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35388B1 - 낌방지 적층형 가스켓 - Google Patents

낌방지 적층형 가스켓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35388B1
KR100935388B1 KR1020070066405A KR20070066405A KR100935388B1 KR 100935388 B1 KR100935388 B1 KR 100935388B1 KR 1020070066405 A KR1020070066405 A KR 1020070066405A KR 20070066405 A KR20070066405 A KR 20070066405A KR 100935388 B1 KR100935388 B1 KR 1009353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ulking
gasket
plate
plates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664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03609A (ko
Inventor
이종선
서태용
Original Assignee
동아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아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동아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664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35388B1/ko
Priority to CN200780100482A priority patent/CN101849123A/zh
Priority to PCT/KR2007/003551 priority patent/WO2009005179A1/en
Publication of KR200900036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36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353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353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JPISTONS; CYLINDERS; SEALINGS
    • F16J15/00Sealings
    • F16J15/02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 F16J15/06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with solid packing compressed between sealing surfaces
    • F16J15/08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with solid packing compressed between sealing surfaces with exclusively metal packing
    • F16J15/0818Flat gaskets
    • F16J15/0825Flat gaskets laminated
    • F16J15/0831Flat gaskets laminated with mounting ai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JPISTONS; CYLINDERS; SEALINGS
    • F16J15/00Sealings
    • F16J15/02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 F16J15/06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with solid packing compressed between sealing surfaces
    • F16J15/064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with solid packing compressed between sealing surfaces the packing combining the sealing function with other func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JPISTONS; CYLINDERS; SEALINGS
    • F16J15/00Sealings
    • F16J15/02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 F16J15/06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with solid packing compressed between sealing surfaces
    • F16J15/08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with solid packing compressed between sealing surfaces with exclusively metal packing
    • F16J15/0818Flat gaskets
    • F16J2015/0868Aspects not related to the edges of the gaske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asket Seal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수의 플레이트로 구성되며 플레이트 간에는 코킹에 의해 결합되는 적층형 가스켓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 중 하나 이상의 플레이트에는 코킹부분에 낌방지 돌기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낌방지 적층형 가스켓에 관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의 낌방지 적층형 가스켓은 복수의 플레이트 중 하나 이상의 플레이트에 낌방지돌기를 구성함으로서 적층형 가스켓 상호간의 낌을 방지할 수 있어 작업이 용이하고 실린더헤드와 실린더블록의 접합면에 복수의 적층형 가스켓을 게재함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가스켓, 플레이트, 스토퍼플레이트, 비드플레이트, 코킹, 낌방지돌기

Description

낌방지 적층형 가스켓{GASKET FOR PREVENTING PINCH}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적층형 가스켓을 적재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 1실시 예에서 스토퍼 플레이트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3은 상기 도 2에 있어서 A부분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 1실시 예에서 비드플레이트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5는 상기 도 4에 있어서 B부분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 1실시 예로써 도 3에서 도시된 A부분과 도 5에서 도시된 B부분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 2실시 예로써 도 3에서 도시된 A부분과 도 5에서 도시된 B부분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 3실시 예로써 도 3에서 도시된 A부분과 도 5에서 도시된 B부분의 결합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 4실시 예로써 도 3에서 도시된 A부분과 도 5에서 도시된 B부분의 결합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 5실시 예로써 도 3에서 도시된 A부분과 도 4에서 도시된 B부분의 결합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1은 도 2 내지 도 6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 1실시 예로서 상기 적층형 가스켓들을 적재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비드플레이트 2 : 평면부
3 : 보어비드 4 : 오일비드
5 : 변부비드 6 : 코킹
21 : 스토퍼플레이트 22 : 평면부
23 : 보어 26 : 코킹
40a, 40b, 40c, 40d, 40e : 낌방지 돌기
본 발명은 낌방지 적층형 가스켓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복수의 플레이트를 각각의 코킹에 의해 결합하는 적층형 가스켓에 있어서 복수의 플레이트 중 하나 이상에 낌방지 돌기를 구성함으로서 적층형 가스켓 상호간의 낌을 방지할 수 있는 적층형 가스켓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스켓(gasket)은 엔진(내연기관), 유/공압장치 등에서 유체, 기체 등이 왕래하는 부품과 부품간의 결합면, 혹은 접촉면 사이에 끼워져서 이들 사 이의 기밀을 유지하여 누설을 방지하게 된다.
이러한 가스켓 중 차량 등의 엔진부분에 적용되는 것을 살펴보면, 차량의 엔진에서는 특히 실린더 블록과 실린더 헤드의 접합면 사이와, 실린더 헤드와 실린더헤드 커버의 접촉면 사이 등에 설치되어 밀봉수단(seal)의 기능을 담당하며, 연소실내 고압 연소가스의 누설을 방지한다. 연소실의 내부는 압축, 팽창, 폭발, 배기 등으로 이루어지는 4행정 사이클 과정 동안 실린더 내부 압력이 연속적으로 변화하는 기계적 환경에 놓여 있다.
특히, 폭발시의 내부 가스 압력은 실린더 헤드와 실린더블록을 체결하는 볼트결합의 체결력을 초과할 정도로 높기 때문에 실린더 헤드를 상향으로 밀어 올리는 힘(lift-up force : 이하 '리프트 포스'라 함)이 발생되어서, 가스켓과 실린더 헤드 내지 실린더 블록 사이에 미세한 간극이 존재하게 된다.
예를 들어, 압축착화기관에서 실린더 헤드는 리프트 포스를 받을 때 실린더 블록의 상면으로부터 높이 10㎛(0.01㎜) ∼ 15㎛(0.015㎜) 정도 튀어 올라가기 때문에 실린더 헤드와 실린더 블록의 사이에 유동적 간극을 만들게 된다.
이때, 내부 가스 압력이 대략적으로 대기압의 200배 정도이기 때문에, 내부 가스는 간극을 통해 외부로 세어나가게 되어서 내연기관의 연소효율에 악 영향을 미치게 된다.
이렇게 미세한 간극은 사이클의 진행 동안 실린더 내부의 하중 변화에 따라 유동적으로 변화하므로, 내연기관에서 만족할만한 밀봉을 유지하고 폭발시 발생되는 미세 간극 생성을 억제하기 위해서는 탄성과 함께 내구성을 갖는 적층형 가스켓 이 필요하다.
일반적으로 적층형 가스켓은 복수의 금속박판(플레이트)을 적층, 결합하여 사용되어 왔다.
일예로 적층형 가스켓은 2장의 플레이트로 구성할 수 있는데, 탄성력에 의해 실린더헤드와 실린더블록의 접합면이 시일 하도록 하는 비드가 형성된 비드플레이트와 상기 비드플레이트의 비드의 완전압착으로 인한 시일성능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스토퍼플레이트로 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2장의 플레이트를 적층하여 결합시키기 위한 방법은 기본적으로 그로멧형, 헤밍형, 야그형 등이 있으며, 이들은 주로 리벳팅, 야그용접 등에 의해 상호 분리되지 않도록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리벳팅에 의해 플레이트 상호간을 결합하는 경우 별도의 리벳팅 작업을 수행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고, 야그용접의 경우도 용접에 의해 발생되는 열에 의해 조립되는 플레이트에 열응력이 발생되고, 이 열응력에 의해 조립된 적층형 가스켓에 열변형이 발생되며, 이 또한 별도의 용접과정을 거쳐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으로 인해 코킹방식에 의해 플레이트 상호간을 결합하여 사용하는데, 코킹방식은 각각의 플레이트에 대응하는 코킹을 구성함으로서 별도의 리벳팅 이나 용접과정이 없이 간편하게 대응하는 코킹을 삽입하는 방식으로 플레이트 상호간을 결합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그러나 코킹방식의 경우에도 적층형 가스켓을 적재하여 필요시 적층형 가스 켓을 1개씩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적층형 가스켓 상호간(G, G′,G″)에 코킹의 삽입으로 인해 결합되어 이를 분리하는 작업이 용이하지 않으며, 심지어 실린더블록과 실린더헤드에 2개의 적층형 가스켓을 삽입하여 조립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앞서 언급한 취약점을 해결하고자, 복수의 플레이트를 각각의 코킹에 의해 결합하는 적층형 가스켓에 있어서 복수의 플레이트 중 하나 이상의 플레이트에 코킹과 별도로 낌방지돌기를 구성함으로서 적층형 가스켓 상호간의 낌을 방지할 수 있는 적층형 가스켓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은 복수의 플레이트로 구성되며 플레이트 간에는 코킹에 의해 결합되는 적층형 가스켓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 중 하나 이상의 플레이트에는 코킹부분에 낌방지 돌기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낌방지 적층형 가스켓에 의해 달성된다.
한편 본 발명은 적층형 가스켓을 구성하는 복수의 플레이트에서 낌방지돌기를 형성함에 있어서 플레이트 중 최상단에 위치하는 플레이트에 낌방지 돌기를 형성하는데 그 형성위치는 코킹의 골부분에 코킹의 산부분과 반대방향으로 낌방지 돌기가 돌출 형성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플레이트 중 최하단에 위치하는 플레이트에 낌방지돌기를 형성하고 그 형성위치는 코킹의 산부분에 코킹의 산부분과 같은 방향으로 낌방지 돌기가 돌출 형성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낌방지 돌기를 형성함에 있어서 적층형 가스켓을 형성하는 복수의 플레이트 모두에 낌방지 돌기를 형성하고 각각의 낌방지돌기는 각각의 플레이트에 형성된 코킹의 골부분에 코킹의 산부분과 반대 방향으로 각각 형성되며 각각의 낌방지 돌기들 간에도 삽입 체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낌방지 돌기를 형성함에 있어서 적층형 가스켓을 형성하는 복수의 플레이트 모두에 낌방지 돌기를 형성하고 각각의 낌방지 돌기는 각각의 플레이트에 형성된 코킹의 산부분에 코킹의 산부분과 같은 방향으로 각각 형성되며 각각의 낌방지 돌기들 간에도 삽입 체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낌방지 돌기를 형성함에 있어서 적층형 가스켓을 형성하는 복수의 플레이트 중에서 최외각에 위치하는 플레이트들에는 각각 코킹의 산부분과 코킹의 골부분에 코킹의 산부분과 같은 방향 및 코킹의 산부분과 반대 방향으로 낌방지 돌기가 구비됨으로써 각각의 낌방지 돌기의 골부분이 대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낌방지 적층형 가스켓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적층형 가스켓을 적재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 1실시 예에서 스토퍼 플레이트를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3은 상기 도 2에 있어서 A부분을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 1실시 예에서 비드플레이트를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5는 상기 도 4에 있어서 B부분을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 1실시 예로써 도 3에서 도시된 A부분과 도 5에서 도시된 B부분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제 2실시 예로써 도 3에서 도시된 A부분과 도 5에서 도시된 B부분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제 3실시 예로써 도 3에서 도시된 A부분과 도 5에서 도시된 B부분의 결합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제 4실시 예로써 도 3에서 도시된 A부분과 도 5에서 도시된 B부분의 결합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제 5실시 예로써 도 3에서 도시된 A부분과 도 4에서 도시된 B부분의 결합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1은 도 2 내지 도 6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 1실시 예로서 상기 적층형 가스켓들을 적재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복수의 플레이트로 구성되는 적층형 가스켓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에는 플레이트 상호간에 결합을 위해 복수의 코킹이 구성되는데, 이러한 코킹의 구성에 의해 적층형 가스켓 간에 낌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각각의 코킹부분에 하나 이상의 돌기를 구성하여 적층형 가스켓 간에 낌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은 복수의 플레이트로 구성된 경우에 코킹부분에 돌기가 구성되 어 가스켓 간에 낌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써 이하에서는 도 2 내지 도 1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플레이트로 구성된 적층형 가스켓의 일 예로써 적층형 가스켓을 비드플레이트와 스토퍼플레이트로 구성한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인 스토퍼플레이트(21)는 내연기관의 실린더 기통수에 따라서 소정 개수의 보어(28)(예시는 4기통용 실린더에 적용된 것임.)가 평면부(22)의 중앙부분에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보어들의 외측변부에 즉 보어와 플레이트의 변부 사이에 실린더를 냉각시키고 윤활유를 공급하기 위한 냉각수 공급구멍(29)과 오일공급구멍(27)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스토퍼플레이트(21)를 하기에서 설명할 비드 플레이트와 결합시키기 위한 복수의 코킹(26)이 형성된다. 상기 코킹(26)은 평면부(22)에서 융기하여 상부에서 평평한 면을 구성하는 사다리꼴 형상 또는 반원형상으로서, 상기 코킹(26)은 가압에 의해 전체적으로 융기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으나, 본 발명의 각각의 도면은 상기 코킹(26)을 형성함에 있어서 각각 플레이트에 평행한 한 쌍의 절단면(C)을 구성하여 절단면(C) 사이부분을 융기시킴으로써 구성되는 일 예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코킹의 산부분(a)이 이하에서 설명할 비드 플레이트에 형성된 코킹(6)의 골부분(b) 삽입됨으로서 도 6 내지 도 1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스토퍼플레이트(21)와 그 하부에 적층되는 비드플레이트(1)가 결합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스토퍼플레이트(21)에는 실린더블록(도면에 도시되지 않음.)과 실린더헤드(도면에 도시되지 않음.)에 체결하기 위한 볼트삽입공(30)이 플레이트 변부에 형성된다.
한편 상기 스토퍼플레이트(21) 하부에 적층되는 비드플레이트(1)는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스토퍼플레이트(21)의 각각의 구성부분에 대응하여 평면부(2), 보어(8), 냉각수 공급구멍(9), 오일공급구멍(7), 및 볼트삽입공(10)이 동일한 위치에서 동일한 형상으로 구성된다.
다만, 상기 비드플레이트(1)가 상기 스토퍼플레이트(21)와 다른 점은 보어(8) 주변부에 탄성력에 의해 연소가스의 누출을 방지하는 보어비드(3)가 형성되고, 고압의 오일이 새는 것을 방지하도록 오일공급구멍(7) 둘레에는 오일비드(4)가 형성되고, 연소가스, 오일 냉각수 등이 실린더블록과 실린더헤드의 접합면에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비드플레이트 변부를 따라서 끝단과 일정간격 이격되어 형성된 변부비드(5)가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비드플레이트(1)에도 상기 스토퍼플레이트(21)의 코킹(26)과 대향하는 위치에 동일한 형상으로 코킹(6)이 형성된다. 이렇게 코킹(6)이 형성됨으로서 상기 코킹(6)의 골부분(b)에 도 6 내지 도 1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스토퍼플레이트(21)에 형성된 코킹(26)이 산부분(a)이 삽입되어 결국 스토퍼플레이트(21)의 하부에 비드플레이트(1)가 적층, 결합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특징은 상기 비드플레이트(1)에 형성된 코킹(6) 또는 상기 스토퍼플레이트(21)에 형성된 코킹(26)에 각각의 코킹(6, 26) 방향과 동일한 방향 또는 반대방향으로 낌방지돌기(40)가 형성되어 가스켓 간에 낌을 방지하는데 특징이 있는 것이다.
상기 낌방지돌기(40)는 속이 빈 반구형상으로 구성하거나 또는 사다리꼴 형 상 등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는 바, 돌출된 형상에 의해 도 1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부 또는 하부에 적층되는 가스켓에 형성된 코킹(6, 26)에 낌이 방지되는 것이다. 즉, 이렇게 낌방지돌기(40)가 형성됨으로서 스토퍼플레이트(21)와 비드플레이트(1)로 구성되는 적층형 가스켓(G)의 상부 또는 하부에 적층되는 다른 적층형 가스켓(G′)과 낌이 방지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있어서 낌방지돌기(40)의 수 및 형성위치에 따라 구분되는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6에서는 본 발명의 제 1실시 예를 도시하고 있는 바, 적층형 가스켓을 구성하는 복수의 플레이트에서 낌방지돌기(40a)를 형성함에 있어서 플레이트 중 최상단에 위치하는 플레이트에 낌방지 돌기(40a)를 형성하는데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그 형성위치는 스토퍼플레이트(21)에 형성된 코킹(26)의 골부분(b)에 형성되며 낌방지 돌기(40a)가 형성되는 방향은 코킹(26)의 산부분(a)과 반대방향으로 낌방지 돌기(40a)가 돌출 형성되는 것이다. 이렇게 구성됨으로써 스토퍼플레이트(21)에 형성된 코킹(26)의 골부분(b)에 대향하는 타 가스켓의 비드플레이트(1)에 형성된 코킹(6)의 산부분(a)이 상기 낌방지 돌기(40a)에 의해 낌이 방지됨으로 결국 적층되는 가스켓 간에 낌이 방지되는 것이다.
한편 도 7에서는 본 발명의 제 2실시 예를 도시하고 있는 바, 적층형 가스켓을 구성하는 복수의 플레이트에서 낌방지돌기(40b)를 형성함에 있어서 플레이트 중 최하단에 위치하는 플레이트에 낌방지돌기(40b)가 형성되는데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그 형성위치는 비드플레이트(1)에 형성된 코킹(6)의 산부분(a)에 형성되며 낌 방지 돌기(40b)가 형성되는 방향은 코킹(6)의 산부분(a)과 같은 방향으로 낌방지 돌기(40b)가 돌출 형성되는 것이다. 이렇게 구성됨으로써 비드플레이트(1)에 형성된 코킹(6)의 산부분(a)에 대향하는 타 가스켓의 스토퍼플레이트(21)에 형성된 코킹(26)의 골부분(b)이 상기 낌방지 돌기(40b)에 의해 낌이 방지됨으로 결국 적층되는 가스켓 간에 낌이 방지되는 것이다.
한편, 도 8에서는 본 발명의 제 3실시 예가 도시되고 있는 바, 적층형 가스켓을 구성하는 복수의 플레이트에서 낌방지돌기(40c)가 복수의 플레이트 모두에 형성되는데,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그 형성위치는 스토퍼플레이트(21)에 형성된 코킹(26)의 골부분(b) 및 비드플레이트(1)에 형성된 코킹(6)의 골부분(b)에 형성되며 각각의 낌방지 돌기(40c)는 스토퍼플레이트(21)에 형성된 낌방지 돌기(40c)에 비드플레이트(1)에 형성된 낌방지 돌기(40c)가 삽입된 형상으로 상기 각각의 낌방지 돌기(40c)가 형성되는 방향은 각각의 코킹(6, 26)의 산부분(a)과 반대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것이다. 이렇게 구성됨으로써 스토퍼플레이트(21)에 형성된 코킹(26)의 골부분(b)에 대향하는 타 가스켓의 비드플레이트(1)에 형성된 코킹(6)의 산부분(a)이 상기 낌방지 돌기(40c)에 의해 낌이 방지됨으로 결국 적층되는 가스켓 간에 낌이 방지되는 것이다. 이 경우 스토퍼플레이트(21)에 형성된 낌방지 돌기(40c)의 외경(D1)이 비드플레이트(1)에 형성된 낌방지 돌기(40c)의 내경(D2)보다 커서 스토퍼플레이트(21)에 형성된 낌방지 돌기(40c)가 타 가스켓의 비드플레이트(1)에 형성된 낌방지 돌기(40c)로 삽입이 되지 않아 결국 가스켓 상호간에 낌이 방지되는 것이다. 본 실시 예의 경우는 상기 제 1, 2실시 예와 다르게 적층형 가스켓을 구성하는 복수의 플레이트에 각각의 낌방지 돌기(40c)를 일거에 구성할 수 있으므로 가스켓 제작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한편, 도 9에서는 본 발명의 제 4실시 예가 도시되고 있는 바, 적층형 가스켓을 구성하는 복수의 플레이트에서 낌방지 돌기(40d)가 복수의 플레이트 모두에 형성되는데,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그 형성위치는 스토퍼플레이트(21)에 형성된 코킹(26)의 산부분(a) 및 비드플레이트(1)에 형성된 코킹(6)의 산부분(a)에 형성되며 각각의 낌방지 돌기(40d)는 비드플레이트(1)에 형성된 낌방지 돌기(40d)에 스토퍼플레이트(21)에 형성된 낌방지 돌기(40d)가 삽입된 형상으로 상기 각각의 낌방지 돌기(40d)가 형성되는 방향은 각각의 코킹(6, 26)의 산부분(a)과 같은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것이다. 이렇게 구성됨으로써 비드플레이트(1)에 형성된 코킹(6)의 산부분(a)에 대향하는 타 가스켓의 스토퍼플레이트(21)에 형성된 코킹(26)의 골부분(b)이 상기 낌방지 돌기(40d)에 의해 낌이 방지됨으로 결국 적층되는 가스켓 간에 낌이 방지되는 것이다. 이 경우 비드플레이트(1)에 형성된 낌방지 돌기(40d)의 외경(D3)이 스토퍼플레이트(21)에 형성된 낌방지 돌기(40d)의 내경(D4)보다 커서 비드플레이트(1)에 형성된 낌방지 돌기(40d)가 타 가스켓의 스토퍼플레이트(21)에 형성된 낌방지 돌기(40d)로 삽입이 되지 않아 결국 가스켓 상호간에 낌이 방지되는 것이다. 본 실시 예의 경우에도 상기 제 1, 2실시 예와 다르게 적층형 가스켓을 구성하는 복수의 플레이트에 각각의 낌방지 돌기(40d)를 일거에 구성할 수 있으므로 가스켓 제작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한편 도 10에서는 본 발명의 제 5실시 예를 도시하고 있는 바, 적층형 가스 켓을 구성하는 복수의 플레이트에서 낌방지 돌기(40e)가 복수의 플레이트 모두에 형성되는데, 도 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그 형성위치는 스토퍼플레이트(21)에 형성되는 낌방지 돌기(40e)는 스토퍼플레이트(21)에 형성된 코킹(26)의 산부분(a)과 반대방향으로 돌출 형성되고, 비드플레이트(1)에 형성되는 낌방지 돌기(40e)는 비드플레이트(1)에 형성된 코킹(6)의 산부분(a)과 같은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것이다. 이렇게 구성됨으로써 스토퍼플레이트(21)에 형성된 코킹(26)의 골부분(b)에 대향하는 타 가스켓의 비드플레이트(1)에 형성된 코킹(6)의 산부분(a)이 상기 낌방지 돌기(40e)에 의해 낌이 방지되고, 비드플레이트(1)에 형성된 코킹(6)의 산부분(a)에 대향하는 타 가스켓의 스토퍼플레이트(21)에 형성된 코킹(26)의 골부분(b)이 상기 낌방지 돌기(40e)에 의해 낌이 방지됨으로 결국 적층되는 가스켓 간에 낌이 방지되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도 11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작동상태를 설명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예 중 제 1실시 예를 기초로 도시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 작동상태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스토퍼플레이트(21)와 비드플레이트(1)로 구성되는 적층형 가스켓(G)의 상부에 또 다른 스토퍼플레이트(21′)와 비드플레이트(1′)로 구성되는 적층형 가스켓(G′)이 적층되고 그 상부에 다른 스토퍼플레이트(21″)와 비드플레이트(1″)로 구성되는 적층형 가스켓(G″)이 적층되는 경우 각각의 스토퍼플레이트와 비드플레이트는 도 1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호 코킹에 의해 결합되며, 하부에 적층된 적층형 가스켓(G)에서 상부의 스토퍼플레이트(21)는 낌방지 돌기(40a)의 구성으로 인해 코킹(26)이 그 상부의 적층형 가스켓(G′)의 하부의 비드플레이 트(21′)에 형성된 코킹(6′)에 삽입이 방지되어 결국 적층형 가스켓(G,G′) 상호간에 낌이 방지되는 것이다. 또한, 중간에 적재된 적층형 가스켓(G′)과 최상부에 적층되는 적층형 가스켓(G″)에 있어서도 적층형 가스켓(G′)에 형성된 낌방지 돌기(40a′)에 의해 상호 낌이 방지되는 것이다.
상기에서 언급한 내용은 적층형 가스켓을 스토퍼플레이트와 비드플레이트로만 구성한 경우를 예시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않으며, 스토퍼플레이트와 비드플레이트 뿐만 아니라 중간판(inner plate)을 삽입하는 구성 등 플레이트를 결합하면서 코킹에 의한 결합방식을 적용하는 적층형 가스켓에 있어 최하부, 최상부 또는 모든 플레이트에 코킹과 별도로 낌방지돌기를 구성하여 적층형 가스켓 상호간에 낌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낌방지 적층형 가스켓은 복수의 플레이트 중 하나 이상의 플레이트에 낌방지 돌기를 구성함으로서 적층형 가스켓 상호간의 낌을 방지할 수 있어 작업이 용이하고 실린더헤드와 실린더블록의 접합면에 복수의 적층형 가스켓을 게재함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본 발명의 낌방지 돌기가 구비된 적층형 가스켓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가장 양호한 실시 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이면 누구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이 가능함은 명백한 사실이다.

Claims (6)

  1. 복수의 플레이트로 구성되며 플레이트 간에는 코킹에 의해 결합되는 적층형 가스켓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 중 하나 이상의 플레이트에는 코킹부분에 낌방지 돌기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되,
    상기 플레이트 중 최상단에 위치하는 플레이트에는 코킹의 골부분에 코킹의 산부분과 반대방향으로 낌방지 돌기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낌방지 적층형 가스켓.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070066405A 2007-07-03 2007-07-03 낌방지 적층형 가스켓 KR1009353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6405A KR100935388B1 (ko) 2007-07-03 2007-07-03 낌방지 적층형 가스켓
CN200780100482A CN101849123A (zh) 2007-07-03 2007-07-24 用于防压紧的衬垫
PCT/KR2007/003551 WO2009005179A1 (en) 2007-07-03 2007-07-24 Gasket for preventing pinch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6405A KR100935388B1 (ko) 2007-07-03 2007-07-03 낌방지 적층형 가스켓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3609A KR20090003609A (ko) 2009-01-12
KR100935388B1 true KR100935388B1 (ko) 2010-01-06

Family

ID=402262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66405A KR100935388B1 (ko) 2007-07-03 2007-07-03 낌방지 적층형 가스켓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0935388B1 (ko)
CN (1) CN101849123A (ko)
WO (1) WO200900517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928733B (zh) 2016-10-12 2023-10-24 弗劳恩霍夫应用研究促进协会 空间不均等流媒体化
KR102041035B1 (ko) * 2018-02-06 2019-11-06 주식회사 동양정밀가스켓 적층형 가스켓 결합구조
JP7090497B2 (ja) * 2018-07-31 2022-06-24 株式会社三井ハイテック 金属積層体及び金属積層体の製造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52662U (ko) * 1990-09-11 1992-05-06
JPH05240355A (ja) * 1992-02-28 1993-09-17 Nippon Gasket Kk 金属ガスケットの製造法
JPH08200504A (ja) * 1995-01-20 1996-08-06 Nippon Reinz Co Ltd メタルガスケット
KR200337814Y1 (ko) 1998-12-31 2004-06-17 한라공조주식회사 오조립을 방지할 수 있는 압축기용 밸브 유니트 부품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8673Y1 (ko) * 2006-03-17 2006-06-14 동아공업 주식회사 낌방지 돌기가 구비된 가스켓.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52662U (ko) * 1990-09-11 1992-05-06
JPH05240355A (ja) * 1992-02-28 1993-09-17 Nippon Gasket Kk 金属ガスケットの製造法
JPH08200504A (ja) * 1995-01-20 1996-08-06 Nippon Reinz Co Ltd メタルガスケット
KR200337814Y1 (ko) 1998-12-31 2004-06-17 한라공조주식회사 오조립을 방지할 수 있는 압축기용 밸브 유니트 부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849123A (zh) 2010-09-29
WO2009005179A1 (en) 2009-01-08
KR20090003609A (ko) 2009-0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811162B1 (en) Metal gasket for cylinder head
JP2007139177A (ja) ガスケット
US8016296B2 (en) Metal laminate gasket
KR100935388B1 (ko) 낌방지 적층형 가스켓
KR100827685B1 (ko) 컬링에 의한 적층형 가스켓의 체결수단
KR100924458B1 (ko) 적층형 가스켓의 2중 결합구조.
KR200418673Y1 (ko) 낌방지 돌기가 구비된 가스켓.
EP2971876B1 (en) Hybrid ring welded cylinder head gasket
JP4463239B2 (ja) シリンダヘッドガスケット
KR100924457B1 (ko) 걸림에 의한 적층형 가스켓의 결합구조.
KR100819858B1 (ko) 티조인트부의 실링을 위한 가스켓
KR101376744B1 (ko) 비드와 결합된 코킹을 가지는 가스켓
US6179299B1 (en) Multi-layered gasket having meshing gripping members
KR100746233B1 (ko) 엠보싱 스토퍼 메탈 가스켓.
JP3840475B2 (ja) シリンダヘッドガスケット
KR200297475Y1 (ko) 다층스토퍼구조를 갖는 금속가스켓
KR200426469Y1 (ko) 기판에 꺽임부가 형성된 가스켓.
US10465797B2 (en) Gasket
KR200429360Y1 (ko) 티조인트부의 실링을 위한 가스켓
KR100755456B1 (ko) 가스켓
JPH08200504A (ja) メタルガスケット
KR20110002258A (ko) 연성을 이용한 원형 클렌치에 의한 적층형 가스켓의 결합구조
KR100975364B1 (ko) 절곡단이 형성된 가스켓
JPH0516460Y2 (ko)
KR200435840Y1 (ko) 엠보싱 스토퍼 메탈 가스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3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3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8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