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42612B1 - Atsc―mh 방송신호 재구성 방법 및 재구성 모듈과, atsc―mh 방송수신기, 그리고, 저장매체 - Google Patents

Atsc―mh 방송신호 재구성 방법 및 재구성 모듈과, atsc―mh 방송수신기, 그리고, 저장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42612B1
KR100942612B1 KR1020090052797A KR20090052797A KR100942612B1 KR 100942612 B1 KR100942612 B1 KR 100942612B1 KR 1020090052797 A KR1020090052797 A KR 1020090052797A KR 20090052797 A KR20090052797 A KR 20090052797A KR 100942612 B1 KR100942612 B1 KR 1009426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atsc
mhe
convolutional
packe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527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정근
홍석진
Original Assignee
(주)디티브이인터랙티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디티브이인터랙티브 filed Critical (주)디티브이인터랙티브
Priority to KR10200900527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42612B1/ko
Priority to MX2011013479A priority patent/MX2011013479A/es
Priority to CA2765267A priority patent/CA2765267A1/en
Priority to PCT/KR2009/003747 priority patent/WO2010147255A1/en
Priority to US12/531,658 priority patent/US8351416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426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426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015High-definition television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86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broadcast information itself
    • H04H20/95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broadcast information itself characterised by a specific format, e.g. an encoded audio stream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MCODING; DECODING; CODE CONVERSION IN GENERAL
    • H03M13/00Coding, decoding or code conversion, for error detection or error correction; Coding theory basic assumptions; Coding bounds; Error probability evaluation methods; Channel models; Simulation or testing of codes
    • H03M13/03Error detection or forward error correction by redundancy in data representation, i.e. code words containing more digits than the source words
    • H03M13/05Error detection or forward error correction by redundancy in data representation, i.e. code words containing more digits than the source words using block codes, i.e. a predetermined number of check bits joined to a predetermined number of information bits
    • H03M13/13Linear codes
    • H03M13/15Cyclic codes, i.e. cyclic shifts of codewords produce other codewords, e.g. codes defined by a generator polynomial, Bose-Chaudhuri-Hocquenghem [BCH] codes
    • H03M13/151Cyclic codes, i.e. cyclic shifts of codewords produce other codewords, e.g. codes defined by a generator polynomial, Bose-Chaudhuri-Hocquenghem [BCH] codes using error location or error correction polynomials
    • H03M13/1515Reed-Solomon code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MCODING; DECODING; CODE CONVERSION IN GENERAL
    • H03M13/00Coding, decoding or code conversion, for error detection or error correction; Coding theory basic assumptions; Coding bounds; Error probability evaluation methods; Channel models; Simulation or testing of codes
    • H03M13/25Error detection or forward error correction by signal space coding, i.e. adding redundancy in the signal constellation, e.g. Trellis Coded Modulation [TCM]
    • H03M13/253Error detection or forward error correction by signal space coding, i.e. adding redundancy in the signal constellation, e.g. Trellis Coded Modulation [TCM] with concatenated code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MCODING; DECODING; CODE CONVERSION IN GENERAL
    • H03M13/00Coding, decoding or code conversion, for error detection or error correction; Coding theory basic assumptions; Coding bounds; Error probability evaluation methods; Channel models; Simulation or testing of codes
    • H03M13/25Error detection or forward error correction by signal space coding, i.e. adding redundancy in the signal constellation, e.g. Trellis Coded Modulation [TCM]
    • H03M13/256Error detection or forward error correction by signal space coding, i.e. adding redundancy in the signal constellation, e.g. Trellis Coded Modulation [TCM] with trellis coding, e.g. with convolutional codes and TCM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MCODING; DECODING; CODE CONVERSION IN GENERAL
    • H03M13/00Coding, decoding or code conversion, for error detection or error correction; Coding theory basic assumptions; Coding bounds; Error probability evaluation methods; Channel models; Simulation or testing of codes
    • H03M13/27Coding, decoding or code conversion, for error detection or error correction; Coding theory basic assumptions; Coding bounds; Error probability evaluation methods; Channel models; Simulation or testing of codes using interleaving techniques
    • H03M13/2703Coding, decoding or code conversion, for error detection or error correction; Coding theory basic assumptions; Coding bounds; Error probability evaluation methods; Channel models; Simulation or testing of codes using interleaving techniques the interleaver involving at least two direc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MCODING; DECODING; CODE CONVERSION IN GENERAL
    • H03M13/00Coding, decoding or code conversion, for error detection or error correction; Coding theory basic assumptions; Coding bounds; Error probability evaluation methods; Channel models; Simulation or testing of codes
    • H03M13/29Coding, decoding or code conversion, for error detection or error correction; Coding theory basic assumptions; Coding bounds; Error probability evaluation methods; Channel models; Simulation or testing of codes combining two or more codes or code structures, e.g. product codes, generalised product codes, concatenated codes, inner and outer codes
    • H03M13/2933Coding, decoding or code conversion, for error detection or error correction; Coding theory basic assumptions; Coding bounds; Error probability evaluation methods; Channel models; Simulation or testing of codes combining two or more codes or code structures, e.g. product codes, generalised product codes, concatenated codes, inner and outer codes using a block and a convolutional code
    • H03M13/2936Coding, decoding or code conversion, for error detection or error correction; Coding theory basic assumptions; Coding bounds; Error probability evaluation methods; Channel models; Simulation or testing of codes combining two or more codes or code structures, e.g. product codes, generalised product codes, concatenated codes, inner and outer codes using a block and a convolutional code comprising an outer Reed-Solomon code and an inner convolutional code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MCODING; DECODING; CODE CONVERSION IN GENERAL
    • H03M13/00Coding, decoding or code conversion, for error detection or error correction; Coding theory basic assumptions; Coding bounds; Error probability evaluation methods; Channel models; Simulation or testing of codes
    • H03M13/37Decoding methods or techniques, not specific to the particular type of coding provided for in groups H03M13/03 - H03M13/35
    • H03M13/3776Decoding methods or techniques, not specific to the particular type of coding provided for in groups H03M13/03 - H03M13/35 using a re-encoding step during the decoding proces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MCODING; DECODING; CODE CONVERSION IN GENERAL
    • H03M13/00Coding, decoding or code conversion, for error detection or error correction; Coding theory basic assumptions; Coding bounds; Error probability evaluation methods; Channel models; Simulation or testing of codes
    • H03M13/65Purpose and implementation aspects
    • H03M13/6522Intended application, e.g. transmission or communication standard
    • H03M13/6538ATSC VBS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65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ransmission systems for broadcast
    • H04H20/71Wireless systems
    • H04H20/72Wireless systems of terrestrial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robability & Statistics with Application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Multimedia (AREA)
  • Algebra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ure & Applied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Time-Division Multiplex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ATSC-MH 방송신호 재구성 방법 및 재구성 모듈과, ATSC-MH 방송수신기, 그리고, 저장매체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ATSC-MH 방송수신기는, ATSC-MH RF 신호를 수신하여 MHE 패킷을 포함한 메인스트림 데이터를 출력하는 메인 스트림 데이터 생성모듈과; 상기 메인스트림 데이터 생성모듈로부터 생성된 메인스트림 데이터에서 MHE 패킷을 추출하여 ATSC-MH 길쌈 부호화된 그룹포맷 데이터(Interleaverd MPH Group Fomat Data)를 재구성하는 ATSC-MH 방송신호 재구성모듈과; 상기 ATSC-MH 방송신호 재구성모듈에서 재구성된 ATSC-MH 길쌈 부호화된 그룹포맷 데이터로부터 모바일 스트림 데이터를 출력하는 모바일 스트림 생성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TSC-MH, 시그널링, MHE, 그룹포맷, 재구성

Description

ATSC―MH 방송신호 재구성 방법 및 재구성 모듈과, ATSC―MH 방송수신기, 그리고, 저장매체{A Re-Generating Method & Module for ATSC-MH Broadcasting Signal, A ATSC-MH Broadcast Receiver, And A Storage Medium}
본 발명은 ATSC-MH(Advanced Television System Committee-Mobile Handheld) 방송신호 재구성에 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ATSC-MH 방송신호를 수신한 ATSC 수신부의 메인 스트림 데이터로부터 ATSC-MH의 길쌈 부호화된 그룹포맷 데이터(Interleaverd MPH Group Fomat Data)를 재구성하는 ATSC-MH 방송신호 재구성 방법 및 재구성 모듈과, ATSC-MH 방송수신기, 그리고, 저장매체에 대한 것이다.
도 1a는 종래 ATSC-MH(Advanced Television System Committee-Mobile Handheld) 방송수신시스템의 구성을 예시한 개요도이고, 도 1b는 종래 ATSC 방송시스템의 구성을 예시한 개요도이다.
도 1a에 도시된 종래 ATSC-MH 방송수신시스템은, 튜너(11), 복조기(12), 이퀄라이저(13), 기지 데이터 검출부(14), 블록복호기(15)와, 메인데이터 처리부(30) 및 모바일 데이터 처리부(20)를 포함한다.
튜너(11)는 RF 신호를 튜닝하여 중간주파수신호로 다운 컨버전한 후 복조기(12)로 출력하며, 복조기(12)는 입력되는 IF 신호에 대해 자동이득제어, 반송파 복구 및 타이밍 복구 등을 수행하여 기저대역 신호로 전환한 후 이퀄라이저(13)와 기지데이터 검출부(14)로 출력하며, 이퀄라이저(13)는 복조된 신호에 포함된 채널상의 왜곡을 보상한 후 블록복호기(15)로 출력한다.
한편, 블록 복호기(15)는 입력되는 데이터가 트렐리스 부호화만 수행된 메인서비스 데이터인 경우에는 트렐리스 복호화를 수행하고 메인 데이터 처리부(30)로 입력한다.
상기 블록 복호기(15)는 입력되는 데이터가 송신시스템에서 추가적인 부호화 및 트렐리스 부호화가 수행된 모바일 데이터이면 송신시스템에서 수행된 과정을 역으로 수행하여 트렐리스 복호 및 추가적 복호화를 수행한 후 모바일 데이터 처리부(20)로 입력한다.
상기 블록 복호기(15)에서 출력되는 모바일 데이터는 송신시스템의 ATSC-MH 그룹포맷 데이터(Interleaverd MPH Group Fomat Data)와 동일한 데이터 구조를 가지며, 모바일 데이터 처리부의 데이터 디포맷터(21), RS 프레임 복호기(22) 및 디랜더마이저(23)를 통과하여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로 발생된다.
한편, 블록 복호기(15)를 통과한 메인서비스 데이터는 종래의 ATSC(Advanced Television System Committee) 방송수신기와 동일한 구성의 길쌈 복호기(31), RS 디코더(32) 및 데이터 디랜더마이저(33)를 통과하여 메인 서비스 데이터로 발생된다.
한편, 도 1b에 도시된 종래의 ATSC 방송시스템의 경우는 ATSC 방송수신기에 블록복호기의 구성과 모바일 데이터 처리부가 없고, 트렐리스 복호기(51), 길쌈 복호기(52), RS 디코더(53) 및 데이터 디랜더마이저(55)를 구비하며, ATSC-MH 방송신호를 수신하여 종래 ATSC 방송신호와 차별성 없이 메인 서비스 데이터로 발생시키는 것이 가능하며, 각각 송신단(60)의 트렐리스 부호기(61), 길쌈 부호기(62), RS 인코더(63) 및 데이터 랜더마이저(65)의 입력 데이터와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
그러나, 종래의 ATSC 방송수신기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어 왔다.
종래 ATSC 방송수신기(50)는 ATSC 방송신호뿐 아니라 ATSC-MH 방송신호를 수신하여 ATSC 메인 서비스 데이터를 결과 데이터로 발생시키며, 메인 서비스 데이터에는 모바일 데이터가 포함된다. 즉 모바일 데이터는 ATSC 데이터와 함께 종래 ATSC 수신부의 전체 과정(즉, 상기 트렐리스 복호기(51), 데이터 길쌈복호기(52), RS 디코더(53), 디랜더마이저(55)를 포함한 ATSC 수신부의 전체과정)을 거쳐서 상기 디랜더마이저(55) 결과데이터인 188-Byte 패킷데이터로 전환되어 메인 서비스 데이터에 포함되어 있게 된다.
하지만, 기존의 ATSC 방송수신기(50)의 ATSC 수신부는 원칩의 반도체 칩의 형태로 제작되어 이미 널리 보급이 된 상태이며, 이러한 원칩 형태의 수신부 구성에 의하는 종래 ATSC 방송수신기(50)는 결과데이터 이전단계(즉, 디랜더마이저(55) 이전단계)의 신호분리가 어렵다.
따라서, 기존의 ATSC 방송수신기(50)에 ATSC-MH 모바일 수신부(20)(도 1a 참조)를 부가한다고 하더라도 ATSC 방송수신부의 결과데이터 이전단계(즉, 데이터 디랜더마이저(55) 이전단계) 신호 분리가 곤란하므로 적절한 형태의 모바일 데이터를 추출할 수 없어 ATSC-MH 모바일 방송수신이 곤란하고, ATSC-MH 모바일 방송을 수신하기 위해서는 방송수신기를 별도로 구입해야 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ATSC-MH(Advanced Television System Committee-Mobile Handheld) RF 방송신호를 수신한 ATSC 방송 수신부에서 발생되는 메인스트림 데이터로부터 ATSC-MH의 길쌈 부호화된 그룹포맷 데이터(Interleaverd MPH Group Fomat Data)를 재구성하는 것이 가능한 ATSC-MH 방송신호 재구성 방법과 재구성 모듈 및 저장매체를 구현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ATSC-MH RF 신호를 수신한 ATSC 방송 수신부에서 발생되는 메인스트림 데이터로부터 ATSC-MH의 길쌈 부호화된 그룹포맷 데이터(Interleaverd MPH Group Fomat Data)를 재구성하는 것에 의하여 ATSC-MH 메인서비스 및 모바일 서비스 방송수신이 가능한 ATSC-MH 방송수신기를 구현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ATSC-MH 방송수신기는, ATSC-MH RF 신호를 수신하여, 기존 ATSC 전송시스템(legacy ATSC transmission system)에 대응하는 기존 ATSC 수신기의 튜너, 디모듈레이터, 이퀄라이저, 트렐리스복호기, 길쌈복호기, RS 디코더, 디랜더마이저를 순차 통과시키고 MHE 패킷을 포함한 메인스트림 데이터를 출력하는 메인스트림 생성모듈과; 상기 디랜더마이저에서 발생되는 메인스트림 데이터에서 연속하는 118개의 PID 동일 슬롯 데이터를 118개의 MHE 패킷으로 하여 추출하고, 각 회차 추출된 118개의 MHE 패킷으로부터 ATSC-MH 길쌈 부호화된 그룹포맷 데이터(Interleaverd MPH Group Fomat Data)를 재구성하는 ATSC-MH 방송신호 재구성모듈과; 상기 ATSC-MH 방송신호 재구성모듈에서 재구성된 상기 ATSC-MH 길쌈 부호화된 그룹포맷 데이터로부터 모바일 스트림 데이터를 출력하는 모바일 스트림 생성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ATSC-MH 방송신호재구성모듈은, 기존 ATSC 전송시스템(legacy ATSC transmission system)에 대응하는 기존 ATSC 수신기(legacy ATSC receiver)에서 ATSC-MH 방송신호를 수신하여 트렐리스복호기, 길쌈복호기, RS 디코더, 디랜더마이저를 순차 통과시켜 생성한 MHE 패킷이 포함된 메인스트림 데이터로부터 ATSC-MH 길쌈 부호화된 그룹포맷 데이터(Interleaverd MPH Group Fomat Data)를 재구성하는 ATSC-MH 방송신호 재구성모듈로, 상기 메인스트림 데이터에서 연속하는 118개의 PID 동일 슬롯데이터를 118 개의 MHE 패킷으로 하여 수집하는 MHE 패킷 수집수단과; 상기 MHE 패킷 수집수단이 수집한 118개의 MHE 패킷에 대해 1 바이트 동기 바이트를 제거하고 랜덤화하는 개조-랜덤화기와; 상기 개조-랜덤화기를 통과한 118개의 MHE 패킷에 20-Byte 패러티 바이트를 추가 RS 인코딩을 수행하는 RS 인코더와; 상기 RS 인코더에 의해 인코딩된 118개의 MHE 패킷에 대하여 길쌈부호화 하는 개조-길쌈부호화기와; 상기 개조-길쌈부호화기의 출력 버퍼에서 시그널링 데이터를 추출하는 시그널링 데이터 추출수단과;상기 시그널링 데이터 추출수단이 추출한 시그널링 데이터에 대한 유효성 여부에 따라 상기 118개의 MHE 패킷의 채택 여부를 판별하고, 그 시그널링 데이터의 유효성이 인정되는 경우 상기 개조-길쌈부호화기의 출력을 유효한 118개의 MHE 패킷으로 재구성된 ATSC-MH 길쌈 부호화된 그룹포맷 데이터(Interleaverd MPH Group Fomat Data)로 하여 출력하는 그룹포맷 검출수단을 포함하여 구성으로 한다.
상기 시그널링 데이터 추출수단은 상기 개조-길쌈부호화기 출력 버퍼에서 제 53번째 세그먼트의 처음 데이터로부터 276 BYTE의 데이터를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그룹포맷 검출 수단은, 상기 시그널링 데이터 추출수단에서 추출한 시그널링 데이터가 PCCC 디코더를 통과하여 생성된 결과물에서 TPC 데이터를 추출하고 추출된 데이터의 유효성 여부에 의해 상기 118개의 MHE 패킷의 유효성을 판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상기 그룹포맷 검출 수단은, 상기 그룹포맷 검출 수단은, 상기 118개의 MHE 패킷을 포함하는 슬롯을 짝수 슬롯으로 가정하여 상기 개조-램덤화기, RS 인코더 및 개조-길쌈부호화기를 순차통과시키고 상기 개조-길쌈부호화기의 출력버퍼에서 얻어진 시그널링 데이터의 유효성을 검출하고, 상기 시그널링 데이터가 유효한 경우에는 해당 슬롯을 짝수슬롯으로 판별하고; 상기 시그널링 데이터가 유효하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118개의 MHE 패킷을 포함하는 슬롯을 홀수 슬롯이란 가정하에 상기 118개의 MHE 패킷을 상기 개조-램덤화기, RS 인코더 및 개조-길쌈부호화기를 순차 통과시키고 상기 개조-길쌈부호화기의 출력버퍼에서 얻어진 시그널링 데이터의 유효성을 검출하고, 유효한 경우에는 해당 슬롯을 홀수 슬롯으로 판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그룹포맷 검출수단은, 상기 그룹포맷 검출수단은, 상기 시그널링 데이터의 유효성 판별을 위해 상기 개조-길쌈부호화기의 출력버퍼에서 추출한 시그널링 데이터를 PCCC 디코더를 통과시켜 TPC 데이터가 검출되는지 여부에 의하여 상기 118개의 MHE 패킷이 유효한 MHE 패킷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ATSC-MH 방송수신기는, 상술한 바 중의 어느 하나의 있어서의 ATSC-MH 방송신호 재구성 모듈과; 상기 ATSC-MH 방송신호 재구성 모듈에 의해 재구성된 ATSC-MH 길쌈 부호화된 그룹포맷 데이터를 복호하여 모바일 서비스 신호를 생성하는 모바일 서비스 신호 생성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ATSC-MH 방송신호 재구성방법은, 기존 ATSC 전송시스템(legacy atsc transmission system)에 대응하는 기존 ATSC 수신부(legacy atsc receiver)에서 ATSC-MH 방송신호를 수신하여 트렐리스복호기, 길쌈복호기, RS 디코더, 디 랜더마이저를 순차 통과시켜 생성한 MHE 패킷이 포함된 메인스트림 데이터로부터 ATSC-MH 길쌈 부호화된 그룹포맷 데이터(Interleaverd MPH Group Fomat Data)를 재구성하는 ATSC-MH 방송신호 재구성방법으로, 상기 메인스트림 데이터에서 연속하는 118개의 PID 동일 슬롯데이터를 118개의 MHE 패킷으로 하여 수집하는 MHE 패킷 수집단계와; 상기 118개의 MHE 패킷을 포함하는 슬롯을 짝수 또는 홀수 슬롯으로 가정하여, 상기 118개의 MHE 패킷을 개조-랜덤화, RS 인코딩 및 개조-길쌈부호화 하여 207-Byte 세그먼트 데이터를 형성하고 그 출력 버퍼에서 시그널링 데이터를 추출하여 시그널링 데이터로서의 유효성을 판단하고 그 시그널링 데이터의 유효성 여부에 따라 상기 118개의 MHE 패킷의 유효성을 판단하는 MHE 유효성 판단단계와; 상기 각 단계를 반복하여 얻어진 유효성이 인정되는 각 회차 118개의 MHE 패킷에 의해 재구성된 207-Byte 세그먼트 데이터를 ATSC-MH 길쌈 부호화된 그룹포맷 데이터(Interleaverd MPH Group Fomat Data)로 출력하는 그룹포맷 출력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MHE 유효성 판단단계는, 상기 118개의 MHE 패킷을 포함하는 슬롯을 짝수 또는 홀수 슬롯이라는 가정하에 얻어진 시그널링 데이터가 유효한 데이터인 경우에는 상기 가정을 옳은 것으로 하여 상기 118개의 MHE 패킷을 유효한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시그널링 데이터가 유효하지 않은 경우에는 가정을 달리하여 한번 더 상기 118개의 MHE 패킷을 개조-랜덤화, RS 인코딩 및 개조-길쌈부호화 하여 207 BYTE 세그먼트 데이터를 형성하고 그 출력 버퍼에서 시그널링 데이터를 추출하며, 다시 얻어진 시그널링 데이터가 유효한 경우에는 그 나중의 가정을 옳은 것으로 하여 상기 118개의 MHE 패킷을 유효한 것으로 판단하며, 상기 두 가정에 대하여 얻어진 시그널링 데이터가 유효하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118개의 패킷을 유효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상기 시그널링 데이터의 유효성 판단은, 상기 시그널링 데이터를 PCCC 디코딩하여 TPC 데이터가 검출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에 의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저장매체는, ATSC-MH 방송신호 재구성방법의 각 단계를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 ATSC 방송수신모듈의 출력으로부터 ATSC-MH 길쌈 부호화된 그룹포맷 데이터를 재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며 재구성된 ATSC-MH 길쌈 부호화된 그룹포맷 데이터를 복호할 수 있는 모바일 데이터 처리부를 포함하여 종래 ATSC 수신기의 기능을 보완함으로써 ATSC 수신기에서도 메인서비스 방송과 모바일 방송을 모두 수신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ATSC-MH 그룹포맷 재구성모듈에 의해 재구성된 ATSC-MH 길쌈 부호화된 그룹포맷 데이터를 방송수신기 및 계측기를 포함한 다양한 용도에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의한 ATSC-MH(Advanced Television System Committee-Mobile Handheld, 이하 "ATSC-MH"라 한다) 방송신호 재구성 방법 및 재구성 모듈과, ATSC-MH 방송수신기, 그리고, 저장매체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ATSC-MH 방송수신기의 구성을 예시한 개요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ATSC-MH 방송신호 재구성 모듈의 구성을 예시한 개요도이고, 도 4는 ATSC-MH의 슬롯 데이터가 VSB 필드(Vestigial SideBand Field)에 매핑된 상태를 예시한 개요도이며, 도 5a와 도 5b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개조-길쌈부호화기를 통과한 세그먼트 데이터의 구성을 예시한 도면이고, 도 6은 시그널링 데이터로부터 TPC 데이터를 추출하는 과정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2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의 ATSC-MH 방송수신기(100)는, ATSC-MH RF 신호를 수신하여 MHE 패킷(M/H Encapsulation Packet)을 포함한 메인스트림 데이터를 출력하는 메인 스트림 데이터 생성모듈(110)과, 상기 메인스트림 데이터 생성모듈(110)로부터 생성된 메인스트림 데이터에서 MHE 패킷을 추출하여 ATSC-MH 길쌈 부호화된 그룹포맷 데이터(Interleaverd MPH Group Fomat Data, ATSC S4-131r14-A153-Part-2-RF-Transmission, Annex A-2)를 재구성하는 ATSC-MH 방송신호 재구성모듈(120)과, 상기 ATSC-MH 방송신호 재구성모듈에서 재구성된 ATSC-MH 길쌈 부호화된 그룹포맷 데이터로부터 모바일 스트림 데이터를 출력하는 모바일 스트림 생성모듈(130)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의 메인 스트림 데이터 생성모듈(110)은 종래 ATSC(Advanced Television System Committee, 이하 "ATSC" 라 한다)전송시스템에 대응하는 방송수신모듈과 구성상으로 동일하며 수신신호가 ATSC-MH 방송신호란 점만이 상이하다. 즉, 본 실시예의 메인 스트림 데이터 생성모듈은 튜너(111), 디모듈레이터(112), 이퀄라이저(113), 트렐리스 복호기(114), 길쌈 복호기(115), RS 디코더(116) 및 디랜더마이저(117)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ATSC-MH 방송신호를 수신하여 메인스트림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본 실시예에서 메인 스트림 데이터 생성모듈(110)에 의해 발생되는 메인스트림 데이터에는 상기 ATSC 방송수신모듈에 의해 복호된 MHE 패킷(M/H encapsulation)이 포함되어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이 MHE 패킷으로부터 ATSC-MH 길쌈 부호화된 그룹포맷 데이터(도 5a, 도 5b 참조)를 재구성한다.
본 실시예의 ATSC-MH 방송신호 재구성모듈(120)은, 메인스트림 데이터에서 MHE 패킷을 수집하는 MHE 패킷 수집수단(Slot Gatheror)(121)과, MHE 패킷에 대해 개조-랜덤화하는 개조-랜덤화기(Modified-Randomizer)(122)와, 개조-랜덤화기를 통과한 데이터를 RS 인코딩하는 RS 인코더(RS Encoder)(123)와, RS 인코딩된 데이터에 대하여 길쌈부호화 하는 개조-길쌈부호화기(Modified-Data Interleaver)(125)와, 개조-길쌈부호화기(125)의 출력버퍼에서 시그널링 데이터를 추출하는 시그널링 데이터 추출수단(126)과, 상기 시그널링 데이터의 유효성을 판단하여 ATSC-MH 길쌈 부호화된 그룹포맷 데이터를 출력하는 그룹포맷 검출 수단(128)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의 MHE 패킷 수집수단(121)은, 상기 메인스트림 데이터 생성모듈의 디랜더마이저의 출력인 188-Byte 패킷들로부터 슬롯단위 데이터를 추출하기 위한 수단으로, PID가 동일한 연속되는 118개의 패킷을 MHE 패킷으로 하여 수집한다.
예컨대, ATSC-MH에서 하나의 슬롯은 118개의 MHE 패킷과 38개의 메인스트림 데이터 패킷으로 구성되며, ATSC-MH 전송시스템에서는 상기 118개의 MHE 패킷에 대해서는 동일 PID로 전송하며, 38개의 메인스트림 데이터 패킷은 다른 PID로 전송하므로, PID가 동일한 118개의 연속되는 패킷은 MHE 패킷일 가능성이 매우 크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MHE 패킷 수집수단(121)은 반드시 연속하는 118개의 PID가 동일한 패킷 즉 MHE 추정 패킷을 수집하며, 중간에 한 개의 패킷이라도 누락되거나 패킷이 하나라도 적거나 많은 경우에는 이 데이터를 슬롯 데이터로 사용하지 않는다.
본 실시예의 개조-랜덤화기(122)는, 상기 MHE 패킷 수집수단(121)에서 수집된 188-Byte의 118개의 MHE 추정 패킷에 대하여 1 Byte의 동기바이트를 제거하는 과정을 수행하며(즉, 118 Byte 단위 초기화), 이 개조-램덤화기의 수행결과는 상기 메인 스트림 데이터 생성모듈(110)의 RS 디코더(116)의 결과 데이터와 동일한 구성의 187-Byte 데이터이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ATSC-MH 시스템에서는 2개의 슬롯이 하나의 VSB 필드에 들어가며, 이때 37개의 패킷이 엇갈리어 들어가므로, 슬롯번호가 짝수인 슬롯은 앞의 37개의 패킷이 즉전 VSB 필드에 속한다(즉, 짝수슬롯의 118개의 MHE 패킷은 앞의 37개의 패킷은 즉전 VSB 필드에 매핑되므로 후의 81개의 MHE 패킷과 개조-랜덤화기 레지스트리 값의 연속성이 저지된다). 그리고, 일반적인 ATSC-MH 전송시스템 후처리부의 개조-랜덤화기(Modified Data Randomizer; ATSC S4-131r14-A153-Part-2-RF-Transmission,2009.04.09.,page 53)는 16BYTE 레지스터로 1 VSB 필드단위로 초기화되며, 그 값은 "0xF180"이며, 데이터가 1byte 씩 입력될 때마다 레지스트리가 변경되므로, ATSC 수신부에서 복호된 MHE 패킷은 슬롯번호가 홀수인 슬롯과 짝수인 슬롯의 레지스트리 연속성이 상이하게 적용된다. 즉, 도 4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ATSC-MH 송신시스템에서 홀수 슬롯의 경우는 모든 MHE 패킷이 동일 VSB 필드에 매핑되므로(즉, ATSC-MH 후처리부에서는 개조-랜덤화기의 초기화 없이 랜덤화가 수행되므로) 짝수슬롯과 개조-랜덤화기(122) 레지스트리 적용이 상이해진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우선 상기 118개의 MHE 패킷이 속하는 슬롯의 슬롯번호를 일단 짝수라는 가정하에 ATSC-MH 데이터의 복구를 위한 제반의 과정들을 수행한다. 하지만,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118개의 MHE 패킷이 속하는 슬롯의 슬롯번호를 홀수라고 가정하고 진행할 수도 있는 것이며, 그 가정에 의한 적절한 시그널링 데이터가 검출되는 경우 그 가정(짝수 또는 홀수 슬롯의 가정)을 옳은 것으로 하여 ATSC-MH 길쌈 부호화된 그룹 포맷 데이터를 형성하게 된다.
삭제
본 실시예의 RS 인코더(123)는, 개조-랜덤화기(122)의 출력인 187 Byte 데이터에 대하여 20 Byte의 패러티 바이트를 부가하는 체계적인 RS 인코딩을 수행하며, 그 결과 207-Byte의 패킷데이터를 형성하는데, 이때의 RS 인코딩된 데이터는 상기 메인 스트림 데이터 생성모듈(110)에서의 길쌈복호기(115) 출력과 동일한 207 Byte의 데이터를 생성한다.
본 실시예의 개조-길쌈부호화기(125)는 체계적 RS 인코딩된 207-Byte 118개의 패킷 데이터에 대하여 개조-길쌈부호화를 수행하여 상기 메인스트림 데이터 생성모듈(110)의 트렐리스 복호기(114) 출력데이터와 동일한 207 Byte 170개의 세그먼트 데이터를 출력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PID가 동일한 연속하는 118개의 패킷이 유효한 MHE 패킷이라면, 상기 개조-길쌈부호화기(125)의 출력은 ATSC-MH의 길쌈 부호화된 그룹 포맷 데이터와 동일한 구조의 데이터가 된다.
즉, 본 실시예의 시그널링 데이터 추출수단(126)은, 상기 개조-길쌈부호화기(125)의 출력 데이터가 ATSC-MH의 길쌈 부호화된 그룹포맷 데이터와 동일한 구조의 데이터라는 전제하에 도 5a, 도 5b의 개조-길쌈부호화기(125)의 출력버퍼에서 53번 세그먼트의 처음 데이터에서부터 276개의 데이터를 시그널링 데이터로 추출하게 된다.
본 실시예의 그룹포맷 검출수단(128)은, 상기 276개의 시그널링 데이터가 PCCC 디코더(127)로 입력되어 출력된 결과에서 TPC 데이터가 추출되는지 여부를 검출하며, TPC 데이터가 검출되는 경우에는 상기 276개의 데이터가 유효한 시그널링 데이터이며 MHE 패킷 수집수단에서 수집한 PID가 동일한 118개의 연속하는 패킷은 유효한 MHE 패킷인 것으로 판별하며, 상기 개조-길쌈부호화기(125)의 출력은 ATSC-MH의 길쌈 부호화된 그룹 포맷 데이터와 동일한 구조의 데이터임을 확인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시그널링 데이터로 추출된 276개의 데이터를 PCCC 디코더(127)로 입력한 결과에서 유효한 TPC 데이터가 검출되지 않는 경우에 상기 그룹포맷 검출수단(128)은, 상기 PID가 동일한 연속하는 118개의 패킷을 포함하는 슬롯이 짝수 슬롯이라는 가정을 바꾸어 홀수 슬롯으로 재가정하여 개조-랜덤화기(122), 체계적 RS 인코더(123), 개조-길쌈부호화기(125)를 통과시킨 후 시그널링 데이터로 추출된 데이터의 유효성을 검출한다.
이때, 본 실시예의 시그널링 데이터 추출수단(126)은 슬롯번호가 홀수임을 가정하여 수행된 개조-길쌈부호화기(125)의 출력데이터가 ATSC-MH의 길쌈 부호화된 그룹포맷 데이터와 동일한 구조의 데이터라는 전제하에 개조-길쌈부호화기(125)의 출력버퍼에서 53번째 세그먼트의 처음 데이터에서부터 276개의 데이터를 시그널링 데이터로 추출한다.
또한, 그룹포맷 검출수단(128)은 상기 재차 시그널링 데이터로 추출된 276개의 데이터를 PCCC 디코더(127)로 입력하고, TPC 데이터가 검출되는 경우에는 상기 PID가 동일한 연속하는 118개의 패킷을 유효한 MHE 패킷으로 홀수번째 슬롯 데이터인 것으로 판별함과 동시에 개조-길쌈부호화기(125)의 출력이 ATSC-MH의 길쌈 부호화된 그룹 포맷과 동일한 구조의 데이터임을 확인하게 된다.
본 실시예의 그룹포맷 검출수단(128)에 의해 상기 PID가 동일한 118개의 데이터가 유효한 슬롯데이터임이 판별되는 경우에는 개조-길쌈부호화기의 출력은 유효한 ATSC-MH 길쌈 부호화된 그룹 포맷 데이터(MPH Group format after data interleaver)로 출력될 수 있게 한다.
한편, 본 실시예의 그룹포맷 검출수단(128)은 상기 슬롯번호가 짝수라는 가정과 홀수라는 가정하에 수행된 모든 결과에서 TPC 데이터가 검출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118개 패킷 데이터가 잘못된 데이터로 판단하고 에러신호를 발생시킨다.
본 실시예의 모바일 스트림 생성모듈(130)은, 상기 ATSC-MH 방송신호 재구성모듈(120)에서 재구성되어 출력되는 ATSC-MH 길쌈 부호화된 그룹포맷 데이터로부터 모바일 스트림 데이터를 발생시키므로, 본 실시예의 ATSC-MH 방송수신기(100)에서는 메인서비스 방송의 시청과 모바일방송의 시청이 모두 가능하게 된다.
본 실시예의 모바일 스트림 생성모듈(130)은,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와 시그널링 데이터를 분리하여 출력하는 데이터 디포맷터(Data Deformmater)(131)와, 상기 데이터 디포맷터(131)의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에 대해 RS 프레임 복호를 수행하는 RS 프레임 복호기(132)와,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에 대해 ATSC-MH 송신 시스템의 개조-랜덤화의 역과정에 해당하는 디랜덤화를 수행하는 디랜덤화기(133)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ATSC-MH 길쌈 부호화된 그룹포맷 데이터는 상기 각 부를 순차 통과하여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로 생성된다.
다음은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의한 ATSC-MH 방송신호 재구성 모듈에 의해 수행되는 ATSC-MH 그룹포맷 데이터 재구성방법의 각 단계를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ATSC-MH 방송신호 재구성방법의 각 단계를 예시한 흐름도이다.
본 실시예에서 ATSC-MH 방송신호를 수신한 ATSC 수신기의 메인 스트림 데이터로부터 ATSC-MH 그룹포맷 데이터를 재구성하기 위해 가장 먼저 해야하는 단계는 118개의 MHE 패킷을 얻어내는 것이다.
본 실시예의 MHE 패킷 수집수단(121)은 메인스트림 188-Byte 패킷 데이터로부터 PID가 동일한 연속하는 118개의 패킷을 정상적인 MHE 패킷으로 가정하여 슬롯단위로 수집한다(제200단계).
하나의 VSB 필드는 2개 슬롯 데이터로 구성되며, 전후의 연속하는 37 패킷의 오프셋이 주어지므로 홀수번호의 슬롯과 짝수번호의 슬롯에 대한 데이터처리과정의 레지스트리 적용이 서로 다르므로 우선 상기 118개의 MHE 패킷을 포함하는 슬롯번호가 짝수인 것으로 가정한다(제201단계).
상기 118개의 MHE 패킷을 포함하는 슬롯이 짝수라는 가정에 따라 118개의 MHE 패킷으로부터 1 Byte씩 동기 바이트를 제거하는 개조-랜덤화를 수행하여 ATSC-MH 방송신호를 수신한 ATSC 방송수신기의 RS 디코더(116)의 출력과 동일한 구조의 187 Byte 데이터를 생성한다(제202단계).
다음으로 상기 개조-랜덤화된 187 Byte 데이터에 대하여 체계화된 RS 인코딩과정에서 20 Byte의 패러티 바이트를 부가하여, 상기 ATSC-MH 방송신호를 수신한 ATSC 방송수신기의 길쌈 복호기(115)의 출력과 동일한 구조의 207 Byte의 데이터를 출력한다(제203단계).
상기 207 Byte 패킷 데이터는 개조-길쌈부호화 과정을 거쳐서, ATSC-MH 방송신호를 수신한 ATSC 방송수신기의 트렐리스 복호기의 출력과 동일한 구조의 207 Byte의 세그먼트 데이터로 출력된다(제205단계).
상기 개조-길쌈부호화 과정을 거친 207 Byte의 세그먼트 데이터를 ATSC-MH 길쌈 부호화된 그룹포맷 데이터와 동일한 구조를 갖는다는 전제하에, 53번째 세그먼트의 처음 데이터로부터 276개의 데이터를 정상적인 시그널링 데이터로 가정하여 추출한다(제206단계).
상기 276개의 시그널링 데이터를 PCCC 디코딩하여 TPC 데이터를 추출하며, TPC 데이터가 정상적으로 검출된 경우에는 상기 118개의 MHE 패킷이 유효한 MHE 패킷이며 짝수번호의 슬롯을 구성하는 슬롯데이터인 것으로 하여 개조-길쌈부호화 되어 출력되는 207 Byte 세그먼트 데이터를 ATSC-MH 길쌈 부호화된 그룹포맷 데이터로 하여 출력한다(제207단계 내지 제209단계).
한편, 상기 276개의 시그널링 데이터를 PCCC 디코딩한 결과 TPC 데이터가 추출되지 않으면, 상기 118개의 MHE 패킷을 포함하는 슬롯의 슬롯번호가 홀수인 것으로 재가정하여 상기 118개의 MHE 패킷에 대해 재차 개조-램덤화, 체계적 RS 인코딩 및 개조-길쌈부호화 과정을 수행한다(제210단계,제211단계,제201단계 내지 제205단계).
상기 재차 개조-길쌈부호화 과정을 거친 207 Byte의 세그먼트 데이터를 ATSC-MH 길쌈 부호화된 그룹포맷 데이터와 동일한 구조를 갖는다는 전제하에, 53번 째 세그먼트의 처음 데이터로부터 276개의 데이터를 정상적인 시그널링 데이터로 가정하여 추출한다(제207단계).
상기 276개의 시그널링 데이터를 PCCC 디코딩하여 TPC 데이터를 추출하며, TPC 데이터가 정상적으로 검출된 경우에는 상기 118개의 MHE 패킷이 유효한 MHE 패킷이며 홀수번호의 슬롯을 구성하는 슬롯데이터인 것으로 하여 개조-길쌈부호화 되어 출력되는 207 Byte 세그먼트 데이터를 ATSC-MH 길쌈 부호화된 그룹포맷 데이터로 하여 출력한다(제208단계,제209단계).
한편, 재차 개조-길쌈부호화 과정을 거친 207 Byte의 세그먼트 데이터로부터도 TPC 데이터가 검출되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118개의 MHE 패킷이 문제가 있는 것으로 판단하고 에러신호를 발생시킨다(제208단계,제210단계,제213단계).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ATSC-MH 방송신호 재구성모듈(120)에서 ATSC-MH 길쌈 부호화된 그룹포맷 데이터(Interleaverd MPH Group Fomat Data)로 출력되는 데이터는 모바일 스트림 생성모듈(130)로 입력되며, 시그널링 데이터와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로 분리되고, RS 프레임 디코딩 및 데이터 디랜덤화 과정을 거쳐서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를 출력하며, 수신기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메인서비스 방송을 수신하거나 모바일 방송을 수신하는 것도 가능하고 두 가지 방송 모두를 한 화면에서 수신하는 것도 가능해진다.
본 실시예의 ATSC-MH 방송신호 재구성방법의 각 단계는 컴퓨터 시스템에서 수행될 수 있도록 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제작되는 것이 가능하며, 그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매체에 저장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른 한편으로, 상기 ATSC-MH 방송신호 재구성방법의 각 단계는 1 또는 2 이상의 반도체 칩에 하드웨어적인 형식으로 구현되는 것이 가능하며, 실시예에 따라 다양한 구현이 가능하고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 정해지며, 특허청구범위 기재사항과 균등범위에서 당업자가 행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포함함은 자명하다.
도 1a는 종래 ATSC-MH 방송수신시스템의 구성을 예시한 개요도.
도 1b는 종래 ATSC 방송시스템의 구성을 예시한 개요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ATSC-MH 방송수신기의 구성을 예시한 개요도.
도 3a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ATSC-MH 방송신호 재구성 모듈의 구성을 예시한 개요도.
도 4 는 ATSC-MH의 슬롯 데이터가 VSB 필드에 매핑된 상태를 도시한 개요도.
도 5a, 도 5b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개조-길쌈부호화기를 통과한 세그먼트 데이터의 구성을 예시한 도면.
도 6은 시그널링 데이터로부터 TPC 데이터를 추출하는 과정을 예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실시예의 ATSC-MH 방송신호 재구성 방법의 각 단계를 예시한 흐름도.

Claims (11)

  1. ATSC-MH RF 신호를 수신하여, 기존 ATSC 전송시스템(legacy ATSC transmission system)에 대응하는 기존 ATSC 수신기의 튜너, 디모듈레이터, 이퀄라이저, 트렐리스복호기, 길쌈복호기, RS 디코더, 디랜더마이저를 순차 통과시키고 MHE 패킷을 포함한 메인스트림 데이터를 출력하는 메인스트림 생성모듈과;
    상기 디랜더마이저에서 발생되는 메인스트림 데이터에서 연속하는 118개의 PID 동일 슬롯 데이터를 118개의 MHE 패킷으로 하여 추출하고, 각 회차 추출된 118개의 MHE 패킷으로부터 ATSC-MH 길쌈 부호화된 그룹포맷 데이터(Interleaverd MPH Group Fomat Data)를 재구성하는 ATSC-MH 방송신호 재구성모듈과;
    상기 ATSC-MH 방송신호 재구성모듈에서 재구성된 상기 ATSC-MH 길쌈 부호화된 그룹포맷 데이터로부터 모바일 스트림 데이터를 출력하는 모바일 스트림 생성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TSC-MH 방송수신기.
  2. 기존 ATSC 전송시스템(legacy ATSC transmission system)에 대응하는 기존 ATSC 수신기(legacy ATSC receiver)에서 ATSC-MH 방송신호를 수신하여 트렐리스복호기, 길쌈복호기, RS 디코더, 디랜더마이저를 순차 통과시켜 생성한 MHE 패킷이 포함된 메인스트림 데이터로부터 ATSC-MH 길쌈 부호화된 그룹포맷 데이터(Interleaverd MPH Group Fomat Data)를 재구성하는 ATSC-MH 방송신호 재구성모듈로,
    상기 메인스트림 데이터에서 연속하는 118개의 PID 동일 슬롯데이터를 118 개의 MHE 패킷으로 하여 수집하는 MHE 패킷 수집수단과;
    상기 MHE 패킷 수집수단이 수집한 118개의 MHE 패킷에 대해 1 바이트 동기 바이트를 제거하고 랜덤화하는 개조-랜덤화기와;
    상기 개조-랜덤화기를 통과한 118개의 MHE 패킷에 20-Byte 패러티 바이트를 추가 RS 인코딩을 수행하는 RS 인코더와;
    상기 RS 인코더에 의해 인코딩된 118개의 MHE 패킷에 대하여 길쌈부호화 하는 개조-길쌈부호화기와;
    상기 개조-길쌈부호화기의 출력 버퍼에서 시그널링 데이터를 추출하는 시그널링 데이터 추출수단과;
    상기 시그널링 데이터 추출수단이 추출한 시그널링 데이터에 대한 유효성 여부에 따라 상기 118개의 MHE 패킷의 채택 여부를 판별하고, 그 시그널링 데이터의 유효성이 인정되는 경우 상기 개조-길쌈부호화기의 출력을 유효한 118개의 MHE 패킷으로 재구성된 ATSC-MH 길쌈 부호화된 그룹포맷 데이터(Interleaverd MPH Group Fomat Data)로 하여 출력하는 그룹포맷 검출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TSC-MH 방송신호 재구성모듈.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시그널링 데이터 추출수단은 상기 개조-길쌈부호화기 출력 버퍼에서 제 53번째 세그먼트의 처음 데이터로부터 276 BYTE의 데이터를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TSC-MH 방송신호 재구성모듈.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그룹포맷 검출 수단은,
    상기 시그널링 데이터 추출수단에서 추출한 시그널링 데이터가 PCCC 디코더를 통과하여 생성된 결과물에서 TPC 데이터를 추출하고 추출된 데이터의 유효성 여부에 의해 상기 118개의 MHE 패킷의 유효성을 판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TSC-MH 방송신호 재구성모듈.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그룹포맷 검출 수단은,
    상기 118개의 MHE 패킷을 포함하는 슬롯을 짝수 슬롯으로 가정하여 상기 개조-램덤화기, RS 인코더 및 개조-길쌈부호화기를 순차통과시키고 상기 개조-길쌈부호화기의 출력버퍼에서 얻어진 시그널링 데이터의 유효성을 검출하고, 상기 시그널링 데이터가 유효한 경우에는 해당 슬롯을 짝수슬롯으로 판별하고;
    상기 시그널링 데이터가 유효하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118개의 MHE 패킷을 포함하는 슬롯을 홀수 슬롯이란 가정하에 상기 118개의 MHE 패킷을 상기 개조-램덤화기, RS 인코더 및 개조-길쌈부호화기를 순차 통과시키고 상기 개조-길쌈부호화기의 출력버퍼에서 얻어진 시그널링 데이터의 유효성을 검출하고, 유효한 경우에는 해당 슬롯을 홀수 슬롯으로 판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TSC-MH 방송신호 재구성 모듈.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그룹포맷 검출수단은,
    상기 시그널링 데이터의 유효성 판별을 위해 상기 개조-길쌈부호화기의 출력버퍼에서 추출한 시그널링 데이터를 PCCC 디코더를 통과시켜 TPC 데이터가 검출되는지 여부에 의하여 상기 118개의 MHE 패킷이 유효한 MHE 패킷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TSC-MH 방송신호 재구성 모듈.
  7. 청구항 2 내지 5 중 어느 하나의 청구항에 있어서의 ATSC-MH 방송신호 재구성 모듈과;
    상기 ATSC-MH 방송신호 재구성 모듈에 의해 재구성된 ATSC-MH 길쌈 부호화된 그룹포맷 데이터를 복호하여 모바일 서비스 신호를 생성하는 모바일 서비스 신호 생성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TSC-MH 방송수신기.
  8. 기존 ATSC 전송시스템(legacy atsc transmission system)에 대응하는 기존 ATSC 수신부(legacy atsc receiver)에서 ATSC-MH 방송신호를 수신하여 트렐리스복호기, 길쌈복호기, RS 디코더, 디 랜더마이저를 순차 통과시켜 생성한 MHE 패킷이 포함된 메인스트림 데이터로부터 ATSC-MH 길쌈 부호화된 그룹포맷 데이터(Interleaverd MPH Group Fomat Data)를 재구성하는 ATSC-MH 방송신호 재구성방법으로,
    상기 메인스트림 데이터에서 연속하는 118개의 PID 동일 슬롯데이터를 118개의 MHE 패킷으로 하여 수집하는 MHE 패킷 수집단계와;
    상기 118개의 MHE 패킷을 포함하는 슬롯을 짝수 또는 홀수 슬롯으로 가정하여, 상기 118개의 MHE 패킷을 개조-랜덤화, RS 인코딩 및 개조-길쌈부호화 하여 207-Byte 세그먼트 데이터를 형성하고 그 출력 버퍼에서 시그널링 데이터를 추출하여 시그널링 데이터로서의 유효성을 판단하고 그 시그널링 데이터의 유효성 여부에 따라 상기 118개의 MHE 패킷의 유효성을 판단하는 MHE 유효성 판단단계와;
    상기 각 단계를 반복하여 얻어진 유효성이 인정되는 각 회차 118개의 MHE 패킷에 의해 재구성된 207-Byte 세그먼트 데이터를 ATSC-MH 길쌈 부호화된 그룹포맷 데이터(Interleaverd MPH Group Fomat Data)로 출력하는 그룹포맷 출력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TSC-MH 방송신호 재구성방법.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MHE 유효성 판단단계는,
    상기 118개의 MHE 패킷을 포함하는 슬롯을 짝수 또는 홀수 슬롯이라는 가정하에 얻어진 시그널링 데이터가 유효한 데이터인 경우에는 상기 가정을 옳은 것으로 하여 상기 118개의 MHE 패킷을 유효한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시그널링 데이터가 유효하지 않은 경우에는 가정을 달리하여 한번 더 상기 118개의 MHE 패킷을 개조-랜덤화, RS 인코딩 및 개조-길쌈부호화 하여 207 BYTE 세그먼트 데이터를 형성하고 그 출력 버퍼에서 시그널링 데이터를 추출하며, 다시 얻어진 시그널링 데이터가 유효한 경우에는 그 나중의 가정을 옳은 것으로 하여 상기 118개의 MHE 패킷을 유효한 것으로 판단하며,
    상기 두 가정에 대하여 얻어진 시그널링 데이터가 유효하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118개의 패킷을 유효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TSC-MH 방송신호 재구성방법.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시그널링 데이터의 유효성 판단은,
    상기 시그널링 데이터를 PCCC 디코딩하여 TPC 데이터가 검출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에 의함을 특징으로 하는 ATSC-MH 방송신호 재구성방법.
  11. 청구항 8 내지 10 중 어느 하나의 청구항의 ATSC-MH 방송신호 재구성방법의 각 단계를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매체.
KR1020090052797A 2009-06-15 2009-06-15 Atsc―mh 방송신호 재구성 방법 및 재구성 모듈과, atsc―mh 방송수신기, 그리고, 저장매체 KR1009426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2797A KR100942612B1 (ko) 2009-06-15 2009-06-15 Atsc―mh 방송신호 재구성 방법 및 재구성 모듈과, atsc―mh 방송수신기, 그리고, 저장매체
MX2011013479A MX2011013479A (es) 2009-06-15 2009-07-08 Un modulo y metodo de regeneracion para señales de transmision atsc-mh, un receptor para transmision atsc-mh, y un medio de almacenamiento.
CA2765267A CA2765267A1 (en) 2009-06-15 2009-07-08 A method & a module for re-generating atsc-mh broadcasting signal, an atsc-mh broadcast receiver, and a storage medium
PCT/KR2009/003747 WO2010147255A1 (en) 2009-06-15 2009-07-08 A re-generating method & module for atsc-mh broadcasting signal, an atsc-mh broadcast receiver, and a storage medium
US12/531,658 US8351416B2 (en) 2009-06-15 2009-07-08 Method and a module for re-generating ATSC-MH broadcasting signal, an ATSC-MH broadcast receiver, and a storage mediu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2797A KR100942612B1 (ko) 2009-06-15 2009-06-15 Atsc―mh 방송신호 재구성 방법 및 재구성 모듈과, atsc―mh 방송수신기, 그리고, 저장매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42612B1 true KR100942612B1 (ko) 2010-02-16

Family

ID=420834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52797A KR100942612B1 (ko) 2009-06-15 2009-06-15 Atsc―mh 방송신호 재구성 방법 및 재구성 모듈과, atsc―mh 방송수신기, 그리고, 저장매체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351416B2 (ko)
KR (1) KR100942612B1 (ko)
CA (1) CA2765267A1 (ko)
MX (1) MX2011013479A (ko)
WO (1) WO2010147255A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8949B1 (ko) 2007-04-10 2013-11-13 엘지전자 주식회사 방송 신호 송수신 방법
US7912006B2 (en) * 2007-08-24 2011-03-22 Lg Electronics Inc. Digital broadcasting system and method of processing data in digital broadcasting system
WO2009151246A2 (en) * 2008-06-09 2009-12-17 Lg Electronics Inc. Transmitting/receiving system and method of processing broadcast signal in transmitting/receiving system
JP5569989B2 (ja) * 2009-04-16 2014-08-13 トムソン ライセンシング 信号を符号化する方法および装置
KR101743031B1 (ko) * 2009-05-21 2017-06-15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털 방송 송신기, 디지털 방송 수신기 및 그들의 스트림 구성 및 처리 방법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Doc. S4-130r12, Candidate Standard: ATSC-M/H Standard, Part 1 ? Mobile/Handheld Digital Television System (A/153, Part 1:2009), 31 December 2008
Doc. S4-131r11, Candidate Standard: ATSC-M/H Standard, Part 2 ? RF/Transmission System Characteristics (A/153, Part 2:2009), 31 December 2008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MX2011013479A (es) 2012-03-06
US20110267547A1 (en) 2011-11-03
WO2010147255A1 (en) 2010-12-23
CA2765267A1 (en) 2010-12-23
US8351416B2 (en) 2013-0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91181B1 (ko) 디지털 방송의 송/수신 시스템 및 데이터 구조
KR101191182B1 (ko) 디지털 방송 시스템 및 처리 방법
KR101080966B1 (ko) 방송 신호 송수신 장치 및 방법
KR100771631B1 (ko) 방송 시스템 및 방송 시스템에서 데이터를 처리하는 방법
KR100519361B1 (ko) 디지털 e8-vsb 수신 시스템 및 e8-vsb 데이터역다중화 방법
CN101292524B (zh) 数字广播接收系统和方法
US7756011B2 (en) Digital television transmitter/receiver and method of processing data in digital television transmitter/receiver
KR101147760B1 (ko) 디지털 방송의 송/수신 시스템, 방법, 및 데이터 구조
KR101216079B1 (ko) 디지털 방송 시스템 및 처리 방법
US9363490B2 (en) Digital E8-VSB reception system and E8-VSB data demultiplexing method
KR101370889B1 (ko) 디지털 방송 시스템 및 처리 방법
KR101221914B1 (ko) 디지털 방송 신호 송신 장치 및 방법
CA2679043C (en) Digital broadcasting transmission/reception devices capable of improving a receiving performance and signal processing method thereof
KR101147767B1 (ko) 디지털 방송 시스템 및 처리 방법
US7936837B2 (en) DTV television transmitter/receiver and method of processing data in DTV transmitter/receiver
KR101199387B1 (ko) 디지털 방송 시스템 및 데이터 처리 방법
KR100942612B1 (ko) Atsc―mh 방송신호 재구성 방법 및 재구성 모듈과, atsc―mh 방송수신기, 그리고, 저장매체
KR20060047533A (ko) 수신 성능이 향상된 디지털 방송 송수신 시스템 및 그의신호처리방법
KR101158451B1 (ko) 수신 성능이 향상된 디지털 방송 송수신 시스템 및 그의신호처리방법
KR101145937B1 (ko) Atsc-mh 패킷 타입파인더 및 atsc-mh 방송신호 발생기
KR100908065B1 (ko) 방송 송/수신기 및 방송 신호 처리 방법
KR100925448B1 (ko) 방송 송/수신기 및 방송 신호 처리 방법
KR100904445B1 (ko) 방송 송/수신기 및 방송 신호 처리 방법
KR100949973B1 (ko) 방송 송/수신기 및 방송 신호 처리 방법
KR100917203B1 (ko) 디지털 방송 시스템 및 처리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03

Year of fee payment: 4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