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50934B1 - 확산판의 휨성이 개선된 평판디스플레이용 백라이트 유닛및 그를 구비한 평판디스플레이 - Google Patents

확산판의 휨성이 개선된 평판디스플레이용 백라이트 유닛및 그를 구비한 평판디스플레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50934B1
KR100950934B1 KR1020080001631A KR20080001631A KR100950934B1 KR 100950934 B1 KR100950934 B1 KR 100950934B1 KR 1020080001631 A KR1020080001631 A KR 1020080001631A KR 20080001631 A KR20080001631 A KR 20080001631A KR 100950934 B1 KR100950934 B1 KR 1009509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cklight unit
flat panel
diffusion plate
panel display
lam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016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75963A (ko
Inventor
김정열
김연수
조덕재
배중석
홍영표
이황규
Original Assignee
웅진케미칼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웅진케미칼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웅진케미칼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016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50934B1/ko
Publication of KR200900759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759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509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509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G02F1/133602Direct backlight
    • G02F1/133606Direct backlight including a specially adapted diffusing, scattering or light controlling membe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33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 G02B6/0058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varying in density, size, shape or depth along the light guide
    • G02B6/0061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varying in density, size, shape or depth along the light guide to provide homogeneous light output intensity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82Heating or cooling of liquid crystal cells other than for activation, e.g. circuits or arrangements for temperature control, stabilisation or uniform distribution over the cell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Planar Illumination Modu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평판디스플레이용 백라이트 유닛(Back Light Unit, BLU)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백라이트 유닛 구동 시 많은 열이 발생하고, 확산판의 상하면의 온도차로 인해 확산판이 휘게 되고 이로 인해 시트 움이 발생되는데, 확산판과 램프 서포트 핀(lamp support pin)간의 거리를 최적조건으로 제어함으로써, 열에 의해 확산판이 휘는 문제를 개선하여, 휘도의 균일성을 확보한 평판디스플레이용 백라이트 유닛을 제공할 수 있으며, 상기 백라이트 유닛을 구비하여, 대형화 및 고화질화의 요구를 충족할 수 있는 평판디스플레이, 나아가 액정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를 제공할 수 있다.
백라이트 유닛, 휨개선, 휘도

Description

확산판의 휨성이 개선된 평판디스플레이용 백라이트 유닛 및 그를 구비한 평판디스플레이{BACK LIGHT UNIT FOR FLAT PANEL DISPLAY DEVELOPED WARPAGE OF LIGHT DIFFUSER LAYER AND FLAT PANEL DISPLAY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확산판의 휨성이 개선된 평판디스플레이용 백라이트 유닛 및 그를 구비한 평판디스플레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백라이트 유닛 구동 시 발생되는 열로 인해 확산판이 휘는 문제점을 확산판과 램프 서포트 핀간의 거리를 최적조건으로 제어함으로써, 열에 의해 확산판이 휘는 문제를 개선하여, 휘도의 균일성을 확보한 평판디스플레이용 백라이트 유닛 및 그를 구비한 평판디스플레이에 관한 것이다.
정보표시기술에서 표시장치 분야에서는 지난 반세기 이상 브라운관(CRT)이 독보적인 위치를 점했으나, 최근 급속히 발전하는 정보시대를 맞아 다양한 방식의 디스플레이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그 대표적인 일례로는 평판디스플레이(Flat Panel Display) 기술이며, 이러한 기술은 액정디스플레이(LCD), 프로젝션 디스플레이 및 플라즈마 디스플레이(PDP)가 주류를 이루고 있는 TV 브라운관 시장을 비롯하여 소형 계측기기뿐만 아니라 휴대용 컴퓨터, 각종 모니터와 TV에 이르기까지 이미 빠른 속도로 기존의 CRT 방식을 평판화로 대체시키고 있다.
또한, 전계방출디스플레이(FED)와 전계발광디스플레이(ELD) 등의 관련기술 향상과 더불어, 향후 각 특성에 따른 기술분야를 점유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특히, 액정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는 유리판 두 장 사이에 액정을 주입해 상하 유리판에 설치된 전극에 전원을 인가하여, 각 화소에서 액정 분자배열이 변화, 영상을 표시하는 장치다. 현재 노트북, 퍼스널 컴퓨터 모니터, 액정 TV, 자동차, 항공기 등 사용범위가 확대되고 있으며, 평판시장의 80% 가량을 차지하고 있고, 지난 98년 하반기 이후 세계적으로 LCD의 수요가 급증해 현재까지 호황을 누리고 있다.
이러한 LCD 패널은 자체 발광할 수 있는 구조물이 없으며 단순히 후면광을 투과시키는 기능만을 가지므로, 야간이나 빛이 없는 공간에서 후면광의 도움 없이는 화상을 보여줄 수 없다. 따라서, LCD의 후면광을 구현하기 위하여 LCD 디스플레이 장치는 LCD 패널부, 구동부 및 백라이트 유닛으로 구성된다.
또한, 백라이트 유닛은 램프만으로는 전면적에 걸쳐 균일한 빛을 구현할 수 없으므로, 램프이외에, 도광판, 확산판, 반사판, 프리즘, 프레임 등의 시트류와, 기구부 및 구동회로를 함께 구비하게 된다.
종래의 백라이트 유닛에는 여러 가지 방식이 존재하는데 현재 가장 널리 사용되는 방법은 측광(side light) 방식으로 가운데에 반사패턴이 인쇄된 도광판(LGP: light guiding panel)을 두고 냉음극형광램프가 가장자리에 위치하는 방식이다. 이때, 도광판에 인쇄된 반사패턴은 램프가 가장자리에 위치하여 패널내 위치에 따라 밝기 차이가 발생하는 현상을 줄여주기 위한 구조로 인쇄된다.
그러나 도광판에 반사패턴을 인쇄한 방식은 생산성이 높으나 인쇄패턴 물질 자체에 의한 광 손실이 발생하므로 효율이 떨어지며 LCD가 대형화되면 될수록 전체적인 휘도의 균일도(uniformity)가 나빠지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이러한 방식은 19인치 이하의 소형 디스플레이 장치에 사용되는데, 예를 들어, 차량 및 노트북 같은 소형의 14인치 이하는 한 개의 냉음극형광관을 도광판 외곽에 설치하고, 모니터와 TV 용으로 사용되는 15∼18인치 백라이트 유닛은 밝기를 높이기 위해 도광판 외곽에 각 2∼3개의 램프를 설치한다.
반면에, 19인치 이상의 디스플레이 장치에서는 상기 도광판 방식으로는 충분한 밝기를 낼 수 없기 때문에 다수의 램프를 확산판 아래에 일정한 간격으로 배열한 직하형(direct) 방식이 사용된다. 이러한 방식은 확산판의 후면에 수 개의 형광램프를 일렬로 배치하는 방식으로 측광형보다 휘도를 높이고 균일성을 개선할 수 있는 방식이다.
최근에 TV는 대형화 및 고화질화가 요구되면서, 백라이트에 사용되는 부품의 크기도 대형화되고 백라이트 유닛 상에서 발생하는 열의 양도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종래 소형 백라이트 유닛에서 발생하지 않던 문제가 대형화되면서, 램프와 인버터에서 발생되는 열이 확산판에 변형을 가함으로써, 빛이 새거나, 빛이 불균일하거나, 시트 움과 같은 신뢰성에서 문제를 야기한다.
상기 직하형 백라이트 유닛에서 확산판은 CCFL 또는 LED 램프로부터 나온 선광원 및 점광원을 면광원으로 바꾸어주는 것과 확산판 위에 위치한 시트류를 지지해 주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때, 선광원 및 점광원을 면광원으로 바꾸어주기 위해서 확산판은 빛의 산란 기능이 필요하며, 투명한 폴리머에 확산용 입자를 조합함으로써 기능을 개선할 수 있다.
빛의 산란 기능이 부족하면, 램프형상이 LCD 패널을 통과한 후에도 나타날 수 있으며, 여러 개의 광원이 화면 아래에 분포됨으로써, 광원과 광원사이에 빛의 세기 차이가 나기 때문에 패널 상에서 밝기의 균일도가 떨어지게 된다.
또한, 확산판에 있어서 확산판의 방향을 램프 방향과 패널 방향으로 나누었을 때 램프 방향보다 패널 방향의 온도가 높다. 이것은 확산판을 구성하는 수지의 열전도도가 금속에 대비하여 떨어지기 때문에 열원에서 발생한 열이 확산판을 통하여 쉽게 빠져나가지 못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확산판에 있어서 램프 방향과 패널 방향의 온도차에 의해 휨(warpage) 문제가 불가피하게 발생한다.
최근에는 LCD TV에서 문제시되는 잔상 효과를 없애기 위하여, 광원으로서 LED를 이용한 백라이트 유닛이 개발 완료되어 양산 중에 있으나, 아직까지 LCD TV에서는 냉음극형광램프가 주류를 이루고 있다.
그러나, 냉음극형광램프의 경우 모양이 선형으로 이루어져 있어 작은 충격에도 쉽게 깨질 수 있다. 또한 백라이트가 대형화되면서 램프의 길이도 커지게 됨으로써, 백라이트를 세웠을 때 쉽게 휘어지게 되기 때문에 빛의 균일도를 확보하기 어렵다. 또한, 확산판은 1.0mm 이상이 사용되기 때문에 진동에 의해 램프와 부딪쳐 램프가 깨질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서, 램프 서포트 핀(lamp support pin)을 사용한다.
상기 램프 서포트 핀을 세움으로써, 확산판의 램프 방향에 확산판이 램프 방향으로 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나, 확산판이 패널방향으로 휘는 문제는 여전히 해결되지 못하고 있다.
또한, 백라이트 유닛 상에서 확산판을 움직이지 못하도록 고정하게 되면, 확산판이 팽창하는 만큼 패널 방향 또는 램프 방향으로 휘어지기 때문에, TV 화면에서 휘도가 고르지 못하게 하는 원인이 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일환으로, 상기 열과 수분에 대한 특성이 확보된 확산판 소재 선정이 중요한 인자로서 주목받아 왔다. 즉, 모든 물질은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팽창하게 되는데, 팽창 정도는 물질의 고유 팽창율에 따라 결정되므로, 백라이트 유닛에 사용되는 확산판 소재의 팽창율을 감안하여 설계된다.
그러나 열에 의해 수축 및 팽창을 하고 온도에 따른 열팽창율이 물질마다 다르므로, 확산판 소재 선정 수단으로는 확산판의 휘는 문제를 근본적인 해결이 불가능하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평판디스플레이의 대형화 및 고화질화 요구에 따라, 백라이트 유닛에 사용되는 확산판의 휘는 문제를 개선하고자 노력한 결과, 상기 확산판의 휘는 문제를 확산판 소재로부터의 개선이 아닌, 확산판과 램프 서포트 핀간의 거리를 최적화하여, 열에 의한 확산판의 휘는 문제를 개선하고 휘도의 균일성을 확보한 평판디스플레이용 백라이트 유닛을 제공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확산판의 휨성이 개선된 평판디스플레이용 백라이트 유닛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확산판의 휨성이 개선되어 휘도의 균일성이 확보된 평판디스플레이 또는 액정디스플레이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확산판의 장축 길이(w) 및 상기 확산판의 램프 방향면과 램프 서포트 핀간의 거리(h)의 길이비를 240∼1000로 제어하여, 백라이트 유닛 구동시 발생되는 열에 의해 확산판이 휘는 문제를 개선한 평판디스플레이용 백라이트 유닛을 제공한다.
상기 확산판의 장축 길이가 650∼1300mm이며, 확산판의 두께가 0.8∼3.0mm이다.
상기에서 확산판은 폴리카보네이트,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메틸메타크릴레이트와 스티론 공중합체 및 폴리스티렌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단독 또는 2개 이상의 혼합형태의 재질의 것을 사용한다.
상기에서, 램프 서포트 핀은 용융지수(MI)가 20∼80g/10min인 폴리카보네이트 재질의 것을 사용한다.
본 발명은 확산판의 휨성이 개선되어 휘도의 균일성이 확보된 백라이트 유닛을 구비한 19인치 이상의 대형 평판디스플레이, 더 나아가, 19인치 이상의 대형 액정디스플레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백라이트 유닛에 있어서 램프의 열에 의해 확산판이 휘는 문제를 확산판 소재 변경으로 인한 해결이 아닌, 확산판의 장축 길이 및 상기 확산판의 램프 방향면과 램프 서포트 핀간의 거리비를 최적화시켜, 확산판의 휨성이 개선되어 휘도의 균일성이 확보된 백라이트 유닛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확산판의 휨성이 개선되어 휘도의 균일성이 확보된 백라이트 유닛을 구비한 19인치 이상의 대형 평판디스플레이 또는 대형 액정디스플레이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확산판(1)의 장축 길이(w) 및 상기 확산판의 램프 방향면과 램프 서포트 핀의 거리(h)간의 길이비를 240∼1000로 제어함으로써, 백라이트 유닛 구동 시 발생되는 열에 의해 확산판이 휘는 문제가 개선된 평판디스플레이용 백라이트 유닛을 제공한다.
도 1은 확산판(1)의 측면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2는 확산판(1)과 램프 서포트 핀(2)이 설치된 상태에서 백라이트 유닛 구동 시 최적의 확산판의 형태를 도시한 것이다.
반면에, 도 3은 종래 백라이트 유닛 구성에서 램프 서포트 핀(2)이 설치되지 않고, 백라이트 유닛 구동 시 전원을 켠 후 확산판(1)의 변형을 도시한 것으로서, 열팽창 또는 확산판의 자체 무게에 의해 확산판이 U 형태의 변형을 발생하게 된다. 또한, 확산판(1) 뒷면에 램프 서포트 핀(2)을 설치하지 않을 경우, 확산판(1)이 램프와 가까워지므로, 휘선 보임이 발생할 수 있으며 진동 테스트 과정에서 확산판의 진동 에 의한 충격으로 램프가 깨질 수 있다.
도 4는 종래 백라이트 유닛 구성에서, 확산판(1)과 램프 서포트 핀(2)을 설치하고 백라이트 유닛 구동 시 발생되는 변형을 도시한 것으로서, 확산판(1)과 램프 서포트 핀(2)이 설치되었더라도, 확산판의 장축 길이(w) 및 상기 확산판의 램프 방향면과 램프 서포트 핀의 거리(h)가 적정하지 않으면, 램프 방향으로 휘고자 하는 힘을 막음으로써 중앙 부분이 패널 방향으로 휘게 된다.
이에, 본 발명은 백라이트 유닛 구성에서 확산판(1)과 램프 서포트 핀(2)을 설치하고, 확산판의 장축 길이(w) 및 상기 확산판의 램프 방향면과 램프 서포트 핀의 거리(h)간의 길이비를 240∼1000으로 제어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520∼350으로 제어함으로써, 백라이트 유닛 구동 시 발생되는 열에 의해 확산판이 휘는 문제가 개선된 평판디스플레이용 백라이트 유닛을 제공할 수 있다[도 2].
이때, 확산판의 장축 방향 길이(w)와 상기 확산판의 램프 방향면과 램프 서포트 핀의 거리(h)간의 비(a = w/h)가 240 미만이면, 중앙 부위가 램프방향으로 처지게 되어 빛의 불균일성을 초래하게 된다. 반면에, 확산판의 장축 방향 길이(w)와 상기 확산판의 램프 방향면과 램프 서포트 핀의 거리(h)의 비(a = w/h)가 1,000을 초과하면, 확산판과 광학시트를 고정시켜주는 미들 샤시(4) 위로 볼록하게 나와 올라와 패널과 닿음으로써 빛의 불균일성을 가져올 수 있다.
본 발명의 평판디스플레이용 백라이트 유닛에 사용되는 확산판은 통상 평판디스플레이에 적용되는 것이라면 모두 사용가능하나, 더욱 바람직하게는 폴리카보네이트,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메틸메타크릴레이트와 스티론 공중합체 및 폴리스티렌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단독 또는 2개 이상의 혼합형태의 재질의 것을 사용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확산판(1)의 장축길이(w)는 650∼1300mm(26∼57 인치)로서, 대형 평판디스플레이에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확산판(1)의 두께는 0.8∼3.0mm이 바람직하며, 상기 두께가 0.8mm 미만이면, 지나치게 얇아 열에 의한 팽창 및 수축 현상에 민감하게 노출된다. 반면에, 확산판의 두께가 3.0mm를 초과하면 제조원가가 상승하여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본 발명의 평판디스플레이용 백라이트 유닛에 사용되는 램프 서포트 핀(2)은 용융지수(MI)가 20∼80g/10min인 폴리카보네이트 재질의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용융지수가 20g/10min 미만이면, 흐름성이 낮아 사출시 압력을 높이기 위해 사출기 용량이 커져야하며 미성형이 발생할 수 있다. 반면에, 용융지수가 80g/10min을 초과하면, 흐름성은 좋으나 내충격성이 떨어져 쉽게 깨질 수 있다.
본 발명은 확산판과 상기 확산판의 램프 방향면과 램프 서포트 핀간의 거리(h)를 최적화시킴으로써, 열에 의한 확산판이 휘는 문제를 개선할 수 있다[표 1]. 따라서, 본 발명의 평판디스플레이용 백라이트 유닛은 확산판의 휨성이 개선되어, 빛 샘, 빛의 불균일, 시트 움과 같은 신뢰성에서 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은 확산판의 휨성이 개선되어 휘도의 균일성이 확보된 백라이트 유닛을 구비한 19인치 이상의 대형 평판디스플레이를 제공할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9인치 이상의 대형 액정디스플레이를 제공한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백라이트 유닛 제조업체[태산 LCD사의 LTA460WT-L14]로부터 제공받은 백라이트 유닛 조립 시, 백라이트 샤시(3)부에 폴리카보네이트계 무연신 확산판[(주)새한의 LH1565]을 장착하고, 그 위로 백라이트 미들 샤시(4)를 끼워 조립하고[도 5], 상기 확산판의 장축 방향 거리(w)와 상기 확산판의 램프 방향면과 램프 서포트 핀간의 거리(h)의 길이비를 250으로 설정하여 백라이트 유닛을 제조하였다.
이때, 확산판의 장축 방향 거리(w)와 상기 확산판의 램프 방향면과 램프 서포트 핀간의 거리(h)는 버어니어캘리퍼스로 측정하였으며, 두께는 마이크로미터로 측정하였다.
<실시예 2>
확산판 장축 방향 거리(w)와 상기 확산판의 램프 방향면과 램프 서포트 핀간의 거리(h)의 길이비를 400으로 설정하여 수행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수행하여 백라이트 유닛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3>
장축 방향 거리(w)와 상기 확산판의 램프 방향면과 램프 서포트 핀간의 거리(h)의 길이비를 1,000으로 설정하여 수행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수행하여 백라이트 유닛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확산판과 램프 서포트 핀이 맞닿도록 조정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수행하였다.
<비교예 2>
램프 서포트 핀을 하나 추가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2와 동일하게 수행하였다.
<실험예 1>
상기 실시예 1∼3 및 비교예 1∼2에서 제조된 백라이트 유닛에 대하여, 하기와 같은 방법으로 물성을 평가하여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1. 휘도측정
상기 실시예 1∼3 및 비교예 1∼2에서 제조된 백라이트 유닛을 탑콘(TOPCON)사의 BM-7을 장착한 스테이지에서 휘도를 측정하였다. 9점을 측정하여 그중 중앙값을 표 1에 표시하였다.
2. 확산판의 휨
상기 실시예 1∼3 및 비교예 1∼2에서 제조된 백라이트 유닛을 60℃ 75RH%의 항온항습기 내에 76시간 방치하였다. 72시간 경과 후, 상온에서 1시간 동안 방치한 후, 백라이트에 전원을 인가하여 1 시간 경과 후 확산판 중앙부에서 미들 샤시(4)의 상단부와 확산판간의 거리(t)를 버어니어캘리퍼스로 측정하였다. 이때, t값이 (+)값이면, 미들 샤시 위쪽인 시트 방향으로 돌출되어 휜 형태이고, (-)값이면, 미 들 샤시에서 램프 방향쪽으로 휜 형태를 의미한다. 휘는 정도가 문제되지 않았을 때, t값은 -7.8로 관찰되었다.
상기와 동일 전압 조건에서 처리한 후, 탑콘[TOPCON] 사의 BM-7을 장착한 스테이지에서 휘도를 측정하였다. 또한 육안으로 확산판 우는 정도를 평가하였다.
이때, 백라이트 상에서 시트의 휨이 육안으로 관찰되지 않고 빛의 균일도가 양호하면 매우 우수(◎), 시트의 휨이 조금 보이나 빛의 균일도가 양호한 정도이면 우수(○), 시트의 휨이 쉽게 보이나 빛의 균일도가 양호한 수준이면 보통(△), 시트 움과 빛의 균일도가 관찰되면, 불량(×)으로 분류하였다.
Figure 112008001052718-pat00001
상기에서 *는 확산판과 램프 서포트 핀간의 거리에 대한 유격이 없어서 계산이 안됨을 의미한다.
상기 표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확산판의 장축 길이(w) 및 상기 확산판의 램프 방향면과 램프 서포트 핀의 거리(h)간의 길이비가 240∼1000로 제어되어 제조된 실시예 1∼3의 백라이트 유닛은 확산판 중앙부에서 미들 샤시(4)의 상단부와 확산판간의 거리(t) 측정결과, 휘는 문제가 완화되었으며, 육안으로 시트 움 현상이 관찰되 지 않았다. 또한, 상기 실시예 1∼3에서 제조된 백라이트 유닛은 고휘도로 관찰되므로, 상기 결과로부터 확산판의 휨성이 개선됨에 따라, 휘도의 균일성을 뒷받침할 수 있다.
반면에, 백라이트 유닛 구성에서 확산판(1)과 램프 서포트 핀(2)을 구비하면서도 확산판의 장축 길이(w) 및 상기 확산판의 램프 방향면과 램프 서포트 핀의 거리(h)간의 길이비를 벗어나면, 확산판이 미들 샤시로부터 시트 방향으로 휘고, 육안으로 시트 움 현상이 관찰되었다.
또한, 백라이트 유닛 구성에서 램프 서포트 핀(2)의 추가는 확산판의 휨성 개선에 큰 영향을 주지 않았을 뿐만 아니라, 오히려 앞쪽으로 휘는 문제와 시트 움 현상을 보였다.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첫째, 백라이트 유닛에 있어서 램프의 열에 의해 확산판이 휘는 문제를 확산판 소재 변경으로 인한 해결이 아닌, 확산판의 장축 길이 및 상기 확산판의 램프 방향면과 램프 서포트 핀간의 거리비를 최적화시켜 구현한, 평판디스플레이용 백라이트 유닛을 제공하였고,
둘째, 본 발명의 평판디스플레이용 백라이트 유닛은 확산판의 휨성이 개선되어 휘도의 균일성이 확보됨으로써, 빛 샘, 빛의 불균일, 시트 움과 같은 신뢰성에서 문제를 해소하였다.
셋째, 본 발명의 신뢰성이 우수한 백라이트 유닛을 구비함으로써, 19인치 이상의 대형 평판디스플레이를 제공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백라이트 유닛을 구비함으로써, 확산판의 휨성이 개선되어 휘도의 균일성이 확보된 19인치 이상의 대형 액정디스플레이를 제공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확산판(1)의 측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백라이트 유닛 구성에서 확산판(1)과 램프 서포트 핀(2)가 설치된 상태에서 백라이트 유닛 구동 시 최적의 확산판의 형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종래 백라이트 유닛 구성에서 램프 서포트 핀(2)이 설치되지 않고, 백라이트 유닛 구동 시 전원을 켠 후 확산판(1)의 변형을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종래 백라이트 유닛 구성에서, 확산판(1)과 램프 서포트 핀(2)을 설치하고, 백라이트 유닛 구동 시 발생되는 확산판(1)의 변형을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확산판(1) 고정을 위한 구조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 확산판
2. 램프 서포트 핀
3. 백라이트 샤시
4. 백라이트 미들 샤시

Claims (7)

  1. 확산판과 램프 서포트 핀이 설치된 평판디스플레이용 백라이트 유닛에 있어서,
    확산판의 장축 길이(w)에 대한 상기 확산판의 램프 방향면과 램프 서포트 핀간의 거리(h)의 길이비(a=w/h)가 240∼1000으로 제어되어, 확산판과 램프 서포트 핀간 이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디스플레이용 백라이트 유닛.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확산판의 장축 길이가 650∼1300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백라이트 유닛.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확산판의 두께가 0.8∼3.0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백라이트 유닛.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확산판이 폴리카보네이트,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메틸메타크릴레이트와 스티론 공중합체 및 폴리스티렌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단독 또는 2개 이상의 혼합형태 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백라이트 유닛.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램프 서포트 핀이 용융지수(MI) 20∼80g/10min의 폴리카보네이트 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백라이트 유닛.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의 백라이트 유닛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9인치 이상의 대형 평판디스플레이.
  7.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의 백라이트 유닛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9인치 이상의 대형 액정디스플레이.
KR1020080001631A 2008-01-07 2008-01-07 확산판의 휨성이 개선된 평판디스플레이용 백라이트 유닛및 그를 구비한 평판디스플레이 KR1009509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1631A KR100950934B1 (ko) 2008-01-07 2008-01-07 확산판의 휨성이 개선된 평판디스플레이용 백라이트 유닛및 그를 구비한 평판디스플레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1631A KR100950934B1 (ko) 2008-01-07 2008-01-07 확산판의 휨성이 개선된 평판디스플레이용 백라이트 유닛및 그를 구비한 평판디스플레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75963A KR20090075963A (ko) 2009-07-13
KR100950934B1 true KR100950934B1 (ko) 2010-04-01

Family

ID=413331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01631A KR100950934B1 (ko) 2008-01-07 2008-01-07 확산판의 휨성이 개선된 평판디스플레이용 백라이트 유닛및 그를 구비한 평판디스플레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50934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89018A (ko) * 2005-02-03 2006-08-08 삼성전자주식회사 평판형광램프 및 이를 갖는 액정표시장치
KR20080053699A (ko) * 2006-12-11 2008-06-1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의 백라이트 어셈블리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89018A (ko) * 2005-02-03 2006-08-08 삼성전자주식회사 평판형광램프 및 이를 갖는 액정표시장치
KR20080053699A (ko) * 2006-12-11 2008-06-1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의 백라이트 어셈블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75963A (ko) 2009-07-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54570B2 (en) Back light assembly, liquid crystal display apparatu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CN100541285C (zh) 直下式背光组件
KR101167301B1 (ko) 액정표시장치용 백라이트 유닛
US7787073B2 (en) Backlight unit with a plurality of lamps each including an LED chip with a protecting lens therefor and a semi-transparent material and reflecting substance on the upper part of the lens
US7585099B2 (en) Backlight unit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KR101777535B1 (ko) 광학필름 조립체의 설치구조
KR20100078298A (ko)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구비한 액정표시장치모듈
KR20080007817A (ko) 확산판 어셈블리 및 백라이트 어셈블리
JP2005347062A (ja) バックライト装置及び液晶表示装置
US20040125268A1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KR101244982B1 (ko) 광학부재 홀더를 갖는 램프 가이드와 이를 구비한 백라이트유닛 및 액정표시소자
KR20070109555A (ko) 확산판, 이를 구비한 백라이트 유닛 및 액정표시장치
KR101323567B1 (ko) 표시장치용 백 라이트 유닛
KR101413140B1 (ko) 불균일한 로컬 마이크로렌즈 어레이 패턴을 갖는 광확산판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KR20060084194A (ko) 광학 시트의 고정 구조를 개선한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이를 구비한 평판표시장치
KR100950934B1 (ko) 확산판의 휨성이 개선된 평판디스플레이용 백라이트 유닛및 그를 구비한 평판디스플레이
JP2009251157A (ja) 液晶表示装置
KR100989168B1 (ko) 백라이트 및 그 제조방법
KR100698061B1 (ko) 직하형 백라이트 유닛
JP2005129346A (ja) 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
KR20060001423A (ko) 액정표시장치의 백라이트 유닛
KR20080049441A (ko) 액정 표시 모듈
CN103574402A (zh) 背光装置、液晶模块以及液晶显示装置
KR101159496B1 (ko) 액정표시장치용 백라이트 유닛
CN109683397A (zh) 背光装置、液晶模块以及液晶显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