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46405B1 - 발사체의 발사검출시스템 및 발사여부 검출방법 - Google Patents

발사체의 발사검출시스템 및 발사여부 검출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46405B1
KR100946405B1 KR1020090084938A KR20090084938A KR100946405B1 KR 100946405 B1 KR100946405 B1 KR 100946405B1 KR 1020090084938 A KR1020090084938 A KR 1020090084938A KR 20090084938 A KR20090084938 A KR 20090084938A KR 100946405 B1 KR100946405 B1 KR 1009464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projectile
magnetic field
coil
laun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849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택환
Original Assignee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849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4640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464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464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FAPPARATUS FOR LAUNCHING PROJECTILES OR MISSILES FROM BARRELS, e.g. CANNONS; LAUNCHERS FOR ROCKETS OR TORPEDOES; HARPOON GUNS
    • F41F3/00Rocket or torpedo launchers
    • F41F3/04Rocket or torpedo launchers for rocke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FAPPARATUS FOR LAUNCHING PROJECTILES OR MISSILES FROM BARRELS, e.g. CANNONS; LAUNCHERS FOR ROCKETS OR TORPEDOES; HARPOON GUNS
    • F41F3/00Rocket or torpedo launchers
    • F41F3/04Rocket or torpedo launchers for rockets
    • F41F3/055Umbilical connect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GWEAPON SIGHTS; AIMING
    • F41G9/00Systems for controlling missiles or projectil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2AMMUNITION; BLASTING
    • F42BEXPLOSIVE CHARGES, e.g. FOR BLASTING, FIREWORKS, AMMUNITION
    • F42B15/00Self-propelled projectiles or missiles, e.g. rockets; Guided missiles
    • F42B15/01Arrangements thereon for guidance or contro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ophysics And Detection Of Objects (AREA)

Abstract

발사체의 발사 여부를 검출하는 발사검출시스템 및 발사여부 검출방법이 개시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발사관에 삽입되는 발사체의 발사 여부를 검출하는 장치로서, 발진회로에서 제1 주파수 신호를 생성하여 송신코일을 통해 전기적인 제1 신호에 의한 제1 자기장을 발사관으로 송신하고, 수신코일을 구비하여 송신된 제1 자기장이 발사관에 의해 변형된 제2 자기장을 수신하여 제2 주파수 신호를 생성하고 제2 신호를 검출하여 출력하는 검출회로를 포함하는 발사검출시스템 및 발사여부 검출방법에 관한 것이다.
발사체, 기만기, 발사관, 자석식

Description

발사체의 발사검출시스템 및 발사여부 검출방법{Launching Detection System and Method for Projectile}
본 발명은 발사관에 삽입되는 발사체의 발사 여부를 검출하기 위해 발사체에 장착되는 발사검출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자기장 측정 수단에 의해 발사체의 발사검출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종래의 발사체 발사 검출장치는 스프링 방식으로 구성되어 있어, 발사체가 삽입되는 발사관과 발사체 사이의 유격이 클 경우에는 오동작을 일으키는 경우가 많았다.
발사체의 발사관은 정밀한 공정에 의해 제작되지만, 그 내부의 단면 형태가 타원형으로 제작된다, 이와 같이 타원형으로 제작된 발사관 내부에 발사체가 삽입되는 경우 발사체와 발사관 사이의 유격이 불규칙적으로 될 수 있는 단점이 있다.
특히, 발사체가 발사관에 잘못 삽입되어 있거나, 발사관에 발사체가 바른 위치에 삽입되어 있는 경우에도 외부의 충격에 의해 발사체가 정 위치를 이탈하는 경우 발사체가 발사되지 않았음에도 발사된 것으로 판정하는 오동작을 일으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도 1은 종래의 발사검출장치의 작동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2는 종래의 발사검출장치가 오작동 되는 원인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발사검출장치(200)는 발사관(1) 내부에 삽입되는 발사체(10)에 장착된다. 그리고, 발사검출장치(200)는 기계식 스위치(220), 포고(pogo)핀(210), 스위치 접점부(250), 회동부(230)로 구성된다.
발사체(10)가 발사관(1) 내부에 삽입되어 있는 상태(도 1의 B참조)에서는 기계식 스위치(220)의 상단부가 발사관(1)의 내부에 의해 눌려지게 된다. 포고(pogo)핀(210)은 스프링의 반탄력을 이용한 핀으로서 기계식 스위치(220)에 삽입된다. 이 때 발사관(10)내부에 의해 눌려지는 기계식 스위치(220)는 접점부(250)에 접하게 되므로 발사체(10)가 발사관(1)내부에 위치하고 있음을 알 수 있게 된다.
한편, 발사체(10)가 발사관(1)에서 발사되는 경우(도 1의 C참조)는 발사검출장치(200)의 기계식 스위치(220)의 상단부를 가압하는 힘이 해제되므로 포고핀(210)의 스프링에 의한 반탄력으로 인해 기계식 스위치(220)과 접점부(250)의 접촉은 유지되지 않는다. 따라서, 발사체(10)가 발사관(1)에서 발사된 것을 알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사관(1)의 형상을 일반적으로 그 단면이 타원형으로 제작됨이 일반적이므로 발사관(1)에 위치하는 발사체(10)의 발사검출장치(200)의 위치에 따라서 정상 작동하는 경우(A)와 오작동하는 경우(B)로 나뉠 수 있었다.
즉, 타원형의 발사관(1)에서 발사체(10)가 (A)와 같이 위치하는 경우는 발사 관(1)내부가 발사검출장치(200)를 누르게 되므로 상술한 바와 같이 기계식 스위치(220)거 접점부(250)에 접함을 유지할 수 있다. 또 외부의 충격에 의해 발사체가 유동하는 경우 발사관(1)과 발사체(10)간의 정상유격범위에 있으므로 접점부(250)와 기계식 스위치(220)의 접촉이 유지될 수 있다.
반면, 타원형의 발사관(1)에서 발사체(10)가 (B)와 같이 위치하는 경우는 발사관(1) 내부가 접점부(250)와 기계식 스위치(220)의 접촉이 유지될 수 있도록 기계식 스위치(220)의 상단부를 충분히 가압하지 못하므로 발사체(10)가 발사관(1)에 존재함에도 발사체(10)가 발사관(1)에서 발사된 것으로 인식하게 되므로 발사체(10)의 정상적인 작동을 보장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발사관 내부에 삽입되는 발사체와 발사관과의 유격 변화에 무관하게 정상 작동되는 발사검출시스템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비접점 방식의 발사검출시스템 및 검출방법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상기에 언급된 사항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발사관에 삽입되는 발사체의 발사 여부를 검출하기 위해 발사체에 장착되는 발사검출시스템은, 발사체의 발사여부를 검출하기 위해 전기적 신호인 제1 신호를 생성하는 발진회로와, 제1 신호를 입력받아 제1 자기장을 발생하는 송신코일과, 송신코일에서 발생한 제1 자기장에 의해 상기 발사관에서 발생되는 제2 자기장을 전기적 신호인 제2 신호로 생성하는 수신코일 및 제2 신호를 검출하여 출력하는 검출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발진회로는 시간변화에 따라 주파수가 변화되는 상기 제1 신호를 생성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송신코일은 제1 자기장의 크기를 증폭시키기 위해 2중 권선 구조로 형성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검출회로는 상기 수신코일에서 생성되는 제2 신호를 증폭시켜 출력하는 신호증폭부를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상기 수신코일은 적어도 둘 이상 구비되어 상기 송신코일을 중심으로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여기서, 검출회로는 상기 적어도 둘 이상의 수신코일에서 생성되는 전기적 신호인 제2 신호를 증폭시켜 출력하는 신호증폭부를 포함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발사관에 삽입되는 발사체의 발사 여부를 검출하기 위한 방법은, (a) 발사체의 발사여부를 검출하기 위해 전기적 신호인 제1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와, (b) 상기 제1 신호를 입력받아 제1 자기장을 발생시키는 단계와, (c) 상기 (b)단계에서 발생한 제1 자기장에 의해 상기 발사관에서 발생되는 제2 자기장을 전기적 신호인 제2 신호로 생성하는 단계 및(d) 상기 제2 신호를 검출하여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상기 (a)단계에서 생성되는 제1 신호는 시간 변화에 따라 주파수가 변화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그리고, 상기 (d) 단계는, 검출된 상기 제2 신호를 증폭하여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발사체의 발사검출시스템은 발사관 내부와 발사검출시스템이 서로 접촉하지 않는 무접점 방식(전기적 접점 방식)이므로 영구적으로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발사검출시스템은 종래의 기계적 스위치를 사용한 발사검출장치에 비해 응답속도가 빠르며, 수중환경에 발사체가 운용되는 경우에도 무접점 방식을 사용하여 접촉부가 마모되거나 수분에 의해 부식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이때 도면에 도시되고 또 이것에 의해서 설명되는 본 발명의 구성과 작용은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로서 설명되는 것이며, 이것에 의해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핵심 구성 및 작용이 제한되지는 않는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발사검출시스템의 작동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사검출시스템(100)은 발사체(10)에 장착되며, 발사체(10)는 발사관(1) 내부에 삽입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발사체(10)라 함은 기만기 또는 어뢰 뿐만 아니라, 발사관(1) 내부에 삽입,장착되어 사용자의 발사 신호에 의해 발사되는 물체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발사검출시스템(10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B)발사 전과 (C)발사 후에 있어서 상술한 종래의 기계식 발사검출장치(도 1의 200참조)와 달리 발사체(10)에 장착된 상태가 변화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발사검출시스템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개시한다.
도 4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사검출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 도 4b는 신호증폭부가 구비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사검출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발사검출시스템과 발사체 내부에 구비되는 신호 처리장치의 연결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사검출시스템(100)은 발진회로(110), 송신코일(120), 수신코일(130) 및 검출회로(140)를 포함한다.
발진회로(110)는, 전기적 신호인 제1 신호를 생성하는 회로로서 발사체(10)내부 또는 발사검출시스템(100)에 구비되는 구동 전원(미도시)에 의해 공급받는 전기적 에너지에 전기적 신호를 생성한다. 발진회로(100)는 제1 신호를 생성함에 있어서 시간변화에 따라 함께 변화하는 주파수의 전류를 생성하여 후술할 송신코일(120)에 전달한다.
송신코일(120)은, 발진회로(110)에 의해 생성된 제1 신호를 입력받아 제1 자기장을 발생한다. 송신코일(120)은 통상의 솔레노이드 코일이 사용될 수 있으며, 제1 신호를 증폭하기 위해 2중 권선 구조로 형성된 코일이 사용될 수 있다. 송신코일(120)에서 발생되는 제1 자기장은 발사체(10)가 삽입되는 발사관(1)에 제1 자기장을 미친다. 여기서, 발사관(1)은 금속 재질로 형성되는데 이러한 발사관(1)의 금속 재질 특성에 의해 제1 자기장은 발사관(1)에 의해 변화, 변형된다. 이렇게 변형된 자기장을 본 명세서에서는 제2 자기장이라 지칭하기로 한다.
수신코일(130)은 상술한 송신코일(120)과는 반대의 역할을 하는 장치로서 발사관(1)에 의해 발생되는 제2 자기장을 입력받아 제2 자기장에 대응하는 전기적 신호인 제2 신호를 발생시킨다. 수신코일(130)에서 발생되는 제2 신호는 상기 제2 자기장에 의해 유도되는 전류로서, 일정한 주파수와 크기를 갖는다. 상기 유도 전류는 후술할 검출회로(140)에 입력된다.
검출회로(140)는 수신코일(120)로부터 입력되는 상기 제2 신호를 검출하여 발사체(10)가 발사관(1)에서 발사된 상태인지 여부를 검출하여 그 결과를 출력한다.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신호증폭부(141)가 검출회로(140)에 포함될 수 있다. 신호증폭부(141)는 검출회로(140)로 입력되는 제2 신호가 출력되기 전에 제2 신호의 크기를 증폭시키는 장치이다. 신호증폭부(141)는 발사체(10)의 외부에 구비되는 임의의 전자기기로부터 방출되는 외부 자기장에 의해 제2 신호가 영향받는 효과를 줄여 신호 처리장치(300)(도 5)가 발사체(10)의 발사여부를 정확히 판단할 수 있게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사검출시스템(100)의 구동 원리에 대한 설명을 개시하도록 한다.
발진회로(110)에 입력되는 구동 전원(미도시)에 의해 발진회로(110)는 전기적인 제1 신호를 생성한다. 제1 신호는 시간변화에 따라 주파수가 변화하는 전류로로서 발진회로(110)에서 출력된 제1 신호는 송신코일(120)로 전송되며, 송신코일(120)에 의해 제1 자기장이 발생한다. 특히 송신코일(120)은 2중 권선 구조의 코 일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입력되는 제1 신호에 따른 제1 자기장을 증폭시키기 위함이다. 자기장 증폭을 통해 발사체(10)가 위치하는 발사관(1)에 존재할 수 있는 외부 자기장에 의한 영향에도 발사검출시스템(100)이 오작동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송신코일(12)의 구조를 2중 권선 구조로 하는 것이다.
금속재질로 제작되는 발사관(1)에 의해 송신코일(120)에서 발생되는 제1 자기장은 변형되어 발사관(1)에서 제2 자기장을 발생시킨다. 이렇게 발생한 제2 자기장은 발사검출시스템(100)내부에 구비되는 수신코일(130)에 인가된다.
수신코일(130)은 수신된 제2 자기장을 전기적 신호인 제2 신호로 출력하는데 여기서 제2 신호는 제2 자기장이 수신코일(130)에 의해 유도된 전류이다.
다음으로 수신코일(130)에서 출력되는 제2 신호는 검출회로(140)에 전송된다.
검출회로(140)에서는 전송받은 제2 신호를 검출하여 이를 발사체(10)내부에 구비되는 신호 처리장치(300)로 전송하여 신호 처리장치(300)가 발사체(10)의 발사 여부를 판정할 수 있도록 한다. 신호 처리장치(300)는 검출회로(140)에 출력되는 신호에 따라 상기 신호 처리장치(300)에서 발사/미발사로 판별될 수 있도록 설정된다.
(즉, 발사체(10)가 발사관(1)내부에 삽입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수신코일(130)에 의한 제2 신호가 검출회로(140)를 통해 발사체(10)내부에 마련된 신호 처리장치(300)에 전송되므로 미발사 여부를 알 수 있는 것이다. 반대로, 발사체(10)가 발사된 상태에서는 수신코일(130)에 영향을 미치는 제2 자기장이 존재하 지 않으므로, 제2 신호가 생성되지 않기 때문에 신호 처리장치(300)는 발사체(10)가 발사된 것으로 판정하는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발사관(1)의 내부 단면은 타원형으로 제작되는 것이 일반적인데, 기계식 발사검출장치에 의할 때 타원형의 발사관에서 발사체의 위치에 따라 발사여부를 잘못 판단될 수 있었으나, 자석식 내지는 전자식을 채용한 본 발명에 따른 발사검출시스템(100)에 의하면 발사관(1) 내부에 발사체(10)가 위치하는 경우와 발사체(10)가 발사된 경우를 잘못 판단하지 않게 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발사검출시스템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개시한다.
도 6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발사검출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 도 6b는 신호증폭부가 구비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발사검출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사검출시스템(100)는 제1 수신코일(131), 제2 수신코일(132), 송신코일(120), 발진회로(110) 및 검출회로(140)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발사검출시스템(100)는 수신코일을 1개로 하였으나, 다른 실시예에서는 수신코일의 개수를 복수개로 하여 구성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수신코일을 2개 구비하는 발사검출시스템에 관하여 설명을 개시할 것이나, 수신코일의 개수를 그 이상 구비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한 사항이라 할 것이다.
다른 실시예에서, 송신코일(120) 및 발진회로(110)는 일실시예에서 설명한 바로 갈음하여 그 설명을 생략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수신코일은 제1 수신코일(131)과 제2 수신코일(132)이 구비된다. 또한, 제1 수신코일(131)과 제2 수신코일(132)은 송신코일(120)을 중심축으로 하여 대칭되는 위치에 일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 설치된다. 수신코일의 개수를 2개로 하여 각 수신코일에 인가되는 제2 자기장에 의한 제2 신호가 따로 생성되므로 어느 하나의 수신코일에 장애가 발생한 때에도 발사체(10)의 발사여부를 바르게 판단할 수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수신코일의 개수는 2개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그 이상으로 하여도 무방함을 알 수 있다.
검출회로(140)는 상술한 일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것으로 여기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발사검출시스템(100)의 구동 원리에 대한 설명을 개시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발진회로(110)에 입력되는 구동 전원(미도시)에 의해 발진회로(110)는 전기적인 제1 신호를 생성한다. 제1 신호는 시간변화에 따라 주파수가 변화하는 전류로서 발진회로(110)에서 출력된 제1 신호는 송신코일(120)로 전송되며, 송신코일(120)에 의해 제1 자기장이 발생한다. 특히 송신코일(120)은 2중 권선 구조의 코일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입력되는 제1 신호에 따른 제1 자기장을 증폭시키기 위함이다. 자기장 증폭을 통해 발사체(10)가 위치하는 발사관(1)에 존재할 수 있는 외부 자기장에 의한 영향에도 발사검출시스템(100)이 오작동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송신코일(12)의 구조를 2중 권선 구조로 하는 것이다.
금속재질로 제작되는 발사관(1)에 의해 송신코일(120)에서 발생되는 제1 자기장은 변형되어 발사관(1)에서 제2 자기장을 발생시킨다. 이렇게 발생한 유도 자기장은 발사검출장치(100)내부에 구비되는 제1 및 제2 수신코일(131, 132)에 인가된다.
제1 및 제 2 수신코일(131, 132)은 각각의 수신코일(131, 132)로 수신되는 제2 자기장을 전기적 신호인 제2 신호로 출력하는데 여기서 제2 신호는 제2 자기장이 제1 및 제2 수신코일(131, 132)에 의해 유도된 전류이다. 각 수신코일(131, 132)은 자신이 수신하는 제2 자기장에 따라 제2 신호를 생성하므로 제1 수신코일(131)에서 생성된 제2 신호와 제2 수신코일(132)에서 생성된 제2 신호는 동일한 신호일 수도 있으나, 서로 상이한 신호일 수 있다. 따라서, 이렇게 각 수신코일(131, 132)에서 생성되는 유도 전류는 수신된 유도 자기장의 상태에 따라 각기 일정 크기와 주파수를 갖는다.
다음으로 상기 제1 및 제2 수신코일(131, 132)에서 출력되는 제2 신호는 검출회로(140)에 전송된다.
검출회로(140)는 기본적으로, 전송받은 제2 신호를 검출하여 이를 발사체(10)내부에 구비되는 신호 처리장치(300)로 전송하여 신호 처리장치(300)가 발사체(10)의 발사 여부를 판정할 수 있도록 한다. 신호 처리장치(300)는 검출회로(140)에 수신되는 제2 신호에 따라 상기 신호 처리장치(300)에서 발사/미발사로 판별될 수 있도록 설정된다.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실시예에서는 신호증폭부(141)가 검출회 로(140)에 포함될 수 있다. 신호증폭부(141)는 검출회로(140)로 입력되는 제2 신호가 출력되기 전에 제2 신호의 크기를 증폭시키는 장치이다. 신호증폭부(141)는 발사체(10)의 외부에 구비되는 임의의 전자기기로부터 방출되는 외부 자기장에 의해 제2 신호가 영향받는 효과를 줄여 신호 처리장치(300)(도 5)가 발사체(10)의 발사여부를 정확히 판단할 수 있게 한다.
도 6c는 신호증폭부가 구비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발사검출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실시예에서는 검출회로(140)에 신호 비교부(142)가 포함된다.
신호 비교부(142)는 검출회로(140)로 들어오는 각 수신코일들(131, 132)의 제2 신호를 상호간에 비교하는데, 각 제2 신호의 주파수 특성과 전류의 크기를 비교한다.
신호 비교부(142)는 발사체(10)가 발사되는 과정에서 발사관(1)을 이탈하는 과정동안의 상태를 정밀하게 모니터링하기 위한 수단이다. 즉, 발사체(10)가 발사되는 과정에서 발사체(10)의 이동에 따라 발사체(10)와 발사관(1) 사이의 이격된 거리에 변화가 생기고, 제1 수신코일(131) 및 제2 수신코일(132)에 수신되는 제2 자기장의 변화로 인해 각 수신코일(131, 132)에서 발생되는 유도전류의 크기가 다르게 되고 지간지연에 따른 상이한 주파수 특성을 갖는다. 따라서, 검출회로(140)으로 입력되는 제2 신호는 제1 수신코일(131)과 제2 수신코일(132)에서 서로 다르게 나타난다.
신호 비교부(142)는 이러한 제2 신호들을 각기 검출하여 상술한 바 있는 신호 처리장치(300)에 전송한다. 따라서, 신호 처리장치(300)는 검출회로(142)의 출력신호가 서로 같은 경우에는 발사체(10)가 발사관(1)내부에 정지된 상태로 삽입된 것으로 판정할 수 있고, 출력신호가 서로 상이한 경우에는 발사체(10)가 발사되는 과정이라 판정하여 발사체(10)의 상태에 대하여 정밀하게 모니터링 할 수 있는 것이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발사체의 발사여부 검출방법에 대한 설명이 개시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발사체의 발사여부 검출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사여부 검출방법은, 제1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S10), 제1 신호에 의한 제1 자기장을 생성하는 단계(S20), 제2 자기장을 수신하고 제2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S30) 및 제2 신호 검출 및 출력단계(S40)를 포함한다.
S10단계는, 상술한 구동 전원으로부터 발진회로에 인가되는 에너지에 의해 제1 신호가 생성되는 단계이다. 여기서 발진회로은 제1 신호를 생성함에 있어 시간에 따라 주파수가 주기적으로 변화하는 신호로 생성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에 대한 설명은 상술한 바 있어 생략한다.
S20단계는, S10단계에서 생성되는 제1 신호가 송신코일에 인가되어 송신코일에서 제1 자기장이 발생되는 단계이다.
S30단계는, S20단계에서 발생한 제1 자기장은 발사체가 삽입되는 발사관에 의해 변형된 제2 자기장을 형성하는데, 이러한 제2 자기장이 수신코일에 의해 유도 전류인 제2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이다.
S40단계는, S30단계에서 생성되는 제2 신호를 검출하여 이를 출력하는 단계로서, 검출회로에서 이루어진다. 검출되는 제2 신호는 발사체 내부에 구비된 신호처리장치에 전송되어 신호 처리장치에서 발사체의 발사여부가 판정되도록 한다.
도 7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S40단계는 검출되는 제2 신호를 출력하기 전에 이를 증폭하여 출력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발사체 외부에 존재하는 전자기기에서 발생되는 자기장에 의해 제2 신호가 영향받는 효과를 줄일 수 있기 때문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 사상은 아래에 기재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파악되어야 하고, 이의 균등 또는 등가적 변형 모두는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
도 1은 종래의 발사검출장치의 작동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2는 종래의 발사검출장치가 오작동 되는 원인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발사검출시스템의 작동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사검출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
도 4b는 신호증폭부가 구비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사검출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발사검출시스템과 발사체 내부에 구비되는 신호 처리장치의 연결관계를 도시한 도면,
도 6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발사검출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
도 6b는 신호증폭부가 구비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발사검출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
도 6c는 신호비교부가 구비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발사검출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발사체의 발사여부 검출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발사관 110:발진회로
10:발사체 120:송신코일
100:본 발명에 따른 발사검출시스템 130:수신코일
200:종래의 발사검출장치 140:검출회로

Claims (9)

  1. 발사관에 삽입되는 발사체의 발사 여부를 검출하기 위해 발사체에 장착되는 발사검출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발사체의 발사여부를 검출하기 위해 전기적 신호인 제1 신호를 생성하는 발진회로;
    상기 제1 신호를 입력받아 제1 자기장을 발생하는 송신코일;
    상기 송신코일에서 발생한 제1 자기장에 의해 상기 발사관에서 발생되는 제2 자기장을 전기적 신호인 제2 신호로 생성하는 수신코일; 및
    상기 제2 신호를 검출하여 출력하는 검출회로를 포함하는 발사검출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진회로는 시간변화에 따라 주파수가 변화되는 상기 제1 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사검출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코일은 제1 자기장의 크기를 증폭시키기 위해 2중 권선 구조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사검출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회로는 상기 수신코일에서 생성되는 제2 신호를 증폭시켜 출력하는 신호증폭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사검출시스템.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코일은 적어도 둘 이상 구비되어 상기 송신코일을 중심으로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사검출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회로는 상기 적어도 둘 이상의 수신코일에서 생성되는 전기적 신호인 제2 신호를 증폭시켜 출력하는 신호증폭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사검출시스템.
  7. 발사관에 삽입되는 발사체의 발사 여부를 검출하는 방법에 있어서,
    (a) 발사체의 발사여부를 검출하기 위해 전기적 신호인 제1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b) 상기 제1 신호를 입력받아 제1 자기장을 발생시키는 단계;
    (c) 상기 (b)단계에서 발생한 제1 자기장에 의해 상기 발사관에서 발생되는 제2 자기장을 전기적 신호인 제2 신호로 생성하는 단계; 및
    (d) 상기 제2 신호를 검출하여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발사여부 검출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a)단계에서 생성되는 제1 신호는 시간 변화에 따라 주파수가 변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사여부 검출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는, 검출된 상기 제2 신호를 증폭하여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사여부 검출방법.
KR1020090084938A 2009-09-09 2009-09-09 발사체의 발사검출시스템 및 발사여부 검출방법 KR1009464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4938A KR100946405B1 (ko) 2009-09-09 2009-09-09 발사체의 발사검출시스템 및 발사여부 검출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4938A KR100946405B1 (ko) 2009-09-09 2009-09-09 발사체의 발사검출시스템 및 발사여부 검출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46405B1 true KR100946405B1 (ko) 2010-03-08

Family

ID=421830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84938A KR100946405B1 (ko) 2009-09-09 2009-09-09 발사체의 발사검출시스템 및 발사여부 검출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46405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54385A (ja) * 2003-05-28 2004-12-16 Oerlikon Contraves Ag 発射体の砲口速度を決定する装置および方法
JP2007501370A (ja) * 2003-08-01 2007-01-25 ロッキード マーティン コーポレーション 電磁ミサイル発射装置
KR100639045B1 (ko) 1996-01-05 2007-05-14 제너럴 다이나믹스 올드넌스 앤드 텍티컬 시스템즈 인코포레이티드 발사체속도측정시스템및속도계산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39045B1 (ko) 1996-01-05 2007-05-14 제너럴 다이나믹스 올드넌스 앤드 텍티컬 시스템즈 인코포레이티드 발사체속도측정시스템및속도계산방법
JP2004354385A (ja) * 2003-05-28 2004-12-16 Oerlikon Contraves Ag 発射体の砲口速度を決定する装置および方法
JP2007501370A (ja) * 2003-08-01 2007-01-25 ロッキード マーティン コーポレーション 電磁ミサイル発射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45411B1 (ko) 발사물 등의 총구 속도 측정 방법
TW200729636A (en) Testing device, pin electronics card, electrical machine and switch
US5619110A (en) Safety ensuring apparatus
KR100946405B1 (ko) 발사체의 발사검출시스템 및 발사여부 검출방법
CN105556274B (zh) 远程控制的测量装置
KR102403994B1 (ko) 전기 스파크 검출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US20170012674A1 (en) Checking a presence of an electrically conductive body
EP4278159A1 (en) Gas insulated switchgear and method for use with gas insulated switchgear
JP2018044938A (ja) 監視システム
US9869727B2 (en) Arrangement and method for monitoring a power supply
EP3304095B1 (en) Hyper-velocity impact sensor
JP6333800B2 (ja) 安全入力信号を生成するスイッチ装置および数値制御システム
GB2528746A (en) On-board communication device
CN107132390A (zh) 用于检测电功率系统的缺陷的设备
KR20220101927A (ko) 수중 운동체 발사 감지 장치 및 방법
JP2010140803A (ja) 接点の自己診断方式
JP2005178562A (ja) タイヤ空気圧検出装置
KR100996128B1 (ko) 마이크로폰의 자가 고장 검출 장치, 자가 고장 검출 방법 및 오디오 기반 장치
JP2010249738A (ja) 距離測定装置
KR101646468B1 (ko) 안테나 배열
KR20150037290A (ko) 전력기기 및 전력기기 상태 판단 시스템
KR0169069B1 (ko) 신관용 신호 송수신 시험장치
US20220342109A1 (en) Status notification device, control method for status notification device,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JP2023027477A (ja) 検査装置、処理装置及び検査方法
KR100759764B1 (ko) 알에프 스위치의 인디케이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1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1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9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