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31272B1 - Module type cooling tower - Google Patents
Module type cooling towe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931272B1 KR100931272B1 KR1020090025148A KR20090025148A KR100931272B1 KR 100931272 B1 KR100931272 B1 KR 100931272B1 KR 1020090025148 A KR1020090025148 A KR 1020090025148A KR 20090025148 A KR20090025148 A KR 20090025148A KR 100931272 B1 KR100931272 B1 KR 10093127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oling tower
- air supply
- casing
- fixed
- heat exchange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C—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COME INTO DIRECT CONTACT WITHOUT CHEMICAL INTERACTION
- F28C1/00—Direct-contact trickle coolers, e.g. cooling towers
- F28C1/02—Direct-contact trickle coolers, e.g. cooling towers with counter-current only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C—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COME INTO DIRECT CONTACT WITHOUT CHEMICAL INTERACTION
- F28C1/00—Direct-contact trickle coolers, e.g. cooling towers
- F28C1/04—Direct-contact trickle coolers, e.g. cooling towers with cross-current only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C—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COME INTO DIRECT CONTACT WITHOUT CHEMICAL INTERACTION
- F28C1/00—Direct-contact trickle coolers, e.g. cooling towers
- F28C1/10—Arrangements for suppressing noise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C—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COME INTO DIRECT CONTACT WITHOUT CHEMICAL INTERACTION
- F28C1/00—Direct-contact trickle coolers, e.g. cooling towers
- F28C1/14—Direct-contact trickle coolers, e.g. cooling towers comprising also a non-direct contact heat exchange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C—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COME INTO DIRECT CONTACT WITHOUT CHEMICAL INTERACTION
- F28C1/00—Direct-contact trickle coolers, e.g. cooling towers
- F28C1/16—Arrangement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precipitation or mist formation, outside the cooler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 Y02B30/70—Efficient control or regulation technologies, e.g. for control of refrigerant flow, motor or he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t-Exchange Devices With Radiators And Conduit Assemblies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냉각수를 냉각하거나, 냉매를 응축하는 냉각탑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냉각탑의 높이를 현격하게 감소시킬 수 있고, 완제품으로 운송 및 설치를 간편하게 할 수 있으며, 냉각탑의 구성부를 케이싱내에 내장시키어 손상방지와 미관을 향상시킬 수 있고, 냉각수와 공기를 우회 유동없이 열교환부로 원활하게 유동시키고, 배기의 재순환을 방지하여 열교환 성능저하를 방지할 수 있으며, 냉각탑 내부의 구성부를 간편하게 점검 및 보수할 수 있고, 냉각탑을 다단 및 건물의 천정부에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으며, 냉각탑의 상부공간을 활용할 수 있고, 냉각탑을 은폐하는 외장부를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는 모듈형 냉각탑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oling tower for cooling a cooling water or condensing a refrigerant, and more particularly, to reduce the height of the cooling tower significantly, to simplify transportation and installation as a finished product, and to casing the components of the cooling tower. It can be built in to prevent damage and improve aesthetics, to smoothly flow cooling water and air to the heat exchanger without bypass flow, to prevent exhaust recirculation, and to prevent the deterioration of heat exchange performanc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dular cooling tower that can be repaired, the cooling tower can be easily installed in a multi-level and ceiling of a building, can utilize the upper space of the cooling tower, and can easily install an exterior covering up the cooling tower.
일반적으로 공기조화설비 및 냉동. 냉장장치 등에서 운전되는 냉동기나 산업용 열교환기는 제거되어야 하는 폐열을 수반하며, 이 폐열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냉각매체를 이용하여 폐열을 대기로 방출하여야 한다. Generally air conditioning and refrigeration. Refrigerators or industrial heat exchangers operating in refrigeration equipment, etc., are accompanied by waste heat to be removed, and in order to remove the waste heat, the waste heat must be discharged to the atmosphere using a cooling medium.
냉각탑의 냉각방식은 피냉각 유체보다 온도가 낮은 대기상의 공기를 강제 대류시키어 현열냉각을 하는 공랭식 냉각과, 냉각수와 공기의 접촉에 의한 증발 잠열을 이용하여 냉각하는 증발식 냉각으로 구분되며, 증발냉각 방식의 냉각탑은 어떤 다른 냉각장치보다 냉각효과가 크고 경제적이기 때문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The cooling method of cooling tower is divided into air-cooled cooling that performs convective cooling by forced convection of atmospheric air that is lower than the fluid to be cooled, and evaporative cooling that uses cooling latent heat by contact of cooling water and air. Cooling towers are widely used because they provide greater cooling and economical efficiency than any other cooling system.
통상의 증발 냉각식 냉각탑은, 공기는 수직상향으로 유동되고 냉각수는 수직하향으로 유동되는 대향류형(counter flow type)냉각탑과, 공기는 수평으로 유동되고 냉각수는 수직하향으로 유동되는 직교류형(cross flow type) 냉각탑으로 구분되며, 냉각수의 유동 방식은, 냉각수와 공기가 개방된 열교환부(충진재)를 유동하면서 상호 접촉에 의하여 증발 열교환하는 개방식(Open Circuit Type)과, 냉각유체(냉각수 또는 냉매)가 유동하는 밀폐된 냉각코일의 외표면 상에 냉각수와 공기를 접촉시키면서 증발 열교환하는 밀폐식(Close Circuit Type)으로 구분되는 것이 일반적이나, 근래에 들어 냉각탑의 열교환 효율의 향상과, 수적음의 감소, 용수의 절감 등의 목적으로 개방식 열교환부와 밀폐식 열교환부를 혼용 채용한 하이브리드식 (Hybrid Circuit Type) 냉각탑의 개발과 그 수요가 증가되고 있다.Conventional evaporative cooling towers have a counter flow type cooling tower in which air flows vertically and cooling water flows vertically, and a cross flow in which air flows horizontally and the cooling water flows vertically. type) It is divided into cooling tower, and the flow method of cooling water includes an open circuit type (e.g., open circuit type) in which evaporative heat exchange is performed by mutual contact while flowing a heat exchanger (filler) in which cooling water and air are opened, and a cooling fluid (cooling water or refrigerant). Although it is generally classified into a closed circuit type in which evaporative heat exchange is performed while contacting the coolant and air on the outer surface of the flowing closed cooling coil, in recent years, an improvement in the heat exchange efficiency of the cooling tower, a decrease in water drop, Development and Number of Hybrid Circuit Type Cooling Towers Using Open and Closed Heat Exchanger in Combination for Water Saving It is being increased.
그리고 통풍방식에 있어서는, 냉각탑의 배기구에 설치되어 열교환부(이를 테면, 충진재 또는 전열관)를 통과하면서 열교환을 마친 고온의 공기를 흡입하여 배출하는 흡입통풍식과, 냉각탑의 급기구와 연통하게 설치되어 열교환부를 향해 외부공기를 압입 통풍하여 열교환을 마친 고온의 공기를 배기구로 배출하는 압입통풍식으로 구분된다.In the ventilation system, a suction vent type is installed at an exhaust port of the cooling tower and passes through a heat exchange part (such as a filler or a heat transfer pipe) to suck and discharge hot air after heat exchange, and a heat exchanger is installed in communication with an air supply port of the cooling tower. It is divided into pressurized ventilation type that discharges high-temperature air that has completed heat exchange by pressurizing and venting external air toward the exhaust.
또한, 옥외에 설치되는 냉각탑은 배기구가 최 상부에 배치되는 수직형 케이싱 구조이고, 옥내에 설치되는 냉각탑은 배기구가 최 상부에 배치되고 급기구는 일 측부에 배치되며, 송풍팬부는 케이싱의 외부에 배치되는 수평형 케이싱 구조가 일반적이다.In addition, the cooling tower installed outdoors is a vertical casing structure in which the exhaust port is disposed at the top, and the indoor cooling tower is disposed at the top of the exhaust port, and the air supply is disposed at one side, and the blower fan is disposed outside the casing. Horizontal casing structures that are arranged are common.
그리고, 통상의 수직형 케이싱의 냉각탑은 운송의 높이 제한으로 분할하여 운송 및 반입하고 현장에서 재조립하는 것이 일반적이고, 그 구조상 냉각탑을 다단 또는 건물내 천정부에 설치가 불가능하다.In general, the cooling tower of a vertical vertical casing is generally divided by the height limit of transportation, transported and brought in, and reassembled in the field, and it is impossible to install the cooling tower in a multistage or building ceiling.
또한, 통상의 수평형 케이싱의 냉각탑은 비교적 높이가 낮아 운송이 용이한 반면에 그 구조상 냉각탑을 다단 또는 건물내 천정부에 설치가 불가능하다. In addition, while the cooling tower of a conventional horizontal casing is relatively low and easy to transport, its structure does not allow the cooling tower to be installed in a multistage or a ceiling in a building.
그리고, 통상의 압입통풍식 수직형 케이싱 냉각탑과, 수평형 케이싱의 냉각탑은 케이싱의 상부개구의 전부를 배기구로 함으로, 배기의 토출속도가 낮고, 고온의 토출기류는 대기의 풍향 및 풍압으로 영향을 받아 급기구로 재순환되어 냉각탑의 성능저하를 유발시키는 단점을 내재하고 있다.In addition, the normal pressurized ventilation type vertical casing cooling tower and the cooling casing of the horizontal casing use all of the upper openings of the casing as exhaust ports. It has the disadvantage that it is recycled to the air supply and causes the performance of cooling tower.
또한, 냉각탑으로부터 증발열교환을 마치고 외부로 방출되는 포화습공기 (RH 100%)가 저온의 대기와 혼합되는 과정에서 포화습공기에 함유하는 수분이 응축을 일으켜 생성되는 백연(plume)은, 더 낮은 대기온도로 갈수록 가시도 (Visibility)가 높아지는 경향이 있다. In addition, the plume produced by condensation of moisture contained in the saturated humid air during the mixing of the saturated humid air (
백연의 물성은 순수한 수증기이므로, 대기 오염원에는 속하지 않을 뿐만이 아니라, 인체에도 무해하지만, 연기와 같은 형상으로 인해; 시각적 판단의 공해 오인과, 화재 오인과, 주변환경의 미관훼손과, 레지오넬라(Legionella) 세균의 전달체란 혐오성과, 시야(시계) 방해 등의 이유로 민원을 유발시키고, 동절기에 저기압의 기후일 경우, 백연의 상승효과를 저하시키어 냉각탑 주변은 물론 경계영역 밖까지 응축 수분을 분포시키어 지상 및 시설물의 표면을 결빙시키는 등의 부작용을 내재하고 있다.Since the physical properties of white smoke are pure water vapor, not only do they belong to air pollutants, but they are also harmless to the human body, but due to smoke-like shapes; In the case of a low-pressure climate in the winter, it causes a complaint of visual misunderstanding, misunderstanding of fire, aesthetic damage of the surrounding environment, agonism of Legionella bacteria, aversion of vision, and disturbance of vision. It lowers the synergistic effect of white lead and distributes condensed water not only around the cooling tower but also outside the boundary area.
이와 같은 문제를 발생시키는 백연의 저감을 위하여, 냉각탑 배기구의 상단부 또는 배기영역과 면하는 케이싱을 개구하여 고온의 냉각수를 가열열원으로 하는 건식열교환부를 외장 설치하는 기술이 공지되어 있다.In order to reduce the white smoke causing such a problem, a technique is known in which a dry heat exchanger is provided which opens a casing facing the upper end of the cooling tower exhaust port or the exhaust region and uses a high temperature cooling water as a heat source.
외장 설치하는 건식열교환부는 대기 오염물질 및 눈, 빗물에 노출되어 부식을 초래함은 물론 열교환부의 오염을 가중하여 열교환 효율을 저하시킬수 있다.The dry heat exchanger installed in the exterior may be exposed to air pollutants, snow, and rain, causing corrosion, and also increase the contamination of the heat exchanger to reduce heat exchange efficiency.
다음으로, 본 발명의 대상이 되는 전술한 수평형 케이싱의 냉각탑이 본 출원인이 선행 특허출원한 공개특허공보 제 10-2004 -0026197호(2004.03.30/ 실내용 냉각탑)<특허문헌 1>와, 공개특허공보 제 특1989-0013450호(1989. 09. 23/ 사다리꼴필(fill)을 갖는 높이가 낮은 냉각탑)<특허문헌 2>에 공지되어 있다.Next, the cooling tower of the above-described horizontal casing, which is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sclosed in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2004-0026197 (2004.03.30 / Indoor Cooling Tower), which has been filed by the present applicant. It is known from Unexamined-Japanese-Patent No. 1989-0013450 (a cooling tower with a low height which has a trapezoidal fill).
다음으로, 공지기술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살펴보기로 한다.Next, i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for the known technology.
도 16은, 종래 실내용 냉각탑의 종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공지기술1"이라 칭한다.16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of a conventional indoor cooling tower. Hereinafter, it is referred to as "notice technique 1".
공지기술 1은 상세한 설명에 기재와 도면에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실내용 냉각탑(300)은, "냉각탑이 설치되는 실내 공기에 영향을 주지 않으며, 냉각탑의 설치 공간을 줄일 수 있고, 냉각탑의 성능 유지와 냉각수의 오염 및 손실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실내 환경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실내용 냉각탑을 제공하는 것"을 발명의 목적으로 하고 있다.As shown i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drawings in the prior art 1, the
그리고, 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구성으로, And with the technical structure to achieve the objective,
공기가 유입 및 배출되는 하나의 급기구(313) 및 한쌍의 배기구(315)를 가지며 내부에 열교환 영역을 형성하는 케이싱(311)과, 급기구(313)를 통해 유입된 공 기를 배기구(315)로 배출시키는 송풍팬(330)과, 급기구(313)로부터 유입된 공기가 통과하며 냉각수가 하향 유동하는 필러(345)와, 필러(345)를 수용하는 열교환부(340)와, 상기 필러(345)를 향해 고온의 냉각수를 공급하는 냉각수 살수부(350)와, 배기구(315)로 비산되는 물방울을 냉각탑(300) 내로 회수하는 엘리미네이터(373)와, 필러(345)를 거쳐 냉각된 냉각수를 집수하여 배출하는 집수조(375)를 마련하고 있다.A
또한, 케이싱(311)은 열교환영역을 수용하는 통형상을 가진다. 케이싱(311)의 일 측벽에는 공기가 케이싱(311) 내로 급기되는 하나의 급기구(313)가 마련되어 있으며, 케이싱(311)의 상부에는 냉각된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한쌍의 배기구(315)가 마련되어 있다.In addition, the
그리고, 급기구(313)에는 케이싱(311) 내로 유입되는 공기의 유동을 안내하는 급기덕트(317)가 연결되어 있다. 여기서, 급기구(313)와 급기덕트(317) 사이에는 급기구(313)와 급기덕트(317)를 신축가능하게 연결하는 급기덕트 연결부재(319)가 마련되어 있다.The
또한, 각 배기구(315)의 전방에는 케이싱(311)으로부터 배출되는 공기의 유동을 안내하는 배기덕트(321)가 마련되어 있으며, 배기구(315)와 배기덕트(321)는 신축가능한 배기덕트 연결부재(323)에 의해 상호 연결되어 있다.In addition, an
그리고, 송풍팬(330)은, 임펠러(미도시)를 수용하는 한쌍의 팬 본체(331)와, 임펠러를 구동시키는 구동모터(335)와, 임펠러와 구동모터(335)를 연결하며 구동 모터(335)의 동력을 임펠러에 전달하는 동력전달부로서 풀리(333, 337) 및 구동벨 트(339)를 가진다.The
또한, 임펠러는 원심형의 구조를 가지며, 각 팬 본체(331)는 각 배기구(315)의 하부영역의 케이싱(311) 내측에 지지되어 있다. 일측 임펠러의 일단부에는 구동벨트(339)가 결합되는 팬풀리(333)가 장착되어 있으며, 팬풀리(333)는 케이싱(311)의 외측에 마련되어 있다.Further, the impeller has a centrifugal structure, and each
그리고, 필러(345)의 상부에는 필러(345)를 향해 고온의 냉각수를 공급하는 냉각수 살수부(350)가 마련되어 있다. 냉각수 살수부(350)는, 필러(345)의 상부에 배치되어 고온의 냉각수가 유입되는 유입관(351)과, 유입관(351)으로부터 분기되어 냉각될 고온의 냉각수를 분배하는 복수의 분배관(353)과, 각 분배관(353)에 설치되어 필러(345)를 향해 고온의 냉각수를 압력 살수하는 다수의 살수노즐(355)을 갖는다.And the upper part of the
또한, 필러(345)와 급기구(313) 사이에는 급기구(313)를 거쳐 필러(345)로 유입되는 공기의 유동을 원활하게 하는 급기루버(371)가 마련되어 있다.라고 기술적 구성을 기재 및 도시하고 있다.In addition, an
이와 같은 특징에 의하여, 냉각탑의 설치 공간을 줄일 수 있고, 냉각탑이 설치되는 실내 공기에 영향을 주지 않으며, 냉각탑의 성능유지와 냉각수의 범람으로 인한 냉각수 손실과 실내환경 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 실내용 냉각탑을 제공한다.By this feature,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installation space of the cooling tower, do not affect the indoor air in which the cooling tower is installed, and to prevent the loss of cooling water and pollution of the indoor environment due to maintenance of the cooling tower and flooding of the cooling water . It provides an indoor cooling tower having.
그러나, 공지기술 1은, 열교환을 마친 포화 습공기와 직접 접하여 배기하는 흡입송풍식 구조로서, 포화 습기에 의하여, 공기의 높은 비중으로 송풍부하가 증가 될 수 있고, 송풍팬의 부식을 초래할 수 있으며, 그 구조상 냉각탑 내부의 점검 및 보수가 곤란하고, 건물 천정부에 설치가 곤란하며, 실내에 설치하는 구조로 옥외에 설치시 미관이 불리하고, 냉각탑의 수직 다단 설치가 곤란한 등의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 known technique 1 is a suction blow-type structure in which the exhaust air is directly contacted with the exhausted saturated humid air and exhausted, and by the saturated moisture, the blowing load may be increased due to the high specific gravity of the air, which may cause corrosion of the blowing fan. Due to its structure, it is difficult to inspect and repair the inside of the cooling tower, difficult to install in the ceiling of the building, and to install indoors, which is disadvantageous when it is installed outdoors, and it is difficult to vertically install the cooling tower in multiple stages.
다음으로, 도 17은, 종래 높이가 낮은 냉각탑의 측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공지기술2"라 칭한다.Next, FIG. 17 is a side sectional view of a conventional cooling tower having a low height. Hereinafter, it is referred to as "notice technique 2".
공지기술 2는 상세한 설명에 기재와 도면에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높이가 낮은 냉각탑(300)은, "수직방향의 높이가 비교적 낮은 직교류형 냉각탑을 제공하고, 냉각탑의 수직 칫수를 감소시키기 위하여 개선된 사다리꼴 형태의 충진판을 제공"을 발명의 목적으로 하고 있다.As shown in the description and drawings i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 low-
그리고, 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구성으로, And with the technical structure to achieve the objective,
원심송풍기(494)를 갖는 강제통풍식 대향류형(기재된 직교류형은 기재 오류) 냉각탑(400)은, 사다리꼴 모양의 충진판(458)과, 수관(438), 물분배관(440) 및 분사노즐(442)를 포함하는 물분배장치로부터 열전달매체(410)상에 분사된 물이 떨어지는 것을 받기 위한, 수조(414)를 포함한다. 물은 수조(414)으로부터 배출관(448)을 통하여 배출된다. 복수의 안개제거기 배플(450)이 열전달매체(410) 상부에 위치되며, 편의에 따라 물분배관(440)에 지지될 수 있다.The forced draft type counterflow type having a centrifugal blower 494 (the cross flow type described is a substrate error). The
상기 충진판(458)은 송풍기(494)에 의해 추진되어 중간통로(496)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와 마주하도록 되어 있다. 만일 송풍기 축(498)을 약간 높이고 공간(436)의 공기입구(428)와 거의 같은 칫수로 확장된 점차로 넓어진 중간통로(496)을 향하여 송풍기로 공기를 방출시키면 이 같은 송풍기(494)로부터 공기를 수평분배시키는 효과가 개선된다는 것이 발견되었다. 충진판의 면(460)을 원심송풍기(494)로부터의 강제공기류와 맞추어 정렬시키는 다른 잇점은 충진판의 하부모서리가 요동하는 경향이 줄어들게 되어 충진판 사이의 공기흐름이 용이하게 되는 것이다.라고 기술적 구성을 기재 및 도시하고 있다.The
이와 같은 특징에 의하여, 같은 종래의 냉각탑보다 높이를 감소 시킬 수 있고, 용량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냉각탑의 높이를 감소시킴으로서 물펌프를 구동시키는데 소요되는 에너지를 크게 절감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 사다리꼴 충진판을 갖는 높이가 낮은 냉각탑을 제공한다.By this feature,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height than the conventional cooling tower, the capacity can be improved, the trapezoidal filling having the effect of greatly reducing the energy required to drive the water pump by reducing the height of the cooling tower Provides a low height cooling tower with a plate.
그러나, 공지기술 2는, 사다리꼴 충진판을 제작하여야 함으로 충진판의 제작 손실이 크고, 케이싱의 상부개구의 전부를 배기구로 함으로, 고온의 배기가 대기의 풍향 및 풍압으로 영향을 받아 급기구로 재순환되어 냉각탑의 성능저하를 유발시킬 수 있으며, 내부공간이 협소하여 점검 및 보수가 곤란하고, 옥외에 설치시 외장 송풍기 구조로 인해 미관이 불리하고, 건물 천정부에 설치가 곤란하며, 다단 설치가 곤란 등의 문제점이 있다.However, in the known technique 2, since the trapezoidal filling plate has to be manufactured, the production loss of the filling plate is large, and the entire upper opening of the casing is used as the exhaust port. It can cause deterioration of the cooling tower, and it is difficult to check and repair due to the narrow interior space, and it is difficult to install on the ceiling of the building due to the external blower structure when it is installed outdoors. There is a problem.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냉각탑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서,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conventional cooling tower as described above,
본 발명의 목적은, 냉각탑의 높이를 현격하게 감소시킬 수 있고, 완제품으로 운송 및 설치를 간편하게 할 수 있으며, 냉각탑의 구성부를 케이싱내에 내장시키어 손상방지와 미관을 향상시킬 수 있고, 냉각수와 공기를 우회 유동없이 열교환부로 원활하게 유동시키고, 배기의 재순환을 방지하여 열교환 성능저하를 방지할 수 있으며, 냉각탑 내부의 구성부를 간편하게 점검 및 보수할 수 있고, 냉각탑을 다단 및 건물의 천정부에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으며, 냉각탑의 상부공간을 활용할 수 있고, 냉각탑을 은폐하는 외장부를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는 모듈형 냉각탑을 제공하는 것이다.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reduce the height of the cooling tower significantly, to simplify the transport and installation as a finished product, to incorporate the components of the cooling tower in the casing to improve damage prevention and aesthetics, and to provide cooling water and air Smoothly flows into the heat exchanger without bypass flow, prevents recirculation of the exhaust gas and prevents heat exchange performance deterioration, easily checks and repairs the components inside the cooling tower, and easily installs the cooling tower in the multi-level and ceiling of the building.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utilize the upper space of the cooling tower, to provide a modular cooling tower that can easily install the exterior to conceal the cooling tower.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급기구와 배기구를 갖으며 열교환영역을 형성하는 케이싱과; 상기 열교환영역에 배치되어 냉각수와 공기가 상호 유동하며 열교환하는 열교환부와; 상기 열교환부의 상부에 배치되어 냉각수를 살수하는 살수부와; 상기 열교환부를 향해 송풍하고 열교환을 마친 포화습공기를 상기 배기구를 통해 배기하는 송풍팬부와; 상기 배기구를 향하여 비산되는 물방울을 회수하는 엘리미네이터와; 상기 열교환부를 통해 낙하되는 냉각수를 집수하며 일영역에 냉각수유출구가 마련되는 집수조를 갖는 냉각탑에 있어서,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asing having an air supply port and an exhaust port and forming a heat exchange area; A heat exchanger disposed in the heat exchange area to exchange heat with the cooling water and air; A watering unit disposed above the heat exchanger to sprinkle the cooling water; A blowing fan part which blows toward the heat exchange part and exhausts the saturated humid air after the heat exchange through the exhaust port; An eliminator for recovering water droplets scattered toward the exhaust port; In the cooling tower having a water collecting tank that collects the coolant falling through the heat exchanger and is provided with a coolant outlet in one region,
상기 케이싱은 전판 및 후판과, 상판 및 저판과, 양 측판으로 이루어지는 6면을 갖는 직사각의 수평형으로 구성되고, 상기 급기구는 상기 케이싱의 후판 또는 저판 중 어느 한 곳을 관통하여 형성되며, 상기 배기구는 상기 케이싱의 전판을 관통하여 형성되고, 상기 케이싱을 지지하며, 상기 케이싱의 내측 6면의 모서리를 따라 구성되는 프레임부와; 상기 열교환부와 상기 급기구사이에 구성되어 상기 급기영역을 형성하며, 상기 살수부의 일측을 구획하는 살수영역구획부와, 상기 열교환부와 면하게 구성되는 급기영역구획부와, 상기 살수영역구획부와 상기 급기영역구획부사이에 형성되는 상부구획부와, 상기 급기영역구획부에 마련되는 송풍개구로 구성되어 냉각수와 공기가 우회 유동없이 원활하게 유동되도록 구획하는 송풍구획부와; 상기 송풍구획부와 상기 급기구사이에 형성되는 흡기영역과; 상기 열교환부와 상기 배기구사이에 형성되는 배기영역과; 상기 송풍팬부는 상기 흡기영역 또는 상기 배기영역 중 어느 한 곳에 배치되고, 상기 케이싱의 저부에 밀착 고정되며, 상기 저판과 저판과 면하는 프레임부를 관통하여 고정볼트로 고정되는 복수의 저부장착부재와; 상기 케이싱의 상부에 밀착 고정되며, 상기 상판과 상판과 면하는 프레임부를 관통하여 고정볼트로 고정되는 복수의 상부장착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형 냉각탑을 제공하는 것이다.The casing is composed of a rectangular horizontal type having six sides consisting of a front plate and a rear plate, an upper plate and a bottom plate, and both side plates, and the air supply port is formed through any one of the rear plate and the bottom plate of the casing. An exhaust port is formed through the front plate of the casing, supports the casing, and is formed along a corner of six inner surfaces of the casing; A watering area compartment configured to form the air supply area between the heat exchange part and the air supply port, and to define one side of the watering part, an air supply area compartment configured to face the heat exchanger, and the watering area compartment and An air blowing compartment configured to have an upper compartment formed between the air supply zone compartment and a blower opening provided in the air supply zone compartment to partition the cooling water and air smoothly without a bypass flow; An air intake area formed between the air blowing block and the air supply port; An exhaust region formed between the heat exchange portion and the exhaust port; A plurality of bottom mounting members disposed at any one of the intake area or the exhaust area, fixed to the bottom of the casing, and fixed to the fixing bolt through the frame parts facing the bottom plate and the bottom plate; It is to provide a modular cooling tower,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plurality of upper mounting member which is fixed in close contact with the upper portion of the casing, the upper plate and the frame facing the upper plate is fixed by a fixing bolt.
여기서, 상기 케이싱은, 철재인 것이 바람직하나, 유리섬유강화 플라스틱 (FRP:fiber glass reinforced plastic) 성형재로도 구성할 수 있다.Here, the casing is preferably made of iron, but may also be formed of a fiber glass reinforced plastic (FRP) molding material.
그리고. 상기 케이싱은, 급기구, 흡기영역, 급기영역, 열교환영역, 배기영역 및 배기구로 수평되게 구성되고, 상기 흡기영역에 상기 송풍팬부가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나,And. The casing is horizontally composed of an air supply port, an intake area, an air supply area, a heat exchange area, an exhaust area, and an exhaust port, and the blowing fan part is preferably disposed in the intake area.
급기구, 흡기영역, 급기영역, 열교환영역, 배기영역 및 배기구로 수평되게 구성되고, 상기 배기영역에 상기 송풍팬부가 배치되게 구성 할 수도 있다.The air inlet, the intake area, the air supply area, the heat exchange area, the exhaust area and the exhaust port may be configured horizontally, and the blower fan may be arranged in the exhaust area.
또한, 상기 케이싱은, 미관 향상의 수단으로서, 전판 및 후판과, 상판 및 저판과, 양 측판 중 일 부 또는 전부의 외표면에, 사진 등이 인쇄된 그래픽 필림 또는 그래픽판 중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하여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casing may further include any one of a front film and a back plate, a top plate and a bottom plate, and a graphic film or a graphic plate on which the outer surface of one or all of the side plates is printed as a means of improving aesthetics. It is preferable to attach.
그리고, 상기 그래픽 필림과, 그래픽판의 이면에는, 상기 케시싱에 직접 부착하는 접착면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상기 그래픽판은 케이싱에 나사체결식으로 적용할 수도 있다. The graphic film and the back surface of the graphic plate are preferably provided with an adhesive surface directly attached to the casing, but the graphic plate may be screwed to the casing.
또한, 상기 케이싱을 이루는 전판 및 후판과, 상판 및 저판은, 상호 결합을 위하여, 외각으로 플랜지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 하다.In addition, the front plate and the rear plate and the upper plate and the bottom plate constituting the casing, it is preferable to form a flange in the outer shell for mutual coupling.
그리고, 상기 살수부의 점검 및 보수를 위하여, 상기 살수부와 면하는 상기 상판에는, 점검개구와, 상기 점검개구를 개폐하며 하는 착탈식 덮개(Cover)로 구성되는 점검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nd, for the inspection and repair of the watering unit, it is preferable that the top plate facing the watering unit further comprises a check unit consisting of a check opening and a removable cover for opening and closing the check opening. .
또한, 상기 점검부는, 볼트로 고정되는 착탈식 패널 또는 힌지(hinge)와 로커핸들(locker handle)로 개폐되는 개폐식 도어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inspection unit may be configured as any one of a detachable panel fixed by a bolt or a retractable door opened and closed by a hinge and a locker handle.
그리고, 상기 급기영역 또는 배기영역과 면하는 상기 저판에는 하나 이상의 배수구를 더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bottom plate facing the air supply area or the exhaust area further includes one or more drain holes.
또한, 상기 케이싱의 측판에는, 상기 열교환부와, 상기 송풍팬부를 분리하여 반출 및 재 반입할 수 있는 각각의 반출구와, 착탈식 반출구커버를 더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상기 열교환부와 송풍팬부의 반출 및 재반입이 용이하도록 상기 케이싱의 전판과 후판을 착탈 구조로 적용할 수도 있다. In addition, the side plate of the casing, the heat exchange portion, and each of the outlet and the removable fan outlet that can be carried out and re-introduced separately from the blower fan, it is preferable to further comprise a removable outlet cover, but the heat exchanger and The front plate and the rear plate of the casing may be applied in a detachable structure to facilitate the carrying out and reloading of the blowing fan unit.
다음으로, 공기의 효율적인 유동을 위하여, 상기 배기구는, 그 상부가 상기 상판과 근접하게 구성하고, 상기 급기구는 그 하부가 상기 저판과 근접하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Next, for efficient flow of air, the exhaust port is preferably configured such that the upper portion thereof is close to the upper plate, and the lower air supply portion is configured so that the lower portion thereof is close to the bottom plate.
다음으로, 상기 케이싱의 후판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상기 급기구에는, 복수의 안내블레이드와, 상기 안내블레이드가 장착되는 급기안내부재프레임과, 일측은 상기 급기안내부재프레임의 측부에 고정되고 타측은 상기 급기구와 인접한 케이싱에 고정되는 복수의 힌지로 구성되는 하나 이상의 급기안내부재와, 상기 급기안내부재의 고정 및 상기 배기구의 개폐를 단속하며 상기 보강프레임에 고정되는 고정볼트와, 고정볼트를 수용하는 고정클램프와, 고정클램프를 고정하는 고정너트로 구성되는 개폐부재를 더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상기 안내블레이드가 장착되는 급기안내부재프레임을 상기 급기구와 인접한 케이싱에 착탈가능하게 고정볼트로 장착할 수도 있다.Next, the air inlet formed through the rear plate of the casing, a plurality of guide blades, the air supply guide member frame on which the guide blade is mounted, one side is fixed to the side of the air supply guide member frame and the other side is One or more air supply guide member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hinges fixed to the casing adjacent to the air supply, the fixing bolt is fixed to the reinforcing frame and to secure the supply guide member and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exhaust port to accommodate the fixing bolt It is preferable to further include an opening and closing member consisting of a fixed clamp and a fixing nut for fixing the fixed clamp, but the air supply guide member frame to which the guide blade is mounted detachably fixed to the casing adjacent to the air supply. It can also be installed.
그리고, 상기 급기안내부재는 급기측소음기의 프레임 외측에 수용되게 설치할 수도 있다.The air supply guide member may be installed to be received outside the frame of the air supply side silencer.
또한, 상기 안내블레이드는, 안내각도 조절이 가능한 각도조절식 안내블레이드인 것이 바람직하나, 최적의 안내각도로 고정된 고정식 안내블레이드도 적용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guide blade is preferably an angle adjustable guide blade capable of adjusting the guide angle, a fixed guide blade fixed to the optimum guide angle may be applied.
그리고, 상기 급기 안내블레이드는, 대기 이물질, 눈 및 비 등의 유입을 억지하기 위하여 외측으로 하향 경사 각도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air supply guide blade is preferably configured to have a downward inclination angle to the outside in order to inhibit the inflow of air foreign matter, snow and rain.
다음으로, 상기 케이싱의 저판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상기 급기구에는, 조류의 침입을 차단하는 조류차단격자와, 상기 조류차단격자가 장착되는 급기안내부재프레임과, 일측은 상기 급기안내부재프레임의 측부에 고정되고 타측은 상기 급기구와 인접한 케이싱에 고정되는 복수의 힌지로 구성되는 하나 이상의 급기안내부재 와, 상기 급기안내부재의 고정 및 상기 배기구의 개폐를 단속하며 상기 보강프레임에 고정되는 고정볼트와, 고정볼트를 수용하는 고정클램프와, 고정클램프를 고정하는 고정너트로 구성되는 개폐부재를 더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조류차단격자 대신에 안내블레이드를 구성할 수도 있다.Next, the air supply port formed to penetrate the bottom plate of the casing, a bird blocking grating to block the intrusion of algae, an air supply guide member frame to which the bird blocking grid is mounted, and one side of the air supply guide member frame The other side is fixed to the one or more air supply guide member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hinges fixed to the casing adjacent to the air supply, the fixing bolt fixed to the reinforcement frame and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air inlet and the fixing of the air supply guide member and It is preferable to further include an opening and closing member consisting of a fixed clamp for receiving the fixing bolt, and a fixed nut for fixing the fixed clamp, it may also constitute a guide blade instead of the bird blocking grid.
다음으로, 상기 배기구에는, 복수의 안내블레이드와, 상기 안내블레이드가 장착되는 배기안내부재프레임과, 일측은 상기 배기안내부재프레임의 측부에 고정되고 타측은 상기 배기구와 인접한 케이싱에 고정되는 복수의 힌지로 구성되는 하나 이상의 배기안내부재와, 상기 배기안내부재의 고정 및 상기 배기구의 개폐를 단속하며 상기 보강프레임에 고정되는 고정볼트와, 고정볼트를 수용하는 고정클램프와, 고정클램프를 고정하는 고정너트로 구성되는 개폐부재를 더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상기 안내블레이드가 장착되는 배기안내부재프레임을 상기 배기구와 인접한 케이싱에 착탈가능하게 고정볼트로 장착할 수도 있다.Next, the exhaust port, a plurality of guide blades, the exhaust guide member frame on which the guide blade is mounted, one side is fixed to the side of the exhaust guide member frame, the other side is a plurality of hinges fixed to the casing adjacent to the exhaust port At least one exhaust guide member consisting of, the fixing of the exhaust guide member and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exhaust port and the fixing bolt fixed to the reinforcing frame, the fixing clamp for receiving the fixing bolt, the fixing nut for fixing the fixing clamp It is preferable to further include an opening and closing member consisting of, the exhaust guide member frame on which the guide blade is mounted may be attached to the casing adjacent to the exhaust port with a fixing bolt.
그리고, 상기 배기안내부재는 배기측소음기의 프레임 외측에 수용되게 설치할 수도 있다. The exhaust guide member may be installed to be received outside the frame of the exhaust side silencer.
또한, 상기 안내블레이드는, 안내각도 조절이 가능한 각도조절식 안내블레이드인 것이 바람직하나, 최적의 안내각도로 고정된 고정식 안내블레이드도 적용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guide blade is preferably an angle adjustable guide blade capable of adjusting the guide angle, a fixed guide blade fixed to the optimum guide angle may be applied.
그리고, 상기 배기 안내블레이드는, 배기를 상향으로 원활이 배출하기 위하여, 외측으로 상향 경사 각도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exhaust guide blade is preferably configured at an inclined upward angle to the outside in order to smoothly discharge the exhaust upward.
다음으로, 상기 열교환부는, 필러로 구성되는 개방식 열교환부와, Next, the heat exchanger, an open heat exchanger composed of a filler,
습건식전열관과, 상기 습건식전열관의 일측에 결합되며 유체유입구를 갖는 유체유입헤더와, 상기 습건식전열관의 타측에 결합되며 냉각유체유출구를 갖는 냉각유체유출헤더와, 습건식전열관을 지지하는 전열관지지부재로 구성되는 밀폐식 열교환부 또는 Wet heat transfer pipe, a fluid inlet header coupled to one side of the wet dry heat transfer tube having a fluid inlet, a cooling fluid outlet header coupled to the other side of the wet dry heat transfer tube having a cooling fluid outlet, and a heat transfer tube supporting a wet dry heat transfer tube Hermetic type consisting of support member Heat exchanger or
상기 집수조로부터 살수펌프을 통해 유입되어 살수되는 고온의 냉각수를 냉각하는 개방식 열교환부와 밀폐식 열교환부를 혼용 배치하는 혼식 열교환부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heat exchanger for mixing the open heat exchanger and the closed heat exchanger to cool the high-temperature cooling water flows through the water pump from the water collecting tank is preferably composed of any one.
그리고, 상기 개방식 열교환부는, 측면이 직사각 형상, 정사각형상 또는 평행사변형 형상 중 어느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다.The side surface of the open heat exchange part is preferably any one of a rectangular shape, a square shape, or a parallelogram shape.
여기서, 측면이 평행사변형인 개방식 열교환부는, 다른 형상의 개방식 열교환부 보다 공기 유동이 효율적이다.Here, an open heat exchanger having a parallelogram side has more efficient air flow than an open heat exchanger having another shape.
또한, 상기 열교환부는, 상기 케이싱내에서 반출 또는 재반입을 용이하게 위하여 2개 또는 그 이상으로 분할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The heat exchange part may be divided into two or more parts in order to facilitate carrying out or reloading in the casing.
그리고, 상기 개방식 열교환부는 필림형(Film type) 충진재 또는 비말형(Splash type) 충진재 중 어느 하나인 것이 바람하다.In addition, the open heat exchange part is preferably any one of a film-type filler or a splash-type filler.
또한, 상기 송풍구획부와 면하는 상기 열교환부의 측면에는, 급기를 안내하고 이탈되는 냉각수 물방울을 회수하는 루버를 더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side of the heat exchanger facing the blowing section, it is preferable to further comprise a louver for guiding the air supply and recovering the cooling water droplets that are released.
다음으로, 상기 엘리미네이터는, 필림형(Film type) 충진재로 이루어지는 개방식 열교환부와 일체하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별개의 엘리미네이터로 적용할 수도 있다.Next, the eliminator is preferably formed integrally with the open heat exchanger made of a film type filler, but may be applied as a separate eliminator.
그리고, 비말형(Splash type) 충진재로 이루어지는 개방식 열교환부와, 밀폐식 열교환부에는 별개의 엘리미네이터로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o apply it as a separate eliminator to the open heat exchange part which consists of a splash type filler, and a closed heat exchange part.
다음으로, 상기 루버는, 필림형(Film type) 충진재로 이루어지는 개방식 열교환부와 일체하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별개의 루버로 적용할 수도 있다.Next, the louver is preferably formed integrally with an open heat exchanger made of a film type filler, but may be applied as a separate louver.
그리고, 상기 비말형(Splash type) 충진재로 이루어지는 개방식 열교환부와, 밀폐식 열교환부에는 별개의 루버로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o apply a separate louver to the open heat exchange part made of the splash type filler and the closed heat exchange part.
다음으로, 상기 집수조에는, 통상의 구성으로서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집수조의 운전수위를 초과할 때 냉각수를 배출하는 오버플로우 (Overflow) 배출구와, 배수구와, 보충수 공급수단과, 냉각수유출구에 이물질 유입을 차단하는 여과부(Strainer)와, 동파방지 히터의 접속구 등 통상의 구성이 포함된다.Next,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as a normal configuration, the sump is provided with an overflow outlet, a drainage port, a replenishment water supply means, and a coolant outflow port for discharging the coolant when the operation level of the sump is exceeded. Typical configurations, such as a strainer which blocks the inflow of foreign substances, and a connection port of a freeze protection heater, are included.
그리고, 상기 케이싱의 양측판과 상기 집수조의 양측벽의 밀착부는, 상기 케이싱의 양측판의 내면을 타고 흐르는 냉각수가 상기 집수조로 집수되도록 밀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close contact portion of both side plates of the casing and both side walls of the water collecting tank is sealed so that the cooling water flowing through the inner surfaces of both sides of the casing is collected into the water collecting tank.
다음으로, 백연저감 대책으로서, 상기 배기영역에는, 상기 배기구를 향해 배기되는 포화습공기를 가열하여 백연을 저감하며, 복수의 전열핀을 형성하는 건식전열관과, 상기 건식전열관을 수용하며, 일측에 케이싱과 결합되는 플랜지를 형성하는 전열관하우징과, 상기 건식전열관의 일측 단부가 결합되 며, 고온유체유입구가 마련되는 고온유체유입헤더와, 상기 건식전열관의 타측 단부가 결합되며, 고온유체유출구가 마련되는 고온유체유출헤더를 갖는 건식열교환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Next, as a countermeasure for white smoke reduction, the exhaust region includes a dry heat pipe that forms a plurality of heat transfer fins by heating saturated wet air exhausted toward the exhaust port to reduce white smoke, and forms a plurality of heat transfer fins, and a casing on one side. A heat pipe housing forming a flange coupled with the one end of the dry heat pipe, a high temperature fluid inflow header provided with a high temperature fluid inlet, and an other end of the dry heat pipe, and a high temperature fluid outlet is provided. It is preferable to further comprise a dry heat exchanger having a high temperature fluid outflow header.
그리고, 상기 건식 열교환부는, 급기구와 연통하게 하여, 케이싱 외측에 구 성할 수도 있다. The dry heat exchanger may be in communication with the air supply port and configured outside the casing.
또한, 곡관부("U"자형)와 직관부로 연속되는 싱글사행(single serpentine), 하프 사행 (half serpen tine) 또는 더블 사행 (double serpent ine) 중 어느 하나로 마련되는 상기 건식전열관은, 2 ~ 4열(row) 범위에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다수의 직관부 만으로 형성되는 직행형 건식전열관으로 단수열 또는 복수열로 구성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dry heat pipe provided with any one of a single serpentine, a half serpentine, or a double serpent ine, which is continuous with a curved portion (“U” shape) and a straight portion, may be 2-4. It is preferable to be configured in a row range, but a straight dry heat transfer tube formed of only a plurality of straight pipe portions may be configured in a single row or a plurality of rows.
여기서, 상기 건식전열관은 동관(Copper tube)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스테인레스관(Stainless tube) 또는 아연도금철관(Hot-dip galvanized steel tube)으로도 구성할 수도 있다.Here, the dry heat transfer tube is preferably composed of a copper tube, but may also be composed of a stainless tube or a hot-dip galvanized steel tube.
그리고, 상기 전열핀은, 공기유로가 형상화되고 상기 전열관이 관통하는 관통공을 형성한 판형 전열핀인 것이 바람직하나, 상기 전열관의 외표면에 밀착되게 구성되는 에로핀(Aero fin) 등 다른 형상의 전열핀으로도 구성할 수 있다. The heat transfer fin is preferably a plate-shaped heat transfer fin having an air flow path formed therein and having a through hole through which the heat transfer tube passes. However, the heat transfer fin has another shape such as an Aero fin, which is configured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heat transfer tube. It can also be configured as a heating fin.
또한, 상기 고온유체유입헤더 및 고온유체유출헤더는 상호 외향되기 양측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일측 방향으로 배치되게 구성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high temperature fluid inflow header and the high temperature fluid outflow header are preferably arranged on both sides to be outward, but may be configured to be arranged in one direction.
그리고, 고온유체유입헤더 및 고온유체유출헤더가 상기 전열관하우징내로 수용되는 경우에는, 상기 고온유체유입헤더 및 고온유체유출헤더와 전열관하우징 사이의 공간을 통한 공기의 우회유동을 차단하기 위하여, 도면에는 도시하지 아니하였지만, 상기 전열관하우징의 내측벽과 고온유체유입헤더 및 고온유체유출헤더 방향의 최근접 전열핀의 상부 사이를 폐쇄하는 폐쇄부재를 더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And, when the hot fluid inflow header and the hot fluid outflow header is accommodated in the heat pipe housing, in order to block the bypass flow of air through the space between the hot fluid inflow header and the hot fluid flow header and the heat pipe housing. Although not shown, it is preferable to further include a closing member for closing between the inner wall of the heat transfer tube housing and the top of the heat transfer fin in the direction of the high temperature fluid inflow header and the hot fluid outflow header.
또한, 상기 건식열교환부는, 설치 및 분리의 편리를 위하여, 소형인 냉각탑인 경우 각각 하나의 고온유체유입헤더 및 고온유체유출헤더를 갖는 하나의 유닛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중대형인 냉각탑인 경우, 고온유체유입헤더 및 고온유체유출헤더와 전열관하우징을 조립가능하게 플랜지를 구성하여 복수의 유닛으로 분할 제조하고, 공장 또는 현장에서 일체하게 확장 조립하는 구조로도 구성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dry heat exchange unit, for the convenience of installation and separation, in the case of a small cooling tower is preferably composed of one unit having one high temperature fluid inflow header and high temperature fluid outflow header, in the case of a medium to large cooling tower, The high temperature fluid inflow header, the high temperature fluid outflow header, and the heat transfer tube housing may be configured to be flanged to be assembled into a plurality of units, and may be configured to be integrally expanded and assembled at a factory or a site.
그리고, 상기 건식열교환부의 보수시에도 냉각탑의 운전을 수행할 수 있도록, 고온유체(또는 고온냉각수)를 상기 살수부 또는 밀폐식 열교환부로 우회유동시키는 우회관로 및 우회 밸브를 더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Further, it is further configured to include a bypass pipe and a bypass valve for bypassing the hot fluid (or high temperature cooling water) to the sprinkling part or the sealed heat exchange part so that the operation of the cooling tower can be performed even during the repair of the dry heat exchange part. desirable.
다음으로, 상기 살수부는, 냉각수가 저수되는 살수조와, 상기 열교환부를 향해 냉각수를 살수하는 복수의 살수구로 구성되는 중력 살수식 살수부 또는Next, the sprinkling portion is a gravity watering sprinkling portion composed of a sprinkling tank in which cooling water is stored, and a plurality of sprinklers for sprinkling the cooling water toward the heat exchange unit.
냉각수를 안내하는 살수주관 및 분배관과, 상기 분배관에 결합되어 상기 열교환부로 냉각수를 살수하는 복수의 살수노즐로 구성되는 압력 살수식 살수부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t is preferable that the water sprinkling main body and the distribution pipe for guiding the cooling water, it is preferably composed of any one of the pressure sprinkling spraying portion composed of a plurality of spray nozzles coupled to the distribution pipe to spray the cooling water to the heat exchanger.
그리고, 상기 살수조의 일측 저부와 상기 열교환부의 일측 상부 사이를 폐쇄하여 살수영역을 형성하는 살수구획부재를 더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nd, it is preferable to further comprise a watering compartment member to form a watering area by closing between the bottom of one side of the watering tank and the top of one side of the heat exchanger.
또한, 상기 압력 살수식 살수부의 일측 상판 저부와 상기 열교환부의 일측 상부 사이를 폐쇄하여 살수영역을 형성하는 살수구획부재를 더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o further include a watering compartment member to form a watering area by closing between the top of the bottom of one side of the pressure watering sprayer portion and the top of one side of the heat exchanger.
다음으로, 상기 송풍팬부는, 상기 송풍개구에 결합되는 결합되는 플랜지가 형성되는 송풍토출구를 갖는 팬하우징과, 상기 팬하우징을 지지하는 팬지지부와, 상기 팬하우징 내에 구성되는 원심형 팬날개와, 구동모터와, 상기 원심형 팬날개와 상기 모터에 결합되는 각각의 플리와, 구동벨트와, 상기 팬지지부와 상기 구동모터를 지지하는 베이스로 구성되는 원심형 송풍팬부,Next, the blower fan unit, a fan housing having a blower discharge port formed with a flange coupled to the blower opening, a fan support for supporting the fan housing, a centrifugal fan blade configured in the fan housing, A centrifugal blower fan unit comprising a drive motor, each of the pleats coupled to the centrifugal fan blade and the motor, a drive belt, and a base for supporting the fan support unit and the drive motor;
상기 송풍개구에 결합되는 플랜지가 형성되는 송풍토출구를 갖는 복수의 팬하우징과, 상기 팬하우징 내에 구성되는 원심형 팬날개와, 상기 원심형 팬날개를 구동하는 구동모터로 구성되는 플레넘형(Plenum type) 송풍팬부 또는Plenum type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fan housings having a blower discharge outlet formed with a flange coupled to the blower opening, a centrifugal fan blade configured in the fan housing, and a drive motor for driving the centrifugal fan blade. Blower fan or
상기 송풍개구에 결합되는 플랜지가 형성되는 송풍토출구를 갖는 팬하우징과, 상기 팬하우징을 지지하는 팬지지부와, 상기 팬하우징내에 구성되는 축류형 팬날개와, 상기 팬날개를 구동하는 구동모터와, 상기 팬지지부와 상기 구동모터를 지지하는 베이스와, 상기 팬지지부 및 구동모터와 상기 베이스 사이에 장착되는 방진부재로 구성되는 축류형 송풍팬부 중 어느 하나로 구성할 수 있다. A fan housing having a blower discharge outlet formed with a flange coupled to the blower opening, a fan support for supporting the fan housing, an axial fan blade configured in the fan housing, a drive motor for driving the fan blade, The fan support part and the base for supporting the drive motor, and the fan support and the axial flow blower fan unit composed of a dustproof member mounted between the drive motor and the base.
여기서, 상기 플레넘형 송풍팬부와, 상기 축류형 송풍팬부는 직결구동식 또는 벨트 구동식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Here, the plenum blower fan unit and the axial blower fan unit may be configured as either a direct drive type or a belt driven type.
다음으로, 상기 송풍개구와 상기 플랜지사이에는, 상기 송풍팬부의 진동 전달을 차단하는 신축성 방진결합부재를 더 포함하여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형 냉각탑.Next, between the blower opening and the flange, the modular cooling tower further comprises a stretchable dustproof coupling member for blocking the vibration transmission of the blowing fan.
다음으로, 상기 송풍팬부는, 상기 흡기영역내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Next, it is preferable that the said blowing fan part is arrange | positioned in the said intake area.
다음으로, 상기 프레임부는, 상기 케이싱의 내측면 밀착되는 직사각형의 형상으로서, 상부프레임과, 저부프레임과, 한쌍의 측부프레임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전부프레임과, 후부프레임과, 한쌍의 측부프레임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Next, the frame portion is a rectangular shape that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casing, and preferably comprises an upper frame, a bottom frame, and a pair of side frames, but includes a whole frame, a rear frame, and a pair of side frames. It can also be configured as.
그리고, 상기 각 프레임은 상호 볼트체결로 조립되는 구조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each of the frames is preferably composed of a structure that is assembled by mutual bolting.
또한, 상기 상부프레임과, 저부프레임과, 한쌍의 측부프레임에는, 수평 및 수직간을 지지하는 하나 이상의 수평 보강프레임과 수직 보강프레임을을 더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upper frame, the bottom frame, and the pair of side frames may further include one or more horizontal reinforcement frames and vertical reinforcement frames that support horizontal and vertical spaces.
다음으로, 상기 케이싱과 상기 프레임부의 고정은, 상기 케이싱과 상기 프레임부를 연통하는 볼트공을 형성하여 볼트체결로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탭(Tap)볼트 등 다른 고정부재로도 고정할 수 있다.Next, the casing and the frame portion may be fixed by bolt fastening by forming a bolt hole communicating with the casing and the frame portion, but may be fixed with another fixing member such as a tap bolt.
다음으로, 상기 송풍구획부는, 상기 살수부의 일측을 구획하는 살수영역구획부와, 상기 열교환부와 면하게 구성되는 급기영역구획부와, 상기 살수영역구획부와 급기영역구획부 사이에 형성되는 상부구획부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나, 살수부의 구획과 급기영역의 구획하는 같은 작용으로서, 도면에는 도시하지 아니 하였지만, 다른 구조 내지 형상으로도 적용할 수 있다. Next, the blower section, the watering zone section for partitioning one side of the watering section, the air supply area section configured to face the heat exchanger, the upper compartment formed between the watering area section and the air supply area section Although preferably made of a portion, the same function of dividing the water spray section and the air supply region is not shown in the drawing, but may be applied to other structures or shapes.
그리고, 상기 상부구획부는, 상기 살수영역구획부의 면을 따라 흐르는 냉각수가 상기 급기영역구획부를 걸쳐 상기 팬하우징내로 유동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상기 열교환부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같은 작용으로서, 도면에는 도시하지 아니하였지만, 상기 살수영역구획부의 하단부에 수직되게 물막이 턱을 구성할 수도 있다.Preferably, the upper compartment is configured to be inclined downward toward the heat exchange part to block cooling water flowing along the surface of the sprinkler zone compartment from flowing into the fan housing over the air supply zone compartment.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a water barrier may be configured to be perpendicular to the lower end of the watering area compartment.
또한, 상기 송풍구획부는, 상기 살수영역구획부의 상단은 상기 케이싱의 상판에 고정되고, 상기 급기영역구획부의 하단은 상기 집수조 내측면에 고정되며, 양측은 상기 케이싱의 양 측판에 고정되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그 고정위치에만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In addition, the blowing section, the upper portion of the watering area section is fixed to the upper plate of the casing, the lower end of the air supply area section is fix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sump tank, both sides are configured to be fixed to both side plates of the casing. Preferably, it is not limited only to the fixed position.
다음으로, 상기 저부장착부재는, 상기 케이싱의 저부에 밀착 고정되며, 상기 저판과 상기 저판과 면하는 저부프레임를 관통하여 고정볼트로 고정되고, 상기 고정볼트가 관통되는 복수의 장착공을 형성한 상부밀착부 및 저부밀착부와, 복수의 비이임체결공이 형성되는 측부와, 상기 상부밀착부와 저부밀착부 사이의 수평방향 중심에 수직되게 결합되고 복수의 비이임체결공을 형성하는 보강판으로 구성되는 2개 이상의 장착부와, 상기 2개 이상의 장착부 간을 고정하는 복수의 고정비이임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Next, the bottom mounting member is fixed in close contact with the bottom of the casing, the bottom plate and the bottom plate facing the bottom plate is fixed with a fixing bolt, the upper portion formed a plurality of mounting holes through which the fixing bolt is penetrated. It consists of a close contact portion and a bottom contact portion, a side portion where a plurality of non-impression fastening holes are formed, and a reinforcing plate coupled perpendicularly to the horizontal center between the upper contact portion and the bottom contact portion and forming a plurality of non-impression fastening holes. It is preferable that it is composed of two or more mounting portions to be fixed, and a plurality of fixed ratios for fixing between the two or more mounting portions.
여기서, 상기 2개 이상의 장착부 간을 고정하는 복수의 고정비이임은 용접결합이 바람직하나, 상기 고정비이임의 양 단부에 복수의 체결공이 형성된 체결판을 더 포함하여 볼트체결로 고정할 수도 있다.Here, the plurality of fixed beams for fixing between the two or more mounting portion is preferably a welding coupling, it may further be fixed by bolts including a fastening plate formed with a plurality of fastening holes on both ends of the fixed beams.
그리고, 상기 상부장착부재는, 상기 케이싱의 상부에 밀착 고정되며, 상기 상판과 상기 상판과 면하는 상부프레임를 관통하여 고정볼트로 고정되고, 상기 고정볼트가 관통되는 복수의 장착공을 형성한 상부밀착부 및 저부밀착부와, 복수의 비임체결공이 형성되는 측부와, 상기 상부밀착부와 저부밀착부 사이에 수평방향 중심에 수직되게 결합되고 복수의 비이임체결공을 형성하는 보강판으로 구성되는 2개 이상의 장착부와, 상기 2개 이상의 장착부 간을 고정하는 복수의 고정비이임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upper mounting member is tightly fix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casing, and is fixed to the upper frame through the upper frame facing the upper plate and the upper plate, and fixed by a fixing bolt, and forming a plurality of mounting holes through which the fixing bolt passes. 2, which is composed of a part and a bottom contact portion, a side portion where a plurality of non-fastening holes are formed, and a reinforcing plate coupled vertically to the center in the horizontal direction between the top and bottom contact portions and forming a plurality of non-fastening holes. It is preferable that it is comprised from the several or more mounting parts and the several fixed ratio which fixes between the two or more mounting parts.
여기서, 상기 2개 이상의 장착부 간을 고정하는 복수의 고정비이임은 용접결합이 바람직하나, 상기 고정비이임의 양 단부에 복수의 체결공이 형성된 체결판을 더 포함하여 볼트체결로 고정할 수도 있다.Here, the plurality of fixed beams for fixing between the two or more mounting portion is preferably a welding coupling, it may further be fixed by bolts including a fastening plate formed with a plurality of fastening holes on both ends of the fixed beams.
또한, 상기 장착부재의 몸체는, "ㄷ" 자형상의 형강 또는 "I"자 형상의 형강 중 어느 하나로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body of the mounting member is preferably applied to either the "c" shaped steel or "I" shaped steel.
그리고, 상기 상부장착부재와 저부장착부재는, 상판과 저판의 급기구측 단부 와, 상판과 저판의 중앙부와, 상판과 저판의 배기구측 단부에 가로방향으로 각각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각 장착부재 간을 수평방향으로 고정하는 고정비임을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Preferably, the upper mounting member and the bottom mounting member are configured in the transverse direction at the air supply side end portions of the top plate and the bottom plate, the central portions of the top plate and the bottom plate, and the exhaust port side ends of the top plate and the bottom plate, respectively. It may be configured to further include a fixed beam for fixing the liver in the horizontal direction.
여기서, 냉각탑의 설치면적에 제한을 받는 경우에는, 상기 저부장착부재와 상부장착부재가 장착된, 하나의 상기 모듈형 냉각탑과, 다른 하나의 모듈형 냉각탑은, 상기 상부장착부재와 저부장착부재를 체결하여 수직으로 2단 또는 3단으로 다단 설치를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when the installation area of the cooling tower is limited, one of the modular cooling tower, and the other modular cooling tower, to which the bottom mounting member and the top mounting member are mounted, may include the top mounting member and the bottom mounting member. It is preferable to fasten and install multistage in two or three stages vertically.
또한, 모듈형 냉각탑을 다단 설치를 하는 경우, 급기공간 또는 살수부의 점검 및 보수를 위하여 구성된 상기 점검부에 접근 공간을 확보하기 위하여, 상기 저부장착부재와 상부장착부재 사이에는, 상단부와 하단부에 복수의 볼트공을 형성하는 결합판을 갖는 중간기둥부재를 더 포함하여 체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when the modular cooling tower is installed in multiple stages, a plurality of upper and lower portions may be provided between the bottom mounting member and the upper mounting member in order to secure an access space to the inspection unit configured for the inspection and maintenance of the air supply space or the water spraying unit. It is preferable to further include an intermediate pillar member having a coupling plate forming a bolt hole.
다음으로, 설치장소의 제약으로 상기 모듈형 냉각탑을 층고가 비교적 높은 기계실 등의 건물 천정에 설치하는 경우, 상기 저부장착부재 또는 상부장착부재 중 어느 하나를 고정부로 하여 천정부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Next, when the modular cooling tower is installed on a building ceiling such as a machine room having a relatively high height due to constraints on the installation place, it is preferable to install the modular cooling tower on the ceiling by using either the bottom mounting member or the top mounting member as a fixing part. .
여기서, 상기 고정부가 되는 저부장착부재의 하부밀착부에는, 행거부재가 결합되는 체결공이 형성된 베이스비이임을 더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the bottom contact portion of the bottom mounting member to be the fixing portion, it is preferable to further comprise a base bee formed with a fastening hole is coupled to the hanger member.
그리고, 저부장착부재의 하부밀착부와 상기 베이스비이임 사이에는 방진부재를 더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o further include a dustproof member between the bottom contact portion of the bottom mounting member and the base beam.
또한, 상기 행거부재는, 양 단부에 나사가 형성된 환봉인 것이 바람직 하나, 양 단부에 복수의 체결공을 형성하는 체결판을 갖는 형강으로도 구성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hanger member is preferably a round bar having a screw formed at both ends, but may also be formed of a shaped steel having a fastening plate for forming a plurality of fastening holes at both ends.
그리고, 상기 행거부재의 상단부가 결합되는 천정부에는 하나 이상의 앵커가 매설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And, it is preferable that at least one anchor is embedded in the ceiling portion to which the upper end of the hanger member is coupled.
다음으로, 덕트로 급기 및 배기를 안내하는 수단으로서, 상기 급기구와 배기구에는, 상기 급기구에 결합되는 덕트연결형 급기안내부재와, 상기 배기구에 결합되는 덕트연결형 배기안내부재를 더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Next, as a means for guiding the air supply and exhaust to the duct, the air supply and the exhaust port further comprises a duct-connected air supply guide member coupled to the air supply and the duct-connected exhaust guide member coupled to the exhaust port It is preferable.
다음으로, 상기 급기구와 배기구에는, 상기 급기구에 결합되며, 소음기하우징과 흡음재로 구성되는 급기측소음기와, 상기 배기구에 결합되며 소음기하우징과 흡음재로 구성되는 배기측소음기를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Next, the air supply port and the exhaust port, the air supply side silencer coupled to the air supply and composed of a silencer housing and sound absorbing material, and an exhaust side silencer coupled to the exhaust port and composed of a silencer housing and a sound absorbing material to be configured. It may be.
여기서, 상기 급기안내부재는, 상기 급기측소음기의 소음기하우징 단부에 착탈식으로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배기안내부재는, 상기 배기측소음기의 소음기하우징 단부에 착탈식으로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it is preferable that the air supply guide member is detachably mounted to the silencer housing end of the air supply side silencer, and the exhaust guide member is preferably detachably mounted to the silencer housing end of the exhaust side silencer.
다음으로, 상기 팬지지부와 베이스의 사이와, 상기 저부장착부재와 기초 (Foundation) 또는 상부장착부재 사이 중 어느 한 곳에는, 방진부재를 더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Next, it is preferable to further include a dustproof member between any one of the pan support and the base and between the bottom mounting member and the foundation or the top mounting member.
다음으로, 설치된 상기 모듈형냉각탑을 외부에서 보이지 않게 위장하는 수단으로서, 일측은 상기 저부장착부재 및 상부장착부재의 측부 및 보강판에 형성된 체결공에 고정볼트로 체결되고, 타측은 위장벽과 고정볼트로 체결되며, 양측 단부에 볼트체결공이 형성된 체결판을 구성하는 복수의 위장벽지지비이임을 더 포함하여 상기위장벽을 별개의 건축 구조물없이 간편하게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Next, as a means for camouflage the installed modular cooling tower from the outside, one side is fastened to the fastening holes formed in the side and the reinforcement plate of the bottom mounting member and the upper mounting member, the other side is fixed with the camouflage wall It is preferable that the gastric wall is easily installed without a separate building structure, further comprising a plurality of camouflage wall support ratios which are fastened by bolts and constitute fastening plates having bolt fastening holes formed at both ends thereof.
다음으로, 설치된 모듈형냉각탑의 상부 공간을 활용하는 수단으로서, 상기 상부장착부재에는, 바닥판과, 상기 바닥판과, 상기 바닥판을 고정하는 수평비이임과, 상기 수평비이임을 지지하며, 상기 상부장착부재와 고정볼트로 체결되며, 하부에 복수의 볼트공을 형성하는 체결판을 갖는 기둥부재와, 상기 바닥판의 외각을 방호하는 핸드레일과, 계단으로 구성되는 플랫폼을 더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Next, as a means for utilizing the upper space of the installed modular cooling tower, the upper mounting member, the bottom plate, the bottom plate and the horizontal ratio for fixing the bottom plate, and supports the horizontal ratio, A pillar member having a fastening plate fastened with an upper mounting member and a fixing bolt, and having a plurality of bolt holes formed thereon, a handrail for protecting the outer shell of the bottom plate, and a platform comprising a staircase It is preferable.
그리고, 상기 플랫폼에는, 모듈형냉각탑 주변의 전등, 구동모터, 냉각탑의 제어기기 등에 전원의 일부 또는 전부를 공급하는 복수의 태양광 발전기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platform, it is preferable that a plurality of solar generators for supplying part or all of the power to the lamp, drive motor, control unit of the cooling tower around the modular cooling tower, and the like.
다음으로, 상기 저부장착부재와 상부장착부재에는, 냉각탑의 기계적 혐오감 및 주변미관 훼손을 해소하는 외장수단으로서, 상기 케이싱의 양 측판 및 상판과 면하게 외장부재를 더 포함하여 장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Next, it is preferable that the bottom mounting member and the top mounting member further include an exterior member facing both side plates and the top plate of the casing as exterior means for eliminating mechanical aversion and damage to the peripheral aesthetics of the cooling tower.
그리고, 상기 저부장착부재와 상부장착부재에는, 상기 전판 및 후판과 면하게, 급기개구와 배기개구를 형성한 외장부재를 더 포함하여 장착할 수도 있다.The bottom mounting member and the top mounting member may further include an exterior member having air supply openings and exhaust openings facing the front and rear plates.
또한, 상기 저부장착부재와 상부장착부재와 상기 외장부재 사이에는, 고정볼트 체결을 용이하게 하는 공간을 확보하기 위하여, 양 단부에 볼트체결공이 형성된 체결판을 갖는 고정비이임을 더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between the bottom mounting member and the top mounting member and the exterior member, in order to ensure a space for easy fastening the fixing bolt, it is preferable to further comprise a fixed beam having a fastening plate formed with bolt fastening holes at both ends. Do.
다음으로, 상기 외장부재는, 경량패널로서, 광고 등을 도화한 그래픽 패널과, 주변 건축물과 조화되는 건축화패널과, 성형패널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Next, the exterior member is preferably a lightweight panel, which is composed of any one of a graphic panel in which advertisements and the like are made, an architectural panel harmonized with surrounding buildings, and a molded panel.
다음으로, 상기 외장부재는, 경량패널로서, 광고 등을 도화한 그래픽 패널, 주변 건축물과 조화되는 건축화패널 또는 성형패널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Next, the exterior member is a lightweight panel, preferably composed of any one of a graphic panel, such as an advertisement or the like, an architectural panel or a molding panel in harmony with the surrounding buildings.
그리고, 상기 상부장착부재에는, 광고판(Billboard)를 더 포함하여 설치할 수도 있다.The upper mounting member may further include a billboard.
또한, 상기 상부장착부재에는, 냉각탑의 제어반과, 수처리유닛 등을 장치하는 현장막사(Pulpit)를 더 포함하여 설치할 수도 있다.The upper mounting member may further include a control panel of the cooling tower and a field pulpit for installing a water treatment unit.
본 발명에 따르면, 냉각탑의 높이를 현격하게 감소시킬 수 있고, 완제품으로 운송 및 설치를 간편하게 할 수 있으며, 냉각탑의 구성부를 케이싱내에 내장시키어 손상방지와 미관을 향상시킬 수 있고, 냉각수와 공기를 우회 유동없이 열교환부로 원활하게 유동시키고, 배기의 재순환을 방지하여 열교환 성능저하를 방지할 수 있 으며, 냉각탑 내부의 구성부를 간편하게 점검 및 보수할 수 있고, 냉각탑을 다단 및 건물의 천정부에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으며, 냉각탑의 상부공간을 활용할 수 있고, 냉각탑을 은폐하는 위장벽 또는 외장부재를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는 모듈형 냉각탑을 제공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height of the cooling tower can be significantly reduced, transportation and installation can be simplified as a finished product, and the components of the cooling tower can be built into the casing to improve damage prevention and aesthetics, and bypass the cooling water and air. It smoothly flows to the heat exchanger without flow, prevents the recirculation of exhaust gas and prevents the deterioration of heat exchange performance, can easily check and repair the components inside the cooling tower, and can easily install the cooling tower in the ceiling of multi-stage and building.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utilize the upper space of the cooling tower, it is possible to provide a modular cooling tower that can easily install the camouflage wall or the exterior member to conceal the cooling tower.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설명에 앞서, 본 발명의 목적, 특징 및 장점,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된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 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술의 기능 및 작용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Prior to the description, the objects,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for achieving them will b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accordingly,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be able to easily practice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functions and functions of the known technology that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omitted.
그리고, 여러 실시 예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을 가지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부호를 적용하여 대표적으로 일실시 예에서 설명하고, 그 외의 실시 예에서는 일실시 예와 다른 구성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In various embodiments, components having the same configuration will be representatively described in one embodiment by applying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other embodiments will be described only in the configuration different from the embodiment.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모듈형 냉각탑의 개략적인 측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개략적인 종단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배기구 및 급기구에 대한 개략적인 구성도이고, 도 4는 도 1의 배기 및 급기안내부재의 개략적인 배치도이며, 도 5는 도 1의 장착부재에 대한 확대도이고, 도 6은 도 1의 모듈형 냉각탑에 대한 다단 및 플랫폼 설치를 나타낸 개략적인 측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는 개방식 모듈형 냉각탑(1a)의 구성으로서, FIG. 1 is a schematic side cross-sectional view of a modular cooling towe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schematic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of FIG. 1, and FIG. 3 is a schematic configuration diagram of an exhaust port and an air supply port of FIG. 1. 4 is a schematic layout view of the exhaust and air supply guide member of FIG. 1, FIG. 5 is an enlarged view of the mounting member of FIG. 1, and FIG. 6 shows a multi-stage and platform installation for the modular cooling tower of FIG. 1. A schematic side cross-sectional view. As shown in these figures,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configuration of an open
급기영역(24)과 배기영역(25)을 갖는 열교환영역을 형성하며, 전판(11) 및 후판(12)과, 상판(15) 및 저판(16)과, 양 측판(13, 14)으로 이루어지는 6면의 직사각으로 구성되는 케이싱(10)과; 상기 급기영역(24)과 면하는 상기 후판(12)을 관통하여 마련되는 급기구(17a)와; 상기 배기영역(25)과 면하는 상기 전판(11)을 관통하여 마련되는 배기구(18)와; 상기 열교환영역에 배치되어 냉각수와 공기가 상호 유동하며 열교환하며, 필러로 이루어지는 개방식 열교환부(70a)와; 상기 개방식 열교환부(70a)의 상부에 배치되어 냉각수를 살수하며, 다수의 살수구(84)를 형성하는 살수부(80a)와; 상기 살수부(80a)의 일측 저부와 상기 열교환부(70a)의 일측 상부사이를 폐쇄하여 살수영역을 형성하는 살수구획부재(27a)와; 상기 열교환부(70a)를 향해 송풍하고 열교환을 마친 포화습공기를 상기 배기구를 통해 배기하며, 송풍개구(21)에 결합되는 플랜지(미부호)가 형성되는 송풍토출구(93)를 갖는 팬하우징 (92a)과, 상기 팬하우징(92a)을 지지하는 팬지지부(94)와, 상기 팬하우징(92a) 내에 구성되는 원심형 팬날개(91a)와, 구동모터 (95)와, 상기 원심형 팬날개(91a)와 상기 구동모터(95)에 결합되는 각각의 플리(미부호)와, 구동벨트(미부호)와, 상기 팬지지부(94)와 상기 구동모터(95)를 지지하는 베이스(96)와, 상기 팬지지부(94) 및 상기 구동모터(95)와 상기 베이스(96) 사이에 마련되는 복수의 방진부재 (97)로 구성되며, 흡기영역(23) 내에 배치되는 원심형 송풍팬부(90a)와; 상기 배기구(18)를 향하여 비산되는 물방울을 회수하며, 상기 열교환부(70a)의 배기측에 형성되는 엘리미네이터(78)와; 상기 열교환부(70a)를 통해 낙하되는 냉각수를 집수하며 일영역에 냉각수유출구(101)가 마련되는 집수조(100)와; 상기 케이싱(10)을 지지하며, 상기 케이싱(10)의 내측 6면의 모서리를 따라 구성되며, 상부프레임(33)과, 저부프레임(34)과, 한쌍의 측부프레임(31, 32)과, 상기 각 프레임(31, 32, 33, 34)의 수평 및 수직간을 지지하는 하나 이상의 수평 보강프레임(35) 및 수직 보강프레임(미도시)으로 구성되는 프레임부(30)와; 상기 열교환부(70a)와 상기 급기구 (17a)사이에 구성되어 상기 급기영역(24)과 상기 흡기영역(23)을 형성하고, 냉각수와 공기가 우회 유동없이 원활하게 유동되도록 구획하며, 상기 살수조(83)의 타측 저부와 상기 열교환부의 타측 상부사이를 폐쇄하는 살수영역구획부(미부호)와, 급기영역을 구획하는 급기영역구획부(미부호)와, 상기 살수영역구획부(미부호)와 급기영역구획부(미부호) 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열교환부 (70a)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구성되는 상부구획부(미부호)와, 상기 급기영역구획부(미부호)에 마련되는 송풍개구(21)로 이루어지는 송풍구획부(20)와; 상기 송풍개구(21)와 상기 플랜지(미부호) 사이를 연결하여 상기 송풍팬부(90a)의 진동 전달을 차단하며, 양 측에 결합플랜지(미부호)가 마련되는 신축성 방진결합부재(98)와; 상기 케이싱(10)의 저부에 밀착 고정되며, 상기 저판(16)과 상기 저판(16)과 면하는 저부프레임(34)를 관통하여 고정볼트(미부호)로 고정되고, 상기 고정볼트(미부호)가 관통되는 복수의 장착공(134a, 134b)을 형성한 상부밀착부(미부호) 및 저부밀착부(미부호)와, 상기 제1지지비이임(137)이 고정되는 복수의 비임체결공(135a)이 형성되는 측부(미부호)와, 상기 상부밀착부(미부호)와 저부밀착부(미부호) 사이에 수평방향 중심에 수직되게 결합되고 복수의 비임체결공(135b)을 형성하는 보강판 (132)으로 구성되는 3개의 장착부(131a, 131b, 131c)와, 상기 3개의 장착부(131a, 131b, 131c) 간을 고정하는 고정비이임(133)으로 구성되는 저부장착부재(130a)와; 상기 케이싱(10)의 상부에 밀착 고정되며, 상기 상판(15)과 상기 상판(15)과 면하는 상부프레임(33)를 관통하여 고정볼트(미부호)로 고정되고, 상기 고정볼트(미부호)가 관통되는 복수의 장착공(134a, 134b)을 형성한 상부밀착부(미부호) 및 저부밀착부(미부호)와, 상기 제1지지비이임(137)이 고정되는 복수의 비임체결공(135a)이 형성되는 측부(미부호)와, 상기 상부밀착부(미부호)와 저부밀착부(미부호) 사이에 수평방향 중심에 수직되게 결합되고 복수의 비임체결공(135b)을 형성하는 보강판(132)으로 구성되는 3개의 장착부(131a, 131b, 131c)와, 상기 3개의 장착부 (131a, 131b, 131c) 간을 고정하는 고정비이임(133)으로 구성되는 상부장착부재 (130b)가 마련되어 있다. A heat exchange area having an
다음으로, 상기 살수부(80a)와 면하는 상기 상판(15)에는, 점검개구(미부호)와, 상기 점검개구(미부호)를 개폐하며 볼트체결로 고정되는 착탈식 덮개(미부호)로 구성되는 점검부(29)가 마련되어 있다.Next, the
다음으로, 상기 저부장착부재(130a)는, 상기 저판(16)의 양측과 중앙에 각각 결합되어 있다.Next, the
그리고, 상기 상부장착부재(130b)는, 상기 상판(15)의 양측과 중앙에 각각 결합되어 있다. The upper mounting
또한, 상기 저판(16)의 양측과 중앙에 각각 결합되는 상기 저부장착 부재(130a) 간을 고정하는 제1지지비이임(137)을 더 포함하여 마련하고 있다.In addition, it further comprises a
다음으로, 상기 급기구(17a)에는, 복수의 안내블레이드(42)와, 상기 안내블레이드(42)가 장착되는 급기안내부재프레임(41a)과, 일측은 상기 급기안내부재프레임(41a)의 측부에 고정되고 타측은 상기 급기구(17a)와 인접한 케이싱 후판(12)에 고정되는 복수의 힌지(53)로 구성되는 한 쌍의 급기안내부재(40a)가 마련되어 있다.Next, the
그리고, 상기 한 쌍의 급기안내부재(40a)를 고정 및 상기 급기구(17a)의 개폐를 단속하며, 상기 보강프레임(미도시)에 고정되는 고정볼트(62)와, 고정볼트 (62)에 수용되는 고정클램프(61)와, 고정클램프(61)를 고정하는 고정너트(63)로 구성되는 개폐부재(60)가 마련되어 있다.In addition, the pair of air
다음으로, 상기 배기구(18)에는, 복수의 안내블레이드(52)와, 상기 안내블레이드(52)가 장착되는 배기안내부재프레임(51a)과, 일측은 상기 배기안내부재프레임 (51a)의 측부에 고정되고 타측은 상기 배기구(18)와 인접한 케이싱 전판(11)에 고정되는 복수의 힌지(53)로 구성되는 한 쌍의 배기안내부재(50a)가 마련되어 있다.Next, the
그리고, 상기 한 쌍의 배기안내부재(50a)를 고정 및 상기 배기구(18)의 개폐를 단속하며, 상기 보강프레임(35)에 고정되는 고정볼트(62)와, 고정볼트(62)에 수용되는 고정클램프(61)와, 고정클램프(61)를 고정하는 고정너트(63)로 구성되는 개폐부재(60)가 마련되어 있다.In addition, the pair of
여기서, 상기 안내블레이드는, 안내각도 조절이 가능한 각도조절식 안내블레이드 또는 최적의 안내각도로 고정된 고정식 안내블레이드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된다.Here, the guide blade is composed of any one of the angle-controlled guide blades capable of adjusting the guide angle or a fixed guide blade fixed at the optimum guide angle.
다음으로, 상기 살수조(83)의 일측 벽에는, 일측벽을 관통하여 결합되며, 일단부에는 플랜지(미부호)가 마련되고 타측은 상기 살수조내(83)로 냉각수의 공급을 안내하는 안내구(미부호)가 마련되는 냉각수안내구(82)가 결합되어 있다. Next, one side wall of the sprinkling
다음으로, 상기 전판(11)을 관통하여 상기 냉각수안내구(82)에 결합되며, 양단부에 플랜지(미부호)를 갖는 냉각수유입관(81)을 마련하고 있다.Next, the
다음으로, 상기 상판(11)과 밀착되는 상기 살수영역구획부(미부호)의 상단 과, 상기 양 측판(13, 14)과 밀착되는 급기영역구획부(미부호) 및 상부구획부(미부호)와 급기영역구획부(미부호)의 양측 단부에는 플랜지(미부호)가 마련되어 있다.Next, an upper end of the watering area compartment (not shown) in close contact with the
그리고, 상기 집수조(100)의 측벽에 밀착되는 상기 급기영역구획부(미부호)의 하단부에는 복수의 고정볼트공(미부호)을 마련하고 있다.In addition, a plurality of fixing bolt holes (not shown) are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air supply area block (not shown) in close contact with the side wall of the
또한, 상기 상판(11)과, 상기 양측판(13,14)과, 상기 집수조(100)의 측벽을 고정부로 하여 상기 송풍구획부(20)가 설치되어 있다.In addition, the blowing
다음은, 전술한 모듈형냉각탑(1a)의 다단 설치와, 상기 저부장착부재(130a)및 상부장착부재(130b)를 고정부로 한 부대시설의 설치예에 대하여 설명한다.Next, a multi-stage installation of the above-described
상기 저부장착부재(130a)및 상부장착부재(130b)가 장착된 하나의 모듈형냉각탑(1a)과 다른 하나의 모듈형냉각탑(1a)의 다단 설치에 있어,In the multi-stage installation of one modular cooling tower (1a) and the other modular cooling tower (1a) equipped with the bottom mounting member (130a) and the top mounting member (130b),
먼저, 콘크리트의 기초에 매설된 앵커볼트(미부호)에 상기 하나의 모듈형냉각탑(1a)에 장착된 상기 저부장착부재(130a)를 체결한다.First, the
그 다음, 하나의 모듈형냉각탑(1a)의 상부장착부재(130b)와 다른 하나의 모 듈형냉각탑(1a)의 저부장착부재(130a)가 마주하게 밀착시키고 고정볼트로 체결한 다.Then, the
그 다음, 다단으로 설치된 상기 모듈형냉각탑(1a)을 외부에서 보이지 않게 위장하는 수단으로서, 양 단부에 볼트체결공(미부호)이 형성된 체결판(미부호)을 구성하는 복수의 위장벽지지비이임(210)의 일측은 상기 저부장착부재(130a) 및 상부장착부재(130b)의 측부 및 보강판(132)에 형성된 체결공(135a, 135b)에 고정볼트로 체결되고, 타측은 위장벽(200)과 고정볼트로 체결되어, 상기 위장벽(200)이 설치된다. Then, as a means for camouflage the modular cooling tower (1a) installed in a multi-stage invisible from the outside, a plurality of camouflage wall support ratio constituting a fastening plate (unsigned) formed with bolt fastening holes (unsigned) at both ends One side of the 210 is fastened with fixing bolts to the
그 다음, 다른 하나의 모듈형냉각탑(1a)에 장착된 상부장착부재(130b)의 상부 공간을 활용하는 수단으로서, 상기 상부장착부재(130b)에는, 바닥판(251)과, 상기 바닥판(251)을 고정하는 수평비이임(252)과, 상기 수평비이임(252)을 지지하며, 하부에 복수의 볼트공을 형성하는 체결판(253)을 갖는 기둥부재(254)와, 상기 바닥판(251)의 외각을 방호하는 핸드레일(255)과, 계단(256)으로 구성되는 플랫폼 (250)이 고정볼트의 체결로 설치된다. Next, as a means for utilizing the upper space of the upper mounting
그 다음, 상기 플랫폼(250)에는, 모듈형냉각탑 주변의 전등, 구동모터, 냉각탑의 제어기기 등에 전원의 일부 또는 전부를 공급하는 복수의 태양광 발전기 (260)가 설치된다.Next, the
위와 같은, 본 발명의 제 1실시 예는, 수평형 직사각형 케이싱구조에 의하여 냉각탑의 높이를 현격하게 감소시킬 수 있고, 완제품으로 운송 및 설치를 간편하게 할 수 있으며, 냉각탑의 구성부를 케이싱내에 내장시키어 손상방지와 미관을 향상 시킬 수 있고, 송풍구획부를 통하여 냉각수와 공기를 우회 유동없이 열교환부로 원활하게 유동시키고, 급기구와 배기구가 상호 이격되게 배치함에 따라 배기의 재순환을 방지하여 열교환 성능저하를 방지할 수 있으며, 개폐식 급기안내부재 및 배기안내부재와, 점검부를 통하여 냉각탑 내부의 구성부를 간편하게 점검 및 보수할 수 있고, 냉각탑을 다단 및 건물의 천정부에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으며, 냉각탑의 상부공간을 활용할 수 있고, 냉각탑을 은폐하는 위장벽 또는 외장부재를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는 모듈형 냉각탑을 제공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eight of the cooling tower can be significantly reduced by the horizontal rectangular casing structure, transportation and installation can be easily performed as a finished product, and the components of the cooling tower are built into the casing and damaged. It can improve the prevention and aesthetics, and smoothly flow the cooling water and air to the heat exchanger without the bypass flow through the air blowing section, and prevent the recirculation of the exhaust by preventing the recirculation of the exhaust as the air inlet and the exhaust port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t is possible to easily check and repair the internal parts of the cooling tower through the retractable air supply guide member and the exhaust guide member, and the inspection unit, the cooling tower can be easily installed in the ceiling and the ceiling of the building, and the upper space of the cooling tower can be utilized. And can easily install a camouflage wall or exterior member to conceal the cooling tower. It can provide a modular cooling tower.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모듈형 냉각탑의 개략적인 측단면도이다. 도면에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는 개방식 모듈형 냉각탑(1c)의 구성으로서, 전술한 제1 실시 예와는 달리, 개방식 열교환부(70a)는, 그 측면이 평행사변형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급기구(23) 방향의 상기 개방식 열교환부 (70a)의 단부에는 루버(79)를 더 포함하여 마련하고 있다.7 is a schematic side cross-sectional view of a modular cooling towe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the figure,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configuration of an open
다음으로, 상기 급기구(17a)에는, 상기 급기구(17a)에 결합되며, 일측에는 케이싱의 후판(12)에 고정되는 힌지(143)가 구성되고, 타측에는 개폐부재(60)가 장착된 급기안내부재(40b)가 수용 고정되는 소음기하우징(141)과, 상기 소음기하우 징(141)내에 구성되는 흡음재(142)로 이루어지는 급기측소음기(140)를 더 포함하여 마련하고 있다. Next, the air supply mechanism (17a) is coupled to the air supply mechanism (17a), one side is a
다음으로, 상기 배기구(18)에는, 상기 배기구(18)에 결합되며, 일측에는 케이싱의 전판(11)에 고정되는 힌지(153)가 구성되고, 타측에는 개폐 부재(60)가 장착된 배기안내부재(50b)가 수용 고정되는 소음기하우징(151)과, 상기 소음기하우징(151)내에 구성되는 흡음재(152)로 이루어지는 배기측소음기(150)를 더 포함하여 마련하고 있다. . Next, the
위와 같은, 본 발명의 제 2실시 예는, 수평형 직사각형 케이싱구조에 의하여 냉각탑의 높이를 현격하게 감소시킬 수 있고, 완제품으로 운송 및 설치를 간편하게 할 수 있으며, 냉각탑의 구성부를 케이싱내에 내장시키어 손상방지와 미관을 향상시킬 수 있고, 송풍구획부를 통하여 냉각수와 공기를 우회 유동없이 열교환부로 원활하게 유동시키고, 급기구와 배기구가 상호 이격되게 배치함에 따라 배기의 재순환을 방지하여 열교환 성능저하를 방지할 수 있으며, 냉각탑의 운전소음을 저감할 수 있고, 개폐식 급기측소음기 및 배기측소음기와, 점검부를 통하여 냉각탑 내부의 구성부를 간편하게 점검 및 보수할 수 있으며, 냉각탑을 다단 및 건물의 천정부에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고, 냉각탑의 상부공간을 활용할 수 있으며, 냉각탑을 은폐하는 위장벽 또는 외장부재를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는 모듈형 냉각탑을 제공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eight of the cooling tower can be significantly reduced by the horizontal rectangular casing structure, and transportation and installation can be simplified as a finished product, and the components of the cooling tower are built into the casing and damaged. It can improve the prevention and aesthetics, and smoothly flow the cooling water and air to the heat exchanger without the bypass flow through the air blowing section, and prevent the recirculation of the exhaust by preventing the recirculation of the exhaust as the air inlet and the exhaust port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t can reduce the operation noise of the cooling tower, easily check and repair the internal parts of the cooling tower through the open / close air supply side silencer and the exhaust side silencer, and the inspection unit, and easily install the cooling tower in the ceiling of the multi-stage and building. Can utilize the upper space of the cooling tower, cover up the cooling tower, It is possible to provide a modular cooling tower which can easily be installed an external member.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모듈형 냉각탑의 개략적인 측단면도이고, 도 9는 도 8의 모듈형 냉각탑에 대한 다단설치를 나타낸 개략적인 측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는 개방식 모듈형 냉각탑(1d)의 구성으로서, 전술한 실시 예와는 달리, 흡기영역(23)과 면하는 케이싱의 저판(16)을 관통하여 급기구(17b)가 마련되고, 상기 급기구(17b)에는, 조류의 침입을 차단하는 조류차단격자(45)와, 상기 조류차단격자(45)가 장착되며 일측에 플랜지(미부호)를 형성하는 급기안내부재프레임(41a)으로 구성되는 급기안내부재 (40c)가 고정볼트(미부호) 체결로 장착되어 있다. 8 is a schematic side cross-sectional view of a modular cooling tower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9 is a schematic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multi-stage installation for the modular cooling tower of FIG. As shown in these figures,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configuration of an open
여기서, 상기 급기구(17b)에는, 전술한 개폐부재(60)와, 급기안내부재(40c)로도 장착할 수 있다.The
다음으로, 상기 개방식 열교환부(70a)의 상부에는, 냉각수를 안내하는 살수주관(86) 및 분배관(87)과, 상기 분배관(87)에 결합되어 상기 열교환부로 냉각수를 살수하는 복수의 살수노즐(88)로 구성되는 압력 살수식 살수부(80b)를 마련하고 있다. Next, the upper portion of the open heat exchange unit (70a), a plurality of sprinkling
다음은, 전술한 모듈형냉각탑(1d)의 다단 설치와, 상기 저부장착부재(130a) 및 상부장착부재(130b)를 고정부로 한 부대시설의 설치예에 대하여 설명한다.Next, a multi-stage installation of the above-described
상기 저부장착부재(130a) 및 상부장착부재(130b)가 장착된 하나의 모듈형냉각탑(1d)과 다른 하나의 모듈형냉각탑(1d)은, 급기공간과 점검부의 접근공간을 확보하는 수단으로서, 상기 저부장착부재(130a)와 상부장착부재(130b) 사이와, 상기 저부장착부재(130a)와 기초 사이에는, 상단부와 하단부에 복수의 볼트공을 형성하는 결합판(미부호)을 갖는 중간기둥부재(136)를 더 포함하여 다단 설치하고 있다.The
다음으로, 다단 설치된 모듈형냉각탑(1d)의 지지를 강화하는 수단으로서, 상기 저부장착부재(130a) 및 상부장착부재(130b)와 건물의 벽부(220)를 지지하는 위장벽지지비이임(210)을 더 포함하여 설치하고 있다. Next, as a means for strengthening the support of the multi-stage modular cooling tower (1d), the camouflage
위와 같은, 본 발명의 제 3실시 예는, 수평형 직사각형 케이싱구조에 의하여 냉각탑의 높이를 현격하게 감소시킬 수 있고, 완제품으로 운송 및 설치를 간편하게 할 수 있으며, 냉각탑의 구성부를 케이싱내에 내장시키어 손상방지와 미관을 향상 시킬 수 있고, 송풍구획부를 통하여 냉각수와 공기를 우회 유동없이 열교환부로 원활하게 유동시키고, 급기구와 배기구가 상호 이격되게 배치함에 따라 배기의 재순환을 방지하여 열교환 성능저하를 방지할 수 있으며, 개폐식 급기안내부재 및 배기안내부재와, 점검부를 통하여 냉각탑 내부의 구성부를 간편하게 점검 및 보수할 수 있고, 저부 급기의 구조로 냉각탑의 설치면적을 감소할 수 있으며, 냉각탑의 상부공간을 활용할 수 있고, 냉각탑을 다단 및 건물의 천정부에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으며, 냉각탑의 상부공간을 활용할 수 있으며, 냉각탑을 은폐하는 위장벽 또는 외장부재를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는 모듈형 냉각탑을 제공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eight of the cooling tower can be greatly reduced by the horizontal rectangular casing structure, and transportation and installation can be simplified as a finished product, and the components of the cooling tower are built into the casing and damaged. It can improve the prevention and aesthetics, and smoothly flow the cooling water and air to the heat exchanger without the bypass flow through the air blowing section, and prevent the recirculation of the exhaust by preventing the recirculation of the exhaust as the air inlet and the exhaust port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t is possible to easily check and repair the internal parts of the cooling tower through the opening and closing air supply guide member and the exhaust guide member, and the inspection unit, and to reduce the installation area of the cooling tower by the structure of the bottom air supply, to utilize the upper space of the cooling tower Cooling towers can be easily installed in multistage and ceiling of buildings, The upper space can be utilized, and it can provide a modular cooling tower that can easily install the camouflage wall or the exterior member to conceal the cooling tower.
도 10은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모듈형 냉각탑의 개략적인 측단면도이다. 도면에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4 실시예는, 개방식 열교환부와 밀폐식 열교환부를 혼용 배치하는 혼식 건식열교환부를 구성하는 모듈형 냉각탑(1f)의 구성으로서, 전술한 실시 예와는 달리, 열교환영역에는, 습건식전열관 (71)과, 상기 습건식전열관(71)의 일측에 결합되며 유체유입구(73)를 갖는 유체유입헤더(72)와, 상기 습건식전열관(71)의 타측에 결합되며 냉각유체유출구(75)를 갖는 냉각유체유출헤더(74)와, 상기 습건식전열관(71)을 지지하는 전열관지지부재 (77)로 구성되는 밀폐식 열교환부(70b)가 설치되어 있다.10 is a schematic side cross-sectional view of a modular cooling tower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the figure,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configuration of a
다음으로, 상기 밀폐식 열교환부(70b)와 이격된 상부에는, 압력 살수식 살수부(80b)를 마련하고 있다.Next, the hermetic In the upper part spaced apart from the
다음으로, 상기 압력 살수식 살수부(80b)의 하부와 상기 밀폐식 열교환부 (70b)의 상부 사이에는, 집수조(100)로부터 살수펌프(120)을 통해 유입되어 살수 되는 고온의 냉각수를 냉각하는 개방식 열교환부(70a)를 더 포함하여 마련하고 있다.Next, the lower portion of the pressure sprinkling
다음으로, 상기 송풍개구(21)에 결합되는 플랜지(미부호)가 형성되는 송풍토출구(93)를 갖는 복수의 팬하우징(92b)과, 상기 팬하우징(92b) 내에 구성되는 원심형 팬날개(91b)와, 상기 원심형 팬날개(91b)를 구동하는 구동모터(95)로 구성되는 플레넘형 송풍팬부(90b)가 설치되어 있다.Next, a plurality of
다음으로, 상기 배기영역(25)에는, 복수의 전열핀(115)을 형성하는 건식전열관(111)과, 상기 건식전열관(111)을 수용하며, 일측에 케이싱과 결합되는 플랜지를 형성하는 전열관하우징(미부호)과, 상기 건식전열관(18)의 일측 단부가 결합되며, 고온유체유입구(미부호)가 마련되는 고온유체유입헤더(112)와, 상기 건식전열관 (18)의 타측 단부가 결합되며, 고온유체유출구(미부호)가 마련되는 고온유체유출헤더(114)를 갖는 건식열교환부(110)를 더 포함하여 마련하고 있다.Next, in the
다음으로, 상기 고온유체유출헤더(114)에 구성된 고온유체유출구(미부호)와 유체유입구(73)사이에는 고온유체연결관(116)을 더 포함하여 설치하고 있다.Next, a high temperature
다음으로, 상기 집수조(100)의 냉각수유출구(101)와 살수주관(86)사이에는 냉각수유출관(102)이 설치되고, 상기 냉각수유출관(102)에는, 냉각수를 상기 살수주관(86)으로 공급하는 살수펌프(120)를 더 포함하여 설치하고 있다. Next, a cooling
다음으로, 상기 하부 장착부재(130a)의 저부밀착부(미부호)에는 방진부재(139)를 더 포함하여 장착하고 있다.Next, the bottom contact portion (not shown) of the lower mounting
다음으로, 상기 배기영역(25)과 면하는 케이싱의 측판에는 점검문(미부호)을 더 포함하여 구성하고 있다. Next, an inspection door (unsigned) is further included in the side plate of the casing facing the
위와 같은, 본 발명의 제 4실시 예는, 수평형 직사각형 케이싱구조에 의하여 냉각탑의 높이를 현격하게 감소시킬 수 있고, 완제품으로 운송 및 설치를 간편하게 할 수 있으며, 냉각탑의 구성부를 케이싱내에 내장시키어 손상방지와 미관을 향상시킬 수 있고, 송풍구획부를 통하여 냉각수와 공기를 우회 유동없이 열교환부로 원활하게 유동시키고, 급기구와 배기구가 상호 이격되게 배치함에 따라 배기의 재순환을 방지하여 열교환 성능저하를 방지할 수 있으며, 개방식열교환부와 밀폐식열교환부를 혼용 배치함으로서 열교환효율을 향상할 수 있고, 백연발생을 저감할 수 있으며, 개폐식 급기안내부재 및 배기안내부재와, 점검부 및 점검문을 통하여 냉각탑 내부의 구성부를 간편하게 점검 및 보수할 수 있고, 냉각탑을 다단 및 건물의 천정부에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으며, 냉각탑의 상부공간을 활용할 수 있으며, 냉각탑을 은폐하는 위장벽 또는 외장부재를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는 모듈형 냉각탑을 제공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eight of the cooling tower can be significantly reduced by the horizontal rectangular casing structure, transportation and installation can be easily performed as a finished product, and the components of the cooling tower are built into the casing and damaged. It can improve the prevention and aesthetics, and smoothly flow the cooling water and air to the heat exchanger without the bypass flow through the air blowing section, and prevent the recirculation of the exhaust by preventing the recirculation of the exhaust as the air inlet and the exhaust port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heat exchange efficiency by reducing the heat exchanger and the airtight heat exchanger, and to reduce the occurrence of smoke, and to open and close the inside of the cooling tower through the open and close air supply guide member and the exhaust guide member, inspection unit and inspection door. Easily check and repair the components, and make the cooling tower easy to multistage and ceiling of buildings It can be installed, can utilize the upper space of the cooling tower, can provide a modular cooling tower that can easily install the camouflage wall or the exterior member to conceal the cooling tower.
도 11은 본 발명의 제5 실시 예에 따른 모듈형 냉각탑의 개략적인 측단면도이고, 도 12는 도 11의 모듈형 냉각탑에 대한 천정부 설치를 나타낸 개략적인 측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5 실시예는, 개방식 열교환부(70a)와 밀폐식 열교환부(70b)를 혼용 배치하는 혼식 건식열교환부를 구성하는 모듈형 냉각탑(1g)의 구성으로서, 전술한 실시 예와는 달리, 급기구(17a)가 마련된 케이싱의 후판(12)에 결합되며, 양측에 결합 플랜지를 갖는 프레임으로 구성되는 덕트연결형 급기안내부재(40d)를 마련하고 있다.FIG. 11 is a schematic side cross-sectional view of a modular cooling tower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2 is a schematic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eiling installation of the modular cooling tower of FIG. As shown in these figures, the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of a
다음으로, 상기 배기구(18)가 마련된 케이싱의 전판(11)에 결합되며, 양측에 결합 플랜지를 갖는 프레임으로 구성되는 덕트연결형 배기안내부재(50c)를 마련하고 있다.Next, a duct-connected
다음으로, 상기 흡기영역(23)과 면하는 케이싱의 측판(13 or 14)에는, 점검문(미부호)을 더 포함하여 구성하고 있다.Next, the
다음으로, 상기 저부장착부재(130a)의 하부밀착부에 체결된 방진부재(139)의 하부에는, 양 단부에 나사가 형성된 행거부재(187)가 결합되는 체결공(미부호)이 마련된 베이스비이임(180)을 더 포함하여 장착하고 있다.Next, a base bee provided with a fastening hole (unsigned) to which a
상기 행거부재(187)의 하부는 상기 베이스비이임(180)에 채결되고, 상부는 천정부(230)에 매설된 앵커(185)에 체결되어 상기 모듈형 냉각탑(1g)을 천청부 (230)에 설치하게 된다.The lower part of the
위와 같은, 본 발명의 제 5실시 예는, 수평형 직사각형 케이싱구조에 의하여 냉각탑의 높이를 현격하게 감소시킬 수 있고, 완제품으로 운송 및 설치를 간편하게 할 수 있으며, 냉각탑의 구성부를 케이싱내에 내장시키어 손상방지와 미관을 향상시킬 수 있고, 송풍구획부를 통하여 냉각수와 공기를 우회 유동없이 열교환부로 원활하게 유동시키고, 급기구와 배기구가 상호 이격되게 배치함에 따라 배기의 재순환을 방지하여 열교환 성능저하를 방지할 수 있으며, 개방식열교환부와 밀폐식열교환부를 혼용 배치함으로서 열교환효율을 향상할 수 있고, 백연발생을 저감할 수 있으며, 개폐식 급기안내부재 및 배기안내부재와, 점검부 및 점검문을 통하여 냉각탑 내부의 구성부를 간편하게 점검 및 보수할 수 있고, 냉각탑을 다단 및 건물의 천정 부에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으며, 냉각탑의 상부공간을 활용할 수 있고, 냉각탑을 은폐하는 위장벽 또는 외장부재를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는 모듈형 냉각탑을 제공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eight of the cooling tower can be significantly reduced by the horizontal rectangular casing structure, transportation and installation can be simplified as a finished product, and the components of the cooling tower are built into the casing and damaged. It can improve the prevention and aesthetics, and smoothly flow the cooling water and air to the heat exchanger without the bypass flow through the air blowing section, and prevent the recirculation of the exhaust by preventing the recirculation of the exhaust as the air inlet and the exhaust port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heat exchange efficiency by reducing the heat exchanger and the airtight heat exchanger, and to reduce the occurrence of smoke, and to open and close the inside of the cooling tower through the open and close air supply guide member and the exhaust guide member, inspection unit and inspection door. The components can be easily checked and repaired, and the cooling tower can be easily installed on the multi-stage and ceiling of the building. Can be installed, it is possible to utilize the upper space of the cooling tower, it is possible to provide a modular cooling tower it can be easily installed over the wall or the exterior member to cover the cooling tower.
도 13은 본 발명의 제6 실시 예에 따른 모듈형 냉각탑의 개략적인 측단면도이고, 도 14는 도 13의 모듈형 냉각탑의 외장 설치를 나타낸 개략적인 부분파단 측면도이며, 도 15는 도 13의 모듈형 냉각탑의 다단 및 외장 설치를 나타낸 개략적인 부분파단 측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6 실시예는, 개방식 열교환부(70a)와 밀폐식 열교환부(70b)를 혼용 배치하는 혼식 건식열교환부를 구성하는 모듈형 냉각탑(1h)의 구성으로서, 전술한 실시 예와는 달리, 송풍개구(21)에 결합되는 플랜지(미부호)가 형성되는 송풍토출구(93)를 갖는 팬하우징(92c)과, 상기 팬하우징(92c)을 지지하는 팬지지부(94)와, 상기 팬하우징(92c) 내에 구성되는 축류형 팬날개(91c)와, 상기 팬날개 (91c)를 구동하는구동모터(95)와, 상기 팬지지부(94)와 상기 구동모터(95)를 지지하는 베이스(96)와, 상기 팬지지부(94) 및 구동모터(95)와 상기 베이스(96) 사이에 장착되는 방진부재(97)로 구성되는 축류형 송풍팬부(90c)가 마련되어 있다. FIG. 13 is a schematic side cross-sectional view of a modular cooling tower according to a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4 is a schematic partial cutaway side view illustrating an exterior installation of the modular cooling tower of FIG. 13, and FIG. 15 is a module of FIG. 13. A partial cutaway side view showing the multistage and exterior installation of a cooling tower. As shown in these figures, the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여기서, 상기 송풍팬부(90c)는 직결구동식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벨트구동식으로도 구성할 수 있다. Here, the blowing
다음으로, 상기 저부장착부재(130a)와 상부장착부재(130b)에는, 냉각탑의 기계적 혐오감 및 주변미관 훼손을 해소하는 외장수단으로서, 상기 케이싱의 양 측판 (13, 14) 및 상판(15)과 면하게 고정부재(271)로 고정되는 외장부재(270)를 더 포함하여 장착하고 있다. Next, the
여기서, 상기 저부장착부재(130a)와 상부장착부재(130b)에는, 상기 전판(11) 및 후판(12)과 면하게, 급기개구(미도시)와 배기개구(미도시)를 형성한 외장부재 (270)를 더 포함하여 장착할 수도 있다.Here, the bottom mounting member (130a) and the upper mounting member (130b), facing the
다음으로, 상기 상부장착부재(130b)에는, 냉각탑의 기계적 혐오감 및 주변미관 훼손을 해소하는 외장 수단으로서, 작은 나무, 화초, 잔디 등의 식물 분재하며, 저부에 배수구가 형성된 분재용 분토트레이(275)를 더 포함하여 설치하고 있다.Next, the upper mounting
다음으로, 다단 설치된 상기 모듈형 냉각탑(1h)의 최상부 상부장착부재 (130b)에는, 광고판(Billboard)을 더 포함하여 설치하고 있다.Next, the uppermost
여기서, 상기 상부장착부재(130b)에는, 냉각탑의 제어반과, 수처리유닛 등을 장치하는 현장막사(Pulpit)를 더 포함하여 설치할 수도 있다.The upper mounting
위와 같은, 본 발명의 제 6실시 예는, 수평형 직사각형 케이싱구조에 의하여 냉각탑의 높이를 현격하게 감소시킬 수 있고, 완제품으로 운송 및 설치를 간편하게 할 수 있으며, 냉각탑의 구성부를 케이싱내에 내장시키어 손상방지와 미관을 향상시킬 수 있고, 송풍구획부를 통하여 냉각수와 공기를 우회 유동없이 열교환부로 원활하게 유동시키고, 급기구와 배기구가 상호 이격되게 배치함에 따라 배기의 재순환을 방지하여 열교환 성능저하를 방지할 수 있으며, 개방식열교환부와 밀폐식열교환부를 혼용 배치함으로서 열교환효율을 향상할 수 있고, 외장부재를 통하여 냉각탑의 미관과 주변환경을 향상할 수 있으며, 개폐식 급기안내부재 및 배기안내부재와, 점검부 및 점검문을 통하여 냉각탑 내부의 구성부를 간편하게 점검 및 보수할 수 있고, 냉각탑을 다단 및 건물의 천정부에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으며, 냉각탑의 상부공간을 활용할 수 있으며, 냉각탑을 은폐하는 위장벽 또는 외장부재를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는 모듈형 냉각탑을 제공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eight of the cooling tower can be significantly reduced by the horizontal rectangular casing structure, and transportation and installation can be easily performed as a finished product. It can improve the prevention and aesthetics, and smoothly flow the cooling water and air to the heat exchanger without the bypass flow through the air blowing section, and prevent the recirculation of the exhaust by preventing the recirculation of the exhaust as the air inlet and the exhaust port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heat exchange efficiency by arranging the open heat exchanger and the closed heat exchanger in a mixed manner, improve the aesthetics and the surrounding environment of the cooling tower through the outer member, and open and close the air supply guide member and the exhaust guide member, and the inspection unit. And inspection doors make it easy to check and repair the components inside the cooling tower. It can be easily installed in the multi-tier and ceiling of the building, can utilize the upper space of the cooling tower, can provide a modular cooling tower that can easily install the camouflage wall or exterior member to conceal the cooling tower.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용이하게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Although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ose skilled in the art may easily implement the present invention in a modified form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I can understand that it can be.
그러므로 게시된 실시 예들은 그 실시 예가 특정하는 기술적구성 및 작용만으로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관점에서 이해되어야 한다.Therefore, the disclosed embodiments are not limited only to the technical configuration and operation that the embodiments specify, but should be understood in view of illustrating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내용에 의해서만 제한될 것이고,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과 그 변형으로부터 얻은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limited only by the contents described in the claims, and all modifications within the equivalent range and differences obtained from the modifications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included in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모듈형 냉각탑은, 냉각탑의 높이를 현격하게 감소시킬 수 있고, 완제품으로 운송 및 설치를 간편하게 할 수 있으며, 냉각탑의 구성부를 케이싱내에 내장시키어 손상방지와 미관을 향상시킬 수 있고, 냉각수와 공기를 우회 유동없이 열교환부로 원활하게 유동시키고, 배기의 재순환을 방지하여 열교환 성능저하를 방지할 수 있으며, 냉각탑 내부의 구성부를 간편하게 점검 및 보수할 수 있고, 냉각탑을 다단 및 건물의 천정부에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으며, 냉각탑의 상부공간 을 활용할 수 있고, 냉각탑을 은폐하는 위장벽 또는 외장부재를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는 산업상의 이점이 있다.Modular cooling tow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height of the cooling tower can be significantly reduced, can be transported and installed as a finished product, and the components of the cooling tower can be built into the casing to improve damage prevention and aesthetics, cooling water And air can flow smoothly to the heat exchanger without bypass flow, prevent recirculation of exhaust to prevent heat exchange performance deterioration, easily check and repair the components inside the cooling tower, and easy cooling tower for multi-level and ceiling of building It can be installed easily, can utilize the upper space of the cooling tower, there is an industrial advantage that can easily install the camouflage wall or the exterior member to conceal the cooling tower.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모듈형 냉각탑의 개략적인 측단면도, 1 is a schematic side cross-sectional view of a modular cooling towe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의 개략적인 종단면도, 2 is a schematic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of FIG. 1;
도 3은 도 1의 배기구 및 급기구에 대한 개략적인 구성도,3 is a schematic configuration diagram of the exhaust port and the air supply port of FIG.
도 4는 도 1의 배기 및 급기안내부재의 개략적인 배치도, 4 is a schematic layout view of the exhaust and air supply guide member of FIG.
도 5는 도 1의 장착부재에 대한 확대도,5 is an enlarged view of the mounting member of FIG. 1;
도 6은 도 1의 모듈형 냉각탑에 대한 다단 및 플랫폼 설치를 나타낸 개략적인 측단면도, 6 is a schematic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multi-stage and platform installation for the modular cooling tower of FIG.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모듈형 냉각탑의 개략적인 측단면도, 7 is a schematic side cross-sectional view of a modular cooling towe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모듈형 냉각탑의 개략적인 측단면도, 8 is a schematic side cross-sectional view of a modular cooling tower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는 도 8의 모듈형 냉각탑에 대한 다단설치를 나타낸 개략적인 측단면도, Figure 9 is a schematic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multi-stage installation for the modular cooling tower of Figure 8,
도 10은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모듈형 냉각탑의 개략적인 측단면도,10 is a schematic side cross-sectional view of a modular cooling tower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1은 본 발명의 제5 실시 예에 따른 모듈형 냉각탑의 개략적인 측단면도, 11 is a schematic side cross-sectional view of a modular cooling tower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2는 도 11의 모듈형 냉각탑에 대한 천정부 설치를 나타낸 개략적인 측단면도, 12 is a schematic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eiling installation of the modular cooling tower of FIG.
도 13은 본 발명의 제6 실시 예에 따른 모듈형 냉각탑의 개략적인 측단면도, 13 is a schematic side cross-sectional view of a modular cooling tower according to a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4는 도 13의 모듈형 냉각탑의 외장 설치를 나타낸 개략적인 부분파단 측면도, FIG. 14 is a schematic partial cutaway side view illustrating an exterior installation of the modular cooling tower of FIG. 13;
도 15는 도 13의 모듈형 냉각탑의 다단 및 외장 설치를 나타낸 개략적인 부분파단 측면도, FIG. 15 is a schematic partial cutaway side view showing multi-stage and exterior installation of the modular cooling tower of FIG. 13;
도 16는 종래 실내형 냉각탑의 개략적인 측면도,16 is a schematic side view of a conventional indoor cooling tower;
도 17은 종래 높이가 낮은 냉각탑의 개략적인 측면도이다.17 is a schematic side view of a conventional low cooling tower.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Code Description of Main Parts of Drawing>
1a, 1c, 1d, 1f, 1g, 300, 400 : 냉각탑 1a, 1c, 1d, 1f, 1g, 300, 400: cooling tower
10 : 케이싱부 11 : 전판10: casing portion 11: electric plate
12 : 후판 13, 14 : 측판12:
15 : 상판 16 : 저판15: top plate 16: base plate
17a, 17b : 급기구 18 : 배기구17a, 17b: air supply port 18: exhaust port
20 : 송풍구획부 21 : 송풍개구20: air blowing section 21: air blowing opening
23 : 흡기영역 24 : 급기영역23: intake area 24: air supply area
25 : 배기영역 27a, 27b : 살수구획부재 25:
29 : 점검부 30 : 프레임부29: check unit 30: frame unit
31, 32 : 측부프레임 33 : 상부프레임31, 32: side frame 33: upper frame
34 : 저부프레임 35 : 보강프레임 34: bottom frame 35: reinforcement frame
40a, 40b, 40c, 40d : 급기안내부재 41a, 41b : 급기안내부재프레임40a, 40b, 40c, 40d: Air
42, 52 : 안내블레이드 43, 53, 143, 153 : 힌지42, 52:
45 : 조류차단격자 50a, 50b, 50c : 배기안내부재45:
51a, 51b : 배기안내부재프레임 60 : 개폐부재51a, 51b: exhaust guide member frame 60: opening and closing member
61 : 고정클램프 62 : 고정볼트61: fixing clamp 62: fixing bolt
63 : 고정너트 70a, 70a', 70b : 열교환부63: fixing
71 : 습건식전열관 72 : 유체유입헤더71: wet and dry heat pipe 72: fluid inflow header
73 : 유체유입구 74 : 냉각유체유출헤더73: fluid inlet 74: cooling fluid outlet header
75 : 냉각유체유출구 76 : 냉각유체유출관75: cooling fluid outlet 76: cooling fluid outlet
77 : 전열관지지부재 78 : 엘리미네이터77: heat transfer tube support member 78: eliminator
80a, 80b : 살수부 79 : 루버80a, 80b: Sprinkler 79: Louver
81 : 냉각수유입관 82 : 냉각수안내구 81: cooling water inlet pipe 82: cooling water guide
83 : 살수조 84 : 살수구83: watering tank 84: watering can
86 : 살수주관 87 : 분배관86: water spray main 87: distribution pipe
88 : 살수노즐 90a, 90b, 90c : 송풍팬부88: spraying
91a, 91b, 91c : 팬날개 92a, 92b, 92c : 팬하우징91a, 91b, 91c:
93 : 송풍토출구 94 : 팬지지부93: air blowing outlet 94: fan support
95 : 구동모터 96 : 베이스95: drive motor 96: base
97, 139 : 방진부재 98 : 방진결합부재97, 139: Dustproof member 98: Dustproof coupling member
100 : 집수조 101 : 냉각수유출구100: collecting tank 101: cooling water outlet
102 : 냉각수유출관 110 : 건식열교환부102: cooling water outflow pipe 110: dry heat exchanger
111 : 건식전열관 112 : 고온유체유입헤더111: dry heat pipe 112: high temperature fluid inflow header
114 : 고온유체유출헤더 115 : 전열핀114: high temperature fluid leakage header 115: heat transfer fin
116 : 고온유체연결관 120 : 살수펌프116: high temperature fluid connection pipe 120: watering pump
130a : 저부장착부재 130b : 상부장착부재 130a:
131a, 131b, 131c : 장착부 132 : 보강판131a, 131b, and 131c: mounting portion 132: reinforcement plate
133 : 고정비이임 134a, 134b : 장착공133: fixed
135a, 135b : 비이임체결공 136 : 중간기둥부재 135a, 135b: non-ferrous fastening 136: middle pillar member
137 : 제1지지비이임 140 : 급기측소음기137: first support ratio 140: air supply side silencer
141, 151 : 소음기하우징 142, 152 : 흡음재141, 151:
150 : 배기측소음기 160 : 급기덕트150: exhaust side silencer 160: air supply duct
170 : 배기덕트 180 : 베이스비이임170: exhaust duct 180: base beam
181 : 보강비이임 185 : 앵커181: reinforcement cost 185: anchor
187 : 행거부재 200 : 위장벽187: hanger member 200: camouflage wall
210 : 위장벽지지비이임 220 : 벽부210: camouflage wall support ratio 220: wall portion
230 : 천정부 250 : 플랫폼230: Celestial Government 250: Platform
251 : 바닥판 252 : 수평비이임251: bottom plate 252: horizontal ratio
253 : 체결판 254 : 기둥부재253: fastening plate 254: pillar member
255 : 핸드레일 256 : 계단255: Handrail 256: Stairs
260 : 태양광 발전기 270 : 외장부재260: solar generator 270: exterior member
271 : 고정부재 275 : 분토트레이271: fixing member 275: bunto tray
276 : 광고판276: Billboard
Claims (28)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025148A KR100931272B1 (en) | 2009-03-24 | 2009-03-24 | Module type cooling tower |
CN201010131365XA CN101846461B (en) | 2009-03-24 | 2010-03-24 | Modular cooling tower |
US12/729,776 US20100242516A1 (en) | 2009-03-24 | 2010-05-13 | Modular cooling towe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025148A KR100931272B1 (en) | 2009-03-24 | 2009-03-24 | Module type cooling tower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0931272B1 true KR100931272B1 (en) | 2009-12-11 |
Family
ID=416841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90025148A KR100931272B1 (en) | 2009-03-24 | 2009-03-24 | Module type cooling tower |
Country Status (3)
Country | Link |
---|---|
US (1) | US20100242516A1 (en) |
KR (1) | KR100931272B1 (en) |
CN (1) | CN101846461B (en) |
Cited By (1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75889B1 (en) * | 2010-03-04 | 2010-08-13 | 이승희 | Apparatus for cooling treatment of waste-water |
KR101024826B1 (en) | 2010-08-31 | 2011-03-25 | 주식회사 성지공조기술 | Wind power generation system using ventilation wind power of cooling tower |
US20110151302A1 (en) * | 2009-12-23 | 2011-06-23 | Tae-Young Kim | Battery pack |
US20110189522A1 (en) * | 2010-02-01 | 2011-08-04 | Kim Tae-Yong | Battery pack |
KR101266225B1 (en) | 2013-02-08 | 2013-05-21 | 주식회사 경인기계 | Multipurpose underground space ventilation system with heat excahnge and air purifier function |
KR101296573B1 (en) * | 2012-02-21 | 2013-08-14 | 서호성 | Blow fan assembly for cooler |
KR101333622B1 (en) | 2012-02-23 | 2013-11-27 | 성 동 여 | Condenser |
KR101338641B1 (en) | 2012-02-21 | 2013-12-06 | 서호성 | cross flow type cooling tower |
KR101338650B1 (en) | 2012-02-21 | 2013-12-09 | 서호성 | cross flow type cooling tower |
KR101357243B1 (en) | 2012-01-02 | 2014-01-28 | (주)에코타워 | Hybrid cooling tower |
KR20150018669A (en) * | 2013-08-08 | 2015-02-24 | 서종대 | Multi-stage cross flow type cooling towers |
KR20160088596A (en) | 2015-01-16 | 2016-07-26 | 주식회사 하이옥스 | Hybrid Colling Tower Having Heat Exchanger For Waste heat Collection |
KR101670787B1 (en) * | 2016-01-26 | 2016-10-31 | 주식회사 성지테크 | Cooling tower with a plurality of fan |
KR101976330B1 (en) * | 2018-10-31 | 2019-05-08 | (주)와이엠테크 | Cooling tower for abating noise and white smoke |
KR102153371B1 (en) * | 2020-03-20 | 2020-09-08 | 주식회사 하이옥스 | Modular cooling tower using by profile |
CN112665311A (en) * | 2021-01-18 | 2021-04-16 | 深圳市艾特网能技术有限公司 | Liquid cooling device and heat dissipation apparatus |
CN113586525A (en) * | 2021-09-13 | 2021-11-02 | 三联泵业股份有限公司 | Cooling system of slurry pump |
KR102646132B1 (en) | 2022-12-05 | 2024-03-08 | 지앤씨쿨링주식회사 | Cooling tower with reduced noise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120047937A1 (en) * | 2010-08-24 | 2012-03-01 | James David Cass | Indirect Evaporative Cooling System |
CN102997715A (en) * | 2011-09-15 | 2013-03-27 | 上海良机冷却设备有限公司 | Countercurrent closed cooling tower of novel device with coil group quick disassembly structure |
US9891001B2 (en) * | 2012-03-16 | 2018-02-13 | Evapco, Inc. | Hybrid cooler with bifurcated evaporative section |
CN102665380B (en) * | 2012-04-09 | 2015-06-03 | 美的集团股份有限公司 | Air-liquid separation cooling air duct of electric control box of outdoor unit of air conditioner |
CN102788518A (en) * | 2012-08-21 | 2012-11-21 | 江苏辛普森新能源有限公司 | Top sealed heat source tower |
CN104065206B (en) * | 2013-03-18 | 2016-08-24 | 宝山钢铁股份有限公司 | The ventilation cooling device of alternating current generator |
CN103291633A (en) * | 2013-06-20 | 2013-09-11 | 江苏中联风能机械有限公司 | Nuclear power station ultimate heat sink anti-seismic cooling tower draught fan |
CN104779742B (en) * | 2014-01-09 | 2017-07-28 | 宝山钢铁股份有限公司 | The heat radiation cooling device of alternating current generator |
CN104197745B (en) * | 2014-09-16 | 2017-01-25 | 中建三局第二建设工程有限责任公司 | Dry-wet combined cooling tower |
CN106322594B (en) * | 2015-07-03 | 2022-07-12 | 广州市华德工业有限公司 | Evaporation type cooling device |
US10113326B2 (en) | 2015-08-07 | 2018-10-30 | Spx Cooling Technologies, Inc. | Modular heat exchange tower and method of assembling same |
US9976810B2 (en) | 2015-10-01 | 2018-05-22 | Pacific Airwell Corp. | Water recovery from cooling tower exhaust |
US10495391B2 (en) * | 2016-05-26 | 2019-12-03 | Spx Cooling Technologies, Inc. | Flume apparatus and method for modular heat exchange tower |
FR3052546B1 (en) * | 2016-06-10 | 2018-05-18 | Bs Gestion Conseil | AERO-REFRIGERATION TOWER WITH HUMIDIFICATION DEVICE BYPASSING IN A MIXED MODULE OF THE TOWER |
CA3043035A1 (en) | 2016-11-10 | 2018-05-17 | Ecovap, Inc. | Evaporation panels |
US11472717B2 (en) | 2017-08-04 | 2022-10-18 | Ecovap, Inc. | Evaporation panel systems and methods |
USD864366S1 (en) | 2017-09-21 | 2019-10-22 | Ecovap, Inc. | Evaporation panel |
US11505475B2 (en) | 2017-11-01 | 2022-11-22 | Ecovap, Inc. | Evaporation panel assemblies, systems, and methods |
US11371788B2 (en) * | 2018-09-10 | 2022-06-28 | General Electric Company | Heat exchangers with a particulate flushing manifold and systems and methods of flushing particulates from a heat exchanger |
CN114061182A (en) | 2020-07-31 | 2022-02-18 | 开利公司 | Pipeline assembly and refrigerating system |
TWI809722B (en) * | 2021-04-19 | 2023-07-21 | 環球晶圓股份有限公司 | Condensing module and cooling tower |
CN113977165A (en) * | 2021-10-28 | 2022-01-28 | 重庆工业职业技术学院 | Cooling mechanism for automobile welding equipment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0088475A (en) | 1998-09-16 | 2000-03-31 | Shin Nippon Reiki Kk | White smoke collector of cooling tower |
JP2002213899A (en) | 2001-01-17 | 2002-07-31 | Kimura Kohki Co Ltd | Compact cooling tower for exhaust heat recovery |
KR100365665B1 (en) | 1999-08-07 | 2002-12-31 | 서종대 | Pressure spray type crossflow cooling tower |
KR100566007B1 (en) | 2003-10-29 | 2006-04-04 | 김봉석 | Evaporating type cooling device |
Family Cites Families (2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887534A (en) * | 1930-11-24 | 1932-11-15 | Edward S Wold | Luminous sign |
US1933687A (en) * | 1931-09-17 | 1933-11-07 | William E Skelton | Incubator |
US1945379A (en) * | 1932-03-04 | 1934-01-30 | Roesch Enamel Range Company | Air conditioning device |
US2057236A (en) * | 1932-06-22 | 1936-10-13 | Parks Cramer Co | Humidifier |
US2118949A (en) * | 1935-02-15 | 1938-05-31 | Lewis L Scott | Process of cooling and ventilating |
US2973186A (en) * | 1956-08-20 | 1961-02-28 | Frederick E Hazard | Temperature-controlled system for transport containers |
US3802493A (en) * | 1971-12-13 | 1974-04-09 | A Goettl | Air conditioning apparatus |
US3945432A (en) * | 1972-02-10 | 1976-03-23 | Robert Teudar Tamblyn | Air conditioning method and system |
DE8516442U1 (en) * | 1985-06-05 | 1986-06-12 | Kuebler, Siegfried, 7770 Ueberlingen | Cooling device for air conditioning or the like. |
CN2190775Y (en) * | 1994-05-23 | 1995-03-01 | 北京节能和资源综合利用协会 | Module combined jet cooling tower |
US5724828A (en) * | 1995-04-21 | 1998-03-10 | Baltimore Aircoil Company, Inc. | Combination direct and indirect closed circuit evaporative heat exchanger with blow-through fan |
US6574980B1 (en) * | 2000-09-22 | 2003-06-10 | Baltimore Aircoil Company, Inc. | Circuiting arrangement for a closed circuit cooling tower |
WO2003016808A2 (en) * | 2001-08-20 | 2003-02-27 | Idalex Technologies, Inc. | Method of evaporative cooling of a fluid and apparatus therefor |
US7322205B2 (en) * | 2003-09-12 | 2008-01-29 | Davis Energy Group, Inc. | Hydronic rooftop cooling systems |
US20050086967A1 (en) * | 2003-10-24 | 2005-04-28 | Seann Pavlik | Misting apparatus with moisture eliminator and related method |
US7128138B2 (en) * | 2004-05-26 | 2006-10-31 | Entrodyne Corporation | Indirect evaporative cooling heat exchanger |
US20060289428A1 (en) * | 2005-05-17 | 2006-12-28 | Longua Denise N | Apparatus for decorative caparison for an ice chest or cooler |
KR100681314B1 (en) * | 2006-03-24 | 2007-02-15 | 주식회사 성지공조기술 | Cooling tower with noiseproof casing |
KR101203998B1 (en) * | 2006-07-18 | 2012-11-23 | 삼성전자주식회사 | Heat exchanger and ventilator having the same |
US8056351B2 (en) * | 2007-02-09 | 2011-11-15 | Dometic Corporation | Blower for marine air conditioner |
US7610770B2 (en) * | 2007-05-04 | 2009-11-03 | Baltimore Aircoil Company, Inc. | Cooling tower seal joint |
-
2009
- 2009-03-24 KR KR1020090025148A patent/KR100931272B1/en active IP Right Grant
-
2010
- 2010-03-24 CN CN201010131365XA patent/CN101846461B/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10-05-13 US US12/729,776 patent/US20100242516A1/en not_active Abandoned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0088475A (en) | 1998-09-16 | 2000-03-31 | Shin Nippon Reiki Kk | White smoke collector of cooling tower |
KR100365665B1 (en) | 1999-08-07 | 2002-12-31 | 서종대 | Pressure spray type crossflow cooling tower |
JP2002213899A (en) | 2001-01-17 | 2002-07-31 | Kimura Kohki Co Ltd | Compact cooling tower for exhaust heat recovery |
KR100566007B1 (en) | 2003-10-29 | 2006-04-04 | 김봉석 | Evaporating type cooling device |
Cited By (2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110151302A1 (en) * | 2009-12-23 | 2011-06-23 | Tae-Young Kim | Battery pack |
US8486553B2 (en) * | 2009-12-23 | 2013-07-16 | Samsung Sdi Co., Ltd. | Battery pack |
US20110189522A1 (en) * | 2010-02-01 | 2011-08-04 | Kim Tae-Yong | Battery pack |
US8852779B2 (en) * | 2010-02-01 | 2014-10-07 | Samsung Sdi Co., Ltd. | Battery pack |
KR100975889B1 (en) * | 2010-03-04 | 2010-08-13 | 이승희 | Apparatus for cooling treatment of waste-water |
KR101024826B1 (en) | 2010-08-31 | 2011-03-25 | 주식회사 성지공조기술 | Wind power generation system using ventilation wind power of cooling tower |
KR101357243B1 (en) | 2012-01-02 | 2014-01-28 | (주)에코타워 | Hybrid cooling tower |
KR101338641B1 (en) | 2012-02-21 | 2013-12-06 | 서호성 | cross flow type cooling tower |
KR101338650B1 (en) | 2012-02-21 | 2013-12-09 | 서호성 | cross flow type cooling tower |
KR101296573B1 (en) * | 2012-02-21 | 2013-08-14 | 서호성 | Blow fan assembly for cooler |
KR101333622B1 (en) | 2012-02-23 | 2013-11-27 | 성 동 여 | Condenser |
KR101266225B1 (en) | 2013-02-08 | 2013-05-21 | 주식회사 경인기계 | Multipurpose underground space ventilation system with heat excahnge and air purifier function |
KR101694122B1 (en) | 2013-08-08 | 2017-01-09 | 서호성 | Multi-stage cross flow type cooling towers |
KR20150018669A (en) * | 2013-08-08 | 2015-02-24 | 서종대 | Multi-stage cross flow type cooling towers |
KR20160088596A (en) | 2015-01-16 | 2016-07-26 | 주식회사 하이옥스 | Hybrid Colling Tower Having Heat Exchanger For Waste heat Collection |
KR101670787B1 (en) * | 2016-01-26 | 2016-10-31 | 주식회사 성지테크 | Cooling tower with a plurality of fan |
KR101976330B1 (en) * | 2018-10-31 | 2019-05-08 | (주)와이엠테크 | Cooling tower for abating noise and white smoke |
KR102153371B1 (en) * | 2020-03-20 | 2020-09-08 | 주식회사 하이옥스 | Modular cooling tower using by profile |
CN112665311A (en) * | 2021-01-18 | 2021-04-16 | 深圳市艾特网能技术有限公司 | Liquid cooling device and heat dissipation apparatus |
CN113586525A (en) * | 2021-09-13 | 2021-11-02 | 三联泵业股份有限公司 | Cooling system of slurry pump |
KR102646132B1 (en) | 2022-12-05 | 2024-03-08 | 지앤씨쿨링주식회사 | Cooling tower with reduced nois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US20100242516A1 (en) | 2010-09-30 |
CN101846461B (en) | 2012-10-17 |
CN101846461A (en) | 2010-09-2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931272B1 (en) | Module type cooling tower | |
KR101082791B1 (en) | Bottom air supply type counter flow cooling towers | |
US9568248B2 (en) | Direct forced draft fluid cooling tower | |
KR101338641B1 (en) | cross flow type cooling tower | |
KR100834903B1 (en) | Plume abatment induced draft type cooling tower | |
KR101338650B1 (en) | cross flow type cooling tower | |
US5487531A (en) | Dual layered drainage collection system | |
EP0794829B1 (en) | Cooling tower and method of construction | |
CN105605940A (en) | Water-saving and fog-clearing crossflow type cooling tower | |
KR100645227B1 (en) | cross flow cooling tower with air flow regulation members | |
KR101694122B1 (en) | Multi-stage cross flow type cooling towers | |
KR100645228B1 (en) | Cross flow cooling tower with protrusion type spray chamber | |
KR100377507B1 (en) | Combined flow type cooling tower | |
CN106017129A (en) | Cooling tower applicable to interior of underground one-way airflow space | |
KR100769317B1 (en) | The cooling tower which uses a wall by casing | |
WO2023024702A1 (en) | Blowing-type ventilation cooling tower and cooling tower arrangement system | |
KR100365665B1 (en) | Pressure spray type crossflow cooling tower | |
KR100479838B1 (en) | Cooling tower for indoor | |
RU2355966C2 (en) | Mechanical-draft cooling tower | |
WO1995015210A1 (en) | Dual layered drainage collection system | |
KR100514946B1 (en) | Landscape modeling cooling tower | |
KR200315258Y1 (en) | Landscape modeling cooling tower | |
KR200297204Y1 (en) | Cooling tower for indoor | |
CN213335654U (en) | Air precooling air cooler | |
CN216691252U (en) | A kind of containe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1203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1129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1201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1205 Year of fee payment: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1127 Year of fee payment: 10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1202 Year of fee payment: 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