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42784B1 - 더블형 합지판을 통한 눈높이 조절이 가능한 탁상용 양면 칼렌더 및 그 제작방법 - Google Patents

더블형 합지판을 통한 눈높이 조절이 가능한 탁상용 양면 칼렌더 및 그 제작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42784B1
KR100942784B1 KR1020090106021A KR20090106021A KR100942784B1 KR 100942784 B1 KR100942784 B1 KR 100942784B1 KR 1020090106021 A KR1020090106021 A KR 1020090106021A KR 20090106021 A KR20090106021 A KR 20090106021A KR 100942784 B1 KR100942784 B1 KR 1009427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uble
calendar
plate
folding
sid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060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현
편준규
Original Assignee
(주)명지문화
이현
편준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명지문화, 이현, 편준규 filed Critical (주)명지문화
Priority to KR10200901060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4278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427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42784B1/ko
Priority to JP2010247737A priority patent/JP2011098569A/ja
Priority to PCT/KR2010/007767 priority patent/WO2011056003A2/en
Priority to US12/939,409 priority patent/US8550501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5/00Sheets united without binding to form pads or blocks
    • B42D5/04Calendar blocks
    • B42D5/041Calendar blocks with means for engaging calendar sheet perforations or slo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5/00Sheets united without binding to form pads or blocks
    • B42D5/04Calendar blocks
    • B42D5/042Diaries; Memorandum calend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15/00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42D15/0073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hape or material of the sheets
    • B42D15/0093Sheet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5/00Sheets united without binding to form pads or blocks
    • B42D5/04Calendar blocks
    • B42D5/043Supports for desk-type calendars or diari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23/00Advertising on or in specific articles, e.g. ashtrays, letter-boxes
    • G09F23/10Advertising on or in specific articles, e.g. ashtrays, letter-boxes on paper articles, e.g. booklets, newspa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PINDEXING SCHEME RELATING TO BOOKS, FILING APPLIANCES OR THE LIKE
    • B42P2261/00Manufacturing; Forming

Abstract

본 발명은 기존의 탁상형 양면 칼렌더가 삼각 프레임으로 이루어져 고정되어 있어, 사용자의 취향에 따른 양면칼렌더의 눈 높이 조절이 어렵고, 칼렌더를 세워 놓기 위해 합지판을 여러 조각(3조각, 4조각)으로 분리해서 제작해야 하므로, 제작비용이 많이 들고, 제작시간이 많이 걸리는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직사각형상의 합지 2조각이 서로 1:1로 마주보면서 길이방향을 따라 나란히 연결되어, 칼렌더 속지 및 칼렌더 속지와 결합된 스프링을 체결시켜 지지하고, 양면칼렌더의 앞면판, 바닥판, 눈높이 조절용 지지판을 형성하는 더블형 합지판과;, 더블형 합지판 중 양면칼렌더가 위치하는 앞면 겉표지와, 앞면의 반대방향인 후면 겉표지를 감싸서 표면을 매끄럽게 하고, 접히는 부위에 균열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는 지크로스;가 포함되어 구성됨으로서, 사용자의 취향에 따른 양면칼렌더의 눈높이를 조절할 수 있고, 칼렌더 낱장을 좌우방향으로 넘길 수 있어 양면 광고를 할 수 있으며, 칼렌더 제작 공정을 반자동화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제작 시간 및 생산 단가를 낮출 수 있는 더블형 합지판을 통한 눈높이 조절이 가능한 탁상용 양면 칼렌더 및 그 제작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더블형 합지판, 지크로스, 양면 칼렌더

Description

더블형 합지판을 통한 눈높이 조절이 가능한 탁상용 양면 칼렌더 및 그 제작방법{THE APPARATUS AND METHOD OF PRODUCE TWO FACES CALENDAR WITH DOUBLE TYPE PASTEBOARD}
본 발명은 더블형 합지판을 통한 눈높이 조절이 가능한 탁상용 양면 칼렌더 및 그 제작방법에 관한 것이다.
달력(Calender-이하 '칼렌더'라 함)은 일상생활이나 종교의식 또는 역사적·과학적 목적에 유용하도록 1년 중의 월(月), 일(日), 24절후(節候), 요일, 행사일 등의 사항을 날짜에 따라 적어놓은 것이다.
달력은 크게 벽에 걸어 사용하는 벽걸이용과 테이블 등에 세워진 형태로 사용하는 탁상용으로 나뉘어질 수 있다.
종래 탁상용 달력은 테이블 등에 세워 놓을 수 있는 구조의 프레임과, 일반적으로 각각의 월이 기재된 예컨대 12장으로 구성되는 다수의 달력 낱장 및, 상기 프레임과 달력 낱장을 결합하기 위한 스프링을 구비하여 구성된다.
종래 기술로서, 국내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32525호에서는 앞판과, 뒷판 및 밑판으로 형성되는 삼각형상의 프레임과, 각 월에 대한 날짜정보가 인쇄되어 상기 프레임의 앞판 전면에 배치되는 다수의 달력 낱장, 상기 다수의 달력 낱장이 분리되지 않도록 함과 더불어 좌우로 넘겨지도록 달력 낱장)을 결합하는 결합수단 및, 상기 결합수단에 의해 결합된 상태의 달력 낱장을 상기 프레임의 앞판 전면에 부착하기 위한 부착수단을 구비하여 구성된 탁상용 달력이 제시된 바 있으나,
이는 앞판 1조각, 뒷판 1조각, 밑판 2조각으로 이루어진 합판 4조각으로 제작해야 하므로, 제작 단가가 비싸지고, 칼렌더 표지를 앞에서 뒤로 넘기는 형태로 되어 있어서 단면 광고밖에 안되는 문제점이 있었고, 무엇보다 삼각 프레임으로 이루어져 고정되어 있어, 사용자의 취향에 따른 양면칼렌더의 눈 높이 조절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 다른 종래 기술로서, 국내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17503호에서는 중앙부로부터 좌측에 그 상부에서 하부방향으로 다수의 바인딩 홀을 형성하고, 일 단부는 테두리부에 일체로 연결되는 제 1지지판; 카달로그를 장착하기 위해 상기 제 1지지판의 바인딩 홀에 끼워지는 바인딩 링; 일 단부가 상기 제 1지지판의 타 단부에 일체로 연결되며, 달력을 장착하기 위한 제 2지지판; 상기 제 2지지판의 타 단부에 일체로 연결되며. 중앙부에 절첩가능한 절첩부가 형성된 바닥판으로 구성된 양면 활용이 가능한 탁상용 광고판이 제시된 바 있으나,
이는 앞판 1조각, 뒷판 1조각, 밑판 1조각으로 이루어진 합판 3조각으로 제 작해야 하므로, 제작 단가가 비싸지고, 무엇보다 삼각 프레임으로 이루어져 고정되어 있어, 사용자의 취향에 따른 양면칼렌더의 눈 높이 조절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직사각형상의 합지 2조각에 홈파는 기술을 응용하여 양면칼렌더의 앞면판, 바닥판, 눈높이 조절용 지지판을 형성하여, 사용자의 취향에 따른 양면칼렌더의 눈 높이를 조절할 수 있고, 칼렌더 낱장을 좌우방향으로 넘길 수 있어 양면 광고를 할 수 있으며, 칼렌더 제작 공정을 반자동화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제작 시간 및 생산 단가를 낮출 수 있는 더블형 합지판을 통한 눈높이 조절이 가능한 탁상용 양면 칼렌더 및 그 제작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더블형 합지판을 통한 눈높이 조절이 가능한 탁상용 양면 칼렌더는
세워진 상태에서 중앙에 형성된 스프링(400)을 기준으로 칼렌더 속지(300)를 우에서 좌로 넘기는 탁상용 양면 칼렌더(10)에 있어서,
상기 탁상용 양면 칼렌더(10)는 직사각형상의 합지 2조각이 서로 1:1로 마주보면서 길이방향을 따라 나란히 연결되어, 칼렌더 속지 및 칼렌더 속지와 결합된 스프링을 체결시켜 지지하고, 양면칼렌더의 앞면, 바닥판, 눈높이 조절용 지지판을 형성하는 더블형 합지판(100)과,
더블형 합지판 중 양면칼렌더이 위치하는 앞면 겉표지와, 앞면의 반대방향인 후면 겉표지를 감싸서 표면을 매끄럽게 하고, 접히는 부위에 균열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는 지크로스(200)가 포함되어 구성됨으로서 달성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더블형 합지판을 통한 눈높이 조절이 가능한 탁상용 양면 칼렌더 제작방법은
더블형 합지판 중 제1 합지판에 제1 접힘부와 제2 접힘부를 형성하는 단계(S100)와,
더블형 합지판 중 제2 합지판에 제3 접힘부와 제4 접힘부를 형성하는 단계(S200)와,
제1,2 접힙부가 형성된 제1 합지판과, 제3,4 접힙부가 형성된 제2 합지판이 서로 1:1로 마주보면서 길이방향을 따라 나란히 연결되도록 배치한 후, 제1 합지판과 제2 합지판의 전면 및 후면 전체에 지크로스를 부착하여 더블형 합지판을 완성하는 단계(S300)와,
더블형 합지판의 중앙선 길이방향을 따라 제1 합지판과 제2 합지판을 접은 후, 우측 끝라인을 따라 형성된 타공부를 타공기에 넣어 사각 또는 원형상의 링 삽입홈이 세로방향으로 나란히 형성되는 단계(S400)와,
제1 합지판과 제2 합지판사이의 중앙선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링 삽입홈에 스프링이 장착된 링 제본기를 통해 칼렌더 속지, 스프링을 자동으로 끼우는 단계(S500)와,
스프링이 장착된 링 제본기를 통해 칼렌더속지에 끼워진 스프링 끝단을 커팅 과 동시에 벌어진 스프링을 오므려서 칼렌더속지, 스프링, 더블형 합지판을 결합시켜 양면칼렌더을 완성시키는 단계(S600)와,
더블형 합지판의 제1접힘부와 제3접힘부를 양면칼렌더의 후면방향으로 접어서 바닥판을 형성시키는 단계(S700)와,
더블형 합지판의 제2접힘부와 제4접힘부를 스프링의 후면방향으로 20°~179°의 절곡각도를 이루도록 접어서 눈높이 조절용 지지판을 형성시키는 단계(S800)로 이루어짐으로서 달성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의 취향에 따른 양면칼렌더의 눈 높이를 조절할 수 있고, 칼렌더 낱장을 좌우방향으로 넘길 수 있어 양면 광고를 할 수 있으며, 칼렌더 제작 공정을 반자동화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제작 시간 및 생산 단가를 낮출 수 있는 좋은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첨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더블형 합지판을 통한 눈높이 조절이 가능한 탁상용 양면 칼렌더를 도시한 사시도에 관한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더블형 합지판을 통한 눈높이 조절이 가능한 탁상용 양면 칼렌더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에 관한 것으로, 이는 더블형 합지판(100), 지크로스(200), 칼렌더 속지(300), 스프링(400)으로 구성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더블형 합지판(100)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더블형 합지판(100)은 직사각형상의 합지 2조각이 서로 1:1로 마주보면서 길이방향을 따라 나란히 연결되어, 칼렌더 속지 및 칼렌더 속지와 결합된 스프링을 체결시켜 지지하고, 양면칼렌더의 앞면판, 바닥판, 눈높이 조절용 지지판을 형성하는 것으로, 이는 제1 합지판(110)과 제2 합지판(120)으로 구성된다.
상기 제1 합지판(110)은 직사각형상으로 이루어져 칼렌더속지를 좌측면에서 지지하고, 지크로스를 통해 제2 합지판과 길이방향을 따라 나란히 접착·연결되어, 양면칼렌더의 앞면판, 바닥판, 눈높이 조절용 지지판을 형성하는 것으로, 이는 제1 접힘부(114)를 기준으로 좌측 앞면판(111)와 제1 바닥판(112)으로 나뉘어 구성되고, 제2 접힘부(115)를 기준으로 제1 바닥판(112)과 제1 눈높이 조절용 지지판(113)으로 나뉘어 구성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제1 합지판(110)은 좌측 앞면판(111), 제1 바닥판(112), 제1 눈높이 조절용 지지판(113)으로 구성된다.
상기 좌측 앞면판(111)은 달력 속지의 가로 × 세로 사이즈와 동일한 사이즈로 형성되어, 달력 속지가 우에서 좌로 넘겨질 때, 좌로 넘어온 달력 속지를 좌측 앞면상에서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1 바닥판(112)은 제1 접힘부에 의해 후면방향으로 20°~179°의 절곡각도를 이루며 접혀져서, 제1 합지판의 달력 속지, 스프링을 제1 합지판의 바닥판에서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1 눈높이 조절용 지지판(113)은 제2 접힘부에 의해 스프링방향으로 20°~179°의 절곡각도를 이루며 접혀져서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양면달력의 눈높이를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제1 접힘부(114)는 직사각형상의 본체 후면의 길이방향을 따라 2/4 지점(A)에 가로방향으로 접힘용 제1 파홈(114a)을 형성하여 좌측 앞면판과 제1 바닥판 사이의 경계선을 형성하고, 제1 바닥판이 후면방향으로 20°~179°의 절곡각도를 이루며 접히도록 형성된다.
이때, 접힘용 제1 파홈(114a)은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0.1~0.5mm의 파홈 폭과, 0.1~0.4mm의 파홈 깊이로 반호형상으로 홈이 파져서 형성된다.
여기서, 0.1~0.5mm의 파홈 폭으로 형성되는 이유는 0.5mm 이상으로 파홈 폭이 형성될 때는 지크로스로 연결된 부위의 결합력이 약해져서, 장시간 사용시 쉽게 찢어지고, 균열이 가는 현상이 발생되기 때문에 0.1~0.5mm의 파홈 폭으로 형성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그리고, 0.1~0.4mm의 파홈 깊이로 형성되는 이유는 0.4mm 이상으로 파홈 깊이를 형성하게 되면 좌측 앞면판과 제1 바닥판 사이가 완전히 이격되어 떨어져 버리기 때문에 0.1~0.4mm의 파홈 깊이로 형성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또한, 반호형상의 홈으로 파져서 형성되기 때문에, 접힘 동작으로 인해 접혀진 부위에 닿는 마찰력을 줄일 수가 있어, 장시간 사용하더라도 쉽게 찢어지거나, 균열이 가는 현상을 방지할 수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제2 접힘부(115)는 직사각형상의 본체 후면의 길이방향을 따라 3/4 지점(B)에 가로방향으로 접힘용 제2 파홈(115a)을 형성하여 제1 바닥판과 제1 눈높이 조절용 지지판 사이의 경계선을 형성하고, 제1 눈높이 조절용 지지판이 스프링방향으로 20°~179°의 절곡각도를 이루며 접히도록 형성된다.
이때, 접힘용 제2 파홈(115a)은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0.1~0.5mm의 파홈 폭과, 0.1~0.4mm의 파홈 깊이로 반호형상으로 홈이 파져서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좌측 후면판의 상단 가장자리와, 우측 후면판의 상단 가장자리에 제1 마그네틱부(180b)가 구성되고, 제1 마그네틱부(18b)와 짝을 이루는 제2 마그네틱부(180a)가 제1 눈높이 조절용 지지판(113)의 하단 가장자리와, 제2 눈높이 조절용 지지판이 하단 가장자리에 구성된다.
상기 제2 합지판(120)은 직사각형상으로 이루어져 칼렌더속지를 우측면에서 지지하고, 지크로스를 통해 제1 합지판과 길이방향을 따라 나란히 접착·연결되어, 양면칼렌더의 앞면판, 바닥판, 눈높이 조절용 지지판을 형성하는 것으로, 이는 제3 접힘부(124)를 기준으로 우측 앞면판(121)과 제2 바닥판(122)으로 나뉘어 구성되 고, 제4 접힘부(125)를 기준으로 제2 바닥판(122)과 제2 눈높이 조절용 지지판(123)으로 나뉘어 구성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제2 합지판(120)은 우측 앞면판(121), 제2 바닥판(122), 제2 눈높이 조절용 지지판(123)으로 구성된다.
상기 우측 앞면판(121)은 달력 속지의 가로 × 세로 사이즈와 동일한 사이즈로 형성되어, 달력 속지가 우에서 좌로 넘겨질 때, 우측에 남겨진 달력 속지를 우측 앞면상에서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2 바닥판(122)은 제3 접힘부에 의해 후면방향으로 20°~179°의 절곡각도를 이루며 접혀져서, 제2 합지판의 달력 속지, 스프링을 제2 합지판의 바닥판에서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2 눈높이 조절용 지지판(123)은 제4 접힘부에 의해 스프링방향으로 20°~179°의 절곡각도를 이루며 접혀져서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양면달력의 눈높이를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제3 접힘부(124)는 직사각형상의 본체 후면의 길이방향을 따라 2/4 지점(A)에 가로방향으로 접힘용 제3 파홈(124a)을 형성하여 우측 앞면판과 제2 바닥판 사이의 경계선을 형성하고, 제2 바닥판이 후면방향으로 20°~179°의 절곡각도를 이루며 접히도록 형성된다.
이때, 접힘용 제3 파홈(124a)은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0.1~0.5mm의 파홈 폭과, 0.1~0.4mm의 파홈 깊이로 반호형상으로 홈이 파져서 형성된다.
상기 제4 접힘부(125)는 직사각형상의 본체 후면의 길이방향을 따라 3/4 지점(B)에 가로방향으로 접힘용 제4 파홈(125a)을 형성하여 제2 바닥판과 제2 눈높이 조절용 지지판 사이의 경계선을 형성하고, 제2 눈높이 조절용 지지판이 스프링방향으로 20°~179°의 절곡각도를 이루며 접히도록 형성된다.
이때, 접힘용 제4 파홈(125a)은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0.1~0.5mm의 파홈 폭과, 0.1~0.4mm의 파홈 깊이로 반호형상으로 홈이 파져서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제1 합지판의 좌측 앞면판과 제2 합지판의 우측 앞면판은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지크로스에 의해 서로 1:1로 마주보면서 연결된다.
그리고, 제1 합지판의 제1 바닥판과 제2 합지판의 제2 바닥판은 지크로스에 의해 서로 1:1로 마주보면서 연결되어 양면 칼렌더의 바닥판을 형성한다.
또한, 제1 합지판의 제1 눈높이 조절용 지지판과 제2 합지판의 제2 눈높이 조절용 지지판은 지크로스에 의해 서로 1:1로 마주보면서 연결되어 양면 칼렌더의 눈높이 조절용 지지판을 형성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지크로스(200)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지크로스(200)는 더블형 합지판 중 양면칼렌더가 위치하는 앞면 겉표지와, 앞면의 반대방향인 후면 겉표지를 감싸서 표면을 매끄럽게 하고, 접히는 부위에 균열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으로, 이는 얇은 종이 겉면에 질긴 특성을 갖는 종이가 도포되어 형성된 것으로서, 내수성 인장,인열,파강등에서 뛰어난 특성을 가진다.
본 발명에 따른 지크로스가 더블형 합지판 중 양면칼렌더가 위치하는 앞면 겉표지와, 앞면의 반대방향인 후면 겉표지에 도포될 때 사용하는 접촉제는 초산비닐 단량체(vinyl acetate monomer, VMA) 15 ~ 39.5wt%와, 에틸렌 0.1 ~ 8wt%와, 아크릴 0.1 ~ 8wt%와, 물 60 ~ 75wt%의 혼합으로 조성된다.
상기 초산비닐 단량체의 사용량이 15wt% 미만인 경우에는 접착제의 주성분으로 작용하는 초산비닐 단량체의 사용량이 작아 접착성이 떨어지고, 39.5wt%를 초과하게 되는 경우에는 온도에 따른 점도의 변화가 심하여 안정적인 접착제의 사용이 어렵기 때문에, 상기 초산비닐 단량체는 15 ~ 39.5wt%의 범위 내에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에틸렌 및 아크릴은 초산비닐 단량체와 공중합을 이루어 접착강도를 높이기 위해 사용하는 것으로, 상기 에틸렌 및 아크릴 사용량이 각각 0.1wt% 미만인 경우에는 접착강도 증대 효과를 기대하기 어렵고, 8wt%를 초과하게 되는 경우에는 상대적으로 초산비닐 단량체의 사용량이 줄어들어 오히려 접착성이 떨어질 수 있으므로, 상기 에틸렌 및 아크릴 사용량은 각각 0.1 ~ 8wt%의 범위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물은 접착제를 이루기 위한 용매로 작용하는 것으로서, 물의 사용량이 60wt% 미만인 경우에는 접착제의 점도가 너무 높아 접착제의 사용이 용이하지 않고, 75wt%를 초과하게 되는 경우에는 접착제의 점도가 떨어져 흐름성이 너무 높아 사용이 용이하지 않은 문제가 있으므로, 상기 물은 60 ~ 75wt%의 범위 내에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접착제의 제조는 물 60 ~ 75wt%에 초산비닐 단량체(vinyl acetate monomer, VMA) 15 ~ 39.5wt%와, 에틸렌 0.1 ~ 8wt%와, 아크릴 0.1 ~ 8wt%을 개시제인 과유산 칼륨(Pottasium Persulfate, KPS)과 함께 서서히 투입한 후, 75 ~ 72℃에서 30 ~ 40분동안 숙성시켜 제조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더블형 합지판에 도포되는 접착제는 초산비닐 단량체(vinyl acetate monomer, VMA) 29.5wt%와, 에틸렌 5wt%와, 아크릴 5wt%와, 물 60.5wt%의 혼합으로 조성된 것을 사용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지크로스 이외에도 0.4t~1.5t 두께를 갖는 종이가 사용되어, 더블형 합지판 중 양면칼렌더가 위치하는 앞면 겉표지와, 앞면의 반대방향인 후면 겉표지를 감싸서 표면을 매끄럽게 하고, 접히는 부위에 균열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더블형 합지판을 통한 눈높이 조절이 가능한 탁상용 양면 칼렌더 제작방법에 관해 설명한다.
먼저, 더블형 합지판 중 제1 합지판에 제1 접힘부와 제2 접힘부를 형성한다(S100).
이는 제1 접힘부 형성단계(S110)와, 제2 접힘부 형성단계(S120)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 접힘부 형성단계(S110)는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직사각형상의 본체 후면의 길이방향을 따라 1/4 지점에 홀기계를 통해 가로방향으로 접힘용 제1 파홈을 형성하여 좌측 앞면판와 제1 바닥판 사이의 경계선을 형성하고, 제1 바닥판이 후면방향으로 20°~179°의 절곡각도를 이루며 접히도록 형성된다.
상기 제2 접힘부 형성단계(S120)는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직사각형상의 본체 후면의 길이방향을 따라 3/4 지점에 홀기계를 통해 가로방향으로 접힘용 제2 파홈을 형성하여 제1 바닥판과 제1 눈높이 조절용 지지판 사이의 경계선을 형성하고, 제1 눈높이 조절용 지지판이 스프링방향으로 20°~179°의 절곡각도를 이루며 접히도록 형성된다.
이어서, 더블형 합지판 중 제2 합지판에 제3 접힘부와 제4 접힘부를 형성한다(S200).
이는 제3 접힘부 형성단계(S210)와, 제4 접힘부 형성단계(S220)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3 접힘부 형성단계(S210)는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직사각형상의 본체 후면의 길이방향을 따라 1/4 지점에 가로방향으로 접힘용 제3 파홈을 형성하여 우측 앞면판와 제2 바닥판 사이의 경계선을 형성하고, 제2 바닥판이 후면방향으로 20°~179°의 절곡각도를 이루며 접히도록 형성된다.
상기 제4 접힘부 형성단계(S220)는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직사각형상의 본체 후면의 길이방향을 따라 3/4 지점에 가로방향으로 접힘용 제4 파홈을 형성하여 제2 바닥판과 제2 눈높이 조절용 지지판 사이의 경계선을 형성하고, 제2 눈높이 조절용 지지판이 스프링방향으로 20°~179°의 절곡각도를 이루며 접히도록 형성된다.
이어서,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제1,2 접힙부가 형성된 제1 합지판과, 제3,4 접힙부가 형성된 제2 합지판이 서로 1:1로 마주보면서 길이방향을 따라 나란히 연결되도록 배치한 후, 제1 합지판과 제2 합지판의 전면 및 후면 전체에 지크로스를 부착하여 더블형 합지판을 완성한다(S300).
이때, 제1,2 접힙부가 형성된 제1 합지판과, 제3,4 접힙부가 형성된 제2 합지판에 도포되는 접착제는 초산비닐 단량체(vinyl acetate monomer, VMA) 29.5wt%와, 에틸렌 5wt%와, 아크릴 5wt%와, 물 60.5wt%의 혼합으로 조성된 것을 사용한다.
이어서,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더블형 합지판의 중앙선 길이방향을 따라 제1 합지판과 제2 합지판을 접은 후, 우측 끝라인을 따라 형성된 타공부(150)를 타공기(160)에 넣어 사각 또는 원형상의 링 삽입홈(151)을 세로방향으로 나란히 형성한다(S400).
여기서, 타공기(160)는 사각 또는 원형상의 링 삽입홈(151)을 형성하는 장치이다.
이어서, 도 7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합지판과 제2 합지판사이의 중앙선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링 삽입홈(151)에 스프링이 장착된 링 제본기(170)를 통해 칼렌더 속지, 스프링을 자동으로 끼운다(S500).
여기서, 링 제본기(170)는 스프링(400)이 장착되어 칼렌더 속지를 링 삽입홈에 자동으로 끼우는 장치이다.
이어서, 도 8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스프링이 장착된 링 제본기를 통해 칼렌더속지에 끼워진 스프링 끝단을 커팅과 동시에 벌어진 스프링을 오므려서 칼렌더속지, 스프링, 더블형 합지판을 결합시켜 양면칼렌더를 완성시킨다(S600).
여기서, 스프링 끝단은 커팅기를 통해 커팅된다.
이어서, 도 9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더블형 합지판의 제1접힘부와 제3접힘부를 양면칼렌더의 후면방향으로 접어서 바닥판을 형성시킨다(S700).
끝으로, 도 10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더블형 합지판의 제2접힘부와 제4접힘부를 스프링의 후면방향으로 20°~179°의 절곡각도를 이루도록 접어서 눈높이 조절용 지지판을 형성시킨다(S800).
이로 인해, 사용자의 취향에 따른 양면칼렌더의 눈 높이를 조절할 수 있고, 칼렌더 낱장을 좌우방향으로 넘길 수 있어 양면 광고를 할 수 있는 더블형 합지판 을 통한 눈높이 조절이 가능한 탁상용 양면 칼렌더를 제작할 수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더블형 합지판을 통한 눈높이 조절이 가능한 탁상용 양면 칼렌더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더블형 합지판을 통한 눈높이 조절이 가능한 탁상용 양면 칼렌더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서 접힘용 제1 파홈(114a)이 형성된 제1 접힘부(114)과, 접힘용 제2 파홈(115a)을 형성된 제2 접힘부(115)로 이루어진 제1 합지판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서 접힘용 제3 파홈(124a)이 형성된 제3 접힘부(124)와, 접힘용 제4 파홈(125a)이 형성된 제4 접힘부(125)로 이루어진 제2 합지판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제1 합지판의 좌측 앞면판과 제2 합지판의 우측 앞면판이 지크로스에 의해 서로 1:1로 마주보면서 연결되는 것을 도시한 일실시예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더블형 합지판의 중앙선 길이방향을 따라 제1 합지판과 제2 합지판을 접은 후, 우측 끝라인을 따라 형성된 타공부(150)를 타공기(160)에 넣어 사각 또는 원형상의 링 삽입홈(151)을 세로방향으로 나란히 형성하는 과정을 시한 일실시예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제1 합지판과 제2 합지판사이의 중앙선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링 삽입홈(151)에 스프링이 장착된 링 제본기(170)를 통해 칼렌더 속지, 스프링을 자동으로 끼우는 과정을 도시한 일실시예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스프링이 장착된 링 제본기를 통해 칼렌더속지에 끼워진 스프링 끝단을 커팅과 동시에 벌어진 스프링을 오므려서 칼렌더속지, 스프링, 더블형 합지판을 결합시켜 양면칼렌더를 완성시키는 과정을 도시한 일실시예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더블형 합지판의 제1접힘부와 제3접힘부를 양면칼렌더의 후면방향으로 접어서 바닥판을 형성시키는 과정을 도시한 일실시예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더블형 합지판의 제2접힘부와 제4접힘부를 스프링의 후면방향으로 20°~179°의 절곡각도를 이루도록 접어서 눈높이 조절용 지지판을 형성시키는 과정을 도시한 일실시예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더블형 합지판을 통한 눈높이 조절이 가능한 탁상용 양면 칼렌더 제작방법을 도시한 순서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더블형 합지판을 통한 눈높이 조절이 가능한 탁상용 양면 칼렌더 제작방법 중 제1 합지판에 제1 접힘부와 제2 접힘부를 형성하는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더블형 합지판을 통한 눈높이 조절이 가능한 탁상용 양면 칼렌더 제작방법 중 제2 합지판에 제3 접힘부와 제4 접힘부를 형성하는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
※ 도면 부호의 간단한 설명 ※
100 : 더블형 합지판 110 : 제1 합지판
111 : 좌측 앞면판 112 : 제1 바닥판
113 : 제1 눈높이 조절용 지지판 120 : 제2 합지판
121 : 우측 앞면판 122 : 제2 바닥판
123 : 제2 눈높이 조절용 지지판 200 : 지크로스
300 : 칼렌더 속지 400 : 스프링

Claims (7)

  1. 세워진 상태에서 중앙에 형성된 스프링(400)을 기준으로 칼렌더 속지(300)를 우에서 좌로 넘기는 탁상용 양면 칼렌더(10)에 있어서,
    상기 탁상용 양면 칼렌더(10)는 직사각형상의 합지 2조각이 서로 1:1로 마주보면서 길이방향을 따라 나란히 연결되어, 칼렌더 속지 및 칼렌더 속지와 결합된 스프링을 체결시켜 지지하고, 양면칼렌더의 앞면, 바닥판, 눈높이 조절용 지지판을 형성하는 더블형 합지판(100)과,
    더블형 합지판 중 양면칼렌더이 위치하는 앞면 겉표지와, 앞면의 반대방향인 후면 겉표지를 감싸서 표면을 매끄럽게 하고, 접히는 부위에 균열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는 지크로스(200)가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블형 합지판을 통한 눈높이 조절이 가능한 탁상용 양면 칼렌더.
  2. 제1항에 있어서, 더블형 합지판(100)은
    직사각형상으로 이루어져 칼렌더속지를 좌측면에서 지지하고, 지크로스를 통해 제2 합지판과 길이방향을 따라 나란히 접착·연결되어, 양면칼렌더의 앞면, 바닥판, 눈높이 조절용 지지판을 형성하는 제1 합지판(110)과,
    직사각형상으로 이루어져 칼렌더속지를 우측면에서 지지하고, 지크로스를 통해 제1 합지판과 길이방향을 따라 나란히 접착·연결되어, 양면칼렌더의 앞면, 바 닥판, 눈높이 조절용 지지판을 형성하는 제2 합지판(120)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블형 합지판을 통한 눈높이 조절이 가능한 탁상용 양면 칼렌더.
  3. 제2항에 있어서, 제1 합지판(110)은
    직사각형상의 본체 후면의 길이방향을 따라 2/4 지점(A)에 가로방향으로 접힘용 제1 파홈을 형성하여 좌측 앞면판와 제1 바닥판 사이의 경계선을 형성하고, 제1 바닥판이 후면방향으로 20°~179°의 절곡각도를 이루며 접히도록 안내하는 제1 접힘 부(114)와,
    직사각형상의 본체 후면의 길이방향을 따라 3/4 지점(B)에 가로방향으로 접힘용 제2 파홈을 형성하여 제1 바닥판과 제1 눈높이 조절용 지지판 사이의 경계선을 형성하고, 제1 눈높이 조절용 지지판이 스프링방향으로 20°~179°의 절곡각도를 이루며 접히도록 안내하는 제2 접힘부(115)가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블형 합지판을 통한 눈높이 조절이 가능한 탁상용 양면 칼렌더.
  4. 제2항에 있어서, 제2 합지판(120)은
    직사각형상의 본체 후면의 길이방향을 따라 2/4 지점(A)에 가로방향으로 접힘용 제3 파홈을 형성하여 우측 앞면판와 제2 바닥판 사이의 경계선을 형성하고, 제2 바닥판이 후면방향으로 20°~179°의 절곡각도(θ)를 이루며 접히도록 안내하 는 제3 접힘 부(124)와,
    직사각형상의 본체 후면의 길이방향을 따라 3/4 지점(B)에 가로방향으로 접힘용 제4 파홈을 형성하여 제2 바닥판과 제2 눈높이 조절용 지지판 사이의 경계선을 형성하고, 제2 눈높이 조절용 지지판이 스프링방향으로 20°~179°의 절곡각도(θ)를 이루며 접히도록 안내하는 제4 접힘부(125)가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블형 합지판을 통한 눈높이 조절이 가능한 탁상용 양면 칼렌더.
  5. 더블형 합지판 중 제1 합지판에 제1 접힘부와 제2 접힘부를 형성하는 단계(S100)와,
    더블형 합지판 중 제2 합지판에 제3 접힘부와 제4 접힘부를 형성하는 단계(S200)와,
    제1,2 접힙부가 형성된 제1 합지판과, 제3,4 접힙부가 형성된 제2 합지판이 서로 1:1로 마주보면서 길이방향을 따라 나란히 연결되도록 배치한 후, 제1 합지판과 제2 합지판의 전면 및 후면 전체에 지크로스를 부착하여 더블형 합지판을 완성하는 단계(S300)와,
    더블형 합지판의 중앙선 길이방향을 따라 제1 합지판과 제2 합지판을 접은 후, 우측 끝라인을 따라 형성된 타공부를 타공기에 넣어 사각 또는 원형상의 링 삽입홈이 세로방향으로 나란히 형성되는 단계(S400)와,
    제1 합지판과 제2 합지판사이의 중앙선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링 삽입홈에 스프링이 장착된 링 제본기를 통해 칼렌더 속지, 스프링을 자동으로 끼우는 단계(S500)와,
    스프링이 장착된 링 제본기를 통해 칼렌더속지에 끼워진 스프링 끝단을 커팅과 동시에 벌어진 스프링을 오므려서 칼렌더속지, 스프링, 더블형 합지판을 결합시켜 양면칼렌더을 완성시키는 단계(S600)와,
    더블형 합지판의 제1접힘부와 제3접힘부를 양면칼렌더의 후면방향으로 접어서 바닥판을 형성시키는 단계(S700)와,
    더블형 합지판의 제2접힘부와 제4접힘부를 스프링의 후면방향으로 20°~179°의 절곡각도를 이루도록 접어서 눈높이 조절용 지지판을 형성시키는 단계(S80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블형 합지판을 통한 눈높이 조절이 가능한 탁상용 양면 칼렌더 제작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제1 합지판에 제1 접힘부와 제2 접힘부를 형성하는 단계(S100)는
    직사각형상의 본체 후면의 길이방향을 따라 1/4 지점에 가로방향으로 접힘용 제1 파홈을 형성하여 좌측 앞면판와 제1 바닥판 사이의 경계선을 형성하고, 제1 바닥판이 후면방향으로 20°~179°의 절곡각도(θ)를 이루며 접히도록 형성하는 제1 접힘 부 형성단계(S110)와,
    직사각형상의 본체 후면의 길이방향을 따라 3/4 지점에 가로방향으로 접힘용 제2 파홈을 형성하여 제1 바닥판과 제1 눈높이 조절용 지지판 사이의 경계선을 형성하고, 제1 눈높이 조절용 지지판이 스프링방향으로 20°~179°의 절곡각도(θ)를 이루며 접히도록 형성하는 제2 접힘부 형성단계(S12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블형 합지판을 통한 눈높이 조절이 가능한 탁상용 양면 칼렌더 제작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제2 합지판에 제3 접힘부와 제4 접힘부를 형성하는 단계(S200)는
    직사각형상의 본체 후면의 길이방향을 따라 1/4 지점에 가로방향으로 접힘용 제3 파홈을 형성하여 우측 앞면판와 제2 바닥판 사이의 경계선을 형성하고, 제2 바닥판이 후면방향으로 20°~179°의 절곡각도를 이루며 접히도록 형성하는 제3 접힘 부 형성단계(S210)와,
    직사각형상의 본체 후면의 길이방향을 따라 3/4 지점에 가로방향으로 접힘용 제4 파홈을 형성하여 제2 바닥판과 제2 눈높이 조절용 지지판 사이의 경계선을 형성하고, 제2 눈높이 조절용 지지판이 스프링방향으로 20°~179°의 절곡각도를 이루며 접히도록 형성하는 제4 접힘부 형성단계(S220)가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블형 합지판을 통한 눈높이 조절이 가능한 탁상용 양면 칼렌더 제작방법.
KR1020090106021A 2009-11-04 2009-11-04 더블형 합지판을 통한 눈높이 조절이 가능한 탁상용 양면 칼렌더 및 그 제작방법 KR1009427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6021A KR100942784B1 (ko) 2009-11-04 2009-11-04 더블형 합지판을 통한 눈높이 조절이 가능한 탁상용 양면 칼렌더 및 그 제작방법
JP2010247737A JP2011098569A (ja) 2009-11-04 2010-11-04 卓上カレンダー及びその製作方法
PCT/KR2010/007767 WO2011056003A2 (en) 2009-11-04 2010-11-04 Wire-bound produc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US12/939,409 US8550501B2 (en) 2009-11-04 2010-11-04 Wire-bound produc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6021A KR100942784B1 (ko) 2009-11-04 2009-11-04 더블형 합지판을 통한 눈높이 조절이 가능한 탁상용 양면 칼렌더 및 그 제작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42784B1 true KR100942784B1 (ko) 2010-02-18

Family

ID=420834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06021A KR100942784B1 (ko) 2009-11-04 2009-11-04 더블형 합지판을 통한 눈높이 조절이 가능한 탁상용 양면 칼렌더 및 그 제작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8550501B2 (ko)
JP (1) JP2011098569A (ko)
KR (1) KR100942784B1 (ko)
WO (1) WO2011056003A2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0414Y1 (ko) 2012-04-17 2013-12-12 박선호 탁상용 카렌다
KR101550840B1 (ko) * 2013-10-21 2015-09-08 강신호 탁상 달력 및 그 제조방법
WO2017078397A1 (ko) * 2015-11-03 2017-05-11 장철영 휴대용 탁상 달력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985633B2 (en) * 2012-07-10 2015-03-24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Foldable pop-up article
US9346309B2 (en) * 2013-08-23 2016-05-24 ACCO Brands Corporation Component with display stand
CN111616561B (zh) * 2020-06-29 2023-10-24 北京大学 一种展陈支架及其制作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139048U (ko) 1975-04-28 1976-11-09
JPS54121059U (ko) 1978-02-10 1979-08-24
JP2004058478A (ja) 2002-07-30 2004-02-26 Ogura Bijutsu Insatsu Kk 卓上カレンダー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258273A (en) * 1940-04-18 1941-10-07 Barrett Bindery Co Portable display device
JPS543781Y2 (ko) * 1972-07-18 1979-02-21
US4711469A (en) * 1986-07-11 1987-12-08 Bogar Gerald D Bookcover and binding method
US5062229A (en) * 1990-01-12 1991-11-05 Christina Werjefelt Postcard calendar
JP2001030675A (ja) * 1999-07-21 2001-02-06 Sakura Color Prod Corp 絵画等の掲示部材
US7416221B2 (en) * 2003-09-12 2008-08-26 Kruchko Steven N Multiple fold product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JP4271007B2 (ja) * 2003-10-28 2009-06-03 大日本印刷株式会社 卓上カレンダー
KR200391114Y1 (ko) * 2005-04-22 2005-08-01 조석율 양력 및 음력 날짜가 구분된 달력.
KR200432524Y1 (ko) * 2006-09-07 2006-12-05 (재)아침편지 문화재단 탁상용 달력
EP2195174A4 (en) * 2007-07-12 2011-10-05 Jeong-Woo Park MULTI-PURPOSE COVER SUPPORT
US20100150682A1 (en) * 2008-12-11 2010-06-17 Klassen Walter D Forming, insertion and end crimping of helical coils for bookbinding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139048U (ko) 1975-04-28 1976-11-09
JPS54121059U (ko) 1978-02-10 1979-08-24
JP2004058478A (ja) 2002-07-30 2004-02-26 Ogura Bijutsu Insatsu Kk 卓上カレンダー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0414Y1 (ko) 2012-04-17 2013-12-12 박선호 탁상용 카렌다
KR101550840B1 (ko) * 2013-10-21 2015-09-08 강신호 탁상 달력 및 그 제조방법
WO2017078397A1 (ko) * 2015-11-03 2017-05-11 장철영 휴대용 탁상 달력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10101668A1 (en) 2011-05-05
US8550501B2 (en) 2013-10-08
JP2011098569A (ja) 2011-05-19
WO2011056003A3 (en) 2011-09-29
WO2011056003A2 (en) 2011-05-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42784B1 (ko) 더블형 합지판을 통한 눈높이 조절이 가능한 탁상용 양면 칼렌더 및 그 제작방법
EP3170677B1 (en) Book manufacturing method
NZ598736A (en) A binding method
CN202684885U (zh) 智能卡生产用倾斜式装订工作台
KR101550840B1 (ko) 탁상 달력 및 그 제조방법
JP3155073U (ja) 壁掛兼用卓上カレンダー
KR20120002363U (ko) 탁상용 캘린더 받침대
CN205220193U (zh) 装饰画
CN215532954U (zh) 一种板材皮料包覆结构及书桌
CN2189056Y (zh) 一种适用于相册的活页结构
CN214240130U (zh) 一种具有纹路结构的粘贴式相册内页
CN212608411U (zh) 一种带胶膜加工流水线的薄膜切边装置
CN208714731U (zh) 一种手撕记事本
KR200395712Y1 (ko) 앨범
JP3130922U (ja) 卓上カレンダー
KR200284499Y1 (ko) 벽걸이용 달력겸용 스테인레스 거울
CN210654205U (zh) 一种多功能桌面收纳盒
US2965992A (en) Display mount
KR100309563B1 (ko) 앨범의 제조방법
KR102186323B1 (ko) 광고 기능을 극대화한 절취노트
KR101815002B1 (ko) 달력
KR20110005862U (ko) 팝업 탁상달력
EP1717057A3 (de) Collegeblock
WO2008155763A1 (en) Loose leaf pages suitable for binding
KR200374355Y1 (ko) 탁상용 달력 겸용 일력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31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