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39394B1 - 무늬가 형성된 혁대용 버클 및 무늬형성방법 - Google Patents

무늬가 형성된 혁대용 버클 및 무늬형성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39394B1
KR100939394B1 KR1020090017387A KR20090017387A KR100939394B1 KR 100939394 B1 KR100939394 B1 KR 100939394B1 KR 1020090017387 A KR1020090017387 A KR 1020090017387A KR 20090017387 A KR20090017387 A KR 20090017387A KR 100939394 B1 KR100939394 B1 KR 1009393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ating
decorative plate
pattern
coating layer
tempera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173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정완
손영수
Original Assignee
이정완
손영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41810382&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0939394(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이정완, 손영수 filed Critical 이정완
Priority to KR10200900173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3939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393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393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1/00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 A44B11/001Ornamental buckles
    • A44B11/003Ornamental buckles covered with cloth or other material; Making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1/00Processe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 B05D1/02Processe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performed by spraying

Landscapes

  • Application Of Or Painting With Fluid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금속재의 버클에 코팅액과 액상도료를 스프레이방식으로 분사하여 코팅층과 도막을 형성함에 따라 잦은 마찰에 의한 스크레치로 부터 버클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고, 무엇보다 간단한 공정으로 코팅무늬를 형성하도록 하여 혁대용 버클의 미적 심미감을 향상시키되, 개인의 취향에 따라 다양한 무늬를 구현할 수 있는 무늬가 형성된 혁대용 버클 및 무늬형성방법에 관한 것으로, 금속재로 이루어져 통상의 니켈등의 도금처리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일측 상단에 장식판을 고정하되, 상기 장식판은 금속재로 이루어져 표면에 표면적을 향상시키기 위해 요철을 형성한 후 산성용액으로 1차세척하고, 알칼리용액으로 2차세척하고, 증류수로 3차세척 하는 전처리단계와, 상기 세척된 장식판을 60 ~ 110℃로 가열하는 예열단계와, 상기 예열된 장식판에 100 ~ 160℃의 온도에서 아크릴계 수지, 에폭시계 수지, 우레탄계 수지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시너와 1:0.5 ~ 1:1.5의 비율로 혼합하여 구성된 투명한 합성수지계열의 코팅액을 스프레이 방식으로 분사하여 코팅층을 형성하는 코팅단계와, 상기 코팅층이 형성된 장식판을 100 ~ 160℃의 온도에서 10 ~ 30분간 가열하여 반건조 상태로 응고시키는 건조단계와, 상기 코팅층이 반건조된 장식판을 120 ~ 180℃의 온도에서 유색의 액상도료를 스프레이 방식으로 분사하여 도막을 형성하는 도장단계와, 상기 도막이 형성된 장식판을 120 ~ 180℃의 온도에서 10 ~ 60분간 가열하여 도막을 완전건조 상태로 경화시키는 경화단계로 구성된다.
혁대용 버클,니켈, 합성수지, 스프레이, 코팅

Description

무늬가 형성된 혁대용 버클 및 무늬형성방법{buckle with pattern and formative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무늬가 형성된 혁대용 버클 및 무늬형성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금속재의 버클에 코팅액과 액상도료를 스프레이방식으로 분사하여 코팅층과 도막을 형성함에 따라 잦은 마찰에 의한 스크레치로 부터 버클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고, 무엇보다 간단한 공정으로 코팅무늬를 형성하도록 하여 혁대용 버클의 미적 심미감을 향상시키되, 개인의 취향에 따라 다양한 무늬를 구현할 수 있는 무늬가 형성된 혁대용 버클 및 무늬형성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혁대용 버클의 경우, 그 구조가 다양하게 공지된 바 있으나 금속재로 이루어져 통상의 니켈등의 도금처리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일측 상단에 고정되는 장식판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장식판의 경우, 악세사리로서의 수단으로 금속뿐 아니라 가죽, 합성수지외 다양한 소재로 적용되고 있는 실정이며, 그 모양도 여러 형상으로 제조되고 있다.
특히, 금속으로 구비되는 장식판의 경우, 종래에 제시된 무늬형성방법을 살 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등록특허 10-0566879의 경우 가장자리를 따라 보호측벽이 돌출되어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그 형성된 수용공간에 평판이 안착고정되는 버클몸체로 이루어지는 혁대용 버클에 있어서, 상기 평판은 외부로 보여지는 부분에 검정색의 분체도료를 분체도장하여 구성되는 혁대용 버클이 제시된 바 있고, 이 밖에도 등록특허 제 10-0754246호에 따르면, 니켈 등의 도금처리된 통상의 금속성 재질로 버클본체가 구성되고 상기 버클본체의 상측에 장식판이 구성되는 혁대용 버클을 제조함에 있어서, 상기 장식판은 표면에 검은색의 색상도료를 착색도금하고, 분체도료가 일정두께로 분체도장되면서 도료의 광택조절을 위해 무광코팅 또는 반무광코팅으로 마감처리하되, 검은색의 착색도금이전에 색상도료 및 분체도료가 벗겨지지 않도록 샌딩작업으로 선처리하고, 상기 분체도료가 0.05mm 내외의 코팅두께로 처리하여 150℃ 내외의 고온으로 열처리 건조하여 이루어진 혁대용 버클의 제조방법이 제공된 바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혁대용 버클의 무늬형성방법은 분체도장을 시행하하여 이루어졌으며, 상기 분체도장은 합성수지를 분체로 만들어 금속 표면에 칠하고, 고온으로 용융하여 마무리하는 도장방법을 의미한다.
따라서, 분체도장을 시행하기 위해서는 분체의 합성수지를 금속표면으로 유도하고 부착하기 위한 정전기 유도장치 및 분체의 합성수지를 용융하기위한 가열로가 별도로 구비되어야함에 따라 장치마련에 경제적인 부담감이 있었고, 용융된 도료가 이탈되지 않고 부착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도록 금속 표면의 불순물을 제거하는 샌딩공정과 같은 복잡한 표면처리단계가 먼저 필수적으로 시행되어야 하므로 작 업공정이 복잡하고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분체도장의 경우 섬세하고 얇은 도막을 형성하기 어려워 그 무늬가 한정적이어서, 선택의 폭이 좁았고, 분체도장 과정이 수동으로 작업하기 어려워 자동화된 분체도장시설이 필수적으로 구비해야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금속재의 버클에 코팅액과 액상도료를 스프레이방식으로 분사하여 코팅층과 도막을 형성함에 따라 잦은 마찰에 의한 스크레치로 부터 버클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고, 무엇보다 종래와는 달리 간단한 공정으로 무늬를 형성하도록 하여 혁대용 버클의 미적 심미감을 향상시키되, 개인의 취향에 따라 다양한 무늬를 구현할 수 있는 무늬가 형성된 혁대용 버클 및 무늬형성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금속재로 이루어져 통상의 니켈등의 도금처리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일측 상단에 장식판을 고정하되, 상기 장식판은 금속재로 이루어져 표면에 표면적을 향상시키기 위해 요철을 형성한 후 산성용액으로 1차세척하고, 알칼리용액으로 2차세척하고, 증류수로 3차세척 하는 전처리단계와, 상기 세척된 장식판을 60 ~ 110℃로 가열하는 예열단계와, 상기 예열된 장식판에 100 ~ 160℃의 온도에서 아크릴계 수지, 에폭시계 수지, 우레탄계 수지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시너와 1:0.5 ~ 1:1.5의 비율로 혼합하여 구성된 투명한 합성수지계열의 코팅액을 스프레이 방식으로 분사하여 코팅층을 형성하는 코팅단계와, 상기 코팅층이 형성된 장식판을 100 ~ 160℃의 온도에서 10 ~ 30분간 가열하여 반건조 상태로 응고시키는 건조단계와, 상기 코팅층이 반건조된 장식판을 120 ~ 180℃의 온도에서 유색의 액상도료를 스프레이 방식으로 분사하여 도막을 형 성하는 도장단계와, 상기 도막이 형성된 장식판을 120 ~ 180℃의 온도에서 10 ~ 60분간 가열하여 도막을 완전건조 상태로 경화시키는 경화단계로 이루어진 혁대용 버클의 무늬형성방법 및 상기한 방법에 의해 완성된 무늬가 형성된 혁대용 버클을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 무늬가 형성된 혁대용 버클 및 무늬형성방법에 따르면, 금속재의 버클에 코팅액과 액상도료를 스프레이방식으로 분사하여 코팅층과 도막을 형성함에 따라 잦은 마찰에 의한 스크레치로 부터 버클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고, 혁대용 버클의 미적 심미감을 향상시키되, 개인의 취향에 따라 다양한 무늬를 구현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효과가 있다.
또한, 종래의 분체도료의 도포방식과는 달리 액상의 도료를 스프레이방식으로 분사하여 장식판을 코팅하고 무늬를 형성하므로 그 공정이 단순화되어 간편한 작업 공정으로 제조시간 및 생산비를 절감하여 경제적인 이익을 창출을 기대할 수 애우 유용한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따라 본 발명 무늬가 형성된 혁대용 버클 및 무늬형성방법의 구성 및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 혁대용 버클의 무늬형성방법의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 혁대용 버클의 무늬형성방법의 개략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무늬가 형성된 혁대용 버클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무늬가 형성 된 혁대용 버클의 단면도이다.
먼저, 무늬가 형성된 혁대용 버클은 금속재로 이루어져 통상의 니켈등의 도금처리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일측 상단에 고정되는 장식판으로 구성된 혁대용 버클에 있어서, 상기 장식판(200)은 표면에 아크릴계 수지, 에폭시계 수지, 우레탄계 수지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구성된 투명한 합성수지계열의 코팅액을 도포하여 코팅층(210)을 형성하고, 상기 코팅층(210)의 상단에는 유색의 합성도료를 소정의 무늬를 형성하도록 도포하여 도막(220)을 형성하여 이루어진 구성이다.
상기 코팅층(210)은 장식판(200)과 도막(220) 사이에 구비되어 도막(220)과 장식판(200)의 접착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구성된다.
상기 코팅층(210)은 상기한 바와 같이 합성수지 계열의 아크릴계 수지, 에폭시계 수지, 우레탄계 수지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구성된 투명한 소재로 구성됨이 바람직하고, 어느 한가지 소재에 한정하지 않으며, 분사가 잘 이루어지도록 시너와 혼합하여 구성된 코팅액을 다양한 분사기법을 이용하여 분사함에 따라 코팅층(210) 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경우에 따라 상기 코팅층(210)은 반투명 또는 불투명하게 구비될 수 있음은 물론이거니와, 별도의 유광 또는 무광처리를 시행하여 다양한 코팅층(210)을 연출할 수 있다.
참고로, 아크릴계 수지의 경우 고온의 작업에도 쉽게 그 성분이 변형되지 않은 장점이 있고, 에폭시계 수지의 경우 다른 수지에 비해 접착력이 뛰어나며, 우레탄계 수지의 경우 방수성이 뛰어나 작업후 버클이 쉽게 녹슬지 않는 장점이 있어, 경우에 따라 다양한 합성수지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한가지 이상을 혼합하 소정의 비율로 혼합하여 비교적 묽은 코팅액을 조성하여 분사성을 향상시킨다.
상기 도막(220)은 코팅층(210)의 상단에는 유색의 합성도료를 소정의 무늬를 형성하도록 도포하여 구성된다. 상기 도막(220)은 장식판(200)의 전면에 골고루 형성될 수 있지만, 부분적으로 형성되어 소정의 무늬를 형성할 수 있으며, 한가지 색상뿐 아니라 일 개 이상의 색상으로 형성되어 미려한 무늬를 형성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도막(220) 또한, 무광처리 또는 유광처리하는 후처리단계가 추가로 진행 될 수 있고, 한가지 색상으로 도막(220)을 형성할 경우, 음영을 주어 부분적으로 짙고 옅음을 표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금속재로 이루어져 통상의 니켈등의 도금처리된 본체(100)와, 상기 본체(100)의 일측 상단에 고정되는 장식판(200)으로 구성된 혁대용 버클의 무늬형성방법에 있어서, 상기 장식판(200)은 금속재로 이루어져 표면에 표면적을 향상시키기 위해 요철(230)을 형성한 후 산성용액(20a)으로 1차세척하고, 알칼리용액(20b)으로 2차세척하고, 증류수(20c)로 3차세척 전처리단계(S10)와, 상기 세척된 장식판(200)을 60 ~ 110℃로 가열하는 예열단계(S20)와, 상기 예열된 장식판(200)에 100 ~ 160℃의 온도에서 투명한 합성수지계열의 코팅액(30)을 스프레이 방식으로 분사하여 코팅층(210)을 형성하는 코팅단계(S30)와, 상기 코팅층(210)이 형성된 장식판(200)을 100 ~ 160℃의 온도에서 10 ~ 30분간 가열하여 반건조 상태로 응고시키는 건조단계(S40)와, 상기 코팅층(210)이 반건조된 장식판(200)을 120 ~ 180℃의 온도에서 유색의 액상도료(40)를 스프레이 방식으로 분사하여 도막(220)을 형성하는 도장단계(S50)와, 상기 도막(220)이 형성된 장식판(200)을 120 ~ 180℃의 온 도에서 가열하여 도막(220)을 완전건조 상태로 경화시키는 경화단계(S60)로 이루어지는 것을 그 기술적 구성의 기본적인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혁대용 버클(10)은 금속재로 이루어져 통상의 니켈등의 도금처리된 본체(100)와, 상기 본체(100)의 일측 상단에 고정되는 장식판(200)으로 구성된다고 명기하였으나, 그 형상 및 고정방법은 어느 일실시예에 한정치 아니하고, 또한 장식판(200)과 본체(100)가 일체로 형성된 혁대용 버클을 비롯한 공지된 다양한 종류의 혁대용 버클(10)에 적용될 수 있다는 것을 분명히 밝혀두는 바이며, 일체형일 경우에는 혁대용버클(10) 전체가 장식판(200)에 실시하는 무늬형성방법의 과정을 거치게 된다.
먼저, 상기 전처리단계(S10)는 장식판(200)의 표면에 표면적을 향상시키기 위해 요철(230)을 형성한 후 산성용액(20a)으로 1차세척하고, 알칼리용액으로 2차세척하고, 증류수로 3차세척하는 단계로서, 금속재인 장식판(200)의 표면에 남아있는 산화철 및 스케일(scale)과 같은 불순물 등을 제거하기 위해 산성용액(20a)이 담긴 세척조를 구비하고 이 세척조에 장식판(200)을 투입하여 일정시간동안 침지하거나, 산성용액(20a)을 장식판(200)에 분사하여 장식판(200) 표면의 이물질을 제거하고 깨끗히 하도록 1차세척을 시행한다.
이때, 상기 요철(230)을 형성하는 방법으로는 고강도의 사포(sand paper)로 문지르거나 고강도의 금속브러시로 장식판(200)의 표면을 터치하는 등의 방법을 이용하여 스크레치와 같은 요철(230)을 형성하는 것이며, 이 과정을 거친 장식판(200)은 표면의 이물질이 제거됨과 동시에 표면적이 증가되어 그 사이사이로 코 팅액(30)이 분사되어 더욱 견고히 고착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요철(230)을 형성하는 방법은 상기한 방법외에 다양한 방법으로 시행될 수 있으며, 외관을 해치지 않는 범위에서 표면에 요철(230)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산성용액(20a)은 유산용액, 인산용액 및 초산용액과 같은 다양한 산성용액(20a)으로 구비하되 장식판(200)의 소재에 따라 가장 적합한 산성용액(20a)을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그 농도 또한 5 ~ 10%에서 소재별로 다양하게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산처리가 완료된 장식판(200)은 약 암모니아 수 등의 알칼리 용액(20b)이 담긴 탱크에 침지하거나 알칼리 용액을 분사하는 등의 방법을 통해 장식판(200)에 잔류하는 산을 중화시키는 2차세척을 시행하고, 상기 중화가 완료된 장식판(200)은 증류수(20c)로 수세를 충분히 하여 불순물과 알칼리 용액을 제거하는 3차세척을 시행하여 그 표면을 청결하게 하고 추후의 부식을 예방할 수 있다.
상기 전처리단계(S10)를 통해 추후 진행되는 코팅단계(S30)와 도장단계가(S50)에서 분사되는 코팅액(30) 및 액상도료(40)가 장식판(200)에서 분리되지 않고 완벽한 코팅이 이루어져 분사된 상태로 견고히 고정될 수 있는 것이며, 버클의 수명이 현저히 연장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예열단계(S20)는 상기 세척된 장식판(200)을 60 ~ 110℃로 가열하는 단계로, 상기 전처리단계(S10)에서의 수분을 제거하고, 또한 코팅단계(S30)에서의 코팅액(30)이 예열된 장식판(200)의 표면에 고루 분사되도록 하며, 분사된 코팅 액(30)이 서서히 건조되어 장식판(200)의 표면이 매끄럽도록 하기 위해 장식판(200)을 미리 예열해둔다.
상기 예열온도는 60℃ 미만일 경우 코팅액(30)이 골고루 분사되지 않거나, 분사된 코팅액(30)이 흘러내리는 문제가 발생되고, 110℃를 초과할 경우 분사된 코팅액(30)이 곧바로 건조되어 표면이 매끄럽지 않거나, 코팅액(30)이 고루 분사되지 않는 문제점이 발생하므로, 60 ~ 110℃의 온도 범위에서 예열단계(S20)가 진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코팅단계(S30)는 상기 예열된 장식판(200)에 100 ~ 160℃의 온도에서 투명한 합성수지계열의 코팅액(30)을 스프레이 방식으로 분사하여 코팅층(210)을 형성하는 단계로, 상기 코팅층(210)은 액상도료(40)와 장식판(200) 사이에 구비되어 액상도료(40)와 장식판(200)의 접착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구성된다.
상기 코팅액(30)은 상기한 바와 같이 합성수지 계열의 투명한 소재로 구성됨이 바람직하고, 어느 한가지 소재에 한정하지 않으며, 그 방법은 다양한 분사기법으로 이루어지되, 특히 스프레이건(50)을 통해 장식판(200)의 표면에 골고루 분사토록 한다. 또한, 이때의 온도는 100 ~ 160℃에서 이루어지며, 코팅액(30)이 분사된 장식판(200)은 같은 온도에서 10 ~ 30분간 방치하여 코팅층(210)을 반건조상태로 응고시키는 건조단계(S40)가 진행된다.
상기 코팅단계(S30)와 건조단계(S40)의 온도가 100 ~ 160℃로 한정되는 이유는 온도가 100℃미만으로 유지될 경우 분사된 코팅액(30)이 골고루 펴지지 않고 흘러내려 분사된 상태로 유지되지 않으며, 160℃를 초과하는 온도로 유지될 경우, 분 사된 코팅액(30)의 급속 경화가 이루어져 표면이 매끄럽지 못하고 반건조상태로 응고할 수 없기 때문에 100 ~ 160℃의 온도를 유지하는 것이고, 일반적으로 온도가 유지되는 밀폐된 열챔버(60)내에서 코팅단계(S30)와 건조단계(S40)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또한 건조시간의 경우 10분 미만으로 이루어질 경우 코팅층(210)의 반건조가 이루어지지 않아 액상으로 유지되고, 30분보다 오래 건조할 경우 완전건조가 이루어질 우려가 있으므로 10 ~ 30분 동안 건조시키는 것이며, 코팅층(210)을 반건조하는 이유는 액상의 코팅층(210) 또는 완전건조된 코팅층(210)에 액상도료(40)를 분사할 때보다 반건조 상태의 코팅층(210)에 액상도료(40)를 분사할 경우 코팅층(210)과 액상도료(40)의 접착력이 더욱 향상되어 쉽게 벗겨지지 않으므로 반건조상태로 응고시키는 것이다.
특히, 상기 코팅액(30)은 아크릴계 수지, 에폭시계 수지, 우레탄계 수지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시너와 1:0.5 ~ 1:1.5의 비율로 혼합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아크릴계 수지의 경우 고온의 작업에도 쉽게 그 성분이 변형되지 않은 장점이 있고, 에폭시계 수지의 경우 다른 수지에 비해 접착력이 뛰어나며, 우레탄계 수지의 경우 방수성이 뛰어나 작업후 버클이 쉽게 녹슬지 않는 장점이 있어, 경우에 따라 다양한 합성수지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한가지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가능하다는 것을 분명히 밝혀두는 바이며, 상기 각각의 합성수지와 시너를 1:0.5 ~ 1:1.5의 비율로 혼합하여 비교적 묽은 코팅액(30)을 조성하여 코팅액(30)의 발림성을 향상시킨다.
상기 시너와 합성수지의 혼합비율은 코팅액(30)을 묽게 만들어 분사성을 최 적화 하고, 분사된 코팅액(30)이 응고하는 데 걸리는 시간을 최소화 하기 위해 상기의 비율로 한정한 것이며, 경우에 따라 상기의 범위를 벗어나 혼합될 수 있다는 것을 밝혀두는 바이고, 상기한 내용에서 코팅액(30)은 투명한 재질이라고 한정하였지만, 그 색상은 개인의 취향에 따라 검정색을 비롯한 다양한 색상으로 구비될 수 있음을 물론이다.
상기 도장단계(S50)는 상기 코팅층(210)이 반건조된 장식판(200)을 120 ~ 180℃의 온도에서 유색의 액상도료(40)를 스프레이 방식으로 분사하여 도막(220)을 형성하는 단계로, 상기 도막(220)은 최종적으로 장식판(200)의 외부로 보여지는 표면을 형성한다.
상기 액상도료(40)는 공지된 액상의 도료를 사용할 수 있으나 시너와 혼합하여 묽게 조성되어 분사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상기 코팅단계(S30)와 마찬가지로, 스프레이건(50)을 이용하여 코팅층(210) 상단에 분사하는 것이다. 이 경우, 코팅단계(S30)와 마찬가지로 장식판(200)의 전면에 골고루 분사가 이루어질 수 있지만, 부분적인 분사가 이루어져 코팅무늬를 형성할 수 있으며, 한가지 색상 뿐 아니라 일 개 이상의 색상의 액상도료(40)가 분사되어 미려한 무늬를 형성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액상도료(40)가 도포된 장식판(200)을 무광처리 또는 유광처리하는 후처리단계가 추가로 진행 될 수 있고, 액상도료(40)가 분사되어 도막(220)이 형성된 장식판(200)은 120 ~ 180℃의 온도에서 가열하여 도막(220)을 완전건조 상태로 경화시키는 경화단계(S60)를 거쳐 최종적으로 완성된다.
상기 도장단계(S50)와 경화단계(S60)의 온도가 120 ~ 180℃로 한정되는 이유 는 온도가 120℃미만으로 유지될 경우 분사된 액상도료(40)와 코팅층(210)의 접착력이 미약하여 도막(220)이 쉽게 벗겨지는 문제가 발생하고, 180℃를 초과하는 온도로 유지될 경우, 분사된 액상도료(40)가 변색되거나 표면이 매끄럽게 연출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하기 때문에 120 ~ 180℃의 온도를 유지하는 것이고, 일반적으로 온도가 유지되는 밀폐된 열챔버(60)내에서 도장단계(S50)와 경화단계(S60)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또한, 상기 경화단계(S60)는 도막(220)의 두께 또는 종류에 따라 그 시간이 매우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통상적으로는 10 ~ 60분간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경화시간의 경우 10분 미만으로 이루어질 경우 액상도료(40)의 건조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으며, 60분을 초과할 경우 색상의 변형과 고온취성 및 열손실이 발생하므로 10 ~ 60분간 가열하여 도막(220)을 건조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혁대용 버클(10)은 본체(100)와 장식판(200)으로 구성되고 상기 본체(100)는 금속재로 이루어져 니켈으로 도금처리되고, 상기 본체(100)의 일측 상단에는 장식판(200)이 고정된다. 상기 장식판(200)은 아연으로 구성되어 10wt%의 유산용액에 20분간 침지하여 장식판(200)의 표면의 불순물을 제거하였고, 이를 수세하여 중화시켰다. 상기 세척된 장식판(200)은 열챔버(60)에 넣어 80℃로 예열하였고, 상기 예열된 장식판(200)을 120℃의 열챔버(60)내에서 코팅하되, 아크릴계수지와 시너를 1:1로 혼합한 투명한 코팅액(30)을 스프레이건(50)을 이용하여 장식판(200)의 전면에 고루 분사하였다. 상기 코팅층(210)이 형성된 장식판(200)은 120℃의 열챔 버(60)내에서 15분간 가열하여 반건조 상태로 응고시켰고, 코팅층(210)이 반건조된 장식판(200)을 150℃의 열챔버(60)내에서 검정색 화학도료와 시너를 1:0.5의 비율로 혼합한 액상도료(40)를 스프레이건(50)으로 분사하여 도막(220)을 형성하였으며, 일부분에는 유광처리하였다. 상기 도막(220)이 형성된 장식판(200)은 150℃의 열챔버(60)에서 40분간 가열하여 도막(220)을 완전건조 상태로 경화시켜 장식판(200)을 완성하였으며, 이를 본체(100)에 고정하여 혁대용 버클(10)을 완성하였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 혁대용 버클의 무늬형성방법에 따르면, 금속재의 버클에 코팅액과 액상도료를 스프레이방식으로 분사하여 코팅층과 도막을 형성함에 따라 잦은 마찰에 의한 스크레치로 부터 버클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고, 혁대용 버클의 미적 심미감을 향상시키되, 개인의 취향에 따라 다양한 무늬를 구현할 수 있으며, 종래의 분체도료의 도포방식과는 달리 액상의 도료를 스프레이방식으로 분사하여 코팅무늬를 형성하므로 작업공정이 단순화되어 제조시간 및 생산비를 절감하여 경제적인 이익을 창출할 기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 혁대용 버클의 무늬형성방법의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
도 2는 본 발명 혁대용 버클의 무늬형성방법의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무늬가 형성된 혁대용 버클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무늬가 형성된 혁대용 버클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S10 : 전처리단계 S20 : 예열단계
S30 : 코팅단계 S40 : 건조단계
S50 : 도장단계 S60 : 경화단계
10 : 혁대용버클 20a : 산성용액
20b : 알칼리용액 20c : 증류수
30 : 코팅액 40 : 액상도료
100 : 본체 200 : 장식판
210 : 코팅층 220 : 도막
230 : 요철

Claims (2)

  1. 금속재로 이루어져 통상의 니켈등의 도금처리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일측 상단에 고정되는 장식판으로 구성된 혁대용 버클에 있어서,
    상기 장식판(200)은 표면에 아크릴계 수지, 에폭시계 수지, 우레탄계 수지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구성된 투명한 합성수지계열의 코팅액을 도포하여 코팅층(210)을 형성하고, 상기 코팅층(210)의 상단에는 유색의 합성도료를 소정의 무늬를 형성하도록 도포하여 도막(220)을 형성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늬가 형성된 혁대용 버클.
  2. 금속재로 이루어져 통상의 니켈등의 도금처리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일측 상단에 고정되는 장식판으로 구성된 혁대용 버클의 무늬형성방법에 있어서,
    상기 장식판(200)은 금속재로 이루어져 표면에 표면적을 향상시키기 위해 요철(230)을 형성한 후, 산성용액(20a)으로 1차 세척하고, 알칼리용액(20b)으로 2차 세척하고, 증류수(20c)로 3차 세척하는 전처리단계(S10);
    상기 세척된 장식판(200)을 60 ~ 110℃로 가열하는 예열단계(S20);
    상기 예열된 장식판(200)에 100 ~ 160℃의 온도에서 아크릴계 수지, 에폭시계 수지, 우레탄계 수지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시너와 1:0.5 ~ 1:1.5의 비율로 혼합하여 구성된 투명한 합성수지계열의 코팅액(30)을 스프레이 방식으로 분사하여 코팅층(210)을 형성하는 코팅단계(S30);
    상기 코팅층(210)이 형성된 장식판(200)을 100 ~ 160℃의 온도에서 10 ~ 30분간 가열하여 반건조 상태로 응고시키는 건조단계(S40);
    상기 코팅층(210)이 반건조된 장식판(200)을 120 ~ 180℃의 온도에서 유색의 액상도료(40)를 스프레이 방식으로 분사하여 도막(220)을 형성하는 도장단계(S50);
    상기 도막(220)이 형성된 장식판(200)을 120 ~ 180℃의 온도에서 10 ~ 60분간 가열하여 도막(220)을 완전건조 상태로 경화시키는 경화단계(S6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혁대용 버클의 무늬형성방법.
KR1020090017387A 2009-03-02 2009-03-02 무늬가 형성된 혁대용 버클 및 무늬형성방법 KR1009393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7387A KR100939394B1 (ko) 2009-03-02 2009-03-02 무늬가 형성된 혁대용 버클 및 무늬형성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7387A KR100939394B1 (ko) 2009-03-02 2009-03-02 무늬가 형성된 혁대용 버클 및 무늬형성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39394B1 true KR100939394B1 (ko) 2010-01-28

Family

ID=418103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17387A KR100939394B1 (ko) 2009-03-02 2009-03-02 무늬가 형성된 혁대용 버클 및 무늬형성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39394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0781B1 (ko) 2011-07-22 2012-12-11 송지나 분체 장식효과를 갖는 혁대용 금속버클 및 그 제조방법
KR101240824B1 (ko) 2011-07-22 2013-03-07 송지나 혁대용 합성수지 장식버클
KR101286411B1 (ko) 2012-06-07 2013-07-19 황호환 인쇄층이 형성된 버클의 제조방법
KR101411981B1 (ko) 2013-07-24 2014-06-26 송광수 혁대용 버클 및 이의 제조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68891A (ko) * 2003-12-30 2005-07-05 박병근 투명판으로 형성된 장식부재 및 그 제조방법과 그장식부재를 부착한 혁대버클
KR100704457B1 (ko) 2006-07-07 2007-04-09 송광수 혁대용 장식버클
KR20090058641A (ko) * 2007-12-05 2009-06-10 송광수 혁대용 아크릴문양 장식버클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68891A (ko) * 2003-12-30 2005-07-05 박병근 투명판으로 형성된 장식부재 및 그 제조방법과 그장식부재를 부착한 혁대버클
KR100704457B1 (ko) 2006-07-07 2007-04-09 송광수 혁대용 장식버클
KR20090058641A (ko) * 2007-12-05 2009-06-10 송광수 혁대용 아크릴문양 장식버클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0781B1 (ko) 2011-07-22 2012-12-11 송지나 분체 장식효과를 갖는 혁대용 금속버클 및 그 제조방법
KR101240824B1 (ko) 2011-07-22 2013-03-07 송지나 혁대용 합성수지 장식버클
KR101286411B1 (ko) 2012-06-07 2013-07-19 황호환 인쇄층이 형성된 버클의 제조방법
KR101411981B1 (ko) 2013-07-24 2014-06-26 송광수 혁대용 버클 및 이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39394B1 (ko) 무늬가 형성된 혁대용 버클 및 무늬형성방법
US20130043135A1 (en) Anodization and Plating Surface Treatments
CN103648767B (zh) 具有防指纹特性的面板及其制造方法
SE528890C2 (sv) Metallsubstrat, artikel och förfarande
CN106319446A (zh) 一种装饰用涂膜打底真空镀膜的制备方法
US20130071685A1 (en) Produc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product
CN1320869C (zh) 高级化学着色金属拉链的制作方法
KR101067841B1 (ko) 자동차 외부의 부분 도색방법
CN107630214B (zh) 一种用于纯银纪念币/章局部上色处理的工艺
CN107245284B (zh) 一种纽扣用面漆、表面具有仿旧效果的纽扣及其制备方法
KR101387612B1 (ko) 혁대용 버클 및 그 제조방법
EP3315265B1 (en) Brush handl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KR20080083857A (ko) 자동차용 외장부품의 표면처리방법
KR20120129161A (ko) 금속단추의 무늬형성방법
KR101785935B1 (ko) 액세서리 제조방법
JP2012237973A (ja) 樹脂製メガネフレーム及びその部品の製造方法
KR101655773B1 (ko) 자개가 포함된 금태칠기와 그 제작방법
US376605A (en) Geoege matthews
ITMI20072038A1 (it) Procedimento per la decorazione di oggetti metallici, in particolare elementi di rubinetteria
WO2008154770A1 (fr) Procédé de formation d&#39;un revêtement coloré sur un article en plastique transparent
KR101160442B1 (ko) 은액을 이용한 목각상 도색 방법
JP2013252711A (ja) 製品、及び、製品の製造方法
US20190001620A1 (en) Novel method of making decorative articles
KR20110109092A (ko) 동착색 방법
KR100462004B1 (ko) 금속코팅된 플라스틱 사출지퍼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J204 Invalidation trial for patent
J121 Written withdrawal of request for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11221

Effective date: 2013092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1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1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7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