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47838B1 - 다층지 및 이의 제조방법과 이를 사용한 우븐합지 - Google Patents

다층지 및 이의 제조방법과 이를 사용한 우븐합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47838B1
KR100947838B1 KR1020070077881A KR20070077881A KR100947838B1 KR 100947838 B1 KR100947838 B1 KR 100947838B1 KR 1020070077881 A KR1020070077881 A KR 1020070077881A KR 20070077881 A KR20070077881 A KR 20070077881A KR 100947838 B1 KR100947838 B1 KR 1009478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paper
pulp
weight
be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778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13615A (ko
Inventor
방봉진
최덕근
Original Assignee
그린포장 주식회사
방봉진
최덕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그린포장 주식회사, 방봉진, 최덕근 filed Critical 그린포장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778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47838B1/ko
Publication of KR200900136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136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478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47838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FPAPER-MAKING MACHINES; METHODS OF PRODUCING PAPER THEREON
    • D21F11/00Processes for making continuous lengths of paper, or of cardboard, or of wet web for fibre board production, on paper-making mach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2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21/00Non-fibrous material added to the pulp, characterised by its function, form or properties; Paper-impregnating or coating material, characterised by its function, form or properties
    • D21H21/14Non-fibrous material added to the pulp, characterised by its function, form or properties; Paper-impregnating or coating material, characterised by its function, form or properties characterised by function or properties in or on the paper
    • D21H21/16Sizing or water-repelling agent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21/00Non-fibrous material added to the pulp, characterised by its function, form or properties; Paper-impregnating or coating material, characterised by its function, form or properties
    • D21H21/14Non-fibrous material added to the pulp, characterised by its function, form or properties; Paper-impregnating or coating material, characterised by its function, form or properties characterised by function or properties in or on the paper
    • D21H21/18Reinforcing agents

Landscapes

  • Pap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재활용 고지(Old Corrugated Container: OCC)를 이용한 다층구조의 우븐합지 제조용 다층지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라 표면층은 천연펄프, 중간층은 고도 고해펄프. 이면층은 천연펄프와 고지펄프의 혼합펄프로 구성된 3층 구조의 우븐합지 제조용 다층지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별도의 전분접착제를 사용하지 않고도 층간 결합이 확실한 다층지를 제공함으로써 우븐합지 포대를 제조했을 때 발생하는 층간 박리현상으로 인한 포대의 파대비율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다층지, , 고지 펄프, 피피우븐합지

Description

다층지 및 이의 제조방법과 이를 사용한 우븐합지{Multi-ply Paper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and Woven Paper thereof}
본 발명은 다층지의 제조방법 및 이를 사용한 포대용 우븐합지에 관한 것이다. 좀더 상세하게는 이종 층간 결합력을 향상시켜 층간 박리현상을 감소시킴으로써 파대율을 줄인 다층지 및 이의 제조방법과 이를 사용한 포대제조용 우븐합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양어사료용 포대 및 화학제품용 포대는 방습과 누유 및 파손방지를 위해 피피우븐(Polypropylene Woven) 또는 표면을 크라프트지와 합지한 우븐합지를 외피로 하고 내피로는 비닐 백 또는 폴리에틸렌 필름을 외피 속에 넣은 이중 포대를 사용하여왔다. 그런데 이때 사용되는 우븐합지의 경우, 피피우븐에 결합되는 크라프트지는 현재까지 천연펄프(버진펄프)로 제조된 일반 크라프트지가 주로 사용되어 왔다. 일반 크라프트지는 강도가 월등하고 인쇄적성이 좋아서 수요자들이 선호하는 제품이었으나 제조원가가 고가일 뿐 아니라 원목펄프를 대부분 수입에 의존하고 있어 원료조달에 많은 문제가 상존하였다. 이에 천연펄프 크라프트지의 대체품으로 국산고지(KOCC) 내지는 수입고지(AOCC)를 원료로 사용하여 다층으로 포대 용지를 제조하는 많은 연구가 시도되었다.
다층지의 경우, 층간 결합은 초지 방법과 제품의 물성에 큰 영향을 미친다. 다시 말해 다층지는 단층으로 만드는 것에 비해 지압의 균일성 및 강도의 증가를 유도할 수 있는 반면, 층간 결합이 충분치 못하면 다층지의 가공성에도 문제가 있을 뿐만 아니라 박리 강도 내지는 종이 강도의 저하를 초래하여 파대 발생에도 큰 영향을 미치게 된다. 따라서 층간 결합을 충분히 제고시키는 문제는 다층지의 품질 및 가공성, 모두의 문제와 직결된다. 박리 강도는 다층지의 중요한 물성치의 하나이고, 층간 박리 강도는 압축 강도에도 필수적이다. 층간 결합력이 약하면 박리 강도를 위시해서 인장 강도, 충격 강도, 신장률 등에 결함이 발생한다. 특히, 다층지를 PP 우븐합지용으로 사용했을 때, 고지 층은 P.P우븐층과 결합이 되는데 P.P층과 고지층은 물성이 전혀 상이하여 결합력이 약한데다가 펄프층과 고지층도 신장강도와 인장 강도가 차이가 나서 인열 및 박리 등의 현상이 발생하게 되어 파대율이 증가하는 문제가 있다.
종래 다층지 제조기술에서는 층간 결합을 증진시키는 방법으로 전분 및/또는 피에이엠(Acrylamid-Acrylic acid copolymer: PAM) 등의 합성수지 접착제를 초지시 지료에 첨가하는 방법이 채택되었다.
특허등록 제10-0462185호에서는 펄프층 및 고지층으로 이루어진 크라프트지, 합성수지 코팅층 및 합성수지 직조물층으로 구성된 포대제조용 합지를 공개하고 있고, 공개특허 제10-2005-0052410호에서는 2이상의 초지 시이트를 초조하여 다층 크라프트지를 제조하되, 상기 초지시트는 버진펄프와 재활용 페지펄프로 구성되며 층 간 접착을 증진시킬 목적으로 전분과 같은 접착제를 지료에 첨가하여 다층으로 초지하는 다층 크라프트지를 공개하고 있으며, 특허등록 제10-0528320호 및 특허등록 제10-0528318호에서는 고지 재활용 포장용지를 제조하는 방법으로, 천연펄프 및 재생펄프 15∼50중량%와 골판지 고지 50∼85중량%를 혼합하여 이물질을 제거하고, 여기에 사이즈제, 정착제, 지력증강제 등을 첨가하여 여러 겹으로 초지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재활용 포장용지의 제조방법을 공개하고 있다.
상기 특허등록 제10-0462185호 및 공개특허 제10-2005-0052410호, 특허등록 제10-0528320호 및 특허등록 제10-0528318호 다층지의 경우, 표면층은 천연 펄프를, 이면층은 고지를 사용하되, 고지는 이물질을 제거하고 지력증강제 내지는 전분 등의 접착제를 첨가하여 초지함으로서 층간 결합력의 증대를 꾀하였으나, 기대하는 만큼의 바람직한 결과를 얻을 수가 없어 실용화가 어려운 실정이다. 이는 표면층과 이면층의 재질간의 물성차이로 인해 층간 결합력이 떨어지고, 접착된 두개의 층이 박리되는 현상이 발생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상기 선기술에서는 표층을 천연펄프와 재생펄프, 이면층은 고지(100%)를 사용하다 보니 표층과 이면층의 결합의 문제는 물론 충격을 가했을 때, 표층과 이면층과의 강도 차이가 많이 나서 이면층에 먼저 파열 및 인열이 일어나고, 뒤따라 표층도 균열이 생겨 종이 강도의 저하를 가져오고, 파대가 많이 발생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또 미국특허 USP 6,099,674호에서는 버진펄프와 재활용펄프를 전분접착제를 이용하여 라미네이팅시켜 포장재를 제조하는 방법을 공개하고 있으나 이 또한 우븐합지 포대 용도로 사용할 때 상기 선기술들과 마찬가지로 파대가 많이 발생하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자들의 연구에 의하면, 합지의 경우 이종 층간 결합은 층 사이를 단순히 표면접착만으로 접합시킨다는 것은 한계가 있음을 알게 되었고, 또 층간 결합은 합지 물성에 매우 중요하게 작용하는 인자라는 사실을 발견하게 되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다층지의 층간결합은 고해를 많이 한 펄프를 층간결합제로 첨가함으로써 결합력을 높여 박리강도를 증진시킬 수 있다는 사실을 발견하게 되어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연구결과에 기초한다. 종이의 박리 강도는 두께 방향에 있어서의 층간 강도를 말하며 인장강도와 관련된다. 인장 강도의 증가는 이종(異種)의 섬유를 사용하는 경우 섬유간의 결합수 증가에 기인하며 압축 강도 또한 선행되는 섬유간에 결합이 많을수록 증가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재생펄프인 고지를 다량 사용할 경우 동반되는 층간 박리강도 및 인장강도 저하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다층지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하나의 목적은 층간결합력이 양호하여 포대를 제조 했을 때 파대율을 감소시킬 수 있는 이종(異種) 펄프층으로 구성된 다층지 및 우븐합지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하나의 목적은 배 접착층인 이면층의 색이 배어나오지 않으며, 인쇄적성이 우수하여 선명한 표지색과 선명한 인쇄를 가능하게 하는 우븐합지용 다층지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재활용 고지(Old Corrugated Container: OCC)를 사용한 다층구조의 다층지 및 이를 이용하여 만든 이중 통포대용 우븐합지와 관련된다.
종래 우븐합지용 다층지의 제조는 층간 결합을 위해 주로 결합제로 전분을 지료에 첨가하거나 층 사이에 첨가하는 방법이 사용되어 왔다. 이 때 전분이 초지 조건하에서 충분히 호환되고 균일하게 뿌려져서 두개의 층을 잘 결합 시킬 경우는 문제가 없지만, 그렇지 못 할 경우 층간박리를 피할 수가 없다. 또한, 전분이 뿌려질 때 각 섬유층의 고형분과 섬유의 유연성 역시 중요 고려 대상이 되어야 한다. 접착제의 이동과 섬유끼리의 접촉면의 다소가 이들에 의해 결정되는 까닭에 층간 결합은 다층지의 물성에 매우 중요하다. 본 발명은 층간 결합에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고도 바람직한 층간결합을 얻을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고해를 많이 한 펄프, 즉 고도 고해펄프(Highly beaten pulp)를 표면층과 이면층 사이에 중간층으로 추가함으로써 달성된다. 본 발명은 초지시에 천연펄프로 된 표면층을 초지후, 200메쉬를 통과한 고도 고해펄프를 스프레이로 얇게 뿌려주고 그 위에 다시 혼합펄프를 초지해줌으로써 층간박리의 문제를 해결하였다. 물론 고도 고해펄프는 전분과 병행 사용도 가능하다. 또한 종래 다층지의 경우는 이면층의 색이 표면층으로 배어 나와 표면색상 내지는 인쇄가 불량하였으므로 지금까지는 원하는 색상을 내기 위해서는 염료로 조절하여 색을 내 왔으나 한계가 있었다. 하지만, 본 발명 방법을 적용함으로써 이면층의 고지 색상이 표층에 배는 현상을 현격히 줄일 수가 있다. 바로 이면층의 메이크업 효과를 낼 수 있어서 이면층의 색상비침을 최대한 줄이고 원하고자 하는 색상을 최대한 살릴 수가 있는 것이다. 즉, 본 발명에 따라 다층지의 중간층을 고도 고해펄프로 구성함으로써 지압, 평활도, 신장률, 인장강도, 파열강도, 인열강도, 압축강도, 박리강도 등의 강도가 신장되어서 지금껏 선기술이 이루지 못한 단점을 보완하고, 피피합지와 중 포장용 지대 등에서의 층간 박리현상으로 인한 문제점 내지는 인쇄 불량의 문제를 모두 해소할 수가 있게 된 것이다. 특히, 고지층이 먼저 파열되고, 뒤따라 표면층인 크라프트지층도 고지층을 따라 함께 파열되는 연동 박리현상을 줄일 수가 있다.
일반적으로 셀룰로오스 섬유는 고해공정을 통해 섬유의 표면구조에 글루코오스의 자유수산기 노출이 야기되고, 노출된 자유수산기는 섬유 간 결합을 보다 촉진시킨다. “강도 개선을 위한 분급된 OCC 펄프의 고농도 펄핑처리기술”이라는 연구논문(Journal of Korea TAPPI, Vol.37 No.4, 2005)에서는 고해작용이 섬유의 내부결합력을 파괴하여 장섬유를 소섬유화하고, 그 결과 섬유미세분이 많이 형성되어 섬유의 표면적이 증대되며, 표면적의 증대는 헤미셀룰로오스의 용출에 의한 교질성분의 증대로 이어져서 섬유간 결합력을 또한 촉진시킨다고 보고하고 있다. 이제까지 제지연구에 있어서 미세분 섬유의 첨가목적은 단층 종이의 강도향상을 기하려는데 그 목적을 두고 진행되어 왔다. 다층지에 있어서는 층 사이에 미세분 섬유층, 즉 섬유가루가 존재하면 층간 결합력을 약화시킬 수 있다는 우려로 층간 결합제로 사용하는 것이 배제되어 왔다. 하지만 본 발명자들의 연구에 의하면, 일반 예측과는 달리 다층지 제조 공정에서 고도 고해 섬유 미세분 일정량을 층간에 투입하게 되면, 이종 섬유간에도 결합력이 향상될 수 있다는 사실을 발견하게 되었고, 본 발명은 이러한 연구결과에 기초한다. 상기 연구결과에 의거 다층지 제조 공정에서 고도 고해펄프의 섬유 미세분 일정량을 층간에 투입하게 되면, 층 사이에 섬유간 결합력이 향상되고, 층간 박리현상을 감소시킬 수 있다는 추론이 가능하게 되었다. 본 발명에 따라 전분과 같은 결합제를 사용하지 않고도 다층지의 층간 결합을 향상시켜 박리 현상을 줄일 수 있는 방법이 제공된다. 지금까지 이러한 미세분 고도 고해 섬유를 중간층으로 사용하여 다층지를 제조하려는 시도는 없었다.
본 발명 다층지는 3층의 층구조를 갖는다. 본 발명 다층지의 표면층(Top)은 천연펄프, 중간층(Middle)은 고도 고해펄프, 이면층(Bottom)은 혼합펄프로 이루어진 3층 구조이다. 본 발명 표면층은 공지의 천연펄프, 중간층은 재생펄프(AOCC)를 200메쉬 이하의 크기로 고해한 고도 고해펄프이다. 이면층 지료는 10∼60중량%의 천연펄프와 40∼90중량%의 고지펄프를 혼합하여 제조한다. 본 발명 중간층으로 사용되는 고도 고해펄프는 24∼45°SR의 고해도를 가질 때 가장 효과적인 층간 결합력을 갖는다. 고해도가 24°SR 이하이면 수소결합이 떨어져서 결합력이 약하고, 45°SR 이상이면 물 빠짐이 느려서 공정진행에 지장을 초래한다. 본 발명 고해작업은 더블디스크리파이너(Double Disk Refiner, DDR)를 사용해서 200메쉬 체를 통과하는 크기로 미분된다. 이렇게 미분된 고도 고해펄프를 0.1∼0.3% 농도가 되도록 물로 희석한 후, 스프레이로 표면층 지필 위에 전체 지합의 1∼5중량%(단위면적당 0.8∼4g/㎡: 평량 80g/㎡ 기준)가 되도록 스프레이 하여 중간층을 형성시킨다.
본 발명은 다층지 형성에 매우 중요한 층간결합을 강화시켜 박리강도, 압축강도, 지합 등의 물성을 높인 것으로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합지용 용지 및 중포장 용지, 크라프트지 합지 대용으로서의 포장용지의 제조에 이용된다.
본 발명 다층지 제조공정은, 상기 중간층 지료 및 표면층, 이면층 지료를 해리공정(Pulper), 해리된 원료를 바스켓(Basket)을 통과 시켜 섬유를 정선하는 스크린 공정, 1차 정선된 원료를 클리너(Cleaner)를 통과시키고, 비중차를 이용하여 원심분리로 정선하는 크리닝공정, 농축된 원료의 섬유를 갈아서 유연하게 하는 고해공정(Double Disk Refining)을 거쳐 지필을 만들어서 초지한다. 상기 3가지 지료를 3단 라인(Three ply line)을 통해 표면층(Top), 중간층(Under-top) 스프레이, 이면층(Bottom) 순으로 초지하여 다층지를 제조한다. 각 플라이공정에서는 고해공정을 거친 후, 고해된 원료에 지력향상을 위한 공지의 약품들을 투입하는 조약공정을 거치게 되는데, 본 발명에서는 펄핑된 원료 100중량부에 사이즈제 1.5∼3중량부, 정착제(섬유보류제, 탈수촉진제) 0.04∼0.25중량부, 지력증강제 또는 전분 1∼2중량부, 염료 0.1∼0.2중량부 등을 첨가한 후, 압착탈수하고, 건조과정을 거쳐 원지평량 50∼125g/㎡의 다층지를 제조한다.
본 발명의 경우 초지공정에서 지력증강제 등의 약품 사용을 10∼20% 줄일 수가 있는데, 이는 경제적 측면에서, 또 화학약품의 사용을 줄여 공해발생을 감소시킬 수 있다는 측면에서도 유리하다. 이렇게 제조된 다층지는 우븐합지용 종이로, 또 우븐합지는 이중 통포대를 제조하기 위한 원지로 사용된다. 이중 통포대의 제조방법은 특허출원 10-2006-0108488호에 공지되어 있다.
이상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 다층지는 전분 등의 결합제를 지료에 첨가해 주거나 전분을 층간결합제로 사용한 종래 다층지에 비해 인장강도 및 인열강도가 상승적으로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예를 들어, 본원발명(실시예 2)와 선기술(비교예 1)을 비교하면, 인장강도가 가로 26%, 세로 42.8% 증가했으며, 인열강도는 가로 14.5%, 세로 28.3%, 또 충격강도는 가로가 135%, 세로가 84.8% 증가하였다. 상 기 충격강도 등의 대비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다층지는 종이의 품질의 핵심인자인 충격강도가 월등히 향상되어, 우븐합지 포대를 제조했을 때 발생하는 층간 박리현상으로 인한 포대의 파대비율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원발명의 우븐합지로 제조한 어류 사료포대는 부두 등의 이적작업 현장에서 5m 이상의 높이에서 던져도 파대가 거의 발생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거 상세히 설명한다. 본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구체예로서, 본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장섬유 재생펄프(AOCC)를 펄프농도 5%로 물에 풀어 펄퍼(Pulper)를 사용하여 해리시켰다. 해리된 원료는 스크린 공정, 크리닝 공정을 통과시켜 정선한 후, 농축시켜 DDR 고해기에서 고해도 45°SR이 되도록 고해하고, 0.1% 농도로 물로 희석하여 중간층 라인 저장조에 저장한다. 다음 표면층용 천연펄프(버진펄프)를 원료로 사용하여 상기와 같은 정선공정(해리, 스크린, 크리닝 공정), 고해공정을 거쳐 표면층 라인 저장조에 저장한다. 끝으로 천연펄프 10중량%와 재생펄프 40중량%, 고지펄프 50중량%로 된 혼합펄프를 같은 방법으로 정선, 고해하고 이면층 라인 저장조에 저장하였다. 각 지료의 조약 공정은 펄핑된 원료 100중량부에 사이즈제 1.5중량부, 섬유보류 및 탈수 촉진제 0.15중량부, 지력증강제(전분) 1.8중량부, 염료 0.2중량부를 투입하여 혼합하였다. 다음 상기 지합을 초조하여 표면층은 25중량%, 중간층은 2중량%, 이면층은 73중량%로 비율로 구성된 다층지를 제조하였다. 본 실시예 다층지의 원지 평량은 80g/㎡이었다.
실시예 2
중간층 펄프의 고해도를 40°SR, 농도 0.3%로 하고, 이면층은 천연펄프 20중량%와 재생펄프 30중량%, 고지펄프 50중량%로 된 혼합펄프를 사용하며, 지합의 표면층을 30중량%, 중간층을 3중량%, 이면층을 67중량%의 비율로 초조하는 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3층 구조의 다층지를 제조하였다. 본 실시예 다층지의 원지 평량은 80g/㎡이었다.
실시예 3
중간층 펄프의 고해도를 35°SR, 농도 0.2%로 하고, 이면층은 천연펄프 10중량%와 재생펄프 50중량%, 고지펄프 40중량%로 된 혼합펄프를 사용하며, 지합의 표면층을 30중량%, 중간층을 5중량%, 이면층을 65중량%의 비율로 초조하는 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3층 구조의 다층지를 제조하였다. 본 실시예 다층지의 원지 평량은 80g/㎡이었다.
실시예4
중간층의 고도 고해펄프 2중량% 대신에 고도 고해펄프(고해도 45°SR) 1.5중량%, 전분 0.5중량%를 혼합하여 스프레이 해주는 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평량 80g/㎡의 다층지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1
천연펄프 50중량%와 골판지 고지 50중량%를 4% 농도로 펄핑하고, 이물질 제 거, 분산 및 리파이닝 처리한 것을 원료 저장조에서 잘 섞은 다음 상기 지료 100중량부에 사이즈제를 0.18중량부, 정착제를 0.14중량부, 지력증강제(전분)를 1.8중량부 및 염료를 적량 첨가 혼합하여 지료를 만들고, 이를 이용하여 평량이 80g/㎡ 되는 2겹(2 Ply) 종이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2
중간층으로 고도 고해펄프 3중량% 대신에 전분을 3중량% 스프레이 하는 것 외에는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평량 80g/㎡의 다층지를 제조하였다
이렇게 제조한 다층지의 인장강도 및 인열강도, 충격강도 등을 KS M7501:2004 시험법에 따라 시험하여 표 1에 기재하였다.
Figure 112007056622002-pat00001
* 비고란의 상단 수치는 실시예 2와 비교예 1과의 증가율 대비, 하단 수치는 실시예 2와 비교예 2와의 증가율 대비이다.
실시예 5
우븐합지의 제조
2개의 로울러와 1개의 용융 합성수지 압출기가 구비된 합지기를 사용하여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다층지에 피피우븐을 라미네이팅시켰다. 상단 로울러에는 고지층이 접착면이 되도록 다층지를 감고, 하단 로울러에는 피피우븐을 감은 후, 함께 풀어주면서 합지시켰다. 상, 하단 로울러 사이에는 용융된 폴리프로필렌을 다층지 고지면에 도포하기 위한 압출기가 설치되어 있어서 합지되기 바로 전방에서 고지층 표면에 상기 용융된 폴리프로필렌을 도포하여 합지시킨다. 합쳐져서 라미네이팅 된 우븐합지는 곧 압착 로울러로 이송되어 제품 로울러에 감겨져서 출하된다. 상기 압착 로울러에는 수냉식 냉각장치가 설치되어 있어서 용융접착제가 압착과 동시에 냉각 경화되도록 작동된다. 이렇게 제조된 우븐합지는 이중 통포대를 제조하기 위한 원지로 사용된다.

Claims (12)

  1. 서로 다른 원료로 이루어진 다층 크라프트지에 있어서, 상기 다층지의 층과 층 사이에는 고도 고해펄프가 중간층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크라프트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다층지의 표면층은 천연펄프, 중간층은 고도 고해펄프, 이면층(Bottom)은 혼합펄프로 이루어진 3층 구조의 다층지임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크라프트지.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층은 재생펄프(AOCC)를 200메쉬 이하의 크기로 고해한 고도 고해펄프로 이루어진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크라프트지.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층은 전체 지합의 1∼5중량%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크라프트지.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층에는 결합제인 전분을 유효량 더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크라프트지.
  6.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다층지의 이면층(Bottom)은 10∼60중량%의 천연펄프와 40∼90중량%의 고지펄프를 혼합하여 제조한 혼합펄프임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크라프트지.
  7. 제 1항 내지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도 고해펄프는 24∼35˚SR의 고해도를 갖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크라프트지.
  8. (가) 천연펄프, 재생펄프, 혼합펄프를 각각 해리하여 펄프 지료를 제조하는 해리공정,
    (나) 상기 해리된 원료를 바스켓에 통과시켜 섬유를 정선하는 스크린 공정,
    (다) 상기 1차 정선된 원료를 클리너를 통과시키고, 비중차를 이용하여 원심분리로 정선하여 농축시키는 크리닝공정,
    (라) 상기 농축된 원료의 섬유를 갈아서 유연하게 펄핑하는 고해공정(Double Disk Refining),
    (마) 상기 고해공정을 거쳐 나온 3가지 지료(천연펄프, 재생펄프, 혼합펄프)에 지력향상을 위한 약품들을 투입하는 조약공정,
    (바) 상기 조약공정을 거친 3가지 지필을 3단 라인(Three ply line)을 통해 표면층(Top), 중간층(Under-top) 스프레이, 이면층(Bottom) 순으로 초지 한 후, 압착탈수하고, 건조과정을 거쳐 제조함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지의 제조방법.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층 고해공정은 재생펄프(AOCC)를 200메쉬 이하의 크기로 고해하되, 24∼35˚SR의 고해도를 갖도록 고해함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지의 제조방법.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층 스프레이는 표면층 지필 위에 단위면적당 0.8∼4g/㎡이, 종이 평량 80g/㎡ 기준, 되도록 스프레이 하여 중간층을 형성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지의 제조방법.
  11.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조약공정은 펄핑된 원료 100중량부에 사이즈제 1.5∼3중량부, 정착제 0.04∼0.25중량부, 건조 지력증강제 1∼2중량부, 염료 0.1∼0.2중량부를 첨가함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지의 제조방법.
  12. 다층지의 층과 층 사이에 24∼35˚SR의 고해도를 갖는 고도 고해펄프를 중간층으로 구성하여서 된 다층 크라프트지에 피피우븐을 라미네이팅 시켜 제조한 우븐합지.
KR1020070077881A 2007-08-02 2007-08-02 다층지 및 이의 제조방법과 이를 사용한 우븐합지 KR1009478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7881A KR100947838B1 (ko) 2007-08-02 2007-08-02 다층지 및 이의 제조방법과 이를 사용한 우븐합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7881A KR100947838B1 (ko) 2007-08-02 2007-08-02 다층지 및 이의 제조방법과 이를 사용한 우븐합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3615A KR20090013615A (ko) 2009-02-05
KR100947838B1 true KR100947838B1 (ko) 2010-03-18

Family

ID=406840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77881A KR100947838B1 (ko) 2007-08-02 2007-08-02 다층지 및 이의 제조방법과 이를 사용한 우븐합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4783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2457B1 (ko) * 2011-12-05 2014-02-12 주식회사 에스엘 폐석고보드 원지를 재활용한 제지 원료의 제조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688115B (zh) * 2015-03-23 2017-11-03 维达纸业(中国)有限公司 生活用纸的生产工艺
CN105064123A (zh) * 2015-08-07 2015-11-18 成都易胜科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多层结构的电解电容器纸及电解电容器纸制备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30001947B1 (ko) * 1982-04-23 1983-09-26 김영직 고지를 이용한 크라프트지의 제조방법과 지대
KR860000533B1 (en) * 1984-04-24 1986-05-08 Kim Yong Jik Process for the manufacture of paper pulp from waste paper
KR100528320B1 (ko) 2003-11-04 2005-11-15 김주한 폴리에틸렌 필름제 포대용 고지 재활용 포장용지의 제조방법
KR100528318B1 (ko) 2003-11-04 2005-11-15 김주한 크라프트 지대용 고지 재활용 포장용지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30001947B1 (ko) * 1982-04-23 1983-09-26 김영직 고지를 이용한 크라프트지의 제조방법과 지대
KR860000533B1 (en) * 1984-04-24 1986-05-08 Kim Yong Jik Process for the manufacture of paper pulp from waste paper
KR100528320B1 (ko) 2003-11-04 2005-11-15 김주한 폴리에틸렌 필름제 포대용 고지 재활용 포장용지의 제조방법
KR100528318B1 (ko) 2003-11-04 2005-11-15 김주한 크라프트 지대용 고지 재활용 포장용지의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2457B1 (ko) * 2011-12-05 2014-02-12 주식회사 에스엘 폐석고보드 원지를 재활용한 제지 원료의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3615A (ko) 2009-0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68050B2 (en) Ultrasonic welding of wet laid nonwoven compositions
US11479919B2 (en) Molded articles from a fiber slurry
US11525215B2 (en) Cellulose and cellulose ester film
US11390996B2 (en) Elongated tubular articles from wet-laid webs
US11420784B2 (en) Food packaging articles
US11492757B2 (en) Composition of matter in a post-refiner blend zone
US11230811B2 (en) Recycle bale comprising cellulose ester
US20200063361A1 (en) Lightweight cardboard and paper articles
US20200063359A1 (en) Composition of matter feed to a head box
US20200063370A1 (en) Sheet with high sizing acceptance
US20200063372A1 (en) Highly absorbent articles
US20200063363A1 (en) Bale of virgin cellulose and cellulose ester
CN109803827B (zh) 制造泡沫形成的纤维素纤维材料、片材和层压包装材料的方法
JP5555825B2 (ja) 繊維製品の製造方法
JP4582998B2 (ja) 多層繊維製品及びその製造方法
EP3202979B1 (en) Liquid packaging paper
CN103180511A (zh) 纤维素增强的高矿物质含量产品及其制备方法
KR20180014829A (ko) 판지 패키징에서 비목재 섬유 조성물 및 사용
US11078628B2 (en) Multilayer paper containing wastepaper and grass fibers
US20230250588A1 (en) Containerboard products incorporating surface enhanced pulp fibers and making the same
KR100947838B1 (ko) 다층지 및 이의 제조방법과 이를 사용한 우븐합지
JPH07502578A (ja) リサイクル可能な重合合成紙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H05230787A (ja) 剛度の強化された多層積層紙及び多層積層平板製品の製造方法
KR100528320B1 (ko) 폴리에틸렌 필름제 포대용 고지 재활용 포장용지의 제조방법
WO2020046626A2 (en) Elongated tubular articles from wet-laid web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9

Year of fee payment: 11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