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45853B1 - 단자함 고정구 - Google Patents

단자함 고정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45853B1
KR100945853B1 KR1020080021033A KR20080021033A KR100945853B1 KR 100945853 B1 KR100945853 B1 KR 100945853B1 KR 1020080021033 A KR1020080021033 A KR 1020080021033A KR 20080021033 A KR20080021033 A KR 20080021033A KR 100945853 B1 KR100945853 B1 KR 1009458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box
wall
fixing plate
buried groove
plate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210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95845A (ko
Inventor
김근수
Original Assignee
김근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근수 filed Critical 김근수
Priority to KR10200800210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45853B1/ko
Publication of KR200900958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958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458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458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3/12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for flush mounting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4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3/14Fastening of cover or lid to box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36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in walls, floors or ceilings
    • H02G3/38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in walls, floors or ceilings the cables or lines being installed in preestablished conduits or ducts
    • H02G3/386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in walls, floors or ceilings the cables or lines being installed in preestablished conduits or ducts in walls
    • H02G3/388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in walls, floors or ceilings the cables or lines being installed in preestablished conduits or ducts in walls in modular walls, e.g. wall pan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벽체를 미리 형성한 후 단자함을 매립하기 위해 벽체에 단자함이 설치될 홈을 형성하게 되는데, 그 홈에 단자함을 간편하게 고정 지지할 수 있게 함과 아울러 단자함이 설치되는 홈에 몰탈을 용이하게 충진할 수 있게 함은 물론 충진된 몰탈의 미장작업을 할 수 있게 하여 단자함의 주변을 미려하게 할 수 있게 한 단자함 고정구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은 벽체에 설치된 단자함의 매설홈을 가로질러 분리 가능하게 벽체에 대면하여 고정되는 벽체고정판부와 상기 벽체고정판부에 일체로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매설홈에 설치되는 단자함의 개수로 형성되어 상기 단자함을 매설홈에 위치시킬 수 있게 단자함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단자함고정판부들과 상기 단자함고정판부들의 사이 및 상기 단자함고정판부와 벽체고정판부의 사이를 전방으로 돌출되게 절곡 형성하여 상기 매설홈에 몰탈을 충진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절곡판부로 이루어진다.
단자함, 고정구, 고정판, 플레이트, 벽체

Description

단자함 고정구{the fixing implement for terminal box}
본 발명은 단자함 고정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단독, 공동주택 혹은 건물 등의 벽체에 매설되어 배선(配線)되는 전기선, 안테나선, 전화선, 통신선 등과 연결되는 단자들을 설치하기 위한 공간을 제공하는 단자함을 벽체에 설치할 수 있게 고정하기 위한 단자함 고정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단자함이라고 하면, 단독, 공동주택 혹은 건물 등의 시공시 벽체에 매설되어 내부로 들어오는 전선, 예컨대 전기선, 전화선, 인터넷 전용선, 안테나선 등을 연결하기 위한 단자를 설치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단자함을 벽체에 매설하는 과정을 보면, 벽체를 형성하는 철근골조를 먼저 설치 후, 그 철근 골조에 상기 단자함을 고정한 상태에서 시멘트 몰탈을 타설함에 의해 단자함이 매입된 벽체를 형성하고 있다. 즉, 벽체를 형성하는 공정 중에 단자함을 설치한다.
그러나, 최근에는 인공경량골재, 시멘트, 모래, 물, 기타무기첨가제를 일정비율로 혼합하여 압출성형의 공정으로 제작한 압출성형 경량콘크리트 패널(extrusion lightweight concrete panels)을 이용하여 건물의 내,외부 비내력벽 체를 형성하는 공법을 많이 사용한다.
이와 같은 압출성형 경량콘크리트 패널을 이용하여 건물의 비내력벽체를 형성하게 되면, 규격화된 패널을 이용함으로서 건설현장에서의 규격화, 표준화, 과학화에 부응하여 관리가 용이하고 공기를 단축시킬 수 있으며 경비를 절감할 수 있는 등의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비내력벽체의 시공이 간편함은 물론 경량성, 내화성, 작업성, 내구성, 차음성이 우수한 장점도 갖는다.
그러나, 이와 같이 압출성형 경량콘크리트 패널을 이용하여 비내력벽체를 형성할 경우, 벽체에 매입되게 설치되는 단자함은 비내력벽체를 형성하는 공정 중에는 매립시킬 수 없다. 즉, 압출성형 경량콘크리트 패널을 이용하여 벽체를 미리 형성함에 따라 벽체를 형성한 후 단자함을 매입하여여 하므로, 단자함의 설치에 많은 어려움이 있었다.
이와 같이 벽체를 형성한 후 단자함을 설치하기 위해서는, 상기 벽체에 단자함이 설치될 수 있게 상기 단자함이 설치될 수 있는 크기의 홈을 형성하고 그 홈에 단자함을 위치되게 고정한 후 상기 홈에 몰탈을 충진하는 것에 의해 단자함을 매립하게 된다. 이때, 상기 단자함을 홈에 위치되게 고정하기 위해서는 통상 평판을 이용하고 있다. 즉, 평판의 일면에 나사 등을 이용하여 단자함을 고정하고, 고정된 단자함이 벽체에 형성된 홈에 위치되도록 상기 평판의 양단부를 못 등을 이용하여 압출성형 경량콘트리트 패널에 고정하는 방법으로 단자함을 지지하였다.
그러나, 이와 같이 평판을 이용하여 단자함을 고정할 경우에는 상기 홈에 몰탈을 충진하는데 많은 어려움이 있었다. 즉, 평판이 위치되는 부위에 몰탈을 충진 하기 어렵고, 또 그 부위에는 미장작업을 할 수 없음으로서 벽체의 외관이 미려하지 않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벽체를 미리 형성한 후 단자함을 매립하기 위해 벽체에 단자함이 설치될 홈을 형성하게 되는데, 그 홈에 단자함을 간편하게 고정 지지할 수 있게 함과 아울러 단자함이 설치되는 홈에 몰탈을 용이하게 충진할 수 있게 함은 물론 충진된 몰탈의 미장작업을 할 수 있게 하여 단자함의 주변을 미려하게 할 수 있게 한 단자함 고정구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벽체에 설치된 단자함의 매설홈을 가로질러 분리 가능하게 벽체에 대면하여 고정되는 제1결합공들을 갖는 벽체고정판부와 상기 벽체고정판부로부터 일체로 연장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매설홈에 설치되는 단자함의 개수로 형성되어 상기 단자함을 매설홈에 위치시킬 수 있게 단자함을 분리 가능하게 결합하는 제2결합공들을 갖는 단자함고정판부들과 상기 단자함고정판부들의 사이 혹은 상기 단자함고정판부와 벽체고정판부의 사이에 전방으로 돌출되게 절곡 형성하여 상기 매설홈에 몰탈을 용이하게 충진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절곡판부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결합공들 모두와 상기 제2결합공들 중 어느 하나는 상호 연락되게 형성한 대구경과 소구경으로 형성하는 반면, 상기 제2결합공들의 다른 하나는 하방이 개구되게 형성한다.
상기 제1결합공들은 선택적으로 결합할 수 있게 가로방향으로 연속하여 연락 되게 형성한다.
또한, 본 발명은 벽체에 설치된 단자함의 매설홈을 가로질러 분리 가능하게 벽체에 대면하여 고정되는 제3결합공들을 갖는 제2벽체고정판부와 상기 제2벽체고정판부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게 절곡 형성되어 상기 매설홈에 몰탈을 용이하게 충진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제2절곡판부와 상기 제2절곡판부의 상하측에서 후방으로 절곡됨과 아울러 상기 매설홈에 설치되는 단자함의 개수로 형성되어 상기 단자함을 매설홈에 위치시킬 수 있게 단자함을 분리 가능하게 결합하는 제4결합공들을 갖는 제2단자함고정판부들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벽체를 미리 형성한 후 단자함을 매립할 경우 단자함을 설치하기 위해 형성한 홈에 간편하게 단자함을 고정 지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단자함을 설치하기 위해 형성한 홈에 몰탈을 용이하게 충진할 수 있게 함은 물론 충진된 몰탈의 미장작업을 할 수 있게 하여 단자함의 주변을 미려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일반적인 단자함을 정면에서 보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는 단자함(10)이 도시되어 있다. 상기 단자함(10)은 단독, 공동주택 혹은 건물 등의 시공시 벽체에 매설되어 내부로 들어오는 전선, 예컨대 전기선, 전 화선, 인터넷 전용선, 안테나선 등을 연결하기 위한 단자를 설치할 수 있는 수용공간을 제공하는 것으로, 이러한 단자함(10)을 개략적으로 설명한다.
상기 단자함(10)은 단자들이 설치되는 수용공간의 개구를 외부로 노출되는 상태로 하여 벽체에 매립되게 설치되는 것인데, 그 단자함(10)은 단자를 설치하기 위한 상기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대략 장방형상으로 전면이 개구되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단자에 연결하기 위한 각종 전선들을 인입할 수 있도록 다수개의 전선 인입구(10a)들이 형성되며, 필요에 따라 추가로 인입구를 설치할 수 있도록 개방 가능하도록 된 폐쇄한 인입구(도 4표시에서 도면부호 10b참조)들이 형성되어 있다.
또, 상기 단자함(10)의 전면으로 커버(미도시)를 설치하기 위한 나사공(10c)들이 상하부로 설치되어 상기 나사공(10c)들을 통해 커버를 설치할 수 있게 한다. 이 커버에 의해 상기 단자함(10)을 매설할 경우 몰탈이 단자함의 내부로 들어가지 못하게 막는 역할을 한다.
도 2는 도 1표시의 단자함을 본 발명에 따른 고정구를 이용하여 벽체에 설치한 상태를 보인 도면이고, 도 3은 도 2표시의 I-I선 단면도이다.
도 2와 도 3에는 상기 단자함(10)이 벽체(12)에 설치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단자함(10)을 벽체(12)에 설치할 경우 통상의 방법과 달리, 즉 벽체를 형성하기 위한 철근골조에 단자함을 고정하여 벽체에 매설하는 것이 아니라, 압출성형 경량콘크리트 패널을 이용하여 벽체를 미리 형성한 후 상기 단자함(10)을 설치하는 것으로, 상기 단자함(10)을 기 형성한 벽체(12)에 매설할 수 있게 상기 벽체(12)에 매설홈(12a)을 형성하고 상기 매설홈(12a)에 단자함(10)이 위치되게 지지 한 상태에서 상기 매설홈(12a)에 몰탈을 충진하여 단자함을 설치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단자함(10)을 벽체(12)에 형성한 매설홈(12a)에 위치되게 지지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단자함 고정구(100)를 이용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단자함 고정구(100)에 단자함(10)을 고정한 상태에서 상기 단자함 고정구(100)의 양단부를 벽체(12)에 고정하는 것에 의해 상기 단자함 고정구(100)에 설치되는 단자함(10)이 매설홈(12a)에 위치되도록 지지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매설홈(12a)에 몰탈을 충진한 후, 미장작업을 하여 매설홈(12a)을 매우고 이후 상기 단자함 고정구(100)를 벽체(12)와 단자함(10)으로부터 분리하는 것에 의해 단자함(10)이 매설 작업을 완료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고정구가 단자함으로부터 분리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표시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단자함 고정구(100)는 고정판체를 구비하고 있다. 이 고정판체는 벽체고정판부(110)와 단자함고정판부(120) 및 절곡판부(130)로 이루어진다. 상기 벽체고정판부(110)는 매설홈(12a)을 가로질러 고정할 수 있게 제1결합공(114a,114b)들이 형성된 제1결합면(1121,112b)이 양측부로 위치되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단자함고정판부(120)는 제1결합면(112a,112b)들 사이로 형성되어 상기 단자함들을 매설홈(12a)에 위치되게 고정하는 제2결합공(124a)과 요입홈(124b)들이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결합면(122a,122b)들을 갖는다.
이와 같은 고정판체에 단자함(10)을 고정한 상태에서 상기 매설홈(12a)을 가 로질러 고정함으로서, 상기 단자함(12)이 매설홈(12a)에 위치되게 지지되게 한 후, 상기 매설홈(12a)에 몰탈을 충진함으로서 단자함을 벽체에 매설되게 설치한다.
또한, 상기 절곡판부(130)는 고정판체에 구비되는 각각의 결합면(112a,112b,122a,122b)들 사이를 전방으로 돌출되게 절곡 형성하여 이루어진다. 이러한 절곡판부(130)에 의해 상기 매설홈(12a)에 충진되는 몰탈을 용이하게 미장작업을 할 수 있게 한다. 즉, 상기 절곡판부(130)에 의해 미장작업을 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여, 외관을 미려하게 미장작업을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절곡판부(130)를 형성하기 위해서는 도 4표시와 같이 상기 제2결합면(122a,122b)들 혹은 제1결합면(112a,112b)들의 측단부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게 절곡하는 것에 의해 형성할 수 있으며, 전방으로 돌출되는 길이가 길어질 경우 미장 작업은 용이하게 할 수 있으나, 단자함의 지지력이 약해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절곡판부(130)가 앞으로 절곡되는 길이는 미장작업에 적당한 길이로 돌출되게 형성함이 좋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1결합면(112a,112b)들에 형성되는 제1결합공(114a,114b)들과 상기 제2결합면(122a,122b)에 형성되는 제2결합공(124a)은 상호 연락되게 형성한 대구경과 소구경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대구경은 하부에 상기 소구경은 상부로 위치된다. 즉, 상기 결합공들은 오뚜기 모양을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2결합면(122a,122b)에 형성된 요입홈(124b)은 하단이 개구되게 형성함이 좋다. 이는 본 발명의 단자함 고정구(100)에 상기 단자함(10)을 편리하게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 고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와 같이 상기 결합공들이 대구경과 소구경으로 이루어지게 되면, 상기 제1결합공(114a,114b)들을 통해 벽체에 고정하기 위한 못, 혹은 상기 제2결합공(124a)과 요입홈(124b)들을 통해 단자함에 고정하는 나사 등을 벽체 혹은 단자함으로부터 분리하지 않은 상태에서 본 발명의 단자함 고정구를 분리할 수 있어, 작업성을 향상시킨다. 즉, 상기 단자함 고정구는 결합공들의 소구경을 통해 벽체 및 단자함에 고정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단자함 고정구를 상부로 밀어 올려주는 것에 의해 못 혹은 나사가 대구경으로 위치되어 못 혹은 나사를 제거하지 않은 상태로 상기 단자함 고정구를 쉽게 분리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고정구의 제1변형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에 나타낸 본 발명의 변형예는, 위에서 설명한 실시예에서 상기 단자함을 고정하기 위한 단자함고정판부(120)에 구비되는 제2결합면(122a~122c)들의 개수에만 차이점이 있을 뿐, 그 밖의 다른 구성은 모두 동일하다. 즉, 3개의 단자함을 설치할 수 있게 제2결합면(122a~122c)들이 3개가 형성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에에 따른 고정구의 제2변형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에 나타낸 본 발명의 변형예는, 위에서 설명한 실시예에서 상기 단자함을 고정하기 위한 단자함고정판부(120)에 구비되는 제2결합면(122a)의 개수에만 차이점이 있을 뿐, 그 밖의 다른 구성은 모두 동일하다. 즉, 1개의 단자함을 설치할 수 있게 제2결합면(122a)이 1개만 형성된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고정구의 제3변형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에 나타낸 본 발명의 변형예는, 위에서 설명한 실시예에서 상기 단자함을 벽체에 고정하기 위한 벽체고정판부(110)에 구비되는 제1결합공(114a,114b)들의 형상에만 차이점이 있을 뿐, 그 밖의 다른 구성은 모두 동일하다. 즉, 상기 제1결합공(114a,114b)들은 좌우측으로 상호 인접하게 다수 개를 형성함과 아울러 상호 인접하는 소구경들을 연락공(116)에 의해 서로 연락되게 형성한 것이다. 이와 같이 상기 제1결합공(114a,114b)들을 다수개 형성한 후 연락공(116)으로 연결하게 되면, 상기 매설홈(12a)에 박혀지는 못의 위치가 변경되어도 간편하게 벽체에 고정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고정구가 단자함으로부터 분리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에 나타낸 본 발명의 제2실시예는, 위에서 설명한 제1실시예에서 절곡판부를 형성하기 위해 절곡한 형상에만 차이점이 있을 뿐, 그 밖의 다른 구성은 모두 동일한 것으로, 이에 대하여 간략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는, 벽체(12)에 설치된 단자함(10)의 매설홈(12a)을 가로질러 분리 가능하게 벽체(12)에 대면하여 고정되는 제3결합공(114a,114b)(제1실시예서 제1결합공에 해당함)들을 갖는 제2벽체고정판부(110)(제1실시예에서 벽체고정판부에 해당함)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제2벽체고정판부(110)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게 절곡 형성되어 상기 매설홈(12a)에 몰탈을 용이하게 충진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제2절곡판부(130)(제1실시예에서 절곡판부에 해당함)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제2절곡판부(130)의 상하측에서 후방으로 절곡됨과 아울러 상기 매설홈(12a)에 설치되는 단자함(10)의 개수로 형성되어 상기 단자함(10)을 매설홈(12a)에 위치시킬 수 있게 단자함(10)을 분리 가능하게 결합하는 제4결합공(124a,124b)(제1실시예에서 제2결합동에 해당함)들을 갖는 제2단자함고정판부(120)(제1실시예에서 단자함고정판부에 해당함)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제2실시예는, 상기 제2절곡판부(130)를 형성하기 위해 제2결합면(122a,122b)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게 절곡되는 부위를 상하부에서 절곡되게 한 것이다. 이를 위해, 상기 제2결합면(122a,122b)을 상하 2개로 분할하여, 그 분할된 상하단에서 각각 전방으로 돌출되게 절곡한다. 따라서, 상기 절곡판부(130)에 의해 형성되는 단자함 고정구(100)의 전면은 절곡됨이 없이 평판을 이루게 형성할 수 있다. 즉, 제1실시예에서는 단자함 고정구의 전면이 굴곡되는 형태로 절곡되는 반면, 제2실시예에서는 전면이 평판을 이루게 형성되어 단자함 고정구의 외관미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고정구의 제1변형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9에 나타낸 본 발명의 변형예는, 위에서 설명한 실시예에서 상기 단자함을 고정하기 위한 제2단자함고정판부(120)에 구비되는 제2결합면(122a~122c)들의 개수에만 차이점이 있을 뿐, 그 밖의 다른 구성은 모두 동일하다. 즉, 3개의 단자함을 설치할 수 있게 제2결합면(122a~122c)들이 3개가 형성된 것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2실시에에 따른 고정구의 제2변형예를 나타낸 사시도이 다.
도 10에 나타낸 본 발명의 변형예는, 위에서 설명한 실시예에서 상기 단자함을 고정하기 위한 제2단자함고정판부(120)에 구비되는 제2결합면(122a)의 개수에만 차이점이 있을 뿐, 그 밖의 다른 구성은 모두 동일하다. 즉, 1개의 단자함을 설치할 수 있게 제2결합면(122a)이 1개만 형성된 것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고정구의 제3변형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1에 나타낸 본 발명의 변형예는, 위에서 설명한 실시예에서 상기 단자함을 벽체에 고정하기 위한 제2벽체고정판부(110)에 구비되는 제1결합공(114a,114b)들의 형상에만 차이점이 있을 뿐, 그 밖의 다른 구성은 모두 동일하다. 즉, 상기 제1결합공(114a,114b)들은 좌우측으로 상호 인접하게 다수 개를 형성함과 아울러 상호 인접하는 소구경들을 연락공(116)에 의해 서로 연락되게 형성한 것이다. 이와 같이 상기 제1결합공(114a,114b)들을 다수개 형성한 후 연락공(116)으로 연결하게 되면, 상기 매설홈(12a)에 박혀지는 못의 위치가 변경되어도 간편하게 벽체에 고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단자함 고정구(100)를 이용하여 기 형성한 벽체(12)에 단자함(10)을 간편하게 매설할 수 있다. 즉, 상기 벽체(12)에 단자함이 설치된 부위를 정한 후 그 부위에 단자함이 설치될 수 있는 크기로 매설홈(12a)을 형성하고, 상기 단자함 고정구(100)에 단자함(10)들을 고정한 상태로 상기 단자함이 매설홈에 위치되게 단자함 고정구를 벽체에 고정하는 것에 의해 간편하게 매설홈에 단자함이 위치되게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매설홈에 충진되는 몰탈은 단자함 고정구(100)에 형성되는 절곡판부에 의해 용이하게 충진할 수 있게 함과 아울러 매설홈의 전면으로 충진된 몰탈에 미장 작업을 할 수 있게 하여 단자함이 설치되는 주위의 벽체에 미려한 외관을 갖게 할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단자함을 정면에서 보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표시의 단자함을 본 발명에 따른 고정구를 이용하여 벽체에 설치한 상태를 보인 도면이고,
도 3은 도 2표시의 I-I선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고정구가 단자함으로부터 분리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고정구의 제1변형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에에 따른 고정구의 제2변형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고정구의 제3변형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고정구가 단자함으로부터 분리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고정구의 제1변형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제2실시에에 따른 고정구의 제2변형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고정구의 제3변형예를 나타낸 사시도이 고,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단자함 고정구 110 - 벽체고정판부
120 - 단자함고정판부 130 - 절곡판부

Claims (4)

  1. 벽체에 설치된 단자함의 매설홈을 가로질러 분리 가능하게 벽체에 대면하여 고정되는 제1결합공들을 갖는 벽체고정판부와 상기 벽체고정판부로부터 일체로 연장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매설홈에 설치되는 단자함의 개수로 형성되어 상기 단자함을 매설홈에 위치시킬 수 있게 단자함을 분리 가능하게 결합하는 제2결합공들을 갖는 단자함고정판부들과 상기 단자함고정판부들의 사이 혹은 상기 단자함고정판부와 벽체고정판부의 사이에 전방으로 돌출되게 절곡 형성하여 상기 매설홈에 몰탈을 용이하게 충진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절곡판부로 이루어진 단자함 고정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결합공들 모두와 상기 제2결합공들 중 어느 하나는 상호 연락되게 형성한 대구경과 소구경으로 형성하는 반면, 상기 제2결합공들의 다른 하나는 하방이 개구되게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자함 고정구.
  3. 제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상기 제1결합공들은 선택적으로 결합할 수 있게 가로방향으로 연속하여 연락되게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자함 고정구.
  4. 벽체에 설치된 단자함의 매설홈을 가로질러 분리 가능하게 벽체에 대면하여 고정되는 제3결합공들을 갖는 제2벽체고정판부와 상기 제2벽체고정판부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게 절곡 형성되어 상기 매설홈에 몰탈을 용이하게 충진할 수 있는 공간 을 제공하는 제2절곡판부와 상기 제2절곡판부의 상하측에서 후방으로 절곡됨과 아울러 상기 매설홈에 설치되는 단자함의 개수로 형성되어 상기 단자함을 매설홈에 위치시킬 수 있게 단자함을 분리 가능하게 결합하는 제4결합공들을 갖는 제2단자함고정판부들로 이루어진 단자함 고정구.
KR1020080021033A 2008-03-06 2008-03-06 단자함 고정구 KR1009458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1033A KR100945853B1 (ko) 2008-03-06 2008-03-06 단자함 고정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1033A KR100945853B1 (ko) 2008-03-06 2008-03-06 단자함 고정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95845A KR20090095845A (ko) 2009-09-10
KR100945853B1 true KR100945853B1 (ko) 2010-03-08

Family

ID=412961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21033A KR100945853B1 (ko) 2008-03-06 2008-03-06 단자함 고정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4585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587583B (zh) * 2018-11-05 2021-09-14 温州职业技术学院 一种基于5g网络的室内通信装置安装结构及使用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66102Y1 (ko) 1999-07-22 2000-02-15 김상도 경량 칸막이용 배선박스의 고정구조
KR200288018Y1 (ko) 2002-06-07 2002-09-09 (주)상진전기 간격유지구 결합형 전기배선박스
JP4085875B2 (ja) * 2003-04-22 2008-05-14 松下電工株式会社 配線器具取付け部材の支持金具
KR20080004391U (ko) * 2007-04-02 2008-10-08 (주)상진전기 경량 칸막이용 전기배선박스 설치지지대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66102Y1 (ko) 1999-07-22 2000-02-15 김상도 경량 칸막이용 배선박스의 고정구조
KR200288018Y1 (ko) 2002-06-07 2002-09-09 (주)상진전기 간격유지구 결합형 전기배선박스
JP4085875B2 (ja) * 2003-04-22 2008-05-14 松下電工株式会社 配線器具取付け部材の支持金具
KR20080004391U (ko) * 2007-04-02 2008-10-08 (주)상진전기 경량 칸막이용 전기배선박스 설치지지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95845A (ko) 2009-09-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196257B (zh) 室内布线结构及布线方法
CN205894373U (zh) 一种装配式墙体的自配合拼接结构
KR100761047B1 (ko) 공동주택 천정 전기 케이블 설치구조
CN206512891U (zh) 用于轻钢集成房屋的装配式墙体
JP2005531703A (ja) 型枠材
KR100945853B1 (ko) 단자함 고정구
KR200432623Y1 (ko) 경량벽체 지지유닛
CN212506801U (zh) 装配式建筑顶板与墙板的t型连接结构
KR20120000702A (ko) 경량 성형재를 구비한 조립식 영구거푸집 유닛 및 이를 이용한 벽체 시공방법
KR101326008B1 (ko) 주택시공용 콘크리트 구조체
US4479338A (en) Building elements and method of constructing a building
KR200385873Y1 (ko) 길이가변식 매립트랩의 개선구조
CN108643404A (zh) 装配式拼接隔墙轻薄模板
CN209823207U (zh) 预制配电箱
WO2001077456A1 (en) A building system
KR200211308Y1 (ko) 조립식 암거의 종방향 결합 구조
KR100586247B1 (ko) 건축용 패널 조립체
US20060185283A1 (en) Interlocking construction panel showing fabrication thereof and the building system
KR100694176B1 (ko) 건축물 내부 벽체 구조
ITVE20090027A1 (it) Pannello in materiale polimerico a bassa densità autoportante per la realizzazione di pareti e relativo procedimento.
CN217782464U (zh) 一种墙体上箱体安装结构
CN114658142B (zh) 一种陶粒混凝土墙板安装结构及其施工方法
CN205090097U (zh) 砌体墙穿管线结构
KR20130000100A (ko) 조립식 블럭
KR200366578Y1 (ko) 조립식 벽체에 사용되는 양면 반자돌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1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0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1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