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37141B1 - 부유식 해양구조물의 계류형 고정구조 - Google Patents

부유식 해양구조물의 계류형 고정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37141B1
KR100937141B1 KR1020070136714A KR20070136714A KR100937141B1 KR 100937141 B1 KR100937141 B1 KR 100937141B1 KR 1020070136714 A KR1020070136714 A KR 1020070136714A KR 20070136714 A KR20070136714 A KR 20070136714A KR 100937141 B1 KR100937141 B1 KR 1009371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ating
fixed structure
floating marine
cylinders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367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68910A (ko
Inventor
홍사영
경조현
김진하
Original Assignee
한국해양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해양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해양연구원
Priority to KR10200701367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37141B1/ko
Publication of KR200900689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689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371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371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9/00Equipment to decrease pitch, roll, or like unwanted vessel movements; Apparatus for indicating vessel attitude
    • B63B39/005Equipment to decrease ship's vibrations produced externally to the ship, e.g. wave-induced vibr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1/00Tying-up; Shifting, towing, or pushing equipment; Ancho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44Floating buildings, stores, drilling platforms, or workshops, e.g. carrying water-oil separat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1/00Tying-up; Shifting, towing, or pushing equipment; Anchoring
    • B63B2021/003Mooring or anchoring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7/00Artificial islands mounted on piles or like supports, e.g. platforms on raisable legs or offshore constructions; Construction methods therefor
    • E02B2017/0056Platforms with supporting le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부유식 해양구조물이 계류활동을 할 수 있도록 하는 부유식 해양구조물의 고정구조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부유식 해양구조물을 고정하는 고정구조물과의 사이에 틴상부재와 다수개의 실린더를 설치하여 상기 부유식 해양구조물이 계류활동을 하도록 이루어진 것이며, 상기 다수개의 실린더 사이에는 서로 유체(오일)가 서로 연통되어 다수개의 실린더 내의 유압 동일하도록 연통관이 설치된 것이다.
부유식 해양구조물, 계류, 탄성부재, 실린더

Description

부유식 해양구조물의 계류형 고정구조{Fixing construction for mooring of floating objects}
본 발명은 부유식 해양구조물이 계류활동을 할 수 있도록 하는 부유식 해양구조물의 고정구조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부유식 해양구조물을 고정하는 고정구조물과의 사이에 탄성부재와 다수개의 실린더를 설치하여 상기 부유식 해양구조물이 계류활동을 하도록 이루어진 것이다.
해양자원 및 해양공간을 활용하고자 해양에는 부유식 해양구조물이 설치되며, 상기 부유식 해양구조물은 보통 첨부된 도 1과 도 2와 같은 형태로 설치된다.
도 1은 부유식 해양구조물(1)이 로프(2')에 의하여 고정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부유식 해양구조물(1)은 계류활동을 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로프(2')에 의하여 고정설치되는 부유식 해양구조물(1)은 자유롭게 계류활동을 할 수 있는 특징이 있으나, 파랑과 조류 및 바람 등의 작은 힘(영향력)에도 쉽게 움직이는 단점과, 전복이 일어나는 단점이 있다.
도 2는 부유식 해양구조물(1)이 해양 바닥면에 설치되어 있는 고정구조물(2) 에 고정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부유식 해양구조물(1)과 고정구조물(2) 사이에는 고무와 같은 패킹(1a)이 설치되고, 상기 부유식 해양구조물(1)은 고정구조물(2)을 따라 상하로 이동하게 설치된다.
파랑과 조류 및 바람 등에 의하여 상기 부유식 해양구조물(1)은 상하좌우전후로 이동하여야 하는데, 도 2와 같이 설치되는 부유식 해양구조물(1)은 좌우전후로 이동하지 못함으로써 고정구조물(2)이 설치되는 부분의 부유식 해양구조물(1)이 파손되는 현상이 발생한다.
즉, 종래에 제시되어 사용되는 부유식 해양구조물의 고정구조는 도 1과 같이 계류작용을 하도록 부유식 해양구조물이 로프에 의하여 고정설치될 경우에는 유동이 심하고, 전복되는 단점이 있으며, 도 2와 같이 부유식 해양구조물이 고정구조물에 의하여 고정설치될 경우에는 고정구조물과 연결되는 부분의 부유식 해양구조물이 파손되는 현상이 발생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단점을 해결하고자 발명된 것으로,
부유식 해양구조물을 고정구조물에 설치하되, 상기 부유식 해양구조물과 고정구조물 사이에 탄성부재와 다수개의 실린더를 설치하되, 상기 다수개의 실린더에 작용하는 공압 또는 유압이 동일하도록 하며, 부유식 해양구조물이 상하, 좌우, 전후로 계류작용을 하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고정구조물에 상하이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된 부유식 해양구조물과, 상기 부유식 해양구조물을 고정하는 고정 구조물 사이에 상기 부유식 해양구조물이 계류활동을 하도록 탄성부재와 실린더가 설치된다.
상기 부유식 해양구조물을 고정 구조물에 설치하기 위하여 설치되는 상기 실린더는 유체(Oil)를 사용하는 유압 실린더를 사용하나, 공압 실린더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부유식 해양구조물의 일측에는 파랑에너지를 줄이고자 진동수주가 형성된 파랑에너지 감쇄장치가 더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부유식 해양구조물을 고정 구조물에 설치하기 위하여 설치되는 상기 실린더는 2개 이상이 설치되며, 바람직하게는 3~6개가 등간격으로 고정 구조물을 중심으로 방사형태로 설치된다.
이러한 상기 실린더들 사이에는 실린더들의 유체압이 동일하도록 실린더내에 작동유체가 서로 교통하도록 하는 연결관이 설치된다.
상기와 같이 부유식 해양구조물이 다수개의 실린더로 고정구조물에 설치됨으로써 상기 부유식 해양구조물이 계류작용을 하는 동시에 전복되지 않는 특징이 있다.
또한, 상기 부유식 해양구조물이 탄성부재와 실린더에 의하여 부유식 해양구조물이 파랑과 조류 및 바람 등에 대한 강성을 가지는 특징이 있다.
또한, 다수개의 실린더가 서로 연통관으로 작동유체가 서로 교통하도록 연통되어 다수개의 실린더의 유압이 동일해지는 특징이 있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 부유식 해양구조물의 고정구조를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 부유식 해양구조물의 고정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 부유식 해양구조물의 고정구조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6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부유식 해양구조물의 고정구조를 나타낸 평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부유식 해양구조물의 고정구조를 나 타낸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에 대한 정면 개략도이다.
도 3과 도 4와 같이 부유식 해양구조물의 고정구조는 크게 부유식 해양구조물(10)과, 고정구조물(20)과, 탄성부재(11)와, 실린더(30)로 구성된다.
상기 부유식 해양구조물(10)에는 부유식 해양구조물(10)이 전후좌우로 이동하여 계류작용을 할 수 있도록 일측에 관통된 홀로 형성되는 작동 공간부(10-1)가 형성되고, 상기 작동 공간부(10-1)에 중앙부분에 고정구조물(20)이 위치하며, 상기 부유식 해양구조물(10)과 고정구조물(20) 사이인 작동 공간부(10-1)에 탄성부재(11)와 다수의 실린더(30)들이 설치된다.
상기 고정구조물(20)은 일단이 해양바닥면에 고정설치되고, 타단은 해수면에 돌출되도록 설치되는 것으로, 보통 원통의 빔이나 다각형의 빔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고정구조물(20)에는 고정구조물(20)을 따라 상하 이동하는 탄성부재(11)와 연결부재(21)가 설치되고, 상기 연결부재(21)는 후설되는 실린더(30)들과 연설되어 부유식 해양구조물(10)이 고정구조물(20)을 따라 상하 이동하도록 한다.
상기 탄성부재(11)는 탄성이 강한 고무재질을 보통 사용하며, 부유식 해양구조물(10)과 고정구조물(20) 사이에 널리 사용되어 있는 것으로, 부유식 해양구조물(10)이 고정구조물(20)에 탄성을 가지고 설치되어 수평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실린더(30)들은 첨부된 도면과 같이 일측에 형성되어 있는 피스톤(31)이 고정구조물(20)을 따라 상하 이동하도록 설치되어 있는 연결부재(21)에 설치되 고, 타측은 자유롭게 설치되어 있는 것이다.
도 9a와 도 9b는 본 발명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도 9a와 같이 부유식 해양구조물(10)과 고정구조물(20) 사이에 설치되어 있는 탄성부재(11)가 1차로 압축되고, 도 9b와 같이 상기 탄성부재(11)의 허용한도 또는 정격압축한도가 초과 될 경우 부유식 해양구조물(10)이 실린더(20)의 일측과 접촉하여 탄성부재(11)와 실린더(30)가 2차로 압축함으로써 충격을 흡수하게 된다.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도 9a와 같이 부유식 해양구조물(10)은 탄성부재(11)에 의하여 고정구조물(20)에서 상하로 이동하면서 탄성부재(11)의 탄성력으로 전후좌우로 이동을 하면서 계류 활동을 한다. 그러나 파고나 파랑이 강할 경우에는 탄성부재(11) 만으로는 강한 파고나 파랑에 대하여 대처할 수 없는 상태가 이를 수 있으며, 이와 같은 현상에서는 도 9b와 같이 탄성부재(11)와 실린더(30)들이 작용하여 강한 파고나 파랑에 대하여 대처하도록 한다.
이러한 상기 실린더(30)들은 안정적으로 부유식 해양구조물(10)을 고정구조물(20)에 설치할 수 있도록 다수개가 등간격으로 설치된다. 즉, 도 3 내지 도 6과 같이 부유식 해양구조물(10)의 작동 공간부(10-1) 중앙에 위치하는 고정구조물(20)을 중심으로 등간격으로 배치되도록 한다.
상기 실린더(30)는 2개 이상이 설치되되, 바람직하게는 3 ~ 6개가 적당하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도 4와 도 5와 같이 3개가 설치되는 것이 좋다.
이러한 상기 실린더(30)들은 각각의 작동유체인 오일(Oil)이 서로 교통할 수 있도록 연통관(32)으로 서로 연결된다. 이는 각각의 실린더(30)들의 작동유체의 유 압을 동일하게 하는 특징이 있다.
상기와 같이 고정구조물(20)에 일측이 설치된 실린더(30)와 탄성부재(11)로 연설되어 계류작용을 하도록 설치되는 부유식 해양구조물(20)은 도 7과 도 8과 같이 파랑의 에너지를 줄이는 파랑에너지 감쇄장치(40)가 더 형성된다.
상기 파랑에너지 감쇄장치(40)는 부유식 해양구조물(20)의 일측에 형성되는 것으로 진동수주(41)와, 상기 진동수주(41) 상측에 형성되는 다수개의 오리스피용 홀(42)로 이루어지고, 상기 진동수주(41) 일측에 소파판(43)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파랑에너지 감쇄장치(40)는 진동수주(41)와 오리피스용 홀(42)들에 의하여 파랑에너지를 감쇄시켜 파랑에 의하여 부유식 해양구조물(20)에 작용하는 힘을 감쇄시키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부유식 해양구조물의 계류식 고정구조를 나타낸 개략도.
도 2는 종래의 부유식 해양구조물의 고정식 고정구조를 나타낸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 부유식 해양구조물의 고정구조를 나타낸 개략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 부유식 해양구조물의 고정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 부유식 해양구조물의 고정구조를 나타낸 평면도.
도 6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부유식 해양구조물의 고정구조를 나타낸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부유식 해양구조물의 고정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8은 도 7에 대한 정면 개략도.
도 9a와 도 9b는 본 발명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부유식 해양구조물 20 : 고정구조물
30 : 실린더 40 : 파랑에너지 감쇄장치

Claims (7)

  1. 부유식 해양구조물이 고정구조물에 상하이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부유식 해양구조물의 고정구조에 있어서,
    상기 부유식 해양구조물(10)과, 상기 부유식 해양구조물(10)을 고정하는 고정 구조물(20) 사이에 부유식 해양구조물(10)이 계류활동을 하도록 탄성부재(11)와 다수개의 실린더(30)가 설치되되,
    상기 실린더(30)는 2개 이상이 설치되고, 상기 실린더(30)들 사이에는 작동 유체 또는 기체가 서로 연통하도록 연결관(32)이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식 해양구조물의 고정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30)는 유압 또는 공압 실린더임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식 해양구조물의 고정구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부유식 해양구조물(10)에는 파랑에너지를 줄이고자 진동수주가 형성된 파랑에너지 감쇄장치(40)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식 해양구조물의 고정구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30)는 3개가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식 해양구조물의 고정구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30)는 4개가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식 해양구조물의 고정구조.
  6. 삭제
  7. 삭제
KR1020070136714A 2007-12-24 2007-12-24 부유식 해양구조물의 계류형 고정구조 KR1009371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36714A KR100937141B1 (ko) 2007-12-24 2007-12-24 부유식 해양구조물의 계류형 고정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36714A KR100937141B1 (ko) 2007-12-24 2007-12-24 부유식 해양구조물의 계류형 고정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68910A KR20090068910A (ko) 2009-06-29
KR100937141B1 true KR100937141B1 (ko) 2010-01-15

Family

ID=409962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36714A KR100937141B1 (ko) 2007-12-24 2007-12-24 부유식 해양구조물의 계류형 고정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37141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40484A (ja) * 1998-02-25 1999-09-07 Mitsubishi Heavy Ind Ltd 浮体構造物
KR20030053669A (ko) * 2001-12-22 2003-07-02 주식회사 포스코 부유식 방파제
KR20050107908A (ko) * 2004-05-10 2005-11-16 명철수 부유식 측정장비용 지지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40484A (ja) * 1998-02-25 1999-09-07 Mitsubishi Heavy Ind Ltd 浮体構造物
KR20030053669A (ko) * 2001-12-22 2003-07-02 주식회사 포스코 부유식 방파제
KR20050107908A (ko) * 2004-05-10 2005-11-16 명철수 부유식 측정장비용 지지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68910A (ko) 2009-06-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42241A (en) Wave energy engine
JP5926244B2 (ja) 海岸侵食を最小化するためおよび水面活動を弱める他の用途のためのブイシステムおよび方法
KR101813305B1 (ko) 파동 에너지 전환기
EP1802814B1 (en) Breakwater wave energy converter
KR101001491B1 (ko) 충격 계류장력 완충장치
US20090301088A1 (en) Wave Elimination System for Ocean Thermal Energy Conversion Assembly
KR100937141B1 (ko) 부유식 해양구조물의 계류형 고정구조
DK179431B1 (en) A power take off system suitable for a wave power device
CN218844492U (zh) 一种海上风电基础的抗冰结构
KR101196230B1 (ko) 선박 및 해양구조물의 슬래밍 충격 하중 흡수 장치
CN102518619A (zh) 弹性缓冲液压油缸
KR101162441B1 (ko) 부유식 구조물
CN112065641B (zh) 一种波浪能发电装置用液压蓄能发电式锚泊系统
US7396189B2 (en) Cubic marine impact-absorbing structure
CN219430713U (zh) 一种便于连接的海洋拦截浮筒
CN109162244B (zh) 一种横固挤压型快速拆装的浮式防波堤
CN205776068U (zh) 一种浮筒及采用该浮筒组合的浮式防波堤
KR101905260B1 (ko) 해양 구조물의 부등침하 대응 시스템
CN112092981B (zh) 一种海底振冲式多锚体锚固系统
AU2013203488B2 (en) Wave Energy Conversion
CN219473061U (zh) 一种管材抗冲击磨损装置
KR20190003140A (ko) 반잠수형 플랫폼의 건조 방법
CN117775183A (zh) 用于防止锚链触底开槽及避免系泊冲击载荷的吸力锚装置
JP2005002655A (ja) 接岸用ダンパ貫挿式フェンダ装置
CN103133233A (zh) 分层多级吸能消浪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2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