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49910B1 - 스펙트럼 차감을 이용한 음향학적 반향 제거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스펙트럼 차감을 이용한 음향학적 반향 제거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49910B1
KR100949910B1 KR1020080048782A KR20080048782A KR100949910B1 KR 100949910 B1 KR100949910 B1 KR 100949910B1 KR 1020080048782 A KR1020080048782 A KR 1020080048782A KR 20080048782 A KR20080048782 A KR 20080048782A KR 100949910 B1 KR100949910 B1 KR 1009499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echo
far
ratio
microphone in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487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22802A (ko
Inventor
강인규
장준혁
박윤식
임인식
Original Assignee
(주)제너시스템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제너시스템즈 filed Critical (주)제너시스템즈
Priority to KR10200800487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49910B1/ko
Publication of KR200901228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228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499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499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9/00Speech or audio signals analysis-synthesis techniques for redundancy reduction, e.g. in vocoders; Coding or decoding of speech or audio signals, using source filter models or psychoacoustic analysis
    • G10L19/02Speech or audio signals analysis-synthesis techniques for redundancy reduction, e.g. in vocoders; Coding or decoding of speech or audio signals, using source filter models or psychoacoustic analysis using spectral analysis, e.g. transform vocoders or subband vocoders
    • G10L19/028Noise substitution, i.e. substituting non-tonal spectral components by noisy source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9/00Speech or audio signals analysis-synthesis techniques for redundancy reduction, e.g. in vocoders; Coding or decoding of speech or audio signals, using source filter models or psychoacoustic analysis
    • G10L19/008Multichannel audio signal coding or decoding using interchannel correlation to reduce redundancy, e.g. joint-stereo, intensity-coding or matrixing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21/00Speech or voice signal processing techniques to produce another audible or non-audible signal, e.g. visual or tactile, in order to modify its quality or its intelligibility
    • G10L21/02Speech enhancement, e.g. noise reduction or echo cancellation
    • G10L21/0208Noise filte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able Transmission Systems, Equalization Of Radio And Reduction Of Echo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명세서에는 음향학적 반향 제거 방법 및 장치가 개시된다. 음향학적 반향 제거 방법은 최소 평균 자승 오차를 이용하여 원단 신호 및 마이크 입력 신호로부터 반향 제거 이득을 구하는 단계, 상기 원단 신호 및 근단 화자 신호 상호간의 통계적 관계에 따라 결정된 소프트 판정을 이용하여 상기 원단 신호 및 마이크 입력 신호로부터 반향 부재 확률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반향 제거 이득 및 반향 부재 확률을 이용하여 수정 반향 제거 이득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수정 반향 제거 이득을 이용하여 상기 마이크 입력 신호에서 반향이 제거된 출력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음향학적 반향 제거, 복소 가우시안, 최소 평균 자승 오차, soft decision, 반향 제거 이득

Description

스펙트럼 차감을 이용한 음향학적 반향 제거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ACOUSTIC ECHO CANCELLATION USING SPECTRAL SUBTRACTION}
본 발명은 음향학적 반향 제거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최소 평균 자승 오차(MMSE: Minimum Mean Square Error)와 반향 부재 확률(echo absence probability)을 접목시킨 음향학적 반향 제거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동 통신 기술의 발달과 함께 배경 잡음이 존재하는 환경에서도 우수한 통화 품질을 제공하는 통신 서비스가 가능하게 되었으며, 이와 함께 우수한 통화 편리성을 제공하는 차량용 핸드프리 전화기 또는 원거리 회의 시스템 등 핸드프리 통신 방식으로 응용분야가 확대되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근거리 이동 통신(블루투스)이 소형 무선 헤드셋에 적용 되면서 핸드프리 통신 방식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핸드프리 통신 방식은 스피커로부터 통화음이 다양한 반향 경로를 통해 마이크로 다시 유입되는 음향학적 반향이 발생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으며, 이러한 음향학적 반향은 입력 마이크와 출력 스피커가 극히 근접하도록 소형화된 블루투스 무선 헤드셋에 나타나는 통화 음질 저하의 원인이 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음향학적 반향을 제거하기 위한 음향학적 반향 제거기 개발의 필요성이 부각되었으며, 그에 따라 다양한 음향학적 반향 제거(AEC: acoustic echo cancellation) 방법들이 연구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입력 마이크로 전달되는 음향학적 반향 신호는 다양한 반사 경로를 거쳐 입력되기 때문에 원단 신호로부터 반사 경로를 고려한 임펄스 응답 모델링 과정이 필요하다. 하지만, 환경적인 요인으로 인하여 정확한 모델링이 어려워 음향학적 반향 제거를 적용한 후에도 여전히 음질을 저하시키거나 음성 신호의 처리 과정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상당량의 잔여 반향 성분이 남아있게 된다.
본 발명은 최소 평균 자승 오차를 이용하여 반향 제거 이득을 구함으로써, 보다 효율적으로 반향 신호를 제거하는 음향학적 반향 제거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복소 가우시안 분포에 따라 결정된 소프트 판정을 이용하여 반향 부재 확률을 결정함으로써, 고 성능 필터 효과를 제공하는 음향학적 반향 제거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반향 제거 이득 및 반향 부재 확률을 접목하여 수정 반향 제거 이득을 결정하고 이를 이용함으로써, 반향 제거 성능을 대폭 향상시키는 음향학적 반향 제거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음향학적 반향 제거 성능을 향상시킨 음향학적 반향 제거 방법 및 장치의 개발이 필요하며, 이를 위해 최소 평균 자승 오차(MMSE: Minimum Mean Square Error)와 소프트 판정(Soft decision)을 이용한 반향 부재 확률(echo absence probability)을 접목시킨 음향학적 반향 제거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음향학적 반향 제거 방법은 최소 평균 자승 오차를 이용하여 원단 신호 및 마이크 입력 신호로부터 반향 제거 이득을 구하는 단계, 상기 원단 신호 및 근단 화자 신호 상호간의 통계적 관계에 따라 결정된 소프트 판정을 이용하여 상기 원단 신호 및 마이크 입력 신호로부터 반향 부재 확률을 결정 하는 단계, 상기 반향 제거 이득 및 반향 부재 확률을 이용하여 수정 반향 제거 이득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수정 반향 제거 이득을 이용하여 상기 마이크 입력 신호에서 반향이 제거된 출력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르면, 최소 평균 자승 오차를 이용하여 원단 신호 및 마이크 입력 신호로부터 반향 제거 이득을 구하는 상기 단계는 원단 신호 및 마이크 입력 신호를 이용하여 후행 신호 대 반향비를 계산하는 단계, 상기 원단 신호 및 마이크 입력 신호를 이용하여 선행 신호 대 반향비를 계산하는 단계 및 최소 평균 자승 오차를 이용하여 상기 후행 신호 대 반향비 및 선행 신호 대 반향비로부터 반향 제거 이득을 계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르면, 원단 신호 및 마이크 입력 신호를 이용하여 후행 신호 대 반향비를 계산하는 상기 단계는 상기 원단 신호로부터 추정 반향 신호를 계산하고, 상기 마이크 입력 신호 및 상기 추정 반향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후행 신호 대 반향비를 계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르면, 원단 신호 및 근단 화자 신호 상호간의 통계적 관계에 따라 결정된 소프트 판정을 이용하여 원단 신호 및 마이크 입력 신호로부터 반향 부재 확률을 구하는 상기 단계는 상기 후행 신호 대 반향비 및 선행 신호 대 반향비를 이용하여 우도비를 계산하는 단계 및 상기 소프트 판정을 이용하여 상기 우도비로부터 상기 반향 부재 확률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르면, 음향학적 반향 제거 방법은 이중 발성 검출 여부에 따라 상기 출력 신호를 변경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음향학적 반향 제거 장치는 최소 평균 자승 오차를 이용하여 원단 신호 및 마이크 입력 신호로부터 반향 제거 이득을 구하는 반향 제거 이득 결정부, 상기 원단 신호 및 근단 화자 신호 상호간의 통계적 관계에 따라 결정된 소프트 판정을 이용하여 상기 원단 신호 및 마이크 입력 신호로부터 반향 부재 확률을 결정하는 반향 부재 확률 결정부, 상기 반향 제거 이득 및 반향 부재 확률을 이용하여 수정 반향 제거 이득을 결정하는 수정 결정부 및 상기 수정 반향 제거 이득을 이용하여 상기 마이크 입력 신호에서 반향이 제거된 출력 신호를 생성하는 출력 신호 결정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최소 평균 자승 오차를 이용하여 반향 제거 이득을 구함으로써, 보다 효율적으로 반향 신호를 제거할 수 있는 음향학적 반향 제거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복소 가우시안 분포에 따라 결정된 소프트 판정을 이용하여 반향 부재 확률을 결정함으로써, 고 성능 필터 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음향학적 반향 제거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반향 제거 이득 및 반향 부재 확률을 접목하여 수정 반향 제거 이득을 결정하고, 이를 이용함으로써, 반향 제거 성능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는 음향학적 반향 제거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 첨부 도면들 및 첨부 도면들에 기재된 내용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 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음향학적 반향 제거 장치의 개괄적인 모습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향학적 반향 제거 장치(100)는 수신 경로를 통해 원단(far end)에서 근단(near end)으로 전송되는 원단 신호 x(t)와 상기 근단에서 원단으로 송신 경로를 통해 전송되는 마이크 입력 신호 y(t)를 이용하여 음향학적 반향 신호가 제거된 출력 신호 e(t)를 생성하고, 상기 송신 경로를 통해 상기 출력 신호를 원단으로 전송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마이크 입력 신호는 상기 근단의 마이크를 통해 유입되는 반향 신호 d(t), 근단 화자 신호 s(t) 및 배경 잡음 신호 w(t)에 의해서 생성된다.
또한, 상기 반향 신호는 상기 근단의 스피커를 통해 나오는 소리에 의해서 반향 경로를 통해 상기 마이크로 유입되는 신호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근단 화자 신호의 일예는 상기 근단 사용자의 음성 신호일 수 있으며, 상기 배경 잡음 신호의 일예는 상기 사용자 음성 신호 이외의 잡음 신호일 수 있다.
즉, 음향학적 반향 제거 장치(100)는 상기 원단 신호에 의해 생성되는 반향 신호를 상기 마이크 입력 신호로부터 효율적으로 제거하여 상기 출력 신호를 생성하고, 이를 원단 사용자로 전송함으로써, 원단 사용자의 통화 품질을 대폭 상승시킬 수 있다.
또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와 같은 음향학적 반향 제거 장치(100)는 후행 신호 대 반향비 결정부(101), 선행 신호 대 반향비 결정부(102), 이득 결정부(103), 반향 부재 확률 결정부(104), 수정 결정부(105), 곱셈기(106), 이중 발성 처리부(107) 및 추정 반향 신호 계산부(108)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 1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음향학적 반향 제거 장치(100)는 후행 신호 대 반향비 결정부(101), 선행 신호 대 반향비 결정부(102) 및 이득 결정부(103)를 포함하는 반향 제거 이득 결정부(도시되지 않음)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도 2 내지 도 4를 통하여 음향학적 반향 제거 장치(100)에 대하여 상세하게 살펴보도록 하겠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음향학적 반향 제거 방법을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향학적 반향 제거 방법은 단계(S201) 내지 단계(S205)로 수행될 수 있다.
단계(S201)에서 반향 제거 이득 결정부(도시되지 않음)는 최소 평균 자승 오차(MMSE: Minimum Mean Square Error)를 이용하여 원단 신호 및 마이크 입력 신호로부터 반향 제거 이득을 구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반향 제거 이득은 주파수 영역의 신호로 변환한 마이크 입력 신호에 곱해져 주파수 영역의 출력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것이며, 출력 신호 e(t)는 수학식 1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Figure 112008037428781-pat00001
이 때,
Figure 112008037428781-pat00002
은 역 이산 푸리에 변환 연산자를 의미하고, Y(i,k)는 마이크 입력 신호 y(t)i번째 프레임의 k번째 주파수 성분의 주파수 영역 신호로 변환한 값이며, G(i,k)i번째 프레임의 k번째 주파수 성분으로 표현된 반향 제거 이득이다. 또한, 이하 반향 제거 이득의 계산, 반향 부재 확률의 계산 및 수정 반향 제거 이득을 위한 계산은 모두 주파수 영역의 값으로 변환된 원단 신호, 마이크 입력 신호, 근단 화자 신호 및 추정 반향 신호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따라서, 이하에서 사용되는 원단 신호, 마이크 입력 신호, 근단 화자 신호 및 추정 반향 신호는 시간 영역에서 주파수 영역으로 변환된 신호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도 1에 도시된 후행 신호 대 반향비 결정부(101), 선행 신호 대 반향비 결정부(102), 추정 반향 신호비 계산부(108)는 상기 원단 신호 또는 마이크 입력 신호를 시간 영역에서 주파수 영역의 신호로 변환하는 푸리에 변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은 단계(S201)에 대해서는 이하 도 3을 통하여 더욱 상세하게 살펴보도록 하겠다.
도 3은 최소 평균 자승 오차를 이용하여 반향 제거 이득을 구하는 일예를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계(S201)는 단계(S301) 내지 단계(S303)로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앞서 도 1을 통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반향 제거 이득 결정부(도시되지 않음)는 후행 신호 대 반향비 결정부(101), 선행 신호 대 반향비 결정부(102), 이득 결정부(103)를 포함할 수 있으며, 단계(S301)는 후행 신호 대 반향비 결정부(101)에 의하여 수행되고, 단계(S302)는 선행 신호 대 반향비 결정부(102)에 의하여 수행되고, 단계(S303)는 이득 결정부(103)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단계(S301)에서 후행 신호 대 반향비 결정부(101)는 원단 신호 및 마이크 입력 신호를 이용하여 후행 신호 대 반향비를 계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추정 반향 신호 계산부(108)는 상기 원단 신호로부터 추정 반향 신호를 계산하고, 후행 신호 대 반향비 결정부(101)는 상기 마이크 입력 신호 및 상기 추정 반향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후행 신호 대 반향비를 계산할 수 있다.
이 때, 추정 반향 신호 계산부(108)는 수학식 2를 통해 상기 원단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추정 반향 신호를 계산할 수 있다.
Figure 112008037428781-pat00003
이 때,
Figure 112008037428781-pat00004
는 추정 반향 신호이고, G V (i,k)는 원단 신호로부터 추정 반향 신호를 추정하기 위한 이득 필터이고, X d (i,k)는 음색 변화(coloration) 효과를 고려하여 원단 신호에서 d 샘플만큼 지연되어 주파수 영역으로 변환된 신호이다. 또한, i는 프레임 식별자이고, k는 주파수 성분의 식별자이다. 예를 들어, X(i,k)i번째 프레임의 k번째 주파수 성분으로 표현된 주파수 영역의 원단 신호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득 필터는 수학식 3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Figure 112008037428781-pat00005
이 때,
Figure 112008037428781-pat00006
는 기대 값 연산자이고, 여기서 *는 complex conjugate를 의미한다.
X d (i,k)는 음색 변화(coloration) 효과를 고려하여 원단 신호에서 d 샘플만큼 지연되어 주파수 영역으로 변환된 신호이고, Y(i,k)는 마이크 입력 신호이다. 또한, i는 프레임 식별자이고, k는 주파수 성분의 식별자이다.
다만, 상기 반향 신호는 다양한 반향 경로를 거쳐 마이크로 입력되기 때문에 수시로 변화하는 반향 경로에 대한 영향을 줄이기 위해, 추정 반향 신호 계산부(108)는 수학식 4와 같이 롱 텀 스무딩(long-term smoothing) 기법을 적용하여 상기 이득 필터를 결정할 수 있다.
Figure 112008037428781-pat00007
이 때,
Figure 112008037428781-pat00008
은 0보다 크거나 같고 1보다 작거나 같은 가중치 파라미터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Figure 112008037428781-pat00009
은 0.998로 결정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가중치 파라미터는 다양하게 결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은 다양하게 결정된 가중치 파라미터에 대하여 그 권리범위를 미칠 수 있다. 또한, X d (i,k)는 음색 변화 효과를 고려하여 원단 신호에서 d 샘플만큼 지연되어 주파수 영역으로 변환된 신호이고, Y(i,k)는 마이크 입력 신호이다. 또한, i는 프레임 식별자이고, k는 주파수 성분의 식별자이다.
또한, 후행 신호 대 반향비 결정부(101)는 수학식 5를 통해 상기 마이크 입력 신호 및 상기 추정 반향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후행 신호 대 반향비를 계산할 수 있다.
Figure 112008037428781-pat00010
이 때,
Figure 112008037428781-pat00011
는 후행 신호 대 반향비이고,
Figure 112008037428781-pat00012
는 기대 값 연산자이고, Y(i,k)는 마이크 입력 신호 y(t)를 주파수 영역으로 변환한 신호이고,
Figure 112008037428781-pat00013
는 추정 반향 신호이다. 또한, i는 프레임 식별자이고, k는 주파수 성분의 식별자이다.
단계(S302)에서 선행 신호 대 반향비 결정부(102)는 상기 원단 신호 및 마이크 입력 신호를 이용하여 선행 신호 대 반향비를 계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선행 신호 대 반향비 결정부(102)는 수학식 6과 같이 반향 제거 이득, 주파수 영역의 값으로 변환된 마이크 입력 신호 및 추정 반향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선행 신호 대 반향비를 구할 수 있다.
Figure 112008037428781-pat00014
이 때,
Figure 112008037428781-pat00015
는 선행 신호 대 반향비이고,
Figure 112008037428781-pat00016
는 기대 값 연산자이고, G(i,k)는 반향 제거 이득이고, Y(i,k)는 마이크 입력 신호 y(t)를 주파수 영역으로 변환한 신호이고,
Figure 112008037428781-pat00017
는 추정 반향 신호이다. 또한, i는 프레임 식별자이고, k는 주파수 성분의 식별자이다.
다만, 수학식 6을 통한 선행 신호 대 반향비를 계산하는 방식은 실제의 환경에서 사용되기 어렵기 때문에, 선행 신호 대 반향비 결정부(102)는 수학식 7과 같은 Decision-Directed 추정치 방법을 사용하여 상기 선행 신호 대 반향비를 계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선행 신호 대 반향비 결정부(102)는 이전 프레임의 마이크 입력 신호, 이전 프레임의 반향 제거 이득 및 이전 프레임의 원단 신호로부터 계산된 추정 반향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선행 신호 대 반향비를 계산할 수 있다.
Figure 112008037428781-pat00018
이 때,
Figure 112008037428781-pat00019
는 선행 신호 대 반향비로서, 상기 선행 신호 대 반향비가 추정된 값임을 나타내는 식별자를 포함하고 있으며, G(i-1,k)는 이전 프레임의 반향 제거 이득이고, Y(i-1,k)는 이전 프레임의 마이크 입력 신호이고,
Figure 112008037428781-pat00020
는 이전 프레임의 추정 반향 신호이고,
Figure 112008037428781-pat00021
는 이전 프레임의 후행 신호 대 반향비이고, P[x]는 x가 0보다 크거나 같은 값일 때 x이고, x가 0보다 작은 값일 때 0인 것을 의미하는 연산자이다. 또한,
Figure 112008037428781-pat00022
는 가중치 파라미터로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가중치 파라미터는 0.6으로 결정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가중치 파라미터는 다양하게 결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은 다양하게 결정된 가중치 파라미터에 대하여 그 권리범위를 미칠 수 있다. 또한, i는 프레임 식별자이고, k는 주파수 성분의 식별자이다.
단계(S303)에서 이득 결정부(103)는 최소 평균 자승 오차를 이용하여 상기 후행 신호 대 반향비 및 선행 신호 대 반향비로부터 반향 제거 이득을 계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이득 결정부(103)는 상기 최소 평균 자승 오차를 기반으로 결 정된 수학식 8을 통해 상기 후행 신호 대 반향비 및 선행 신호 대 반향비를 이용하여 상기 반향 제거 이득을 계산할 수 있다.
Figure 112008037428781-pat00023
이 때,
Figure 112008037428781-pat00024
는 선행 신호 대 반향비이고,
Figure 112008037428781-pat00025
는 후행 신호 대 반향비이고,
Figure 112008037428781-pat00026
는 반향 제거 이득을 구하기 위해 상기 선행 신호 대 반향비 및 후행 신호 대 반향비를 파라미터로 사용하는 이득 함수이고, I0은 0차 수정 베셀(modified bessel) 함수이고, I1은 1차 수정 베셀 함수이다. 또한, i는 프레임 식별자이고, k는 주파수 성분의 식별자이다.
단계(S202)에서 반향 부재 확률 결정부(104)는 상기 원단 신호 및 근단 화자 신호 상호간의 통계적 관계에 따라 결정된 소프트 판정(Soft decision)을 이용하여 상기 원단 신호 및 마이크 입력 신호로부터 반향 부재 확률(echo absence probability)을 결정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통계적 관계는 상기 원단 신호 및 근단 화자 신호 상호간에 복소 가우시안 분포의 관계일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은 단계(S202)에 대해서는 이하 도 4를 통하여 더욱 상세하게 살펴보도록 하겠다.
도 4는 소프트 판정을 이용하여 반향 부재 확률을 결정하는 일예를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계(S202)는 단계(S401) 및 단계(S402)로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단계(S401) 및 단계(S402)는 반향 부재 확률 결정부(104)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단계(S401)에서 반향 부재 확률 결정부(104)는 상기 후행 신호 대 반향비 및 선행 신호 대 반향비를 이용하여 우도비(likelihood ratio)를 계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반향 부재 확률 결정부(104)는 후행 신호 대 반향비 결정부(101)에서 계산된 후행 신호 대 반향비 및 선행 신호 대 반향비 결정부(102)에서 계산된 선행 신호 대 반향비를 이용하여 수학식 9를 통해 상기 우도비를 계산할 수 있다.
Figure 112008037428781-pat00027
이 때,
Figure 112008037428781-pat00028
는 우도비이고,
Figure 112008037428781-pat00029
는 선행 신호 대 반향비이고,
Figure 112008037428781-pat00030
는 후행 신호 대 반향비이다. 또한,
Figure 112008037428781-pat00031
H 0 에서 마이크 입력 신호의 확률밀도함수이고,
Figure 112008037428781-pat00032
H 1 에서 마이크 입력 신호의 확률밀도함수이다. 또한, i는 프레임 식별자이고, k는 주파수 성분의 식별자이다.
이하, 단계(S402)를 통해 이러한 우도비와 상기 H 0 H 1 에서 마이크 입력 신호의 확률밀도함수 각각이 상기 반향 부재 확률과 어떤 관계를 가지는지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도록 하겠다.
단계(S402)에서 반향 부재 확률 결정부(104)는 상기 소프트 판정을 이용하여 상기 우도비로부터 상기 반향 부재 확률을 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반향 부재 확률 결정부(104)는 상기 원단 신호 및 근단 화자 신호 상호간의 통계적 관계, 즉 음성의 통계 모델을 이용한 소프트 판정을 위해 상기 근단 화자 신호가 존재하지 않을 때와 상기 근단 화자 신호가 존재할 경우 각각의 가정 H 0 , H 1 에 대하여 수학식 10과 같이 상기 마이크 입력 신호를 가정할 수 있다.
Figure 112008037428781-pat00033
이 때, Y(i,k)는 마이크 입력 신호이고, X(i,k)는 원단 신호이고, S(i,k)는 원단 신호이다. 또한, i는 프레임 식별자이고, k는 주파수 성분의 식별자이다. 또한, i는 프레임 식별자이고, k는 주파수 성분의 식별자이다.
또한, 반향 부재 확률 결정부(104)는 상기 원단 신호가 상기 근단 화자 신호와 통계적으로 독립하고, 상기 원단 신호와 근단 화자 신호가 복소 가우시안 분포를 따른다는 가정에서 H 0 H 1 의 확률밀도함수를 수학식 11과 같이 결정할 수 있다.
Figure 112008037428781-pat00034
이 때,
Figure 112008037428781-pat00035
H 0 에서 마이크 입력 신호의 확률밀도함수이고,
Figure 112008037428781-pat00036
H 1 에서 마이크 입력 신호의 확률밀도함수이다. 또한,
Figure 112008037428781-pat00037
는 근단 화자 신호의 전력이고,
Figure 112008037428781-pat00038
는 원단 신호의 전력을 나타낸다. 또한, i는 프레임 식별자이고, k는 주파수 성분의 식별자이다.
또한, 반향 부재 확률 결정부(104)는 베이즈 룰(Bayes' rule)에 의하여 수학식 11로부터 유도된 수학식 12를 이용하여 각 주파수 채널별 반향 부재 확률을 결정할 수 있다. 즉, 반향 부재 확률 결정부(104)는 원단 신호와 근단 화자 신호의 통계적 관계를 통한 소프트 판정을 수학식 12와 같이 결정할 수 있다.
Figure 112008037428781-pat00039
이 때,
Figure 112008037428781-pat00040
는 반향 부재 확률이고, q는 고정 선행 확률로서, 와 같이 나타낼 수 있고,
Figure 112008037428781-pat00042
는 우도비이다. 또한, i는 프레임 식별자이고, k는 주파수 성분의 식별자이다.
즉, 반향 부재 확률 결정부(104)는 앞서 단계(S401)에서 구해진 상기 우도비 를 수학식 12에 대입하여 상기 반향 부재 확률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우도비는 앞서 살펴본 수학식 9를 통해 계산될 수 있다.
또한, 반향 부재 확률 결정부(104)는 상기 고정 선행 확률은 가변 확률 값이 적용되도록 수학식 13을 통해 상기 고정 선행 확률의 추정치를 결정할 수 있다.
Figure 112008037428781-pat00043
이 때,
Figure 112008037428781-pat00044
은 가변 확률 값이 적용되도록 추정된 고정 선행 확률이고,
Figure 112008037428781-pat00045
은 이전 프레임의 고정 선행 확률이다. 또한, i는 프레임 식별자이고, k는 주파수 성분의 식별자이다. 또한,
Figure 112008037428781-pat00046
는 가중치 파라미터로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가중치 파라미터는 0.7로 결정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가중치 파라미터는 다양하게 결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은 다양하게 결정된 가중치 파라미터에 대하여 그 권리범위를 미칠 수 있다. 또한, I k (i,k)는 가변 값을 갖는 선행 확률의 인덱스 함수이다. 또한, i는 프레임 식별자이고, k는 주파수 성분의 식별자이다.
또한, 반향 부재 확률 결정부(104)는 상기 후행 신호 대 반향비인
Figure 112008037428781-pat00047
이 문턱 값보다 큰지 작은지를 판단하여, 상기 판단 결과 상기 후행 신호 대 반향비가 문턱 값보다 큰 경우에는 H 0 으로 결정하고, 작은 경우에는 H 1 로 결정한 후, H 0 인 경우에는 상기 인덱스 함수 I k (i,k)의 값을 0으로, H 1 인 경우에는 상기 인덱스 함수의 값을 1로 가질 수 있다. 결론적으로, 반향 부재 확률 결정부(104)는 상기 후행 신호 대 반향비 및 문턱 값을 통해 결정되는 상기 인덱스 함수를 수학식 13에 적용하여 상기 고정 선행 확률을 결정할 수 있다. 이 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문턱 값은 3.0일 수 있다. 다만, 이러한 문턱 값은 다양하게 결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은 다양하게 결정된 문턱 값에 대하여 그 권리범위를 미칠 수 있다.
단계(S203)에서 수정 결정부(105)는 상기 반향 제거 이득 및 반향 부재 확률을 이용하여 수정 반향 제거 이득을 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수정 결정부(105)는 상기 반향 제거 이득에 상기 반향 부재 확률을 곱하여 수정 반향 제거 이득을 결정할 수 있으며, 이렇게 결정된 수정 반향 제거 이득은 상기 반향 제거 이득에 비하여 높은 반향 제거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단계(S204)에서 곱셈기(106)는 상기 수정 반향 제거 이득을 이용하여 상기 마이크 입력 신호에서 반향이 제거된 출력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곱셈기(106)는 수학식 14와 같이 상기 마이크 입력 신호에 상기 수정 반향 제거 이득을 곱하고, 주파수 영역의 값인 상기 곱한 값을 시간 영역으로 변환하여 출력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이 때, 곱셈기(106)는 주파수 영역의 값을 시간 영역으로 변환하는 역 푸리에 변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Figure 112008037428781-pat00048
이 때, e(t)는 시간 영역의 값으로 역 변환된 출력 신호이고,
Figure 112008037428781-pat00049
는 반향 부재 확률이고, G(i,k)는 반향 제거 이득이고, Y(i,k)는 마이크 입력 신호이다. 또한, i는 프레임 식별자이고, k는 주파수 성분의 식별자이다.
단계(S205)에서 이중 발성 처리부(107)는 이중 발성 검출 여부에 따라 상기 출력 신호를 변경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이중 발성 처리부(107)는 상기 원단 신호 및 마이크 입력 신호를 이용하여 이중 발성 검출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 결과 이중 발성이 검출된 경우, 상기 출력 신호를 이전 프레임의 출력 신호로 변경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이중 발성의 일예는 근단 및 원단의 사용자가 동시에 소리를 내는 것일 수 있으며, 이러한 이중 발성은 반향 제거 성능의 급격한 저하를 초래할 수 있다.
즉, 이중 발성 처리부(107)는 교차 상관(cross correlation) 계수에 기반하여 마이크 입력 신호와 원단 신호로부터 계산된 추정 반향 신호를 통해 이중 발성을 검출하고, 이중 발성이 검출되는 프레임에는 이전 프레임의 출력 신호를 원단으 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이중 발성 처리부(107)는 이전 프레임의 출력 신호를 원단으로 전송함으로써 보다 안정적인 반향 제거 성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이중 발성 처리부(107)는 내부에 소정의 저장 모듈을 통해 상기 출력 신호를 프레임 별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중 발성의 검출에 사용되는 상기 마이크 입력 신호, 원단 신호 및 추정 방향 신호는 주파수 영역의 신호로 변환되어 사용될 수 있으며, 이중 발성 처리부(107)는 저장 모듈에 출력 신호가 주파수 영역의 신호인 경우, 상기 저장 모듈의 출력 신호를 시간 영역으로 변환한 후 상기 원단으로 송신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음향학적 반향 제거 장치(100)는 상기 수정 반향 제거 이득을 이용함으로써, 종래의 반향 제거 장치에 비하여 우수한 성능을 제공할 수 있다. 종래의 반향 제거 방법과 본 발명의 의한 음향학적 반향 제거 방법의 성능을 비교하기 위해, 근단 화자 신호가 없을 때 원단 신호 구간에서 반향 제거 후 여전히 남아 있는 잔여 반향의 제거 정도를 측정하는 ERLE(echo return loss enhancement)와 스펙트럼 성분 분석을 위한 음성 스펙트로그램(spectrogram) 테스트를 수행해 본 결과, 본 발명에 의한 음향학적 제거 방법은 종래의 반향 제거 방법에 비하여 개선된 ERLE 수치를 보이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의한 음향학적 제거 방법은 상기 테스트 수행 환경에서 구분된 이중 발성 구간이나 근단 화자 신호만이 존재하는 구간에서 보다, 원단 화자 신호 만이 존재하는 구간에서 종래의 반향 제거 방법에 비해 매우 향상된 ERLE 수치를 보인다. 또한, 상기 테스트 결과, 본 발명에 의한 음향학적 제거 방법은 종래의 반향 제거 방법에 비하여 잔여 반향 제거 에 향상된 결과를 보인다는 것을 분명히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음향학적 반향 제거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음향학적 반향 제거 장치의 개괄적인 모습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음향학적 반향 제거 방법을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도 3은 최소 평균 자승 오차를 이용하여 반향 제거 이득을 구하는 일예를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도 4는 소프트 판정을 이용하여 반향 부재 확률을 결정하는 일예를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음향학적 반향 제거 장치
103: 이득 결정부
104: 반향 부재 확률 결정부

Claims (15)

  1. 최소 평균 자승 오차를 이용하여 원단 신호 및 마이크 입력 신호로부터 반향 제거 이득을 구하는 단계;
    상기 원단 신호 및 근단 화자 신호 상호간의 통계적 관계에 따라 결정된 소프트 판정을 이용하여 상기 원단 신호 및 마이크 입력 신호로부터 반향 부재 확률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반향 제거 이득 및 반향 부재 확률을 이용하여 수정 반향 제거 이득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수정 반향 제거 이득을 이용하여 상기 마이크 입력 신호에서 반향이 제거된 출력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음향학적 반향 제거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최소 평균 자승 오차를 이용하여 원단 신호 및 마이크 입력 신호로부터 반향 제거 이득을 구하는 상기 단계는,
    원단 신호 및 마이크 입력 신호를 이용하여 후행 신호 대 반향비를 계산하는 단계;
    상기 원단 신호 및 마이크 입력 신호를 이용하여 선행 신호 대 반향비를 계산하는 단계; 및
    최소 평균 자승 오차를 이용하여 상기 후행 신호 대 반향비 및 선행 신호 대 반향비로부터 반향 제거 이득을 구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음향학적 반향 제거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원단 신호 및 마이크 입력 신호를 이용하여 후행 신호 대 반향비를 계산하는 상기 단계는,
    상기 원단 신호로부터 추정 반향 신호를 계산하고, 그리고
    상기 마이크 입력 신호 및 상기 추정 반향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후행 신호 대 반향비를 계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학적 반향 제거 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원단 신호 및 마이크 입력 신호를 이용하여 선행 신호 대 반향비를 계산하는 상기 단계는,
    이전 프레임의 마이크 입력 신호, 이전 프레임의 반향 제거 이득 및 이전 프레임의 원단 신호로부터 계산된 추정 반향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선행 신호 대 반향비를 계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학적 반향 제거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계적 관계는,
    상기 원단 신호 및 근단 화자 신호 상호간에 복소 가우시안 분포의 관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학적 반향 제거 방법.
  6. 제2항에 있어서,
    원단 신호 및 근단 화자 신호 상호간의 통계적 관계에 따라 결정된 소프트 판정을 이용하여 원단 신호 및 마이크 입력 신호로부터 반향 부재 확률을 구하는 상기 단계는,
    상기 후행 신호 대 반향비 및 선행 신호 대 반향비를 이용하여 우도비를 계산하는 단계; 및
    상기 소프트 판정을 이용하여 상기 우도비로부터 상기 반향 부재 확률을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음향학적 반향 제거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이중 발성 검출 여부에 따라 상기 출력 신호를 변경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음향학적 반향 제거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이중 발성 검출 여부에 따라 출력 신호를 변경하는 상기 단계는,
    상기 원단 신호 및 마이크 입력 신호를 이용하여 이중 발성 검출 여부를 판 단하고, 그리고
    상기 판단 결과 이중 발성이 검출된 경우, 상기 출력 신호를 이전 프레임의 출력 신호로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학적 반향 제거 방법.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10. 최소 평균 자승 오차를 이용하여 원단 신호 및 마이크 입력 신호로부터 반향 제거 이득을 구하는 반향 제거 이득 결정부;
    상기 원단 신호 및 근단 화자 신호 상호간의 통계적 관계에 따라 결정된 소프트 판정을 이용하여 상기 원단 신호 및 마이크 입력 신호로부터 반향 부재 확률을 결정하는 반향 부재 확률 결정부;
    상기 반향 제거 이득 및 반향 부재 확률을 이용하여 수정 반향 제거 이득을 결정하는 수정 결정부; 및
    상기 수정 반향 제거 이득을 이용하여 상기 마이크 입력 신호에서 반향이 제거된 출력 신호를 생성하는 출력 신호 결정부
    를 포함하는 음향학적 반향 제거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반향 제거 이득 결정부는,
    원단 신호 및 마이크 입력 신호를 이용하여 후행 신호 대 반향비를 계산하는 후행 신호 대 반향비 결정부;
    상기 원단 신호 및 마이크 입력 신호를 이용하여 선행 신호 대 반향비를 계산하는 선행 신호 대 반향비 결정부; 및
    최소 평균 자승 오차를 이용하여 상기 후행 신호 대 반향비 및 선행 신호 대 반향비로부터 반향 제거 이득을 구하는 이득 결정부
    를 포함하는 음향학적 반향 제거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후행 신호 대 반향비 결정부는,
    상기 원단 신호로부터 추정 반향 신호를 계산하고, 그리고
    상기 마이크 입력 신호 및 상기 추정 반향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후행 신호 대 반향비를 계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학적 반향 제거 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선행 신호 대 반향비 결정부는,
    이전 프레임의 마이크 입력 신호, 이전 프레임의 반향 제거 이득 및 이전 프레임의 원단 신호로부터 계산된 추정 반향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선행 신호 대 반향비를 계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학적 반향 제거 장치.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통계적 관계는,
    상기 원단 신호 및 근단 화자 신호 상호간에 복소 가우시안 분포의 관계이고,
    상기 반향 부재 확률 결정부는,
    상기 후행 신호 대 반향비 및 선행 신호 대 반향비를 이용하여 우도비를 계산하고, 그리고
    상기 소프트 판정을 이용하여 상기 우도비로부터 상기 반향 부재 확률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학적 반향 제거 장치.
  15. 제10항에 있어서,
    이중 발성 검출 여부에 따라 상기 출력 신호를 변경하는 이중 발성 처리부
    를 더 포함하는 음향학적 반향 제거 장치.
KR1020080048782A 2008-05-26 2008-05-26 스펙트럼 차감을 이용한 음향학적 반향 제거 방법 및 장치 KR1009499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8782A KR100949910B1 (ko) 2008-05-26 2008-05-26 스펙트럼 차감을 이용한 음향학적 반향 제거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8782A KR100949910B1 (ko) 2008-05-26 2008-05-26 스펙트럼 차감을 이용한 음향학적 반향 제거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22802A KR20090122802A (ko) 2009-12-01
KR100949910B1 true KR100949910B1 (ko) 2010-03-30

Family

ID=416852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48782A KR100949910B1 (ko) 2008-05-26 2008-05-26 스펙트럼 차감을 이용한 음향학적 반향 제거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4991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7218B1 (ko) * 2010-07-09 2012-05-25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결합된 음향학적 반향 및 배경 잡음 전력에 기반한 음성 처리 방법 및 장치
CN103780998B (zh) 2012-10-23 2018-06-01 韩国电子通信研究院 消除声学回波的方法和设备、与自适应滤波系数更新方法
CN104036784B (zh) * 2014-06-06 2017-03-08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回声消除方法及装置
CN110211602B (zh) * 2019-05-17 2021-09-03 北京华控创为南京信息技术有限公司 智能语音增强通信方法及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377682B1 (en) 2000-06-26 2002-04-23 Lucent Technologies Inc. Robust adaptive filter for use in acoustic and network echo cancellation
KR100377797B1 (ko) 2000-12-30 2003-03-26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이동통신용 핸즈프리 단말기의 잔여 반향 제거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377682B1 (en) 2000-06-26 2002-04-23 Lucent Technologies Inc. Robust adaptive filter for use in acoustic and network echo cancellation
KR100377797B1 (ko) 2000-12-30 2003-03-26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이동통신용 핸즈프리 단말기의 잔여 반향 제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22802A (ko) 2009-1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920950B1 (en) Echo suppression
US8472616B1 (en) Self calibration of envelope-based acoustic echo cancellation
JPWO2010035308A1 (ja) エコー消去装置
US20140037094A1 (en) System and method for estimating a reverberation time
EP2920949B1 (en) Echo suppression
JP2010206515A (ja) エコーキャンセラ
EP2987314B1 (en) Echo suppression
US9277059B2 (en) Echo removal
JP6160403B2 (ja) エコー抑圧装置及びエコー抑圧プログラム
US9467571B2 (en) Echo removal
KR102170341B1 (ko) 에코 억제 기법
KR100949910B1 (ko) 스펙트럼 차감을 이용한 음향학적 반향 제거 방법 및 장치
EP2716023B1 (en) Control of adaptation step size and suppression gain in acoustic echo control
KR20120005920A (ko) 결합된 음향학적 반향 및 배경 잡음 전력에 기반한 음성 처리 방법 및 장치
JP6180689B1 (ja) エコーキャンセラ装置、エコー消去方法、及びエコー消去プログラム
JP4559989B2 (ja) エコー抑圧方法、エコー抑圧プログラム、記録媒体
JP6369192B2 (ja) エコー抑圧装置、エコー抑圧プログラム、エコー抑圧方法及び通信端末
JP5640393B2 (ja) エコー除去装置、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080095422A (ko) 음향 반향 제거기 및 그 방법
JP4209348B2 (ja) エコー抑圧方法、この方法を実施する装置、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JP6314608B2 (ja) エコー抑圧装置、エコー抑圧プログラム、及びエコー抑圧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