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30770B1 - 송신기 및 통신 방법 - Google Patents

송신기 및 통신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30770B1
KR100930770B1 KR1020087023315A KR20087023315A KR100930770B1 KR 100930770 B1 KR100930770 B1 KR 100930770B1 KR 1020087023315 A KR1020087023315 A KR 1020087023315A KR 20087023315 A KR20087023315 A KR 20087023315A KR 100930770 B1 KR100930770 B1 KR 1009307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combining
frames
memory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233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97483A (ko
Inventor
유키마사 나가이
아키노리 후지무라
히로아키 히라이
히로요시 스가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974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974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307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307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06Optimizing the usage of the radio link, e.g. header compression, information sizing, discarding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607Details of the supervisory signal
    • H04L1/1685Details of the supervisory signal the supervisory signal being transmitted in response to a specific request, e.g. to a polling sig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04Error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10Small scale networks; Flat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12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Small-Scale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기지국 및 무선 단말은 무선 LAN 시스템을 구성하는 기지국(1) 및 무선 단말(2A, 2B)로서, 당해 무선 LAN 시스템 내에서 무선 신호의 송수신 처리를 행하고, 또한 사용 가능한 무선 대역 및 변조 방식에 따라 최대 결합 수 또는 최대 프레임 길이를 결정하기 위한 결합 정보와, 결합 가능한 것을 나타내기 위한 결합 가부 정보를 생성하는 무선 유닛(15, 25A, 25B)과, 상기 결합 정보, 상기 결합 가부 정보 및 소정의 패킷 정보에 근거하여, 외부(액세스 라인, 정보 기기)로부터 수신한 복수의 프레임을 결합시키는 프레임 결합 유닛(31)과, 한편으로, 상기 무선 신호를 수신한 경우에, 상대측 장치에 의해서 결합된 복수의 프레임을 분할하는 프레임 분할 유닛(32)을 구비하는 구성으로 하였다.

Description

송신기 및 통신 방법{TRANSMITTER AND COMMUNICATION METHOD}
본 발명은 무선 LAN 표준화 규격 IEEE802.11에 준거한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는 기지국 및 무선 단말에 관한 것으로, 특히, 무선 액세스 방식으로서 CSMA/CA(Carrier Sense Multiple Access/Collision Avoidance)을 채용하는 기지국 및 무선 단말에 관한 것이다.
이하, 종래의 무선통신 시스템(무선 LAN 통신 시스템)에 대하여 설명한다. 현재, 가정/사무실용 고속의 무선 네트워크 시스템을 구축하는 기기로서, 미국의 무선 LAN 표준화 규격 IEEE802.11(비특허 문헌 1 참조)로 표준화된 IEEE802.11b, IEEE802.11a 규격 등에 준거한 상품이 시장에 나돌고 있다. 또한, 이러한 무선 네트워크 시스템에서는, 주파수의 광대역화, 다치 변조화, 다(多)안테나화 등에 의해 통신 속도의 고속화가 도모되고 있다.
IEEE802.11b 규격에 준거한 무선 LAN(비특허 문헌 2 참조)는 2.4㎓대를 사용하고, 변조 방식으로서 CCK(Complementary Code Keying)를 이용하여 물리적인 최대 전송 속도가 11Mbps이다. 또한, IEEE802.11a 규격에 준거한 무선 LAN(비특허 문헌 3 참조)은 5㎓대를 사용하고, 변조 방식으로서 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을 이용하여 물리적인 최대 전송 속도가 54Mbps이다. 또한, 현재, 사양이 검토되고 있는 IEEE802.11g 규격에 준거한 무선 LAN은 2.4㎓대를 사용하고, 변조 방식으로서 OFDM을 이용하여 물리적인 최대 전송 속도가 54Mbps이다.
비특허 문헌 1:
IEEE802.11(http://standards.ieee.org/getieee802/802.11.html)
비특허 문헌 2:
IEEE802.11b
비특허 문헌 3:
IEEE802.11a
그러나, 상기 종래의 무선 네트워크 시스템에 있어서는, 예를 들면, 기지국과 복수의 무선 단말이 IEEE802.11 규격에 준거한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고, 당해 기지국이 Ethernet(R) 등의 액세스 라인으로 시스템 외부와 접속하는 경우, 액세스 라인측으로부터 기지국으로 받는 최대 데이터 길이는 1500byte라는 제한이 있다. 또한, 기지국이 액세스 라인(Ethernet(R))에 접속하는 관계상, 각 무선 단말에 대해서도 기지국에 접속한 경우는, 최대 데이터 길이를 1500byte로 하여 송신해야 한다.
그 때문에, 무선 구간을 광대역화하여 고속화를 도모한 경우에 있어서도, CSMA/CA(Carrier Sense Multiple Access/Collision Avoidance)에서의 캐리어 센스를 실행하기 위한 프레임간의 아이들(idle) 시간 및 무선 프레임 응답(ACK, NAK)의 송신 처리 시간이 존재하고, 또한, 물리층에서의 헤더 등의 오버헤드에 의해 FrameBody(데이터)의 송신 시간의 비율이 감소하기 때문에, 대역폭(bandwidth)에 따른 실효 속도의 증가를 바랄 수 없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데이터 길이(프레임 길이)에 제한이 있기 때문에, 실효 스루풋이 현저히 저하한다는 문제도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에 비추어 이루어진 것으로서, 프레임 길이 제한에 의한 실효 스루풋의 현저한 저하를 회피할 수 있고, 또한, CSMA/CA에서의 캐리어 센스를 실행하기 위한 프레임간의 아이들 시간 및 무선 프레임 응답(ACK, NAk)의 송신 처리 시간, 또한, 물리층에서의 헤더 등의 오버헤드를 삭감할 수 있는 기지국 및 무 선 단말을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발명의 개시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고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른 기지국에 있어서는, 무선 LAN 시스템을 구성하고, 한편으로 외부의 액세스 라인에 접속 가능한 기지국으로서, 상기 시스템 내에서 무선 신호의 송수신 처리를 실행하고, 또한 사용 가능한 무선 대역 및 변조 방식에 따라 최대 결합 수 또는 최대 프레임 길이를 결정하기 위한 결합 정보와, 결합 가능한 것을 나타내기 위한 결합 가부(可否) 정보를 생성하는 결합 정보 생성 수단(후술하는 실시예의 무선 유닛(15)에 상당)과, 상기 결합 정보, 상기 결합 가부 정보, 및 소정의 패킷 정보에 근거하여 외부의 액세스 라인으로부터 수신한 복수의 프레임을 결합시키는 프레임 결합 수단(인터페이스 유닛)(14) 내의 프레임 결합 유닛(31, 31a)에 상당)과, 한편에서, 상기 무선 신호를 수신한 경우에, 상대측 장치에 의해서 결합된 복수의 프레임을 분할하는 프레임 분할 수단(인터페이스 유닛(14) 내의 프레임 분할 유닛(32, 32a)에 상당)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예를 들면, 가정/사무실용 무선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기지국이, 상기 결합 정보, 상기 결합 가부 정보 및 소정의 패킷 정보에 근거하여 외 부로부터의 복수의 수신 프레임을 적절히 결합해서 송신하고, 수신측에서 결합된 프레임을 적절히 분할한다. 또한, 예를 들면, CSMA/CA를 이용하여, 일정 시간 이상에 걸쳐 미디어에 액세스할 수 없어, 다음 액세스까지 시간이 있는 경우, 다음의 액세스 타이밍까지 수신 프레임의 결합 처리를 계속한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이하에, 본 발명에 따른 기지국 및 무선 단말의 실시예를 도면에 근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또, 본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기지국 및 무선 단말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가정/오피스용 무선 네트워크)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 무선 통신 시스템은 유선 또는 무선계의 외부의 통신망과 접속하는 액세스 라인(예를 들면, Ethernet(R), xDSL, CATV, FTTH 등)과의 상호 접속을 하기 위한 게이트웨이를 갖는 기지국(AP)(1)과, 상기 액세스 라인으로부터의 정보에 대한 수신 처리 및 상기 액세스 라인으로의 송신 처리를 실행하는 복수의 무선 단말(STA)(2A, 2B, …)로 구성된다. 기지국(1)과 각 무선 단말 사이에서는 미국의 무선 LAN 표준화 규격 IEEE802.11로 표준화된 IEEE802.11b, IEEE802.11a 규격 등에 준거한 무선 신호의 송수신 처리가 행하여진다.
기지국(1)은 유선 또는 무선계의 액세스 라인을 종단시켜, 가정/사무실내의 무선 네트워크를 거쳐서 특정한 무선 단말(2A, 2B, …)로 액세스 라인으로부터의 수신 정보를 송신하고, 한편, 무선 단말(2A, 2B, …)로부터의 수신 정보를 액세스 라인측으로 송신하는 통신 유닛 시스템(11)을 구비한다. 그리고, 이 통신 유닛 시스템(11)은 상기 액세스 라인을 종단시키는 액세스계 종단 유닛(13)과, 상기 액세스 라인 상의 신호와 가정/사무실 내의 무선 단말(2A, 2B, …)의 신호 사이의 신호 포맷의 상호 변환을 제어하고, 또한 메모리 등(후술하는 Shared-Memory(33)에 상당)을 제어하는 인터페이스 유닛(14)(예를 들면, 라우터, 브리지에 상당)과, 가정/사무실 내의 무선 네트워크에서 IEEE802.11a, IEEE802.11b, IEEE802.11g 규격 등에 준거한 무선 신호의 송수신 처리를 행하는 무선 유닛(15)과, 안테나(12)를 구비한다.
또한, 무선 단말(2A, 2B)은 각각, 퍼스널 컴퓨터, PDA, 텔레비전 수신기와 같은 정보 기기 본체(21A, 21B)와, 각 정보 기기 본체(21A, 21B)와 기지국(1)의 통신 유닛 시스템(11)간의 데이터 송수신을 제어하는 단말 유닛 시스템(22A, 22B)을 구비한다. 그리고, 이 단말 유닛 시스템(22A, 22B)은 기지국(1), 다른 무선 단말의 신호와 정보 기기 본체(21A, 21B)간의 신호 포맷의 상호 변환을 제어하고, 또한 메모리 등(후술하는 Shared-Memory(33)에 상당)을 제어하는 인터페이스 유닛(24A, 24B)과, 가정/사무실 내의 무선 네트워크에서 IEEE802.11a, IEEE802.11b, IEEE802.11g 규격 등에 준거한 무선 신호의 송수신 처리를 하는 무선 유닛(25A, 25B)과, 안테나(23A, 23B)를 구비한다.
여기서, 본 실시예의 기지국과 무선 단말의 특징적인 동작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기지국 및 무선 단말의 인터페이스 유닛(14, 24A, 24B)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프레임 결합 유닛(31)은 기지국(1)의 액세스계 종단 유닛(13) 또는 무선 단말(2A, 2B)의 정보 기기 본체(21A, 21B)로부터의 복수의 프레임을 필요에 따라 결합시켜, 임의의 일정 포맷으로 Shared-Memory(33)에 보존한다. 또한, 무선 유닛(15, 25A, 25B)에서는, 「사용 가능한 무선 대역 및 변조 방식에 따라 최대 결합 수 또는 최대 프레임 길이를 결정하기 위한 결합 정보」와 「결합 가능한 것을 나타내기 위한 Enable 신호」가 통지된다.
또한, 프레임 분할 유닛(32)은 기지국(1)의 무선 유닛(15) 또는 무선 단말(2A, 2B)의 무선 유닛(25A, 25B)으로부터의 수신 프레임을 필요에 따라 복수 프레임으로 분할하여, 임의의 일정 포맷으로 Shared-Memory(33)에 보존한다.
또한, 도 3은 복수의 프레임이 결합된 경우에 무선 유닛(15) 또는 무선 유닛(25A, 25B)에 의해 송신되는 데이터 프레임 포맷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 데이터 프레임에는 패킷이 DATA인 것을 나타내는 패킷 타입 필드, 목적지 MAC(Media Access Control) 어드레스, 송신원 MAC 어드레스 등을 포함하는 MAC 헤더와, 송신 데이터를 나타내는 Frame-Body와, 각각의 패킷의 비트 오류를 체크하기 위한 연산 결과(FCS: Frame Check Sequence)가 포함되어 있다. 또한, Frame-Body 내부에는, 프레임이 결합되어 있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F-Type 필드와, 결합 프레임 수를 나타내는 Num 필드와, Num 필드로 나타내어진 수의 DATA 필드와, DATA 필드 길이를 나타내는 LENGTH 필드 등이 포함되어 있다. 또, 도 3의 데이터 프레임 포맷에서는, IEEE802.11의 상세한 필드나 변조 방식 등에 의존하는 각 무선 패킷에 공통으로 부가되는 필드를 설명의 편의상 생략한다.
계속해서,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프레임 결합 유닛(31)의 처리를, 도면을 이용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또, 도 4는 본 실시예의 Shared-Memory(33) 내의 송신측 Shared-Memory(33a)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송신측 Shared-Memory(33a)는 일정 사이즈 M1로 분할되어 있고, 각각의 영역 M10(결합 후의 선두 프레임: 다음 송신 프레임), M11(2번째의 프레임), M12(3번째의 프레임), M13(4번째의 프레임)에는 프레임 ID, 목적지 MAC 어드레스, 송신원 MAC 어드레스, 결합수, 최대 결합수, 현재 프레임 길이, 최대 프레임 길이 등이 포함된 프레임 관리 정보 K10과, 복수의 프레임을 결합할 수 있는 데이터 필드 K11이 포함되어 있다. 각각의 데이터 필드에는, 예를 들면, 기지국(1)의 액세스계 종단 유닛(13) 또는 무선 단말(2A, 2B)의 정보 기기 본체(21A, 21B)로부터의 프레임 D10a, D10b, D11a, D11b, D12a, D12b, D12c, D13a가 포함되어 있다.
도 5는 프레임 결합 유닛(31)의 처리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여기서는, 일례로서, 상기 도 4의 송신측 Shared-Memory(33a)의 영역 M10에, 무선 유닛(15)(또는 25A, 25B)에서의 다음 송신 패킷이 보존되어 있는 것을 전제로 하여, 결합 정보와 Enable 신호를 이용한 프레임 결합 처리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 이후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기지국(1)의 프레임 결합 유닛(31)의 처리에 대하여 설명하지만, 무선 단말(2A, 2B)의 프레임 결합 유닛(31)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동작한다.
먼저, 프레임 결합 유닛(31)에서는, 예를 들면, 액세스계 종단 유닛(13)으로 부터의 프레임을 수신하면(도 5, 단계 S1), 수신 프레임을 결합하여야 하는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서 프레임 내의 검사용 정보를 검사한다(단계 S2). 검사 결과, 예를 들면, 프레임 결합을 하지 않는 경우에는(단계 S2, 아니오), 수신 프레임을 신규 프레임으로서 프레임 관리 정보와 함께 송신측 Shared-Memory(33a)에 보존한다(단계 S12). 구체적으로는,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프레임 D13a를 프레임 관리 정보와 함께 송신측 Shared-Memory(33a)의 영역 M13에 저장한다. 또, 상기 검사용 정보로서는, 예를 들면, MAC 어드레스, IP 어드레스, TCP의 포트 번호, TOS 필드(패킷의 우선도를 기술하는 필드) 등을 이용하는 것으로 한다. 또한, 경우에 따라서는, 각각의 MAC 어드레스, IP 어드레스, TCP의 포트 번호 등에 대하여 서로 다른 조건을 마련하는 것으로도 가능하게 한다.
또한, 단계 S2에 의한 검사 결과, 프레임 결합을 하는 경우(단계 S2, 예), 프레임 결합 유닛(31)에서는, 송신측 Share-Memory(33a)를 검사한다(단계 S3), 송신측 Shared-Memory(33a) 내에 이미 조건을 만족하는 프레임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5). 판단 결과, 송신측 Shared-Memory(33a) 내에 조건을 만족하는 프레임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단계 S5, 아니오), 상기와 마찬가지로, 수신 프레임을 신규 프레임으로서 프레임 관리 정보와 함께 송신측 Shared-Memory(33a)에 보존한다(단계 S12).
또, 단계 S5의 판단 결과, 송신측 Shared-Memory(33a) 내에 이미 조건을 만족하는 프레임이 존재하는 경우(단계 S5, 예), 프레임 결합 유닛(31)에서는 당해 송신측 Shared-Memory(33a) 내에 존재하는 프레임이 상기 선두 프레임(영역 M10)을 구성하는 프레임인지 여부를 검사한다(단계 S6). 검사 결과, 선두 프레임을 구성하고 있지 않는 경우에는(단계 S6, 아니오), 현재의 결합 수가, 결합 정보에 근거하여 결정한 최대 결합 수를 초과하고 있는지 여부를 검사하고(단계 S10), 결합 가능하면(단계 S10, 예), 기존의 프레임 뒤에 수신 프레임을 결합한다(단계 S11). 구체적으로는,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프레임 D11b를 영역 M11의 D11a 뒤에, 프레임 D12c를 영역 M12의 D12b 뒤에 각각 보존한다. 한편, 결합 수가 이미 최대 결합 수에 도달하여, 결합 불가능하면(단계 S10, 아니오), 상기와 마찬가지로, 수신 프레임을 신규 프레임으로서 프레임 관리 정보와 함께 송신측 Shared-Memory(33a)에 보존한다(단계 S12).
또, 상기 최대 결합 수는 무선 유닛(15)으로부터 정기적으로 갱신되는 결합 정보에 따라 프레임 결합 유닛(31) 내에서 결정되는 것으로 하여, 예컨대, 사용 가능한 무선 주파수 대역이 넓은 경우나, MIMO(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등을 이용하여 공간적으로 대역이 넓은 경우나, 또는 다치 변조 등을 사용하여 변조효율이 양호한 경우에는 크게 하고, 반대로 넓은 무선 주파수 대역이나 MIMO를 사용할 수 없는 경우나, 전파 상황이 나빠 변조 방식의 효율을 낮춰서 떨어져 송신하는 경우에는 작게 한다.
또한, 단계 S6의 검사 결과, 송신측 Shared-Memory(33a) 내에 존재하는 프레임이 상기 선두 프레임(영역 M10)을 구성하는 프레임인 경우는(단계 S6, 예), 무선 액세스 방식으로서 CSMA을 이용하여 있는 기지국(1)의 무선 유닛(15)이, 예를 들면, 백오프값이 큰 것, 일정 시간까지 대역이 예약되어 있는 것, 또는 수신 중인 것 등을 이유로 하여, 일정 시간 이상에 걸쳐 미디어에 액세스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그래서, 프레임 결합 유닛(31)에서는, Enable 신호에 근거하여, 한층더 프레임 결합이 가능한지 여부, 즉, 프레임을 추가하기 위한 시간이 있는지 여부를 검사한다(단계 S7). 그 결과, 결합 가능(Enable 신호=1)하면(단계 S7, 예), 또 현재의 결합 수가, 결합 정보에 근거하여 결정한 최대 결합 수를 초과하고 있는지 여부를 검사하고(단계 S8), 결합 가능(결합 수<결합 최대 수)하면(단계 S8, 예), 기존의 프레임 뒤에 수신 프레임을 결합한다(단계 S9). 구체적으로는,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프레임 D10b를 영역 M10의 D10a 뒤에 보존한다.
또, 프레임을 결합하기 위한 시간이 없는 경우(단계 S7, 아니오), 또는, 현재의 결합 수가 이미 최대 결합 수에 도달하고 있다고 판단된 경우(단계 S8, 아니오), 프레임 결합 유닛(31)에서는, 상기와 마찬가지로, 수신 프레임을 신규 프레임으로서 프레임 관리 정보와 함께 송신측 Shared-Memory(33a)에 보존한다(단계 S12).
그 후, 송신측 Shared-Memory(33a)에 기입된 송신 프레임은 기지국(1)의 무선 유닛(15)에 의해 결정되는 송신 타이밍으로 판독되고, 무선 LAN 표준화 규격 IEEE802.11로 표준화된 IEEE802.11a, IEEE802.11b, IEEE802.11g 규격 등에 준거한 무선 신호로 변환되어, 안테나(12)로부터 송신된다. 상기 송신 프레임은 송신 시에 프레임 길이가 최대 결합 수 혹은 최대 프레임 길이에 도달하고 있지 않더라도 무방하다.
또, 본 실시예에서는 프레임을 결합하기 위한 판단 처리에 최대 결합 수를 이용했지만, 최대 프레임 길이, 또는 무선 대역 및 변조 효율 등에 관계하여 산출되는 파라미터 등으로 실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검사용 정보는 MAC 어드레스 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TOS 필드, IP 어드레스, TCP의 포트 번호 등으로 하여도 된다. 또한, 각각의 MAC 어드레스, TOS 필드, IP 어드레스, TCP의 포트 번호 등에 대하여 서로 다른 최대 결합 수나 최대 프레임 길이의 조건을 마련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애플리케이션이나 서비스 내용에 따라 상기 최대 결합 수나 최대 프레임 길이 등의 조건을 변화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애플리케이션이나 서비스 내용에 따라 Shared-Memory(33a) 내의 순서를 바꾸어 넣는 것도 가능하다.
계속해서,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프레임 분할 유닛(32)의 처리를, 도면을 이용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또, 도 6은 본 실시예의 Shared-Memory(33) 내의 수신측 Shared-Memory(33b)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수신측 Shared-Memory(33b)는 일정 사이즈 M2로 분할되어 있고, 각각의 영역 M20, M21, M22, M23에는 프레임 ID, 목적지 MAC 어드레스, 송신원 MAC 어드레스 등이 포함된 프레임 관리 정보 K20과, 단일 프레임을 저장할 수 있는 데이터 필드 K21이 포함되어 있다. 각각의 데이터 필드에는, 예를 들면, 기지국(1)의 무선 유닛(15) 또는 무선 단말(2A, 2B)의 무선 유닛(25A, 25B)으로부터의 수신 프레임을 분할한 후의 프레임 D20a, D21a, D22a, D23a가 포함되어 있다.
도 7은 프레임 분할 유닛(32)의 처리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여기서는, 일례로서, 도 3에 나타내는 프레임 포맷과 같이 결합된 수신 프레임에 대한 프레임 분할 처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 이후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기지국(1)의 프레임 분할 유닛(32)의 처리에 대하여 설명하지만, 무선 단말(2A, 2B)의 프레임 분할 유닛(32)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동작한다.
먼저, 프레임 분할 유닛(32)에서는, 예를 들면, 무선 유닛(15)으로부터의 프레임을 수신하면(도 7, 단계 S21), 프레임 포맷을 확인하기 위해서, 프레임 내의 검사용 정보인 F-Type 필드 및 NUM 필드(도 3 참조) 등을 추출한다(단계 S22, 단계 S23). 그 결과, F-Type 필드 및 NUM 필드를 가지는 결합 프레임이면(단계 S24, 예), 당해 수신 프레임을 분할해야 할 프레임이라고 결정한다. 한편, F-Type 필드 및 NUM 프레임 등을 가지지 않는 프레임이면(단계 S24, 아니오), 프레임 분할 유닛(32)에서는 당해 수신 프레임을 관리 정보와 함께 수신측 Shared-Memory(33b)에 기입한다(단계 S29).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영역 M20에 관리 정보와 프레임 D20a를 기입한다.
또한, 단계 S24에 의한 판단 결과, 프레임 분할을 행하는 경우(단계 S24, 예), 프레임 분할 유닛(32)에서는 초기값(i=1)을 설정하여(단계 S25), 수신측 Shared-Memory(33b)에 대한 프레임 관리 정보와 수신 프레임의 기입 처리를, 프레임 결합 수 : NUM회에 걸쳐 반복하여 실행한다(단계 S26, S27, S28). 예를 들면, NUM=3인 경우에는, 분할 후의 제 1 프레임 D21a를 프레임 관리 정보와 함께 영역 M21에 기입하고, 다음에, 분할 후의 제 2 프레임 D22a를 프레임 관리 정보와 함께 영역 M22에 기입하며, 마지막으로, 분할 후의 제 3 프레임 D23a를 프레임 관리 정보와 함께 영역 M23에 기입한다.
그 후, 수신측 Shared-Memory(33b)에 기입된 수신 프레임은 기지국(1)의 액세스계 종단 유닛(13)으로부터 판독되어, 외부의 액세스 라인에 대응한 처리가 행해진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예를 들면, 가정/사무실용 무선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기지국(1) 및 무선 단말(2A, 2B)이, MAC 어드레스, IP 어드레스, TOS 필드 등의 패킷 정보를 이용하여, 외부로부터의 복수의 수신 프레임을 적절히 결합하여 송신하고, 수신측에서 결합된 프레임을 적절히 분할하는 것으로 하였다. 이에 따라, 헤더 등의 오버헤드가 저감되어, 단위 시간에 차지하는 사용자 데이터 송신 시간의 비율이 증가하기 때문에, 무선 전송의 광대역화에 따른 실효 속도를 얻을 수 있고, 또한 시스템 스루풋의 향상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CSMA/CA를 이용하는 기지국(1) 및 무선 단말(2A, 2B)이, 일정 시간 이상에 걸쳐 미디어에 액세스할 수 없고, 다음 액세스까지 시간이 있는 경우, 다음의 액세스 타이밍까지 수신 프레임의 결합 처리를 계속하는 것으로 하였다. 이에 따라, CSMA/CA에서의 캐리어 센스를 하기 위한 프레임간의 아이들 시간 및 무선 프레임 응답(ACK, NAK)의 송신 처리 시간을 대폭 저감할 수 있기 때문에, 한층더 시스템 스루풋의 향상을 실현할 수 있다.
또, 본 실시예에서는 기지국에 무선 단말이 접속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 대하여 나타내고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무선 단말끼리가 독자의 네트워크를 구축하여 통신을 행하는 애드훅 네트워크에 대해서도 적용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인터페이스 유닛 내부의 구성은 프레임 결합 처리 및 분할 처리를 실현할 수 있는 것이면, 다른 구성이어도 된다. 또한, 복수의 수신 프레임을 결합하는 경우의 프레임 포맷은 도 3에 한정되지 않고, 프레임 결합 처리 및 분할 처리를 실현할 수 있으면, 다른 구성이어도 된다. 또한, 본 실시예의 처리는, CSMA/CA에 한정되지 않고,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Polling 등의 무선 액세스 방식에 대해서도 적용 가능하다.
(실시예 2)
이하, 실시예 2의 기지국 및 무선 단말의 처리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무선 통신 시스템(가정/사무실용 무선 네트워크)의 구성에 대해서는 앞서 설명한 실시예 1의 도 1과 마찬가지이기 때문에,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도 2에 나타내는 인터페이스 유닛(14, 24A, 24B)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도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이용하는 프레임 포맷에 대해서는, 앞서 설명한 실시예 1의 도 3과 마찬가지이다. 이하에서는 실시예 1과 다른 처리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여기서, 실시예 2의 프레임 결합 유닛(31a)의 처리를 도면을 이용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8은 프레임 결합 유닛(31a)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며, 이 프레임 결합 유닛(31a)은 기지국(1)의 액세스계 종단 유닛(13) 또는 무선 단말(2A, 2B)의 정보 기기 본체(21A, 21B)로부터 보내져오는 수신 프레임을 해석하는 프레임 해석 유닛(41)과, 프레임 결합 조건을 지정하는 결합 조건 지정 유닛(42)과, 상기 수신 프레임의 일부 정보 등을 저장하는 메모리 유닛(43)과, Shared-Memory(33)에 수신 프레임을 기입하는 처리 및 수신 프레임을 결합하는 처리를 행하는 프레임 기입 유닛(44)을 구비한다. 또, 여기서는, 설명의 편의상, 기지국(1)의 프레임 결합 유닛(31a)의 처리에 대하여 설명하지만, 무선 단말(2A, 2B)의 프레임 결합 유닛(31a)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동작한다.
먼저, 프레임 결합 유닛(31a)에서는, 프레임 해석 유닛(41)이 액세스계 종단 유닛(13)으로부터 보내져오는 수신 프레임의, MAC 어드레스, IP 어드레스, TOS 필드, RTP(Real-time Transport Protocol) 필드 등을 확인한다.
다음에, 결합 조건 지정 유닛(42)에서는, 상기 수신 프레임의 MAC 어드레스, IP 어드레스, TOS 필드, RTP 필드 등에 대한 결합 조건을 검사하여, 수신 프레임의 처리를 결정한다. 예를 들면,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VoIP(Voice over IP) 데이터를 결합 조건으로 하여 설명을 한다.
다음에, 프레임 기입 유닛(44)에서는, 현재의 Shared-Memory(33)에, 이전에 수신한 프레임이 어떻게 유지되어 있는지를 조사하기 위해서 메모리 유닛(43)을 조사하여, 최대 결합 수 및 최대 프레임 길이 등을 확인해서 수신 프레임의 처리를 결정한다. 예를 들면, Shared-Memory(33) 내에 결합 가능한 프레임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프레임 기입 유닛(44)에서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처리에 의해, 당해 수신 프레임을 신규로 Shared-Memory(33)에 보존하고, 또한, 기입 처리 후의 정보를 메모리 유닛(43)에 추가한다. 또, 무선 유닛(15)에 의해서 Shared-Memory(33) 내의 프레임이 판독된 경우에는, 메모리 유닛(43)의 내용도 갱신한다.
한편, 메모리 유닛(43)을 조사하여 Enable 신호나 결합 정보의 조건에 의해 서 Shared-Memory(33)에 기입 가능한 경우, 프레임 기입 유닛(44)에서는, 그 수신 프레임을,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처리로, Shared-Memory(33) 내의 특정 개소에 기입, 결합한다.
또,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VoIP 데이터를 결합 조건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무선 유닛(15)으로부터 송신되는 데이터 프레임 포맷의 목적지 MAC 어드레스를 브로드캐스트 어드레스로 하고, 또한, Frame-Body 내부의 DATA 필드에는 상기 수신 프레임의 MAC 어드레스를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다음에, 실시예 2의 프레임 분할 유닛(32a)의 처리를, 도면을 이용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9는 프레임 분할 유닛(32a)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며, 이 프레임 분할 유닛(32a)은 기지국(1)의 무선 유닛(15) 또는 무선 단말(2A, 2B)의 무선 유닛(25A, 25B)으로부터 보내져오는 수신 프레임을 검사하는 프레임 해석 유닛(51)과, 그 해석 결과에 근거하여 Shared-Memory(33)에 기입을 행하는 프레임 기입 유닛(52)을 구비한다. 또, 여기서는, 설명의 편의상, 무선 단말의 프레임 분할 유닛(32a)의 처리에 대하여 설명하지만, 기지국(1)의 프레임 분할 유닛(32a)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동작한다.
먼저, 프레임 해석 유닛(51)에서는, 무선 유닛(15)으로부터 보내져오는 수신 프레임의 Frame-Body를 검사하여, 단일 데이터로 이루어지는 프레임이면, 프레임 기입 유닛(52)이 그 프레임을 Shared-Memory(33)에 기입한다.
한편, 상기 검사의 결과, 목적지 어드레스로서 브로드캐스트 어드레스가 기입되고, 또한 Frame-Body 내에 복수의 목적지 MAC 어드레스를 포함하는 VoIP 데이 터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프레임 해석 유닛(51)에서는, Frame-Body 내의 자신의 단말 MAC 어드레스로의 데이터만을 취출하여, 프레임 기입 유닛(52)이 Shared-Memory(33)에 취출한 데이터를 기입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복수의 동일 애플리케이션을 결합하여, 무선 유닛이 브로드캐스트 어드레스로 송신하고, 수신측이 브로드캐스트 어드레스로서 수취한 데이터 중에서 자신의 단말로의 정보만을 발출(拔出)하여, Shared-Memory에 기입하는 것으로 하였다. 이에 따라, 복수의 단말에 대한 프레임을 하나의 브로드캐스트 데이터로서 송신할 수 있어, 무선 액세스 방식 등의 오버헤드를 줄일 수 있기 때문에, 프레임의 처리 지연의 삭감 및 시스템 스루풋의 향상을 실현할 수 있다.
또,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VoIP 데이터를 결합 조건으로 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TOS 필드, IP 어드레스, TCP의 포트 번호 등의 정보를 이용하는 것으로 하여도 된다.
(실시예 3)
이하, 실시예 3의 기지국 및 무선 단말의 처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무선 통신 시스템(가정/사무실용 무선 네트워크)의 구성에 대해서는 앞서 설명한 실시예 1의 도 1과 마찬가지이기 때문에,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도 2에 나타내는 인터페이스 유닛(14, 24A, 24B)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도,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이용하는 프레임 포맷에 대해서는, 앞서 설명한 실시예 1의 도 3과 마찬가지이다. 이하에서는, 실시예 1과 다른 처리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IEEE802.11e에서 규정되어 있는 EDCA(Enhanced Distributed Channel Access)을 이용한 QoS(Quality of Service)에 준거하기 위한 구성을 나타낸다. 일례로서, 기지국(1)이 무선 단말(2A)에 대하여 QoS 데이터를 전송하는 모델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애플리케이션마다 구분된 shared-memory(33)를 구비하며, 프레임 결합 유닛(31)이 전술한 실시예와 마찬가지의 처리로, 소정의 애플리케이션마다 프레임을 결합하는 것을 전제로 한다.
예컨대, 프레임 결합 유닛(31)에 의해 결합된 프레임은 무선 유닛(15)에 의해서, 프라이어리티(priority)마다의 큐에 저장되어, 프라이어리티에 준하여 송신된다(EDCA). 또, 무선 유닛(15)은 일례로서, EDCA 방식을 이용하는 것으로 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HCCA(HCF(Hybrid Coordination Function) Controlled Channel Access), PCF(Point Coordination Function), DCF(Distributed Coordination Function)을 이용하는 것으로 하여도 된다.
한편, 무선 단말(2A)에서는, 무선 유닛(25A)이 수신한 결합 프레임에 오류가 없으면, ACK를 회신한다. 그리고, 수신한 결합 프레임은 전술한 실시예 1 또는 실시예 2와 마찬가지의 처리로 분할되어, 정보 기기 본체(21A)에 전송된다. 또, 본 실시예에서는, 결합 프레임에 대하여 하나의 ACK를 회신하는 것으로 하여도 되고, 결합된 애플리케이션마다 ACK를 회신하는 것으로 하여도 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애플리케이션마다 구분된 shared-memory(33)를 구비하며, 프라이어리티마다 프레임 결합을 실행하는 것으로 하였다. 이에 따라, 프라이어리티가 높은 순서대로 프레임 송신을 행할 수 있다.
또, 본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기지국(1)으로부터 무선 단말(2A)로의 QoS 데이터의 전송 처리에 대해서 나타내었지만, 송신 처리, 수신 처리를 실행하는 장치에 대해서는 일절 제한을 갖지 않는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프라이어리티마다의 결합 프레임의 송신 처리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프라이어리티와 전송량에 근거하여 복수의 애플리케이션의 프레임을 하나의 프레임에 결합하고, 브로드캐스트로 송신하는 것으로 하여도 된다. 또한, 스트리밍 데이터와 같이 패킷 지연에 대하여 제약이 마련되어 있는 애플리케이션에 대해서는, 허용되는 시간 이내에서만 결합하는 것으로 하여도 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기지국과 무선 단말간의 통신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무선 단말은, 기지국 이외에, 당해 기지국에 속하는 다른 무선 단말에 대한 프레임을 포함해서 브로드캐스트로 송신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도 5에 있어서의 결합 처리에 있어서, 수신 프레임과 함께 Shared-Memory(33)에 보존하는 프레임 관리 정보로서, QoS 정보, 애플리케이션 정보, 패킷 지연에 대한 제약 정보를 더 부가한다.
(실시예 4)
이하, 실시예 4의 기지국 및 무선 단말의 처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무선 통신 시스템(가정/사무실용 무선 네트워크)의 구성에 대해서는, 앞서 설명한 실시예 1의 도 1과 마찬가지이기 때문에,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도 2에 나타내는 인터페이스 유닛(14, 24A, 24B)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도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이용하는 프레임 포맷에 대해서도, 앞서 설명한 실시예 1의 도 3과 마찬가지이다. 또한, 프레임 결합 유닛 및 프레임 분할 유닛에 대해서는 앞서 설명한 실시예 2의 도 8, 도 9와 마찬가지이다. 이하에서는, 실시예 2와 다른 처리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먼저, 기지국에서의 프레임 결합 유닛(31a) 내의 프레임 해석 유닛(41)이 액세스계 종단 유닛(13)으로부터 보내져오는 수신 프레임의 MAC 어드레스, IP 어드레스 등으로부터 송신처 단말(transmission destination terminal)을 특정한다.
다음에, 결합 조건 지정 유닛(42)에서는, 상기 수신 프레임의 송신처(transmission destination)로부터 결합 조건을 검사하여, 수신 프레임의 처리를 결정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예를 들면, 브로드캐스트(multicast)되는 스트리밍 데이터 프레임과 폴링 제어된 유니캐스트의 데이터 프레임을 결합한다.
다음에, 프레임 기입 유닛(44)에서는, 현재의 Shared-Memory(33)에, 이전에 수신한 프레임이 어떻게 유지되어 있는지를 조사하기 위해서 메모리 유닛(43)을 조사하여, 최대 결합 수 및 최대 프레임 길이 등을 확인해서 수신 프레임의 처리를 결정한다. 예를 들면, Shared-Memory(33) 내에 결합 가능한 프레임이 존재하지 않 는 경우, 프레임 기입 유닛(44)에서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처리로, 당해 수신 프레임을 신규로 Shared-Memory(33)에 보존하고, 또한, 기입 처리 후의 정보를 메모리 유닛(43)에 추가한다. 또, 무선 유닛(15)에 의해서 Shared-Memory(33) 내의 프레임이 판독된 경우에는 메모리 유닛(43)의 내용도 갱신한다.
한편, 메모리 유닛(43)을 조사하여, Enable 신호나 결합 정보의 조건에 의해서 Shared-Memory(33)에 결합 가능한 프레임이 존재하는 경우, 프레임 기입 유닛(44)에서는 그 수신 프레임을,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처리로, Shared-Memory(33) 내의 특정 개소에 기입, 결합한다.
또,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결합 조건으로서 폴링 제어의 유니캐스트의 데이터 프레임이 있는 경우, 하나의 유니캐스트의 데이터 프레임과 브로드캐스트(멀티캐스트)되는 복수의 스트리밍 데이터 프레임을 결합한다. 한편, 상기 유니캐스트의 데이터 프레임이 없는 경우에 있어서는, 브로드캐스트(멀티캐스트)되는 복수의 스트리밍 데이터 프레임만을 결합한다. 이 때, 결합된 유니캐스트의 데이터 프레임의 정보가 기재되는 필드에는 송신처 무선 단말의 IP 어드레스와 MAC 어드레스를 기재한다.
다음에, 실시예 4의 프레임 분할 유닛(32a)의 처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예를 들면, 무선 단말의 프레임 해석 유닛(51)에서는, 무선 유닛(15)으로부터 보내져오는 수신 프레임의 Frame-Body를 검사하여, 단일 데이터로 이루어지는 프레임이면, 프레임 기입 유닛(52)이 그 프레임을 Shared-Memory(33)에 기입한다.
또한, 상기 검사의 결과, 목적지 MAC 어드레스로서 브로드캐스트 어드레스가 기입되고, 또한 Frame-Body 내에 자신의 단말의 그룹 어드레스를 포함하는 스트리밍 데이터 프레임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 프레임 기입 유닛(52)이 그 프레임을 Shared-Memory(33)에 기입한다.
또한, 상기 검사의 결과, 목적지 MAC 어드레스가 자신의 단말의 폴링 제어 중의 데이터 프레임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 프레임 해석 유닛(51)에서는, Frame-Body 내의 자신의 단말로의 데이터만을 취출하여, 프레임 기입 유닛(52)이 그 데이터를 Shared-Memory(33)에 기입한다. 또한, 폴링 제어 중의 데이터 프레임을 수신한 단말은 송신원 장치에 대하여 ACK 프레임을 회신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폴링 제어 중의 데이터 프레임과 브로드캐스트(멀티캐스트)의 스트리밍 데이터를 결합하는 것으로 하였다. 이에 따라, 복수의 단말에 정보를 배포하면서, 개별의 단말에 대하여 통신을 실행할 수 있다.
또,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일례로서 폴링 제어를 이용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제어 방식으로서, DCF, EDCA, HCCA 등을 이용한 경우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적용 가능하다. 또한, 실시예 3에서 나타낸 프라이어리티별 제어를 동시에 실시하는 것으로 하여도 된다.
또한, 기지국과 무선 단말에 대해서는 도 1의 구성을 이용하는 것으로 했지만, 통신의 대상은 기지국간이나 무선 단말간이더라도 무방하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기지국과 무선 단말간의 통신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무선 단말은 기지국 이외에, 당해 기지국에 속하는 다른 무선 단말에 대한 프레임을 포함해서 송신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기지국 및 무선 단말은 무선 LAN 표준화 규격 IEEE802.11에 준거한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는 통신 장치로서 유용하며, 특히, 무선 액세스 방식으로서 CSMA/CA를 채용하는 통신 시스템에 적합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기지국 및 무선 단말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기지국 및 무선 단말의 인터페이스 유닛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데이터 프레임 포맷을 도시하는 도면,
도 4는 실시예 1의 Shared-Memory 내의 송신측 Shared-Memory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
도 5는 프레임 결합 유닛의 처리를 나타내는 흐름도,
도 6은 실시예 1의 Shared-Memory 내의 수신측 Shared-Memory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
도 7은 프레임 분할 유닛의 처리를 나타내는 흐름도,
도 8은 실시예 2의 프레임 결합 유닛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9는 실시예 2의 프레임 분할 유닛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Claims (4)

  1.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송신기가 채용하는 통신 방법에 있어서,
    상기 송신기는, 수신한 데이터 영역과 상기 데이터 영역에 대응하는 목적지 어드레스 영역을 구비하는 하나 이상의 프레임을 결합시키는 프레임 결합 수단과, 상기 결합시킨 프레임 군을 저장하는 메모리를 구비하고,
    상기 통신 방법은,
    상기 프레임 결합 수단이 수신한 수신 프레임 군을 결합할지 여부를 검사하는 단계와,
    상기 검사 결과, 프레임 결합을 행하는 경우에는, 상기 메모리를 더 검사해서, 상기 메모리 내에, 조건을 만족하는 프레임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판단 단계에서의 판단의 결과, 상기 메모리 내에, 조건을 만족하는 프레임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상기 프레임이 선두 프레임을 구성하는 프레임인지 여부를 더 검사하는 단계와,
    상기 검사 단계의 결과, 선두 프레임을 구성하지 않는 경우에는, 현재의 결합수가 상기 프레임이 복수인지 여부를 나타내는 프레임 결합 정보에 기초해서 결정한 최대 결합수를 초과하는지 여부를 더 검사해서, 초과하지 않는 경우에는 기존의 프레임의 뒤에 수신 프레임을 결합하고,
    상기 검사 단계의 결과, 선두 프레임을 구성하는 경우에는, 프레임 결합이 가능한지 여부를 더 검사하고, 그 결과, 결합이 가능하다면, 현재의 결합수가 최대 결합수를 초과하는지 여부를 더 검사해서 초과하지 않는 경우에는, 기존 프레임의 뒤에 수신 프레임을 결합하는 프레임 결합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결합 단계는 상기 데이터 프레임 내의 프레임이 복수인 경우, 상기 복수의 프레임에 선행하도록 상기 프레임 결합 정보를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방법.
  3. 무선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의 송신기에 있어서.
    상기 송신기는, 수신한 데이터 영역과 상기 데이터 영역에 대응하는 목적지 어드레스 영역을 구비하는 하나 이상의 프레임을 결합시키는 프레임 결합 수단과, 상기 결합시킨 프레임 군을 저장하는 메모리를 구비하고,
    상기 프레임 결합 수단은,
    수신한 수신 프레임 군을 결합할지 여부를 검사하고,
    상기 검사 결과, 프레임 결합을 행하는 경우에는, 상기 메모리를 검사해서, 상기 메모리 내에, 조건을 만족하는 프레임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며,
    상기 판단 결과, 상기 메모리 내에, 조건을 만족하는 프레임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상기 프레임이 선두 프레임을 구성하는 프레임인지 여부를 더 검사하고,
    상기 검사 결과, 선두 프레임을 구성하지 않는 경우에는, 현재의 결합수가 상기 프레임이 복수인지 여부를 나타내는 프레임 결합 정보에 기초해서 결정한 최대 결합수를 초과하는지 여부를 더 검사해서, 초과하지 않는 경우에는 기존의 프레임의 뒤에 수신 프레임을 결합하며,
    상기 검사 결과, 선두 프레임을 구성하는 경우에는, 프레임 결합이 가능한지 여부를 더 검사하고, 그 결과, 결합이 가능하다면, 현재의 결합수가 최대 결합수를 초과하는지 여부를 더 검사해서 초과하지 않는 경우에는, 기존 프레임의 뒤에 수신 프레임을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결합 수단은 상기 데이터 프레임 내의 프레임이 복수인 경우, 상기 복수의 프레임에 선행하도록 상기 프레임 결합 정보를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기.
KR1020087023315A 2003-06-04 2004-06-03 송신기 및 통신 방법 KR10093077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3-00159776 2003-06-04
JP2003159776 2003-06-04
PCT/JP2004/008054 WO2004109981A1 (ja) 2003-06-04 2004-06-03 基地局および無線端末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57023129A Division KR100884120B1 (ko) 2003-06-04 2004-06-03 송신기 및 통신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97483A KR20080097483A (ko) 2008-11-05
KR100930770B1 true KR100930770B1 (ko) 2009-12-09

Family

ID=33508535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23315A KR100930770B1 (ko) 2003-06-04 2004-06-03 송신기 및 통신 방법
KR20057023129A KR100884120B1 (ko) 2003-06-04 2004-06-03 송신기 및 통신 방법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57023129A KR100884120B1 (ko) 2003-06-04 2004-06-03 송신기 및 통신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2) US20070165670A1 (ko)
JP (1) JP4628953B2 (ko)
KR (2) KR100930770B1 (ko)
CN (1) CN100448210C (ko)
WO (1) WO200410998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899059B2 (en) * 2003-11-12 2011-03-01 Agere Systems Inc. Media delivery using quality of service differentiation within a media stream
US7801174B2 (en) * 2004-12-29 2010-09-21 Alcatel-Lucent Usa Inc. Techniques for efficient control of aggregating wireless voice communications
JP4792803B2 (ja) * 2005-04-27 2011-10-12 株式会社日立製作所 無線lan接続装置およびパケット長制御方法
US8576846B2 (en) * 2005-10-05 2013-11-05 Qualcomm Incorporated Peer-to-peer communication in ad hoc wireless network
JP4683359B2 (ja) * 2007-11-24 2011-05-18 健 星子 パケット通信システム
JP2009278542A (ja) * 2008-05-16 2009-11-26 Sony Corp 無線通信装置、無線通信システム、無線通信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8170027B2 (en) * 2009-05-26 2012-05-01 Qualcomm Incorporated Apparatus and method for supporting higher data rates on links with variable frame sizes
JP5573053B2 (ja) * 2009-09-04 2014-08-20 ソニー株式会社 無線通信装置および無線通信方法
JP5408445B2 (ja) * 2010-03-15 2014-02-05 オムロン株式会社 プログラマブルコントローラおよびマスタ通信回路
JP5707171B2 (ja) * 2011-02-25 2015-04-22 任天堂株式会社 通信制御装置、通信制御プログラム、通信制御方法、および、情報処理システム
JP5728249B2 (ja) 2011-02-25 2015-06-03 任天堂株式会社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プログラム、および、情報処理方法
US9537779B2 (en) * 2013-10-11 2017-01-03 Huawei Technologies Co., Ltd. System and method for real-time traffic delivery
JP2017046325A (ja) * 2015-08-28 2017-03-02 株式会社東芝 通信装置、通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23810A (ko) * 1997-05-16 2000-04-25 다치카와 게이지 가변길이 프레임 전송방법과 전송장치 및 수신장치
KR20000074178A (ko) * 1999-05-10 2000-12-05 윤종용 이동 통신시스템에서 라디오링크프로토콜에 따른 가변 길이의 데이터 송수신 장치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99670B2 (ja) * 1996-02-02 2004-02-23 株式会社東芝 無線通信方法、無線基地局装置及び無線端末装置
US6931009B1 (en) * 1997-07-15 2005-08-16 Viasat, Inc. Frame format and frame assembling/disassembling method for the frame format
KR100250434B1 (ko) * 1997-12-26 2000-04-01 정선종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자 데이터 전송을 위한트래픽 프레임 구성방법
KR100255328B1 (ko) * 1998-02-18 2000-05-01 윤종용 음성 신호의 기록/재생이 가능한 이동 무선 전화기 및그 제어 방법
US7593380B1 (en) * 1999-03-05 2009-09-22 Ipr Licensing, Inc. Variable rate forward error correction for enabling high performance communication
GB9910449D0 (en) * 1999-05-07 1999-07-07 Koninkl Philips Electronics Nv Radio communication system
US6865609B1 (en) * 1999-08-17 2005-03-08 Sharewave, Inc. Multimedia extensions for wireless local area network
US7035285B2 (en) * 2000-04-07 2006-04-25 Broadcom Corporation Transceiver method and signal therefor embodied in a carrier wave for a frame-based communications network
JP2003078565A (ja) * 2001-08-30 2003-03-1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無線通信装置
US7289535B2 (en) * 2002-03-15 2007-10-30 Freescale Semiconductor, Inc. Method of accommodating fragmentation and burst in a wireless protocol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23810A (ko) * 1997-05-16 2000-04-25 다치카와 게이지 가변길이 프레임 전송방법과 전송장치 및 수신장치
KR20000074178A (ko) * 1999-05-10 2000-12-05 윤종용 이동 통신시스템에서 라디오링크프로토콜에 따른 가변 길이의 데이터 송수신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WO2004109981A1 (ja) 2006-07-20
KR100884120B1 (ko) 2009-02-17
KR20080097483A (ko) 2008-11-05
CN100448210C (zh) 2008-12-31
CN1799225A (zh) 2006-07-05
US20110243117A1 (en) 2011-10-06
JP4628953B2 (ja) 2011-02-09
WO2004109981A1 (ja) 2004-12-16
US20070165670A1 (en) 2007-07-19
KR20060024787A (ko) 2006-03-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00322996A1 (en) Symmetric transmit opportunity (txop) truncation
US20110243117A1 (en) Base station and wireless terminal
EP2059083B1 (en) Data transmission method in wireless MESH network and A-MSDU format
JP5677307B2 (ja) マルチキャスト通信のためのデータ速度適合の方法
US20070133447A1 (en) Dual CTS protection systems and methods
US9258842B2 (en) Collision avoidance systems and methods
JP7443345B2 (ja) 通信技法
WO2014061992A1 (ko) 무선랜에서 채널 액세스 방법 및 장치
EP3158692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selecting an optimum communication route in a wireless network
US20060109813A1 (en) Radio packet communication method and radio packet communication apparatus
CN101350658A (zh) 基站和无线终端
US9883535B2 (en) Channel access method and apparatus therefor
Simoens et al. The evolution of 5GHz WLAN toward higher throughputs
KR101212423B1 (ko) 대칭적 전송 기회(txop) 절삭
KR20020027566A (ko) 무선 장치, 무선 통신 시스템 및 멀티캐스트 통신 방법
Zhao et al. An efficient IEEE 802.11 ESS mesh network supporting quality-of-service
KR101191462B1 (ko) 송신 통지 표시
Ettefagh et al. Throughput performance of two-way relaying in IEEE 802.11 networks
Puli The SRAWAN MAC Protocol to Support Real-Time Services in Lo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18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