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41771B1 - Gis데이터의 최신성 유지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Gis데이터의 최신성 유지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41771B1
KR100941771B1 KR1020090013495A KR20090013495A KR100941771B1 KR 100941771 B1 KR100941771 B1 KR 100941771B1 KR 1020090013495 A KR1020090013495 A KR 1020090013495A KR 20090013495 A KR20090013495 A KR 20090013495A KR 100941771 B1 KR100941771 B1 KR 1009417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gis
database
freshness
maintai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134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청
정재호
노승진
박기석
최석근
Original Assignee
공간정보기술 주식회사
대한측량협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공간정보기술 주식회사, 대한측량협회 filed Critical 공간정보기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134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4177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417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417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외부에서 구축된 GIS(지리정보시스템) 데이터 중에서 벡터(vector) 데이터를 읽어 기구축 GIS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데이터와 비교, 분석, 추출을 통해 최신성을 유지하는 방법 및 장치, 그리고 GIS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필요한 데이터를 추출하여 갱신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대표적인 프로세스는, 외부 측량데이터 파일을 읽어서, 상기 GIS데이터베이스의 좌표계와 같도록 상기 독출한 외부 측량데이터의 좌표계를 변환하는 단계; 외부 측량데이터에 해당하는 데이터를 추출하기 위하여 상기 GIS데이터베이스에 접속하는 단계; 상기 GIS데이터베이스에 접속하여 MBR(minimum boundary rectangle)을 추출하는 단계; 좌표변환된 외부 측량데이터와, 상기 GIS데이터베이스로부터 MBR 추출한 데이터를 비교하는 단계; 갱신해야 할 데이터의 엔티티를 추출하여 분석하는 단계; 추출 분석된 데이터의 엔티티를 생성인지, 수정인지, 삭제인지의 상태에 따라서 분류하는 엔티티 분류 단계; 분류된 엔티티를 상기 GIS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로 구성된다.

Description

GIS데이터의 최신성 유지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updating GIS data}
본 발명은 외부에서 구축된 GIS(지리정보시스템) 데이터 중에서 벡터(vector) 데이터를 읽어 기구축 GIS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데이터와 비교, 분석, 추출을 통해 최신성을 유지하는 방법 및 장치, 그리고 GIS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필요한 데이터를 추출하여 갱신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GIS(지리정보시스템) 기술이 다양한 용도로 활용되고 있다. 그 중에서 수치지도를 이루는 GIS 데이터는 수시로 갱신되어야 하는 데이터이다. 즉, 일단 구축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객체들(건물, 도로, 지형 등)이 수시로 변경되기때문에, 실제로 측량한 새로운 데이터에 맞추어 기구축된 GIS 데이터베이스를 갱신하여야 한다. 이 밖에도 외부에서 측정된 데이터와 무관하게, 직접 GIS 데이터베이스에서 필요한 데이터를 선별적으로 갱신해야 할 필요성도 있다.
이러한 경우에, 종래에는 작업자가 수작업에 의해서 데이터 갱신을 하였다. 가령, 외부에서 측정한 GIS 데이터를 입수하여 이에 해당하는 데이터베이스 내의 데이터와 목측 비교하여 데이터를 대체하거나 갱신하는 등의 작업을 직접하였다.
GIS 데이터의 최신성 유지를 위하여 기구축 GIS 데이터베이스의 데이터를 외부에서 측정한 데이터로 갱신하는 자동화된 방법과 장치를 제공함을 제1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GIS 데이터의 최신성 유지를 위하여 기구축 GIS 데이터베이스의 데이터 중 갱신 필요성 있는 데이터를 직접 갱신하는 자동화된 방법과 장치를 제공함을 제2목적으로 한다.
상기 제1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특징에 따르면, 외부에서 측량된 새로운 GIS 데이터를 기구축되어 있는 GIS 데이터베이스에서 추출한 데이터와 비교하여 갱신해야 할 데이터를 다시 GIS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여 데이터를 갱신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이 방법, 즉, GIS 데이터의 최신성 유지 방법은, 외부 측량데이터 파일을 읽어서, 상기 GIS데이터베이스의 좌표계와 같도록 상기 독출한 외부 측량데이터의 좌표계를 변환하는 단계; 외부 측량데이터에 해당하는 데이터를 추출하기 위하여 상기 GIS데이터베이스에 접속하는 단계; 상기 GIS데이터베이스에 접속하여 MBR(minimum boundary rectangle)을 추출하는 단계; 좌표변환된 외부 측량데이터와, 상기 GIS데이터베이스로부터 MBR 추출한 데이터를 비교하는 단계; 갱신해야 할 데이터의 엔티티를 추출하여 분석하는 단계; 추출 분석된 데이터의 엔티티를 생성 인지, 수정인지, 삭제인지의 상태에 따라서 분류하는 엔티티 분류 단계; 분류된 엔티티를 상기 GIS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데이터 비교 단계에서의 비교 방법은 현재의 파일포맷으로 구축된 GIS 데이터를 독취하여 해당 MBR을 확인하여 데이터베이스의 해당 MBR 영역의 데이터를 추출 후 두 데이터를 비교하여 서로 다른 객체를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엔티티 분석 단계는, 외부에서 입력된 데이터의 분석기능으로서, 데이터베이스에서 동일 영역의 데이터를 로드(load)하여 좌표, 크기, 길이, 속성, 오차범위 등을 분석하여 갱신되어야 할 객체를 분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GIS 데이터의 최신성 유지 방법에는, 외부에서 측량된 데이터의 오류를 검출하여 자동으로 수정하는 기능으로서, 버텍스의 중복여부, 폴리곤의 겹침여부, 유일식별자의 중복여부, 유일식별자의 누락여부 등을 검수하여 오류 수정을 하는 데이터 검수단계(QA); 갱신작업에 대한 이력(갱신자, 갱신방법, 갱신일자 등)을 포함하는 메타데이터가 입력되는 메타데이터 입력단계; GIS 데이터베이스에 데이터를 저장하여 갱신하는 것과 별도로 기존데이터 및 최신데이터를 저장하여 백업을 하기 위한 백업데이터 저장단계가 추가로 포함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외부에서 측량된 새로운 GIS 데이터를 기구축되어 있는 GIS 데이터베이스에서 추출한 데이터와 비교하여 갱신해야 할 데이터를 다시 GIS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여 데이터를 갱신하는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GIS 데이터의 최신성 유지 장치는 외부 측량데이터 파일을 읽는 외부데이터 파일 독출부; 외부 측량데이터 파일을 독출하여, 상기 GIS데이터 베이스의 좌표계와 같도록 상기 독출한 외부 측량데이터의 좌표계를 변환하는 좌표변환부; 외부 측량데이터에 해당하는 데이터를 추출하기 위하여 기구축된 GIS데이터베이스에 접속하는 DB접속부; 외부에서 입력된 데이터에 해당하는 MBR을 확인하여 GIS데이터베이스로부터 MBR(minimum boundary rectangle)을 추출하는 MBR추출부; 좌표변환부에서 좌표변환된 외부 측량데이터와, MBR추출부에 의해 상기 GIS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추출된 데이터를 비교하는 데이터비교부; 갱신해야 할 데이터의 엔티티를 추출 및 분석하는 엔티티추출부; 추출 분석된 데이터의 엔티티를 생성인지, 수정인지, 삭제인지의 상태에 따라서 분류하는 엔티티분류부; 엔티티분류부에서 분류된 엔티티를 상기 GIS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데이터저장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데이터 비교부는, 현재의 파일포맷으로 구축된 GIS 데이터를 독취하여 해당 MBR을 확인하여 데이터베이스의 해당 MBR 영역의 데이터를 추출 후 두 데이터를 비교하여 서로 다른 객체를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엔티티추출부는, 외부에서 입력된 데이터의 분석기능으로서, 데이터베이스에서 동일 영역의 데이터를 로드(load)하여 좌표, 크기, 길이, 속성, 오차범위 등을 분석하여 갱신되어야 할 객체를 분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GIS 데이터의 최신성 유지 장치에는 외부에서 측량된 데이터의 오류를 검출하여 자동으로 수정하되, 버텍스의 중복여부, 폴리곤의 겹침여부, 유일식별자의 중복여부, 유일식별자의 누락여부 등을 검수하여 오류 수정을 하는 검수부; 갱신작업에 대한 이력(갱신자, 갱신방법, 갱신일자 등)을 포함하는 메타데이터가 입력되는 메타데이터 입력부; GIS 데이터베이스에 데이터를 저장하여 갱신하는 것과 별도로 기존데이터 및 최신데이터를 저장하여 백업을 하기 위한 백업데이터 저장부가 추가로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3특징에 따르면, 기구축되어 있는 GIS 데이터베이스로부터 데이터를 독출하여 수정이 필요하거나 오류 등을 갖는 데이터를 편집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이 방법에 따른 GIS 데이터의 최신성 유지 방법은, 데이터베이스에서 갱신하고자 하는 데이터를 독출하기 위하여 기구축 GIS데이터베이스에 접속하는 단계; 데이터베이스에 접속하여 갱신하고자 하는 데이터를 독출하는 단계;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기준데이터(reference data)를 독출하는 단계; 갱신필요한 데이터를 수정하는 단계; 갱신데이터의 엔티티를 추출 및 분석하는 단계; 추출 분석된 데이터의 엔티티를 생성인지, 수정인지, 삭제인지의 상태에 따라서 분류하는 단계; 엔티티분류부에서 분류된 엔티티를 상기 GIS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데이터저장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4특징에 따르면, 데이터베이스에서 갱신하고자 하는 데이터를 독출하기 위하여 기구축 GIS데이터베이스에 접속하는 DB 접속부; 데이터베이스에 접속하여 갱신하고자 하는 데이터를 독출하는 갱신데이터 독출부;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기준데이터(reference data)를 독출하는 DB 기준데이터 독출부; 갱신필요한 데이터를 수정처리하는 데이터 수정처리부; 갱신데이터의 엔티티를 추출 및 분석하는 엔티티추출부; 추출 분석된 데이터의 엔티티를 생성인지, 수정인지, 삭제인지의 상태에 따라서 분류하는 엔티티분류부; 엔티티분류부에서 분류된 엔티티를 상기 GIS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데이터저장부를 포함하는 GIS 데이터의 최신성 유 지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종래의 수작업에 의하지 않고 자동화된 방법 및 장치에 의하여 외부에서 측정한 데이터를 활용하여 GIS 데이터의 최신성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GIS 데이터의 최신성 유지를 위하여 기구축 GIS 데이터베이스의 데이터 중 갱신 필요성 있는 데이터를 직접 갱신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GIS데이터 최신성 유지방법의 기본 개념도이다.
외부에서 측량된 새로운 데이터(갱신하고자 하는 데이터)(20)를, 기구축되어 있는 GIS 데이터베이스(10)에서 추출한 데이터(30)와 비교하는 과정을 거쳐서(40) 갱신해야 할 데이터를 다시 GIS 데이터베이스(10)에 저장함으로써 갱신한다(50).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GIS데이터 최신성 유지방법의 기본적인 실시예의 프로세스 흐름도이다.
외부 측량데이터 파일을 읽는다(100). 외부에서 측량된 데이터는 shp, dxf, ngi 등의 형식을 갖는데, 본 발명에서는 외부 측량데이터 파일을 읽어서 갱신해야 할 데이터를 분석할 수 있도록 다양한 파일 포맷의 I/O가 가능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독출한 외부 측량데이터의 좌표를 변환한다(110). 이 단계는 외부에서 측량된 데이터의 좌표계와 최신데이터를 저장해야 하는 기구축된 GIS데이터베이스(10) 의 좌표계가 같게 변환시키는 기능으로써 Bessel, GRS80, WGS84, TM, UTM, UTM-K 등 다양한 좌표계로 변환이 가능하다.
한편, 외부 측량데이터에 해당하는 데이터를 추출하기 위하여 기구축 GIS데이터베이스(10)에 접속한다(Data Connecting)(120). 최신데이터가 저장된 데이터베이스에 접속하여 데이터를 컨트롤 하기 위한 것으로서, 갱신될 데이터의 수정, 삭제, 생성 등의 DBMS 기본 기능들이 수행된다.
GIS데이터베이스(10)에 접속하여 MBR(minimum boundary rectangle)을 추출한다(130). 이는 외부에서 입력된 데이터에 해당하는 MBR을 확인하여 데이터베이스(10)에서 해당 MBR 지역의 데이터를 추출하여 (minimum boundary rectangle)을 추출하여 관련 데이터베이스에서 해당부분을 추출하는 단계이다.
다음에, 좌표변환된 외부 측량데이터와, 기구축 DB(10)로부터 MBR 추출한 데이터를 비교한다. 비교 방법은 현재의 파일포맷으로 구축된 GIS 데이터를 독취하여 해당 MBR을 확인하여 데이터베이스의 해당 MBR 영역의 데이터를 추출 후 두 데이터를 비교하여 서로 다른 객체를 추출한다. 이를 위해서 데이터베이스의 데이터는 항상 최신의 상태를 유지하여야 하며 두 객체간의 좌표계가 일치하도록 구성되어야 한다. 두 데이터의 비교 방법은 좌표를 이용한 객체간의 위치비교, 데이터의 길이, 버텍스(vertex)의 개수, 다각형(polygon) 데이터의 경우에는 데이터의 길이, 속성 비교 등을 통해 두 데이터간의 상호 차별성을 찾아 갱신데이터를 추출한다. 두 데이터를 비교시 가장 고려해야 할 사항은 측량방법, 좌표변환의 오차, 데이터 제작자의 오류 등을 고려하여 오차범위의 기준을 정한 후 오차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경우의 데이터는 동일 데이터로 처리할 수 있어야 한다.
다음에, 갱신해야 할 데이터의 엔티티를 추출하여 분석한다(150). 이 단계는 외부에서 입력된 데이터의 분석기능으로서, 데이터베이스에서 동일 영역의 데이터를 로드(load)하여 좌표, 크기, 길이, 속성, 오차범위 등을 분석하여 갱신되어야 할 객체를 분석한다.
엔티티 분류(160)는 분석 추출된 데이터를 생성, 수정, 삭제 상태에 따라서 분류하는 기능으로서, 최신 데이터의 갱신 및 백업데이터의 이력관리를 위해 데이터베이스(10)에 저장하기 위한 분류단계이다.
한편, 도 3은 도 2에 나타낸 본 발명의 기본 프로세스에 몇 가지 단계가 추가된 실시예를 나타낸다. 이하의 세 가지 단계는 본 발명에 따른 GIS데이터 최신성 유지방법에 필수적인 단계는 아니지만, 본 발명의 방법을 보다 더 유용하도록 하는 단계의 일례를 든 것이다. 당업자에 의해서 다양한 단계를 추가하여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데이터 검수단계(QA)(115)는 외부에서 측량된 데이터의 오류를 검출하여 자동으로 수정하는 기능으로서, 버텍스의 중복여부, 폴리곤의 겹침여부, 유일식별자의 중복여부, 유일식별자의 누락여부 등을 검수하여 오류 수정을 하는 기능이다. 이 기능은 데이터의 품질을 향상시키는 단계로서, 엔티티 추출 및 분석(150) 후 데이터베이스(10)에 저장시에 다시 한번 수행할 수도 있다.
메타데이터 입력단계(165)는 갱신작업에 대한 이력(갱신자, 갱신방법, 갱신 일자 등)을 포함하는 메타데이터가 입력되는 단계이다.
백업데이터 저장단계(175)는 GIS 데이터베이스(10)에 데이터를 저장하여 갱신하는 것과 별도로 기존데이터 및 최신데이터를 저장하여 백업을 하기 위한 단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GIS데이터 최신성 유지장치의 실시예를 나타낸다. 기본적으로는 도 2에 나타낸 방법의 장치적 구성을 나타낸다. 도 4에서와 같이 크게 두 개의 파트로 이루어지는데, 좌측은 GIS데이터베이스(10)와 연결되어 데이터를 추출하고 저장하는 파트(300)이고, 우측은 파트 300과 데이터 교환을 하는 파트(400)이다. 도 4에 나타낸 파트 300과 400은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분해 놓은 것에 불과할 뿐, 본 발명의 구성을 논리적이든 물리적이든 한정하고 있는 것은 아니다.
파트 300에서, DB 접속부(310)는 외부 측량데이터에 해당하는 데이터를 추출하기 위하여 기구축 GIS데이터베이스(10)에 접속하는 역할을 한다. 최신데이터가 저장된 데이터베이스에 접속하여 데이터를 컨트롤하기 위한 것으로서, 갱신될 데이터의 수정, 삭제, 생성 등의 DBMS 기본 기능들이 수행된다.
MBR추출부(320)는 GIS데이터베이스(10)로부터 MBR(minimum boundary rectangle)을 추출한다. 이는 외부에서 입력된 데이터에 해당하는 MBR을 확인하여 데이터베이스(10)에서 해당 MBR(minimum boundary rectangle)을 추출하여 관련 데이터베이스에서 해당부분을 추출하기 위한 역할을 한다.
외부데이터 파일 독출부(410)는 외부 측량데이터 파일을 읽는 역할을 한다. 외부에서 측량된 데이터는 shp, dxf, ngi 등의 형식을 갖는데, 본 발명에서는 외부 측량데이터 파일을 읽어서 갱신해야 할 데이터를 분석할 수 있도록 다양한 파일 포맷의 I/O가 가능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좌표변환부(420)는 독출한 외부 측량데이터의 좌표를 변환한다. 외부에서 측량된 데이터의 좌표계와 최신데이터를 저장해야 하는 기구축된 GIS데이터베이스(10)의 좌표계가 같게 변환시키는 기능으로써 Bessel, GRS80, WGS84, TM, UTM, UTM-K 등 다양한 좌표계로 변환이 가능하다.
데이터비교부(430)는 좌표변환부(420)에서 좌표변환된 외부 측량데이터와, MBR추출부(320)에 의해 기구축 DB(10)로부터 추출된 데이터를 비교한다. 비교 방법은 현재의 파일포맷으로 구축된 GIS 데이터를 독취하여 해당 MBR을 확인하여 데이터베이스의 해당 MBR 영역의 데이터를 추출 후 두 데이터를 비교하여 서로 다른 객체를 추출한다. 이를 위해서 데이터베이스의 데이터는 항상 최신의 상태를 유지하여야 하며 두 객체간의 좌표계가 일치하도록 구성되어야 한다. 두 데이터의 비교 방법은 좌표를 이용한 객체간의 위치비교, 데이터의 길이, 버텍스(vertex)의 개수, 다각형(polygon) 데이터의 경우에는 데이터의 길이, 속성 비교 등을 통해 두 데이터간의 상호 차별성을 찾아 갱신데이터를 추출한다. 두 데이터를 비교시 가장 고려해야 할 사항은 측량방법, 좌표변환의 오차, 데이터 제작자의 오류 등을 고려하여 오차범위의 기준을 정한 후 오차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경우의 데이터는 동일 데이터로 처리할 수 있어야 한다.
엔티티추출부(440)는 갱신해야 할 데이터의 엔티티를 추출하여 분석한 다(150). 이는 외부에서 입력된 데이터의 분석을 하는 기능으로서, 데이터베이스에서 동일 영역의 데이터를 로드(load)하여 좌표, 크기, 길이, 속성, 오차범위 등을 분석하여 갱신되어야 할 객체를 분석한다.
엔티티분류부(450)는 분석 추출된 데이터를 생성, 수정, 삭제 상태에 따라서 분류하는 기능으로서, 최신 데이터의 갱신 및 백업데이터의 이력관리를 위해 데이터베이스(10)에 저장하기 위한 분류를 수행한다.
데이터저장부(330)는 엔티티분류부(450)에서 분류된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10)에 저장한다.
도 5는 도 4에서 설명한 장치에 몇 개의 구성요소가 추가되는 실시예를 나타낸다. 이하의 세 가지 단계는 본 발명에 따른 GIS데이터 최신성 유지장치에 필수적인 구성은 아니지만, 본 발명의 장치를 보다 더 유용하도록 추가가능한 구성요소들의 일례를 든 것이다. 당업자에 의해서 다양한 수단들을 추가하여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검수부(460)는 외부에서 측량된 데이터의 오류를 검출하여 자동으로 수정하는 기능을 담당하는 것으로서, 버텍스의 중복여부, 폴리곤의 겹침여부, 유일식별자의 중복여부, 유일식별자의 누락여부 등을 검수하여 오류 수정을 한다. 이 기능은 데이터의 품질을 향상시키는 것으로서, 엔티티 추출 및 분류 후 데이터베이스(10)에 저장시에 다시 한번 수행할 수도 있다.
메타데이터 입력부(470)는 갱신작업에 대한 이력(갱신자, 갱신방법, 갱신일자 등)을 포함하는 메타데이터가 입력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백업데이터 저장부(480)는 GIS 데이터베이스(10)에 데이터를 저장하여 갱신하는 것과 별도로 기존데이터 및 최신데이터를 저장하여 백업을 하기 위한 역할을 한다.
한편, 도 6은 도 2-5에 나타낸 기본 실시예에서 변형된 실시예에 따른 장치(500)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외부에서 측정된 데이터로부터 갱신하는 것이 아니라, 직접 GIS 데이터베이스(10)에 접속하여 데이터를 독출하여 간략한 수정이나 오류 등의 데이터를 편집할 수 있는 실시예를 나타낸다. 즉, 필요에 따라 수정하고자 하는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읽어서 인접된 다른 레이어(layer)를 레프런스(Reference)(기준데이터) 타입으로 열어 겹침 현상등의 오류를 방지하여 편집, 갱신한다. 이러한 직접갱신은 갱신된 데이터의 백업과 이력관리가 이루어지며 메타데이터로도 관리가 이루어질 수 있다.
도 6과 도 7은 이러한 실시예의 방법 프로세스 흐름도와 장치(500) 구성도를 나타낸다. 전체적으로 도 2-5의 실시예와 유사하며, 데이터베이스(10)에서 직접 갱신하고자 하는 데이터를 독출하는지 여부에서 차이가 있다.
도 6과 도 7을 참조하여 간략하게 설명한다. 우선, 데이터베이스(10)에서 갱신하고자 하는 데이터를 독출하기 위하여 기구축 GIS데이터베이스(10)에 접속한다(200). 이 기능은 DB 접속부(510)가 한다. 갱신데이터 독출부(520)는 데이터베이스(10)에 접속하여 갱신하고자 하는 데이터를 독출한다(210). DB 기준데이터 독출부(530)는 데이터베이스(10)로부터 기준데이터(reference data)를 독출한다(220). 그리고 갱신필요한 데이터를 수정한다(230). 이는 데이터 수정처리부(540)에 의해 이루어진다. 한편, 도 3과 도 5에서처럼 메타데이터 입력부(550)를 통해 메타데이터를 입력하고(240), 엔티티 분류부(560)에 의해서 엔티티를 분류하고(250) 데이터를 저장하여 데이터베이스에 반영한다(260).
도 8은 도 3과 도 6을 함께 결합하여 하나의 프로그램툴로써 본 발명을 적용하는 실시예를 예시한다. 즉, 사용자로 하여금 "외부데이터 입력방식"에 의한 데이터 갱신(610)인지, "직접입력방식"에 의한 데이터 갱신(620)인지 모드를 선택하도록 하여 각각 도 3(또는 도 2)의 방법을 실시하든지, 도 6의 방법을 실시하든지 선택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상에서 구체적인 실시예를 예로 들어 본 발명에 따른 GIS 데이터의 최신성 유지 방법 및 장치의 구성과 작용을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가 상술한 실시예 및 도면 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후속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GIS 데이터의 최신성 유지 방법의 개념설명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GIS 데이터의 최신성 유지 방법의 일실시예의 프로세스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GIS 데이터의 최신성 유지 방법의 다른 실시예의 프로세스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GIS 데이터의 최신성 유지 장치의 일실시예의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GIS 데이터의 최신성 유지 장치의 다른 실시예의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GIS 데이터의 최신성 유지 방법의 또다른 실시예의 프로세스 흐름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GIS 데이터의 최신성 유지 장치의 또다른 실시예의 구성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GIS 데이터의 최신성 유지 방법의 다른 실시예의 구성도

Claims (10)

  1. 외부에서 측량된 새로운 GIS 데이터를 기구축되어 있는 GIS 데이터베이스에서 추출한 데이터와 비교하여 갱신해야 할 데이터를 다시 GIS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여 데이터를 갱신하는 방법으로서,
    GIS 데이터의 최신성 유지 장치에서, 외부 측량데이터 파일을 읽어서, 상기 GIS데이터베이스의 좌표계와 같도록 외부 측량데이터의 좌표계를 변환하는 단계,
    상기 GIS 데이터의 최신성 유지 장치에서, 외부 측량데이터에 해당하는 데이터를 추출하기 위하여 상기 GIS데이터베이스에 접속하는 단계,
    상기 GIS 데이터의 최신성 유지 장치에서, 상기 GIS데이터베이스에 접속하여 MBR(minimum boundary rectangle)을 추출하는 단계,
    상기 GIS 데이터의 최신성 유지 장치에서, 좌표변환된 외부 측량데이터와, 상기 GIS데이터베이스로부터 MBR 추출한 데이터를 비교하는 단계,
    상기 GIS 데이터의 최신성 유지 장치에서, 갱신해야 할 데이터의 엔티티를 추출하여 분석하는 단계,
    상기 GIS 데이터의 최신성 유지 장치에서, 추출 분석된 데이터의 엔티티를 생성인지, 수정인지, 삭제인지의 상태에 따라서 분류하는 엔티티 분류 단계,
    상기 GIS 데이터의 최신성 유지 장치에서, 분류된 엔티티를 상기 GIS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GIS 데이터의 최신성 유지 장치에서, 외부에서 측량된 데이터의 오류를 검출하여 자동으로 수정하는 기능으로서, 버텍스의 중복여부, 폴리곤의 겹침여부, 유일식별자의 중복여부, 유일식별자의 누락여부를 검수하여 오류 수정을 하는 데이터 검수단계(QA),
    상기 GIS 데이터의 최신성 유지 장치에서, 갱신작업에 대한 이력(갱신자, 갱신방법, 갱신일자)을 포함하는 메타데이터가 입력되는 메타데이터 입력단계,
    상기 GIS 데이터의 최신성 유지 장치에서, GIS 데이터베이스에 데이터를 저장하여 갱신하는 것과 별도로 기존데이터 및 최신데이터를 저장하여 백업을 하기 위한 백업데이터 저장단계가 추가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GIS 데이터의 최신성 유지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비교 단계에서의 비교 방법은 현재의 파일포맷 으로 구축된 GIS 데이터를 독취하여 해당 MBR을 확인하여 데이터베이스의 해당 MBR 영역의 데이터를 추출 후 두 데이터를 비교하여 서로 다른 객체를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GIS 데이터의 최신성 유지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엔티티 분석 단계는, 외부에서 입력된 데이터의 분석기능으로서, 데이터베이스에서 동일 영역의 데이터를 로드(load)하여 좌표, 크기, 길이, 속성, 오차범위를 분석하여 갱신되어야 할 객체를 분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GIS 데이터의 최신성 유지 방법.
  4. 삭제
  5. 외부에서 측량된 새로운 GIS 데이터를 기구축되어 있는 GIS 데이터베이스에서 추출한 데이터와 비교하여 갱신해야 할 데이터를 다시 GIS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여 데이터를 갱신하는 장치로서,
    외부 측량데이터 파일을 읽는 외부데이터 파일 독출부,
    외부 측량데이터 파일을 독출하여, 상기 GIS데이터베이스의 좌표계와 같도록 상기 독출한 외부 측량데이터의 좌표계를 변환하는 좌표변환부,
    외부 측량데이터에 해당하는 데이터를 추출하기 위하여 기구축된 GIS데이터베이스에 접속하는 DB접속부,
    외부에서 입력된 데이터에 해당하는 MBR을 확인하여 GIS데이터베이스로부터 MBR(minimum boundary rectangle)을 추출하는 MBR추출부,
    좌표변환부에서 좌표변환된 외부 측량데이터와, MBR추출부에 의해 상기 GIS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추출된 데이터를 비교하는 데이터비교부,
    갱신해야 할 데이터의 엔티티를 추출 및 분석하는 엔티티추출부,
    추출 분석된 데이터의 엔티티를 생성인지, 수정인지, 삭제인지의 상태에 따라서 분류하는 엔티티분류부,
    엔티티분류부에서 분류된 엔티티를 상기 GIS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데이터저장부를 포함하고,
    외부에서 측량된 데이터의 오류를 검출하여 자동으로 수정하되, 버텍스의 중복여부, 폴리곤의 겹침여부, 유일식별자의 중복여부, 유일식별자의 누락여부를 검수하여 오류 수정을 하는 검수부,
    갱신작업에 대한 이력(갱신자, 갱신방법, 갱신일자)을 포함하는 메타데이터가 입력되는 메타데이터 입력부,
    GIS 데이터베이스에 데이터를 저장하여 갱신하는 것과 별도로 기존데이터 및 최신데이터를 저장하여 백업을 하기 위한 백업데이터 저장부가 추가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GIS 데이터의 최신성 유지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비교부는, 현재의 파일포맷으로 구축된 GIS 데이터를 독취하여 해당 MBR을 확인하여 데이터베이스의 해당 MBR 영역의 데이터를 추출 후 두 데이터를 비교하여 서로 다른 객체를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GIS 데이터의 최신성 유지 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엔티티추출부는, 외부에서 입력된 데이터의 분석기능으로서, 데이터베이스에서 동일 영역의 데이터를 로드(load)하여 좌표, 크기, 길이, 속성, 오차범위를 분석하여 갱신되어야 할 객체를 분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GIS 데이터의 최신성 유지 장치.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090013495A 2009-02-18 2009-02-18 Gis데이터의 최신성 유지 방법 및 장치 KR1009417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3495A KR100941771B1 (ko) 2009-02-18 2009-02-18 Gis데이터의 최신성 유지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3495A KR100941771B1 (ko) 2009-02-18 2009-02-18 Gis데이터의 최신성 유지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41771B1 true KR100941771B1 (ko) 2010-02-11

Family

ID=420832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13495A KR100941771B1 (ko) 2009-02-18 2009-02-18 Gis데이터의 최신성 유지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4177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15897A1 (ko) * 2015-12-30 2017-07-06 ㈜리얼타임테크 도로 정보 데이터베이스 구축 및 이동 경로의 탐색 시스템
KR102222093B1 (ko) * 2020-07-23 2021-03-04 주식회사 대국지에스 지아이에스(gis) 기반의 지적원도 이미지 자동 매칭 관리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35392A (ko) * 2001-02-09 2001-05-07 최종엽 위성영상을 활용한 지리정보 제공 방법
KR20020014011A (ko) * 2000-08-12 2002-02-25 이명구 디지털 수치 지도와 이동 통신 단말을 이용한 시설물 관리및 고객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070091473A (ko) * 2006-03-06 2007-09-11 주식회사 현대오토넷 네비게이션의 위상영상을 이용한 도로 지도 업데이트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14011A (ko) * 2000-08-12 2002-02-25 이명구 디지털 수치 지도와 이동 통신 단말을 이용한 시설물 관리및 고객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010035392A (ko) * 2001-02-09 2001-05-07 최종엽 위성영상을 활용한 지리정보 제공 방법
KR20070091473A (ko) * 2006-03-06 2007-09-11 주식회사 현대오토넷 네비게이션의 위상영상을 이용한 도로 지도 업데이트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15897A1 (ko) * 2015-12-30 2017-07-06 ㈜리얼타임테크 도로 정보 데이터베이스 구축 및 이동 경로의 탐색 시스템
KR102222093B1 (ko) * 2020-07-23 2021-03-04 주식회사 대국지에스 지아이에스(gis) 기반의 지적원도 이미지 자동 매칭 관리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Lin et al. Bridge inspection with aerial robots: Automating the entire pipeline of visual data capture, 3D mapping, defect detection, analysis, and reporting
WO2008105611A1 (en) Database auto-building method for link of search data in gis system using cad drawings
CN108830554B (zh) 基于任务模型的数据成果信息质量智能检测方法和系统
US20230015599A1 (en) Data management system, management method, and storage medium
US10262083B2 (en) Data transformation from 3D model of material
CN114968984A (zh) 数字孪生全生命周期管理平台
CN107545043A (zh) 一种基于数据质量检测的数据应用方法及装置
Taraben et al. Methods for the automated assignment and comparison of building damage geometries
CN105930865B (zh) 城市建设用地分类提取及评估方法
CN112685820A (zh) 基于bim和gis的数字化电站交付方法、介质和设备
CN114494274A (zh) 建筑施工评估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US8423951B1 (en) Systems and/or methods for identifying corresponding elements in different models
KR100941771B1 (ko) Gis데이터의 최신성 유지 방법 및 장치
Isailović et al. The future of BIM and bridge management systems
US11593538B2 (en) Verification, modification, and/or validation of an infrastructure design document via improved collaboration between on site devices and remote devices
CN113779261B (zh) 知识图谱的质量评价方法、装置、计算机设备及存储介质
CN112486384B (zh) 审图处理方法及相关装置
CN117312167A (zh) 一种面向低代码平台的自动化测试方法及系统
CN112417687A (zh) 智能审图方法及相关装置
Zygmunt et al. Database inconsistency errors correction, on example of LPIS databases in Poland
Heipke et al. Updating geospatial databases from images
US10055811B2 (en) System and method for generating interactive 2D projection of 3D model
KR101717597B1 (ko) 모바일 기반 정도 관리 시스템
Busch et al. Quality management of ATKIS data
CN110853016A (zh) 一种地形图出版质量自动检查方法及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0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4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