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31503B1 - Rfid 태그의 사용자 데이터 영역을 이용한 코드 해석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Rfid 태그의 사용자 데이터 영역을 이용한 코드 해석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31503B1
KR100931503B1 KR1020070127551A KR20070127551A KR100931503B1 KR 100931503 B1 KR100931503 B1 KR 100931503B1 KR 1020070127551 A KR1020070127551 A KR 1020070127551A KR 20070127551 A KR20070127551 A KR 20070127551A KR 100931503 B1 KR100931503 B1 KR 1009315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object identifier
code
location
ta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275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60651A (ko
Inventor
유상근
이준섭
김용운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0701275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31503B1/ko
Publication of KR200900606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606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315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315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7Constructional details, e.g. mounting of circuits in the carrier
    • G06K19/07701Constructional details, e.g. mounting of circuits in the carrier the record carrier comprising an interface suitable for human interaction
    • G06K19/07713Constructional details, e.g. mounting of circuits in the carrier the record carrier comprising an interface suitable for human interaction the interface, upon reception of an interrogation signal, being capable of signaling to indicate its position to a user or a detection de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0Protocols in which an application is distributed across nodes in the network
    • H04L67/1097Protocols in which an application is distributed across nodes in the network for distributed storage of data in networks, e.g. transport arrangements for network file system [NFS], storage area networks [SAN] or network attached storage [NA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08Protocols for interworking; Protocol convers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06Optimizing the usage of the radio link, e.g. header compression, information sizing, discarding inform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RFID 태그의 사용자 데이터 영역을 이용한 코드 해석 방법 및 장치는 RFID와 같은 전자적 저장 매체 또는 2 차원 바코드와 같은 물리적 저장 매체에 저장된 다양한 코드를 해석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2 차원 바코드나 식별 정보를 담고 있는 RFID 태그를 사물에 부착하고, 이를 판독기로 읽어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하여 정보를 처리하는 기술이 급속히 발달함에 따라 새로운 객체 식별자 정보가 나타나게 되고 이에 대한 정보는 기존의 태그 정보만으로는 알 수 없게 되었다.
따라서, RFID 태그에 저장된 다양한 목적에 따른 새로운 다양한 코드 정보를 해석하기 위해 각 코드 종류에 따라 적절한 변환 및 해석을 요하게 되었고, 이러한 다양한 RFID 태그의 해석 및 빠른 정보 검색을 위하여 사용자 데이터 영역을 이용하여 코드를 해석하는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RFID, 코드 해석

Description

RFID 태그의 사용자 데이터 영역을 이용한 코드 해석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OF CODE RESOLUTION USING APPLICATION DATA AREA IN RFID SYSTEM}
본 발명은 코드 해석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RFID 태그의 사용자 데이터 영역을 이용하여 코드를 해석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정보통신부 및 정보통신연구진흥원의 정보통신표준개발지원사업의 일환으로 수행한 연구로부터 도출된 것이다[과제관리번호: 2007-P10-07, 과제명: USN 네트워킹 및 응용기술 표준개발].
최근, RFID 태그(전자 태그)를 사물에 부착하고, 판독기에 의해 상기 사물에 대한 정보를 판독하여, 네트워크를 통해 유/무선으로 호스트 컴퓨터와 같은 정보 처리 시스템으로 전송하여 정보를 처리하는 기술들이 급속도로 발전하고 있다.
RFID 리더기와 같은 판독기는 저장 매체에 기록된 코드를 판독하여, 이를 적합한 형태로 변환하고, 변환된 정보를 코드 해석 서버로 보내 저장 매체로부터 획득한 코드에 해당하는 다양한 정보 등을 획득할 수 있도록 한다.
이 때 RFID 리더기가 읽는 태그 정보에는 객체 식별자가 포함되는데, 이는 저장 매체에 기록된 정보가 어떤 종류의 정보인지 나타내는 정보이며. 또한 ISO(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와 같은 국제 표준화 기구에 의해 전자 태그와 같은 저장 매체에 정보 기록 시, 정보의 종류를 나타내기 위해 정보에 대한 객체 식별자를 함께 기록되도록 표준화가 되어 있다.
이 경우, 판독기를 포함한 시스템은 특정 객체 식별자로 식별되는 코드만을 처리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으며, 또한 많은 종류의 코드를 해석하도록 판독기를 제조한다 할지라도 그 후에 새로 생성되는 다양한 종류의 코드를 해석할 수 없다는 한계가 있다.
또한, 새로 생성되는 다양한 종류의 코드 해석을 위한 정보를 제공 받는 경우, 객체 식별자의 계층 구조에 기인한 계층적 검색을 실시하게 되어 해당 정보 위치 검색에 시간이 많이 소요된다는 점이 문제가 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이러한 객체 식별자를 이용한 코드해석 과정에서 계층적인 처리과정을 없애고 대상 객체 식별자에 대한 해석 서버의 위치를 직접 태그의 사용자 데이터 영역에 저장하여 단말이 대상 객체 식별자에 대한 해석 서버로 직접 접속하여 코드 해석 방법을 획득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고,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 일실시예에 따른 정보 판독기 제어 방법은 태그의 사용자 데이터 영역에 객체 식별자를 해석할 수 있는 정보의 위치를 저장하는 단계, 태그를 감지하고, 상기 감지된 태그의 객체 식별자를 포함한 코드 정보를 해석하는 단계, 상기 코드 정보가 해석이 되지 않는 경우, 상기 태그의 사용자 데이터 영역에 저장된 정보의 위치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획득된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객체 식별자 해석 서버에 상기 객체 식별자에 관련된 코드 정보를 요청하여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객체 식별자 해석 서버 제어 방법은 태그에 저장된 객체 식별자 정보와 연관된 코드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상기 객체 식별자 정보를 이용한 요청에 따라 상기 객체 식별자에 해당하는 코드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정보 판독기는 객체 식별자 정보, 코드 정 보, 객체 식별자 관련 정보의 저장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태그 정보를 읽어오는 리딩부, 상기 리딩부에서 읽어온 정보를 해석하는 정보 판독부,상기 정보 판독부에서 해석 시 필요한 정보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객체 식별자 해석 서버에 해당 객체 식별자와 관련된 코드의 해석 방법을 요청하는 객체 식별자 정보 갱신부, 상기 객체 식별자 정보 갱신부로부터 제공 받은 코드와 관련된 콘텐츠의 위치를 찾기 위해 위치 제공 서버로 해당 코드에 대한 관련 정보 제공 서버의 위치를 질의 하는 위치 질의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발명의 방법을 통해 객체 식별자에 기반한 코드 해석을 수행함에 있어 코드 해석을 수행하는 객체의 계층적 구조에 구애됨이 없이 대상 객체로 직접 접근하여 코드 해석 방법을 단말이 획득할 수 있어 응답 시간이 빨라진다.
또한, 계층적 구조에 따른 다단계의 검색 과정 대신 한 번의 검색만으로 관련 정보를 취득하게 되므로 객체 식별자에 대한 코드 정보 저장 장소 및 하드웨어적 구성이 보다 간단해 진다는 이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 및 상기 첨부된 도면들에 기재된 내용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실시 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한편,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terminology)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적절히 표현하기 위해 사용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본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RFID 태그는 태그가 부착되어 있는 객체에 대한 유일한 식별자인 코드를 저장하고 있다. 이러한 코드는 그 목적에 따라 많은 종류가 있으며 대부분의 경우 태그에 저장된 코드를 단말에서 읽으면 코드의 종류를 파악할 수 있고 코드의 종류에 따라 적절한 변환을 거쳐 변환된 코드를 코드 해석 객체를 이용하여 해석을 요청한다.
코드 해석 결과는 태그가 부착된 물건의 정보나 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 위치정보를 포함하고 있고, 사용자는 그러한 서비스를 적절하게 선택하여 사용하게 된다.
이러한 코드를 해석하기 위해서는 태그를 읽는 단말은 태그에 저장된 코드를 읽은 후 코드의 종류를 파악할 수 있어야 한다. 단말이 코드의 종류를 파악할 수 없는 경우 단말은 코드 해석 객체로 질의하기 위한 적절한 형태의 변환을 수행할 수 없으며 이에 따라 코드의 해석은 실패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객체 식별자(OID:Object Identifier) 정보를 이용하여 코드를 해석하고, 국제표준을 따르는 모든 코드를 태그에 저장하기 위해서 코드의 종류를 알려주는 객체 식별자를 태그에 코드와 함께 저장하도록 하였다. 신규 코드가 추가되는 경우 신규 코드에 대한 해당 신규 객체 식별자 정보를 저장하며, 코드를 읽은 단말은 신규 코드를 위한 객체 식별자 값의 획득은 가능하지만 어떠한 종류의 코드인지는 판별할 수 없다.
따라서 이를 위해 객체 식별자 정보를 통해 단말이 인식한 객체 식별자를 전달하여 해당 코드를 해석할 수 있는 방법을 요청되고, 객체 식별자 정보를 통해 코드 해석 방법을 전달받은 단말은 지시된 방법에 따라 코드를 변환하여 코드 해석 서버로 코드 해석을 요청한다. 이후 과정은 일반적인 경우와 같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저장 매체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도 1 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저장 매체의 구조를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예를 들어, 전자 태그와 같은 저장 매체(100)는 객체 식별자 영역(110), 코드 영역(120), 응용 데이터 영역(130)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응용 데이터 영역(130)에 저장되는 정보는 IP, URL 혹은 그 밖의 저장 위치를 나타낼 수 있는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이 적용되기 위해서는 단말이 응용 데이터 영역에 저장되어 있는 위치(객체 식별자 해석 서버의 위치)정보를 인식할 수 있는 과정이 필요하다. 이에 따라 단말이 읽은 정보가 위치정보임을 알게 되고 자신이 해석하지 못하는 코드에 대한 OID 값을 해당 위치정보를 통해 객체 식별자 해석 서버로 질의해야 한다.
일반적으로 코드 정보와 객체 식별자 정보의 제공 단계는 계층적 구조를 가지게 된다. 계층적 구조란 초기에 단말의 요청을 처리하지 못하는 경우 최상위 계층으로 요청이 전달되고 최상위 계층으로부터 계층적인 형태로 대상 위치 정보를 찾을 때까지 요청이 전달되는 과정을 따른다.
그러나, 이러한 응용 데이터 영역(130)에 객체 식별자 해석 서버의 위치를 저장함으로써 계층적 구조를 통하지 않고 바로, 상기 객체 식별자 정보에 대한 객체 식별자 해석 서버의 위치로의 접근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은 두 가지 과정으로 구성할 수 있는데, 첫째는 태그의 사용자 데이터 영역에 객체 식별자를 해석할 수 있는 객체 식별자 해석 서버의 위치를 저장하는 과정과 둘째는 단말에서 이를 이용하여 해당 객체 식별자 해석 서버에 접속한 후 단말이 읽은 코드에 대한 해당 식별자를 전달하여 해당 코드를 해석하는 방법을 전달받는 과정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코드 해석 과정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며, 상기 두 가지 과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 에 따르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코드 해석 과정은 태그의 사용자 데이터 영역에 객체 식별자를 해석할 수 있는 객체 식별자 해석 서버의 위치를 저장한 전자 태그(100) 와 객체 식별자 해석 서버(210), 정보 판독 단말(220), 위치 제공 서버(230), 관련 정보 제공 서버(240)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태그의 사용자 데이터 영역에 저장된 객체 식별자의 해석을 위한 객체 식별자 해석 서버의 위치는 일반적으로 IP 주소 혹은 URL 등 인터넷에서 평상적으로 사 용되는 위치 정보의 형태로 저장될 수 있다. 태그에 위치 정보를 저장하는 경우, 정보 판독 단말(220)이 사용자 데이터 영역(130)에 저장된 정보가 객체 식별자(110)의 해석을 위한 객체 식별자 해석 서버의 위치라는 사실을 인지할 수 있어야 한다.
상기 정보 판독 단말(220)이 사용자 데이터 영역(130)에 저장된 정보 객체 식별자의 해석을 위한 객체 식별자 해석 서버의 위치라는 사실을 알리기 위해 사용되는 방법은 본 발명에서는 명세하지 않는다. 표준화된 방법을 통하여 객체 식별자의 해석을 위한 객체 식별자 해석 서버의 위치 정보를 저장할 수 있거나 또한 응용에 따라 특별한 방법으로 객체 식별자의 위치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태그에 저장된 코드의 객체 식별자(110)를 획득한 상기 정보 판독 단말(220)은 해당 객체 식별자가 상기 단말(220)이 인지하지 못하는 객체 식별자인 경우 사용자 데이터 영역(130)에 저장된 객체 식별 해석 객체의 위치로 직접 접속하여 코드 해석 정보를 요청하여 코드 해석 방법을 획득한다.
일상적인 경우, 정보 판독 단말(220)은 자신이 읽은 코드의 종류를 판별할 수 있는 경우 코드를 적절한 형태로 가공하여 위치 제공 서버(230)로 전달하여 코드 해석을 요청하는 과정을 따른다. 그러나, 새로운 코드가 등장하여 새로운 객체 식별자(110)를 할당 받은 경우 정보 판독 단말(220)은 새로운 객체 식별자를 인식하기 위한 소프트웨어를 갱신하지 않는 한 새로운 객체 식별자를 인식할 수 없다. 즉, 상기 객체 식별자(110)를 인식하지 못하는 경우, 해당 코드에 대한 인식이 불가능함과 동시에 코드 해석을 위한 질의 자체가 불가능해진다. 이러한 경우, 인식 하지 못한 객체 식별자를 객체 식별자를 해석하는 객체로 전달하여 계층적 과정을 수행함으로써 새로운 코드 해석 방법을 획득하는 것이 기존의 방법이다.
본 발명에서는, 정보 판독 단말(220)에서 인식하지 못한 객체 식별자(110)를 객체 식별자 해석 객체로 전달하기 위해 정보 판독 단말(220)에 기본적으로 저장된 객체 식별자 해석 객체의 위치를 사용하는 방법을 따르지 않는다. 이러한 기존의 방식을 따르는 경우 객체 식별자의 계층 구조를 따르기 때문에 효율적이지 않아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사용자 데이터 영역에 저장된 객체 식별자 해석 객체의 위치 정보를 이용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정보 판독 단말(220)에서 읽은 코드(120)에 대한 객체 식별자를 인식하지 못하는 경우, 정보 판독 단말(220)은 RFID 태그의 사용자 데이터 영역(130)에 저장되어 있는 객체 식별자 해석 객체의 위치로 직접 접속하여 해당 객체 식별자에 대한 코드의 해석 방법을 요청한다.
이때 상기 객체 식별자 해석 서버(210)는 태그에 저장된 객체 식별자 정보와 연관된 코드 정보를 저장하고 있으며, 상기 정보 판독 단말(220)의 객체 식별자 정보를 이용한 요청에 따라 상기 객체 식별자(130)에 해당하는 코드(120)의 해석 정보를 제공하게 된다. 또한, 이러한 객체 식별자 해석 서버(210)는 계속적으로 확장되는 다양한 분야에 대한 새로운 객체 식별자 정보를 갱신함으로써 기존의 코드 정보 만으로 판독할 수 없는 새로운 분야의 코드 정보도 제공이 가능하게 된다.
객체 식별자 해석 서버(210)는 정보 판독 단말(220)로부터 새로운 객체 식별자가 할당된 코드의 해석 방법을 적절한 형태로 정보 판독 단말(220)에게 제공하게 되며 객체 식별자 해석 서버(210)로부터 코드 해석 방법을 전달받은 정보 판독 단말(220)은 획득한 방법에 따라 코드를 인식하여 적절한 형태로 가공한 후 위치 제공 서버(230)로 코드 해석을 요청한다.
객체 식별자 해석 서버(210)는 코드를 어떻게 인식할 지의 여부 즉, 코드 해석 서버로 질의하기 위한 적합한 형태로 변환하기 위해서는 코드를 인식하여 가공해야 하는데 코드를 인식하지 못하면 가공을 할 수 없으므로 코드의 해석 방법, 즉 인식 방법을 제공하여 준다. 단말은 이러한 정보를 이용하여 코드를 인식한 후 적합한 형태로 가공하게 된다.
코드 해석을 요청 받은 위치 제공 서버(230)는 해당 코드(120)를 해석하여 해당 코드와 관련된 콘텐츠나 서비스의 위치 정보를 정보 판독 단말(220)에게 알려준다. 위치 제공 서버(230)로부터 해당 코드에 대한 콘텐츠나 서비스의 위치를 전달받은 정보 판독 단말(220)은 원하는 서비스를 선택하여 해당 위치로 접속한다.
이렇게 기존의 객체 식별자 해석 객체의 계층적 구조에 따른 해석 방법이 아닌 객체 식별자에 대한 객체 식별자 해석 서버의 위치 정보를 직접 이용하는 경우 시간상의 절약과 함께 불필요한 네트워크 동작과 트래픽을 방지할 수 있어 기존의 방법보다 훨씬 효율적인 방법이라 할 수 있다.
상기의 과정에 의해 필요한 객체 식별자 해석 서버(210)의 위치 정보를 파악한 상기 정보 판독 단말(220)은 유/무선 통신 및 카메라 등의 다양한 방법을 통해 사물에 부착되어 있는 저장 매체(100)에 기록된 객체 식별자 및 코드를 읽어 해석한다. 여기서 상기 정보 판독 단말(220)의 예로는 전자 정보 저장 매체(예를 들어, 태그)를 읽을 수 RFID 리더기, 바코드 리더기 등을 들 수 있다.
위치 제공 서버(230)는 상기 정보 판독 단말(220)에게 상기 코드에 대응하는 콘텐츠의 위치 정보를 제공하게 되며, 이를 제공 받은 정보 판독 단말(220)은 이를 이용하여 관련 정보 제공 서버(240)에 콘텐츠 기타 정보를 요청하여 획득하게 된다.
관련 정보 제공 서버(240)는 상기 코드 정보에 해당하는 콘텐츠 기타 정보를 상기 정보 판독 단말(220)에 전송한다.
도 3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정보 판독 단말(정보 판독기)의 구성도이다.
이하, 도 3 을 참조하여 정보 판독 단말(220)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 3 에 따른 정보 판독 단말(220)은 리딩부(310), 정보 판독부(320), 위치 질의부(330), 객체 식별자 정보 갱신부(340)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리딩부(310)는 객체 식별자 정보, 코드 정보, 객체 식별자 관련 정보의 저장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태그 정보를 읽어오고, 정보 판독부(320)는 상기 리딩부에서 읽어온 정보를 해석하는 역할을 한다.
위치 질의부(330)는 위치 제공 서버(230)로 상기 객체 식별자 정보 갱신부(340)로부터 제공 받은 코드와 관련된 콘텐츠의 위치를 찾기 위해 위치 제공 서버로 해당 코드에 대한 관련 정보 제공 서버의 위치를 질의 한다.
객체 식별자 정보 갱신부(340)는 상기 정보 판독부(320)에서 해석 시 필요한 정보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객체 식별자 해석 서버에 해당 객체 식별자와 관련된 코드의 해석 방법을 요청한다.
도 4 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정보 판독 단말의 제어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상기 정보 판독 단말(220)은 처음 본 발명에 따른 태그의 사용자 데이터 영역에 객체 식별자를 해석할 수 있는 정보의 위치가 저장된 후, 상기의 정보가 저장된 태그(100)를 감지하고, 상기 감지된 태그의 객체 식별자를 포함한 코드 정보(120)를 해석한다(S410). 이때 상기 코드 정보가 해석 불가능한 경우(S420), 즉 해당 객체 식별자 정보(110)를 해석 할 수 없는 경우에는 상기 객체 식별자 정보는 기존의 정보가 아닌 다양한 목적에 따른 새로운 다양한 코드 정보인 바 이에 대한 정보를 얻기 위해 상기 태그의 사용자 데이터 영역(130)에 저장된 정보(객체 식별자 해석 서버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게 된다(S430). 그 후, 상기 획득된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객체 식별자 해석 서버에 상기 객체 식별자에 관련된 코드 정보를 요청하여 획득하게 된다(S440).
상기와 같은 과정에 의해 객체 식별자 해석 서버(210)로부터 계층적 구조를 모두 거칠 필요 없이 한 번에 필요한 코드 해석 정보를 얻은 후, 상기 획득된 코드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 데이터 영역에 저장되어 있는 정보의 위치로 해당 코드에 대한 해석 방법을 질의하게 되고, 상기 질의에 대해 정보의 위치로부터 관련 정보를 응답 받은 정보 판독 단말(220)은 상기 수신한 정보에 따라 관련 정보 제공 서버(240)로부터 상기 코드 관련 콘텐츠 기타 정보를 제공 받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RFID 태그의 사용자 데이터 영역을 이용한 코드 해석 방법 및 장치는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이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저장 매체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코드 해석 과정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정보 판독 단말의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정보 판독 단말의 제어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저장 매체;
110 : 객체 식별자;
120 : 코드;
130 : 응용 데이터 영역;
210 : 객체 식별자 해석 서버;
220 : 정보 판독 단말;
230 : 위치 제공 서버;
240 : 관련 정보 제공 서버;

Claims (7)

  1. 사용자 데이터 영역에 객체 식별자의 해석을 위한 객체 식별자 해석 서버의 위치 정보를 저장하는 태그를 감지하고, 상기 감지된 태그의 객체 식별자를 포함한 코드 정보를 해석하는 단계;
    상기 코드 정보가 해석이 되지 않는 경우, 상기 태그의 사용자 데이터 영역에 저장된 상기 객체 식별자 해석 서버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획득된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객체 식별자 해석 서버에 상기 객체 식별자에 관련된 코드 정보를 요청하여 획득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판독기 제어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객체 식별자 해석 서버로부터 코드 해석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코드 해석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태그의 객체 식별자를 해석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판독기 제어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태그는 객체 식별자 정보, 코드 정보, 또는 객체 식별자 관련 정보의 저장 위치 정보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판독기 제어 방법.
  4. 삭제
  5. 삭제
  6. 사용자 데이터 영역에 객체 식별자를 해석할 수 있는 정보의 위치를 저장하는 태그를 감지하고, 상기 태그로부터 객체 식별자 정보, 코드 정보, 객체 식별자 관련 정보의 저장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태그 정보를 읽어오는 리딩부;
    상기 리딩부에서 읽어온 태그 정보를 해석하는 정보 판독부;
    상기 정보 판독부에서 판독 시 필요한 정보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객체 식별자 해석 서버에 해당 객체 식별자와 관련된 코드의 해석 방법을 요청하는 객체 식별자 정보 갱신부; 및
    상기 객체 식별자 정보 갱신부로부터 제공 받은 코드와 관련된 콘텐츠의 위치를 찾기 위해 위치 제공 서버로 해당 코드에 대한 관련 정보 제공 서버의 위치를 질의 하는 위치 질의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판독기.
  7. 삭제
KR1020070127551A 2007-12-10 2007-12-10 Rfid 태그의 사용자 데이터 영역을 이용한 코드 해석방법 및 장치 KR1009315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7551A KR100931503B1 (ko) 2007-12-10 2007-12-10 Rfid 태그의 사용자 데이터 영역을 이용한 코드 해석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7551A KR100931503B1 (ko) 2007-12-10 2007-12-10 Rfid 태그의 사용자 데이터 영역을 이용한 코드 해석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60651A KR20090060651A (ko) 2009-06-15
KR100931503B1 true KR100931503B1 (ko) 2009-12-11

Family

ID=409903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27551A KR100931503B1 (ko) 2007-12-10 2007-12-10 Rfid 태그의 사용자 데이터 영역을 이용한 코드 해석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31503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7762B1 (ko) 2006-03-07 2007-02-2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코드 해석 장치, 코드정보 제공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7762B1 (ko) 2006-03-07 2007-02-2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코드 해석 장치, 코드정보 제공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60651A (ko) 2009-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87762B1 (ko) 코드 해석 장치, 코드정보 제공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방법
US933198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iltering URL
KR100733986B1 (ko) Ip주소 기반 rfid 서비스를 위한 rfid 태그 및그를 이용한 ip주소 기반 rfid 서비스 방법
US10275618B2 (en) Finding sensor data in an RFID network
US20110084811A1 (en) Rfid tag for rfid service and rfid service method thereof
KR101496646B1 (ko) 인스턴트 qr코드를 통한 출입관리방법
JP5328052B2 (ja) 情報技術資産のrfidでの発見、追跡およびプロビジョニング
WO2006137633A1 (en) System for searching or registering rfid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CN109413017B (zh) 一种管理异构防火墙的方法及系统
KR100877065B1 (ko) 통신 프로토콜 결정 방법 및 장치
CN1172478C (zh) 获取与网络通信的资源的物理位置的方法和系统
KR101274272B1 (ko) Rfid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100931503B1 (ko) Rfid 태그의 사용자 데이터 영역을 이용한 코드 해석방법 및 장치
US9189560B2 (en) Discovery of asset information through scanning of communication tags associated with assets
KR20090087427A (ko) 무선주파수인식(rfid)을 위한 통신방법
KR100785771B1 (ko) Rfid 태그 식별자 및 이를 이용한 rfid시스템에서의 컨텐츠 획득 방법
KR100670814B1 (ko) 정보 기록 매체를 이용한 컨텐츠 획득 장치 및 그 방법
KR20130124043A (ko) 가상 태깅 동작을 이용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100753533B1 (ko) 모바일 rfid 시스템의 성능시험을 위한 테스트베드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703303B1 (ko) 시스템 환경 관리 장치 및 관리 방법
KR100930461B1 (ko) 전파 식별 태그의 사용자 데이터 영역을 이용한 다중 코드해석 방법 및 장치
KR100766587B1 (ko) Rfid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100064678A (ko) 코드해석에 의한 응용 프로그램 자동 구동 방법
CN112567348B (zh) 数据处理装置、数据处理方法和计算机可读存储介质
KR100897047B1 (ko) 모바일 rfid 서비스 제공을 위한 통합 정보 관리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