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46325B1 - 휴대용 스피커 - Google Patents

휴대용 스피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46325B1
KR100946325B1 KR1020070093785A KR20070093785A KR100946325B1 KR 100946325 B1 KR100946325 B1 KR 100946325B1 KR 1020070093785 A KR1020070093785 A KR 1020070093785A KR 20070093785 A KR20070093785 A KR 20070093785A KR 100946325 B1 KR100946325 B1 KR 1009463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nd absorbing
absorbing material
speaker
loudspeaker
s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937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28297A (ko
Inventor
손희수
Original Assignee
손희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손희수 filed Critical 손희수
Priority to KR10200700937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46325B1/ko
Publication of KR200900282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282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463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463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2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20/00Details of connection covered by H04R, not provided for in its group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30/00Signal processing covered by H04R, not provided for in its group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etails Of Audible-Bandwidth Transducers (AREA)
  • Audible-Bandwidth Dynamoelectric Transducers Other Than Picku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용 스피커에 관한 것으로서, 내부에 마그네트, 보이스코일, 및 콘지를 포함하는 스피커 유닛이 내장 설치된 하우징의 일면으로 상기 스피커 유닛에서 발생된 음성신호를 출력하는 확성부가 구비된 휴대용 스피커에 있어서, 상기 확성부의 전방에는 확성부에서 출력되는 음성신호를 흡음하는 제1흡음재가 설치되고, 상기 제1흡음재의 전방으로는 먼지나 이물질 등이 확성부 내로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는 방진망이 설치된 것을 제1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흡음재의 전방으로는 제1흡음재에 비해 흡음성이 높은 제2흡음재가 소정 간격 이격되어 설치되며, 상기 제1흡음재와 제2흡음재 사이에는 공기층이 형성된다. 이러한 본 발명은 스피커에서 출력되는 음성신호를 상기 제1흡음재, 공기층, 제2흡음재에서 흡음함으로써, 스피커가 마이크와 근접 배치되어도 하울링 현상을 억제하며, 이에 따라 휴대용 스피커의 성능을 개선하는 효과가 있다.
스피커, 마이크, 하울링, 확성부, 흡음재, 부직포, 천

Description

휴대용 스피커{Portable speaker}
본 발명은 휴대용 스피커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하울링을 현저하게 감소시켜 성능을 향상시킨 휴대용 스피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용 스피커는 사용자가 신체 일부에 착용하고 사용하는 스피커 장치로서, 소형 강연장 혹은 야외 등지에서 주로 이용되고 있다.
도 1은 종래 휴대형 스피커의 일예를 보여준다. 도 1을 참조하면, 휴대형 스피커는 하우징(1) 내부에 스피커 유닛이 장치되며, 하우징(1)의 일면으로 확성부(3)가 구비된다. 확성부(3)는 먼지나 이물질 등의 침투를 방지하기 위한 방진망(5)으로 커버된다.
도 2는 하우징(1) 내부에 설치되는 스피커 유닛의 일예를 보여준다. 이를 참조하면, 스피커 유닛은 중앙으로 폴피스(10)가 입설된 베이스플레이트(12)와, 이 베이스 플레이트(12)의 상면에 안착되는 마그네트(14)와, 마그네트(14) 상면에 상부 플레이트(16)를 매개로 장착되는 프레임(18)과, 프레임(18)의 상면에 장착되는 콘지(20)와, 콘지(20)의 중앙에서 하향 연장되며 마그네트(14)와 폴피스(10) 사이에 배치되는 보빈(22)의 둘레에 권취되는 보이스코일(24)로 구성된다. 이러한 구조의 스피커 유닛은 보이스코일(24)의 전기력과 마그네트(14) 및 폴피스(10)의 자기력 상호간 흡인 및 반발작용에 의해 콘지(20)가 진동하면서 음향신호를 출력한다. 한편, 도면 중 미설명 부호 26은 콘지(20)의 운동을 제어하는 댐퍼(26)이고, 부호 28은 이물질 등의 침입을 방지하기 위한 더스트캡(28)이다.
위와 같은 휴대용 스피커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고리(7) 등을 구비하며, 이 연결고리(7)에 목걸이 혹은 허리밴드 등을 연결하여 사용자가 착용한 상태에서 스피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 그 밖에 스피커를 목걸이나 허리밴드가 구비된 별도의 파우치 내에 수납한 상태에서 이용하도록 구성된 제품도 있다.
이와 같이, 휴대용 스피커는 그 특성상 사용자가 신체 일부에 착용하고 이용하는 것으로서, 통상 마이크와 근접된 거리에 배치된다. 이로 인해 스피커에서 출력되는 음성신호가 다시 마이크로 수음되고, 앰프를 거쳐 다시 스피커로 출력되는 과정에서 발진을 일으켜 종종 하울링 현상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하울링 현상은 특정 주파수에서 특히 심하게 발생되는데, 예컨대, 다이나믹 마이크는 5kHz 대역에서, 그리고 콘덴서 마이크는 8kHz 대역에서 하울링 현상이 특히 심하게 발생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휴대용 스피커의 확성부에 흡음재를 설치하여, 스피커에서 출력된 음성신호가 마이크로 수음되어 발생되는 하울링 현상을 방지한 새로운 구조의 휴대용 스피커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휴대용 스피커는, 내부에 마그네트, 보이스코일, 및 콘지를 포함하는 스피커 유닛이 내장 설치된 하우징의 일면으로 상기 스피커 유닛에서 발생된 음성신호를 출력하는 확성부가 구비된 휴대용 스피커에 있어서, 상기 확성부의 전방에는 확성부에서 출력되는 음성신호를 흡음하는 제1흡음재가 설치되고, 상기 제1흡음재의 전방으로는 먼지나 이물질 등이 확성부 내로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는 방진망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흡음재의 전방으로는 제1흡음재에 비해 흡음성이 높은 제2흡음재가 소정 간격 이격되어 설치되며, 상기 제1흡음재와 제2흡음재 사이에는 공기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스피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흡음재는 복수의 기공이 형성된 부직포이며, 상기 제2흡음재는 상기 제1흡음재에 비해 작은 기공을 가지며 위사와 경사가 직조된 천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하우징을 수납하는 파우치를 더 포함하며, 상기 파우치의 전면에는 상기 확성부에 대응되는 위치에 제1흡음재에 비해 흡음성이 높은 제2흡음재가 구비되며, 상기 파우치의 내측에는 상기 제2흡음재의 둘레부로 상기 방진망을 제2흡음재로부터 이격시켜 그 사이에 공기층을 형성하기 위한 스페이서가 설치된다.
본 발명의 휴대용 스피커에 따르면, 하우징 전면의 확성부에 흡음재를 설치하여 확성부에서 출력되는 음성신호를 흡음함으로써, 휴대용 스피커의 특성상 스피커와 마이크가 근접 배치되어도 스피커에서 출력되는 음성신호가 마이크로 수음되어 발생되는 하울링 현상을 최대한 억제하며, 휴대용 스피커의 성능을 개선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휴대용 스피커에 따르면, 확성부의 전방으로 제1흡음재, 공기층, 제1흡음재에 비해 흡음성이 높은 제2흡음재를 순차로 설치함으로써, 하울링 현상이 두드러지는 5~8kHz의 주파수 대역에서 특히 하울링 현상을 억제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 및 실시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스피커의 구조를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휴대용 스피커는 내부에 스피커 유닛이 장치된 하우징(50)과, 상기 하우징(50)의 전면에 형성되며 상기 스피커 유닛에서 발생된 음성신호가 출력되는 확성부(52)와, 상기 확성부(52)의 전방에 설치되는 제1흡음재(54)와, 상기 제1흡음재(54)와의 사이에 스페이서(56)을 매개로 이격 배치되어 그 사이에 공기층이 형성되도록 설치되는 제2흡음재(58)와, 확성부(52)를 커버하는 방진망(60)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도 2에 도시된 일반적인 스피커 유닛의 도면이 참조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하우징(50)의 내부에 장치되는 스피커 유닛은 일반적인 스피커 유닛의 구조와 동일하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인 스피커 유닛은 다음과 같은 구조를 갖는다. 스피커 유닛의 기저에는 중앙에 폴피스(10)가 입설된 베이스 플레이트(12)가 설치되며, 베이스 플레이트(12)의 상면에는 폴피스(10)의 둘레면과 이격되도록 마그네트(14)가 안착된다. 그리고, 마그네트(14)와 폴피스(10)의 사이에는 보빈(22)이 배치되며, 보빈(22)의 둘레에는 보이스코일(24)이 다수회 권취된다. 마그네트(14)의 상부에는 마그네트(14)의 고정 설치를 위해 상부 플레이트(16)가 설치되며, 상부 플레이트(16)의 상부로 스피커 유닛의 틀을 이루는 프레임(18)이 설치된다. 또한, 프레임(18)의 상부에는 보이스코일(24)과 마그네트(14)의 전자기력에 의해 진동하는 콘지(20)가 설치된다. 그 밖에, 콘지(20)와 상부 플레이트(16) 사이에는 콘지(20)의 진동을 제어하는 댐퍼(26)가 설치되며, 콘지(20)의 중앙에는 이물질의 침입을 방지하는 더스트캡(28)이 장착 된다.
다시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하우징(50)은 대략 직육면체 박스 형태로 도시되었으나, 하우징(50)의 형상은 이와 다르게 성형될 수도 있다. 하우징(50)의 전방에 구비된 확성부(52)는 상기 스피커 유닛에서 출력되는 음성신호를 출력하는 부분으로서, 도시된 예를 참조하면 스피커 유닛의 콘지(20)가 노출된 구조를 갖는다.
이때, 확성부(52)의 전방으로는 제1흡음재(54), 공기층, 제2흡음재(58)가 순차로 형성되며, 이 제1흡음재(54), 공기층, 제2흡음재(58)로 이루어진 흡음 유닛은 방진망(60)에 의해 커버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흡음재(54)는 복수의 기공을 갖는 다공성의 부직포이며, 제2흡음재(58)는 제1흡음재(54)에 비해 작은 기공을 가지며 위사와 경사가 직조된 천이다. 또한, 제1흡음재(54)와 제2흡음재(58) 사이에는 그 둘레부로 스페이서(56)가 설치되어, 제1흡음재(54)와 제2흡음재(58)가 대략 2mm 간격으로 이격되도록 하며, 이와 같이 상호 이격된 제1흡음재(54)와 제2흡음재(58) 사이에는 공기층이 형성된다.
이러한 구조를 갖는 흡음 유닛은 확성부(52)에서 출력되는 음성신호를 상대적으로 흡음효과가 작은 제1흡음재(54)에서 1차로 흡음하며, 공기층에서 다시 확산된 후, 흡음효과가 높은 제2흡음재(58)에서 2차로 흡음한다. 이와 같이, 다단의 흡음 유닛을 갖는 본 발명의 휴대용 스피커는, 통상의 휴대용 스피커가 그러하듯이 마이크와 근접 배치된 상태에서 이용될 때, 확성부(52)를 통해 출력되는 음성신호가 흡음 유닛에서 흡음된 상태이므로 하울링 효과를 크게 개선할 수 있다.
한편, 도 3에서 미설명 부호 62는 사용자가 본 발명의 휴대용 스피커를 신체에 착용하기 위해, 목걸이 혹은 허리밴드 등을 연결하는 연결고리(62)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준다. 이를 참조하면, 상기 확성부(52)의 전방에는 제1흡음재(54)만이 설치되고, 제1흡음재(54)의 전방으로 방진망(60)이 커버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확성부(52)의 전방으로 제1흡음재(54)만이 설치되는 경우에도, 어느 정도 하울링 현상을 억제하는 효과를 누릴 수 있다. 하지만,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제1흡음재(54), 공기층, 제2흡음재(58)로 이루어진 흡음 유닛이 모두 설치될 때 비로소 하울링 현상을 대폭 억제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공기층 및 제2흡음재(58)는 상기 하우징(50)을 수납할 수 있는 파우치(64)에 설치된다. 파우치(64)는 내부에 상기 하우징(50)을 수납하기 위한 수납공간을 구비하며, 하우징(50)이 파우치(64) 내에 안정적으로 위치 고정될 수 있도록 파우치(64)의 상부에는 덮개(66)가 구비된다. 또한, 하우징(50)의 전방 상측에는 걸림돌기(72)가 구비되며, 상기 덮개(66)에는 걸림돌기(72)에 대응되는 위치에 걸림돌기(72)가 걸려지는 걸림공(74)이 형성된다. 따라서, 하우징(50)을 파우치(64) 내에 수납한 상태에서, 상기 덮개(66)를 덮은 후, 걸림돌기(72)를 걸림공(74)에 끼우면, 하우징(50)이 파우치(64) 내에 안정적으로 위치 고정된다.
도 5의 단면도를 참조하면, 상기 파우치(64)의 전면에는 하우징(50) 전면의 확성부(52)에 대응되는 위치에 제2흡음재(58)가 설치된다. 그리고, 파우치(64)의 내측에는 제2흡음재(58)의 둘레부로 스페이서(56)가 설치된다. 스페이서(56)는 상 기 방진망(60)과 제2흡음재(58) 사이를 이격시켜, 그 사이에 공기층이 형성되도록 한다. 한편, 도 5에서 미설명 부호 76은 파우치(64)를 벨트에 착용하기 위한 벨트클립(76)이다.
본 실시예에서도 앞선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제1흡음재(54)는 복수의 기공을 갖는 다공성의 부직포이고, 제2흡음재(58)는 제1흡음재(54)에 비해 작은 기공을 가지며 위사와 경사가 직조된 천으로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하우징(50)의 확성부 전방으로 제1흡음재(54)를 설치하고, 파우치(64)의 전면에 제2흡음재(58)를 설치하며, 제1흡음재(54)와 제2흡음재(58) 사이에 스페이서(56)에 의해 이격되어 공기층을 형성하도록 한다.
따라서, 확성부(52)에서 출력되는 음성신호를 상대적으로 흡음효과가 작은 제1흡음재(54)에서 1차로 흡음하며, 파우치(64)에 마련된 공기층에서 다시 확산시킨 후, 흡음효과가 높은 제2흡음재(58)에서 2차로 흡음한다.
도 6은 이러한 구조의 스피커와 종래 스피커를 비교한 그래프를 보여준다. 도시된 그래프에서, 적색으로 보이는 최상단의 그래프는 종래 휴대용 스피커와 같이 확성부(52) 전방에 어떤 흡음재도 설치하지 않은 제품의 주파수 대비 노이즈 특성을 보인 것이며, 청색으로 보이는 중간의 그래프는 확성부(52) 전방에 제1흡음재(54)로서 부직포만 설치된 제품의 상태이며, 녹색으로 보이는 최하단의 그래프는 확성부(52) 전방에 제1흡음재(54)로서 부직포를 설치하고 제2흡음재(58)로서 천을 설치하고 그 사이에 공기층을 형성한 제품의 상태를 보인 것이다.
이를 참조하면, 다이나믹 마이크 및 콘덴서 마이크의 하울링 대역인 5~8kHz 대역에서 어떤 흡음재도 설치하지 않은 제품의 스피커에 비해, 제1흡음재(54)로서 부직포를 설치한 제품에서 하울링 현상이 개선된 것을 볼 수 있고, 파우치(64)에 공기층 및 제2흡음재(58)로서 천을 설치한 제품에서는 하울링 현상이 현저하게 차단되는 것을 볼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도 1은 종래 휴대용 스피커의 일예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일반적인 스피커 유닛의 구조를 보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스피커의 구조를 보인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측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하울링 현상 개선상태를 보인 그래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0 : 하우징 52 : 확성부
54 : 제1흡음재 56 : 스페이서
58 : 제2흡음재 60 : 방진망
62 : 연결고리 64 : 파우치
66 : 덮개 72 : 걸림돌기
74 : 걸림공 76 : 벨트클립

Claims (5)

  1. 내부에 마그네트, 보이스코일, 및 콘지를 포함하는 스피커 유닛이 내장 설치된 하우징의 일면으로 상기 스피커 유닛에서 발생된 음성신호를 출력하는 확성부가 구비된 휴대용 스피커에 있어서,
    상기 확성부의 전방에는 확성부에서 출력되는 음성신호를 흡음하는 제1흡음재가 설치되고, 상기 제1흡음재의 전방으로는 제1흡음재에 비해 흡음성이 높은 제2흡음재가 소정 간격 이격되어 설치되며, 상기 제1흡음재와 제2흡음재 사이에는 공기층이 형성되고, 상기 제2흡음재의 전방으로는 먼지나 이물질 등이 확성부 내로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는 방진망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스피커.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흡음재는 복수의 기공이 형성된 부직포이며, 상기 제2흡음재는 상기 제1흡음재에 비해 작은 기공을 가지며 위사와 경사가 직조된 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스피커.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흡음재와 제2흡음재 사이에는 스페이서가 개재되어 상기 제1흡음재와 제2흡음재간 공기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스피커.
  5. 삭제
KR1020070093785A 2007-09-14 2007-09-14 휴대용 스피커 KR1009463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3785A KR100946325B1 (ko) 2007-09-14 2007-09-14 휴대용 스피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3785A KR100946325B1 (ko) 2007-09-14 2007-09-14 휴대용 스피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28297A KR20090028297A (ko) 2009-03-18
KR100946325B1 true KR100946325B1 (ko) 2010-03-08

Family

ID=406956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93785A KR100946325B1 (ko) 2007-09-14 2007-09-14 휴대용 스피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4632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6513B1 (ko) * 2010-09-06 2012-05-25 주식회사 블루콤 콘덴서 마이크로폰 조립체 및 그 제조방법
CN109788381B (zh) * 2019-03-14 2019-12-31 深圳市森美拓电子有限公司 一种智能蓝牙音箱
KR20230151817A (ko) * 2022-04-26 2023-11-02 삼성전자주식회사 음향 출력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4493A (ja) * 1997-06-13 1999-01-06 Sharp Corp 防塵ネット
KR20000002738U (ko) * 1998-07-10 2000-02-07 유희춘 승용차의 패케지 트레이에 장착되는 스피커부 구조
KR200364444Y1 (ko) * 2004-07-14 2004-10-11 세황전자 주식회사 흡음재가 내장된 헤드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4493A (ja) * 1997-06-13 1999-01-06 Sharp Corp 防塵ネット
KR20000002738U (ko) * 1998-07-10 2000-02-07 유희춘 승용차의 패케지 트레이에 장착되는 스피커부 구조
KR200364444Y1 (ko) * 2004-07-14 2004-10-11 세황전자 주식회사 흡음재가 내장된 헤드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28297A (ko) 2009-03-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10495B2 (en) Dynamic headphones
CN108476353B (zh) 具有滤音器的噪音屏蔽耳机
US10057677B2 (en) Electroacoustic transducer and acoustic resistor
KR101756673B1 (ko) 다공성 물질을 구비하는 마이크로스피커 인클로져
CN104967958A (zh) 高音质压电式扬声器
KR100946325B1 (ko) 휴대용 스피커
CN109076275A (zh) 噪音屏蔽耳机及其制造方法
US11696059B2 (en) Two-way receiver having front bass duct
US3213209A (en) Loudspeaker
JPH04227396A (ja) インナーイヤー型ヘッドホン
US20220103918A1 (en) Magnetic loudspeaker grill mounting system
KR100946326B1 (ko) 스피커 수납용 파우치
EP3396975A1 (en) Headphones
KR101273734B1 (ko) 댐퍼리스 스피커
US11076229B2 (en) Grill-integrated low-pass filter and speaker including the same
KR100671399B1 (ko) 스피커
JPS60218998A (ja) スピ−カ
US2791641A (en) Telephone receiver
KR101267751B1 (ko) 평면 스피커
JP3834508B2 (ja) スピーカの磁気回路
CN219107635U (zh) 一种窄指向性扬声器
KR100853898B1 (ko) 전기 음향 변환기
KR101242922B1 (ko) 합금폼을 이용한 스피커
JPH104600A (ja) スピーカ
KR101256769B1 (ko) 스피커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