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33377B1 - Wire connector - Google Patents
Wire connecto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933377B1 KR100933377B1 KR1020070070947A KR20070070947A KR100933377B1 KR 100933377 B1 KR100933377 B1 KR 100933377B1 KR 1020070070947 A KR1020070070947 A KR 1020070070947A KR 20070070947 A KR20070070947 A KR 20070070947A KR 100933377 B1 KR100933377 B1 KR 10093337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nnector
- upper housing
- wire
- housing
- lower housin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26—Connections in which at least one of the connecting parts has projections which bite into or engage the other connecting part in order to improve the contact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28—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 H01R4/48—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utilising a spring, clip, or other resilient member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39/00—Electrical connectors
- Y10S439/93—Coupling part wherein contact is comprised of a wire or brush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선과 전선을 연결하기 위한 전선 연결구에 관한 것으로, 단일형상의 구조로 형성된 전선연결용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제1전선과 제2 전선의 단부에 링형의 고정단자가 고정된 전선을 하나의 돌출부에 결합하여 연결할 수 있도록 하여, 적은 공간에서 간단하고 신속하게 연결작업을 완성할 수 있도록 한 전선연결용 커넥터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으로, 전선에 연결고정된 고정단자를 고정돌기에 결합하여 접속토록하는 결합수단이 구비된 하부 하우징과, 상기 접속된 고정단자를 상부에서 압압하여 탄지하도록 한 고정수단이 구비된 상부 하우징으로 하우징 본체를 구성하여서 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ire connector for connecting electric wires and wires, and relates to a wire connection connector formed in a unitary structure, and more specifically, a ring-shaped fixed terminal is fixed to ends of the first wire and the second wire. It is intended to provide a connector for connecting wires that can be connected to a single projecting part to complete the connection work simply and quickly in a small space. The housing main body is constituted by a lower housing provided with a coupling means for coupling and connecting, and an upper housing provided with fixing means for pressing and holding the connected fixed terminal from the top.
이러한 구성으로 된 본 발명의 커넥터는, 전선에 결합고정된 상기 오링의 고정단자를 동일한 하부 하우징에 형성된 돌기부에 각각 끼우고, 상부 하우징을 닫으면, 상부 하우징의 중앙에 슬라이딩 가능토록 장착된 압압탄성편이 상기 오링 고정단자를 눌러주어 강력한 접지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The connector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such a configuration, respectively, the fixed terminal of the O-ring coupled to the electric wire to each of the protrusions formed in the same lower housing, and when the upper housing is closed, the press-elastic piece mounted so as to be slidable in the center of the upper housing By pressing the O-ring fixing terminal is to maintain a strong ground state.
상부 하우징, 하부 하우징, 안착부 고정돌기, 압압탄지편, 결합공, 체결편 Upper housing, lower housing, seat fixing projections, pressurized bearing pieces, coupling holes, fastening pieces
Description
본 발명은 전선과 전선을 연결하기 위한 전선 연결구에 관한 것으로, 단일형상의 구조로 형성된 전선연결용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제1전선과 제2 전선의 단부에 링형의 고정단자가 고정된 전선을 하나의 돌출부에 결합하여 연결할 수 있도록 하여, 적은 공간에서 간단하고 신속하게 연결작업을 완성할 수 있도록 한 전선연결용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ire connector for connecting electric wires and wires, and relates to a wire connection connector formed in a unitary structure, and more specifically, a ring-shaped fixed terminal is fixed to ends of the first wire and the second wire. It is to provide a connector for connecting wires that can be connected to one projecting part to be connected, so that the connection work can be completed simply and quickly in a small space.
일반적으로 전선과 전선을 연결하기 위해서는 단순한 연결테이프를 이용하여 수십회 권취하여 연결하는 극히 원초적인 방법이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다.In general, an extremely basic method of winding and connecting dozens of times using a simple connection tape is generally used to connect an electric wire with an electric wire.
그러나, 현대에서와 같이 작은 공간에서 수많은 전선을 연결하여야 하는 경우 즉, 지하에 매설되는 전기공급선에서 새로운 전기선을 연결하여 분할공급하고자 할 때, 작업자는 지하의 메인전기공급선을 찾아서 전기선을 연결하는 작업을 하였고, 이러한 작업은 통상적으로 절연테이프를 이용하여 수회 권취하여 연결하였다.However, when it is necessary to connect a large number of wires in a small space as in modern times, that is, when a new electric line is to be dividedly supplied from an electric supply line buried underground, the worker finds a main electric supply line in the basement and connects the electric lines. This work is typically wound and connected several times using insulating tape.
따라서, 작업시간이 길어지게 되고, 작업자의 방심으로 안전사고 또한 발생할 우려가 있는 것이다.Therefore, the working time becomes long, and there is a fear that safety accidents may also occur due to worker's care.
더욱이, 지상의 전신주에서 전선 연결작업을 하는 경우에도 역시 작업시간이 길어짐에 따른 유사한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것이다. In addition, similar safety accidents occur as the working time is extended even when the wire connection work is performed in the telephone pole of the ground.
도한, 모우터의 내부에 전기선을 배선하게 되는 경우에는, 두개 또는 세개의 전선에 연결된 각각의 고정단자를 중첩하고, 보울트를 고정단자에 끼워 너트로서 결합 고정한 후, 그 외부를 절연테이프로 권취하여 외부물체와의 접촉을 차단토록 하였다.In addition, when wiring an electric wire inside the motor, each fixed terminal connected to two or three wires is superimposed, and the bolt is fitted to the fixed terminal to be fixed as a nut, and then the outside is wound with an insulating tape. Contact with foreign objects was blocked.
이러한 보울트, 너트를 통한 연결작업은, 작업자가 일일이 고정단자를 취합하고, 보울트를 끼워 결합시키는 작업과, 너트로서 고정하는 작업 및 절연을 위한 절연테이프의 권취잡업을 해 주어야 하므로 작업시간이 많이 걸리는 비경제적인 문제가 있는 것이다.The connection work through the bolts and nuts requires a worker to collect the fixed terminals and to engage the bolts, and to work as a nut and to fix the winding of the insulating tape for insulation. There is an uneconomic problem.
더욱이, 상기 보울트와 너트로 연결고정하고, 절연테이프로서 권취하여 외부와 차단시키는 경우, 모우터가 동작할 때 발생 되는 고열과, 정지 후 냉각되는 온도변화가 반복되면서 연질의 절연테이프의 접착효율이 떨어지고, 이에 의하여 권취부분이 약화되어 외부와의 절연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 또한 발생하였다.In addition, when the connection between the bolt and the nut is fixed and wound as an insulating tape to block the outside, the high temperature generated when the motor is operated and the temperature change that is cooled after the stop are repeated, thereby improving the adhesion efficiency of the soft insulating tape. Also, the winding portion is weakened thereby causing a problem that the insulation efficiency from the outside is reduced.
상술한 작업의 안전사고발생을 우려하여 작업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는 방안이 절실하게 필요하였는데. 이러한 필요에 의해 개발되는 것이 전선연결용 커넥터이다.There was an urgent need for a method to minimize the working time due to fear of safety accidents of the above-mentioned work. Developed for this need is a connector for wire connection.
즉, 전선의 연결작업을 신속하게 그리고 확실하게 종료할 수 있는 커넥터를 사용함으로써 안전성을 확보하게 된다.That is, safety is ensured by using a connector that can terminate the wire connection work quickly and reliably.
이러한 기능을 갖는 커넥터는 실용신안등록 제20-0328977호의 전선연결단자 어셈블러'가 제안되어 있다.As a connector having such a function, a wire connection terminal assembler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0328977 has been proposed.
상기한 종래의 좌,우로 연통되는 하우징의 내부에 탄성을 가진 금속재의 "X"자형의 연결단자가 삽입되고, 상기 하우징의 상부에 회동가능한 누름부재가 장착되어 있는 것이다.In the conventional left and right communication housings, an elastic "X" shaped connecting terminal is inserted into the housing, and a rotatable pressing member is mounted on the housing.
상기한 커넥터는 하우징의 양측에서 피복을 벗겨낸 전선을 삽입하고, 누름부재를 눌러주면, 상기 누름부재가 연결단자에 압력을 가해 전선이 고정되도록 된 것이다.The connector inserts the wire stripped from both sides of the housing, presses the pressing member, and the pressing member presses the connection terminal to fix the wire.
이러한 커넥터를 이용하여 전선을 연결함으로써 신속한 전선연결이 가능해 작업의 신속성을 확보할 수 있었다.By using these connectors to connect the wires, it was possible to connect the wires quickly, thereby ensuring the speed of work.
그러나, 상기한 종래 제안된 커넥터는,피복을 벗겨낸 전선을 양방향에서 삽입하고, 위에서 눌러 고정하는 장치를 구비한 것이어서, 인장력에 대한 저항력이 약한 단점이 있는 것이다.However, the conventionally proposed connector is provided with a device for inserting the stripped wire in both directions and pressing from above to fix it, and thus has a weak resistance to tensile force.
즉, 상기 커넥터에 연결된 전선은 단순히 피복을 벗겨낸 전선을 삽입하여 연결토록 된 것이어서, 이 전선을 양측 또는 일측에서 잡아당기면, 어느 순간 삽입된 전선이 연결단자로부터 이탈하는 현상이 발생하는 것이다.In other words, the wire connected to the connector is to be inserted by simply inserting the stripped wire, so that when the wire is pulled from both sides or one side, the inserted wire is released from the connection terminal at any moment.
이러한 인장력에 대한 방어수단으로 누름부재가 산기 연결단자의 상부단자를 눌러서 고정토록 된 것이나, 상기한 연결단자는 탄성을 가진 금속재로 형성된 것이 어서 전선을 당기는 힘이 커지게 되면 결국, 연결된 전선이 상기 연결단자로부터 이탈되게 되는 것이다. As a means for protecting the tensile force, the pressing member is fixed by pressing the upper terminal of the diffuser connecting terminal, but the connecting terminal is formed of a metallic material with elasticity, so that when the pulling force increases, the connected wire is said to be It will be separated from the connection terminal.
특히 이러한 이탈현상은 커넥터에 연결된 전선에 직접적인 충격이 순간적으로 가해지는 경우에는 그 이탈현상은 더욱 심화된다.In particular, such a separation phenomenon is further exacerbated when a direct impact is momentarily applied to the wire connected to the connector.
더욱이, 상기한 종래의 커넥터에서 중요한 구성부품인 연결단자의 경우, 탄성을 가진 금속을 가공하여 "X"자형으로 제작하여야 하는데, 탄성을 가진 금속소재를 "X"자형으로 가공하기는 쉽지않다.Furthermore, in the case of the connection terminal, which is an important component of the conventional connector, the elastic metal should be processed into a "X" shape, but it is not easy to process the elastic metal material into the "X" shape.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커넥터가 가지는 문제점을 해소하고, 그 구조가 극히 단순하며, 견고한 연결상태를 얻을 수 있는 커넥터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conventional connector described above, the structure is extremely simple, and to provide a connector that can obtain a solid connection state.
즉, 연결하고자 하는 양측의 전선에 오링의 고정단자(이 고정단자는 통상적으로 실시되고 있으며, 이 고정단자를 전선에 연결하는 별도의 공구 또한 제안되어 사용되고 있다)를 프레스로 가공하여 연결하고, 상, 하부 하우징에 의하여 관체를 형성하며, 상기 하부 하우징에는 상기 오링의 고정단자가 삽입되는 돌기부를 돌출형성하며, 상기 상부 하우징에는 하부 하우징에 형성된 돌기부와 동일한 축선상에 관통공이 형성된 압압탄성편을 경사홈에 끼워넣어 소폭으로 슬라이딩되도록 구성하였다.That is, the O-ring fixed terminal (this fixed terminal is usually implemented, and a separate tool for connecting the fixed terminal to the wire has also been proposed and used) is connected to the wires on both sides to be connected by pressing, and And a tubular body formed by a lower housing, wherein the lower housing protrudes a protrusion into which the fixed terminal of the O-ring is inserted, and the upper housing inclines a press-elastic piece having a through hole formed on the same axis as the protrusion formed on the lower housing. Inserted into the groove was configured to slide slightly.
이러한 구성으로 된 본 발명의 커넥터는, 전선에 결합고정된 상기 오링의 고정단자를 동일한 하부 하우징에 형성된 돌기부에 각각 끼우고, 상부 하우징을 닫으 면, 상부하우징의 중앙에 슬라이딩 가능토록 장착된 압압탄성편이 상기 오링 고정단자를 눌러주어 강력한 접지상태를 유지하도록 구성하였다.The connector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such a configuration is a pressure-elastic elastically mounted so as to slide in the center of the upper housing when the fixing terminal of the O-ring fixed to the electric wire respectively inserted into the projections formed in the same lower housing, the upper housing is closed It is configured to press the O-ring fixed terminal to maintain a strong ground state.
이러한 구조를 가진 본 발명의 커넥터는, 상부 하우징을 개방하고, 전선에 연결된 오링의 고정단자를 하부 하우징의 돌기부에 각각 결합한 후, 상부 하우징을 닫아 고정하면, 상기 상부 하우징에 장착된 압압탄성편이 고정단자를 눌러주어 긴밀한 연결상태를 얻음과 동시에 돌기부에 상기 고정단자가 끼워져 연결되므로 견고한 연결상태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In the connector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 structure, when the upper housing is opened and the fixed terminals of the O-rings connected to the electric wires are respectively coupled to the protrusions of the lower housing, the upper housing is closed to fix the pressure elastic member mounted on the upper housing. By pressing the terminal to obtain a close connection and at the same time the fixed terminal is inserted into the projection is connected to obtain a secure connection.
본 발명의 커넥터는 전선의 양측에 고정된 오링의 고정단자를 돌기에 끼워넣고, 상부하우징을 닫는 것으로 연결작업이 완료되므로 신속하고 정확한 전선연결작업을 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The connector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feature that allows fast and accurate wire connection work by inserting the fixed terminal of the O-ring fixed to both sides of the wire into the projection and closing the upper housing to complete the connection work.
본 발명의 커넥터는 그 구성이 극히 간단하여 저가로 양산하여 제공할 수 있는 특징 또한 있으며, 커넥터의 재활용이 가능하여 산업쓰레기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The connecto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extremely simple in its configuration and can be mass-produced at low cost. The connector can be recycled to obtain an effect of suppressing the generation of industrial waste.
상기한 효과를 가진 본 발명의 구성과 작용에 대해 첨부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한다.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described effec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첨부도면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체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2(a)는 도 1의 A-A선 확대단면도로서 고정단자가 결합되기 전의 상태를 도시한 것이고, 도 2(b)는 고정단자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3(a)(b)는 도 2(a)의 B-B선 단면도로서, 고정단자가 결합되기 전, 후의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서 다수의 고정수단과 결합수단을 구비한 커넥터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5(a)(b)는 본 발명에 적용된 다른 고정수단을 나타낸 평면도 및 단면도이고, 도 6(a)(b)는 다른 고정수단을 적용하여 작용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결합수단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의 종단면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하우징을 고정하는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실시예에 의한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a)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the AA line of Figure 1 showing a state before the fixed terminal is coupled, Figure 2 (b (A) and (b) are sectional views taken along the line BB of FIG. 2 (a), before and after the fixed terminals are coupled, and FIG. A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nector having a plurality of fixing means and coupling means, Figure 5 (a) (b) is a plan view and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fixing means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a) (b)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operating state by applying another fixing means, Figure 7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coupling means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of Figure 7, 10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fixing the housing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A perspective view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실시예 1)(Example 1)
도 1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Referring to Figure 1 will be described a preferred embodiment for achieving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결합수단이 구비된 하부하우징(2)과, 고정수단이 구비된 상부하우징(10)으로 하우징 본체(1)를 구성하고, 상기 상부하우징(10)에는 압압탄성편(20)를 결합하여 구성하며, Composing the housing
상기 상부하우징(10)과 하부하우징(2)은 일측을 힌지편(3)으로 회동가능토록 일체화하여 형성하고, The
상기 하부하우징(2)의 일 측벽(6)에는, 체결홈(7)을 관통형성하며, 상부하우징(10)에는 상기 체결홈(7)과 대응되는 위치에 체결편(14)을 형성하며, 상기 하부하우징(2)의 중앙부 내부에는 결합수단이 구비되는데, 상기 결합수단은 내측으로 돌출되는 안착부(4)를 구비하고, 상기 안착부(4)의 중앙에 원기둥형의 고정돌기(5)를 돌출형성하여 이루어진다.On one
삭제delete
상기 상부하우징(10)은, 양 측벽(11)의 내측 중앙부에 소폭으로 내향 돌출하는 지지대(12)를 형성하며, 상기 지지대(12)의 양측단에는 중심부를 향하여 경사지게 경사 고정홈(13)을 요입 형성한다. The
상기 상부하우징(10)의 양 측벽(11)에 소폭으로 돌출형성한 경사 고정홈(13)에는 고정수단이 구비되는데, 상기 고정수단은 중앙에 결합공(21)을 관통형성하고, 전체적으로 곡면을 이루도록 만곡부(22)를 형성한 압압탄지편(20)을 겹합하여 구성한다.Fixing means are provided in the
상기 압압탄지편(20)은, 그 길이는 상부하우징(10)의 양 측벽(11)사이에 삽입되므로 그 길이는 상기 상부하우징(10)의 내경보다 소폭으로 형성하며, 중앙에 관통형성하는 결합공(21)은, 하부하우징(2)의 고정돌기(5)의 외경보다 2~3mm 정도 큰 내경을 갖도록 구성한다.Since the length of the pressurized
상기 상부하우징(10)의 경사 고정홈(13)은 상기 압압탄지편(20)을 결합하였을 때 약간의 여유깊이를 가지도록 경사 고정홈(13)의 길이를 설정한다.The
미설명부호 30, 30'는 오링형의 고정단자이고, 31은 전선이다.
상기 본 발명의 구성에 있어서, 하부하우징(2)과 상부하우징(10)을 힌지편(3)으로 일체화한 형상을 일 실시예로 표시하였으나, 첨부도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하우징(10)과 하부하우징(2)을 분리하여 구성하고, 하부하우징(2)의 측벽(6)에는 체결홈(7)을, 상부하우징(10)의 측벽(11)에는 체결편(14)을 각각 2개 이상을 형성하여 착탈 분리방식으로 구성할 수 있다.In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 shape in which the
이하에서 상기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커넥터의 결합과, 전선 연결작용을 설명한다.Hereinafter, the coupling and the wire connection action of the connector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configuration described above.
통상의 오링 고정단자(30)가 연결고정된 전선을, 상기 하부하우징(2)의 일측방향에서 상기 하부하우징(2)의 중앙 안착부(4) 중앙에 돌출된 고정돌기(5)에 상기 오링 고정단자(20)를 끼운다.The O-ring is connected to a
상기 하부하우징(2)의 타측방향에서 역시 오링의 고정단자(20')를 상기 고정돌기(5)에 끼워 결합한다.In the other direction of the lower housing (2) is also coupled to the fixed terminal (20 ') of the O-ring to the fixing projection (5).
이후, 상기 상부하우징(10)을 닫아 하부하우징(2)의 체결홈(7)에 상부하우징(10)에 일체로 형성된 체결편(14)을 결합시켜 고정한다.Thereafter, the
상기 상부하우징(10)이 하부하우징(2)과 결합 고정되면, 상기 상부하우징(10)의 양 측벽(11) 내부에 형성된 지지대(12)에 결합 되어있는 압압탄지편(20)이 상기 고정단자(30)를 눌러주어 견고하게 접속, 연결시켜 주는 것이다.When the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하우징(2)의 중앙 고정돌기(5)에 삽입된 두개의 고정단자(30)(30')의 상면을 상기 상부하우징(10) 중앙부에 결합된 압압탄지편(20)의 중앙 결합공(21)으로 상기 하부하우징(2)의 고정돌기(5)가 삽입되어 고정단자(30)가 결합되고, 상기 압압탄지편(20)의 만곡부(22)가 고정단자(30)(30')의 상면을 탄력 있게 눌러주어 긴밀한 전원접속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That is, as shown in Figure 3, the upper surface of the two
본 발명의 커넥터를 구성함에 있어서, 단선을 연결할 수 있는 커넥터를 설명하였으나,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작업장의 환경에 비추어 2개 이상의 연결 커넥터를 수평으로 제작하여 사용할 수 있다.In the configuration of the connector of the present invention, a connector which can be connected to a single wire has been described, but as shown in FIG. 4, two or more connection connectors may be horizontally manufactured and used in view of an environment of a workplace.
즉, 상, 하부 하우징(2)(10)에 다수의 측벽(6)(11)을 형성하고, 이 측벽(6)(11)사이에 각각 압압탄지편(20)에 고정단자(30)(30')를 연결접속하도록 한 고정수단과, 고정돌기(5)에 의해 고정단자(30)를 고정토록 한 결합수단을 다수 형성하여 구성할 수 있다.That is, a plurality of
상기한 각각 상기 수평으로 다수개의 전선을 연결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중앙의 상부하우징(10)과 하부하우징(2)의 측벽(6)(11)에 체결홈(7)과 체결편(14)을 형성하여 준다.In the case where the plurality of wires are to be horizontally connected to each other, a
이와 같이 중앙의 측벽(6)(11)에 고정수단을 구비하여 주면, 고정단자(30)(30')를 수용한 하우징 본체(1)를 구성하는 상부하우징(10)에 내장된 압압탄지편(20)의 탄성에 의하여 상부하우징(10)과 하부하우징(2)이 분리되는 현상을 예방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fixing means is provided on the
상기 상부하우징(10)과 하부하우징(2)을 고정하는 수단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하우징(10)의 측벽(11) 상부에는 결합요홈(41)을 관통형성한 체결부(40)를 일체로 연장형성하고, 이 체결부(40)와 대응되는 하부하우징(2)의 측벽(6)에는 고정돌기(42)를 일체로 형성하여, 상부하우징(2)의 체결부(40)를 하부하우징(10)의 고정돌기(42)에 강제로 결합시켜 고정한다.Means for fixing the
(실시예 2)(Example 2)
이하에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다른 실시예를 도 5 및 도 6을 참고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another embodiment for achieving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상부하우징(10)에 결합되는 고정수단인 만곡부(22)를 가진 압압지지편(20)은 이붙이와셔(20a;toothed lock washer)로 대체하여 탄지하도록 구성한 것이다.In this embodiment, the
즉, 상부하우징(10)의 중앙부에 원형의 돌출부(15)를 돌출형성하여 원형의 안착부(16)를 형성하고, 이 안착부(16)에 통상의 이붙이와셔(20a)를 볼록면이 하측을 향하도록 결합하여서 된 것이다That is, the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도면은 절결부(21)가 내측을 향하도록 형성된 내향성 이붙이와셔(20a)가 표현되었으나, 상기 절결부(21)가 외향으로 향하도록 절결한 이붙이와셔를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In describing the present embodiment, although the inward
즉, 내부 중앙이 원형으로 링의 형태를 이루고, 외주연부가 기어와 같은 이빨을 형성한 외향성 이붙이와서(20a)를 적용할 수 있다. In other words, the inner center is formed in the shape of a ring in a circular shape, the outer periphery can be applied to the outwardly pasted teeth (20a) formed teeth such as gears.
상기한 이붙이와셔(20a)를 본 발명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그 두께를 최소한으로 하여 신축성 있도록 하여야 하는 제한이 따른다.In order to apply the above-mentioned
이런 제한을 해소하기 위해서 상기 이붙이와셔(20a)를 합성수지로 사출성형 한것을 적용함으로써 최적의 효과를 도출할 수 있다. In order to solve this limitation, the optimum effect can be derived by applying the
이러한 구성으로 된 본 실시예는, 통상 대량으로 생산되어 유통되고 있는 이붙이와셔(20a)를 사용함으로써 별도의 탄지편을 제작할 필요가 없어져 생산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특징이 있는 것이다. This embodiment having such a configura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production cost by using a
(실시예 3)(Example 3)
이하에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 7를 참고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7.
상기 하부하우징(2)의 중앙에, 상기 상부하우징(10)의 측벽(11)에 일체로 형성된 지지대(12)및 이 지지대(12)의 양끝에 내측으로 경사지게 경사고정홈(13)을 형성한 구성과 동일하게 경사고정홈(13a)과 지지대(12a)를 형성하고, 상기 하부하우징(2)의 경사고정홈(13a)에는, 결합수단으로서 중앙부에 고정돌기(5)를 돌출형성한 만곡형의 탄성편(20b) 을 결합하여 구성한 것이다.In the center of the
이러한 구성을 된 본 발명의 커넥터는, 하부하우징(2)과 상부하우징(10)에 각각 탄설된 탄성편(20b)과 압압탄지편(20)이 본체(1)의 중심부를 향하여 각각 만곡면이 밀착된 상태로 된다.In the connector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such a configuration, each of the
이후, 고정단자(30)(30')를 상기 탄성편(20b)의 고정돌기(5)에 결합하고, 상부하우징(10)을 닫으면, 상기 탄성편(20b)과 압압탄지편(20)이 각각 중심부를 향하여 탄력있게 밀착하여 고정단자(30)(30')의 긴밀한 접속상태가 유지되는 것이다.Thereafter, when the fixed
상기 상부하우징(10)과 하부하우징(2)을 동일한 구조로 구성하여 단일의 형태를 한쌍으로 조합하여 구성할 수 있다.The
즉,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대(12)가 형성된 상부하우징(10)의 일 측벽(11)에 체결편(14)을, 타 측벽(11')에는 체결홈(7')을 각각 구비하여 주면, 상부하우징(10) 또는 하부하우징(2)의 어느 하나만을 성형하여도 상기 지지대(12a)에 탄성편(20b)과 압압탄지편(20)을 선택적으로 장착하여 결합함으로써 완성된 하우징 본체(1)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That is, as shown in FIG. 8, the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체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a)(b)는 도 1의 A-A선 확대단면도로서 작용상태를 나타낸 단면도.Figure 2 (a) (b)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operating state a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of FIG.
도 3(a)(b)는 도 2(a)의 B-B선 단면도로서, 고정단자가 결합 되기 전, 후의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3 (a) and 3 (b) are cross-sectional views taken along the line B-B in FIG. 2 (a), showing a state before and after the fixed terminal is coupled.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서 다수의 고정수단과 결합수단을 구비한 커넥터를 나타낸 사시도.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nnector having a plurality of fastening means and coupling means a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a),(b)는 본 발명에 적용된 다른 고정수단을 나타낸 평면도 및 단면도. Figure 5 (a), (b) is a plan view and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fixing means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a),(b)는 다른 고정수단을 적용하여 작용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Figure 6 (a), (b)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operating state by applying another fixing means.
도 7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결합수단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분해사시도Figure 7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coupling means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도 7의 종단면도.8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of FIG.
도 9는 본 발명의 하우징을 고정하는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fixing the housing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의 사시도10 is a perspective view of a housing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code for main part of drawing
1 ; 하우징 본체 2 ; 하부하우징One ;
3 ; 힌지편 4 ; 안착부3;
5 ; 고정돌기 6, 11 ; 측벽5;
7 ; 체결홈 10 ; 상부하우징7; Fastening
12 ; 지지대 13 ; 고정홈12;
20 ; 압압탄지편 21 ; 결합공20; Pressed
22 ; 만곡부 30 ; 고정단자22;
Claims (10)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070947A KR100933377B1 (en) | 2007-07-16 | 2007-07-16 | Wire connecto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070947A KR100933377B1 (en) | 2007-07-16 | 2007-07-16 | Wire connector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90007816A KR20090007816A (en) | 2009-01-21 |
KR100933377B1 true KR100933377B1 (en) | 2009-12-22 |
Family
ID=404882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70070947A KR100933377B1 (en) | 2007-07-16 | 2007-07-16 | Wire connecto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933377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54088B1 (en) * | 2009-11-05 | 2010-04-23 | 주식회사 광림기술단 | Sleeve cover |
KR101601002B1 (en) * | 2016-01-19 | 2016-03-08 | 미래컨설턴트(주) | Distributing board for power distributing connection of an underground power line |
KR102213403B1 (en) | 2020-07-24 | 2021-02-08 | (주)주안전기 | Wire coupling device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31067Y1 (en) * | 2003-03-04 | 2003-10-22 | 박광수 | PlugTag |
KR200382285Y1 (en) * | 2005-01-28 | 2005-04-19 |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 Terminal connecting apparatus |
-
2007
- 2007-07-16 KR KR1020070070947A patent/KR100933377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31067Y1 (en) * | 2003-03-04 | 2003-10-22 | 박광수 | PlugTag |
KR200382285Y1 (en) * | 2005-01-28 | 2005-04-19 |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 Terminal connecting apparatus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90007816A (en) | 2009-01-2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7114991B2 (en) | Waterproof connector sealing member and waterproof connector | |
US5580264A (en) | Waterproofed connector | |
US7354308B2 (en) | Waterproof connector for flat cable | |
JP4775907B2 (en) | Waterproof connector and relay connector | |
CN111133648B (en) | Cable seal and device with housing | |
US6811441B2 (en) | Electrical cable strain relief and electrical closure | |
US20120149227A1 (en) | Waterproof connector | |
JP2002141137A (en) | Waterproof connector | |
EP3547461B1 (en) | Terminal block and vehicular device | |
US8177573B2 (en) | Waterproof plug and wiring harness having the same | |
JP2004192882A (en) | Ground joint connector | |
US9515404B2 (en) | Electrical contact plug and plug housing | |
KR100933377B1 (en) | Wire connector | |
JP2017017964A (en) | Electric wire housing protector | |
JP2006261121A (en) | Electric plug connector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 |
JP6569128B2 (en) | Terminal block | |
JP5979445B2 (en) | Terminal block | |
KR101413341B1 (en) | Crimp the wire gland packing with a structure | |
JP2009146768A (en) | Wire holder | |
JP2011054433A (en) | Waterproof connector | |
JP2016091970A (en) | Socket terminal structure | |
KR102343021B1 (en) | Electric device | |
JP2020061331A (en) | connector | |
JP4564395B2 (en) | Sealing member for connection terminal | |
JP2005166599A (en) | Wire connection structure of fuse box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1214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1216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1211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1204 Year of fee payment: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1124 Year of fee payment: 9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1211 Year of fee payment: 10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1223 Year of fee payment: 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