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40895B1 - 태양광 발전장치 - Google Patents

태양광 발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40895B1
KR100940895B1 KR1020080114499A KR20080114499A KR100940895B1 KR 100940895 B1 KR100940895 B1 KR 100940895B1 KR 1020080114499 A KR1020080114499 A KR 1020080114499A KR 20080114499 A KR20080114499 A KR 20080114499A KR 100940895 B1 KR100940895 B1 KR 1009408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sun
change
photovoltaic
lak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144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104248A (ko
Inventor
이영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이브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이브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이브이티
Priority to KR10200801144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40895B1/ko
Publication of KR200801042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1042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408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408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SSOLAR HEAT COLLECTORS; SOLAR HEAT SYSTEMS
    • F24S20/00Solar heat collector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or environments
    • F24S20/70Waterborne solar heat collector modul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20/00Supporting structures for PV modules
    • H02S20/30Supporting structures being movable or adjustable, e.g. for angle adjust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SSOLAR HEAT COLLECTORS; SOLAR HEAT SYSTEMS
    • F24S30/00Arrangements for moving or orienting solar heat collector modules
    • F24S30/40Arrangements for moving or orienting solar heat collector modules for rotary movem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40Solar thermal energy, e.g. solar towers
    • Y02E10/47Mountings or track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otovoltaic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호수에 설치되는 태양광을 이용하여 전기를 발생시키는 태양광 발전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하나의 모습에 따르면, 호수의 공유수면 위에 소정의 면적을 갖도록 구비되며, 상면은 편평하게 형성되고, 하면에는 부유수단이 구비되는 프레임; 프레임 상면에 다수가 배치되며, 광전효과에 의해 광기전력이 의한 전압을 발생시키는 태양광전지판; 및 프레임 하부의 수중에 설치되며, 일단은 프레임에 연결되고 타단은 공유수면바닥에 고정되어 프레임의 부유 이동을 방지하는 고정수단;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여기에서 호수의 수위 변화에 따라 고정수단에 연결된 프레임이 공유수면 위로 부유되도록 높낮이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로 전국에 걸쳐 산재하는 일정면적이상의 호수의 공유수면에 태양광 발전장치를 구성하여 토지자원을 효율적으로 이용하는 동시에 저렴한 비용에 전력을 생산할 수 있는 태양광 발전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태양광 발전장치, 태양광전지판, 스크류

Description

태양광 발전장치{Photovoltaic power generation apparatus}
본 발명은 태양광 발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호수 등의 수면에 설치되어 부유되는 태양광 발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태양광 발전은 태양 빛을 직접 전기에너지로 변환시키는 기술로서 햇빛을 받으면 광전효과에 의해 전기를 발생하는 태양전지를 이용한 발전방식을 말한다. 이러한 태양광 발전장치는 태양전지(solar cell, solar battery)로 구성된 모듈(module)과 축전지 및 전력변환장치로 구성된다.
이러한 태양전지는 태양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할 목적으로 제작된 광전지로서 금속과 반도체의 접촉면 또는 반도체의 pn접합에 빛을 조사(照射)하면 광전효과에 의해 광기전력이 일어나는 것을 이용한 것으로서, 즉, 외부에서 빛이 태양광모듈에 입사되었을 때, p형 반도체의 전도대(conduction band)의 전자(electron)가 입사된 광에너지에 의해 가전자대(valence band)로 여기되고, 이렇게 여기된 전자는 p형 반도체 내부에 한 개의 전자-정공쌍(EHP : electron hole pair)을 생성하 게 되며, 이렇게 발생된 전자-정공쌍 중 전자는 p-n접합 사이에 존재하는 전기장
(electric field)에 의해 n형 반도체로 넘어가게 되어 외부에 전류를 공급하게 된다.
태양전지에는 금속과 반도체의 접촉을 이용한 것으로는 셀렌광전지, 아황산구리 광전지가 있고, 반도체 pn접합을 사용한 것으로는 태양전지로 이용되고 있는 실리콘광전지가 있다.
태양광 발전은 세계적으로 현재 3,000 kW급까지 개발운전 중에 있으며 계속해서 실용화를 위한 효율향상과 대용량화를 위한 연구가 진행 중이다. 한국에는 태양광 발전이 93년부터 10 kW급(충남 호도)이 운전 중이며 2000년대 초에는 1,000kW급 발전시스템이 개발될 전망이다.
이러한 태양광 발전의 경우에는 에너지원이 청정·무제한이고 필요한 장소에서 필요량 발전가능한 점, 유지보수가 용이하다는 점, 무인화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태양광 발전의 경우 여타 다른 화력발전 또는 원자력발전과 달리 전력생산량이 지역별 태양의 일사량에 의존한다는 점, 에너지밀도 낮아 큰 설치면적 필요하다는 점, 태양광 발전시스템 비용이 고가라는 점과 초기투자비와 발전단가 높다는 점이 문제이다.
특히, 종래의 태양광발전장치의 경우는 발전을 위해서는 많은 면적이 소요된다. 그러나 우라나라와 같이 국토의 면적이 한정되어 있는 나라들의 경우에는 토지의 가격이 고가이어서 태양광발전을 위한 토지의 확보가 어려운 실정이다.
또한, 태양의 남중고도는 계절의 변화에 따라 변화한다. 그런 기존의 태양광 발전장치의 경우는 태양의 남중고도의 변화에 따라 정확하게 태양광전지판을 태양과 정면으로 배치하고 있지 못한 실정이다.
이러한 종래의 문제에 따라 호수 등의 수면에 태양광발전장치를 설치하는 것이 제안되었는데, 이 경우에도 종래에는 호수 등의 수면에 부유시키는 경우 바람이나 물결 등에 의해 발전장치가 한 위치에 고정되지 못하였고, 줄과 같은 것으로 고정하더라도 역시 마찬가지 문제가 있었다.
또한, 호수 등의 수면의 수위가 연중의 강수량 등에 의해 변하기 때문에 부유 상의 문제가 생길 수 있고, 또한 부유시키는 경우에 바람이나 물결 등에 의해 이동되거나 방향이 틀어져 제대로 태양 위치에 맞도록 고정시키거나 태양위치를 따라 움직이도록 하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상기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전국에 걸쳐 산재하는 일정면적이상의 호수의 공유수면에 태양광 발전장치를 구성하여 토지자원을 효율적으로 이용하는 동시에 호수 등의 수면의 수위의 변동에 따른 부유 상의 문제를 해결하는 태양광발전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태양의 남중고도의 변화에 따라 태양광전지판의 배치를 변화시켜 효율성을 높여 저렴한 비용에 많은 양의 전력을 생산할 수 있는 태양광 발전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하나로 태양광을 이용하여 전기를 발생시키는 태양광 발전장치에 있어서, 호수의 공유수면 위에 소정의 면적을 갖도록 구비되며, 상면은 편평하게 형성되고, 하면에는 부유수단이 구비되는 프레임; 프레임 상면에 다수가 배치되며, 광전효과에 의해 광기전력이 의한 전압을 발생시키는 태양광전지판; 및 프레임 하부의 수중에 설치되고 프레임에 연결되어 프레임의 부유 이동을 방지하는 고정수단;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여기에서 호수의 수위 변화에 따라 고정수단에 연결된 프레임이 공유수면 위로 부유되도록 높낮이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발전장치가 제안된다.
또한, 고정수단의 일단은 프레임에 연결되고 타단은 공유수면바닥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발전장치가 제안된다.
또한, 고정수단은 프레임에 연결되는 일단과 수중에 설치되어 고정되는 타단이 한 쪽이 다른 쪽에 끼워지게 연결되어 호수의 수위의 변화에 따라 일단에 연결된 프레임이 공유수면 위로 부유되도록 높낮이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발전장치가 제안된다.
또한, 프레임 하면에 구비되어 하루의 태양이동에 따라 태양광전지판의 방향이 태양을 향할 수 있도록 프레임의 방향을 전환시키는 스크류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발전장치가 제안된다.
바람직하게는 또한, 프레임의 상면에 배치되며 자체적으로 공기 또는 물을 자동으로 분사하여 상기 태양광전지판 표면에 부착되는 이물질을 제거하는 세척수단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발전장치가 제안된다.
바람직하게는, 프레임 상면에 구비되며 태양의 남중고도의 변화에 따라 태양광전지판의 각도를 변화시키는 틸팅수단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발전장치가 제안된다.
게다가, 계절의 변화에 따른 태양의 남중고도의 변화에 따라 틸팅수단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장치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제어장치에 의해 태양광전지판의 태양을 향하는 각도를 자동으로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앞선 태양광 발전장치들에 있어서, 부유수단은 파이프 형태의 내부가 빈 탄성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게다가 바람직하게는, 앞선 태양광 발전장치들에 있어서, 프레임은 삼각형, 사각형 또는 육각형 중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구성되고, 프레임의 각 변에는 프레임간에 조립설치가 가능하도록 하는 결합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로 전국에 걸쳐 산재하는 일정면적이상의 호수의 공유수면에 태양광 발전장치를 구성하여 토지자원을 효율적으로 이용하는 동시에 저렴한 비용에 전력을 생산할 수 있는 태양광 발전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종래의 기술에서 제기되는 문제를 해결하는 태양광 발전장치를 제공하게 되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태양의 남중고도의 변화를 나타내는 예시도, 도 2는 계절의 변화에 따른 남중고도 및 낮의 길이의 변화를 나타내는 예시도, 도 3a는 태양의 연주운동 과 황동를 나타내는 예시도, 도 3b는 천구상의 황도의 변화와 적위를 나타내는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의 사시도, 도 5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의 측면도, 도 5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일실시예의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의 사용상태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장소는 상기한 바와 같이 토지보다 비교적 경제적인 호수 등의 공유수면 위에서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는 호수 등의 공유수면 위에 소정의 면적을 갖도록 구비되며, 상면(120)은 편평하게 형성되고, 하면(140)에는 부유수단이 구비되는 프레임(100); 프레임 상면(120)에 다수가 배치되며, 광전효과에 의해 광기전력이 의한 전압을 발생시키는 태양광전지판(200); 및 프레임 하부의 수중에 설치되고 프레임(100)에 연결되어 프레임(100)의 부유 이동을 방지하는 고정수단(70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여기에서 호수의 수위 변화에 따라 고정수단(700)에 연결된 프레임(100)이 공유수면 위로 부유되도록 높낮이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부유수단은 프레임(100)을 호수면 위로 부유되도록 하는 것이면 족하고, 예컨대, 하나의 실시예로 파이프 형태의 내부가 빈 탄성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고정수단(700)은 호수면에 부유된 프레임(100)이 바람이나 물결 등에 의해 부유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하고, 하나의 실시예로, 호수의 바닥에 설치되어 고정될 수 있고, 수중에 설치되어 호수의 외부에 고정되도록 설치될 수도 있다.
고정수단(700)에 연결된 프레임(100)이 호수의 수위변화에 따라 호수면에서 부유되도록 조절되는데, 예컨대, 하나의 실시예로써, 고정수단(700)에 연결되는 프레임(100)의 연결위치의 높낮이가 조절되도록 하거나 프레임(100)에 연결된 고정수단(700)의 높낮이가 조절되도록 할 수 있다.
프레임(100)에 연결된 고정수단(700)의 높낮이가 조절되는 경우, 하나의 실시예로, 고정수단(700)은 프레임(100)에 연결되는 일단과 수중에 설치되어 고정되는 타단이 한 쪽이 다른 쪽에 끼워지게 연결되어 프레임(100)이 공유수면 위로 부유되도록 높낮이가 조절될 수 있다.
또한 하나의 실시예로, 프레임 하면(140)에 구비되어 하루의 태양이동에 따라 태양광전지판(200)의 방향이 태양을 향할 수 있도록 프레임의 방향을 전환시키는 스크류(30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프레임(100)은 본 발명인 태양광발전장치의 몸체의 역할을 하는 부분이다. 즉, 프레임 상면(120)은 편평하게 형성하여 태양광전지판(200)을 설치한다. 이때 프레임 상면(120)은 첨부된 도5a와 같이 내부가 빈 패널의 구조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프레임의 하면(140)은 첨부된 도 5a와 같이 내부가 빈 파이프(150)를 연속적인 격자형으로 구성하여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파이프(150)는 바람직하게는 내부가 빈 형태이되, 재질은 물에 뜰 수 있는 합성수지 또는 얇은 금속파이프로 구성하여 실시하도록 한다.
본 발명은 일정면적이상의 공유수면에서 실시하는 것이므로, 프레임(100)의 평면의 형태를 첨부된 도 4와 같이 실시하는 경우에는 가로세로 각각 10m × 10m 의 크기로 구성하여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경우에는 각각의 프레임(100)간을 연결하여 실시하는 경우에는 가로세로 각각 100m × 100m의 크기로 구성하여 실시할 수 있다. 이때 프레임 하면(140)의 파이프(150)는 첨부된 도 5a와 같이 구성하되 지름이 약 1m가 되게 하여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에 사용하는 태양광전지판(200)은 태양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할 목적으로 제작된 광전지로서 금속과 반도체의 접촉면 또는 반도체의 pn접합에 빛을 조사하면 광전효과에 의해 광기전력이 일어나는 것을 이용한 것을 말한다. 본 발명의 실시에 사용하는 태양광전지판(200)은 바람직하게는 금속과 반도체의 접촉을 이용한 셀렌광전지, 또는 아황산구리 광전지를 사용할 수 있고 실시조건에 따라 반도체 pn접합을 사용한 실리콘광전지를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이 실시에 있어 상기 프레임 하면(140)에 구비되며, 프레임의 방향을 조절하는 스크류(300)를 포함하여 실시할 수 있다. 이때 스크류(300)는 이하에서 설명하는 하루의 태양이동에 따라 태양광전지판(200)의 방향이 태양을 향할 수 있도록 프레임(100)의 방향을 전환시키는 역할을 하는 장치를 말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프레임 상면(120)에 배치되며, 자체적으로 공기분사장 치(420) 또는 물분사장치(440)를 구비하여, 상기 태양광전지판의 표면에 발생하는 이물질을 제거하는 세척수단(400);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서 봄철의 황사 또는 여름철의 장마, 겨울에 눈 등 상기 프레임 상면(120)에 설치되는 태양광전지판(200)에는 먼지 또는 비 눈 등이 쌓이는 경우가 생길 수 있다. 이렇게 된다면 발전량은 줄어들게 되어 효율성이 떨어질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 먼지, 눈 등의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공기분사장치(420) 또는 물분사장치(440)를 구비하고 있는 세척수단(400)을 더 포함하여 실시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프레임 상면(120)구비되며, 태양의 남중고도의 변화에 따라 태양광전지판(200)의 각도를 변화시키는 틸팅수단(500)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본 발명의 실시에 사용하는 틸팅수단(500)은 계절의 변화에 따라 달라지는 태양의 남중고도에 따라 태양광전지판(200)의 각도를 변화시키도록 한 것이다.
여기에서 태양의 남중고도란 태양이 관측자의 남쪽 자오선(정남)에 위치할 때의 고도를 말하는 것으로서, 하루 중 태양의 고도가 가장 높을 때를 말한다. 계절의 변화는 태양의 남중고도와 낮의 길이 변화 때문에 생긴다. 이러한 태양의 남중고도의 변화는 지구의 공전궤도(황도,태양의 연주운동궤도)와 천구의 적도와 약 23.5°기울어져 있기 때문에 나타나는 것으로 위도가 φ인 지점의 적위가 δ가 되는 때의 태양의 남중고도 h는
h = 90°- φ + δ 이다.
여기에서, 적위 δ는 첨부된 도 1 및 도 2와 같이 변화한다. 적위의 변화는 다음 표1과 같다.
구분 춘분점 하지점 추분점 동지점
적경 0h 6h 12h 18h
적위 23.5° -23.5°
적위는 천구의 북극과 남극을 기준으로 하는 적도좌표계에서 천체를 지나는 시간궝을 따라 천구의 적도면에서 천체까지 잰 각(0°~ ±90°)을 말한다.
도 3a는 태양의 남중고도의 변화를 나타내는 그림이고, 도 3b는 계절과 낮의 길이변화를 나타내는 그림이다. 즉,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태양은 동지에는 남중고도가 천정의 남쪽으로 향하여 가장 낮고, 하지에는 남중고도가 천정쪽으로 향하고 이때 가장 높다. 즉, 동지에는 낮의 길이가 가장 짧고 하지에 낮의 길이가 가장 길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이러한 태양의 남중고도의 변화에 따라 태양광전지판(200)의 태양을 향하는 각도를 틸팅수단(500)을 이용하여 실시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계절의 변화에 따른 태양의 남중고도의 변화량에 따라 상기 틸팅수단(500)의 작동을 자동적으로 제어하는 제어장치(600)를 더 포함하여 실시할 수 있다. 즉, 상기 태양광전지판(200)의 태양을 향하는 각도를 자동적으로 조절하도록 함으로써 보다 용이하게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 이러한 제어장치(600)는 상기 태양광전지판(200)의 각도를 조절함에 있어 태양의 남중고도의 변화에 따라서 이를 제어하는 장치이다. 즉, 월일별의 미리 입력된 태양의 남중고도 값에 따라 연산장치 등을 이용하여 상기 태양광전지판(200)의 각도를 조절하는 틸딩수단의 작동을 제어하도록 하는 것이다.
즉, 기억장치에 축적되어 있는 태양의 남중고도의 변화에 따른 일련의 프로그램 명령을 순차적으로 꺼내 이것을 분석·해독하여 각 장치에 필요한 지령 신호를 주고, 장치간의 정보 조작을 제어하는 구실을 하는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프레임의 하면에 형성되는 스크류의 작동도 상기한 바와 같이 태양의 남중고도 및 낮의 길이를 미리 기억장치에 입력하여 태양광전지판의 각도를 제어장치를 통해 자동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을 실시함에는 상기 프레임 하면(140)의 수중(W)에 설치되는 고정수단(700)을 더 포함하여 실시할 있다. 이때, 상기 고정수단 일단(720)은 첨부된 도 6과 같이 상기 프레임(100)에 연결되고, 고정수단 타단(740)은 공유수면바닥(E)에 고정하여 실시할 수 있다.
이러한 고정수단(700)을 이용하여 본 발명을 실시하는 경우에는 바람 등에 의한 호수의 물결에 의해 상기 태양광발전장치(10)가 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고정수단(700)이 있으므로 해서 프로펠러(300)를 이용하여 프레임의 방향의 전환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도 있는 것이다. 다만, 첨부된 도 6은 실시예이므로 실시조건에 따라서는 상기 고정수단(700)의 구성은 자유로이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정수단(700)에 의해 본 발명을 실시하는 경우에는 첨부된 도 6에 에서 상기 고정수단 일단(720)이 타단(740)과 분리되어 호수의 수위의 변화에 따라 프레임의 위치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도면에 미도시). 이는 장마철 또는 가뭄의 경우에 호수의 공유수면의 높이가 변하므로 이를 고려한 것이다. 또한 태양은 지구를 중심으로 할때 북반구에서 동쪽에서 서쪽으로 움직이므로 본 발명의 고정수단(700)의 회전도 동에서 서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을 실시함에는 상기 프레임(100)은 삼각형, 사각형 또는 육각형 중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구성하여 실시할 수 있다(도면에 미도시). 이때 상기 프레임(100)의 각 변에는 첨부된 도 5a 도는 도 5b와 같이 프레임(100)간에 조립설치가 가능하도록 하는 결합구(160)를 형성하여 실시할 수도 있다. 이때 결합구(160)의 결합방식은 첨부된 도 5a와 같이 파이프의 일단 및 끝단을 얇게 형성하고 이들간을 나사결합을 통해 조일 수 있는 결합너트(도면에 미도시)를 구성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결합너트는 공지된 기술인 바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중심으로 구체적으로 설명되었다. 첨부된 도면 및 전술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에 대한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의 이해를 돕기 위해 예시적으로 설명된 것이므로,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그러므로, 전술한 실시 예들은 제한적인 것이 아닌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실시 예들이 아닌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에 따라 해석되어야 하고, 그 범위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한 다양한 변경, 대안, 균등물을 포함한다.
도 1은 태양의 남중고도의 변화를 나타내는 예시도.
도 2는 계절의 변화에 따른 남중고도 및 낮의 길이의 변화를 나타내는 예시도.
도 3a는 태양의 연주운동과 황동를 나타내는 예시도.
도 3b는 천구상의 황도의 변화와 적위를 나타내는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의 사시도.
도 5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의 측면도.
도 5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일실시예의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의 사용상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태양광발전장치 W ; 물
E ; 공유수면바닥
100 ; 프레임 120 ; 프레임 상면
140 ; 프레임 하면 160 ; 결합구
200 ; 태양광전지판
300 ; 스크류
400 ; 세척수단
500 ; 틸팅수단
600 ; 제어장치
700 ; 고정수단 720; 고정수단 일단
740 ; 고정수단 타단

Claims (9)

  1. 태양광을 이용하여 전기를 발생시키는 태양광 발전장치에 있어서,
    호수의 공유수면 위에 소정의 면적을 갖도록 구비되며, 상면은 편평하게 형성되고, 하면에는 부유수단이 구비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 상면에 다수가 배치되며, 광전효과에 의해 광기전력이 의한 전압을 발생시키는 태양광전지판; 및
    상기 프레임 하부의 수중에 설치되며, 일단은 상기 프레임에 연결되고 타단은 공유수면바닥에 고정되어 상기 프레임의 부유 이동을 방지하는 고정수단;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프레임에 연결되는 일단과 수중에 설치되어 고정되는 타단이 한 쪽이 다른 쪽에 끼워지게 연결되어 호수의 수위의 변화에 따라 상기 일단에 연결된 프레임이 공유수면 위로 부유되도록 높낮이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발전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하면에 구비되어 하루의 태양이동에 따라 상기 태양광전지판의 방향이 태양을 향할 수 있도록 프레임의 방향을 전환시키는 스크류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발전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상면에 배치되며 자체적으로 공기 또는 물을 자동으로 분사하여 상기 태양광전지판 표면에 부착되는 이물질을 제거하는 세척수단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발전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하면에 구비되어 하루의 태양이동에 따라 상기 태양광전지판의 방향이 태양을 향할 수 있도록 프레임의 방향을 전환시키는 스크류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발전장치.
  5. 청구항 1 내지 4 중의 어느 하나의 청구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상면에 구비되며 태양의 남중고도의 변화에 따라 태양광전지판의 각도를 변화시키는 틸팅수단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발전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계절의 변화에 따른 태양의 남중고도의 변화에 따라 상기 틸팅수단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장치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제어장치에 의해 상기 태양광전지판의 태양을 향하는 각도를 자동으로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발전장치.
  7. 삭제
  8. 청구항 1 내지 4 중의 어느 하나의 청구항에 있어서,
    상기 부유수단은 파이프 형태의 내부가 빈 탄성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발전장치.
  9. 청구항 1 내지 4 중의 어느 하나의 청구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삼각형, 사각형 또는 육각형 중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구성되고, 상기 프레임의 각 변에는 프레임간에 조립설치가 가능하도록 하는 결합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발전장치.
KR1020080114499A 2008-11-18 2008-11-18 태양광 발전장치 KR1009408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4499A KR100940895B1 (ko) 2008-11-18 2008-11-18 태양광 발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4499A KR100940895B1 (ko) 2008-11-18 2008-11-18 태양광 발전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39818A Division KR100941019B1 (ko) 2007-04-24 2007-04-24 태양광 발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04248A KR20080104248A (ko) 2008-12-02
KR100940895B1 true KR100940895B1 (ko) 2010-02-09

Family

ID=403660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14499A KR100940895B1 (ko) 2008-11-18 2008-11-18 태양광 발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4089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8110B1 (ko) 2010-09-09 2012-03-22 우도영 수면부상식 태양광 발전장치
KR101265771B1 (ko) 2011-09-30 2013-05-30 주식회사 한국피이엠 부유식 태양광 발전장치
WO2013105700A1 (ko) * 2012-01-11 2013-07-18 Woo Do Young 수면부상식 태양광 발전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2904B1 (ko) * 2009-04-08 2010-02-16 우도영 수면부상식 태양광 발전장치
KR200454186Y1 (ko) * 2009-04-24 2011-07-21 (주)지티씨코퍼레이션 기둥 지지형 수상 태양광 발전장치
KR200452268Y1 (ko) * 2009-04-24 2011-02-16 (주)지티씨코퍼레이션 각도조절이 가능한 추 지지형 수상 태양광 발전장치
KR101129632B1 (ko) * 2009-06-02 2012-03-28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에너지 절약형 선박
KR101134524B1 (ko) * 2011-06-24 2012-04-13 우진기업(주) 압착형 부표식 태양광 발전장치
KR101328873B1 (ko) * 2011-12-15 2013-11-13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태양광 에너지를 이용한 양식장용 차양막
FR2988164B1 (fr) * 2012-03-14 2014-04-04 Edmond Balzer Support flottant de panneaux solaires
KR101381980B1 (ko) * 2013-05-28 2014-04-16 주식회사 파워엔지니어링 수자원환경에 적합한 부유식 태양광 발전장치
FR3014830B1 (fr) * 2013-12-16 2017-02-17 Ciel Et Terre Int Dispositif flottant support de panneau photovoltaique
KR101637039B1 (ko) * 2014-02-19 2016-07-07 (주) 그린솔루션 승강식 태양광셀 모듈 고정체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38361U (ko) * 1998-03-24 1999-10-25 이종수 태양광 모듈 설치대의 전지판 회전조절장치
KR20060029301A (ko) * 2004-10-01 2006-04-06 공기천 태양전지 발전 부표형 오염수 처리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38361U (ko) * 1998-03-24 1999-10-25 이종수 태양광 모듈 설치대의 전지판 회전조절장치
KR20060029301A (ko) * 2004-10-01 2006-04-06 공기천 태양전지 발전 부표형 오염수 처리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8110B1 (ko) 2010-09-09 2012-03-22 우도영 수면부상식 태양광 발전장치
KR101265771B1 (ko) 2011-09-30 2013-05-30 주식회사 한국피이엠 부유식 태양광 발전장치
WO2013105700A1 (ko) * 2012-01-11 2013-07-18 Woo Do Young 수면부상식 태양광 발전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04248A (ko) 2008-1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40895B1 (ko) 태양광 발전장치
KR100941019B1 (ko) 태양광 발전장치
Mittal et al. Floating solar photovoltaic systems: An overview and their feasibility at Kota in Rajasthan
KR101003539B1 (ko) 지상용 태양전지 어레이
Choi et al. A study on major design elements of tracking-type floating photovoltaic systems
US20110168235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generating electricity using photovoltaic panels
US11245352B2 (en) Floating photovoltaic module
WO2009105587A2 (en) Solar radiation collection systems
US20120097211A1 (en) Electric power generators and systems comprising same
Khadidja et al. Optimisation of a solar tracker system for photovoltaic power plants in Saharian region, example of Ouargla
KR20130078888A (ko) 태양광 발전장치
JP2020198746A (ja) 太陽光発電装置
Rana A study on automatic dual axis solar tracker system using 555 timer
CN105553411A (zh) 折叠式太阳能供电设备
Gaikwad et al. Evaporation control using floating pv system and canal roof top solar system
Parveen et al. IoT based solar tracking system for efficient power generation
Sun et al. The potential of bifacial photovoltaics: A global perspective
KR101636654B1 (ko) 수상용 태양광 모듈
KR200445230Y1 (ko) 태양광 에너지 수집 판넬 수동 회전장치
Khanna Efficient vertical dual axis solar tracking system
JP2007067176A (ja) 太陽光発電装置
KR101370013B1 (ko) 수상 태양광 발전장치
KR102251708B1 (ko) 태양광 발전장치 및 이를 이용한 태양광 발전 방법
KR20190009895A (ko) 태양광 추적 부유식 발전 시스템
Araki et al. Analysis of shadow by HCPV panels for agriculture applicatio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3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3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30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