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49351B1 - 순간정전 보상을 위한 긴급 바이패스 장치 및 동작 방법 - Google Patents

순간정전 보상을 위한 긴급 바이패스 장치 및 동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49351B1
KR100949351B1 KR1020070112457A KR20070112457A KR100949351B1 KR 100949351 B1 KR100949351 B1 KR 100949351B1 KR 1020070112457 A KR1020070112457 A KR 1020070112457A KR 20070112457 A KR20070112457 A KR 20070112457A KR 100949351 B1 KR100949351 B1 KR 1009493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ypass
power
voltage sag
protection device
emergenc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124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46360A (ko
Inventor
조정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어드밴스드웨이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어드밴스드웨이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어드밴스드웨이브
Priority to KR10200701124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49351B1/ko
Publication of KR200900463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463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493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493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9/00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 H02J9/04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the distribution system is disconnected from the normal source and connected to a standby source
    • H02J9/06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the distribution system is disconnected from the normal source and connected to a standby source with automatic change-over, e.g. UPS system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Stand-By Power Supply Arrang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순간정전 보상에 사용하는 긴급 바이패스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전압새그 보호장치의 출력 전원을 전달받고, 바이패스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출력단으로 온/오프 설정되는 EBS 바이패스 스위치; 외부 전원을 전달받고, 바이패스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출력단으로 온/오프 설정되는 하드웨어 바이패스 스위치; 및 EBS 바이패스 스위치와 하드웨어 바이패스 스위치의 온/오프 동작을 제어하는 바이패스 제어부;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전압새그 보호 처리와 긴급 바이패스 처리를 결합함으로써 외부 전원의 순간정전 또는 전압새그 보호장치의 내부 장애로 인한 산업용 전기 기기의 손상을 완벽하게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을 얻을 수 있다.
순간정전, 바이패스, EBS, VSP, 전원

Description

순간정전 보상을 위한 긴급 바이패스 장치 및 동작 방법{Emergency bypass device for voltage SAG protection, and operation method for the same}
본 발명은 순간정전 보상을 위한 긴급 바이패스 기술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압새그 보호 처리와 긴급 바이패스 처리를 결합하여 제공함으로써 외부 전원의 순간정전 내지 전압새그 보호장치의 내부 장애로 인한 산업용 전기 기기의 손상을 완벽하게 방지할 수 있는 긴급 바이패스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산업현장에서 전력의 신뢰성은 높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순시전압강하 및 순간정전이 종종 발생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이러한 순간적인 불안정 상태는 전력 계통상의 단락사고, 낙뢰 및 대용량 부하의 스위칭 등으로 인하여 발생하게 된다.
대부분의 산업용 장치는 기계적 속성과 전기적 관성으로 인하여 이러한 순간정전을 견딜 수 있으나, 공장의 자동 생산설비를 구성하는 PLC(Programmable Logic Controller), 전자개폐기(Contactor), 릴레이, 스타터(Starter), 마이크로 컨트롤 러 등은 수 사이클의 극히 짧은 순간에 발생하는 제어전원의 전압저하(Voltage SAG/Dip)에 의해 손실될 수 있다.
여기서 새그(SAG, 순간 저전압)는 펄스의 순시값이 시간이 흐름에 따라 단조롭게 감소하는 현상 또는 감소율을 말하는 것으로, 보통 감소분과 최대 펄스 진폭의 비율로 표시한다. 따라서 전압새그(Voltage Sag)는 입력 전압이 순간적으로 떨어지는 현상을 의미한다.
이러한 전압저하는 생산설비의 가동을 정지시켜 막대한 경제적 피해를 야기하는 원인이 된다. 또한 순간정전으로 인하여 산업체에서 운용중인 다양한 분야의 수많은 설비들이 일시에 정지되어 발생하는 손해들을 해결하기 위해서 순간정전 보상장치(SAG Protector)가 제시되었다.
순간정전을 보상하는 장치로는 종래로 UPS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무정전 전원 장치)가 있으나, UPS는 주변 기기에서 발생되는 돌입전류에 대하여 효과적이지 못하기 때문에 빈번하게 정지된다. 또한 UPS는 순간정전과 영구정전의 구별없이 과도한 시간 동안 부하에 제어 전원을 공급하는 문제점이 있고, UPS에 사용되는 축전지를 주기적으로 점검하는 데에 상당한 유지관리 비용이 소요되어 경제적으로 비효율적이다.
순간정전을 보상하는 다른 장치로서 종래로 VSP (Voltage SAG Protector, 전압새그 보호장치)가 있으며, 본 특허출원의 출원인도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출원 20-2006-30643호, 고안의 명칭 '순간정전 보상장치'를 출원한 바 있다. 이러한 전압새그 보호장치는 UPS의 단점을 보완하는 장점을 가지고 있으나, 가끔씩 외부 공 급 전원이 정상임에도 불구하고 전압새그 보호장치가 오동작하여 출력 전압이 저하되는 2차 위험이 있어 왔다.
따라서 상기의 문제점들로 인해 종래에 실시하고 있는 순간정전 보상장치는 시스템 효율에 한계가 있고 전체적으로 볼 때 100 %의 안정성을 보장하지 못한다는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전압새그 보호 처리와 긴급 바이패스 처리를 통해 외부 전원의 순간적인 전압저하로 인한 산업용 전기 기기의 손상을 방지하고, 전압새그 보호장치로 인한 2차적 위험을 대비함으로써 전체 시스템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긴급 바이패스 장치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외부 전원의 순간적인 전압저하에 따른 순간정전을 보상하는 전압새그 보호장치의 출력단에 연결하여 전압새그 보호장치의 오동작에 대비하기 위한 긴급 바이패스 장치로서, 외부 전원을 제공받고, 전압새그 보호장치의 오동작이 센싱되는 경우 이를 보상해서 외부 전원에서 부하 측으로 전원이 공급되도록 바이패스하는 긴급 바이패스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긴급 바이패스 장치는, 전압새그 보호장치의 출력 전원을 전달받고, 바이패스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출력단으로 온/오프 설정되는 EBS 바이패스 스위치; 외부 전원을 전달받고, 바이패스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출력단으로 온/오프 설정되는 하드웨어 바이패스 스위치; 및 EBS 바이패스 스위치와 하드웨어 바이패스 스위치의 온/오프 동작을 제어하는 바이패스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긴급 바이패스 장치에서, 바이패스 제어부는, 정상운전 모드 동작시, EBS 바이패스 스위치를 온으로 설정하고 하드웨어 바이패스 스위치를 오프로 설정하여, 전압새그 보호장치와 긴급 바이패스 장치가 바이패스 되도록 하여 외부 전원으로부터부하 측으로 전원이 공급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긴급 바이패스 장치에서, 바이패스 제어부는, 전원장애 모드 동작시, EBS 바이패스 스위치를 온으로 설정하고 하드웨어 바이패스 스위치를 오프로 설정하여, 전압새그 보호장치로부터 부하 측으로 전원이 공급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긴급 바이패스 장치에서, 바이패스 제어부는, VSP 장애 모드 동작시, EBS 바이패스 스위치를 오프로 설정하고 하드웨어 바이패스 스위치를 온으로 설정하여, 외부 전원으로부터 부하 측으로 전원이 공급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외부 전원의 순간적인 전압 저하에 따른 순간정전을 보상하는 전압새그 보호장치의 출력단에 연결하여 전압새그 보호장치의 오동작에 대비하기 위한 긴급 바이패스 장치의 동작 방법으로, 전원의 정상 공급 상태이면, 전압새그 보호장치와 긴급 바이패스 장치가 바이패스되도록 설정하여 외부 전원으로부터 부하 측으로 전원이 공급되도록 스위칭 설정하는 제 1 단계; 전원의 일시 장애 상태이면, 전압새그 보호장치의 출력단로부터 부하 측으로 전원이 공급되도록 스위칭 설정하는 제 2 단계; 및 전압새그 보호장치의 장애 상태이면, 외부 전원으로부터 부하 측으로 전원이 공급되도록 스위칭 설정하는 제 3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동작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긴급 바이패스 장치의 동작 방법에서, 제 2 단계는, 전압새그 보호장치의 출력 전원과 출력단을 연결하는 EBS 바이패스 스위치를 온으로 설정하는 단계; 및 외부 전원과 출력단을 연결하는 하드웨어 바이패스 스위치를 오프로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긴급 바이패스 장치의 동작 방법에서, 제 3 단계는, 전압새그 보호장치의 출력 전원과 출력단을 연결하는 EBS 바이패스 스위치를 오프로 설정하는 단계; 및 외부 전원과 출력단을 연결하는 하드웨어 바이패스 스위치를 온으로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긴급 바이패스 기술에 따르면 전압새그 보호 처리와 긴급 바이패스 처리를 결합함으로써 외부 전원의 순간정전으로 인한 산업용 전기 기기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고, 전압새그 보호장치로 인한 2차적 위험에 대해서도 외부 전원을 통해 보상함으로써 순간정전 보상을 위한 전체 시스템의 안정성이 획기적으로 제고된다는 장점을 얻을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한 순간정전 보상을 위한 긴급 바이패스 기술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 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본 발명은 전압새그 보호 처리와 긴급 바이패스 처리를 결합함으로써 외부 전원의 순간정전으로 인한 산업용 전기 기기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고, 전압새그 보호장치로 인한 2차적 위험에 대해서도 외부 전원을 통해 보상함으로써 순간정전 보상을 위한 전체 시스템의 안정성을 향상시킨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긴급 바이패스 장치(200)를 사용하여 외부 전원의 순간정전을 보상하는 전체 시스템을 구성한 도면이다.
전압새그 보호장치(VSP)(100)는 외부 전원을 입력받고, 외부 전원에 순간적인 전압저하가 발생하면 순간정전을 보상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도면에서는 외부 전원이 긴급 바이패스 장치(200)를 통해 전압새그 보호장치(100)로 제공되도록 도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의 구성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전압새그 보호장치(100)는 VSP 바이패스 스위치(110), 전압 감지부(120), 전류 감지부(130), MPU(140), 인버터(150), 초고속 긴급스위치(160), VSP 디스플레이부(170)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으며, 이하에서는 이들 구성요소에 대하여 설명한다.
■ VSP 바이패스 스위치(110)는 MPU(140)의 제어에 따라 외부 전원과 긴급 바이패스 장치(200) 간에 바이패스 온/오프 설정한다. VSP 바이패스 스위치(110)는 정상운전 모드에서는 바이패스 온으로 설정되고, 전원장애 모드나 VSP 장애 모드에서는 바이패스 오프로 설정된다.
■ 전압 감지부(120)는 VSP 바이패스 스위치(110)로 입력되는 전압의 상태를 감지하여 MPU(140)로 전달한다.
■ 전류 감지부(130)는 VSP 바이패스 스위치(110)에서 출력되는 전류의 상태를 감지하여 MPU(140)로 전달한다.
■ MPU(Main Process Unit : 140)는 전압 감지부(120)와 전류 감지부(130)를 통해 전압 상태 정보 및 전류 상태 정보를 제공받으며, 외부 전원의 정상 공급 여부를 판별하여 VSP 바이패스 스위치(110)와 초고속 긴급스위치(160)의 바이패스 온/오프 동작을 제어한다.
■ 인버터(150)는 MPU(140)의 제어를 받고, 입력된 전원을 설정된 크기의 전원으로 변환한다.
■ 초고속 긴급스위치(160)는 MPU(140)의 제어에 따라 초고속 긴급 바이패스 온/오프 동작을 수행한다. 초고속 긴급스위치(160)는 정상운전 모드에서는 바이패스 오프로 설정되고, 전원장애 모드에서는 바이패스 온으로 설정되며, VSP 장애 모드에서는 바이패스 오프로 설정된다.
■ VSP 디스플레이부(170)는 전압새그 보호장치(100)의 상태를 표시한다.
긴급 바이패스 장치(Emergency Bypass System, EBS)(200)는 전압새그 보호장치(100)가 오동작하면 이를 보상해서 외부 전원에서 부하 측으로 전원이 공급되도록 한다. 긴급 바이패스 장치(200)는 EBS 바이패스 스위치(210), 하드웨어 바이패스 스위치(220), 바이패스 제어부(230), EBS 디스플레이부(240)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으며, 이하에서는 이들 구성요소에 대하여 설명한다.
■ EBS 바이패스 스위치(210)는 전압새그 보호장치(100)의 출력 전원을 전달받고, 바이패스 제어부(230)의 제어에 따라 바이패스 온/오프 설정된다. EBS 바이패스 스위치(210)는 정상운전 모드와 전원장애 모드에서는 바이패스 온으로 설정되, VSP 장애 모드에서는 바이패스 오프로 설정된다.
■ 하드웨어 바이패스 스위치(220)는 외부 전원을 전달받고, 바이패스 제어부(230)의 제어에 따라 바이패스 온/오프 설정된다. 하드웨어 바이패스 스위치(220)는 정상운전 모드와 전원장애 모드에서는 바이패스 오프로 설정되고 VSP 장애 모드에서는 바이패스 온으로 설정된다.
■ 바이패스 제어부(230)는 EBS 바이패스 스위치(210)와 하드웨어 바이패스 스위치(220)의 바이패스 온/오프 동작을 제어한다.
■ EBS 디스플레이부(240)는 긴급 바이패스 장치(200)의 상태를 표시한다.
도 2는 도 1의 전체 시스템에서 전압새그 보호장치(100)와 긴급 바이패스 장치(200)의 상세회로도이다.
전압센싱 구성은 전압 감지부(120)이고 전류센싱 구성은 전류 감지부(130)로서, 입력되는 전원의 크기가 설정된 전원의 크기 이하인지의 여부에 따라 백업전원 온/오프 신호를 발생시켜 MPU(140)로 전달한다.
바이패스 스위치는 VSP 바이패스 스위치(110)이다.
입력단(Input)은 긴급 바이패스 장치(200)를 통해 외부 전원을 공급받는 입력 단자이다.
출력단(output)은 긴급 바이패스 장치(200)로 전원을 공급하는 출력 단자이다.
MPU는 전압새그 보호장치(100)의 바이패스 온/오프 동작을 제어하는 메인 프로세서 유닛(140)이다.
인버터(Inv/Con)(150)는 입력 전원을 설정된 크기의 직류전원으로 변환하는 컨버팅 기능과 컨버팅된 직류전원을 교류전원으로 변환하는 인버팅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인버터(150)에는 컨버팅된 직류전원을 충전하는 컨덴서가 포함될 수 있는데, 이러한 컨덴서는 전해 컨덴서로 구성할 수 있다.
초고속 긴급스위치(160)와 VS 바이패스 스위치(110)와 출력 단자 사이에는 트랜스포머가 포함될 수 있다. 트랜스포머는 VSP 바이패스 스위치(110)를 통해 입력되는 전원을 설정된 크기로 감압하여 인버터(150)에 공급한다. 트랜스포머는 인버터(150)로부터 공급되는 교류전원을 승압하여 전압새그 보호장치(110)에 연결된 긴급 바이패스 장치(200)로 공급한다.
SCR-VSP는 EBS 바이패스 스위치(210)이고, SCR-바이패스(SCR-Bypass)는 하드웨어 바이패스 스위치(220)이다.
긴급 바이패스 장치(200)에서, VSP INPUT 단자는 공급받은 외부 전원을 전압새그 보호장치(100)로 전달하는 단자이고, VSP OUTPUT 단자는 전압새그 보호장치(10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단자이며, AC INPUT 단자는 외부 전원에서 AC 전원을 공급받는 단자이고, LOAD 단자는 긴급 바이패스 장치(200)에서 처리된 AC 전원을 부하 측으로 전달하는 단자이다.
도 3은 도 1의 시스템에서 시스템 운전 모드에 따라 외부 부하로 전원이 공급되는 경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긴급 바이패스 장치(200)의 시스템 운전 모드로는, 외부 전원이 별다른 순간정전 없이 정상적으로 공급되는 상태인 정상운전 모드, 외부 전원에 순간정전이 발생한 상태인 전원장애 모드, 외부 전원에는 별달리 문제가 없으나 VSP(100)가 오동작하는 상태인 VSP 장애 모드로 구분된다.
전압새그 보호장치(100)와 긴급 바이패스 장치(200)를 구성하는 각각의 스위치(110, 160, 210, 220)는 시스템 운전 모드 별로 스위칭 동작을 수행하며, 그에 따라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전원공급 경로를 형성한다.
■ 경로① : 정상운전 모드에서의 전원공급 경로
■ 경로② : 전원장애 모드에서의 전원공급 경로
■ 경로③ : VSP 장애 모드에서의 전원공급 경로
이처럼 정상운전 모드, 전원장애 모드, VSP 장애 모드 별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전원공급 경로가 설정되는 동작 구성에 대해서는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한다.
도 4는 정상운전 모드에서의 스위치 상태를 나타내고, 도 5는 전원장애 모드에서의 스위치 상태를 나타내며, 도 6은 VSP 장애 모드에서의 스위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정상운전 모드(도 4)에서는, 외부로부터 전원이 정상적으로 공급되고 있으므로 VSP 바이패스 스위치(110)와 EBS 바이패스 스위치(210)를 온으로 설정하고 초고속 긴급스위치(160)와 하드웨어 바이패스 스위치(220)를 오프로 설정함으로써 전압새그 보호장치(100)와 긴급 바이패스 장치(200)가 바이패스되면서 외부 전원으로부터 부하 측으로 전원이 공급되도록 한다.
전원장애 모드(도 5)는 외부 전원에 일시정전이 발생한 것으로 VSP 바이패스 스위치(110)와 하드웨어 바이패스 스위치(220)를 오프로 설정하고 초고속 긴급스위치(160)와 EBS 바이패스 스위치(210)를 온으로 설정함으로써 VSP(100)로부터 부하 측에 전원이 공급되도록 한다. 즉, EBS(200)는 바이패스하여 VSP(100)의 내부 모듈로부터 부하 측으로 전원을 공급한다.
VSP 장애 모드(도 6)는 외부 전원에는 문제가 없는데 VSP(100)가 오동작하는 것으로, VSP 바이패스 스위치(110)와 초고속 긴급스위치(160)와 EBS 바이패스 스위치(210)를 오프로 설정하고 하드웨어 바이패스 스위치(220)를 온으로 설정함으로써 외부 전원으로부터 부하 측에 전원이 공급되도록 한다. VSP(100)가 오동작하면 외부 전원이 정상임에도 부하 측에 잘못된 전원이 공급되므로, 이때에는 VSP(100)를 경유하지 않는 별도의 경로를 통해 외부 전원을 부하 측에 전달하는 것이다. 이때, 전원 제공 경로가 영향받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EBS 바이패스 스위치(210)를 오프로 설정한다.
도 7은 VSP 디스플레이부(170)의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정상운전 모드를 표시하는 램프(LINE), 전원장애 모드를 표시하는 램프(INV), VSP 장애 모드를 표시하는 램프(FAULT), 각종 운전정보를 표시하는 LCD, 입출력 전압/전류/주파수/새그 카운트/충전전압 등을 순차적으로 표시하는 메뉴 키(MENU), 부저 음을 정지시키는 키(BZ STOP), 장애 발생시 VSP(100)가 리셋 되도록 하는 리셋 키(RST)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8은 EBS 디스플레이부(240)의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VSP(100)로 제공되는 전원의 상태를 표시하는 램프(LINE-1), 외부 입력되는 상용전원의 상태를 표시하는 램프(LINE-2), 장애 상태를 표시하는 램프(FAULT), 각종 운전정보를 표시하는 LCD, 시스템 파라미터 설정 모드로 들어가거나 설정을 완료하여 운전 모드로 이동시키는 메뉴 키(MENU), 파라미터 설정 모드의 설정값을 위로 올리거나 운전 모드에서 운전 화면을 변경하는 업 키(UP), 파라미터 설정 모드의 설정값을 아래로 내리거나 운전 모드에서 운전 화면을 변경하는 다운 키(DOWN), 설정한 파라미터 값이 저장되도록 하는 설정 키(SET)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긴급 바이패스 장치(200)의 기본 동작방법을 보인 흐름도이다.
긴급 바이패스 장치(200)를 통해 전압새그 보호장치(100)와 외부전원을 연결하여 부하 측으로 전원 공급하는 경우, 먼저 긴급 바이패스 장치(200)에서는 초기 화면을 출력한다(ST1).
일정 시간이 경과하면 시스템 운전 화면이 출력되도록 하여 긴급 바이패스 장치(200)의 운전 상태를 표시한다(ST2).
긴급 바이패스 장치(200)의 비상운전에 필요한 파라미터를 설정한다(ST3).
이어서, 외부 전원이 정상 공급되는 상태인 정상운전 모드, 외부 전원에 일시적인 문제가 생긴 상태인 전원장애 모드, 외부 전원은 정상이나 VSP(100)가 오동작하는 상태인 VSP 장애 모드 별로 전압새그 보호장치(100)와 긴급 바이패스 장치(200)가 동작되도록 한다(ST4).
도 10 내지 도 15는 긴급 바이패스 장치(200)의 디스플레이 실시예를 나타내는 것으로, 이하 간략히 설명한다.
도 10은 긴급 바이패스 장치(200)에 전압새그 보호장치(100)와 전원을 연결하고 동작 전원을 공급한 초기화면을 도시한 것으로, 이어서 초기 화면이 사라지고 도 11과 같은 시스템 운전 화면이 표시된다. 이때, 'Output #1'는 VSP(100)로부터 공급된 전압을 출력한다는 의미이고, 'Output #2'는 상용전원으로부터 공급된 전압을 출력한다는 의미이다. 또한 '1: 60.0Hz 213V'는 VSP 입력 전원의 주파수와 입력전압 상태를 표시한 것이고, '2: 60.0Hz 213V'는 상용전원의 주파수와 입력전압 상태를 표시한 것이다.
도 12 내지 도 15는 비상운전시 필요한 각종 파라미터를 설정하는 화면의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2는 시스템 운전 화면에서 메뉴 키(MENU KEY)를 누르면 나타나는 시스템 메뉴화면이고, 도 13은 설정 키(SET KEY)를 누르면 나타나는 시스템 메뉴 화면이며, 여기서 업/다운 키(UP/DOWN KEY)를 사용하여 소망하는 값을 입력한 후 설정 키(SET KEY)를 누르면 설정 값이 저장되고 도 14에서와 같이 원래의 화면으로 돌아가도록 한다.
도 15는 설정을 완료하고 업/다운 키(UP/DOWN KEY)를 눌러 전후 설정화면으로 변경되도록 한 예를 보인 도면이며, 도 16은 전압새그 보호장치(200)의 설정 파라미터의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긴급 바이패스 장치(200)를 사용하여 구성한 전체 순간정전 보호 시스템에서 정상운전 모드, 전원장애 모드, VSP 장애 모드에 따른 동작예를 보인 흐름도이다.
먼저, 전원이 정상 공급 상태이면(ST11), 정상운전 모드로 동작시켜 전압새그 보호장치(100)와 긴급 바이패스 장치(200)가 바이패스 되도록 하여 외부 전원에서 부하 측에 전원이 공급되도록 한다. 즉, VSP 바이패스 스위치(110)와 EBS 바이패스 스위치(210)를 온으로 설정하고 초고속 긴급스위치(160)와 하드웨어 바이패스 스위치(220)를 오프로 설정함으로써, 전압새그 보호장치(100)와 긴급 바이패스 장치(200)가 바이패스 되도록 하여 외부 전원에서 부하 측에 전원이 공급되도록 한다(ST12).
외부 전원의 일시 장애 상태이면(ST13), 전원장애 모드로 동작시켜 전압새그 보호장치(100)로부터 부하 측으로 전원이 공급되도록 한다. 즉, VSP 바이패스 스위치(110)와 하드웨어 바이패스 스위치(220)를 오프로 설정하고 초고속 긴급스위 치(160)와 EBS 바이패스 스위치(210)를 온으로 설정함으로써 전압새그 보호장치(100)에서 부하 측에 전원이 공급되도록 한다(ST14).
VSP 장애 상태이면(ST15), VSP 장애 모드로 동작시켜 외부 전원으로부터 부하 측에 전원이 공급되도록 한다. 즉, VSP 바이패스 스위치(110)와 초고속 긴급스위치(160)와 EBS 바이패스 스위치(210)를 오프로 설정하고, 하드웨어 바이패스 스위치(220)를 온으로 설정함으로써, 외부 전원으로부터 부하 측으로 전원이 공급되도록 한다(ST16).
이상에서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로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적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긴급 바이패스 장치를 사용하여 외부 전원의 순간정전을 보상하는 전체 시스템을 구성한 도면,
도 2는 전압새그 보호장치(VSP)와 긴급 바이패스 장치(EBS)의 상세회로도,
도 3은 시스템 운전 모드에 따라 전원이 공급되는 경로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정상운전 모드에 따른 스위치 상태를 보인 개념도,
도 5는 전원장애 모드에 따른 스위치 상태를 보인 개념도,
도 6은 VSP 장애 모드에 따른 스위치 상태를 보인 개념도,
도 7은 전압새그 보호장치(VSP)의 디스플레이부의 예를 보인 도면,
도 8은 긴급 바이패스 장치(EBS)의 디스플레이부의 예를 보인 도면,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긴급 바이패스 장치의 기본 동작방법을 보인 흐름도,
도 10 내지 도 15는 긴급 바이패스 장치의 디스플레이 예를 나타낸 도면,
도 16은 긴급 바이패스 장치의 설정 파라미터를 나타낸 도면,
도 17은 정상운전 모드, 전원장애 모드, VSP 장애 모드에 따른 동작예를 보인 흐름도이다.

Claims (8)

  1. 삭제
  2. 외부 전원의 순간적인 전압 저하에 따른 순간정전을 보상하는 전압새그 보호장치의 출력단에 연결하여 상기 전압새그 보호장치의 오동작에 대비하기 위한 긴급 바이패스 장치로서,
    상기 외부 전원을 제공받고, 상기 전압새그 보호장치의 오동작이 센싱되는 경우 이를 보상해서 상기 외부 전원에서 부하 측으로 전원이 공급되도록 바이패스하고,
    상기 긴급 바이패스 장치는,
    상기 전압새그 보호장치의 출력 전원을 전달받고, 바이패스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출력단으로 온/오프 설정되는 EBS 바이패스 스위치;
    상기 외부 전원을 전달받고, 바이패스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출력단으로 온/오프 설정되는 하드웨어 바이패스 스위치; 및
    상기 EBS 바이패스 스위치와 상기 하드웨어 바이패스 스위치의 온/오프 동작을 제어하는 바이패스 제어부;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긴급 바이패스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바이패스 제어부는, 정상운전 모드 동작시, 상기 EBS 바이패스 스위치를 온으로 설정하고 상기 하드웨어 바이패스 스위치를 오프로 설정하여, 상기 전압새그 보호장치와 상기 긴급 바이패스 장치가 바이패스 되도록 하여 상기 외부 전원으로부터부하 측으로 전원이 공급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긴급 바이패스 장치.
  4. 청구항 2 또는 3에 있어서,
    상기 바이패스 제어부는, 전원장애 모드 동작시, 상기 EBS 바이패스 스위치를 온으로 설정하고 상기 하드웨어 바이패스 스위치를 오프로 설정하여, 상기 전압새그 보호장치로부터 부하 측으로 전원이 공급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긴급 바이패스 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바이패스 제어부는, VSP 장애 모드 동작시, 상기 EBS 바이패스 스위치를 오프로 설정하고 상기 하드웨어 바이패스 스위치를 온으로 설정하여, 상기 외부 전원으로부터 부하 측으로 전원이 공급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긴급 바이 패스 장치.
  6. 삭제
  7. 외부 전원의 순간적인 전압 저하에 따른 순간정전을 보상하는 전압새그 보호장치의 출력단에 연결하여 상기 전압새그 보호장치의 오동작에 대비하기 위한 긴급 바이패스 장치의 동작 방법으로서,
    전원의 정상 공급 상태이면, 상기 전압새그 보호장치와 상기 긴급 바이패스 장치가 바이패스되도록 설정하여 상기 외부 전원으로부터 부하 측으로 전원이 공급되도록 스위칭 설정하는 제 1 단계;
    전원의 일시 장애 상태이면, 상기 전압새그 보호장치의 출력단로부터 부하 측으로 전원이 공급되도록 스위칭 설정하는 제 2 단계; 및
    상기 전압새그 보호장치의 장애 상태이면, 상기 외부 전원으로부터 부하 측으로 전원이 공급되도록 스위칭 설정하는 제 3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 2 단계는, 상기 전압새그 보호장치의 출력 전원과 출력단을 연결하는 EBS 바이패스 스위치를 온으로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외부 전원과 출력단을 연결하는 하드웨어 바이패스 스위치를 오프로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긴급 바이패스 장치의 동작 방법.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제 3 단계는, 상기 전압새그 보호장치의 출력 전원과 출력단을 연결하는 EBS 바이패스 스위치를 오프로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외부 전원과 출력단을 연결하는 하드웨어 바이패스 스위치를 온으로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긴급 바이패스 장치의 동작 방법.
KR1020070112457A 2007-11-06 2007-11-06 순간정전 보상을 위한 긴급 바이패스 장치 및 동작 방법 KR1009493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2457A KR100949351B1 (ko) 2007-11-06 2007-11-06 순간정전 보상을 위한 긴급 바이패스 장치 및 동작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2457A KR100949351B1 (ko) 2007-11-06 2007-11-06 순간정전 보상을 위한 긴급 바이패스 장치 및 동작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46360A KR20090046360A (ko) 2009-05-11
KR100949351B1 true KR100949351B1 (ko) 2010-03-26

Family

ID=408562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12457A KR100949351B1 (ko) 2007-11-06 2007-11-06 순간정전 보상을 위한 긴급 바이패스 장치 및 동작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4935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3743B1 (ko) * 2012-11-12 2013-02-18 김승석 순간정전보상장치 교체시스템
KR101246036B1 (ko) * 2012-08-16 2013-04-05 (주)웨스코 순간전압보상장치의 바이패스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18674A (ja) 2001-01-18 2002-08-02 Toshiba Corp 無停電電源システムおよびその運転方法
KR100509263B1 (ko) 2004-04-21 2005-08-22 주식회사 크로마아이티 온/오프라인 복합형의 고효율 무정전전원장치
KR20060008007A (ko) * 2004-07-23 2006-01-26 (주)아세아이엔티 듀얼 방식의 무정전 전원장치
JP2006246616A (ja) * 2005-03-03 2006-09-14 Nec Corp 無停電電源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18674A (ja) 2001-01-18 2002-08-02 Toshiba Corp 無停電電源システムおよびその運転方法
KR100509263B1 (ko) 2004-04-21 2005-08-22 주식회사 크로마아이티 온/오프라인 복합형의 고효율 무정전전원장치
KR20060008007A (ko) * 2004-07-23 2006-01-26 (주)아세아이엔티 듀얼 방식의 무정전 전원장치
JP2006246616A (ja) * 2005-03-03 2006-09-14 Nec Corp 無停電電源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6036B1 (ko) * 2012-08-16 2013-04-05 (주)웨스코 순간전압보상장치의 바이패스장치
KR101233743B1 (ko) * 2012-11-12 2013-02-18 김승석 순간정전보상장치 교체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46360A (ko) 2009-05-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72177B2 (en) Control system, method and product for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US791135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tection of AC-DC power converters
KR101009483B1 (ko) 순간정전보상장치
KR101400693B1 (ko) 부하에 직류전원을 끊김 없이 공급하는 무정전 직류전원장치
CN104426236B (zh) 电源供应转换系统及其控制方法
CN107257160B (zh) 一种直流操作电源系统及其控制方法
CN103296738A (zh) 一种双重备用节约型直流供电系统
CN104333111A (zh) 直流不断电系统及装置
KR101282863B1 (ko) 이중화 무정전 전원장치
CN103490409B (zh) 一种微网运行模式切换控制方法
KR100949351B1 (ko) 순간정전 보상을 위한 긴급 바이패스 장치 및 동작 방법
US8829714B2 (en)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and power supplying method thereof
JP5506559B2 (ja) 電源遮断装置、テーブルタップおよび分電盤
CN206759151U (zh) 智能型ups系统
KR101430577B1 (ko) 3상 서보 드라이버용 순간정전보상장치
RU2410816C2 (ru) Устройство гарантированного электроснабжения ответственных потребителей
US20160268926A1 (en) Dc/ac converter apparatus configurable as grid-connected or stand-alone and power conversion and generation system comprising such dc/ac converter apparatus
CN203301212U (zh) 一种双重备用节约型直流供电系统
CN206939100U (zh) 固态配电装置sspc通道的机上测控电路
CN103001253B (zh) 适于低压穿越要求的光伏逆变器供电系统及其供电方法
JP2016127708A (ja) 充放電システム
CN103414240A (zh) 直流电源自动控制装置
CN210380253U (zh) 多功能在线式变电站直流母线防失压系统
KR200438765Y1 (ko) 순간정전보상장치
JP2013090524A (ja) 無停電電源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0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3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30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