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40560B1 - Portable toothbrush sterilizer - Google Patents
Portable toothbrush sterilize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940560B1 KR100940560B1 KR1020060011268A KR20060011268A KR100940560B1 KR 100940560 B1 KR100940560 B1 KR 100940560B1 KR 1020060011268 A KR1020060011268 A KR 1020060011268A KR 20060011268 A KR20060011268 A KR 20060011268A KR 100940560 B1 KR100940560 B1 KR 10094056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oothbrush
- upper case
- toothbrush sterilizer
- cover
- portable toothbrush
- Prior art date
Links
- 230000001954 sterilis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3
- 238000004659 sterilization and disinfec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0
- 230000001681 protective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8
- NJPPVKZQTLUDBO-UHFFFAOYSA-N novaluron Chemical compound C1=C(Cl)C(OC(F)(F)C(OC(F)(F)F)F)=CC=C1NC(=O)NC(=O)C1=C(F)C=CC=C1F NJPPVKZQTLUDBO-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16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4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4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9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3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9
- 230000002070 germicid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2845 discolo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1109 contamin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406 was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9825 accumu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18044 dehyd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6297 dehydr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708 enhanc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286 illumin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035 prolong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3002 synthet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057 synthetic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40034610 toothpaste Drug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606 toothpas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321 ampl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796 beau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140 clea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378 damag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47 decrea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521 gl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199 nucleic acid amplific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8—Radiation
- A61L2/10—Ultraviolet radiation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26—Accessories or devices or components used for biocidal treatment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1—Apparatus for generating biocidal substances, e.g. vaporisers, UV lamp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4—Means for controlling sterilisation processes, data processing, presentation and storage means, e.g. sensors, controllers, program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6—Mobile applications, e.g. portable devices, trailers, devices mounted on vehicl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rushes (AREA)
- Apparatus For Disinfection Or Sterilis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휴대용 칫솔살균기는 살균램프(162)와 터치스위치(164)가 구성된 살균수단(160)을 수납할 수 있는 살균수단수납구(150) 및 건전지수납구(140)가 일측에 형성되어 있는 하부케이스(100a)와; 상기 하부케이스(100a)의 상단에 결합되고, 칫솔이 수납되는 수납공간(210)이 상면(220)에서 하방으로 함몰되게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수납공간(210)은 칫솔(400)의 칫솔모(410)가 수납되고 측면에 자외선토출구(240)가 형성된 칫솔모수납구(212)와 그 하방으로 칫솔대(420)가 수납되는 손잡이수납구(214)로 형성되며, 상면(220) 또는 외주벽(230)의 어느 일측에는 터치스위치(164)의 일부가 돌출되게 삽입되는 돌출공(250)이 형성되어 있는 상부케이스(200a)와; 상기 상부케이스(200a)의 칫솔모수납구(212)에 탈, 부착되며, 일측에 제 2 자외선토출구(510)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칫솔대(420)가 수납 가능하도록 개방부(550)가 형성되어 있는 보호캡(500); 및 상기 상부케이스(200a)의 상방에 위치되고, 내측으로 터치스위치(164)를 눌러주는 누름돌기(340)가 형성되며 개폐 가능하도록 회동되는 커버(300a);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ortable toothbrush steriliz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lower case having a sterilization means storage unit 150 and a battery storage unit 140 configured to accommodate sterilization means 160 including a sterilization lamp 162 and a touch switch 164 on one side. 100a; It is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lower case (100a), the storage space 210, which is stored in the toothbrush is formed to be recessed downward from the upper surface 220, the storage space 210 is brush head 410 of the toothbrush 400 ) Is stored and is formed of a bristle holder (212) having a UV discharge port (240) formed on the side and the handle receiving port (214) is stored below the toothbrush rod 420, any of the upper surface 220 or the outer circumferential wall (230) An upper case 200a having a protruding hole 250 in which a part of the touch switch 164 is inserted to protrude; Attached to and detached from the brush bristles 212 of the upper case 200a, the second ultraviolet discharge port 510 is formed on one side, the opening 550 is formed on the other side to accommodate the toothbrush pole 420. Protective cap 500; And a cover 300a which is located above the upper case 200a and is formed with a push protrusion 340 for pressing the touch switch 164 inward and is rotated to be opened and closed.
칫솔살균장치, 보호캡, 분리형 캡 Toothbrush Sterilizer, Protective Cap, Detachable Cap
Description
도 1은 종래의 칫솔살균기의 분해사시도.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conventional toothbrush sterilizer.
도 2는 종래의 칫솔살균기의 횡 단면도.Figure 2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a conventional toothbrush sterilizer.
도 3은 종래의 칫솔살균기의 종 단면도.Figure 3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of a conventional toothbrush sterilizer.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칫솔살균기에서 보호캡을 분리한 일부 확대 사시도.4 is a partially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the protective cap separated from the portable toothbrush steriliz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칫솔살균기에 보호캡이 장착된 상태의 일부 확대 횡 단면도.Figure 5 is an enlarged horizontal cross-sectional view of a part of the protective cap mounted on the portable toothbrush steriliz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칫솔살균기에 보호캡이 장착된 상태의 종 단면도.Figure 6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protective cap mounted state on a portable toothbrush steriliz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칫솔살균기의 중앙부 종 단면도.Figure 7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central portion of the portable toothbrush steriliz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버튼구조의 일부 확대 분해 사시도.8 is an enlarged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part of the button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9는 도 7에 따른 버튼의 작동상태도로서, 9 is an operating state diagram of a button according to FIG.
9a는 닫힘된 상태도, 9b는 열림되는 상태도.9a is a closed state and 9b is an open state.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커버의 개폐에 의해 터치스위치가 눌림되는 상태를 나타낸 종 단면도.10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touch switch is pressed by opening and closing the co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1은 받침대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종 단면도로서,11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pedestal,
11a는 양측 돌출형이고, 11b는 역경사형.11a is bilaterally projected and 11b is inclined.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상부케이스의 수납공간에 칫솔이 삽입된 평면도.12 is a plan view of the toothbrush inserted into the storage space of the upper ca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칫솔살균기의 투시창 및 반사경을 분리한 사시도이다.FIG. 13 is a perspective view of a perspective window and a reflector separated from the portable toothbrush steriliz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10a : 휴대용 칫솔살균기 100, 100a : 하부케이스10, 10a:
200, 200a : 상부케이스 300, 300a : 커버200, 200a:
500 : 보호캡 600 : 회동부재500: protective cap 600: rotating member
700 : 투시창 800 : 반사경700: viewing window 800: reflector
본 발명은 칫솔의 용이한 수납과 살균램프의 살균효율의 증폭 및 변색의 방지와 함께 심미감을 유발시켜 장시간 사용이 가능하고, 디자인의 다양한 변화를 가질 수 있는 휴대용 칫솔살균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rtable toothbrush sterilizer which can be used for a long time by causing aesthetics with easy storage of the toothbrush and amplification of the sterilization lamp and prevention of discoloration.
일반적으로 휴대용 칫솔살균기는 칫솔의 개별 수납과 함께 내부에 장착된 살균램프를 통해 칫솔모를 살균시켜줌으로써 위생적인 칫솔보관에 사용되는 것이다.In general, a portable toothbrush sterilizer is used for hygienic toothbrush storage by sterilizing the bristles through a sterilization lamp mounted therein with the individual storage of the toothbrush.
도 1은 종래의 칫솔살균기의 분리사시도이고, 도 2는 종래의 칫솔살균기의 단면도이며, 도 3은 칫솔살균기의 평단면도로서,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종래의 칫솔살균기(10)는 하부케이스(100)와, 상기 하부케이스(100)의 상단에 마련되는 상부케이스(200), 및 상기 상부케이스(200)의 상단을 개폐되는 커버(300)로 구성된다.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conventional toothbrush sterilizer, Figure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conventional toothbrush sterilizer, Figure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toothbrush sterilizer, referring to Figures 1 to 3, the
상기 하부케이스(100)는 바닥면(110)과, 상기 바닥면(110)의 외주에 일정 높이 세워지는 외주벽(120)으로 구성되고, 상기 바닥면(110) 상방 중앙에는 걸이공(112)이 관통되게 형성된다.The
또한, 상기 전면 외주벽(120)의 중앙부에는 수평으로 돌출된 지지부재(122)가 형성되고, 후면 양측단 각각에는 힌지돌기(130)가 돌출된다.In addition, the
아울러, 바닥면(110) 후단부에는 휴대용 건전지를 수납 가능하도록 개폐판이 구성된 건전지수납구(140)와, 상기 건전지수납구(140)의 상방에 위치되고, 살균램프(162)와 터치스위치(164)가 구성된 살균수단(160)이 수납되는 살균수단수납구(150)가 형성된다.In addition, the rear end of the
여기에서, 상기 살균수단(160)은 터치스위치(164)가 눌림될 때, 온(ON) 신호가 되어 휴대용 건전지에서 전원을 인가받고 이를 통해 살균램프(162)를 점등시키는 회로가 포함되어 있는 것은 일반적인 기술적 사상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며, 또한 터치스위치(164)의 눌림이 해제되면 오프(OFF)신호가 회로에 전달되고, 이를 통해 휴대용 건전지에서 인가된 전원이 차단됨에 따라 살균램프(162)가 소등되는 것이다.Here, the sterilization means 160, when the
상기 상부케이스(200)는 상면(220)과 상기 상면(220)의 외주 하방으로 세워 지는 외주벽(230)이 형성되고, 상기 외주벽(230)의 전면 중앙부에는 걸림돌기(260)가 돌출된다.The
아울러, 상기 상면(220)에는 하방으로 함몰되어 칫솔(400)의 수납이 가능하도록 수납공간(210)이 형성되며, 상기 수납공간(210)은 칫솔모(410) 부분이 수납되는 칫솔모수납구(212)와, 상기 칫솔모수납구(212) 하방으로 칫솔대(420)가 수납되는 손잡이수납구(214)로 구분된다.In addition, the
특히, 상기 칫솔모수납구(212)의 후방에는 살균램프(162)의 자외선이 토출되는 자외선토출구(240)가 형성된다.In particular, an
또한, 상기 수납공간(210)에 수납되는 칫솔(400)의 유동을 방지하도록 칫솔모수납구(212)와 손잡이수납구(214) 사이에는 지지부재(219)가 구성되며, 상기 지지부재(219)는 후방 양측에 힌지공(310)이 형성되고, 상면의 어느 일측에는 통기공(320)이 형성되며, 전면부 하단 중앙부에는 수평으로 돌출된 열림돌기(330)가 형성되고, 내측 면에는 걸림돌기(260)가 삽입되는 걸림공(350)이 형성된다.In addition, a
아울러, 상기 커버(300)의 내측 어느 일측에는 돌출공(250)을 통해 일부가 돌출된 터치스위치(164)를 누름할 수 있도록 대응되는 위치에 누름돌기(340)가 형성된다.In addition, a
상기와 같이 구성된 칫솔살균기(10)의 결합관계를 보면, 휴대용 건전지 및 살균수단(160)이 수납된 하부케이스(100)의 상방으로 상부케이스(200)를 안착시켜 고정하고, 상기 하부케이스(100)의 양측에 돌출된 힌지돌기(130)로 커버(300)의 힌지공(310)이 삽입되어 힌지 고정되며, 상기 커버(300)가 힌지돌기(130)를 중심으로 회동됨에 따라 상기 상부케이스(200)의 상방을 개폐하게 된다.In the coupling relationship of the
상기와 같은 결합관계를 통해 구성된 칫솔살균기의 사용상태를 보면 다음과 같다.Looking at the state of use of the toothbrush sterilizer configured through the above coupling relationship is as follows.
먼저, 커버(300)를 회동시켜 상부케이스(200)의 상방을 개방하고자 할 경우에는 하부케이스(100)의 지지부재(122)를 한 손으로 파지한 상태에서 다른 한 손으로 열림돌기(330)를 파지한 상태에서 이를 상방으로 들어올린다.First, when the
그러면, 상기 회동력에 의해 상부케이스(200)의 걸림돌기(260)에서 커버(300)의 걸림공(350)이 이탈되고, 상기 커버(300)는 계속적인 회동력에 의해 힌지돌기(130)를 중심으로 회동되어, 상부케이스(200)의 상방을 개방하게 된다.Then, the
따라서, 상기 개방된 상부케이스(200)의 상방을 통해 수납공간(210)으로 칫솔(400)을 수납하거나 빼낼 수 있게 된다.Accordingly, the
한편, 개방된 상부케이스(200)의 상방을 닫힘하고자 할 경우에는 커버(300)에 반대의 회동력을 가하면, 상기 회동력에 의해 상기 커버(300)는 힌지돌기(130)를 중심으로 회동되며, 이 회동력으로 상기 커버(300)는 상부케이스(200)의 상방을 폐쇄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if you want to close the upper side of the open
아울러, 상기 닫힘되는 커버(300)의 내측에는 누름돌기(340)가 형성되고, 이 누름돌기(340)는 상부케이스(200)의 돌출공(250)에 일부가 돌출된 터치스위치(164)를 누른다.In addition, a
더불어, 상기 눌림된 터치스위치(164)에 의해 살균수단(160)은 휴대용건전지에서 전원을 인가받고 이를 통해 살균램프(162)가 점등되며, 상기 점등된 살균램프 (162)에서 방사되는 자외선은 자외선토출구(240)를 통해 칫솔모수납구(212)의 내부를 살균하게 되고, 상기 살균램프(162)는 일정 시간만큼만 점등된다.In addition, by the pressed
따라서, 상부케이스(200)의 수납공간(210)에 수납된 칫솔(400)의 칫솔모(410)를 살균하게 된다.Therefore, the
그러나, 사용이 완료된 칫솔(400)은 특히 칫솔모(410) 부분에는 치약성분이 함유된 다량의 물기가 묻혀있고, 이러한 상태로 칫솔살균기(10)의 수납공간(210)에 수납되면 상기 칫솔모(410)의 물기는 칫솔모수납구(212)의 바닥면에 고이게 되고, 이렇게 고인 물기는 상기 살균램프(162)의 열에너지에 의해 일부는 증발되며, 일부는 화학반응에 의해 상기 칫솔모수납구(212) 바닥면에 증착되고, 나머지 일부는 손잡이수납구(214)로 흘러 바닥면에 증착된다.However, the
따라서, 장시간 사용시 칫솔모수납구(212)와 손잡이수납구(214)가 잔량의 물기에 의해 바닥면을 오염시키게 됨에 따라 살균효과를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Therefore, the
아울러, 상기 오염된 부분을 세척하기 위해서는 칫솔살균기 전체를 물등에 의해 세척하게 되고, 이러한 세척작업시 세척수가 살균램프에 직접 묻히게 되며, 특히 칫솔모수납구의 자외선토출구를 통해 침투되어 상기 하부케이스에 구성된 살균수단 및 휴대용건전지로 유입되고, 이로 인해 칫솔살균기의 고장의 원인을 제공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in order to wash the contaminated portion, the entire toothbrush sterilizer is washed with water and the like, and during this washing operation, the washing water is directly buried in the sterilization lamp, and in particular, the sterilization configured in the lower case is penetrated through the UV discharge port of the brush head storage outlet. Inflow into the means and portable batteries, there was a problem that provides a cause of the failure of the toothbrush sterilizer.
더불어, 살균램프에서 방사되는 자외선에 의해 칫솔모수납구는 내부가 변색 되는 문제점과, 칫솔모수납구에 고인 치약성분이 함유된 물기가 살균램프에서 방사되는 자외선에 의해 화학반응을 일으키게 되며, 이러한 화학반응을 변색시키는 등의 여러 요인을 통해 칫솔모수납구 부분의 변색됨이 뚜렷하게 표출되어, 결국 상품가치를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the bristles of the toothbrush storage is discolored by ultraviolet rays emitted from the germicidal lamp, and the water containing toothpaste components accumulated in the bristles of the bristles will cause a chemical reaction by the ultraviolet rays emitted from the germicidal lamp, discoloring the chemical reaction Discoloration of the bristle bristle part is clearly expressed through various factors, such as to make the product value deteriorate.
한편, 수납된 칫솔과 살균램프의 거리가 지나치게 가까워 사용자의 부주위 또는 충격에 의해 수납공간으로 수납된 칫솔모가 살균램프 표면에 일부가 밀착되어 있을 경우 전원을 인가받은 살균램프에서 열에너지의 방출로 고온으로 상승되나, 물기가 묻혀있는 칫솔모가 밀착된 부분에서는 물기에 의해 저온으로 하강됨에 따라 상기 온도차이에 의해 상기 살균램프가 파손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distance between the stored toothbrush and the sterilization lamp is too close, and the bristles stored in the storage space due to the user's surroundings or impact are in close contact with the surface of the sterilization lamp, the high temperature is caused by the release of heat energy from the applied sterilization lamp. In this case, the sterilization lamp is damaged due to the temperature difference as it is lowered to a low temperature by the water in the part where the bristles are in contact with the water.
그리고, 상부케이스의 걸림돌기에 커버의 걸림공이 걸림되는 걸림 구조에서는 지지부재를 파지한 상태에서 커버의 열림돌기를 들어 올려야하는 불편함과 양손을 모두 사용하여야 하는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in the locking structure in which the locking hole of the cover is caught by the locking protrusion of the upper case, there is a troublesome inconvenience of using both hands and the inconvenience of lifting the opening protrusion of the cover while holding the supporting member.
아울러, 지지부재 및 열림돌기의 돌출 길이에 따라 즉, 돌출길이가 짧을 경우, 파지력이 약해 커버를 회동시키는 회동력이 배가되고, 짧은 길이에 의해 미끄럼의 발생으로 파지력이 약화되어 커버의 개방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otruding length of the support member and the opening protrusion, that is, when the protruding length is short, the holding force is weak and the rotational force for rotating the cover is doubled, and the holding force is weakened due to the occurrence of sliding by the short length, so that the opening of the cover is smooth. There was a problem that is not made.
더불어, 길이가 길게 될 경우 파지력은 배가되나, 충격에 의해 쉽게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고, 특히 돌출부위에 의해 제품의 미려함이 상실됨에 따라 제품 경쟁력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when the length is increased, the gripping force is doubled, there is a problem that is easily broken by the impact, in particular, the beauty of the product is lost by the protruding portion has a problem of lowering the product competitiveness.
한편, 상부케이스의 돌출공에 일부가 돌출된 터치스위치는 커버의 누름돌기 의 눌림에 의해 작동되는데, 이 경우 상기 커버의 닫힘이 완료되지 않은 상태에서 터치스위치가 누름돌기에 의해 눌림되어 살균램프를 작동시키고, 이로 인해 작동된 살균램프의 자외선이 칫솔살균기의 외부로 방사되는 문제점이 있었다.On the other hand, the touch switch protruding part of the protrusion hole of the upper case is operated by pressing the pressing protrusion of the cover, in this case, the touch switch is pressed by the pressing protrusion in the state that the closing of the cover is not completed to sterilize the lamp To operate, there was a problem that the ultraviolet rays of the operated sterilization lamp is emitted to the outside of the toothbrush sterilizer.
특히, 상부케이스의 돌출공을 통해 돌출된 터치스위치는 커버를 개방한 상태에서 누구나 상기 터치스위치를 누를 수 있고, 더불어 어린이들이 호기심의 유발로 상기 돌출된 터치스위치를 눌러줌으로써, 점등되는 살균램프에서 방사되는 자외선에 의해 상해를 입을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In particular, the touch switch protruding through the protrusion hole of the upper case, anyone can press the touch switch while the cover is open, and in addition, in the sterilization lamp that is lit by the children pressing the protruding touch switch to induce curiosity There is a problem that can be injured by the ultraviolet light emitted.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제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칫솔모가 수납되는 칫솔모수납구에 탈, 부착이 가능한 보호캡을 구성하여, 상기 보호캡의 탈, 부착에 의해 청결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세척의 용이성과 이로 인해 장시간 사용에 따른 변색을 방지하는 휴대용 칫솔 살균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As propo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configure a protective cap that can be detached, attached to the bristle holder receiving the bristles, the cleaning can be maintained by the removal, attachment of the protective cap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ortable toothbrush sterilizer which prevents discoloration due to prolonged use.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보호캡의 개방부에 경계단턱을 형성하여, 상기 경계단턱에 의해 보호캡의 바닥면에 고인 물기가 손잡이수납구로 흘러들어감을 방지함에 따라 상기 손잡이수납구의 오염이 최소화되도록 하는 휴대용 칫솔 살균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form a boundary step in the opening of the protective cap, to prevent contamination of the handle holder by minimizing the water accumulated in the bottom surface of the protective cap by the boundary step into the handle opening. To provide a portable toothbrush sterilizer.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부케이스의 바닥면과 보호캡의 바닥면에 다수의 배출공을 형성하여, 상기 보호캡의 바닥면에 모아진 물기가 상기 배출공을 통해 외부로 배수됨에 따라 상기 보호캡의 바닥면이 오염됨을 최소화하는 휴대용 칫솔 살균 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form a plurality of discharge holes in the bottom surface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protective cap of the upper case, the water collected in the bottom surface of the protective cap is drain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discharge hole of the protective cap It is to provide a portable toothbrush sterilizer which minimizes contamination of the floor.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걸림단턱에 걸림된 걸림돌기를 회동부재의 회동력 만으로 걸림단턱에서 용이하게 걸림돌기를 이탈시켜 커버를 개방할 수 있는 사용의 간편성을 가지는 휴대용 칫솔살균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ortable toothbrush sterilizer having the simplicity of use which can easily open the cover by leaving the locking projections easily at the locking step by the rotational force of the rotating member.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별도의 돌출길이를 가지는 지지부재 및 열림돌기가 불필요하게 됨에 따라 휴대용 칫솔살균기의 미련한 디자인이 가능함에 따라 제품 경쟁력을 강화하는 휴대용 칫솔살균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ortable toothbrush sterilizer for enhancing the product competitiveness, as the support member and the opening protrusion having a separate protruding length are unnecessary, so that the design of the portable toothbrush sterilizer is possible.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부케이스의 돌출공으로 터치스위치의 일부가 돌출되지 않고 함몰되게 형성되어 있어, 인위적으로 터치스위치가 작동됨을 방지하고, 커버를 닫을 때에만 터치스위치가 작동됨에 따라 살균램프에서 방사되는 자외선에 의해 상해를 입는 것을 예방하는 휴대용 칫솔살균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protrusion hole of the upper case is formed so as not to protrude a portion of the touch switch, to prevent the operation of the touch switch artificially, radiating from the sterilization lamp as the touch switch is operated only when the cover is closed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ortable toothbrush sterilizer which prevents injuries caused by ultraviolet rays.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칫솔모수납구의 바닥면에 일정 높이 상승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받침대를 형성하여, 상기 받침대를 통해 칫솔모가 바닥면에서 일정 높이 상승된 위치를 가짐에 따라 칫솔모에 묻힌 물기의 빠른 탈수로 인해 살균효과가 증진되도록 하는 휴대용 칫솔살균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form at least one or more pedestal which is raised to a certain height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bristle storage opening, through the debris as a quick dehydration of the bite buried in the bristles having a position raised to a certain height from the bottom surface It is to provide a portable toothbrush sterilizer to increase the sterilization effect.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칫솔모삽입구가 위치되는 커버의 상면에 반투명체의 투시창 및 그 하방에 반사경을 구성하여 자외선램프의 불빛이 상기 반투명체로 투시되는 심미감과 반사경에 의한 사용의 편리성을 증폭하는 휴대용 칫솔살균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configure a viewing window of the translucent body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over in which the bristle insertion opening is located and a reflecting mirror below the portable toothbrush to amplify the aesthetics and the convenience of use by the reflector that the light of the ultraviolet lamp is projected into the translucent body To provide a sterilizer.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칫솔대가 수납되는 손잡이수납구에 제3배출공을 형성 하여, 칫솔대에 묻혀 있거나, 손잡이수납구로 흘러들어온 물이 배수될 수 있도록 하는 휴대용 칫솔살균기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ortable toothbrush sterilizer to form a third discharge hole in the handle storage port that is stored in the toothbrush bar, so that the water that is buried in the toothbrush bar, or flowed into the handle storage port can be drained.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휴대용 칫솔살균기는 살균램프와 터치스위치가 구성된 살균수단을 수납할 수 있는 살균수단수납구 및 건전지수납구가 일측에 형성되어 있는 하부케이스와; 이 하부케이스의 상단에 결합되고, 칫솔이 수납되는 수납공간이 상면에서 하방으로 함몰되게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수납공간은 칫솔의 칫솔모가 수납되고 측면에 자외선토출구가 형성된 칫솔모수납구와 그 하방으로 칫솔대가 수납되는 손잡이수납구로 형성되며, 상면 또는 외주벽의 어느 일측에는 터치스위치의 일부가 돌출되게 삽입되는 돌출공이 형성되어 있는 상부케이스와; 이 상부케이스의 칫솔모수납구에 탈, 부착되며, 일측에 제 2 자외선토출구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칫솔대가 수납가능하도록 개방부가 형성되어 있는 보호캡; 및 상기 상부케이스의 상방에 위치되고, 내측으로 터치스위치를 눌러주는 누름돌기가 형성되며 개폐 가능하도록 회동되는 커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ortable toothbrush sterilizer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lower case having a sterilization means storage port and a battery storage port that can accommodate a sterilization means consisting of a sterilization lamp and a touch switch; It is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lower case, the storage space in which the toothbrush is stored is formed to be recessed downward from the upper surface, the storage space is the bristle of the toothbrush is stored and the toothbrush rod is formed below the UV discharge port on the side An upper case which is formed of a handle receiving port to be received and has a protruding hole formed at one side of the upper surface or the outer circumferential wall to protrude a part of the touch switch; A protective cap which is detached and attached to the bristle storage opening of the upper case, and a second ultraviolet discharge port is formed at one side, and an opening is formed at the other side to accommodate the toothbrush bar; And a cover positioned above the upper case and formed with a pressing protrusion for pressing the touch switch inward, and rotated to open and close.
본 발명에 있어서, 보호캡에는 바닥면에서 일정 높이 상승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 2 받침대가 형성되고, 상기 제 2 받침대는 일정높이를 가지고 양측 끝단이 상호 마주보는 기울기의 경사면이 형성된 양측 돌출형 또는 제 2 자외선토출구가 형성된 측에서 타측 방향으로 하향되는 기울기의 경사면이 형성된 역경사형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protective cap is formed with at least one or more second pedestal which is raised at a certain height from the bottom surface, the second pedestal has a predetermined height and both sides protruding or formed on the inclined surface of the inclined sides facing each other end 2 It is preferable that the inclined surface is formed in the inclined slope formed downward in the other direction from the side where the UV discharge port is formed.
본 발명에 있어서, 보호캡의 개방부에는 바닥면에서 일정 높이 상승된 경계단턱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opening of the protective cap is preferably formed a boundary step raised from the bottom surface a certain height.
본 발명에 있어서, 하부케이스의 바닥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걸이공이 형성되고; 상부케이스의 수납공간에 배출공이 다수 형성되어 있으며; 보호캡의 바닥면에 다수의 제 2 배출공;이 더 형성됨이 바람직하다.In the present invention, at least one hook hole is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lower case; A plurality of discharge holes are formed in the storage space of the upper case; A plurality of second discharge holes in the bottom surface of the protective cap; is preferably formed further.
본 발명에 있어서, 하부케이스의 전면 중앙부에는 공간부가 형성되고; 상부케이스의 전면 중앙부에는 공간부가 형성되고, 상기 공간부의 양측단 각각에서 돌출되는 회동돌기, 및 그 후방에 걸림단턱이 형성되며; 커버의 전면 내측 중앙에는 하방으로 돌출되는 걸림돌기가 걸림단턱과 걸림 가능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걸림돌기 양측 각각에 지지돌편이 형성되며; 상기 하부케이스의 공간부와 상부케이스의 공간부에 위치되고, 중앙에 걸림단턱과 걸림돌기에 간섭됨을 방지하도록 삽입공간이 형성된 수평바와 이 수평바의 전면에 수직으로 세워지는 수직바, 및 상기 수평 및 수직바 양측단에 상부케이스의 회동돌기에 삽입 가능하도록 일측이 개방된 힌지공이 형성된 회동부재;가 더 구성됨이 바람직하다.In the present invention, a space portion is formed in the front center portion of the lower case; A space portion is formed at the front center portion of the upper case, a pivoting protrusion protruding from each of both side ends of the space portion, and a locking step jaw formed at the rear thereof; A locking projection protruding downward from the front inner center of the cover is formed to be able to be engaged with the locking step jaw, and support protrusions are formed at each of both sides of the locking projection; Located in the space portion of the lower case and the space portion of the upper case, a horizontal bar having an insertion space formed in the center to prevent interference with the locking step and the locking projection, and a vertical bar standing vertically in front of the horizontal bar, and the horizontal and Rotating member is formed with a hinge hole is open at one side so as to be inserted into the rotating projection of the upper case on both side ends of the vertical bar.
본 발명에 있어서, 살균수단의 터치스위치는 상부케이스의 돌출공에 돌출되지 않는 길이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touch switch of the sterilization means is preferably formed to a length that does not protrude in the protrusion hole of the upper case.
본 발명에 있어서, 커버는 일부 또는 전체가 반투명체로 형성되며, 상기 커버의 상면에는 반사경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ver is partially or entirely formed of a translucent body, it is preferable that a reflecting mirror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over.
본 발명에 있어서, 상부케이스의 수납공간 바닥면에는 삽입공이 통공되어 있고; 이 삽입공에 일단이 삽입 고정되고, 칫솔대의 고정이 용이하도록 홀더가 구성 되는바, 상기 홀더는 중앙부에 삽입공간이 형성되도록 양측에 세워지고 일측으로 비틀린 기울기를 가진 사선형으로 형성되는 지지편과, 이 지지편의 하단에 형성되고 삽입공에 삽입고정되는 고정편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insertion hole is through the bottom of the storage space of the upper case; One end is inserted and fixed in the insertion hole, the holder is configured to facilitate the fixing of the toothbrush bar, the holder is a support piece which is formed on the two sides and formed in an oblique shape with a tilted to one side to form an insertion space in the center and , It is preferably formed of a fixing piece which is formed at the bottom of the support piece and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고, 종래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detail as follow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for the same configuration as the prior art and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4는 휴대용 칫솔살균기에서 보호캡을 분리한 일부 확대 사시도이고, 도 5는 휴대용 칫솔살균기에 보호캡이 장착된 상태의 일부 확대 횡 단면도이며, 도 6은 휴대용 칫솔살균기에 보호캡이 장착된 상태의 일부 확대 종 단면도이고, 도 7은 휴대용 칫솔살균기의 종 단면도이며, 도 8은 버튼구조의 일부 분해 확대 사시도이고, 도 9는 버튼구조의 작동상태도로서, 9a는 닫힘된 상태도, 9b는 열림되는 상태도이며, 도 10은 커버의 개폐에 의해 터치스위치가 눌림되는 상태를 나타낸 종 단면도이고, 도 11은 받침대의 실시예를 도시한 확대 단면도이며, 도 12는 상부케이스의 수납공간에 칫솔이 수납된 평면도이고, 도 13은 휴대용 칫솔살균기의 투시창 및 반사경을 분리한 사시도이다.Figure 4 is a partially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the protective cap removed from the portable toothbrush sterilizer, Figure 5 is a partially enlarged horizont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portable toothbrush sterilizer is equipped with a protective cap, Figure 6 is a portable toothbrush sterilizer is equipped with a protective cap 7 is a partially enlarged longitudinal sectional view of the portable toothbrush sterilizer, FIG. 8 is a partially exploded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the button structure, FIG. 9 is an operating state diagram of the button structure, 9a is a closed state, and 9b is open 10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touch switch is pressed by opening and closing the cover, Figure 11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pedestal, Figure 12 is a toothbrush in the storage space of the upper case FIG. 13 is a perspective view of a perspective window and a reflecting mirror of a portable toothbrush sterilizer separated from each other. FIG.
칫솔살균기(10a)는 내측에 살균수단(160)과 휴대용 건전지가 수납되는 하부케이스(100a)와, 상기 하부케이스(100a)의 상단을 커버하도록 결합되고 수납공간(210)이 형성된 상부케이스(200a), 및 상기 상부케이스(200a)의 상단에 마련되어 개폐되는 커버(300a)로 구성된다.The
상기 하부케이스(100a)는 바닥면(110)과, 상기 바닥면(110)의 외주에 세워지는 외주벽(120)이 형성되고, 내측 후방 하측에는 휴대용 건전지를 수납할 수 있는 개폐판이 구성된 건전지수납구(140)와, 그 상측으로 살균램프(162)와 터치스위치(164)가 구성된 살균수단(160)이 수납되는 살균수단수납구(150)가 형성되고, 특히 상기 살균수단(160)의 터치스위치(164)는 상부케이스(200a)가 결합될 때 상부케이스(200a)의 돌출공(250)을 통해 외부로 돌출되지 않는 길이를 가짐이 바람직하다.The
아울러, 바닥면(110) 상방 중앙부에는 걸이공(112)이 관통되게 형성되고, 도 8을 참조하면, 외주벽(120) 전면 중앙부에는 회동부재가 삽입되는 공간부(124)가 형성된다.In addition, the
물론, 하부케이스(100a)의 후방 양측에는 힌지돌기(130)가 돌출 형성된다.Of course, hinge
상부케이스(200a)는 상면(220)과 상기 상면(220)의 외주 하방으로 세워지는 외주벽(230)이 형성되며, 상기 상면(220)에는 하방으로 함몰되게 형성되는 수납공간(210)이 형성되고, 상기 상면(220) 또는 외주벽(230)의 일측에는 터치스위치(164)가 위치되는 부분에 돌출공(250)이 관통되게 형성된다.The
그리고, 상기 수납공간(210)은 칫솔(400)의 칫솔모(410)가 삽입되는 칫솔모수납구(212)와 그 하방으로 칫솔대(420)가 수납되는 손잡이수납구(214)로 구분된다.The
아울러, 상기 칫솔모수납구(212)의 후방 즉, 칫솔모(410)와 대응되는 측면에는 살균램프(162)에서 방사되는 자외선이 외부로 방사되도록 자외선토출구(240)가 형성되어 있다.In addition, the
도 8을 참조하면, 외주벽(230)의 전면 중앙부에는 회동부재가 위치되도록 공간부(232)를 가지고, 상기 공간부(232)의 양측단에는 회동돌기(264)가 각각 돌출 형성되어 있으며, 그 후방 중앙에는 걸림단턱(262)이 형성된다.Referring to FIG. 8, the front center portion of the outer
도 4를 참조하면, 칫솔모수납구(212)의 바닥면에는 다수의 배출공(216)과 칫솔모(410) 및 칫솔대(420)를 받침하는 받침대가 적어도 하나 이상이 형성된다.Referring to FIG. 4, at least one or more pedestals supporting the plurality of discharge holes 216, the
상기 받침대는 칫솔모(410)가 바닥면에서 일정 높이 상승되도록 일자형(272)과 도 11a, 11b를 참조하면, 일정높이 상승되고 양측단이 상호 대칭되는 기울기로 마주보게 형성된 양측 돌출형(274) 및 칫솔모(410) 끝단을 상승시키고, 칫솔대(420)측으로 하향되는 기울기로 형성된 역경사형(276)을 선택적으로 사용함이 바람직하다.Referring to FIGS. 11A and 11B, the pedestal has a
이는 물기가 묻어있는 칫솔모(410)가 칫솔모수납구(212)에 수납될 때 상기 받침대에 의해 칫솔모(410)가 바닥면에서 일정 높이 상승된 상태를 유지하고, 이로 인해 칫솔모(410)에 묻어 있는 물기가 칫솔모수납구(212)의 바닥면으로 빠른 탈수 및 바닥면에 고인 물기가 칫솔모에 묻어지는 것을 방지하며, 더불어 살균램프(162)와 동일선상에 칫솔모가 위치되어, 자외선의 직사로 조사됨에 따라 살균효율을 향상시키는 것이다.This is when the bristle bristle 410 is stored in the
또한, 손잡이수납구(214)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3배출공(217)이 형성되어 칫솔대(420) 또는 칫솔모수납구(212)에서 흘러들어 오는 물기가 상기 제3배출공(217)을 통해 배출될 수 있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at least one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수납공간(210)의 칫솔모수납구(212)와 손잡이수납구(214) 사이에는 칫솔(400)의 수납시 안정적인 고정이 이루어지도록 탄상체인 홀더(280)가 구성된다.Referring to FIG. 4, a
도 12를 참조하면, 상기 홀더(280)는 양측에 세워지는 지지편(282)과 상기 지지편(282)의 하단에 고정편(284)이 형성되어, 상기 지지편(282) 내측으로 칫솔대(420)가 안착되고, 상기 고정편(284)은 수납공간(210)의 바닥면에 형성된 삽입공(218)에 끼움 고정된다.Referring to FIG. 12, the
특히, 상기 홀더(280)의 지지편(282)은 수평식이 아닌 일측으로 비틀어진 사선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지지편(282)에 삽입되는 칫솔대(420)의 비틀린 기울기와 유사하여, 삽입 및 고정력이 증폭되도록 형성함이 바람직하다.In particular, the
물론, 상기 홀더(280)는 자체 탄성력을 가진 연질의 고무재 또는 합성수지재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Of course, the
즉, 도 12에서 A부는 칫솔대의 비틀린기울기와 유사한 비틀린 기울기로 형성된 사선형의 홀더를 통해 상기 칫솔대가 안정적으로 고정됨을 확인할 수 있으며, B부는 종래의 수평식 홀더에 비를린 기울기를 가진 칫솔대가 안착될때, 상기 칫솔대의 기울기에 의해 상기 홀더의 지지편들이 벌어져 있어 고정력이 저하됨을 알 수 있다. That is, in Fig. 12, A portion may be that the toothbrush body check reliably fixed through the four linear of the holder formed of the twisted slope is similar to the twisted slope of the toothbrush body, B portion is a toothbrush body having a slope lean the ratio to the conventional horizontal holder When it is seated, it can be seen that the support pieces of the holder are opened due to the inclination of the toothbrush bar, thereby decreasing the fixing force.
상기 커버(300a)는 후방 양측단에 힌지공(310)이 형성되고, 상면에 다수의 통기공(320)이 형성되며, 내측 후방에 누름돌기(340)가 돌출 형성된다.The
도 8을 참조하면, 전면 중앙부에는 하방으로 돌출되는 걸림돌기(362)와, 상 기 걸림돌기(362)의 양측 각각에 지지돌편(364)이 형성되되, 상기 지지돌편(364)은 커버(300a)의 하단면과 수평면을 가짐이 바람직하다.Referring to FIG. 8, the front protrusion has a locking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상부케이스(200a)의 칫솔모수납구(212)에는 탈, 부착되는 보호캡(500)이 구성되며, 상기 보호캡(500)은 상부가 개방된 컵 형태로 일측면에 제 2 자외선토출구(510)가 형성되고, 바닥면(520)에는 다수의 제 2 배출공(530)과 제 2 받침대가 형성되고, 칫솔(400)의 수납이 원활하도록 일측면에 개방부(550)가 형성된다.4 to 6, the brush bristle 212 of the
아울러, 상기 제 2 배출공(530)은 칫솔모수납구(212)에 형성된 배출공(216)과 동일한 수직선상에 위치됨이 바람직하고, 상단은 넓고 하단이 좁아지는 형상인 카운터싱크 형상으로 형성됨이 더욱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또한 제 2 받침대는 칫솔모수납구(212)에 선택적으로 형성되는 받침대와 동일한 형상으로 즉, 일자형(542)과 양측 돌출형(544) 및 역경사형(546)으로 형성되며, 이 경우 저면이 개방된 내측으로 함몰부를 형성하여 상기 함몰부로 받침대가 삽입되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second pedestal is formed in the same shape as the pedestal selectively formed in the
그리고, 상기 개방부(550)에는 바닥면(520)에 고인 물기가 손잡이수납구(214)로 흘러들어감을 방지하도록 일정 높이를 가지는 경계단턱(560)이 형성되며, 상기 경계단턱(560)의 높이는 칫솔대(420)의 저면에 닿지않는 높이를 가짐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a
도 8을 참조하면, 회동부재(600)는 중앙부에 삽입공간(612)이 형성된 수평바(610)와, 상기 수평바(610)의 전면에 하방으로 세워지는 수직바(620)와, 상기 수평 및 수직바(610)(620)가 맞닿는 양측단에는 힌지공(614)이 형성되고, 상기 수직바(620)의 전면 하측에는 미끄럼방지돌기(622)가 형성되어 있다.Referring to FIG. 8, the rotating
도 13을 참조하면, 커버(300a)의 상면에는 투시창(700) 및 반사경(800)이 구성된다.Referring to FIG. 13, a
상기 투시창(700)은 하단에 걸림부재(710)가 형성된 반투명체로 형성됨이 바람직하고, 상기 투시창(700)이 위치되는 커버(300a)의 상면에는 내주에 걸림단턱(372)이 형성된 삽입공간(370)이 형성되어, 상기 걸림단턱(372)의 상단에 투시창(700)이 안착되고, 상기 투시창(700)의 걸림부재(710)가 커버(300a)의 삽입공간(370)을 통해 걸림단턱(372)의 저면에 걸림되어 고정된다.The see-through
아울러, 상기 커버(300a)에 형성되는 삽입공간(370)은 칫솔모수납구(212)가 형성된 상방에 형성됨이 바람직한 것으로, 이는 칫솔모수납구(212)에 형성된 자외선토출구(240)를 통해 방사되는 살균램프(162)의 조명이 상기 투시창(700)의 반투명체에 의해 투시됨에 따라 심미감이 유발되도록 하기 위함이다.In addition, the
또한, 상기 투시창(700)의 하방에는 반사경(800)이 구성되고, 상기 반사경(800)은 거울과 동일한 목적을 가지며, 재질에 따라 유리재 또는 합성수지재 및 금속 등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a reflecting
경우에 따라서는 커버(300a) 전체를 반투명체로 형성할 수 있고, 상기 커버(300a)의 상면에 반사경(800)을 부착하여 사용할 수도 있는 것이다.In some cases, the
다시 말해서, 휴대용 칫솔살균기(10a)는 살균램프(162)가 구성된 살균수단 (160)과 휴대용 건전지가 수납된 하부케이스(100a)의 상부로 내부에 칫솔(400)의 수납공간(210)이 형성된 상부케이스(200a)가 고정 결합되고, 상기 하부케이스(100a)의 힌지돌기(130)로 커버(300a)의 힌지공(310)이 삽입되어, 상기 힌지돌기(130)를 중심으로 회동되어 상부케이스(200a)의 상방을 개폐하는 것이다.In other words, the
아울러, 상기 상부케이스(200a)의 칫솔모수납구(212)에는 보호캡(500)이 부착되어 있고, 전면 중앙에는 상부케이스(200a)의 회동돌기(264)에 끼움된 회동부재(600)가 결합되어 있다.In addition, a
또한, 커버(300a)의 상면에는 투시창(700) 및 반사경(800)이 구성되어 있다.In addition, a
상기와 같이 구성된 휴대용 칫솔살균기의 사용상태를 보면 다음과 같다.Looking at the state of use of the portable toothbrush sterilizer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are as follows.
먼저, 커버(300a)를 열고자 할 경우에는, 도 9a 및 도 9b를 참조하면, 휴대용 칫솔살균기(10a)의 전면에 위치된 회동부재(600)를 누른다.First, when the
이때, 상기 회동부재(600)의 수직바(620) 하단에 형성된 미끄럼방지돌기(622)가 위치 부분에 누름력을 가함이 바람직하며, 상기 누름력에 의해 상기 회동부재(600)는 회동돌기(264)를 중심으로 회동되고, 이 회동력에 의해 수평바(610)의 상면에 밀착된 지지돌편(364)를 상승시킨다.At this time, the
아울러, 지지돌편(364)의 상승력에 의해 커버(300a)의 중앙부에 형성된 걸림돌기(362)는 상부케이스(200a)의 걸림단턱(262)에서 강제 이탈됨에 따라 걸림력이 해제되고, 이러한 걸림력 해제로 용이하게 상기 커버(300a)를 회동 개방시킬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the locking
상기와 같이 개방된 상부케이스(200a)를 통해 수납된 칫솔(400)를 빼내어 사용하고, 사용이 완료된 칫솔(400)을 수납공간(210)에 수납한 후, 커버(300a)를 닫고자 할 경우를 보면 다음과 같다.When the
먼저, 사용이 완료된 칫솔(400)을 수납공간(210)에 수납시키되, 상기 수납공간(210)에 마련된 홀더(280)의 지지편(282) 중앙 개방부로 칫솔(400)을 삽입시키고, 이때 상기 지지편(282)은 칫솔(400)의 기울기와 동일한 기울기를 가짐에 따라 상기 칫솔(400)의 고정력이 증폭된다.First, the used
아울러, 상기 수납공간(210)의 칫솔모수납구(212)에 위치되는 칫솔모(410)는 상기 칫솔모수납구(212)에 부착된 보호캡(500)의 바닥면(520)에서 일정 높이 상승된 제 2 받침대에 의해 받침되고, 이를 통해 칫솔모(410)에 묻어있는 물기는 하향으로 탈수되어 바닥면(520)에 고이게 된다.In addition, the
또한, 상기 바닥면(520)에 고인 물기는 제 2 배출공(530)과, 상기 제 2 배출공(530)과 연통된 배출공(216)으로 배수됨과 동시에 하부케이스(100a)의 걸이공(112)을 통해 외부로 완전 배수된다.In addition, the water accumulated on the
그리고, 상기 바닥면(520)에 배수가 되지 못한 물기는 이후 살균램프(162)의 열에 의해 건조되는 것으로, 종래에는 일부가 손잡이수납구(214)로 흘러들어가는 경우가 있었지만, 보호캡(500)의 경계단턱(560)에 의해 물기가 상기 손잡이수납구(214)로 흘러들어감을 방지한다.And, the water that is not drained to the
한편, 상기 수납공간(210)에 칫솔(400)의 수납이 완료된 후 커버(300a)을 회동시키면, 상기 커버(300a)의 걸림돌기(362)가 걸림단턱(262)에 위치되고, 이때 힘 을 배가하면 상기 걸림돌기(362)의 양측에 마련된 지지돌편(364)이 회동부재(600)의 수평바(610)를 누르게 된다.On the other hand, if the
상기 눌림력을 받은 회동부재(600)는 회동돌기(264)를 중심으로 열림방향의 역방향으로 회동되고, 상기 회동부재(600)의 개방부(550)로 걸림돌기(362)가 삽입되면서 후방의 걸림단턱(262)에 걸림됨에 따라 상기 커버(300a)는 닫힘이 완료된다.The rotating
아울러, 상기 닫힘되는 커버(300a)의 누름돌기(340)는 상부케이스(200a)의 상면(220) 또는 외주벽(230)에 형성된 돌출공(250)으로 삽입되고, 상기 돌출공(250)에 함몰되는 위치에 구성된 터치스위치(164)를 누른다.In addition, the
또한, 상기 눌림된 터치스위치(164)의 작동에 의해 살균수단(160)의 일측에 마련된 살균램프(162)는 보호캡(500)에 수납된 칫솔모(410)를 살균하게 되고, 상기 칫솔모(410)는 보호캡(500)의 제 2 받침대(520)에 의해 일정 높이 상승됨에 따라 살균램프(162)의 자외선이 직사로 조사됨에 따라 살균효율이 증폭된다.In addition, the
더욱이 상기 닫힘된 커버(300a)의 상면에는 반투명체인 투시창(700)과 반사경(800)이 구성되어, 살균램프(162)의 점등으로 상기 투시창(700)을 통해 살균램프(162)의 조명이 반 투시됨에 따라 심미감을 유발시키는 효과가 있다.Furthermore, the upper surface of the closed cover (300a) is composed of a semi-transparent see-through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휴대용 칫솔살균기는 칫솔모가 수납되는 칫솔모수납구에 탈, 부착이 가능한 보호캡을 더 구성하여, 상기 보호캡의 탈, 부착에 의 해 청결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세척의 용이성과 이로 인해 장시간 사용에 따른 변색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ortable toothbrush sterilizer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comprises a protective cap that can be detached and attached to the bristle storage port where the bristles are stored, and the ease of washing that can be maintained clean by removing and attaching the protective cap. This has the effect of preventing discoloration due to prolonged use.
아울러, 칫솔 목이 위치되는 부분의 개방부에 단턱부를 형성하여, 상기 단턱부에 의해 보호캡의 바닥면에 고인 물기가 손잡이수납구로 흘러들어감을 방지함에 따라 상기 손잡이수납구의 오염이 최소화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by forming a stepped portion in the opening of the portion where the toothbrush neck is located, the step of preventing the accumulation of water accumulated in the bottom surface of the protective cap by the stepped portion into the handle holder has the effect of minimizing the contamination of the handle holder have.
더불어 상부케이스의 바닥면과 보호캡의 바닥면에 다수의 배출공을 형성하여, 상기 보호캡의 바닥면에 모아진 물기가 상기 배출공을 통해 외부로 빠르게 배수됨에 따라 상기 보호캡의 바닥면을 오염시키는 것을 최소화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by forming a plurality of discharge holes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upper case and the bottom of the protective cap, the water collected in the bottom surface of the protective cap is quickly drain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discharge hole to contaminate the bottom surface of the protective cap Minimize the effect.
더욱이 걸림단턱에 걸림된 걸림돌기를 회동부재의 회동력 만으로 걸림단턱에서 용이하게 걸림돌기를 이탈시켜 커버를 개방할 수 있다는 사용의 간편성을 가지는 효과가 있다.Moreover, there is an effect of having the ease of use that the locking projection caught on the locking step can be easily removed from the locking step by opening the cover only by the rotational force of the rotation member.
또한 별도의 돌출길이를 가지는 지지부재 및 열림돌기가 불필요하게 됨에 따라 휴대용 칫솔살균기의 미련한 디자인이 가능함에 따라 제품 경쟁력을 강화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since the support member and the opening protrusion having a separate protrusion length are unnecessary, the design of the portable toothbrush sterilizer is possible, thereby enhancing the product competitiveness.
또한 상부케이스의 돌출공으로 터치스위치의 일부가 돌출되지 않고 함몰되게 형성되어 있어, 임의로 터치스위치가 작동됨을 예방하고, 커버가 닫힘될 때 누름돌기에 의해 눌림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since a part of the touch switch is recessed without protruding into the protrusion hole of the upper case, there is an effect of preventing the touch switch from operating arbitrarily and being pressed by the push protrusion when the cover is closed.
또한 칫솔모수납구의 바닥면에 일정 높이 상승되는 적어도 하나이의 받침대를 형성하여, 상기 받침대를 통해 칫솔모가 바닥면에서 일정 높이 상승된 위치를 가짐에 따라 칫솔모에 묻힌 물기의 빠른 배수로 인해 살균효과가 증진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at least one pedestal is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bristle storage device to be raised to a certain height, so that the sterilization effect due to the rapid drainage of the bite on the bristle as the bristle has a raised position from the bottom surface through the pedestal It is effective.
한편, 칫솔모삽입구가 위치되는 커버의 상면에 반투명체의 투시창 및 그 하방에 반사창인 거울을 더 구성하여 자외선램프의 불빛이 상기 반투명체로 투시되는 심미감과 거울에 의한 사용의 편리성을 증폭하는 효과가 있다.On the other hand, a transparent window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over where the bristle insertion opening is located, and a mirror which is a reflection window below, further amplifying the aesthetics of the light of the ultraviolet lamp and the convenience of use by the mirror. have.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의 휴대용 칫솔살균기를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 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What has been described above is just one embodiment for carrying out the portable toothbrush steriliz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invention claimed in the claims below Anyone with ordinary knowledge in the field of the invention will have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the extent that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예컨대, 하부케이스의 바닥면에 다수의 배출공을 형성하여, 보호캡의 배출공을 통해 배수되는 물기의 배수성을 향상시키도록 형성할 수 있는 것이다.For example, by forming a plurality of discharge holes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lower case, it can be formed to improve the drainage of water drained through the discharge hole of the protective cap.
Claims (11)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60011268A KR100940560B1 (en) | 2006-02-06 | 2006-02-06 | Portable toothbrush sterilize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60011268A KR100940560B1 (en) | 2006-02-06 | 2006-02-06 | Portable toothbrush sterilizer |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60002879U Division KR200413884Y1 (en) | 2006-02-01 | 2006-02-01 | A sterilizer for toothbrush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70079285A KR20070079285A (en) | 2007-08-06 |
KR100940560B1 true KR100940560B1 (en) | 2010-02-18 |
Family
ID=385999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60011268A KR100940560B1 (en) | 2006-02-06 | 2006-02-06 | Portable toothbrush sterilize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940560B1 (e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66227B1 (en) | 2012-10-16 | 2014-11-27 | 황길하 | A portable toothbrush sterilizer |
KR20160066932A (en) | 2014-12-03 | 2016-06-13 | 김성재 | Portable toothbrush sterilizer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80071B1 (en) * | 2007-10-15 | 2010-09-06 | 에센시아주식회사 | Portable toothbrush sterilizer |
KR100919032B1 (en) * | 2007-11-02 | 2009-09-24 | 에센시아주식회사 | Portable toothbrush sterilizer |
KR102060284B1 (en) | 2019-09-19 | 2019-12-27 | 박길재 | Sterilization type tooth brushing basin and tooth brushing method using the same |
KR102156889B1 (en) * | 2020-01-16 | 2020-09-16 | 김영수 | A toothbrush case assembly for An Antibacterial |
KR102128218B1 (en) | 2020-02-07 | 2020-06-30 | 박길재 | Drawer type sterilization tooth brushing basin and tooth brushing method using the same |
KR102658010B1 (en) | 2022-06-23 | 2024-04-15 | 박길재 | Drawer type sterilization tooth brushing basin with warm water supplying and discharging direction switching structure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13885Y1 (en) * | 2006-02-01 | 2006-04-11 | 에센시아주식회사 | A sterilizer for toothbrush |
KR200413887Y1 (en) * | 2006-02-01 | 2006-04-11 | 에센시아주식회사 | A sterilizer for toothbrush |
-
2006
- 2006-02-06 KR KR1020060011268A patent/KR100940560B1/en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13885Y1 (en) * | 2006-02-01 | 2006-04-11 | 에센시아주식회사 | A sterilizer for toothbrush |
KR200413887Y1 (en) * | 2006-02-01 | 2006-04-11 | 에센시아주식회사 | A sterilizer for toothbrush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66227B1 (en) | 2012-10-16 | 2014-11-27 | 황길하 | A portable toothbrush sterilizer |
KR20160066932A (en) | 2014-12-03 | 2016-06-13 | 김성재 | Portable toothbrush sterilizer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70079285A (en) | 2007-08-0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7348572B2 (en) | Toothbrush sterilizer | |
KR100940560B1 (en) | Portable toothbrush sterilizer | |
JP4167271B2 (en) | Portable toothbrush sterilizer | |
US7838846B2 (en) | Rocking toothbrush sanitizer | |
US7213603B2 (en) | System and method for toothbrush sanitization and storage | |
US7888656B2 (en) | UV sanitizer for tethered and untethered mouthguards | |
KR200413887Y1 (en) | A sterilizer for toothbrush | |
KR20070090652A (en) | Toothbrush Sterilizer | |
AU2006207869A1 (en) | Ultraviolet disinfection device | |
KR100922253B1 (en) | Sterilized Portable Toothbrush | |
KR100825421B1 (en) | Upright toothbrush sterilizer | |
KR200413884Y1 (en) | A sterilizer for toothbrush | |
KR20130094474A (en) | Toilet cover | |
KR200413885Y1 (en) | A sterilizer for toothbrush | |
US20040159330A1 (en) | Brush sanitizer | |
KR200413886Y1 (en) | A sterilizer for toothbrush | |
KR20130021158A (en) | Toothbrush cap with an ultraviolet sterilization | |
KR200443494Y1 (en) | Drawer type sterilizer | |
KR100980071B1 (en) | Portable toothbrush sterilizer | |
KR200437195Y1 (en) | Toothbrush combined use tongue cleaner sterilizer | |
KR20110097306A (en) | Cup lid | |
KR20210135059A (en) | sterilizing device for razor | |
US20150314023A1 (en) | Toothbrush and razor holder and system for prolonging the useful life of toothbrushes and razors | |
KR200416383Y1 (en) | A toothbrush sterilizer | |
US6967337B1 (en) | Toothbrush cleaning assembly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108 | Dual application of patent | ||
PA0108 | Dual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81R01D Patent event date: 20060206 Comment text: Dual Application of Patent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71023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3I Patent event date: 20060206 Comment text: Dual Application of Patent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8122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90428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0012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0012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128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3012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128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4012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428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50428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81029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6102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1030 Year of fee payment: 9 |
|
PR0401 | Registration of restoration |
Patent event code: PR04011E01D Patent event date: 20181029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Resto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1030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R401 | Registration of restoration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91108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81029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610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