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36820B1 - 액정표시모듈 - Google Patents

액정표시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36820B1
KR100936820B1 KR1020020079981A KR20020079981A KR100936820B1 KR 100936820 B1 KR100936820 B1 KR 100936820B1 KR 1020020079981 A KR1020020079981 A KR 1020020079981A KR 20020079981 A KR20020079981 A KR 20020079981A KR 100936820 B1 KR100936820 B1 KR 1009368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crystal
panel
guide
backlight unit
crystal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799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53427A (ko
Inventor
김경섭
오석환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799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36820B1/ko
Publication of KR200400534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534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368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368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G02F1/133602Direct backlight
    • G02F1/133604Direct backlight with lam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57/00Electrical equipment
    • B32B2457/20Displays, e.g. liquid crystal displays, plasma displays
    • B32B2457/202LCD, i.e. liquid crystal display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02F1/13332Front frame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2201/00Constructional 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2F1/00 - G02F7/00
    • G02F2201/46Fixing eleme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이드 패널의 수축에 따른 불량을 최소화할 수 있는 액정표시모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액정표시모듈은 백라이트유닛과, 상기 백라이트유닛에서 생성된 광에 의해 화상을 구현하는 액정패널과, 소정간격을 사이에 두고 서로 분리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백라이트 유닛과 액정패널을 감싸는 제1 및 제2 패널가이드를 구비하고, 상기 소정간격은 상기 제1 및 제2 패널가이드의 수축률에 비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액정표시모듈{LIQUID CRYSTAL DISPLAY MODULE}
도 1은 종래의 액정표시모듈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액정표시모듈이 저온에서 수축되는 방향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a 및 도 3b는 도 2에 도시된 수축된 액정표시모듈에 의한 불량현상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액정표시모듈이 고온에서 신장되는 방향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a 및 도 5b는 도 4에 도시된 신장된 액정표시모듈에 의한 불량현상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액정표시모듈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에서 선"Ⅰ-Ⅰ'"를 따라 절취한 액정표시모듈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6에 도시된 패널가이드를 상세히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액정표시모듈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32 : 케이스 탑 6,36 : 액정패널
8,38 : 광학 시트 10,40 : 도광판
12,42 : 반사 시트 14,44 : 서포트 메인
16,46 : 패널가이드 18,48 : 가이드돌기
34a,34b : 편광 시트
본 발명은 액정표시모듈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가이드 패널의 변형에 따른 불량을 최소화할 수 있는 액정표시모듈에 관한 것이다.
통상의 액정표시장치는 액정표시모듈과 이 액정표시모듈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회로부와 케이스로 구성된다.
액정표시모듈은 두장의 유리기판의 사이에 액정셀들이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되어진 액정패널과, 이 액정패널에 광을 조사하는 백 라이트 유니트(Back Light Unit)로 구성되게 된다. 아울러 액정표시모듈에는 백 라이트 유니트로부터 액정패널쪽으로 진행하는 광을 수직으로 일으켜 세우기 위한 광 시이트들이 배열되게 된다. 이러한 액정패널, 백 라이트 유니트 및 광 시이트들은 광 손실을 방지하기 위하여 일체화된 형태로 체결되어야 함과 아울러 외부의 충격에 의하여 손상되지 않 게끔 보호되어야만 한다. 이를 위하여, 액정패널의 가장자리를 포함한 백 라이트 유니트 및 광 시이트들을 감싸게끔 형성되어진 액정표시장치용 케이스가 마련되게 되었다.
상술한 액정표시장치는 노트북 퍼스널 컴퓨터(Notebook Personal Computer)와 같은 휴대용 컴퓨터 등과 같은 휴대용 정보처리장치에 마운팅(Mounting)되어 디스플레이장치로 사용된다. 최근에 휴대용 정보처리장치의 슬림화를 위해, 액정표시장치가 디스플레이 방향에 수직인 면(Side edge)에 나사홈 등의 마운팅 수단을 구비하고 휴대용 정보처리장치의 측면에서 고정되는 사이드 마운팅 방식 (Side Mounting System)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액정표시장치는 서포트 메인(Support Main)(14)과, 서포트 메인(14)의 내부에 적층되는 백라이트 유닛 및 액정패널(6)과, 백 라이트 유닛과 액정패널(6) 사이에 배치되어 액정패널(6)을 지지함과 아울러 서포트 메인(14)의 측면과 체결되는 가이드 패널(16)과, 가이드 패널(16)과 액정패널(6)을 고정하기 위한 케이스 탑(Case Top)(2)을 구비한다.
서포트 메인(14)은 몰드물로서 그 내부의 측벽면이 계단형 단턱면으로 성형된다. 이 서포트 메인(14)의 내부 최저층에는 도광판(10), 반사 시트(12), 광학 시트들(8)과 도시하지 않은 램프 하우징을 포함한 백라이트 유닛이 장착된다.
반사 시트(12)는 백라이트 유닛으로부터의 광을 액정패널(6) 쪽으로 안내하게 된다. 광학 시트들(8)은 반사시트(12)의 표면으로부터 경사지게 입사되는 광이 수직하게 액정패널(6) 쪽으로 진행되도록 유도해 준다. 다시 말하여, 광학 시트들(8)은 광학 시트들(8)의 표면으로부터의 광의 진행방향을 일으켜 세우는 역할을 한다.
가이드 패널(16)은 서포트 메인(14)의 최상측에 적층된 광학 시트(8)을 고정시키게 된다. 이러한 가이드 패널(16) 상에는 편광 시트(도시하지 않음)가 각각 부착된 액정패널(6)이 적층된다. 이 액정패널(6)의 유동을 방지하기 위하여 가이드 패널(16)의 모서리상에는 "L"자 형태로 구부러진 가이드 돌기(18)가 형성된다.
편광 시트는 액정셀 매트릭스에 의해 표시되는 화상의 시야각을 확장시키는 기능을 담당하게 된다.
액정패널(6)은 상부 및 하부 유리기판의 사이에는 액정셀들이 액티브 매트릭스 (Active Matrix) 형태로 배열되게 되고 아울러 액정셀들 각각에는 비디오신호를 절환하기 위한 박막트랙지스터(Thin Film Transistor)가 설치되어 있다. 액정셀들 각각의 굴절율이 비디오신호에 따라 변화됨으로써 비디오신호에 해당하는 화상이 표시되게 된다. 이와 같은 액정패널(6)의 하부기판 상에는 박막트랜지스터에 구동신호를 인가하기 위한 드라이버 집적회로가 실장된 도시하지 않은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Tape Carrier Package)가 부착된다.
케이스 탑(2)은 직각으로 절곡된 평면부와 측면부를 가지는 사각띠 형태로 제작된다. 이러한, 케이스 탑(2)은 액정패널(6)의 가장자리와 서포트 메인(14)에 체결된 가이드 패널(16)을 감싸게 된다.
이러한 종래 액정표시모듈의 가이드패널(16)은 플라스틱재질로 형성되어 온도에 민감하게 반응한다. 즉, 가이드패널(16)은 저온 또는 고온에서 수축되거나 신장되어 액정패널에 영향을 주게 되므로 화질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예를 들어, 백라이트 유닛을 구동하지 않은 상태로 액정표시모듈을 저온인 0℃에서 5시간정도로 방치하게 되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 패널(16)이 가이드패널(16)의 길이방향으로 수축된다. 이에 따라, 가이드패널(16)내에 위치하는 액정패널(6)의 가장자리부와 간섭하여 빛샘이 발생되므로 화질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즉, 수축된 가이드패널(16)에 의해 액정패널(6)의 가장자리영역이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방향으로 수축되어 휘어지게 되므로 액정패널(6)의 셀갭이 위치별로 달라지게 되어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더(18)와 대응되는 액정패널(6)의 모서리영역(A)에서 화질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백라이트 유닛을 구동하지 않은 상태로 액정표시모듈을 고온에서 방치하게 되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패널(16)이 가이드패널(16)의 길이방향으로 신장된다. 이에 따라,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탑케이스(2)내에 마련된 베젤개구부(Bezel Open)영역(20)과 표시영역(22)이 동일한 간격을 사이에 두고 형성되어야 하는데, 신장되는 가이드패널(16)에 의해 인접한 베젤개구부영역(20)과 표시영역(22)이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쪽으로 치우치는 편심현상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가이드 패널의 수축에 따른 불량을 최소화할 수 있는 액정표시모듈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액정표시모듈은 백라이트유닛과, 상기 백라이트유닛에서 생성된 광에 의해 화상을 구현하는 액정패널과, 소정간격을 사이에 두고 분리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백라이트 유닛과 액정패널을 감싸는 제1 및 제2 패널가이드를 구비하고, 상기 소정간격은 상기 제1 및 제2 패널가이드의 수축률에 비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및 제2 패널가이드는 백라이트유닛의 광학시트들을 감싸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및 제2 패널가이드의 모서리 상에 형성되는 가이드돌기를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액정표시모듈은 상기 백라이트유닛과 액정패널이 적층된 서포트메인과, 상기 액정패널의 가장자리, 제1 및 제2 패널 가이드 및 서포트메인을 감싸는 케이스탑을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상기 제1 및 제2 패널가이드는 상기 서포트메인 및 케이스탑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의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액정표시모듈은 백라이트유닛과 액정패널 사이에 형성되는 패널가이드와, 상기 패널 가이드의 모서리를 제외한 영역 상에 형성되는 가이드돌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액정표시모듈은 상기 백라이트유닛과 액정패널이 적층된 서포트메인과, 상기 액정패널의 가장자리, 패널 가이드 및 서포트메인을 감싸는 케이스탑을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이드돌기는 다각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이드돌기는 사각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 외에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특징들은 첨부도면을 참조한 실시 예에 대한 설명을 통하여 명백하게 드러나게 될 것이다.
이하 도 6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액정표시모듈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액정표시모듈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액정표시모듈은 서포트 메인(Support Main)(44)과, 서포트 메인(44)의 내부에 적층되는 백라이트 유닛 및 액정패널(36)과, 백 라이트 유닛과 액정패널(36) 사이에 배치되어 액정패널(36)을 지지함과 아울러 서포트 메인(44)의 측면과 체결되는 패널가이드(46)과, 가이드 패널(46)과 액정패널(36)을 고정하기 위한 케이스 탑(Case Top)(32)을 구비한다.
서포트 메인(44)은 몰드물로서 그 내부의 측벽면이 계단형 단턱면으로 성형된다. 이 서포트 메인(44)의 내부 최저층에는 도광판(40), 반사 시트(42), 광학 시트들(38)과 도시하지 않은 램프 하우징을 포함한 백라이트 유닛이 장착된다.
반사 시트(42)는 백라이트 유닛으로부터의 광을 액정패널(36) 쪽으로 안내하게 된다. 광학 시트들(38)은 반사시트(42)의 표면으로부터 경사지게 입사되는 광이 수직하게 액정패널(36) 쪽으로 진행되도록 유도해 준다. 다시 말하여, 광학 시트들(38)은 광학 시트들(38)의 표면으로부터의 광의 진행방향을 일으켜 세우는 역할을 한다.
패널 가이드(46)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간격(d)의 홀(60)을 사이에 두고 이격되는 제1 및 제2 패널가이드(46a,46b)로 이루어진다. 각각의 제1 및 제2 패널가이드(46a,46b)의 길이(L)는 종래 패널가이드의 길이보다 약 1/2이하로 형성된다. 이러한 제1 및 제2 패널가이드(46a,46b)의 모서리 상에는 액정패널의 유동을 방지하기 위한 "L"자 형태로 구부러진 가이드돌기(48)가 형성된다. 여기서, 홀(60)의 간격(d)은 제1 및 제2 패널가이드(46a,46b)와 가이드돌기(48)의 수축률에 따라 조절된다. 예를 들어, 제1 및 제2 패널가이드(46a,46b)와 가이드돌기(48)의 수축률이 상대적으로 높은 경우에는 홀(60)의 간격(d)을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하고, 수축률이 상대적으로 낮은 경우에는 홀(60)의 간격(d)을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한다. 이에 따라, 제1 및 제2 패널가이드(46a,46b)와 가이드돌기(48)가 저온에서 수축되는 경우, 제1 및 제2 패널가이드(46a,46b)는 홀(60)쪽으로 수축되어 홀(60)영역에서 수축을 멈추게 된다. 이에 따라, 제1 및 제2 패널가이드(46a,46b)의 수축에 의한 액정패널(36)의 영향을 없앨 수 있다.
이러한 제1 및 제2 패널가이드(46a,46b) 내에는 편광시트(34a,34b)가 각각 부착된 액정패널(36)이 적층된다.
이와 같이 홀(60)을 사이에 두고 분리된 제1 및 제2 패널가이드(46a,46b)는 서포트메인(44)이나 케이스 탑(32)에 의해 고정되게 된다. 예를 들어,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널 가이드(46)의 측면에는 서포트 메인(44)의 돌출부(56)가 삽입되는 홀(54)이 형성된다. 이러한, 제1 및 제2 패널 가이드(46a,46b)는 측면에 형성된 홀(54)이 서포트 메인(44)의 돌출부(56)에 삽입되어 고정됨과 아울러 서포트 메인(44)의 최상측에 적층된 광학 시트(38)을 고정시키게 된다.
편광 시트(34a, 34b)는 액정셀 매트릭스에 의해 표시되는 화상의 시야각을 확장시키는 기능을 담당하게 된다.
액정패널(36)은 상부 및 하부 유리기판의 사이에는 액정셀들이 액티브 매트릭스 (Active Matrix) 형태로 배열되게 되고 아울러 액정셀들 각각에는 비디오신호를 절환하기 위한 박막트랙지스터(Thin Film Transistor)가 설치되어 있다. 액정셀들 각각의 굴절율이 비디오신호에 따라 변화됨으로써 비디오신호에 해당하는 화상이 표시되게 된다. 이와 같은 액정패널(36)의 하부기판 상에는 박막트랜지스터에 구동신호를 인가하기 위한 드라이버 집적회로가 실장된 도시하지 않은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Tape Carrier Package)가 부착된다.
케이스 탑(32)은 직각으로 절곡된 평면부와 측면부를 가지는 사각띠 형태로 제작된다. 이러한, 케이스 탑(32)은 액정패널(36)의 가장자리와 서포트 메인(44)에 체결된 패널 가이드(46)를 감싸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액정표시모듈의 제1 및 제2 패널가이드는 홀을 사이에 두고 분리되도록 형성되며, 종래 패널가이드의 길이의 약 1/2이하로 형성된다. 이에 따라, 저온에서 수축되는 패널가이드는 액정패널의 영향을 주지 않는다. 또한, 제1 및 제2 패널가이드의 길이는 종래의 약1/2이하로 짧게 형성되므로 사출공정시 치수정밀도가 높아지게 된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액정표시모듈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액정표시모듈은 서포트 메인(Support Main)(44)과, 서포트 메인(44)의 내부에 적층되는 백라이트 유닛 및 액정패널(36)과, 백 라이트 유닛과 액정패널(36) 사이에 배치되어 액정패널(36)을 지지함과 아울러 서포트 메인(44)의 측면과 체결되는 패널 가이드(46)와, 패널 가이드(46)와 액정패널(36)을 고정하기 위한 케이스 탑(Case Top)(32)과, 패널 가이드(46) 상에 모서리를 제외한 영역 상에 형성되는 가이드 돌기(48)를 구비한다.
서포트 메인(44)은 몰드물로서 그 내부의 측벽면이 계단형 단턱면으로 성형된다. 이 서포트 메인(44)의 내부 최저층에는 도광판(40), 반사 시트(42), 광학 시트들(38)과 도시하지 않은 램프 하우징을 포함한 백라이트 유닛이 장착된다.
반사 시트(42)는 백라이트 유닛으로부터의 광을 액정패널(36) 쪽으로 안내하게 된다. 광학 시트들(38)은 반사시트(42)의 표면으로부터 경사지게 입사되는 광이 수직하게 액정패널(36) 쪽으로 진행되게 한다. 다시 말하여, 광학 시트들(38)은 광학 시트들(38)의 표면으로부터의 광의 진행방향을 일으켜 세우는 역할을 한다.
패널 가이드(46)의 측면에는 도 7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포트 메인(44)의 돌출부(56)가 삽입되는 홀(54)이 형성된다. 이러한, 패널 가이드(46) 는 측면에 형성된 홀(54)이 서포트 메인(44)의 돌출부(56)에 삽입되어 고정됨에 따라 서포트 메인(44)의 최상측에 적층된 광학 시트(38)을 고정시키게 된다.
이러한 패널 가이드(46) 상에는 편광 시트들(34a, 34b)이 각각 부착된 액정패널(36)이 적층된다. 이 액정패널(36)의 유동을 방지하기 위하여 패널 가이드(46) 상에 가이드돌기(48)가 형성된다.
이 가이드 돌기(48)는 패널가이드(46)의 모서리를 제외한 영역 상에 형성된다. 즉, 패널가이드(46)의 모서리영역은 제1 및 제2 방향의 수축힘을 받게 되어 수축되므로 이 영역을 제외한 수축에 영향이 적은 영역 상에 가이드 돌기(48)가 형성된다. 즉, 일방향으로 수축힘을 받게 되는 패널 가이드(46) 상에 가이드돌기(48)가 형성된다. 이러한 가이드돌기(48)는 다각형태, 예를 들어 사각형태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편광 시트는 액정셀 매트릭스에 의해 표시되는 화상의 시야각을 확장시키는 기능을 담당하게 된다.
액정패널(36)은 상부 및 하부 유리기판의 사이에는 액정셀들이 액티브 매트릭스 (Active Matrix) 형태로 배열되게 되고 아울러 액정셀들 각각에는 비디오신호를 절환하기 위한 박막트랙지스터(Thin Film Transistor)가 설치되어 있다. 액정셀들 각각의 굴절율이 비디오신호에 따라 변화됨으로써 비디오신호에 해당하는 화상이 표시되게 된다. 이와 같은 액정패널(36)의 하부기판 상에는 박막트랜지스터에 구동신호를 인가하기 위한 드라이버 집적회로가 실장된 도시하지 않은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Tape Carrier Package)가 부착된다.
케이스 탑(32)은 직각으로 절곡된 평면부와 측면부를 가지는 사각띠 형태로 제작된다. 이러한, 케이스 탑(32)은 액정패널(36)의 가장자리와 서포트 메인(44)에 체결된 패널 가이드(46)을 감싸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액정표시모듈은 패널가이드를 분리하여 형성하거나 가이드돌기를 패널가이드의 모서리를 제외한 영역 상에 형성한다. 이에 따라, 패널가이드의 수축에 따른 액정패널과 패널가이드 간의 간섭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 청구의 범위에 의해 정하여 져야만 할 것이다.

Claims (10)

  1. 백라이트유닛과,
    상기 백라이트유닛에서 생성된 광에 의해 화상을 구현하는 액정패널과,
    소정간격을 사이에 두고 서로 분리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백라이트 유닛과 액정패널을 감싸는 제1 및 제2 패널가이드를 구비하고,
    상기 소정간격은 상기 제1 및 제2 패널가이드의 수축률에 비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모듈.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패널가이드는 백라이트유닛의 광학시트들을 감싸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모듈.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패널가이드의 모서리 상에 형성되는 가이드돌기를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모듈.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백라이트유닛과 액정패널이 적층된 서포트메인과,
    상기 액정패널의 가장자리, 제1 및 제2 패널 가이드 및 서포트메인을 감싸는 케이스탑을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모듈.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가이드는 상기 서포트메인 및 케이스탑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의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모듈.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020079981A 2002-12-14 2002-12-14 액정표시모듈 KR1009368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79981A KR100936820B1 (ko) 2002-12-14 2002-12-14 액정표시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79981A KR100936820B1 (ko) 2002-12-14 2002-12-14 액정표시모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53427A KR20040053427A (ko) 2004-06-24
KR100936820B1 true KR100936820B1 (ko) 2010-01-14

Family

ID=373466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79981A KR100936820B1 (ko) 2002-12-14 2002-12-14 액정표시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3682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9072B1 (ko) * 2006-12-21 2013-10-1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패널 가이드 부재 및 이를 갖는 표시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88455A (ja) * 1996-04-23 1997-11-04 Nec Shizuoka Ltd 小型電子機器のlcd保持構造
KR19990076216A (ko) * 1998-03-30 1999-10-15 윤종용 엘씨디 모듈의 백라이트 어셈블리
KR20010044934A (ko) * 1999-11-01 2001-06-05 윤종용 모니터장치용 화상표시모듈
JP2001174789A (ja) * 1999-12-17 2001-06-29 Sharp Corp 液晶表示装置
KR20010065168A (ko) * 1999-12-29 2001-07-11 구본준, 론 위라하디락사 컴퓨터용 액정표시장치모듈의 메탈프레임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88455A (ja) * 1996-04-23 1997-11-04 Nec Shizuoka Ltd 小型電子機器のlcd保持構造
KR19990076216A (ko) * 1998-03-30 1999-10-15 윤종용 엘씨디 모듈의 백라이트 어셈블리
KR20010044934A (ko) * 1999-11-01 2001-06-05 윤종용 모니터장치용 화상표시모듈
JP2001174789A (ja) * 1999-12-17 2001-06-29 Sharp Corp 液晶表示装置
KR20010065168A (ko) * 1999-12-29 2001-07-11 구본준, 론 위라하디락사 컴퓨터용 액정표시장치모듈의 메탈프레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53427A (ko) 2004-06-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77971B1 (en) Slim type notebook personal computer
KR100493437B1 (ko) 액정표시모듈
US20130077343A1 (en) Backlight unit and display apparatus having the same
KR100493616B1 (ko) 액정표시장치
KR100936370B1 (ko) 액정표시모듈
KR100936820B1 (ko) 액정표시모듈
KR100905333B1 (ko) 액정표시모듈
KR100855498B1 (ko) 액정표시모듈
KR20060062177A (ko) 액정표시장치
KR100487804B1 (ko) 액정표시모듈
KR100870517B1 (ko) 액정표시장치
KR20040058579A (ko) 액정표시모듈 및 그의 조립방법
KR100531479B1 (ko) 액정표시장치
KR20070116507A (ko) 액정표시모듈
KR101269350B1 (ko) 액정표시장치
KR20040031514A (ko) 액정표시장치
KR100950516B1 (ko) 액정표시장치
KR100486907B1 (ko) 액정표시장치의 케이스
KR100487357B1 (ko) 액정표시모듈
KR100421494B1 (ko) 백라이트 장치
KR100781343B1 (ko) 액정표시모듈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443833B1 (ko) 액정표시장치의 케이스
KR100939208B1 (ko) 액정표시모듈
KR20040077176A (ko) 액정표시모듈
KR100926102B1 (ko) 액정표시모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1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2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