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50135B1 - 전력량 계의 펄스출력 중계장치 - Google Patents

전력량 계의 펄스출력 중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50135B1
KR100950135B1 KR1020080038943A KR20080038943A KR100950135B1 KR 100950135 B1 KR100950135 B1 KR 100950135B1 KR 1020080038943 A KR1020080038943 A KR 1020080038943A KR 20080038943 A KR20080038943 A KR 20080038943A KR 100950135 B1 KR100950135 B1 KR 1009501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lse signal
power
meter
pulse
wat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389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13069A (ko
Inventor
성인석
Original Assignee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389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50135B1/ko
Publication of KR200901130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130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501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501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22/00Arrangements for measuring time integral of electric power or current, e.g. electricity meters
    • G01R22/06Arrangements for measuring time integral of electric power or current, e.g. electricity meters by electronic method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5/00Mechanical means for transferr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Means for convert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to another variable where the form or nature of the sensing member does not constrain the means for converting; Transduc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 G01D5/12Mechanical means for transferr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Means for convert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to another variable where the form or nature of the sensing member does not constrain the means for converting; Transduc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using electric or magnetic means
    • G01D5/244Mechanical means for transferr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Means for convert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to another variable where the form or nature of the sensing member does not constrain the means for converting; Transduc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using electric or magnetic means influencing characteristics of pulses or pulse trains; generating pulses or pulse trai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1/00Electromechanical arrangements for measuring time integral of electric power or current, e.g. of consumption
    • G01R11/30Dynamo-electric motor meters
    • G01R11/32Watt-hour me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3/00Line transmission systems
    • H04B3/54Systems for transmission via power distribution lines
    • H04B3/58Repeater circui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Arrangements For Transmission Of Measured Sign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나의 공통 전력량 계로부터 전력계량 펄스 신호와 시한 펄스 신호를 수신하는 다수의 펄스 신호 이용 기기에 있어서, 펄스 신호의 레벨 차이에 따른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도록 전력량 계의 펄스출력 중계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으로서, 본 발명의 펄스출력 중계장치는,
전력량 계의 전력계량 펄스 신호 출력단과 접지 사이에 서로 직렬접속되고 각각 상기 펄스 신호 이용 기기에 일대일 대응되게 접속되고 서로 직렬로 접속되어, 상기 펄스 신호 이용 기기에 상기 전력계량 펄스 신호를 전달하는 다수의 제 1 포토 커플러(photo coupler); 상기 전력량 계의 시한 펄스 신호 출력단과 접지 사이에 서로 직렬접속되고 각각 상기 펄스 신호 이용 기기에 일대일 대응되게 접속되어, 상기 펄스 신호 이용 기기에 상기 시한 펄스 신호를 전달하는 다수의 제 2 포토 커플러(photo coupler); 및 상기 전력량 계의 전력계량 펄스 신호 출력단과 시한 펄스 신호 출력단에 공통적으로 직류전원전압을 공급하는 직류전원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전력량 계, 전력계량 펄스 신호, 시한 펄스 신호, 중계 장치

Description

전력량 계의 펄스출력 중계장치{PULSE SIGNAL RELAY FOR WATT HOUR METER}
본 발명은 전력량 계에 관한 것으로 특히, 하나의 공통 전력량 계로부터 전력계량 펄스 신호와 시한 펄스 신호를 수신하여 이용하는 다수의 펄스 신호 이용 기기에 있어서, 펄스 신호의 레벨 차이에 따른 다수의 펄스 신호 이용 기기의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도록 전력량 계와 다수의 펄스 신호 이용 기기 사이에 접속되어 펄스 신호를 전달하는 전력량 계의 펄스출력 중계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력량 계는 잘 알려져 있는 바와 같이 부하 선로의 전류와 전압을 해당 센서를 이용하여 측정하고 이를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 processor)와 같은 연산 수단에 의해 적산하여 전력량을 구하고, 이를 사용시간에 따라 누적 적산하여 사용전력량을 계측하며, 계측된 사용 전력량은 마이크로 프로세서와 접속되는 펄스 신호 발생회로부에 의해서 상당하는 전력계량 펄스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전력량 계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전력계량 펄스 신호를 이용하는 펄스 신호 이용 기기들이 전력량 계의 펄스 신호 출력단에 접속될 수 있다. 이러한 펄스 신호 이용 기기로서는 예컨대 미리 설정된 최대 수요 전력량에 상기 전력계량 펄스 신호에 따른 사용 전력량이 도달했을 때 경보신호를 발생하거나 설정 된 우선순위에 따라 해당 부하 기기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는 수요 전력 제어기 (Demand Controller) 또는 최대 수요 전력 제어기라든지 설정된 프로그램에 따라서 상기 전력계량 펄스 신호에 따른 사용 전력량이 설정된 값에 도달했을 때 밸브(valve), 팬(fan), 계전기 등을 온(on)/오프(off) 제어하는 프로그래머블 로직 컨트롤러(Programmable Logic Controller)와, 여타 펄스 신호 이용 기기들이 있다.
한편, 도 1을 참조하여 종래기술에 따른 하나의 공통 전력량 계와 다수의 펄스 신호 이용 기기 간의 접속 구성과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공통 전력량 계(1)와 다수의 펄스 신호 이용 기기(3a-3c)는 직접 접속된 구성을 가지고 있다.
전력량 계(1)는 크게 신호 발생 부(1a)와, 신호 발생 부(1a)로부터의 펄스 신호에 따라 턴 온(turn on) 또는 턴 오프(turn off)되는 포토 커플러(Photo Coupler)(PC)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신호 발생 부(1a)와 포토 커플러(PC)의 내부 발광 다이오드의 양극(anode)사이에는 전압 확립용 저항(RES.1)이 직렬로 접속되며, 신호 발생 부(1a)와 전압 확립용 저항(RES.1) 사이에 포토 커플러(PC)의 구동용 직류전원(VCC1)이 접속된다. 포토 커플러(PC)의 내부 발광 다이오드의 음극(cathode)은 접지(1b)로 연결된다.
신호 발생 부(1a)는 전력계량 펄스 신호(WP) 또는 시한 펄스 신호(EOI)를 발생시킨다. 여기서, 전력계량 펄스 신호(WP)는 설정된 시간 동안 계측한 전력량을 나타내는 펄스 신호이고, 시한 펄스 신호(EOI)는 설정된 시간의 종료시점을 나타내는 펄스 신호로서, 따라서 각각의 펄스 신호 이용 기기(3a-3c)는 시한 펄스 신호(EOI)가 입력될 때까지 전력계량 펄스 신호(WP)를 계수함으로써 설정된 시간동안의 전력량을 연산해낼 수 있다. 신호 발생 부(1a)는 더욱 상세히는 전력량을 연산하기 위한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 processor)와, 마이크로 프로세서에 접속되어 마이크로 프로세서로부터 출력되는 전력량 계량 데이터에 따른 펄스 신호를 발출하는 펄스 신호 발생회로로 구성될 수 있다.
포토 커플러(PC)는 신호 발생 부(1a)로부터의 전력계량 펄스 신호(WP) 또는 시한 펄스 신호(EOI)에 따라 즉, 이러한 전력계량 펄스 신호(WP) 또는 시한 펄스 신호(EOI)의 1 또는 0의 펄스 신호 레벨(level)에 의존하여 직류전원(VCC1)이 공급 또는 차단됨에 따라 턴 온(turn on) 또는 턴 오프(turn off) 된다.
또한 각각의 펄스 신호 이용 기기(3a-3c)의 내부에는 제 1 내지 제 3 중앙처리장치(CPU1-CPU3)가 포토 커플러(PC)의 수광 트랜지스터의 에미터(emitter)에 접속되는 전압확립용 저항(RES.2-RES.4)를 통해 접속되게 구비되고, 포토 커플러(PC)의 수광 트랜지스터의 컬렉터(collector)에는 내부 접지(GND2-GND4)가 접속된다. 또한 각각의 제 1 내지 제 3 중앙처리장치(CPU1-CPU3)와 전압확립용 저항(Res.2-Res.4) 사이에는 각각의 직류 전원(VCC2-VCC4)가 접속된다.
이러한 종래기술에 따른 하나의 공통 전력량 계와 다수의 펄스 신호 이용 기기 간의 접속 구성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펄스 신호 이용 기기(3a-3c)내부의 내부 접지(GND2-GND4)들이 서로 접속되어 있고 각각의 직류 전원(VCC2-VCC4)이 또한 서로 접속되어 있어, 실질적으로 제 1 내지 제 3 중앙처리장치(CPU1-CPU3)로 입력되는 각각의 직류 전원(VCC2-VCC4)과 각각의 내부 접지(GND2-GND4) 간 전압차 이가 각각의 제 1 내지 제 3 중앙처리장치(CPU1-CPU3)가 고 전위로 인식하는 수준에 미달하여 정상적인 전력계량 펄스 신호(WP) 또는 시한 펄스 신호(EOI)를 인식하지 못하는 오유 현상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는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하나의 공통 전력량계의 펄스 신호 출력을 다수의 펄스 신호 이용 기기가 오류 없이 신뢰성 있게 인식할 수 있도록 전달할 수 있는 전력량 계의 펄스출력 중계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은, 전력량 계로부터의 전력계량 펄스 신호와 시한 펄스 신호를 다수의 펄스 신호 이용 기기에 전달하는 전력량 계의 펄스출력 중계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력량 계의 전력계량 펄스 신호 출력단과 접지 사이에 서로 직렬접속되고 각각 상기 펄스 신호 이용 기기에 일대일 대응되게 접속되고 서로 직렬로 접속되어, 상기 펄스 신호 이용 기기에 상기 전력계량 펄스 신호를 전달하는 다수의 제 1 포토 커플러(photo coupler);
상기 전력량 계의 시한 펄스 신호 출력단과 접지 사이에 서로 직렬접속되고 각각 상기 펄스 신호 이용 기기에 일대일 대응되게 접속되어, 상기 펄스 신호 이용 기기에 상기 시한 펄스 신호를 전달하는 다수의 제 2 포토 커플러(photo coupler); 및
상기 전력량 계의 전력계량 펄스 신호 출력단과 시한 펄스 신호 출력단에 공통적으로 직류전원전압을 공급하는 직류전원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본 발명에 따른 전력량 계의 펄스출력 중계장치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력량 계의 펄스출력 중계장치는 전력량 계가 제공하는 전력계량 펄스 신호와 시한 펄스 신호의 각각에 대해서 각각의 펄스 신호 이용 기기에 일대일 대응되게 구비되는 포토 커플러를 구비하므로, 각각의 펄스 신호 이용 기기 내부의 접지와 직류전원 간 전위차가 다른 펄스 신호 이용 기기의 영향으로부터 독립되어 정확하게 인식될 수 있어서, 전력량 계로부터의 전력계량 펄스 신호와 시한 펄스 신호를 이용한 신뢰성 있는 펄스 신호 이용 기기의 동작이 기대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과 이를 달성하는 본 발명의 구성 및 그의 작용효과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한 이하의 설명에 의해서 더욱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2는 하나의 공통 전력량 계와 다수의 펄스 신호 이용 기기 및 이들 전력량계와 펄스 신호 이용 기기 간의 신호 중계를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펄스출력 중계장치의 접속 구성 및 펄스출력 중계 장치의 내부 구성을 보여주는 구성도이며, 도 3은 도 2에 있어서 직류 전원과 전력량 계의 접속 구성을 더욱 명확히 보여주는 부분 상세 접속 구성도이다.
이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력량 계의 펄스출력 중계장치를 이용하는 펄스 신호 이용 기기들의 시스템 구성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력량 계(1)와, 전력량 계의 펄스출력 중계장치(2)와, 다수의 펄스 신호 이용 기기(3a-3c)들로 구성된다. 즉, 전력량 계의 펄스출력 중계장치(2)는 다수의 펄스 신호 이용 기기(3a-3c)에 공통적으로 한 대가 접속될 수 있다. 또한, 펄스 신호 이용 기기(3a-3c)이 많아지면 설정된 갯수의 펄스 신호 이용 기기(3a-3c)들을 하나의 그룹(group)으로 묶어 그룹마다 하나씩 전력량 계의 펄스출력 중계장치(2)를 설치하는 실시 예도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전력량 계의 펄스출력 중계장치(2)는 다수의 제 1 포토 커플러(photo coupler)(PC1-PCn)와, 다수의 제 2 포토 커플러(PC11-PC1n)와, 직류전원(VCC)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다수의 제 1 포토 커플러(PC1-PCn)는 전력량 계(1)의 전력계량 펄스 신호 출력단(WPP)과 접지(GND) 사이에 서로 직렬접속된다. 또한, 다수의 제 1 포토 커플러(PC1-PCn)는 각각 펄스 신호 이용 기기(3a-3c)에 일대일 대응되게 접속되어, 펄스 신호 이용 기기(3a-3c)에 전력계량 펄스 신호(WP)를 전달한다. 제 1 포토 커플러(PC1-PCn)의 출력단과 펄스 신호 이용 기기(3a-3c) 사이에 표기된 "WP+"는 제 1 포토 커플러(PC1-PCn)의 내부 수광 트랜지스터의 에미터(emitter)에 접속되는 출력단을 의미하고 전력계량 펄스 신호(WP)를 전달하는 출력단이며, "WP-"는 제 1 포토 커플러(PC1-PCn)의 내부 수광 트랜지스터의 콜렉터(collector)에 접속되는 출력단을 의미한다. 상기 제 1 포토 커플러(PC1-PCn)의 내부 수광 트랜지스터의 에미터(emitter)에 접속되는 출력단(WP+)은 펄스 신호 이용 기기(3a-3c)의 내부 전 압확립저항(미 도시)을 통해 내부 중앙처리장치(미 도시)에 접속되어 전력계량 펄스 신호(WP)를 전달하며, 제 1 포토 커플러(PC1-PCn)의 내부 수광 트랜지스터의 콜렉터(collector)에 접속되는 출력단(WP-)은 펄스 신호 이용 기기(3a-3c)의 내부 접지에 접속된다.
다수의 제 2 포토 커플러(PC11-PC1n)는 전력량 계(1)의 시한 펄스 신호 출력단(EOIP)과 접지(GND) 사이에 서로 직렬접속된다. 또한, 다수의 제 2 포토 커플러(PC11-PC1n)는 각각 펄스 신호 이용 기기(3a-3c)에 일대일 대응되게 접속되어, 펄스 신호 이용 기기(3a-3c)에 시한 펄스 신호(EOI)를 전달한다.제 2 포토 커플러(PC11-PC1n)의 출력단과 펄스 신호 이용 기기(3a-3c) 사이에 표기된 "EOI+"는 제 2 포토 커플러(PC11-PC1n)의 내부 수광 트랜지스터의 에미터(emitter)에 접속되는 출력단을 의미하고 시한 펄스 신호(EOI)를 전달하는 출력단이며, "EOI-"는 제 2 포토 커플러(PC11-PC1n)의 내부 수광 트랜지스터의 콜렉터(collector)에 접속되는 출력단을 의미한다. 상기 제 2 포토 커플러(PC11-PC1n)의 내부 수광 트랜지스터의 에미터(emitter)에 접속되는 출력단(EOI+)은 펄스 신호 이용 기기(3a-3c)의 내부 전압확립저항(미 도시)을 통해 내부 중앙처리장치(미 도시)에 접속되어 시한 펄스 신호(EOI)를 전달하며, 제 2 포토 커플러(PC11-PC1n)의 내부 수광 트랜지스터의 콜렉터(collector)에 접속되는 출력단(EOI-)은 펄스 신호 이용 기기(3a-3c)의 내부 접지에 접속된다.
직류전원(VCC)은 전력량 계(1)의 전력계량 펄스 신호 출력단(WPP)과 시한 펄스 신호 출력단(EOIP)에 공통적으로 직류전원전압을 공급한다. 직류전원(VCC)의 전 원전압을 제공하기 위해서 상용 교류 전원으로부터 예컨대 +5볼트와 같은 미리 결정된 직류전원을 발생시켜 제공하도록 전원회로 부(2a)를 전력량 계의 펄스출력 중계장치(2) 내에 부설하여 구성할 수 있다.
전력량 계(1)의 본 발명에 따른 내부 구성과 직류전원(VCC) 간의 접속을 더욱 상세히 보여주는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에 도시된 것은 다수의 제 1 포토 커플러(PC1-PCn) 중 하나의 제 1 포토 커플러(PC1)과, 다수의 제 2 포토 커플러(PC11-PC1n) 중 하나의 제 2 포토 커플러(PC11) 에 대해서 예를 들어서 전력량 계(1)의 펄스 신호 출력과 직류전원(VCC)의 접속을 보여주는 것으로서, 여타의 제 1 포토 커플러(PC1-PCn)와 제 2 포토 커플러(PC11-PC1n)도 같은 구성으로 접속될 수 있음을 밝혀둔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력량 계(1)는 내부적으로 전력계량 펄스 신호(WP)와 시한 펄스 신호(EOI)를 발생시키는 신호 발생 부(1a)를 구비할 수 있으며, 신호 발생 부(1a)는 더욱 상세히 전력량을 연산하거나 설정된 시한을 제공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와 마이크로 프로세서에 연결되어 마이크로 프로세서가 제공하는 전력량 또는 설정된 시한의 종료시점을 나타내는 펄스 신호를 발생시키는 신호 발생 회로 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신호 발생 부(1a)의 전력계량 펄스 신호(WP)와 시한 펄스 신호(EOI)는 각각 해당 출력단을 통해서 제 1 포토 커플러(PC1)와 제 2 포토 커플러(PC11)에 출력되며, 이러한 출력단에는 직류전원(VCC)이 접속된다. 따라서, 예컨대 전력계량 펄스 신호(WP)로서 1001이 출력된다면, 직류전원(VCC)의 전압이 제 1 포토 커플러(PC1)에 인가되는 1의 상태와 직류전원(VCC)의 전압이 인가되지 않는 0의 상태가 1001로서 제 1 포토 커플러(PC1)에 출력되어, 직류전원(VCC)의 전압이 인가되는 1의 상태일 때 제 1 포토 커플러(PC1)가 턴 온하고, 직류전원(VCC)의 전압이 인가되지 않는 0의 상태일 때 제 1 포토 커플러(PC1)는 턴 오프하게 된다. 제 2 포토 커플러(PC11)도 같은 방법으로 동작한다.
한편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전력량 계의 펄스출력 중계장치의 동작을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전력량 계(1)로부터 전력계량 펄스 신호(WP)가 출력되면, 예컨대 전력계량 펄스 신호(WP)로서 1001이 출력된다면, 직류전원(VCC)의 전압이 서로 직렬 접속된 제 1 포토 커플러(PC1-PCn)에 인가되는 1의 상태와 직류전원(VCC)의 전압이 인가되지 않는 0의 상태가 1001로서 제 1 포토 커플러(PC1-PCn)에 출력되어, 직류전원(VCC)의 전압이 인가되는 1의 상태일 때 제 1 포토 커플러(PC1-PCn)가 순차적으로 턴 온하고, 직류전원(VCC)의 전압이 인가되지 않는 0의 상태일 때 제 1 포토 커플러(PC1-PCn)는 턴 오프하게 된다.
제 1 포토 커플러(PC1-PCn)의 내부 수광 트랜지스터의 에미터(emitter)에 접속되는 출력단(WP+)은 펄스 신호 이용 기기(3a-3c)의 내부 전압확립저항(미 도시)을 통해 내부 중앙처리장치(미 도시)에 접속되어 예컨대 상기 1001의 전력계량 펄스 신호(WP)를 전달하며, 제 1 포토 커플러(PC1-PCn)의 내부 수광 트랜지스터의 콜렉터(collector)에 접속되는 출력단(WP-)은 펄스 신호 이용 기기(3a-3c)의 내부 접지에 접속된다.
제 2 포토 커플러(PC11)도 같은 방법으로 동작한다. 즉, 전력량 계(1)로부터 시한 펄스 신호(EOI)가 출력되면, 더욱 상세히 예컨대 시한 펄스 신호(EOI)로서 1이 출력된다면, 직류전원(VCC)의 전압이 서로 직렬 접속된 제 2 포토 커플러(PC11-PC1n)에 인가되는 1의 상태가 제 1 포토 커플러(PC1-PCn)에 출력되어, 직류전원(VCC)의 전압이 인가되는 1의 상태일 때 제 1 포토 커플러(PC1-PCn)가 순차적으로 턴 온하게 된다.
따라서, 제 2 포토 커플러(PC11-PC1n)의 내부 수광 트랜지스터의 에미터(emitter)에 접속되는 출력단(EOI+)은 펄스 신호 이용 기기(3a-3c)의 내부 전압확립저항(미 도시)을 통해 내부 중앙처리장치(미 도시)에 접속되어 시한 펄스 신호(EOI)를 전달하고 펄스 신호 이용 기기(3a-3c)의 상기 내부 중앙처리장치는 펄스출력 중계 장치(2)로부터 시한 펄스 신호(EOI)가 수신될 때까지 수신한 전력계량 펄스 신호(WP)를 근거로 전력량을 산출하고 이용한다. 예컨대 펄스 신호 이용 기기(3a-3c)는 시한 펄스 신호(EOI)가 수신될 때까지 수신한 전력계량 펄스 신호(WP)를 계수하여, 예컨대 계수 값이 10개 일 때, 1개의 계수 값에 대응되는 사용 전력량을 10킬로와트(Kwatt)라고 가정하고 이를 미리 데이터로서 저장시켜 두면, 간단한 연산프로그램에 의해 100킬로와트의 전력량을 사용했음을 쉽게 연산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하나의 공통 전력량 계와 다수의 펄스 신호 이용 기기 간의 접속 구성을 보여주는 구성도이고,
도 2는 하나의 공통 전력량 계와 다수의 펄스 신호 이용 기기 및 이들 전력량계와 펄스 신호 이용 기기 간의 신호 중계를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펄스출력 중계장치의 접속 구성 및 펄스출력 중계 장치의 내부 구성을 보여주는 구성도이며,
도 3은 도 2에 있어서 직류 전원과 전력량 계의 접속 구성을 더욱 명확히 보여주는 부분 상세 접속 구성도이다.
*도면의 주요부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전력량 계 1a: 신호 발생 부
2: 펄스출력 중계 장치
2a: 전원 회로 부 3a-3c: 펄스 출력 이용 기기

Claims (3)

  1. 전력량 계로부터의 전력계량 펄스 신호와 시한 펄스 신호를 다수의 펄스 신호 이용 기기에 전달하는 전력량 계의 펄스출력 중계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력량 계의 전력계량 펄스 신호 출력단과 접지 사이에 서로 직렬접속되고 각각 상기 펄스 신호 이용 기기에 일대일 대응되게 접속되고 서로 직렬로 접속되어, 상기 펄스 신호 이용 기기에 상기 전력계량 펄스 신호를 전달하는 다수의 제 1 포토 커플러(photo coupler);
    상기 전력량 계의 시한 펄스 신호 출력단과 접지 사이에 서로 직렬접속되고 각각 상기 펄스 신호 이용 기기에 일대일 대응되게 접속되어, 상기 펄스 신호 이용 기기에 상기 시한 펄스 신호를 전달하는 다수의 제 2 포토 커플러(photo coupler); 및
    상기 전력량 계의 전력계량 펄스 신호 출력단과 시한 펄스 신호 출력단에 공통적으로 직류전원전압을 공급하는 직류전원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량 계의 펄스출력 중계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량 계의 펄스출력 중계장치는 다수의 펄스 신호 이용 기기에 공통적으로 한 대가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량 계의 펄스출력 중계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용 교류 전원으로부터 상기 직류전원을 발생시켜 제공하는 전원회로 부를 추가로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량 계의 펄스출력 중계장치.
KR1020080038943A 2008-04-25 2008-04-25 전력량 계의 펄스출력 중계장치 KR1009501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8943A KR100950135B1 (ko) 2008-04-25 2008-04-25 전력량 계의 펄스출력 중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8943A KR100950135B1 (ko) 2008-04-25 2008-04-25 전력량 계의 펄스출력 중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3069A KR20090113069A (ko) 2009-10-29
KR100950135B1 true KR100950135B1 (ko) 2010-03-30

Family

ID=415541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38943A KR100950135B1 (ko) 2008-04-25 2008-04-25 전력량 계의 펄스출력 중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50135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26853A (ja) * 1991-11-06 1993-05-21 Fuji Electric Co Ltd 電子式電力量計の通信回路
JPH088955A (ja) * 1994-06-22 1996-01-12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ポイント・マルチポイント伝送方式
JP2005227007A (ja) 2004-02-10 2005-08-25 Toshiba Corp 光変成器方式電力量計
JP2007010489A (ja) 2005-06-30 2007-01-18 Toshiba Corp パルス検出ユニット及びパルス検出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26853A (ja) * 1991-11-06 1993-05-21 Fuji Electric Co Ltd 電子式電力量計の通信回路
JPH088955A (ja) * 1994-06-22 1996-01-12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ポイント・マルチポイント伝送方式
JP2005227007A (ja) 2004-02-10 2005-08-25 Toshiba Corp 光変成器方式電力量計
JP2007010489A (ja) 2005-06-30 2007-01-18 Toshiba Corp パルス検出ユニット及びパルス検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3069A (ko) 2009-10-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31846B2 (en) Measuring arrangement for registering chemical and/or physical, measured variables, as well as measuring device therefor
US8538731B2 (en) Analog sensors bus
US9768641B2 (en) Radio unit with a power circuit for voltage supply and method for operating such a radio unit
US10771869B2 (en) Radio and advanced metering device
KR20130090978A (ko) 전력선 통신 장치 및 방법, 이를 이용한 부하 전력 모니터링 장치 및 방법
CN108981851A (zh) 现场设备
KR100950135B1 (ko) 전력량 계의 펄스출력 중계장치
KR101529476B1 (ko) 태양광 모듈 스트링의 절연저항 감시 시스템
US20210088991A1 (en) Field device electronics for a field device used in automation engineering
KR101719953B1 (ko) 전력량 모니터링 장치
KR200476033Y1 (ko) 전력통신모뎀 전원공급 및 전자식 계량기용 분기 장치
KR20070016477A (ko) 주상변압기용 자체전원형 센서통신모듈 및 이를 이용한부하관리 시스템
CN216144874U (zh) 电量计量装置及电量计量系统
US10069305B2 (en) Apparatus and procedure for the immission of electric energy
CN111983366B (zh) 信号检测电路及信号系统
US10677621B1 (en) Sensor apparatus for two-wire sensor measurement and information read-out system
JP3222919U (ja) 電力量計モニターシステム
KR102517888B1 (ko) 전력 계측 시스템
KR101412381B1 (ko) 불법적 전기 사용을 모니터링하는 장치
KR100799071B1 (ko) 오결선 검침 기능을 갖는 원격검침 시스템
KR101763846B1 (ko) 디지털 전력량계용 전력 관리신호 분배 단말장치
JPH0542720B2 (ko)
CN100424728C (zh) 传送器系统
CZ29146U1 (cs) Odolná monitorovacístanice
JP2016139956A (ja) トリガ信号入出力回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5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