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44324B1 - 커넥터와, 상기 커넥터를 구비한 컨테이너, 및 상기컨테이너에 대한 대응하는 커넥터를 구비한 액체조제장치 - Google Patents

커넥터와, 상기 커넥터를 구비한 컨테이너, 및 상기컨테이너에 대한 대응하는 커넥터를 구비한 액체조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44324B1
KR100944324B1 KR1020030013881A KR20030013881A KR100944324B1 KR 100944324 B1 KR100944324 B1 KR 100944324B1 KR 1020030013881 A KR1020030013881 A KR 1020030013881A KR 20030013881 A KR20030013881 A KR 20030013881A KR 100944324 B1 KR100944324 B1 KR 1009443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liquid
preparation device
coupling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138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74244A (ko
Inventor
윈프리드브렘
띠에리듀핑
일로나에거트
토마스파울하버
토마스그래프 닥터
필립라페이
Original Assignee
프레제니우스 메디칼 케어 도이치란드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프레제니우스 메디칼 케어 도이치란드 게엠베하 filed Critical 프레제니우스 메디칼 케어 도이치란드 게엠베하
Priority to KR10200300138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44324B1/ko
Publication of KR200300742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742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443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443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00Suction or pumping devices for medical purposes; Devices for carrying-off, for treatment of, or for carrying-over, body-liquids; Drainage systems
    • A61M1/14Dialysis systems; Artificial kidneys; Blood oxygenators ; Reciprocating systems for treatment of body fluids, e.g. single needle systems for hemofiltration or pheresis
    • A61M1/16Dialysis systems; Artificial kidneys; Blood oxygenators ; Reciprocating systems for treatment of body fluids, e.g. single needle systems for hemofiltration or pheresis with membranes
    • A61M1/1654Dialysates therefor
    • A61M1/1656Apparatus for preparing dialysat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mat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xternal Artificial Org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액체를 조제하기(prepare) 위하여 컨테이너, 특히 투석액의 조제를 위해 농축성분으로 채워진 컨테이너를 액체조제장치와 결합하기 위한 커넥터의 분야에 관한 것이다. 상기 커넥터의 제조과정과 상기 커넥터를 상기 액체조제장치에 결합하는 동안의 취급을 간단하게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컨테이너의 제1 및 제2액체라인을, 그 각각이 제1 및 제2액체라인의 경계를 결정하는 2개의 오리피스(3,5) 중 한개를 포함하는 2개의 옆쪽으로 분리된 결합수단(2,4)을 구비하는 액체조제장치의 제3 및 제4액체라인과 결합시키기 위한 커넥터(1)의 디자인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그에 대응하는 컨테이너 및 액체조제장치에 관한 것이다.
커넥터, 컨테이너, 액체조제장치, 투석장치, 액체라인.

Description

커넥터와, 상기 커넥터를 구비한 컨테이너, 및 상기 컨테이너에 대한 대응하는 커넥터를 구비한 액체조제장치{Connector, container with such a connector and fluid preparation device with a mating connector for such a container}
도1은, 보트모양의(boat-like) 단면을 구비한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의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2는, 도1의 커넥터의 제1단면도이다.
도3은, 도2의 제2단면도이다.
도4는, 도1 내지 도3에 도시한 커넥터를 사용하는 본 발명에 따른 컨테이너의 실시예 및 그 뚜껑(lid)이 제1위치에 위치하고 컨테이너를 결합하는데 적합한 본 발명에 따른 액체조제장치의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5는, 도4에 컨테이너가 장착된 배치를 도시한다.
도6은, 그 뚜껑이 제2위치에 위치하는 컨테이너가 장착된 액체조제장치의 제1단면도이다.
도7은, 그 뚜껑이 제3위치에 위치하는 컨테이너가 장착되지 않은 액체조제장치의 제2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컨테이너를 액체(fluid)를 조제하기 위한 액체조제장치(fluid preparation device)와 결합하기 위한 커넥터의 분야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컨테이너와 액체조제장치, 특히 투석장치에 관한 것이다.
반복치료에 사용되는 대부분의 혈액투석(hemodialysis) 장치는, 그 장치 내부에 수용된 액체조제부(fluid preparation part)가 적합한 농축성분(concentrates)을 물에 혼합시키는 과정을 수행하며, 스스로 필요로 하는 투석액을 조제한다. 이러한 농축성분은 보통 액체형태로 유통되고 캐니스터(canister)에 채워져 있다. 액체 농축액으로 채워진 이러한 캐니스터의 취급 및 운반은 여러가지 문제점을 야기한다. 상기 캐니스터들을 연결하여 상기 장치가 필요로 하는 농축액을 흡입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특별하고 약간 공간을 차지하는(spatial) 커넥터가 투석장치에 필요하게 된다. 또한 캐니스터의 교환중에 액체가 쏟아질 수도 있다. 커넥터를 수용하거나 캐니스터가 연결되어 있지 않은 어떤 때라도 상기 커넥터를 세척하기 위한 특별한 체임버가 필요할 수도 있다. 중량에 있어서, 제조자(manufacturer)로부터 환자에게 전달되는 것은 주로 물 뿐이다. 더욱이, 소정의 차단(blocking)특성 및 안정화특성을 가진 특별한 재료만이 사용되어야 하므로, 빈 캐니스터는 환경문제를 상징한다.
또한, 예컨대 병원(clinic)에서, 중앙조제부서로부터 여러 치료부서로 설치된 파이프 네트워크에 의해 농축성분을 공급하는 것도 알려져 있다. 비록 이것은 이러한 병원의 치료부서에서 작업로드(working load)를 경감시키지만, 상기 파이프 네트워크는 설치 및 정비 면에서 고가이고, 보다 유연한 상황에 적용될 수 없다는 것이 명백하다.
또한, 투석액의 적어도 일부 성분에 있어서, 중탄산염(bicarbonate)과 같은 분말화되거나 알갱이화된 고형의 농축성분을 사용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US 5,540,265는 농축성분을 담은 백(bag)과 플러그부재(plug component)를 구비한 시스템을 개시하고 있다, 상기 투석장치에는, 제1유로 및 백의 내부를 구비한 제2유로의 결합을 확립시키기 위한 보조 플러그부재(complemantary plug component)가 있다. 물은 제1유로에 의해 백의 내부로 유입된다. 희석되어 조제된 중탄산염액은 제2유로에 의해 뽑아진다.
상기 플러그부재는 상기 2개의 유로에 있어서 동축의 디자인(coaxial design)을 가진다. 따라서 투석장치에 설치된 보조 플러그부재는 투석장치의 이 부분의 반복적인 세척 및 살균을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정교한 해결책을 필요로 하므로 약간 복잡한 디자인을 갖는다. 더욱이, 백에 설치된 플러그부재는 원형의 디자인을 갖기 때문에, 상기 플러그부재가 백의 한쪽 측벽에 위치한 보조구멍에 보통 용접되므로, 이러한 백의 제조과정은 특별한 가공을 야기한다. 그러므로 상기 백을 꼭대기부로부터만 평가하는(assess) 더 단순한 기술은 적용될 수 없다.
결합과정동안에 취급과, 컨테이너의 제조공정, 액체조제장치에 설치되는 대응커넥터(mating connector)의 세척과 살균을 상당히 단순화시키는 액체조제장치의 투석장치와 같은 액체조제장치에 설치된 대응커넥터(mating connector)에 결합되는 컨테이너를 위한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 본 발명의 목적이다.
또한, 상기 컨테이너를 제공하는 것이 본 발명의 목적이다. 더욱이, 상기 결합커넥터를 구비한 액체조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본 발명의 목적이다.
상기와 같은 본발명의 목적은 청구된 제1, 제8, 및 제14독립항에 의해 해결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종속항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사상은, 액체조제장치의 2개의 액체라인에 접속되는 2개의 액체라인을 위한 양 액체라인 커넥터부를 포함하는 결합수단을, 그 각각이 상기 2개의 커넥터부 중 한개의 커넥터부의 오리피스를 포함하는 2개의 옆쪽으로 분리된(laterally spaced-apart) 결합수단으로 분리함으로써, 취급 및 제조공정을 상당히 단순화시키는 커넥터 시스템을 구현할 수 있다는 관찰에 기초하고 있다. 본 발명의 사상으로 인하여, 특히 액체조제장치에 결합되는 컨테이너를 디자인하는 것이 가능한데, 상기 액체조제장치는 결합된 컨테이너의 최적의 안정성을 실현하기 위하여, 상기 컨테이너의 꼭대기 포인트에서 갈고리 방식(hook-like)으로 사용되는 커넥터부에 걸리는 방식(suspended fashion)으로 결합된다.
상기 및 그 외의 본 발명의 장점은, 이하에서 도면을 도움을 받아 예로써 설명되는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도1에는,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의 실시예가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커넥터(1)는 2개의 막대기 모양의(bar-like), 옆쪽으로 분리된 결합수단(mounting means,2,4)을 구비한다. 상기 결합수단은 축방향으로 삽입됨으로써 대응하는 결합수단(mating mounting means)에 쉽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결합수단(2,4)의 내부는 비어 있어서, 제1 및 제2오리피스(3,5)를 형성한다.
커넥터(1)는 한개의 넓은 중간부(6)와 상기 중간부(6)의 양측부에 위치하는 2개의 날개모양의(wing-like) 돌출부(7,8)를 구비하는 보트모양(boat-like)의 단면을 가진다. 상기 보트모양의 단면은, 유연한(flexible) 백의 제조분야에서 알려진 바와 같이, 유연한 튜브 백과 같은 컨테이너의 수용부에 커넥터를 결합하는 것을 상당히 단순화시킨다.
보트모양의 단면의 중간부(6)는 상단부(17)부터 하단부(16)까지 연장되는 제5오리피스(11)를 형성한다. 상기 오리피스(11)는 재료로 제조하는 과정 동안에 커넥터에 결합되는 수용부를 미리 채우는데 사용될 수 있다.
결합수단(2,4)은, 날개모양의 돌출부(7,8)부터 돌기(protrusion,28,29)에 의하여, 모두가 평행한 상기 결합수단(2,4)의 축 및 오리피스(3,5,11)에 수직한 방향으로 돌출된다. 도1에 도시한 실시예에서, 돌기(28,29)는 날개모양의 돌출부(7,8)의 한쪽 면에 접한다.
더욱이, 핸들(12)의 일단부(first end,13)는 제1결합수단(2)에 결합되고, 핸들(12)의 타단부(14)는 제2결합수단(4)에 결합된다. 상기 핸들(12)의 사용을 부드럽게 하기 위하여, 상기 단부(13,14)는 탄력있는 필름 조인트(flexible film joint)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커넥터(1)는 제2결합수단(4)을 커넥터(1)의 중간부(6)에 결합시키는 선반부(ledge,15)를 포함한다. 상기 선반부(15)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대응하는 커넥터부에 위치하여 커넥터의 정확한 결합을 확인하기 위한 감지수단(detector means)의 대응부(counterpart)로서 기능한다.
도2에는, 중간부(6) 및 날개모양의 돌출부(7,8)의 중간을 따라 절단된 커넥터(1)의 단면도를 도시하고 있는데, 상기 도면은 도1에서 보여지는 뒤쪽에서 바라본 것이다. 상기 커넥터(1)는 하단부(16)부터 상단부(17)로 연장된다. 중간부에는, 상기 커넥터의 하단부(16)에 결합되는 수용부의 쉬운 미리채움(prefilling)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연속적인 오리피스(11)가 위치한다.
또한, 첫번째 날개모양의 돌출부(7)에는 연속적인 제3오리피스(9)가 위치하며, 두번째 날개모양의 돌출부(8)에는, 연속적인 제4오리피스(10)가 위치한다. 비록, 제3 및 제4 오리피스(9,10)는 커넥터(1)의 하단부(16)부터 상단부(17)까지 연장된 길이를 따라 변화하는 단면을 가지지만, 액체의 소통은 상기 연장된 길이를 따라 이루어진다는 사실에는 어떤 영향도 없다. 제3오리피스(9)는 제1분배 체임버(distribution chamber,20)로 연장되며, 제4오리피스(10)는 제2분배 체임버(21)로 연장된다.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분배체임버(20,21)는 각각 슬롯(22,23)에 의하여 제1 및 제2오리피스(3,5)와 액체소통된다. 커넥터(1)를 아래에서 설명될 대응결합수단(mounting mounting means)에 결합시킴으로써, 액체소통은 제1액체라인을 형성하는 제1오리피스(3)부터 제3오리피스(9)까지 이루어지고, 제2액체라인을 형성하는 제2오리피스(5)부터 제4오리피스(10)까지 이루어진다.
도3은, 도2의 A-A 선에 따른 단면도를 도시한다. 이 도면에서, 양 결합수단(2,4)의 돌기(28,29)와, 날개모양의 돌출부(7,8)의 수직방향의 연장에 수직한 방향의 제1 및 제2오리피스(3,5)와, 커넥터(1)의 중간부(6)는 보다 분명하게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컨테이너의 실시예에 있어서, 도1 내지 도3에 도시된 커넥터(1)는 그 하단부(16)가 컨테이너의 수용부에 결합되는 커넥터부를 나타내고 있다. 상기 목적을 위하여, 상단부(17)는 주위(circumference,26) - 제5오리피스 (11)을 둘러싸서 밀봉시키는 - 를 따라 탄력있는 시트(sheet)로 용접 또는 이와 유사한 알려진 결합기술에 의해 밀봉된다. 커넥터의 디자인 때문에, 제1 및 제2액체라인의 유로가 상기 밀봉에 의해 차단되지 않음에 주의할 필요가 있다. 상기 탄력있는 시트(18)는 도2에 도시되어 있다.
상기 컨테이너의 실시예는 도4에 도시되어 있다. 컨테이너(30)의 수용부(31)는 그 하단부(32)가 밀봉되고 그 상단부(33)가 커넥터(1)의 하단부(16)에 누수가 방지되는(leak-proof) 방식으로 용접 또는 이와 유사한 기술에 의해 결합되는 튜브 백(tube bag)으로부터 만들어진다. 도4에 도시한 실시예에서, 컨테이너(30)는 최종적인 사용을 위해 용해되는 재료의 농축분말(powdered concentrate,34)로 미리 채워진다. 상기 재료는, 고체, 액체, 또는 특정의 목적에 유용한 어떠한 상태로도 제공될 수 있다.
사용전에 살균상태를 유지하기 위하여, 오리피스(3,5)의 하단부(24,25)는 적합한 방식으로 밀봉되어, 컨테이너(30)의 내부는 외부에 대하여 완전히 밀봉된다. 예로써, 양 오리피스(3,5)를 밀봉하는 단일의 가죽모양의(flap-like) 씰(seal,27)이 도8에 도시되어 있다. 상기 씰(27)은 도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씰을 벗겨냄으로써 사용전에 사용자에 의해 제거될 수 있다.
더욱이, 백으로 유입 및/또는 유출하도록 통과하는 액체를 거르고(filter)/거르거나, 라인들을 수용부(31) 내에서 특정 위치에 연장시키기 위하여, 제1액체라인 및/또는 제2액체라인에 위치되는, 미도시한 튜브 및/또는 필터가 컨테이너(30) 내에 제공될 수 있다. 용해될 재료의 포화용액을 빼는(withdraw) 것이 바람직하다면, 수세(flushing)하여 그에 따른 물과 같은 용해액을 수용부(31)의 상단부(33)에 근접하게 도입하고, 포화용액을 상기 수용부(31)의 하단부(32)에 근접하게 빼는 것이 유용하다고 증명할 수 있다.
또한, 도4에는, 상기 커넥터(1) 및 컨테이너(30)를 결합시키기 위해 대응하는 제1 및 제2결합수단(53,54)를 구비하는, 본 발명에 따른 액체조제장치(50)의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대응 제1 및 제2 결합수단은, 막대기모양의 제1 및 제2결합수단(2,4)이 이들 체임버 내로의 삽입에 의해 결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보조(complementary) 단면을 가지는 제1 및 제2삽입체임버(53,54)에 의해 형성된다. 어떠한 단면도 사용될 수 있지만, 향상된 세척 및 살균특성의 관점에서 본 실시예에 도시한 바와 같은 원형단면이 유리하다.
제1삽입체임버(53)는, 수세 액체라인인 제3액체라인(51)과 액체소통되는데, 상기 제3액체라인은 세척액(flushing fluid)의 공급을 위한 세척액체원(flushing fluid source, 미도시)에 접속된다. 상기 세척액은, 미리 채워진 재료와 세척액- 후자는 대부분의 경우에 단순한 물임-으로부터 조제액을 조제하기 위하여 컨테이너(30)를 사용하는 동안에 필요하게 된다. 따라서, 제2삽입체임버(54)는 조제액체라인인 제4액체라인(52)과 액체소통상태인데, 상기 제4액체라인은 조제된 액체를 필요한 지점까지 전달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이것은 여전히 액체조제장치의 내부에 있거나, 다른 곳으로 전달하기 위한 적절한 배출구에 의할 수도 있다.
액체조제장치(50)는, 본 실시예에서는 기계적인 마이크로스위치 (microswitch)인 감지수단(58)을 포함한다. 컨테이너(30)를 커넥터(1)에 결합하면, 선반부(15)가, 상기 액체조제장치의 미도시의 전자연산회로(electronic evaluation circuit)에 의해 커넥터(1)의 정확한 결합을 확인하는(confirm) 스위치(58)를 누른다. 상기와 같은 확인이 있기까지, 상기 연산회로가 액츄에이터로 하여금 제1삽입체임버(53) 내부로의 세척액(flushing fluid)의 유입을 차단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액체조제장치(50)는 뚜껑(59)을 포함한다. 상기 뚜껑(59)은 도4에 도시한 개방된 제1위치로부터, 후술하는 폐쇄되고 바람직하게 고정된 제3위치까지 조인트(65) 주위로 회전이 가능하다. 상기 제1위치와 제3위치 사이에서, 상기 뚜껑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컨테이너(30)가 결합된 상태의 제2위치에 멈춰질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고정될 수 있다. 상기 뚜껑(59)은, 상기 뚜껑(59)이 제3위치에 있을 때에, 각각 제1 및 제2삽입체임버(53,54)를 폐쇄하기에 적절한 제1 및 제2폐쇄부(60,61)를 구비한다.
도5는, 커넥터(1)와 컨테이너(30)가 액체조제장치(50)로 결합된 상태의 도4와 동일한 도면이다. 제1 및 제2결합수단(2,4)은 제1 및 제2삽입체임버(53,54)에 삽입된다. 더욱이, 상기 액체조제장치(50)에는, 상기 뚜껑(59)이 제2위치 또는 제3위치에 있는지를 감지하는 2개의 접근 감지기(proximity detector,63,64)가 구비된다. 상기 접근센서는 뚜껑(59)의 일정한 부분의 가까운 위치를 인식하는 홀센서(Hall sensor)와 같은 비기계적(non-mechanical) 센서일 수 있다. 상기 센서는, 뚜껑(59)을 제2 또는 제3위치에 고정시키는데 기여하는 뚜껑의 가동대응부(movable counterparts,미도시)에 의해 작동되는 기계적인 스위치수단을 포함하는 것도 좋다.
도6은, 상기 폐쇄부(60,61)를 커넥터(1)에 누름으로써 커넥터(1)를 결합위치에 고정시킨 상태로, 뚜껑(59)이 제2위치에 위치된 상태의 도5의 배치의 제1단면도이다. 본 단면도는, 수세액라인(flushing fluid line,51)과 제1삽입체임버(53)를 따라, 도5에서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바라본 것이다. 액체조제라인(52)과 제2삽입체임버(54)는 대칭적인 디자인을 가진다.
제1삽입체임버(53) 내에는, 상기 제1체임버(53) 내부에서 수세액라인(51)의 경계를 정하는 제1 수(male) 커넥터 요소(element,55)가 구비된다. 상기 제1 수 커넥터요소(55)는, 예컨대 고무와 같은 적당한 재료로 만들어지는 탄력있는 밀봉 및 보충요소(sealing and compensation element,57)로써 액체조제장치(50)의 하우징에 결합된다. 상기 밀봉 및 보충요소(57)는, 커넥터(1)의 적절한 대응부에 존재할 수 있는 오차(tolerance)를 보충하기 위하여, 상기 제1 수 커넥터요소(55)가 상기 하우징에 대하여 움직이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도6에 도시한 배치에서, 제1오리피스(3)와 커넥터(1)의 제1액체라인, 및 컨테이너(30)는 수세액라인(51)과 액체소통 상태로 되어있다. 상기 오리피스(30)는 제1결합수단(2)의 하부 주위에 있는 제1밀봉립(sealing lip,66)에 의해 경계지어진다. 상기 밀봉립(66)은 인젝션 몰딩(injection molding)에 의해 쉽게 만들어 질 수 있다. 상기 밀봉립(66)은. 상기 밀봉립(66)이 그 외부 주위를 둘러싸는 제1 수 커넥터 요소(55)로의 누수없는 결합을 확실하게 한다.
제1결합수단(2)은, 상기 제1결합수단의 단 돌출부(step-like projection)가액체조제장치(50)의 하우징에 접촉할 때까지, 제1삽입체임버(53) 내부로 삽입된다.
또한, 상기 제1삽입체임버(53)로부터 제5액체라인(62)이 분기된다. 커넥터(1)가 결합된 때에, 상기 제5액체라인(62)은 제1밀봉립(66)에 의해 밀봉된 다, 즉, 결합된 제1 및 제3액체라인으로의 액체소통이 없게 되는데, 후자는 수세액라인(51)이다.
제2 및 제4액체라인의 결합을 위하여, 대응하는 요소, 즉 제2 수 커넥터요소, 제2밀봉 및 보충요소, 제2밀봉립, 제2 단 돌출부, 및 분기된 제6액체라인이 구비된다.
제5 및 제6 액체라인의 목적은 도7에서 명확해진다. 본 도면은 액체조제장치(50)의 제2단면도이다. 본 도면은, 커넥터(1)가 결합되지 않고 뚜껑(59)이 폐쇄된 제3위치에 위치한다는 점에서 도6과 다르다. 제1삽입체임버(53)는, 뚜껑(59)의 일부분인 제1폐쇄부(60)에 의해 폐쇄된다. 상기 폐쇄는 제1폐쇄부(60)의 외부 주위부에 위치한 밀봉수단(67)에 의해 밀봉되는데, 여기에서는 오-링 개스킷(o-ring gasket)에 의해 이루어진다. 제1폐쇄부(60)의 내부면에는, 제1 수 커넥터 요소(55)의 외경(outer diameter)보다 큰 직경을 가지는 제1개구(68)가 형성된다.
본 형상에 있어서, 액체조제장치(50)의 액체라인은 물 또는 살균액과 같은 어떤 액체에 의해서도 쉽게 세척될 수 있다. 제2폐쇄부(61)가 유사한 방식으로 제2삽입체임버(54)를 밀봉하기 때문에, 세척액은 제3액체라인, 즉 수세액라인(51)에 의해 공급될 수 있다. 그 후 수세액(flushing fluid)은 제1삽입체임버(53) 내부로 들어가서 제5라인(62)를 통하여 상기 제1삽입체임버(53)을 벗어난다. 본 실시예에 서 제5 및 제6라인은 결합되어 있다(미도시). 그러므로, 세척액(rinsing fluid)은 제6액체라인을 통해 제2삽입체임버(54)의 내부로 들어가고, 제4액체라인을 통해 상기 제2삽입체임버(54)를 벗어난다. 본 형상에 의해, 대응커넥터부에 있는 액체조제장치의 모든 적절한 부분들의 간단하고 효과적인 세척 및/또는 살균이 이루어진다. 개스킷(67) 위쪽의 어느 부분에도 상기 세척액이 도달되지 않지만, 이들 부분들은 커넥터(1)가 결합된 때에 액체유로의 일부분을 구성하지 않는다.
커넥터(1) 또는 컨테이너(30) 각각은, 1회사용 목적을 위하여 1회용 물품으로 디자인 될 수 있다. 그러므로, 이들의 살균을 위한 특별한 해법이 발견될 필요는 없다. 이 경우에, 어떤 추가적인 부품이나 비용이 소요되는 정비절차를 필요로하지 않고, 밀봉립(66)과 같은 민감한 부분이 자동적으로 사용시마다 교체된다.
감지수단(63,64)은 뚜껑(59)이 제2 또는 제3위치에 있는지를 감지한다. 살균 또는 접속 액체조제(online fluid preparation)와 같은 액체조제장치의 특정모드 동안에 뚜껑(59)의 예상위치를 확인하기 위하여, 액체조제장치의 전자연산회로는 상기 감지수단에 의해 제공되는 신호를 모니터한다.
커넥터(1)의 보트모양의 단면이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다는 것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 청구범위에 의해 특정되는 발명의 사상을 만족하는 커넥터의 다른 어떠한 모양도 역시 사용하는 동안에 커넥터시스템의 쉬운 취급을 가능하게 할 것이 다. 도4 내지 도7에서 명백한 바와 같이, 본 커넥터의 모양은 결합단계 그 자체에서 거의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특별한 커넥터를 구비한 커넥터와 액체조제장치로 구성되는 액체조제시스템을 위한, 취급하기 쉽고 신뢰할 수 있는 부재(component)를 제공한다. 상기 컨테이너에는 재료가 미리 채워질수 있지만, 또한 사용하는 동안에 채워지고/채워지거나 비워지고, 초기에는 빈 컨테이너를 사용하는 적용도 가능하다. 상기 컨테이너는, 딱딱하거나 유연한, 어떠한 타입일 수도 있다. 그러나, 유연한 백이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부재는, 멸균상태에 대해 취급이 특히 민감한 의료분야에 유용하다. 동시에, 본 발명은 중요성이 더 작지 않은 저렴한 해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액체조제장치가 투석장치의 일부분인 투석분야에서 특히 유용하다는 것을 증명하였다. 조제된 액체는 완성된 투석액의 중탄산염과 같은 일부이거나, 완성된 투석액이다. 본 발명은 혈액투석이나 복막(peritoneal)투석과 같은 어떠한 타입의 투석에도 적용가능하다.

Claims (25)

  1. 제1액체라인(fluid line)을 제3액체라인에 결합하기 위한 제1오리피스(orifice,3)를 제공하는 제1결합부(connector part,2)와,
    제2액체라인을 제4액체라인에 결합하기 위한 제2오리피스(5)를 제공하는 제2결합부(4)와,
    제1결합부(2)와 제2결합부(4)를 대응커넥터(mating connector)의 대응부(mating part)에 결합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결합수단(mounting means,2,4)을 구비하는 액체라인들을 결합하기 위한 커넥터(1)에 있어서,
    상기 결합수단은, 대응하는 커넥터의 동일하게 옆으로 분리된(laterally spaced-apart) 2개의 대응 결합수단에 결합을 가능하게 하는 2개의 옆쪽으로 분리된 결합수단(2,4)을 포함하며,
    상기 2개의 결합수단(2,4)의 각각은 2개의 오리피스(3,5) 중 한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1)는 한개의 넓은 중간부(6)와 상기 중간부(6)의 양 옆에 위치한 2개의 날개모양의 돌출부(7,8)를 구비하며, 상기 2개의 결합수단(2,4)의 각각은 상기 2개의 날개모양의 돌출부(7,8) 중 어느 한개로부터 돌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2개의 결합수단(2,4)은, 상기 결합수단(2,4)의 축의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돌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날개모양의 제1돌출부(7)에는 제3오리피스(9)가 위치하고, 상기 날개모양의 제2돌출부(8)에는 제4오리피스(10)가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부(6)에는 제5오리피스(11)가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1)는, 그 각각이 상기 결합수단(2,4) 중 어느 한개에 결합되는 2개의 단부(13,14)를 구비하는 핸들수단(12)을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1)는, 중간부(6)와 한개의 결합수단(4)을 연결하는 선반부(ledge,15)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8. 수용부(31)와 결합부(1)를 구비하는 컨테이너(30)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제1항에 따른 커넥터(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는, 백(bag,31)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백(31)은, 그 일단부(32)는 밀봉되고 타단부(33)는 상기 커넥터(1)에 의해 폐쇄되는 튜브백(tube bag) 타입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컨테이너는 건조되거나 액체상태의 재료(34)로 채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되거나 액체상태의 재료(34)는, 투석액(dialysis fluid)의 성분(ingredient)이고, 상기 성분은 농축성분(concentrat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1)의 하단부(16)는 수용부(31)에 의해 대기로부터 밀봉되고, 상기 커넥터(1)의 상단부는 씰(seal,18)에 의해 대기로부터 밀봉되며, 제1오리피스(3) 및 제2오리피스(5)는 추가적인 씰(27)에 의해 대기로부터 밀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14. 수세액라인(flushing fluid line,51)에 결합되는 수세액 원(source)과,
    조제될 액체를 위한 조제액라인(52)과,
    상기 수세액라인(51)과 조제액라인(52)이 컨테이너(30)의 내부와 액체소통상태로 되도록 결합하고 연결하기에 적합한 결합연결부(mounting connector part,53,54)를 구비하는 액체조제장치(50)에 있어서,
    상기 컨테이너는 제8항에 따른 컨테이너(30)이고,
    상기 결합연결부는 제1대응연결수단(mating mounting means,53)과 제2대응연결수단(54)을 포함하고,
    상기 수세액라인(51)은 제3액체라인이고,
    상기 조제액라인(52)은 제4액체라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조제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대응연결수단(53)과 제2대응연결수단(54)은, 그 내부로 커넥터(1)의 제1결합수단(2)과 제2결합수단(4)이 결합을 위해 삽입될 수 있고, 수세액라인(51)의 경계를 정하는 제1 수 커넥터요소(male connector element,55) 및 조제액라인(52)의 경계를 정하는 제2 수 커넥터요소를 포함하는 제1삽입체임버(53)와 제2삽입체임버(54)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조제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밀봉 및 보충요소(sealing and compensation element,57)가, 제1삽입체임버(53)와 제2삽입체임버(54)의 각각의 내부에 삽입되어, 제1 수 커넥터 요소(55)와 제2 수 커넥터요소를 밀봉하여 보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조제장치.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삽입체임버(53)와 제2삽입체임버(54)는, 평행한 방향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조제장치.
  18.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조제장치(50)는, 상기 커넥터(1)의 존재를 감지하기 위한 감지수단(58)을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제조제장치.
  19.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조제장치(50)는, 결합연결부를 덮기 위한 뚜껑(lid,59)을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조제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59)은, 상기 제1삽입체임버(53)를 폐쇄하기 위한 제1폐쇄부(60)와 상기 제2삽입체임버(54)를 폐쇄하기 위한 제2폐쇄부(6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조제장치.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조제장치(50)는, 상기 제1폐쇄부(60)가 상기 제1삽입체임버(53)를 폐쇄할 때에 제1삽입체임버(53)와 수세액라인(51)과 액체소통상태로 되는 제5액체라인(62)과, 상기 제2폐쇄부(61)가 상기 제2삽입체임버(54)를 폐쇄할 때에 조제액라인(52)과 액체소통상태로 되는 제6액체라인을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조제장치.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제5액체라인(62)과 제6액체라인은,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조제장치.
  23.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50)은, 커넥터(1)의 결합과 제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가능하게 하는 제1위치와, 결합된 커넥터(1)가 상기 뚜껑(59)에 의해 유지되는(kept in place) 제2위치와, 제1삽입체임버(53)와 제2삽입체임버(54)가 폐쇄되고 커넥터(1)가 결합되지 않은 제3위치 사이에서 움직일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조제장치.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조제장치(50)는, 상기 뚜껑(50)의 3개의 위치 중 한개, 일부 또는 모든 위치를 감지하기 위한 뚜껑위치 감지수단(detector means,63,64)을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조제장치.
  2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조제장치(50)는 투석액 조제장치의 일부분이고, 조제액은 투석액의 일부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조제장치.
KR1020030013881A 2002-03-11 2003-03-06 커넥터와, 상기 커넥터를 구비한 컨테이너, 및 상기컨테이너에 대한 대응하는 커넥터를 구비한 액체조제장치 KR1009443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13881A KR100944324B1 (ko) 2002-03-11 2003-03-06 커넥터와, 상기 커넥터를 구비한 컨테이너, 및 상기컨테이너에 대한 대응하는 커넥터를 구비한 액체조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02005510.9 2002-03-11
KR1020030013881A KR100944324B1 (ko) 2002-03-11 2003-03-06 커넥터와, 상기 커넥터를 구비한 컨테이너, 및 상기컨테이너에 대한 대응하는 커넥터를 구비한 액체조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74244A KR20030074244A (ko) 2003-09-19
KR100944324B1 true KR100944324B1 (ko) 2010-03-03

Family

ID=442112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13881A KR100944324B1 (ko) 2002-03-11 2003-03-06 커넥터와, 상기 커넥터를 구비한 컨테이너, 및 상기컨테이너에 대한 대응하는 커넥터를 구비한 액체조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4432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3574Y1 (ko) * 2009-02-25 2011-05-17 김영석 땅속 농작물 수확장치용 이송장치
CN112472895B (zh) * 2019-09-12 2024-04-16 费森尤斯医疗护理德国有限责任公司 打开浓缩物容器并将其连接至血液处理装置的系统和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86279A (en) 1986-07-31 1988-11-22 Abbott Laboratories Container for mixture of material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86279A (en) 1986-07-31 1988-11-22 Abbott Laboratories Container for mixture of material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74244A (ko) 2003-09-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006903B2 (ja) コネクタ、容器及び流体調製装置
KR101640956B1 (ko) 투석기에 사용되는 일회용 용기용 커넥터
US5914033A (en) Insert for a pressure transducer within a medical treatment apparatus
JP2005514283A (ja) パウチ用舟形溶着部品
KR100944324B1 (ko) 커넥터와, 상기 커넥터를 구비한 컨테이너, 및 상기컨테이너에 대한 대응하는 커넥터를 구비한 액체조제장치
AU2008200276B2 (en) Concentrate bag connector
AU2011218718B2 (en) Concentrate bag connector
JP3624507B2 (ja) 放射性核種溶出装置の溶離液流入構造及び溶離液流入部材
JP3810548B2 (ja) 医療装置の接続器具
CZ14945U1 (cs) Spojka, zásobník a zařízení pro přípravu tekutin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1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0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1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12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