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37868B1 - 스타일러스 펜 및 이를 구비한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스타일러스 펜 및 이를 구비한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37868B1
KR100937868B1 KR1020080125324A KR20080125324A KR100937868B1 KR 100937868 B1 KR100937868 B1 KR 100937868B1 KR 1020080125324 A KR1020080125324 A KR 1020080125324A KR 20080125324 A KR20080125324 A KR 20080125324A KR 100937868 B1 KR100937868 B1 KR 1009378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ylus pen
touch screen
flat panel
light
panel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253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성언
김태진
정주현
Original Assignee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1253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37868B1/ko
Priority to US12/585,031 priority patent/US8610676B2/en
Priority to JP2009278678A priority patent/JP4953476B2/ja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378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378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2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opto-electronic means
    • G06F3/042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opto-electronic means by interrupting or reflecting a light beam, e.g. optical touch-scree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5Pens or styl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04Detection arrangements using opto-electronic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터치스크린을 갖는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사용할 시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의 포토센서에서의 수광 정확도를 높일 수 있는 스타일러스 펜 및 이를 구비한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를 위하여, 터치스크린과 접촉할 수 있는 단부에 반사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타일러스 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자발광소자와 포토센서를 갖는 터치스크린을 가진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과, 상기 터치스크린과 접촉할 수 있는 단부에 반사부를 구비한 스타일러스 펜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스타일러스 펜 및 이를 구비한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Stylus pen and flat panel display apparatus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스타일러스 펜 및 이를 구비한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터치스크린을 갖는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사용할 시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의 포토센서에서의 수광 정확도를 높일 수 있는 스타일러스 펜 및 이를 구비한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디스플레이 패널은 휴대가 가능한 박형의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로 대체되는 추세이다. 특히, 이러한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에 터치스크린 기능을 구현하는 연구가 진행중이다. 즉, 스타일러스 펜으로 디스플레이 화면을 터치하는 방법에 의하여 명령을 입력할 수 있는 터치스크린 기능을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에서 구현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키고자 하는 연구가 진행중이며, 그 중 한 방법으로 포토센서를 이용한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이 개발 중에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은 종래의 터치스크린 기능을 가진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에서는, 주변이 어두워서 광량이 적을 때 효율적인 터치 센싱이 이루어지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주변이 어두울 때는 평판 디스플레이 패 널 내부에서 외부로 방출하는 내광(內光)을 이용하여 터치를 센싱하는 방법이 연구중에 있다. 그러나,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에서 방출된 광이 스타일러스 펜에서 반사되어 다시 포토센서로 입사되는 과정에서 광의 상당 부분이 흡수되기 때문에, 포토센서에 도달하는 광량이 충분치 못하여 포토센서의 수광 효율이 신뢰할만한 수준에 미치지 못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화면을 터치하여도 이를 감지하지 못하거나 또는 오작동 등을 일으키는 등, 제품의 불량률이 증가하고, 사용자 편의성이 감소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포함하여 여러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스타일러스 펜 및 이를 구비한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터치스크린과 접촉할 수 있는 단부에 반사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타일러스 펜을 제공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반사부는 반사면을 갖는 것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스타일러스 펜의 상기 단부가 터치스크린과 접촉할 시, 상기 반사부는 상기 터치스크린을 갖는 장치의 내부에서 외부로 방출되는 광 중 적어도 일부를 상기 터치스크린을 갖는 장치의 내부로 반사시키는 것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반사부는 평평한 면을 가져, 상기 스타일러스 펜의 상기 단부가 터치스크린과 접촉할 시, 상기 반사부의 평평한 면과 상기 터치스크린의 면이 상호 면접촉하는 것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반사부는 내측으로 만곡된 면을 가져, 상기 스타일러스 펜의 상기 단부가 터치스크린과 접촉할 시, 상기 반사부의 만곡된 면은 상기 터치스크린을 갖는 장치의 내부에서 외부로 방출되는 광 중 적어도 일부를 집광하여 상기 터치스크린을 갖는 장치의 내부로 반사시키는 것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자발광소자와 포토센서를 갖는 터치스크린을 가진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과, 상기 터치스크린과 접촉할 수 있는 단부에 반사부를 구비한 스타일러스 펜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반사부는 반사면을 갖는 것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스타일러스 펜의 상기 단부가 상기 터치스크린과 접촉할 시, 상기 반사부는 상기 자발광소자에서 발생하여 상기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의 내부에서 외부로 방출되는 광 중 적어도 일부를 상기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 내부로 반사시켜, 상기 반사된 광 중 적어도 일부를 상기 포토센서가 센싱하도록 하는 것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반사부는 평평한 면을 가져, 상기 스타일러스 펜의 상기 단부가 상기 터치스크린과 접촉할 시, 상기 반사부의 평평한 면과 상기 터치스크린의 면이 상호 면접촉하는 것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반사부는 내측으로 만곡된 면을 가져, 상기 스타일러스 펜의 상기 단부가 상기 터치스크린과 접촉할 시, 상기 반사부의 만곡된 면은 상기 자발광소자에서 발생하여 상기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의 내부에서 외부로 방출되는 광 중 적어도 일부를 집광하여 상기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의 내부로 반사시켜, 상기 반사된 광 중 적어도 일부를 상기 포토센서가 센싱하도록 하는 것으로 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스타일러스 펜 및 이를 구비한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에 따르면, 터치스크린을 갖는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사용할 시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의 포토센서에서의 수광 정확도를 높일 수 있는 스타일러스 펜 및 이를 구비한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현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타일러스 펜(100)의 일부분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스타일러스 펜(100)은 터치스크린과 접촉할 수 있는 단부를 갖는데, 이 단부에 반사부(110)를 구비한다. 이에 따라 본 실시예에 따른 스타일러스 펜(100)을 이용하여 터치스크린 기능을 가진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에서 디스플레이 화면(터치스크린)을 터치할 경우, 터치스크린을 갖는 장치의 내부에서 외부로 방출되는 광 중 적어도 일부는 이 스타일러스 펜(100)의 단부의 반사부(110)에서 반사되어 터치스크린을 갖는 장치의 내부로 진행하게 된다.
물론 종래의 스타일러스 펜의 경우에도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 내부에서 외부로 방출되는 광들 중 일부가 스타일러스 펜의 단부에서 반사되어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 내부로 향하였으나, 종래의 스타일러스 펜의 경우에는 스타일러스 펜의 단부 에서 광이 흡수되어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 내의 포토센서가 센싱할 수 있는 충분한 양의 광이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 내로 진행하지 않는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 따른 스타일러스 펜(100)을 이용할 경우, 단부에 반사부(110)를 가짐에 따라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 내부에서 외부로 방출된 광 중 스타일러스 펜(100)의 단부로 진행한 광이 스타일러스 펜(100)의 단부에 흡수되지 않고 반사부(110)에서 효과적으로 반사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스타일러스 펜(100) 단부의 반사부(110)에서 반사된 후 디스플레이 패널 내부로 향하는 광량을 획기적으로 높일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 내의 포토센서가 광을 정확하게 센싱하여 스타일러스 펜의 터치여부와 그 터치위치를 정밀하고 정확하게 검출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반사부(110)가 반사면(110a)을 갖도록 함으로써,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 내부에서 외부로 방출된 광 중 스타일러스 펜(100)의 단부로 진행한 광이 스타일러스 펜(100)의 단부에 흡수되지 않고 반사부(110)에서 효과적으로 반사되도록 할 수 있다. 특히 이 반사부(110)가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평평한 반사면(110a)을 갖도록 함으로써, 스타일러스 펜(100)의 단부(110)가 터치스크린과 접촉할 시, 반사부(110)의 평평한 반사면(110a)과 터치스크린의 면이 상호 면접촉하도록 할 수 있다. 스타일러스 펜(100)의 단부(110)가 터치스크린과 접촉할 시 반사부(110)의 평평한 반사면(110a)과 터치스크린의 면이 상호 면접촉하도록 함으로써, 스타일러스 펜(100)의 단부의 반사면(110a)과 터치스크린의 면이 밀착되어 스타일러스 펜(100)의 단부로 입사한 광이 반사된 후 외부로 누설되지 않 고 터치스크린을 갖는 장치(평판 디스플레이 패널) 내로 진행하도록 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는 터치스크린을 갖는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200)과, 스타일러스 펜(100)을 구비한다.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200)은 자발광소자(230)와 포토센서(240)를 갖는다. 스타일러스 펜(100)은 터치스크린과 접촉할 수 있는 단부에 반사부(110)를 갖는다.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200)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200)은 기판(201)과 기판(201) 상에 자발광소자(230)와 포토센서(240)를 갖는다. 물론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자발광소자(230)의 발광을 제어하는 박막 트랜지스터(220)를 더 구비할 수도 있는 등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하에서는 편의상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은 구조의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기판(201)은 글라스재 또는 플라스틱재, 나아가 금속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기판(201) 상에는 박막 트랜지스터(220)와 포토센서(240)가 배치되어 있다.
박막 트랜지스터(220)는 소스/드레인전극(223), 반도체층(227) 및 게이트전극(221)을 구비하며, 소스/드레인전극(223)과 반도체층(227)을 게이트전극(221)으로부터 절연시키기 위한 게이트절연막(213)과 층간절연막(215)이 구비될 수 있다. 물론 반도체층(227)으로의 불순물 침투 방지 등의 다양한 목적을 위하여 기판(201) 전면(全面)에 버퍼층(211)이 형성될 수도 있다.
포토센서(240)는 다양한 구조를 가질 수 있는데, 도 2에서는 그 일 예로서 박막 트랜지스터와 유사한 구조를 갖는 포토센서를 도시하고 있다. 이와 같은 포토센서(240)는 금속층(243)과 반도체층(247)을 가지며, 광이 입사할 시 반도체층(247)을 통해 두 금속층(243) 사이에 전기적 신호가 발생하게 된다.
이와 같은 박막 트랜지스터(220)와 포토센서(240)를 덮도록 보호막 또는 평탄화막(217)이 배치되며, 이 보호막 또는 평탄화막(217) 상에 자발광소자(230)가 배치된다. 물론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각 화소의 영역을 정의하는 화소정의막(219)이 배치될 수도 있다. 자발광소자(230)는 예컨대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은 유기 발광 소자일 수 있는데, 유기 발광 소자일 경우 화소전극(231)과 이에 대향된 대향전극(235)과, 화소전극(231)과 대향전극(235) 사이에 개재되며 발광층을 포함하는 중간층(233)을 갖는다.
화소전극(231)은 투명 전극 또는 반사형 전극으로 구비될 수 있는데, 투명전극으로 형성할 때에는 ITO, IZO, ZnO 또는 In2O3로 형성할 수 있다. 반사형 전극으로 형성할 때에는 Ag, Mg, Al, Pt, Pd, Au, Ni, Nd, Ir, Cr 및 이들의 화합물 등으로 형성된 반사막과, ITO, IZO, ZnO 또는 In2O3로 형성된 층을 가질 수 있다. 물론 화소전극(231)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양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그 구조 또한 단층 또는 다층이 될 수 있는 등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대향전극(235)은 투명 전극 또는 반사형 전극으로 구비될 수 있는 데, 투명전극으로 형성할 때에는 일함수가 작은 금속 즉, Li, Ca, LiF/Ca, LiF/Al, Al, Ag, Mg 및 이들의 화합물로 형성된 층과 ITO, IZO, ZnO 또는 In2O3 등의 투명 도전층을 가질 수 있다. 반사형 전극으로 형성할 때에는 Li, Ca, LiF/Ca, LiF/Al, Al, Ag, Mg 및 이들의 화합물로 형성된 층일 수 있다. 물론 대향전극(235)의 구성 및 재료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중간층(233)은 저분자 물질 또는 고분자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저분자 물질로 형성될 경우 홀 주입층(HIL: Hole Injection Layer), 홀 수송층(HTL: Hole Transport Layer), 발광층(EML: Emission Layer), 전자 수송층(ETL: Electron Transport Layer), 전자 주입층(EIL: Electron Injection Layer) 등이 단일 혹은 복합의 구조로 적층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사용 가능한 유기 재료도 구리 프탈로시아닌(CuPc: copper phthalocyanine), N,N-디(나프탈렌-1-일)-N,N'-디페닐-벤지딘 (N,N'-Di(naphthalene-1-yl)-N,N'-diphenyl-benzidine: NPB) , 트리스-8-하이드록시퀴놀린 알루미늄(tris-8-hydroxyquinoline aluminum)(Alq3) 등을 비롯해 다양한 물질을 이용할 수 있다. 이러한 층들은 진공증착의 방법으로 형성될 수 있다. 고분자 물질로 형성될 경우에는 대개 홀 수송층(HTL) 및 발광층(EML)으로 구비된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이 때, 상기 홀 수송층으로 PEDOT를 사용하고, 발광층으로 PPV(Poly-Phenylenevinylene)계 및 폴리플루오렌(Polyfluorene)계 등 고분자 물질을 사용하며, 이를 스크린 인쇄나 잉크젯 인쇄방법 등으로 형성할 수 있다. 물론 중간층(142)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양한 구조를 가질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자발광 소자(230) 상부에는 스타일러스 펜(100)이 접촉할 수 있는 봉지기판(250)이 배치된다.
스타일러스 펜(100)은 터치스크린(도 2의 경우에는 봉지기판(250)의 상면(250a)과 접촉할 수 있는 단부를 갖는데, 이 단부에 반사부(110)를 구비한다. 이에 따라 본 실시예에 따른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를 이용할 시, 즉 스타일러스 펜(100)을 이용하여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200)에서 디스플레이 화면(터치스크린)을 터치할 경우,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200) 내부에서 외부로 방출되는 광 중 적어도 일부는 이 스타일러스 펜(100)의 단부의 반사부(110)에서 반사되어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200) 내부로 진행하게 된다.
물론 종래의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의 경우에도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 내부에서 외부로 방출되는 광들 중 일부가 스타일러스 펜의 단부에서 반사되어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 내부로 향하였으나, 종래의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의 경우에는 스타일러스 펜의 단부에서 광이 흡수되어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 내의 포토센서가 센싱할 수 있는 충분한 양의 광이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 내로 진행하지 않는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 따른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를 이용할 경우, 스타일러스 펜(100)이 단부에 반사부(110)를 가짐에 따라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200) 내부에서 외부로 방출된 광 중 스타일러스 펜(100)의 단부로 진행한 광이 스타일러스 펜(100)의 단부에 흡수되지 않고 반사부(110)에서 효과적으로 반사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스타일러스 펜(100) 단부의 반사부(110)에서 반사된 후 디스플레이 패널(200) 내부로 향하는 광량을 획기적으로 높일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200) 내의 포토센서(240)가 광을 정확하게 센싱하여 스타일러스 펜(100)의 터치여부와 터치위치를 정밀하고 정확하게 검출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반사부(110)가 반사면(110a)을 갖도록 함으로써,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200) 내부에서 외부로 방출된 광 중 스타일러스 펜(100)의 단부로 진행한 광이 스타일러스 펜(100)의 단부에 흡수되지 않고 반사부(110)에서 효과적으로 반사되도록 할 수 있다. 특히 이 반사부(110)가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평평한 반사면(110a)을 갖도록 함으로써, 스타일러스 펜(100)의 단부(110)가 터치스크린(봉지기판(250)의 상면(250a)과 접촉할 시, 반사부(110)의 평평한 반사면(110a)과 터치스크린의 면이 상호 면접촉하도록 할 수 있다. 스타일러스 펜(100)의 단부(110)가 터치스크린과 접촉할 시 반사부(110)의 평평한 반사면(110a)과 터치스크린의 면이 상호 면접촉하도록 함으로써, 스타일러스 펜(100)의 단부의 반사면(110a)과 터치스크린의 면이 밀착되어 스타일러스 펜(100)의 단부로 입사한 광이 반사된 후 외부로 누설되지 않고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200) 내로 진행하도록 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스타일러스 펜의 일부분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은 스타일러스 펜(100')이 도 1을 참조하여 전술한 것과 같은 스타일러스 펜(100)과 상이한 것은, 반사부(110')가 내측으로 만곡된 면(110'a)을 가져, 스타일러스 펜(100')의 단부가 터치스크린과 접촉할 시, 반사부(110')의 만곡된 면(110'a)이 터치스크린을 갖는 장치(평판 디스플레이 패널)의 내부에서 외부로 방출되는 광 중 적어도 일부를 집광하여 터치스크린을 갖는 장치의 내부로 반사시킨다는 것이다. 이를 통해 터치 스크린을 갖는 장치 내부로 향하는 광량, 특히 터치 스크린을 갖는 장치의 포토센서로 향하는 광량을 증가시킴으로써, 포토센서가 정확하게 스타일러스 펜(100')의 터치여부 및 터치위치를 검출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은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가 도 2를 참조하여 전술한 것과 같은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와 상이한 것은, 스타일러스 펜(100')의 반사부(110')가 내측으로 만곡된 면(110'a)을 가져, 스타일러스 펜(100')의 단부가 터치스크린과 접촉할 시, 반사부(110')의 만곡된 면(110'a)이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200)의 자발광소자에서 발생하여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200) 내부에서 외부로 방출되는 광 중 적어도 일부를 집광하여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200) 내부로 반사시킨다는 것이다. 이를 통해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200) 내부로 향하는 광량, 특히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200)의 포토센서(240)로 향하는 광량을 증가시킴으로써, 포토센서가 정확하게 스타일러스 펜(100')의 터치여부 및 터치위치를 검출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타일러스 펜의 일부분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스타일러스 펜의 일부분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스타일러스 펜 110: 단부
110a: 반사면 220: 박막 트랜지스터
230: 유기 발광 소자 240: 포토센서

Claims (10)

  1. 터치스크린과 접촉할 수 있는 단부에 반사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타일러스 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부는 반사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타일러스 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타일러스 펜의 상기 단부가 터치스크린과 접촉할 시, 상기 반사부는 상기 터치스크린을 갖는 장치의 내부에서 외부로 방출되는 광 중 적어도 일부를 상기 터치스크린을 갖는 장치의 내부로 반사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타일러스 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부는 평평한 면을 가져, 상기 스타일러스 펜의 상기 단부가 터치스크린과 접촉할 시, 상기 반사부의 평평한 면과 상기 터치스크린의 면이 상호 면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타일러스 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부는 내측으로 만곡된 면을 가져, 상기 스타일러스 펜의 상기 단부가 터치스크린과 접촉할 시, 상기 반사부의 만곡된 면은 상기 터치스크린을 갖는 장치의 내부에서 외부로 방출되는 광 중 적어도 일부를 집광하여 상기 터치스크린을 갖는 장치의 내부로 반사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타일러스 펜.
  6. 자발광소자와 포토센서를 갖는, 터치스크린을 가진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 및
    상기 터치스크린과 접촉할 수 있는 단부에 반사부를 구비한 스타일러스 펜;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부는 반사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스타일러스 펜의 상기 단부가 상기 터치스크린과 접촉할 시, 상기 반사부는 상기 자발광소자에서 발생하여 상기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의 내부에서 외부로 방출되는 광 중 적어도 일부를 상기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 내부로 반사시켜, 상기 반사된 광 중 적어도 일부를 상기 포토센서가 센싱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부는 평평한 면을 가져, 상기 스타일러스 펜의 상기 단부가 상기 터치스크린과 접촉할 시, 상기 반사부의 평평한 면과 상기 터치스크린의 면이 상호 면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부는 내측으로 만곡된 면을 가져, 상기 스타일러스 펜의 상기 단부가 상기 터치스크린과 접촉할 시, 상기 반사부의 만곡된 면은 상기 자발광소자에서 발생하여 상기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의 내부에서 외부로 방출되는 광 중 적어도 일부를 집광하여 상기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의 내부로 반사시켜, 상기 반사된 광 중 적어도 일부를 상기 포토센서가 센싱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080125324A 2008-12-10 2008-12-10 스타일러스 펜 및 이를 구비한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 KR1009378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5324A KR100937868B1 (ko) 2008-12-10 2008-12-10 스타일러스 펜 및 이를 구비한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
US12/585,031 US8610676B2 (en) 2008-12-10 2009-09-01 Stylus pen with a reflecting unit and flat panel display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JP2009278678A JP4953476B2 (ja) 2008-12-10 2009-12-08 スタイラスペン及びこれを備えた平板ディスプレイ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5324A KR100937868B1 (ko) 2008-12-10 2008-12-10 스타일러스 펜 및 이를 구비한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37868B1 true KR100937868B1 (ko) 2010-01-21

Family

ID=418100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25324A KR100937868B1 (ko) 2008-12-10 2008-12-10 스타일러스 펜 및 이를 구비한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8610676B2 (ko)
JP (1) JP4953476B2 (ko)
KR (1) KR10093786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55683B1 (ko) * 2013-03-29 2019-12-1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TWI509474B (zh) * 2014-05-01 2015-11-21 Quanta Comp Inc 觸控筆
US9507442B2 (en) 2014-05-21 2016-11-29 Leap Motion, Inc. Multi-function stylus for motion capture and sensory based machine control
KR200495951Y1 (ko) * 2022-06-10 2022-09-29 주식회사 보나 광학식 전자펜을 위한 펜팁모듈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20440A (ko) * 2002-08-30 2004-03-09 웅지산전(주) 소결로 폐가스 배출장치
KR100860158B1 (ko) 2004-01-27 2008-09-24 김철하 펜 형의 위치 입력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184242A (en) * 1963-04-19 1965-05-18 Capps & Co Inc Recording stylus
JP3517185B2 (ja) * 2000-07-19 2004-04-05 株式会社ミツトヨ スケール部材、その製造方法及びそれを用いた変位計
WO2003073368A2 (de) * 2002-02-28 2003-09-04 Micro-Sensys Gmbh Bildschirmtast-und transponderlesestift
US7181105B2 (en) * 2003-03-25 2007-02-20 Fuji Photo Film Co., Ltd. Method for adjusting alignment of laser beams in combined-laser-light source where the laser beams are incident on restricted area of light-emission end face of optical fiber
JP3832591B2 (ja) * 2003-07-18 2006-10-11 株式会社ナナオ 指示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光学式座標入力装置
US7348969B2 (en) * 2003-12-30 2008-03-25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Passive light stylus and user input device using same
JP4556700B2 (ja) * 2005-02-17 2010-10-06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座標検出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20440A (ko) * 2002-08-30 2004-03-09 웅지산전(주) 소결로 폐가스 배출장치
KR100860158B1 (ko) 2004-01-27 2008-09-24 김철하 펜 형의 위치 입력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4953476B2 (ja) 2012-06-13
US20100141593A1 (en) 2010-06-10
US8610676B2 (en) 2013-12-17
JP2010140483A (ja) 2010-06-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42955B1 (ko) 터치 스크린 기능을 갖는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KR100987381B1 (ko)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US10923547B2 (e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KR100964234B1 (ko)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US8723813B2 (en) Flat panel display device
KR101758047B1 (ko) 이미지 센싱이 가능한 표시 장치
US10763315B2 (en) Display apparatus including light receiving pixel area
US8243034B2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KR102207914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JP5792440B2 (ja) 有機発光ディスプレイ装置
US9335855B2 (en) Top-emitting OLED display having transparent touch panel
KR20100107313A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의 제조 방법
US20130135256A1 (e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US20150317016A1 (en) Touch sensor and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apparatus
US8952900B2 (en) Touch screen display apparatus
KR101431468B1 (ko)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KR100937868B1 (ko) 스타일러스 펜 및 이를 구비한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
KR102381428B1 (ko) 표시 장치
KR101977062B1 (ko) 이미지 센싱이 가능한 표시 장치
KR101074798B1 (ko) 디스플레이 장치
KR102673970B1 (ko) 유기발광 표시장치 그 제조방법
KR20170082364A (ko) 이미지 센싱이 가능한 표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3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2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