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31009B1 - 컨베이어용 임팩트 롤러 - Google Patents

컨베이어용 임팩트 롤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31009B1
KR100931009B1 KR1020080001635A KR20080001635A KR100931009B1 KR 100931009 B1 KR100931009 B1 KR 100931009B1 KR 1020080001635 A KR1020080001635 A KR 1020080001635A KR 20080001635 A KR20080001635 A KR 20080001635A KR 100931009 B1 KR100931009 B1 KR 1009310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ner ring
roller
outer ring
impact
shock absorb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016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75966A (ko
Inventor
라복남
Original Assignee
대양롤랜트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양롤랜트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양롤랜트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016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31009B1/ko
Publication of KR200900759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759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310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310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39/00Rollers, e.g. drive rollers, or arrangements thereof incorporated in roller-ways or other types of mechanical conveyors 
    • B65G39/02Adaptations of individual rollers and support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3/00Roller-ways
    • B65G13/02Roller-ways having driven 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3/00Driving gear for endless conveyors; Belt- or chain-tensioning arrangements
    • B65G23/02Belt- or chain-engaging elements
    • B65G23/04Drums, rollers, or whe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39/00Rollers, e.g. drive rollers, or arrangements thereof incorporated in roller-ways or other types of mechanical conveyors 
    • B65G39/02Adaptations of individual rollers and supports therefor
    • B65G39/06Adaptations of individual rollers and supports therefor the roller sleeves being shock-absorbing, e.g. formed by helically-wound wi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39/00Rollers, e.g. drive rollers, or arrangements thereof incorporated in roller-ways or other types of mechanical conveyors 
    • B65G39/02Adaptations of individual rollers and supports therefor
    • B65G39/09Arrangements of bearing or seal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7/00Indexing codes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configuration and additional features of a handling device, e.g. Conveyors
    • B65G2207/28Impact prot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ollers For Roller Conveyors For Transf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샤프트(12)와, 베어링(13)에 의하여 상기 샤프트(12)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롤러관체(11)와, 상기 롤러관체(11)가 삽입되어 충격을 흡수하는 작용을 하는 복수의 완충지지부재(20)로 이루어지며; 상기 완충지지부재(20)는 상기 롤러관체(11)가 삽입되며 내측으로 관통공(21a)이 형성된 원통 형상의 내륜(21)과, 상기 내륜(21)과 사이에 간격을 형성하는 원통 형상의 외륜(23)과, 상기 내륜(21)과 외륜(23) 사이에 형성되는 간격에 위치하여 외륜(23)을 통하여 전달되는 충격을 흡수하는 충격흡수부재(25)를 포함하며; 상기 충격흡수부재(25)는 내륜(21)과 외륜(23) 사이에서 내륜(21)과 외륜(23)의 원주 방향을 따라 설치되며, 축 방향으로 이격되어 복열로 설치되는 복수의 베이스부(25a, 25c)와, 축 방향으로 이격된 베이스부(25a, 25c)를 축 방향으로 연결하는 연결부(25b)로 이루어지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컨베이어용 임팩트 롤러에 관한 것으로, 완충지지부재(20) 사이에 이물질이 삽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으며, 구조적으로 견고하여 내구성이 향상되며, 큰 충격을 흡수할 수 있음은 물론 비틀림 하중에 대한 변형 저항성이 향상되며, 이송물에 대한 완충 작용이 향상되어 물류 이송에 신뢰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컨베이어, 임팩트, 롤러, 완충, 고무

Description

컨베이어용 임팩트 롤러{Impact Roller for Conveyer}
본 발명은 컨베이어용 임팩트 롤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완충지지부재 사이에 이물질이 끼이는 것을 실질적으로 완전히 차단할 수 있으며, 큰 충격량을 흡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구조상 견고하고 내구성이 향상되며, 비틀림 하중에 대한 변형 저항성이 향상되며, 특히 이송물에 대한 완충 작용이 종래보다 향상됨으로써 물류 이송에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는 컨베이어용 임팩트 롤러에 관한 것이다.
도 7은 종래기술에 따른 컨베이어용 임팩트 롤러의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의 임팩트 롤러에 대한 장착상태를 도시한 부분 단면도이다.
도 7 및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기술에 따른 컨베이어용 임팩트 롤러(1)는, 롤러파이프(2)의 외경에 다수개의 디스크(6)를 장착하되, 롤러파이프(2)의 외경 양측 단부에는 수나사(4)를 형성하여 디스크(6)를 삽입한 후에 디스크(6)의 외측에서 너트(5)를 체결하여 고정하는 구조를 가지고 있었다. 미설명부호 3은 축이고, 7은 와셔이다.
상기와 같은 임팩트 롤러(1)를 컨베이어에 장착할 때는 컨베이어 프레임(8)에 삽입 장착하게 되는데, 너트(5)와 같은 체결수단으로 디스크(6)의 분리 및 이탈을 방지하도록 하는 것이다. 충격 흡수 부재로서 디스크(6) 형태를 사용하므로, 디스크(6)는 도 7 및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충격 흡수 부재로 작용하도록 하기 위하여 디스크(6) 사이에 간격(a)을 형성하여 설치한다.
임팩트 롤러(1)는 컨베이어에 장착하여 사용할 때, 이송물이 낙하하는 부분에 설치하여 충격을 흡수하도록 함으로써 이송물에 발생할 수 있는 손상을 방지하는 한편, 롤러(1)의 파손도 방지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된다.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 의한 임팩트 롤러(1)는 도 7 및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충격 흡수 부재로서 디스크(6) 형태를 사용하고 축 방향으로 일정 간격(a) 이격하여 설치하여야 하며, 이송물이 간격(a)보다 작은 경우에는 간격(a)을 통하여 낙하하거나 간격(a)에 끼임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으며, 낙하하는 이송물이 디스크(6)의 모서리에 충격하는 경우 디스크(6)에 손상이 발생하기 쉬워 내구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간격(a)을 작게 하는 경우에는 충격흡수 효과가 충분하게 발생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10-2003-0080426호 및 10-2003-0080427호에는 상기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컨베이어용 임팩트 롤러(미도시)가 개시된 바 있다.
그러나 상기의 문헌에 개시된 컨베이어용 임팩트 롤러 역시 이물질이 끼이는 것을 완전히 차단하기에는 다소 부족할 뿐만 아니라 이송물에 대한 완충 작용이 상대적으로 미약하여 물류 이송에 다소 신뢰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종래기술이 가지고 있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이물질이 끼이는 것을 실질적으로 완전히 차단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구조상 상대적으로 견고하여 내구성이 향상되며, 특히 이송물에 대한 완충 작용이 종래보다 향상됨으로써 물류 이송에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는 컨베이어용 임팩트 롤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르는 컨베이어용 임팩트 롤러는 샤프트와, 베어링에 의하여 상기 샤프트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롤러관체와, 상기 롤러관체가 삽입되어 충격을 흡수하는 작용을 하는 복수의 완충지지부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완충지지부재는 상기 롤러관체가 삽입되며 내측으로 관통공이 형성된 원통 형상의 내륜과, 상기 내륜과 사이에 반경 방향으로 간격을 형성하는 원통 형상의 외륜과, 상기 내륜과 외륜 사이에 형성되는 간격에 위치하여 외륜을 통하여 전달되는 충격을 흡수하는 충격흡수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충격흡수부재는 내륜과 외륜 사이에서 축 방향으로 간격을 가지며 내륜과 외륜의 원주 방향을 따라 이격되 어 복열로 설치되는 복수의 베이스부와, 축 방향으로 이격된 베이스부를 축 방향으로 연결하는 연결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 있어서, 원주 방향을 따라 내륜과 외륜의 축 방향 일측으로 설치되는 복수의 베이스부와, 상기 일측의 베이스부로부터 축 방향으로 이격하여 원주 방향을 따라 설치되는 복수의 타측의 베이스부는 원주 방향으로 서로 위상차를 가지도록 설치되며; 상기 연결부는 상기 일측의 베이스부와 타측의 베이스부로 지그 재그 형태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내륜, 외륜 및 충격흡수부재는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내륜에는 원통형의 보강부재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롤러관체에 대한 상기 완충지지부재의 임의회전을 저지하는 회전방지수단을 더 포함하며, 상기 회전방지수단은 롤러관체의 외면과 상기 완충지지부재의 내면 중 어느 하나에 마련되는 돌기부와, 다른 하나에 마련되어 상기 돌기부가 끼워지는 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컨베이어용 임팩트 롤러에 의하면, 이물질이 끼이는 것을 실질적으로 완전히 차단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구조상 상대적으로 견고하여 내구성이 향상되며, 보다 큰 충격을 흡수할 수 있음은 물론 비틀림 하중에 대한 변형 저항성이 향상되며, 특히 이송물에 대한 완충 작용이 종래보다 향상됨으로써 물류 이송에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는 컨베이어용 임팩트 롤러를 도시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며, 도 2는 도 1의 일부 확대 단면도이며, 도 3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컨베이어용 임팩트 롤러에 구비되는 완충지지부재를 도시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며, 도 4는 완충지지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일부 투영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4의 정면도이며, 도 6은 도 4의 내부 투영 측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컨베이어용 임팩트 롤러는, 중심축을 형성하는 롤러축 유닛(10)과, 롤러축 유닛(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롤러축 유닛(10)에 삽입 결합되어 낙하하는 이송물을 완충 지지하는 하나 이상의 완충지지부재(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롤러축 유닛(10)은 컨베이어에 설치되는 샤프트(12)와, 베어링(13)에 의하여 상기 샤프트(12)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원통 형상의 롤러관체(11)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에서 롤러관체(11)의 양측으로 베어링(13)의 외륜이 내측으로 삽입되는 앤드캡(14)을 구비하고, 상기 롤러관체(11)는 상기 앤트캡(14)의 외측으로 삽입되는 구조로 할 수 있다.
도 2에서 도면부호 15는 중간부재를, 16은 커버를, 17은 스토퍼링을, 18은 커버(16)의 강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보강재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롤러관체(11)는 롤러축 유닛(10)의 외관을 형성하는 부분이다. 도시된 것처럼 보통 원통, 혹은 원기둥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완충지지부재(20)의 내륜(21)은 롤러관체(11)의 외면으로 삽입된다. 상기 롤러관체(11)는 플라스틱 재질로 제작될 수도 있고, 금속 재질로 제작될 수도 있다. 만약에 금속 재질로 형성된다면 내부식성을 갖는 재질로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샤프트(12)는 롤러관체(11) 내에 롤러관체(11)의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배치되어 롤러축 유닛(10)의 회전축심을 형성한다. 따라서 샤프트(12)는 실질적으로 롤러관체(11) 내의 정중앙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샤프트(12)는 강성유지를 위해 보통은 금속 재질로 제작된다.
베어링(13)은 샤프트(12)의 외측에 결합되어 샤프트(12)에 대한 나머지 주변 구성들이 상대적인 회전을 가능하도록 지지한다. 이러한 베어링(13)은 공지된 여타의 구름베어링, 예를 들어 볼베어링, 롤러베어링 등으로 적용될 수 있다. 한편, 베어링(13)은 그 중앙 영역을 기준으로 하여 내륜과 외륜으로 나뉠 수 있는데, 내륜은 샤프트(12)에 삽입되어 샤프트(12)의 외경면과 접촉하고, 외륜은 앤드캡(14)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앤드캡(14)의 내경면에 접촉된다. 베어링(13)의 후단에는 스토퍼링(17)이 설치된다.
앤드캡(14)은 샤프트(12)의 단부측으로 삽입된 상태에서 일부분이 롤러관체(11)의 내측으로 결합된다. 이때 롤러관체(11)의 외측으로 결합되는 것도 가능하다. 샤프트(12)와 마찬가지로 앤드캡(14)은 금속 재질인 강재로 제작될 수 있지만 경우에 따라 플라스틱 재질로 제작될 수도 있다. 그리고 앤드캡(14)은 커버(16)와 함께 이물질이 커버(16) 내로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는 작용을 할 수도 있 다. 본 실시 예에서는 앤드캡(14)이 금속 재질로 마련됨으로써 해당 위치에 조립될 때, 롤러관체(11)와 용접되도록 하고 있다. 앤드캡(14)과 롤러관체(11)의 외면은 상호 단차가 발생되지 않고 일면을 형성할 수 있도록 가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중간부재(15)는 앤드캡(14), 베어링(13) 및 커버(16) 사이에 마련되어 베어링(13)에 발생 가능한 미스얼라인먼트(misalignment)를 보상하는 역할을 하며, 커버부재(16)와 함께 래비린스 씰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중간부재(15)는 금속 재질 또는 플라스틱 재질로 제작하는 것이 가능하다.
커버(16)는 앤드캡(14)의 노출단 영역에서 앤드캡(14) 측으로 삽입되어 이 영역으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저지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커버(16)는 금속 재질로 제작되어도 좋고 혹은 플라스틱 재질로 제작되어도 좋다. 만약 플라스틱 재질로 제작된다면 도시된 바와 같이 강성 유지를 위해 보강재(18)가 더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한편, 이하에서는 상기의 롤러축 유닛(10)에 하나 이상 결합되어 충격을 흡수하는 작용을 하는 완충지지부재(20)에 대해 설명한다. 하나 이상의 완충지지부재(20)는 모두가 동일 또는 유사한 구조를 가지므로 하나 이상의 완충지지부재(20)에는 모두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도록 한다.
하나 이상의 완충지지부재(20) 각각은, 모두가 도넛(doughnut) 형상으로 마련되며, 전술한 롤러축 유닛(10)의 롤러관체(11)가 삽입되면서 설치되고, 앤드캡(14)을 구비하는 경우에는 일부는 롤러관체(11)에, 일부는 앤드캡(14)에 설치되 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완충지지부재(20)는 도 2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롤러축 유닛(10)이 관통할 수 있도록 내부에 관통공(21a)이 형성된 원통 형상의 내륜(21)과, 내륜(21)과의 사이에 반경 방향으로 간격이 형성되도록 내륜(21)의 반경 방향 외측에 마련되며, 외면이 실질적으로 이송물과 접촉되는 원통 형상의 외륜(23)과, 내륜(21)과 외륜(23) 사이의 간격에 구비되는 복수의 충격흡수부재(25)를 포함한다. 외륜(23)의 외면 모서리 영역은 챔퍼(Chamfer) 가공 처리된 것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반드시 챔퍼 가공처리가 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충격흡수부재(25)는 내륜(21)과 외륜(23) 사이의 간격을 탄성적으로 유지시키는 역할을 하므로 단순한 직선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즉 내측으로는 내륜(21)에 연결되며 외측으로는 외륜(25)에 연결되며 방사상으로 설치되는 형태로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완충지지부재(20)에 이송물이 강하게 부딪혀 외륜(23)이 내륜(21) 측으로 찌그러지면서 탄성 변형될 때 다시 원상태로 용이하게 복원되도록 하며 비틀림 하중에 대한 변형 저항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이하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은 형태의 충격흡수부재(25)를 구비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본 실시 예에서 완충지지부재(20)에 마련되는 복수의 충격흡수부재(25)는 도 4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완충지지부재(20)의 양단에서 상대편 단부를 향해 소정의 길이 구간에 걸쳐 형성되는 직선구간(S)과, 직선구간(S)이 끝나는 지점으로부터 두 갈래로 경사지게 분기 되어 형성되는 경사분기구간(D)을 구비한다. 이때, 경사분기구간(D)은 내륜(21) 및 외륜(23)의 원주 방향을 따라 지그재그(zigzag)식 으로 배열된다.
도 4 및 도 6을 참조하여 충격흡수부재(25)의 구조에 대하여 설명하면, 충격흡수부재(25)는 내륜(21)과 외륜(23) 사이에서 일측으로 내륜(21)과 외륜(23)의 원주 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설치되는 복수의 베이스부(25a)와, 상기 베이스부(25a)로부터 축 방향으로 이격되어 내륜(21)과 외륜(23) 사이에서 내륜(21)과 외륜(23)의 원주 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설치되는 복수의 베이스부(25c)와, 상기 베이스부(25a, 25c)를 축 방향으로 연결하는 복수의 연결부(25b)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베이스부(25a, 25c)는 내측으로는 내륜(21)의 외경면에 연결되며, 외측으로는 외륜(23)의 내경면에 연결되어 설치된다. 상기 연결부(25b)는 축 방향으로 이격되어 있는 베이스부(25a, 25c)에 연결된다. 상기 연결부(25b)는 내측으로 내륜(21)의 외경면에 연결될 수 있고, 외측으로 외륜(23)의 외경면에 연결될 수도 있다.
상기 연결부(25b)는 일측의 1개의 베이스부(25a)로부터 타측의 이웃하는 2개의 베이스부(25c)에 연결되는 구조로 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베이스부(25a, 25c)는 도 4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주 방향으로 위상차를 갖도록 설치하며, 상기 연결부(25b)는 상기 일측의 베이스부(25a)와 타측의 베이스부(25c) 사이에서 지그재그(Zig-Zag) 형태로 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에서와 같이 충격흡수부재(25)가 직선구간(S) 및 경사분기구간(D)을 갖는 구조로 마련될 경우, 완충지지부재(20)에 이송물이 강하게 부딪혀 외륜(23)이 내륜(21) 측으로 찌그러지면서 탄성 변형되더라도 이후에 충격흡수부재(25)에 의해 다시 원상태로 쉽게 복원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이송물에 대한 완충 작용이 종래보다 향상됨으로써 물류 이송에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게 되며, 충격흡수부재(25)의 구조로 인해 구조상 상대적으로 견고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반복해서 설명하는 바와 같이, 다수의 완충지지부재(20)는 이송물의 충격을 흡수하면서 이송물을 완충 가능하게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완충지지부재(20)는 소정의 탄성력을 보유한 탄성재질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재질에는 고무, 실리콘, 우레탄 등이 있을 수 있다.
그리고 완충지지부재(20)의 제작 시 내륜(21), 외륜(23) 및 충격흡수부재(25)를 각각 별개로 제작하여 상호 조립할 수도 있지만, 본 실시 예에서는 생산성 향상 및 비용 절감을 위해 탄성 재질을 재료로 하여 내륜(21), 외륜(23) 및 충격흡수부재(25)가 일체로 제작되도록 하고 있다.
이와 같이 완충지지부재(20)가 탄성재질로 제작되는 경우, 이송물에 대한 완충의 작용은 높일 수 있지만, 반대로 롤러축 유닛(10)에 대한 완충지지부재(20)의 결합 강도가 다소 낮아질 수도 있다.
이에, 이러한 현상을 예방하기 위해, 본 실시 예에서는 내륜(21)에 보강부재(22)를 더 마련하고 있다. 이러한 보강부재(22)로 인해 완충지지부재(20)가 롤러축 유닛(10)에 결합될 때, 결합 영역의 강성이 높아지는 이점이 있다. 물론,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므로 내륜(21) 외에 외륜(23) 및 충격흡수부재(25)에도 보강부재(22)를 마련할 수도 있다.
내륜(21)에 보강부재(22)를 마련할 경우, 본 실시 예에서는 보강부재(22)가 내륜(21)의 내부에 매입되도록 하고 있다. 하지만, 이는 하나의 실시 예에 불과하므로 반드시 보강부재(22)가 내륜(21)의 내부에 매입될 필요는 없으며, 내륜(21)의 내면으로 부분적으로 노출되게 마련될 수도 있는 것이다.
한편,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롤러축 유닛(10)에 다수의 완충지지부재(20)가 끼워진 경우, 만약 롤러축 유닛(10) 상에서 완충지지부재(20)들이 임의회전한다면 완충지지부재(20)들 사이사이로 이물질이 끼일 수 있다. 이를 저지하기 위해, 본 실시 예에서는 롤러축 유닛(10)에 대한 완충지지부재(20)의 임의회전을 저지하는 회전방지수단(30)을 더 마련하고 있다.
회전방지수단(30)은, 롤러축 유닛(10)의 외면과 완충지지부재(20)의 내면 중 어느 하나에 마련되는 돌기부(미도시)와, 다른 하나에 마련되어 돌기부가 끼워지는 홈부(21b)를 포함한다.
본 실시 예에서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홈부(21b)를 완충지지부재(20)의 내면에 마련하고 있다. 이때, 홈부(21b)는 내륜(21)의 내면에서 반경 방향 외측을 향해 함몰되어 있되, 내륜(21)의 내면 원주 방향을 따라 등각도 간격으로 배열되고 있다. 이러한 홈부(21b)는 돌기부와 함께 완충지지부재(20)의 임의회전을 저지하는 역할 외에도 롤러축 유닛(10)에 대한 완충지지부재(20)들의 끼움작업을 용이하게 하면서, 또한 롤러축 유닛(10)과 완충지지부재(20)들 사이로 이물질이 침투하는 것을 저지하는 기능을 겸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도 4에 도시된 완충지지부재(20)들을 다수 개 준비한 상태에서 완충지지부재(20)들의 홈부(21b)가 롤러축 유닛(10)의 돌기부에 끼워지도록 하면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립을 완료한다. 도 1과 같은 상태의 컨베이어용 임팩트 롤러를 몇 개 준비한 후, 컨베이어 조립체의 해당 라인에 장착한다. 그리고는 물류 작업을 진행한다.
물류 작업의 진행 시 이송물이 이송되다가 본 실시 예의 컨베이어용 임팩트 롤러로 낙하 될 경우 완충지지부재(20)에 이송물이 강하게 부딪히게 되는데, 이때 완충지지부재(20)의 외륜(23)이 내륜(21) 측으로 찌그러지면서 탄성 변형되어 이송물의 파손을 저지시키고는 다시 충격흡수부재(25)에 의해 외륜(23)이 원상태로 쉽게 복원되어 동일한 후 작업을 진행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 예에 따르면, 이물질이 끼이는 것을 실질적으로 완전히 차단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구조상 상대적으로 견고하여 내구성이 향상되며, 특히 이송물에 대한 완충 작용이 종래보다 향상됨으로써 물류 이송에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 예 또는 변형 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컨베이어용 임팩트 롤러를 도시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서 일측 단의 일부를 확대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 컨베이어용 임팩트 롤러에 구비되는 완충지지부재를 도시한 확대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 컨베이어용 임팩트 롤러에 구비되는 완충지지부재를 도시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한 완충지지부재의 정면도이다.
도 6은 완충지지부재에 구비되는 충격흡수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도 4의 내부 투영 측면도이다.
도 7은 종래기술에 따른 컨베이어용 임팩트 롤러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의 임팩트 롤러에 대한 장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롤러축 유닛 20 : 완충지지부재
21 : 내륜 21a : 관통공
21b : 홈부 22 : 보강부재
23 : 외륜 25 : 충격흡수부재
25a : 베이스부 25b : 연결부

Claims (6)

  1. 샤프트(12)와, 베어링(13)에 의하여 상기 샤프트(12)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롤러관체(11)와, 상기 롤러관체(11)가 삽입되어 충격을 흡수하는 작용을 하는 복수의 완충지지부재(20)로 이루어지며; 상기 완충지지부재(20)는 상기 롤러관체(11)가 삽입되며 내측으로 관통공(21a)이 형성된 원통 형상의 내륜(21)과, 상기 내륜(21)과 사이에 간격을 형성하는 원통 형상의 외륜(23)과, 상기 내륜(21)과 외륜(23) 사이에 형성되는 간격에 위치하여 외륜(23)을 통하여 전달되는 충격을 흡수하는 충격흡수부재(25)를 포함하며; 상기 충격흡수부재(25)는 내륜(21)과 외륜(23) 사이에서 축 방향으로 간격을 가지도록 내륜(21)과 외륜(23)의 원주 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복열로 설치되는 복수의 베이스부(25a, 25c)와, 축 방향으로 이격된 베이스부(25a, 25c)를 축 방향으로 연결하는 연결부(25b)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용 임팩트 롤러.
  2. 제1 항에 있어서, 원주 방향을 따라 이격되며 내륜(21)과 외륜(23)의 축 방향 일측으로 설치되는 복수의 베이스부(25a)와, 상기 일측의 베이스부(25a)로부터 축 방향으로 이격하여 원주 방향을 따라 이격 설치되는 복수의 타측의 베이스부(25c)는 원주 방향으로 서로 위상차를 가지도록 설치되며; 상기 연결부(25b)는 상기 일측의 베이스부(25a)와 타측의 베이스부(25c)로 지그 재그 형태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용 임팩트 롤러.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내륜(21), 외륜(23) 및 충격흡수부재(25)는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용 임팩트 롤러.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내륜(21)에는 원통형의 보강부재(22)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용 임팩트 롤러.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관체(11)에 대한 상기 완충지지부재(20)의 임의회전을 저지하는 회전방지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용 임팩트 롤러.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방지수단은 상기 롤러관체(11)의 외면과 상기 완충지지부재(20)의 내면 중 어느 하나에 마련되는 돌기부와, 다른 하나에 마련되어 상기 돌기부가 끼워지는 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용 임팩트 롤러.
KR1020080001635A 2008-01-07 2008-01-07 컨베이어용 임팩트 롤러 KR1009310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1635A KR100931009B1 (ko) 2008-01-07 2008-01-07 컨베이어용 임팩트 롤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1635A KR100931009B1 (ko) 2008-01-07 2008-01-07 컨베이어용 임팩트 롤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75966A KR20090075966A (ko) 2009-07-13
KR100931009B1 true KR100931009B1 (ko) 2009-12-10

Family

ID=413331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01635A KR100931009B1 (ko) 2008-01-07 2008-01-07 컨베이어용 임팩트 롤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3100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90894A1 (ko) * 2015-11-27 2017-06-01 주식회사 제이유코리아 장수 플리롤러 제조방법 및 이 방법에 의해 제작된 플리롤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0062B1 (ko) * 2009-09-10 2012-02-24 주식회사 제이유코리아 컨베이어 케리어 임펙트 롤러
US20170066595A1 (en) * 2015-09-08 2017-03-09 Laitram, L.L.C. Conveyor guide wall with damping rollers
KR102592839B1 (ko) * 2023-03-20 2023-10-23 (주)씨웨이테크 파일 가이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36821A (ja) 1998-11-04 2000-05-16 Nippon Mektron Ltd シール機能付き多段ローラ
KR20050046832A (ko) * 2003-11-14 2005-05-19 대양롤랜트 주식회사 코일스프링을 내장한 임팩트롤러용 고무 휠 디스크
KR20050046833A (ko) * 2003-11-14 2005-05-19 대양롤랜트 주식회사 컨베이어용 임팩트롤러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36821A (ja) 1998-11-04 2000-05-16 Nippon Mektron Ltd シール機能付き多段ローラ
KR20050046832A (ko) * 2003-11-14 2005-05-19 대양롤랜트 주식회사 코일스프링을 내장한 임팩트롤러용 고무 휠 디스크
KR20050046833A (ko) * 2003-11-14 2005-05-19 대양롤랜트 주식회사 컨베이어용 임팩트롤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90894A1 (ko) * 2015-11-27 2017-06-01 주식회사 제이유코리아 장수 플리롤러 제조방법 및 이 방법에 의해 제작된 플리롤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75966A (ko) 2009-07-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31009B1 (ko) 컨베이어용 임팩트 롤러
US8172065B2 (en) Bearing assembly
US7470067B2 (en) Wheel bearing assembly mount with force attenuation
WO2010007942A1 (ja) スタビライザー装置
CN101506065A (zh) 具有支承元件的滑移输送装置
US2730222A (en) Conveyer roller
US8146511B1 (en) Dolly for a conveyor of an automated car wash
US20080036156A1 (en) Sealing Arrangement
CA2416432A1 (en) Low profile tensioner for a conveyor belt scraper
JP2010007827A (ja) 自動調心ローラー
JP2015100856A (ja) シール装置の組み付け装置、組み付け方法、及び車輪用軸受装置
US20070201781A1 (en) Rolling bearing assembly
US20140072254A1 (en) Bearing arrangement comprising a backup bearing
US10280971B2 (en) Joint device for a motor vehicle
US20110088585A1 (en) Auto laundry conveyor dolly
KR20180117437A (ko) 컨베이어 롤러의 베어링블록 보강시스템
KR101802277B1 (ko) 휠 베어링 슬링거 구조 및 그 조립을 위한 지그 부재
KR101174563B1 (ko) 컨베이어용 롤러
US10927978B1 (en) Low-profile casing spacer roller for high-capacity loads
CN102562815A (zh) 用于滚动元件轴承的密封单元
WO2009004510A1 (en) Lightweight idler roller
KR200393420Y1 (ko) 벨트컨베이어의 조립식 경량 롤러
KR200420800Y1 (ko) 컨베이어용 조립식 경량롤러
KR20080074516A (ko) 컨베이어용 롤러
US20190126703A1 (en) Control Arm Bearing and Method of Mak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1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2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