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34234B1 - 웹 3d를 이용한 해양정보 제공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웹 3d를 이용한 해양정보 제공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34234B1
KR100934234B1 KR1020090074745A KR20090074745A KR100934234B1 KR 100934234 B1 KR100934234 B1 KR 100934234B1 KR 1020090074745 A KR1020090074745 A KR 1020090074745A KR 20090074745 A KR20090074745 A KR 20090074745A KR 100934234 B1 KR100934234 B1 KR 1009342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rine
information
image
user terminal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747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계영
Original Assignee
(주)비엔티솔루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비엔티솔루션 filed Critical (주)비엔티솔루션
Priority to KR10200900747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34234B1/ko
Priority to PCT/KR2009/006638 priority patent/WO2011019111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342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342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7/00Three dimensional [3D] modelling, e.g. data description of 3D objects
    • G06T17/05Geographic mode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1/002D [Two Dimensional] image genera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ometr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Remote Sensing (AREA)
  •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rket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특정 해양공간의 육지영역, 해저영역, 대기영역, 해수영역을 포함하는 3차원 해양공간 데이터가 저장된 3차원 해양공간 데이터베이스와 특정 해양공간의 해양환경 상세정보가 저장되는 상세정보 데이터베이스와 육지영역, 해저영역, 대기영역, 해양영역의 자연효과 영상데이터가 저장되는 자연효과 데이터베이스 그리고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특정 해양공간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고자 하는 해양공간정보 전송신호를 입력받으면, 상기 3차원 해양공간 데이터베이스에서 그 해양공간에 대한 3차원 해양공간 데이터를 추출하고, 상기 상세정보 데이터베이스에서 그 해양공간에 대응되는 해양환경 상세정보를 추출한 뒤, 상기 3차원 해양공간 데이터 위에 그 해양환경의 상세정보가 중첩되도록 하는 해양영상을 생성하고, 그 해양영상을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하는 해양정보 제공서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가 웹상에서 그동안 접해보기 어려웠던 해양공간에 관한 정보를 용이하게 제공받을 수 있어 사용자에게 편의성을 제공하는 장점이 있다.
해저, 해류, 조류, 인터넷망, 단말기, 웹서버

Description

웹 3D를 이용한 해양정보 제공시스템 및 그 방법{.}
본 발명은 웹 3D를 이용한 해양정보 제공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특정 해양공간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고자 하는 요청을 입력받는 경우, 웹 상에서 그 특정 해양공간의 3차원 해양공간 데이터 위에 그 해양공간의 상세정보를 중첩시킨 해양영상을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웹 상에서 그동안 접해보기 어려웠던 해양공간에 관한 정보를 용이하게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하는 웹 3D를 이용한 해양정보 제공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웹 3D를 이용한 해양정보 제공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까지 해양에서 어로 작업, 해양 건축물 구조, 군사작전 및 항만운항 등을 할 때에 종이 해도, 전자 해도 및 각종 전자 관측장비를 이용하여 해저 지형에 대한 정보를 얻고 있다.
인류는 이미 바다에서 항해하거나, 수산물이나 공물 등 자원을 개발하는 차 원을 뛰어넘어 바다를 총체적으로 이용하려는 시도를 하고 있으며, 많은 해양 인접국가들은 그와 같은 시기의 도래를 예견하고 국가적인 차원에서 대비하고 있다.
그러므로, 해양의 특수성으로 인해 자료 획득을 위한 장비·기술의 이용에는 엄청난 경비가 소요되므로, 자료의 효과적인 활용은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실제 수집된 자료가 다른 자료와 비교하여 질이 떨어지거나, 상호 보완될 수 없다면 오랜 기간의 얻어진 측량자료나 연구노력이 물거품이 될 수 있다.
현재 여러 국가들은 이에 대한 문제점을 인식하고, 대책을 마련하고자 국가적인 차원에서, 그리고 국제적인 약속을 통해 자료를 보다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위한 대책마련에 다각적인 노력을 경주하고 있는 실정이다.
즉, 신속한 해양정보의 전달체계를 확립하고, 해양정보를 산업 또는 연구의 모든 분야에 광범위하게 응용하게 함으로써, 해양관측의 경제성을 높이자는 것이다.
이에 가장 먼저 선행되어야 하는 것은 각종 관측 조사 수단으로 수집되는 모든 해양자료를 신속히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이 구축과, 상기 시스템을 통해 축적되는 해양 및 대지에서 측량 및 조사되는 각종 자료들을 연계하여 시공간 개념이 포함되는 3차원 형태의 정보로 제공할 수 있는 시스템의 구축이다. 하지만, 아직까지는 이러한 시스템의 구축이 미흡한 상황이다.
즉, 종래에는 사용자가 해양공간의 3차원 형태의 정보 및 이에 관한 상세정 보(예컨대; 시간대에 따른 조류분포정보 및 조위(해수면)변화정보, 해류 성분정보 등)를 웹 상에서 제공받지 못하기 때문에 사용자에게 편의성을 제공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웹 상에서 3차원 해양공간 데이터 위에 그 해양공간에 대한 상세정보 합성시킨 해양영상을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웹상에서 그동안 접해보기 어려웠던 해양공간에 관한 정보를 용이하게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하는 웹 3D를 이용한 해양정보 제공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3차원 해양공간 데이터 위에 그 해양공간에 대한 상세정보 합성시킨 해양영상을 제공할 때 석양, 안개, 구름, 해저면의 모래, 해저면의 갯벌, 해저면의 암반 조간대, 파도, 해수표면과 같은 해양공간의 자연효과 영상을 그 해양영상에 투영시켜 제공함으로써, 생동감 있는 해양환경의 모습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웹 3D를 이용한 해양정보 제공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사용자가 해양공간 내 어느 특정구역(예컨대; 갯벌, 해수욕장 등)을 실시간으로 보고자 하는 요청을 입력한 경우, 그 해양공간의 3차원 해양공간 데이터에 그 특정공간을 촬영한 동영상을 투영한 합성영상을 생성하고, 그 합성영상과 함께 그 특정구역(예컨대; 갯벌, 해수욕장 등)의 상세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여 줌으로써, 사용자의 현장 이해율을 증대시키고, 사용자가 시공간적인 환경의 변화나 객체의 움직임을 보다 직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웹 3D를 이용한 해양정보 제공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특정 해양공간의 육지영역, 해저영역, 대기영역, 해수영역을 포함하는 3차원 해양공간 데이터가 저장된 3차원 해양공간 데이터베이스; 특정 해양공간의 해양환경 상세정보가 저장되는 상세정보 데이터베이스; 육지영역, 해저영역, 대기영역, 해양영역의 자연효과 영상데이터가 저장되는 자연효과 데이터베이스; 및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특정 해양공간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고자 하는 해양공간정보 전송신호를 입력받으면, 상기 3차원 해양공간 데이터베이스에서 그 해양공간에 대한 3차원 해양공간 데이터를 추출하고, 상기 상세정보 데이터베이스에서 그 해양공간에 대응되는 해양환경 상세정보를 추출한 뒤, 상기 3차원 해양공간 데이터 위에 그 해양환경의 상세정보가 중첩되도록 하는 해양영상을 생성하고, 그 해양영상을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하는 해양정보 제공서버;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자연효과 영상데이터는, 해수면 영상데이터, 파도 영상데이터, 해저질감 영상데이터, 구름 영상데이터, 안개 영상데이터, 일출 일몰 영상데이터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해양정보 제공서버는, 사용자 단말기에 상기 해양영상이 출력되는 중,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해수면 영상 또는 파도영상 요청 신호를 입력받으면, 그 해양영상의 해수영역에 상기 해수면 영상데이터 또는 파도 영상 데이터를 투영한 뒤 제1해양영상을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한다.
또한, 상기 해양정보 제공서버는, 사용자 단말기에 상기 해양영상이 출력되 는 중,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해저면 영상요청 신호를 입력받으면, 그 해양영상의 해저영역에 상기 해저질감 영상데이터를 투영한 뒤 제2해양영상을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해양정보 제공서버는, 사용자 단말기에 상기 해양영상이 출력되는 중,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구름 영상 또는 안개 영상 또는 일출 일몰 영상요청 신호를 입력받으면, 그 해양영상의 대기영역에 상기 구름 영상데이터 또는 안개 영상데이터 또는 일출 일몰 영상데이터를 투영한 뒤 제3해양영상을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한다.
한편, 상기 해양환경 상세정보는, 특정 해양공간의 시간별 조류정보, 조위정보, 해류성분정보, 파랑정보, 기상정보, 해저질 분포정보, 부표정보, 조사자료, 염분 및 부유사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해양정보 제공서버는 국립해양조사원 서버 및 기상청 서버로부터 일정간격으로 조류정보 및 조위정보, 파랑정보, 기상정보를 제공받아 상기 상세정보 데이터베이스를 업데이트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해양정보 제공서버는, 위성화면, 항공사진, 멀티빔, 싱글빔, 자력탐사자료, 지층탐사자료, 수치지도, 수치해도를 UTM 좌표계로 일괄 변환하고, 3차원 전지구 좌표로 변환하며, 상기 변환된 데이터와 위성화면, 항공사진 및 DEM데이터 및 벡터데이터를 각각 분석하여 각각의 메이커(Maker)를 통해 타일화/피라미드화 되도록 전처리 한 뒤 육지영역, 해저영역, 대기영역, 해수영역을 포함하는 3차원 해양공간 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웹 3D를 이용한 해양정보 제공시스템은, 해양공간의 특정공간에 그 특정공간을 촬영하는 하나 이상의 카메라;를 더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해양정보 제공서버는,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그 특정공간의 현장상황 정보를 제공받고자 하는 상황정보 요청신호를 입력받으면, 그 상황정보요청신호를 입력받은 시간을 판단하고, 그 입력받은 시점부터 그 특정공간을 촬영한 하나 이상의 카메라로부터 촬영영상을 제공받아, 그 제공받은 촬영영상을 3차원 해양공간 데이터 위에 투영시켜 현장상황영상으로 생성한 뒤,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A)해양정보 제공서버가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특정 해양공간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고자 하는 해양공간 정보 전송신호를 입력받는 단계; (B)해양정보 제공서버가 상기 (A)단계에 의해 선택된 특정 해양공간의 3차원 해양공간 데이터를 해양공간 데이터베이스에서 추출하는 단계; (C)해양정보 제공서버가 상기 (A)단계에 의해 선택된 특정 해양공간에 대응되는 해양환경 상세정보를 상세정보 데이터베이스에서 추출하는 단계; 및 (D)해양정보 제공서버가 상기 (B)단계에 의해 추출된 3차원 해양공간 데이터 위에 상기 (C)단계에 의해 추출된 그 해양환경 상세정보가 중첩되도록 하는 해양영상을 생성하고, 그 해양영상을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해양환경 상세정보는, 특정 해양공간의 시간별 조류정보, 조위정보, 해류성분정보, 파랑정보, 기상정보, 해저질 분포정보, 부표정보, 조사자료, 염분 및 부유사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E)상기 (D)단계에 의해 사용자 단말기에 상기 해양영상이 출력되는 중,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해수면 영상 또는 파도영상 요청 신호를 입력받는 단계; (F)상기 (D)단계에 의해 생성된 해양영상의 해수영역을 추출하는 단계; 및 (G)상기 (F)단계에 의해 추출된 해수영역에 해수면 영상데이터 또는 파도 영상 데이터를 투영한 뒤 제1해양영상을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또한, (H)상기 (D)단계에 의해 사용자 단말기에 상기 해양영상이 출력되는 중,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해저면 영상요청 신호를 입력받는 단계; (I)상기 (D)단계에 의해 생성된 해양영상의 해저영역을 추출하는 단계; 및 (J)상기 (I)단계에 의해 추출된 해저영역에 상기 해저질감 영상데이터를 투영한 뒤 제2해양영상을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그리고 (K)상기 (D)단계에 의해 사용자 단말기에 상기 해양영상이 출력되는 중,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구름 영상 또는 안개 영상 또는 일출 일몰 영상요청 신호를 입력받는 단계; (L)상기 (D)단계에 의해 생성된 해양영상의 대기영역을 추출하는 단계; 및 (M)상기 (L)단계에 의해 추출된 대기영역에 상기 구름 영상데이터 또는 안개 영상데이터 또는 일출 일몰 영상데이터를 투영한 뒤 제3해양영상을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한편, (N)상기 (D)단계에 의해 사용자 단말기에 상기 해양영상이 출력되는 중,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해양공간 내 특정공간의 현장상황 정보를 제공받고자 하는 상황정보 요청신호를 입력받는 단계; (O)상기 (N)단계에 의해 선택된 특정공간에 있는 카메라로부터 상기 상황정보 요청신호를 입력받은 시점부터 그 특정공간을 촬영한 촬영영상을 제공받는 단계; 및 (P)상기 (N)단계에 의해 제공받은 촬영영상을 3차원 해양공간 데이터에 투영시켜 현장상황영상으로 생성한 뒤,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본 발명은 웹 상에서 3차원 해양공간 데이터 위에 그 해양공간에 대한 상세정보 합성시킨 해양영상을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웹상에서 그동안 접해보기 어려웠던 해양공간에 관한 정보를 용이하게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하는 웹 3D를 이용한 해양정보 제공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3차원 해양공간 데이터 위에 그 해양공간에 대한 상세정보 합성시킨 해양영상을 제공할 때 석양, 안개, 구름, 해저면의 모래, 해저면의 갯벌, 해저면의 암반 조간대, 파도, 해수표면과 같은 해양공간의 자연효과 영상을 그 해양영상에 투영시켜 제공함으로써, 생동감 있는 해양환경의 모습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웹 3D를 이용한 해양정보 제공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가 해양공간 내 어느 특정구역(예컨대; 갯벌, 해수욕장 등)을 실시간으로 보고자 하는 요청을 입력한 경우, 그 해양공간의 3차원 해양공간 데이터에 그 특정공간을 촬영한 동영상을 투영한 합성영상을 생성하고, 그 합성영상과 함께 그 특정구역(예컨대; 갯벌, 해수욕장 등)의 상세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여 줌으로써, 사용자의 현장 이해율을 증대시키고, 사용자가 시공간적인 환 경의 변화나 객체의 움직임을 보다 직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웹 3D를 이용한 해양정보 제공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웹 3D를 이용한 해양정보 제공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웹 3D를 이용한 해양정보 제공시스템의 내부구성을 도시한 블럭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2 내지 도 6에는 본 발명의 해양정보 제공서버가 동작하는 모습을 설명하는 설명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해양정보 제공서버(100), 3차원 해양공간 데이터베이스(110), 상세정보 데이터베이스(120), 자연효과 데이터베이스(130), 사용자 단말기(200), 하나 이상의 카메라(300)를 포함한다.
3차원 해양공간 데이터베이스(110)에는 전 세계 해양공간의 육지영역, 해저영역, 대기영역, 해수영역을 포함하는 3차원 해양공간 데이터가 저장된다.
그리고 상세정보 데이터베이스(120)에는 상기 특정 해양공간에 대한 해양환경의 상세정보(예컨대; 시간별 조류정보, 조위정보, 해류성분정보, 파랑정보, 기상정보, 해저질 분포정보, 부표정보, 조사자료, 염분 및 부유사(SS)정보 등)가 저장된다. 여기서 부유사 정보란, 파랑 존재시 해저 모래결위의 부유사 농도분포를 의미한다.
또한, 자연효과 데이터베이스(130)에는 육지영역, 해저영역, 대기영역, 해수 영역의 자연효과 영상 데이터(예컨대; 해수면 영상데이터, 파도 영상데이터, 해저질감 영상데이터, 구름 영상데이터, 안개 영상데이터, 일출 일몰 영상데이터, 해수면 갈라짐 영상데이터 등)가 저장된다.
그리고 해양정보 제공서버(100)는 사용자 단말기로(200)부터 특정 해양공간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고자 하는 해양공간정보 전송신호를 입력받으면, 상기 3차원 해양공간 데이터베이스(110)에서 그 해양공간에 대한 3차원 해양공간 데이터를 추출하고, 상기 상세정보 데이터베이스(120)에서 그 해양공간에 대한 해양환경의 상세정보를 추출한 뒤, 상기 3차원 해양공간 데이터 위에 그 해양공간의 해양공간 상세정보가 중첩되도록 하는 해양영상을 생성하고, 그 해양영상을 사용자 단말기(200)에 제공한다. 도 2에는 해양정보 제공서버가 운영하는 웹사이트에 접속한 사용자가 특정 해양공간(예컨대; 도 2에서는 제주도)의 해양영상을 요청하는 경우, 사용자 단말기의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이때, 해양정보 제공서버(100)는, 사용자 단말기(200)에 상기 해양영상이 출력되는 중, 사용자 단말기(200)로부터 해수면 영상 또는 파도영상 요청 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다.
그러면, 해양정보 제공서버(100)는 그 해양영상의 해수영역에 해수면 영상데이터 또는 파도 영상 데이터를 투영한 뒤 제1해양영상(해수면 영상데이터 또는 파도 영상 데이터가 투영된 해양영상)을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기(200)에 제공한다. 도 3에는 해양정보 제공서버가 운영하는 웹사이트에 접속한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 기를 이용하여, 해수면 영상제공을 요청하는 경우, 사용자 단말기의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또한, 해양정보 제공서버(100)는, 사용자 단말기(200)에 상기 해양영상이 출력되는 중,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해저면 영상요청 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다.
그러면, 해양정보 제공서버(100)는 그 해양영상의 해저영역에 상기 해저질감 영상데이터를 투영한 뒤 제2해양영상(해저면 데이터가 투영된 해양영상)을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기(200)에 제공한다. 도 4에는 해양정보 제공서버가 운영하는 웹사이트에 접속한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기를 이용하여, 해저면 영상제공을 요청하는 경우, 사용자 단말기의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한편, 해양정보 제공서버(100)는, 사용자 단말기(200)에 상기 해양영상이 출력되는 중,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구름 영상 또는 안개 영상 또는 일출 일몰 영상요청 신호를 입력받을 수도 있다.
그러면, 해양정보 제공서버(100)는, 그 해양영상의 대기영역에 상기 구름 영상데이터 또는 안개 영상데이터 또는 일출 일몰 영상데이터를 투영한 뒤 제3해양영상(구름 영상데이터 또는 안개 영상데이터 또는 일출 일몰 영상데이터가 투영된 해양영상)을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기(200)에 제공한다. 도 5에는 해양정보 제공서버가 운영하는 웹사이트에 접속한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기를 이용하여, 구름 영상제공을 요청하는 경우, 사용자 단말기의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 단말기(200)에 상기 해양영상을 제공할 때, 그 해양공간의 자연효과 영상(예컨대; 파도, 안개, 구 름, 해저면(모래, 갯벌, 암반 조간대), 파도, 해수표면의 영상 등)을 그 해양영상에 투영시켜 제공함으로써, 생동감있는 해양환경의 모습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어, 사용자의 흥미를 배가시키고 현장 이해율을 높일수 있게 하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해양정보 제공서버(100)는, 국립해양조사원 서버(미도시) 및 기상청 서버(미도시)로부터 일정간격으로 특정 해양공간의 시간별 조류정보 및 조위정보, 파랑정보, 기상정보를 제공받아 상기 상세정보 데이터베이스(120)를 실시간으로 업데이트 한다.
또한, 해양정보 제공서버(100)는 위성화면, 항공사진, 멀티빔, 싱글빔, 자력탐사자료, 지층탐사자료, 수치지도, 수치해도를 UTM 좌표계로 일괄 변환하고, 3차원 전지구 좌표로 변환하며, 상기 변환된 데이터와 위성화면, 항공사진 및 DEM데이터 및 벡터데이터를 각각 분석하여 각각의 메이커(Maker)를 통해 타일화/피라미드화 되도록 전처리 한 뒤 육지영역, 해저영역, 대기영역, 해수영역을 포함하는 3차원 해양공간 데이터를 생성한 뒤, 상기 3차원 해양공간 데이터베이스(110)에 저장되도록 처리한다.
카메라(300)는 상기 해양공간 내 특정공간(예컨대; 갯벌, 해수욕장 등)에 설치되어, 그 특정공간을 촬영하고, 그 촬영된 영상을 해양정보 제공서버(100)에 전송한다.
이때, 해양정보 제공서버(100)는, 사용자 단말기(200)로부터 그 특정공간의 현장상황 정보를 제공받고자 하는 상황정보 요청신호를 입력받으면, 그 상황정보요청신호를 입력받은 시간을 판단하고, 그 입력받은 시점부터 그 특정공간을 촬영한 하나 이상의 카메라(300)로부터 촬영영상을 제공받아, 그 제공받은 촬영영상을 3차원 해양공간 데이터에 투영시켜 현장상황영상으로 생성한 뒤, 사용자 단말기(200)에 제공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웹 3D를 이용한 해양정보 제공시스템의 동작과정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7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웹 3D를 이용한 해양정보 제공시스템이 동작하는 모습을 도시한 순서도가 도시되어 있다.
우선, 해양정보 제공서버(100)가 해양정보 제공서버(100)가 운용하는 웹사이트에 접속한 사용자 단말기(200)로부터 특정 해양공간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고자 하는 해양공간 정보 전송신호를 입력받는다(단계 S100).
그러면 해양정보 제공서버(100)가 상기 단계 S100에 의해 선택된 특정 해양공간의 3차원 해양공간 데이터를 해양공간 데이터베이스(110)에서 추출하고, 또 그 선택된 특정 해양공간에 대한 해양환경의 상세정보(예컨대; 그 해양공간의 시간별 조류정보, 조위정보, 해류성분정보, 파랑정보, 기상정보, 해저질 분포정보, 부표정보, 조사자료, 염분 및 부유사(SS)정보)를 상세정보 데이터베이스(120)에서 추출한다.
이후, 해양정보 제공서버(100)가 추출된 3차원 해양공간 데이터 위에 그 해양공간에 대한 해양환경 상세정보가 중첩되도록 하는 해양영상을 생성하고(단계 S110), 그 해양영상을 사용자 단말기(200)에 제공되도록 처리한다(단계 S120).
한편, 단계 S120의해 사용자 단말기(200)에 상기 해양영상이 출력되는 중, 해양정보 제공서버(100)는 사용자 단말기(200)로부터 해수면 영상 또는 파도영상 요청 신호를 입력받을 수도 있다.
그러면, 해양정보 제공서버(100)는 상기 해양영상의 해수영역을 추출하고, 그 해수영역에 해수면 영상데이터 또는 파도 영상 데이터를 투영한 뒤 제1해양영상(해수면 영상데이터 또는 파도 영상데이터가 투영된 해양영상)을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기(200)에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단계 S120의해 사용자 단말기(200)에 상기 해양영상이 출력되는 중, 사용자 단말기(200)로부터 해저면 영상요청 신호를 입력받을 수도 있다.
그러면, 해양정보 제공서버(100)는 상기 해양영상의 해저영역을 추출하고, 그 해저영역에 상기 해저질감 영상데이터를 투영한 뒤 제2해양영상(해저면 영상데이터가 투영된 해양영상)을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한다.
또한, 단계 S120의해 사용자 단말기(200)에 상기 해양영상이 출력되는 중, 사용자 단말기(200)로부터 구름 영상 또는 안개 영상 또는 일출 일몰 영상요청 신호를 입력받을 수도 있다.
그러면, 해양정보 제공서버(100)는 해양영상의 대기영역을 추출하고 그 대기영역에 상기 구름 영상데이터 또는 안개 영상데이터 또는 일출 일몰 영상데이터를 투영한 뒤 제3해양영상(구름 영상데이터 또는 안개 영상데이터 또는 일출 일몰 영상데이터가 투영된 해양영상)을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한다.
한편, 단계 S120의해 사용자 단말기(200)에 상기 해양영상이 출력되는 중, 사용자 단말기(200)로부터 해양공간 내 특정공간의 현장상황 정보를 제공받고자 하는 상황정보 요청신호를 입력받을 수도 있다.
그러면, 해양정보 제공서버(100)는 사용자 단말기(200)로부터 선택된 그 특정공간에 있는 카메라(300)로부터 상기 상황정보 요청신호를 입력받은 시점부터 그 특정공간을 촬영한 촬영영상을 제공받는다.
이후, 해양정보 제공서버(100)는 제공받은 촬영영상을 3차원 해양공간 데이터에 투영시켜 현장상황영상으로 생성한 뒤, 사용자 단말기(200)는에 제공한다.
본 발명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웹 3D를 이용한 해양정보 제공시스템의 내부구성을 도시한 블럭도.
도 2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해양정보 제공서버가 동작하는 모습을 설명하는 설명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웹 3D를 이용한 해양정보 제공시스템이 동작하는 모습을 도시한 순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해양정보 제공서버 110 : 해양공간 데이터베이스
120 : 상세정보 데이터베이스 130 : 자연효과 데이터베이스
200 : 사용자 단말기

Claims (15)

  1. 삭제
  2. 특정 해양공간의 육지영역, 해저영역, 대기영역, 해수영역을 포함하는 3차원 해양공간 데이터가 저장된 3차원 해양공간 데이터베이스;
    특정 해양공간의 해양환경 상세정보가 저장되는 상세정보 데이터베이스;
    육지영역, 해저영역, 대기영역, 해수영역의 자연효과 영상데이터가 저장되는 자연효과 데이터베이스; 및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특정 해양공간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고자 하는 해양공간정보 전송신호를 입력받으면, 상기 3차원 해양공간 데이터베이스에서 그 해양공간에 대한 3차원 해양공간 데이터를 추출하고, 상기 상세정보 데이터베이스에서 그 해양공간에 대응되는 해양환경 상세정보를 추출한 뒤, 상기 3차원 해양공간 데이터 위에 그 해양환경의 상세정보가 중첩되도록 하는 해양영상을 생성하고, 그 해양영상을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하는 해양정보 제공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자연효과 영상데이터는,
    해수면 영상데이터, 파도 영상데이터, 해저질감 영상데이터, 구름 영상데이터, 안개 영상데이터, 일출 일몰 영상데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 3D를 이용한 해양정보 제공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해양정보 제공서버는,
    사용자 단말기에 상기 해양영상이 출력되는 중,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해수면 영상 또는 파도영상 요청 신호를 입력받으면, 그 해양영상의 해수영역에 상기 해수면 영상데이터 또는 파도 영상 데이터를 투영한 뒤 제1해양영상을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 3D를 이용한 해양정보 제공시스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해양정보 제공서버는,
    사용자 단말기에 상기 해양영상이 출력되는 중,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해저면 영상요청 신호를 입력받으면, 그 해양영상의 해저영역에 상기 해저질감 영상데이터를 투영한 뒤 제2해양영상을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 3D를 이용한 해양정보 제공시스템.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해양정보 제공서버는,
    사용자 단말기에 상기 해양영상이 출력되는 중,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구름 영상 또는 안개 영상 또는 일출 일몰 영상요청 신호를 입력받으면, 그 해양영상의 대기영역에 상기 구름 영상데이터 또는 안개 영상데이터 또는 일출 일몰 영상데이 터를 투영한 뒤 제3해양영상을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 3D를 이용한 해양정보 제공시스템.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해양환경 상세정보는,
    특정 해양공간의 시간별 조류정보, 조위정보, 해류성분정보, 파랑정보, 기상정보, 해저질 분포정보, 부표정보, 조사자료, 염분 및 부유사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 3D를 이용한 해양정보 제공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해양정보 제공서버는,
    국립해양조사원 서버 및 기상청 서버로부터 일정간격으로 조류정보 및 조위정보, 파랑정보, 기상정보를 제공받아 상기 상세정보 데이터베이스를 업데이트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 3D를 이용한 해양정보 제공시스템.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해양정보 제공서버는,
    위성화면, 항공사진, 멀티빔, 싱글빔, 자력탐사자료, 지층탐사자료, 수치지도, 수치해도를 UTM 좌표계로 일괄 변환하고, 3차원 전지구 좌표로 변환하며, 상기 변환된 데이터와 위성화면, 항공사진 및 DEM데이터 및 벡터데이터를 각각 분석하여 각각의 메이커(Maker)를 통해 타일화/피라미드화 되도록 전처리 한 뒤 육지영역, 해저영역, 대기영역, 해수영역을 포함하는 3차원 해양공간 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 3D를 이용한 해양정보 제공시스템.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웹 3D를 이용한 해양정보 제공시스템은,
    해양공간의 특정공간에 그 특정공간을 촬영하는 하나 이상의 카메라;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해양정보 제공서버는,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그 특정공간의 현장상황 정보를 제공받고자 하는 상황정보 요청신호를 입력받으면, 그 상황정보요청신호를 입력받은 시간을 판단하고, 그 입력받은 시점부터 그 특정공간을 촬영한 하나 이상의 카메라로부터 촬영영상을 제공받아, 그 제공받은 촬영영상을 3차원 해양공간 데이터 위에 투영시켜 현장상황영상으로 생성한 뒤,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 3D를 이용한 해양정보 제공시스템.
  10. 삭제
  11. (A)해양정보 제공서버가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특정 해양공간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고자 하는 해양공간 정보 전송신호를 입력받는 단계;
    (B)해양정보 제공서버가 상기 (A)단계에 의해 선택된 특정 해양공간의 3차원 해양공간 데이터를 해양공간 데이터베이스에서 추출하는 단계;
    (C)해양정보 제공서버가 상기 (A)단계에 의해 선택된 특정 해양공간에 대응되는 해양환경 상세정보를 상세정보 데이터베이스에서 추출하는 단계; 및
    (D)해양정보 제공서버가 상기 (B)단계에 의해 추출된 3차원 해양공간 데이터 위에 상기 (C)단계에 의해 추출된 그 해양환경 상세정보가 중첩되도록 하는 해양영상을 생성하고, 그 해양영상을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해양환경 상세정보는,
    특정 해양공간의 시간별 조류정보, 조위정보, 해류성분정보, 파랑정보, 기상정보, 해저질 분포정보, 부표정보, 조사자료, 염분 및 부유사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 3D를 이용한 해양정보 제공시스템의 해양정보 제공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E)상기 (D)단계에 의해 사용자 단말기에 상기 해양영상이 출력되는 중,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해수면 영상 또는 파도영상 요청 신호를 입력받는 단계;
    (F)상기 (D)단계에 의해 생성된 해양영상의 해수영역을 추출하는 단계; 및
    (G)상기 (F)단계에 의해 추출된 해수영역에 해수면 영상데이터 또는 파도 영상 데이터를 투영한 뒤 제1해양영상을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웹 3D를 이용한 해양정보 제공시스템의 해양정보 제공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H)상기 (D)단계에 의해 사용자 단말기에 상기 해양영상이 출력되는 중,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해저면 영상요청 신호를 입력받는 단계;
    (I)상기 (D)단계에 의해 생성된 해양영상의 해저영역을 추출하는 단계; 및
    (J)상기 (I)단계에 의해 추출된 해저영역에 해저질감 영상데이터를 투영한 뒤 제2해양영상을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웹 3D를 이용한 해양정보 제공시스템의 해양정보 제공방법.
  14. 제11항에 있어서,
    (K)상기 (D)단계에 의해 사용자 단말기에 상기 해양영상이 출력되는 중,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구름 영상 또는 안개 영상 또는 일출 일몰 영상요청 신호를 입력받는 단계;
    (L)상기 (D)단계에 의해 생성된 해양영상의 대기영역을 추출하는 단계; 및
    (M)상기 (L)단계에 의해 추출된 대기영역에 구름 영상데이터 또는 안개 영상데이터 또는 일출 일몰 영상데이터를 투영한 뒤 제3해양영상을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웹 3D를 이용한 해양정보 제공시스템의 해양정보 제공방법.
  15. 제11항에 있어서,
    (N)상기 (D)단계에 의해 사용자 단말기에 상기 해양영상이 출력되는 중,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해양공간 내 특정공간의 현장상황 정보를 제공받고자 하는 상황정보 요청신호를 입력받는 단계;
    (O)상기 (N)단계에 의해 선택된 특정공간에 있는 카메라로부터 상기 상황정보 요청신호를 입력받은 시점부터 그 특정공간을 촬영한 촬영영상을 제공받는 단계; 및
    (P)상기 (N)단계에 의해 제공받은 촬영영상을 3차원 해양공간 데이터에 투영시켜 현장상황영상으로 생성한 뒤,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웹 3D를 이용한 해양정보 제공시스템의 해양정보 제공방법.
KR1020090074745A 2009-08-13 2009-08-13 웹 3d를 이용한 해양정보 제공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9342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4745A KR100934234B1 (ko) 2009-08-13 2009-08-13 웹 3d를 이용한 해양정보 제공시스템 및 그 방법
PCT/KR2009/006638 WO2011019111A1 (ko) 2009-08-13 2009-11-12 웹 3d를 이용한 해양정보 제공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4745A KR100934234B1 (ko) 2009-08-13 2009-08-13 웹 3d를 이용한 해양정보 제공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34234B1 true KR100934234B1 (ko) 2009-12-28

Family

ID=416848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74745A KR100934234B1 (ko) 2009-08-13 2009-08-13 웹 3d를 이용한 해양정보 제공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934234B1 (ko)
WO (1) WO2011019111A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01199A (ko) * 2014-02-26 2015-09-03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수요자의 종사 연안 산업 및 지역에 따른 수요자 맞춤형 연안 기상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WO2017003040A1 (ko) * 2015-06-30 2017-01-05 현대엠엔소프트 주식회사 그래픽 기반의 웹 벡터 지도 표시 시스템 및 방법
KR101835796B1 (ko) 2016-08-08 2018-04-19 박준현 실시간 3차원 해양공간정보를 이용한 전술 지원 시스템
CN111861834A (zh) * 2020-07-14 2020-10-30 自然资源部第一海洋研究所 一种基于水资源依赖程度的海岸带陆域空间用途监测调查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967707B2 (en) 2014-04-16 2018-05-08 Honeywell International Inc. Weather data dissemination
US11157476B2 (en) * 2015-04-15 2021-10-26 Honeywell International Inc. Marine weather radar and sea state data aggregating system
US10151834B2 (en) 2016-07-26 2018-12-11 Honeywell International Inc. Weather data de-conflicting and correction system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05300A (ko) * 2005-04-04 2006-10-11 (주)사이버네틱스시스템 전자해도 응용서비스를 위한 웹 기반의 전자해도 표출 장치및 그 정보 처리 방법
KR20070033628A (ko) * 2005-09-22 2007-03-27 씨나비정보기술 주식회사 해양지리 정보 구축 및 서비스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0962B1 (ko) * 2006-10-24 2009-03-27 (주)한국해양과학기술 해저 지형을 3차원적으로 가시화하는 시스템 및 이의 방법
KR20080064762A (ko) * 2008-05-14 2008-07-09 강용균 해양식생영상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05300A (ko) * 2005-04-04 2006-10-11 (주)사이버네틱스시스템 전자해도 응용서비스를 위한 웹 기반의 전자해도 표출 장치및 그 정보 처리 방법
KR20070033628A (ko) * 2005-09-22 2007-03-27 씨나비정보기술 주식회사 해양지리 정보 구축 및 서비스 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01199A (ko) * 2014-02-26 2015-09-03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수요자의 종사 연안 산업 및 지역에 따른 수요자 맞춤형 연안 기상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2309345B1 (ko) 2014-02-26 2021-10-05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수요자의 종사 연안 산업 및 지역에 따른 수요자 맞춤형 연안 기상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WO2017003040A1 (ko) * 2015-06-30 2017-01-05 현대엠엔소프트 주식회사 그래픽 기반의 웹 벡터 지도 표시 시스템 및 방법
KR101835796B1 (ko) 2016-08-08 2018-04-19 박준현 실시간 3차원 해양공간정보를 이용한 전술 지원 시스템
CN111861834A (zh) * 2020-07-14 2020-10-30 自然资源部第一海洋研究所 一种基于水资源依赖程度的海岸带陆域空间用途监测调查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1019111A1 (ko) 2011-0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ohnson‐Roberson et al. High‐resolution underwater robotic vision‐based mapping and three‐dimensional reconstruction for archaeology
KR100934234B1 (ko) 웹 3d를 이용한 해양정보 제공시스템 및 그 방법
Casella et al. Mapping coral reefs using consumer-grade drones and structure from motion photogrammetry techniques
KR101513591B1 (ko) 웹 3d를 이용한 실시간 해양공간정보 제공시스템
Henderson et al. Mapping submerged archaeological sites using stereo‐vision photogrammetry
Yates et al. Divergence of seafloor elevation and sea level rise in coral reef ecosystems
Ventura et al. Unmanned aerial systems (UASs) for environmental monitoring: A review with applications in coastal habitats
KR20120121163A (ko) 웹 3d를 이용한 실시간 해양공간정보 제공시스템 및 그 방법
Bruno et al. Project VISAS: virtual and augmented exploitation of submerged archaeological sites‐overview and first results
Rende et al. Advances in micro-cartography: A two-dimensional photo mosaicing technique for seagrass monitoring
Williams et al. Simultaneous localisation and mapping and dense stereoscopic seafloor reconstruction using an AUV
Prodanov et al. Drone-based geomorphological and landscape mapping of Bolata Cove, Bulgarian coast
Bruno et al. Enhancing learning and access to Underwater Cultural Heritage through digital technologies: The case study of the “Cala Minnola” shipwreck site
KR100851422B1 (ko) 문화재 종합관리시스템 및 그 방법
Kan et al. Assessment and Significance of a World War II battle site: recording the USS Emmons using a High‐Resolution DEM combining Multibeam Bathymetry and SfM Photogrammetry
Currier Mapping with strings attached: Kite aerial photography of Durai Island, Anambas Islands, Indonesia
KR20080036717A (ko) 해저 지형을 3차원적으로 가시화하는 시스템 및 이의 방법
Kapetanović et al. Marine robots mapping the present and the past: Unraveling the secrets of the deep
KR100798412B1 (ko) 해양 및 대지의 과학적 자료를 3차원으로 가시화하여서비스하는 시스템 및 이의 서비스 방법
Wright Undersea with GIS
Diamanti et al. 3D Recording of underwater antiquities in the South Euboean Gulf
KR100851421B1 (ko) 인공어초 및 바다목장 종합관리시스템 및 그 방법
Seoane et al. Benthic habitat mapping at Recife de Fora, Brazil: Imagery and GIS
KR20230101475A (ko) 해양예측자료 기반 실감형 해양전장정보 표출 플랫폼
Wright et al. Seafloor mapping and GIS coordination at America’s remotest national marine sanctuary (American Samo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