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29975B1 - 승마형 자전거 - Google Patents

승마형 자전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29975B1
KR100929975B1 KR1020090037673A KR20090037673A KR100929975B1 KR 100929975 B1 KR100929975 B1 KR 100929975B1 KR 1020090037673 A KR1020090037673 A KR 1020090037673A KR 20090037673 A KR20090037673 A KR 20090037673A KR 100929975 B1 KR100929975 B1 KR 1009299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ed
tube
saddle
cylinder
coil sp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376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차충환
Original Assignee
차충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차충환 filed Critical 차충환
Priority to KR10200900376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2997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299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299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MRIDER PROPULSION OF WHEELED VEHICLES OR SLEDGES; POWERED PROPULSION OF SLEDGES OR SINGLE-TRACK CYCLES; TRANSMISSIONS SPECIALLY ADAPTED FOR SUCH VEHICLES
    • B62M1/00Rider propulsion of wheeled vehicles
    • B62M1/18Rider propulsion of wheeled vehicles by movement of rider's sadd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19/00Cycle frames
    • B62K19/18Joints between frame me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1/00Saddles or other seats for cycles; Arrangement thereof; Component parts
    • B62J1/02Saddles resiliently mounted on the frame; Equipment therefor, e.g. sp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17/00Cy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19/00Cycle frames
    • B62K19/30Frame parts shaped to receive other cycle parts or accessories
    • B62K19/36Frame parts shaped to receive other cycle parts or accessories for attaching saddle pillars, e.g. adjustable during rid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MRIDER PROPULSION OF WHEELED VEHICLES OR SLEDGES; POWERED PROPULSION OF SLEDGES OR SINGLE-TRACK CYCLES; TRANSMISSIONS SPECIALLY ADAPTED FOR SUCH VEHICLES
    • B62M11/00Transmission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interengaging toothed wheels or frictionally-engaging wheels
    • B62M11/02Transmission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interengaging toothed wheels or frictionally-engaging wheels of unchangeable ratio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MRIDER PROPULSION OF WHEELED VEHICLES OR SLEDGES; POWERED PROPULSION OF SLEDGES OR SINGLE-TRACK CYCLES; TRANSMISSIONS SPECIALLY ADAPTED FOR SUCH VEHICLES
    • B62M21/00Transmissions characterised by use of resilient elements there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2201/00Springs used in cycle frames or parts thereof
    • B62K2201/06Leaf sp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Steering Devices For Bicycles And Motorcy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승마형 자전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승마형 자전거는 핸들바와 핸들을 갖는 핸들부, 상기 핸들바의 하부에 결합되는 전륜 프레임과 상기 전륜 프레임의 하단부에 결합된 프런트 축과 상기 프런트 축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앞바퀴 및 상기 핸들바와 상기 전륜 프레임을 연결하는 헤드 튜브를 갖는 앞바퀴부, 리어축과 상기 리어축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뒷바퀴를 갖는 뒷바퀴부, 제1 평기어 및 제2 평기어 또는 힌지축을 포함하는 회동부, 일단부는 상기 헤드 튜브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타단부는 상기 회동부와 결합되는 탑 튜브, 일단부는 상기 회동부와 결합되며 타단부는 상기 뒷바퀴부와 결합되는 시트 스테이 튜브, 상기 회동부의 상부에 결합되는 안장 튜브와 상기 안장 튜브에 착탈 결합되는 안장을 갖는 안장부, 그리고 운전자가 상기 안장부를 가압하는 경우 가압에 반발하는 탄성력을 제공하여 상기 회동부를 중심으로 상기 탑 튜브와 상기 시트 스테이 튜브가 왕복 회동하도록 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한다. 이에 의해 자전거의 주행시 엉덩이를 위 아래로 들어올리거나 내리는 동작 등을 함으로써 안장이 상하로 움직이면서 마치 승마를 즐기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자전거, 승마, 평기어, 기어 박스, 탄성부재, 래치트 기어

Description

승마형 자전거{HORSE RIDING BIKE}
본 발명은 승마형 자전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운전자의 점프 탄력에 의해 안장이 승강되고 이에 추진력을 얻어 마치 승마를 즐기는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한 승마형 자전거이다.
일반적으로 자전거의 추진 동력은 지속적으로 페달을 밟아 큰 스프로킷에 물려 있는 체인으로 뒷바퀴에 전달하여 이를 동력으로 자전거를 주행하게 되는 것이다.
효율적인 자전거를 설계하기 위해서는 사용자의 에너지 효율을 극대화하는 것과 사용자의 사용편의성을 최대화 하는 것이 필요하다.
지금까지 자전거에 대한 주요 연구는 사용자의 에너지 효율을 극대화 하는 자전거 설계에 주안점을 두었다. 즉, 바퀴의 지름이나 크랭크 축의 길이에 따른 에너지 효율, 공기의 저항과 지면의 마찰, 효율적인 브레이크, 속도에 따른 에너지 효율 등이 연구되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연구에 의한 자전거는 항상 사용자가 페달을 밟아 동력을 전달하기 때문에 장시간 주행하거나 또는 언덕길 등을 주행하면 사용자가 쉽게 다 리 근육이 피로하게 되며 지겹게 느껴져 재미가 없다.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자전거의 주행시 엉덩이를 위 아래로 들어올리거나 내리는 동작 등을 함으로써, 안장이 상하로 움직이면서 안장 하부에 연결된 별도의 체인에 의하여 자전거가 구동되면서 마치 승마를 즐기는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한 승마형 자전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승마기능 뿐만 아니라 자전거 본연의 페달에 의한 체인 구동에 의하여 전진 주행할 수 있는 승마형 자전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기술적 과제들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승마형 자전거는 핸들바와 핸들을 갖는 핸들부, 상기 핸들바의 하부에 결합되는 전륜 프레임과 상기 전륜 프레임의 하단부에 결합된 프런트 축과 상기 프런트 축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앞바퀴 및 상기 핸들바와 상기 전륜 프레임을 연결하는 헤드 튜브를 갖는 앞바퀴부, 리어축과 상기 리어축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뒷바퀴를 갖는 뒷바퀴부, 제1 평기어 및 제2 평기어 또는 힌지축을 포함하는 회동부, 일단부는 상기 헤드 튜브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타단부는 상기 회동부와 결합되는 탑 튜 브, 일단부는 상기 회동부와 결합되며 타단부는 상기 뒷바퀴부와 결합되는 시트 스테이 튜브, 상기 회동부의 상부에 결합되는 안장 튜브와 상기 안장 튜브에 착탈 결합되는 안장을 갖는 안장부, 그리고 운전자가 상기 안장부를 가압하는 경우 가압에 반발하는 탄성력을 제공하여 상기 회동부를 중심으로 상기 탑 튜브와 상기 시트 스테이 튜브가 왕복 회동하도록 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탑 튜브와 상기 시트 스테이 튜브에 각각 결합되는 판스프링일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는 일단부는 상기 시트 튜브에 결합되며 타단부는 상기 시트 스테이 튜브에 결합되는 체인 스테이 튜브, 상기 회동부의 하부에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안장부에 의해 하방으로 발생하는 가압력을 상기 리어축에 전달하여 상기 뒷바퀴를 구동하는 구동부를 갖는 시트 튜브, 그리고 상기 시트 튜브의 하부 일측에 결합된 바텀 브라켓 셀과 상기 바텀 브라켓 셀에 장착된 크랭크 축 및 상기 크랭크 축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중간바퀴를 갖는 중간바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탑 튜브와 상기 시트 스테이 튜브에 각각 결합되는 판스프링, 일단부는 상기 시트 튜브에 결합되며 타단부는 상기 시트 스테이 튜브에 결합되는 체인 스테이 튜브, 상기 회동부의 하부에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안장부에 의해 하방으로 발생하는 가압력을 상기 리어축에 전달하여 상기 뒷바퀴를 구동하는 구동부를 갖는 시트 튜브, 그리고 상기 시트 튜브의 하부 일측에 결합된 바텀 브라켓 셀과 상기 바텀 브라켓 셀에 장착된 크랭크 축 및 상기 크랭크 축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중간바퀴를 갖는 중간바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동부는 양단이 상부 덮개판 및 하부 덮개판으로 차단되는 중공의 제1 실린더, 상기 제1 실린더의 내측에 위치한 제1 코일 스프링, 상기 제1 코일 스프링이 상기 제1 실린더 내부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제1 코일 스프링의 일측단부를 지지하는 날개면이 형성되어 있는 제1 스프링 가이드, 일단부는 상기 시트 튜브와 고정 결합되고 중간부는 상기 상부 덮개판을 관통하여 상기 날개면에 결합되며 타단부는 상기 하부 덮개판을 관통하는 제1 푸시로드, 및 상기 제1 푸시로드의 일측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연결로드를 포함하는 제1 실린더부, 상기 크랭크 축의 일측에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연결로드와 연결되어 상기 제1 푸시로드가 하강할 때 상기 연결로드에 의해 전진방향으로 회전하고 상기 제1 푸시로드가 정지 또는 상승할 때 공회전하는 래치트 기어, 상기 리어축의 일측에 결합되는 제1 리어 스프로킷, 그리고 상기 제1 리어 스프로킷 및 상기 래치트 기어에 연결된 제1 체인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동부는 상기 연결로드 대신에 상기 제1 푸시로드의 하방 일측에 상기 래치트 기어와 맞물리는 랙 기어가 형성되어 상기 제1 푸시로드의 상하 운동을 상기 래치트 기어의 회전력으로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중간바퀴부는 상기 크랭크 축의 타측에 장착되는 프런트 스프로킷, 상기 프런트 스프로킷을 회전시킬 수 있게 크랭크로 연결된 페달, 그리고 상기 제2 리어 스프로킷 및 상기 프런트 스프로킷에 연결된 제2 체인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중간바퀴부는 상기 크랭크 축과 상기 래치트 기어의 사이에 베어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동부는 일측에는 상기 탑 튜브가 삽입되도록 제1 가이드공이 관통 형성되어 있으며, 타측에는 상기 시트 스테이 튜브가 삽입되도록 제2 가이드공이 관통 형성되어 있는 외부 케이스, 외면은 상기 외부 케이스의 내면과 베어링에 의해 맞물리며, 일측은 상기 탑 튜브와 결합되며 타측은 상기 제1 평기어와 결합되는 제1 체결구를 갖는 중간 케이스, 그리고 외면은 상기 중간 케이스의 내면과 베어링에 의해 맞물리며, 일측은 상기 시트 스테이 튜브와 결합되며 타측은 상기 제2 평기어와 결합되는 제2 체결구를 갖는 내부 케이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탑 튜브에 결합되는 제2 실린더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2 실린더부는 양측이 좌측 덮개판 및 우측 덮개판으로 차단되는 중공의 제2 실린더, 상기 제2 실린더의 내측에 위치한 제2 코일 스프링, 상기 제2 코일 스프링을 상기 제2 실린더 내부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제2 코일 스프링의 좌측단부를 지지하는 좌측 날개면이 형성되어 있는 제2 스프링 가이드, 상기 제2 코일 스프링을 상기 제2 실린더 내부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제2 코일 스프링의 우측단부를 지지하는 우측 날개면이 형성되어 있는 제3 스프링 가이드, 일단부는 상기 헤드 튜브와 결합되며 타단부는 상기 좌측 덮개판을 관통하여 상기 좌측 날개면에 결합되는 제2 푸시로드, 그리고 일단부는 상기 우측 날개면에 결합되며 타단부는 상기 우측 덮개판을 관통하여 상기 제1 평기어와 결합되는 제3 푸시로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시트 스테이 튜브에 결합되는 제3 실린더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3 실린더부는 양측이 상측 덮개판 및 우측 덮개판으로 차단되는 중공의 제3 실린더, 상기 제3 실린더의 내측에 위치한 제3 코일 스프링, 상기 제3 코일 스프링을 상기 제3 실린더 내부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제3 코일 스프링의 상측단부를 지지하는 상측 날개면이 형성되어 있는 제4 스프링 가이드, 상기 제3 코일 스프링을 상기 제3 실린더 내부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제3 코일 스프링의 하측단부를 지지하는 하측 날개면이 형성되어 있는 제5 스프링 가이드, 일단부는 상기 상측 덮개판을 관통하여 상기 제2 평기어와 결합되며 타단부는 상기 상측 날개면에 결합되는 제4 푸시로드, 그리고 일단부는 상기 하측 날개면에 결합되며 타단부는 상기 하측 덮개판을 관통하여 상기 리어축과 결합되는 제5 푸시로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승마형 자전거에 의하면 스프링의 신축성과 복원력을 이용하여 자전거의 주행시 엉덩이를 위 아래로 들어올리거나 내리는 동작 등을 함으로써 안장이 상하로 움직이면서 마치 승마를 즐기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승마형 자전거에 의하면 안장 하부에 연결된 별도의 체인에 의하여 자전거가 구동되고 또한 페달에 의한 체인 구동에 의하여 전진 주행하는 본연의 주행도 병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 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이하에서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승마형 자전거에 대해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승마형 자전거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승마형 자전거의 단면도, 도 3은 도 2의 "A" 영역을 구체적으로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도 3의 승마형 자전거가 하강한 경우를 나타내는 회동부의 부분 단면도, 그리고 도 5는 도 1의 승마형 자전거의 동작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를 각각 나타낸 것이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승마형 자전거는 크게 핸들부(10), 앞바퀴부(20), 뒷l바퀴부(30), 회동부(40), 탑 튜브(Top Tube)(50), 힌지부(60), 시트 스테이 튜브(Seat Stay Tube)(70), 안장부(80) 및 탄성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핸들부(10)는 핸들바(12)에 높이 조절이 가능한 핸들(14)이 장착된다.
앞바퀴부(20)는 핸들바(10)의 하부에 전륜 프레임(22)이 결합되며, 상기 전륜 프레임(22)의 하단부에 결합된 앞바퀴(24)를 구동시키기 위한 프런트 축(26)이 결합된다. 또한 앞바퀴부(20)는 핸들바(10)와 전륜 프레임(22)을 연결하는 "├"자 형상의 헤드 튜브(Head Tube)(28)를 갖는다.
뒷바퀴부(30)는 리어축(32)에 의해 뒷바퀴(34)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앞바퀴부(20)와 뒷바퀴부(30)는 후술되는 회동부(40)와 탑 튜브(Top Tube)(50)와 시트 스테이 튜브(Seat Stay Tube)(70) 및 안장부(80)에 의해 연결되어 승마형 자전거의 기본적인 골격을 이룬다.
회동부(40)는 전체적으로 세로로 세워진 원기둥 형상을 하는 것으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 케이스(41), 중간 케이스(42), 내부 케이스(45)가 겹겹이 쌓여진 구조를 가진다.
외부 케이스(41)는 최 외곽에 배치되는 것으로, 일측에는 후술되는 탑 튜브(50)가 삽입되도록 제1 가이드공(41a)이 관통 형성되어 있으며 타측에는 후술되는 시트 스테이 튜브가 삽입되도록 제2 가이드공(41b)이 관통 형성되어 있다. 제1 가이드공(41a)과 제2 가이드공(41b)은 탑 튜브(50)와 시트 스테이 튜브(70)가 상하로 회동될 때 이 가이드공을 따라 수직으로 이동가능한 형태로 관통 형성된다.
중간 케이스(42)는 외부 케이스(41)와 내부 케이스(45)의 중간에 배치되는 것으로 외면은 상기 외부 케이스(41)의 내면과 베어링(42a)에 의해 맞물리게 되어 있으며, 전체적으로 반구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중간 케이스(42)에는 제1 체결구(43)가 결합되어 있다. 제1 체결구(43)의 일측은 후술되는 탑 튜브(50)와 결합된다. 또한 제1 체결구(43)는 타측에 종방향으로 제1 평기어(44)가 형성되어 있다.
내부 케이스(45)는 중간 케이스(42)의 내부에 배치되는 것으로, 외면은 중간 케이스(42)의 내면과 베어링(45b)에 의해 맞물리게 되어 있으며 전체적으로 반구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내부 케이스(45)에는 제2 체결구(46)가 결합되어 있다. 제2 체결구(46)의 일측은 후술되는 시트 스테이 튜브(70)와 결합된다. 또한 제2 체결부(46)는 타측에 종방향으로 제2 평기어(47)가 형성되어 있다. 제2 평기어(47)는 제1 평기어(44)와 상호 맞물려 상하방향으로 회동되도록 배치된다.
탑 튜브(Top Tube)(50)는 핸들바(10) 및 앞바퀴부(20)와 회동부(40)를 상호 연결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일단부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헤드 튜브(28)와 회동 가능하게 별도의 힌지부(60)에 의해 결합되어 있으며 타단부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 케이스(41)의 제1 가이드공(41a)을 관통하여 중간 케이스(42)의 제1 체결구(43)와 결합된다.
시트 스테이 튜브(Seat Stay Tube)(70)는 회동부(40)와 뒷바퀴부(30)를 상호 연결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단은 상기 외부 케이스(41)의 제2 가이드공(41b)을 관통하여 내부 케이스(45)의 제2 체결구(46)와 결합되며, 하단은 드롭 아웃(Drop Out)이 마련되어 여기에 리어축(32)에 의해 뒷바퀴(34)가 결합된다.
안장부(80)는 회동부(40)의 상부에 안장 튜브(82)를 장착하고 여기에 안장(84)을 장착한다. 운전자가 회동부(40)의 상단에 설치된 안장(84)을 눌러 힘을 가압하면 탑 튜브(50)와 시트 스테이 튜브(70) 간에 연결된 회동부(40)의 제1 평기어(44)와 제2 평기어(47)가 하방을 향하여 회동한다. 이때 안장(84)에 의해 하방으 로 가압하는 동작과는 반대로 안장(84)을 다시 상방으로 올려서 승마기능을 제공하기 위해서 별도의 탄성부재가 구비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탄성부재는 양단이 탑 튜브(50)와 시트 스테이 튜브(70) 각각에 결합되는 판스프링(90)일 수 있다.
판스프링(90)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단이 회동부(40)를 기준으로 탑 튜브(50)에 1/3 부분과 시트 스테이 튜브(70)의 1/3 지점에 각각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판스프링(90)은 상기 위치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른 위치에도 얼마든지 설치될 수 있다. 이때 판스프링(90)은 하방으로 볼록한 타원의 가운데가 바깥쪽으로 볼록하게 돌출부(92)가 형성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판스프링(90)에 돌출부(92)를 형성한 이유는 더 큰 복원력과 인장력을 제공하기 위함에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승마형 자전거(1)의 동작 상태는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승마형 자전거(1)는 운전자가 엉덩이를 위 아래로 들어올리거나 내리는 동작을 하게 되면 안장(84)이 하방으로 움직이게 된다. 이때 안장(84) 하부에 연결된 회동부(40)를 중심으로 탑 튜브(50)와 연결된 제1 평기어(44)와 시트 스테이 튜브(70)와 결합된 제2 평기어(47)가 이루는 각도가 점점 커지게 된다. 이때 탑 튜브(50)와 시트 스테이 튜브(70)간에 연결 설치된 판스프링(90)도 서서히 펴짐으로 해서 탄성력이 발생하게 된다.
이후 판스프링(90)의 탄성력이 정점에 이르게 되면 판스프링(90)이 원래 형태로 복원되면서 제1 평기어(44)와 제2 평기어(47)가 이루는 각도가 다시 작아지면서 안장(84)이 위로 밀려 올라가게 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장(84)이 상하 왕복 운동함에 따라 상기 제1 평기어(44)와 제2 평기어(47)도 왕복 회동되는 원리에 의해 운동축과 지면과 이루는 각도로 인해 전진력이 발생한다. 즉, 운전자에 의해 안장(84)이 하방으로 내려올 때 안장(84)과 앞바퀴(24)가 이루는 각도(a)가 안장(84)과 뒷바퀴(34)가 이루는 각도(b)보다 크기 때문에 앞바퀴(24)의 전진력을 발생시킨다. 예를 들면 안장(84)과 앞바퀴(24)가 이루는 각도(a)는 65도, 안장(84)과 뒷바퀴(34)가 이루는 각도(b)는 35도가 되므로 안장(84)이 하강하면 탑 튜브(50)가 힌지부(60)를 중심으로 회동되면서 앞바퀴(24)에 전진력이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운전자의 체중으로 자전거의 안장(84)을 누르면 탑 튜브(50)와 시트 스테이 튜브(70)가 펴지게 되어 자전거를 추진시키고, 다시 내려온 안장(84)은 판스프링(90)의 복원력의 작용에 의해 탑 튜브(50)와 시트 스테이 튜브(70)는 최초 위치로 복귀하게 되고 이러한 작용을 반복하게 됨으로써 마치 굼벵이가 기어가는 것과 같은 형상을 하면서 자전거가 전진함과 동시에 승마를 즐기는 운동 효과를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승마형 자전거(2)에 대해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승마형 자전거(1)와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도 6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승마형 자전거의 회동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승마형 자전거(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승마형 자전거(1)와는 달리 회동부(40) 내부에 힌지축(48)이 구성되어 있는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하다.
본 실시예에 따른 회동부(40)는 탑 튜브(50)와 시트 스테이 튜브(70)가 힌지축(48)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회동되도록 배치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실시예에 따른 승마형 자전거(2)는 운전자가 엉덩이를 위 아래로 들어올리거나 내리는 동작을 하게 되면 안장(84)이 하방으로 움직이게 된다. 이때 안장(84) 하부에 연결된 회동부(40)를 중심으로 탑 튜브(50)와 시트 스테이 튜브(70)가 힌지축(48)을 중심으로 벌어지게 된다. 이때 탑 튜브(50)와 시트 스테이 튜브(70)간에 연결 설치된 판스프링(90)도 서서히 펴짐으로 해서 탄성력이 발생하게 된다.
이후 운전자의 가압하는 힘이 제거되면 판스프링(90)이 원래 형태로 복원되면서 탑 튜브(50)와 시트 스테이 튜브(70)가 모아지면서 안장(84)이 위로 밀려 올라가게 된다.
따라서, 운전자의 체중으로 자전거의 안장(84)을 누르면 탑 튜브(50)와 시트 스테이 튜브(70)가 펴지게 되어 자전거를 추진시키고, 다시 내려온 안장(84)은 판스프링(90)의 복원력에 의해 탑 튜브(50)와 시트 스테이 튜브(70)는 최초 위치로 복귀하게 되고 이러한 작용을 반복하게 됨으로써 마치 굼벵이가 기어가는 것과 같 은 형상을 하면서 자전거가 전진함과 동시에 승마를 즐기는 운동 효과를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승마형 자전거에 대해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승마형 자전거와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도 7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승마형 자전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8은 도 7의 승마형 자전거의 단면도, 도 9는 도 7의 승마형 자전거의 제1 실린더부의 부분 절개 사시도, 도 10은 도 8의 "B" 영역의 동작을 구체적으로 나타낸 단면도를 각각 나타낸 것이다.
도 7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승마형 자전거(3)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승마형 자전거(1)와는 달리 탄성부재가 판스프링(90) 대신에 시트 튜브(110), 구동부(120) 및 중간바퀴부(130)가 더 포함되어 있는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하다.
시트 튜브(110)는 회동부(40)의 하부에 결합되어 있는 파이프 형상의 프레임이다. 또한 시트 튜브(110)의 하부에는 안장(84)의 상하 왕복운동을 위한 구동부(120)가 마련된다.
구동부(120)는 안장부(80)에 의해 하방으로 발생하는 가압력을 리어축(32)에 전달하여 제1 리어 스프로킷(126)을 회전시켜 뒷바퀴(34)를 구동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구동부(120)는 제1 실린더부(122), 래치트 기어(Rachet Gear)(124), 제1 리어 스프로킷(126) 및 제1 체인(128)을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제1 실린더부(122)의 구조를 살펴보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단이 상부 덮개판 및 하부 덮개판(1220,1221)으로 차단되는 중공의 제1 실린더(1222)가 구비되어 있으며, 제1 실린더(1222)의 내부에는 제1 코일 스프링(1223)이 구비되어 있다. 또한, 제1 실린더(1222)의 내부에는 제1 스프링 가이드(1224)가 구비되어 제1 코일 스프링(1223)이 제1 실린더(1222)의 내부에서 상하 이동 가능하도록 한다. 이때 제1 스프링 가이드(1224)는 제1 코일 스프링(1223)의 일측단부를 지지하는 날개면(1224a)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1 실린더(1222)의 내측에는 제1 푸시로드(1225)가 더 구비되어 있다.
제1 푸시로드(1225)의 일단부는 시트 튜브(110)와 고정 결합되어 있고, 제1 푸시로드(1225)의 중간부는 상부 덮개판(1220)을 관통하여 날개면(1224a)에 결합되어 있으며, 제1 푸시로드(1225)의 타단부는 하부 덮개판(1221)을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제1 푸시로드(1225)의 일측에는 연결로드(1226)가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래치트 기어(124)는 일방향 회전만이 가능하도록 회전력을 전달하는 기어로서 통상적인 자전거에 널리 채용되는 것이다. 래치트 기어(124)는 후술되는 중간바퀴부(130)의 크랭크 축(132)의 일측에 결합되어 있다. 래치트 기어(124)는 연결로드(1226)와 연결되어 제1 푸시로드(1225)가 하강할 때 연결로드(1226)에 이끌려 도면상 반시계방향 즉, 자전거의 전진방향으로 회전하고 제1 푸시로드(1225)가 정지 또는 상승할 때 도면상 시계방향 즉, 공회전하도록 결합되어 있다.
제1 리어 스프로킷(126)은 리어축(32)의 일측에 결합되어 있으며, 래치트 기어(124) 및 제1 리어 스프로킷(126)간에는 동력 전달을 위한 전진 주행용 제1 체인(128)이 연결되어 있다.
중간바퀴부(130)는 시트 튜브(110)의 하부 일측에 결합된 바텀 브라켓 셀(131)과 상기 바텀 브라켓 셀(131)에 장착된 크랭크 축(132) 및 상기 크랭크 축(132)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중간바퀴(133)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승마형 자전거(3)의 동작 상태는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0의 (a)는 도 7의 승마형 자전거가 안장이 하강한 경우의 구동부 및 중간바퀴부의 부분 단면도, 그리고 도 10의 (b)는 도 7의 승마형 자전거가 안장이 다시 상승한 경우의 구동부 및 중간바퀴부의 부분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승마형 자전거(3)는 운전자가 엉덩이를 위 아래로 들어올리거나 내리는 동작 등에 의하여 안장(84)이 하방으로 움직이면 안장(84) 하부에 연결된 회동부(40)를 중심으로 시트 튜브(110)와 연결된 구동부(120)의 제1 푸시로드(1225)가 하방으로 이동한다.
도 1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푸시로드(1225)가 하방으로 이동하면 중간바퀴부(130)에 의해 지면에 지지됨으로써 제1 실린더(1222) 내부의 제1 코일 스프링(1223)이 압축된다. 이때 하방으로 이동하는 제1 푸시로드(1225)와 연결되어 있는 연결로드(1226)도 하방으로 이동하게 되고, 연결로드(1226)의 단부와 힌지 결합되어 있는 래치트 기어(124)가 연결로드(1226)에 이끌려 도면상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을 하게 된다. 이 회전력은 상기 제1 체인(128)을 통하여 제1 리어 스프로킷(126)으로 전달되며, 제1 리어 스프로킷(126)의 회전에 의하여 자전거의 전진 주행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이후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전자에 의해 안장(84)을 가압하는 힘이 제거되면 압축되었던 제1 코일 스프링(1223)이 복원력에 의해 다시 펴지게 된다. 제1 코일 스프링(1223)이 펴지게 되면 제1 푸시로드(1225)가 상방으로 밀려 올라가게 되고, 이에 의해 구동부(120)가 상방으로 이동한다. 또한 구동부(120)가 상방으로 이동하면 시트 튜브(110)와 회동부(40) 및 안장(84)이 차례로 밀려 올라가게 된다.
따라서, 운전자의 체중으로 자전거의 안장(84)을 누르면 제1 푸시로드(1225)는 내려가게 되어 연결로드(1226)와 래치트 기어(124)의 힌지 결합 및 제1 체인(128)의 동력전달 작용에 의해 자전거를 추진시키고, 내려온 안장(84)은 제1 실린더(1222) 내부에 압축된 제1 코일 스프링(1223)의 복원력의 작용에 의해 제1 푸시로드(1225)는 상방향으로 이동하여 안장(84)은 최초 위치로 복귀하게 되고 이러한 작용을 반복하게 되어 자전거는 계속 나아가게 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승마형 자전거(4)에 대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승마형 자전거(3)와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도 11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1은 도 8의 "B" 영역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동부의 동작을 구체적으로 나타낸 단면도로서, 도 11의 (a)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승마형 자전거가 안장이 하강한 경우의 구동부 및 중간바퀴부의 부분 단면도, 도 11의 (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승마형 자전거가 안장이 다시 상승한 경우의 구동부 및 중간바퀴부의 부분 단면도를 각각 나타낸 것이다.
도 11a 및 도 1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승마형 자전거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승마형 자전거(3)와는 달리 구동부(120)가 연결로드(1226) 대신 랙 기어(1227)로 구성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하다.
즉, 도 1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부(120)는 제1 푸시로드(1225)의 하부 일측에는 랙 기어(1227)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랙 기어(1227)는 래치트 기어(124)와 맞물려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승마형 자전거는 운전자가 엉덩이를 위 아래로 들어올리거나 내리는 동작 등에 의하여 안장(84)이 하방으로 움직이면 안장(84) 하부에 연결된 회동부(40)를 중심으로 시트 튜브(110)와 연결된 구동부(120)의 제1 푸시로드(1225)가 하강한다. 이때 제1 푸시로드(1225)의 하방에 형성되어 있는 랙 기어(1227)에 의해 래치트 기어(124)가 회전하게 되고, 이때의 회전력은 제1 체인(128)을 통하여 제1 리어 스프로킷(126)으로 전달되며, 제1 리어 스프로킷(126)의 회전에 의하여 자전거의 전진 주행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이와 동시에 구동부(120)의 제1 푸시로드(1225)가 하강하면서 제1 코일 스프링(1223)을 압축시킨다.
반대로, 도 1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장(84)을 가압하는 힘이 제거되면 제 1 코일 스프링(1223)이 복원력에 의해 다시 펴지게 된다. 따라서 제1 코일 스프링(1223)이 펴지면서 제1 푸시로드(1225)가 상승하면 랙 기어(1227)와 래치트 기어(124)의 맞물림 작용으로 래치트 기어(124)가 도면상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며, 이 경우 래치트 기어(124)는 비 결합상태가 되어 공회전한다.
따라서, 운전자의 체중으로 자전거의 안장(84)을 누르면 제1 푸시로드(1225)는 내려가게 되어 랙 기어(1227)와 래치트 기어(124)의 물림작용 및 제1 체인(128)의 동력전달 작용에 의해 자전거를 추진시키고, 내려온 안장(84)은 제1 실린더(1222) 내부에 압축된 제1 코일 스프링(1223)의 복원력의 작용에 의해 제1 푸시로드(1225)는 상방향으로 이동하여 안장(84)은 최초 위치로 복귀하게 되고 이러한 작용을 반복하게 되어 자전거는 계속 나아가게 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승마형 자전거(4)에 대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승마형 자전거(3)와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도 12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승마형 자전거(4)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승마형 자전거(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승마형 자전거(2)와는 달리 중간바퀴부(130)가 전진 주행이 가능한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하다.
즉, 중간바퀴부(130)는 자전거의 페달을 밟아서 전진 주행을 수행하는 구성으로서 바텀 브라켓 셀, 크랭크 축(132) 및 중간바퀴(133)의 기본 구성에 프런트 스프로킷(134), 페달(135), 제2 리어 스프로킷(136) 및 제2 체인(137)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프런트 스프로킷(134)은 래치트 기어(124)가 장착되어 있는 반대편인 크랭크 축(132)의 타측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또한, 프런트 스프로킷(134)의 양끝단에는 크랭크(131a)로 연결되어 프런트 스프로킷(134)을 회전시킬 수 있게 페달(135)이 장착된다.
제2 리어 스프로킷(136)은 제1 리어 스프로킷(126)이 장착되어 있는 반대편인 리어축(32)의 타측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된다. 또한, 프런트 스프로킷(134) 및 제2 리어 스프로킷(136)간에는 동력 전달을 위한 전진 주행용 제2 체인(137)이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페달(135)을 앞쪽으로 밟는 동작에 의하여 프런트 스프로킷(134)이 회전을 하게 되고, 이때의 회전력은 상기 제2 체인(137)을 통하여 제2 리어 스프로킷(136)으로 전달되며, 제2 리어 스프로킷(136)의 회전에 의하여 뒷바퀴(34)가 회전되어 일반적인 자전거의 전진 주행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래치트 기어(124)는 크랭크 축(132)과 베어링(미도시)으로 연결되어 있어 페달(135)을 이용하여 크랭크 축(132)을 회전시키더라도 이 경우 래치트 기어(124)는 베어링에 의해 크랭크 축(132)에 대하여 공회전을 하게 되므로 프런트 스프로킷(134)은 제2 체인(137) 및 제2 리어 스프로킷(136)에 의하여 뒷바퀴(34)에 동력을 전달하고 래치트 기어(124)에는 회전운동을 일으키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승마형 자전거(5)에 대해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승마형 자전거(4)와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승마형 자전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4의 (a)는 도 13의 승마형 자전거의 제2 실린더부의 부분 절개 사시도, 그리고 도 14의 (b)는 도 13의 승마형 자전거의 제3 실린더부의 부분 절개 사시도를 각각 나타낸 것이다.
도 13 및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승마형 자전거(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승마형 자전거(4)와는 달리 탄성부재가 탑 튜브(50)에 결합되는 제2 실린더부(200)와 시트 스테이 튜브(70)에 결합되는 제3 실린더부(300)가 더 포함되어 있는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하다.
먼저, 제2 실린더부(200)는, 도 1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단이 좌측 덮개판 및 우측 덮개판(201,202)으로 차단되는 중공의 제2 실린더(203)가 구비되어 있으며, 제2 실린더(203)의 내부에는 제2 코일 스프링(204)이 구비되어 있다. 또한, 제2 실린더(203)의 내부에는 제2 스프링 가이드(205)와 제3 스프링 가이드(206)가 구비되어 제2 코일 스프링(204)을 제2 실린더(203) 내부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한다. 이때, 제2 스프링 가이드(205)는 제2 코일 스프링(204)의 좌측단부를 지지하는 좌측 날개면(205a)이 형성되어 있으며, 제3 스프링 가이드(206)는 제2 코일 스프링(204)의 우측단부를 지지하는 우측 날개면(206a)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2 실린더(203)의 내부에는 제2 푸시로드(207) 및 제3 푸시로드(208)가 더 구비되어 있다. 제2 푸시로드(207)의 일단부는 헤드 튜브(28)와 결합되어 있 으며 제2 푸시로드(207)의 타단부는 좌측 덮개판(201)을 관통하여 좌측 날개면(205a)에 결합되어 있다. 또한, 제3 푸시로드(208)의 일단부는 우측 날개면(206a)에 결합되어 있으며 제3 푸시로드(208)의 타단부는 우측 덮개판(202)을 관통하여 제1 평기어(44)와 결합되어 있다.
다음, 제3 실린더부(300)는, 도 1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단이 상측 덮개판 및 우측 덮개판(301,302)으로 차단되는 중공의 제3 실린더(303)가 구비되어 있으며, 제3 실린더(303)의 내부에는 제3 코일 스프링(304)이 구비되어 있다. 또한, 제3 실린더(303)의 내부에는 제4 스프링 가이드(305)와 제5 스프링 가이드(306)가 구비되어 제3 코일 스프링(304)을 제3 실린더(303) 내부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한다. 이때, 제4 스프링 가이드(305)는 제3 코일 스프링(304)의 상측단부를 지지하는 상측 날개면(305a)이 형성되어 있으며, 제5 스프링 가이드(306)는 제3 코일 스프링(304)의 하측단부를 지지하는 하측 날개면(306a)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3 실린더(303)의 양측에는 제4 푸시로드(307) 및 제5 푸시로드(308)가 더 구비되어 있다. 제4 푸시로드(307)의 일단부는 상측 덮개판(301)을 관통하여 제2 평기어(47)와 결합되어 있으며 제4 푸시로드(307)의 타단부는 상측 날개면(305a)에 결합되어 있다. 또한, 제5 푸시로드(308)의 일단부는 하측 날개면(306a)에 결합되어 있으며 제5 푸시로드(308)의 타단부는 하측 덮개판(302)을 관통하여 리어축(32)과 결합되어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승마형 자전거(6)에 대해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승마형 자전거(5)와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도 15를 참조하 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승마형 자전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승마형 자전거(6)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승마형 자전거(5)에 있어 탄성부재로 판스프링(90)이 더 포함되어 있는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하다.
즉, 판스프링(90)의 양단은 탑 튜브(50)와 시트 튜브(110) 각각에 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승마형 자전거(6)는 탄성부재가 제1 실린더부(122), 제2 실린더부(200), 제3 실린더부(300) 뿐만 아니라 판스프링(90)까지 더해져 승마를 즐기는 운동을 더욱 효과적으로 제공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승마형 자전거(5)의 동작 상태는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승마형 자전거(5)는 운전자가 엉덩이를 위 아래로 들어올리거나 내리는 동작 등에 의하여 안장(84)을 하방으로 가압하면 안장(84) 하부에 연결된 회동부(40)를 중심으로 시트 튜브(110)와 연결된 구동부(120)의 제1 푸시로드(1225)가 하방으로 이동한다. 이때 제1 푸시로드(1225)와 연결되어 있는 연결로드(1226)와 맞물려 있는 래치트 기어(124)가 회전을 하게 되고, 이때의 회전력은 상기 제1 체인(128)을 통하여 제1 리어 스프로킷(126)으로 전달되며, 제1 리어 스프로킷(126)의 회전에 의하여 뒷바퀴(34)가 구동되어 자전거의 전진 주행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이와 동시에 구동부(120)의 제1 푸시로드(1225)가 하방으로 이동하면서 제1 코일 스프링(1223)을 압축시킨다.
그리고, 회동부(40)를 중심으로 탑 튜브(50)와 연결된 제1 평기어(44)와 시트 스테이 튜브(70)와 결합된 제2 평기어(47)가 이루는 각도가 점점 커지게 된다. 이때 탑 튜브(50)에 결합된 제2 실린더부(200)와 시트 스테이 튜브(70)에 결합된 제3 실린더부(300)가 수축한다. 즉, 제2 실린더부(200)의 제2 푸시로드(207) 및 제3 푸시로드(208)가 핸들(14)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제2 코일 스프링(204)을 압축시키고, 제3 실린더부(300)의 제4 푸시로드(307) 및 제5 푸시로드(308)가 뒷바퀴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제3 코일 스프링(304)을 압축시킨다.
반대로 운전자에 의한 안장(84)을 가압하는 힘이 제거되면 압축되었던 제1 코일 스프링(1223)이 복원력에 의해 압축이 해제되면서 안장(84)을 밀어 올리게 되고, 이와 함께 압축되었던 제2 코일 스프링(204) 및 제3 코일 스프링(304)도 복원력에 의해 압축이 해제되면서 제1 평기어(44)와 제2 평기어(47)가 이루는 각도가 작아지도록 회동시켜 안장(84)을 밀어 올리게 된다.
이에 의해 본 실시예는 제1 실린더부(122) 뿐만 아니라 제2 실린더부(200) 및 제3 실린더부(300)에 의해 안장(84)을 상하 왕복 운동하게 함으로써 자전거로 마치 승마를 즐기는 운동 효과를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에 따른 승마형 자전거는 판스프링 또는 코일 스프링의 탄성력과 복원력을 이용하여 안장(84)의 상하 움직임을 전진력으로 변환시켜 마치 승마운동을 하는 것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하여 재미와 운동 효과를 동시에 얻을 수 있는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승마형 자전거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승마형 자전거의 단면도,
도 3은 도 2의 "A" 영역을 구체적으로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도 3의 승마형 자전거가 하강한 경우를 나타내는 회동부의 부분 단면도,
도 5는 도 1의 승마형 자전거의 동작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승마형 자전거의 회동부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승마형 자전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8은 도 7의 승마형 자전거의 단면도,
도 9는 도 7의 승마형 자전거의 제1 실린더부의 부분 절개 사시도,
도 10은 도 8의 "B" 영역의 동작을 구체적으로 나타낸 단면도,
도 11은 도 8의 "B" 영역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동부의 동작을 구체적으로 나타낸 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승마형 자전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승마형 자전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4의 (a)는 도 13의 승마형 자전거의 제2 실린더부의 부분 절개 사시도, 그리고
도 14의 (b)는 도 13의 승마형 자전거의 제3 실린더부의 부분 절개 사시도,
도 1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승마형 자전거를 나타내는 단면도를 각각 나타낸 것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1,2,3,4,5,6 : 승마형 자전거 10 : 핸들부
12 : 핸들바 14 : 핸들
20 : 앞바퀴부 22 : 전륜 프레임
24 : 앞바퀴 26 : 프런트 축
28 : 헤드 튜브 30 : 뒷바퀴부
32 : 리어축 34 : 뒷바퀴
40 : 회동부 41 : 외부 케이스
41a : 제1 가이드공 41b : 제2 가이드공
42 : 중간 케이스 42b : 베어링
43 : 제1 체결구 44 : 제1 평기어
45 : 내부 케이스 46 : 제2 체결구
47 : 제2 평기어 50 : 탑 튜브
60 : 힌지부 70 : 시트 스테이 튜브
80 : 안장부 82 : 안장 튜브
84 : 안장 90 : 판스프링
110 : 시트 튜브 120 : 구동부
122 : 제1 실린더부 124 : 래치트 기어
126 : 제1 리어 스프로킷 128 : 제1 체인
130 : 중간바퀴부 131 : 바텀 브라켓 셀
132 : 크랭크 축 133 : 중간바취
134 : 프런트 스프로킷 135 : 페달
136 : 제2 리어 스프로킷 137 : 제2 체인
200 : 제2 실린더부 300 : 제3 실린더부
1220 : 상부 덮개판 1221 : 하부 덮개판
1222 : 제1 실린더 1223 : 제1 코일 스프링
1224 : 제1 스프링가이드 1224a : 날개면
1225 : 제1 푸시로드 1226 : 연결로드
1227 : 랙 기어

Claims (11)

  1. 삭제
  2. 삭제
  3. 핸들바와 핸들을 갖는 핸들부,
    상기 핸들바의 하부에 결합되는 전륜 프레임, 상기 전륜 프레임의 하단부에 결합된 프런트 축, 상기 프런트 축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앞바퀴, 및 상기 핸들바와 상기 전륜 프레임을 연결하는 헤드 튜브를 갖는 앞바퀴부,
    리어축과 상기 리어축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뒷바퀴를 갖는 뒷바퀴부,
    제1 평기어 및 제2 평기어 또는 힌지축을 포함하는 회동부,
    일단부는 상기 헤드 튜브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타단부는 상기 회동부와 결합되는 탑 튜브,
    일단부는 상기 회동부와 결합되며 타단부는 상기 뒷바퀴부와 결합되는 시트 스테이 튜브,
    상기 회동부의 상부에 결합되는 안장 튜브와 상기 안장 튜브에 착탈 결합되는 안장을 갖는 안장부, 그리고
    운전자가 상기 안장부를 가압하는 경우 가압에 반발하는 탄성력을 제공하여 상기 회동부를 중심으로 상기 탑 튜브와 상기 시트 스테이 튜브가 왕복 회동하도록 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회동부의 하부에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안장부에 의해 하방으로 발생하는 가압력을 상기 리어축에 전달하여 상기 뒷바퀴를 구동하는 구동부를 갖는 시트 튜브, 및
    상기 시트 튜브의 하부 일측에 결합된 바텀 브라켓 셀, 상기 바텀 브라켓 셀에 장착된 크랭크 축, 및 상기 크랭크 축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중간바퀴를 갖는 중간바퀴부를
    포함하는 승마형 자전거.
  4. 핸들바와 핸들을 갖는 핸들부,
    상기 핸들바의 하부에 결합되는 전륜 프레임, 상기 전륜 프레임의 하단부에 결합된 프런트 축, 상기 프런트 축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앞바퀴, 및 상기 핸들바와 상기 전륜 프레임을 연결하는 헤드 튜브를 갖는 앞바퀴부,
    리어축과 상기 리어축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뒷바퀴를 갖는 뒷바퀴부,
    제1 평기어 및 제2 평기어 또는 힌지축을 포함하는 회동부,
    일단부는 상기 헤드 튜브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타단부는 상기 회동부와 결합되는 탑 튜브,
    일단부는 상기 회동부와 결합되며 타단부는 상기 뒷바퀴부와 결합되는 시트 스테이 튜브,
    상기 회동부의 상부에 결합되는 안장 튜브와 상기 안장 튜브에 착탈 결합되는 안장을 갖는 안장부, 그리고
    운전자가 상기 안장부를 가압하는 경우 가압에 반발하는 탄성력을 제공하여 상기 회동부를 중심으로 상기 탑 튜브와 상기 시트 스테이 튜브가 왕복 회동하도록 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탑 튜브와 상기 시트 스테이 튜브에 각각 결합되는 판스프링,
    상기 회동부의 하부에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안장부에 의해 하방으로 발생하는 가압력을 상기 리어축에 전달하여 상기 뒷바퀴를 구동하는 구동부를 갖는 시트 튜브, 및
    상기 시트 튜브의 하부 일측에 결합된 바텀 브라켓 셀, 상기 바텀 브라켓 셀에 장착된 크랭크 축, 및 상기 크랭크 축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중간바퀴를 갖는 중간바퀴부를
    포함하는 승마형 자전거.
  5. 제3항에서,
    상기 구동부는
    양단이 상부 덮개판 및 하부 덮개판으로 차단되는 중공의 제1 실린더, 상기 제1 실린더의 내측에 위치한 제1 코일 스프링, 상기 제1 코일 스프링이 상기 제1 실린더 내부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제1 코일 스프링의 일측단부를 지지하는 날개면이 형성되어 있는 제1 스프링 가이드, 일단부는 상기 시트 튜브와 고정 결합되고 중간부는 상기 상부 덮개판을 관통하여 상기 날개면에 결합되며 타단부는 상기 하부 덮개판을 관통하는 제1 푸시로드, 및 상기 제1 푸시로드의 일측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연결로드를 포함하는 제1 실린더부,
    상기 크랭크 축의 일측에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연결로드와 연결되어 상기 제1 푸시로드가 하강할 때 상기 연결로드에 의해 전진방향으로 회전하고 상기 제1 푸시로드가 정지 또는 상승할 때 공회전하는 래치트 기어,
    상기 리어축의 일측에 결합되는 제1 리어 스프로킷, 그리고
    상기 제1 리어 스프로킷 및 상기 래치트 기어에 연결된 제1 체인을
    포함하는 승마형 자전거.
  6. 제5항에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연결로드 대신에 상기 제1 푸시로드의 하방 일측에 상기 래치트 기어와 맞물리는 랙 기어가 형성되어 상기 제1 푸시로드의 상하 운동을 상기 래치트 기어의 회전력으로 전달하는 승마형 자전거.
  7. 제5항에서,
    상기 중간바퀴부는
    상기 크랭크 축의 타측에 장착되는 프런트 스프로킷,
    상기 프런트 스프로킷을 회전시킬 수 있게 크랭크로 연결된 페달, 그리고
    상기 제2 리어 스프로킷 및 상기 프런트 스프로킷에 연결된 제2 체인을
    더 포함하는 승마형 자전거.
  8. 제7항에서,
    상기 중간바퀴부는
    상기 크랭크 축과 상기 래치트 기어의 사이에 베어링을
    더 포함하는 승마형 자전거.
  9. 제3항 또는 제4항에서,
    상기 회동부는
    일측에는 상기 탑 튜브가 삽입되도록 제1 가이드공이 관통 형성되어 있으며, 타측에는 상기 시트 스테이 튜브가 삽입되도록 제2 가이드공이 관통 형성되어 있는 외부 케이스,
    외면은 상기 외부 케이스의 내면과 베어링에 의해 맞물리며, 일측은 상기 탑 튜브와 결합되며 타측은 상기 제1 평기어와 결합되는 제1 체결구를 갖는 중간 케이스, 그리고
    외면은 상기 중간 케이스의 내면과 베어링에 의해 맞물리며, 일측은 상기 시트 스테이 튜브와 결합되며 타측은 상기 제2 평기어와 결합되는 제2 체결구를 갖는 내부 케이스를
    더 포함하는 승마형 자전거.
  10. 제3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서,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탑 튜브에 결합되는 제2 실린더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2 실린더부는
    양측이 좌측 덮개판 및 우측 덮개판으로 차단되는 중공의 제2 실린더,
    상기 제2 실린더의 내측에 위치한 제2 코일 스프링,
    상기 제2 코일 스프링을 상기 제2 실린더 내부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제2 코일 스프링의 좌측단부를 지지하는 좌측 날개면이 형성되어 있는 제2 스프링 가이드,
    상기 제2 코일 스프링을 상기 제2 실린더 내부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제2 코일 스프링의 우측단부를 지지하는 우측 날개면이 형성되어 있는 제3 스프링 가이드,
    일단부는 상기 헤드 튜브와 결합되며 타단부는 상기 좌측 덮개판을 관통하여 상기 좌측 날개면에 결합되는 제2 푸시로드, 그리고
    일단부는 상기 우측 날개면에 결합되며 타단부는 상기 우측 덮개판을 관통하여 상기 제1 평기어와 결합되는 제3 푸시로드를
    포함하는 승마형 자전거.
  11. 제10항에서,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시트 스테이 튜브에 결합되는 제3 실린더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3 실린더부는
    양측이 상측 덮개판 및 우측 덮개판으로 차단되는 중공의 제3 실린더,
    상기 제3 실린더의 내측에 위치한 제3 코일 스프링,
    상기 제3 코일 스프링을 상기 제3 실린더 내부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제3 코일 스프링의 상측단부를 지지하는 상측 날개면이 형성되어 있는 제4 스프링 가이드,
    상기 제3 코일 스프링을 상기 제3 실린더 내부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제 3 코일 스프링의 하측단부를 지지하는 하측 날개면이 형성되어 있는 제5 스프링 가이드,
    일단부는 상기 상측 덮개판을 관통하여 상기 제2 평기어와 결합되며 타단부는 상기 상측 날개면에 결합되는 제4 푸시로드, 그리고
    일단부는 상기 하측 날개면에 결합되며 타단부는 상기 하측 덮개판을 관통하여 상기 리어축과 결합되는 제5 푸시로드를
    포함하는 승마형 자전거.
KR1020090037673A 2009-04-29 2009-04-29 승마형 자전거 KR1009299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7673A KR100929975B1 (ko) 2009-04-29 2009-04-29 승마형 자전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7673A KR100929975B1 (ko) 2009-04-29 2009-04-29 승마형 자전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29975B1 true KR100929975B1 (ko) 2009-12-04

Family

ID=416838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37673A KR100929975B1 (ko) 2009-04-29 2009-04-29 승마형 자전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2997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5751B1 (ko) 2012-02-24 2012-11-27 주식회사 원진테크 기어를 이용한 접이식 자전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152447U (ko) * 1978-04-15 1979-10-23
JPS62247990A (ja) * 1986-04-21 1987-10-29 渡邊 五郎 弾性利用走行具
KR200403224Y1 (ko) 2005-09-15 2005-12-08 김주익 승마형 자전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152447U (ko) * 1978-04-15 1979-10-23
JPS62247990A (ja) * 1986-04-21 1987-10-29 渡邊 五郎 弾性利用走行具
KR200403224Y1 (ko) 2005-09-15 2005-12-08 김주익 승마형 자전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5751B1 (ko) 2012-02-24 2012-11-27 주식회사 원진테크 기어를 이용한 접이식 자전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20814B1 (en) Bicycle propelled by stepping motion
CN201427644Y (zh) 一种带驱动装置的滑板车
KR20100057684A (ko) 2개의 왕복 페달을 갖는 인력 차량
US9592883B2 (en) Elliptical drive mechanism and a steering mechanism, applicable to velocipedes in general
US6017295A (en) Recumbent mobile exercise apparatus
US7717448B2 (en) Ratchet-action drive mechanism for human power
US10843767B2 (en) Dual pedal-driven scooter
KR100929975B1 (ko) 승마형 자전거
CN205872348U (zh) 一种带驱动装置的滑板车
CN202807017U (zh) 自行车驱动机构
CN211158408U (zh) 一种多功能动感单车
KR20110059317A (ko) 보행 자전거
CN2801612Y (zh) 一种自行车
CN102935871A (zh) 可用手驱动的自行车
JPWO2005009832A1 (ja) クランクペダル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乗り物
CN213414142U (zh) 一种健身自行车
KR20090043309A (ko) 승마형 자전거
CN101450698B (zh) 一种2轮驱动自行车
CN2922889Y (zh) 自助按摩椅
CN104015862B (zh) 一种链条往复传动式踏板自行车
CN202703818U (zh) 仿马运动车
CN203854809U (zh) 手脚双动力健身自行车
CN218055501U (zh) 一种由竖向杠杆+移动副二维驱动的链盘驱动装置及应用此装置进行驱动的自行车和滑板车
KR20140001004U (ko) 지렛대 원리 및 시소의 원리를 응용하여 제작하는 승마형 자전거
KR100958199B1 (ko) 자전거 동력전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