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33733B1 - 자전거 도로용 미끄럼방지 바닥재 및 그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자전거 도로용 미끄럼방지 바닥재 및 그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33733B1
KR100933733B1 KR1020090031314A KR20090031314A KR100933733B1 KR 100933733 B1 KR100933733 B1 KR 100933733B1 KR 1020090031314 A KR1020090031314 A KR 1020090031314A KR 20090031314 A KR20090031314 A KR 20090031314A KR 100933733 B1 KR100933733 B1 KR 1009337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mixed resin
epoxy
layer
epoxy m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313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창범
Original Assignee
(주) 장성케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장성케미 filed Critical (주) 장성케미
Priority to KR10200900313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3373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337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33733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1/00Details of pavings
    • E01C11/24Methods or arrangements for preventing slipperiness or protecting against influences of the weather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6/00Composition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ntaining only organic binders, e.g. polymer or resin concrete
    • C04B26/02Macromolecular compounds
    • C04B26/1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4B26/14Polyepox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3/00Material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3/14Anti-slip materials; Abrasiv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5/00Pavings specially adapted for footpaths, sidewalks or cycle track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용성 에폭시 혼합수지와 속경화형 몰탈을 혼합하여 경화시간을 단축시키고 시공이 간단하며 접착력과 강도가 우수한 자전거 도로용 미끄럼방지 바닥재에 관한 것으로서,
수용성 에폭시 혼합수지 27∼50 중량%, 속경화형 몰탈 47∼70 중량% 및 경화제 2∼7 중량%를 포함하는 제1층이 형성되고, 상기 수용성 에폭시 혼합수지는, 에폭시 혼합수지 60∼80 중량%; 점도를 감소시키는 희석제 13∼25 중량%; 계면활성제 3∼10 중량%; 분산 소포제 1∼3.5 중량%; 및 변색방지제 1∼2.5 중량%를 포함하며, 상기 속경화형 몰탈은, 규사 45∼65 중량%; 시멘트 32∼50 중량%; 규산삼석회 1∼3 중량%; 및 염화칼슘 0.3∼2.5 중량%를 포함하고, 상기 제1층의 상부에 에폭시 혼합수지 92∼97 중량%, 분산 소포제 0.8∼3.3 중량%, UV차단제 1∼2.9 중량% 및 광택제 1∼2.9 중량%를 포함하는 제2층이 형성되며, 상기 에폭시 혼합수지는, 에폭시 수지와 카르복실기를 함유하는 아크릴중합체를 유기 용매에 용해한 후, 염기성 화합물을 첨가하고, 50℃∼130℃에서 10분∼8시간 교반함으로써, 에폭시 수지의 에폭시기와 아크릴중합체의 카르복실기를 에스테르화 반응시켜 얻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수용성 에폭시 혼합수지, 속경화형 몰탈, 자전거 도로

Description

자전거 도로용 미끄럼방지 바닥재 및 그 시공방법{Floor article for a road of bicycle and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reof}
본 발명은 수용성 에폭시 혼합수지와 속경화형 몰탈을 혼합하여 경화시간을 단축시키고 시공이 간단하며 접착력과 강도가 우수한 자전거 도로용 미끄럼방지 바닥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기존 자전거 도로의 시공제품들은 수지 자체의 특성과 더불어 이들이 갖는 단점을 보완하기에는 여러 한계가 있었다.
예를 들어 칼라 아스콘의 경우에는 반발 탄성이 미흡하고 접착 내구성이 약하여 탈색이 일어나 시인성이 떨어지는 현상을 보이고 있으며, 시공 공정이 복잡하고 제품 포설 후 일정기간(하절기 2∼3일, 동절기 1∼2주)의 양생기간이 필요하며, 양생 후에도 여러 단계의 후 공정이 필요하므로 시간적 및 계절적으로 많은 제약이 있었다. 유제를 결합재로 사용하는 투수콘은 유제와 골재만을 혼합하여 사용하므로 접착력이 떨어져 골재의 이탈이 심하고, 일반 보도블럭으로 시공한 자전거 도로는 지반의 변화에 영향을 많이 받을 뿐 아니라 표면의 마모성이 심하여 쉽게 부서지면서 인체에 해로운 먼지를 유발하는 환경오염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또한, 고무 칩(Rubber Chip) 탄성체 제품의 경우에는 상온 경화형 제품으로 동절기 시공이 어렵고, 타 계절에도 시공 후 개방 시까지 1일 내지 2일 정도의 경화숙성이 필요한 제품으로 교통 개방에 상당한 시간이 소요되는 단점을 나타내었다.
실제 아스팔트의 경우 기온의 변화에 따라 지속적으로 수축, 팽창이 발생하고 있으며, 노면에 가해지는 하중에 의해 소성변형(Rutting), 피로균열(Fatigue crack) 등의 문제점들이 발생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칼라 아스콘 제품의 경우에도 내구성이 떨어지고, 고무 칩 제품의 경우 아스팔트와의 수축, 팽창 차이로 인한 들뜸 현상 및 탈락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최근 에너지 절약 및 환경오염 방지의 차원에서 자동차의 사용을 줄이고 자전거의 사용을 늘리는 것이 세계적인 추세이며, 이를 위하여 자전거 도로용 미끄럼방지 바닥재의 개발이 새로운 화제로 부각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아직까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는 제품의 개발이 미비한 것이 현실이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수용성 에폭시 혼합수지와 속경화형 몰탈을 혼합하여 경화시간을 단축시키고 시공이 간단하며 접착력과 강도가 우수한 자전거 도로용 미끄럼방지 바닥재 및 그 시공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자전거 도로용 미끄럼방지 바닥재는, 수용성 에폭시 혼합수지 27∼50 중량%, 속경화형 몰탈 47∼70 중량% 및 경화제 2∼7 중량%를 포함하는 제1층이 형성되고, 상기 수용성 에폭시 혼합수지는, 에폭시 혼합수지 60∼80 중량%; 점도를 감소시키는 희석제 13∼25 중량%; 계면활성제 3∼10 중량%; 분산 소포제 1∼3.5 중량%; 및 변색방지제 1∼2.5 중량%를 포함하며, 상기 속경화형 몰탈은, 규사 45∼65 중량%; 시멘트 32∼50 중량%; 규산삼석회 1∼3 중량%; 및 염화칼슘 0.3∼2.5 중량%를 포함하고, 상기 제1층의 상부에 에폭시 혼합수지 92∼97 중량%, 분산 소포제 0.8∼3.3 중량%, UV차단제 1∼2.9 중량% 및 광택제 1∼2.9 중량%를 포함하는 제2층이 형성되며, 상기 에폭시 혼합수지는, 에폭시 수지와 카르복실기를 함유하는 아크릴중합체를 유기 용매에 용해한 후, 염기성 화합물을 첨가하고, 50℃∼130℃에서 10분∼8시간 교반함으로써, 에폭시 수지의 에폭시기와 아크릴중합체의 카르복실기를 에스테르화 반응시켜 얻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자전거 도로용 미끄럼방지 바닥재의 시공방법은, 시공부위를 청소하는 단계; 에폭시 혼합수지 60∼80 중량%, 점도를 감소시키는 희석제 13∼25 중량%, 계면활성제 3∼10 중량%, 분산 소포제 1∼3.5 중량% 및 변색방지제 1∼2.5 중량%를 포함하는 수용성 에폭시 혼합수지 27∼50 중량%, 및 규사 45∼65 중량%, 시멘트 32∼50 중량%, 규산삼석회 1∼3 중량% 및 염화칼슘 0.3∼2.5 중량%를 포함하는 속경화형 몰탈 47∼70 중량%을 혼합하고, 경화제 2∼7 중량%를 첨가하여 시공부위에 도포하여 제1층을 형성하는 단계; 20∼50분 동안 경화건조시키는 단계; 및 상기 제1층의 상부에 에폭시 혼합수지 92∼97 중량%, 분산 소포제 0.8∼3.3 중량%, UV차단제 1∼2.9 중량% 및 광택제 1∼2.9 중량%를 포함하는 수용성 상부 코팅제를 도포하여 제2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에폭시 혼합수지는, 에폭시 수지와 카르복실기를 함유하는 아크릴중합체를 유기 용매에 용해한 후, 염기성 화합물을 첨가하고, 50℃∼130℃에서 10분∼8시간 교반함으로써, 에폭시 수지의 에폭시기와 아크릴중합체의 카르복실기를 에스테르화 반응시켜 얻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수용성 에폭시 혼합수지와 속경화형 몰탈을 혼합하여 경화시간을 획기적으로 단축시키고 시공이 아주 간편한 효과가 있다.
또한, 접착력과 강도가 우수하고 규사의 이탈을 방지하며 시인성이 우수하고 미끄럼 저항이 탁월하여 안전사고를 미연에 예방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이하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전거 도로용 미끄럼방지 바닥재는, 수용성 에폭시 혼합수지, 속경화형 몰탈 및 경화제를 포함하는 제1층과, 제1층의 상부에 형성되는 제2층을 포함하는 것으로서, 기존의 아스팔트나 콘크리트 위에 직접 시공하여 빠른 시간 내에 통행이 가능하고 동절기에도 간편하게 시공이 가능하며 뛰어난 강도, 유연성 및 접착성을 나타낸다. 이때, 수용성 에폭시 혼합수지는 에폭시 혼합수지, 점도를 감소시키는 희석제, 계면활성제, 분산소포제, 및 변색방지제를 포함하고, 속경화형 몰탈은 규사, 시멘트, 규산삼석회, 및 염화칼슘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자전거 도로용 미끄럼방지 바닥재는 수용성 에폭시 혼합수지 27∼50 중량%, 속경화형 몰탈 47∼70 중량% 및 경화제 2∼7 중량%를 포함하는 제1층을 형성하는데, 수용성 에폭시 혼합수지가 27 중량% 미만 첨가시에는 점도 상승으로 인하여 작업성이 나빠지고 50 중량% 초과 첨가시에는 속경화형 몰탈의 접착력을 약화시키며, 속경화형 몰탈이 47 중량% 미만 첨가시에는 강도가 저하되고 70 중량% 초과 첨가시에는 점도 상승으로 인하여 작업성이 나빠지며, 경화제는 시공부위 도포 작업에 충분한 시간을 확보하기 위하여 2∼7 중량%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수용성 에폭시 혼합수지는 에폭시 수지와 카르복실기를 함유하는 아크릴중합체를 에스테르화 반응시켜 생성된 에폭시 혼합수지 60∼80 중량%; 점도를 감소시키는 희석제 13∼25 중량%; 계면활성제 3∼10 중량%; 분산 소포제 1∼3.5 중량%; 및 변색방지제 1∼2.5 중량%를 포함하는 것으로서, 별도의 용기에 포장되어 출하되며, 자전거 도로용 미끄럼방지 바닥재를 형성하기 위하여 후술하는 속경화형 몰탈 및 경화제와 혼합하여 시공부위에 도포하게 된다.
에폭시 수지로는 비스페놀형, 노볼락형 등의 방향족계 에폭시 수지, 지환족계 에폭시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비스페놀 A형 에폭시 수지, 비스페놀 F형 에폭시 수지, 및 비스페놀 B형 에폭시 수지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비스페놀 A형 에폭시 수지를 사용한다.
카르복실기를 함유하는 아크릴중합체는 모두 α, β-불포화 카르복실산과 공중합 가능한 모노머를 반응시켜서 얻어지는 공중합체이다. α, β-불포화 카르복실산으로서는, (메타)아크릴산, 말레인산, 이타콘산, 푸말산 등을 들 수 있으며, 그 중에서도 (메타)아크릴산이 바람직하다. 공중합성의 모노머로서는, 스티렌, 비닐톨루엔, 2-메틸스티렌, t-부틸스티렌, 크롤스티렌 등의 스티렌계 모노머; (메타)아크릴산메틸, (메타)아크릴산에틸, (메타)아크릴산 n-프로필, (메타)아크릴산 n-이소프로필, (메타)아크릴산 n-부틸, (메타)아크릴산이소부틸, (메타)아크릴산 n-아밀, (메타)아크릴산 이소아밀, (메타)아크릴산 n-헥실, (메타)아크릴산 2에틸헥실, (메타)아크릴산 n-옥틸, (메타)아크릴산데실, (메타)아크릴산도데실, (메타)아크릴산라우릴 등의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계 모노머; (메타)아크릴산 2-히드록시에틸, (메타)아크릴산히드록시프로필, (메타)아크릴산히드록시메틸 등의 히드록실기 함유 모노머; N-메틸올(메타)아크릴아미드, N-부톡시메틸(메타)아크릴아미드 등의 N-치환(메타)아크릴산모노머 등을 예시할 수 있으며, 이들을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스티렌 및 아크릴산에틸이 바람직하다.
에폭시 혼합수지는 에스테르화법에 의해 합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임의의 염기성 화합물을 에스테르화 촉매로서 사용하고, 에폭시 수지의 에폭시기와 카르복실기를 함유하는 아크릴중합체의 카르복실기를 에스테르화 반응시켜 얻을 수 있다. 상기 에스테르화 반응은, 예를 들면 에폭시 수지와 카르복실기를 함유하는 아크릴중합체를 임의의 유기 용매 중에 용해 후, 염기성 화합물을 첨가하고, 50℃∼130℃에서 10분∼8시간 교반함으로써 행해진다.
상기 유기 용제는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n-프로판올, 이소프로판올, n-부틸알코올, 이소부틸알코올, n-아밀알코올, 아밀알코올, 메틸아밀알코올, 에틸렌글리콜, 디에틸렌글리콜, 1,3-부틸렌글리콜, 에틸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 에틸렌글리콜모노부틸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모노부틸에테르, 메틸프로필렌글리콜, 메틸프로필렌디글리콜, 프로필프로필렌글리콜, 프로필프로필렌디글리콜, 부틸프로필렌글리콜, 에틸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 에틸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아세테이트,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 3-메톡시부틸아세테이트, 에틸렌글리콜모노부틸에테르아세테이트, 3-메틸-3-메톡시부틸아세테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을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에스테르화용 촉매로는 여러가지 염기성 화합물을 사용할 수 있고, 특별히 한정되는 일은 없으며, 염기성 화합물로는 휘발성 염기성 화합물이 바람직하고, 예를 들면 암모니아, 디메틸에탄올아민(디메틸아미노에탄올), 디메틸벤질아민, 에탄올아민, 디에탄올아민, 몰포린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의 1종 또는 2종 이상을, 한번에 또는 여러 번에 걸쳐서 첨가할 수 있다.
에폭시 수지와 카르복실기를 함유하는 아크릴중합체를 에스테르화 반응시켜 생성된 에폭시 혼합수지는 저온경화형 수용성 에폭시 혼합수지로서 친환경성, 유연성 및 접착성 등의 주요 물성을 결정하는 것으로 60 중량% 미만이거나 80 중량% 초과하는 경우에는 주요 물성에 변화가 발생하게 된다.
희석제는 점도를 조절하여 작업성을 개선하는 것으로 13 중량% 미만 첨가시 에는 에폭시 혼합수지의 점도가 높아져서 작업성이 떨어지고, 25 중량% 초과 첨가시에는 에폭시 혼합수지의 고용분이 낮아져서 접착력을 약하게 한다. 희석제는 일반적으로 용제와는 달리 휘발하지 않고, 에폭시 혼합수지 경화시에 경화물에 잔존하는 것으로 반응성과 비반응성의 희석제로 나뉜다. 여기서 반응성의 희석제는 에폭시기를 한개 또는 그 이상을 가지고 있고, 반응에 참여하여 경화물에 가교 구조로 들어가며, 비반응성 희석제는 단지 경화물 속에 물리적으로 혼합 및 분산만 되어 있는 상태로 있게 된다. 에폭시 혼합수지의 점도를 조절할 수 있는 희석제라면 다양한 것이 사용될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에폭시 혼합수지나 경화제와 상용성이 좋고 저점도로 불휘발성인 비반응성 희석제 DiButyPhthalate(DBP)를 사용한다.
계면활성제는 물성이 다른 물질의 접착력을 강화하기 위한 것으로 3 중량% 미만 첨가시에는 접착력을 강화하기 위한 작용성질이 변하여 소포제로써의 성질을 가지게 되고, 10 중량% 초과 첨가시에도 역시 접착력을 강화하기 위한 작용성질이 변하여 세정제의 역할을 하게 되므로, 3∼10 중량% 범위 내에서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는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를 주성분으로 하는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사용한다.
분산 소포제는 수지의 거품을 제거 및 억제하고 물과 기름 중에 용해하지 않거나 난용성의 미분말을 안정되게 현탁시키는 것으로 1 중량% 미만 첨가시에는 혼합시 기포가 발생하여 도막불량현상이 발생하고 혼합물이 분산되지 않으며, 3.5 중량% 초과 첨가시에는 계면활성제의 흡착 효과를 저하시키고 혼합물이 양생되는 과정에서 결합력을 저하시키게 되므로, 1∼3.5 중량% 범위 내에서 첨가하는 것이 바 람직하다. 본 발명에서는 폴리 카르본산형 분산제와 실리콘계 분말형 소포제를 1:0.5∼2 중량비율로 혼합하여 사용한다.
변색방지제는 시공후 자전거 도로용 미끄럼방지 바닥재가 변색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으로 1 중량% 미만 첨가시에는 자외선에 의해 변색 또는 탈색되고, 2.5 중량% 초과 첨가시에는 시공 후 표면에 하얀 분말층이 발생하게 되므로, 1∼2.5 중량% 범위 내에서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는 알킬머캅탄 또는 헥실머캅탄을 사용한다.
또한, 흐름방지제 0.5∼2 중량%가 추가로 첨가될 수 있고, 흐름방지제는 추가적으로 점도를 조절하여 작업성을 개선하는 것으로 0.5 중량% 미만 첨가시에는 혼합물이 흘러내려 작업성이 나빠지고, 2 중량% 초과 첨가시에는 점도 상승요인이 되어 역시 작업성이 나빠진다. 본 발명에서는 고급지방산 아미드계열의 흐름방지제를 사용한다.
본 발명에 따른 속경화형 몰탈은 규사 45∼65 중량%; 시멘트 32∼50 중량%; 규산삼석회 1∼3 중량%; 및 염화칼슘 0.3∼2.5 중량%를 포함하는 것으로서, 별도의 용기에 포장되어 출하된다.
규사는 강도 증진 및 미끄럼 방지를 위한 것으로 45 중량% 미만 첨가시에는 강도 및 미끄럼 방지 기능이 저하되고, 65 중량% 초과 첨가시에는 자전거 도로용 미끄럼방지 바닥재의 도포 작업에 어려움이 발생하게 된다.
시멘트는 수용성 에폭시 혼합수지와의 결합력 향상을 위한 것으로 32 중량% 미만 첨가시에는 수용성 에폭시 혼합수지와의 결합력이 저하되고, 50 중량% 초과 첨가시에는 점도 상승으로 인하여 작업성이 나빠지므로, 32∼50 중량% 범위 내에서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규산삼석회는 수화속도를 증진하고 조기 강도 구현을 위한 것으로 1 중량% 미만 첨가시에는 경화 속도가 떨어지고, 3 중량% 초과 첨가시에는 경화 속도가 너무 빨라 작업성이 나빠지며 속경화형 몰탈의 전체적인 강도도 저하된다.
동결방지제 역할을 하는 염화칼슘을 0.3 중량% 미만 첨가시에는 동절기 시공시에 자전거 도로용 미끄럼방지 바닥재가 얼어 표면강도가 저하되고, 2.5 중량% 초과 첨가시에는 시공부위에 있는 철 등의 다른 구조물을 부식시키므로, 0.3∼2.5 중량% 범위 내에서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자전거 도로용 미끄럼방지 바닥재는, 제1층의 상부에 에폭시 혼합수지 92∼97 중량%, 분산 소포제 0.8∼3.3 중량%, UV차단제 1∼2.9 중량% 및 광택제 1∼2.9 중량%를 포함하는 제2층을 형성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전거 도로용 미끄럼방지 바닥재의 시공방법은, 시공부위 청소 단계; 수용성 에폭시 혼합수지, 속경화형 몰탈 및 경화제를 혼합하여 시공부위 도포하여 제1층 형성 단계; 경화건조 단계; 및 제1층의 상부에 에폭시 혼합수지, 분산 소포제, UV차단제 및 광택제를 포함하는 수용성 상부 코팅제를 도포하여 제2층 형성 단계를 포함하는 것으로서, 기존의 아스팔트나 콘크리트 위에 직접 시공하여 빠른 시간 내에 통행이 가능하고 동절기에도 간편하게 시공이 가능하다.
시공부위 청소 단계는 시공부위를 전동와이어 및/또는 송풍기를 이용하여 바닥면의 불순물 및 오염물을 제거하는 공정이다.
시공부위 도포 단계 이전에 시공부위 보수단계 및/또는 시공부위 프라이머 단계를 포함할 수 있고, 시공부위 보수단계는 시공부위가 깨어져 이탈한 부분을 보수하는 공정으로써 기존의 아스팔트 또는 콘크리트 등으로 보수하거나 본 발명에 따른 자전거 도로용 미끄럼방지 바닥재를 사용하여 보수할 수 있으며, 시공부위 프라이머 단계는 시공부위에 본 발명에 따른 수용성 에폭시 혼합수지 85∼91 중량% 및 경화제 9∼15 중량%를 혼합하여 미리 도포하는 공정으로써 기존의 아스팔트 또는 콘크리트와 자전거 도로용 미끄럼방지 바닥재 사이의 접착력을 더욱 강화하는 역할을 한다.
시공부위 도포 제1층 형성 단계는 수용성 에폭시 혼합수지 27∼50 중량%, 속경화형 몰탈 47∼70 중량% 및 경화제 2∼7 중량%를 동절기에는 약 3∼5분간 그 외의 기간에는 약 1∼3분간 고속으로 교반(2000∼5000 RPM)하여 20분 내에 시공부위에 도포하는 공정이다. 경화제로는 폴리머캅탄, 2-디메틸 아민메틸 페놀, 2,4,6-트리(디메틸아미노메틸 페놀)페놀 포스페이트, 또는 벤질디메틸 아민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이때, 도포 두께는 약 3∼6㎜ 정도가 적당하다. 도포 후에는 20∼50분 정도의 짧은 시간의 경화건조시키는 단계를 거쳐 자전거 도로용 미끄럼방지 바닥재가 완성된다.
경화건조 단계 후에 수용성 상부 코팅제를 도포하여 제2층 형성 단계를 추가할 수 있는데, 수용성 상부 코팅제는 에폭시 수지와 카르복실기를 함유하는 아크릴중합체를 에스테르화 반응시켜 생성된 에폭시 혼합수지 92∼97 중량%; 분산 소포제 0.8∼3.3 중량%; UV차단제 1∼2.9 중량%; 및 광택제 1∼2.9 중량%를 포함한다. 에폭시 혼합수지는 친환경성, 유연성 및 접착성 등의 주요 물성을 결정하는 것으로 92 중량% 미만이거나 97 중량% 초과하는 경우에는 주요 물성에 변화가 발생하게 된다. 분산 소포제는 수지의 거품을 제거 및 억제하고 물과 기름 중에 용해하지 않거나 난용성의 미분말을 안정되게 현탁시키는 것으로 0.8 중량% 미만 첨가시에는 혼합시 기포가 발생하여 도막불량현상이 발생하고 혼합물이 분산되지 않으며 3.3 중량% 초과 첨가시에는 혼합물이 경화되는 과정에서 결합력을 저하시키게 되고, UV차단제 1 중량% 미만 첨가시에는 UV차단 기능이 저하되고 2.9 중량% 초과 첨가시에는 혼합물의 강도가 저하되며, 광택제 1 중량% 미만 첨가시에는 광택 기능이 저하되고 2.9 중량% 초과 첨가시에는 너무 번들거리게 되며 혼합물의 강도도 저하된다. 이때, 본 발명에서는 분산소포제로 폴리 카르본산형 분산제와 실리콘계 분말형 소포제를 1:0.5∼2 중량비율로 혼합하여 사용하고, UV차단제로는 벤조트리아졸을 사용하며, 광택제로는 에탄올, 에틸렌글리콜 모노부틸에테르, 디프로필렌글리콜모노부틸에테르 또는 메틸카비톨을 사용한다.
상기와 같은 과정을 통해 시공된 본 발명의 자전거 도로용 미끄럼방지 바닥재와 기존 바닥재를 비교하여 아래 표 1에 나타내었다.
구분 칼라 투수콘 우레탄 바닥재 본 발명
동절기 시공성 미흡 미흡 우수
개방시간 2∼3일 20∼30시간 30∼60분
내구성 양호 보통 우수
색상변색 미흡 미흡 없음
내수성 양호 양호 우수
미끄럼 저항 보통 보통 우수
이하 실시예 및 비교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고, 표 2는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른 조성물 함량 비용표(단위 중량%) 및 시험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구분 구성 실시예1 실시예2 비교예1 비교예2 비교예3 비교예4
수용성 에폭시 혼합 수지 에폭시 혼합수지 28 35 35 35
우레탄수지 40
아크릴수지 50
희석제 8 10 10
계면활성제 2.4 3
분산소포제 0.8 1 1 1
변색방지제 0.8 1 1 1
속경화형 몰탈 규사 28 22 56 44 57.9
시멘트 25.8 20 45
규산삼석회 1.1 1 1.1 1
염화칼슘 1.1 1 1
경화제 4 6 4 6 4 6
시험 결과 동절기 시공성 우수 우수 나쁨 나쁨 미흡 양호
개방시간 34분 41분 24시간 27시간 5시간 4시간
내구성 우수 우수 보통 보통 양호 보통
색상변색 없음 없음 미흡 미흡 없음 없음
내수성 우수 우수 양호 양호 양호 양호
미끄럼 저항 우수 우수 보통 보통 양호 양호
비교예 1 및 2는 동절기 시공성이 나쁘고 시공시간이 너무 많이 소요되며 자외선 노출 시에 색상변색이 심하였고, 비교예 3 및 4는 비교예 1 및 2에 비하여 동절기 시공성 및 시공시간이 향상되었으나 여전히 부족하였고 색상변색이 없는 것을 제외하고는 양호한 상태를 유지하였으며, 비교예 3에서는 규사의 이탈이 발생하였고 비교예 4에서는 내구성이 약한 문제점이 있었다.
반면에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 및 2는 동절기 시공성, 내구성, 내수성, 미끄럼 저항이 우수하였고, 색상변색이 없었으며, 시공시간이 획기적으로 단축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2)

  1. 수용성 에폭시 혼합수지 27∼50 중량%, 속경화형 몰탈 47∼70 중량% 및 경화제 2∼7 중량%를 포함하는 제1층이 형성되고,
    상기 수용성 에폭시 혼합수지는, 에폭시 혼합수지 60∼80 중량%; 점도를 감소시키는 희석제 13∼25 중량%; 계면활성제 3∼10 중량%; 분산 소포제 1∼3.5 중량%; 및 변색방지제 1∼2.5 중량%를 포함하며,
    상기 속경화형 몰탈은, 규사 45∼65 중량%; 시멘트 32∼50 중량%; 규산삼석회 1∼3 중량%; 및 염화칼슘 0.3∼2.5 중량%를 포함하고,
    상기 제1층의 상부에 에폭시 혼합수지 92∼97 중량%, 분산 소포제 0.8∼3.3 중량%, UV차단제 1∼2.9 중량% 및 광택제 1∼2.9 중량%를 포함하는 제2층이 형성되며,
    상기 에폭시 혼합수지는, 에폭시 수지와 카르복실기를 함유하는 아크릴중합체를 유기 용매에 용해한 후, 염기성 화합물을 첨가하고, 50℃∼130℃에서 10분∼8시간 교반함으로써, 에폭시 수지의 에폭시기와 아크릴중합체의 카르복실기를 에스테르화 반응시켜 얻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 도로용 미끄럼방지 바닥재.
  2. 시공부위를 청소하는 단계;
    에폭시 혼합수지 60∼80 중량%, 점도를 감소시키는 희석제 13∼25 중량%, 계면활성제 3∼10 중량%, 분산 소포제 1∼3.5 중량% 및 변색방지제 1∼2.5 중량%를 포함하는 수용성 에폭시 혼합수지 27∼50 중량%, 및
    규사 45∼65 중량%, 시멘트 32∼50 중량%, 규산삼석회 1∼3 중량% 및 염화칼슘 0.3∼2.5 중량%를 포함하는 속경화형 몰탈 47∼70 중량%을 혼합하고, 경화제 2∼7 중량%를 첨가하여 시공부위에 도포하여 제1층을 형성하는 단계;
    20∼50분 동안 경화건조시키는 단계; 및
    상기 제1층의 상부에 에폭시 혼합수지 92∼97 중량%, 분산 소포제 0.8∼3.3 중량%, UV차단제 1∼2.9 중량% 및 광택제 1∼2.9 중량%를 포함하는 수용성 상부 코팅제를 도포하여 제2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에폭시 혼합수지는, 에폭시 수지와 카르복실기를 함유하는 아크릴중합체를 유기 용매에 용해한 후, 염기성 화합물을 첨가하고, 50℃∼130℃에서 10분∼8시간 교반함으로써, 에폭시 수지의 에폭시기와 아크릴중합체의 카르복실기를 에스테르화 반응시켜 얻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 도로용 미끄럼방지 바닥재의 시공방법.
KR1020090031314A 2009-04-10 2009-04-10 자전거 도로용 미끄럼방지 바닥재 및 그 시공방법 KR1009337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1314A KR100933733B1 (ko) 2009-04-10 2009-04-10 자전거 도로용 미끄럼방지 바닥재 및 그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1314A KR100933733B1 (ko) 2009-04-10 2009-04-10 자전거 도로용 미끄럼방지 바닥재 및 그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33733B1 true KR100933733B1 (ko) 2010-01-21

Family

ID=418093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31314A KR100933733B1 (ko) 2009-04-10 2009-04-10 자전거 도로용 미끄럼방지 바닥재 및 그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33733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66333A (ja) 2001-11-29 2003-06-13 Mitsui Takeda Chemicals Inc 床版防水工法および該工法からなる複合構造体
JP2005042541A (ja) 2004-09-16 2005-02-17 Sk Kaken Co Ltd 無溶剤形有光沢舗装材
KR100475514B1 (ko) * 2004-09-21 2005-03-14 김용석 콘크리트 표면강화제
KR100790386B1 (ko) * 2007-07-06 2008-01-03 김정도 노면의 미끄럼방지층 조성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66333A (ja) 2001-11-29 2003-06-13 Mitsui Takeda Chemicals Inc 床版防水工法および該工法からなる複合構造体
JP2005042541A (ja) 2004-09-16 2005-02-17 Sk Kaken Co Ltd 無溶剤形有光沢舗装材
KR100475514B1 (ko) * 2004-09-21 2005-03-14 김용석 콘크리트 표면강화제
KR100790386B1 (ko) * 2007-07-06 2008-01-03 김정도 노면의 미끄럼방지층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92509B2 (en) High-grade asphalt composition having waterproof function and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CN103964751B (zh) 一种环氧砂浆桥面薄层铺装材料及其施工方法
KR101792619B1 (ko) 에폭시 수지를 포함하는 구스 매스틱 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의 시공방법
CN108610699B (zh) 一种甲基丙烯酸树脂类标线涂料及其制备方法
KR101790990B1 (ko) 탄성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1552698B1 (ko) 도로용 보수재 및 이의 시공방법
CN109135486B (zh) 高耐磨含砂雾封层材料及其制备方法和应用
KR101088355B1 (ko) 토양 경화제 조성물 및 그 시공방법
KR100478446B1 (ko) 건축용 수지 모르타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시공 방법
CN111662059A (zh) 一种用于路面裂缝的防水灌缝砂浆
KR20180126269A (ko) 콘크리트 도로 균열 주입 보수재 제조 방법, 콘크리트 도로 균열 주입 보수재 및 그 시공 방법
CN110409272B (zh) 一种沥青路面坑槽的修补方法及该方法所用的修补材料
KR101844847B1 (ko) 폐아스팔트 골재 내 노화 아스팔트의 기능을 회복하여 연성 및 침투성을 향상시킨 폴리머-아스팔트 복합 도로 보수재
KR102131053B1 (ko) 스티렌 아크릴계 합성 라텍스를 포함하는 콘크리트 혼화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848273B1 (ko) 구스 아스팔트를 이용한 도로 포장 방법
JP7419619B2 (ja) 防水材組成物、防水工法及び防水皮膜
KR100933733B1 (ko) 자전거 도로용 미끄럼방지 바닥재 및 그 시공방법
KR100872518B1 (ko) 폴리머를 포함하는 콘크리트 상판 보수용 몰탈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보수방법
KR100933729B1 (ko) 아스팔트 전용 미끄럼방지 바닥재 및 그 시공방법
KR101241795B1 (ko) 미끄럼 방지 바닥재의 시공 방법
KR101764201B1 (ko) 도로포장용보수재 조성물 및 도로포장용보수재층 형성방법
KR102365148B1 (ko) 내마모성 도막방수재를 이용한 지하 주차장 플로링 리뉴얼 시스템
KR100564098B1 (ko) 폴리올 수지를 이용한 도로용 우레탄계 조성물
KR100628368B1 (ko) 가네트를 포함하는 논슬립형 표면강화제 및 이를 이용한도로의 시공방법
KR102368570B1 (ko) 상온 경화형 초속경 열가소성 셀프 열접착 교면 방수재 및 이를 이용한 교면 방수공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1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0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5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