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47775B1 - 프리캐스트 블럭을 사용하는 식생부 형성 옹벽 및 그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프리캐스트 블럭을 사용하는 식생부 형성 옹벽 및 그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47775B1
KR100947775B1 KR1020090019944A KR20090019944A KR100947775B1 KR 100947775 B1 KR100947775 B1 KR 100947775B1 KR 1020090019944 A KR1020090019944 A KR 1020090019944A KR 20090019944 A KR20090019944 A KR 20090019944A KR 100947775 B1 KR100947775 B1 KR 1009477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retaining wall
blocks
stacked
later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199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남궁은
금창준
Original Assignee
(주)신승이앤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신승이앤씨 filed Critical (주)신승이앤씨
Priority to KR10200900199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4777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477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477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8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02D29/0266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made up of preformed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2Pots for vertical horticulture
    • A01G9/025Containers and elements for greening wall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20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 E02D17/205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with modular blocks, e.g. pre-fabricated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3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having at least a mesh por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Retain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프리캐스트 블럭을 사용하는 식생부 형성 옹벽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옹벽은 측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열을 맞추어 적층되어 있고 전면부에 연결블럭연결홈이 형성되어 있는 다수 개의 적층블럭; 상, 하로 간격을 두고 위치되어 옹벽을 이루는 토사의 사이에 위치되어 있는 망 형태의 침하방지부재; 및 양측에 형성된 연결돌기가 각각의 적층블럭에 형성된 연결블럭연결홈에 삽입되어 적층블럭이 적층된 열과 열 사이의 공간을 차단하면서 적층블럭과 적층블럭을 측방향으로 연결하고 적층블럭의 전면부 부근에 식생부를 형성하는 다수 개의 측방향연결블럭;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옹벽은, 적층블럭의 앞쪽에 다양한 식물이 자랄 수 있는 견고한 식생부가 형성되므로 환경 친화적인 특징을 가지며, 다양한 형태의 지형에 시공이 가능하며, 부등침하 현상이나 토사의 유실이 방지되는 견고한 구조를 갖는다.
블럭, 콘크리트블럭, 옹벽, 부등침하, 식물, 식생

Description

프리캐스트 블럭을 사용하는 식생부 형성 옹벽 및 그 시공방법{THE RETAINING WALL HAVING PLANTING SPAC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공장 등에서 사전에 제작된 블럭을 사용하여 시공된 옹벽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비탈면이 무너져내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시공되는 옹벽을 시공하는 방법은 다양하다.
기존에는 돌이 들어 있는 철망이나 포대를 옹벽의 전면에 위치시킨 후 그 뒤쪽에 토사를 채우는 방법이 주로 사용되었으나 작업성이 좋지 않고 견고성이 좋지 않아 최근에는 다양한 구조물을 사용하여 옹벽을 시공하는 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그 중에서도 프리캐스트 블럭을 사용한 옹벽의 시공방법은 신속하면서도 비교적 견고한 설치가 가능하고 시공비가 적게 소요되기 때문에 선호되고 있는 실정이다.
일본공개특허공보 JP2006-283292호(출원번호 2005-101149호, 2005. 03. 31. 출원) 및 일본공개특허공보 특허 제1999-286937호(출원번호 1998-088991호, 1998. 04. 01. 출원) 등에는 프리캐스트 블럭을 사용한 옹벽의 시공방법이 제시되어 있다.
그런데 종래의 프리캐스트 블럭을 사용한 공법은, 사전에 제작된 프리캐스트 블럭을 옹벽의 시공장소로 옮겨 전면부(옹벽의 가장 중요한 부분임)가 될 곳에 프리캐스트 블럭을 적층시켜 벽을 쌓고 그 뒤쪽에 콘크리트, 자갈, 토사 등을 채우는 형태의 것이었다.
따라서 시공된 옹벽의 전방에는 식물이 자랄 수 없어 미관상 좋지 않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식물이 자랄 수 있는 구조를 갖더라도 이는 전면부에 토사층을 얇게 형성한 것에 불과하여 일부 식물만이 자랄 수 있고 쉽게 무너져 내릴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프리캐스트 블럭을 사용한 종래의 옹벽 시공기술은 옹벽 시공장소의 지형적 특성으로 인해 적용이 어려운 경우가 많고, 부등침하 현상이나 토사 유실이 자주 발생하는 등 구조적 견고성이 기대에 미치지 못하는 문제점도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려는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전면부에 식물이 자랄 수 있는 식생부가 견고하게 형성되고, 다양한 형태의 지형에 적용할 있으며, 구조적으로도 견고하여 부등침하 현상이나 토사의 유실이 발생되지 않는 프리캐스트 블럭을 사용한 옹벽 및 그 시공방법을 제공하려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서는 전면부에 연결블럭연결홈이 형성되어 있는 다수 개의 적층블럭을 간격을 두고 복수의 열을 맞추어 적층하고, 간격을 두고 위치된 적층블럭과 적층블럭을 측방향연결블럭을 통해 연결하면서 적층블럭과 적층블럭의 사이를 차단하는 동시에 적층블럭의 앞쪽에 식물이 자랄 수 있는 견고한 식생부가 형성되도록 한다.
또, 측방향연결블럭의 뒤쪽에 망 형태의 침하방지부재를 깔고 그 위에 쇄석과 토사를 채운 후 다지는 작업을 반복하여 옹벽의 뒤쪽 부분을 형성하되 침하방지부재가 측방향연결블럭에 고정되어 있도록 함으로써 부등침하 현상이나 토사의 유실이 방지되는 견고한 구조가 되도록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옹벽은, 측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열을 맞추어 적층되어 있고 전면부에 연결블럭연결홈이 형성되어 있는 다수 개의 적층블럭을 갖는다.
또, 상, 하로 간격을 두고 적층되어 옹벽을 이루는 토사의 사이에 위치되어 있되 적층블럭에 고정되어 있는 망 형태의 침하방지부재를 갖는다.
또, 양측에 형성된 연결돌기가 각각의 적층블럭에 형성된 연결블럭연결홈에 삽입되어 적층블럭이 적층된 열과 열 사이의 공간을 차단하면서 적층블럭과 적층블럭을 측방향으로 연결하고 적층블럭의 전면부 부근에 식생부를 형성하고 있는 다수 개의 측방향연결블럭을 갖는다.
본 발명의 옹벽은, 전면부에 연결블럭연결홈이 형성되어 있는 다수 개의 적층블럭이 간격을 두고 복수의 열을 맞추어 적층되어 있고, 간격을 두고 위치된 적층블럭과 적층블럭이 측방향연결블럭을 통해 연결되어 있으면서 적층블럭과 적층블럭의 사이가 차단되어 있는 동시에 적층블럭의 앞쪽에 식물이 자랄 수 있는 견고한 식생부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다양한 식물이 자랄 수 있는 환경 친화적인 특징을 가지며, 다양한 형태의 지형에 시공이 가능한 구조를 갖는다.
또, 본 발명의 옹벽은 측방향연결블럭의 뒤쪽에 망 형태의 침하방지부재를 깔고 그 위에 쇄석과 토사를 채운 후 다지는 작업을 반복하여 옹벽의 뒤쪽 부분을 형성한 것이며, 침하방지부재가 측방향연결블럭에 고정되어 있는 것이어서 부등침하 현상이나 토사의 유실이 방지되는 견고한 구조를 갖는다.
이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첨부된 도면을 사용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일 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첨부된 도면의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는 견고한 구조를 가질 뿐만 아니라 다양한 식물이 자랄 수 있는 식생부가 형성된 옹벽을 제공하려는 목적을 갖는다.
또, 다양한 형태의 지형에 적용할 수 있도록 하려는 목적도 갖는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식생부는 빗물 등으로 인해서 무너져 내리지 않는 구조이어야 한다.
이러한 이유로 본 발명에서는 도 1과 같이 다수 개의 적층블럭(10)이 간격을 두고 복수의 열을 맞추어 적층되고, 측방향연결블럭(20)이 적층블럭(10)과 적층블럭(10)을 연결하도록 설치되는데 적층블럭(10)과 적층블럭(10)의 사이가 차단될 뿐만 아니라 그 전면부에 식생부(1)가 형성되도록 한다.
이러한 식생부(1)는 하부에 위치된 측방향연결블럭과 상부에 위치된 측방향연결블럭의 사이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하부에 위치된 측방향연결블럭에 의해서 받쳐지는 것이기 때문에 무너져 내리지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의 옹벽은, 측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열을 맞추어 적층되어 있는 다수 개의 적층블럭(10)을 갖는다.(동일한 형상의 적층블럭(10)이 상, 하로 연결되면서 적층된 것임)
이러한 적층블럭(10)의 전면부에는 측방향연결블럭(20)을 연결하기 위한 연 결블럭연결홈(11)이 형성된다.
다수 개의 측방향연결블럭(20)은, 적층블럭(10)과 연결되도록 양측에 연결돌기(21)가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서 연결돌기(21)가 적층블럭(10)에 형성된 연결블럭연결홈(11)에 삽입되어 적층블럭(10)과 연결된다.
측방향연결블럭(20)에 의해 다수 개의 적층블럭(10)과 측방향연결블럭(20)이 유기적으로 결합된 상태가 되기 때문에 시공된 옹벽은 매우 견고하며, 견고함을 오랫동안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측방향연결블럭(20)의 연결 형태는, 적층블럭(10)이 적층되어 있는 열과 열 사이의 공간 즉, 측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위치되어 있어 발생되는 적층블럭(10)과 적층블럭(10) 사이의 공간을 측방향연결블럭(20)이 차단하면서 연결되고, 적층블럭(10)의 전면부 부근에 식물이 자랄 수 있는 식생부를 형성하도록 연결된다.
상기와 같은 측방향연결블럭(20)의 구체적인 연결구조는 시공된 옹벽의 전면 구조에 따라 달라진다.
예를 들어 설명하면, 도 1 및 도 5의 A는 상부에 적층된 적층블럭(10)의 전단부가 하부에 위치된 적층블럭(10)의 전단부보다 뒤쪽에 있어 시공된 옹벽의 전면부는 전체적으로 완만한 경사를 형성하고 있는 형태이다.
이러한 구조에서 측방향연결블럭(20)은 도 5의 A와 같이 수직에 가깝게 세워지는 구조로 연결할 수도 있고, 도 1과 같이 옹벽의 뒤쪽을 향해 기울어져 있도록 할 수도 있다.
그러나 도 1과 같이 옹벽의 뒤쪽을 향해 기울어져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도 1의 경우 측방향연결블럭(20)은 적층블럭(10)이 적층된 열과 열 사이의 공간을 차단하는 부분이 옹벽의 뒤쪽을 향해 기울어진 경사면(50)을 형성하고 있다.
따라서 빗물이 식생부로 흘러들었을 때 옹벽의 뒤쪽으로 흐리기 때문에 식생부의 토사 유실이 발생되지 않는다.
또, 시간이 지나면서 자연스럽게 유실부의 토사가 다져질 때 옹벽의 뒤쪽을 향해 힘이 작용되기 때문에 시간이 흐를수록 옹벽이 더욱 견고해진다.
도 5의 B는 하부에 위치되는 적층블럭(10)의 전단부와 상부에 적층된 적층블럭(10)의 전단부가 동일선상에 위치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는 옹벽의 전면이 수직이거나 수직에 가까운 형태에 해당된다.
이러한 형태에서 측방향연결블럭(20)을 사용하여 적층블럭(10)과 적층블럭(10) 사이의 공간을 차단하면서 식생부를 형성하기 위해서는 측방향연결블럭(20)이 도 5의 B에서와 같이 옹벽의 뒤쪽을 향해 기울어져 있어야 한다.
측방향연결블럭(20)이 도 1 및 도 5의 B와 같이 옹벽의 뒤쪽을 향해 기울어져 경사면(50)을 형성하도록 하는 것은, 연결블럭연결홈(11)을 도 2와 같이 적층블럭(10)의 뒤쪽을 향해 비스듬하게 기울어진 형태로 형성하고 측방향연결블럭(20)의 연결돌기(21)가 연결블럭연결홈(11)의 형성방향을 따라 삽입되어 판 형태의 측방향연결블럭(20)이 전체적으로 비스듬히 기울어진 형태가 되도록 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또, 도 5의 A와 같이 측방향연결블럭(20)이 수직이나 수직에 가깝게 세워지도록 연결되는 것은, 연결블럭연결홈(11)이 적층블럭(10)의 하부를 향해 수직으로 형성된 형태가 되도록 하고 측방향연결블럭(20)의 연결돌기(21)가 연결블럭연결홈(11)의 형성방향을 따라 삽입되도록 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도 10에서 상부에 위치된 적층블럭에 형성된 연결블럭연결홈 및 측방향연결블럭의 연결상태 참조)
옹벽의 전면부가 도 5의 A와 같이 전체적으로 완만한 경사를 형성하는 것은 상부에 적층된 적층블럭(10)의 전단부가 하부에 위치된 적층블럭(10)의 전단부보다 뒤쪽에 있도록 함으로써 얻을 수 있는 것이고, 도 5의 B와 같이 옹벽의 전면이 수직이거나 수직에 가까운 형태가 되도록 하는 것은 하부에 위치되는 적층블럭(10)의 전단부와 상부에 적층된 적층블럭(10)의 전단부가 동일선상에 위치되도록 함으로써 얻을 수 있는 것으로 이러한 기술은 옹벽 시공에 있어 이미 널리 공지되어 사용되고 있는 것이므로 이 부분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에서는 측방향연결블럭(20)의 뒤쪽에 토사가 채워지는데 이러한 토사가 유실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망 형태의 침하방지부재(30)를 토사의 상, 하에 간격을 두고 위치시켜 토사의 사이에 침하방지부재(30)가 위치되도록 한다.
즉, 침하방지부재(30)를 통해 토사의 결속력을 강화하는 것이다.
이러한 침하방지부재(30)는 철망과 같은 형태가 바람직하며, 쇄석(2)의 일부분이 들어갈 수 있을 정도로 메쉬가 큰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단순히 토사만을 쌓는 것보다는 토사와 토사 사이에 쇄석이 깔려 있는 쇄석층이 위치되는 것이 견고성 면에서 우수하고, 그러한 경우 쇄석이 흩어지지 않도록 잡아주면 토사가 다져지거나 부분적으로 유실되는 경우에도 부등침하 현상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부분침하 현상은 옹벽의 붕괴를 가속화시키는 원이의 하나이다.)
상기와 같은 침하방지부재(30)는 적층블럭(10)에 고정되어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침하방지부재(30)가 적층블럭(10)에 고정되어 있으면 다른 구성요소와 일체화되어 적층블럭(10)이나 측방향연결블럭(20) 등의 움직임을 방지하는 작용을 하고, 침하방지부재(30)도 움직이지 못하기 때문에 더욱 견고한 옹벽이 되기 때문이다.
침하방지부재(30)를 적층블럭(10)에 고정하는 것은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명하면, 침하방지부재(30)가 적층블럭(10)과 적층블럭(10) 사이에 삽입되어 있도록 함으로써 적층블럭(10)과 적층블럭(10)의 사이에 삽입된 부분이 적층블럭(10)에 의해 눌려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또, 침하방지부재(30)에 이탈방지홀을 형성하고, 적층블럭(10)의 고정돌기(12)가 이탈방지홀에 삽입되어 침하방지부재(30)가 적층블럭(10)에 고정된 형태가 되도록 할 수도 있다.(도시하지 않음)
위와 같은 구조는 침하방지부재(30)의 고정이 매우 간편한 특징을 갖는다.
첨부된 도 2 및 도 3과 같은 적층블럭(10)과 측방향연결블럭(20)을 사용하여 옹벽을 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옹벽이 시공될 지역에 대한 평탄화 작업을 진행하는 기초공사단계를 실시한다.
이러한 기초공사단계에서는 터파기 작업을 시행하여 최 하단부에 위치되는 적층블럭(10)이 홈에 들어가 있는 형태가 됨으로써 견고한 시공상태가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초공사단계 후에는 적층블럭설치단계를 시행한다.
이러한 적층블럭설치단계는 전면부에 연결블럭연결홈(11)이 형성되어 있고, 하부에 고정홈(13)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부에 고정돌기(12)가 형성되어 있는 적층블럭(10)을 옹벽이 시공될 장소에 설치하되 측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다수 개 설치하는 단계이다.
적층블럭설치단계 후에는 연결블럭설치단계를 시행한다.
연결블럭설치단계는 양측에 연결돌기(21)가 형성된 측방향연결블럭(20)을 적층블럭설치단계를 통해 설치된 적층블럭(10)에 연결하여 측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있는 적층블럭(10)과 적층블럭(10) 사이의 공간을 차단하면서 적층블럭(10)과 적층블럭(10)을 연결하고, 적층블럭(10)의 앞쪽에 식물이 자랄 수 있는 식생부(1)를 형성하는 단계이다.
연결블럭설치단계를 시행한 후에는 적층블럭(10)과 연결되어 있는 측방향연 결블럭(20)의 뒤쪽에 쇄석과 토사를 채우고 다지는 토사채움단계를 시행한다.
토사채움단계를 통해 채워지고 다져진 토사의 상부에 망 형태의 침하방지부재(30)를 위치시키되 침하방지부재(30)가 적층블럭(10)의 위쪽에도 위치되도록 하는 침하방지부재설치단계;를 시행한다.
상기와 같은 적층블럭설치단계, 연결블럭설치단계, 토사다짐단계를 순차적으로 반복 실시하여 적층블럭(10)이 열을 맞추어 적층되면서 적층블럭(10) 간에 연결이 이루어지고, 적층블럭(10)에 침하방지부재(30)가 연결되며, 측방향연결블럭(20)의 앞쪽에 식생부(1)가 형성되도록 옹벽을 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적층블럭(10) 위에 적층블럭이 적층됨에 있어서는 결합되면서 일체화되게 적층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일체화 작업이 용이하도록 각각의 적층블럭(10) 하부에는 고정홈(13)이 형성되어 있도록 하고, 각각의 적층블럭(10) 상부에는 위쪽에 적층되어 있는 적층블럭(10)의 고정홈(13)에 삽입되어 있는 고정돌기(12)가 형성되어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2에서는 고정홈(13)이 고정돌기(12)보다 앞쪽에 형성되어 있는데 이것은 도 1과 같이 길이가 동일한 적층블럭(10)을 사용하여 경사가 형성된 옹벽을 시공하는 적층블럭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고정홈(13)이나 고정돌기(12)의 위치는 옹벽의 형태 및 적층블럭(10)의 구조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설치된 옹벽이 견고함을 오랫동안 유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적층블럭(10)과 측방향연결블럭(20)이 견고한 연결상태를 유지하도록 할 필요성이 있다.
이를 위하여, 적층블럭(10)에 형성된 연결블럭연결홈(11)은 도 2와 같이 측방향연결블럭(20)의 연결돌기(21)가 삽입되어 걸리도록 걸림턱(11a)을 갖는 형태로 구현할 수 있다.
즉, 측방향연결블럭(20)의 연결돌기(21)가 연결블럭연결홈(11)의 걸림턱(11a)에 걸려 옹벽이 시공된 상태에서 외압(연결상태가 해제될 수 있는 힘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측방향연결블럭(20)이 측방향으로 향하는 힘을 의미함)이 작용하더라도 분리될 수 없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옹벽에 있어서, 적층블럭(10)과 적층블럭(10)이 연결됨에 있어 도 7과 같이 적층블럭(10)의 상부에 형성되어 있는 고정체설치홈(14)에 고정된 걸림쇠(40)가 적층블럭(10)의 하부에 형성된 고정홈(13)에 삽입되어 하부에 위치된 적층블럭과 상부에 위치된 적층블럭이 연결된 형태가 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연결구조는 적층블럭(1)의 제작성과 옹벽의 설치작업을 고려할 때 바람직하다.
즉, 도 2와 같이 적층블럭의 하부에 고정홈(13)이 형성되어 있고, 상부에는 하부의 고정홈(13)에 대응된 형상의 고정돌기(12)가 형성된 구조에서는 고정돌기(12)가 고정홈(13)에 비교적 정확하게 일치해야 연결되므로 작업에 상당한 불편 함이 따른다.
또, 고정돌기(12)의 위치가 가변될 수 없는 것이기 때문에 옹벽의 전면부가 형성하는 경사면의 각도를 고려해서 적층블럭(10)을 제작할 필요성이 있다.
또, 고정돌기(12)가 콘크리트 재질로 된 경우 운반 및 보관 중에 파손도 빈번하게 발생된다.
그러나 도 6 및 도 7과 같은 적층블럭(10)은 상부에 고정체설치홈(14)이 형성된 것일 뿐이어서 연결을 위한 수단이 운반 및 보관 중에 파손되지 않는다.
또, 도면에서와 같이 복수 개의 고정체설치홈(14)이 형성되어 있어 걸림쇠(40)를 고정체설치홈(14)에 고정한 상태에서 걸림쇠(40)의 상부가 또 다른 적층블럭의 하부에 위치된 고정홈(13)에 삽입되도록 하면 적층블럭과 적층블럭의 연결이 이루어지는데 걸림쇠(40)를 어느 위치의 고정체설치홈(14)에 고정하는지의 여부에 따라 옹벽의 전면부에 형성되는 경사의 각도가 결정된다.(도 7의 A는 첫 번째 위치의 고정체설치홈(14)에 걸림쇠(40)가 고정된 경우이고, 도 7의 B는 세 번째 위치의 고정체설치홈(14)에 걸림쇠(40)가 고정된 경우이다.)
상기와 같은 걸림쇠(40)가 고정홈(13)에 삽입되면 적층된 상태의 적층블럭(10)은 옹벽의 뒤쪽에서 앞쪽으로 가해지는 힘이 작용하더라도 적층블럭(10)이 앞쪽으로 움직이지 못하게 된다.
옹벽이 시공되었을 때 적층블럭에 연결된 측방향연결블럭 등에 의해 적층블럭의 측방향 움직임도 제한된다.
도 7의 경우는 고정홈(13)이 긴 장홈의 형태이기 때문에 적층블럭(10)만이 적층된 상태일 때 적층블럭(10)의 움직임을 제한하는 효과가 다소 낮다.
따라서 적층블럭(10)이 적층된 상태만으로도 적층블럭(10)이 좌, 우, 전, 후로 움직이지 못하도록 도 8과 같이 고정홈(13)을 형성함에 있어 삽입되는 걸림쇠(40)가 크게 움직일 수 없는 크기로 형성할 수 있다.
즉, 고정홈(13)에 걸림쇠(40)가 삽입되었을 때 고정홈(13)과 걸림쇠(40) 사이에 틈새가 발생되지 않거나 약간의 틈새만이 형성되도록 형성할 수도 있는 것이다. (적층작업을 고려할 때 고정홈(13)과 걸림쇠(40) 사이에 2mm ∼ 5mm 정도의 틈새가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정체설치홈(14)을 형성하는 방법으로는, 고정체설치홈(14)과 동일한 홈이 형성된 금속 재질의 물체를 적층블럭(10)의 성형시에 틀에 미리 위치시켜 놓고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성형함으로써 일체화시키는 방법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걸림쇠(40)는 앙카볼트와 같은 형태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옹벽에 있어서, 측방향연결블럭(20)이 설치됨에 있어 도 9와 같이 적층블럭(10)이 적층된 열과 열 사이의 공간을 차단하는 부분이 옹벽의 뒤쪽을 향해 기울어진 경사면(50)을 형성하고 있는 것(전술한 설명과 도면에서와 같이 측방향연결블럭(20)이 적층블럭(10)에 대해 비스듬하게 연결되어서 형성됨)과 경사면을 형성하고 있지 않은 것(전술한 설명과 도면에서와 같이 측방향연결블럭(20)이 적층블럭(10)에 대해 수직으로 연결되어서 형성됨)이 교번되어 있는 형태가 되도록 함으로써 식생부(1)가 더욱 크게 형성되도록 할 수도 있다.
도 10은 코너를 갖는 옹벽에서 적층블럭과 측방향연결블럭의 설치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옹벽을 설명하기 위하여 적층블럭과 측방향연결블럭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구성요소인 적층블럭을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구성요소인 측방향연결블럭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4는 적층블럭과 측방향연결블럭이 도 1과 같은 형태로 설치되어 있는 옹벽의 시공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5는 측방향연결블럭의 설치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A : 전면부가 경사를 가지는 옹벽의 구조에서 측방향연결블럭이 세워져 있는 형태
B : 전면부가 수직이나 수직에 가까운 면을 가지는 옹벽의 구조에 적용되기 위해 측방향연결블럭이 옹벽의 뒤쪽을 향해 기울어져 있는 형태
도 6은 긴 장홈 형태의 고정홈과 고정체설치홈이 형성된 적층블럭의 사시도
도 7은 고정홈과 고정체설치홈이 형성된 적층블럭의 적층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A : 첫 번째 고정체설치홈에 걸림쇠가 설치되어 옹벽이 시공된 상태
B : 세 번째 고정체설치홈에 걸림쇠가 설치되어 옹벽이 시공된 상태
도 8은 걸림쇠와의 사이에 약간의 틈새만이 발생되도록 된 고정홈 및 고정체설치홈이 형성된 적층블럭의 사시도
도 9는 측방향연결블럭이 설치됨에 있어 경사면을 형성하는 것과 경사면을 형성하지 않는 것이 교번되어 설치된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10은 코너를 갖는 옹벽에서 적층블럭과 측방향연결블럭의 설치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식생부 2. 쇄석
10. 적층블럭 11. 연결블럭연결홈
11a. 걸림턱 12. 고정돌기
13. 고정홈 14. 고정체설치홈
20. 측방향연결블럭 21. 연결돌기 30. 침하방지부재 40. 걸림쇠
50. 경사면

Claims (11)

  1. 블럭을 사용하여 시공된 옹벽에 있어서,
    측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열을 맞추어 적층되어 있고 전면부에 연결블럭연결홈(11)이 형성되어 있는 다수 개의 적층블럭(10);
    상, 하로 간격을 두고 위치되어 옹벽을 이루는 토사의 사이에 위치되어 있는 망 형태의 침하방지부재(30); 및
    양측에 형성된 연결돌기(21)가 각각의 적층블럭(10)에 형성된 연결블럭연결홈(11)에 삽입, 연결되어 적층블럭(10)이 적층된 열과 열 사이의 공간을 차단하면서 적층블럭(10)과 적층블럭(10)을 측방향으로 연결하고 적층블럭(10)의 전면부 부근에 식생부(1)를 형성하고 있는 다수 개의 측방향연결블럭(20);을 포함하여 구성된, 프리캐스트 블럭을 사용하는 식생부 형성 옹벽.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침하방지부재(30)는 적층블럭(10)에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 블럭을 사용하는 식생부 형성 옹벽.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블럭연결홈(11)은 적층블럭(10)의 뒤쪽을 향해 비스듬하게 기울어진 형태로 형성되어 있고,
    측방향연결블럭(20)의 연결돌기(21)가 연결블럭연결홈(11)의 형성방향을 따라 삽입되어 판 형태의 측방향연결블럭(20)이 전체적으로 비스듬히 기울어진 형태가 되어 측방향연결블럭(20) 중 적층블럭(10)이 적층된 열과 열 사이의 공간을 차단하는 부분이 옹벽의 뒤쪽을 향해 기울어진 경사면(50)을 형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 블럭을 사용하는 식생부 형성 옹벽.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적층블럭(10)의 하부에는 고정홈(13)이 형성되어 있고 상부에는 고정체설치홈(14)이 형성되어 있으며,
    하부는 상기 고정체설치홈(14)에 삽입되어 고정되어 있고 상부는 돌출되어 적층블럭(10)의 고정홈(13)에 삽입되어 있는 걸림쇠(40);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 블럭을 사용하는 식생부 형성 옹벽.
  5.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적층블럭(10)의 뒤쪽을 향해 비스듬하게 기울어진 형태로 형성되어 있는 연결블럭연결홈(11)의 형성방향을 따라 연결돌기(21)가 삽입되어 전체적으로 비스듬히 기울어진 형태로 연결됨으로써 적층블럭(10)이 적층된 열과 열 사이의 공간을 차단하는 부분이 옹벽의 뒤쪽을 향해 기울어진 경사면(50)을 형성하고 있는 측방향연결블럭과
    적층블럭(10)의 하부를 향해 수직 형태로 형성되어 있는 연결블럭연결홈(11)의 형성방향을 따라 연결돌기(21)가 삽입되어 적층블럭(10)에 대해 수직으로 연결됨으로써 상기와 같은 경사면(50)을 형성하고 있지 않는 측방향연결블럭이 교번된 형태로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 블럭을 사용하는 식생부 형성 옹벽.
  6.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침하방지부재(30)는 적층블럭(10)과 적층블럭(10) 사이에 삽입된 부분이 적층블럭(10)에 의해 눌려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 블럭을 사용하는 식생부 형성 옹벽.
  7. 블럭을 사용한 옹벽의 시공방법에 있어서,
    옹벽이 시공될 지역에 대한 평탄화 작업을 진행하는 기초공사단계;
    전면부에 연결블럭연결홈(11)이 형성되어 있고, 하부에 고정홈(13)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부에 고정돌기(12)가 형성되어 있는 적층블럭(10)을 상기 기초공사단계 후 옹벽이 시공될 장소에 설치하되 측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다수 개 설치하는 적층블럭설치단계;
    측방향연결블럭(20)을 상기 적층블럭설치단계를 통해 설치된 상기 적층블럭(10)에 연결하되 측방향연결블럭(20)의 양측에 형성된 연결돌기(21)를 적층블럭(10)의 연결블럭연결홈(11)에 삽입하는 방식으로 연결하여 측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있는 적층블럭(10)과 적층블럭(10) 사이의 공간이 차단되면서 상기 적층블럭(10)과 적층블럭(10)이 연결되고, 적층블럭(10)의 앞쪽에 식물이 자랄 수 있는 식생부(1)가 형성되도록 하는 연결블럭설치단계;
    상기 적층블럭(10)과 연결되어 있는 상기 측방향연결블럭(20)의 뒤쪽에 쇄석과 토사를 채우고 다지는 토사채움단계;
    다져진 상기 토사의 상부에 망 형태의 침하방지부재(30)를 위치시키되 침하방지부재(30)가 적층블럭(10)의 위쪽에도 위치되도록 하는 침하방지부재설치단계;를 시행하되 적층블럭설치단계, 연결블럭설치단계, 토사다짐단계를 순차적으로 반복 실시하여 적층블럭(10)이 열을 맞추어 적층되면서 적층블럭(10) 간에 연결이 이루어지고, 적층블럭(10)에 침하방지부재(30)가 연결되며, 측방향연결블럭(20)의 앞쪽에 식생부(1)가 형성되도록 시공하는, 프리캐스트 블럭을 사용하는 식생부 형성 옹벽의 시공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블럭연결홈(11)은 적층블럭(10)의 뒤쪽을 향해 비스듬하게 기울어진 형태로 형성된 것이고,
    상기 연결블럭설치단계에서 측방향연결블럭(20)의 연결돌기(21)가 연결블럭연결홈(11)의 형성방향을 따라 삽입되어 판 형태의 측방향연결블럭(20)이 전체적으로 비스듬히 기울어진 형태가 되어 측방향연결블럭(20) 중 적층블럭(10)이 적층된 열과 열 사이의 공간을 차단하는 부분이 옹벽의 뒤쪽을 향해 기울어진 경사면(50)을 형성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 블럭을 사용하는 식생부 형성 옹벽의 시공방법.
  9. 옹벽의 시공에 사용되는 프리캐스트 블럭에 있어서,
    동일한 형상의 블럭이 상, 하로 연결되면서 적층되도록 하되 하부의 블럭에 형성된 돌기가 상부의 블럭에 형성된 홈에 삽입되는 방식으로 연결되면서 적층되도록 하부에는 고정홈(13)이 형성되어 있고 상부에는 상기 고정홈(13)에 대응된 형상의 고정돌기(12)가 형성되어 있으며, 측방향으로 별도의 측방향연결블럭(20)을 연결할 수 있도록 전면부에는 연결블럭연결홈(11)이 형성되어 있되 상기 연결블럭연결홈(11)은 연결된 측방향연결블럭(20)이 측방향으로 향하는 힘을 받더라도 연결상태가 해제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걸림턱(11a)을 갖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부 형성 옹벽의 시공을 위한 프리캐스트 블럭.
  10. 삭제
  11. 옹벽의 시공에 사용되는 프리캐스트 블럭에 있어서,
    동일한 형상의 블럭이 상, 하로 연결되면서 적층되도록 하되 하부의 블럭에 고정된 걸림쇠가 상부의 블럭에 형성된 홈에 삽입되는 방식으로 연결되면서 적층되도록, 하부에는 고정홈(13)이 형성되어 있고 상부에는 걸림쇠(40)가 삽입, 고정되는 고정체설치홈(14)이 형성되어 있으며, 측방향으로 별도의 측방향연결블럭(20)을 연결할 수 있도록 전면부에는 연결블럭연결홈(11)이 형성되어 있되 상기 연결블럭연결홈(11)은 연결된 측방향연결블럭(20)이 측방향으로 향하는 힘을 받더라도 연결상태가 해제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걸림턱(11a)을 갖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부 형성 옹벽의 시공을 위한 프리캐스트 블럭.
KR1020090019944A 2009-03-09 2009-03-09 프리캐스트 블럭을 사용하는 식생부 형성 옹벽 및 그 시공방법 KR1009477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9944A KR100947775B1 (ko) 2009-03-09 2009-03-09 프리캐스트 블럭을 사용하는 식생부 형성 옹벽 및 그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9944A KR100947775B1 (ko) 2009-03-09 2009-03-09 프리캐스트 블럭을 사용하는 식생부 형성 옹벽 및 그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47775B1 true KR100947775B1 (ko) 2010-03-15

Family

ID=421833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19944A KR100947775B1 (ko) 2009-03-09 2009-03-09 프리캐스트 블럭을 사용하는 식생부 형성 옹벽 및 그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47775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84810A (en) 1980-05-23 1983-05-24 Herwig Neumann Locking beam to form a three-dimensional lattice in a construction system for plantable shoring walls
US5030035A (en) 1990-08-09 1991-07-09 Earth Structures, Inc. Earth retaining system
US5511910A (en) 1993-10-29 1996-04-30 Scales; John Connector and method for engaging soil-reinforcing grid and earth retaining wall
US6808339B2 (en) 2002-08-23 2004-10-26 State Of California Department Of Transportation Plantable geosynthetic reinforced retaining wall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84810A (en) 1980-05-23 1983-05-24 Herwig Neumann Locking beam to form a three-dimensional lattice in a construction system for plantable shoring walls
US5030035A (en) 1990-08-09 1991-07-09 Earth Structures, Inc. Earth retaining system
US5511910A (en) 1993-10-29 1996-04-30 Scales; John Connector and method for engaging soil-reinforcing grid and earth retaining wall
US6808339B2 (en) 2002-08-23 2004-10-26 State Of California Department Of Transportation Plantable geosynthetic reinforced retaining wall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03729B2 (en) Reinforced retaining wall and method of construction
US20070110522A1 (en) Retaining wall constructed using sandbags
KR101005351B1 (ko) 조립식 옹벽 및 그 시공방법
KR100947775B1 (ko) 프리캐스트 블럭을 사용하는 식생부 형성 옹벽 및 그 시공방법
KR100815837B1 (ko) 하부가 개방되고 측면판 후부가 경사진 친환경블럭을 이용한 친환경 보강토옹벽 시공방법
KR100701484B1 (ko) 하상 옹벽용 계단블록 및 그 축조 방법
CN108487264B (zh) 一种护坡砖及挡土墙垒砌方法
KR200345937Y1 (ko) 덩굴식물 및 소동물 이동통로가 구비된 옹벽블록
KR101045019B1 (ko) 블록식 옹벽의 설치구조 및 그 시공방법
US20090110491A1 (en) Securable retaining wall block and system
KR19990021988U (ko) 옹벽용블럭
JP2010116715A (ja) 擁壁構築工法
JP4274133B2 (ja) 使用済みブロックの集合体の製造方法
KR100786825B1 (ko) 결합수단을 구비한 옹벽블록
KR100950092B1 (ko) 콘크리트블록을 이용한 친환경 옹벽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20040081415A (ko) 옹벽 축조용 식생블록
KR101685153B1 (ko) 생태통로가 구비된 역방향 하천 기초
KR100665600B1 (ko) 보강토 옹벽 블록
KR200371373Y1 (ko) 옹벽 축조용 식생블록
KR100787099B1 (ko) 식생보강토 시공방법 및 이 방법에 의해 시공된 식생보강토시공구조
KR102285192B1 (ko) 환경친화적 옹벽구조물
KR200371374Y1 (ko) 옹벽 축조용 식생블록
KR102558157B1 (ko) 높이가 다른 블럭을 이용한 보강토 옹벽
KR100799910B1 (ko) 주철판넬 옹벽 구조물 및 그 축조 방법
JP3724306B2 (ja) 法枠ブロッ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0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7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