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43920B1 - 군용 에너지 기술 관련 연구개발과제의 평가 시스템 및 그 방법, 그리고 이를 행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 - Google Patents

군용 에너지 기술 관련 연구개발과제의 평가 시스템 및 그 방법, 그리고 이를 행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43920B1
KR100943920B1 KR1020090037795A KR20090037795A KR100943920B1 KR 100943920 B1 KR100943920 B1 KR 100943920B1 KR 1020090037795 A KR1020090037795 A KR 1020090037795A KR 20090037795 A KR20090037795 A KR 20090037795A KR 100943920 B1 KR100943920 B1 KR 1009439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valuation
energy
index
technical
technolog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377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효근
임종광
최돈오
Original Assignee
국방과학연구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국방과학연구소 filed Critical 국방과학연구소
Priority to KR10200900377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4392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439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439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18Certifying business or product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기술녹색도 평가지표를 이용한 녹색 기술 평가방법이 개시된다. 이 방법은 기술녹색도 평가지표를 이용하여 국가 녹색성장 정책을 녹색기술 및 그 상품개발과 관리/통제에 반영하기 위한 기술녹색도 평가방법을 설정하는 단계; 설정된 기술녹색도 평가방법에 따라 기술녹색도의 평가를 위해 접수된 평가자료의 유효성을 검증하여 평가자료를 생성하는 단계; 생성된 평가자료를 바탕으로 평가대상의 모든 과제들의 평가지표 데이터 값의 비교에 의해 평가지표별로 점수를 산출하여 기술녹색도를 평가하는 단계; 및 환경지속성과 경제성장으로 이루어진 녹색성장 평면상에 대상 녹색기술 및 녹색상품에 대해 산출한 값을 좌표로 사상(mapping)시켜 녹색성장 기여도를 분석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더 나아가 녹색기술 및 그 녹색상품에 대한 전순기 과정의 단계별로 요구되는 기술녹색도와 현재 기술녹색도를 비교하여 기술녹색도 갭(GAP)을 분석하고, 상기 녹색성장 기여도에 따라 포트폴리오 분석을 수행함으로써 기술녹색도 평가결과를 관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네트워크를 통한 온라인 전자평가를 통해 신속정확하고 정량화된 평가결과를 얻을 수 있고, 기술녹색도 갭(GAP) 분석 기능과 포트폴리오 분석 기능을 통해 기술녹색도 수준에 따라 국내외 환경 변화에 신속히 적응할 수 있다.

Description

군용 에너지 기술 관련 연구개발과제의 평가 시스템 및 그 방법, 그리고 이를 행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SYSTEM FOR EVALUATING RESEARCH AND DEVELOPMENT PROJECT RELATED WITH MILITARY ENERGY TECHNOLOGY, AND METHOD THEREOF,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RECORDING PROGRAM FOR PERFORMING THE METHOD}
본 발명은 녹색 기술 평가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네트워크를 통한 온라인 전자평가를 통해 신속정확하고 객관적으로 정량화된 평가결과를 얻을 수 있고, 기술녹색도 갭(GAP) 분석 기능과 포트폴리오 분석 기능을 통해 기술녹색도 수준에 따라 국내외 환경 변화에 신속히 적응할 수 있는 기술녹색도 평가지표를 이용한 녹색 기술 평가 방법 및 그 방법의 구현을 위한 단계들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전 세계적으로 에너지와 환경문제가 국가경제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 부각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세계 탄소배출권 시장이 2007년 640억불에서 2010년에는 1500억불로 증가될 전망이다. 일본, EU, 미국 등은 교토의정서에서 온실가스의 감축과, 환경기술의 개발 및 환경규제를 통해 세계시장을 선점하려는 노력을 기 울이고 있다.
정부에서도 2008년 8월 고유가 등 자원위기와 기후변화 위기를 극복하기 위한 대책으로 환경보호와 경제성장을 선순환시키는 재생에너지, 청정에너지 등 환경친화적 자원활용 기술과, IT, BT, NT 등 신기술 또는 기존 제품 및 산업 간의 융합기술을 의미하는 녹색기술로 신성장 동력과 일자리를 창출하려는 녹색성장 정책을 추진하기로 하였다.
이를 위하여 국가과학기술위원회는 기후변화 예측, 에너지원, 고효율화, 사후처리, 무공해 산업경제 육성 등 5개 녹색기술 분야를 과학기술기본법 제27조에 규정된 국가과학기술 표준분류체계에 추가하고 27개 중점 육성기술을 선정하였으며, 국방분야에서도 국방과학연구소를 중심으로 녹색 에너지 기반 군용에너지원, 모델링·시뮬레이션 기반 에너지 효율 훈련체계 개발, 저탄소 미래에너지 기반 무기체계 플랫폼(flatform) 개발, 탄소 제로(zero) 신개념 무기 등 국방 녹색기술로 관리 중이다.
상기와 같이 기술혁신을 통한 국가의 녹색성장 정책의 구현에 따라 녹색기술의 수요 증대와 정부의 연구개발 투자의 확대 정책에 반하여 항상 연구개발 재원은 그 한계가 있으며, 녹색성장 시장을 선점하기 위한 녹색기술에 대한 투자요구는 증가하므로 이전보다 더 효율적인 녹색기술에 대한 연구개발 투자의 선택과 집중이 필요하다. 또한, 투자된 연구개발 과제의 성공적인 추진 및 성과 창출을 유도하고 지속적인 추적평가가 가능한 효과적인 방법도 필요하다.
한편, 삼성경제연구원은 녹색기술에 대한 연구개발 및 투자와 관련하여, 저 탄소화 지수, 녹색산업화 지수로 이루어진 녹색경쟁력 지수를 이용하여 환경경영능력, 정책일관성, 환경정책의 효율성, 환경기술혁신 수준 등을 종합적으로 평가하여 국가경쟁력을 비교하는 방식을 제시한 바 있으나, 이 방식은 단위과제에 대한 평가와 정책 방향으로 지속적으로 정렬시키기 위한 수단이 없어 녹색기술에 대한 평가 척도로 사용하기에는 적합하지 않다.
또한, 과학기술정책연구원에서는 지속가능 발전과 환경, 경제, 사회의 연관관계를 만들고 지속가능 발전에 기여하는 과학기술과 그 역량평가 지표를 제시하였으나, 지표에 대한 세부 산출식의 제시보다는 연구개발 투자 분야에 대한 언급으로 제한되어 있고, 녹색기술에 대한 언급은 없어 녹색기술에 대한 객관적인 평가에는 부적합하다.
과학기술기본법에서도 연구개발 우선순위 선정, 연구개발 예산조정 및 배분, 연구개발 타당성 조사와 예산의 효율적 운영, 연구개발사업에 대한 조사·분석·평가 등에 관한 사항이 규정되어 있긴 하지만, 그 평가의 실효성에 대한 공감 부족과 지속경영 차원에서 성공적 기술개발 및 상품화에 대한 추적평가가 미흡하고, 특히 국가 정책 목적과의 연계성과 관련된 지속 관리가능한 평가지표의 부재 및 이를 효과적으로 평가하기 위한 방법과 시스템이 개발되어 있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이상과 같이 국가 정책적으로 일자리 창출, 경제성장, 환경지속, 과학기술역량 강화를 통한 녹색성장 구현을 위해, 그리고 녹색기술에 대한 연구개발 예산의 효율적 투자와 성공적인 기술확보 및 파급효과의 극대화를 위해서도 국가 정책 방향에 부합하는 연구개발 및 투자할 녹색기술을 선별하는 정량적인 방법과, 지속적 이고 체계적인 관리를 통해 녹색기술에 대한 자체적 연구개발 및 투자를 촉진하는 지식기반 평가방법, 그리고 신속, 정확하고 객관적인 결과를 산출하기 위한 평가 시스템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은 사항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효율적인 연구개발 및 투자를 위한 녹색기술 선정 과정에서 과학기술역량, 산업경쟁력, 환경지속성 및 국가 녹색성장 구현에 기여도가 높은 녹색기술을 식별할 수 있고, 연구개발 수행 과정에서 중간 평가와 사후 평가에 적용하여 투자된 연구개발 과제의 성공적인 기술개발을 유도하고 상품화에 대한 추적평가가 가능하면서도 국내외 환경변화에 따른 국가 녹색성장 정책 목적과의 연계성을 가지면서 지속적으로 적응하여 정렬시키도록 관리가 가능하며, 체계적인 관리를 통해 녹색기술에 대한 자체적 연구개발 및 투자를 촉진하고 시간과 공간의 제약을 크게 받지 않으면서 신속, 정확하게 결과를 산출해 낼 수 있는 기술녹색도 평가지표를 이용한 녹색 기술 평가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와 같은 기술녹색도 평가지표를 이용한 녹색 기술 평가 방법의 구현을 위한 단계들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기술녹색도 평가지표를 이용 한 녹색 기술 평가방법은,
기술녹색도 평가지표를 이용한 녹색 기술 평가방법으로서,
a) 상기 기술녹색도 평가지표를 이용하여 국가 녹색성장 정책을 녹색기술 및 그 상품개발과 관리/통제에 반영하기 위한 기술녹색도 평가방법을 설정하는 단계;
b) 상기 설정된 기술녹색도 평가방법에 따라 기술녹색도의 평가를 위해 접수된 평가자료의 유효성을 검증하여 평가자료를 생성하는 단계;
c) 상기 생성된 평가자료를 바탕으로 평가대상의 모든 과제들의 평가지표 데이터 값의 비교에 의해 평가지표별로 점수를 산출하여 기술녹색도를 평가하는 단계; 및
d) 환경지속성과 경제성장으로 이루어진 녹색성장 평면상에 대상 녹색기술 및 녹색상품에 대해 산출한 값을 좌표로 사상(mapping)시켜 녹색성장 기여도를 분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점에 그 특징이 있다.
여기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단계 d)의 녹색성장 기여도 분석단계 이후,
e) 녹색기술 및 그 녹색상품에 대한 전순기 과정의 단계별로 요구되는 기술녹색도와 현재 기술녹색도를 비교하여 기술녹색도 갭(GAP)을 분석하고, 상기 녹색성장 기여도에 따라 포트폴리오 분석을 수행함으로써 기술녹색도 평가결과를 관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계 a)에서의 기술녹색도 평가지표는 녹색기술 지수 평가항목, 경제전력 지수 평가항목, 사회생태 지수 평가항목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녹색기술 지수 평가항목은, 녹색기술 성숙수준 평가지표와; 물 질 투입, 인력 투입을 고려한 물질소비강도 평가지표와; 전력, 동력 에너지 중의 적어도 하나로 이루어지는 에너지 효율성 평가지표와; 환경영향을 판단하기 위한 탄소배출강도 평가지표 및 비탄소 배출강도 평가지표와; 신재생에너지(연료전지, 수소에너지, 태양광, 태양열, 바이오, 풍력 등) 수준을 나타내기 위한 신재생 에너지 전력생산수준 평가지표로 분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경제전력 지수 평가항목은, 국가 및 국방 녹색성장정책 연관성 평가지표와; 녹색시장 경쟁력 평가지표와; 부가가치창출효과 평가지표와; 경제성장 및 전력증대 효과 평가지표와; 고용창출효과 평가지표로 분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회생태 지수 평가항목은, 지속발전기여도 평가지표와; 환경영향과 녹색기술 및 그 제품의 가치를 고려한 생태효율성 평가지표로 분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계 a)의 기술녹색도 평가방법을 설정하는 단계는,
a-1) 녹색기술 단계별 기술녹색도 목표값을 설정하는 단계;
a-2) 상기 설정된 기술녹색도 목표값에 따라 녹색기술 영역별로 적용되는 평가지표를 선택하는 단계; 및
a-3) 상기 녹색기술 영역별 기술녹색도 평가항목 및 평가지표별 가중치를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계 b)의 평가자료를 생성하는 단계는,
b-1) 기술녹색도 평가를 위해 접수된 평가자료를 평가지표별 측정기준에 따라 정량적 및 정성적으로 데이터의 유효성을 확인하는 단계; 및
b-2) 동일 조건에서 비교 평가가 이루어지도록 평가지표별 측정기준 데이터의 단위를 통일하여 표준화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단계 b-2)의 단위를 통일하여 표준화하는 단계는,
b2-1) 평가지표별 측정단위의 상이함으로 인해 데이터 변동폭의 차이가 기술녹색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각 평가지표별 측정기준 데이터의 단위를 통일하는 단계;
b2-2) 녹색기술 영역별 평가지표에 대한 측정기준 데이터의 산출기준의 상이함으로 인한 왜곡을 방지하기 위해 데이터의 값이 최대값 또는 최소값에 비례적으로 데이터의 크기 변환을 수행하는 스케일링(scaling) 단계; 및
b2-3) 미확보 데이터를 평가대상 전체의 평균값 또는 영(zero)으로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계 c)의 기술녹색도를 평가하는 단계는,
상기 평가자료 생성단계에 의해 유효성이 검증된 평가자료를 바탕으로 평가대상이 되는 모든 과제들의 평가지표별 측정기준 데이터가 정량적인 경우와 전문가 설문단계를 거쳐 측정된 경우로 구분하여 평가지표별로 100점에 대한 환산점수를 산출한다.
또한, 상기 단계 c)의 기술녹색도를 평가하는 단계는, 녹색기술 지수(GTI: Green Technology Subindex), 경제전력 지수(ESI:Economic Benefit and Strategy Subindex), 사회생태 지수(SEI:Social and Eco Subindex)를 각각 산출하고, 그 산출된 값에 지수별로 해당 가중치를 각각 곱하여 가중합(weighted sum)으로 기술녹 색도(TGI:Technology Green Index)를 구한다.
여기서, 상기 녹색기술 지수(GTI), 경제전력 지수(ESI), 사회생태 지수(SEI) 및 기술녹색도(TGI)는 다음의 수식 관계로 표현할 수 있다.
Figure 112009026179244-pat00001
여기서, gn은 평가지표의 가중치, Xn은 평가지표 변수, w1, w2, w3은 각 지수별 가중치를 각각 나타낸다.
또한, 상기 단계 d)의 녹색성장 기여도를 분석하는 단계는,
d-1) 산업경쟁력 기여도를 나타내는 경제전력지수를 수직축, 환경지속성 기여도를 나타내는 사회생태지수를 수평축으로 하는 직교좌표계 평면상에 상기 녹색기술 별로 기술녹색도를 산출한 결과 데이터를 좌표점으로 표시하는 단계;
d-2) 상기 단계 a)의 기술녹색도 평가방법 설정 단계에 의해 설정된 기술녹색도 목표값을 기술녹색도 평가정보 데이터베이스에서 읽어 녹색성장 기여도 평면에 표시하는 단계; 및
d-3) 환경지속성과 경제성장 기여도를 고려하여 전략적으로 투자할 중점 연구개발 분야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계 e)의 기술녹색도 평가결과를 관리하는 단계는,
e-1) 녹색기술 및 그 녹색상품 전순기 평가 단계별 요구 기술녹색도에 대하여 현재 기술녹색도를 비교하여 기술녹색도 갭(GAP) 분석을 위한 그래프를 도시하는 단계;
e-2) 정책적 방향을 고려하여 결정된 기술녹색도 기여도 문턱선(threshold)을 기준으로 평면상에 표시되는 현재 기술녹색도의 좌표를 찍어 포트폴리오 분석을 위한 그래프를 도시하는 단계; 및
e-3) 기술녹색도 평가결과를 기술녹색도 평가 정보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네트워크를 통한 온라인 전자평가를 통해 신속정확하고 객관적으로 정량화된 평가결과를 얻을 수 있어, 제한된 연구개발 재원을 효율적으로 투자할 수 있고, 기술녹색도 갭(GAP) 분석 기능과 포트폴리오 분석 기능을 통해 기술녹색도 수준에 따라 국내외 환경 변화에 신속히 적응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기술녹색도 평가지표를 이용한 녹색기술 평가방법의 구현을 위해 채용되는 녹색기술 평가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녹색기술 평가방법의 구현을 위해 채용되는 녹색기술 평가 시스템은 크게 사용자 단말기(110)와, 녹색기술 전자평가 시스템 (12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단말기(110)는 녹색 기술 평가를 위한 기술녹색도 평가지표의 작성에 관여한다. 이와 같은 사용자 단말기(110)는 피평가 기관의 사용자 단말기(111), 정책기관의 사용자 단말기(112), 기술녹색도 심의위원 단말기(113), 평가기관의 기술녹색도 전자평가 시스템 관리자 단말기(11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녹색기술 전자평가 시스템(120)은 주어진 기술녹색도 평가지표에 기초하여 평가대상의 녹색기술 및 녹색상품에 대하여 기술녹색도를 평가한다. 이와 같은 녹색기술 전자평가 시스템(120)은 평가방법 설정관리 모듈(121), 평가자료 생성관리 모듈(122), 기술녹색도 전자평가 모듈(123), 평가결과 관리 모듈 (124), 기술녹색도 전자평가 정보 데이터베이스(DB)(12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평가방법 설정관리 모듈(121)은 주어진 기술녹색도 평가지표를 바탕으로 기술녹색도 목표값, 가중계수, 평가지표 등을 설정한다. 좀 더 구체적으로는, 평가방법 설정관리 모듈(121)은 기간에 따라 미리 설정된 각 평가단계에서, 상기 군용 에너지 기술의 기술개발력을 평가하기 위한 녹색기술지수, 군사전력 증강에 따른 상기 연구개발과제의 경제적 타당성을 평가하기 위한 경제전력지수 및 상기 연구개발과제의 탄소 배출, 에너지 사용량 및 폐기물 배출량 대비 기술 가치를 평가하기 위한 사회생태지수를 기준으로 효율적 예산 투자 및 예산 절감 효과의 타당성을 평가하기 위한 정량적인 평가 척도인 기술녹색도의 목표값과, 지수별 가중치와, 평가지표별 가중치를 평가기관의 기술녹색도 전자평가시스템 관리자 단말기(114)로부터 평가단계별로 입력받아 상기 평가기준 정보DB(125)에 저장한다.
상기 평가자료 생성관리 모듈(122)은 기술녹색도의 평가를 위해 접수된 평가자료의 유효성을 검증하고 평가자료를 생성한다. 평가자료 생성관리 모듈(122)은 상기 각 평가단계에서, 상기 연구개발과제의 평가지표 데이터를 피평가기관의 사용자 단말기(111)로부터 상기 평가단계별로 입력받아 상기 평가자료 저장DB(125)에 저장한다.
상기 기술녹색도 전자평가 모듈(123)은 상기 생성된 평가자료를 바탕으로 평가대상의 모든 과제들의 평가지표 데이터 값의 비교에 의해 평가지표별로 점수를 산출하여 기술녹색도를 평가한다. 여기서, 이와 같은 기술녹색도 전자평가 모듈 (123)은 녹색기술 지수, 경제전력 지수, 사회생태 지수 및 종합지수인 기술녹색도를 산출하고, 그것을 바탕으로 녹색성장 기여도를 분석한다. 좀 더 구체적으로는, 기술녹색도 전자평가 모듈(123)은 상기 각 평가단계에서, 상기 저장된 평가지표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평가지표별 점수를 산출하고, 산출된 평가지표별 점수에 상기 평가지표별 가중치를 곱하고 합산하여 상기 녹색기술지수, 경제전력지수 및 사회생태지수를 각각 산출하고, 산출된 녹색기술지수, 경제전력지수 및 사회생태지수에 상기 지수별 가중치를 곱하고 합산하여 상기 기술녹색도를 산출하고, 산출된 기술녹색도를 상기 평가결과 저장DB(125)에 저장한다.
상기 평가결과 관리 모듈(124)은 상기 기술녹색도 전자평가 모듈(123)에 의한 기술녹색도 평가에 따라 기술녹색도 및 녹생성장 기여도를 그래프로 작성한다. 좀 더 구체적으로는, 평가결과 관리모듈(124)은 상기 저장된 기술녹색도를 이용하여 소정의 연구개발과제를 선정 또는 선별하여 표시하고, 상기 기술녹색도를과 상기 기술녹색도의 목표값을 비교하여 평가한다. 그리고 상기 평가결과 관리모듈(124)은, 상기 저장된 기술녹색도를 상기 기술녹색도 전자평가시스템 관리자 단말기(114) 상의 사회생태지수와 경제전력지수의 직교좌표계 평면에 표시하고, 상기 직교좌표계 평면에 상기 평가기관의 기술녹색도 전자평가시스템 관리자 단말기(114)로부터 설정된 문턱선의 값보다 큰 기술녹색도의 값의 연구개발과제를 선정 또는 선별하여 표시한다. 다른 한편, 평가결과 관리모듈(124)은, 상기 선정된 연구개발과제의 기술녹색도의 값과 상기 기술녹색도의 목표값의 차를 상기 기술녹색도 전자평가시스템 관리자 단말기(114) 상의 기술녹색도와 평가단계의 직교좌표계 평면에 상기 평가단계별로 표시한다.
상기 기술녹색도 전자평가 정보 데이터베이스(DB)(125)는 녹색기술 평가와 관련한 정보와 평가자료 및 평가결과를 저장한다. 이와 같은 기술녹색도 전자평가 정보 데이터베이스(DB)(125)는 평가기준 정보 DB, 평가자료 저장 DB, 평가지원 정보 DB, 평가결과 저장 DB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면, 이상과 같은 녹색기술 평가 시스템에 의한 본 발명의 기술녹색도 평가지표를 이용한 녹색기술 평가방법에 대하여 설명해 보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기술녹색도 평가지표를 이용한 녹색기술 평가방법의 실행 과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기술녹색도 평가지표를 이용한 녹색기술 평가방법에 따라, 먼저 기술녹색도 평가지표를 이용하여 평가방법 설정관리 모듈 (121)에 의해 국가 녹색성장 정책을 녹색기술 및 그 상품개발과 관리/통제에 반영하기 위한 기술녹색도 평가방법을 설정한다(단계 S201). 이때, 설정된 평가방법은 전술한 도 1의 녹색기술 평가 시스템의 기술녹색도 전자평가 정보DB(125)의 평가기준 정보 DB에 저장된다.
여기서, 이후의 단계들에 대한 설명으로 바로 진행하기에 앞서, 상기 기술녹색도(평가지표)와 관련하여 좀 더 상세히 설명해 보기로 한다.
본 발명에 채용되는 기술녹색도는 녹색기술 평가지표로 녹색기술과 그 상품의 가치가 인과관계에 따라 국가 녹색성장 구현에 기여하도록 설계된다.
이상과 같은 기술녹색도는 연구개발 대상 녹색기술이 저탄소 사회 패러다임에 장기적으로 적합하고 사회적으로 지속 가능성이 있는지 비교하는 척도로써 녹색 기술과 그 상품의 가치를 선순환적 환경개선과 경제성장을 촉진하고 과학기술역량, 산업경쟁력, 환경지속성 및 궁극적으로 국가경쟁력에 대한 기여의 인과관계로 구성하여, 연구개발 과제 선정단계에서 국가 녹색성장 구현에 기여하는 녹색기술을 정량적 평가 및 선정이 가능하고, 녹색기술에 대한 중점 연구개발 수행 과정에서 중간평가와 사후평가에 적용하여 투자된 연구개발 과제의 성공적인 기술개발을 유도하고, 추적평가 단계에서도 대외 환경변화에 따른 국가 정책 방향에 부합하도록 추적 관리 및 통제가 가능한 정량적으로 산출할 수 있는 녹색기술에 대한 효율적인 평가지표이다.
녹색기술에 대한 기술녹색도는 녹색기술 지수 평가항목과, 경제전력 지수 평가항목과, 사회생태 지수 평가항목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녹색기술 지수 평가항목은 과학기술역량 기여도를 평가하도록 구성된 것이 그 특징이며, 녹색기술 성숙수준 평가지표와, 물질 투입을 고려한 물질소비강도 평가지표와, 전력, 동력 등의 에너지 중의 적어도 하나로 이루어지는 에너지 효율성 평가지표와, 환경영향을 판단하기 위한 탄소배출강도 평가지표 및 비탄소 배출강도 평가지표와, 신재생에너지 수준을 나타내기 위한 신재생 에너지 전력생산수준 평가지표로 분류된다.
(a) 녹색기술 성숙수준 평가지표: 선진국 기술수준 대비 국내 기술수준과 국내의 현재 및 개발완료 시 기술준비수준의 가중합으로 결정된다.
(b) 물질소비강도 평가지표: 연료전지로 추진하는 잠수함의 경우 1kWh의 단위 에너지 발생에 필요한 연료 물질의 소비량과 탄소 1kg을 포집하여 환경 개선을 하기 위해 필요한 투입 물질의 소비량의 가중합으로 산출한다.
(c) 에너지 효율성 평가지표: 차량의 연비 및 연료전지의 경우 부가가치 기준으로 환산한 에너지 소비량 및 에너지 생산량, 국가과학기술위원회의 에너지 효율화 기술 채택건수, 에너지 밀도 및 출력 밀도 중에서 적어도 한 개 이상과 열에너지 효율성의 가중합으로 구성하여 산출한다. 에너지 및 출력 밀도의 경우 국내 기준자료의 확보가 불가능한 경우에는 기존 기술대비 목표수준(%)/개발기간 또는 선진국 대비 목표수준 × 기간격차(년)으로 산출할 수 있다.
(d) 탄소배출강도 평가지표: 녹색기술과 녹색상품이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판단하기 위한 평가기준으로 적용 체계 및 임무 요구조건을 고려하여 연산 탄소 총배출량, 평가단계별 탄소배출 저감율, 에너지 사용량에 따른 탄소배출량의 비율의 가중합(weighted sum)으로 산출한다. 탄소배출량은 장비 1대를 년간 임무를 위해 가동시간을 산출하고, 가동시간을 고려하여 탄소배출량을 산출한다. 탄소배출 감소량은 기존 기술대비 목표수준(%)/개발기간 또는 선진국대비 목표수준(%)× 기간격차(년)으로 산출한다. 탄소배출 저감율은 기존기술대비 저감율(%)/개발기간, 선진국대비 목표수준(%) × 기간격차(년), 목표수준이 동등할 경우 기간 격차를 고려하여 산출한다.
(e) 비탄소 배출강도 평가지표: 비탄소 오염물질의 연산 총배출량, 평가단계별 비탄소배출 저감율 및 에너지 사용량에 대한 비탄소 배출량의 가중합으로 결정되며 탄소배출강도와 동일한 방식으로 산출한다.
(f) 신재생 에너지 전력생산수준 평가지표: 신재생에너지(연료전지, 수소에너지, 태양광, 태양열, 바이오, 풍력 등)의 전력생산량과 총에너지 중 신재생에너지의 비율의 가중합으로 산출한다. 실측 데이터의 확보가 불가능한 경우 체계운용시 추진동력 대비 신재생에너지의 전력생산 비율을 선진국 수준 대비 목표수준으로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경제전력 지수 평가항목은 경제성장 기여도를 평가하도록 구성된 것이 그 특징이며, 국가 및 국방 녹색성장정책 연관성 평가지표와, 녹색시장 경쟁력 평가지표와, 부가가치창출효과 평가지표와, 경제성장 및 전력증대 효과 평가지표와, 고용창출효과 평가지표로 분류된다.
(a) 국가 및 국방 녹색성장정책 연관성 평가지표: 국방 녹색성장 전략과의 연계성 등 설문단계를 거쳐 7점 척도로 정량화한 점수와 국가 및 국방 분야 녹색기술 채택건수에 대한 산출점수의 가중합으로 결정한다.
(b) 녹색시장 경쟁력 평가지표: 에너지 발전단가 및 에너지 제조단가, 연구개발 완료후 상품화시 국내외 시장진입 용이성 및 수출가능성 등으로 설문단계를 거쳐 7점 척도로 정량화하여 산출한다.
(c) 부가가치창출효과 평가지표: 녹색기술의 기술이전의 기술파급효과를 연구개발비에 대한 부가가치로 산출한다. 여기에서, 예를 들어 부가가치는 녹색기술 적용에 따른 매출액의 증가규모로 산출될 수 있다.
(d) 경제성장 및 전력증대 효과 평가지표: 경제성장 기여도와 성능개선에 의한 국방전력증대 효과로 이루어진다. 여기에서, 경제성장 및 전력증대 효과 평가지표는 연구개발투자비 1억원 당 1.5941억원인 GDP 기여도에 연구개발 투자비를 곱하여 산출된다.
(e) 고용창출효과 평가지표: 연구개발 투자비 10억원당 창출되는 고용인원 수로 산출한다. 예를 들면, 고용창출효과 평가지표는 연구개발 투자비 10억원 당 고용인원수 20.5명인 환산계수를 연구개발 투자비에 곱하여 산출된다.
또한, 상기 사회생태 지수 평가항목은 환경지속성 기여도를 평가하도록 구성된 것이 그 특징이며, 지속발전기여도 평가지표와, 환경영향과 녹색기술 및 그 제품의 가치를 고려한 생태효율성 평가지표로 분류된다.
(a) 지속발전기여도 평가지표: 환경통제 과학기술 역량, 삶의 질, 생태청정도 등을 고려한 설문단계를 거쳐 7점 척도로 정량화하여 산출한다. 좀 더 구체적으로는, 지속발전기여도 평가지표는, 제품의 환경피해 감소와 환경을 개선하기 위한 비용 절감에 대한 효과를 기존 기술을 이용한 제품과 비교하여 평가하기 위한 설문을 수행하여 도출된 정량화된 점로 산출된다.
(b) 생태효율성 평가지표: 환경영향과 녹색기술 및 그 제품의 가치를 고려한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한 자원 사용을 위한 것으로 경제적 산출가치/환경비용로 산출할 수 있으며 (기술가치 또는 제품가치)/CO2배출량, (기술가치 또는 제품가치)/에너지소비량, (기술가치 또는 제품가치)/물질소비량을 고려하여 녹색기술의 가치를 설문단계를 거쳐 7점 척도로 정량화하여 산출한다. 여기서, 경제적 산출가치는 녹색기술의 부가가치 및 제품의 매출액, 매출이익 등이며 환경비용은 이산화탄소 배출량, 에너지 소비량 등 제품 사용에 따른 환경처리 비용이다.
이상과 같은 기술녹색도 평가지표별 평가자료가 사전에 작성되며, 전술한 도 1의 녹색 기술 평가 시스템의 기술녹색도 전자평가 정보 DB(125)의 평가자료 저장 DB에 저장된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이렇게 하여 기술녹색도 평가지표를 이용하여 기술녹 색도 평가방법이 설정되면, 그 설정된 기술녹색도 평가방법에 따라 평가자료 생성관리 모듈(122)에 의해 기술녹색도의 평가를 위해 접수된 평가자료의 유효성을 검증하여 평가자료를 생성한다(단계 S202).
그런 후, 상기 생성된 평가자료를 바탕으로 기술녹색도 전자평가 모듈(123)에 의해 평가대상의 모든 과제들의 평가지표 데이터 값을 비교함으로써 평가지표별로 점수를 산출하여 기술녹색도를 평가한다(단계 S203). 그리고, 환경지속성과 경제성장으로 이루어진 녹색성장 평면상에 대상 녹색기술 및 녹색상품에 대해 산출한 값을 좌표로 사상(mapping)시켜 녹색성장 기여도를 분석한다(단계 S204). 이로써 사실상 녹색 기술 평가에 대한 전반적인 과정은 완료된다.
이후, 녹색기술 및 그 녹색상품에 대한 전순기 과정의 단계별로 요구되는 기술녹색도와 현재 기술녹색도를 비교하여 기술녹색도 갭(GAP)을 분석하고, 상기 녹색성장 기여도에 따라 포트폴리오 분석을 수행함으로써 기술녹색도 평가결과를 관리한다(단계 S205).
한편, 이상과 같은 일련의 과정에 있어서, 상기 단계 S201의 기술녹색도 평가방법을 설정하는 단계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녹색기술 단계별 기술녹색도 목표값을 설정하는 단계(S301)와, 상기 설정된 기술녹색도 목표값에 따라 녹색기술 영역별로 적용되는 평가지표를 선택하는 단계(S302)와, 녹색기술 영역별 기술녹색도 평가항목 및 평가지표별 가중치를 설정하는 단계(S303)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계 S202의 평가자료를 생성하는 단계는, 기술녹색도 평가를 위해 접수된 평가자료를 정량적 및 정성적으로 데이터의 유효성을 확인하는 단계 및 동일 조건에서 비교 평가가 이루어지도록 단위를 통일하여 표준화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여기서 단위를 통일하여 표준화하는 단계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가지표별 측정단위의 상이함으로 인해 데이터 변동폭의 차이가 기술녹색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각 평가지표별 측정기준 데이터의 단위를 통일하는 단계(S401)와, 녹색기술 영역별 평가지표에 대한 측정기준 데이터의 산출기준의 상이함으로 인한 왜곡을 방지하기 위해 데이터의 값이 최대값 또는 최소값에 비례적으로 데이터의 크기 변환을 수행하는 스케일링(scaling) 단계(S402); 및 미확보 데이터를 평가대상 전체의 평균값 또는 영(zero)으로 처리하는 단계(S403)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계 S203의 기술녹색도를 평가하는 단계는, 상기 평가자료 생성단계(S202)에 의해 유효성이 검증된 평가자료를 바탕으로 평가대상이 되는 모든 과제들의 평가지표별 측정기준 데이터가 정량적인 경우와 전문가 설문단계를 거쳐 측정된 경우로 구분하여 평가지표별로 100점에 대한 환산점수를 산출한다.
예를 들면, 측정기준 데이터가 정량적 데이터로 생성된 평가지표인 경우(물질소비강도, 에너지효율성, 탄소배출강도, 비탄소배출강도, 신재생에너지 전력생산수준, 부가가치창출효과, 경제성장/전력증대효과, 고용창출효과)에는 평가대상이 되는 과제가 최소한 2개 이상일 때 평가가 이루어 질 수 있도록 하고, 부득이하게 단독과제의 경우에도 기술녹색도 전자평가 정보DB(125)의 평가지원 정보DB에서 목표데이터를 참조하여 다음 2가지 방법 중에서 선택하여 적용할 수 있다.
<방법 1>
1-1) 만약 평가지표의 점수가 클수록 좋은 경우
비교대상이 되는 과제들의 해당 평가지표의 측정기준 데이터의 최대값에 대한 백분율로 평가지표에 대한 평가점수를 다음의 수식으로 산출한다.
Xi = (Mij/Mimax)×100
여기서 Xi는 i번째 평가지표에 대한 평가점수이며, Mij는 i번째 평가지표에 대한 j번째 과제의 측정값, Mimax는 i번째 평가지표에 대한 평가과제의 측정값 가운데 최대값이다.
1-2) 만약 평가지표의 점수가 작을수록 좋은 경우
비교대상이 되는 과제들의 해당 평가지표의 측정기준 데이터의 최소값에 대한 백분율로 평가지표에 대한 평가점수를 다음의 수식으로 산출한다.
Xi = (Mimin/Mij)×100
여기서 Xi는 i번째 평가지표에 대한 평가점수이며, Mimin는 i번째 평가지표에 대한 평가과제의 측정값 가운데 최소값이고, Mij는 i번째 평가지표에 대한 j번째 과제의 측정값이다.
<방법 2>
2-1) 만약 평가지표의 점수가 클수록 좋은 경우
측정기준 데이터가 최대값을 갖는 과제의 평가지표에 100점을 부여하고 최소값인 평가지표에 60점을 부여한다.
2-2) 만약 평가지표의 점수가 작을수록 좋은 경우
평가지표의 측정기준 데이터가 최소값을 평가지표에 100점을 부여하고 최대치인 경우는 60점을 부여하는 방법으로 다음과 같은 동일한 수식으로 산출할 수 있다.
Xi = 100 - 40×(rank(ij)-1)/(n-1)
여기서, Xi는 i번째 평가지표에 대한 평가점수이고, rank(ij)는 i번째 평가지표에서 j번째 측정기준의 측정값 크기에 따른 순위이며, n은 비교대상이 되는 과제의 개수이다.
또한, 측정기준 데이터가 전문가 설문단계를 거쳐 측정된 평가지표인 경우(녹색기술 성숙수준, 국방녹색성장 정책 연관성, 녹색시장 경쟁력, 지속발전기여도, 생태효율성)에는 측정기준별 측정점수를 100점을 기준으로 환산하여 평가지표의 점수를 다음의 수식에 따라 부여한다.
Xi = (Mij/S)×100
여기서, Xi는 i번째 평가지표에 대한 평가점수이며, Mij는 i번째 평가지표에 대한 j번째 과제의 측정값이고, S는 평가척도 계수로 5 또는 7의 값을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계 S203의 기술녹색도를 평가하는 단계는, 녹색기술 지수 (GTI), 경제전력 지수(ESI), 사회생태 지수(SEI)를 각각 산출하고, 그 산출된 값에 지수별로 해당 가중치를 각각 곱하여 가중합(weighted sum)으로 기술녹색도(TGI)를 구한다.
여기서, 상기 녹색기술 지수(GTI), 경제전력 지수(ESI), 사회생태 지수(SEI) 및 기술녹색도(TGI)는 다음의 수식 관계로 표현할 수 있다.
Figure 112009026179244-pat00002
여기서, gn은 평가지표의 가중치, Xn은 평가지표 변수, w1, w2, w3은 각 지수별 가중치를 각각 나타낸다. 이때, 각 가중치는 계층화분석법(AHP)에 따라 결정한다.
기술녹색도 평가지표를 이용한 녹색기술 전자평가 시스템(도 1 참조)을 작동시키기 위해서 상기 수식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평가항목 GTI, ESI, SEI는 각각 기술녹색도 TGI에 대해 w1, w2, w3의 강도로 영향을 미치는 작동기(actuator) 역할을 하는 원인(cause) 매개변수이고, 기술녹색도 TGI는 GTI, ESI, SEI의 작용에 따라 얻어지는 결과(effect)에 해당한다. 마찬가지로 Xn은 GTI, EGI, SEI에 대한 gn의 강도로 영향을 미치는 매개변수이다. 이와 같이 기술녹색도를 작동 매개변수와 가중치를 이용하여 인과관계(Xn → gn → GTI, ESI, SEI → w1, w2, w3 → TGI)를 형성시 킴으로써 Xn, gn 및 w1, w2, w3 를 조정하여 목표하는 기술녹색도 TGI 값을 얻도록 제어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이상의 기술녹색도(TGI), 평가항목의 가중치(w1,w2,w3), 평가항목으로서의 녹색기술지수(GTI), 경제전력지수(ESI), 사회생태지수(SEI), 평가지표의 가중치 (g1~gn), 평가지표(변수명)를 표로 정리하면 다음의 표 1과 같다.
[표 1]
Figure 112009026179244-pat00003
또한, 상기 단계 S204의 녹색성장 기여도를 분석하는 단계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국방/산업경쟁력 기여도를 나타내는 경제전력지수를 수직축, 환경지속성 기여도를 나타내는 사회생태지수를 수평축으로 하는 직교좌표계 평면상에 상기 녹색기술 별로 기술녹색도를 산출한 결과 데이터를 좌표점으로 표시하는 단계(S501)와,상기 단계 S201의 기술녹색도 평가방법 설정 단계에 의해 설정된 기술녹색도 목표값을 기술녹색도 평가정보 데이터베이스에서 읽어 녹색성장 기여도 평면에 표시하는 단계(S502) 및 환경지속성과 경제성장 기여도를 고려하여 전략적으로 투자할 중점 연구개발 분야를 표시하는 단계(S503)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계 S205의 기술녹색도 평가결과를 관리하는 단계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녹색기술 및 그 녹색상품 전순기 평가 단계별 요구 기술녹색도에 대하여 현재 기술녹색도를 비교하여 기술녹색도 갭(GAP) 분석을 위한 그래프를 도시하는 단계(S601)와, 정책적 방향을 고려하여 결정된 기술녹색도 기여도 문턱선(threshold)을 기준으로 평면상에 표시되는 현재 기술녹색도의 좌표를 찍어 포트폴리오 분석을 위한 그래프를 도시하는 단계(S602) 및 기술녹색도 평가결과를 기술녹색도 평가 정보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S603)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도 7은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른 기술녹색도 평가지표를 이용한 녹색 기술 평가 방법에 의한 기술녹색도 평가를 위한 대상 녹색기술 과제별 기초자료표를 보여주는 것으로서, 평가항목은 녹색기술지수(GTI), 경제전력지수(ESI), 사회생태지수(SEI)로 크게 분류되고, 평가지표(변수명)는 녹색기술지수(GTI)의 경우에는 녹색기술성숙수준(X1), 물질소비강도(X2), 에너지 효율성(X3), 탄소배출강도(X4), 비탄소배출강도(X5), 신재생에너지의 전력생산 수준(X6)으로 분류되고, 경제전력지수(ESI)의 경우에는 국가(국방) 녹색성장 정책 연계 수준(X7), 녹색시장 경쟁력(X8), 부가가치 창출효과(X9), 경제성장/전력증대 효과(X10), 고용창출효 과(X11)로 분류되며, 사회생태지수(SEI)의 경우에는 지속발전 기여도(X12), 생태효율성(X13)으로 분류된다. 평가기준에 대해서는 표에 기재된 바와 같이 각 평가항목별, 평가지표별로 각각 그 기준사항(내용)이 설정된다.
도 8은 과제별 가중치를 적용한 기술녹색도 지수산출 결과를 보여주는 것으로서, n개의 과제에 대하여 과제1서부터 과제n까지 각 평가항목별 평가지표에 따라 기술녹색도 지수가 각각 점수로 표시된다. 예를 들면, 표에서와 같이, 녹색기술 성숙수준(X1,g1)의 경우 과제1에 대해서는 60점, 과제2에 대해서는 90점, 과제3에 대해서는 90점, 과제4에 대해서는 100점,..., 과제n에 대해서는 90점과 같이 각각의 지수가 점수로 표시된다.
도 9는 녹색성장 기여도 분석 결과를 나타낸 것으로서, 과제1부터 과제 X까지 과학기술역량 기여도(GTI 점수), 산업경쟁력 기여도(ESI 점수), 환경지속성 기여도(SEI 점수) 측면이 각각 점수로 표시된다. 예를 들면, 과제4의 경우, 과학기술역량 기여도(GTI 점수)는 92.80, 산업경쟁력 기여도(ESI 점수)는 76.00, 환경지속성 기여도(SEI 점수)는 92.28과 같이 점수로 표시된다.
도 10은 기술녹색도 갭(Gap) 분석 그래프를 나타낸 것으로서, 이를 통해 녹색기술별로 사전평가, 중간평가, 사후평가, 추적평가와 같이 각 단계별로 목표값 TGI 1, TGI 2, TGI 3, TGI 4 에 대한 현재의 기술녹색도(A)의 변화추이를 볼 수 있다.
도 11은 도 9의 녹색성장 기여도 분석 결과를 그래프로 나타낸 것으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과학기술역량 기여도는 분석 그래프 상에서 좌표점의 크기로 표시 되며, 기술녹색도 기여도 문턱선(threshold) A, B, C의 위치를 조정하면서 녹색성장 기여도에 따른 포트폴리오 분석을 할 수 있다.
도 12는 녹색기술 영역별 적용가능 평가지표를 나타낸 것으로서, 표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각 평가지표의 각각의 세부항목에 대하여 적용가능한 녹색기술 영역(예측, 에너지원, 고효율화, 사후처리, 무공해)에 특정 기호가 표기(여기서는 "○"으로 표기한 예를 보여주고 있음)된다.
도 13은 녹색기술 유형별 전순기 단계에서 평가지표 별 적용 가중치표의 예를 보여주는 것으로서, 표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각 평가지표 별의 각각의 세부항목에 대하여 사전평가 단계, 중간평가 단계, 사후평가 단계, 추적평가 단계의 4개의 단계로 분류하고, 그 4개의 각 단계별로 예측기술, 에너지원, 고효율화, 사후처리, 무공해 분야로 분류하여 각각 적용가중치를 부여하게 된다.
이상의 설명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기술녹색도 평가지표를 이용한 녹색 기술 평가 방법은 다음과 같은 장점 및 효과가 있다.
1) 네트워크를 통한 온라인 전자평가를 통해 신속정확하고 객관적으로 정량화된 평가결과를 얻을 수 있어, 제한된 연구개발 재원을 효율적으로 투자할 수 있다.
2) 기술녹색도가 높을수록 중점투자 가치가 있는 녹색기술을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어, 이를 전순기에 적용할 때 지속적인 발전을 촉진하는 드라이버 역할을 하도록 함으로써 국가정책에 따른 단계별 중점 투자분야의 녹색기술 식별 및 지속적 측정을 통한 관리가 가능하다.
3) 국방 및 민수 분야의 녹색기술에도 적용이 가능하며 연구개발 단계에서의 과제 선정 뿐만 아니라 산업화 및 그 사용 과정에 이르는 녹색기술과 그 상품의 전순기 과정에서 지속발전 경영의 척도로 활용함에 따라 연구소, 기업 및 국가의 친환경 녹색성장 지속발전 경영차원에서 지속적으로 적용하고 개선 정도를 추적함으로써 국가 경쟁력 향상의 선순환적 과정을 유도할 수 있다.
4) 기후 위기와 관련한 생태효율성을 향상시키고 온실가스 배출을 감소시킴으로써 환경지속성을 유지시킬 수 있고, 에너지 효율 향상을 통하여 국가의 에너지 안보상황을 개선시키고 산업경쟁력을 강화하여 경제성장을 촉진시키는 환경과 경제성장의 선 순환구조를 이룸으로써 국가발전에 기여할 수 있다.
5) 획득된 녹색기술의 기술이전에 따른 기술료와 수출을 통한 기업의 수익창출에 따른 연구개발에 대한 출연투자로 확보된 연구개발 투자예산은 본 발명의 기술녹색도 평가에 따라 선정된 국가 녹색성장에 기여하는 녹색기술 개발 및 상품화에 재투자를 촉진함으로써 선순환적 녹색성장을 구현시키는 효과가 있다.
6) 기술녹색도 갭(GAP) 분석 기능과 포트폴리오 분석 기능을 통해 기술녹색도 수준에 따라 국내외 환경 변화에 신속히 적응할 수 있는 정책판단을 지원할 수 있다.
이상,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응용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다음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적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기술녹색도 평가지표를 이용한 녹색기술 평가방법의 구현을 위해 채용되는 녹색기술 평가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기술녹색도 평가지표를 이용한 녹색기술 평가방법의 실행 과정을 보여주는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기술녹색도 평가지표를 이용한 녹색기술 평가방법에 있어서, 기술녹색도 평가방법을 설정하는 단계의 서브루틴을 보여주는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기술녹색도 평가지표를 이용한 녹색기술 평가방법에있어서, 단위를 통일하여 표준화하는 단계의 서브루틴을 보여주는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기술녹색도 평가지표를 이용한 녹색기술 평가방법에있어서, 녹색성장 기여도를 분석하는 단계의 서브루틴을 보여주는 흐름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기술녹색도 평가지표를 이용한 녹색기술 평가방법에있어서, 기술녹색도 평가결과를 관리하는 단계의 서브루틴을 보여주는 흐름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기술녹색도 평가지표를 이용한 녹색 기술 평가 방법에 의한 기술녹색도 평가를 위한 대상 녹색기술 과제별 기초자료표를 보여주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기술녹색도 평가지표를 이용한 녹색 기술 평가 방법의 실행에 따른 과제별 가중치를 적용한 기술녹색도 지수산출 결과를 보여주는 도면.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기술녹색도 평가지표를 이용한 녹색 기술 평가 방법 의 실행에 따른 녹색성장 기여도 분석 결과를 보여주는 도면.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기술녹색도 평가지표를 이용한 녹색 기술 평가 방법의 실행에 따른 기술녹색도 갭(Gap) 분석 그래프를 보여주는 도면.
도 11은 도 9의 녹색성장 기여도 분석 결과를 그래프로 나타낸 도면.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기술녹색도 평가지표를 이용한 녹색 기술 평가 방법의 실행에 따른 녹색기술 영역별 적용가능 평가지표를 보여주는 도면.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기술녹색도 평가지표를 이용한 녹색 기술 평가 방법의 실행에 따른 녹색기술 유형별 전순기 단계에서 평가지표 별 적용 가중치표의 예를 보여주는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사용자 단말기 111...피평가 기관의 사용자 단말기
112...정책기관의 사용자 단말기 113...기술녹색도 심의위원 단말기
114...평가기관의 기술녹색도 전자평가시스템 관리자 단말기
120...녹색 기술 평가 시스템 121...평가방법 설정관리 모듈
122...평가자료 생성관리 모듈 123...기술녹색도 전자평가 모듈
124...평가결과 관리모듈 125...기술녹색도 전자평가 정보DB

Claims (50)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24. 삭제
  25. 삭제
  26. 삭제
  27. 삭제
  28. 삭제
  29. 군용 에너지 기술 관련 연구개발과제의 평가 시스템에 있어서,
    평가기관의 기술녹색도 전자평가시스템 관리자 단말기를 통해 상기 연구개발과제의 평가를 위하여 소정의 단위기간별로 미리 설정된 각 평가단계에서, 상기 군용 에너지 기술의 기술개발력을 평가하기 위한 녹색기술지수, 군사전력 증강에 따른 상기 연구개발과제의 경제적 타당성을 평가하기 위한 경제전력지수 및 상기 연구개발과제의 탄소 배출, 에너지 사용량 및 폐기물 배출량 대비 기술 가치를 평가하기 위한 사회생태지수를 기준으로 효율적 예산 투자 및 예산 절감 효과의 타당성을 평가하기 위한 정량적인 평가 척도인 기술녹색도의 목표값과, 지수별 가중치와, 평가지표별 가중치를 상기 평가기관의 기술녹색도 전자평가시스템 관리자 단말기로부터 평가단계별로 입력받아 평가기준 정보DB에 저장하는 평가방법 설정관리 모듈;
    상기 각 평가단계에서, 상기 연구개발과제의 평가지표 데이터를 피평가기관의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평가단계별로 입력받아 평가자료 저장DB에 저장하는 평가자료 생성관리 모듈;
    상기 각 평가단계에서, 상기 저장된 평가지표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평가지표별 점수를 산출하고, 산출된 평가지표별 점수에 상기 평가지표별 가중치를 곱하고 합산하여 상기 녹색기술지수, 경제전력지수 및 사회생태지수를 각각 산출하고, 산출된 녹색기술지수, 경제전력지수 및 사회생태지수에 상기 지수별 가중치를 곱하고 합산하여 상기 기술녹색도를 산출하고, 산출된 기술녹색도를 평가결과 저장DB에 저장하는 기술녹색도 전자평가 모듈 및
    상기 저장된 기술녹색도를 기준으로 소정의 연구개발과제를 선별하여 표시하고, 상기 표시된 기술녹색도와 상기 기술녹색도의 목표값을 비교하여 상기 목표값에 도달한 연구개발과제를 선별하여 표시하는 평가결과 관리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군용 에너지 기술은, 군용제품을 작동시키기 위한 소정의 연료를 생산하거나 생산된 연료를 이용하여 상기 군용제품을 작동시키는 소정의 에너지를 생산하거나 생산된 에너지를 상기 군용제품에 이용 가능하도록 변환하기 위한 에너지 생산 기술과, 생산되어 변환되는 에너지를 저장 및 방출하기 위해 설치되는 저장 수단에 관한 에너지 저장 기술과, 상기 저장 수단에 저장된 에너지의 이용 시에 이용 효율을 높이기 위한 에너지 고효율화 기술이고,
    상기 녹색기술지수를 산출하기 위한 평가지표는,
    상기 군용제품의 연간 탄소 총 배출량, 상기 연구개발과제의 평가단계별 탄소배출 저감율 및 상기 군용제품의 에너지 사용량에 따른 탄소배출량의 저감율의 가중합을 산출하기 위한 탄소배출 강도 평가지표와,
    상기 군용제품의 비탄소 오염물질의 연간 총 배출량, 상기 연구개발과제의 평가단계별 비탄소 배출 저감율 및 상기 군용제품의 에너지 사용량에 대한 비탄소 배출량의 비율의 가중합을 산출하기 위한 비탄소 배출강도 평가지표와,
    상기 군용제품의 1kWh의 단위 에너지 발생에 필요한 연료 물질의 소비량과 탄소 1kg을 포집하여 환경 개선을 하기 위해 필요한 투입 물질의 소비량의 가중합을 산출하기 위한 물질소비강도 평가지표와,
    상기 군용제품의 에너지 밀도 및 출력 밀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상기 군용제품의 열에너지 효율성의 가중합을 산출하기 위한 에너지 효율성 평가지표와,
    상기 군용제품이 둘 이상의 에너지원을 사용하는 경우, 상기 군용제품의 총 에너지 대비 신재생 에너지의 전력 생산량의 비율과 상기 신재생 에너지의 전력 생산량의 가중합을 산출하기 위한 신재생 에너지 전력생산수준 평가지표이고,
    상기 신재생 에너지는 연료 전지, 수소 에너지, 태양광 에너지, 태양열 에너지, 바이오 에너지 및 풍력 에너지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이고,
    상기 경제전력지수를 산출하기 위한 평가지표는,
    상기 피평가기관의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상기 군용제품의 에너지 발전단가, 에너지 제조단가 및 상기 군용제품의 국내외 시장진입 용이성 및 수출가능성에 대한 설문을 수행하여 도출된 정량화된 점수의 가중합을 산출하기 위한 녹색시장 경쟁력 평가지표와,
    상기 군용제품의 연구개발 투자비 1억원 당 1.5941억원인 GDP 기여도에 연구개발 투자비를 곱하여 산출되는 경제성장 및 전력증대 효과 평가지표와,
    상기 연구개발 투자비 10억원 당 고용인원수 20.5명인 환산계수를 상기 연구개발 투자비에 곱하여 산출되는 고용창출효과 평가지표이고,
    상기 사회생태지수를 산출하기 위한 평가지표는,
    상기 피평가기관의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상기 군용제품의 환경 피해 감소와 환경을 개선하기 위한 비용 절감에 대한 효과를 기존 기술을 이용한 제품과 비교하여 평가하기 위한 설문을 수행하여 도출된 정량화된 점수를 산출하기 위한 지속발전기여도 평가지표와,
    상기 군용제품의 환경비용 대비 상기 군용제품의 매출액의 비율에 따른 점수를 산출하기 위한 생태효율성 평가지표이고,
    상기 환경비용은 상기 군용제품의 사용에 따른 이산화탄소 배출량과 에너지 소비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군용 에너지 기술 관련 연구개발과제의 평가 시스템.
  30.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에너지 생산 기술은 연료 전지, 태양 에너지, 원자력 전지, 수소 연료, 바이오 연료, 마이크로 가스 터빈 또는 폐에너지 회수에 관련된 기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군용 에너지 기술 관련 연구개발과제의 평가 시스템.
  31.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에너지 고효율화 기술은, 탄 회수 처리, 하이브리드 추진, 경량화 소재 또는 고효율 에너지 생성 물질에 관련된 기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군용 에너지 기술 관련 연구개발과제의 평가 시스템.
  32.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에너지 저장 기술은, 1차 전지, 2차 전지, 물질의 상변화에 따른 잠열을 이용한 에너지 저장에 관련된 기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군용 에너지 기술 관련 연구개발과제의 평가 시스템.
  33.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평가결과 관리모듈은, 상기 저장된 기술녹색도를 상기 평가기관의 기술녹색도 전자평가시스템 관리자 단말기 상의 녹색기술지수 및 경제전력지수의 가중합과 사회생태지수의 직교좌표계 평면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군용 에너지 기술 관련 연구개발과제의 평가 시스템.
  34.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평가결과 관리모듈은, 상기 녹색기술지수 및 경제전력지수의 가중합과 사회생태지수의 직교좌표계 평면에 상기 평가기관의 기술녹색도 전자평가시스템 관리자 단말기로부터 설정된 문턱선의 값보다 큰 값을 갖는 연구개발과제를 선별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군용 에너지 기술 관련 연구개발과제의 평가 시스템.
  35.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평가결과 관리모듈은, 상기 저장된 기술녹색도와 상기 기술녹색도의 목표값을 상기 평가기관의 기술녹색도 전자평가시스템 관리자 단말기 상의 기술녹색도와 평가단계의 직교좌표계 평면에 상기 평가단계별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군용 에너지 기술 관련 연구개발과제의 평가 시스템.
  36.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평가기관의 기술녹색도 전자평가시스템 관리자 단말기를 통해 상기 연구개발과제의 평가를 위하여 소정의 단위기간별로 미리 설정된 각 평가단계는, 사전평가 단계, 중간평가 단계, 사후평가 단계 및 추적평가 단계이고,
    상기 사전평가 단계는 상기 연구개발과제를 선정하기 위한 소정의 기간에 대응되도록 설정된 평가단계이고,
    상기 중간평가 단계는 상기 선정된 연구개발과제의 제품 설계 및 시험 기간에 대응되도록 설정된 평가단계이고,
    상기 사후평가 단계는 상기 연구개발과제의 제품 설계 및 시험 기간의 종료 후 소정의 평가 기간에 대응되도록 설정된 평가단계이고,
    상기 추적평가 단계는 상기 연구개발과제의 제품 생산, 사용 및 폐기 기간에 대응되도록 설정된 평가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군용 에너지 기술 관련 연구개발과제의 평가 시스템.
  37. 군용 에너지 기술 관련 연구개발과제의 평가 방법에 있어서,
    평가기관의 기술녹색도 전자평가시스템 관리자 단말기를 통해 상기 연구개발과제의 평가를 위하여 소정의 단위기간별로 미리 설정된 각 평가단계에서,
    평가방법 설정관리 모듈이, 상기 각 평가단계에 대한, 상기 군용 에너지 기술의 기술개발력을 평가하기 위한 녹색기술지수, 군사전력 증강에 따른 상기 연구개발과제의 경제적 타당성을 평가하기 위한 경제전력지수 및 상기 연구개발과제의 탄소 배출, 에너지 사용량 및 폐기물 배출량 대비 기술 가치를 평가하기 위한 사회생태지수를 기준으로 효율적 예산 투자 및 예산 절감 효과의 타당성을 평가하기 위한 정량적인 평가 척도인 기술녹색도의 목표값과, 지수별 가중치와, 평가지표별 가중치를 상기 평가기관의 기술녹색도 전자평가시스템 관리자 단말기로부터 입력받아 평가기준 정보DB에 저장하는 제1 단계;
    평가자료 생성관리 모듈이, 상기 연구개발과제의 평가지표 데이터를 입력받아 평가자료 저장DB에 저장하는 제2 단계;
    기술녹색도 전자평가 모듈이, 상기 저장된 평가지표 데이터를 이용하여 평가지표별 점수를 산출하고, 산출된 평가지표별 점수를 평가결과 저장DB에 저장하는 제3 단계;
    상기 기술녹색도 전자평가 모듈이, 상기 저장된 평가지표별 점수에 상기 저장된 평가지표별 가중치를 곱하고 합산하여 상기 녹색기술지수, 경제전력지수 및 사회생태지수의 지수별 점수를 각각 산출하고, 산출된 지수별 점수를 상기 평가결과 저장DB에 저장하는 제4 단계;
    상기 기술녹색도 전자평가 모듈이, 상기 저장된 지수별 점수에 상기 저장된 지수별 가중치를 곱하고 합산하여 상기 기술녹색도를 산출하고, 산출된 기술녹색도를 상기 평가결과 저장DB에 저장하는 제5 단계 및
    평가결과 관리모듈이, 상기 저장된 기술녹색도를 기준으로 소정의 연구개발과제를 선별하여 표시하고, 상기 기술녹색도와 상기 기술녹색도의 목표값을 비교하여 상기 목표값에 도달한 연구개발과제를 선별하여 표시하는 제6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군용 에너지 기술은, 군용제품을 작동시키기 위한 소정의 연료를 생산하거나 생산된 연료를 이용하여 상기 군용제품을 작동시키는 소정의 에너지를 생산하거나 생산된 에너지를 상기 군용제품에 이용 가능하도록 변환하기 위한 에너지 생산 기술과, 생산되어 변환되는 에너지를 저장 및 방출하기 위해 설치되는 저장 수단에 관한 에너지 저장 기술과, 상기 저장 수단에 저장된 에너지의 이용 시에 이용 효율을 높이기 위한 에너지 고효율화 기술이고,
    상기 녹색기술지수를 산출하기 위한 평가지표는,
    상기 군용제품의 연간 탄소 총 배출량, 상기 연구개발과제의 평가단계별 탄소배출 저감율 및 상기 군용제품의 에너지 사용량에 따른 탄소배출량의 저감율의 가중합을 산출하기 위한 탄소배출 강도 평가지표와,
    상기 군용제품의 비탄소 오염물질의 연간 총 배출량, 상기 연구개발과제의 평가단계별 비탄소 배출 저감율 및 상기 군용제품의 에너지 사용량에 대한 비탄소 배출량의 비율의 가중합을 산출하기 위한 비탄소 배출강도 평가지표와,
    상기 군용제품의 1kWh의 단위 에너지 발생에 필요한 연료 물질의 소비량과 탄소 1kg을 포집하여 환경 개선을 하기 위해 필요한 투입 물질의 소비량의 가중합을 산출하기 위한 물질소비강도 평가지표와,
    상기 군용제품의 에너지 밀도 및 출력 밀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상기 군용제품의 열에너지 효율성의 가중합을 산출하기 위한 에너지 효율성 평가지표와,
    상기 군용제품이 둘 이상의 에너지원을 사용하는 경우, 상기 군용제품의 총 에너지 대비 신재생 에너지의 전력 생산량의 비율과 상기 신재생 에너지의 전력 생산량의 가중합을 산출하기 위한 신재생 에너지 전력생산수준 평가지표이고,
    상기 신재생 에너지는 연료 전지, 수소 에너지, 태양광 에너지, 태양열 에너지, 바이오 에너지 및 풍력 에너지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이고,
    상기 경제전력지수를 산출하기 위한 평가지표는,
    피평가기관의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상기 군용제품의 에너지 발전단가, 에너지 제조단가 및 상기 군용제품의 국내외 시장진입 용이성 및 수출가능성에 대한 설문을 수행하여 도출된 정량화된 점수의 가중합을 산출하기 위한 녹색시장 경쟁력 평가지표와,
    상기 군용제품의 연구개발 투자비 1억원 당 1.5941억원인 GDP 기여도에 연구개발 투자비를 곱하여 산출되는 경제성장 및 전력증대 효과 평가지표와,
    상기 연구개발 투자비 10억원 당 고용인원수 20.5명인 환산계수를 상기 연구개발 투자비에 곱하여 산출되는 고용창출효과 평가지표이고,
    상기 사회생태지수를 산출하기 위한 평가지표는,
    상기 피평가기관의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상기 군용제품의 환경 피해 감소와 환경을 개선하기 위한 비용 절감에 대한 효과를 기존 기술을 이용한 제품과 비교하여 평가하기 위한 설문을 수행하여 도출된 정량화된 점수를 산출하기 위한 지속발전기여도 평가지표와,
    상기 군용제품의 환경비용 대비 상기 군용제품의 매출액의 비율에 따른 점수를 산출하기 위한 생태효율성 평가지표이고,
    상기 환경비용은 상기 군용제품의 사용에 따른 이산화탄소 배출량과 에너지 소비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군용 에너지 기술 관련 연구개발과제의 평가 방법.
  38. 제37항에 있어서,
    상기 에너지 생산 기술은 연료 전지, 태양 에너지, 원자력 전지, 수소 연료, 바이오 연료, 마이크로 가스 터빈 또는 폐에너지 회수에 관련된 기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군용 에너지 기술 관련 연구개발과제의 평가 방법.
  39. 제38항에 있어서,
    상기 에너지 고효율화 기술은, 탄 회수 처리, 하이브리드 추진, 경량화 소재 또는 고효율 에너지 생성 물질에 관련된 기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군용 에너지 기술 관련 연구개발과제의 평가 방법.
  40. 제39항에 있어서,
    상기 에너지 저장 기술은, 1차 전지, 2차 전지, 물질의 상변화에 따른 잠열을 이용한 에너지 저장에 관련된 기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군용 에너지 기술 관련 연구개발과제의 평가 방법.
  41. 제40항에 있어서,
    상기 평가결과 관리모듈이, 상기 저장된 기술녹색도를 기준으로 소정의 연구개발과제를 선별하여 표시하고, 상기 기술녹색도와 상기 기술녹색도의 목표값을 비교하여 상기 목표값에 도달한 연구개발과제를 선별하여 표시하는 제6 단계는,
    상기 평가결과 관리모듈이 상기 저장된 기술녹색도를 상기 평가기관의 기술녹색도 전자평가시스템 관리자 단말기 상의 녹색기술지수 및 경제전력지수의 가중합과 사회생태지수의 직교좌표계 평면에 표시하고, 상기 직교좌표계 평면에 상기 평가기관의 기술녹색도 전자평가시스템 관리자 단말기로부터 설정된 문턱선의 값보다 큰 값을 갖는 연구개발과제를 선별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군용 에너지 기술 관련 연구개발과제의 평가 방법.
  42. 제41항에 있어서,
    상기 평가결과 관리모듈이, 상기 저장된 기술녹색도를 기준으로 소정의 연구개발과제를 선별하여 표시하고, 상기 기술녹색도와 상기 기술녹색도의 목표값을 비교하여 상기 목표값에 도달한 연구개발과제를 선별하여 표시하는 제6 단계는,
    상기 저장된 연구개발과제의 기술녹색도와 상기 기술녹색도의 목표값을 상기 평가기관의 기술녹색도 전자평가시스템 관리자 단말기 상의 기술녹색도와 평가단계의 직교좌표계 평면에 상기 평가단계별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군용 에너지 기술 관련 연구개발과제의 평가 방법.
  43. 제42항에 있어서,
    상기 평가기관의 기술녹색도 전자평가시스템 관리자 단말기를 통해 상기 연구개발과제의 평가를 위하여 소정의 단위기간별로 미리 설정된 각 평가단계는, 사전평가 단계, 중간평가 단계, 사후평가 단계 및 추적평가 단계이고,
    상기 사전평가 단계는 상기 연구개발과제를 선정하기 위한 소정의 기간에 대응되도록 설정된 평가단계이고,
    상기 중간평가 단계는 상기 선정된 연구개발과제의 제품 설계 및 시험 기간에 대응되도록 설정된 평가단계이고,
    상기 사후평가 단계는 상기 연구개발과제의 제품 설계 및 시험 기간의 종료 후 소정의 평가 기간에 대응되도록 설정된 평가단계이고,
    상기 추적평가 단계는 상기 연구개발과제의 제품 생산, 사용 및 폐기 기간에 대응되도록 설정된 평가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군용 에너지 기술 관련 연구개발과제의 평가 방법.
  44. 군용 에너지 기술 관련 연구개발과제의 평가 방법을 행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에 있어서,
    평가기관의 기술녹색도 전자평가시스템 관리자 단말기를 통해 상기 연구개발과제의 평가를 위하여 소정의 단위기간별로 미리 설정된 각 평가단계에서,
    평가방법 설정관리 모듈이, 상기 각 평가단계에 대한, 상기 군용 에너지 기술의 기술개발력을 평가하기 위한 녹색기술지수, 군사전력 증강에 따른 상기 연구개발과제의 경제적 타당성을 평가하기 위한 경제전력지수 및 상기 연구개발과제의 탄소 배출, 에너지 사용량 및 폐기물 배출량 대비 기술 가치를 평가하기 위한 사회생태지수를 기준으로 효율적 예산 투자 및 예산 절감 효과의 타당성을 평가하기 위한 정량적인 평가 척도인 기술녹색도의 목표값과, 지수별 가중치와, 평가지표별 가중치를 상기 평가기관의 기술녹색도 전자평가시스템 관리자 단말기로부터 입력받아 평가기준 정보DB에 저장하는 제1 단계;
    평가자료 생성관리 모듈이, 상기 연구개발과제의 평가지표 데이터를 입력받아 평가자료 저장DB에 저장하는 제2 단계;
    기술녹색도 전자평가 모듈이, 상기 저장된 평가지표 데이터를 이용하여 평가지표별 점수를 산출하고, 산출된 평가지표별 점수를 평가결과 저장DB에 저장하는 제3 단계;
    기술녹색도 전자평가 모듈이, 상기 저장된 평가지표별 점수에 상기 저장된 평가지표별 가중치를 곱하고 합산하여 상기 녹색기술지수, 경제전력지수 및 사회생태지수의 지수별 점수를 각각 산출하고, 산출된 지수별 점수를 상기 평가결과 저장DB에 저장하는 제4 단계;
    상기 기술녹색도 전자평가 모듈이, 상기 저장된 지수별 점수에 상기 저장된 지수별 가중치를 곱하고 합산하여 상기 기술녹색도를 산출하고, 산출된 기술녹색도를 상기 평가결과 저장DB에 저장하는 제5 단계 및
    상기 평가결과 관리모듈이, 상기 저장된 기술녹색도를 기준으로 소정의 연구개발과제를 선별하여 표시하고, 상기 기술녹색도와 상기 기술녹색도의 목표값을 비교하여 상기 목표값에 도달한 연구개발과제를 선별하여 표시하는 제6 단계를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하되,
    상기 군용 에너지 기술은, 군용제품을 작동시키기 위한 소정의 연료를 생산하거나 생산된 연료를 이용하여 상기 군용제품을 작동시키는 소정의 에너지를 생산하거나 생산된 에너지를 상기 군용제품에 이용 가능하도록 변환하기 위한 에너지 생산 기술과, 생산되어 변환되는 에너지를 저장 및 방출하기 위해 설치되는 저장 수단에 관한 에너지 저장 기술과, 상기 저장 수단에 저장된 에너지의 이용 시에 이용 효율을 높이기 위한 에너지 고효율화 기술이고,
    상기 녹색기술지수를 산출하기 위한 평가지표는,
    상기 군용제품의 연간 탄소 총 배출량, 상기 연구개발과제의 평가단계별 탄소배출 저감율 및 상기 군용제품의 에너지 사용량에 따른 탄소배출량의 저감율의 가중합을 산출하기 위한 탄소배출 강도 평가지표와,
    상기 군용제품의 비탄소 오염물질의 연간 총 배출량, 상기 연구개발과제의 평가단계별 비탄소 배출 저감율 및 상기 군용제품의 에너지 사용량에 대한 비탄소 배출량의 비율의 가중합을 산출하기 위한 비탄소 배출강도 평가지표와,
    상기 군용제품의 1kWh의 단위 에너지 발생에 필요한 연료 물질의 소비량과 탄소 1kg을 포집하여 환경 개선을 하기 위해 필요한 투입 물질의 소비량의 가중합을 산출하기 위한 물질소비강도 평가지표와,
    상기 군용제품의 에너지 밀도 및 출력 밀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상기 군용제품의 열에너지 효율성의 가중합을 산출하기 위한 에너지 효율성 평가지표와,
    상기 군용제품이 둘 이상의 에너지원을 사용하는 경우, 상기 군용제품의 총 에너지 대비 신재생 에너지의 전력 생산량의 비율과 상기 신재생 에너지의 전력 생산량의 가중합을 산출하기 위한 신재생 에너지 전력생산수준 평가지표이고,
    상기 신재생 에너지는 연료 전지, 수소 에너지, 태양광 에너지, 태양열 에너지, 바이오 에너지 및 풍력 에너지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이고,
    상기 경제전력지수를 산출하기 위한 평가지표는,
    피평가기관의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상기 군용제품의 에너지 발전단가, 에너지 제조단가 및 상기 군용제품의 국내외 시장진입 용이성 및 수출가능성에 대한 설문을 수행하여 도출된 정량화된 점수의 가중합을 산출하기 위한 녹색시장 경쟁력 평가지표와,
    상기 군용제품의 연구개발 투자비 1억원 당 1.5941억원인 GDP 기여도에 연구개발 투자비를 곱하여 산출되는 경제성장 및 전력증대 효과 평가지표와,
    상기 연구개발 투자비 10억원 당 고용인원수 20.5명인 환산계수를 상기 연구개발 투자비에 곱하여 산출되는 고용창출효과 평가지표이고,
    상기 사회생태지수를 산출하기 위한 평가지표는,
    상기 피평가기관의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상기 군용제품의 환경 피해 감소와 환경을 개선하기 위한 비용 절감에 대한 효과를 기존 기술을 이용한 제품과 비교하여 평가하기 위한 설문을 수행하여 도출된 정량화된 점수를 산출하기 위한 지속발전기여도 평가지표와,
    상기 군용제품의 환경비용 대비 상기 군용제품의 매출액의 비율에 따른 점수를 산출하기 위한 생태효율성 평가지표이고,
    상기 환경비용은 상기 군용제품의 사용에 따른 이산화탄소 배출량과 에너지 소비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
  45. 제44항에 있어서,
    상기 에너지 생산 기술은 연료 전지, 태양 에너지, 원자력 전지, 수소 연료, 바이오 연료, 마이크로 가스 터빈 또는 폐에너지 회수에 관련된 기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
  46. 제45항에 있어서,
    상기 에너지 고효율화 기술은, 탄 회수 처리, 하이브리드 추진, 경량화 소재 또는 고효율 에너지 생성 물질에 관련된 기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
  47. 제46항에 있어서,
    상기 에너지 저장 기술은, 1차 전지, 2차 전지, 물질의 상변화에 따른 잠열을 이용한 에너지 저장에 관련된 기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
  48. 제47항에 있어서,
    상기 평가결과 관리모듈이, 상기 저장된 기술녹색도를 기준으로 소정의 연구개발과제를 선별하여 표시하고, 상기 기술녹색도와 상기 기술녹색도의 목표값을 비교하여 상기 목표값에 도달한 연구개발과제를 선별하여 표시하는 제6 단계는,
    상기 평가결과 관리모듈이 상기 저장된 기술녹색도를 상기 평가기관의 기술녹색도 전자평가시스템 관리자 단말기 상의 녹색기술지수 및 경제전력지수의 가중합과 사회생태지수의 직교좌표계 평면에 표시하고, 상기 직교좌표계 평면에 상기 평가기관의 기술녹색도 전자평가시스템 관리자 단말기로부터 설정된 문턱선의 값보다 큰 값을 갖는 연구개발과제를 선별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
  49. 제48항에 있어서,
    상기 평가결과 관리모듈이, 상기 저장된 기술녹색도를 기준으로 소정의 연구개발과제를 선별하여 표시하고, 상기 기술녹색도와 상기 기술녹색도의 목표값을 비교하여 상기 목표값에 도달한 연구개발과제를 선별하여 표시하는 제6 단계는,
    상기 저장된 연구개발과제의 기술녹색도와 상기 기술녹색도의 목표값을 상기 평가기관의 기술녹색도 전자평가시스템 관리자 단말기 상의 기술녹색도와 평가단계의 직교좌표계 평면에 상기 평가단계별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
  50. 제49항에 있어서,
    상기 평가기관의 기술녹색도 전자평가시스템 관리자 단말기를 통해 상기 연구개발과제의 평가를 위하여 소정의 단위기간별로 미리 설정된 각 평가단계는, 사전평가 단계, 중간평가 단계, 사후평가 단계 및 추적평가 단계이고,
    상기 사전평가 단계는 상기 연구개발과제를 선정하기 위한 소정의 기간에 대응되도록 설정된 평가단계이고,
    상기 중간평가 단계는 상기 선정된 연구개발과제의 제품 설계 및 시험 기간에 대응되도록 설정된 평가단계이고,
    상기 사후평가 단계는 상기 연구개발과제의 제품 설계 및 시험 기간의 종료 후 소정의 평가 기간에 대응되도록 설정된 평가단계이고,
    상기 추적평가 단계는 상기 연구개발과제의 제품 생산, 사용 및 폐기 기간에 대응되도록 설정된 평가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
KR1020090037795A 2009-04-29 2009-04-29 군용 에너지 기술 관련 연구개발과제의 평가 시스템 및 그 방법, 그리고 이를 행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 KR1009439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7795A KR100943920B1 (ko) 2009-04-29 2009-04-29 군용 에너지 기술 관련 연구개발과제의 평가 시스템 및 그 방법, 그리고 이를 행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7795A KR100943920B1 (ko) 2009-04-29 2009-04-29 군용 에너지 기술 관련 연구개발과제의 평가 시스템 및 그 방법, 그리고 이를 행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43920B1 true KR100943920B1 (ko) 2010-02-24

Family

ID=420837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37795A KR100943920B1 (ko) 2009-04-29 2009-04-29 군용 에너지 기술 관련 연구개발과제의 평가 시스템 및 그 방법, 그리고 이를 행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43920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60911A (ko) * 2014-11-21 2016-05-31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에너지기술 경쟁력 평가장치 및 그 평가방법
KR20160148296A (ko) 2015-06-16 2016-12-26 (주)파인원커뮤니케이션즈 소셜 앱 제작 플랫폼에서의 개발 기여도 평가 시스템 및 방법
CN111861237A (zh) * 2020-07-27 2020-10-30 中国人民解放军军事科学院评估论证研究中心 一种军力综合评估方法
CN112686561A (zh) * 2021-01-07 2021-04-20 云南电网有限责任公司电力科学研究院 一种氢能源信息的综合管理系统及方法
KR20220086151A (ko) * 2020-12-16 2022-06-23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연구과제 성과활용정보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연구과제 성과활용정보 관리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84240A (ko) * 2001-01-23 2002-11-04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환경 영향 평가 방법과 환경 영향 평가 시스템
KR20040100095A (ko) * 2003-05-21 2004-12-02 (주) 에코프론티어 인터넷을 이용한 가전제품 설계평가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84240A (ko) * 2001-01-23 2002-11-04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환경 영향 평가 방법과 환경 영향 평가 시스템
KR20040100095A (ko) * 2003-05-21 2004-12-02 (주) 에코프론티어 인터넷을 이용한 가전제품 설계평가시스템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60911A (ko) * 2014-11-21 2016-05-31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에너지기술 경쟁력 평가장치 및 그 평가방법
KR101655850B1 (ko) * 2014-11-21 2016-09-08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에너지기술 경쟁력 평가장치 및 그 평가방법
KR20160148296A (ko) 2015-06-16 2016-12-26 (주)파인원커뮤니케이션즈 소셜 앱 제작 플랫폼에서의 개발 기여도 평가 시스템 및 방법
CN111861237A (zh) * 2020-07-27 2020-10-30 中国人民解放军军事科学院评估论证研究中心 一种军力综合评估方法
KR20220086151A (ko) * 2020-12-16 2022-06-23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연구과제 성과활용정보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연구과제 성과활용정보 관리 방법
KR102556149B1 (ko) * 2020-12-16 2023-07-18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연구과제 성과활용정보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연구과제 성과활용정보 관리 방법
CN112686561A (zh) * 2021-01-07 2021-04-20 云南电网有限责任公司电力科学研究院 一种氢能源信息的综合管理系统及方法
CN112686561B (zh) * 2021-01-07 2023-11-14 云南电网有限责任公司电力科学研究院 一种氢能源信息的综合管理系统及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iang et al. Data-driven ecological performance evaluation for remanufacturing process
Wang et al. Distributed energy system for sustainability transition: A comprehensive assessment under uncertainties based on interval multi-criteria decision making method by coupling interval DEMATEL and interval VIKOR
Afgan et al. Sustainability assessment of hydrogen energy systems
Browne et al. Use of multi-criteria decision analysis to explore alternative domestic energy and electricity policy scenarios in an Irish city-region
Xuan et al. Use of hybrid MCDM methods for site location of solar-powered hydrogen production plants in Uzbekistan
Sadeghi et al. Sustainable electricity generation mix for Iran: A fuzzy analytic network process approach
Ebrahimi et al. A five-dimensional approach to sustainability for prioritizing energy production systems using a revised GRA method: A case study
Wu et al. Optimal site selection of straw biomass power plant under 2-dimension uncertain linguistic environment
KR100943920B1 (ko) 군용 에너지 기술 관련 연구개발과제의 평가 시스템 및 그 방법, 그리고 이를 행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
Chang et al. Assessment of hydrogen fuel cell applications using fuzzy multiple-criteria decision making method
Anadon et al. Expert views-and disagreements-about the potential of energy technology R&D
Puertas et al. Renewable energy production capacity and consumption in Europe
Peng et al. A framework for evaluating energy security in China: Empirical analysis of forecasting and assessment based on energy consumption
Bouraima et al. An integrated intelligent decision support framework for the development of photovoltaic solar power
Dagtekin et al. Distributed energy system selection for a commercial building by using Multi Criteria Decision Making methods
Sheikh et al. Use of multiple perspectives and decision modeling for PV technology assessment
Aryanfar et al. Multi-criteria prioritization of the renewable power plants in Australia using the fuzzy logic in decision-making method (FMCDM)
Atadoga et al. Advancing green computing: Practices, strategies, and impact in modern software development for environmental sustainability
Xuefeng et al. Risk identification and influence analysis model for urban energy internet based on knowledge graph improved decision-making trial and evaluation laboratory
CN111832785A (zh) 一种电能替代潜力的预测方法和系统
Zhou et al. How good or how poor have China’s new energy enterprises done: an empirical study based on the lagged double-market network
Pusnik et al. Role of the national energy system modelling in the process of the policy development
Ozispa How ports can improve their sustainability performance: Triple bottom line approach
Appiah et al. Anthropogenic factors impact on Ghana using stochastic impacts by regression on population, affluence and technology and Cobb-Douglas production function
Cui Iot financial management system for energy enterprise management risk and prevention and control strategy under the background of double carb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1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