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48237B1 - 최소 단자를 갖는 전열기 - Google Patents

최소 단자를 갖는 전열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48237B1
KR100948237B1 KR1020090003744A KR20090003744A KR100948237B1 KR 100948237 B1 KR100948237 B1 KR 100948237B1 KR 1020090003744 A KR1020090003744 A KR 1020090003744A KR 20090003744 A KR20090003744 A KR 20090003744A KR 100948237 B1 KR100948237 B1 KR 1009482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ing wire
heater
heating
heat
turn rectifi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037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48404A (ko
Inventor
길종진
Original Assignee
길종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길종진 filed Critical 길종진
Priority to KR10200900037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48237B1/ko
Publication of KR200900484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484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482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482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02Detail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1/00Details of electric heating devices
    • H05B1/02Automatic switch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to apparatus ; Control of heating devic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02Details
    • H05B3/06Heater elements structurally combined with coupling elements or holde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40Heating elements having the shape of rods or tubes
    • H05B3/54Heating elements having the shape of rods or tubes flexible
    • H05B3/56Heating cabl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2203/00Aspects relating to Ohmic resistive heating covered by group H05B3/00
    • H05B2203/026Heaters specially adapted for floor heating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2213/00Aspects relating both to resistive heating and to induction heating, covered by H05B3/00 and H05B6/00
    • H05B2213/07Heating plates with temperature control means

Landscapes

  • Central Heating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 장판, 전기요, 전기 찜질기 등의 온열기, 전열기에 사용되는 전열선이 설치되는 전열기와 이에 접속되어 발열량, 가열 온도 등을 조절하기 위한 전열조절기와 관련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이중의 열선 단부를 연결하기 위한 유턴정류부를 전열조절기가 아닌 전열기 측에 구비하도록 하여, 전열기와 전열조절기 간의 접속을 위한 핀, 단자의 접촉 개소를 최소화하여 접촉 불량을 감소시킴은 물론 원재료의 소모를 줄여 제조원가를 절감시키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유턴정류부를 전열조절기가 아닌 전열기 측에 구비하도록 하여, 전열기와 전열조절기 간의 접속을 위한 핀, 단자의 접촉 개소를 최소화하여 접촉 불량을 감소시킴은 물론 원재료의 소모를 줄여 제조원가를 절감시키기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유턴정류부를 전열조절기 측에 설치하지 않도록 하여, 전열조절기의 구성을 단순화, 소형화 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Description

최소 단자를 갖는 전열기 {Heater}
본 발명은 전기 장판, 전기요, 전기 찜질기 등의 온열기, 전열기에 사용되는 전열선이 설치되는 전열기와 이에 접속되어 발열량, 가열 온도 등을 조절하기 위한 전열조절기와 관련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이중의 열선 단부를 연결하기 위한 유턴정류부를 전열조절기가 아닌 전열기 측에 구비하도록 하여, 전열기와 전열조절기 간의 접속을 위한 핀, 단자의 접촉 개소를 최소화하여 접촉 불량을 감소시킴은 물론 원재료의 소모를 줄여 제조원가를 절감시키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기장판, 전기요, 전기 찜질기 등의 전열 침구류, 온열기에는 내부에 전열선, 발열선이 내장되어 있어서, 전열선에 전원을 공급하면 열을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전열선 주변의 온도를 감지하거나 또는 사용자의 선택에 상응하게 전원 공급을 제어하는 전열조절기가 필수적으로 구성되어 있다.
종래의 침구류 등에 사용되는 전열선은 평행하게 배열되어 있는 두 개의 금속 전열선 중 한쪽 끝단에 유턴정류기를 구비하는 것이 존재한다. 종래 특허공개 10-2008-0003703호로 공개된 온도조절기에서는 2개의 열선의 단부에 유턴정류기를 구비하는 장치에 대해 개시되어 있다.
전열선은 중심에는 제1열선이 구비되고, 그 외측에는 NTC써미스터(플라스틱 나일론 NTC 온도센서), 제2열선이 순차적으로 감기게 된다. 제2열선의 외측에는 피복, 쉴드 및 외측피복이 순차적으로 감겨져 있는데, 경우에 따라서는 쉴드와 외측피복은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다. 제1열선과 제2열선은 후단부가 유턴정류부에 의해 상호 연결되며, 이에 병렬로 온도검출부와 트리거발생부가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NTC써미스터를 사용하여 온도를 감지, 자체 제어할 수 있는 전열선에 있어서, 유턴정류부는 제1열선과 제2열선의 단부에 필수로 연결되어야 한다. 온도검출부의 제어에 의해서 가열전류가 도통될 때 전원과 연결된 제2열선으로부터 제1열선의 반대편단과 전원측단을 통해 전원측으로 가열전류가 되돌아 흐르도록 하는 유턴정류부는 트리거 신호에 의해서 도통될 때 전원과 연결된 제2열선의 후단으로부터 제1열선의 후단을 지나 선단을 통해 전원측으로 가열전류가 유턴하여 흐르도록 한다. 유턴정류부는 전력제어용 실리콘 제어 정류기(Silicon-Controlled Rectifier)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유턴정류부를 통해 제1열선으로 되돌아 나온 전류는 전원으로 돌아오므로 전열선을 무자계로 가열시키게 된다.
본 발명은 이러한 유턴정류부를 사용하여 온도를 감지하고, 전류를 유턴시키는 방식의 전열기구에 사용되는 것으로서, 이하 첨부된 종래의 구성을 통해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통상적인 전열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전기요와 같은 전열기(200)에는 전열선(210)이 구비구비 배치되어 있고, 이는 일측의 접속구(220)로 연결된다. 외측에 별도로 구비되는 전열조절기(100)는 온도, 가열량을 조절하는 구성으로서 전선(300)과 커넥터(310)를 통해 접속구(220)와 연결된다.
도 2는 종래의 접속구와 커넥터의 연결 관계 및 전열조절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은 도 2의 구성을 단순화하여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전열선(210)은 내외측의 제1열선(212)과 제2열선(214)을 포함하고, 양단의 제1, 2열선들은 각각의 단자, 즉 4개의 핀(221~224)에 연결된다. 접속구(220)에 끼워지는 커넥터(310)에는 상기 핀들과 접촉되기 위한 소켓(311~314)이 4개 구비되어 있으며, 이는 제1~4선(311a~314a)을 통해 전열조절기(100)로 연결되고, 그 내의 회로부(110)로 접속된다. 회로부(110)에는 유턴정류부(120)가 구비되어 있으며, 제2선(312a)과 제3선(313a)이 유턴정류부(120)에 연결된다.
따라서 제1선(311a)을 따라 흐르는 전류는 소켓(311)을 통해 핀(221)으로 입력되면, 제1열선(212)으로 흘러 들어간다. 이는 전열선(210)을 따라 흐르며 핀(223)과 소켓(313), 제3선(313a)을 통해 유턴정류부(120)로 입력되면, 유턴정류부에서 유턴된 전류는 제2선(312a), 소켓(312), 핀(222)를 따라 제2열선(214)으로 입력되어 전열선을 따라 흐르게 된다.
이와 같이 제1열선(212)과 제2열선(214)의 사이를 연결하는 유턴정류부(120)는 전열조절기(100) 내에 설치되어 있어, 연결을 위한 구성으로 최소 4개의 핀, 소켓을 구비하여 상호 연결하여야 한다.
이와 같이 종래부터 유턴정류부를 연결하기 위해 사용되던 구성은, 최소 4개의 접속 단자를 구비하여야 하였다.
본 발명은 유턴정류부를 연결하기 위해 제1열선과 제2열선과 접속되는 단자의 수를 감소시키는 구성의 전열기와 전열조절기 조합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접속을 위한 단자의 수를 최소화하여 단자 접촉 오류를 줄이고, 부품 수를 최소화한 전열기와 전열조절기 조합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은, 열을 발생시키는 전열장치와 상기 전열장치의 발열을 제어하기 위한 전열조절기를 구비하고, 상기 전열장치에 구비되는 접속구와 상기 전열조절기에 구비되는 커넥터가 결합되어 연결되는 전열기에 있어서, 상기 전열장치에는 발열을 위한 전열선이 구비되고, 상기 전열선은 내외로 배치되는 제1열선과 제2열선을 포함하고, 상기 제1열선과 상기 제2열선의 단부는 유턴정류부를 통해 유턴되도록 연결되고, 상기 제1열선과 상기 제2열선은 상기 전열장치에 구비되는 접속구의 단자와 각각 연결되고, 상기 유턴정류부는 상기 전열장치측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최소 단자를 갖는 전열기를 제공한다.
상기 유턴정류부는 상기 전열장치 내의 일측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유턴정류부는 상기 접속구 내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접속구는 상기 제1열선과 연결되는 제1단자 및 상기 제2열선과 연결되는 제2단자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유턴정류부를 전열조절기가 아닌 전열기 측에 구비하도록 하여, 전열기와 전열조절기 간의 접속을 위한 핀, 단자의 접촉 개소를 최소화하여 접촉 불량을 감소시킴은 물론 원재료의 소모를 줄여 제조원가를 절감시키기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유턴정류부를 전열조절기 측에 설치하지 않도록 하여, 전열조절기의 구성을 단순화, 소형화 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의 구성을 상세히 살펴보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유턴정류부와의 연결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전열기(200) 내의 특정 위치에 유턴정류부(120)가 별도로 구성되어 있으며, 전열선(210)의 제1열선(212)과 제2열선(214)은 한 쪽이 각각 접속구(220)의 제1핀(221)과 제2핀(224)에 연결되고 다른 쪽은 유턴정류부(120)와 연결되도록 한다.
제1열선(212)과 제2열선(214)의 일측 단부를 연결시키며 전열조절기(미도시) 내에 구비되어야 할 유턴정류부(120)가 별도로 독립되어 전열기(200)의 내측에 구비됨으로써, 접속구(220) 내에 접속, 연결해야할 핀의 수가 2개 감소하게 된다. 이에 대응되어, 전열조절기에 연결된 커넥터에 구비되어야 할 소켓의 수도 2개 감소하게 된다. 따라서 접속구(220)와 커넥터(310) 사이에는 2개의 핀과 소켓만으로 연결이 충족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유턴정류부와의 다른 연결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유턴정류부(120)를 접속구(220)의 내부에 기판을 마련하여 설치함으로써, 유턴정류부(120)가 설치될 공간까지도 절약하도록 할 수 있다.
도 6은 도 4의 구성을 단순화하여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7은 도 5의 구성을 단순화하여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제1열선(212)의 일 단부는 제1핀(221)에 연결되고, 타 단부는 유턴정류부(120)를 통해 제2열선(214)과 연결된다. 제2열선은 유턴정류부(120)와 연결되는 동시에 제2핀(224)과 연결되는데, 이에 대응되는 커넥터(310)에도 단 2개의 소켓(311, 314) 만 구비하면 모든 접속이 완성된다.
도 7을 참조하면, 모든 연결은 도 6과 동일하되 유턴정류부(120)가 접속구(220) 내에 설치됨으로써 접속구(220)에서 출력된 전류가 제1열선(212)을 통해 흘러 나갔다가 다시 흘러 들어와 접속구(220) 내의 유턴정류부(120)에서 유턴되어 제2열선(214)을 통해 접속구(220)로부터 다시 흘러 나갔다가 다시 돌아와 핀과 연결되는 구조이다.
이와 같이 유턴정류부를 전열조절기, 온도조절기와 분리하여 전열기 측, 즉 전기요, 전기매트의 일측이나, 접속구 내에 설치하도록 함으로써, 전열기와 전열조절기 사이를 연결하는 접속구와 커넥터 사이에 필요한 단자가 4쌍에서 2쌍으로 감소하였다. 따라서 접속 불량으로 인한 제품 불량의 위험도 반으로 감소하였으며, 단자의 수가 감소함에 따라 제품의 소형화는 물론 부품 절약으로 인한 원가 절감의 효과를 달성할 수 있게 되었다.
한편,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 1은 통상적인 전열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종래의 접속구와 커넥터의 연결 관계 및 전열조절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구성을 단순화하여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유턴정류부와의 연결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유턴정류부와의 다른 연결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4의 구성을 단순화하여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5의 구성을 단순화하여 나타내는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전열조절기 120 : 유턴정류부
200 : 전열기 210 : 전열선
212 : 제1열선 214 : 제2열선
220 : 접속구 221, 222, 223, 224 : 핀
300 : 전선 310 : 커넥터
311, 312, 313, 314 : 소켓

Claims (4)

  1. 열을 발생시키는 전열장치와 상기 전열장치의 발열을 제어하기 위한 전열조절기를 구비하고, 상기 전열장치에 구비되는 접속구와 상기 전열조절기에 구비되는 커넥터가 결합되어 연결되는 전열기에 있어서,
    상기 전열장치에는 발열을 위한 전열선이 구비되고,
    상기 전열선은 내외로 배치되는 제1열선과 제2열선을 포함하고,
    상기 제1열선과 상기 제2열선의 단부는 유턴정류부를 통해 유턴되도록 연결되고,
    상기 제1열선과 상기 제2열선은 상기 전열장치에 구비되는 접속구의 단자와 각각 연결되고,
    상기 유턴정류부는 상기 전열장치측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최소 단자를 갖는 전열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턴정류부는 상기 전열장치 내의 일측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최소 단자를 갖는 전열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턴정류부는 상기 접속구 내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최소 단자를 갖는 전열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구는 상기 제1열선과 연결되는 제1단자 및 상기 제2열선과 연결되는 제2단자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최소 단자를 갖는 전열기.
KR1020090003744A 2009-01-16 2009-01-16 최소 단자를 갖는 전열기 KR1009482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3744A KR100948237B1 (ko) 2009-01-16 2009-01-16 최소 단자를 갖는 전열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3744A KR100948237B1 (ko) 2009-01-16 2009-01-16 최소 단자를 갖는 전열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48404A KR20090048404A (ko) 2009-05-13
KR100948237B1 true KR100948237B1 (ko) 2010-03-18

Family

ID=408575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03744A KR100948237B1 (ko) 2009-01-16 2009-01-16 최소 단자를 갖는 전열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48237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9044B1 (ko) 2005-06-08 2007-04-18 (주) 유니플라텍 발열 및 발광 기능을 갖는 방한보조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9044B1 (ko) 2005-06-08 2007-04-18 (주) 유니플라텍 발열 및 발광 기능을 갖는 방한보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48404A (ko) 2009-05-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90067824A1 (en) Water heater Module
US20170085043A1 (en) Power extension wire
KR20060105092A (ko) 안전장치를 구비하는 심플형 유해 전자파 차단 조절기 및이에 사용되는 전자파 차단 발열선
JP5313597B2 (ja) 凍結防止ヒーターおよびその凍結防止システム
KR100948237B1 (ko) 최소 단자를 갖는 전열기
CA2593651A1 (en) Heating device with thermostat switch
JP5313598B2 (ja) ヒーター用ケーブルとそれを備えた凍結防止ヒーター
US10859056B2 (en) Electronic control for engine block heater elements
KR20100042197A (ko) 고 효율 전기매트
CA2500760A1 (en) Improvement in a through-flow fluid heater tube
US20080236405A1 (en) Heat detecting device and cooking apparatus using the same
KR20220031196A (ko) 카본 블록 히터를 이용한 동파 방지 장치
CN211316582U (zh) 用于热水器的温控器及具有该温控器的热水器
KR20150015701A (ko) 물가열장치
KR20140065301A (ko) 차량용 열선 커넥터 장치
CN208837622U (zh) 瓶装水即热式开水机
CN217937886U (zh) 蒸汽发生器及烹饪器具
CN217736478U (zh) 一种进出水防干烧电热龙头
CN213148118U (zh) 温度检测装置及壁挂炉的控制系统
CN216531816U (zh) 液体恒温加热器
KR200350562Y1 (ko) 전열식 매트의 히터선 배선구조
CN210345912U (zh) 热水器
JP2012065845A (ja) サウナバス用加熱制御装置
KR100579439B1 (ko) 정온도계수 써미스터를 이용한 온수히터
KR200439570Y1 (ko) 전열매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0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1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1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1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1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11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