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49737B1 - 축설형 동력변환장치 - Google Patents

축설형 동력변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49737B1
KR100949737B1 KR1020090108885A KR20090108885A KR100949737B1 KR 100949737 B1 KR100949737 B1 KR 100949737B1 KR 1020090108885 A KR1020090108885 A KR 1020090108885A KR 20090108885 A KR20090108885 A KR 20090108885A KR 100949737 B1 KR100949737 B1 KR 1009497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latch
driving
drive shaft
dr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088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남수
Original Assignee
신남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남수 filed Critical 신남수
Priority to KR10200901088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4973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497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49737B1/ko
Priority to PCT/KR2010/005081 priority patent/WO2011059164A2/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1/00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1/02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 F16H1/20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involving more than two intermeshing members
    • F16H1/22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involving more than two intermeshing members with a plurality of driving or driven shafts; with arrangements for dividing torque between two or more intermediate shaf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3/00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 F16H3/44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using gears having orbital mo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1/00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1/02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 F16H1/04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involving only two intermeshing members
    • F16H1/06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involving only two intermeshing members with parallel ax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tarders (AREA)
  • General Details Of Gearings (AREA)

Abstract

축설형 동력변환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축설형 동력변환장치는, 제1 및 제2구동축(11, 21)의 각 말단에 피니언(12)과 태양기어(22)의 중심이 각각 일체로 연결 구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구동축(11, 21)의 각 말단에서 상기 피니언(12) 및 태양기어(22)의 중심을 일체로 관통하는 중공(50)을 가지는 제1 및 제2구동모듈(10, 20); 상기 피니언(12) 및 태양기어(22)와 동수이고, 이들(12, 22)과 치차 결합되며 그 중심이 지지축(61)에 축설되는 감차수열(60); 상기 제1 및 제2구동축(11, 21)이 회동 가능하게 관통되고, 상기 지지축(61)이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지지체(70); 가 포함되는 것으로서, 샤프트(80)가 상기 중공(50)을 관통하여 축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위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하나의 샤프트(80) 상에 배속을 달리하는 수개의 동력변환장치를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고, 제1구동축(11) 또는 제2구동축(21)에 입력되는 동력 이외의 다른 동력원이 샤프트(80)에 인가되게 함으로써 이(80)로부터 출력되는 동력이 다른 기관에 전달될 수 있는 등 여러 동력원을 전달 내지 변환할 수 있는 작용효과를 발휘하게 된다.
동력변환, 샤프트(Shaft), 래치(Latch), 감차수열

Description

축설형 동력변환장치{Power change apparatus}
본 발명은 하나의 샤프트(80) 상에 배속을 달리하는 수개의 동력변환장치를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고, 제1구동축(11) 또는 제2구동축(21)에 입력되는 동력 이외의 다른 동력원이 샤프트(80)에 인가되도록 함으로써 다중의 동력을 변환 내지 전달할 수 있는 것으로서, 특히 태엽을 그 동력원으로 하는 발전기에 적용할 수 있는 축설형 동력변환장치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동력변환장치는 주로 동력원에서 발생되는 동력을 다른 배속 또는 다른 형태의 동력으로 변환하는 장치로서, 이는 주로 모터 또는 내·외연기관 등의 동력원과 연결되는 구동축과 종동축, 종동축과 기관의 사이에 연결됨으로써 동력원으로부터 제공된 동력에 대하여는 이를 소정의 회동수(RPM)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배속변환장치와, 서로 다른 운동에너지 즉 원운동에너지에 대하여는 이를 직선왕복운동에너지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등의 운동에너지변환장치로 구분된다.
그런데, 전술한 배속변환장치는 별도의 축 사이에 설치할 수 밖에 없었고, 그로 인해 하나의 장치가 설치되기 위해서는 2개 이상의 축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므로 그 구성요소가 많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그 제조는 물론 유지 보수가 용이하지 못하였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위와 같은 일반적인 동력변환장치는 하나의 축 상에서 다수 설치될 수 없었으므로, 여러 다른 동력원을 변환 내지 전달하고자 할 경우는 그 구성이 복잡해지고 그 장치가 비대해지며 동력변환 내지 전달효율에 있어서는 매우 저조할 수밖에 없었다. 따라서 동력변환에 있어 손실되는 에너지가 많았으므로, 에너지의 효율적 운용면에 있어서는 많은 문제점이 도출되어 왔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를 해소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하나의 샤프트 상에 배속을 달리하는 수개의 동력변환장치를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는 축설형 동력변환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제1구동축 또는 제2구동축에 입력되는 동력 이외의 다른 동력원이 샤프트에 인가되게 함으로써 이로부터 출력되는 동력이 다른 기관에 입력될 수 있도록 하는 축설형 동력변환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하나의 장치를 통해 여러 기관에 RPM이 다른 동력을 동시 다발적으로 출력할 수 있는 축설형 동력변환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태엽을 그 동력원으로 하는 각종 기계기구장치류에 적용될 수 있는 것으로서, 특히 태엽을 그 동력원으로 하는 발전기에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는 축설형 동력변환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축설형 동력변환장치는, 제1 및 제2구동축의 각 말단에 피니언과 태양기어의 중심이 각각 일체로 연결 구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구동축의 각 말단에서 상기 피니언 및 태양기어의 중심을 일체로 관통하는 중공을 가지는 제1 및 제2구동모듈;
상기 피니언 및 태양기어와 동수이고, 이들과 치차 결합되며 그 중심이 지지축에 축설되는 감차수열;
상기 제1 및 제2구동축이 회동 가능하게 관통되고, 상기 지지축이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지지체; 가 포함되는 것으로서, 샤프트가 상기 중공을 관통하여 축설되는 특징이 있다. 그러므로, 제1 및 제2구동축은 샤프트에 대하여 자유롭게 회동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지고, 샤프트가 일정한 방향으로 구동될 시에도 제1 및 제2구동축은 샤프트와 다른 배속으로 회동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제1 및 제2구동축이 샤프트의 구동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동될 수도 있게 되므로 상기 제1구동축 또는 제2구동축 및 상기 샤프트는 각기 다른 기관에 동력전달 및 변속된 RPM을 출력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축설형 동력변환장치로서는, 제1 및 제2 및 제3 및 제4구동축의 각 말단에 피니언과 다수의 태양기어의 중심이 각각 일체로 연결 구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 및 제3 및 제4구동축의 각 말단에서 상기 피니언 및 태양기어들의 중심을 일체로 관통하는 중공을 가지며, 상기 제1구동축의 중공 내부에는 제3구동축이 회동 가능하게 삽입되고 상기 제2구동축의 중공 내부에는 제4구동축이 회동 가능하게 삽입되어 이루어지는 제1 및 제2 및 제3 및 제4구동모듈;
상기 피니언 및 태양기어들과 동수이고, 이들과 치차 결합되며 그 중심이 지지축에 축설되는 감차수열;
상기 제1 및 제2구동축이 회동 가능하게 관통되고, 상기 지지축이 회동 가능 하게 지지되는 지지체; 가 포함되는 것으로서, 샤프트가 상기 제3 및 제4구동축의 중공을 관통하여 축설되는 특징이 있다. 따라서 앞서 본 이점과 더불어, 제1 내지 제4구동축 중 어느 하나에 동력이 인가되기만 하면 나머지 구동축들을 통해 각기 다른 RPM을 가지는 구동력이 서로 다른 기관으로 출력될 수 있게 되는 장점이 있다.
이때, 상기 제1구동축 또는 제2구동축 또는 제3구동축 또는 제4구동축의 외경 상에는 이와 동일 회동되는 풀리 또는 태양기어와 같은 동력전달수단이 더 구비됨으로써 변속된 구동력이 다른 기관에 입력 내지 전달될 수 있도록 구현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축설형 동력변환장치는, 상기 샤프트의 외경 상에는 그 둘레방향을 따라 비스듬히 내향 절곡되는 슬라이딩절곡부와 상기 슬라이딩절곡부의 말단에서 수직방향으로 외향 절곡됨으로써 형성되는 걸림부를 가지는 래치요홈이 더 구비되고,
상기 제1구동축 또는 제2구동축 또는 제3구동축 또는 제4구동축의 외경 상에는 이와 동일 회동되는 지지프레임이 체결되고, 상기 지지프레임의 상부에는 그 내부에 래치부 및 상기 래치부가 하방을 향해 탄발되도록 하는 스프링을 함유하는 래치케이스가 구비되며, 상기 래치부는 그 하단부가 철(凸)부로서 상기 래치요홈과 동일 또는 유사한 형상을 가지는 래치모듈이 더 구비되며,
상기 제1구동축 또는 제2구동축 또는 제3구동축 또는 제4구동축에는 상기 래치부 및 래치요홈과 상응하는 부분을 관통하는 래치유동공이 더 구비되는 특징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은 샤프트가 일방향(예컨대, 반시계방향)으로 구동될 경우는 샤프트는 그 자신만이 일방향으로 회동되게 되나, 샤프트가 반대방향(예컨대, 시계방향)으로 구동될 경우는 전술한 래치부가 래치요홈에 구속됨에 따라 잠금상태가 되고, 그와 같이 상호 구속된 샤프트 및 래치모듈이 설치된 구동축은 동일한 방향으로 함께 회동되게 됨으로써 감차수열을 통해 연결된 나머지 구동축을 통해 변속된 구동력이 출력되게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구성은 샤프트의 RPM을 다양한 속도로 변속하게 되고 이를 다른 기관에 각기 그 동력을 출력할 수 있게 되는 작용효과를 발휘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축설형 동력변환장치는 상기 제1 및 제2구동축의 각 말단과 상응하는 상기 샤프트의 외경 상에는 유동방지구가 각 체결됨이 바람직하고,
상기 제1 및 제2구동축의 각 말단과 상응하는 상기 샤프트의 외경과 상기 제3 및 제4구동축의 각 말단과 상응하는 상기 제1 및 제2구동축의 외경 상에는 유동방지구가 각 체결됨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상의 본 발명에 따르면, 하나의 샤프트 상에 배속을 달리하는 수개의 동력변환장치를 연설하여 사용할 수 있고, 제1구동축 또는 제2구동축에 입력되는 동력 이외의 다른 동력원이 샤프트에 인가되게 함으로써 이로부터 출력되는 동력이 다른 기관에 입력될 수 있도록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하나의 장치를 통해 여러 기관에 RPM이 다른 동력을 동시 다발적으로 출력할 수 있게 되는 장점이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은 태엽을 그 동력원으로 하는 각종 기계·기구류에 그 적용이 가능하고, 상기 태엽을 감을 시에는 작은 힘을 투입하여 이를 천천히 감을 수 있는 감속상태로서 진행하거나, 큰 힘을 투입하여 신속하게 이를 감을 수 있는 가속상태를 모두 구현할 수 있게 된다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그 밖의 특정한 장점들은 이하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구체화 될 것이다.
이하에서는 다음에서 설명되는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축설형 동력변환장치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샤프트(80) 및 래치모듈(90)이 생략되고 동력전달수단이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A-A'선 단면도이며, 도 3은 도 2의 B-B'선 단면도이다.
먼저,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축설형 동력변환장치의 필수적 구성요소들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살펴보면, 본 발명에 따른 축설형 동력변환장치는 크게 제1 및 제2구동모듈(10, 20)과, 상기한 구성요소들(10, 20)을 치차 연결하는 감차수 열(60) 및, 상기한 구성요소들(10, 20, 60)을 고정 지지하게 되는 지지체(70)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 및 제2구동모듈(10, 20)은 제1 및 제2구동축(11, 21)의 각 말단에 피니언(12)과 태양기어(22)의 중심이 각각 일체로 연결된 구성을 취하고 있고, 상기 제1 및 제2구동축(11, 21)의 각 말단에서 상기 피니언(12) 및 태양기어(22)의 중심을 일체로 관통하는 중공(50)이 형성된다. 상기 중공(50)에는 샤프트(80)가 상기 중공(50)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이를 관통하여 체결된다.
상기 감차수열(60)은 상기 피니언(12) 및 태양기어(22)와 동수이고, 이들(12, 22)과 치차 결합되며 그 중심이 지지축(61)에 축설되는 수 개의 기어들(62, 63)로 구성된다(도 1 참조). 상기 기어들(62, 63) 중 큰 피치를 가지는 기어(62)는 상기 피니언(12)과 치차 결합됨으로써 제1구동모듈(10)과 연동되고, 보다 작은 피치를 가지는 기어(63)는 상기 태양기어(22)와 치차 결합되며, 이와 같은 감차수열(60)은 제1 및 2구동모듈(10, 20)이 상호 연동되도록 기능하게 된다. 그러므로, 풀리(300)를 통해 상기 제1구동축(11)에 동력이 인가될 경우는 제2구동축(21)의 회동속도가 제1구동축(11)의 회동속도보다 가속되어 출력되고, 그 반대의 경우는 제1구동축(11)의 회동속도가 제2구동축(21)에 비해 감속되어 출력되게 되는데, 이러한 감속 및 가속작용은 중공(50)을 관통하는 샤프트(80)에는 별다른 영향을 미치지 아니한다. 즉, 제1 및 제2구동축(11, 21)은 상기 샤프트(80)의 외경 상에서 각기 겉도는 상태이므로 이들(11, 21, 80) 상호 간에는 아무런 상호작용이 발생되지 아니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지지체(70)는 상기 제1 및 제2구동축(11, 21)이 회동 가능하게 관통되고, 상기 지지축(61)이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게 된다(도 3 참조).
위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르면, 하나의 샤프트(80)의 외경 상에 배속을 달리하는 수개의 동력변환장치를 연설하여 사용할 수 있고, 제1구동축(11) 또는 제2구동축(21)에 입력되는 동력 이외의 다른 동력원이 샤프트(80)에 인가되게 함으로써 이(80)로부터 출력되는 동력이 다른 기관에 입력되도록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다시 말해, 하나의 동력원은 제1구동축(11) 또는 제2구동축(21)을 통해 인가시켜 감속 또는 가속된 구동력이 다른 기관에 입력되도록 하고, 이와 동시에 다른 동력원이 상기 샤프트(80)에 인가되게 함으로써 이(80)와 연결된 또 다른 기관에 그 동력을 제공할 수 있는 형태로서 구현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다음으로, 도 1 및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축설형 동력변환장치의 다른 실시예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4는 도 1의 A-A'선 단면도를 토대로 하여 도시된 것으로서, 앞서 본 실시예의 변형예를 나타낸 종단면도이고, 도 5는 도 4의 C-C'선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여 도 4 및 도 5를 살펴보면, 제1 내지 제4구동모듈(10, 20, 30, 40)은 제1 내지 제4구동축(11, 21, 31, 41)의 각 말단에 피니언(12)과 다수의 태양기어(22, 32, 42)의 중심이 각각 일체로 연결 구성되고, 상기 제1 내지 제4구동축(11, 21, 31, 41)의 각 말단에서 상기 피니언(12) 및 태양기어들(22, 32, 42)의 중심을 일체로 관통하는 중공(50)을 가지며, 상기 제1구동축(11)의 중공 내부에 는 제3구동축(31)이 회동 가능하게 삽입되고 상기 제2구동축(21)의 중공 내부에는 제4구동축(41)이 회동 가능하게 삽입되어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제1구동축(11)의 내경과 상기 제3구동축(31)의 외경 사이 및 상기 제2구동축(21)의 내경과 상기 제4구동축(41)의 외경 사이에는 베어링(200)이 각 개재됨에 따라, 이들 간의 구름작용이 보다 용이할 수 있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시 생략되었으나, 상기 제1 및 제2구동축(11, 21)의 각 말단과 상응하는 상기 샤프트(80)의 외경과 상기 제3 및 제4구동축(31, 41)의 각 말단과 상응하는 상기 제1 및 제2구동축(11, 12)의 외경 상에는 도 1에 도시된 유동방지구(110)가 각 체결됨으로써 도 4를 기준으로 하여 볼 때 이들(11, 21, 31, 41)이 좌우로 유동 되지 못하도록 구성됨이 좋다.
감차수열(60)은 상기 피니언(12) 및 태양기어들(22, 32, 42)과 동수이고, 이들(12, 22, 32, 42)과 치차 결합되며 그 중심이 지지축(61)에 축설되게 된다. 그러므로 그 각 외경 상에 장착된 풀리(300) 중 어느 하나에 동력을 인가시키기만 하면(예컨대 제2구동축(21)에 동력을 인가시키면), 제2구동축(21)과 연결된 태양기어(22)는 감차수열(60)를 구성하는 기어(65)에 구동력을 전달하게 되고, 그 구동력은 감차수열(60) 전체를 구동시키게 되는데, 그와 같이 구동되는 감차수열(60)은 이(60)를 구성하는 수 개의 기어들(62, 63, 64)에 의해 제1 내지 제3구동모듈(10, 20, 30)을 각 구성하는 태양기어들(22, 32, 42)을 일정한 방향으로 회동 시키게 된다. 그러므로 상기 태양기어들(22, 32, 42)과 각 일체로 연결 구성된 제1 내지 제3구동축(11, 21, 31)은 그 회동방향은 같지만 서로 다른 배속으로써 각기 다르게 구동되게 된다. 따라서, 각기 다른 회전수(RPM)를 가지는 구동축(11, 21, 31)은 그 외경 상에 축설된 풀리(300)를 통해 서로 다른 기관에 동력을 출력하게 되는 것이다.
지지체(70)는 상기 제1 및 제2구동축(11, 21)이 회동 가능하게 관통되고, 상기 지지축(61)이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게 되고, 샤프트(80)는 상기 제3 및 제4구동축(31, 41)의 중공을 관통하여 축설되게 된다.
위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앞서 본 실시예에서 밝힌 작용효과 이외에도 하나의 장치를 통해 여러 기관에 회전수(RPM)가 서로 다른 구동력을 동시 다발적으로 출력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도 1 및 도 6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축설형 동력변환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6은 도 1의 A-A'선 단면도이고, 도 7은 도 6의 D-D'선 단면도이며, 도 8 및 도 9는 래치모듈(90)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도 6의 E-E'선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여 도 6 내지 도 9에 대하여 살펴보면, 앞서 본 일실시예의 구성 즉, 그 구성요소로서는 제1 및 제2구동모듈(10, 20), 감차수열(60), 지지체(70) 등이 구비된다(도 1 및 도 6 및 도 7 참조). 또한, 상기 샤프트(80)의 외경 상에는 그 둘레방향을 따라 비스듬히 내향 절곡되는 슬라이딩절곡부(81)와 상기 슬라이딩절곡부(81)의 말단에서 수직방향으로 외향 절곡됨으로써 형성되는 걸림부(82)를 가지는 래치요홈(83)이 구비된다(도 1 및 도 6 참조).
그리고, 상기 제2구동축(21)의 외경 상에는 이(21)와 동일 회동되는 지지프레임(91)이 체결되고, 상기 지지프레임(91)의 상부에는 그 내부에 래치부(92) 및 상기 래치부(92)가 하방을 향해 탄발되도록 하는 스프링(93)을 함유하는 래치케이스(94)가 구비되며, 상기 래치부(92)는 그 하단부가 철(凸)부로서 상기 래치요홈(83)과 동일하거나 유사한 형상을 가지는 래치모듈(90)이 더 구비된다(도 1 및 도 6 참조).
상기 래치부(92)는 그 저면이 전술한 슬라이딩절곡부(81)와 같거나 유사한 경사도를 가지는 경사부(92a) 및 그(92a) 끝 말단에서 수직방향으로 진행되는 절개면(92b)를 가지며, 상기 절개면(92b) 및 경사부(92a)의 상단에는 걸림턱(92c)이 형성되고, 걸림턱(92c)의 상단면에서 상방을 향해 연장되는 지주봉(92d)을 가진다.
또한, 상기 제2구동축(21)에는 상기 래치부(92) 및 래치요홈(83)과 상응하는 부분을 관통하는 래치유동공(100)이 더 구비되는 특징이 있다.
이하에서는 위와 같은 본 발명의 작동원리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1을 참조하여 도 8을 살펴보면,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샤프트(80)가 반시계방향으로 구동될 경우는 래치부(92)의 경사부(92a)가 샤프트(80)의 래치요홈(83)에 구성된 슬라이딩절곡부(81) 상에서 슬라이딩 되게 되므로, 상기 샤프트(80)는 그 자신만이 반시계방향으로 회동되게 된다. 즉, 상기 샤프트(80)는 제1 및 제2구동축(11, 21)과 겉도는 상태이므로, 이러한 상태에서는 샤프트(80)와 연결된 기관으로만 동력이 제공되게 된다.
그러나,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샤프트(80)가 시계방향으로 구동되 는 경우는 래치부(92)의 절개면(92b)이 샤프트(80)의 래치요홈(83)측 걸림부(82)에 걸려지게 되므로, 상기 샤프트(80)는 제2구동축(21) 및 래치모듈(90)과 시계방향으로 동일 회동되게 된다. 이에 따라, 제2구동축(21)이 구동되고, 제2구동축(21)과 치차 결합된 감차수열(60)이 구동되게 되며, 감차수열(60)과 치차 결합에 의해 연결된 제1구동축(11)은 감속된 회동수로서 구동되게 되므로, 그 구동력은 상기 제1구동축(11)에 장착된 풀리(300)를 통해 다른 기관으로 인가되게 된다. 또한, 위와는 반대로 작동되게 할 수도 있는바, 도 9를 기준으로 하여 볼 때, 시계방향의 구동력이 상기 풀리(300)에 인가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샤프트(80)를 시계방향으로 회동시킬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의 본 발명은 태엽을 그 동력원으로 하는 각종의 기계·기구류에 적용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샤프트(80)가 태엽(미도시)과 연결되고, 상기 샤프트(80)는 상기 태엽의 풀림 작용 시에 그 동력으로 인해 도 8과 같이 반시계방향으로 회동되도록 함으로써 다른 기관에 동력을 제공할 수 있도록 작동되며, 도 9를 기준으로 하여 볼 때 시계방향의 동력이 제1구동축(11)에 장착된 풀리(300)에 작용하게 되면 제1구동축(11)과 연결된 감차수열(60)이 구동되게 되고 감차수열과 연결된 제2구동축(21)이 제1구동축(11)보다 가속된 회동수로서 구동되게 되며 상기 제2구동축(21) 상에 장착된 래치모듈(90)은 이(90)를 구성하는 래치부(92)에 의해 샤프트(80)의 외경 상에 형성된 래치요홈(83)의 걸림부(82)에 걸려지게 되므로 상기 제2구동축(21)은 상기 샤프트(80)와 함께 시계방향으로 회동되게 된다. 그러므로 상기 샤프트(80)와 연결된 태엽은 감김작용이 실시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감차수열과 피니언 및 태양기어의 위치를 적절히 변경하게 되면 태엽을 작은 힘으로써 천천히 감을 수 있는 감속작용은 물론, 큰 힘이 투입됨으로써 신속히 태엽을 감을 수 있게 되는 가속작용이 모두 가능하게 된다. 이러한 작동원리를 가지는 본 발명은 특히 태엽을 그 동력원으로 하는 발전기에 적용할 수 있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및 제2구동축(11, 21)의 각 말단과 상응하는 상기 샤프트(80)의 외경 상에는 유동방지구(110)가 각 체결됨이 좋고(도 6 참조), 상기 샤프트(80)의 외경과 상기 제1 및 제2구동축(11, 21)의 각 내경 사이에는 베어링(300)이 개재됨으로써 그 상호간에 구름작용이 보다 원활할 수 있도록 구성함이 좋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축설형 동력변환장치의 일실시예의 분해사시도.
도 2는 도 1의 구성요소 중 일부만을 도시한 A-A'선 단면도.
도 3은 도 2의 B-B'선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도 1의 A-A'선 단면도를 토대로 하여 도시한 종단면도.
도 5는 도 4의 C-C'선 단면도.
도 6은 도 1의 A-A'선 단면도.
도 7은 도 6의 D-D'선 단면도.
도 8 및 도 9는 래치모듈(90)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도 6의 E-E'선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위에 대한 도면부호의 설명>
10 : 제1구동모듈 11 : 제1구동축
12 : 피니언
20 : 제2구동모듈 21 : 제2구동축
22, 32, 42 : 태양기어
30 : 제3구동모듈 31 : 제3구동축
40 : 제4구동모듈 41 : 제4구동축
50 : 중공
60 : 감차수열 61 : 지지축
70 : 지지체
80 : 샤프트 81 : 슬라이딩절곡부
82 : 걸림부 83 : 래치요홈
90 : 래치모듈 91 : 지지프레임
92 : 래치부 93 : 스프링
94 : 래치케이스 100 : 래치유동공
200 : 베어링 300 : 풀리

Claims (6)

  1. 제1 및 제2구동축(11, 21)의 각 말단에 피니언(12)과 태양기어(22)의 중심이 각각 일체로 연결 구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구동축(11, 21)의 각 말단에서 상기 피니언(12) 및 태양기어(22)의 중심을 일체로 관통하는 중공(50)을 가지는 제1 및 제2구동모듈(10, 20);
    상기 피니언(12) 및 태양기어(22)와 동수이고, 이들(12, 22)과 치차 결합되며 그 중심이 지지축(61)에 축설되는 감차수열(60);
    상기 제1 및 제2구동축(11, 21)이 회동 가능하게 관통되고, 상기 지지축(61)이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지지체(70);
    상기 중공(50)을 관통하여 축설되는 샤프트(80);
    상기 샤프트(80)의 외경 상에는 그 둘레방향을 따라 비스듬히 내향 절곡되는 슬라이딩절곡부(81)와, 상기 슬라이딩절곡부(81)의 말단에서 수직방향으로 외향 절곡됨으로써 형성되는 걸림부(82)를 가지는 래치요홈(83);
    상기 제1구동축(11) 또는 제2구동축(21)의 외경 상에 장착됨으로서 상기 제1구동축(11) 또는 제2구동축(21)과 동일 회동되는 지지프레임(91)과, 상기 지지프레임(91)의 상부에는 그 내부에 래치부(92) 및 상기 래치부(92)가 하방을 향해 탄발되도록 하는 스프링(93)을 함유하는 래치케이스(94)가 구비되며, 상기 래치부(92)는 그 하단부가 철(凸)부로서 상기 래치요홈(83)과 동일 또는 유사한 형상을 가지는 래치모듈(90);
    상기 제1구동축(11) 또는 제2구동축(21)에는 상기 래치부(92) 및 래치요홈(83)과 상응하는 부분을 관통하는 래치유동공(100);
    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설형 동력변환장치.
  2. 제1 및 제2 및 제3 및 제4구동축(11, 21, 31, 41)의 각 말단에 피니언(12)과 다수의 태양기어(22, 32, 42)의 중심이 각각 일체로 연결 구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 및 제3 및 제4구동축(11, 21, 31, 41)의 각 말단에서 상기 피니언(12) 및 태양기어들(22, 32, 42)의 중심을 일체로 관통하는 중공(50)을 가지며, 상기 제1구동축(11)의 중공 내부에는 제3구동축(31)이 회동 가능하게 삽입되고 상기 제2구동축(21)의 중공 내부에는 제4구동축(41)이 회동 가능하게 삽입되어 이루어지는 제1 및 제2 및 제3 및 제4구동모듈(10, 20, 30, 40);
    상기 피니언(12) 및 태양기어들(22, 32, 42)과 동수이고, 이들(12, 22, 32, 42)과 치차 결합되며 그 중심이 지지축(61)에 축설되는 감차수열(60);
    상기 제1 및 제2구동축(11, 21)이 회동 가능하게 관통되고, 상기 지지축(61)이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지지체(70);
    상기 중공(50)을 관통하여 축설되는 샤프트(80);
    상기 샤프트(80)의 외경 상에는 그 둘레방향을 따라 비스듬히 내향 절곡되는 슬라이딩절곡부(81)와, 상기 슬라이딩절곡부(81)의 말단에서 수직방향으로 외향 절곡됨으로써 형성되는 걸림부(82)를 가지는 래치요홈(83);
    상기 제1구동축(11) 또는 제2구동축(21) 또는 제3구동축(31) 또는 제4구동축(41)의 외경 상에 장착됨으로서 상기 제1구동축(11) 또는 제2구동축(21) 또는 제3구동축(31) 또는 제4구동축(41)과 동일 회동되는 지지프레임(91)과, 상기 지지프레임(91)의 상부에는 그 내부에 래치부(92) 및 상기 래치부(92)가 하방을 향해 탄발되도록 하는 스프링(93)을 함유하는 래치케이스(94)가 구비되며, 상기 래치부(92)는 그 하단부가 철(凸)부로서 상기 래치요홈(83)과 동일 또는 유사한 형상을 가지는 래치모듈(90);
    상기 제1구동축(11) 또는 제2구동축(21) 또는 제3구동축(31) 또는 제4구동축(41)에는 상기 래치부(92) 및 래치요홈(83)과 상응하는 부분을 관통하는 래치유동공(100)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설형 동력변환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구동축(11) 또는 제2구동축(21)의 외경 상에는 이(11 또는 21)와 동일 회동되는 풀리 또는 태양기어와 같은 동력전달수단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설형 동력변환장치.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구동축(11, 21)의 각 말단과 상응하는 상기 샤프트(80)의 외경 상에는 유동방지구(110)가 각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설형 동력변환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구동축(11, 21)의 각 말단과 상응하는 상기 샤프트(80)의 외경과 상기 제3 및 제4구동축(31, 41)의 각 말단과 상응하는 상기 제1 및 제2구동축(11, 12)의 외경 상에는 유동방지구(110)가 각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 설형 동력변환장치.
KR1020090108885A 2009-11-12 2009-11-12 축설형 동력변환장치 KR1009497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8885A KR100949737B1 (ko) 2009-11-12 2009-11-12 축설형 동력변환장치
PCT/KR2010/005081 WO2011059164A2 (ko) 2009-11-12 2010-08-10 축설형 동력변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8885A KR100949737B1 (ko) 2009-11-12 2009-11-12 축설형 동력변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49737B1 true KR100949737B1 (ko) 2010-03-25

Family

ID=421838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08885A KR100949737B1 (ko) 2009-11-12 2009-11-12 축설형 동력변환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949737B1 (ko)
WO (1) WO2011059164A2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32928A (en) 1988-12-05 1990-06-12 Crockett Samuel J Shiftless, continuously-aligning transmission
JPH08183487A (ja) * 1995-01-04 1996-07-16 Zenjiro Arita 前2輪の前輪駆動3輪自転車及び差動歯車装置
KR100415262B1 (ko) 1999-10-04 2004-01-16 마사루 모리 차량용 자동 변속기
KR20090041657A (ko) * 2007-10-24 2009-04-29 자동차부품연구원 유연체 나선축을 이용한 곡선 이동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32928A (en) 1988-12-05 1990-06-12 Crockett Samuel J Shiftless, continuously-aligning transmission
JPH08183487A (ja) * 1995-01-04 1996-07-16 Zenjiro Arita 前2輪の前輪駆動3輪自転車及び差動歯車装置
KR100415262B1 (ko) 1999-10-04 2004-01-16 마사루 모리 차량용 자동 변속기
KR20090041657A (ko) * 2007-10-24 2009-04-29 자동차부품연구원 유연체 나선축을 이용한 곡선 이동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1059164A9 (ko) 2011-09-15
WO2011059164A2 (ko) 2011-05-19
WO2011059164A3 (ko) 2011-07-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947286B2 (ja) ドライブ装置
KR101134961B1 (ko) 변속 장치 및 풍력 발전 장치
EP2247873B1 (en) A transmission system for power generation
CA2721021C (en) Stepless variable transmission device with parallel low gear wheel group
EP2067990A3 (en) Wind turbine drive
EP1184567A3 (de) Getriebe für Windgeneratoren
CN102235324A (zh) 用于风力涡轮机的齿轮箱
CN109203973A (zh) 串联式混合动力驱动装置
JP5327761B2 (ja) 変速装置システム
KR100949737B1 (ko) 축설형 동력변환장치
KR101156176B1 (ko) 전기자동차용 유성기어 변속장치
WO2002063185A1 (en) Bi-directional to unidirectional torque conversion method and apparatus
CA2542911A1 (en) Self regulating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KR20060008147A (ko) 유성 치차 감속기
KR200402367Y1 (ko) 감속장치
CN105090444B (zh) 无级变速器
KR100952842B1 (ko) 자전거의 다단 증속장치
KR101281826B1 (ko) 발전기용 증속기
KR100937946B1 (ko) 자전거
EP3002482A1 (en) Conical gear box (semi-automatic)
KR200409494Y1 (ko) 감속장치
KR100637584B1 (ko) 무단변속기
KR20230073866A (ko) 무단변속기
JP2018066394A (ja) バネ原動機及びバネ原動機システム
KR20070107302A (ko) 왕복회전 동력변환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3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