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44771B1 - 유비쿼터스 멀티미디어 등급 지정 판별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유비쿼터스 멀티미디어 등급 지정 판별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44771B1
KR100944771B1 KR1020070132525A KR20070132525A KR100944771B1 KR 100944771 B1 KR100944771 B1 KR 100944771B1 KR 1020070132525 A KR1020070132525 A KR 1020070132525A KR 20070132525 A KR20070132525 A KR 20070132525A KR 100944771 B1 KR100944771 B1 KR 1009447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ultimedia
rating
ubiquitous
multimedia data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325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65085A (ko
Inventor
구자범
나재훈
장종수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0701325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44771B1/ko
Publication of KR200900650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650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447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447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22Processing or transfer of terminal data, e.g. status or physical capabilities
    • H04W8/24Transfer of terminal dat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3Generation or processing of protective or descriptive data associated with content; Content structuring
    • H04N21/835Generation of protective data, e.g. certificat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ultimedia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유비쿼터스 멀티미디어 등급 지정 판별 시스템 및 방법이 개시된다. 유비쿼터스 멀티미디어 등급 지정 판별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저작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멀티미디어 등급을 지정하여 업로드받는 멀티미디어 관리부; 업로드 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저장하는 멀티미디어 데이터베이스; 다른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권한 여부와 등급을 판별하여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요청한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부; 및 멀티미디어 등급 지정의 오류를 판별하기 위해 이동통신망의 MMS 서버를 통해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등급 지정이 올바른지 판별하는 계약 관계에 있는 서로 다른 사용자들의 휴대 단말기로 소량의 정지 화상으로 된 멀티미디어 변형본이 포함된 MMS 메시지를 전송하고, 그 판별 결과를 SMS 메시지로 수신받는 MMS/SMS 제공부를 포함한다. 따라서, 이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업로드되는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등급 지정을 판별하여 사용자가 전문성이 결여되거나 실수로 멀티미디어 데이터에 부적절한 등급을 지정하여 발생하는 타인에게 피해를 주는 가능성을 줄일 수 있다.
유비쿼터스, 멀티미디어 등급, UCC, 선거

Description

유비쿼터스 멀티미디어 등급 지정 판별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distinguishing ubiquitous multimedia grade assignment}
본 발명은 유비쿼터스 멀티미디어 등급 지정 판별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사용자가 저작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등급을 지정하여 포털 서버로 업로드하고,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등급 지정이 오류를 판별하여 다른 사용자의 단말기로 멀티미디어 서비스시, 등급 지정의 오류로 타인에게 피해를 줄이기 위한, 유비쿼터스 멀티미디어 등급 지정 판별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정보통신부 및 정보통신연구진흥원의 IT 성장동력기술개발 사업의 일환으로 수행한 연구로부터 도출된 것이다[과제관리번호: 2005-S-090-03, 과제명:유무선 IPv6 기반 P2P 네트워크 정보보호 기술 개발(Development of P2P Network Security Technology based on Wired/Wireless IPv6 Network)].
인터넷 멀티미디어 포털 서비스는 2007년 현재 다수의 인터넷 포털에서 동영상을 비롯한 VOD(Video on Demand) 형태의 멀티미디어 서비스가 주를 이루며, 음원 제공 서비스, 문서 제공 서비스 등의 다양한 분야를 포함한다.
이러한 형태의 멀티미디어 포털 서비스는, 과거에는 서비스 제공자가 멀티미디어를 저작/준비하여 제공하는 형태가 주를 이루었으나, 최근에는 UGC 또는 UCC 등의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일반 사용자에 의해 저작되어 멀티미디어 포털 서버로 등록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경우가 증가하고 있다. 즉, 포털 서버는 유무선 인터넷을 통해 사용자로부터 직접 저작한 UCC(User Created Contents)를 업로드받아 단순히 그 서비스 형식에 따라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제공한다. 따라서, 사용자 제작 컨텐츠(UCC)는 멀티미디어에 대한 등급을 지정하는 주체가 사용자 자신이 된다.
다른 예로, 최근 선거 홍보를 위한 UCC를 이용한 것이 있다. 선거 홍보는 매우 특별하며 중요도가 높은 포털 서비스라고 할 수 있다. 선거 홍보 포털에 업로드되는 멀티미디어 데이터는 그 등급 지정의 정확도가 매우 중요시된다. 이러한 경우 멀티미디어 등급의 지정이 올바른지 평가하기 위해, 일반인에게 공개되기 이전에 전국에서 선출한 수만~수십만 명의 관리인단이 멀티미디어를 미리 평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다른 예로, IPTV(Internet Protocol TV)를 통해 제공되는 방송 데이터도 상기 포털 서비스와 유사한 측면을 갖고 있다. 즉, 사용자가 자신이 저작한 동영상을 IPTV 서비스 제공자 시스템으로 업로드하면, IPTV 서비스 제공자 시스템은 IPTV 헤드엔드 시스템을 통해 일반 TV 영상과 동일하게 멀티미디어 스트림을 방송하는 것이다. 이 컨텐츠를 TV 포털이라고 한다. 여기에서도 IPTV 서비스 제공자 시스템은 단순히 그 서비스 형식을 제공할 뿐이다. IPTV 헤드엔드 시스템으로부터 TV에 연결된 셋탑박스(STB)로 제공되는 동영상은 사용자가 직접 생산하고, 업로드하는 형태이다. 따라서, 멀티미디어 데이터에 대한 등급을 지정하는 주체는 UCC 제작업체 또는 사용자 자신이 될 수 있다.
일반 사용자는 포털 서버로 UCC 컨텐츠를 업로드하는 사용자이고, 선거 홍보 UCC와 관련하여 전국에서 선출된 수만~수십만 명의 관리인이 여기에 속한다.
멀티미디어 등급은 간단하게 <18세 관람가> 또는 <전체 관람가>와 같은 동영상의 등급을 의미할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멀티미디어 데이터에 부가되어 그 특성을 한정하는 값이 될 수도 있다.
멀티미디어 등급의 또 다른 예로, 선거 홍보 UCC와 관련하여 특정 후보의 비방/인신공격의 내용을 가진 멀티미디어 데이터에 대하여 일반에 공개되기 이전에 전국에서 선출한 수만~수십만 명의 관리인단이 평가하여, 포털 서버로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공개 여부를 판단해야 한다.
이러한 멀티미디어 서비스 형태의 문제점은 일반 사용자가 실제 등급을 지정함에 있어, 그 전문성이 결여되거나, 실수로 부적절한 등급을 지정하거나, 악의적으로 부적절한 등급을 지정하여 해당 멀티미디어를 관람하는 다른 사용자들에게 피해를 주는 사례가 발생할 수 있다는 것이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18세 이상만이 관람할 수 있는 폭력적인 내용을 포함하는 동영상을 등록하면서 상기 이유로 인하여 <전체 관람가>에 해당하는 값을 그 등급으로 지정한다면, 그 멀티미디어를 관람하는 다른 사용자들에게 피해를 줄 수 있다.
기존의 멀티미디어 등급 지정 방식은 사용자에 의해 직접 지정되는 것이 아 니라 서비스 제공자 또는 전문가에 의해 지정되었기 때문에,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잘못된 등급 지정의 문제는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인식되었다.
현재까지의 멀티미디어 등급 관련 기술은, 예를 들면, IPTV 시청자에게 IP 셋톱박스에서의 성인 인증 시스템 및 방법과 같이 사용자가 성인인지를 판별하여 서비스를 이용하도록 하는 방법이 제안되었다. 권한 부여의 일예로 볼 수 있는 이러한 사용자의 등급을 판별하는 방법은 다양한 실시예가 존재한다.
현재까지 다른 서비스로 운용되는 방식은 디지털 콘텐츠에 대한 사용자 선호도 제공 및 관리 방법과 같이 멀티미디어에 대한 선호도를 조사하여 서비스하는 형태가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은 이미 멀티미디어 등급이 잘못 지정된 멀티미디어가 사용자에게 전달되어 선호도가 관리된 후 이용가능하기 때문에, 멀티미디어 등급을 잘못 지정하는 문제점을 근원적으로 해결하지 못하며, 그 정확성마저 결여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선호도가 낮다는 표현만으로 사용자가 잘못 지정된 등급의 멀티미디어를 관람하는 것은 막을 수 없다.
포털 서버는 UCC 서비스 환경에서 멀티미디어의 등급을 지정하는 주체인 사용자가 전문성이 결여되거나, 실수로 부적절한 등급을 지정하거나, 악의적으로 부적절한 등급을 지정하는 이유로 다른 사용자에게 피해를 줄 수 있다.
그러나, 현재 인터넷 포털은 이러한 문제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다수의 인력을 동원하여 24시간 업로드되는 멀티미디어를 감시하는 형태로 서비스를 운영하고 있으나, 많은 비용이 소모되고 비효율적이므로 그 한계가 존재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사용자로부터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등급을 지정하여 포털 서비스 제공자 시스템으로 업로드하고, 멀티미디어 서비스 제공시,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등급 지정이 올바른지 판별하는 사용자의 단말기로 MMS 메시지를 전송하여 그 판별 결과를 SMS 메시지를 수신받아 멀티미디어 등급을 평가하고, 사용자가 전문성이 결여되거나, 실수로 또는 악의적으로 부적절한 등급을 지정하거나, 업로드되는 멀티미디어의 등급 지정의 오류로 발생하는 다른 사람에게 피해를 주는 가능성을 최소화하기 위한, 유비쿼터스 멀티미디어 등급 지정 판별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유비쿼터스 멀티미디어 등급 지정 판별 시스템으로서,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저작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멀티미디어 등급을 지정하여 업로드받는 멀티미디어 관리부; 상기 멀티미디어 관리부로 업로드 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저장하는 멀티미디어 데이터베이스; 상기 멀티미디어 등급 지정의 올바른지를 판별하기 위해 판별자들의 단말기로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일부 또는 전부를 전송하고, 그 판별 결과를 수신받는 멀티미디어 등급 판정부; 및 다른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권한 여부를 판별하여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요청한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부를 포함한다.
상기 멀티미디어 관리부는, 판별자 중에서 지정된 멀티미디어의 구체적인 분 야가 일치하고, 연령에 따라 원하는 관람 등급이 일치하고, 판별을 원하는 시간대가 일치하는 판별자들을 선택하여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등급이 제대로 지정되었는지 판별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일부는 멀티미디어 변형본으로써, 업로도된 멀티미디어 동영상으로부터 추출된 하나 이상의 정지 화상, 음원, 부분적인 동영상 중 하나 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MMS 메시지는, 멀티미디어가 속한 분야, 멀티미디어의 고유번호, 원 저작자가 지정한 등급 표시, 하나 이상의 정지 화상으로 된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일부, 판별결과 선택 요청 메시지, 및 판별 결과를 선택하는 선택 버튼 중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선택 버튼은, 정확, 부정확, 보류, 부인 중 하나 이상의 버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유비쿼터스 멀티미디어 등급 지정 판별 방법으로서, (a) 포털 서비스 제공자 시스템이 업로드되는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등급 지정 평가에 참여할 다수의 사용자를 모으고, 다수의 사용자를 판별 역량에 따라 분류하는 단계; (b) 원 저작자에 의해 저작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포털 서비스 제공자 시스템으로 업로드하여 멀티미디어 등급을 지정하는 단계; (c) 선택된 판별자들의 단말기로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일부 또는 전부를 전송하고 그 판별 결과를 수집하여,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등급 지정이 올바른지 평가하는 단계; 및 (d) 멀티미디어 등급 평가 결과에 따라, 등급 지정이 평가된 멀티미디어 데 이터를 타인의 관람 여부를 결정하여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단계 (a)는, 사용자 자신이 판별을 원하는 멀티미디어의 구체적인 분야, 연령에 따라 자신이 원하는 관람 등급, 활동 성향에 따라 자신이 판별을 원하는 시간대를 지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단계 (b)에서, 상기 멀티미디어 등급은 <18세 관람가> 또는 <전체 관람가>의 동영상의 등급으로 사용되거나, 멀티미디어의 특성을 한정하는 멀티미디의 등급의 값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단계 (c)는, (c1) 상기 포털 서비스 제공자 시스템이 멀티미디어 데이터로부터 충분한 수량의 정지 화상들을 추출한 멀티미디어의 변형본을 생성하는 단계; (c2) 상기 멀티미디어의 변형본을 평가할 판별자들을 선택하는 단계; (c3) 다수의 판별자 단말기로 상기 멀티미디어 변형본을 MMS 메시지로 전송하는 단계; 및 (c4) 상기 선택된 다수의 판별자 단말기로부터의 판별 결과를 SMS 메시지로 수집하여 멀티미디어 등급을 최종 판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단계 (c2)는, 멀티미디어의 분야에 대한 평가를 선호하며, 멀티미디어 저작자가 지정한 관람 등급을 관람할 수 있는 연령이며, 판별을 원하는 시간대가 현재 시간과 일치하는 판별자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단계 (c3)은, 선택된 판별자 단말기로 전송되는 상기 멀티미디어의 등급을 판별하기 위한 멀티미디어 변형본에 서로 다른 내용이 포함되어 MMS 메시지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판별 결과는, 상기 멀티미디어 변형본에 대한 멀티미디어 등급이 정확, 부정확, 보류, 부인 중 어느 하나 사용자의 평가 내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단계 (c4)에서, 상기 멀티미디어 변형본에 대한 멀티미디어 등급의 올바른지 평가를 보류한 경우, 기 설정한 시간 동안 평가를 보류할 수 있으며, 유효 시간내 평가를 하지 않으면 자동으로 부인된 것으로 판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단계 (c4)에서, 유효 기간내 정해진 시간 동안 SMS 메시지를 수신하지 못할 경우, 사용자가 부인을 선택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단계 (c4)는, 상기 포털 서비스 제공자 시스템이 상기 판별자 단말기로부터 수집한 판별 결과가 모두 정확이면,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평가를 종료하고, 다른 사용자에게 서비스 제공부에 접속하여 관람하도록 하는 단계; 다수의 판별자 단말기로부터 수집한 판별 결과가 모두 부정확이면,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평가를 종료하고, 다른 사용자에게 서비스 제공부에 접속하여 관람할 수 없도록 하는 단계; 및 다수의 판별자로부터 수집한 판별 결과로 정확과 부정확이 뒤섞여 있으면,멀티미디어 데이터의 평가를 관리자에게 위임하여 사용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단계 (c4)는, 다수의 판별자로부터 수집한 판별 결과가 모두 부정확이면, 멀티미디어 데이터베이스에서 부정확한 것으로 평가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삭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단계 (d)는, 유효 기간내 정해진 시간 동안 멀티미디어 등급을 평가하 고, 타인이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관람하지 못하도록 하고, 멀티미디어 등급 평가 결과가 완료되면 즉시 관람을 허가하거나 관람을 금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사용자에 의해 저작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등급을 지정하여 포털 서비스 제공자 시스템으로 업로드하여 멀티미디어 서비스 제공시,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등급 지정이 올바른지 판단하는 사용자들의 휴대 단말기로 MMS 메시지를 전송하여 그 판단 결과를 SMS 메시지를 수신받아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등급을 평가한 후, 다른 사용자 단말기로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한다.
따라서, 포털 서비스 제공자 시스템은 사용자로부터 업로드되는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등급 지정이 올바른지를 판단하여, 멀티미디어 서비스 제공시, 멀티미디어 등급 지정의 오류로 발생하는 타인에게 피해를 주는 문제를 해결하고, 포털 서버 관리 인력이 업로드된 많은 멀티미디어를 관리 감독해야 하는 비효율성을 줄이고, 실시간으로 멀티미디어를 관람하게 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인터넷과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멀티미디어 등급 지정의 오류를 없애 는 유비쿼터스 멀티미디어 등급 지정 판별 시스템 구성도이다.
유비쿼터스 멀티미디어 등급을 지정하고 판별하는 포털 서비스 제공자 시스템(포털 서버)(130)은 멀티미디어 관리부(131), 멀티미디어 데이터베이스(132), 서비스 제공부(133), 및 MMS/SMS 제공부(134)로 구성된다.
멀티미디어 관리부(131)는 사용자 단말기(110)로부터 저작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멀티미디어 등급을 지정하여 업로드 받는다.
멀티미디어 데이터베이스(132)는 멀티미디어 관리부(110)로 업로드 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저장한다.
멀티미디어 관리부(131), 멀티미디어 데이터베이스(132), 및 서비스 제공부(133)는 인터넷(123)을 통해 사용자 단말기(110, 120, 170)와 연결된다.
MMS/SMS 제공부(134)는 이동통신망(190)의 MMS 서버 또는 SMS 서버를 통해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등급 지정이 제대로 이루어졌는지 판별하는 계약 관계에 있는 판별자들(사용자3,사용자4)(192a, 192b)의 휴대 단말기(191a, 191b)와 연결된다.
UCC 경우, 동영상 UCC 제작업체 또는 사용자1(110a)은 캠코더(110b) 또는 카메라(110c) 등의 멀티미디어 저작장치를 사용하여 저작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인터넷(123)을 통해 포털 서비스 제공자 시스템(130)으로 등록하는 과정에서 멀티미디어 등급을 지정한다.
멀티미디어 등급은 간단하게 <18세 관람가> 또는 <전체 관람가>와 같은 동영상의 등급을 의미할 수 있으며, 멀티미디어의 특성을 한정하는 값으로 사용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18세 이상만이 관람할 수 있을 정도의 폭력적인 내용을 포함하는 동영상을 포털 서비스 제공자 시스템(130)으로 등록하고자 한다면, <18세 관람가>에 해당하는 값을 그 등급으로 지정한다.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는 문자, 그래픽, 만화, 사진, 정지 화상, 음원(소리, 음악), 동영상 중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한다.
사용자1(110a)은 단말기(110)를 이용하여 포털 서비스 제공자 시스템(130)의 멀티미디어 관리부(131)에 접속한 후, 자신이 저작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등급 값을 지정하여 포털 서비스 제공자 시스템(130)으로 업로드한다. 업로드된 멀티미디어 데이터는 포털 서버(130) 내의 멀티미디어 데이터베이스(132)에 저장된다.
포털 서비스 제공자 시스템(130)은 사용자 단말기(110)로부터 저작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등급을 지정하여 업로드받고, 멀티미디어 관리부(131)에 업로드 되는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등급 지정이 제대로 이루어졌는지 판별하는 계약관계에 있는 판별자(192a,192b)의 휴대 단말기로 MMS 메시지를 전송하여 이에 대한 응답으로 판단 결과를 SMS 메시지를 수신받아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등급을 평가한 후, 다른 사용자 단말기(120)로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한다.
포털 서비스 제공자 시스템(130)은 현재 포털 서비스에서 등급 지정 과정의 오류가 없는지를 검사하고 관리하는 관리자(170a-170c)를 두었다. 관리자(170a-170c)는 멀티미디어 데이터베이스(132)에 저장된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등급 지정이 올바른지를 판단한다. 그러나, 소수의 관리 인력으로 다수의 사용자가 업로드하는 모든 멀티미디어를 검사하여, 멀티미디어의 등급 지정이 정확히 이루어졌는지를 판별하는 것은 매우 비효율적이다.
MMS/SMS 제공부(134)는 멀티미디어 등급 판정부로써 멀티미디어 등급 지정의 오류를 판별하기 위해 이동통신망(190)의 MMS 서버를 통해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등급 지정이 올바른지 판별하는 계약 관계에 있는 사용자들(192a,192b)의 휴대 단말기(191a, 191b)로 소량의 정지 화상으로 된 멀티미디어 변형본이 포함된 MMS 메시지를 전송하고, 이에 대한 응답으로 그 판별 결과를 SMS 메시지를 수신한다.
상기 MMS 메시지는, 멀티미디어가 속한 분야, 멀티미디어의 고유번호, 원 저작자가 지정한 등급 표시, 하나 이상의 정지 화상으로 된 멀티미디어 변형본, 판별결과 선택 요청 메시지, 및 판별 결과를 선택할 수 있는 선택 버튼(정확, 부정확, 보류,부인)을 포함한다.
판별자(192a, 192b)는 휴대 단말기(192a,192b)로 이동통신망(190)을 통해 MMS 메시지를 수신받아 멀티미디어 등급 지정의 오류를 판별한다.
판별자(192a, 192b)는 단말기로 인터넷망을 통해 판별 요청 메시지를 수신받아 멀티미디어 등급 지정의 오류를 판별하여 그 판별 결과 메시지를 포털 서비스 제공자 시스템(130)으로 전송할 수도 있다. 이 경우, 포털 서비스 제공자 시스템(130)은 멀티미디어 등급 판정부를 더 포함하여 사용된다. 멀티미디어 등급 판정부는 다수의 판별자 단말기로 인터넷망을 통해 판별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고, 이에 대한 응답으로 판별 결과 메시지를 수신받아 멀티미디어 등급이 제대로 되었는지 평가한다.
서비스 제공부(133)는 사용자2(120a) 요청에 따라 사용자 인증 후, 선택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관람할 수 있는 권한 여부, 즉 해당 멀티미디어의 등급이 자 신이 관람하기에 적절한지 확인한 후, 멀티미디어 데이터베이스(133)에 저장된 사용자1(110a)로부터 업로드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사용자2(120a)의 단말기(120)로 제공한다.
사용자1(110a)은 캠코더(110b), 카메라(110c)를 사용하여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저작하고 멀티미디어 등급을 지정하여 포털 서비스 제공자 시스템(130)의 멀티미디어 관리부(131)로 접속하여 저작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업로드하는 사용자이다.
사용자2(120a)는 서비스 제공부(133)에 접속하여 사용자1(110a)가 업로드 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관람하는 사용자이다.
사용자3(192a)과 사용자4(192b)는 포털 서비스 제공자 시스템(130)의 멀티미디어 관리부(131)에 업로드 되는 멀티미디어 데이터에 대하여 등급 지정이 제대로 이루어졌는지 판별하는 역할을 담당하는 계약 관계에 있는 사용자(이하, 판별자라고 칭함)이다.
바람직하게는, 판별자는 유비쿼터스 멀티미디어 등급 판별 서비스를 이용하는 일반 사용자 중에서 계약관계에 동의한 사용자를 의미한다.
포털 서비스 제공자 시스템(130)은 판별자에게 비용을 지불할 수 있으며, 포털 이용 비용 할인, MMS/SMS 메시지 사용 할인 등의 혜택을 부여할 수 있다. 이러한 성실한 계약관계 이행을 위한 방안은 다양한 방법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계약관계의 구체적인 성립을 위해 사용자는 자신이 판별을 원하는 멀티미디어의 구체적인 분야를 지정할 수도 있고, 자신의 연령에 따라 원하는 관람 등급을 지정할 수도 있고, 활동 성향에 따라 자신이 판별을 원하는 시간대를 지정할 수 있다. 이러한 판별 역량 조정 내용은 다양한 방법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포털 서비스 제공자 시스템으로 업로드되는 멀티미디어 데이터에 대한 등급 지정이 제대로 이루어졌는지 판별하는 유비쿼터스 멀티미디어 등급 지정 판별 방법을 설명한다.
포털 서비스 제공자 시스템(130)은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등급 지정 평가에 참여할 다수의 사용자를 모으고, 다수의 사용자를 판별 역량에 따라 분류하여 계역 관계를 설정한다(S10).
사용자는 나이, 성별, 직업에 따라 분류될 수도 있다.
원 저작자(사용자1)는 저작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기(110)로부터 포털 서비스 제공자 시스템으로 업로드 제공시 멀티미디어 등급을 지정한다(S20).
포털 서비스 제공자 시스템(130)은 멀티미디어 데이터로부터 충분한 수량의 정지 화상들을 추출한 멀티미디어의 변형본을 생성한다(S30).
포털 서비스 제공자 시스템(130)는 멀티미디어 동영상에서 일부 장면을 정지 화상으로 추출한다. 추출하는 정지 화상은 동영상의 일부 내용을 판별할 수 있는 힌트를 제공한다. 추출하는 정지 화상의 수는 동영상의 일부 내용을 충분히 판별할 수 있는 갯수 만큼으로 선정하며, 통상적으로 동영상의 관람 길이가 길어지면 그 수를 늘린다. 예를 들면, 2분 동안 관람할 수 있는 동영상은 5개 가량의 정지 화상을 추출하는 것으로 그 내용을 판별하는 것이 가능하다. 동영상의 내용 중 정지 화 상을 추출하는 위치는 불규칙하게 선택한다.
포털 서비스 제공자 시스템(130)은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업로드되는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등급 지정이 제대로 이루어졌는지를 판별하기 위해, 멀티미디어 관리부(131)에 의해 멀티미디어의 변형본을 평가할 계약 관계에 있는 판별자 중에서, 지정된 분야가 일치하고, 관람 등급이 일치하고, 판별 시간대가 일치하는 계약관계에 있는 다수의 사용자를 선택한다.
사용자 선택 방법은 다양한 방법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선택된 사용자의 수는 포털 서비스 제공자 시스템(130)의 판단에 의해 판별이 적절하다는 것을 충분히 확인할 수 있을 정도의 수로 한다.
포털 서비스 제공자 시스템(130)의 MMS/SMS 제공부(134)는 이동통신망(190)의 MMS 서버 또는 SMS 서버를 통해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등급 지정이 제대로 이루어졌는지 판별하는 계약 관계에 있는 판별자들(192a, 192b)의 휴대 단말기(191a, 191b)로 멀티미디어의 변형본을 포함하는 MMS 메시지를 전송한다(S40).
휴대 단말기(191a, 191b)는 MMS/SMS 메시지를 수신 기능을 지원한다.
멀티미디어의 변형본은 포털 서비스 제공자 시스템(130)에 의해 업로드된 멀티미디어가 동영상인 경우, 멀티미디어의 종류에 따라 멀티미디어 동영상으로부터 추출된 하나 이상의 정지 화상 또는, 만화, 음원(소리, 음악), 부분적인 동영상이 될 수 있다.
일실시예로, 포털 서비스 제공자 시스템(130)은 정지 화상으로 된 멀티미디어 변형본을 사용자(192a, 192b)의 휴대 단말기(191a, 191b)로 MMS 메시지를 전송 한다. 동영상의 내용을 좀더 정확히 판별하기 위해, 포털 서비스 제공자 시스템(130)은 사용자(192a, 192b)에게 휴대 단말기(191a, 191b)로 멀티미디어 변형본을 전송할 때, 각 사용자(192a, 192b)에게 서로 다른 위치에서 추출한 정지 화상을 송출한다. 예를 들면, 2분 동안 관람할 수 있는 동영상의 판별을 위해 사용자3(192a)은 5개의 정지 화상을 MMS 메시지로 수신한다. 사용자4(192b)는 역시 5개의 정지 화상을 MMS 메시지를 수신한다. 사용자3(192a)이 수신받은 정지 화상과 사용자4(192b)가 받은 정지 화상은 서로 다른 영상이 될 수 있다.
상기 설명에서 멀티미디어 데이터로부터 추출된 정지 화상의 수나 추출 위치는 본 발명의 사상을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실시예일 뿐 본 발명의 사상을 제한하는 것이 아니다.
유효 기간내, 선택된 사용자 단말기로부터의 평가 결과(정확, 부정확, 보류,부인)를 SMS 메시지로 수집하여 멀티미디어 등급을 판정한다(S50).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으로 수신한 MMS 메시지의 화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사용자(192a, 192b)가 수신하는 MMS 메시지의 내용은 사용자가 해당 멀티미디어의 등급을 판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멀티미디어가 속한 분야(201), 멀티미디어의 고유번호(202), 원 저작자인 사용자1(110a)이 지정한 등급 표시(203), 멀티미디어 변형본(210), 판별결과를 선택해 달라는 요청 메시지(220), 및 판별 결과를 선택할 수 있는 선택 버튼(230)을 포함한다.
판별 결과 선택 버튼(230)은 <정확>(230a), <부정확>(230b), <보류>(230c), <부인>(230d)으로 구성된다.
<정확>(230a)은 사용자(192a, 192b)가 해당 멀티미디어 데이터와 관련된 수신한 멀티미디어 변형본에 의거하여 판별하고, 그 결과 등급 지정이 정확함을 의미한다.
<부정확>(230b)은 사용자가 해당 멀티미디어 데이터와 관련된 수신한 멀티미디어 변형본에 의거하여 판별하고, 그 결과 등급 지정이 부정확함을 의미한다.
<보류>(230c)는 사용자(192a, 192b)가 수신한 멀티미디어 변형본에 의거한 판별을 보류함을 의미한다.
<부인>(230d)은 사용자(192a, 192b)가 수신한 멀티미디어 변형본에 의거하여 판별을 하지 않음을 의미한다.
사용자(192a, 192b)가 멀티미디어 변형본의 멀티미디어 등급에 대하여 <정확>(230a) 또는 <부정확>(230b)을 선택한 경우, 그 결과는 곧바로 포털 서비스 제공자 시스템(130)으로 SMS 메시지로 전송한다.
포털 서비스 제공자 시스템(130)은 각 사용자(192a, 192b)의 단말기(191a, 191b)로부터 송신하는 SMS 메시지를 취합하여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판별 결과로 사용한다.
사용자(192a, 192b)가 <보류>(230c)를 선택한 경우, 수신된 MMS 메시지는 휴대 단말기(191a, 191b)에 저장된다. 사용자(192a, 192b)는 나중에 휴대 단말기에 저장된 MMS 메시지를 확인하고, 유효 기간 이내에 멀티미디어 등급의 판별을 계속 진행할 수 있다. 사용자(192a, 192b)가 4 개의 버튼(230a, 230b,230c,230d) 중 아 무것도 선택하지 않는 경우 자동으로 <보류>(230c)를 선택한 것으로 가정할 수 있다.
<보류>(230c) 선택시, 포털 서비스 제공자 시스템(130)은 MMS 메시지에 대한 판별이 언제까지 유효한지 결정해야 한다. 이러한 유효 기간은 해당 멀티미디어가 포털 서비스 제공자 시스템(130)이 업로드되는 시점으로부터, 멀티미디어 판별을 완료하는 시점으로 한다.
포털 서비스 제공자 시스템(130)은 멀티미디어 서비스되기까지 소요 시간과 밀접한 관련이 있으므로, 포털 서비스 제공자 시스템(130)은 <보류>(230c) 선택시에 수신된 MMS 메시지에 대한 판별의 유효 기간을 지정해야 한다. 통상의 포털 서비스를 위해, 예를 들면, 유효 기간은 30분으로 지정할 수 있다. 사용자(192a, 192b)가 유효 기간 내에 멀티미디어 등급의 판별을 하지 않으면, MMS 메시지의 판별 결과는 자동으로 <부인>(230d)된 것으로 처리한다.
사용자(192a, 192b)가 <부인>(230d)을 선택한 경우, 그 결과는 곧바로 포털 서비스 제공자 시스템(130)으로 SMS 메시지를 전송한다. 유효 기간이 만료하여 자동으로 <부인>(230d)된 경우에는, SMS 메시지는 전송되지 않으며, 포털 서비스 제공자 시스템(130)은 기간 만료를 근거로 자동으로 <부인>(230d)된 것으로 처리한다.
포털 서비스 제공자 시스템(130)은 사용자(192a, 192b)에 의해 판별된 결과, 즉 <정확>(230a), <부정확>(230b), <보류>(230c), <부인>(230d)을 이용하여 사용자1(110a)이 업로드한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등급 지정이 올바른지 평가한다.
포털 서비스 제공자 시스템(130)은 사용자1(110a) 단말기로부터 업로드된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평가가 완료될 때까지, 다른 사용자2(120a)가 관람하지 못하도록 한다.
수집한 판별 결과를 확인하여(S70), 사용자(192a, 192b)의 판별 결과로 <정확>(230a)과 <부정확>(230b)이 뒤섞여 있으면, 사용자1(110a)에 의해 업로드된 멀티미디어의 평가는 관리자(170a, 170b, 170c)에게 위임되어 처리되도록 한다(S73).
사용자(192a, 192b)의 판별 결과가 모두 <부정확>(230b)이면, 포털 서비스 제공자 시스템(130)은 사용자1(110a)에 의해 업로드된 멀티미디어의 평가를 종료하고, 사용자2(120a)가 서비스 제공부(133)에 접속하여 관람할 수 없도록 한다(S80).
포털 서비스 제공자 시스템(130)은 부정확한 것으로 평가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멀티미디어 데이터베이스(132)에서 삭제하고, 사용자1(110a)에게 경고 또는 제제를 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용자(192a, 192b)의 판별 결과가 모두 <정확>(230a)이면, 포털 서비스 제공자 시스템(130)은 사용자1(110a)으로부터 업로드된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평가를 종료한다. 이후, 사용자2(120a)는 서비스 제공부(133)에 접속하여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관람할 수 있다(S90).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가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도 1은 인터넷과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멀티미디어 등급 지정의 오류를 없애는 유비쿼터스 멀티미디어 등급 지정 판별 시스템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으로 수신한 MMS 메시지의 화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유비쿼터스 멀티미디어 등급 지정 판별 방법을 설명한 흐름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120: 사용자 단말기 110b,110c: 멀티미디어 저작 장치
130: 포털 서비스 제공자 시스템 131: 멀티미디어 관리부
132: 멀티미디어 데이터베이스 133: 서비스 제공부
134: MMS/SMS 제공부 191a, 191b: 휴대 단말기

Claims (17)

  1. 유비쿼터스 멀티미디어 등급 지정 판별 시스템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저작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멀티미디어 등급을 지정하여 업로드받는 멀티미디어 관리부;
    상기 멀티미디어 관리부로 업로드 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저장하는 멀티미디어 데이터베이스;
    상기 멀티미디어 등급 지정의 올바른지를 판별하기 위해 판별자들의 단말기로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일부 또는 전부를 전송하고, 그 판별 결과를 수신받는 멀티미디어 등급 판정부; 및
    다른 사용자 단말기로부터의 요청 수신에 따라 권한 여부를 판별하여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요청한 상기 다른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부;
    를 포함하는 유비쿼터스 멀티미디어 등급 지정 판별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미디어 관리부는,
    계약 관계에 있는 판별자들에 대응되는 단말기들 중에서, 지정된 멀티미디어의 구체적인 분야가 일치하고 연령에 따라 원하는 관람 등급이 일치하고 판별을 원하는 시간대가 일치하는, 해당 단말기들을 선택하여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등급이 제대로 지정되었는지 판별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비쿼터스 멀티미디어 등급 지정 판별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일부는
    멀티미디어 변형본으로써, 업로도된 멀티미디어 동영상으로부터 추출된 하나 이상의 정지 화상, 음원, 부분적인 동영상 중 하나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비쿼터스 멀티미디어 등급 지정 판별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일부 또는 전부는 MMS 메시지에 포함되고,
    상기 MMS 메시지는,
    멀티미디어가 속한 분야, 멀티미디어의 고유번호, 원 저작자가 지정한 등급 표시, 하나 이상의 정지 화상으로 된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일부, 판별결과 선택 요청 메시지, 및 판별 결과를 선택하는 선택 버튼 중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비쿼터스 멀티미디어 등급 지정 판별 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 버튼은,
    정확, 부정확, 보류, 부인 중 하나 이상의 버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비쿼터스 멀티미디어 등급 지정 판별 시스템.
  6. 유비쿼터스 멀티미디어 등급 지정 판별 방법에 있어서,
    (a) 포털 서비스 제공자 시스템이 업로드되는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등급 지정 평가에 참여할 다수의 판별자들에 대응되는 단말기들을 모으고, 상기 단말기들을 판별 역량에 따라 분류하는 단계;
    (b) 원 저작자에 대응되는 사용자 단말기에 의해 저작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포털 서비스 제공자 시스템으로 업로드하여 멀티미디어 등급을 지정하는 단계;
    (c) 분류된 상기 단말기들 중 선택된 단말기로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일부 또는 전부를 전송하고 그 판별 결과를 수집하여,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등급 지정이 올바른지 평가하는 단계; 및
    (d) 멀티미디어 등급 평가 결과에 따라, 등급 지정이 평가된 멀티미디어 데이터에 대한 타인의 관람 여부를 결정하여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유비쿼터스 멀티미디어 등급 지정 판별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a)는,
    상기 단말기들로부터 판별을 원하는 멀티미디어의 구체적인 분야, 연령에 따라 원하는 관람 등급, 활동 성향에 따라 판별을 원하는 시간대를 지정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비쿼터스 멀티미디어 등급 지정 판별 방법.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b)에서, 상기 멀티미디어 등급은 <18세 관람가> 또는 <전체 관람 가>의 동영상의 등급으로 사용되거나, 멀티미디어의 특성을 한정하는 멀티미디의 등급의 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비쿼터스 멀티미디어 등급 지정 판별 방법.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c)는,
    (c1) 상기 포털 서비스 제공자 시스템이 멀티미디어 데이터로부터 충분한 수량의 정지 화상들을 추출한 멀티미디어의 변형본을 생성하는 단계;
    (c2) 상기 멀티미디어의 변형본을 평가할 판별자들을 선택하는 단계;
    (c3) 다수의 판별자 단말기들로 상기 멀티미디어 변형본을 MMS 메시지로 전송하는 단계; 및
    (c4) 선택된 상기 다수의 판별자 단말기들로부터의 판별 결과를 SMS 메시지로 수집하여 멀티미디어 등급을 최종 판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유비쿼터스 멀티미디어 등급 지정 판별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c2)는,
    멀티미디어의 분야에 대한 평가를 선호하며, 멀티미디어 저작자가 지정한 관람 등급을 관람할 수 있는 연령이며, 판별을 원하는 시간대가 현재 시간과 일치하는 판별자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비쿼터스 멀티미디어 등급 지정 판별 방법.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c3)은,
    선택된 판별자 단말기로 전송되는 상기 멀티미디어의 등급을 판별하기 위한 멀티미디어 변형본에 서로 다른 내용이 포함되어 MMS 메시지로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비쿼터스 멀티미디어 등급 지정 판별 방법.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판별 결과는,
    상기 멀티미디어 변형본에 대한 멀티미디어 등급이 정확, 부정확, 보류, 부인 중 어느 하나 사용자의 평가 내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비쿼터스 멀티미디어 등급 지정 판별 방법.
  13.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c4)에서,
    상기 멀티미디어 변형본에 대한 멀티미디어 등급의 올바른지 평가를 보류한 경우, 기 설정한 시간 동안 평가를 보류할 수 있으며, 유효 시간내 평가를 하지 않으면 자동으로 부인된 것으로 판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비쿼터스 멀티미디어 등급 지정 판별 방법.
  14.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c4)에서,
    유효 기간내 정해진 시간 동안 SMS 메시지를 수신하지 못할 경우, 사용자가 부인을 선택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비쿼터스 멀티미디어 등급 지정 판별 방법.
  15.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c4)는,
    상기 포털 서비스 제공자 시스템이 상기 판별자 단말기로부터 수집한 판별 결과가 모두 정확이면,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평가를 종료하고, 다른 사용자에 대응되는 사용자 단말기에게 서비스 제공부에 접속하여 관람하도록 하는 단계;
    다수의 판별자 단말기로부터 수집한 판별 결과가 모두 부정확이면,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평가를 종료하고, 다른 사용자에 대응되는 사용자 단말기에게 서비스 제공부에 접속하여 관람할 수 없도록 하는 단계; 및
    상기 다수의 판별자 단말기로부터 수집한 판별 결과로 정확과 부정확이 뒤섞여 있으면,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평가를 관리자에 대응되는 사용자 단말기에게 위임하여 사용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유비쿼터스 멀티미디어 등급 지정 판별 방법.
  16.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c4)는,
    선택된 상기 다수의 판별자 단말기들로부터 수집한 판별 결과가 모두 부정확이면, 멀티미디어 데이터베이스에서 부정확한 것으로 평가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삭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비쿼터스 멀티미디어 등급 지정 판별 방법.
  1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d)는,
    유효 기간내 정해진 시간 동안 멀티미디어 등급을 평가하고, 상기 타인에 대응되는 사용자 단말기에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관람하지 못하도록 하고, 멀티미디어 등급 평가 결과가 완료되면 즉시 관람을 허가하거나 관람을 금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비쿼터스 멀티미디어 등급 지정 판별 방법.
KR1020070132525A 2007-12-17 2007-12-17 유비쿼터스 멀티미디어 등급 지정 판별 시스템 및 방법 KR1009447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32525A KR100944771B1 (ko) 2007-12-17 2007-12-17 유비쿼터스 멀티미디어 등급 지정 판별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32525A KR100944771B1 (ko) 2007-12-17 2007-12-17 유비쿼터스 멀티미디어 등급 지정 판별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65085A KR20090065085A (ko) 2009-06-22
KR100944771B1 true KR100944771B1 (ko) 2010-03-03

Family

ID=409935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32525A KR100944771B1 (ko) 2007-12-17 2007-12-17 유비쿼터스 멀티미디어 등급 지정 판별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44771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50405A (ko) * 2004-08-13 2006-05-19 마이크로소프트 코포레이션 비디오 데이타를 정렬하여 포괄적 프로그램 가이드를생성하는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50405A (ko) * 2004-08-13 2006-05-19 마이크로소프트 코포레이션 비디오 데이타를 정렬하여 포괄적 프로그램 가이드를생성하는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65085A (ko) 2009-06-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29551B1 (ko) 브로드캐스트 서비스 및 브로드캐스트 콘텐츠 중 하나 이상에 대한 시청률을 단말 내에서 조사하는 방법
CN102210163B (zh) 用于在移动广播网络中实现互动的方法和系统
EP2051509B1 (en) Program recommendation system, program view terminal, program view program, program view method, program recommendation server, program recommendation program, and program recommendation method
US8925000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associating ratings with media and for providing ratings-based parental controls
KR101411739B1 (ko) 세컨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tv 스크린 상에 제공되는 콘텐츠를 캡쳐하고 이를 소셜 서비스와 연결할 수 있는 방법 및 그 시스템
US20190110096A1 (en) Media streaming
US20060020960A1 (en)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secure sharing of multimedia content across several electronic devices
US9230151B2 (en)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searching for image and image-related information using a fingerprint of a captured image
US20090282438A1 (en) Community Content Ratings System
JP4475915B2 (ja) コンテンツ再生装置、コンテンツ再生方法、コンテンツ再生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CN104584571A (zh) 在机顶盒处产生音频指纹序列
CN105981399A (zh) 接收装置、接收方法、传输装置以及传输方法
US9325691B2 (en) Video management method and video management system
US20100138655A1 (en) Terminal apparatus and operation information collecting system
US20090319884A1 (en) Annotation based navigation of multimedia content
JP2008067370A (ja) 番組推薦システム、番組視聴端末、番組視聴プログラム、番組視聴方法、番組推薦サーバ、番組推薦プログラム及び番組推薦方法
CN105308979A (zh) 显示装置和内容视听系统
US20060179107A1 (en) Network recording system, recording server, and terminal device
CN105979397A (zh) 一种跨设备群聊的方法及系统
EP2608534A1 (en) Update of television program user preferences based on communication data.
EP2621180A2 (en) Electronic device and audio output method
KR100944771B1 (ko) 유비쿼터스 멀티미디어 등급 지정 판별 시스템 및 방법
KR101027155B1 (ko) 동영상 정보에 구간별로 부가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KR20130012222A (ko) 시청자 맞춤형 커스텀뷰를 제공하기 위한 온라인 방송 시스템 및 방법
KR101098828B1 (ko) 양방향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서의 콘텐츠 관리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3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