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33600B1 - 시험용 단자대 - Google Patents

시험용 단자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33600B1
KR100933600B1 KR1020080004000A KR20080004000A KR100933600B1 KR 100933600 B1 KR100933600 B1 KR 100933600B1 KR 1020080004000 A KR1020080004000 A KR 1020080004000A KR 20080004000 A KR20080004000 A KR 20080004000A KR 100933600 B1 KR100933600 B1 KR 1009336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irs
current
voltage
terminals
terminal b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040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78182A (ko
Inventor
조석철
Original Assignee
한국전력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력공사 filed Critical 한국전력공사
Priority to KR10200800040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33600B1/ko
Publication of KR200900781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781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336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336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NMACHINES OR APPARATUS FOR TREATING HARVESTED FRUIT, VEGETABLES OR FLOWER BULBS IN BULK, NOT OTHERWISE PROVIDED FOR; PEELING VEGETABLES OR FRUIT IN BULK; APPARATUS FOR PREPARING ANIMAL FEEDING- STUFFS
    • A23N17/00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reparing animal feeding-stuffs
    • A23N17/002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reparing animal feeding-stuffs for treating of meat, fish waste or the like

Abstract

이 발명은, 계기용변성기와 적산전력량계의 사이에 설치되어 고압이상 전기의 사용량을 측정하거나 적산전력량계를 교체하거나 시험하는 경우에 사용되는 시험용 단자대에 있어서, 절연연결대에 다수의 접속자를 일체형으로 형성하여 다수의 전류단자쌍 또는 다수의 전압단자쌍이 동시에 연결되도록 함으로써 작업을 용이하게 함과 동시에 작업시간을 줄일 수 있으며, 전류단자쌍 또는 전압단자쌍을 연결함에 있어서 절연 연결대를 이용함으로써 감전의 위험을 없앨 수 있는 시험용 단자대에 관한 것으로서,
몸체에 설치되어 있는 3쌍의 전류단자와, 절연재질로 이루어진 절연연결대의 하부에 상기한 3쌍의 전류단자를 각각 단락시키거나 오픈시키기 위한 3개의 전류접속자가 상기한 전류단자쌍간의 간격과 동일한 간격으로 일체 형성되어 있는 전류접속 스위치와, 몸체에 설치되어 있는 3쌍의 전압단자와, 절연재질로 이루어진 절연연결대의 하부에 상기한 3쌍의 전압단자를 각각 단락시키거나 오픈시키기 위한 3개의 전압접속자가 상기한 전압단자쌍간의 간격과 동일한 간격으로 일체 형성되어 있는 전압접속 스위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Figure R1020080004000
전류단자, 전압단자, 전압전속 스위치, 전류전속 스위치, 절연연결대

Description

시험용 단자대{Terminal test block}
이 발명은 전력 분야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세부적으로 말하자면 계기용변성기와 적산전력량계의 사이에 설치되어 고압이상 전기의 사용량을 측정하거나 적산전력량계를 교체하거나 시험하는 경우에 사용되는 시험용 단자대에 있어서, 절연연결대에 다수의 접속자를 일체형으로 형성하여 다수의 전류단자쌍 또는 다수의 전압단자쌍이 동시에 연결되도록 함으로써 작업을 용이하게 함과 동시에 작업시간을 줄일 수 있으며, 전류단자쌍 또는 전압단자쌍을 연결함에 있어서 절연 연결대를 이용함으로써 감전의 위험을 없앨 수 있는 시험용 단자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압이상 전기의 사용량 측정을 위하여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계기용변성기(도시되지 않음)와 적산전력량계(1)의 사이에 시험용 단자대(2)가 설치된다.
도 2는 종래의 시험용 단자대의 사시 구성도이다.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종래의 시험용 단자대(1)의 구성은, 몸체(21)에 설치되어 있는 3쌍의 전류단자(22a,22b),(22c,22d),(22e, 22f)와, 상기한 3쌍의 전류단자(22a,22b),(22c,22d),(22e, 22f)를 각각 단락시키거나 오픈시키기 위한 3개의 전류접속자(23a, 23b, 23c)와, 몸체(21)에 설치되어 있는 4쌍의 전압단자(24a,24b),(24c,24d),(24e, 24f),(24g, 24h)와, 상기한 4쌍의 전압단자(24a,24b),(24c,24d),(24e, 24f)를 각각 단락시키거나 오픈시키기 위한 4개의 전압접속자(25a, 25b, 25c, 25d)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한 시험용 단자대(2)는 고압이상 전기의 사용량 측정만을 하기 위한 것이 아니고, 적산전력량계(1)와 계기용변성기간의 일련의 결선의 정,오를 부분적으로 판정할 뿐만 아니라, 적산전력량계(1)를 교체하거나 시험하고자 할 때 무정전으로 하기 위해서도 설치된다.
계기용 변성기(도시되지 않음)는 변압기와 변류기가 조합되어 있어서 전압 소오스(source)와 전류 소오스(source)를 발생시키고, 이것은 연결선을 통해 시험용단자대(2)를 거쳐 적산전력량계(1)에 공급됨으로써 전기 사용량을 계량하게 된다.
작업자가 적산전력량계(1)를 교체하기 위해서는 적산전력량계(1)의 전선결합부에 결합된 1차측 전선과 2차측 전선을 분리시킨 후 적산전력량계(1)를 새것으로 교체하고, 다시 1,2차측 전선을 새로운 적산전력량계(1)의 전선결합부에 연결시키게 된다.
이 경우에, 적산전력량계(1)의 전선결합부에 결합된 1,2차측 전선을 분리시키게 되면 전류 소오스(source)가 개방되는데, 이와같이 전류 소오스(source)가 개방되면 계기용 변성기(도시되지 않음)의 변류기의 1차전류가 모두 여자전류로 되어 철심이 과도하게 포화하여 철손이 증가하며 2차에 고전압이 발생함으로써 계기용 변성기(도시되지 않음)가 소손될 수 있고, 또한 전압 소오스(source)가 충전되어 있는 활선상태에서 전선을 분리하고 연결하게 되므로 감전 혹은 누전, 합선 등의 안전 사고를 초래할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가 적산전력량계(1)를 교체하고자 할 때는 전류 소오스(source)가 개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은 시험용단자대(2)의 몸체(21)에 설치되어 있는 3쌍의 전류단자(22a,22b),(22c,22d),(22e, 22f)를 3개의 전류접속자(23a, 23b, 23c)를 이용하여 단락시킴으로써 전류 소오스(source)는 단락시키고, 시험용단자대(2)의 몸체(21)에 설치되어 있는 4쌍의 전압단자(24a,24b),(24c,24d),(24e, 24f),(24g, 24h)를 4개 전압접속자(25a, 25b, 25c, 25d)를 이용하여 오픈시킴으로써 전압 소오스(source)는 개방시키는 일련의 개폐 조작을 한 뒤에 적산적력량계(1)를 교체하게 된다.
적산적력량계(1)를 새것으로 교체한 후에는, 다시 1,2차측 전선을 새로운 적산전력량계(1)의 전선결합부에 연결시킨 후, 정상적인 계량을 위해, 앞서 단락한 시험용단자대(2)의 3쌍의 전류단자(22a,22b),(22c,22d),(22e, 22f)는 다시 개방시키고, 앞서 개방한 시험용단자대(2)의 4쌍의 전압단자(24a,24b),(24c,24d),(24e, 24f),(24g, 24h)는 다시 단락시키는 일련의 개폐 조작을 함으로써 정상적으로 전력량을 계량할 수 있도록 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시험용 단자대는, 작업자가 개폐 조작을 하는 경우에, 상별로 각각 별도로 분리되어 있으며 볼트와 같은 형상을 가지고 있는 3쌍 전류단자 및 4쌍의 전압단자를 절연드라이버 혹은 이와 유사한 공구로 개별적으로 풀 어 준 뒤에 전류접속자 및 전압접속자를 개별적으로 밀어서 각각 개폐 조작을 함에 따라 조작시간이 오래 걸리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시험용 단자대는, 작업자가 개폐 조작을 하는 경우에, 충전부를 절연드라이버 등으로 직접 접촉하여 개폐함으로써 감전의 위험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절연연결대에 다수의 접속자를 일체형으로 형성하여 다수의 전류단자쌍 또는 다수의 전압단자쌍이 동시에 연결되도록 함으로써 작업을 용이하게 함과 동시에 작업시간을 줄일 수 있는 시험용 단자대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전류단자쌍 또는 전압단자쌍을 연결함에 있어서 절연 연결대를 이용함으로써 감전의 위험을 없앨 수 있는 시험용 단자대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이 발명의 구성은, 몸체에 설치되어 있는 3쌍의 전류단자와, 절연재질로 이루어진 절연연결대의 하부에 상기한 3쌍의 전류단자를 각각 단락시키거나 오픈시키기 위한 3개의 전류접속자가 상기한 전류단자쌍간의 간격과 동일한 간격으로 일체 형성되어 있는 전류접속 스위치와, 몸체에 설치되어 있는 3쌍의 전압단자와, 절연재질로 이루어진 절연연결대의 하부에 상기한 3쌍의 전압단자를 각각 단락시키거나 오픈시키기 위한 3개의 전압접속자가 상기한 전압단자쌍간의 간격과 동일한 간격으로 일체 형성되어 있는 전압접속 스위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 발명의 구성은, 상기한 전류접속 스위치의 절연연결대의 상부에는 작업자가 전류접속 스위치의 이동을 용이하게 위하여 엠보싱처리되어 있는 손잡이부가 형성되면 바람직하다.
이 발명의 구성은, 상기한 전압접속 스위치의 절연연결대의 상부에는 작업자가 전압접속 스위치의 이동을 용이하게 위하여 엠보싱처리되어 있는 손잡이부가 형성되면 바람직하다.
이 발명은, 계기용변성기와 적산전력량계의 사이에 설치되어 고압이상 전기의 사용량을 측정하거나 적산전력량계를 교체하거나 시험하는 경우에 사용되는 시험용 단자대에 있어서, 절연연결대에 다수의 접속자를 일체형으로 형성하여 다수의 전류단자쌍 또는 다수의 전압단자쌍이 동시에 연결되도록 함으로써 작업을 용이하게 함과 동시에 작업시간을 줄일 수 있으며, 전류단자쌍 또는 전압단자쌍을 연결함에 있어서 절연 연결대를 이용함으로써 감전의 위험을 없앨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이하,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이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이 발명의 가장 바람직 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 발명의 목적, 작용, 효과를 포함하여 기타 다른 목적들, 특징점들, 그리고 동작상의 이점들이 바람직한 실시예의 설명에 의해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참고로, 여기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는 여러가지 실시가능한 예중에서 당업자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선정하여 제시한 것일 뿐, 이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반드시 이 실시예에만 의해서 한정되거나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화와 부가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 균등한 타의 실시예가 가능함을 밝혀 둔다.
도 3은 이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시험용 단자대의 정상 상태의 사시 구성도이고, 도 4는 이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시험용 단자대의 비정상 상태의 사시 구성도이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이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시험용 단자대(3)의 구성은, 몸체(31)에 설치되어 있는 3쌍의 전류단자(32a,32b),(32c,32d),(32e, 32f)와, 절연재질로 이루어진 절연연결대(33d)의 하부에 상기한 3쌍의 전류단자(32a,32b),(32c,32d),(32e, 32f)를 각각 단락시키거나 오픈시키기 위한 3개의 전류접속자(33a, 33b, 33c)가 상기한 전류단자쌍간의 간격과 동일한 간격으로 일체 형성되어 있는 전류접속 스위치(33)와, 몸체(31)에 설치되어 있는 3쌍의 전압단자(34a,34b),(34c,34d),(34e, 34f)와, 절연재질로 이루어진 절연연결대(35d)의 하부에 상기한 3쌍의 전압단자(34a,34b),(34c,34d),(34e, 34f)를 각각 단락시키거나 오픈시키기 위한 3개의 전압접속자(35a, 35b, 35c)가 상기한 전압단자쌍간의 간격과 동일한 간격으로 일체 형성되어 있는 전압접속 스위치(3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한 전압접속스위치(35)의 전압접속자는 3개로 구성되어 있지만, 만약 시험용단자대(3)에 1쌍의 전압단자(34g,34h)가 추가로 설치되어 4쌍이 되는 경우에는 전압접속스위치(35)의 전압접속자도 4개로 형성한다.
상기한 전류접속 스위치(33)의 절연연결대(33d)의 상부에는 작업자가 전류접속 스위치(33)의 이동을 용이하게 위하여 엠보싱처리되어 있는 손잡이부(33e)가 형성되어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전압접속 스위치(35)의 절연연결대(35d)의 상부에는 작업자가 전압접속 스위치(35)의 이동을 용이하게 위하여 엠보싱처리되어 있는 손잡이부(35e)가 형성되어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구성에 의한, 이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시험용 단자대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작업자가 적산전력량계(1)를 교체하고자 할 때 전류 소오스(source)가 개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전류접속 스위치(33)를 왼쪽으로 슬라이드 이동시켜서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전류접속 스위치(33)의 하부에 형성되어 있는 3개의 전류접속자(33a, 33b, 33c)가 시험용단자대(3)의 몸체(31)에 설치되어 있는 3쌍의 전류단자(32a,32b),(32c,32d),(32e, 32f)를 각각 단락시키도록 함으로써 전류 소오스(source)를 단락시키고, 전압접속 스위치(35)를 아래쪽으로 슬라이드 이동시켜서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전압접속 스위치(35)의 하부에 형성되어 있 는 3개의 전압접속자(35a, 35b, 35c)가 시험용단자대(3)의 몸체(31)에 설치되어 있는 3쌍의 전압단자(34a,34b),(34c,34d),(34e, 34f)를 각각 오픈시킴으로써 전압 소오스(source)는 개방시키는 일련의 개폐 조작을 한 뒤에 적산적력량계(1)를 교체하게 된다.
적산적력량계(1)를 새것으로 교체하고 난 후에는, 정상적인 계량을 위해 비정상상태를 정상상태로 전환하기 위해서는, 다시 1,2차측 전선을 새로운 적산전력량계(1)의 전선결합부에 연결시킨 후, 전류접속 스위치(33)를 오른쪽으로 슬라이드 이동시켜서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앞서 단락한 시험용단자대(3)의 3쌍의 전류단자(32a,32b),(32c,32d),(32e, 32f)는 다시 개방시키고, 전압접속 스위치(35)를 위쪽으로 슬라이드 이동시켜서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앞서 개방한 시험용단자대(3)의 3쌍의 전압단자(34a,34b),(34c,34d),(34e, 34f)를 다시 단락시키는 일련의 개폐 조작을 함으로써 정상적으로 전력량을 계량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전류접속 스위치(33)와 전압접속 스위치(35)를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경우에, 전류접속 스위치(33)의 절연연결대(33d)와 전압접속 스위치(35)의 절연연결대(35d)의 상부 중앙 일정부분에는 가는 줄을 음각 또는 양각하여 손잡이부(33e, 35e)를 각각 형성함으로써 작업자가 손으로 조작할 때 미끄럼을 방지하는 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작업자가 시험용단자대(3)의 충전된 전류, 전압단자를 개폐할 때 절연드라이버 등으로 직접 접촉하여 조작하지 않고 절연 연결대(33d, 35d)만을 밀어주기만 하면 됨으로써 감전의 위험이 없이 손으로 안전하게 전류, 전압단자를 개폐할 수 있으며, 평상 전류단자 3번 개폐조작, 전압단자 4번의 개폐조작 행위를 전류, 전압단자 각 1번씩으로 개폐조작을 완성할 수 있어 신속하고 손쉽게 개폐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적산전력량계(1)를 무정전으로 교환 또는 시험할 때 개폐 조작하는 시험용단자대(3)의 전류 및 전압단자를 절연 연결대로 결합하여 손으로 일괄 개폐함으로써 편리하고 신속하게 개폐되고, 전류, 전압단자의 충전부를 직접 접촉하지 않고 개폐할 수 있어 감전사고 우려 없이 안전하게 개폐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시험용 단자대가 설치되어 있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종래의 시험용 단자대의 사시 구성도이다.
도 3은 이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시험용 단자대의 정상상태의 사시 구성도이다.
도 4는 이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시험용 단자대의 비정상 상태의 사시 구성도이다.

Claims (3)

  1. 몸체에 설치되어 있는 3쌍의 전류단자와,
    절연재질로 이루어진 절연연결대의 하부에 상기한 3쌍의 전류단자를 각각 단락시키거나 오픈시키기 위한 3개의 전류접속자가 상기한 전류단자쌍간의 간격과 동일한 간격으로 일체 형성되어 있는 전류접속 스위치와,
    몸체에 설치되어 있는 3쌍의 전압단자와,
    절연재질로 이루어진 절연연결대의 하부에 상기한 3쌍의 전압단자를 각각 단락시키거나 오픈시키기 위한 3개의 전압접속자가 상기한 전압단자쌍간의 간격과 동일한 간격으로 일체 형성되어 있는 전압접속 스위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험용 단자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한 전류접속 스위치의 절연연결대의 상부에는 작업자가 전류접속 스위치의 이동을 용이하게 위하여 엠보싱처리되어 있는 손잡이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험용 단자대.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한 전압접속 스위치의 절연연결대의 상부에는 작업자가 전압접속 스위치의 이동을 용이하게 위하여 엠보싱처리되어 있는 손잡이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 로 하는 시험용 단자대.
KR1020080004000A 2008-01-14 2008-01-14 시험용 단자대 KR1009336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4000A KR100933600B1 (ko) 2008-01-14 2008-01-14 시험용 단자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4000A KR100933600B1 (ko) 2008-01-14 2008-01-14 시험용 단자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78182A KR20090078182A (ko) 2009-07-17
KR100933600B1 true KR100933600B1 (ko) 2009-12-23

Family

ID=413363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04000A KR100933600B1 (ko) 2008-01-14 2008-01-14 시험용 단자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3360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18280A (ko) 2022-08-02 2024-02-13 한국전력공사 계기시험용 단자커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0286B1 (ko) * 2009-09-28 2012-05-24 주식회사 부흥기술단 전력량계용 전력 단자대
CN104297532B (zh) * 2014-11-06 2017-03-08 国家电网公司 电压互感器检定用接线装置
KR102013189B1 (ko) * 2018-05-09 2019-10-21 한국전력공사 분리 가능한 전선 접속부를 포함하는 전력량계
KR102207183B1 (ko) * 2019-10-11 2021-01-25 한국전력공사 무정전 교체 단자대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0979Y1 (ko) 2001-10-30 2002-01-17 한국전력공사 변류기부 전력량계의 ttb 단자판 구조
KR200273225Y1 (ko) 2002-02-02 2002-04-20 인호섭 전류단자를 용이하게 단락할 수 있는 전력량계용시험단자대
KR200338275Y1 (ko) 2003-09-30 2004-01-13 한국전력공사 콘센트 일체형 시험용 단자대
JP2007285718A (ja) 2006-04-12 2007-11-01 Chugoku Electric Power Co Inc:The 計器用バイパス端子構造及び接続端子構造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0979Y1 (ko) 2001-10-30 2002-01-17 한국전력공사 변류기부 전력량계의 ttb 단자판 구조
KR200273225Y1 (ko) 2002-02-02 2002-04-20 인호섭 전류단자를 용이하게 단락할 수 있는 전력량계용시험단자대
KR200338275Y1 (ko) 2003-09-30 2004-01-13 한국전력공사 콘센트 일체형 시험용 단자대
JP2007285718A (ja) 2006-04-12 2007-11-01 Chugoku Electric Power Co Inc:The 計器用バイパス端子構造及び接続端子構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18280A (ko) 2022-08-02 2024-02-13 한국전력공사 계기시험용 단자커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78182A (ko) 2009-07-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33600B1 (ko) 시험용 단자대
CN103424597B (zh) 用于直流电路断路器的能够检测接地故障的电流检测机构
KR101397887B1 (ko) 다수의 전지를 직렬 연결한 충방전 시스템에서의 전지접촉부 감시 장치 및 방법
RU2516460C2 (ru) Измерение последовательности контактов в переключателе ответвлений
JP6382453B2 (ja) 電池監視装置
CN108475928A (zh) 具有电网分离位置和绝缘电阻测量的逆变器以及用于测量绝缘电阻的方法
CN104793028B (zh) 一种三相多功能试验电源装置及其试验方法
KR101449964B1 (ko) 계측 장치 및 계측 방법
CN201314921Y (zh) 继电器测试用插座箱
JP5823741B2 (ja) 試験用コンセントアダプタ
JP5268969B2 (ja) デジタルテストプラグ及びこれを用いた電力・位相の測定方法
CN105182173B (zh) 新型组合式互感器极性测试仪
KR100787488B1 (ko) 접지부동 또는 전원측 중성점과의 단선 여부 확인기능을갖는 동심중성선 활선 시공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접지부동확인방법
CN103064054B (zh) 电能计量装置仿真系统及其接线的矩阵控制方法
TW201341807A (zh) 電源效率測量裝置
KR102207183B1 (ko) 무정전 교체 단자대
CN102650665B (zh) 用于电单元的电触头盒和电触头模块、及电设备和电单元
KR100627711B1 (ko) 접지 및 절연저항 측정기
KR20200037980A (ko) 변류기의 시험용 단자 분리대
KR100952497B1 (ko) 인공위성용 배터리 보호장치
JP5335008B2 (ja) トリップロック端子用電圧計
KR100723354B1 (ko) 배전자동화 개폐기 제어함 시험기
CN104407317A (zh) 一种模拟监测系统现场电量计量的实验装置
CN204651691U (zh) 桥式接线电压互感器的配置电路及其电压切换回路
CN220626622U (zh) 一种用于照明产品测试的多功能测试盒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3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8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