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35559B1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패킷 인식 스케줄러 - Google Patents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패킷 인식 스케줄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35559B1
KR100935559B1 KR1020077004012A KR20077004012A KR100935559B1 KR 100935559 B1 KR100935559 B1 KR 100935559B1 KR 1020077004012 A KR1020077004012 A KR 1020077004012A KR 20077004012 A KR20077004012 A KR 20077004012A KR 100935559 B1 KR100935559 B1 KR 1009355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mission
packet
information
constraints
peri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040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40400A (ko
Inventor
에드워드 해리슨 티그
개빈 버나드 호른
Original Assignee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0700404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404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355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355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12Wireless traffic scheduling
    • H04W72/1263Mapping of traffic onto schedule, e.g. scheduled allocation or multiplexing of flow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7/00Traffic control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7/10Flow control; Congestion control
    • H04L47/15Flow control; Congestion control in relation to multipoint traffi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7/00Traffic control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7/50Queue scheduling
    • H04L47/56Queue scheduling implementing delay-aware schedu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7/00Traffic control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7/70Admission control; Resource allo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7/00Traffic control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7/70Admission control; Resource allocation
    • H04L47/78Architectures of resource allocation
    • H04L47/788Autonomous allocation of resour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7/00Traffic control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7/70Admission control; Resource allocation
    • H04L47/80Actions related to the user profile or the type of traffic
    • H04L47/803Application awa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7/00Traffic control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7/70Admission control; Resource allocation
    • H04L47/82Miscellaneous aspects
    • H04L47/824Applicable to portable or mobile termi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04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terminals or networks with limited capabilities; specially adapted for terminal portabi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60Scheduling or organising the servicing of application requests, e.g. requests for application data transmissions using the analysis and optimisation of the required network resources
    • H04L67/62Establishing a time schedule for servicing the reques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02Processing of mobility data, e.g. registration information at HLR [Home Location Register] or VLR [Visitor Location Register]; Transfer of mobility data, e.g. between HLR, VLR or external networks
    • H04W8/04Registration at HLR or HSS [Home Subscriber Ser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06Optimizing the usage of the radio link, e.g. header compression, information sizing, discarding information
    • H04W28/065Optimizing the usage of the radio link, e.g. header compression, information sizing, discarding information using assembly or disassembly of packe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10Flow control between communication endpoints
    • H04W28/14Flow control between communication endpoints using intermediate storag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16Central resource management; Negotiation of resources or communication parameters, e.g. negotiating bandwidth or QoS [Quality of Service]
    • H04W28/24Negotiating SLA [Service Level Agreement]; Negotiating QoS [Quality of Ser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12Wireless traffic schedu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Small-Scale Networks (AREA)

Abstract

패킷 인식 스케줄링을 용이하게 하는 장치 및 방법이 제공된다. 몇몇 실시형태에 있어서, 패킷의 모든 정보가 단일 송신 주기에서 스케줄링될 수 없는 경우, 추가의 리소스는 패킷의 레이턴시 요건 및/또는 송신 제약에 기초하여 패킷의 콘텐츠의 송신에 할당될 수도 있다.
패킷 인식 스케줄러, 송신 리소스, 하이브리드 인터페이스, OFDM 심볼

Description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패킷 인식 스케줄러{PACKET AWARE SCHEDULER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관련 출원의 상호 참조
본 특허 출원은 패킷 인식 스케줄러 (Packet Aware Scheduler) 의 명칭으로 2004년 7월 20일자로 출원된 미국 가출원 제 60/589,820호를 35 U.S.C. §119에 따라 우선권 주장하며, 그 가출원의 전체가 여기에서 참조로서 포함된다.
배경
Ⅰ. 기술 분야
하기의 설명은 일반적으로 무선 통신에 관한 것이고, 무엇보다도, 무선 네트워크 환경에서 유저 장치로의 리소스 할당 스케줄링에 관한 것이다,
Ⅱ. 배경 기술
무선 네트워킹 시스템은 세계적으로 대다수의 사람들이 통신하게 되는 효과적인 수단이 되어왔다. 무선 통신 장치는 소비자 요구를 만족시키고 휴대성 및 편리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보다 작고 보다 강력하게 되어왔다. 핸드폰 및 액세스 단말기와 같은 이동 장치에서의 프로세싱 전력의 증가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이용을 위해 유용한 애플리케이션 타입의 증가, 및 그들의 복잡성의 증가를 이끌어 왔다. 이들 서비스는 모두 대역폭 및 레이턴시 (latency) 에 대해 다른 요건을 갖는다.
무선 통신 시스템은 일반적으로 송신 리소스를 채널의 형태로 발생시키기 위해 다른 접근법을 이용한다. 이들 시스템은 코드 분할 다중화 (CDM) 시스템, 주파수 분할 다중화 (FDM) 시스템, 및 시간 분할 다중화 (TDM) 시스템일 수도 있다. FDM의 하나의 공통으로 이용되는 변형예는, 전체 시스템 대역폭을 다중의 직교 서브대역 (subband) 으로 효과적으로 분할하는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화 (OFDM) 이다. 또한 이들 서브대역은 톤, 캐리어, 서브캐리어, 빈 (bin), 및 주파수 채널로서 지칭된다. 각 서브대역은 데이터로 변조될 수 있는 서브캐리어와 연관된다. 시간 분할 기반 기법에 의해, 일 대역은 순차적 시간 슬라이스 (slice) 또는 시간 슬롯으로 시간적으로 분할된다. 채널의 각 유저는 라운드-로빈 (round-robin) 방식으로 정보를 송신하고 수신하기 위한 시간 슬라이스를 제공받는다. 예를 들면, 임의의 주어진 시간 t에서, 유저는 짧은 버스트 (burst) 동안 채널로의 액세스를 제공받는다. 그 후, 액세스는, 정보를 송신하고 수신하는 시간의 짧은 버스트를 제공받는 다른 유저로 스위칭한다. "교대 (taking turns)"의 사이클이 지속되고, 결국 각 유저는 다중의 송신 및 수신 버스트가 제공된다.
통상적으로, CDM 기반 기법은 한 범위에서 임의의 시간에 이용가능한 다수의 주파수를 통해 데이터를 송신한다. 일반적으로, 데이터는 이용가능한 대역폭을 통해 디지털화되고 확산되며, 여기서, 다중의 유저는 채널상에 오버레이 (overlay) 될 수 있고 각각의 유저는 고유한 시퀀스 코드를 할당받을 수 있다. 유저는 동일한 광대역에서 스펙트럼의 청크 (chunk) 를 송신할 수 있으며, 여기서 각 유저의 신호는 그 각각의 고유한 확산 코드에 의해 전체 대역폭에 걸쳐 확산된다. 이러한 기법은 공유를 위해 제공할 수 있으며, 여기서 하나 이상의 유저는 동시에 송신하고 수신할 수 있다. 이러한 공유는 확산 스펙트럼 디지털 변조를 통해 달성될 수 있으며, 여기서 유저의 비트 스트림은 의사 랜덤 방식으로 매우 넓은 채널에 걸쳐 인코딩되고 확산된다. 수신기는 코히어런트한 방식으로 특정 유저에 대해 비트를 수집하기 위해 연관된 고유한 시퀸스 코드를 인식하고 랜덤화를 제거하도록 설계된다.
통상적인 무선 통신 네트워크 (예를 들면, 주파수, 시간 및/또는 코드 분할 기법을 이용하는) 는 커버리지 영역을 제공하는 하나 이상의 기지국 및 그 커버리지 영역 내에서 데이터를 송신하고 수신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이동 (예를 들면, 무선의) 단말기를 포함한다. 통상적인 기지국은 브로드캐스트, 멀티캐스트, 및/또는 유니캐스트 서비스를 위해 다중의 데이터 스트림을 동시에 송신할 수 있으며, 여기서 데이터 스트림은 이동 단말기로의 독립적인 수신 이익이 될 수 있는 데이터의 스트림이다. 기지국의 커버리지 영역 내에서의 이동 단말기는 복합 스트림에 의해 반송되는 하나, 2 이상의 또는 모든 데이터 스트림을 수신하는데 관여될 수 있다. 또한, 이동 단말기는 기지국 또는 다른 이동 단말기로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 이들 시스템에 있어서, 대역폭 및 다른 시스템 리소스는 스케줄러에 따라 할당된다.
또한, 통상적인 통신 네트워크에 있어서, 정보는 정보가 이용되는 애플리케이션 또는 서비스에 기초하여 서비스의 다른 레벨에 할당된다. 예를 들면, 음 성 또는 비디오와 같은 어떤 애플리케이션은 일반적으로 낮은 레이턴시를 요구하는 반면에 단순한 데이터 요구와 같은 다른 것들은 더 높은 허용가능 레이턴시를 가질 수도 있다.
통신 시스템에서의 스케줄러의 목적은 다중 송신을 위해 유저로부터의 데이터를 대역폭에 멀티플렉싱하는 것이다. 스케줄러는 시간, 주파수, 코드, 및/또는 공간 (space) 을 통해 유저의 송신을 멀티플렉싱할 수도 있다. 스케줄러의 목적은 시스템 용량 (스루풋 (throuput)) 을 최대화하면서 유저간의 특정 공평성 레벨 및/또는 각 유저에 대한 스루풋을 유지하는 것이다. 또한, 스케줄러는 유저의, 접속상에서 구동하는 애플리케이션, 예를 들면, 제공되는 서비스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최고로 서빙하는 특정 유저에 서비스를 제공하기를 원한다. 예를 들면, 스케줄러는 레이턴시 민감형 애플리케이션을 구동시키는 접속에 대한 레이턴시 타겟을 만족시키기를 원한다. 상기 스케줄러 목적들은 종종 상반되고, 특정 스케줄러는 (전체 섹터 용량과 같은) 일정한 목적을 중요시할 수도 있다.
적어도 상기 관점에서, 당업계에는, 무선 통신 및 무선 네트워크 환경에서의 유저로의 주파수 리소스 할당을 향상시키는 시스템 및/또는 방법이 필요하다.
요약
하기는 하나 이상의 실시형태의 기본적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이러한 실시형태의 간략화된 요약을 제공한다. 이러한 요약은 모든 의도된 실시형태의 광범위한 개관이 아니고, 모든 실시형태의 주요한 또는 중요한 엘리먼트 (element) 를 식별하지도 않고 임의의 또는 모든 실시형태의 범위를 정확하게 서술하지도 않도록 의도된다. 이것의 유일한 목적은 이후에 나타낼 더 상세한 설명에 대한 전조로서 간략화된 형태로 하나 이상의 실시형태의 몇몇 개념을 나타내는 것이다.
[완결된 청구항에 추가됨]
도면의 간단한 설명
도 1은 일 실시형태에 따른 다중 액세스 무선 통신 시스템을 예시한다.
도 2는 일 실시형태에 따른 다중 액세스 무선 통신 시스템에 대한 스펙트럼 할당 방식을 예시한다.
도 3은 일 실시형태에 따른 패킷 인식 리소스 할당을 용이하게 하는 시스템의 간략 블록도를 예시한다.
도 4는 일 실시형태에 따른 스케줄러의 기능 블록도를 예시한다.
도 5a는 일 실시형태에 따른 스케줄링 방법을 예시한다.
도 5b는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스케줄링 방법을 예시한다.
도 5c는 또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스케줄링 방법을 예시한다.
도 6은 일 실시형태의 다중 액세스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송신기 및 수신기를 예시한다.
상세한 설명
다음으로, 다양한 실시형태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되고,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 부호는 전체에 유사한 엘리먼트를 지칭하는데 이용된다. 하기의 설명에 있어서, 설명의 목적으로, 다수의 구체적 상세가 하나 이상의 실시형태의 완전한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설명된다. 그러나, 이러한 실시형태들은 이들 구체적 상 세 없이 실행될 수도 있다는 것은 명백할 수도 있다. 다른 경우에 있어서, 널리 공지된 구성들 및 장치들은 하나 이상의 실시형태를 용이하게 설명하기 위해 블록도 형태로 도시된다.
도 1을 참조하면, 일 실시형태에 따른 다중 액세스 무선 통신 시스템이 예시된다. 다중 액세스 무선 통신 시스템 (100) 은 다중의 셀, 예를 들면 셀 (102, 104, 및 106) 을 포함한다. 도 1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각 셀 (102, 104, 및 106) 은 다중 섹터를 포함하는 액세스 포인트 (150) 를 포함할 수도 있다. 다중 섹터는, 셀의 일부에서 각각 액세스 단말기와 통신할 책임이 있는 안테나의 그룹에 의해 형성된다. 셀 (102) 에서, 안테나 그룹 (112, 114, 및 116) 은 각각 다른 섹터에 대응한다. 셀 (104) 에서, 안테나 그룹 (118, 120, 및 122) 은 각각 다른 섹터에 대응한다. 셀 (106) 에서, 안테나 그룹 (124, 126, 및 128) 은 각각 다른 섹터에 대응한다.
각 셀은 각각의 액세스 포인트의 하나 이상의 섹터와 통신하는 수개의 액세스 단말기를 포함한다. 예를 들면, 액세스 단말기 (130 및 132) 는 통신 베이스 (142) 에 있고, 액세스 단말기 (134 및 136) 는 액세스 포인트 (144) 와 통신하고, 액세스 단말기 (138 및 140) 는 액세스 포인트 (146) 와 통신한다.
제어기 (130) 는 각각의 셀 (102, 104, 및 106) 에 커플링된다. 제어기 (130) 는 다중 네트워크, 예를 들면, 다중 액세스 무선 통신 시스템 (100) 의 셀과 통신하는 액세스 단말기로 및 로부터 정보를 제공하는 인터넷, 다른 패킷 기반 네트워크, 또는 회로 스위칭된 음성 네트워크로의 하나 이상의 접속을 포함할 수도 있다. 제어기 (130) 는 액세스 단말기로 및 액세스 단말기로부터의 송신을 스케줄링하는 스케줄러를 포함하거나, 스케줄러와 커플링된다.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 스케줄러는 각 개별 셀, 셀의 각 섹터, 또는 이들의 조합에 상주할 수도 있다.
여기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액세스 포인트는 단말기와 통신하는데 이용되는 고정국일 수도 있고, 기지국, 노드 B 또는 어떤 다른 용어로서 또한 지칭될 수도 있으며, 기지국, 노드 B 또는 어떤 다른 용어의 몇몇 또는 모든 기능을 포함할 수도 있다. 액세스 포인트는 유저 장비 (UE), 무선 통신 장치, 단말기, 이동국 또는 어떤 다른 용어로서 또한 지칭될 수도 있고, 유저 장비 (UE), 무선 통신 장치, 단말기, 이동국 또는 어떤 다른 용어의 몇몇 또는 모든 기능을 포함할 수도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다중 액세스 무선 통신 시스템을 위한 스펙트럼 할당 방식이 예시된다. 복수의 OFDM 심볼 (200) 은 T 심볼 주기 및 S 주파수 서브캐리어에 걸쳐 할당된다. 각 OFDM 심볼 (200) 은 T 심볼 주기의 하나의 심볼 주기 및 S 서브캐리어의 톤 또는 주파수 서브캐리어를 포함한다.
OFDM 주파수 호핑 시스템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심볼 (200) 이 소정의 액세스 단말기에 할당될 수도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할당 방식의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액세스 단말기의 그룹에 대한 심볼의 하나 이상의 홉 영역, 예를 들면 홉 영역 (202), 이 역방향 링크를 통한 통신용으로 존재한다. 각각의 홉 영역 내에서, 심볼의 할당은 잠재적인 간섭을 저감하도록 랜덤화되고 해로운 경로 영향에 대하여 주파수 다이버시티 (diversity) 를 제공할 수도 있다.
각각의 홉 영역 (202) 은, 액세스 포인트의 섹터와 통신하는 하나 이상의 액세스 단말기에 할당되고 홉 영역에 할당되는 심볼 (204) 을 포함한다. 각각의 홉 주기, 또는 프레임 동안, T 심볼 주기 및 S 서브캐리어 내에서의 홉 영역 (202) 의 위치는 호핑 시퀀스에 따라 변화한다. 또한, 홉 영역 (202) 내에서의 개별 액세스 단말기에 대한 심볼 (204) 의 할당은 각 홉 주기 동안 변화할 수도 있다.
홉 시퀀스는 의사 랜덤하게, 랜덤하게, 또는 소정의 시퀀스에 따라, 각 홉 주기 동안 홉 영역 (202) 의 위치를 선택할 수도 있다. 동일한 액세스 포인트의 다른 섹터에 대한 홉 시퀀스는 동일한 액세스 포인트와 통신하는 액세스 단말기간의 "인트라-셀 (intra-cell)" 간섭을 회피하기 위해 서로 직교가 되도록 설계된다. 또한, 각 액세스 포인트에 대한 홉 시퀀스는 인접한 액세스 포인트에 대한 홉 시퀀스에 대해서는 의사 랜덤일 수도 있다. 이것은 다른 액세스 포인트와 통신하는 액세스 단말기간의 "인터-셀 (inter-cell)" 간섭을 랜덤화하는 것을 도울 수도 있다.
역방향 링크 통신의 경우에 있어서, 홉 영역 (202) 의 몇몇 심볼 (204) 은 액세스 단말기로부터 액세스 포인트로 송신되는 파일럿 심볼에 할당된다. 심볼 (204) 로의 파일럿 심볼의 할당은, 동일한 홉 영역상에 오버랩핑 (overlapping) 하는 다른 액세스 단말기의 신호가 섹터 또는 액세스 포인트에서의 다중 수신 안테나에 기인하여 분리될 수 있고, 상이한 액세스 단말기에 대응하는 공간 시그니처 (signature) 의 차이가 충분히 제공될 수 있는, 공간 분할 다중 접속 (SDMA) 을 바 람직하게 지원한다.
도 2는 7개의 심볼 주기의 길이를 갖는 홉 영역 (200) 이 도시되지만, 홉 영역 (200) 의 길이는 임의의 소망의 양일 수 있고, 홉 주기간에서 또는 소정의 홉 주기에서의 다른 호핑 영역 사이에서 사이즈가 변화할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심볼, 홉 영역 등은 사이즈 또는 타이밍의 관점에서 패킷에 대해서는 일대일로 맵핑하지 않는다. 이것은 적절한 방식으로 패킷에 포함되는 정보 비트의 스케줄링에서의 어려움을 증가시키는, 패킷을 분해하고 분해된 비트로부터 심볼을 집합시킬 필요를 야기한다.
도 2의 실시형태는 블록 호핑의 이용에 대해서 설명되지만, 블록의 위치가 연속적인 홉 주기 사이에서 변경될 필요는 없다.
도 2의 실시형태가 블록 호핑을 이용하는 OFDMA 시스템에 관련되지만, 본 발명의 장치는 많은 다른 통신 시스템에서 동작될 수도 있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이용되는 통신 시스템은, 각 유저가 하나 이상의 프레임, 주기 등에서 하나 이상의 시간 슬롯, 또는 이 일부가 할당되는 시간-분할 멀티플렉싱된 시스템일 수도 있다. 이러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각 시간 슬롯은 다중 송신 심볼을 포함할 수도 있다. 또 다른 실시형태들은, 송신 리소스가 분할되거나 한정될 수도 있는 한, 각 유저가 다른 기준에 기초하여 송신 리소스를 할당받는 CDMA 또는 FDMA 방식을 이용할 수도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일 실시형태에 따라 패킷 인식 리소스 할당을 용이하게 하는 시스템의 간략화된 블록도가 예시된다. 네트워크 (300) 는 무선 통신 시스 템 (302) 으로부터 패킷을 송신하고 수신한다. 네트워크 (300) 로부터 수신된 패킷은 네트워크에 의해 이용되는 통신 프로토콜에 기초하는 특정 개수의 비트인 제 1 포맷을 갖는다. 스케줄러 (304) 는, 사이즈와 정보 콘텐츠에 따라, 패킷 및 패킷의 일부들을 채널 리소스에 할당한다. 이들 채널 리소스는, 예를 들면, OFDM 심볼 (200) 또는 다른 송신 심볼일 수도 있다. 임의의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임의의 주어진 시간 주기 동안 이용가능한 채널 리소스, 예를 들면 OFDM 심볼, 시간 슬롯, CDMA 코드 등의 개수는 시스템 파라미터에 의해 한정된다. 따라서, 스케줄러 (304) 는, 패킷이 속하는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주어진 소정 시간 주기 동안 패킷의 전체 정보 콘텐츠가 다수의 심볼, 시간 슬롯, 홉 영역 등의 내에서 송신될 수도 있는지의 여부에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각 패킷 내에 포함되는 정보 비트를 할당하기 위해 채널 리소스를 결정한다.
스케줄러 (304) 는 서비스의 품질 (QoS), 비례 공평성 기준, 다른 스케줄링 접근법, 또는 이들의 조합에 추가하여 풀 패킷 스케줄링 요건을 이용할 수 있다. 즉, 무선 통신 시스템 (302) 으로부터 송신되는 심볼의 스케줄을 결정하는데 이용되는 인자 중 하나는, 패킷의 애플리케이션에 기초하여 일정한 레이턴시 제약을 갖는 패킷에 포함된 정보 비트가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요구되고 무선 통신 시스템의 심볼, 시간 슬롯, 홉 영역 등에 의해 한정되는 시간 프레임 내에서 송신될 수 있는지의 여부이다. 예를 들면, 패킷이 유저 A에 대해 의도되는 비디오 애플리케이션 패킷인 경우, 스케줄러 (304) 는 패킷에서의 비트의 수를 결정하고 비디오 애플리케이션 패킷의 콘텐츠를 송신하도록 요구되는 송신 심볼의 수를 결정할 것이 다. 그 후, 스케줄러 (304) 는 유저의 QoS, 공평성 기준, 다른 스케줄링 접근법, 또는 이들의 조합에 기초하여 유저 A로의 송신을 스케줄링할 수도 있다. 그러나, 비디오 애플리케이션 패킷에 포함된 정보 비트의 전체가 요구된 시간 주기에서 송신될 수 없는 경우에 있어서, 스케줄러 (304) 는 비디오 애플리케이션의 레이턴시 요건에 기초하여 홉 주기, 프레임, 또는 송신 시간 주기의 다른 일부에서 비디오 애플리케이션 패킷에 포함되는 정보 비트에 대응하는 심볼의 송신을 스케줄링할지, 아니면 현재의 홉 주기, 프레임, 송신 시간 주기 등의 내에서, 비디오 애플리케이션 패킷에 포함되는, 정보 비트에 추가의 리소스를 할당하는 것을 시도할지 여부를 결정을 할 것이다. 추가의 송신 리소스는 다른 유저에 할당된 것들일 수도 있거나, 공유된 데이터 채널 등과 같은 추가의 리소스일 수도 있다.
스케줄러 (304) 는 기지국 또는 액세스 포인트와 같은 단일 무선 통신 장치에 상주할 수도 있거나, 기지국 또는 액세스 포인트 제어기와, 기지국 또는 액세스 포인트 사이와 같은 다중 무선 통신 장치 내에서 분포될 수도 있다.
스케줄링된 후, 패킷으로부터의 정보 비트는 변조기 (306) 에 의해 변조되고 하나 이상의 안테나를 통하여 액세스 단말기로의 송신을 위해 트랜시버 (308) 에 제공된다.
무선 통신 시스템 (302) 은 OFDM 프로토콜, OFDMA 프로토콜, CDMA 프로토콜, TDMA 프로토콜, 이들의 조합, 또는 어떤 다른 적합한 무선 통신 프로토콜과 관련하여 통신 서비스를 유저에게 제공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일 실시형태에 따른 스케줄러의 기능 블록도가 예시된다. 일반적으로 네트워크로부터 수신된 정보는 애플리케이션 레이어 (400) 또는 다른 상위 레이어에 있는 것으로 칭해질 수 있다. 통상적으로 정보는 패킷 (402) 에 포함된다. 이들 패킷 (402) 은 일반적으로 비트 단위의 사이즈를 갖고, 패킷을 발생시킨 다른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언제 데이터가 생성되는지를 나타내는 타임스탬프 (timestamp) 를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애플리케이션의 레이턴시 요건은 각 패킷에서 식별되는 정보 타입에 기초하여 공지될 수도 있다. 패킷 (402) 에 포함된 정보 비트를 무선 인터페이스를 통해 송신하기 위해, 물리 레이어 (406) 는 적절한 사이즈인 송신 심볼 (406) 및 채널 (410) 을 통한 송신용 포맷을 발생시키는 것을 필요로 한다.
채널 (410) 은 각각이 다른 목적으로 이용되는 복수의 부분 (412-426) 을 포함한다. 예를 들면, 몇몇 부분은 전력 제어 또는 역방향 링크 스케줄링 정보와 같은 제어 정보의 송신을 위해 이용될 수도 있는 반면에, 다른 것들은 하나 이상의 액세스 단말기에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해 이용될 수도 있다. 몇몇 부분 (412-426) 의 리소스는 각 유저에 대해 송신되는 정보의 타입 또는 채널 조건에 기초하여 상이한 목적을 위한 송신의, 채널 리소스의 이용에 있어서의 융통성을 허용하는, 다중 목적을 위해 이용될 수도 있다.
애플리케이션 레이어 (400) 의 패킷에 포함되는 그리고 물리 레이어 (406) 의 송신 심볼 또는 다른 채널 리소스로의 정보 비트를 트랜슬레이트 (translate) 하기 위한 2개의 주요 인터페이스 옵션이 있다. 첫째는 비트의 청크로 애플리케이션 레이어로부터 물리 레이어로 정보를 전송하는 비트 인터페이스이다. 물 리 레이어는 그 자신의 송신 심볼 사이즈에 기초하여 임의로 사이즈화된 청크로 비트를 요구하고 송신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의 두번째 타입은 패킷의 청크로 애플리케이션 레이어로부터 물리 레이어로 정보를 전송하는 패킷 인터페이스이다. 이들 패킷은 스케줄러 (428) 와 동등한 사이즈 청크로 제공될 수도 있거나 제공되지 않을 수도 있다.
비트 인터페이스는 물리 레이어 (406) 가 프로세싱될 수 있는 데이터의 사이즈에 대한 제약을 갖지 않는다는 이점을 가진다. 이것은 이용가능한 채널 리소스에서 적합한 어떤 사이즈화된 청크도 스케줄할 수 있기 때문에 스케줄러 동작을 간략화한다. 그러나, 단점은 애플리케이션 레벨 특징의 고려 없이, 애플리케이션 수행이 애플리케이션 패킷의 비효율적인 분해에 기인하여 손해를 입는다는 것이다. 또한, 애플리케이션 레이턴시 요구는 애플리케이션 패킷 레이턴시의 정보를 갖지 않은 스케줄러에 의해 해결될 수 없다. 반면에, 패킷 인터페이스는 스케줄러가 패킷 경계와 같은 애플리케이션 패킷 세부 사항에 액세스한다는 이점을 갖는다. 단점은 스케줄러가 채널로 많은 유저를 효율적으로 멀티플렉싱하도록 이용가능한 채널 리소스를 갖지 않을 수도 있다는 것이다.
스케줄러 (428) 는 비트 인터페이스 및 패킷 인터페이스의 기능을 포함하는 하이브리드 인터페이스 (430) 를 이용한다. 하이브리드 인터페이스 (430) 는 채널에서의 한정된 리소스에 대한 효율적인 스케줄링 및 멀티플렉싱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데이터의 임의로 사이즈화된 청크를 취출하는 물리 레이어의 능력을 제공한다. 그러나, 비트 인터페이스와는 달리, 이러한 하이브 리드 인터페이스 (430) 는 스케줄러 (428) 에 스케줄링 목적을 위해 유용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 패킷과 연관된 정보를 제공한다. 예를 들면, 물리 레이어가 비트를 요구하는 경우, 현재의 패킷에서의 비트의 잔여 개수 및 패킷의 타임스탬프에 관한 정보가 제공된다. 또한, 하이브리드 인터페이스 (430) 는 물리 레이어로 통과되는 애플리케이션 큐 (queue) 에서 대기하는 다른 패킷의 패킷 사이즈 및 타임스탬프 정보를 제공할 수도 있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스케줄러 (428) 는 분해된 애플리케이션 패킷의 가능성 (likelihood) 을 저감하기 위해 하이브리드 인터페이스 (430) 를 통하여 가용한 정보를 이용할 수도 있다. 스케줄러 (428) 가 패킷 경계의 정보를 가지면, 이용가능한 채널 리소스에 대하여 어려울 수도 있더라도, 현재의 홉 주기 또는 다른 시간 프레임 내에서의 패킷의 나머지를 스케줄링하도록 시도할 수 있다. 스케줄러 (428) 는 잔여 비트의 개수, 레이턴시 감도, 및 애플리케이션 패킷을 분해할지 안할지, 또는 현재의 홉 주기 또는 다른 시간 주기에서 전체 패킷을 스케줄링할지의 여부의 결정을 하는 채널 리소스의 획득의 어려움을 이용할 수도 있다.
이러한 하이브리드 인터페이스 (430) 를 이용하는 하나의 이점은 스케줄러 (428) 가 채널의 이용 및 애플리케이션의 수행을 동시에 최적화하는 물리적 채널 제약 및 애플리케이션 제약 양자를 스케줄러 (428) 가 이용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는 것이다.
도 5a, 5b, 및 5c를 참조하면, 다중의 실시형태에 따른 스케줄링 방법이 예시된다. 예를 들면, 그 방법은 OFDM 환경, OFDMA 환경, CDMA 환경, TDMA 환경, 또는 임의의 다른 적합한 무선 환경에서의 패킷-인식 스케줄링에 관련될 수도 있다. 설명의 단순화를 위해, 그 방법이 일련의 액션으로서 도시되고 설명되는 반면에, 몇몇 액션이 하나 이상의 실시형태에 따라 여기에 도시된 및 설명된 것으로부터 다른 순서로 및/또는 다른 액션과 동시에 일어날 수도 있음에 따라 그 방법이 액션의 순서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다고 이해되고 인식되어야 한다. 예를 들면, 그 방법은 상태도에서와 같은 일련의 상호 관련된 상태 또는 이벤트로서 다른 방법으로 나타내어질 수 있다. 또한, 모든 예시된 액션이 하나 이상의 실시형태에 따라 일 방법을 구현하도록 요구될 수도 있는 것은 아니다.
도 5a에서, 복수의 패킷으로부터의 정보 비트는 하이브리드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물리 레이어에서 수신된다 (블록 502). 그 후 현재의 시간 주기 동안 모든 콘텐츠가 스케줄링될 패킷으로부터 스케줄링될 정보 비트가 제공되었는지의 여부에 대해 결정이 이루어진다 (블록 504). 정보 비트가 스케줄링을 위해 제공되어온 각 패킷의 콘텐츠가 현재의 시간 주기에서 스케줄링될 수 있는 경우에서, 패킷은 시스템의 스케줄링 알고리즘을 따라 스케줄링된다 (블록 506). 스케줄링 알고리즘은 서비스의 품질 (QoS), 비례 공평성 기준, 다른 스케줄링 접근법, 또는 이들의 조합에 기초할 수도 있다.
정보 비트가 스케줄링을 위해 제공되어온 각 패킷의 콘텐츠가 스케줄링을 위해 제공되어오지 않았거나 현재의 시간 주기 동안 스케줄링될 수 없다면, 이들 패킷의 콘텐츠의 레이턴시 제약 및/또는 다른 송신 요건에 대해 결정이 이루어진다 (블록 508).
잔여 정보 비트가 이후의 시간 주기에서 송신되는 것을 방지하는 레이턴시 제약 및/또는 다른 송신 요건이 없으면, 이들 패킷에 대한 정보 비트는 현재의 시간 주기 동안 스케줄링으로부터 제거된다 (블록 510). 현재의 시간 주기에서 패킷의 송신을 요구하는 레이턴시 제약 및/또는 다른 송신 요건이 있으면, 스케줄러는 패킷의 유저에게 송신에 대한 추가의 채널 리소스를 부가하거나 다른 유저로부터 채널 리소스를 제거하는 것을 시도하여 (블록 512), 레이턴시 제약 및/또는 다른 송신 요건을 갖는 이들 패킷으로부터의 모든 정보 비트를 허용한다. 그 후, 시스템은 시스템의 스케줄링 알고리즘에 따라 스케줄링한다 (블록 514).
도 5b에서 패킷은 스케줄러에 제공되도록 분해를 위해 선택된다 (블록 550). 그 후, 현재의 시간 주기에서 패킷으로부터 모든 정보 비트를 스케줄링할 충분한 채널 리소스가 존재하는지의 여부에 대해 결정이 이루어진다 (블록 552). 스케줄링을 위한 패킷의 콘텐츠가 현재의 시간 주기에서 스케줄링될 수 있는 경우에서, 패킷은 분해되고 시스템의 스케줄링 알고리즘에 따른 스케줄링을 위해 제공된다 (블록 554). 스케줄링 알고리즘은 서비스의 품질 (QoS), 비례 공평성 기준, 다른 스케줄링 접근법, 또는 이들의 조합에 기초할 수도 있다. 패킷의 콘텐츠가 현재의 시간 주기 동안 스케줄링될 수 없는 경우, 패킷의 콘텐츠의 레이턴시 제약 및/또는 다른 송신 요건에 대해 결정이 이루어진다 (블록 556).
패킷의 잔여 정보 비트가 이후의 시간 주기에서 송신되는 것을 방지하는 레이턴시 제약 및/또는 다른 송신 요건이 없는 경우, 패킷은 분해되고 채널 리소스가 존재하는 정보 비트는 현재의 시간 주기 동안 스케줄링을 위해 제공된다 (블록 558). 분해된 패킷으로부터의 잔여 정보 비트는 이후의 시간 주기에서 스케줄링을 위해 하나 이상의 큐에서 유지된다.
현재의 시간 주기에서 패킷의 송신을 요구하는 레이턴시 제약 및/또는 다른 송신 요건이 있는 경우, 스케줄러는 패킷의 유저에게 송신을 위한 추가의 채널 리소스를 부가하거나 다른 유저로부터 채널 리소스를 제거하는 것을 시도하여 (블록 560), 레이턴시 제약 및/또는 다른 송신 요건을 갖는 이들 패킷으로부터의 모든 정보 비트를 허용한다. 그 후, 시스템은 시스템의 스케줄링 알고리즘에 따라 스케줄링한다 (블록 562).
도 5c에서, 유저에 대해 스케줄링될 다수의 정보 비트가 결정된다 (블록 570). 이것은 그 유저에 대해 저장되는 다수의 패킷, 업커밍 (upcoming) 시간 주기에서의 송신될 패킷의 수, 또는 어떤 다른 접근법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도 있다. 그 후, 채널 리소스는 패킷에서의 정보 비트의 개수에 기초하여 각 유저에 할당된다 (블록 572). 많은 경우에서, 유저는 시스템 로딩에 의존하여 고정된 양까지의 또는 초기의 양까지의 다수의 리소스를 할당받아 송신 주기 동안 다중 유저가 채널 리소스를 액세스하게 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시스템이 분해된 패킷으로부터 정보 비트에 기초하여 채널 리소스를 할당하는 것을 시도하더라도, 적어도 첫번째 인스턴스에 있어서 이러한 할당은 완전히 행해지지 않을 수도 있다. 채널 리소스의 할당은 시스템의 스케줄링 알고리즘에 따라 수행될 수도 있다. 스케줄링 알고리즘은 서비스의 품질 (QoS), 비례 공평성 기준, 다른 스케줄링 접근법, 또는 이들의 조합에 기초할 수도 있다.
채널 리소스가 할당된 후, 유저에 대한 분해된 패킷으로부터의 모든 정보 비트가 현재의 시간 주기에서 채널 리소스가 할당되어왔는지의 여부에 결정이 이루어진다 (블록 574). 분해된 패킷으로부터의 모든 정보 비트가 현재의 시간 주기에서 채널 리소스를 할당받은 경우에서, 스케줄링이 완료된 것으로 간주한다 (블록 576). 분해된 패킷으로부터의 모든 정보 비트가 현재의 시간 주기에서 채널 리소스가 할당받지 않아온 경우에서, 일부의 정보 비트가 리소스가 할당되어오지 않은 이들 패킷의 콘텐츠의 레이턴시 제약 및/또는 다른 송신 요건에 대해 결정이 이루어진다 (블록 578).
패킷의 잔여 정보 비트가 이후의 시간 주기에서 송신되는 것을 방지하는 레이턴시 제약 및/또는 다른 송신 요건이 없는 경우, 패킷은 분해되고 채널 리소스가 존재하는 정보 비트가 현재의 시간 주기 동안 스케줄링을 위해 제공된다 (블록 580). 분해된 패킷으로부터의 남은 정보 비트는 이후의 시간 주기에서 스케줄링을 위해 하나 이상의 큐에서 유지된다.
현재의 시간 주기에서 패킷의 송신을 요구하는 레이턴시 제약 및/또는 다른 송신 요건이 있는 경우, 스케줄러는 패킷의 유저에게 송신에 대한 추가의 채널 리소스를 부가하거나 다른 유저로부터 채널 리소스를 제거하는 것을 시도하여 (블록 582), 레이턴시 제약 및/또는 다른 송신 요건을 갖는 이들 패킷으로부터의 모든 정보 비트를 허용한다. 그 후 시스템은 시스템의 스케줄링 알고리즘에 따라 스케줄링한다 (블록 584).
도 6을 참조하면, 다중 액세스 무선 통신 시스템 일 실시형태에서의 송신기 및 수신기가 예시된다. 송신기 시스템 (610) 에서, 다수의 데이터 스트림에 대한 트래픽 데이터가 데이터 소스 (612) 로부터 송신 (TX) 데이터 프로세서 (614) 로 제공된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각 데이터 스트림은 각각의 송신 안테나를 통해 송신된다. TX 데이터 프로세서 (614) 는 코딩된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해 각 데이터 스트림에 대해 선택되는 특정 코딩 방식에 기초하여 그 데이터 스트림에 대한 트래픽 데이터를 포맷하고, 코딩하고, 인터리빙 (interleaving) 한다. 몇몇 실시형태에 있어서, TX 데이터 프로세서 (614) 는 심볼이 송신되고 있는 유저에 기초하여 데이터 스트림의 심볼에 빔형성 웨이트 (beamforming weight) 를 가한다. 몇몇 실시형태에 있어서, 빔형성 웨이트는 수신기 (602) 에서 발생되는 고유빔 (eigen beam) 벡터에 기초하여 발생되고 송신기 (600) 에 피드백으로서 제공될 수도 있다. 또한, 스케줄링된 송신의 이러한 경우에 있어서, TX 데이터 프로세서 (614) 는 유저로부터 송신되는 랭크 (rank) 정보에 기초하여 패킷 포맷을 선택할 수 있다.
각 데이터에 대한 코딩된 데이터는 OFDM 기법을 이용하여 파일럿 데이터와 멀티플렉싱될 수도 있다. 통상적으로 파일럿 데이터는 공지된 방식으로 프로세싱된 공지된 데이터 패턴이고 채널 응답을 추정하기 위해 수신기 시스템에서 이용될 수도 있다. 그 후 각 데이터 스트림에 대한 멀티플렉싱된 파일럿 및 코딩된 데이터는 변조 심볼을 제공하기 위해 그 데이터 스트림에 대해 선택되는 특정 변조 방식 (예를 들면, BPSK, QSPK, M-PSK, 또는 M-QAM) 에 기초하여 변조된다 (즉, 심볼 맵핑된다). 각 데이터 스트림에 대한 데이터 레이트, 코딩, 및 변조는 프로 세서 (430) 에 의해 제공되고 수행되는 명령에 의해 결정될 수도 있다.
그 후, 모든 데이터 스트림에 대한 변조 심볼은 변조 심볼을 추가로 프로세싱할 수도 있는 TX MIMO 프로세서 (620) 에 제공된다 (예를 들면, OFDM에 대한). 그 후, TX MIMO 프로세서 (620) 는 NT 송신기 (TMTR; 622a 내지 622t) 에 NT 변조 심볼 스트림을 제공한다. 어떤 실시형태에 있어서, TX MIMO 프로세서 (620) 는 심볼이 송신되고 있는 유저 및 심볼이 그 유저의 채널 응답 정보로부터 송신되고 있는 안테나에 기초하여 데이터 스트림의 심볼에 빔형성 웨이트를 가한다.
각 송신기 (622) 는, 각각의 심볼 스트림을 수신하고 프로세싱하여 하나 이상의 아날로그 신호를 제공하고 또한 아날로그 신호를 컨디셔닝 (예를 들면, 증폭, 필터링, 및 업컨버팅 (upconverting)) 하여 MIMO 채널을 통해 송신에 적합한 변조 신호를 제공한다. 그 후, 송신기 (622a 내지 622t) 로부터의 NT 변조 신호는 각각 안테나 (624a 내지 624t) 로부터 송신된다.
수신기 시스템 (650) 에서, 송신된 변조 신호는 NR 안테나 (652a 내지 652r) 에 의해 수신되고 각 안테나 (452) 로부터 수신된 신호는 각각의 수신기 (RCVR; 654) 에 제공된다. 각 수신기 (654) 는 각각의 수신된 신호를 컨디셔닝 (예를 들면, 증폭, 필터링, 및 다운컨버팅) 하여 컨디셔닝된 신호를 디지털화하여 샘플을 제공하고, 또한 샘플을 프로세싱하여 대응하는 "수신된" 심볼 스트림을 제공한다.
그 후, RX 데이터 프로세서 (660) 는 특정 수신기 프로세싱 기법에 기초하여 NR 수신기 (654) 로부터 NR 수신된 심볼 스트림을 수신하고 프로세싱하여 NT "검출 된" 심볼 스트림을 제공한다. RX 데이터 프로세서 (660) 에 의한 프로세싱은 하기에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각 검출된 심볼 스트림은 대응하는 데이터 스트림에 대해 송신되는 변조 심볼의 추정치가 되는 심볼을 포함한다. 그 후, RX 데이터 프로세서 (660) 는 데이터 스트림에 대한 트래픽 데이터를 복원하기 위해 각 검출된 심볼 스트림을 복조하고, 디인터리빙하고, 디코딩한다. RX 데이터 프로세서 (660) 에 의한 프로세싱은 송신기 시스템 (610) 에서 TX MIMO 프로세서 (620) 및 TX 데이터 프로세서 (614) 에 의해 수행되는 것과 상보적이다.
RX 프로세서 (660) 에 의해 발생되는 채널 응답 추정은 수신기에서의 공간 프로세싱, 공간/시간 프로세싱을 수행하고, 전력 레벨을 조정하고, 변조 레이트 또는 그 방식을 변경하고, 또는 다른 액션을 수행하는데 이용될 수도 있다. 또한, RX 프로세서 (660) 는 검출된 심볼 스트림의 신호 대 잡음 및 간섭비 (SNR) 및 아마도 다른 채널 특성을 추정하고 이들 양을 프로세서 (670) 에 제공할 수도 있다. 또한, RX 데이터 프로세서 (660) 또는 프로세서 (670) 는 시스템에 대해 "동작하는" SNR의 추정을 유도한다. 그 후, 프로세서 (670) 는 통신 링크 및/또는 수신된 데이터 스트림에 관한 다양한 타입의 정보를 포함할 수도 있는 추정된 채널 상태 정보 (CSI) 를 제공한다. 예를 들면, CSI는 동작하는 SNR 만을 포함할 수도 있다. 그 후, CSI는 데이터 소스로부터 다수의 데이터 스트림에 대한 트래픽 데이터를 또한 수신하는 TX 데이터 프로세서 (638) 에 의해 프로세싱되고, 변조기 (680) 에 의해 변조되고, 송신기 (654a 내지 654r) 에 의해 컨디셔닝되고, 송신기 시스템 (610) 으로 되송신된다.
송신기 시스템 (610) 에서, 수신기 시스템 (640) 으로부터의 변조 신호는 안테나 (624) 에 의해 수신되고, 수신기 (622) 에 의해 커디셔닝되고, 복조기 (640) 에 의해 복조되고, RX 데이터 프로세서 (642) 에 의해 프로세싱되어 수신기 시스템에 의해 리포트된 CSI를 복원한다. 그 후, 리포트된 CSI는 프로세서 (630) 에 제공되고 (1) 데이터 레이트 및 데이터 스트림에 이용되는 코딩 방식과 변조 방식을 결정하는데 및 (2) TX 데이터 프로세서 (614) 및 TX MIMO 프로세서 (620) 에 대한 다양한 제어를 발생시키는데 이용된다.
데이터 소스 (642 및 676) 에 저장된 정보는 도 1-5에 관하여 설명된 바와 같은 스케줄러에 기초하여 스케줄러에 의해 스케줄링된다.
도 6 및 관련 설명이 MIMO 시스템을 언급하는 반면에, 다른 시스템 멀티-입력 단일-입력 (MISO) 및 단일-출력 멀티-입력 (SIMO) 은 도 6의 구성, 및 여기에 설명된 구성, 방법 및 시스템을 또한 이용할 수도 있다.
여기에서 설명된 기술은 다양한 방식에 의해 구현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이들 기술들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그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하드웨어 구현에 대해, 채널 추정에 이용되는 프로세서 유닛은 하나 이상의 주문형 집적회로 (ASIC),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 (DSP), 디지털 신호 프로세싱 디바이스 (DSPD), 프로그램가능 로직 디바이스 (PLD), 필드 프로그램가능 게이트 어레이 (FPGA), 프로세서, 제어기, 마이크로-제어기, 마이크로프로세서, 여기에서 설명된 기능을 수행하도록 설계된 다른 전자 유닛, 또는 그의 조합 내에서 구현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에 의해, 여기에서 설명된 기능을 수행하는 (예를 들어, 절차, 함수 등의) 모듈을 통해 구현될 수도 있다.
상기 설명한 것은 하나 이상의 실시형태의 예를 포함한다. 물론, 모든 구성 요소의 고안가능한 조합 또는 상술한 실시형태들을 설명하는 목적의 방법을 설명하는 것이 가능한 것은 아니지만, 당업자는 많은 추가의 조합들 및 다양한 실시형태들의 치환이 가능하다는 것을 알 것이다. 따라서, 설명된 실시형태들은 첨부된 청구항의 사상 및 범주 내에 있는 모든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변형을 포함하도록 의도된다. 또한, "포함한다"라는 용어가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서 사용되는 경우, 그 용어는, "구비한다"가 특허청구범위에 있어서 전이 어구로서 채용될 경우에 해석되는 바와 같이 "구비한다"라는 용어와 유사한 방식으로 포괄적인 것으로 의도된다.

Claims (39)

  1. 무선 링크를 통해 송신될 정보를 포함하는 복수의 패킷을 저장하는 메모리로서, 상기 복수의 패킷 각각은 복수의 비트를 포함하는, 상기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에 커플링되고, 패킷의 모든 정보 비트가 단일 송신 주기에서 스케줄링될 수 있는지 또는 다중 송신 주기에서 스케줄링될 수 있는지의 여부에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각 패킷의 복수의 비트에, 상기 무선 링크를 통한 송신용의 송신 리소스의 할당을 결정하고,
    상기 단일 송신 주기에서 상기 패킷의 송신을 요구하는 레이턴시 제약 및/또는 송신 제약이 있는 경우 상기 패킷의 모든 정보 비트가 상기 단일 송신 주기에서 송신되도록 상기 패킷에 추가의 송신 리소스를 할당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각 패킷의 사이즈 및 패킷의 애플리케이션을 결정하는 하이브리드 인터페이스를 더 포함하는, 전자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패킷의 정보 비트가 패킷의 애플리케이션의 레이턴시 제약에 기초하여 단일 송신 주기에서 스케줄링될 수도 있는지 아니면 또는 다중 송신 주기에서 스케줄링될 수도 있는지의 여부를 결정하는 스케줄러를 더 포함하는, 전자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리소스는 복수의 OFDM 심볼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또한, 패킷의 애플리케이션의 레이턴시 제약이 송신을 방해하지 않는 경우 패킷에 포함된 정보의 송신을 다중 송신 주기에서 허용하도록 구성된, 전자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일 또는 다중 송신 주기의 각 송신 주기는 홉 주기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일 또는 다중 송신 주기의 각 송신 주기는 프레임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8. 무선 링크를 통한 송신을 스케줄링하는 방법으로서,
    패킷의 모든 정보 비트가 단일 송신 주기에서 스케줄링될 수 있는지 또는 다중 송신 주기에서 스케줄링될 수 있는지의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패킷의 모든 정보 비트가 단일 송신 주기에서 스케줄링될 수 있는지 또는 다중 송신 주기에서 스케줄링될 수 있는지의 여부에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무선 링크를 통한 송신을 스케줄링하는 단계; 및
    상기 단일 송신 주기에서 상기 패킷의 송신을 요구하는 레이턴시 제약 및/또는 송신 제약이 있는 경우 상기 패킷의 모든 정보 비트가 상기 단일 송신 주기에서 송신되도록 상기 패킷에 추가의 송신 리소스를 할당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송신 스케줄링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 단계 이전에 패킷을 분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송신 스케줄링 방법.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모든 정보 비트가 스케줄링될 수 없는 경우에, 패킷의 애플리케이션의 레이턴시 제약 및/또는 송신 제약을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송신 스케줄링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레이턴시 제약 및/또는 송신 제약이 있는 경우에, 단일 송신 주기에서의 모든 정보 비트의 송신을 스케줄링하기 위해 추가적인 리소스를 할당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송신 스케줄링 방법.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패킷에 대한 레이턴시 제약 및/또는 송신 제약이 없는 경우에, 다중 송신 주기에서의 패킷의 정보에 대한 송신을 스케줄링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송신 스케줄링 방법.
  13.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 단계는, 복수의 패킷에 대한 모든 정보가 단일 송신 주기에서 스케줄링될 수도 있는지 아니면 다중 송신 주기에서 스케줄링될 수도 있는지의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스케줄링 단계는 단일 송신 주기에서 스케줄링될 수도 있는 이들 패킷을 스케줄링하는 단계, 및 모든 정보가 단일 송신 주기, 패킷의 애플리케이션의 레이턴시 제약 및/또는 송신 제약에서 스케줄링될 수 없는 이들 패킷에 대해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송신 스케줄링 방법.
  14.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단일 또는 다중 송신 주기의 각 송신 주기는 홉 주기를 포함하는, 송신 스케줄링 방법.
  15.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단일 또는 다중 송신 주기의 각 송신 주기는 프레임을 포함하는, 송신 스케줄링 방법.
  16. 무선 링크를 통한 송신을 스케줄링하는 방법으로서,
    단일 송신 주기에서 복수의 패킷의 복수의 정보 비트의, 무선 링크를 통한 송신을 스케줄링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패킷 각각으로부터 모든 정보가 단일 송신 주기 동안 스케줄링되었는지의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패킷 각각으로부터 모든 정보가 단일 송신 주기 동안 스케줄링되지는 않은 경우, 단일 송신 주기에 대해 모든 정보가 스케줄링되지 않은 적어도 하나의 패킷에 대한 레이턴시 제약 및/또는 송신 제약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패킷에 대한 레이턴시 제약 및/또는 송신 제약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패킷에 추가의 송신 리소스를 할당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송신 스케줄링 방법.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 단계 이전에 패킷을 분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송신 스케줄링 방법.
  18. 제 16 항에 있어서,
    임의의 패킷에 대한 레이턴시 제약 및/또는 송신 제약이 있는 경우에, 상기 패킷에 대한 단일 송신 주기에서 모든 정보 비트의 송신을 스케줄링하기 위해 추가적인 리소스를 할당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송신 스케줄링 방법.
  19. 제 16 항에 있어서,
    레이턴시 제약 및/또는 송신 제약이 없는 경우에, 다중 송신 주기에서 이들 패킷에 대한 모든 정보 비트의 송신을 스케줄링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송신 스케줄링 방법.
  20.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단일 또는 다중 송신 주기의 각 송신 주기는 홉 주기를 포함하는, 송신 스케줄링 방법.
  21.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단일 또는 다중 송신 주기의 각 송신 주기는 프레임을 포함하는, 송신 스케줄링 방법.
  22. 무선 통신 환경에서의 스케줄링을 용이하게 하는 장치로서,
    패킷으로부터 가변 사이즈인 정보 비트의 블록 및 상기 패킷과 관련된 정보를 제공하는 하이브리드 인터페이스; 및
    상기 패킷과 관련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패킷으로부터의 정보 비트의 블록에 송신 리소스를 할당하고, 상기 패킷과 관련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정보 비트의 블록에 추가의 송신 리소스를 할당하는 스케줄러를 포함하는, 스케줄링 장치.
  23.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는 애플리케이션 패킷에서의 잔여 개수의 비트를 포함하는, 스케줄링 장치.
  24.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는 상기 애플리케이션 패킷의 타임스탬프를 포함하는, 스케줄링 장치.
  25.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스케줄러는, 각 애플리케이션 패킷으로부터의 모든 정보가 단일 송신 주기 동안 스케줄링되었는지의 여부를 결정하고, 각 애플리케이션 패킷으로부터의 모든 정보가 단일 송신 주기 동안 스케줄링되지 않은 경우에, 모든 정보가 스케줄링되지는 않은 이들 패킷에 대한 레이턴시 제약 및/또는 송신 제약을 결정하는, 스케줄링 장치.
  26.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스케줄러는, 임의의 애플리케이션 패킷에 대한 레이턴시 제약 및/또는 송신 제약이 있는 경우에, 상기 애플리케이션 패킷에 대한 단일 송신 주기에서 모든 정보 비트의 송신을 스케줄링하도록 추가적인 리소스를 할당하는, 스케줄링 장치.
  27.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스케줄러는, 레이턴시 제약 및/또는 송신 제약이 없는 경우에, 다중의 송신 주기에서 상기 애플리케이션 패킷에 대한 모든 정보 비트의 송신을 스케줄링하는, 스케줄링 장치.
  28. 무선 링크를 통해 송신될 정보를 포함하는, 유저에 대한 복수의 패킷을 저장하는 메모리로서, 상기 복수의 패킷 각각은 복수의 비트를 포함하는, 상기 메모리; 및
    상기 복수의 패킷을 분해하고, 상기 복수의 정보 비트의 개수에 기초하여 상기 유저에게 상기 무선 링크를 통한 송신을 위해 송신 리소스의 할당을 결정하며, 상기 복수의 패킷에 대한 레이턴시 제약 및/또는 송신 제약에 기초하여 상기 유저에게 추가의 송신 리소스를 할당하도록 구성되는, 상기 메모리에 커플링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29. 제 28 항에 있어서,
    분해되는 각 패킷에서 정보 비트의 개수를 결정하는 하이브리드 인터페이스를 더 포함하는, 전자 장치.
  30. 제 28 항에 있어서,
    모든 정보 비트가 단일 송신 주기에서 스케줄링되지는 않은 임의의 패킷의 애플리케이션의 레이턴시 제약에 기초하여 유저에게 추가적인 송신 리소스를 스케줄링하는 것을 시도할지의 여부를 결정하는 스케줄러를 더 포함하는, 전자 장치.
  31. 제 30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리소스는 복수의 OFDM 심볼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32. 제 30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리소스는 홉 주기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33. 제 30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리소스는 프레임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34.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또한, 패킷의 애플리케이션의 레이턴시 제약이 송신을 방해하지 않는 경우 패킷으로부터 정보 비트의 송신을 다중의 송신 주기에서 허용하도록 구성되는, 전자 장치.
  35. 무선 링크를 통한 송신 스케줄링 방법으로서,
    유저에게 무선 링크를 통해 송신될 복수의 패킷의 정보 비트 개수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정보 비트의 개수에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유저에게 송신 리소스를 스케줄링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패킷에 대한 레이턴시 제약 및/또는 송신 제약에 기초하여 상기 유저에게 추가의 송신 리소스를 할당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송신 스케줄링 방법.
  36. 제 35 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 단계 이전에 상기 복수의 패킷을 분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송신 스케줄링 방법.
  37. 제 35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패킷에 대한 모든 정보 비트가 단일 송신 주기에서 스케줄링될 수 없는 경우, 모든 정보 비트가 스케줄링되지는 않을 수도 있는 패킷의 애플리케이션의 레이턴시 제약 및/또는 송신 제약을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송신 스케줄링 방법.
  38. 제 35 항에 있어서,
    레이턴시 제약 및/또는 송신 제약이 있는 경우, 단일 송신 주기에서 유저에게 송신을 스케줄링하도록 추가적인 리소스를 할당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송신 스케줄링 방법.
  39. 제 35 항에 있어서,
    패킷에 대한 레이턴시 제약 및/또는 송신 제약이 없는 경우, 다중 송신 주기에서 패킷의 정보에 대한 송신을 스케줄링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송신 스케줄링 방법.
KR1020077004012A 2004-07-20 2005-07-20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패킷 인식 스케줄러 KR10093555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58982004P 2004-07-20 2004-07-20
US60/589,820 2004-07-2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40400A KR20070040400A (ko) 2007-04-16
KR100935559B1 true KR100935559B1 (ko) 2010-01-07

Family

ID=355210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04012A KR100935559B1 (ko) 2004-07-20 2005-07-20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패킷 인식 스케줄러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2) US7961609B2 (ko)
EP (1) EP1779612A2 (ko)
JP (2) JP2008507918A (ko)
KR (1) KR100935559B1 (ko)
CN (2) CN101310481B (ko)
AU (1) AU2005267103A1 (ko)
BR (1) BRPI0513704A (ko)
CA (1) CA2574711A1 (ko)
IL (1) IL180825A0 (ko)
MX (1) MX2007000857A (ko)
RU (1) RU2348119C2 (ko)
WO (1) WO2006012405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089911B2 (en) 2004-05-01 2012-01-03 Neocific,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cellular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system
US7961609B2 (en) * 2004-07-20 2011-06-14 Qualcomm Incorporated Packet aware scheduler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US7742444B2 (en) * 2005-03-15 2010-06-22 Qualcomm Incorporated Multiple other sector information combining for power control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O2006135710A2 (en) * 2005-06-09 2006-12-21 Neocific,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power efficient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systems
US9055552B2 (en) * 2005-06-16 2015-06-09 Qualcomm Incorporated Quick paging channel with reduced probability of missed page
US8750908B2 (en) * 2005-06-16 2014-06-10 Qualcomm Incorporated Quick paging channel with reduced probability of missed page
RU2407179C2 (ru) * 2005-08-24 2010-12-20 Квэлкомм Инкорпорейтед Переменные интервалы времени передачи для системы радиосвязи
JP4814332B2 (ja) * 2005-10-27 2011-11-16 クゥアルコム・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補足的割当て及び非補足的割当てを処理する方法及び装置
US20090207790A1 (en) * 2005-10-27 2009-08-20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settingtuneawaystatus in an open stat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20070147226A1 (en) * 2005-10-27 2007-06-28 Aamod Khandekar Method and apparatus for achieving flexible bandwidth using variable guard bands
US20070097935A1 (en) * 2005-10-27 2007-05-03 Alexei Gorokhov In-band rate control for an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communication system
US8588201B2 (en) * 2005-11-15 2013-11-19 Intel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improving RF coverage area in a wireless network
JP4899637B2 (ja) * 2006-05-29 2012-03-21 株式会社日立製作所 無線通信システムおよび無線通信方法
JP4760557B2 (ja) * 2006-06-08 2011-08-31 株式会社日立製作所 無線通信システムおよび無線通信装置
US8005002B2 (en) * 2006-11-09 2011-08-23 Palo Alto Research Center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a query-based convergecast scheduling in a wireless sensor network
US8144589B2 (en) 2007-05-07 2012-03-27 Qualcomm Incorporated Learning-based semi-persistent scheduling in wireless communications
US8571553B2 (en) 2007-07-16 2013-10-29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resolving pilot pseudorandom noise code conflicts in a communication system
KR101441147B1 (ko) 2008-08-12 2014-09-18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sr 전송 방법
CN102282550A (zh) * 2009-01-30 2011-12-14 莫维克网络公司 应用和使用以及无线链路感知传输网络调度程序
CA2750580C (en) 2009-01-30 2016-05-10 Samsung Electronics Co., Ltd. Control signaling for transmissions over contiguous and non-contiguous frequency bands
US7940740B2 (en) * 2009-02-03 2011-05-10 Motorola Mobility,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communicating and processing a positioning reference signal based on identifier associated with a base station
US8730925B2 (en) * 2009-04-09 2014-05-20 Motorola Mobility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reference signals for accurate time-difference of arrival estimation
US8144720B2 (en) * 2009-04-24 2012-03-27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Uplink radio resource allocation in the presence of power limited users
US9002354B2 (en) 2009-06-12 2015-04-07 Google Technology Holdings, LLC Interference control, SINR optimization and signaling enhancements to improve the performance of OTDOA measurements
US8483707B2 (en) * 2009-06-26 2013-07-09 Motorola Mobility Llc Wireless terminal and method for managing the receipt of position reference singals for use in determining a location
US20110039583A1 (en) * 2009-08-17 2011-02-17 Motorola, Inc. Muting time masks to suppress serving cell interference for observed time difference of arrival location
US8374633B2 (en) 2009-10-05 2013-02-12 Motorola Mobility Llc Muting indication to enable improved time difference of arrival measurements
WO2011057292A1 (en) * 2009-11-09 2011-05-12 Movik Networks, Inc. Burst packet scheduler for improved ran efficiency in umts/hspa networks
US20110176440A1 (en) * 2010-01-15 2011-07-21 Motorola-Mobility, Inc. Restrictions on autonomous muting to enable time difference of arrival measurements
US8509102B2 (en) 2010-02-24 2013-08-13 Motorola Mobility Llc Threshold determination in TDOA-based positioning system
WO2011115965A1 (en) * 2010-03-15 2011-09-22 Movik Networks Adaptive chunked and content-aware pacing of multi-media delivery over http transport and network controlled bit rate selection
US9203489B2 (en) 2010-05-05 2015-12-01 Google Technology Holdings LLC Method and precoder information feedback in multi-antenn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EP2642790A1 (en) * 2010-07-02 2013-09-25 Vodafone IP Licensing limited Application aware resources management in telecommunication networks
US8428022B2 (en) 2010-08-27 2013-04-23 Motorola Mobility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positioning reference signal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WO2012050838A1 (en) 2010-09-28 2012-04-19 Neocific,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flexible use of frequency bands
US20120327867A1 (en) * 2011-06-27 2012-12-27 Renesas Mobile Corporation Subframe Scheduling
WO2013015613A2 (ko) * 2011-07-25 2013-01-31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전송 방법 및 장치
CA2849853C (en) * 2011-10-05 2017-12-12 Peerialism AB Method and device for arranging peers in a live streaming p2p network
US9813262B2 (en) 2012-12-03 2017-11-07 Google Technology Holdings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selectively transmitting data using spatial diversity
US9591508B2 (en) 2012-12-20 2017-03-07 Google Technology Holdings LLC Methods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data between different peer-to-peer communication groups
US9979531B2 (en) 2013-01-03 2018-05-22 Google Technology Holdings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tuning a communication device for multi band operation
US10229697B2 (en) 2013-03-12 2019-03-12 Google Technology Holdings LLC Apparatus and method for beamforming to obtain voice and noise signals
KR102223813B1 (ko) * 2013-09-12 2021-03-08 삼성전자주식회사 송신 장치, 그의 데이터 맵핑 방법, 수신 장치 및 그의 데이터 처리 방법
US9184966B2 (en) 2013-09-12 2015-11-10 Samsung Electronics Co., Ltd. Transmitting apparatus, method of mapping data thereof, receiving apparatus, data processing method thereof
US9386542B2 (en) 2013-09-19 2016-07-05 Google Technology Holdings,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estimating transmit power of a wireless device
US9807640B2 (en) * 2013-12-17 2017-10-31 Taiwa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Company, Ltd. Network operating system resource coordination
US9549290B2 (en) 2013-12-19 2017-01-17 Google Technology Holdings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direction information for a wireless device
US9491007B2 (en) 2014-04-28 2016-11-08 Google Technology Holdings LLC Apparatus and method for antenna matching
US9478847B2 (en) 2014-06-02 2016-10-25 Google Technology Holdings LLC Antenna system and method of assembly for a wearable electronic device
EP2988420B1 (en) * 2014-08-20 2021-03-10 Framatome Circuit arrangement for a safety i&c system
KR102381306B1 (ko) 2016-11-03 2022-03-31 프라운호퍼 게젤샤프트 쭈르 푀르데룽 데어 안겐반텐 포르슝 에. 베. 강화된 sps 제어 및 핸드오버 이후 연속적인 sps를 제공하기 위한 사용자 장비, 기지국, 무선 통신 네트워크, 데이터 신호 및 방법
DE102017206258A1 (de) 2017-04-11 2018-10-11 Fraunhofer-Gesellschaft zur Förderung der angewandten Forschung e.V. Sender und empfänger und entsprechende verfahren
US11304212B2 (en) 2019-08-14 2022-04-12 Apple Inc. Target transmission time based transmit scheduling
WO2023218666A1 (ja) * 2022-05-13 2023-11-16 三菱電機株式会社 通信制御装置、通信制御方法及び通信制御プログラム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760328B1 (en) * 1999-10-14 2004-07-06 Synchrodyne Networks, Inc. Scheduling with different time intervals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13207A (en) * 1994-05-27 1997-03-18 Motorola, Inc. Method for transmitting messages in a communication system
US5752193A (en) * 1995-09-01 1998-05-12 Motorol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communicating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EP0952752B1 (en) * 1998-03-30 2013-05-15 Alcatel Lucent ATM adaption layer traffic scheduling
JP2000151619A (ja) * 1998-11-04 2000-05-30 Sony Corp 伝送方法及び伝送装置
US6885868B1 (en) 1999-09-30 2005-04-26 Nortel Networks Limited Fair packet scheduler and scheduling method for packet data radio
US6952454B1 (en) * 2000-03-22 2005-10-04 Qualcomm, Incorporated Multiplexing of real time services and non-real time services for OFDM systems
JP2001292476A (ja) 2000-04-05 2001-10-19 Mitsubishi Electric Corp 無線通信方法及びその無線通信装置
BRPI0112403B1 (pt) 2000-07-12 2018-09-18 Qualcomm Inc multiplexação de serviços em tempo real e serviços em tempo não real para sistemas ofdm
CA2428061A1 (en) * 2000-11-07 2002-05-16 Nokia Corporation System for uplink scheduling of packet data traffic in wireless system
US8111689B2 (en) * 2001-01-16 2012-02-07 Nokia Corporation System for uplink scheduling packet based data traffic in wireless system
US6920119B2 (en) * 2001-01-09 2005-07-19 Motorola, Inc. Method for scheduling and allocating data transmissions in a broad-band communications system
US7002934B2 (en) * 2001-01-22 2006-02-21 Unique Broadband Systems, Inc. OFDM multiple upstream receiver network
JP4187940B2 (ja) * 2001-03-06 2008-11-26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パケット伝送方法及びシステム、並びにパケット送信装置、受信装置、及び送受信装置
JP2003018117A (ja) * 2001-07-04 2003-01-17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多元接続装置および多元接続方法
WO2003017589A1 (en) * 2001-08-16 2003-02-27 British Telecommunications Public Limited Company Burst reservation multiple access scheme with free abd demand bandwidth assignment (brma-fd)
EP1289219A1 (en) * 2001-08-28 2003-03-05 Lucent Technologies Inc. A method of scheduling data packets for transmission over a shared channel, and a terminal of data packet transmission network
JP4806766B2 (ja) 2001-09-17 2011-11-02 独立行政法人情報通信研究機構 無線通信方法、受信状況推定方法、送信装置、および、受信装置
US7046660B2 (en) * 2001-10-03 2006-05-16 Internet Machines Corp. Switching apparatus for high speed channels using multiple parallel lower speed channels while maintaining data rate
GB0125390D0 (en) * 2001-10-23 2001-12-12 Ipwireless Inc Resource allocation in a packet-based radio communication system
US8493998B2 (en) * 2003-11-19 2013-07-23 Alcatel Lucent Method and apparatus for scheduling forward data bursts in wireless network
US20050207436A1 (en) * 2004-03-18 2005-09-22 Anujan Varma Switching device based on aggregation of packets
US7433314B2 (en) * 2004-06-01 2008-10-07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system for acknowledging the receipt of a transmitted data stream in a 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
US7961609B2 (en) * 2004-07-20 2011-06-14 Qualcomm Incorporated Packet aware scheduler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760328B1 (en) * 1999-10-14 2004-07-06 Synchrodyne Networks, Inc. Scheduling with different time interval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8507918A (ja) 2008-03-13
MX2007000857A (es) 2007-04-18
EP1779612A2 (en) 2007-05-02
CN103124437A (zh) 2013-05-29
WO2006012405A3 (en) 2006-06-29
CA2574711A1 (en) 2006-02-02
US20110205987A1 (en) 2011-08-25
KR20070040400A (ko) 2007-04-16
US8971259B2 (en) 2015-03-03
JP2011139488A (ja) 2011-07-14
CN101310481B (zh) 2013-03-27
US20060019677A1 (en) 2006-01-26
AU2005267103A1 (en) 2006-02-02
BRPI0513704A (pt) 2008-05-13
RU2007106048A (ru) 2008-08-27
US7961609B2 (en) 2011-06-14
JP5666326B2 (ja) 2015-02-12
WO2006012405A2 (en) 2006-02-02
CN101310481A (zh) 2008-11-19
RU2348119C2 (ru) 2009-02-27
IL180825A0 (en) 2007-06-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35559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패킷 인식 스케줄러
KR100982146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스케일러블 주파수 대역 동작
US8582592B2 (en) Wireless resource allocation methods and apparatus
US8582509B2 (en) Scalable frequency band oper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JP4981898B2 (ja) 無線通信システムのための効率的なチャネル構造
US8380204B2 (en) Computed-aided mapping of system information medium access control protocol messages
KR100957436B1 (ko) 제약된 호핑 및 온-디맨드 파일럿을 통한 tdd 빔포밍에대한 효율적 지원
KR20090055588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브로드캐스트 및 멀티캐스트 서비스들
KR20090026300A (ko) 무선 통신 시스템들의 신호 동기획득
RU2407201C2 (ru) Способы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распределения беспроводных ресурсов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4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