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32353B1 - 전선 연결이 용이한 유에스비 컨넥터 - Google Patents

전선 연결이 용이한 유에스비 컨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32353B1
KR100932353B1 KR1020080020011A KR20080020011A KR100932353B1 KR 100932353 B1 KR100932353 B1 KR 100932353B1 KR 1020080020011 A KR1020080020011 A KR 1020080020011A KR 20080020011 A KR20080020011 A KR 20080020011A KR 100932353 B1 KR100932353 B1 KR 1009323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case
plate
fitted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200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94977A (ko
Inventor
김성수
Original Assignee
(주)명보케이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명보케이블 filed Critical (주)명보케이블
Priority to KR10200800200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32353B1/ko
Publication of KR200900949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949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323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323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24Connections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or cutting insulation or cable strands
    • H01R4/2404Connections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or cutting insulation or cable strands the contact members having teeth, prongs, pins or needles penetrating the insulation
    • H01R4/2406Connections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or cutting insulation or cable strands the contact members having teeth, prongs, pins or needles penetrating the insulation having needles or pi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전선 연결이 용이한 유에스비 컨넥터(90)는, 여러 가닥의 전선(L)이 연결되도록 형성된 삽입부(100)와, 상기 삽입부(100)가 끼워져서 내장되는 수용부(200)로 구성되고, 상기 수용부(200)는 상기 삽입부(100)가 끼워지는 관 형상으로서 후방 상부가 개방된 케이스(210)와, 상기 개방된 후방 상부를 덮는 커버(220)로 구성되는 유에스비 컨넥터(90)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100)는 케이스(210)에 끼워지도록 형성된 플레이트(110)와, 상기 플레이트(110)에 부착되고 전선(L)이 내부로 수용되도록 구성된 블럭(120)으로 구성되고, 상기 플레이트(110)는 상면에 부착되고 후방에 첨예부(119)가 상방으로 돌출된 단자(118)가 구성되고, 상기 블럭(120)은 후방에 전선(L)이 끼워지는 삽입홀(121)과, 상기 블럭(120)의 하면(125)에 상기 첨예부(119)에 끼워지도록 형성된 절개홀(123)이 형성되며, 상기 커버(220)는 케이스(210)에 일체로 연결되어 구성될 수도 있음으로써, 단자(118)에 전선(L)을 연결하기 위해서, 전선(L)의 피복재(M)를 제거하여 구리선(C)을 노출시킬 필요가 없고, 단자(118)에 전선(L)을 연결하기 위해서, 땜납 작업을 하지 않아도 됨으로써, 작업이 용이하여 비숙력자도 작업할 수 있으므로 인건비가 적게 들고, 신속한 작업이 가능하여 작업성이 우수하다. 또한, 커버(220)가 케이스(210)에 일체로 연결된 경우, 하나의 금형으로 작업할 수 있고, 커버(220)를 케이스(210)에 부착하기 위한 홈 및 돌기 등이 구성되지 않음으로써 금형을 단순화할 수 있어서, 제작비가 적게 소요되는 발명에 관한 것이다.
유에스비 컨넥터, 단자, 첨예부, 블럭

Description

전선 연결이 용이한 유에스비 컨넥터{USB connector}
본 발명은 전선 연결이 용이한 유에스비 컨넥터에 관한 것으로서, 납땜에 의하지 않고서도 단자에 전선을 용이하게 연결할 수 있는 발명에 관한 것이다.
이하 첨부되는 도면과 관련하여 종래 기술의 구성과 조립 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이 적용된 유에스비 컨넥터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기술이 적용된 유에스비 컨넥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3은 종래의 기술이 적용된 유에스비 컨넥터에 구성되는 삽입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종래의 기술이 적용된 유에스비 컨넥터에 구성되는 삽입부의 하방이 위를 향하도록 도시한 사시도로서 함께 설명한다.
일반적으로 유에스비 컨넥터(1)Unioversal Serial Bus connector)는 컴퓨터 본체에 모뎀, 프린터, 외장 하드 등 다양한 주변 장치를 연결하기 위해 사용되는 일종의 플러그로서 전선(L)이 연결되어 컴퓨터 본체에 구성된 유에스비용 콘센터에 끼우도록 구성된 것이다.
상기 유에스비 컨넥터(1)는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여러 가닥의 전선(L)이 연결되도록 형성된 삽입부(10)와 상기 삽입부(10)가 끼워져서 내장되는 수용부(20)로 구성된다.
상기 삽입부(10)는 판상으로서 전후방으로 관통되어 단자(16)가 끼워지는 관통구(12)가 형성된 바디(11)가 형성되고, 상기 바디(11)의 후방 하단에는 판상의 후방돌출판(13)이 형성되고, 상기 후방돌출판(13)의 상면에는 상기 각 관통구(12)에 연통되고 상방으로 개방되어 단자(16)의 후방이 위치하는 단자홈(15)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바디(11)의 전방면에는 상단에서 전방으로 돌출되는 전방돌출판(14)이 형성되고 상기 전방돌출판(14)의 하면에는 각 관통구(12)에 연통되어 단자(16)가 삽입되는 단자홈(18)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관통구(12)를 통해 구리재인 판상의 단자(16)가 끼워져서 상기 바디(11)의 전후방에 형성된 단자홈(15, 18)에 삽입되어 전후방으로 노출된다.
상기 수용부(20)는 상기 바디(11)가 끼워지는 관 형상으로서 후방 상부가 개방된 케이스(21)와 상기 개방된 후방 상부를 덮도록 전후방과 하방이 개방된 커버(26)로 구성된다.
상기 케이스(21)는 상부가 개방된 후방의 측벽(22)에 상부로 개방된 홈(23)과 측방으로 관통되는 홀(24)이 형성된다.
상기 커버(26)는 상기 측벽(22) 내측으로 끼워지는 삽입벽(27)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벽(27)의 외측면에는 상기 홈(23)과 홀(24)에 끼워지는 돌기(28)가 각각 형성된다.
상기 바디(11)의 전방 하단에는 홈(K)이 형성되고 상기 케이스(21)의 내측면 에는 상기 홈(K)에 부합되는 돌기(미도시)가 형성됨으로써 삽입부(10)가 끼워질 경우, 관통되어 이탈하는 것을 저지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구성에 의한 종래 기술의 조립 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전선(L)의 종단부의 피복재(M)를 제거하여 구리선(C)이 노출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구리선(C)이 후방돌출판(13)에 노출된 단자(16)에 납땜 작업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한다. 이때, 각 단자(16)와 전선(L)은 단자홈(15)에 위치함으로써 상호 연결되어 합선되는 현상은 발생하지 않게 된다.
이렇게 전선(L)이 연결된 삽입부(10)를 수용부(20)의 케이스(21)의 후방으로 밀어 넣게 되면, 상기 바디(11)에 형성된 홈(K)이 케이스(21)의 돌기(미도시)에 걸려 바디(11)의 전진이 저지된다.
이 상태에서, 상기 커버(26)의 삽입벽(27)이 케이스(21)의 측벽(22) 내측으로 끼워지게 하면, 삽입벽(27)의 돌기(28)가 측벽(22)의 홈(23)과 홀(24)에 각각 끼워져 조립이 된다.
그리고, 상기 수용부(20)의 후방을 피복재(T)에 의해 피복되도록 한다.
이렇게 조립된 유에스비 컨넥터(1)를 유에스비 콘센터에 끼우게 되면, 단자(미도시)가 일측면에 부착된 플레이트(미도시)가 상기 케이스(21)와 전방돌출판(14) 사이로 끼워지면서 유에스비 컨넥터(1)의 단자(16)와 유에스비 콘센터(미도시)의 단자(미도시)가 접하면서 데이터의 전송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구성에 의한 종래 기술에 의하면, 여러 가닥의 전선을 상기 단자에 연결하기 위해서는 각 전선의 종단부의 피복재를 제거해서 구리선을 노출시킨 후, 상기 노출된 구리선을 단자에 일일이 납땜 작업에 의해 연결해야 하고, 상기 커버의 삽입벽을 케이스의 측벽 내측으로 밀어 넣은 후, 각 홈과 홀에 돌기를 부합시키도록 힘을 가해야 함으로써, 작업이 번거럽고, 신속하지 못하며, 납땜 작업의 경우 숙련도를 요구함으로써, 인건비가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케이스와 커버가 분리되어 구성됨으로써, 각각 금형을 따로 제작해야 하고, 상기 홈과 홀 및 상기 홈과 홀에 부합되는 돌기가 형성되도록 금형을 제작해야 함으로써, 제작비가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에 의한 전선 연결이 용이한 유에스비 컨넥터는, 여러 가닥의 전선이 연결되도록 형성된 삽입부와, 상기 삽입부가 끼워져서 내장되는 수용부로 구성되고, 상기 수용부는 상기 삽입부가 끼워지는 관 형상으로서 후방 상부가 개방된 케이스와, 상기 개방된 후방 상부를 덮는 커버로 구성되는 유에스비 컨넥터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는 상기 케이스에 끼워지도록 형성된 플레이트와, 상기 플레이트에 부착되고 전선이 내부로 수용되도록 구성된 블럭으로 구성되고, 상기 플레이트는 상면에 부착되고 후방에 첨예부가 상방으로 돌출된 단자가 구성되고, 상기 블럭은 후방에 전선이 끼워지는 삽입홀과, 상기 블럭의 하면에 상기 첨예부에 끼워지도록 형성된 절개홈이 형성되며, 상기 커버는 케이스에 일체로 연결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전선 연결이 용이한 유에스비 컨넥터는 단자에 전선을 연결하기 위해서, 전선의 피복재를 제거하여 구리선을 노출시킬 필요가 없고, 단자에 전선을 연결하기 위해서, 땜납 작업을 하지 않아도 됨으로써, 작업이 용이하여 비숙력자도 작업할 수 있으므로 인건비가 적게 들고, 신속한 작업이 가능하여 작업성이 우수하다. 또한, 커버가 케이스에 일체로 연결된 경우, 하나의 금형으로 작업할 수 있고, 커버를 케이스에 부착하기 위한 홈 및 돌기 등이 구성되지 않음으로써 금형을 단순화할 수 있어서, 제작비가 적게 소요되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되는 도면과 관련하여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과 조립 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5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전선 연결이 용이한 유에스비 컨넥터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전선 연결이 용이한 유에스비 컨넥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전선 연결이 용이한 유에스비 컨넥터에 구성되는 삽입부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전선 연결이 용이한 유에스비 컨넥터에 구성되는 삽입부로서 전선이 끼워진 블럭이 플레이트에 조립되는 과정을 도시한 조립 공정도, 도 9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전선 연결이 용이한 유에스비 컨넥터의 삽입부에 구성되는 블럭에 전선이 끼워지는 과정을 도시한 조립 공정도, 도 10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전선 연결이 용이한 유에스비 컨넥터에서 단자의 첨예부가 전선의 피복을 관통하여 구리선에 연결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로서 함께 설명한다.
일반적으로 유에스비 컨넥터(90)는 컴퓨터 본체에 모뎀, 프린터, 외장 하드 등 다양한 주변 장치를 연결하기 위해 사용되는 일종의 플러그로서 전선(L)이 연결되어 컴퓨터 본체에 구성된 유에스비 콘센터(미도시)에 끼우도록 구성된 것이다.
상기 일반적인 유에스비 컨넥터(90)는 여러 가닥의 전선(L)이 연결되도록 형성된 삽입부(100)와 상기 삽입부(100)가 끼워져서 내장되는 수용부(200)로 구성되고, 상기 수용부(200)는 상기 삽입부(100)가 끼워지는 관 형상으로서 후방 상부가 개방된 케이스(210)와 상기 개방된 후방 상부를 덮는 커버(220)로 구성된다.
본 발명은 상기 삽입부(100)에 장착된 단자(118)에 전선(L)을 납땜 작업에 의하지 않고 용이하게 연결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다음과 같이 구성한다.
상기 삽입부(100)는 상기 케이스(210)에 끼워지도록 형성된 플레이트(110)와 상기 플레이트(110)에 부착되고 전선(L)이 내부로 수용되도록 구성된 블럭(120)으로 구성된다.
상기 플레이트(110)는 판상으로서 상면에 돌출벽(112)이 케이스(210)에 수용 시, 케이스(210) 내부를 폐색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돌출벽(112)에는 판상이고 구리로 된 단자(118)가 관통하도록 관통구(113)가 형성된다. 그리고 판상의 단자(118)가 상기 관통구(113)를 통해 끼워진 후, 플레이트(110)의 상면에 부착되도 록 구성된다. 상기 단자(118)는 후방에 첨예부(119)가 상방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블럭(120)은 후방에 전선(L)이 끼워지는 삽입홀(121)이 형성되고, 상기 블럭(120)의 하면에는 상기 삽입홀(121)에 연통되고 상기 첨예부(119)에 끼워지도록 형성된 절개홀(123)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블럭(120)의 삽입홀(121)에 전선(L)을 끼운 후, 상기 블럭(120)의 절개홀(123)에 첨예부(119)가 끼워지도록 플레이트(110)의 상면에 부착하게 되면, 첨예부(119)가 전선(L)의 피복재(M)를 뚫고 구리선(C)에 접하거나 파고들게 되어 전기적 도통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에서 단자(118)가 플레이트(110)에 부착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일례로 관통구(113) 전후방으로 판상의 단자(118)가 삽입되는 연접홈(114)이 형성되고, 상기 연접홈(114) 후방에는 상기 첨예부(119)의 하방이 삽입되는 홈(116)이 또한 형성되도록 한다. 상기 단자(118)는 판상으로서 후방으로는 칼날형상의 첨예부(119)가 형성되는 데, 도면에서처럼 뾰족한 부분이 다수 개 형성된 것도 가능하고, 칼날처럼 형성된 것도 가능하다. 따라서, 상기 연접홈(114)에 단자(118)가 끼워진 후, 후방의 칼날 형상의 첨예부(119)의 하단이 상기 홈(115)에 끼워지도록 한다.
또한, 상기 블럭(120)이 플레이트(110)에 부착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상기 플레이트(110)의 후방 측방으로 홈(116)이 형성되도록 하고, 상기 홈(116)의 측면(E)에는 돌기(117)가 형성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블럭(120)은 하면의 좌우측에 상기 홈(116)에 끼워지는 측벽(127)이 형성되고 상기 측벽(127)의 내측으로는 상기 돌기(117)에 접하는 돌기(129)가 형성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블럭(120)의 측벽(127)을 플레이트(110)의 홈(116)에 밀어넣게 되면, 측벽(127)의 돌기(129)가 플레이트(110)의 돌기(117)를 넘어서면서 결착이 가능하게 되고, 이때, 첨예부(119)가 절개홀(123)을 지나서 전선(L)의 피복재(M)를 관통하게 된다. 상기 블럭(120)은 플레이트(110)에 부착 시, 상기 돌출벽(112)에 부합하도록 형성됨으로써, 용이하게 케이스(210) 내부로 수용이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아울러, 상기 구성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210)의 상방으로 개방된 부분의 전방에 상기 커버(220)가 일체로 연결되어 절곡에 의해 상하로 회동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플레이트(110)의 돌출벽(112) 전방에는 홈(미도시)이 형성되고, 케이스(210)의 내측면에는 돌기(미도시)가 형성되어, 삽입부(100)를 밀어넣을 때, 케이스(210) 내부를 관통하지 않도록 저지된다.
상기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의 조립 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전선(L)을 구리선(C)이 노출되지 않은 상태에서 그대로 상기 블럭(120)의 삽입홀(121)로 끼운다. 그리고 플레이트(110)에 부착된 단자(118)의 첨예부(119)가 상기 블럭(120)의 절개홀(123)을 관통하도록 플레이트(110)의 후방 상면에 부착하도록 한다. 그러면, 첨예부(119)가 전선(L)의 피복재(M)를 뚫고 구리선(C)에 접하거나 파고들게 되어 삽입부(100)가 조립된다.
상기 삽입부(100)를 케이스(210)에 밀어넣은 후, 커버(220)를 하방으로 회동시키면 조립이 완료된다. 그리고 나서, 상기 수용부(200)의 후방을 절연재인 피복 재(M)가 피복하도록 한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이 적용된 유에스비 컨넥터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기술이 적용된 유에스비 컨넥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3은 종래의 기술이 적용된 유에스비 컨넥터에 구성되는 삽입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종래의 기술이 적용된 유에스비 컨넥터에 구성되는 삽입부의 하방이 위를 향하도록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전선 연결이 용이한 유에스비 컨넥터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전선 연결이 용이한 유에스비 컨넥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전선 연결이 용이한 유에스비 컨넥터에 구성되는 삽입부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전선 연결이 용이한 유에스비 컨넥터에 구성되는 삽입부로서 전선이 끼워진 블럭이 플레이트에 조립되는 과정을 도시한 조립 공정도.
도 9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전선 연결이 용이한 유에스비 컨넥터의 삽입부에 구성되는 블럭에 전선이 끼워지는 과정을 도시한 조립 공정도.
도 10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전선 연결이 용이한 유에스비 컨넥터에서 단자의 첨예부가 전선의 피복을 관통하여 구리선에 연결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사용된 부호의 설명*
100: 삽입부 110: 플레이트
112: 돌출벽 113: 관통구
118: 단자 119: 첨예부
120: 블럭 121: 삽입홀
123: 절개홀 200: 수용부
210: 케이스 220: 커버

Claims (2)

  1. 전선(L)이 연결되도록 형성된 삽입부(100)와,
    상기 삽입부(100)가 끼워져서 내장되는 수용부(200)로 구성되고,
    상기 수용부(200)는 상기 삽입부(100)가 끼워지는 관 형상으로서 후방 상부가 개방된 케이스(210)와,
    상기 개방된 후방 상부를 덮는 커버(220)로 구성되는 유에스비 컨넥터(90)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100)는 상기 케이스(210)에 끼워지도록 형성된 플레이트(110)와,
    상기 플레이트(110)에 부착되고 전선(L)이 내부로 수용되도록 구성된 블럭으(120)로 구성되고,
    상기 플레이트(110)는 상면에 부착되고 후방에 첨예부(119)가 상방으로 돌출된 단자(118)가 구성되고,
    상기 블럭(120)은 후방에 전선(L)이 끼워지는 삽입홀(121)과,
    상기 블럭(120)의 하면에 상기 첨예부(119)에 끼워지도록 형성된 절개홀(123)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 연결이 용이한 유에스비 컨넥터.
  2. 삭제
KR1020080020011A 2008-03-04 2008-03-04 전선 연결이 용이한 유에스비 컨넥터 KR1009323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0011A KR100932353B1 (ko) 2008-03-04 2008-03-04 전선 연결이 용이한 유에스비 컨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0011A KR100932353B1 (ko) 2008-03-04 2008-03-04 전선 연결이 용이한 유에스비 컨넥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94977A KR20090094977A (ko) 2009-09-09
KR100932353B1 true KR100932353B1 (ko) 2009-12-16

Family

ID=412953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20011A KR100932353B1 (ko) 2008-03-04 2008-03-04 전선 연결이 용이한 유에스비 컨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3235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1518Y1 (ko) 2016-05-25 2016-10-13 주식회사 제이앤티씨 휴대 단말기용 유에스비 플러그 커넥터
KR200481608Y1 (ko) 2016-03-25 2016-10-21 주식회사 제이앤티씨 마이크로 유에스비 그라운드 쇼트형 플러그커넥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90009120Y1 (en) * 1987-08-22 1989-12-15 Cho Yuk Rae Connector for p.c.b.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90009120Y1 (en) * 1987-08-22 1989-12-15 Cho Yuk Rae Connector for p.c.b.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1608Y1 (ko) 2016-03-25 2016-10-21 주식회사 제이앤티씨 마이크로 유에스비 그라운드 쇼트형 플러그커넥터
KR200481518Y1 (ko) 2016-05-25 2016-10-13 주식회사 제이앤티씨 휴대 단말기용 유에스비 플러그 커넥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94977A (ko) 2009-09-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62056B2 (en) Electric wire connector for press connecting electric wires
EP1738436B1 (en) A cap, a termination assembly and a housing assembly for a modular telecom connection jack
US7802994B1 (en) Combination of connector assembly and two printed circuit boards
US7976334B2 (en) Capped insulation displacement connector (IDC)
US7413464B1 (en) Socket with integrated insulation displacement connection terminals
US7357661B2 (en) Pressure coupling connector
JP2012015114A (ja) 圧接コネクタ
JPH09204943A (ja) モジュラープラグ用ガイドプレート
CN110679042B (zh) 将第一电线与第二电线连接的设备和方法
US5704811A (en) Electrical plug structure
JP2018049827A (ja) 電気ケーブルコネクタおよびこれを組み立てる方法
CN107112643B (zh) 用于柔性导体膜的插头连接器
US5464352A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KR100932353B1 (ko) 전선 연결이 용이한 유에스비 컨넥터
US6716056B1 (en) Connector
US20110250797A1 (en) Cable assembly with improved terminating means
EP2879198A1 (en) Battery assembly internal connection device
JP2632582B2 (ja) ワイヤとコネクタ装置の接続方法及びワイヤ・ケーブルとコネクタ装置との組合わせ
JP6792286B2 (ja) 同軸コネクタ
US4409713A (en) Electrical connector application tool
US20190123493A1 (en) Circuit board connection device
KR101598943B1 (ko) Ffc 커넥터
JP4317482B2 (ja) 電気コネクタ
US20100159735A1 (en) Connector with simplified mounting for a multiple conductor cable
KR20100000659U (ko) 커넥팅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0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5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