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48179B1 - 자동 보정 기능을 가지는 차량용 전자시계 및 차량용전자시계의 자동 보정 방법 - Google Patents

자동 보정 기능을 가지는 차량용 전자시계 및 차량용전자시계의 자동 보정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48179B1
KR100948179B1 KR1020080007678A KR20080007678A KR100948179B1 KR 100948179 B1 KR100948179 B1 KR 100948179B1 KR 1020080007678 A KR1020080007678 A KR 1020080007678A KR 20080007678 A KR20080007678 A KR 20080007678A KR 100948179 B1 KR100948179 B1 KR 1009481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ock
unit
rtc
external
proces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076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81682A (ko
Inventor
허수영
김성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니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니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니크
Priority to KR10200800076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48179B1/ko
Publication of KR200900816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816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481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481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4HOROLOGY
    • G04GELECTRONIC TIME-PIECES
    • G04G5/00Setting, i.e. correcting or changing, the time-indication
    • G04G5/02Setting, i.e. correcting or changing, the time-indication by temporarily changing the number of pulses per unit time, e.g. quick-feed method
    • GPHYSICS
    • G04HOROLOGY
    • G04GELECTRONIC TIME-PIECES
    • G04G3/00Producing timing puls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ic Clocks (AREA)

Abstract

발진을 담당하는 클럭 소자, 표시부, 클럭 소자와 연결되는 RTC부, RTC부와 연결되는 프로세서, 프로세서와 연결되며 입력수단에 의해 RTC의 오차값과 오차수정 주기를 포함하는 외부 설정값을 저장하는 비휘발성 메모리, 프로세서와 연결되며 외부 장치와 연결되어 정보 및 신호를 송수신 할 수 있는 통신부, 프로세서와 연결되며 표시부를 구동하는 드라이버부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차량용 전자시계가 개시된다. 이때, 외부 장치 가운데 외부 측정 장치는 통신부를 통해 전달받은 RTC의 출력 신호를 처리(측정)하고 MCU에 측정 결과를 바로 입력시켜 비휘발성 메모리에 그 측정 결과를 저장시킬 수 있는 외부 입력 장치를 겸하는 가령 컴퓨터 장치일 수 있다.
따라서, 이런 장치를 이용하면 외부 컴퓨터 내의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전자시계 자체의 시각 오차값을 측정하고, 그 결과를 내부 메모리에 자동입력하여 주기적인 자체 보정을 수행할 수 있다.

Description

자동 보정 기능을 가지는 차량용 전자시계 및 차량용 전자시계의 자동 보정 방법{electron clock for vehicle enabling self correction and method of correcting the same}
본 발명은 기준 주파수 발진자를 가지는 전자시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자동 보정 기능을 가지는 차량용 전자시계에 관한 것이다.
통상의 기계식 시계에 비해 보다 정확한 시각을 알려줄 수 있는 전자시계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전자시계는 수정 등 물질 고유의 발진 주파수를 이용하여 시각을 계산하고 나타내게 된다. 시계는 개인이 소지하거나 생활공간에 비치하기 위해 자체만으로 사용되는 외에 현재 각종의 생활 기구에 부가적으로 설치되어 사용되고 있다.
또한, 전자시계의 한 기본 형태 혹은 한 부분으로서, 컴퓨터, 통신기기 등 실시간 정보를 필요로 하는 각종 전자기기에서는 실시간의 흐름에 따라 원하는 시점에서 사용자가 요구하는 작업을 수행하도록 실시간을 연산하여 출력하는 알티씨(RTC : Real Time Clock)가 마이크로프로세서 등 제어부에 함께 설치되어 사용되는 경우가 많다.
차량에도 각종의 전자 장비의 장착이 일반화되고 있으며, 시계도 통상적으로 RTC 형태의 전자시계가 장착되어 사용되고 있다.
RTC는 일반적으로 발진주파수 32.768Khz, 4.194304Mhz 등의 수정 발진자나, 세라믹 발진자 등 클럭 소자와 연결되어 클럭 신호를 발생시킨다. 그러나, 이러한 클럭 신호는 여러 가지 이유로 한 주기 동안 약 20ppm 정도의 오차를 발생시킬 수 있다. 가령, 클럭 소자는 온도, 습도, 대기압 등의 환경 요인에 따라 발진주파수를 변화시켜 오차를 발생시킨다. 또한, 클럭 소자 자체의 특성에 의해 오차가 발생한다. 이런 오차에 의해 시간이 지남에 따라 표시되는 시각은 정확한 시각과 점차 큰 폭으로 차이를 가지게 된다.
따라서, 종래의 차량용 전자시계에서는 전자시계의 오차를 측정하여 전자시계 내부의 RTC에 연결되는 캐퍼시터에 그 오차에 해당하는 용량의 보조 캐퍼시터 혹은 부하 캐퍼시터(cX)를 부가하여, 결국 RTC에 연결되는 전체 캐퍼시터의 용량을 조절함으로써 클럭 소자에 기인하는 시간 오차를 보정하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그러나, 이런 종래의 방법은 측정된 오차에 따른 적정한 용량의 보조 캐퍼시터를 선택하여 이를 전자시계에 부속된 회로기판의 해당 위치에 설치하고 납땜하는 방법으로 이루어져 보정 작업이 매우 번거로웠다. 더욱이, 보조 캐퍼시터는 일일히 적정 용량의 것을 제작할 수는 없으므로 미리 몇 가지 용량의 보조 캐퍼시터를 제작하여 준비하고, 측정된 오차에 가장 근접한 해당 용량의 캐퍼시터를 사용하게 되므로 보정 후에도 어느 정도의 부정확성이 생기게 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차량용 전자시계 보정 방법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보조 캐퍼시터를 납땜으로 설치하는 번거로움을 없앨 수 있고, 종래에 비해 보다 정확한 시간 오차 보정이 이루어질 수 있는 차량용 전자시계 보정 방법 및 차량용 전자시계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차량용 전자시계는
발진을 담당하는 클럭 소자, 표시부, 상기 클럭 소자와 연결되는 RTC부, 상기 RTC부와 연결되는 프로세서, 상기 프로세서와 연결되며 입력수단에 의해 상기 RTC의 오차값과 오차수정 주기를 포함하는 외부 설정값을 저장하는 비휘발성 메모리, 상기 프로세서와 연결되며 외부 장치와 연결되어 정보 및 신호를 송수신 할 수 있는 통신부, 상기 프로세서와 연결되며 상기 표시부를 구동하는 드라이버부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차량용 전자시계에서 상기 RTC부, 상기 프로세서, 상기 비휘발성 메모리, 상기 통신부의 신호 변환 회로부 및 상기 드라이버부는 하나의 반도체 칩으로 이루어져, MCU(micro control unit)를 이룰 수 있으며, 이 반도체칩은 자체 단자를 통해 전원과 상기 클럭 소자, 상기 표시부, 전자 시계 자체의 입력장치 혹은 RTC에 대한 외부 측정 장치를 포함한 외부의 입력 장치와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외부 장치 가운데 외부 측정 장치는 상기 통신부를 통해 전달받은 RTC의 출력 신호를 처리(측정)하고 MCU에 측정 결과를 바로 입력시켜 상기 비휘발성 메모리에 그 측정 결과를 저장시킬 수 있는 외부 입력 장치를 겸하는 장치, 가령 컴퓨터 장치일 수 있다. 이런 경우, 컴퓨터 장치의 통신부와 전자시계의 통신부는 서로 정보를 전달하고 전달받을 수 있도록 유형의 통신선을 통해 연결되거나, 적외선 통신등 무선 통신 수단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비휘발성 메모리로는 기입이 용이한 EEPROM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차량용 전자시계 보정 방법은 본 발명의 차량용 전자시계에서, 내장된 프로그램에 전자시계의 보정 주기를 설정하는 단계, RTC의 신호를 통신부를 통해 외부의 컴퓨터 장치의 측정부에 전달하여 보정 주기당 RTC의 시각 오차를 측정하는 단계, 측정된 오차값을 상기 전자시계의 통신부를 통해 상기 MCU로 전달하여 기억장치 (비휘발성 메모리)에 입력시키는 단계, 상기 보정 주기에 따라 상기 비휘발성 메모리에 입력된 상기 측정된 오차값을 반영하여 자동으로 시각을 보정하는 단계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시각 오차를 측정하는 단계와 측정된 오차값을 비휘발성 메모리에 입력시키는 단계는 측정 장치와 입력장치를 겸하는 컴퓨터와 같은 하나의 외부 장치에서 프로그램에 따라 자동으로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차량용 전자시계의 제조 후의 시험 과정(제조 공정 내의 보정공정이라고 볼 수도 있다)에서 외부 측정 및 입력 겸용 장치를 통해 클럭 소자 에 의한 시간 오차를 정확히 확인하고 이 정확한 수치를 프로그램에 의해 혹은 외부 장치를 통한 입력으로 비휘발성 메모리에 저장하여 일정 주기로 전자시계를 자동 수정할 수 있다. 그러므로, 장기적인 기간에 걸친 누적 오차로 인하여 차량용 전자시계의 표시시간이 표준시간과 많은 차이를 발생시키고, 이를 수정하기 위해 사용자가 일일이 시계를 수동적인 방법으로 보정하는 불편함을 없앨 수 있다.
또한, 종래와 같은 보조 캐퍼시터를 설치하는 번거로움을 없애 공정을 단축할 수 있다. 특히 EEPROM과 같은 전자적 기입이 가능한 비휘발성 메모리를 전자시계의 RTC 및 프로세서, 통신부 회로, 드라이버와 함께 원 칩으로 제작하여 사용할 경우, 부품 구성을 간단히 할 수 있으며, 전자시계에 전원 공급이 끊어진 후 다시 공급되는 경우에도 미리 설정된 값을 기억하여 가동기간 중에 계속 측정된 오차값을 반영할 수 있게 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구체적인 일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차량용 전자시계의 개략적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종래의 차량용 전자시계와 유사하게 본 실시예에서는 표시부(13)와 수정발진기로 이루어진 클럭 소자(11), 이들 표시부(13) 및 클럭 소자(11)와 연결되는 MCU(micro control unit:15)를 구비한다. 그러나, MCU(15)는 RTC(151)와 드라이버(157), 프로세서(153)와 함께 외부의 컴퓨터와 접속을 위한 통신부(159) 및 비휘발성 메모리(155)로서 EEPROM을 구비한다. 이들 MCU를 이루는 요소들은 반도체 장치의 발전에 따라 하나의 반도체 칩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가능하며, 이 하나의 반도체 칩 혹은 복수의 칩을 하나의 팩키지로 형성하여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통상 MCU(15)는 이를 구성하는 패키지에 복수 개의 연결 단자를 가진다. 여기서는 클럭 소자(11)를 RTC(151)와 별도인 것으로 하나 클럭 소자(11)를 RTC(151) 내의 한 요소로 생각하는 것도 가능하다.
전자시계(10)에는 또한, 외부와의 접속을 위한 통신부 외에 MCU에서 MCU 주변의 전자시계 내부 장치로 연결시키기 위한 내부 접속부(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다.
RTC(151)는 클럭 소자(11)와 연결되며, 내부에 클럭 소자(11)의 발진 주파수를 처리하여 가령 1Hz 혹은 1024Hz의 펄스 신호를 발생시키는 분주회로와, 분주회로의 출력을 받아 미리 입력된 연산 프로그램에 따라 연산을 하여 시각을 나타내는 신호로 변환시키는 계수 회로를 구비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도2는 RTC의 한 구성예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수정 발진기 클럭 소자(11)의 주파수 신호가 RTC의 카운터(41)로 입력되면 카운터(41)는 각 주파를 계수하고, 단위 시간인 1초 동안에 카운터(41)에서 계수된 수자는 미리 제1 레지스터(51)에 입력된 1초에 해당하는 주파수, 즉 발진주파수와 비교한다. 비교는 제1 비교기(43)를 통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카운터(41)에서 계수된 주파의 숫자와 발진주파수가 일치하면 제1 비교기(43)가 신호를 출력한다. 이 제1 비교기(43)의 출력 신호는 계 수 회로(45)에 대해서는 시간 계수 신호가 되어 시각을 변화시키며 한편으로 카운터(41)에 피드백 되어 카운터(41)의 계수를 리셋시키는 역할을 한다. 제1 레지스터(51)의 입력값인 발진주파수는 전자시계에 전원이 인가되어 가동될 때에 RTC와 연결된 프로세서(50)가 EEPROM(60)에 초기에 입력장치(70)를 통해 입력된 이상적 발진주파수 값을 프로세서 자체 레지스터나 RTC부의 레지스터(51)에 전달하여 기입될 수 있다.
RTC의 계수 회로(45)를 거친 출력 신호는 프로세서(50)로 입력되며, 프로세서(50)는 이 출력 신호를 그대로 드라이버에 중계하거나 드라이버에 적합한 상태로 변환하여 전달한다. 가령, 프로세서(50)에도 RTC와 유사하게 제2 비교기(미도시)와 제2, 3, 4 레지스터(미도시)가 있고, 제2 레지스터에는 수정 주기, 가령 1 시간이 입력되고, 제3 레지스터에는 이전의 수정이 이루어진 시각(가령 13시)이 기록된다. 종래의 수정 시각(13시)과 현재의 시각(14시)이 1시간의 차이가 난다면 제3 레지스터에는 현재의 시각(14시)이 기록되고 현재의 시각은 미리 제4 레지스터에 기입된 1시간당(보정 주기) 시각 오차값을 가감회로부를 통해 가감한 시각이 되도록 한다.
이때, 제4 레지스터의 1시간당 시각 오차값은 미리 정밀 측정 계기를 포함하는 외부 컴퓨터로 정밀하게 측정한 결과로서, 실행 프로그램에 의해 자동으로 전자시계의 통신부 및 프로세서를 통해 EEPROM의 정해진 기억 장소에 기록한 값이다.
다시 도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외부 컴퓨터(20)는 전자시계(10)의 통신부(159)와 연결되는 통신부(미도시) 가령, 전자시계의 통신부(159)가 시리얼 통신 방식을 따를 경우, 하나의 시리얼 포트(serial port)를 통해 통신선으로 전자 시계(10)와 연결된다. 외부 컴퓨터(20)의 정밀 주파수 측정 프로그램을 실행시키고, 전자시계의 시리얼 통신 방식의 통신부(159)를 통해 전자시계로부터 입력된 RTC의 주파수 신호, 가령 수정 발진기 클럭 소자(11)에서 RTC의 분주회로 및 프로세서를 거친 주파수 신호를 받아 그 정확한 주파수를 측정한다. 측정된 값은 외부 컴퓨터(20)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됨과 함께 키보드 등 별도의 입력장치 없이도 외부 컴퓨터(20) 내의 프로그램에 의해 동일한 통신경로를 역으로 따라 전자시계의 프로세서(153)로 전달된다. 전자시계의 프로세서(153)는 외부 컴퓨터(20)로부터 시리얼 통신을 통해 입력되는 해당 코드의 값을 EEPROM의 해당 메모리 주소에 저장한다. 외부 컴퓨터는 전자시계의 통신부(159)를 통해 프로세서(153)에 신호를 주어 EEPROM의 해당 주소에 저장된 오차값을 인출하여 확인하는 것도 가능하다.
각각의 통신부는 입력되거나 출력되는 신호의 변환을 위해 신호변환부를 가질 수 있으나, 간단한 형태의 신호 전송과 수신에는 별도의 신호변환부가 구비되지 않을 수도 있고, MCU(15)의 일부 단자와 단순히 연결을 시키는 커넥터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유형의 신호선을 가지는 경우를 나타내고 있으나, 적외선 포트를 통한 무선 통신 등 무선 통신이 사용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별도의 수동 입력이 없는 경우를 상정하고 있지만 외부 컴퓨터(20) 자체의 키보드 등의 입력장치를 이용하여 오퍼레이터가 오차값을 입력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프로세서에 제2 비교기와 제 2,3,4 레지스터 및 가감회로가 있는 것으로 상 정하나, 이들 부분은 RTC 내에 계수회로와 함께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1의 드라이버(157)는 가령, 비트 맵 또는 세그먼트 변환기의 역할을 하여 프로세서(153)의 신호를 표시부(13)에 전달하여 시각 표시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드라이버(157)는 또한 MCU(15) 내에 포함되지 않고 별도의 부분을 이루는 것으로 할 수도 있다.
표시부(13)는 다양한 형태의 디스플레이 패널이 이용될 수 있으며, 가령 LCD, EL 혹은 LED 소자를 이용한 표시형태가 정형적으로 이용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의 차량용 전자시계(10)에서는 일단 외부 측정 장치에 의해 클럭 소자 자체에 의한 시각 오차값이 일상의 범위에서 충분한 정밀도로 정확하게 가령 시간당 0.01초 단위로 측정될 수 있으며, 이 값을 MCU(15)의 단자를 통해 MCU(15) 내부에 구성된 비휘발성 메모리(155)인 EEPROM으로 간단하게 입력시킬 수 있다. 그러므로 위에서 살펴본 구성과 작용을 통해 입력된 값을 이용하여 자동적, 주기적으로 시각을 수정하여 주면 전자시계는 오랜 기간을 사용자가 수동 조작할 필요없이 정확한 시각을 지시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차량용 전자시계에서의 시각 오차값을 보정하는 방법의 측면에서 본 발명을 살펴보면, 본 발명의 차량용 전자시계(10)를 제작, 완성한 상태에서, 먼저, 전자시계의 기억장치에 내장된 프로그램에 전자시계의 보정 주기, 초기 시각을 포함하여 초기 설정값을 입력한다. 보정주기당 시각 오차값은 최초에는 0과 같은 임의의 값으로 한다. 통상 이러한 초기 설정값 입력은 전자시계에 전원을 연결하여 전자시계를 가동시키는 단계에 이어서 거의 동시적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혹은, 초기 구동 단계에서 초기 설정값은 별도로 입력되지 않고, 임의지정된 후, 이하 부분에서 언급되는 시각 오차값을 측정한 뒤 시각 오차값과 함께 입력되는 경우도 상정할 수 있다.
전원이 연결되고, 세팅이 이루어져 시각 표시가 가동되는 전자시계에서 프로세서가 RTC(151)의 신호를 시리얼 포트 형태의 통신부를 통해 외부 컴퓨터에 송출한다. 통신부에서 송출된 신호는 통신선 및 외부 컴퓨터의 시리얼 포트를 통해 입력된다. 외부 컴퓨터 내의 주파수 신호 정밀 측정부에서는 이 주파수 신호를 자체의 보다 정확한 주파수 신호와 비교한다. 이로써 단위 시간당 혹은 임의로 정해진 보정 주기당 RTC(151)의 시간 오차를 측정한다. MCU(15)의 단자 구성에 따라 RTC(151)의 신호는 직접 통신부를 통해 외부 측정 장비(20)로 입력될 수도 있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프로세서(153)를 통하여 MCU의 통신부로 전달되고, 외부 컴퓨터의 측정부로 입력되는 것으로 한다. 측정부에서는 전자시계의 실제 발진주파수와 명목 발진주파수의 차이를 검출하여 보정 주기당 시각 오차값을 계산하는 방법을 사용한다.
수정발진소자(크리스탈)를 이용한 전자시계에서 발진주파수 4.194304MHz의 크리스탈을 사용할 경우 22회 분주하면 1Hz로 줄어들어 이것을 1초로 간주할 수 있다. 실제로는 대부분 기본주파수(4.194304MHz)를 12회 분주하여 1024Hz가 나오도록 하고 이를 외부로 출력하여 정밀한 측정부를 가진 외부 컴퓨터(20)로 측정하여 그 오차를 확인하게 된다. 예를 들어, 보정 주기가 하루라면, 시계의 MCU의 통신부 통해 출력된 신호를 외부 컴퓨터의 측정부로 측정한 결과 1024.00759Hz가 되었을 경 우 출력 값에 하루치 초를 곱하고 다시 1024로 나눈 다음 하루치 초를 빼게 되면 +0.63이 나오고 이 값은 하루에 빨라지는 양이 초단위로 표시된 것이다. 이 값은 보정 주기당 시각 오차값이 되어 이 값을 가지고 보정을 실시한다.
오차값은 외부 컴퓨터의 프로그램에 따라 측정된 오차값이 별도의 입력수단 없이 통신을 통해 전자시계 MCU(15)의 EEPROM으로 입력될 수도 있고, 프로그램의 수동 모드를 통해 오퍼레이터가 그 오차값을 확인하고, 입력을 함으로써 전자시계의 EEPROM에 입력될 수도 있다. 입력과 동시에 EEPROM의 해당 주소에 저장되는 오차값을 다시 외부 컴퓨터의 표시장치에 표시되도록 하여 정확한 저장이 되었는 지 확인하는 과정이 포함될 수도 있다.
프로세서(153)에서는 보정 주기마다 EEPROM의 해당 주소에서 보정 주기당 시각 오차값을 불러와서 연산에 이용할 수도 있으나, 한번 세팅을 할 때 오차값을 프로세서(153) 내의 레지스터에 기억시키고 계속적으로 이용하는 것이 통상적이다. 이런 경우, 현재 프로세서의 레지스트에 기록된 초기 설정 오차값을 대체하기 위해서는 시계를 다시 한번 세팅하는 것이 필요할 수 있다. 이러한 세팅은 공장에서 전자시계에 전원을 차단하고, 포장, 운송, 납품한 뒤 사용자가 전자시계에 다시 전원을 인가하고 세팅하는 방법으로 자연스럽게 이루어질 수도 있다.
즉, 오차 값이 실제로 측정되고 EEPROM의 해당 주소에 기록되면 전자시계는 전원이 꺼진 상태로 포장, 운송, 납품될 수 있다. 초기 설정값, 보정 주기당 시각 오차값은 모두 비휘발성 메모리(155)인 EEPROM에 저장된 상태이므로 그대로 유지될 수 있다. 전원(미도시)이 다시 인가되면 정확한 시각을 맞추는 세팅 작업 전에 혹 은 후에 자동실행되는 초기 프로세스에 의해 MCU(15)의 프로세서(153)는 EEPROM이 초기 설정값, 측정되어 기록된 오차값을 MCU 내의 해당 레지스터에 기록시키고 시각을 표시부(13)에 표시하게 된다.
정상적인 시계 구동 상태에서 이미 입력된 보정 주기에 따라 비휘발성 메모리(155)에 입력된 측정된 오차값을 반영하여 자동으로 시각을 보정하게 된다.
기타, 통상의 전자시계의 구성 및 작용은 이미 잘 알려져 있는 것이므로 그 구성을 일일이 설명하는 것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상에서 한정된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요지를 변경하지 않으면서 다양한 형태로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음은 당연한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차량용 전자시계의 개략적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차량용 전자시계 내의 RTC의 한 구성예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Claims (5)

  1. 발진을 담당하는 클럭 소자, 표시부, 상기 클럭 소자와 연결되어 발진 신호를 받는 RTC부, 상기 RTC부의 발생 신호를 받도록 연결되는 프로세서, 상기 프로세서와 연결되며 외부 입력 수단에 의해 상기 RTC의 오차값과 오차수정 주기를 포함하는 외부 설정값을 저장하는 비휘발성 메모리, 상기 프로세서로부터의 신호를 받도록 연결되며 외부 측정 장치와의 신호 송수신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통신부, 상기 프로세서와 연결되며 상기 표시부를 구동하여 상기 표시부에 시각을 표시하도록 하는 드라이버부를 구비하며,
    발진을 담당하는 발진기는 상기 RTC부와 연결되는 상기 클럭 소자에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전자시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RTC부, 상기 프로세서, 상기 비휘발성 메모리, 상기 통신부, 상기 드라이버부는 하나의 반도체 칩을 내장한 하나의 패키지로 이루어지거나, 복수의 반도체 칩을 서로 연결시켜 내장한 하나의 패키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전자시계.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측정 장치는 측정부를 가지는 외부 컴퓨터이며,
    상기 통신부는 상기 외부 컴퓨터와 시리얼 통신으로 연결되어 상기 측정부가 측정한 결과인 상기 오차값이 직접 상기 외부 컴퓨터를 통해 상기 비휘발성 메모리 에 저장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전자시계.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비휘발성 메모리는 EEPROM인 것을 특징으로 차량용 전자시계.
  5. 제1 항의 차량용 전자시계의 시각 보정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전자시계에 내장되는 프로그램에 시계 보정 주기를 설정하는 단계,
    상기 RTC의 신호를 외부 측정 장비에 입력시켜 보정 주기당 시각 오차값을 측정하는 단계,
    측정된 상기 시각 오차값을 입력 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비휘발성 메모리에 입력시키는 단계,
    상기 보정 주기에 따라 상기 비휘발성 메모리에 입력된 상기 측정된 오차값을 반영하여 시각을 보정하는 단계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외부 측정 장비는 상기 입력장치와 일체로 형성되는 외부 컴퓨터로서, 상기 시각 오차값을 측정하는 단계와 상기 입력시키는 단계가 상기 외부 컴퓨터의 프로그램에 의해 별도의 오퍼레이터의 작업 없이 자동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전자시계의 시각 보정 방법.
KR1020080007678A 2008-01-24 2008-01-24 자동 보정 기능을 가지는 차량용 전자시계 및 차량용전자시계의 자동 보정 방법 KR1009481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7678A KR100948179B1 (ko) 2008-01-24 2008-01-24 자동 보정 기능을 가지는 차량용 전자시계 및 차량용전자시계의 자동 보정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7678A KR100948179B1 (ko) 2008-01-24 2008-01-24 자동 보정 기능을 가지는 차량용 전자시계 및 차량용전자시계의 자동 보정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1682A KR20090081682A (ko) 2009-07-29
KR100948179B1 true KR100948179B1 (ko) 2010-03-16

Family

ID=412929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07678A KR100948179B1 (ko) 2008-01-24 2008-01-24 자동 보정 기능을 가지는 차량용 전자시계 및 차량용전자시계의 자동 보정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4817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58692A (ko) 2018-11-20 2020-05-28 현대오트론 주식회사 차량용 실시간 클록 장치 및 그것의 동작 방법
KR20200058843A (ko) 2018-11-20 2020-05-28 현대오트론 주식회사 차량용 실시간 클록 장치 및 그것의 동작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8883Y1 (ko) * 2002-12-24 2003-03-29 유연화 디지털 타이머 시스템
KR20070016434A (ko) * 2005-08-03 2007-02-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알티씨 장치 및 알티씨 장치의 현재시각 보정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8883Y1 (ko) * 2002-12-24 2003-03-29 유연화 디지털 타이머 시스템
KR20070016434A (ko) * 2005-08-03 2007-02-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알티씨 장치 및 알티씨 장치의 현재시각 보정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58692A (ko) 2018-11-20 2020-05-28 현대오트론 주식회사 차량용 실시간 클록 장치 및 그것의 동작 방법
KR20200058843A (ko) 2018-11-20 2020-05-28 현대오트론 주식회사 차량용 실시간 클록 장치 및 그것의 동작 방법
US11429140B2 (en) 2018-11-20 2022-08-30 Hyundai Mobis Co., Ltd. Real time clock device for vehicl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1682A (ko) 2009-07-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128780B (zh) 时钟信号输出装置及其控制方法、电子设备及其控制方法
JP4950922B2 (ja) 時刻装置および可搬型電子機器
US8754630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easuring real time clock accuracy in an electric meter
US4903251A (en) Accuracy adjustment for time-of-day clock using a microcontroller
JP2002100414A (ja) 電池パック
US4448543A (en) Time-of-day clock having a temperature compensated low power frequency source
US779608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alibrating a global positioning system oscillator
US6590376B1 (en) Method of deriving a frequency of a pulse signal from alternate sources and method of calibrating same
WO1994016366A1 (en) Data transmission/reception system of electronic timepiece
KR100948179B1 (ko) 자동 보정 기능을 가지는 차량용 전자시계 및 차량용전자시계의 자동 보정 방법
EP0657793A1 (en) Radio-corrected electronic timepiece
WO2000058794A1 (fr) Dispositif electronique, dispositif de reglage externe de dispositif electronique et procede de reglage de dispositif electronique
KR100948178B1 (ko) 자동 보정 기능을 가지는 차량용 전자시계 및 차량용전자시계의 자동 보정 방법
JP2000199792A (ja) 時計装置及び時刻修正方法
CN102096440A (zh) 一种保持实时时钟电路高精度的方法
US20120065913A1 (en) Management device, management method, and program recording medium
JPS6015905B2 (ja) 電子式時計
JP4952406B2 (ja) 時刻補正方法、マイコン内部時計、電子制御ユニット
JP4711546B2 (ja) リアルタイムクロックの温度補正方法およびリアルタイムクロックを備えた処理装置
CN112286039A (zh) 钟表校准方法、装置及可读存储介质
US20110002197A1 (en) Integrated circuit for electronic timepiece and electronic timepiece
US10274899B2 (en) Thermocompensated chronometer circuit
EP0511573A2 (en) Clock with clock adjusting data memory
CN108572542A (zh) 一种指针校准方法、系统及指针装置
JP2003270369A (ja) リアルタイムクロックの時刻補正方法及び時刻補正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3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6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