얻어지는 회전력과 태양광 에너지를 이용해서 전기를 발생시키는 발전부(31)와, 상기 발전부(31)에서 전달되는 전기를 공급받아 저장하는 충진부(32)와, 상기 충진부(32)에서 전달되는 신호와 상기 지지대(21)에 장착되는 빛 감지센서(50)를 통해 전달되는 신호를 전달받아 전원의 공급 여부를 조절하는 제어부(33)로 구성된다.
상기 지지대(21)의 일면에 장착되는 태양광 모듈(40)은 기존의 공지된 기술 중 택일하여 형성되되, 상기 지지대(21)의 양측 끝단에는 상기 태양광 모듈을 보호할 수 있도록 보호케이스(60)가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보호케이스(60)는 일측과 하부가 개방되고 내부에는 수용공간(62)이 형성되는 케이스(61)와, 상기 지지대(21)에 케이스(61)의 일측 끝단을 고정시키는 힌지(63)와, 상기 힌지(63)와 결합된 케이스(61)의 반대 방향에 위치하고 일측이 케이스(61)와 지지대(21)에 각각 결합되는 유·공압실린더(64)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신도시 공원지역의 빗물을 이용한 조명장치의 실시 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공원지역으로 다수개의 조명등(3)과 발광다이오드 패널(5a)이 구비되는 다수개의 방향표지(5)를 설치한다.
그리고 상기 공원지역의 일측으로 소정의 높이를 가지고 지면에 설치되고 외면에는 태양광 모듈(40)이 장착되는 지지대(21)와, 상기 지지대(21)의 상부에 장착되고 빗물이 저장되며 외면에는 상호나 상품을 홍보할 수 있도록 표시부(22a)가 형성되는 저장탱크(22)와, 상기 저장탱크(22)에서 배수되는 빗물이 이동하고 경사지게 장착되는 인공수로(23)와, 상기 지지대(21)의 하부에 위치한 인공수로(23)에 장착되고 상기 저장탱크(22)에서 낙하하는 빗물을 이용해서 회전작동하는 수차(24)와, 모래, 자갈, 숯이 순차적으로 구성되고 상기 인공수로(23)의 도중에 장착되는 다수개의 정화장치(25)와, 상기 인공수로(23)를 거쳐 전달되는 빗물을 저장하고 지면에 매설되는 보관탱크(26)와, 상기 보관탱크(26)에 전달되는 빗물을 파이프(28)를 이용해서 저장탱크(22)에 전달하는 펌핑장치(27)로 이루어진 작동수단(20)을 설치한다.
다음으로 상기 작동수단(20)의 일측에 상기 작동수단(20)에 장착되는 수차(24)와 태양광 모듈(40)을 통해 얻어지는 회전력과 태양광 에너지를 이용해서 전기를 발생시키는 발전부(31)와, 상기 발전부(31)에서 전달되는 전기를 공급받아 저장하는 충진부(32)와, 상기 충진부(32)에서 전달되는 신호와 상기 지지대(21)에 장착되는 빛 감지센서(50)를 통해 전달되는 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조명등(3) 및 방향표지(5)에 전원의 공급 여부를 조절하는 제어부(33)로 이루어진 제어수단(30)을 장착하면 신도시 공원지역의 빗물을 이용한 조명장치(10)의 설치작업은 완료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신도시 공원지역의 빗물을 이용한 조명장치(10)를 사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지지대(21)에 장착되는 저장탱크(22)에 저장되어 있는 빗물을 인공수로(23)로 흘러보낸다. 이때, 상기 지지대(21)의 하부에 위치하는 수차(24)는 낙하 또는 흘러 내려오는 빗물에 의하여 회전작동하게 되는 것이다.
다음으로 상기 인공수로(23)를 통해 이동하는 빗물은 도중에 장착되는 정화장치(25)를 거쳐서 하부에 위치한 보관탱크(26)에 저장된 후 상기 펌핑장치(27)와 파이프(28)를 통해 상기 저장탱크(22)에 다시 저장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지지대(21)에 장착되는 태양광 모듈(40)을 통해서 얻어지는 태양광 에너지와 수차(24)를 통해서 얻어지는 회전력은 각각의 컨버터를 이용해서 발전부(31)에 전달되고 상기 발전부(31)에서는 전기를 충진부(32)에 전달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충진부(32)는 상기 발전부(31)를 통해서 전달되는 전기의 양에 따라 이를 제어부(33)에 전달하여 일정량의 전기를 보관하게 되는데 즉, 상기 충진부(32)의 공급되는 전기량이 작을 경우에는 빗물의 이동량을 증가시켜서 수차(24)의 회전을 증가시키고, 반대로 상기 충진부(32)에 공급되는 전기량이 많을 경우에는 빗물의 이동량을 감소시켜서 수차(24)의 회전을 감소시키게 되는 것이다.
다음으로 상기 제어부(33)는 충진부(32)에서 전달되는 신호와 상기 지지대(21)에 장착되는 빛 감지센서(50)를 통해 전달되는 신호를 전달받아 이를 계산하 여 상기 충진부(32)에 저장되어 있는 전기를 상기 조명등(3) 및 방향표지(5)에 공급 또는 차단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인 신도시 공원지역의 빗물을 이용한 조명장치를 설명함에 있어 특정형상 및 방향을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신도시 공원지역의 빗물을 이용한 조명장치를 나타낸 전체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신도시 공원지역의 빗물을 이용한 조명장치를 구성하는 작동수단을 나타낸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신도시 공원지역의 빗물을 이용한 조명장치를 구성하는 제어수단을 나타낸 구성도.
도 4(a) 및 4(b)는 본 발명에 따른 신도시 공원지역의 빗물을 이용한 조명장치를 구성하는 작동수단의 인공수로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신도시 공원지역의 빗물을 이용한 조명장치를 구성하는 지지대에 장착되는 태양광 모듈과 이를 보호하는 장치를 나타낸 정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 : 조명등, 5 : 방향표지,
10 : 신도시 공원지역의 빗물을 이용한 조명장치,
20 : 작동수단, 22 : 저장탱크,
23 : 인공수로, 24 : 수차,
25 : 정화장치, 26 : 보관탱크,
27 : 펌핑장치, 28 : 파이프,
30 : 제어수단, 31 : 발전부,
32 : 충진부, 33 : 제어부,
40 : 태양광 모듈, 50 : 빛 감지센서,
60 : 보호케이스, 61 : 케이스,
62 : 수용공간, 63 : 힌지,
64 : 유·공압실린더.

Claims (3)

  1. 공원지역으로 다수개의 조명등(3)과 발광다이오드 패널(5a)이 구비되는 다수개의 방향표지(5)가 설치되고,
    상기 공원지역의 일측에는 소정의 높이를 가지고 지면에 설치되고 외면에는 태양광 모듈(40)이 장착되는 지지대(21)와, 상기 지지대(21)의 상부에 장착되고 빗물이 저장되는 저장탱크(22)와, 상기 저장탱크(22)에서 배수되는 빗물이 이동시키고 경사지게 장착되는 인공수로(23)와, 상기 지지대(21)의 하부에 위치한 인공수로(23)에 장착되고 상기 저장탱크(22)에서 낙하하는 빗물을 이용해서 회전작동하는 수차(24)와, 상기 인공수로(23)를 거쳐 전달되는 빗물을 저장하고 지면에 매설되는 보관탱크(26)와, 상기 보관탱크(26)에 전달되는 빗물을 파이프(28)를 이용해서 저장탱크(22)에 전달하는 펌핑장치(27)로 이루어진 작동수단(20)이 구성되며,
    상기 작동수단(20)의 일측에는 상기 작동수단(20)에 장착되는 수차(24)와 태양광 모듈(40)을 통해 얻어지는 회전력과 태양광 에너지를 이용해서 전기를 발생시키는 발전부(31)와, 상기 발전부(31)에서 전달되는 전기를 공급받아 저장하는 충진부(32)와, 상기 충진부(32)에서 전달되는 신호와 상기 지지대(21)에 장착되는 빛 감지센서(50)를 통해 전달되는 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조명등(3) 및 방향표지(5)에 전원의 공급 여부를 조절하는 제어부(33)로 이루어진 제어수단(30)이 장착된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신도시 공원지역의 빗물을 이용한 조명장치에 있어서,
    상기 저장탱크(22)의 외면에 상호나 상품을 홍보할 수 있도록 표시부(22a)가 형성되고, 상기 인공수로(23)는 일측 끝단의 양측에 경사판(23b)이 장착되고 반대 측에는 수차(23c)가 장착되는 다수개의 수로(23a)를 단차지게 연결결합하여 형성되며, 도중에는 모래, 자갈, 숯이 순차적으로 구성되는 다수개의 정화장치(25)가 장착되며,
    상기 작동수단(20)을 구성하는 지지대(21)의 양측 끝단에는 상기 태양광 모듈을 보호할 수 있도록 보호케이스(60)가 장착되되, 상기 보호케이스(60)는 일측과 하부가 개방되고 내부에는 수용공간(62)이 형성되는 케이스(61)와, 상기 지지대(21)에 케이스(61)의 일측 끝단을 고정시키는 힌지(63)와, 상기 힌지(63)와 결합된 케이스(61)의 반대 방향에 위치하고 일측이 케이스(61)와 지지대(21)에 각각 결합되는 유·공압실린더(6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도시 공원지역의 빗물을 이용한 조명장치.
  2. 삭제
  3. 삭제
KR1020090090415A 2009-09-24 2009-09-24 신도시 공원지역의 빗물을 이용한 조명장치 KR1009510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0415A KR100951002B1 (ko) 2009-09-24 2009-09-24 신도시 공원지역의 빗물을 이용한 조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0415A KR100951002B1 (ko) 2009-09-24 2009-09-24 신도시 공원지역의 빗물을 이용한 조명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51002B1 true KR100951002B1 (ko) 2010-04-08

Family

ID=422195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90415A KR100951002B1 (ko) 2009-09-24 2009-09-24 신도시 공원지역의 빗물을 이용한 조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5100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9009B1 (ko) * 2013-06-28 2013-10-16 주식회사 옥토기술단 도로 갓길의 배수시설
CN108361594A (zh) * 2018-03-27 2018-08-03 南京亚欣照明有限公司 一种便于安装的市政建设照明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30502B1 (ko) * 2006-07-14 2006-10-04 주식회사 도화종합기술공사 신도시 공원지역의 빗물을 이용한 방향 표지 및 조명장치
KR200431187Y1 (ko) * 2006-06-27 2006-11-23 한국신태양에너지 주식회사 풍력 및 소수력 병합발전장치
KR100851532B1 (ko) * 2007-06-13 2008-08-11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도로 표시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1187Y1 (ko) * 2006-06-27 2006-11-23 한국신태양에너지 주식회사 풍력 및 소수력 병합발전장치
KR100630502B1 (ko) * 2006-07-14 2006-10-04 주식회사 도화종합기술공사 신도시 공원지역의 빗물을 이용한 방향 표지 및 조명장치
KR100851532B1 (ko) * 2007-06-13 2008-08-11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도로 표시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9009B1 (ko) * 2013-06-28 2013-10-16 주식회사 옥토기술단 도로 갓길의 배수시설
CN108361594A (zh) * 2018-03-27 2018-08-03 南京亚欣照明有限公司 一种便于安装的市政建设照明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5501874U (zh) 一种市政施工用警示装置
CN209194274U (zh) 一种新型雨水浇灌、道路安全提示综合绿化带系统
KR200483396Y1 (ko) 복합 발전 가로등
KR20130078850A (ko) 쌓인 눈 제거를 위한 히터 및 교통관련 센서를 설치한 도로 및 철로의 측면 개방형 태양광 발전시스템
CN108894130A (zh) 一种棚廊式生态智能道路交通系统
KR100951002B1 (ko) 신도시 공원지역의 빗물을 이용한 조명장치
CN204225564U (zh) 一种智能生态停车库单元及智能生态停车库
CN109024119A (zh) 一种提高城市道路安全性的设计方法
CN202298665U (zh) 自发电发光地图井盖
CN109026575A (zh) 道路发电系统
CN109056579B (zh) 一种交通安全防护方法
CN203049476U (zh) 新型结构的太阳能发光警示路标
CN209165237U (zh) 一种桂冠景观路灯
CN203049477U (zh) 太阳能发光警示路标
CN208159619U (zh) 一种道路清洁与绿化灌溉一体化设备
CN214784494U (zh) 一种城市道路智能排放净化储水系统
CN201081135Y (zh) 太阳能闪灯护栏
KR102115876B1 (ko) 태양광을 활용한 분산 발전소
CN2607515Y (zh) 太阳能路灯装置
CN203049484U (zh) 新型太阳能发光警示路标
CN216864687U (zh) 一种市政道路结构
CN204875590U (zh) 一种新型市政道路警示牌
CN201103109Y (zh) 太阳能闪灯护栏
KR200412723Y1 (ko) 태양전지가 내장된 발광기능을 갖는 도로 표시판
CN216515291U (zh) 一种多功能阻车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90924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090924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9112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00325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0032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0032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04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30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03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303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3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303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2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302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6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306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9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309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4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304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325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217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304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